G2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미국 | 중국 | 일본 | 독일 | |
|
|
|
|
|
영국 | 인도 | 프랑스 | 이탈리아 | |
|
|
|
|
|
캐나다 | 대한민국 | 러시아 | 호주 | |
|
|
|
|
|
브라질 | 멕시코 | 인도네시아 |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튀르키예 | 아르헨티나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유럽연합 | }}}}}}}}} |
|
2014년 기준 국제사회 전체 인구의 65%, 교역량의 79%, 경제규모의 84%, 탄소배출량의 79%를 차지한다. |
|
|
제17회 2022 인도네시아 발리 G20 정상회의 |
1. 개요2. 배경3. 위기가 만든 정상회의4. G20과 선진국의 차이5. 역대 회의 개최지
5.1. 2020년 화상 회의
6. 회의 진행 과정7. 참가국8. 참가국 정상9.
국제기구10. 역대 초청국10.1. 제1회 워싱턴 D.C. 회의10.2. 제2회 런던 회의10.3. 제3회 피츠버그 회의10.4. 제4회 토론토 회의10.5.
제5회 서울 회의10.6. 제6회 칸 회의10.7. 제7회 로스 카보스 회의10.8. 제8회 상트페테르부르크 회의10.9. 제9회 브리즈번 회의10.10. 제10회 안탈리아 회의10.11. 제11회 항저우 회의10.12. 제12회 함부르크 회의10.13. 제13회 부에노스아이레스 회의10.14.
제14회 오사카 회의10.15.
제15회 리야드 회의10.16.
제16회 로마 회의
11.
경제성장률12. G20 회원국이 아닌 중견국13. 위기론14. 같이보기15. 둘러보기[clearfix]
1. 개요
Group of 20 / 주요 20개국 (회의)공식 사이트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영국, 인도,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대한민국, 러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멕시코,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공화국, 유럽연합으로 이루어진 20대 경제대국의 모임.[1]
국가 전체 GDP로 봤을 때 스페인, 네덜란드, 스위스를 제외한 1위~20위 국가들이 모두 들어가 있다. 영문 위키피디아 GDP 순위 20위권 밖임에도 회원국인 나라는 아르헨티나, 남아공 두 곳이 있다. 다만, GDP 20위권 국가 중 스페인과 네덜란드는 유럽 연합에 소속되어 간접적으로 참여한다. 또한 스페인은 G20 정식 회원국은 아니지만 영구초청국으로, G20 회의에 항상 참가한다.
재미있는 건 G20 회의는 이른바 19세기 말 ~ 20세기 초에 2차례 개최했던 만국평화회의의 후신으로 보는 관점이 많다는 점이다. G7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을 거치면서 수많은 국가들이 쏟아져나온 21세기 기준, 열강들의 모임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인원 수가 적었다. 그러나 G20은 회원국에 대해 대륙 배분도 신경을 쓰면서 강대국으로 꼽힐 수 있는 국가들을 상당수 포함하는 형식으로 회원국이 확대됐다. 게다가 네덜란드, 스페인, 싱가포르 등 사실상 거의 영구적으로 초청받는 국가들이 나름 이익대표국이나 중립국 역할을 하는 국가이기도 하다.[2] 또한 G20이 정상회의로 격상된 시점부터 경제분야로 시작하여 정치, 사회, 문화, IT,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 각국의 이익을 조율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G20의 논의 결과는 세계무역기구, UN 총회, ITU(국제통신연맹), 심지어는 IOC 같은 외부 국제기구 활동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치는 중이다.
2. 배경
1974년 당시 세계 5대 경제대국(공산주의 국가였던 소련 제외)이었던 미국, 일본, 서독, 영국, 프랑스로 구성되어 최초로 G5 체제가 출범하고, 곧바로 1975년에 이탈리아, 1976년에 캐나다가 대열에 합류하여 G7 체제로 확고히 기반을 다졌으며, 냉전 종식 이후 러시아를 더한 G8 체제까지 이르게 되는데, 세계의 핵심 정치적, 경제적 사안들을 경제대국 8개국끼리 논의한다는 것에 대한 비판이 20세기 말엽부터 계속 진행되었고, 탈냉전 다극화 시대의 세계적 환경을 무시한 처사라는 목소리도 높았다.이 때문에 21세기 초 무렵부터 G8을 G12 혹은 G15 등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주로 중국과 인도, 브라질, 호주, 대한민국 등으로 대표되는 지역강국 및 신흥국가들이 이러한 의견을 내고 있었으나, G8 체제는 철옹성처럼 견고했으며, 이러한 확대 요구에는 귀를 닫고 있었다.
결국 시대가 흐르면서 G7이나 G8의 권한은 자연스럽게 약화되었다. 이들은 서방세계의 경제 대국(그것도 냉전 시절 기준) 모임이었고, 2000년대 들어 미국을 제외한 6개국이 가진 국력이나 패권은 중국에게 매우 밀리기 시작하고, 블라디미르 푸틴 집권 후 러시아 역시 세계 패권을 되찾아 서방세계에 끌려다니지 않겠다는 포부를 내세우며, G7 국가들이 러시아에 항의하거나 압력을 넣어도 '어쩌라고?' 라는 자세로 일관하기 시작. 세계 정세나 국제정세는 G7 멤버들이 모인다고 어쩔 수 있는 게 아니게 되었다.
그리고 2000년대 들어서는 미국뿐 아니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가 여러 경제 위기나 딜레마를 겪으며 세계적으로 가진 영향력이 전에 비해 약화되고, 중국과 러시아의 국력이 워낙 강한 것은 물론이고, 대한민국, 인도, 브라질이 이들의 국력을 위협할 정도가 되었으며, 국력과 경제력 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호주, 멕시코, 인도네시아 같은 국가들을 빼놓고 국제 정세를 제대로 논하는 건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러시아는 대놓고 G8에서 이탈했고, 이런 이유로 G20이 출범, 19개국+ 유럽연합이 모여서 국제정세를 논하는 장소가 되었다.
3. 위기가 만든 정상회의
G20은 아시아금융위기를 계기로 1999년부터 개최됐다. 그 해 12월 독일과 캐나다 재무장관이 주도해서 만들어진 것이 G20 재무장관회의다. 사실 첫 출범형태는 정상회의가 아니라 재무장관회의였기에 사실상 명목만 유지하던 수준이었다.이후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기인 2008년 말,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한 위기의식 때문에 G20에 각국 정상이 참여하면서 2008년 11월 14일 미국 워싱턴 D.C. 회의가 정상 간의 회의로 격상되어 열렸다. 본래는 임시회의로서 단명할 수도 있었으나, 2009년 피츠버그 회의에서 비G8 국가들의 강력한 주장으로 결국 상설화되었다. 그로 인해 현재 가장 비중있는 경제협의체로 안착했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고,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어느 정도 잠잠해지자 참여한 나라들간에 첨예한 의견대립이 보이며 결론을 내지 못하는 일이 생기기 시작했고, 2010년대 들어 미국과 중국을 필두로 한 환율조작 문제까지 생기면서 앞으로 G20의 위상이 어떻게 될지는 미지수다.
하지만 유럽발 경제위기가 점점 심각해져가기 시작하고 EU내부의 힘만으로는 도저히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G20의 역할이 재조명 받기 시작했다. 그뿐 아니라 미국과 중국이라는 핵심축의 존재와 신흥국들의 영향력 강화로 인해 현시점에서는 어느 정도 G8을 대체하는 국제기구로 자리를 잡았다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제5회 G20 회의를 2010년 11월 11일~12일동안 2일간 치렀다.
4. G20과 선진국의 차이
흔히 G20이 세계 주요 선진국들의 모임이라고 혼동하는 경우가 많지만 G20은 국력이나 지역 내 영향력이 높은 주요국 및 강국들의 그룹이며 선진국 그룹은 아니다.G20 회원국 중에서 국제통화기금으로부터 선진국으로 인정되는 국가는 D10에서 인도를 제외한 국가, 즉 G7에 대한민국, 호주를 더한 9개 국가이다. 해당 9개 국가와 유럽연합을 제외한 나머지 G20 국가들은 모두 개발도상국이며 전체적으로 따진다면 G20은 선진국보다 개발도상국이 더 많은 모임이 된다.
중국, 러시아, 인도는 국력상 강대국으로 분류되는 G20 국가이지만 경제상으로는 선진국 수준에 크게 떨어지는 개발도상국이다. 반면 덴마크, 룩셈부르크, 아이슬란드, 핀란드와 같은 유럽 국가와 카타르, 대만, 싱가포르와 같은 아시아 국가는 질적 경제에 있어서 중국, 러시아, 인도를 크게 앞서는 부국이지만 국력상으로는 강대국은 물론 지역강국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며 G20 회원국도 아니다. 보통 이러한 작은 체급의 선진국을 강소국으로 정의한다.
이렇듯 국제정세에서 선진국이 곧 G20의 조건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며 국제적으로 영향력을 가지는 주요국가가 G20 회원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5. 역대 회의 개최지
회차 | 국가 | 도시 | 장소 | 일자 | 비고 |
1 |
|
워싱턴 D.C. | 국립 건축 박물관 | 2008년 11월 14일 ~ 15일 | |
2 |
|
런던 | ExCeL | 2009년 4월 2일 | |
3 |
|
피츠버그 | 데이비드 L. 로렌스 컨벤션센터 | 2009년 9월 24일 ~ 25일 | |
4 |
|
토론토 | 메트로 토론토 컨벤션센터 | 2010년 6월 26일 ~ 27일 | |
5 |
|
서울 | 코엑스 | 2010년 11월 11일 ~ 12일 | [3] |
6 |
|
칸 | 팔레 데 페스티발 에 데 콩그레 | 2011년 11월 3일 ~ 4일 | |
7 |
|
로스 카보스 | 로스 카보스 컨벤션센터 | 2012년 6월 18일 ~ 19일 | |
8 |
|
상트페테르부르크 | 콘스탄틴 궁전 | 2013년 9월 5일 ~ 6일 | |
9 |
|
브리즈번 | 브리즈번 컨벤션 앤 엑시비션 센터 | 2014년 11월 15일 ~ 16일 | |
10 |
|
안탈리아 | 레그넘 카리아 호텔 컨벤션센터 | 2015년 11월 15일 ~ 16일 | |
11 |
|
항저우 | 항저우 국제전시장 | 2016년 9월 4일 ~ 5일 | |
12 |
|
함부르크 | 함부르크 메세 | 2017년 7월 7일 ~ 8일 | |
13 |
|
부에노스아이레스 | 키르치네르 문화 센터 | 2018년 11월 30일 ~ 12월 1일 | |
14 |
|
오사카 | 인텍스 오사카 | 2019년 6월 28일 ~ 29일 | |
15 |
|
리야드 | 킹 압둘아지즈 국제 컨퍼런스 센터 |
|
[4] |
16 |
|
로마 | 누볼라 컨벤션센터 | 2021년 10월 30일 ~ 31일 | |
17 |
|
발리 | 미정 | 2022년 | [5] |
18 |
|
델리 | 미정 | 2023년 | |
19 |
|
미정 | 미정 | 2024년 | |
20 | 미정 | 미정 | 2025년 | ||
21 | 미정 | 미정 | 2026년 | ||
22 | 미정 | 미정 | 2027년 |
5.1. 2020년 화상 회의
본래 2020년 11월에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G20 정상회담을 열 예정이었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전 세계에 비상이 걸리자, G20 간의 국제 공조를 위해 2020년 3월 26일[6] G20 정상 간의 긴급 화상 회의를 열기로 결정했다. G20 정상들이 화상으로 회담을 하는 것은 사상 처음이다. 그렇게 11월 예정된 정상회의 일정은 그대로 진행하고, 화상회의를 신규 추가하는 것으로 정리했으나 끝나지 않는 코로나 감염병 대유행으로 결국 2020년 11월 21일 화상회의로 진행됐다.6. 회의 진행 과정
정상회의를 위해 재무차관, 재무장관회의와 함께 이들 회의를 정상회의까지 이끄는 '셰르파 회의'를 여러 번 개최하여 정상회의를 준비한다. 의장국은 이러한 회의 과정에서 각종 이슈와 논의 방향을 결정하고, 각 회원국 간의 갈등을 중재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7. 참가국
순번 | 회원명 |
명목
GDP 단위: 10억 |
GDP(
PPP) 단위: 10억 |
1인당 명목 GDP |
1인당 PPP GDP |
IMF 분류 | 인구 | 비고 |
1 |
|
20,807 | 20,807 | 63,051 | 63,051 | 선진국 | 331,052,000 | P5, G7, OECD, DAC, APEC |
2 |
|
14,860 | 24,162 | 10,839 | 17,206 | 개발도상국 | 1,404,455,000 | P5, BRICS, APEC |
3 |
|
4,910 | 5,236 | 39,048 | 41,637 | 선진국 | 125,758,000 | G7, OECD, DAC, APEC |
4 |
|
3,780 | 4,454 | 45,466 | 53,571 | 선진국 | 82,977,900 | G7, OECD, DAC, EU |
5 |
|
2,638 | 2,978 | 39,229 | 44,288 | 선진국 | 67,255,000 | P5, G7, OECD, DAC |
6 |
|
2,592 | 8,681 | 1,877 | 6,284 | 개발도상국 | 1,369,557,000 | BRICS |
7 |
|
2,551 | 2,954 | 39,257 | 45,454 | 선진국 | 64,994,000 | P5, G7, OECD, DAC, EU |
8 |
|
1,848 | 2,415 | 30,657 | 40,066 | 선진국 | 60,233,000 | G7, OECD, DAC, EU |
9 |
|
1,600 | 1,808 | 42,080 | 47,569 | 선진국 | 37,814,000 | G7, OECD, DAC, APEC |
10 |
|
1,586 | 2,293 | 30,644 | 44,292 | 선진국 | 52,056,000 | OECD, DAC, MIKTA, APEC |
11 |
|
1,464 | 4,021 | 9,972 | 27,394 | 개발도상국 | 146,618,000 | P5, BRICS, APEC |
12 |
|
1,363 | 3,078 | 6,450 | 14,563 | 개발도상국 | 211,376,000 | BRICS |
13 |
|
1,334 | 1,307 | 51,885 | 50,845 | 선진국 | 25,975,000 | OECD, DAC, MIKTA, APEC |
14 |
|
1,088 | 3,328 | 4,464 | 12,345 | 개발도상국 | 269,865,000 | MIKTA, APEC, ASEAN |
15 |
|
1,040 | 2,424 | 8,069 | 18,804 | 개발도상국 | 127,092,000 | OECD, MIKTA, APEC |
16 |
|
680 | 1,608 | 19,587 | 46,273 | 개발도상국 | 34,764,000 | OPEC |
17 |
|
649 | 2,381 | 7,715 | 28,294 | 개발도상국 | 84,040,000 | OECD, MIKTA |
18 |
|
382 | 924 | 8,433 | 20,370 | 개발도상국 | 45,551,000 | |
19 |
|
282 | 710 | 4,736 | 11,911 | 개발도상국 | 59,720,000 | BRICS |
20 |
|
14,926 | 19,397 | - | - | - | 447,206,135 | 국가연합[7] |
IMF 2020년 10월 데이터베이스, 출처 화폐 단위: 미국 달러 |
- 비고에 사용된 용어
- BRICS: 이머징 마켓 용어로 시작되었다가 결국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뭉친 국가협의체.
- DAC: OECD 내 개발원조위원회 회원국.
- EU(유럽연합): 유럽연합 회원국.
- G7: 서방 선진 7개국.
- MIKTA: 2015년 발족한 멕시코,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튀르키예, 호주가 뭉친 국가협의체.[8]
-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 OPEC: 석유 수출국 기구 회원국.
- P5: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상국 5개국.
- APEC: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회원국
- ASEAN: 동남아시아연합 회원국
- 이들 44개국(유럽연합 회원국 전체를 포함해서)은 세계 총생산의 90%, 국제 교역의 80%, 세계 인구의 2 / 3 규모를 차지한다.
- 정상회의에는 19개국에서 각각 정상[9] 1명씩 참석한다.
8. 참가국 정상
기준 / 순서는 국가명의 가나다순[11]국가 | 정상 | 첫 참석 | |
남아프리카공화국 |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
|
2018년 | |
대한민국 |
윤석열 대통령
|
2022년(예정) | |
독일 |
올라프 숄츠 연방총리
|
2022년(예정) | |
러시아 |
블라디미르 푸틴 연방대통령
|
2008년 | |
멕시코 |
안드레스 오브라도르 대통령
|
2021년 |
|
미국 |
조 바이든 대통령
|
2021년 |
|
브라질 |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
|
2019년 | |
사우디아라비아 |
살만 알사우드 국왕 겸 총리
|
2015년 [12] |
|
아르헨티나 |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대통령
|
2021년 |
|
영국 |
보리스 존슨 총리
|
2021년 |
|
이탈리아 |
마리오 드라기 각료평의회 의장
|
2021년 |
|
인도 |
나렌드라 모디 총리
|
2014년 | |
인도네시아 |
조코 위도도 대통령
|
2014년 | |
일본 |
기시다 후미오 내각총리대신
|
2021년 |
|
중국 |
시진핑 국가주석
|
2013년 | |
캐나다 |
쥐스탱 트뤼도 총리
|
2015년 | |
튀르키예 |
레제프 에르도안 대통령
|
2008년 | |
프랑스 |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
2017년 | |
호주 |
앤서니 알바니스 총리
|
2022년(예정) | |
유럽연합 |
샤를 미셸 상임의장
|
2021년 |
|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
|
2021년 |
||
스페인 (영구초청) |
페드로 산체스 총리
|
2018년 |
9. 국제기구
9.1. 정회원
이들은 G20 정회원으로 등록한 곳들로, 의장국 대표나 사무총장급 인사가 직접 참석한다.- ASEAN
- NEPAD
- OECD
- 국제노동기구(ILO)
- 국제통화기금(IMF)
- 금융안정위원회(FSB)
- 세계무역기구(WTO)
- 세계은행(World Bank)
- 아프리카 연합(AU)
- 유엔(UN)
9.2. 초청회원
10. 역대 초청국
스페인은 정식 영구초청국, 네덜란드와 싱가포르는 영구초청국에 준하는 대우를 받는다. 때문에 G23으로 봐도 될 정도로 스페인, 네덜란드, 싱가포르까지 정식 회원국이랑 비슷하게 취급한다. 단, 이들 국가들은 G20 정회원이 아니므로 자국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네덜란드의 위치는 스페인에 비해 불안한데, 2010 G20 서울 정상회의 당시 한국 측이 동남아 지역에 초첨을 맞추려고 한 번 빠진 이후 2017년 함부르크 정상회의에 독일이 초청해서 복귀했다. 하지만 함부르크 정상회의 이후로 네덜란드는 단 한번도 최우선 초청국 명단에서 빠진 적 없다.
그러나 2020년 리야드 정상회의에서 또 제외되었다. 카슈끄지 암살 사건으로 인해 사우디와 네덜란드 간 관계가 크게 악화한 것을 반영하여 사우디 정부가 초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세네갈은 NEPAD의 의장국으로서 7회 연속 초청되었다가 2020년에 르완다에게 의장국 지위를 넘겨주면서 더 이상 나오기 힘들어졌다.
10.1. 제1회 워싱턴 D.C.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네덜란드 |
얀 페터르 발케넨더 | 총리 | |
스페인 [14] |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 | 총리 |
10.2. 제2회 런던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네덜란드 |
얀 페터르 발케넨더 | 총리 | |
스페인 |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 | 총리 |
10.3. 제3회 피츠버그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에티오피아 |
멜레스 제나위 | 총리 | NEPAD 의장국 |
네덜란드 |
얀 페터르 발케넨더 | 총리 | |
스페인 |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 | 총리 |
10.4. 제4회 토론토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
멜레스 제나위 | 총리 | NEPAD 의장국 |
|
빙구 와 무타리카 | 대통령 | 아프리카 연합 의장국 |
|
얀 페터르 발케넨더 | 총리 | |
|
굿럭 조나단 | 대통령 | |
|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 | 총리 | 영구초청국 |
|
응우옌떤중 | 총리 | ASEAN 의장국 |
10.5. 제5회 서울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
리셴룽 | 총리 | |
|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 | 총리 | 영구초청국 |
|
응우옌떤중 | 총리 | ASEAN 의장국 |
|
빙구 와 무타리카 | 대통령 | 아프리카 연합 의장국 |
10.6. 제6회 칸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
멜레스 제나위 | 총리 | |
|
리셴룽 | 총리 | |
|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사파테로 | 총리 | 영구초청국 |
|
셰이크 압둘라 빈 자이드 알 나흐얀 | 외무장관 |
10.7. 제7회 로스 카보스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
야이 보니 | 대통령 | 아프리카 연합 의장국 |
|
훈 센 | 총리 | ASEAN 의장국 |
|
세바스티안 피녜라 | 대통령 | |
|
후안 마누엘 산토스 | 대통령 | |
|
멜레스 제나위 | 총리 | |
|
마리아노 라호이 | 총리 | 영구초청국 |
10.8. 제8회 상트페테르부르크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
마리아노 라호이 | 총리 | 영구초청국 |
|
하사날 볼키아 | 군주 | ASEAN 의장국 |
|
하일레마리암 데살렌 | 총리 | 아프리카 연합 의장국 |
|
리셴룽 | 총리 | |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대통령 | |
|
마키 살 | 대통령 | NEPAD 의장국 |
|
율리 마우러 | 대통령 |
10.9. 제9회 브리즈번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
마리아노 라호이 | 총리 | 영구초청국 |
|
모하메드 울드 압델 아지즈 | 대통령 | 아프리카 연합 의장국 |
|
테인 세인 | 대통령 | ASEAN 의장국 |
|
존 키 | 총리 | |
|
마키 살 | 대통령 | NEPAD 의장국 |
|
리셴룽 | 총리 |
10.10. 제10회 안탈리아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
일함 알리예프 | 대통령 | |
|
나집 라작 | 총리 | ASEAN 의장국 |
|
마키 살 | 대통령 | NEPAD 의장국 |
|
리셴룽 | 총리 | |
|
마리아노 라호이 | 총리 | 영구초청국 |
|
로버트 무가베 | 대통령 | 아프리카 연합 의장국 |
10.11. 제11회 항저우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
이드리스 데비 이트노 | 대통령 | 아프리카 연합 의장국 |
|
압델 파타 엘 시시 | 대통령 | |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 대통령 | |
|
분냥 보라칫 | 주석 | ASEAN 의장국 |
|
마키 살 | 대통령 | NEPAD 의장국 |
|
리셴룽 | 총리 | |
|
마리아노 라호이 | 총리 | 영구초청국 |
|
쁘라윳 짠오차 | 총리 |
10.12. 제12회 함부르크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
알파 콩데 | 대통령 | 아프리카 연합 의장국 |
|
마르크 뤼터 | 총리 | |
|
에르나 솔베르그 | 총리 | |
|
마키 살 | 대통령 | NEPAD 의장국 |
|
리셴룽 | 총리 | |
|
율리 마우러 | 대통령 | |
|
마리아노 라호이 | 총리 | 영구초청국 |
|
응우옌쑤언푹 | 총리 | ASEAN 의장국 |
이 시기 반세계화, 반G20를 주장하는 시위대로 인하여 함부르크 전역이 혼란스러웠다.
10.13. 제13회 부에노스아이레스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
마르크 뤼터 | 총리 | |
|
폴 카가메 | 대통령 | 아프리카 연합 의장국 |
|
마키 살 | 대통령 | NEPAD 의장국 |
|
리셴룽 | 총리 | ASEAN 의장국 |
|
페드로 산체스 | 총리 | 영구초청국 |
|
앤드루 홀네스 | 총리 | |
|
세바스티안 피녜라 | 대통령 |
10.14. 제14회 오사카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
마르크 뤼터 | 총리 | |
|
응우옌쑤언푹 | 총리 | |
|
마키 살 | 대통령 | NEPAD 의장국 |
|
페드로 산체스 | 총리 | 영구초청국 |
|
리셴룽 | 총리 | |
|
압델 파타 엘 시시 | 대통령 | 아프리카 연합 의장국 |
|
세바스티안 피녜라 | 대통령 | APEC 의장국 |
|
쁘라윳 짠오차 | 총리 | ASEAN 의장국 |
10.15. 제15회 리야드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
폴 카가메 | 대통령 | NEPAD 의장국 |
|
응우옌쑤언푹 | 총리 | ASEAN 의장국 |
|
시모네타 소마루가 | 대통령 | |
|
페드로 산체스 | 총리 | 영구초청국 |
|
리셴룽 | 총리 | |
|
할리파 빈 자예드 알나얀 | 대통령 | 걸프 협력 회의 의장국 |
|
압둘라 2세 | 국왕 |
10.16. 제16회 로마 회의
국가 | 정상 | 직위 | 비고 |
|
페드로 산체스 | 총리 | 영구초청국 |
|
펠릭스 치세케디 | 대통령 | 아프리카 연합 의장국 |
|
하사날 볼키아 | 국왕 | ASEAN 의장국 |
|
마르크 뤼터 | 총리 | |
|
폴 카가메 | 대통령 | NEPAD 의장국 |
|
리셴룽 | 총리 |
11. 경제성장률
12. G20 회원국이 아닌 중견국
G20은 경제 순위를 세계 20위에 맞춰서 초청한 게 아니기 때문에 G20이 되지 못한 것에 불만을 가지는 중견국들이 일부 있다. 대표적으로 유럽의 스페인,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스위스,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등이 있다. 특히 경제규모가 큰 스페인과 네덜란드는 꽤나 G20에 가입 큰 의욕을 보였다.이 때문인지 스페인은 G20 국가가 아닌 나라 중에서 경제규모가 가장 큰 나라라서 매 정상회담마다 사실상 회원국 자격의 영구 초청국으로 참가하고 있다. 스페인과 네덜란드를 제외하고 GDP가 1조 달러 이상인 국가는 모두 G20에 들어가 있다. 네덜란드는 4회까지 초청국으로 참가했으나 2010년 서울 정상회의 때 한국 측이 베트남과 싱가포르를 초청하기 위해 네덜란드 초청을 거부한 이후 2017년 함부르크 정상회의 때 다시 초대받기 전까지 초청을 못 받았다. 스위스는 인구가 1,000만 미만의 소국이기 때문에 초청국으로만 참가하고 있다.
비셰그라드 그룹 국가들은 중국, 러시아, 튀르키예, 인도네시아와의 국민감정 때문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폴란드만 초청국으로 들어가지만 이 네 국가들과 관계가 좋은 편은 아닌지라 정식 가입을 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최근 들어서 중국, 러시아를 제외하곤 많이 호전되어서 가입을 막는 국가들은 이 둘밖에 없다.
결과적으로 본다면 G20은 지역 분배 및 지역적 영향력도 감안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예를 들어 G20에 포함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나 아르헨티나의 경우 세계 30위에 가까운 경제규모로 오히려 위에 나열된 유럽 국가들보다 순위가 떨어지지만, 지역적으로 보면 각각 아프리카와 남미에서 지역 맹주이거나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나라라는 점이 감안되었을 것이다. 덧붙여 영토 크기나 자원 면에서 성장 잠재력도 더욱 크다.[16]
사실 이런 점에서 보면 동아시아에서 한중일 3국이 동시에 G20의 멤버로 들어가 있는 점은 특이한 케이스라고 볼 수도 있겠으나, 생각해보면 이상할 것도 없는 게 북미는 몇몇 소국들 제외하고 북미 대륙 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는 미국, 캐나다, 멕시코 3개국이 다 참여하고 있는 것처럼 기본적으로 지역 배분은 하되 역량이 큰 나라라면 거기에 크게 구애받아 제외되지는 않는다는 느낌으로 정리하면 적당할 것이다. 유럽은 잘 사는 나라가 많지만 규모로는 작은 나라들이 많으니까 아무래도 다수가 배제될 수밖에 없다. 스페인은 계속 초청국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을 보면 G20 정식멤버에 포함되지 못한 것에 대해 상당히 아쉬워하고 있는 것 같긴 하다.
그 외에도 지역강국이지만 G20이 아닌 것에 공공연한 불만을 가지는 나라도 많다. 예를들어 사우디아라비아와의 나쁜 관계로 참가하지 못하고 있는 이스라엘,[17] 오랜 경제제재로 국력이 쇠퇴했다가 최근에야 재도약을 바라보고 있는 이란, G20 국가 중 하나인 인도네시아와 사이가 매우 좋지 않은 말레이시아, G20 국가들에 비해 경제력이 약간 낮은데다 IS의 테러 활동으로 인해 정세도 매우 불안한 데 이어 G20 국가 중 하나인 인도와 영토 분쟁과 종교 갈등 등으로 사이가 매우 좋지 않은 파키스탄, G20 국가들에 비해 경제력이 약간 부족하고 호스니 무바라크의 퇴진 이후 정세가 불안한 이집트, 아프리카에서 가장 GDP가 높으나 내전으로 정세가 불안한 나이지리아 등이 있다. 대만은 남아공 보다 경제규모가 크지만 중국이 회의를 보이콧하며 강력 반발할 게 뻔하기에 초청국으로 참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13. 위기론
2016년부터 G20 회원국 간에 불만사항이 쌓이고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분위기로 인해 점차 원론적인 이야기만 하고 그 이야기조차 각국 내부 사정이라며 지키지 않는 이중적 행태가 지속되고 있다.보호무역조치를 하지 말고 자유무역 및 세계경제통합을 하자고 이야기하면서 영국은 브렉시트를 선택하고, 미국은 보호무역주의자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고, 일본은 더더욱 우익화 되고, 중국은 시진핑의 권력욕과 주변국[18]에 대한 무역/관광 압박을 하고, 러시아는 중국처럼 주변국[19] 압박하고, 튀르키예는 에르도안의 권력욕과 주변국에 대한 압박이 그 예.
G7의 경우 구성 국가들이 모두 인권 선진국이자 자유민주주의 국가이기에 각자의 이해관계와 별개로 경제 현안이나 국제정세에 있어서는 이견보다 공감이 더 많지만 G20은 독재국가 및 왕정 국가들이 참여하고 있어서 반목이 지속되는 현상도 보인다.
2022년 G20 국가 중 하나인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고, 이로 인해서 G20에서 러시아 대신 폴란드가 들어가야 한다는 이야기가 아주 약간씩이지만 나오고 있다. # 다만 '확정'같은 건 당연히 절대 아니고 '그냥 그런 이야기가 있다' 정도의 수준에 머무른 것으로 알려져있다. 대신 러시아 퇴출은 조금씩 흘리고 있는 상황이다. #
2022년 3월 25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직접 " 러시아를 G20에서 축출하고 우크라이나를 초청국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여 엄청난 파문이 일었다. 기사. 부차 학살 이후 2022년 G20 정상회담 의장국 인도네시아도 러시아를 두고 고심에 빠졌다. # 먼저 열린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도중 미국 등 서방의 일부 장관들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항의 표시로 퇴장하였다. #
14. 같이보기
15.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 {{{#!folding ⠀[ 역사 ]⠀ |
<colbgcolor=#0047a0><colcolor=#fff>일반 | 한국의 역사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
기타 | 통일 한국 · 간도 · 역사왜곡 |
- ⠀[ 지리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15%>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 한반도 · 경기 · 호서 · 호남 · 영남 · 관동 (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 산/고개 · 섬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 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동남권 · 대경권 · 생활권 행정구역 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 특별시 · 광역시 · 도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 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 생물자원 · 포유류 · 조류 · 파충류 · 담수어류 · 양서류 · 견종 과학기지 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 독도 · NLL · 백두산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 정치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15%>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상징 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 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 정부조직 · 행정부 ( 대통령 · 국무총리 · 국가행정조직) · 입법부 ( 국회의장 · 국회의원) · 사법부 ( 대법원 · 대법원장) · 헌법재판소 ( 헌법재판소장) 제도 헌법 · 10차 개헌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 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기타 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 경제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15%>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산업 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 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 무역 지표 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 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 비자 · 여권 · 애국 마케팅 · 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 사회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15%>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 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 한국의 교육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종교 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교 사건 · 사고 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 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현황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감정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 ⠀[ 외교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15%>일반
- ⠀[ 문화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15%>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 설날 · 추석)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규제와 탄압 관광 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 문화재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언어 · 문자 한국어 (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 정체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 건축 · 한옥 · 궁궐 · 성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의복 · 무기 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 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 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국궁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 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 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 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계의 문제 · 게임규제 음악 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영화 · 연극 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 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 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기원설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5%> 역사 ||<(> 역사 전반( 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5%> 경제 ||<(> 경제 전반( 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위안( 홍콩 달러 · 마카오 파타카)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 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중국 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5%>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 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 문물국 · 영화( 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 목록 · 문제점) · 방송( 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 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 [ 기타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5%> 화교 ||<(>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감정 중뽕 · 친중( 대한민국) · 반중( 대한민국) · 혐중( 대한민국)
||<tablebgcolor=#000><tablebordercolor=#000><tablewidth=10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cf142b><colcolor=#fff> 상징 | 유니언 잭( 성 조지의 십자가) · 국호 · God Save the Queen/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 |||
정치 전반 | 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정당 · 영국 국왕 · 프린스 오브 웨일스 · 웨스트민스터 · 버킹엄 궁전 · 웨스트민스터 궁전 · 윈저 성ㆍ 발모랄 성ㆍ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 · 의전서열 | ||||
입법 | 의회( 귀족원 ·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
행정 | 총리 · 정부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
치안 및 사법 | 경찰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립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 ||||
정당 | 보수당( 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 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 ||||
사상 | 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 ||||
사건 및 의제 | 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 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 ||||
외교 | 외교 전반(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5개의 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브렉시트( 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 · 친영 · 반영 · 영빠 | ||||
군사 전반 |
영국군( |
||||
장비 |
군복( |
||||
부대 |
육군(
연대 ·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cf142b><colcolor=#fff> 역사 전반 | 역사 전반( 틀) · 이교도 대군세 · 북해 제국 · 노르만 정복 · 백년전쟁 · 장미 전쟁 · 칼레 해전 · 청교도 혁명 · 명예혁명 · 산업 혁명 · 해가 지지 않는 나라 · 북아일랜드 분쟁 | |
시대 | 로만 브리튼 · 로만 브리튼 이후 · 무정부시대 · 대항해시대 · 조지 시대 · 빅토리아 시대 | ||||
국가 | 칠왕국 · 노섬브리아 · 켄트 왕국 · 동앵글리아 · 에식스 · 웨식스 · 서식스 · 머시아 · 잉글랜드 왕국 · 스코틀랜드 왕국 · 웨일스 공국 · 아일랜드 왕국 · 잉글랜드 연방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 대영제국 | ||||
왕조 | 웨식스 왕조 · 노르만 왕조 · 플랜태저넷 왕조 · 요크 왕조 · 랭커스터 왕조 · 튜더 왕조 · 스튜어트 왕조 · 하노버 왕조 ·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 윈저 왕조 | ||||
세력 | 젠트리 · 요먼 · 원두당 · 청교도 · 토리당 · 휘그당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사회 · 경제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cf142b><colcolor=#fff> 경제 | 경제 전반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영국병 · 한영 FTA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로얄 워런트) | |
지리 | 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 섬 · 구성국 · 잉글랜드( 하위지역) · 스코틀랜드 · 웨일스 · 북아일랜드 · 하이랜드 · 카운티 · 왕실령 | ||||
사회 | 사회 전반 · 귀족( 목록)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인구 · 재영 한인사회 · 재한 영국사회 | ||||
민족 |
영국인(
러시아계 ·
아일랜드계 ·
인도계 ·
파키스탄계 ·
폴란드계 ·
프랑스계) ·
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
게일인) · |
||||
교육 | 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틀) · 대학 서열화( 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 ||||
교통 | 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문화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cf142b><colcolor=#fff>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 영국의 문화재 · 영국/종교( 성공회 · 장로회) · 영국/관광 | |
예술 | 브릿팝 · 브리티시 인베이전 · 영국 드라마 · 영국 영화 · 웨스트엔드 · 아서 왕 전설 · 베오울프 · 셜로키언 · 톨키니스트 · 후비안 · BAFTA · 백파이프 · 킬트 | ||||
언어 | 영어 · 영국식 영어 · 용인발음 · 스코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웨일스어 · 코크니 · 에스추리 · 콘월어 | ||||
음식 | 요리( 종류) · 로스트 디너 · 쇼트브레드 비스킷 · 티타임 · 홍차 · 펍 · 아침식사 · 피시 앤드 칩스 · 맥주 · 위스키 · 사과주 | ||||
스포츠 | 축구 · 프리미어 리그 · FA( 대표팀) · FA컵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 SFA( 대표팀) · 컴리 프리미어 · FAW( 대표팀) · NIFL · IFA( 대표팀) · 럭비( RFU · SRU · WRU · IRFU) · British and Irish Lions ·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크리켓 · 윔블던 | ||||
서브컬처 | 모드족 · 하드 모드 · 로커스 · 카페 레이서 · 펑크 문화 · 차브족 · 훌리건 · 영국인 캐릭터 | ||||
기타 | 왕립학회 · 대영박물관 · 대영도서관 · 영국 국립미술관 · BBC · 가이 포크스 데이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기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cf142b><colcolor=#fff> 기타 | 공휴일 · 그리니치 천문대( 자오선) · 야드파운드법 · 영국계 미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생활비 절약 노하우 · 혐성국 | }}}}}}}}}}}} |
||<tablebgcolor=#ff9933><tablebordercolor=#128807><tablewidth=100%>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128807>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
시대 | 인더스 문명 · 갠지스 문명 · 베다시대 · 십육대국 · 마가다 · 난다 왕조 · 마우리아 왕조 · 쿠샨 왕조 · 굽타 왕조 · 팔라 왕조 · 델리 술탄국 · 무굴 제국 · 인도 제국 · 인도 자치령 | |
정치 | 정치 전반 · 인도 총리 · 인도/행정구역 | |
외교 | 외교 전반 · 영연방 · 상하이 협력기구 · Quad · BRICS · G20 · G4 · IPEF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 |
경제 | 경제 전반 · 인도 루피 | |
사회 | 사회 전반 · 카스트 제도 | |
국방 | 인도군 · 인도 해군 | |
문화 | 문화 전반 · 인도 신화 · 힌두교 · 요리 · 남인도 요리 · 커리 · 비르야니 · 인도/스포츠 · 인도 영화 · 인도 드라마 · 인도/관광 · 인도 축구 국가대표팀 · 힌디어 · 인도/언어 · 인도 공과대학교 | |
인물 | 아소카 대왕 · 찬드라굽타 1세 · 샤 자한 · 바부르 · 악바르 1세 · 아우랑제브 · 모한다스 카람찬드 간디 · 자와할랄 네루 · 나렌드라 모디 | |
지리 | 데칸 고원 · 인도 반도 · 히말라야 산맥 | |
기타 | 인도인 · 인도계 미국인 · 인도 유대인 · 인도계 영국인 · 인도계 프랑스인 · 인도계 러시아인 ·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 인도계 싱가포르인 · 인도계 인도네시아인 · 인도계 캐나다인 · 드라비다인 · 인도/인구 · 인도인 캐릭터 |
||<tablebgcolor=#002395><tablebordercolor=#002395><tablewidth=100%> ||
||<tablebgcolor=#009246><tablebordercolor=#009246><tablewidth=100%> ||
||<bgcolor=#DA291C><tablebordercolor=#DA291C><tablewidth=100%> ||
||<bgcolor=#006847><tablebordercolor=#006847><tablewidth=100%>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CE282B>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올멕 · 아즈텍 · 마야 문명 · 테노치티틀란 · 누에바에스파냐 · 멕시코 제국( 제1제국 · 제2제국) · 임시정부 · 제1연방공화국 · 중앙집권공화국 · 제2연방공화국 · 멕시코 혁명 | |
정치 | 정치 전반 · 멕시코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멕시코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G20 · APEC | |
사회 | 마약 카르텔/멕시코 | |
경제 | 경제 전반 · 페소 · USMCA · MIKTA · 넥스트 일레븐 | |
국방 | 멕시코군 | |
문화 | 요리 · 영화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 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 · 망자의 날 · 스페인어 · 나와틀어 | |
인물 | 판초 비야 · 기예르모 델 토로 · 카를로스 슬림 · 프리다 칼로 · 디에고 리베라 | |
지리 | 멕시코 시티 · 치와와 · 소노라 · 바하 칼리포르니아 | |
민족 | 멕시코인 · 스페인계 멕시코인 · 독일계 멕시코인 · 한국계 멕시코인 · 아랍계 멕시코인 · 미국계 멕시코인 · 마야인 |
||<bgcolor=#000><tablebordercolor=#de3831><tablewidth=100%>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002395>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줄루 왕국 · 오라녜 자유국 · 트란스발 공화국 · 오렌지 강 식민지 · 남아프리카 연방 · 아파르트헤이트 | |
정치 | 정치 전반 · 대통령 · 헌법 | |
외교 | 외교 전반 · 남아프리카 공화국 여권 · 아프리카 연합 · 영연방 · G20 · BRICS | |
경제 | 경제 전반 ·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 |
국방 |
남아프리카 공화국군 ·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남아프리카 공화국/축구 ·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 아프리칸스어 ·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어 | |
인물 | 샤카 · 넬슨 만델라 | |
지리 | 희망봉 · 로벤 섬 · 드라켄즈버그 산맥 | |
기타 | 보어인 · 줄루족 · 케이프 컬러드 · 케이프 말레이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2D84 0%, #003399 20%, #003399 80%, #012D8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color: #FECE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399> 문서 | <colcolor=#000,#ffcc00> GDRP · PIGS · CAP · 유럽의회( 선거) · 유럽언어기준 · 제4제국 · 여권 · 유럽군 · EFSF · 유럽중앙은행 · 유로 · 친유럽주의 · 유럽회의주의 · 지리적 표시제 · G20 · 저작권법( 논란) · 유럽의약품청 · 유럽 원자력 공동체 · 유럽연합-러시아 관계 · 유럽연합-우크라이나 관계 · 유럽연합-벨라루스 관계 · 유럽연합-영국 관계 |
조약 및 협정 | 솅겐조약 · 로마 조약 · 마스트리흐트 조약 · 한EU FTA | |
전신 단체들 |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 유럽 경제 공동체 · 유럽 공동체 · 루르 국제 통치령 | |
사건사고 | 유로화 사태 · 그리스의 탈퇴 문제 · 그리스 경제위기 · 브렉시트 · 폴란드의 탈퇴 문제 | |
파생 문서 | 문제점 · 확장 · 가상 | |
틀 | 회원국 일람 · 역대 상임의장 · 역대 집행위원장 · 역대 유럽중앙은행 총재 · 의회 원내 구성 | }}}}}}}}}}}} |
[1]
하지만 후술하듯이 단순
국내총생산 순위로 20위까지의 모임이 아니고, 절대적 국력과 지역 배분을 고려하여 선발되었기에 실제 GDP 순위와는 차이가 좀 있다.
[2]
다만 정작 중립국하면 생각나는
스위스는 초청된 적이 2번뿐이다. 스위스 역시 GDP순위로 20위 정도를 유지하는 경제대국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특이한 점.
[3]
해당 회의로 인하여 회의기간동안
서울 지하철 2호선 열차가
삼성역을 무정차 통과하였고 일대 교통이 전면 통제되었으며,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일정이 일주일 가량 연기되었던 전례가 있다.
[4]
코로나19로 인해 11월 21일에 화상 회의로 대체됨
[5]
인도네시아가 2023년에 아세안 의장국과 G20 의장국을 모두 맡기로 돼 있었으나 인도와 논의해 순서를 바꿔서 G20 의장국을 2022년에 맡기로 바꿨다.
[6]
한국 시간
[7]
G20에서 유일하게 국가연합(confederation)인 회원.
[8]
G20 가입국 중에 G7도 BRICS도 아닌 국가들이 우리도 뭐 하나 만들어보자 해서 만들었다.
[9]
외교 관행상 대통령제 국가나 대통령제에 가까운
이원집정부제 국가는 대통령이 회의에 참석한다. 반면 내각제 또는 내각제에 가까운 이원집정부제 국가는 총리가 회의에 참석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전제군주제 국가라 국왕이 직접 참석한다. 물론 대략적인 관행이 그렇다는 것이고, 정상이 병에 걸리는 등의 문제가 생기면 다른 사람을 대신 참석시키기도 한다. 2014년 회의에는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하필 정상회의 기간에 병이 나서 재무장관이 대신 참석했고, 사우디 국왕(별세)은 고령이라 큰동생인 왕세제(현 국왕)가 대신 참석하기도 했었다.
[10]
사실 유럽연합이 하나의 국가라면 유럽이사회 의장이 사실상 국가원수(대통령)에 가깝고 유럽위원회 의장이 정부수반(총리)에 가깝다. 하지만 그게 확실하게 규정돼 있는 것도 아닌 데다 국가연합이라는 특수성 때문인지 G20 정상회의에는 두 사람이 함께 참석하고 있다.
[11]
순서는 가입 순서, 의전서열 또는 국력 규모와는 관련이 없다. G20 홈페이지에서는 회원국을
알파벳순으로 나열하는데, 알파벳순으로 가장 먼저 오는 국가는
아르헨티나이며
국가 연합인
유럽연합이 마지막이다. 그 외 회원국은 아니지만 영구초청국 지위를 가지고 있어 회원국과 다를 것 없이 매년 정상회의에 참여하는
스페인도 포함되어 있다.
[12]
국왕이 워낙 고령이라,
2018년부터는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가 대신 참석하고 있다.
[13]
2020 G20 리야드 정상회의 때 사우디아라비아가 처음 초청했다. 사실상
석유 논의를 G20에서 할 생각이다.
[14]
영구 초청국
[15]
아프리카 연합 의장국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였으므로 따로 초대되지 않음
[16]
이집트와 리비아, 나이지리아 역시 각각 북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의 맹주 국가지만 이집트의 경우 2010년대 초반부터 지속된 정치적 혼란과 이로 인해 발생한 불안정한 경제 상태 덕분이라고 봐야한다. 2010년대 중반까지 남아공과 비슷비슷한 경제 규모를 유지했으나 이후 IMF 사태 때문에 GDP가 무려 800억 달러 가량 주저 앉으며 완전히 나가 떨어졌다. 리비아도 오랜 내전 때문에 공든 탑이 무너졌으며, 나이지리아는 솔직히 말해서 2억에 달하는 거대한 인구수 덕분에 경제 규모가 큰 것이지 국민 소득이나 여러 점을 따졌을 때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아프리카 후진국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17]
중동에서 영향력이 크고 꽤 발전한 나라긴 해도 사실 경제규모도 인구도 너무 적다. 게다가 이스라엘을 G20 회의에 초청했다가는
사우디아라비아를 위시로
중동국가들이 단체로 깽판을 칠게 너무 뻔하다보니 이스라엘은 초청대상도 못 된다.
[18]
특히
대한민국,
쿼드,
ASEAN 국가들.
[19]
특히
영국 및
EU 국가들, 그 외 다른 유럽 국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