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0:29:07

빅토리아 시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F7E, #1353b4 20%, #1353b4 80%, #001F7E)"{{{#!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353b4><tablebgcolor=#1353b4> 파일:Royal_Cypher_of_Queen_Victoria.svg-1.png 빅토리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1353b4,#1353b4>역임 지위 <colbgcolor=#fff,#1f2023> 영국 여왕( 인도 제국 여제 · 캐나다 여왕 · 호주 여왕 · 뉴질랜드 여왕) · 영국 왕실 수장
생애 생애
재위 시기 빅토리아 시대( 연표)
가족 관계 가족관계
아버지 에드워드 어거스터스 · 어머니 마리 루이제 빅토리아 · 배우자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자 앨버트 · 장녀 빅토리아 애들레이드 메리 루이자 · 장남 에드워드 7세 · 차녀 앨리스 모드 메리 · 차남 알프레드 어니스트 앨버트 · 3녀 헬레나 어거스타 빅토리아 · 4녀 루이즈 캐롤라인 앨버타 · 3남 아서 윌리엄 패트릭 앨버트 · 4남 레오폴드 조지 덩컨 앨버트 · 5녀 베아트리스 메리 빅토리아 페오도라
기타 대영제국 · 하노버 왕조 · 빅토리아 섬 · 빅토리아주 · 퀸즐랜드 · 빅토리아 폭포 · 빅토리아 호 · 빅토리아 수련 · 빅토리아 공원 · 런던 빅토리아 역 · 빅토리아 선 · 빅토리아 & 압둘 · 빅토리아(드라마) · 코이누르 · 빅토리아 · 빅토리아시티
}}}}}}}}} ||

빅토리아 시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파일:825px-Map_of_Northern_Ireland_within_the_United_Kingdom.svg._2.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위치.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위치.svg
웨일스
파일:잉글랜드 위치.svg
잉글랜드
고대 켈트족
히베르니아
, 게일족,
칼레도니아
, 픽트족,
, 브리튼족,
로만 브리튼
, 이후,
귀네드
왕국
더베드
왕국
앵글족 / 색슨족 / 주트족
앵글로색슨 7왕국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8b0000; font-size: 0.88em"
데인로 웨식스
중세 알라퍼
왕국
데허이
바르스
잉글랜드 왕국
웨식스 왕조
북해 제국
노르만 왕조
앙주 왕조
플랜태저넷 왕조
아일랜드 영지
스코틀랜드
왕국
웨일스 공국
잉글랜드 왕국
랭커스터 왕조
요크 왕조 (장미 전쟁)
아일랜드 왕국



아일랜드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

현대
아일랜드 공화국
아일랜드 자유국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윈저 왕조
아일랜드
}}}}}}}}}}}}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의 시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8102e> 1558 ~ 1603 엘리자베스 시대
Elizabethan era
1603 ~ 1625 제임스 시대
Jacobean era
1625 ~ 1649 찰스 시대
Caroline era
1649 ~ 1660 공위시대
The interregnum
1660 ~ 1688 왕정복고
The Restoration
1660 ~ 1685 찰스 시대
Carolean era
1714 ~ 1830 조지 시대
Georgian era
1837 ~ 1901 빅토리아 시대
Victorian era
1901 ~ 1910 에드워드 시대
Edwardian era
1910 ~ 1945 세계 대전 및 전후재건기
World war - Post war Britain
1952 ~ 2022 엘리자베스 2세 시대
Second Elizabethan era
2022 ~ 찰스 3세 시대
new Carolean age
}}}}}}}}} ||

빅토리아 시대
Victorian Era
파일:2053f64f94542f916b5c2bed9f19df63.jpg
1901년의 런던 시가지
1837 ~ 1901
군주 빅토리아 여왕

1. 개요2. 시대
2.1. 빅토리아 시대 이전2.2. 연표2.3. 동시대 국가들의 수장들
2.3.1. 아메리카 대륙2.3.2. 유럽2.3.3. 아프리카2.3.4. 아시아 대륙
2.3.4.1. 서아시아2.3.4.2. 남아시아2.3.4.3. 동남아시아2.3.4.4. 동아시아
2.3.5. 오세아니아
3. 영국 사회
3.1. 사회계급(Social Class)
3.1.1. 상류층(Upper Class)3.1.2. 중산층(Middle Class)3.1.3. 노동계급(Working Class)3.1.4. 빈민층(The Poor)
3.2. 정치 구조: 입헌군주제
3.2.1. 여왕: 국가원수3.2.2. 영국 총리: 정부수반3.2.3. 의회: 양원제
3.3. 사회상
3.3.1. 주요 키워드
3.3.1.1. 서구권3.3.1.2. 서구권 외
3.3.2. 산업의 발전3.3.3. 현대적인 범죄조직의 등장3.3.4. 종교3.3.5. 대중문화의 태동3.3.6. 사회복지3.3.7. 교육3.3.8. 제국주의
3.3.8.1. 미국의 식민지화(1607 ~ 1783)3.3.8.2. 인도 식민지화(1757 ~ 1947)
3.3.8.2.1. 경작
3.3.8.3. 캐나다의 식민지화(1763 ~ 1982)3.3.8.4. 호주의 식민지화(1787 ~ 1986)3.3.8.5. 말레이시아 식민지화(1826 ~ 1957)3.3.8.6. 홍콩 식민지화(1842 ~ 1997)3.3.8.7. 아프가니스탄 보호국화(1880 ~ 1919)3.3.8.8. 이집트 보호국화(1882 ~ 1922, 1956)
3.3.9. 식민지 플랜테이션
4. 문화
4.1. 상류층 문화4.2. 대중문화4.3. 교통·통신수단4.4. 의복
5. 빅토리아 시대의 유명인 목록
5.1. 문학5.2. 과학·공학5.3. 철학5.4. 예술5.5. 기타
6.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한 창작물(작품내 연도)
6.1. 소설6.2. 동화6.3. 그래픽 노블6.4. 영화6.5. 드라마6.6. 연극/오페라/뮤지컬6.7. 만화6.8. 애니메이션6.9. 게임

1. 개요

1901년, 빅토리아 시대 말 잉글랜드 북부의 노동자들을 촬영한 동영상

Victorian Era (1837 ~ 1901)
We are not interested in the possibilities of defeat; they do not exist.
우리는 존재하지도 않는 패배 따위엔 관심이 없습니다.[1]
빅토리아 여왕, 제2차 보어전쟁에 대해, 1899년
Great Britain no time to lose
그레이트브리튼은 잃어버리는 시간이 없다.(직역)
대영제국은 질 날이 없습니다.(의역)
당시 대영제국의 위상을 짐작케하는 빅토리아 여왕의 언급, 1883년

대영제국 시기, 빅토리아 여왕(1819 ~ 1901)이 여왕으로 즉위한 1837년부터 사망한 1901년까지 64년간의 치세를 빅토리아 시대라 한다. 동시기 한국은 세도 정치기 ~ 구한말, 미국은 서부개척시대였다.

영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등 다방면에서 변혁이 있었다. 고전적이면서 보수적인 도덕주의, 엄숙주의와 함께 허영과 위선도 함께 존재하는 시대이자, 합리주의와 발명, 탐구를 지향하던 근대 과학자와 발명가들과 전근대의 유산인 갖가지 미신과 전설, 도시괴담을 믿던 대중들이 뒤엉켜 공존하던 시대로 일컬어진다.

대항해시대를 거치며 타 유럽국가들과의 경쟁을 통해 신대륙의 식민지들을 획득하는 데 성공한 영국은 대영제국의 기반을 다지게 되고, 이후 산업혁명이 전개되며 한층 국력이 신장되면서 대영제국 제국주의가 절정에 다다른다. 빅토리아 시대는 이러한 배경 하 아시아, 아프리카 등을 식민지로 삼으면서 유럽문명, 과학문명에 대한 낙관적인 시각이 사회 전체에 펴져있던 시기( 벨 에포크)이면서, 동시에 거대 자본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노동자들에게 부여되었던 비인간적이며 과도한 노동에 반발해 차티스트 운동 등의 노동운동 또한 시작되었던 시기이기도 하다.

영화, 애니, 만화,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묘사되는 근대 유럽의 모습은 바로 이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 혹은 벨 에포크 시대의 프랑스를 따온 경우가 많다. 그런데 실제 빅토리아 시대의 고증이나 역사적인 사건에 관심을 가지기보다는 근대 유럽의 의복이나 사회상, 문화 정도만 차용하면서 작중 시기를 빅토리아 시대라고 설정하는 정도에 그치는게 다수.[2] 즉 창작물에서 빅토리아 풍은 근대 유럽 풍과 거의 동일한 의미로 쓰인다.[3] 영국을 모티브로 할 경우 귀족, 집사, 메이드처럼 다소 딱딱하고 고풍적인 분위기인 작품이 많은 반면, 프랑스를 모티브로 했다면 보다 낭만적인 분위기인 작품을 찾아볼 수 있다. 이외에도 군사적 분위기를 활용하고자 독일 제국을, 궁정 문화를 극대화하고자 오스트리아 제국이나 러시아 제국 등 황제국을 배경으로 삼기도 한다. 아직 근대 과학 문명이 과도기에 있었던 시기이기 때문에 판타지와 접목이 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빅토리아 시대를 모티브로 한 작품들 중 마법과 기계장비를 동시에 사용하는 세계관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강대국 사이의 전쟁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던 시대인 만큼, 역사적인 사건이 중심 소재가 되는 작품은 국가 간의 전쟁보다는 국가 내부의 민주주의, 민족주의, 사회주의 운동이나 이와 관련된 당대 민중의 생활상을 그리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국가 사이의 전쟁을 소재로 삼으려면 당대에 절정에 달했던 식민주의를 묘사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주인공 측으로 주로 나오는 유럽이 가해자가 되므로 단순히 모티브만 따오고 중심 소재는 역사적 사건과 무관한 별도의 장르( 추리물, 로맨스 등)가 많은 이유도 이와 연관이 있을 것이다.

또한 스팀펑크 장르도 산업혁명의 아이콘이 영국인 영향으로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영국 또는 서유럽을 모티브로 삼은 경우가 많다.

서양사에서 벨 에포크와 함께 근대를 상징하는 시대로, 영미권에서는 보통 근대 양식을 빅토리안(victorian)이라고 칭한다. 이렇게 서양에서는 근대의 상징으로 각인되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시대이기에 당시의 생활상을 소개하는 자료들도 여럿 있는데, 여기에 관심있다면 좋은 자료이다.
  • English Heritage(한글자막) - 영국의 전통문화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채널. 빅토리아 시대의 요리들을 소개하는 영상시리즈가 있다.

2. 시대

2.1. 빅토리아 시대 이전

2.2. 연표

빅토리아 시대/연표 참조.

2.3. 동시대 국가들의 수장들

대영제국의 구성원은 파일:영국 국장(1837-1952).svg 1837년~1952년 당시 영국 왕실 문장 사용.

2.3.1. 아메리카 대륙

=====# 미국 #=====
=====# 캐나다파일:영국 국장(1837-1952).svg #=====
  • 캐나다 국왕
  • 어퍼캐나다 식민지, 로어캐나다 식민지(1795 ~ 1841)
    • 총독 제2대 고스퍼드 백작 아치볼드 애치슨(1835 ~ 1837)
    • 총독 제1대 시턴 남작 존 콜보른(1837 ~ 1838)
    • 총독 제1대 더럼 백작 존 램턴(1838 ~ 1839)
    • 총독 제1대 시드넘 남작 찰스 풀렛 톰슨(1839 ~ 1841)
  • 캐나다 식민지(1841 ~ 1867)
    • 초대 총독 찰스 배곳 경(1842 ~ 1843)
    • 제2대 총독 제1대 멧칼프 남작 찰스 멧칼프(1843 ~ 1845)
    • 제3대 총독 제2대 캐스카트 백작 찰스 캐스카트(1846 ~ 1847)
    • 제4대 총독 제8대 엘긴 백작 제임스 브루스(1847 ~ 1854)
    • 제5대 총독 에드먼드 워커 헤드 경(1854 ~ 1861)
    • 제6대 총독 제4대 멍크 자작 찰스 멍크(1861 ~ 1867)
  • 캐나다 자치령

=====# 멕시코 #=====
  • 멕시코 중앙집권공화국
    • 제4대 대통령 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1837 ~ 1839)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39 ~ 1839)
    • 제11대 대통령 니콜라스 브라보(1839 ~ 1839)
    • 제4대 대통령 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1839 ~ 1841)
    • 제12대 대통령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에체베리아(1841 ~ 1841)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41 ~ 1842)
    • 제11대 대통령 니콜라스 브라보(1842 ~ 1842)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43 ~ 1843)
    • 제13대 대통령 발렌틴 카날리소(1843 ~ 1844)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44 ~ 1844)
    • 제14대 대통령 호세 호아킨 데에레라(1844 ~ 1844)
    • 제13대 대통령 발렌틴 카날리소(1844 ~ 1844)
    • 제14대 대통령 호세 호아킨 데에레라(1844 ~ 1845)
    • 제15대 대통령 마리아노 파레데스(1845 ~ 1846)
    • 제11대 대통령 니콜라스 브라보(1846 ~ 1846)
    • 제16대 대통령 호세 마리아노 살라스(1846 ~ 1846)
  • 멕시코 제2연방공화국
    • 제7대 대통령 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1846 ~ 1847)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47 ~ 1847)
    • 제17대 대통령 페드로 마리아 데 아나야(1847 ~ 1847)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47 ~ 1847)
    • 제18대 대통령 마누엘 데 라페냐 이페냐(1847 ~ 1847)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47 ~ 1847)
    • 제17대 대통령 페드로 마리아 데 아나야(1847 ~ 1848)
    • 제18대 대통령 마누엘 데 라페냐 이페냐(1848 ~ 1848)
    • 제14대 대통령 호세 호아킨 데에레라(1848 ~ 1851)
    • 제19대 대통령 마리아노 아리스타(1851 ~ 1853)
    • 제20대 대통령 후안 바티스타(1853 ~ 1853)
    • 제21대 대통령 마누엘 마리아 롬바르디(1853 ~ 1853)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53 ~ 1855)
    • 제22대 대통령 마르틴 카레라(1855 ~ 1855)
    • 제23대 대통령 로물로 디아스 데 베가(1855 ~ 1855)
    • 제24대 대통령 후안 알바레스(1855 ~ 1855)
    • 제25대 대통령 이그나시오 코몬포르트(1855 ~ 1857)
    • 제26대 대통령 베니토 후아레스(1857 ~ 1872)
      • 제25대 대통령 이그나시오 코몬포르트(1857 ~ 1858)
      • 제27대 대통령 펠릭스 마리아 술로아가(1858 ~ 1858)
      • 제28대 대통령 마누엘 로블레스 페수엘라(1858 ~ 1859)
      • 제27대 대통령 펠릭스 마리아 술로아가(1859 ~ 1859)
      • 제29대 대통령 미겔 미라몬(1859 ~ 1860)
      • 제30대 대통령 호세 이그나시오 파본(1860 ~ 1860)
      • 제29대 대통령 미겔 미라몬(1860 ~ 1860)
      • 제27대 대통령 펠릭스 마리아 술로아가(1861 ~ 1862)
  • 멕시코 제2제국
  • 멕시코 합중국

=====# 브라질 #=====
=====# 아르헨티나 #=====
  • 아르헨티나 연합국
    • 제9대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총독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1835 ~ 1852)
    • 제10대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총독 비센테 로페스 이 플라네스(1852 ~ 1852)
    • 제11대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총독 후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1852 ~ 1854)
    • 제3대 대통령 후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1854 ~ 1860)
    • 제4대 대통령 산티아고 데르키(1860 ~ 1861)
    • 제5대 대통령 후안 에스테반 페데르네라(1861 ~ 1861)
  • 아르헨티나 공화국
    • 제6대 대통령 바르톨로메 미트레(1861 ~ 1868)
    • 제7대 대통령 도밍고 사르미엔토(1868 ~ 1874)
    • 제8대 대통령 니콜라스 아베야네다(1874 ~ 1880)
    • 제9대 대통령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1880 ~ 1886)
    • 제10대 대통령 미겔 후아레스 셀만(1886 ~ 1890)
    • 제11대 대통령 카를로스 페예그리니(1890 ~ 1892)
    • 제12대 대통령 루이스 사엔스 페냐(1892 ~ 1895)
    • 제13대 대통령 호세 에바리스토 우리부루(1895 ~ 1898)
    • 제14대 대통령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1898 ~ 1904)

2.3.2. 유럽

=====# 영국파일:영국 국장(1837-1952).svg #=====
=====# 프랑스 #=====
=====# 독일 #=====
=====#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헝가리 왕국(1526년~1918년): 오스트리아 제국의 구성국.
    • 페르디난트 1세(1835 ~ 1848)
      • 초대 총리 바티야니 러요시(1848.3.17 ~1848.10.2)
      • 권한대행 Récsey Ádám(1848.10.3 ~ 1848.10.7)
      • 제2대 총리 코수스 러요시(1848.10.2 ~ 1849.5.1)
    • 프란츠 요제프 1세(1848 ~ 1916)
      • 제3대 총리 세미레 베르탈란(1849.5.1 ~ 1849.8.11)
      • 제4대 총리 안드라시 귤라(1867.2.17 ~ 1871.11.1)
      • 제5대 총리 로페니예 메니에르(1871 ~ 1872)
      • 제6대 총리 슬라비 요제프(1872 ~ 1874)
      • 제7대 총리 비토 이슈트반(1874 ~ 1875)
      • 제8대 총리 벵크하임 벨라(1875.3.2 ~ 1875.10.2)
      • 제9대 총리 티서 칼만(1875 ~ 1890)
      • 제10대 총리 사파리 귤라(1890 ~ 1892)
      • 제11대 총리 베케를레 산도르(1892 ~ 1895)
      • 제12대 총리 반피 데소(1895 ~ 1899)
      • 제13대 총리 젤 칼만(1899 ~ 1903)

=====# 이탈리아 #=====
  • 사르데냐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1861 ~ 1878)
      • 초대 총리 카밀로 카보우르(1861 ~ 1861)
      • 제2대 총리 베니토 리카솔리(1861 ~ 1862)
      • 제3대 총리 우르바노 라타치(1862 ~ 1862)
      • 제4대 총리 루이지 카를로 파리니(1862 ~ 1863)
      • 제5대 총리 마르코 밍게티(1863 ~ 1864)
      • 제6대 총리 알폰소 페레로 라 마르모라(1864 ~ 1866)
      • 제2대 총리 베니토 리카솔리(1866 ~ 1867)
      • 제3대 총리 우르바노 라타치(1867 ~ 1867)
      • 제7대 총리 루이지 페데리코 메나브레아(1867 ~ 1869)
      • 제8대 총리 조반니 란차(1869 ~ 1873)
      • 제5대 총리 마르코 밍게티(1873 ~ 1876)
      • 제9대 총리 아고스티노 데프레티스(1876 ~ 1878)
      • 제10대 총리 베네데토 카이롤리(1878 ~ 1878)
    • 움베르토 1세(1878 ~ 1900)
      • 제9대 총리 아고스티노 데프레티스(1878 ~ 1879)
      • 제10대 총리 베네데토 카이롤리(1879 ~ 1881)
      • 제9대 총리 아고스티노 데프레티스(1881 ~ 1887)
      • 제11대 총리 프란체스코 크리스피(1887 ~ 1891)
      • 제12대 총리 루디니 후작 안토니오 스타라바(1891 ~ 1892)
      • 제13대 총리 조반니 졸리티(1892 ~ 1893)
      • 제11대 총리 프란체스코 크리스피(1893 ~ 1896)
      • 제12대 총리 루디니 후작 안토니오 스타라바(1896 ~ 1898)
      • 제14대 총리 루이지 펠룩스(1898 ~ 1900)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1900 ~ 1946)
      • 제15대 총리 주세페 사라코(1900 ~ 1901)

=====# 바티칸 #=====
=====# 스페인 #=====
  • 보르본 왕조
    • 이사벨 2세(1833 ~ 1868): 스페인은 이사벨 여왕의 왕위 계승을 반대한 카를로스파의 카를로스 전쟁으로 혼란한 정국이었다. 이사벨파의 승전으로 왕위를 이어갔지만, 정권 말미에는 쿠데타 세력의 9월 혁명으로 왕위에서 쫓겨난다.
      • 총리 José María Calatrava (1836.8.14 ~ 1837.8.18)
      • 총리 Baldomero Espartero (1837.8.18 ~ 1837.10.18)
      • 총리 Eusebio Bardají Azara (1837.10.18 ~ 1837.12.16)
      • 총리 Narciso Heredia y Begines de los Ríos (1837.12.16 ~ 1838.9.6)
      • 총리 Bernardino Fernández de Velasco (1838.9.6 ~ 1838.12.9)
      • 총리 Evaristo Pérez de Castro (1838.12.9 ~ 1840.7.19)
      • 총리 Antonio González y González (1840.7.20 ~ 1840.8.12)
      • 총리 Valentín Ferraz (1840.8.12 ~ 1840.8.28)
      • 총리 Modesto Cortázar (1840.8.29 ~ 1840.9.11)
      • 총리 Vicente Sancho (1840.9.11 ~ 1840.9.16)
      • 총리 Baldomero Espartero (1840.9.16 ~ 1841.5.10)
      • 총리 Joaquín María Ferrer (1841.5.10 ~ 1841.5.20)
      • 총리 Antonio González y González (1841.5.20 ~ 1842.6.17)
      • 총리 José Ramón Rodil y Gayoso (1842.6.17 ~ 1843.5.9)
      • 총리 Joaquín María López (1843.5.9 ~ 1843.5.19)
      • 총리 Álvaro Gómez Becerra (1843.5.19 ~ 1843.7.23)
      • 총리 Joaquín María López (1843.7.23 ~ 1843.11.10)
      • 총리 Salustiano Olózaga (1843.11.10 ~ 1843.11.29)
      • 총리 Luis González Bravo (1843.12.5 ~ 1844.5.3)
      • 총리 Ramón María Narváez (1844.5.3 ~ 1846.2.11)
      • 총리 Manuel Pando Fernández de Pinedo (1846.2.11 ~ 1846.3.16)
      • 총리 Ramón María Narváez (1846.3.16 ~ 1846.4.5)
      • 총리 Francisco Javier Istúriz (1846.4.5 ~ 1847.1.28)
      • 총리 Carlos Martínez de Irujo y McKean (1847.1.28 ~ 1847.3.28)
  • 9월 혁명(1868)
  • 사보야 왕조
  • 스페인 제1공화국(1873 ~ 1874)
  • 스페인 왕정 복고:



Ver lista de eventos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2–1855) 28 de enero
1847 28 de marzo
1847 – Ministro de Estado
(28 de enero-28 de marzo de 1847) Moderado I Martínez de Irujo
-
Ver lista de eventos
Joaquín Francisco Pachec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8–1865) 28 de marzo
1847 31 de agosto
1847 – Ministro de Estado
(28 de marzo-31 de agosto de 1847) Moderado I Pacheco
-
Ver lista de eventos
Florencio García Goyen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783–1855) 31 de agosto
1847 4 de octubre
1847 – Ministro de Gracia y Justicia
(3 de septiembre-4 de octubre de 1847) Moderado I García Goyena
-
Ver lista de eventos
Ramón María Narváez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0–1868) 4 de octubre
1847 19 de octubre
1849 – Ministro de Estado
(4-23 de octubre de 1847)
– Ministro de la Guerra
(3 de noviembre-24 de diciembre de 1847) Moderado III Narváez
-
Ver lista de eventos
Serafín María de Sott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793–1862) 19 de octubre
1849 20 de octubre
1849 – Ministro de la Guerra
(19-20 de octubre de 1847) Moderado I de Sotto
-
Ver lista de eventos
Ramón María Narváez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0–1868) 20 de octubre
1849 14 de enero
1851 – Moderado IV Narváez
1850
Ver lista de eventos
Juan Bravo Murill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3–1873) 14 de enero
1851 14 de diciembre
1852 – Ministro de Hacienda
(14 de enero de 1851-14 de diciembre de 1852) Moderado I Bravo Murillo
1851
Ver lista de eventos
Federico Roncali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9–1857) 14 de diciembre
1852 14 de abril
1853 – Ministro de Estado
(14 de diciembre de 1852-14 de abril de 1853) Moderado I Roncali
1853
Ver lista de eventos
Francisco Lersundi Hormaeche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17–1854) 14 de abril
1853 19 de septiembre
1853 – Ministro de la Guerra
(14 de abril-19 de septiembre de 1853) Moderado I Lersundi
-
Ver lista de eventos
Luis José Sartorius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0–1871) 19 de septiembre
1853 17 de julio
1854 – Ministro de la Gobernación
(19 de septiembre de 1853-17 de julio de 1854) Moderado I Sartorius
-
Ver lista de eventos
Fernando Fernández de Córdov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9–1883) 17 de julio
1854 18 de julio
1854 – Ministro de la Guerra
(17-18 de julio de 1854) Moderado I Fernández de Córdova
-
Ver lista de eventos
Ángel de Saavedra, Duque de Rivas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791–1865) 18 de julio
1854 19 de julio
1854 – Ministro de Marina
(18-19 de julio de 1854) Moderado I Duque de Rivas
-
Ver lista de eventos
Baldomero Esparter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793–1879) 19 de julio
1854 30 de julio
1854 – Partido Progresista III Espartero
IV Espartero
V Espartero
30 de julio
1854 28 de noviembre
1854
28 de noviembre
1854 14 de julio
1856
1854
Ver lista de eventos
Leopoldo O'Donnell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9–1867) 14 de julio
1856 12 de octubre
1856 – Ministro de la Guerra
(14 de julio-12 de octubre de 1856) Unión Liberal I O'Donnell
-
Ver lista de eventos
Ramón María Narváez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0–1868) 12 de octubre
1856 15 de octubre
1857 – Moderado V Narváez
1857
Ver lista de eventos
Francisco Armero Peñarand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4–1866) 15 de octubre
1857 14 de enero
1858 – Ministro interino de la Gobernación
(15-25 de octubre de 1857)
– Ministro de la Guerra
(25 de octubre de 1857-14 de enero de 1858) Moderado I Armero
-
Ver lista de eventos
Francisco Javier Istúriz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790–1871) 14 de enero
1858 30 de junio
1858 – Ministro de Estado y Ultramar
(14 de enero-30 de junio de 1858) Moderado III Istúriz
-
Ver lista de eventos
Leopoldo O'Donnell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9–1867) 30 de junio
1858 17 de enero
1863 – Ministro de la Guerra y Ultramar
(30 de junio de 1858-2 de marzo de 1863)
– Ministro interino de Estado
(30 de junio de 1858-2 de julio de 1856)
– Ministro interino de Marina
(25-27 de noviembre de 1858) Unión Liberal II O'Donnell
III O'Donnell
17 de enero
1863 2 de marzo
1863
1858
Ver lista de eventos
Manuel Pando Fernández de Pined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792–1872) 2 de marzo
1863 17 de enero
1864 – Ministro de Estado
(2 de marzo de 1863-17 de enero de 1864) Moderado II Miraflores
1863
Ver lista de eventos
Lorenzo Arrazol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795–1873) 17 de enero
1864 1 de marzo
1864 – Ministro de Estado
(17 de enero-1 de marzo de 1864) Moderado I Arrazola
-
Ver lista de eventos
Alejandro Mon y Menéndez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1–1882) 1 de marzo
1864 16 de septiembre
1864 – Moderado I Mon y Menéndez
-
Ver lista de eventos
Ramón María Narváez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0–1868) 16 de septiembre
1864 21 de junio
1865 – Moderado VI Narváez
1864
Ver lista de eventos
Leopoldo O'Donnell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9–1867) 21 de junio
1865 10 de julio
1866 – Ministro de la Guerra
(21 de junio de 1865-10 de julio de 1866) Unión Liberal IV O'Donnell
1865
Ver lista de eventos
Ramón María Narváez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0–1868) 10 de julio
1866 23 de abril
1868 – Ministro de la Guerra
(10 de julio de 1866-23 de abril de 1868) Moderado VII Narváez
1867
Ver lista de eventos
Luis González Brav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11–1871) 23 de abril
1868 19 de septiembre
1868 – Ministro de Gobernación
(23 de abril-19 de septiembre de 1868) Moderado II González Bravo
-
Ver lista de eventos
José Gutiérrez de la Conch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9–1895) 19 de septiembre
1868 30 de septiembre
1868[42]​ – Ministro de la Guerra
(19-27 de septiembre de 1868)
– Ministro interino de Marina
(19-21 de septiembre de 1868) Moderado Gutiérrez de la Concha
-
Ver lista de eventos
Sexenio Democrático (1868-1874)
editar
Artículo principal: Sexenio Democrático
Junta Provisional Revolucionaria, Gobierno Provisional y regencia de Serrano (1868-1871)
editar
Artículo principal: Gobierno Provisional de 1868-1871
Espectro político
Partido Progresista Unión Liberal

Retrato Nombre
Títulos
(nacimiento–muerte) Mandato
Elecciones Otros cargos ejercidos durante su gobierno
Partido Político Gobierno
Pascual Madoz Ibáñez
Presidente de la Junta Provisional Revolucionaria
(1806–1870) 30 de septiembre
1868 3 de octubre
1868 – Progresista
-
Ver lista de eventos
Joaquín Aguirre de la Peña
Presidente de la Junta Provisional Revolucionaria
(1807–1869) 3 de octubre
1868 3 de octubre
1868[43]​ – Progresista
-
Ver lista de eventos
Francisco Serrano
Presidente del Gobierno Provisional
Presidente del Poder Ejecutivo
(1810–1885) 3 de octubre
1868 22 de febrero
1869 – Unión Liberal I Serrano
II Serrano
22 de febrero
1869 18 de junio
1869[44]​
1869
Ver lista de eventos
Regencia de Francisco Serrano y Domínguez (1869-1871)
Juan Prim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14–1870) 18 de junio
1869 27 de diciembre
1870 – Ministro de la Guerra
(18 de junio de 1869-27 de diciembre de 1870)
– Ministro interino de Marina
(6 de noviembre de 1869-9 de enero de 1870) Progresista I Juan Prim
-
Ver lista de eventos
Juan Bautista Topete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interino
(1821–1885) 27 de diciembre
1870 4 de enero
1871 – Ministro interino de la Guerra
(27 de diciembre de 1870-4 de enero de 1871)
– Ministro interino de Estado
(27 de diciembre de 1870-4 de enero de 1871) Unión Liberal I Juan Topete
-
Ver lista de eventos
Reinado de Amadeo I (1871-1873)
editar

Artículo principal: Reinado de Amadeo I
Espectro político
Unión Liberal Partido Constitucional Partido Demócrata-Radical

Retrato Nombre
Títulos
(nacimiento–muerte) Mandato
Elecciones Otros cargos ejercidos durante su gobierno
Partido Político Gobierno
Francisco Serran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10–1885) 4 de enero
1871 24 de julio
1871 – Ministro de la Guerra
(4 de enero-24 de julio de 1871) Unión Liberal III Serrano
1871
Ver lista de eventos
Manuel Ruiz Zorrill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33–1895) 24 de julio
1871 5 de octubre
1871 – Ministro de Gobernación
(24 de julio-5 de octubre de 1871) Partido Demócrata-Radical I Ruiz Zorrilla
-
Ver lista de eventos
José Malcamp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8–1880) 5 de octubre
1871 21 de diciembre
1871 – Ministro de Estado
(5 de octubre-21 de diciembre de 1871)
– Ministro de Marina
(5 de octubre-21 de diciembre de 1871) Constitucional
ala progresista I José Malcampo
-
Ver lista de eventos
Práxedes Mateo Sagast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8–1880) 21 de diciembre
1871 20 de febrero
1872 – Ministro de Estado
(21 de diciembre de 1871-26 de mayo de 1872) Constitucional
ala progresista I Sagasta
II Sagasta
20 de febrero
1872 26 de mayo
1872
1872
Ver lista de eventos
Francisco Serran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10–1885) 26 de mayo
1872 13 de junio
1872 – Ministro de la Guerra
(26 de mayo-13 de junio de 1872) Constitucional
ala conservadora IV Serrano
-
Ver lista de eventos
Manuel Ruiz Zorrill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33–1895) 13 de junio
1872 11 de febrero
1873 – Ministro de Gobernación
(13 de junio de 1872-11 de febrero de 1873) Partido Demócrata-Radical II Ruiz Zorrilla
1872
Ver lista de eventos
Primera República (1873-1874)
editar

Artículo principal: Primera República Española
Espectro político
Partido Constitucional Partido Republicano Federal

Retrato Nombre
Títulos
(nacimiento–muerte) Mandato
Elecciones Otros cargos ejercidos durante su gobierno
Partido Político Gobierno
Estanislao Figueras
Presidente del Poder Ejecutivo
de la República española
(1819–1882) 12 de febrero
1873 24 de febrero
1873 – Presidente del Poder Ejecutivo interino
(24 de febrero de 1873)
– Ministro de la Guerra
(7-11 de junio de 1873) Republicano Federal I Figueras
II Figueras
III Figueras
IV Figueras
24 de febrero
1873[47]​ 24 de febrero
1873
24 de febrero
1873 7 de junio
1873
7 de junio
1873[48]​ 11 de junio
1873
1873
Ver lista de eventos
Francisco Pi y Margall
Presidente del Poder Ejecutivo
de la República española
(1824–1901) 11 de junio
1873 18 de julio
1873 – Ministro de la Gobernación
(11 de junio-18 de julio de 1873) Republicano Federal I Pi y Margall
-
Ver lista de eventos
Nicolás Salmerón
Presidente del Poder Ejecutivo
de la República española
(1838–1908) 11 de julio
1873 7 de septiembre
1873 – Republicano Federal I Salmerón
-
Ver lista de eventos
Emilio Castelar
Presidente del Poder Ejecutivo
de la República española
(1832–1899) 7 de septiembre
1873 3 de enero
1874 – Republicano Federal I Castelar
-
Ver lista de eventos
Francisco Serrano
Presidente del Poder Ejecutivo
de la República española
(1810–1885) 3 de enero
1874 26 de febrero
1874 – Constitucional
ala conservadora V Francisco Serrano
-
Ver lista de eventos
Presidencia de Francisco Serrano y Domínguez (1874)
Juan Zavala de la Puente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04–1879) 26 de febrero
1874 3 de septiembre
1874 – Ministro de la Guerra
(26 de febrero-13 de mayo de 1874) Constitucional
ala conservadora I Zavala
-
Ver lista de eventos
Práxedes Mateo Sagast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5–1903) 3 de septiembre
1874 31 de diciembre
1874 – Presidente del Consejo interino
(29 de junio-3 de septiembre de 1874)
– Ministro de la Gobernación
(13 de mayo-31 de diciembre de 1874) Constitucional
ala progresista III Sagasta
-
Ver lista de eventos
Reinado de Alfonso XII (1874-1885)
editar

Artículos principales: Alfonso XII de España y Restauración borbónica en España.
Espectro político
Partido Liberal Partido Liberal-Conservador

Retrato Nombre
Títulos
(nacimiento–muerte) Mandato
Elecciones Otros cargos ejercidos durante su gobierno
Partido Político Gobierno
Antonio Cánovas del Castillo
Presidente del Ministerio-Regencia[49]​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8–1897) 31 de diciembre
1874[50]​ 9 de enero
1875 – Ministro Interino de Marina
(9 de febrero-8 de junio de 1875) Conservador I Cánovas
9 de enero
1875 12 de septiembre
1875
-
Ver lista de eventos
Joaquín Jovellar Soler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19–1892) 12 de septiembre
1875 2 de diciembre
1875 – Ministro de Guerra
(12 de septiembre-2 de diciembre de 1875) Conservador I Jovellar
-
Ver lista de eventos
Antonio Cánovas del Castill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8–1897) 2 de diciembre
1875 7 de marzo
1879 – Conservador II Cánovas
1876
Ver lista de eventos
Arsenio Martínez Campos Antón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31–1900) 7 de marzo
1879 9 de diciembre
1879 – Ministro de Guerra
(7 de marzo-9 de diciembre de 1879) Conservador I Martínez Campos
1879
Ver lista de eventos
Antonio Cánovas del Castill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8–1897) 9 de diciembre
1879 8 de febrero
1881 – Ministro interino de Estado
(20 de enero-19 de marzo de 1880) Conservador III Cánovas
-
Ver lista de eventos
Práxedes Mateo Sagast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5–1903) 8 de febrero
1881 13 de octubre
1883 – Liberal IV Sagasta
1881
Ver lista de eventos
José de Posada Herrer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14–1885) 13 de octubre
1883 18 de enero
1884 – Izquierda Dinástica I Posada
-
Ver lista de eventos
Antonio Cánovas del Castill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8–1897) 18 de enero
1884 27 de noviembre
1885 – Conservador IV Cánovas
1884
Ver lista de eventos
Reinado de Alfonso XIII (1886-1931)
editar
Artículos principales: Alfonso XIII de España y Restauración borbónica en España.
Regencia de María Cristina de Habsburgo-Lorena (1885-1902)
editar

Artículo principal: María Cristina de Habsburgo-Lorena
Espectro político
Partido Liberal Partido Liberal-Conservador

Retrato Nombre
Títulos
(nacimiento–muerte) Mandato
Elecciones Otros cargos ejercidos durante su gobierno
Partido Político Gobierno
Práxedes Mateo Sagast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5–1903) 27 de noviembre
1885[53]​ 14 de junio
1888 – Liberal V Sagasta
VI Sagasta
VII Sagasta
VIII Sagasta
14 de junio
1888 11 de diciembre
1888
11 de diciembre
1888 21 de enero
1890
21 de enero
1890 5 de julio
1890
1886
Ver lista de eventos
Antonio Cánovas del Castill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8–1897) 5 de julio
1890[54]​ 23 de noviembre
1891 – Ministro Interino de Marina
(5 de julio de 1890-23 de noviembre de 1891) Conservador VI Cánovas
VII Cánovas
23 de diciembre
1891 11 de diciembre
1892
1891
Ver lista de eventos
Práxedes Mateo Sagast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5–1903) 11 de diciembre
1892[55]​ 12 de marzo
1894 – Liberal
IX Sagasta
X Sagasta
XI Sagasta
12 de marzo
1894 4 de noviembre
1894
4 de noviembre
1894 23 de marzo
1895
1893
Ver lista de eventos
Antonio Cánovas del Castill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8–1897) 23 de marzo
1895 8 de agosto
1897 – Conservador VIII Cánovas
1896
Ver lista de eventos
Marcelo Azcárraga Palmer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32–1915) 8 de agosto
1897 21 de agosto
1897 –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interino
(8-21 de agosto de 1897)
– Ministro de Guerra
(21 de agosto-4 de octubre de 1897) Conservador I Azcárraga
21 de agosto
1897 4 de octubre
1897
-
Ver lista de eventos
Práxedes Mateo Sagast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5–1903) 4 de octubre
1897 17 de mayo
1898 – Ministro interino de Fomento
(22 de octubre de 1898-10 de febrero de 1899) Liberal
XII Sagasta
XIII Sagasta
17 de mayo
1898 4 de marzo
1899
1898
Ver lista de eventos
Francisco Silvel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43–1905) 4 de marzo
1899 18 de abril
1900 – Ministro de Estado
(4 de marzo de 1899-18 de abril de 1900)
– Ministro de Marina
(18 de abril-23 de octubre de 1900) Unión Conservadora I Silvela
II Silvela
18 de abril
1900 23 de octubre
1900
1899
Ver lista de eventos
Marcelo Azcárraga Palmero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32–1915)
23 de octubre
1900 6 de marzo
1901 – Ministro interino de Marina
(23-31 de octubre de 1900) Unión Conservadora II Azcárraga
-
Ver lista de eventos
Práxedes Mateo Sagasta
Presidente del Consejo de Ministros
(1825–1903) 6 de marzo
1901 19 de marzo
1902 –
=====# 포르투갈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페드로 데 수사 홀슈타인
비토리오 마리아 데 수사 쿠티뉴
주앙 카를로스 살다냐 데 올리베이라 에 다운
호세 호르헤 루레이로
제5대
제6대
임시
제7대
안토니오 호세 세베림 데 노로냐
호세 다 가마 카르네이루 에 수사
호세 베르나르디노 데 포르투갈 에 카스트로
베르나르도 데 사 노게이라 데 피게이레도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안토니오 디아스 데 올리베이라
베르나르도 데 사 노게이라 데 피게이레도
로드리고 핀토 피사로 데 알메이다 카르발하이스
호세 루시우 트라바소스 발데스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호아킴 안토니오 데 아기아르
페드로 데 수사 홀슈타인
안토니오 호세 세베림 데 노로냐
페드로 데 수사 홀슈타인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주앙 카를로스 살다냐 데 올리베이라 에 다운
안토니오 베르나르도 다 코스타 카브랄
안토니오 호세 세베림 데 노로냐
주앙 카를로스 살다냐 데 올리베이라 에 다운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누노 호세 세베로 데 멘돈사 롤림 데 모우라 바레토
안토니오 호세 세베림 데 노로냐
호아킴 안토니오 데 아기아르
누노 호세 세베로 데 멘돈사 롤림 데 모우라 바레토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베르나르도 데 사 노게이라 데 피게이레도
호아킴 안토니오 데 아기아르
안토니오 호세 데 아빌라
베르나르도 데 사 노게이라 데 피게이레도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누노 호세 세베로 데 멘돈사 롤림 데 모우라 바레토
주앙 카를로스 살다냐 데 올리베이라 에 다운
베르나르도 데 사 노게이라 데 피게이레도
안토니오 호세 데 아빌라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안토니오 마리아 데 폰테스 페레이라 데 멜로
안토니오 호세 데 아빌라
안토니오 마리아 데 폰테스 페레이라 데 멜로
안셀모 호세 브람캄프 데 알메이다 카스텔로 브랑코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안토니오 로드리게스 삼파이오
안토니오 마리아 데 폰테스 페레이라 데 멜로
호세 루치아노 데 카스트로 페레이라 코르테 레알
안토니오 데 세르파 피멘텔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주앙 크리스토모 데 아브레우 에 수사
호세 디아스 페레이라
에르네스토 루돌포 힌체 리베이로
호세 루치아노 데 카스트로 페레이라 코르테 레알
제44대
제45대
제46대
제47대
에르네스토 루돌포 힌체 리베이로
호세 루치아노 데 카스트로 페레이라 코르테 레알
에르네스토 루돌포 힌체 리베이로
주앙 페레이라 프랑코 핀토 카스텔로-브랑코
제48대
제49대
제50대
제51대
프란시스코 호아킴 페레이라 두 아마랄
아르투르 알베르토 데 캄포스 엔리케스
세바스티앙 쿠스토디오 데 수사 텔레스
바츨라우 데 수사 페레이라 데 리마
제52대
제53대
프란시스코 안토니오 다 베이가 베이랑
안토니오 테세이라 데 수사
=====# 네덜란드 #=====
  • 네덜란드 왕국
    • 빌럼 1세(1815 ~ 1840): 이 시기에 벨기에 왕국이 독립한다.
    • 빌럼 2세(1840 ~ 1849)
      • 초대 총리 게리트 쉬멜페닌크(1848 ~ 1848)
      • 제2대 총리 야콥 드 켐페나아르(1848 ~ 1849)
    • 빌럼 3세(1849 ~ 1890)
      • 제3대 총리 요한 뤼돌프 토르비케(1849 ~ 1853)
      • 제4대 총리 요한 플로리스 아드리안 반 홀(1853 ~ 1856)
      • 제5대 총리 유스티누스 반 데어 브루겐(1856 ~ 1858)
      • 제6대 총리 얀 야콥 로슈셴(1858 ~ 1860)
      • 제7대 총리 플로리스 아드리안 반 홀(1860 ~ 1861)
      • 제8대 총리 야콥 반 주일렌 반 니에펠트(1861 ~ 1861)
      • 제9대 총리 셸토 반 헴스트라(1861 ~ 1862)
      • 제10대 총리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1862 ~ 1866)
      • 제11대 총리 이사악 디그누스 반 데어 푸케(1866 ~ 1866)
      • 제12대 총리 줄리어스 반 주일렌 반 니예펠트(1866 ~ 1868)
      • 제13대 총리 피터르 필립 반 보스(1868 ~ 1871)
      • 제14대 총리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1871 ~ 1872)
      • 제15대 총리 게리트 드 브리스(1872 ~ 1874)
      • 제16대 총리 얀 헴스커스(1874 ~ 1877)
      • 제17대 총리 얀 카페인 반 데 코펠로(1877 ~ 1879)
      • 제18대 총리 테오 반 린덴 반 산덴부르크(1879 ~ 1883)
      • 제19대 총리 얀 헴스커스(1883 ~ 1888)
      • 제20대 총리 아이네아스 맥케이(1888 ~ 1891)
    • 빌헬미나 여왕(1890 ~ 1948)
      • 제21대 총리 기스베르트 반 티엔호벤(1891 ~ 1894)
      • 제22대 총리 조안 뢰엘(1894 ~ 1897)
      • 제23대 총리 니콜라스 피어슨(1897 ~ 1901)

=====# 벨기에 #=====
  • 벨기에 왕국
    • 레오폴드 1세(1831 ~ 1865): 여왕의 숙부. 빅토리아 여왕에게 조카인 앨버트 공을 소개시켜 줌
      • 제5대 총리 바르텔레미 테오도르(1834 ~ 1840)
      • 제2대 총리 조제프 르보(1840 ~ 1841)
      • 제6대 총리 장 밥티스트 노톰(1841 ~ 1845)
      • 제7대 총리 실뱅 반 드 바이어(1845 ~ 1846)
      • 제5대 총리 바르텔레미 테오도르(1846 ~ 1847)
      • 제8대 총리 샤를 로지어(1847 ~ 1852)
      • 제9대 총리 앙리 드 브뤼케르(1852 ~ 1855)
      • 제10대 총리 피에르 드 데커(1855 ~ 1857)
      • 제8대 총리 샤를 로지어(1857 ~ 1868)
    • 레오폴드 2세(1865 ~ 1909): 콩고를 잔인하게 착취한 왕
      • 제11대 총리 위베르 조제프 발테르 오르반(1868 ~ 1870)
      • 제12대 총리 쥘 다네탕(1870 ~ 1871)
      • 제5대 총리 바르텔레미 테오도르(1871~ 1874)
      • 제13대 총리 쥘 말루(1874 ~ 1878)
      • 제11대 총리 위베르 조제프 발테르 오르반(1878 ~ 1884)
      • 제13대 총리 쥘 말루(1884 ~ 1884)
      • 제14대 총리 오귀스트 비어나르트(1884 ~ 1894)
      • 제15대 총리 쥘 드 부를레(1894 ~ 1896)
      • 제16대 총리 폴 드 스멧 드 나예르(1896 ~ 1899)
      • 제17대 총리 쥘 반덴피에르붐(1899 ~ 1899)
      • 제16대 총리 폴 드 스멧 드 나예르(1899 ~ 1907)

=====# 덴마크( 유틀란드 반도) #=====
  • 덴마크 왕국
    • 프레데릭 6세(1808 ~ 1839)
    • 크리스티안 8세(1839 ~ 1848)
    • 프레데릭 7세(1848 ~ 1863)
      • 초대 총리 아담 빌헬름 몰트케(1848 ~ 1852)
      • 제2대 총리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 블루메(1852 ~ 1853)
      • 제3대 총리 안드레스 산되 외르스테드(1853 ~ 1854)
      • 제4대 총리 피터 게오르크 뱅(1854 ~ 1855)
      • 초대 평의회 의장 피터 게오르크 뱅(1855 ~ 1856)
      • 제2대 평의회 의장 칼 크리스토퍼 게오르크 안드레(1856 ~ 1857)
      • 제3대 평의회 의장 칼 크리스티안 홀(1857 ~ 1859)
      • 제4대 평의회 의장 칼 에드바르트 로트위트(1859 ~ 1860)
      • 평의회 의장 권한대행 칼 프레데릭 블뤼스케 피네케(1860 ~ 1860)
      • 제3대 평의회 의장 칼 크리스티안 홀(1860 ~ 1863)
    • 크리스티안 9세(1863 ~ 1906) - 장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가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 에드워드 7세의 아내로 여왕의 사돈.
      • 제5대 평의회 의장 디틀레트 고타르트 몬라트(1863 ~ 1864)
      • 제2대 총리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 블루메(1864 ~ 1865)
      • 제6대 평의회 의장 크리스티안 에밀 크라크 주엘빈드프리츠(1865 ~ 1870)
      • 제7대 평의회 의장 루드위그 홀쉬타인 홀쉬타인(1870 ~ 1874)
      • 제8대 평의회 의장 크리스티안 안드레아스 폰네스펙(1874 ~ 1875)
      • 제9대 평의회 의장 야콥 브룬눔 스카베니우스 에스트루프(1875 ~ 1894)
      • 제10대 평의회 의장 타게 리츠 토트(1894 ~ 1897)
      • 제11대 평의회 의장 휴고 에드몬트 회링(1897 ~ 1900)
      • 제12대 평의회 의장 하니팔 세헤스테드(1900 ~ 1901)

=====# 스웨덴-노르웨이( 스칸디나비아 반도) #=====
  • 스웨덴 왕국/ 노르웨이 왕국(당시 노르웨이와 동군연합)
    • 칼 14세 요한(1818 ~ 1844)
    • 오스카르 1세(1844 ~ 1859)
    • 칼 15세(1859 ~ 1872)
    • 오스카르 2세(1872 ~ 1907) - 손자 구스타프 6세 아돌프 빅토리아 여왕의 친손녀 코넛의 마거릿 공녀와 결혼하면서 여왕과 사돈이다.
      • 초대 스웨덴 총리 루이스 게르하르드 드 기어(1876 ~ 1880) / 초대 노르웨이 총리 프레데릭 스탕(1873 ~ 1880)
      • 제2대 스웨덴 총리 아르비드 포세(1880 ~ 1883) / 제2대 노르웨이 총리 크리스티안 셀머(1880 ~ 1884)
      • 제3대 스웨덴 총리 칼 요한 티셀리우스(1883 ~ 1884) / 제3대 노르웨이 총리 크리스티안 슈바이가르드(1884 ~ 1884)
      • 제4대 스웨덴 총리 로베르트 템프란데르(1884 ~ 1888) / 제4대 노르웨이 총리 요한 스베르드루프(1884 ~ 1889)
      • 제5대 스웨덴 총리 길리스 빌트(1888 ~ 1889) / 제5대 노르웨이 총리 에밀 스탕(1889 ~ 1891)
      • 제6대 스웨덴 총리 구스타프 오케르히엘름(1889 ~ 1891) / 제6대 노르웨이 총리 요하네스 스텐(1891 ~ 1893)
      • 제7대 스웨덴 총리 에리크 구스타프 보스트룀(1891 ~ 1900) / 제5대 노르웨이 총리 에밀 스탕(1893 ~ 1895)
      • 제7대 스웨덴 총리 에리크 구스타프 보스트룀(1891 ~ 1900) / 제7대 노르웨이 총리 프란시스 하게루프(1895 ~ 1898)
      • 제8대 스웨덴 총리 프레드리크 폰 오터(1900 ~ 1902) / 제6대 노르웨이 총리 요하네스 스텐(1898 ~ 1902)

=====# 러시아 #=====
=====# 루마니아 #=====
=====# 세르비아 #=====
=====# 그리스 #=====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스피리돈 트리쿠피스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요안니스 콜레티스
요제프 루트비히 폰 아르만스페르크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이그나츠 폰 루트하르트
오톤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오톤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안드레아스 메탁사스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요안니스 콜레티스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키초스 자벨라스
요르요스 쿤투리오티스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안도니스 크리지스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아타나시오스 미아울리스
요안니스 콜로코트로니스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아리스티디스 모레티니스
지노비오스 발비스
디오미디스 키리아코스
제31대
베니젤로스 루포스
1차 글뤽스부르크 왕조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지노비오스 발비스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베니젤로스 루포스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에파미논다스 딜리요르이스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43대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에파미논다스 딜리요르이스
베니젤로스 루포스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제44대
제45대
제46대
제47대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아리스티디스 모레티니스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트라시불로스 자이미스
제48대
제49대
제50대
제51대
에파미논다스 딜리요르이스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트라시불로스 자이미스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에파미논다스 딜리요르이스
디미트리오스 불가리스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에파미논다스 딜리요르이스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에파미논다스 딜리요르이스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제60대
제61대
제62대
제63대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제64대
제65대
제66대
제67대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테오도로스 딜리얀니스
제68대
제69대
제70대
제71대
디미트리오스 발비스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테오도로스 딜리얀니스
콘스탄티노스 콘스탄토풀로스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소티리오스 소티로풀로스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니콜라오스 딜리얀니스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테오도로스 딜리얀니스
디미트리오스 랄리스
알렉산드로스 자이미스
요르요스 테오토키스
=====# 튀르키예 #=====

2.3.3. 아프리카

=====# 이집트 #=====
=====# 모로코 #=====
  • 모로코 술탄국( 알라위 왕조)
    • 술탄 아브드 알 라흐만(1822 ~ 1859)
    • 술탄 모하메드 4세(1859 ~ 1873)
    • 술탄 하산 1세(1873 ~ 1894)
    • 술탄 압델아지즈(1894 ~ 1908)

=====# 라이베리아 #=====
=====# 가나파일:영국 국장(1837-1952).svg #=====
  • 아샨티 제국
    • 오툼푸오 나나 크와쿠 두아 1세(1834 ~ 1867)
    • 오툼푸오 나나 코피 카리카리(1867 ~ 1874)
    • 오툼푸오 나나 멘사 본수(1874 ~ 1883)
    • 오툼푸오 나나 크와쿠 두아 2세(1884 ~ 1884)
    • 아샨티 내전(1883 ~ 1888)
    • 오툼푸오 나나 프렘페 1세(1888 ~ 1895)
  • 영국령 골드코스트 국왕
  • 영국령 골드코스트 총독
    • 윌리엄 톱(1836 ~ 1838)
    • 조지 매클런(1838 ~ 1843)
    • 헨리 워슬리 힐(1843 ~ 1845)
    • 제임스 렐레이(1845 ~ 1846)
    • 윌리엄 위니엣(1846 ~ 1849)
    • 제임스 콜레만 피츠패트릭(1849 ~ 1850)
    • 윌리엄 위니엣(1850 ~ 1850)
    • 제임스 배너만(1850 ~ 1851)
    • 스티븐 존 힐(1851 ~ 1854)
    • 헨리 코너(1854 ~ 1857)
    • 벤저민 칠레이 캠프벨 파인 경(1857 ~ 1858)
    • 헨리 버드(1858 ~ 1860)
    • 에드워드 B. 앤드루스(1860 ~ 1862)
    • 윌리엄 A. 로스(1862 ~ 1862)
    • 리처드 파인(1862 ~ 1865)
    • 로케비 존스(1865 ~ 1865)
    • 윌리엄 엘리엇 모클러(1865 ~ 1865)
    • 에드워드 콘란(1865 ~ 1867)
    • 허버트 테일러 어셔(1867 ~ 1872)
    • 존 포프 헤네시(1872 ~ 1872)
    • 찰스 스펜서 살몬(1872 ~ 1872)
    • 로버트 윌리엄 키트(1872 ~ 1872)
    • 로버트 윌리엄 할리(1872 ~ 1873)
    • 가넷 조지프 월셀리(1873 ~ 1874)
    • 제임스 맥스웰(1874 ~ 1874)
    • 찰스 리스(1874 ~ 1874)
    • 조지 커마인 스트라한(1874 ~ 1876)
    • 찰스 리스(1876 ~ 1876)
    • 샌퍼드 프릴링(1876 ~ 1878)
    • 찰스 리스(1878 ~ 1879)
    • 허버트 테일러 어셔(1879 ~ 1880)
    • 윌리엄 브랜드포드 그리피스(1880 ~ 1881)
    • 새뮤얼 로위 경(1881 ~ 1884)
    • W. A. G. 영(1884 ~ 1885)
    • 윌리엄 브랜드포드 그리피스(1885 ~ 1895)
    • 윌리엄 에드워드 맥스웰(1895 ~ 1897)
    • 프레데릭 밋첼 호지슨(1897 ~ 1900)
    • W. 로우(1900 ~ 1900)
    • 매튜 나단 경(1900 ~ 1904)

=====# 콩고민주공화국 #=====
=====# 남아프리카공화국파일:영국 국장(1837-1952).svg #=====
=====# 에티오피아 #=====

2.3.4. 아시아 대륙

2.3.4.1. 서아시아
======# 사우디아라비아 #======
  • 나지드 이마라트 아미르
    • 파이살 빈 투르키(1834 ~ 1838)
    • 할리드 1세(1838 ~ 1841)
    • 압둘라 2세(1841 ~ 1843)
    • 파이살 빈 투르키(1843 ~ 1865)
    • 압둘라 3세(1865 ~ 1871)
    • 사우드 3세(1871 ~ 1871)
    • 압둘라 3세(1871 ~ 1873)
    • 사우드 3세(1873 ~ 1875)
    • 압둘라흐만 빈 파이살(1875 ~ 1876)
    • 압둘라 3세(1876 ~ 1889)
    • 압둘라흐만 빈 파이살(1889 ~ 1891)
  • 자발 샴마르 아미르국 아미르
    • 1대 압둘라 1세 빈 알리 알 라쉬드 (1836 ~ 1848)
    • 2대 탈랄 빈 압둘라 알 라쉬드 (1848 ~ 1868)
    • 3대 무타입 1세 빈 압둘라 알 라쉬드 (1868 ~ 1869)
    • 4대 반다르 빈 탈랄 알 라쉬드 (1869 ~ 1869)
    • 5대 무함마드 1세 빈 압둘라 알 라쉬드 (1869 ~ 1897)
    • 6대 압둘아지즈 빈 무타입 알 라쉬드 (1897 ~ 1906)

======# 오만 #======
  • 무스카트-오만 술탄국
    • 사이드 빈 술탄(1804 ~ 1856)
    • 수와이니 빈 사이드(1856 ~ 1866)
    • 살림 빈 수와이니(1866 ~ 1868)
    • 아잔 빈 카이스(1868 ~ 1871)
    • 투르키 빈 사이드(1871 ~ 1888)
    • 파이잘 빈 투르키(1888 ~ 1913)

======# 이란 #======
2.3.4.2. 남아시아
======# 인도파일:영국 국장(1837-1952).svg #======
  • 무굴 제국
  • 영국 동인도 회사령 인도
    • 제16대 총독 오클랜드 백작(1836 ~1842)
    • 제17대 총독 엘렌버러 경(1842 ~ 1844)
    • 제18대 총독 윌리엄 윌버포스 버드(대리)(1844 ~ 1844)
    • 제19대 총독 헨리 하딩(1844 ~ 1848)
    • 제20대 총독 달하우지 백작(1848 ~ 1856)
    • 제21대 총독 캐닝 자작(1856 ~ 1858)
  • 인도 제국: 초대 황제 빅토리아 여왕
    • 제22대 총독 캐닝 자작(1858 ~ 1862)
    • 제23대 총독 엘긴 백작(1862 ~ 1863)
    • 제24대 총독 로버트 네이피어(대리)(1863 ~ 1863)
    • 제25대 총독 윌리엄 데니슨(대리)(1863 ~ 1864)
    • 제26대 총독 준남작 존 로런스 경(1864 ~ 1869)
    • 제27대 총독 메이요 백작(1869 ~ 1872)
    • 제28대 총독 존 스트래치(대리)(1872 ~ 1872)
    • 제29대 총독 네이피어 경(대리)(1872 ~ 1872)
    • 제30대 총독 노스브룩 경(1872 ~ 1876)
    • 제31대 총독 리턴 경(1876 ~ 1880)
    • 제32대 총독 리펀 후작(1880 ~ 1884)
    • 제33대 총독 더퍼린 백작(1884 ~ 1888)
    • 제34대 총독 랜즈다운 후작(1888 ~ 1894)
    • 제35대 총독 엘긴 백작(1894 ~ 1899)
    • 제36대 총독 커즌오브케들스턴 경(1899 ~ 1905)

======# 네팔 #======
2.3.4.3. 동남아시아
======# 인도네시아 #======
  • 네덜란드령 동인도
    • 도미니크 자크 더에이런스(Dominique Jacques de Eerens, 1836~1840)
    • 카럴 시라르뒤스 빌럼 판호헨도르프(Carel Sirardus Willem van Hogendorp, 1840~1841): 더에이런스 총독이 사망한 후 총독 대행직 수행.
    • 피터르 메르퀴스(Pieter Merkus, 1841~1844)
    • 얀 코르넬리스 레인스트(Jan Cornelis Reijnst, 1844~1845): 메르퀴스 총독이 사망한 후 총독 대행직 수행.
    • 얀 야코프 로휘선(Jan Jacob Rochussen, 1845~1851)
    • 알베르튀스 야코뷔스 다위마르 판트비스트(Albertus Jacobus Duymaer van Twist, 1851~1856)
    • 샤를 페르디난트 파휘트(Charles Ferdinand Pahud, 1856~1861)
    • 뤼돌프 아너 얀 빌트 슬룻 판더베일러(Ludolph Anne Jan Wilt Sloet van de Beele, 1861~1866)
    • 피터르 메이르(Pieter Mijer, 1866~1872)
    • 제임스 라우돈(James Loudon, 1872~1875)
    • 요한 빌헐름 판란스베르허(Johan Wilhelm van Lansberge, 1875~1881)
    • 프레데릭 스야코프(Frederik s'Jacob, 1881~1884)
    • 오토 판레이스(Otto van Rees, 1884~1888)
    • 코르넬리스 페이나커르 호르데이크(Cornelis Pijnacker Hordijk, 1888~1893)
    • 카럴 헤르만 아르트 판데르베이크(Carel Herman Aart van der Wijck, 1893~1899)
    • 빌럼 로세봄(Willem Rooseboom, 1899~1904)

======# 태국 #======
======# 베트남 #======
2.3.4.4. 동아시아
======# 중국 #======
======# 홍콩파일:영국 국장(1837-1952).svg #======
======# 한국 #======
======# 일본 #======

2.3.5. 오세아니아

=====# 호주파일:영국 국장(1837-1952).svg #=====
  • 호주 국왕
  •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6]
    • 제8대 총독 리처드 바우어키 경(1831 ~ 1837)
    • 제9대 총독 조지 깁스 경(1838 ~ 1846)
    • 제10대 총독 찰스 오거스터스 경(1846 ~ 1855)
    • 제11대 총독 윌리엄 데니슨 경(1855 ~ 1861)
      • 초대 주총리 스튜어트 도널드슨(1856 ~ 1856)
      • 제2대 주총리 찰스 카우퍼(1856 ~ 1856)
      • 제3대 주총리 헨리 파커(1856 ~ 1857)
      • 제2대 주총리 찰스 카우퍼(1857 ~ 1859)
      • 제4대 주총리 윌리엄 포스터(1859 ~ 1860)
      • 제5대 주총리 존 로버트슨(1860 ~ 1861)
      • 제2대 주총리 찰스 카우퍼(1861 ~ 1863)
    • 제12대 총독 존 영 경(1861 ~ 1867)
      • 제6대 주총리 제임스 마틴(1863 ~ 1865)
      • 제2대 주총리 찰스 카우퍼(1865 ~ 1866)
      • 제6대 주총리 제임스 마틴(1866 ~ 1868)
    • 제13대 총독 벨모어 백작(1868 ~ 1872)
      • 제5대 주총리 존 로버트슨(1868 ~ 1870)
      • 제2대 주총리 찰스 카우퍼(1870 ~ 1870)
      • 제6대 주총리 제임스 마틴(1870 ~ 1872)
    • 제14대 총독 허큘리스 로빈슨 경(1872 ~ 1879): 이후 뉴질랜드 총독 역임.[7]
      • 제7대 주총리 헨리 파크스(1872 ~ 1875)
      • 제5대 주총리 존 로버트슨(1875 ~ 1877)
      • 제7대 주총리 헨리 파크스(1877 ~ 1877)
      • 제5대 주총리 존 로버트슨(1877 ~ 1877)
      • 제8대 주총리 제임스 파넬(1877 ~ 1878)
      • 제7대 주총리 헨리 파크스(1878 ~ 1883)
    • 제15대 총독 로드 오거스터스 로프터스(1879 ~ 1885)
      • 제9대 주총리 알렉산더 스튜어트(1883 ~ 1885)
    • 제16대 총독 로드 캐링턴(1885 ~ 1890)
      • 제10대 주총리 조지 딥스(1885 ~ 1885)
      • 제5대 주총리 존 로버트슨(1885 ~ 1886)
      • 제11대 주총리 패트릭 제닝스(1886 ~ 1887)
      • 제7대 주총리 헨리 파크스(1887 ~ 1889)
      • 제10대 주총리 조지 딥스(1889 ~ 1889)
      • 제7대 주총리 헨리 파크스(1889 ~ 1891)
    • 제17대 총독 저지 백작(1891 ~ 1893)
      • 제10대 주총리 조지 딥스(1891 ~ 1894)
    • 제18대 총독 로버트 더프 경(1893 ~ 1895)
      • 제12대 주총리 조지 라이드(1894 ~ 1899)
    • 제19대 총독 햄프덴 비스카운트(1895 ~ 1899)
      • 제12대 주총리 조지 라이드(1894 ~ 1899)
    • 제20대 총독 보챔프 백작(1899 ~ 1901)
      • 제13대 주총리 윌리엄 린(1899 ~ 1901)
  • 호주 자치령
    • 초대 총독 제7대 호프턴 백작 존 호프(1901 ~ 1902)

=====# 뉴질랜드파일:영국 국장(1837-1952).svg #=====
  • 뉴질랜드 국왕
  • 뉴질랜드 부족연합
    • 영국 공사관 존 버스비(1835 ~ 1840)
  • 뉴질랜드 식민지
    • 초대 총독 윌리엄 홉슨(1840 ~ 1842)
    • 제2대 총독 로버트 피츠로이(1843 ~ 1845)
    • 제3대 총독 조지 그레이 경(1845 ~ 1853)
    • 제4대 총독 토머스 고어 브라운(1855 ~ 1861)
      • 초대 총리 헨리 스웰(1856 ~ 1856)
      • 제2대 총리 윌리엄 폭스(1856 ~ 1856)
      • 제3대 총리 에드워드 스탠퍼드(1856 ~ 1861)
    • 제3대 총독 조지 그레이 경(1861 ~ 1868)
      • 제2대 총리 윌리엄 폭스(1861 ~ 1862)
      • 제4대 총리 앨프리드 도미트(1862 ~ 1863)
      • 제5대 총리 프레드릭 휘태커(1863 ~ 1864)
      • 제6대 총리 프레드릭 웰드(1864 ~ 1865)
      • 제3대 총리 에드워드 스탠퍼드(1865 ~ 1869)
    • 제5대 총독 조지 퍼거슨 보언 경(1868 ~ 1873)
      • 제2대 총리 윌리엄 폭스(1869 ~ 1872)
      • 제3대 총리 에드워드 스탠퍼드(1872 ~ 1872)
      • 제7대 총리 조지 워터하우스(1872 ~ 1873)
      • 제2대 총리 윌리엄 폭스(1873 ~ 1873)
      • 제8대 총리 줄리어스 보겔(1873 ~ 1875)
    • 제6대 총독 제임스 퍼거슨 경(1873 ~ 1874)
      • 제8대 총리 줄리어스 보겔(1873 ~ 1875)
    • 제7대 총독 노만비 후작 조지 핍스(1875 ~ 1879)
      • 제8대 총리 줄리어스 보겔(1873 ~ 1875)
      • 제9대 총리 대니얼 플랜(1875 ~ 1876)
      • 제8대 총리 줄리어스 보겔(1876 ~ 1876)
      • 제10대 총리 해리 앳킨슨(1876 ~ 1877)
      • 제11대 총리 조지 그레이 경(1877 ~ 1879)
    • 제8대 총독 허큘리스 로빈슨 경(1879 ~ 1880): 이후 케이프 총독 역임.
      • 제12대 총리 존 홀(1879 ~ 1882)
    • 제9대 총독 아서 해밀턴고든 경(1880 ~ 1882)
      • 제12대 총리 존 홀(1879 ~ 1882)
      • 제5대 총리 프레드릭 휘태커(1882 ~ 1883)
    • 제10대 총독 윌리엄 저보이스 경(1883 ~ 1889)
      • 제10대 총리 해리 앳킨슨(1883 ~ 1884)
      • 제13대 총리 로버트 스타우트(1884 ~ 1884)
      • 제10대 총리 해리 앳킨슨(1884 ~ 1884)
      • 제13대 총리 로버트 스타우트(1884 ~ 1887)
      • 제10대 총리 해리 앳킨슨(1887 ~ 1891)
    • 제11대 총독 온슬로 백작 윌리엄 온슬로(1889 ~ 1892)
      • 제10대 총리 해리 앳킨슨(1887 ~ 1891)
      • 제14대 총리 존 밸런스(1891 ~ 1893)
    • 제12대 총독 글래스고 백작 데이비드 보일(1892 ~ 1897)
      • 제15대 총리 리처드 세던(1893 ~ 1906)
    • 제13대 총독 랜펄리 백작 어크터 녹스(1897 ~ 1904)
      • 제15대 총리 리처드 세던(1893 ~ 1906)

=====# 통가 #=====
  • 통가 제국
    • 라우필리통가(1827 ~ 1865)
  • 통가 왕국
    • 초대 국왕 조지 투포우 1세(1845 ~ 1893)
      • 초대 총리 테비타 융가(1876 ~ 1879)
      • 제2대 총리 셜리 발데마르 베이커(1881 ~ 1890)
      • 제3대 총리 시아오시 투쿠아오(1890 ~ 1893)
    • 2대 국왕 조지 투포우 2세(1893 ~ 1918)
      • 제4대 총리 시오사테키 베이쿠뉴(1893 ~ 1905)

=====# 하와이 #=====

3. 영국 사회

3.1. 사회계급(Social Class)


빅토리아 시대의 사회 계급에 따른 생활상을 소개하는 영상.

3.1.1. 상류층(Upper Class)

토지를 보유하고 노동을 하지 않고도 살 수 있는 유한계급. 전근대 시대부터 전통적인 지배층으로 군림하며 특권을 누리던 계층이다. 비록 젠트리의 등장과 근대적 시민의식의 성장 등으로 이전처럼 절대적인 지위는 아니게 되었지만,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까지 이들의 정치, 경제적 영향력은 막강했다. 하지만 이들의 드높은 지위도 1차 세계대전으로 전근대적 귀족체제가 붕괴되면서 사회·역사적 상징성 외에는 영향력을 대폭 상실하게 된다. 물론 기존에 쌓아둔 부가 어디 가지는 않았기때문에 일부 몰락 귀족이 아니고서야 대부분의 경우 새로운 자본주의 사회에 적응해 기업가로 변신하는 식으로 경제적 지위는 이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 왕족
  • 귀족 - 보통 귀족원(상원)을 통해 정계에 진출했다.
    • 일대귀족 - 영국에만 존재하는 특수한 귀족작위. 주로 대부호나 고위 공무원, 장자가 아닌 귀족의 자식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 성공회 고위 성직자

3.1.2. 중산층(Middle Class)

근세부터 지속적으로 성장해 온 중산층은 근대 산업혁명 시대를 거치며 자유방임주의 경제와 대량생산 시대라는 새로운 사회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 젠트리: 신흥 자본가들은 이전까진 귀족의 전유물이었던 성직자, 법조인, 의사, 공무원, 사관, 대학교수(학자) 등의 전문직에도 진출하게 된다. 이후에는 교사(교육), 배우(엔터테인먼트), 예술가(엔터테인먼트), 건축가, 회계사 등도 포함하게 된다. 이들이 전문직의 주류가 되면서 전문직은 곧 젠트리의 상징이 되며, 이들은 무리해서라도 메이드를 고용함으로서 사회적인 지위를 과시하고자 하였다.
  • 숙련공: 빅토리아 시대 초중반의 가혹한 노동환경이 조금씩 개선되고, 노동조합이 등장하여 파업을 통해 권리를 주장하기 시작하면서 노동계급 중에서도 비교적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된 이들이 등장했다. 이들 숙련공들은 경력과 숙련도를 내세워 초급 기술자들보다 나은 대우를 받았고, 삶의 여유가 생긴 이들은 여가활동에도 눈을 돌려 현대 영국 스포츠의 대표격인 축구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3.1.3. 노동계급(Working Class)

일반적으로 서민 내지는 하류층으로 취급되던 신분이다. 당시 영국인의 절대다수는 이 노동계급에 속했다.
  • 노동자 계급: 초급 기술직, 공장 생산직, 선원, 마부, 구두닦이, 광부, 농부, 어부, 목동, 조선공, 광대 등. 당시 영국사회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대부분은 저임금에 허덕이며 하루하루 연명하는 수준의 삶을 살아가는 경우가 많았다.[8]. 물론 아동도 예외는 아니었다.
  • 집사 메이드 : 이들 역시 넓은 범주에서는 노동계급에 속한다. 하지만 집사의 경우, 몇몇 유력 가문의 집사장은 중산층 출신인 경우도 심심찮게 있었으며, 심지어 왕족의 집사는 귀족의 자제들이 종사하기도 하였다. 또한, 하류층 출신이더라도 상류층의 신뢰와 능력을 인정받는 이들은 젠트리에 편입되어 신분상승을 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기에 완전히 하류층만의 전유물로 취급하긴 어렵다. 다만 집사와 달리 메이드는 실제 절대다수가 하류층 출신이었다.

    특히 대중의 인식과는 다르게 집사와 메이드는 위의 막노동자들보다는 좋은 대우[9]를 받으며 일을 했기에 노예같은 위치가 아니여서 어느정도 인간적인 삶과 평화로운 일상을 보냈다. 그러나 20세기 이후 기술발전으로 청소기가 등장하고, 임금상승으로 고용유지가 어려워지자 왕실이나 대귀족 가문 몇몇을 제외한 일반 중산층 가정의 메이드들은 점차 사라지게 된다. 이들 중 일부는 경력을 활용해 카페를 차리거나 메이드 카페 연관업종(청소, 빨래방 등)에 재취업하여 종사하기도 했다.

3.1.4. 빈민층(The Poor)

  • 빈민층: 노숙자, 실업자, 고아 등. 당시 영국의 자유방임주의 하에서 힘든 삶을 영위했다.
  • 집시: 집시들 중에선 정착하여 평범하게 노동자로 생활하던 이들도 있던 반면, 유랑생활을 하던 부류도 상당수 있었다. 물론 대부분은 그다지 넉넉한 삶을 살지 못하고 사회의 최하류층에서 표류했다. 사실 이는 주류 사회와 유리되어 떠돌아다니는 집시들 특성상 영국뿐만 아니라 전 유럽에서 보편적인 현상이었다.

3.2. 정치 구조: 입헌군주제

3.2.1. 여왕: 국가원수

3.2.2. 영국 총리: 정부수반

3.2.3. 의회: 양원제

3.2.3.1. 귀족원( 상원)
지배층(귀족, 성직자)으로 구성.
3.2.3.2. 서민원( 하원)
피지배층( 젠트리, 중류층, 노동자계층)으로 구성

3.3. 사회상

3.3.1. 주요 키워드

3.3.1.1. 서구권
3.3.1.2. 서구권 외

3.3.2. 산업의 발전

인간과 동물의 힘을 이용하던 형태에서 증기의 힘을 이용하는 기계장치, 증기기관이 산업에 적용되면서 산업혁명이 일어났고, 이 과정에서 특허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자본가가 탄생했다.

증기기관은 초기에는 방적기의 형태로, 이후에는 증기기관차, 증기선의 형태로 응용되면서 단순히 인간의 노동을 대치하게 되는 것을 넘어서 기존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일들, 장거리 여행등의 전세계적 육상, 해상 공공교통수단의 발전을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산업 혁명으로 확산된 부의 불평등이나 열악한 노동 환경으로 인해 하층민의 삶은 처참했고, 이는 공산주의 사상을 낳아 20세기 내내 치열하게 벌어질 사상 대립을 예고했다. 카를 마르크스 자본론을 집필한 곳도 빅토리아 시대의 런던이었다. 그러나 정작 사회주의 국가가 탄생한 장소는 빅토리아 시대의 서유럽이 아닌 20세기 초입의 동유럽이었다.

3.3.3. 현대적인 범죄조직의 등장

근대화를 통해 다양한 산업이 발전하고, 각지에서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도시로 유입되면서 19세기 후반부터 자연스레 갱스터, 마피아같은 현대적인 범죄조직들도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주로 무역이 활발한 리버풀, 글래스고 같은 항구도시나 공업이 크게 발달한 런던, 버밍엄, 맨체스터 같은 도시를 거점으로 활동했다. 이후에 범죄조직들은 1차 세계대전 종전 후인 1920~30년대 전간기의 혼란한 사회상을 이용해 크게 성장하여 도시의 치안을 위협하기도 했는데, 이런 갱스터들의 모습은 BBC의 드라마 피키 블라인더스에서 잘 묘사했다. 빅토리아 시대의 악명높은 갱단들

3.3.4. 종교

종교 간의 갈등은 비록 내부적으로는 지속되었지만 이전처럼 격렬하게 갈등이 표출되지는 않았다.[10] 당시 성공회는 고교회파와 저교회파로 나뉘어 있었다. 고교회파는 초기 교회로 부터 내려오는 전례의식 등을 중시했고 저교회파는 좀 더 개신교적 성향을 띄었다. 이들의 반목 끝에, 고교회파가 대거 가톨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가톨릭이 1850년, 비오 9세가 영국에 교구를 재설치하고 추기경을 서품하며 다시 사목을 시작했다. 한편 성공회 내부에서 빈민들에게 도움을 주지 못한다며 비판하는 일파가 대두되었다. 존 웨슬리로 대표되는 이들은 복음주의를 주장하며 결국 다른 종파로 떨어져 나가게 되는데 이들이 바로 감리교이다. 이러한 성공회를 제외한 신교는 영국에서 비국교회(Non-conformist)로 통칭되었는데, 17세기에 이런 비국교회 신교들에 대한 종교의 자유가 허락되고 빅토리아 시대에 이르러서는 감리교, 퀘이커, 침례교, 장로회 등 다양한 교파들이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었다. 또한 이 시기에 불가지론이 크게 대두되었으나 무신론은 각광 받지 못했다. 법으로 대놓고 신성모독 법이 있어 무신론을 정죄했기 때문이었다. 아직까지 유럽에서 기독교의 영향력은 절대적이었으며, 영국 또한 마찬가지였다. 계층에 상관 없이 신앙생활을 하지 않거나 소홀히 하는 것은 흠으로 여겨졌다.[11]

이 시대에는 종교적인 도덕성이 이전보다 훨씬 강조되었다. 특히 성문화의 경우 이전 시대보다 훨씬 보수적이고 종교적인 양상을 띄었다. 성적인 언급을 공개적인 자리에서 하는 것은 상당히 무례한 일이었다. 나폴레옹 시대만 해도 기혼 여부와 관계없이 자유로운 성생활을 즐기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나, 빅토리아 시대에는 외도가 사회적으로 크게 지탄 받을 일이 되었다. 이혼은 여전히 종교적으로 기피되었고, 혼전순결은 전보다 더욱 중시되었으며 여성에게 더 엄하게 적용되었다. 이러한 엄격한 성도덕성 때문에 불감증을 겪는 여성이 늘기도 했다. 그러나 반대로 도시의 발달과 빈민층의 등장으로 음지에서 성매매가 더욱 활성화되는 아이러니를 빚기도 했다.

3.3.5. 대중문화의 태동

이전에는 지배층의 후원을 받으며, 그들을 위해 만들어지던 문화들(그림, 소설, 시, 연극, ...)이 도시중심으로 모인 대규모의 노동자들이 즐길 수 있는 형태와 내용으로 변해가면서, 대중문화가 만들어지게 된다. 셜록 홈즈와 같은 추리소설, 대규모의 마술쇼, 르미에르 형제의 열차의 도착 같은 초기 형태의 영화 등 사람들의 여가시간에 즐길만한 다양한 형태의 작품들이 생겨난다. 이러한 초기 대중문화는 바다 건너 미국에 영향을 주면서 20세기 이후 주류가 되는 미국 대중문화의 기초가 된다.

공교롭게도 빅토리아 시대, 정확히는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시작된 19세기 유럽은 근대 과학의 시대이기도 하면서 중세의 미신과 오컬트의 잔재가 남아있던 과도기적인 시기이기도 하다. 때문에 현재까지 내려오는 판타지적 문화요소들의 이미지가 정립된 시기이기도 한데, 예를 들어 당시 상류층과 젠트리들 사이에서 위자 보드같은 강령술이나 흑마술, 최면술과 점성술 등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는 점, 뱀파이어처럼 일부 지역의 미신에서 머무르던 도시전설이 1897년 출판된 브램 스토커의 소설, ' 드라큘라'를 통해 대중적 문화요소로 자리잡고 고딕 소설이 유행하는 등 초자연적, 초과학적인 도시전설들이 과학발전에 힘입은 파급력을 통해 그 문화적 영향력을 키우는 흥미로운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전근대 시대의 미신이 현대 문화요소로서의 오컬트와 판타지로 변화하는 계기를 마련한 시대라고도 볼 수 있다.

3.3.6. 사회복지

1870년대 대불황 시대가 시작되자, 피지배층이었던 중류계급은 정치에 참여하는 형태로, 노동자 계급은 파업의 형태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영국 정부에서 1830년대에 차티스트 운동을 때려잡은 것처럼 이러한 움직임을 억누르려고 하였으나, 시대의 흐름을 막을 수는 없었고 결국 성인 남성의 보통 선거가 가능해졌다. 이로서 보편적인 교육, 복지, 위생 등에 대해 정부가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는 이전에는 각각의 영지 내에서 자체적으로 처리되던 일들이, 산업혁명을 통해 국가라는 규모로 사회가 통합되면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파악하고 대응, 혹은 예측하기 위한 시스템( 학문, 부처, ...)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파악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치적 권리는 여성에게 부여되지 않는 반쪽짜리였고, 빅토리아 '여왕'이 재위하던 시기임에도 여성의 자유과 권리는 인정받지 못했다. 서프러제트에 의해 여성 참정권 운동이 발생했으나, 빅토리아 시대가 끝난 1차 세계대전 이후에서야 여성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3.3.7. 교육

19세기 초기 영국 대학들의 모습은 현대의 대학들과 크게 달랐다. 당시 영국의 본토인 브리튼 제도에서 대학으로서 인가 받은 교육기관은 아래와 같았다. ()
이 중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경우 모든 학생이 수학 시험(Mathematical Tripos; 현재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과 학부생들이 학년 말에 치는 시험 혹은 수학 전공 자체를 가르키는 말)을 치뤄야 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의 경우 모든 학생이 고전 그리스어 라틴어를 배워야 했다. 그러나 1851년 정부의 권고에 따라 해당 의무사항들이 폐지되고 대학 교육과정이 다양화되기 시작하여 자연과학, 사회과학 분야 전공 및 학과들이 신설되었다. 또한 옥스브리지의 기존 칼리지들은 모두 남자대학이었으나, 1870년대부터는 여자대학 칼리지들이 세워지기 시작한다.[12]

빅토리아 시대 들어 교육기관의 설립도 활발해졌다. 1832년에는 노스이스트 잉글랜드 더럼 더럼 대학교가 설립되고 인가받았으며, 1836년에는 런던에서 1826년 설립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과 킹스 칼리지 런던(KCL)이 결성한 런던 대학교 또한 대학 인가를 받는다. 또한 전국 각지에 대학 인가는 받지 못한 실업 및 예체능 계열 고등교육기관들이 우후죽순 생겨났으며, 이들 중 다수는 먼 훗날 인가를 받아 정식 대학으로 승격된다. 예를 들어 1824년 맨체스터 기술원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맨체스터 대학교, 1858년 케임브리지 예술학교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앵글리아 러스킨 대학교 등.

이러한 교육기관의 확충 및 현대화는 빅토리아 시대 이후에도 계속되어 1900~1960년에는 붉은 벽돌 대학(), 1960~1992년에는 판유리 대학()들이 설립된다.

3.3.8. 제국주의

폭발하는 생산성을 주체하지 못하고 바깥으로 계속 진출하여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제국주의가 시작되었다. 자원을 싼 값에 들여와 높은 값에 팔기 위해서는 식민지인의 희생이 필수였고, 불만이 쌓여가서 독립운동을 일으키게 만들기도 했다. 이 시기 어지간한 비유럽 국가들은 열강의 식민지가 되어가는 전철을 밟아가다 결국 식민지가 되었으며, 조선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3.3.8.1. 미국의 식민지화(1607 ~ 1783)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한 뒤 스페인 사람들에 의해 동해안에 식민지가 건설되었으나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미국 스페인령은 남부 플로리다 텍사스, 루이지애나, 오클라호마 그리고 서부 캘리포니아 애리조나, 뉴멕시코였다. 남부는 쿠바 부왕령의 일부였다.

1607년, 영국 버지니아 주 제임스타운에 건설한 식민지가 현 미국의 모태가 된다. 그 이후 1620년 박해를 피해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매사추세츠 플리머스에 도달한 청교도[13]들이 건설한 식민지[14]는 변두리에 지나지 않았다.

이들이 살아남은 것은 그야말로 운이 크게 작용한 것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소상공인들이라서 낚싯대 하나 챙겨간 사람이 없을 정도로 황무지 개척에는 능력이 없었다. 그 결과 제임스타운의 전례를 밟기라도 하듯이 죽어나가기 시작했다. 12월에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한 메이플라워호가 다시 영국으로 떠난 이듬해 4월에는 거의 절반인 54명만 살아남아 있었고, 그나마도 절반은 어린아이들이었다. 이들이 살아남은 이유는 순전히 인근에 거주하던 원주민 왐파노와그족들의 호의에 기반한 것이었고, 그나마도 두 번이나 유럽인에게 납치당하고 노예로 팔리는 등의 고생을 하다가 겨우 메이플라워호 도착 1년 전에 돌아왔다가 2년 뒤에 역병으로 사망한 티스콴툼의 존재가 결정적이었다. 이 사람만 영어를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표류인들? 이 사람들은 티스콴툼이라는 발음도 못해서 스콴토라고 불렀다.

여기서 여담을 붙이자면, 티스콴툼이 죽고 정착민들이 자력 생존이 가능해진 이후에 왐파노와그 족과의 관계는 어떻게 되었을까? 이런 이야기를 한 것에서 짐작하겠지만, 필그림들은 원주민들을 사탄의 종자라고 불렀다.[15] 하지만 정착민들의 계속되는 확장과 더불어 왐파노와그 부족의 영역에 침범하게되고 결국 필립왕 전쟁 때, 왐파노와그들은 정착민들을 공격해서 양측 간의 전쟁이 시작되었고, 정착민들에 의해 왕파노와그 족은 추수감사절의 기원이 된 평화협정이 맺어진 지 50년도 지나지 않아서 거의 절멸했다. 이 시기를 다룬 글. #

이후 계속된 식민 사업으로 미국 동부 13개 주의 기초가 되는 식민지들이 세워진 상황(1732년)에서 여러 요인들로 인한 본국과의 불화가 생겨난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 돈. 재정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영국이 치안 유지비를 식민지들에게 부담시킨 것이 시작이었다.

사실 미국에 주재하던 밀수업자들(아직은 미국인 아님)이 영국의 무역 재정 적자를 악화시킨 것도 하나의 원인이었다. 하지만 처음엔 관계 개선을 원하였을 뿐 독립을 생각하지는 않았다. 식민지 출신 온건파들의 주된 입장은
"저기요, 그렇게 세금 의무 주시면 권리도 줘야죠."
정도로. 프랭클린의 "대표 없는 곳에 세금도 없다."라는 유명한 발언이 이런 의견의 연장선이었다. 다만 실제로는 세금 못 내겠다라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당시 상황을 고려하면, 식민지 대표들이 영국에 가서 대서양 건너 식민지의 이익을 대변한다는 것은 개소리나 마찬가지였기 때문. 실제로 당시 기록을 봐도 정치적 권리를 달라는 것보다 세금 내기 싫다가 훨씬 많다.

여튼 영국 본토는 무시하고 인지세를 걷어서 식민지의 공업성장을 억제하여 식민지를 영국의 시장 정도로 유지하려 들었다. 이에 대해서 영국인들이 식민지인들에게 참정권을 주면 어느 순간엔가 그 세력이 대책없이 커져 버린 식민지가 본토를 누르고 정치-경제적 중심지가 될 것을 우려했다는 설도 있다. 현재 미국과 영국의 내수경제 규모를 생각해보면 일리있는 판단이다. 소규모 권리를 인정해주더라도 실제 정치-경제적 영향력과 행사 가능한 권한의 괴리로 인한 불만은 터져나올 것이며, 결국 독립을 하던지 아니면 본인들의 힘에 걸맞는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던지 둘 중 하나가 될 것이다. 후자가 된다면 본토가 식민지에 먹히게 되는 셈.

그래서 점차 급진파가 여론을 장악하면서[16] 렉싱턴 전투를 기점으로 미국 독립전쟁이 발발하게 된다(1775~1783). 이에 영국은 식민지 독립을 막기 위한 약 4만여 명의 군대를 대대적으로 파견하게 된다.

그에 맞서서 독립 분자(Patriot)들은(아직도 미국인은 아니다) 조지 워싱턴을 사령관으로 대륙군(Continental Army)을 결성, 자발적으로 참여한 민병대 등과 함께 독립전쟁에 나선다. 당시 세계최강이던 영국군의 세력 탓에 한동안 영국에 유리하게 전황이 흘러갔으나, 결국은 프랑스 등과 동맹을 맺은 미국인들이 영국군을 몰아내고 승리를 거둔다. 이 와중에 프랑스는 너무 많은 전비를 사용해 훗날 혁명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사실. 역시 문제는 돈. 독립 전쟁 직전에 보스턴 차 사건(Boston Tea Party)이 있었는데, 이 사건 때문에 미국인들은 홍차 대신 커피를 마시기 시작했다. 물론 실상은 보스턴 차 사건 항목에도 있지만, 영국 상인에 의해서 인도와 중국에서 건너와야 하는 차보다 중남미에서 생산된 커피를 미국 상인들이 직접 들여오는 쪽이 훨씬 저렴하였기 때문이었다.

결국 영국은 1783년 파리조약을 통해 미국의 독립과 미시시피 강 동쪽의 영유권을 승인하였고, 1787년 미국은 헌법을 제정하게 된다.

미국의 국기에 줄이 13개 그려져 있는 이유가 바로 이 시대에 연방에 가입한 주가 13개였기 때문. 첫 번째로 가입한 주는 델라웨어 주. The First State라고 불린다.
3.3.8.2. 인도 식민지화(1757 ~ 1947)
근세 이후 인도 각지에 침투하던 유럽 세력은 대체로 프랑스 영국 동인도 회사(영국의 경우 1757년 설립)로 요약되는데, 7년 전쟁 플라시 전투에서 영국군이 인도 현지 군대와 합세한 프랑스를 격파하면서 지배력을 굳혔고, 영국 동인도 회사령 인도라는 동인도 회사 소유의 식민지를 건설하게 된다.이후 18세기부터 19세기 초반까지 각지 중소 국가들을 격파하고 영국이 전 인도를 지배하게 되었으나, 무굴 제국 왕실은 델리 지역만을 통치하며 형식적으로 존속하였다.

그러나 1858년 일어난 세포이 항쟁을 진압하면서 무굴 제국 왕실(과 함께 동인도 회사도)이 폐지되었고, 1877년에는 영국령 인도 제국(1858~1947, 황제 즉위는 1877)으로 굳혀진다. 이 시기까지 로이의 브라모 사마지 운동 등 의식 개혁 운동과 교육의 보급 운동 등이 진행되었으나, 추세를 바꾸지는 못했다.

식민 지배 시기 마하트마 간디 등의 비폭력 불복종 운동, 자와할랄 네루와 인도 국민 회의 계통의 독립 운동, 진나가 이끄는 무슬림 연맹 등의 독립 운동 등이 계속되어 인도의 주권을 찾으려 노력하였다. 대체로 인도의 독립 운동은 자치권을 확대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민주주의를 도입하면서 자신들의 의석 보장을 원하는 이슬람교와 자신들에게 유리한 일반적 민주주의를 주장하는 힌두교 세력이 서로 대립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미얀마를 점령한 일본군과 맞서기도 했지만, 한편으로 일본군을 이용해 영국을 몰아내고 독립을 쟁취하려 한 찬드라 보스의 활동도 있었다. 1942년에는 마하트마 간디의 지도 하에 대대적인 저항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러나 당시 영국은 동남아시아에 영향력을 확장하려는 일본 제국에 모든 힘을 집중해야 했으므로 이들 운동을 신속하게 무력 진압했다.
3.3.8.2.1. 경작
  • 사탕수수: 당시 영국은 한 해 설탕 소비량이 7만톤에 달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식민지에서 대량의 사탕수수를 지배함.
  • 아편: 대 중국 무역에서 밀수출함
  • : 아삼 지역에서 재배함
3.3.8.3. 캐나다의 식민지화(1763 ~ 1982)
7년 전쟁의 끝나면서 프랑스 식민지들이 영국의 식민지로 굳어짐. 이후 영국은 캐나다 지역이 미국의 독립전쟁에 참여하는 것을 막기위해 퀘벡의 프랑스계 주민들이 가톨릭 신앙을 유지하고 프랑스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특권을 인정해줌.
  • 1843년 11월: 캐나다에서 '그레이스 마크스'와 '제임스 맥더멋'이 그들의 고용인인 '토머스 키니어'와 그의 정부 '낸시 몽고메리'를 살해함. 이 사건은 훗날 소설 "알리아스 그레이스"로 널리 알려짐.
3.3.8.4. 호주의 식민지화(1787 ~ 1986)
1787년 영국 호주 대륙의 동반부를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Colony of New South Wales)로 선포한다. 그후 영국인들의 호주 대륙 해양 탐사에 따라 식민지는 차츰 넓어져가서 가장 넓었을 시절의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는 퀸즐랜드, 빅토리아, 태즈메이니아, 노던 준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까지 모두 포함하는 거대 식민지였다.

1788년 영국이 유형수들을 시드니에 상륙시킴으로써 호주 이민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대륙의 동남부를 차지하며, 대륙 개발의 거점이 되었던 지역이다.

이민으로 인구와 이민자 정착지가 증가하면서 1825년 태즈메이니아가 별개의 식민지로 떨어져나간 것을 시작으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빅토리아, 퀸즐랜드가 별개의 식민지로 떨어져나갔으며, 1863년에는 노던 준주의 영역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관할로 넘겼다. 1901년에 영국의 자치령으로서 호주 연방이 결성되면서 뉴사우스웨일스는 호주의 주가 되었고, 1911년에 신수도 건설을 위해 캔버라와 그 일대를 호주 수도 준주로 떼주고 1915년에는 연방정부의 물류수송과 연방 해군의 조차를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저비스베이 준주 지역을 떼주면서 현재의 영역이 확립되었다. 오늘날에도 호주의 모든 부문에서 가장 강력하며 중요한 주이다.
3.3.8.5. 말레이시아 식민지화(1826 ~ 1957)
유럽에서 나폴레옹 전쟁이 일어나자 영국의 동남아시아 진출은 급진전했다. 네덜란드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공격을 받아 정복당하고, 왕은 영국으로 망명해 아시아 지역에서의 네덜란드 지배권을 모두 영국에게 위임했다(1795). 그러자 영국은 더욱 대담하게 동남아시아 식민지 경영에 착수하여 페낭에 영국 상관을 설치하고, 말라카 및 바타비아를 접수했으며, 향료 제도에 이르기까지의 제해권을 장악했다.

영국은 페낭을 얻었고, 이 곳을 시작으로 해서 1819년에 싱가포르를 건설하기까지 말레이 반도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증대해 갔다. 1824년에는 네덜란드와 맺은 조약(런던 협약)에 의해 수마트라, 자와(한국에 익히 알려진 자바(Java)는 영문명) 등 현재의 인도네시아 지역은 네덜란드가, 말레이 반도 지역은 영국이 관할하기로 결정되었다.

결국 페낭, 말라카, 싱가포르를 한데 묶어 ' 해협 식민지(Straits Settlements)'를 만들기에 이른다(1826). 하지만 이 때까지의 영국의 관심은 무역로 장악이었을 뿐이고, 특히 중요한 것은 '중국으로의 길' 이었다. 해로상의 거점을 장악했으면 그걸로 충분했다. 당시까지는 말레이 반도에서 수익성 높은 자원이 생산되는 것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19세기부터 영국은 말레이 반도 그 자체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그 중심에는 주석이 있었는데, 주석을 이용한 함석 제조 기술이 발전하고 수요가 증대함으로써 말레이 반도의 주석 광산들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되었던 것이다.

주석 광산의 운영에는 세 집단이 관련되어 있었다. 첫째는 주석 광산을 보유한 술탄이었고, 둘째는 그것을 운영하는 영국의 자본가들이었으며, 셋째는 바로 주석 광산에서 일하는 중국인 노동자들이었다. 이렇게 말레이 반도로 건너온 중국인들이 뛰어난 교육열과 부지런함으로 영국령 말레이시아의 중간 공무원들이 되기도 하고 말레이시아의 경제권을 장악하기도 하면서 소외된 말레이계 사람들과 점점 반목하게 된다. 당시 영국인들은 말레이계열은 착하고 성실하지만 단순하고 게으르고, 중국인들은 능력있지만 영악하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편향적인 말레이계-중국계 고정관념은 동남아에선 아직도 통한다. 심지어 멀리 떨어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도 통한다. 영국인 지주들은 말레이계 사람들을 하인으로 삼아 집안일을 시켰고 중국계를 부두나 시장에서 일하게 했는데, 이 때문에 아직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구 통계 작성시에 '기타' 항목이 아닌 별도 항목으로 작성될 정도로 숫자가 많다.

한편 19세기 말부터 급격히 확대되기 시작한 고무 플랜테이션 역시 말라야의 경제에 큰 역할을 했다. 20세기 초가 되면 고무가 말라야의 주 수출품목으로서 주석과 경쟁하게 되었으며,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말레이 반도의 고무 농장 면적이 전 세계 고무 농장 면적의 절반에 달할 정도였다. 주석의 생산을 주로 중국계 광산 노동자들이 담당했다면, 고무 생산은 주로 계약이민으로 넘어온 인도계 농장 노동자들이 담당하였다. 20세기 초 고무 산업의 급성장에 발맞추어 말라야의 인도계 이민자 인구도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고무 농장은 주로 페락, 슬랑오르, 크다, 조호르, 느그리슴빌란 5개 주에 집중되어 있었다.
3.3.8.6. 홍콩 식민지화(1842 ~ 1997)
당시 중국의 청나라와의 제1차 아편전쟁 이후 1842년 홍콩(정확하게는 홍콩 섬)을 양도받게되고, 이곳에 빅토리아 시티를 건립하고 총독부를 신설한다.
3.3.8.7. 아프가니스탄 보호국화(1880 ~ 1919)
독립국이된 아프가니스탄의 지도자가 영국의 심기를 건드려서 영국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다. 아프가니스탄은 전쟁에서 패전하여 사실상의 보호국 신세로 전락한다. 7개월 뒤, 봉기가 일어나고, 영국이 이를 진압한 후 아프가니스탄은 정식으로 보호국이 된다.

이후, '압둘 라흐만 칸'과 그의 후계자인 '하비불라 칸' 시대까지 친영정책이 유지되어 영국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 하지만 하비불라 대에 이르러서는 영국이 아프간에 지나치게 간섭하여 들기 시작하여 아프간은 오스만 제국과 독일을 끌어들여 영국을 견제하고자 하였다.

오스만과 독일과의 여러 차례 교류와, 영국이 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아프간을 방어해 낼 여력이 없음을 알게 된 '하비불라 칸'은 아프간을 완전한 주권국으로 부활시킬 꿈을 꾸었다. 이에 하비불라는 영국에게 이를 요청하였으나 영국은 이를 거절하고, 1919년 2월 하비불라는 암살당한다.

하비불라가 암살당한 이후 그의 동생인 나스랄라 칸과, 하비불라의 아들이었던 아마눌라 사이에 왕위계승 분쟁이 일어났다. 보수파가 나스랄라를 지지하고 민주주의적 성향을 띈 개혁파가 아마눌라를 지지했는데, 아마눌라가 분쟁에서 이기고 나스랄라를 구금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나라는 극히 불안정했고 보수파들은 공공연히 쿠데타를 이야기하고 다녔다. 보수파의 지지를 얻고 내부 불안을 외부로 돌리기 위해, 아마눌라는 영국령 파키스탄과 인도를 침공하였다.

비록 영국군이 아프가니스탄군에 비해 우월하다고는 하나, 이미 영국군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상당한 군인과 장비를 소모한 상태였기에 잘 해본다면 승산이 있는 싸움이었다. 초기에는 이를 이용하여 아프가니스탄군이 상당히 진군하였으나, 전열을 가다듬은 영국군의 반격과 아프가니스탄군 사이의 내부 분열로 인해 오히려 밀리기 시작했다. 당시 아프간군은 통일된 군대가 아니라 여러 부족들의 민병대를 규합해서 모은 연합부대의 성격에 가까웠기에 분열이 매우 극심했다. 특히 부족의 족장들을 국왕이 통제하지 못하다 보니 단합력도 떨어졌다. 결국 아프가니스탄군은 1천명의 전사자를 냈고 나중에는 전세가 아프가니스탄에게 불리했다. 하지만 영국과 아프가니스탄 둘 다 싸움을 지속할 여력도, 의지도 없었다.

결국 양측이 라왈핀디에서 회담을 가져 영국은 아프가니스탄의 완전 독립을 보장하며 떠났고 아프가니스탄은 영국과의 외교 관계를 회복하면서 끝났다. 아프가니스탄은 그리도 원하는 완전한 주권국이 될 수 있었지만, 장기간 식민통치를 받고 독립전쟁을 치르며 큰 타격을 입었고 영국이 보내주던 막대한 액수의 보조금도 사라져 한동안 재정난을 겪어야만 했다.
3.3.8.8. 이집트 보호국화(1882 ~ 1922, 1956[17])
1870년대, 이집트는 많은 이권을 영국에게 빼앗기고 있었다. 특히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주식을 영국이 구입하면서부터 간섭이 심해졌다. 1879년, 이집트에선 아라비 파샤를 중심으로한 민족주의자들의 반란이 일어났다.(Urabi revolt) 그러자 1882년, 영국은 이에 개입해 군대를 파병하였고, 반란군은 영국군에 순식간에 녹아내린다.

그 이후 이집트에는 영국군이 주둔하게 되었으며, 약 74년간 영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된다.[18] 이집트의 민족주의자들은 반영 폭동을 일으키기도 했으나 진압당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1914년, 이집트에서는 후세인 카멜[19]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하고,[20] 이집트 술탄국이 설립된다. 그러나 영국은 이집트를 식민지로 병합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그러자 이를 알게알게된 이집트인들은 영국의 적국인 독일 제국의 도움을 받아 이집트를 독립시키기 위해 친독 성향을 가지기도 했다. 할수 없이 이집트를 자국 편에 끌어들이는 것을 원한 영국은 공식적인 보호령으로 삼는 것에 그쳤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이집트인들을 전쟁터로 동원하고, 전쟁 물자도 수탈해간 영국에 대해 분노한 이집트인들은 전후인 1919년, 대규모 반영 운동을 일으키는데, 이게 바로 1919년 이집트 혁명이다.

결국 영국은 1922년 이집트를 이집트 왕국이라는 왕국으로 독립시킨다. 그러나 영국군은 여전히 주둔하고 있는 상태였고, 수에즈 운하도 여전히 영국 소유였다. 경제적으로도 영국에 의존하는 성향이 컸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이탈리아 왕국 이탈리아령 리비아를 통하여 이집트를 침공했으나 영국군이 이탈리아군으로부터 이집트를 보호하였다. 2차 대전 이후, 영국은 자국의 군대를 수에즈 운하를 제외한 이집트의 영토에서 철수시킨다.

3.3.9. 식민지 플랜테이션

4. 문화

4.1. 상류층 문화

4.2. 대중문화

4.3. 교통·통신수단

4.4. 의복

  • 뉴스보이 캡(카스케트)
  • 멜빵바지 - 카스케트와 함께 당대 노동자들을 상징하는 패션. 이후 전간기 즈음엔 중산층 사이에서도 이런 패션이 흔해졌다.
  • 실크햇
  • 보닛
  • 카노티에(Canotier hat) - 외출용 여성 모자. 실크햇처럼 양모로 만드는 것부터 남성용 보터햇처럼 밀짚으로 만든 것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 볼러
  • 프록 코트
  • 드레스 - 영국의 사회보수주의 성향과 빅토리아 여왕 개인의 엄숙주의가 널리 퍼지며 기존 드레스에 보편적이었던 데콜타주가 쇠퇴하였다.
  • 스커트 - 롱스커트가 여성들의 일상복으로 흔히 쓰였다.
  • 코르셋
  • 정장 - 현대적인 양복은 빅토리아 시대 말엽부터 프록코트와 테일코트 등이 간소화되며 등장했다.
  • 망토 - 프록 코트 위에 걸치는 용도로 사용했다.
  • 인버네스 - 어깨부분에 망토가 달린 코트.
  • 크라바트 - 16세기 말 크로아티아에서 시작되어 매던 넥타이의 조상인 넥 밴드. 본래 흰색만 쓰였으나 영국에서 여라가지 색을 조합한 이후 다양한 색이 쓰였다.
  • 크리놀린 - 빅토리아 시대를 다룬 창작물에서 흔히 보이는 드레스의 치마 부분을 부풀리는 데에 쓰인 속옷이다. 1840-1860년 유행했다. 파팅게일과 파니에의 후신같은 셈. 강철 와이어나 고래수염같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만들었는데, 새장같은 모양으로 만들었고 시대에 따라, 계층에 따라 유행한 실루엣이 달라서 매우 다양한 형태가 있다. 빅토리아 후기부턴 크리놀린이 간소화된 크리놀렛, 랍스터 꼬리같이 엉덩이만 부풀리게 나온 버슬이 유행하면서 일상복으로써는 사라지게 된다.
  • 버슬 - 19세기 말 크리놀린이 쇠퇴하고 유행했던 의복. 드레스의 뒤쪽을 묶고 엉덩이를 불룩하게 강조함.

5. 빅토리아 시대의 유명인 목록

5.1. 문학

5.2. 과학·공학

5.3. 철학

5.4. 예술

5.5. 기타

6.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한 창작물(작품내 연도)

6.1. 소설

6.2. 동화

출판년도 순으로 기재

6.3. 그래픽 노블

6.4. 영화

6.5. 드라마

6.6. 연극/오페라/뮤지컬

6.7. 만화

6.8. 애니메이션

6.9. 게임




[1] 영어에는 Royal We 혹은 Majestic Plural 으로 불리는 보통 서구의 군주가 스스로를 복수(We)로 칭하는 장엄 복수형이라는 어법이 존재하나 위 발언은 당시 보어 전쟁에 적극적이었던 전시 내각이 소집된 상태에서 빅토리아 여왕이 다소 소극적인 행보를 보인 총리를 꾸짖으면서 나온 것으로 정황상 본인 혼자만을 가리키기보다는 내각 전원을 칭하는 것이라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2] 대부분의 중세 판타지가 중세 시대의 고증에는 관심이 없고 단순히 중세의 시대적인 분위기만 차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3] 물론 엄밀히 떨어지는 것은 아니라서 절대왕정이나 프랑스 대혁명, 혹은 나폴레옹 전쟁 시기처럼 빅토리아 시대 이전의 의복이나 시대상을 모티브로 잡은 경우도 있다. [4] 훗날 이탈리아 왕국 제6대 총리를 역임했다. [5] 마지막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 총리이자 이탈리아 왕국 초대 총리 [6]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에서 다른 식민지들이 갈라졌다가 호주 연방으로 합쳐진 것이지만, 편의상 뉴사우스웨일스만 넣는다. [7] 참고로 호주에서 이 사람이 활동할 무렵 동시대 미국에서는 율리시스 S. 그랜트 대통령이 재직했는데, 공교롭게도 그리스 신화의 인물 이름을 가진 태평양 양쪽의 지도자가 1870년대에 두명 나왔다. 헤라클레스의 이름을 가진 로빈슨 뉴사우스웨일스 총독, 오디세우스의 이름을 가진 그랜트 미국 대통령. [8] 하루의 일과가 새벽에 일어나 삶은 감자 한개 먹고 저녁 10시까지 일하는 기계부품 같은 삶을 살았다. 이러다가 장애인이 되면 보상은 커녕 해고당하는 것도 모자라 가족들에게까지 버림받은 채 죽어갔다. [9] 정해진 임금, 숙식 보장, 일 잘하면 신분상승, 실내근무 등 인권이 없던 그 시대 치고는 굉장히 좋은 환경이다. 하지만 주인의 인성에 따라 폭행, 성폭행 사건 등이 일어나기도 했다. [10] 물론 이후 아일랜드 문제에서 다시 한번 구교와 신교의 갈등 구조가 표면화 되지만 애초에 아일랜드는 단순한 종교 갈등이 아니라 민족 갈등 문제와 결부된 것이었다. [11] 대표적으로 셜록 홈즈 시리즈만 봐도 증인들이 용의자의 평소에 행실이 좋지 않다며 자주 지적하는 점 중 하나가 신앙심이 없다는 것이다. [12] 참고로 옥스브리지 주요 칼리지들 및 미국 아이비 리그 대학들의 남녀공학화는 1960~80년대에 가서야 이루어진다. [13] Puritan인데, 이들을 청교도라고 부르는 것이 정당한가에 대해서는 좀 의문이 많다. 영국역사에서 청교도는 국교회에 대항해서 개혁운동을 벌인 이들을 의미하는 단어로, 이들처럼 영국국교회를 버리고 이탈한 이들에 대해서는 분리주의자Separatist라고 부른다. [14] 제임스타운에서 북쪽으로 수백km 떨어진 곳에 위치 [15] '영어를 할 줄 아는 스콴토'는 자신들의 정착을 돕는 하느님의 사자였다. [16] 이 과정에서 토마스 페인의 팜플릿 '상식'이 큰 역할을 했다. [17] 제2차 중동전쟁 이후 [18] 이때부터 영국의 비공식적인 보호령이 된다. [19] 참고로 이 사람은 이라크 후세인 카멜이 아니다. [20] 19세기 중반 쯤부터 이집트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사실상 독립한 상황이였으나, 공식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속령이였다. [21] 현대 관점에서는 스팀펑크로서의 성격도 갖는다. [22] 현재 기준으로는 체코인이지만 당시 기준으로는 오스트리아 제국민임. [23] 엄밀히 말해 빅토리아 시대 배경은 아니나, 출간은 빅토리아 시대에 이루어졌고 시대적 배경인 6월 혁명은 빅토리아 시대 초기와 매우 인접한 시기이기에 이곳에 작성한다. [24] 따지고 보면 빅토리아 시대 이후에 쓰인 작품도 많은데 여전히 그 시절의 향수를 부르는 게 인기 있었던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25] 단, 마지막 10권은 에드워드 시대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