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23:15:49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1. 역대 성적2. 본선 진출 이전 기록3. 1958 스웨덴 월드컵
3.1. 16강 조별리그 잉글랜드전 - 2 : 2 무3.2. 16강 조별리그 오스트리아전 - 2 : 0 승3.3. 16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2 패3.4. 8강전 스웨덴전 - 0 : 2 패
4. 1962 칠레 월드컵
4.1. 16강 조별리그 유고슬라비아전 - 2 : 0 승4.2. 16강 조별리그 콜롬비아전 - 4 : 4 무4.3. 16강 조별리그 우루과이전 - 2 : 1 승4.4. 8강전 칠레전 - 1 : 2 패
5. 1966 잉글랜드 월드컵
5.1. 16강 조별리그 북한전 - 3 : 0 승5.2. 16강 조별리그 이탈리아전 - 1 : 0 승5.3. 16강 조별리그 칠레전 - 2 : 1 승5.4. 8강전 헝가리전 - 2 : 1 승5.5. 4강전 서독전 - 1 : 2 패5.6. 3위 결정전 포르투갈전 - 1 : 2 패
6. 1970 멕시코 월드컵
6.1. 16강 조별리그 멕시코전 - 0 : 0 무6.2. 16강 조별리그 벨기에전 - 4 : 1 승6.3. 16강 조별리그 엘살바도르전 - 2 : 0 승6.4. 8강전 우루과이전 - 0 : 1 패
7. 1974 서독 월드컵 ~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8. 1982 스페인 월드컵
8.1. 24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1 : 2 패8.2. 24강 조별리그 뉴질랜드전 - 3 : 0 승8.3. 24강 조별리그 스코틀랜드전 - 2 : 2 무8.4. 12강 조별리그 벨기에전 - 1 : 0 승8.5. 12강 조별리그 폴란드전 - 0 : 0 무
9. 1986 멕시코 월드컵
9.1. 24강 조별리그 헝가리전 - 6 : 0 승9.2. 24강 조별리그 프랑스전 - 1 : 1 무9.3. 24강 조별리그 캐나다전 - 2 : 0 승9.4. 16강전 벨기에전 - 3 : 4 패
10. 1990 이탈리아 월드컵
10.1. 24강 조별리그 루마니아전 - 0 : 2 패10.2. 24강 조별리그 아르헨티나전 - 0 : 2 패10.3. 24강 조별리그 카메룬전 - 4 : 0 승
11. 1994 미국 월드컵
11.1. 24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2 패11.2. 24강 조별리그 스웨덴전 - 1 : 3 패11.3. 24강 조별리그 카메룬전 - 6 : 1 승
12. 2002 한일 월드컵
12.1. 32강 조별리그 튀니지전 - 2 : 0 승12.2. 32강 조별리그 일본전 - 0 : 1 패12.3. 32강 조별리그 벨기에전 - 2 : 3 패
13. 2014 브라질 월드컵14. 2018 러시아 월드컵
14.1. 32강 조별리그 사우디아라비아전 - 5 : 0 승14.2. 32강 조별리그 이집트전 - 3 : 1 승14.3. 32강 조별리그 우루과이전 - 0 : 3 패14.4. 16강전 스페인전 - 1 : 1 무(PSO 4 : 3 승)14.5. 8강전 크로아티아전 - 2 : 2 무(PSO 3 : 4 패)
15.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16. 2026 FIFA 월드컵

1. 역대 성적

FIFA 월드컵 통산 랭킹: 12위
④⑧⑧⑧⑧⑧
  • 1990년까지 기록은 소련 기록이다.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소련 기록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FIFA 비회원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불참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1]
8강 6위 7 5 2 1 2 5 6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8강 6위 7 4 2 1 1 9 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2]
4위[3] 12 6 4 0 2 10 6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8강 5위 7 4 2 1 1 6 2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플레이오프 도중 실격[4]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12강[6] 7위 8 5 2 2 1 7 4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16강 10위 7 4 2 1 1 12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7]
조별리그 17위 3 3 1 0 2 4 4
※여기부터 러시아 기록임.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조별리그 18위 3 3 1 0 2 7 6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조별리그 22위 3 3 1 0 2 4 4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10]
조별리그 24위 2 3 0 2 1 2 3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8강 8위 8 5 2 2 1 11 7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플레이오프 이전 실격[P]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2026년 북중미
참가 불가[P]
파일:국기.svg
2030년 TBD~
미정[P]
합계 진출 11회 / 4위 1회 67 45 19 10 16 77 54

2. 본선 진출 이전 기록

제 1회 월드컵은 1930 우루과이 월드컵이었는데 당시 러시아는 소련이란 국명으로 있었다. 소련이란 나라는 1917년 볼셰비키 혁명이 발발하면서 러시아 공화국을 타도하고 일어난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다. 다만 이 때 국가 이름은 아직까지 러시아였고 1922년 12월 30일에 소비에트 연방 즉, 소련으로 국호가 바뀌었다. 1회 대회가 개최되었을 당시 소련의 서기장은 바로 악명 높은 독재가 이오시프 스탈린이었다. 스탈린으로 인해서 월드컵 역시 자본주의에 찌들은 것이라고 혹평하며 의도적으로 계속해서 불참했다. 그리하여 그가 1953년 7월에 사망할 때까지 소련은 계속해서 월드컵을 보이콧하였다.

그 때문에 1회 1930 우루과이 월드컵부터 5회 1954 스위스 월드컵 때까지는 모두 불참해서 기록이 없다. 소련이 월드컵에 출전한 것은 스탈린이 사망하고 그래도 서방세계에 조금은 유화적이었던 니키타 흐루쇼프가 집권한 이후부터였다. 오히려 니키타 흐루쇼프는 월드컵 출전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여 월드컵 무대에서 공산주의 체제 선전을 하고 오도록 했다. 니키타 흐루쇼프는 스탈린에 비해선 그래도 서방 세계에 유화적이었지만 그렇다고 대결 구도까지 접은 인물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렇듯 냉전 시대엔 스포츠 역시 제1세계 진영과 제2세계 진영 간의 전쟁이었다. 올림픽도 그러했고 월드컵도 그러했다. 그 때문에 좋은 성적을 내기 위해서라면 서로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3. 1958 스웨덴 월드컵

3.1. 16강 조별리그 잉글랜드전 - 2 : 2 무

3.2. 16강 조별리그 오스트리아전 - 2 : 0 승

3.3. 16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2 패

3.4. 8강전 스웨덴전 - 0 : 2 패

4. 1962 칠레 월드컵

4.1. 16강 조별리그 유고슬라비아전 - 2 : 0 승

4.2. 16강 조별리그 콜롬비아전 - 4 : 4 무

4.3. 16강 조별리그 우루과이전 - 2 : 1 승

4.4. 8강전 칠레전 - 1 : 2 패

5. 1966 잉글랜드 월드컵

5.1. 16강 조별리그 북한전 - 3 : 0 승

파일:1966 FIFA World Cup Official logo.png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4조 제1경기
1966년 7월 12일 19:30(UTC+0)
에이섬 파크 ( 영국, 미들즈브러)
주심: 후안 가르데아자발 가라이 (스페인)
파일:소련 국기.svg 3 : 0 파일:북한 국기.svg
소련 북한
12′, 88' 에두아르트 말로페예프
72′ 아나톨리 바니셰프스키
득점자 -
관중: 23,000명

5.2. 16강 조별리그 이탈리아전 - 1 : 0 승

파일:1966 FIFA World Cup Official logo.png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4조 제4경기
1966년 7월 16일 15:00(UTC+0)
로커 파크 ( 영국, 선덜랜드)
주심: 루돌프 크라이틀라인 (서독)
파일:소련 국기.svg 1 :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소련 이탈리아
57′ 이고르 치슬렌코 득점자 -
관중: 27,793명

5.3. 16강 조별리그 칠레전 - 2 : 1 승

파일:1966 FIFA World Cup Official logo.png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4조 제6경기
1966년 7월 20일 19:30(UTC+0)
로커 파크 ( 영국, 선덜랜드)
주심: 존 아데어 (잉글랜드)
파일:소련 국기.svg 2 : 1 파일:칠레 국기.svg
소련 칠레
28′, 85' 발레리 포르쿠얀 득점자 32' 루벤 마르코스
관중: 22,000명

5.4. 8강전 헝가리전 - 2 : 1 승

파일:1966 FIFA World Cup Official logo.png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8강 제3경기
1966년 7월 23일 15:00(UTC+0)
로커 파크 ( 영국, 선덜랜드)
주심: 후안 가르데아자발 가라이 (스페인)
파일:소련 국기.svg 2 : 1 파일:헝가리 국기.svg
소련 헝가리
5′ 이고르 치슬렌코
46′ 발레리 포르쿠얀
득점자 57′ 페렌츠 베네
관중: 26,844명

5.5. 4강전 서독전 - 1 : 2 패

파일:1966 FIFA World Cup Official logo.png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4강 제1경기
1966년 7월 25일 19:30(UTC+0)
구디슨 파크 ( 영국, 리버풀)
주심: 콘세토 로벨로 (이탈리아)
파일:소련 국기.svg 1 : 2 파일:독일 국기.svg
소련 서독
88′ 발레리 포르쿠얀 득점자 43′ 헬무트 할러
67′ 프란츠 베켄바우어
44′ 이고르 치슬렌코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퇴장자 -
관중: 38,273명

5.6. 3위 결정전 포르투갈전 - 1 : 2 패

파일:1966 FIFA World Cup Official logo.png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3·4위전
1966년 7월 28일 19:30(UTC+0)
웸블리 스타디움 ( 영국, 런던)
주심: 켄 대그놀 (잉글랜드)
파일:소련 국기.svg 1 : 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소련 포르투갈
43' 에두아르트 말로페예프 득점자 82' 에우제비오 (PK)
89' 주제 토레스
관중: 88,000명

6. 1970 멕시코 월드컵

6.1. 16강 조별리그 멕시코전 - 0 : 0 무

6.2. 16강 조별리그 벨기에전 - 4 : 1 승

6.3. 16강 조별리그 엘살바도르전 - 2 : 0 승

6.4. 8강전 우루과이전 - 0 : 1 패

7. 1974 서독 월드컵 ~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

8. 1982 스페인 월드컵

8.1. 24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1 : 2 패

8.2. 24강 조별리그 뉴질랜드전 - 3 : 0 승

8.3. 24강 조별리그 스코틀랜드전 - 2 : 2 무

8.4. 12강 조별리그 벨기에전 - 1 : 0 승

8.5. 12강 조별리그 폴란드전 - 0 : 0 무

9. 1986 멕시코 월드컵

9.1. 24강 조별리그 헝가리전 - 6 : 0 승

9.2. 24강 조별리그 프랑스전 - 1 : 1 무

9.3. 24강 조별리그 캐나다전 - 2 : 0 승

9.4. 16강전 벨기에전 - 3 : 4 패

10. 1990 이탈리아 월드컵

10.1. 24강 조별리그 루마니아전 - 0 : 2 패

10.2. 24강 조별리그 아르헨티나전 - 0 : 2 패

10.3. 24강 조별리그 카메룬전 - 4 : 0 승

11. 1994 미국 월드컵

미국과 함께 냉전의 한 축을 맡았던 소련은 결국 1991년 12월 26일에 해체되었고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재편되었다. FIFA는 러시아의 국가승계를 인정하여 소련 시절의 기록은 러시아가 승계하는 것으로 결정했다. 물론 러시아는 소련을 구성하는 15개 공화국 중 하나에 불과하지만 애당초 소련이란 나라가 러시아를 중심으로 해서 일어난 나라이고 소련 면적의 대부분을 러시아가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 연방 소련을 계승한 것으로 보고 소련이 갖고 있던 UN의 안보리 상임이사국 지위도 러시아가 물려받는 것으로 정해졌다. FIFA 역시 그 점을 인정하여 소련 대표팀 시절의 기록을 러시아 대표팀이 승계하도록 한 것이다.

11.1. 24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2 패

파일:1994 FIFA 월드컵 미국 로고.svg
1994 FIFA 월드컵 미국 B조 제2경기
1994년 6월 20일 13:00(UTC-7)
스탠퍼드 스타디움 ( 미국, 스탠퍼드)
주심: 림 케 송 (모리셔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0 : 2 파일:브라질 국기.svg
러시아 브라질
- 득점자 26′ 호마리우
52′ 하이 (PK)
관중: 81,061명

11.2. 24강 조별리그 스웨덴전 - 1 : 3 패

파일:1994 FIFA 월드컵 미국 로고.svg
1994 FIFA 월드컵 미국 B조 제4경기
1994년 6월 24일 19:30(UTC-5)
폰티액 실버돔 ( 미국, 폰티액)
주심: 조엘 키니우 (프랑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1 : 3 파일:스웨덴 국기.svg
러시아 스웨덴
4′ 살렌코 (PK) 득점자 37′ 브롤린 (PK)
59', 81′ 달린
관중: 71,528명

11.3. 24강 조별리그 카메룬전 - 6 : 1 승

파일:1994 FIFA 월드컵 미국 로고.svg
1994 FIFA 월드컵 미국 B조 제5-1경기
1994년 6월 28일 13:00(UTC-7)
스탠퍼드 스타디움 ( 미국, 스탠퍼드)
주심: 자말 알샤리프 (시리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6 : 1 파일:카메룬 국기.svg
러시아 카메룬
15', 41', 44′ (PK) 살렌코
81' 라드첸코
득점자 46′ 밀라
관중: 74,914명

12. 2002 한일 월드컵

12.1. 32강 조별리그 튀니지전 - 2 : 0 승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H조 2경기
2002.06.05.(수) 15:30 (UTC+9)
고베 윙 스타디움 ( 일본, 고베)
주심: 피터 프랜더개스트 (자메이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2 : 0 파일:튀니지 국기.svg
러시아 튀니지
59' 예고르 티토프
64′ 발레리 카르핀 (PK)
득점자 -
관중: 30,957명
Man of the Match: [[유리 니키포로프|{{{#000000,#e5e5e5 유리 니키포로프}}}]] (러시아)

12.2. 32강 조별리그 일본전 - 0 : 1 패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H조 3경기
2002.06.09.(일) 20:30 (UTC+9)
요코하마 국제 종합경기장 ( 일본, 요코하마)
주심: 마르쿠스 메르크 (독일)
파일:러시아 국기.svg 0 : 1 파일:일본 국기.svg
러시아 일본
- 득점자 51′ 이나모토 준이치
관중: 66,108명
Man of the Match: [[이나모토 준이치|{{{#000000,#e5e5e5 이나모토 준이치}}}]] (일본)

12.3. 32강 조별리그 벨기에전 - 2 : 3 패

파일: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로고_좌우.svg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H조 5-2경기
2002.06.14.(일) 15:30 (UTC+9)
시즈오카 스타디움 ( 일본, 시즈오카)
주심: 킴 밀톤 닐센 (덴마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2 : 3 파일:벨기에 국기.svg
러시아 벨기에
52′ 블라디미르 베스차스트니흐
82′ 드미트리 시초프
득점자 7′ 요앙 왈랭
78′ 베슬리 송크
82′ 마르크 빌모츠
관중: 46,640명
Man of the Match: [[마르크 빌모츠|{{{#000000,#e5e5e5 마르크 빌모츠}}}]] (벨기에)

13. 2014 브라질 월드컵

13.1. 32강 조별리그 대한민국전 - 1 : 1 무

파일: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로고_좌우.svg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H조 2경기
2014년 6월 17일 화요일 19:00 (현지 시각 기준)[14]
아레나 판타나우 ( 브라질, 쿠이아바)
주심: 네스토 피타나 (아르헨티나)
관중: 37,603명
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 : 1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
파일:러시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러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대한민국
73'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 파일:득점 아이콘.svg 67' 이근호
경기 다시 보기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손흥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홍명보호(성인 1기)/2014 FIFA 월드컵 브라질/러시아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2. 32강 조별리그 벨기에전 - 0 : 1 패

파일: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로고_좌우.svg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H조 3경기
2014년 6월 22일 일요일 13:00 (현지 시각 기준)
[15]
이스타지우 두 마라카낭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주심: 펠릭스 브리히 (독일)
관중: 73,819명
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1994~2019).svg
1 : 0 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러시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러시아
87' 디보크 오리기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다시 보기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파일:벨기에 국기.svg 에덴 아자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H조 문서
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3. 32강 조별리그 알제리전 - 1 : 1 무

파일: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로고_좌우.svg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H조 5-2경기
2014년 6월 26일 목요일 17:00 (현지 시각 기준)
[16]
아레나 다 바이샤다 ( 브라질, 쿠리치바)
주심: 쥐네이트 차크르 (터키)
관중: 39,311명
파일:Algeria_NFT_(logo).png
1 : 1 파일: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알제리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알제리 파일:러시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러시아
59' 이슬람 슬리마니 파일:득점 아이콘.svg 5' 알렉산드르 코코린
경기 다시 보기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파일:알제리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이슬람 슬리마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H조 문서
8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2018 러시아 월드컵

14.1. 32강 조별리그 사우디아라비아전 - 5 : 0 승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로고_좌우_White.svg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A조 1경기
2018.06.14.(목) 18:00(UTC+3)
루즈니키 스타디움 (러시아, 모스크바)
주심: 네스토르 피타나 (아르헨티나)
파일:러시아 국기.svg 5 :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12' 유리 가진스키
43', 90+1' 데니스 체리셰프
71' 아르템 쥬바
90+4' 알렉산드르 골로빈
득점자 -
관중: 78,011명
Man of the Match: 데니스 체리셰프 (러시아)

14.2. 32강 조별리그 이집트전 - 3 : 1 승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로고_좌우_White.svg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A조 3경기
2018.06.19.(화) 21:00(UTC+3)
상트페테르부르크 스타디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주심: 엔리케 카세레스 (파라과이)
파일:러시아 국기.svg 3 : 1 파일:이집트 국기.svg
러시아 이집트
46' 아메드 파티 (OG)
58' 데니스 체리셰프
61' 아르템 쥬바
득점자 72' 모하메드 살라 (PK)
관중: 64,468명
Man of the Match: 데니스 체리셰프 (러시아)

14.3. 32강 조별리그 우루과이전 - 0 : 3 패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로고_좌우_White.svg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A조 5-1경기
2018.06.25.(월) 18:00(UTC+4)
사마라 아레나 (러시아, 사마라)
주심: 말랑 디에디우 (세네갈)
파일:러시아 국기.svg 0 : 3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러시아 우루과이
- 득점자 9′ 루이스 알베르토 수아레스
22′ 데니스 체리셰프 (OG)
89' 에딘손 카바니
관중: 41,970명
Man of the Match: 루이스 알베르토 수아레스 (우루과이)

14.4. 16강전 스페인전 - 1 : 1 무(PSO 4 : 3 승)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로고_좌우_White.svg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16강 3경기
2018.07.01.(일) 17:00(UTC+3)
루즈니키 스타디움 (러시아, 모스크바)
주심: 비욘 카이퍼스 (네덜란드)
파일:러시아 국기.svg 1 : 1
(PSO 4 - 3)
파일:스페인 국기.svg
러시아 스페인
40' 아르템 쥬바 (PK) 득점자 11' 세르게이 이그나셰비치 (OG)
관중: 78,011명
Man of the Match: 이고르 아킨페프(러시아)
승부차기
국가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점수 4 3
순서 후축 선축
1 스몰로프 O 이니에스타 O
2 이그나셰비치 O 피케 O
3 골로빈 O 코케 X
4 체리셰프 O 라모스 O
5 - - 아스파스 X

14.5. 8강전 크로아티아전 - 2 : 2 무(PSO 3 : 4 패)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로고_좌우_White.svg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8강 4경기
2018.07.07.(토) 21:00(UTC+3)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러시아, 소치)
주심: 산드로 리치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 : 2
(PSO 3 - 4)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러시아 크로아티아
31' 데니스 체리셰프
114' 마리오 페르난데스
득점자 38' 안드레이 크라마비치
100' 도마고이 비다
관중: 44,287명
Man of the Match: [[루카 모드리치|{{{#000000,#e5e5e5 루카 모드리치}}}]] (크로아티아)
승부차기
국가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점수 3 4
순서 선축 후축
1 표도르 스몰로프 X 마르첼로 브로조비치 O
2 자고예프 O 마테오 코바치치 X
3 마리오 페르난데스 X 루카 모드리치 O
4 이그나셰비치 O 비다 O
5 쿠자예프 O 라키티치 O

15.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세계 반도핑 기구(WADA)에서 지난 월드컵에서 도핑 자료를 위반한 것이 들통나면서 2019년에 회의를 통해 만장일치로 러시아에게 4년 동안 모든 국제대회 출전 정지 조치가 내려지게 되었고 러시아는 카타르 월드컵에서 실격당했다. 그나마 대륙별 선수권 대회까지 금지시키지는 않아서 FIFA가 직접 주관하지 않는 유럽 예선 참가는 가능하지만, 본선에 진출해도 러시아라는 국호와 국기, 그리고 국대 로고도 일체 쓸 수 없으며 대회에서 세운 기록도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공식 기록으로 인정되지 않는다.[17]

카타르 월드컵 유럽 예선에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면서 만약 플레이오프에서 최종승리하면 러시아 축구 연합, 혹은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와 비슷한 이름을 달고 월드컵 본선에 진출 할 수 있었지만 설상가상으로 푸틴과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향후 조치가 취해질 때까지 무기한 자격 정지라는 처벌이 취해지면서 한동안 월드컵은 꿈도 못 꾸게 되었다.

16. 2026 FIFA 월드컵

전쟁을 일으킨 것에 대한 징계로 제재가 해제되기 전까지 이 월드컵도 진출하지 못한다. 만약 이 월드컵 전에 전쟁이 확실히 끝나 유럽 축구 연맹 FIFA에서 대표팀의 월드컵 유럽 예선 및 본선 진출을 어찌저찌 승인해 주어도 조국이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일으킨 것 때문에 유럽 예선과 본선에서 자국민들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의 눈총과 야유를 받으며 경기를 뛰는 상당한 악재가 대표팀에 찾아올 듯하다.

2024년 11월 11일 UEFA가 배포한 회람을 통해 러시아의 2026 FIFA 월드컵 예선 참가 불가가 확정되었음이 알려졌다.


[1] 16강 조별리그에서 1승 1무 1패를 기록, 3무의 잉글랜드와 승점이 같아 재경기 끝에 8강에 올라갔다. 재경기도 FIFA 공식 기록에 포함. [2] 16강 조별리그에서 북한과 같은 조였다. 북한을 3:0으로 누르고 이탈리아, 칠레도 이기면서 3승으로 8강 진출. [3] 4강전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 [4] PO에서는 소련과 칠레가 맞붙기로 했었는데 소련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0:0 무승부를 거뒀다. 문제는 칠레에서 열릴 2차전을 앞두고 칠레에서 쿠데타가 일어나 살바도르 아옌데의 사회주의 정권이 몰락하고 아우구스토 피노체트가 집권한 것. 피노체트는 집권과 동시에 경기가 열릴 에스타디오 나시오날에서조차 정치범 수용 및 처형을 자행했다. 소련측에서 이 문제를 거론하며 경기 장소를 옮길 것을 FIFA에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소련은 경기를 거부하여 몰수패 처리. 칠레의 16개국 본선 진출이 확정되었다. [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6] 당시는 2라운드가 16강 토너먼트가 아니라 12강 조별리그였고 그 다음 4강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7] 소련으로 진출했던 마지막 대회. [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10] 소련 시절 포함 월드컵 본선에서 승리를 거두지 못한 첫 대회였다. 지못미 카펠로 [P]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무기한 자격 정지 조치로 인해 출전이 금지된 상태이며, 훗날 별도의 해제를 공지한 뒤에야 출전이 가능할 전망이다. 일단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는 이미 3년 전에 도핑 적발로 러시아라는 공식 명의로 출전 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 [P] [P] [14] 대한민국 시각 기준 2014년 6월 18일 수요일 07:00. [15] 대한민국 시각 기준 2014년 6월 23일 월요일 01:00. [16] 대한민국 시각 기준 2014년 6월 27일 금요일 05:00. [17] 혹시나 러시아 출신 선수단이 우승을 거머쥐어도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의 유니폼에 월드컵 우승을 상징하는 별을 붙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