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20:23:39

튀르키예계 호주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4002b> 상징 국가 · 국기 · 국장 · 캥거루 · 에뮤
역사 역사 전반 · 호주 자치령 · 백호주의
정치 정치 전반 · 호주 헌법 · 호주 국왕 · 호주 총독 · 호주 의회 · 호주 총리 · 호주 연합( 호주 자유당 · 호주 국민당 · 자유국민당 · 지역자유당) · 호주 노동당 · 호주 녹색당
외교 외교 전반 · 호주 여권 · CANZUK · APEC · 파이브 아이즈 · IPEF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왕국 · 영미권 · Quad · AUKUS · G20 · APEC · JUSCANZ · 영국-호주 관계 · 호주-뉴질랜드 관계 · 캐나다-호주 관계 · 남아프리카 공화국-호주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독일-호주 관계 · 프랑스-호주 관계 · 이탈리아-호주 관계 · 한호관계 · 일본-호주 관계 · 대만-호주 관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경제 경제 전반 · 호주 달러 · 교통
사회 교육( 대학 틀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복지 · 마일 트레인
국방 호주군 · 호주 육군 · 호주 해군 · 호주 공군 · 호주 경찰 · 호주군 특수작전사령부( SASR, 제2코만도연대) · 파인 갭
사법·치안 호주 경찰 · ABF · ASIS · ASIO · 파인 갭
관광 관광 · 워킹홀리데이 · 호주 비자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파블로바 · 완지나 ·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호주 크리켓 국가대표팀 · AFL · NRL · 수퍼 럭비 · 빅 배시 리그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호주 영어 · 호주빠 · 공휴일
지리 오스트랄라시아 ·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 태즈메이니아 섬
민족 호주인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 호주계 미국인 · 호주/인종차별 · 호주 시민권 · 그리스계 호주인 · 네덜란드계 호주인 · 독일계 호주인 · 레바논계 호주인 · 아일랜드계 호주인 · 영국계 호주인 · 이탈리아계 호주인 · 중국계 호주인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 폴란드계 호주인 · 프랑스계 호주인 · 한국계 호주인 · 러시아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인도계 호주인 · 헝가리계 호주인 · 핀란드계 호주인 · 스페인계 호주인 · 포르투갈계 호주인 · 위구르계 호주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e30a17>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월성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히타이트 · 트로이 · 프리기아 · 리디아 · 페르가몬 왕국 · 돌궐 · 서돌궐 · 강거 · 오구즈 · 셀주크 제국 · 아나톨리아 베이국 · 룸 술탄국 · 오스만 제국 · 튀르키예 독립 전쟁
지리 아나톨리아 · 트라키아 · 에게 해 · 보스포루스 해협 · 마르마라 해 · 차낙칼레 해협 · 아라라트 산 · 북쿠르디스탄 · 지진/튀르키예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튀르키예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G20 · MIKTA · JUSCANZ ·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 관계 · 튀르키예 여권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경제 경제 전반 · 튀르키예 리라 · 넥스트 일레븐
국방 튀르키예군 · 튀르키예 해군 · NATO · 튀르키예/방위산업
교통 터키항공 · 페가수스 항공 · 이스탄불 공항 ·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 사비하 괵첸 국제공항 · 앙카라 에센보아 공항 · 아드난 멘데레스 국제공항 · 트라브존 공항 · YHT · 이스탄불 지하철 · 차나칼레 1915 대교
문화 문화 전반 · 튀르키예 드라마 · 튀르키예 영화 · 튀르키예 음악 · 요리 · 바클라바 · 로쿰 · 필라프 · 돈두르마 · 튀르크 커피 · 차이 · 페즈 · 공휴일/튀르키예 · 사모바르 · 튀르키예/관광 · 세계유산 · 튀르크리 · YKS
언어 아나톨리아어파 · 튀르키예어 · 튀르키예/언어
스포츠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 튀르키예 축구 연맹 · 쉬페르리그 · 튀르키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 · 튀르키예 농구 국가대표팀 · 터키 그랑프리( 이스탄불 파크)
인물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사회 튀르키예 마피아 · 회색늑대
민족 튀르키예인( 러시아계 · 그리스계 · 아르메니아계) · 투르코만 · 튀르키예계 아프리카인 · 튀르키예계 미국인 · 튀르키예계 독일인 ·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 메스케티 튀르크 · 튀르키예계 우크라이나인 · 튀르키예계 일본인 · 튀르키예계 캐나다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브라질인 · 튀르키예계 아르헨티나인 · 튀르키예계 영국인 · 튀르키예계 프랑스인 · 튀르키예계 네덜란드인
기타 튀르키예/여담
}}}}}}}}} ||

1. 개요2. 현황3. 종교4. 실존 인물5. 관련 문서


파일:Son_of_Turkish_veteran_on_the_steps_of_Shrine_of_Remembrance.jpg

튀르키예어: Türk-Avustralya
영어: Turkish-Australian

1. 개요

튀르키예계 호주인 튀르키예인 정체성을 둔 호주인 혹은 튀르키예인 이민자 조상을 둔 호주인 등을 지칭하는 어휘이다. 튀르키예 본토에서 이민한 경우보다는 발칸반도 혹은 키프로스 시리아의 튀르키예인( 투르코만) 소수자 난민들이 호주로 이민한 경우가 많다.

2. 현황

튀르키예계 호주인의 정의는 생각보다 복잡한 편이다. 이는 호주-튀르키예 관계가 오묘한 친선 관계인 점,[1] 그리고 20세기 중후반 이후 호주의 난민 정책 두 가지가 맞물린 결과이다.

먼저 호주 키프로스 분쟁 당시 상당수의 북키프로스 난민을 받아들인 것은 물론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상당수의 보슈냐크인 난민들을 받았는데, 보슈냐크 문화가 튀르키예 문화와 상당히 밀접한 관계로 호주 내에서 튀르키예 요리 등 튀르키예 문화를 즐기는 것도 어렵지 않다.[2]

이 외에도 호주는 상당수의 위구르 난민들이 체류하는 국가로, 중앙아시아와 남유럽 각지에서 모인 난민 이민자들이 서로 역사적-문화적 공통분모[3]를 바탕으로 활발하게 교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한 편 상술한 것처럼 호주와 튀르키예가 서로 오묘한 친선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보니 호주 내 튀르키예 관련 단체들은 나름 지원을 잘 받는 편이고, 식민지 상황이라 본국에 지원을 받기 어려운 위구르인 등이 튀르키예계 이민 단체 등등으로부터 지원을 받으며 # 튀르키예인 이민자들과 동화되기도 한다. 즉 호주에 체류하는 튀르키예인 인구의 수는 그다지 많지 않지만, 튀르키예와 연관된 다양한 배경의 이민자들이 호주 내 튀르키예 문화를 소개하는 역할을 맏는다고 볼 수 있다.

3. 종교

물론 튀르키예계 호주인들이 전부 다 하나피파 무슬림인 것은 아니다. 2021년 통계 기준 38,586명 중 무슬림은 67.6%로 이들 절대다수가 순니파였으며, 무신론자는 20.6% , 오리엔트 정교회[4] 신자는 1.7%, 정교회주로 그리스계 신자는 1.6% , 기타 종교 신자는 8.5%는 집계되었다.

4. 실존 인물

5. 관련 문서


[1] 현대 튀르키예의 국민 정체성 그리고 영국인과 구분되는 호주인이라는 별개의 국민 정체성은 갈리폴리 전투를 통해 형성되었기 때문에, 해당 전투 당시에서 양측이 서로 적대했음에도 불구, 오늘날 양국은 해당 전투를 매년 정기적으로 우호적인 차원에서 기념하고 있다. [2] 비교하자면 한국 내 고려인 인구와 우즈베키스탄인 인구 덕분에 한국에서 러시아 문화를 체험하는 것이 어렵지 않은 것과 같은 맥락이다. 한국 외에 유사한 사례를 하나 더 찾자면, 폴란드 내에서 러시아인 인구는 드문 대신 벨라루스나 우즈베키스탄, 조지아 출신 이주노동자들을 중심으로 상당한 규모의 러시아어 사용 공동체가 유지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3]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위구르를 포함한 남유럽과 중앙아시아의 이슬람 문화권 지역 상당수는 튀르키예와 마찬가지로 이슬람 순니파 하나피파 문화권에 속한다. 그리고 튀르키예는 하나피파 문화권 내에서 가장 사회문화적 영향력이 강한 국기이다. [4] 주로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신도가 많지만, 일부는 쉬리아니라고 해서 마르딘을 중심으로 거주하는 시리아 정교회 신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