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원주민 |
유럽계 미국 백인 |
아프리카계 미국 흑인 |
라틴 아메리카계 히스패닉 |
아시아계 |
원주민(
수우 ·
샤이엔 ·
푸에블로 ·
아파치 ·
오지브웨 ·
이로쿼이 연맹 ·
모호크 ·
크릭 (무스코기) ·
모히칸 ·
나바호 ·
체로키 ·
코만치 ·
쇼쇼니 ·
호피 ·
주니) ·
영국계 ·
독일계 ·
아일랜드계 ·
이탈리아계 ·
폴란드계 ·
프랑스계 ·
캐나다계 ·
스웨덴계 ·
노르웨이계 ·
덴마크계 ·
네덜란드계 ·
벨기에계 ·
룩셈부르크계 ·
중국계 ·
인도계 ·
유대계 ·
헝가리계 ·
아르메니아계 ·
일본계 ·
한국계 ·
이란계 ·
아랍계 ·
체코계 ·
러시아계 ·
우크라이나계 ·
핀란드계 ·
멕시코계 ·
쿠바계 ·
필리핀계 ·
스페인계 ·
포르투갈계 ·
아이슬란드계 ·
호주계 ·
그리스계 ·
튀르키예계 ·
리투아니아계 ·
라트비아계 ·
에스토니아계 ·
벨라루스계 ·
뉴질랜드계 ·
크로아티아계 ·
오스트리아계 ·
폴리네시아계 ·
대만계 ·
베트남계 ·
스위스계 ·
푸에르토리코계 ·
슬로베니아계 ·
세르비아계 ·
루마니아계 ·
불가리아계 ·
슬로바키아계 ·
보스니아계 ·
알바니아계 ·
아르헨티나계 ·
브라질계 ·
베네수엘라계 ·
우루과이계 ·
몽골계 ·
칼미크계 ·
아제르바이잔계 ·
아프간계 ·
파키스탄계 ·
이스라엘계 ·
중앙아시아계 ·
인도네시아계 ·
방글라데시계
|
|||||
(문서가 있는 민족만 서술)
|
}}}}}}}}} |
1. 개요
본인 또는 가까운 조상이 일본계이며 미국 시민권을 가진 사람을 의미한다. 당연히 일본 국적만을 가진 미국 영주권자는 일본계 미국인으로 부르지 않는다.
2. 역사
19세기 초 최초로 존 만지로가 미국에 다녀온 이후 일본인들은 일찍이 19세기 말부터 12만 명이 미국과 남아메리카 등으로 이주했다. '4세'대를 욘세이(Yonsei)라고 하는 등 용어도 있다. 영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일본계 미국인의 숫자는 1,469,637명이라 하며 # 미국 인구의 0.44%이다. 1,822,213명(2015)인 한국계 미국인[2]보다는 적지만 더 오랜 기간 동안 미국 사회에서 살아왔던 탓에 커뮤니티의 파워는 더 큰 편이다. 특히 하와이에서는 필리핀계 미국인과 같이 텃세가 심하기로 유명하다.다른 한편으로 일본 본국이 발전을 거듭하면서 한국, 중국보다 훨씬 더 빨리 경제를 성장시킴에 따라 미국에 새로 유입되는 이민자 숫자가 빠르게 줄었고 한국계 미국인, 중국계 미국인보다 동화된 기간이 길다. 2019년 기준 일본계 미국인 중 27% 정도만이 미국 밖에서 태어났는데 이는 아시아계 미국인 중 가장 낮은 수치이다. (아시아계 미국인 평균 57%)
일본계 미국인은 다른 동북아시아 출신 미국인과 비교할 때 눈에 띄게 다른 민족 그룹과의 통혼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민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고, 1960년대 이후로 고도경제성장이 진행되면서 일본계 이민자 유입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일본은 이미 1970년대에 선진국 라인에 들어갔으며 그 이후에는 버블 경제가 있었고 버블 붕괴 이후 잃어버린 10년을 겪으면서 경제가 안 좋아지긴 했지만 1960년대 한국, 중국만큼 기초적인 생계마저 위태로울 만큼 경제가 막 어려워진 것도 아니라서 미국으로 이민 가는 이민자 수가 별로 많지 않았다. 2010년대 와서는 오히려 미국으로 유학을 가는 경우가 적어 해외에서 경험을 쌓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일본 기업에서 토로할 정도.
반면 한국, 중국, 필리핀 같은 경제성장 후발주자들은 독재, 가난 때문에 어렵게 미국으로 이민 가는 경우가 흔했으며 지금도 병역 문제 때문에 일부 한국인들은 아들이 군대 가는 걸 원치 않아 괌, 하와이 같은 미국 땅에 가서 원정 출산을 하거나 이민을 가는 경우가 지금도 진행 중이다. 일본은 이런 문제에서 자유로워 미국 같은 이민 국가에 정착하는 비율은 매우 낮아졌다.
고령화도 일본계가 아시아계 미국인 중에서 가장 심하여 2019년 기준 일본계 미국인의 중위 연령은 41세이고, 미국 태생 일본계 미국인의 중위 연령은 36세였다.
일본계 미국인은 이민과 정착 역사가 길어서 뿌리인 일본보다는 현 거주지인 미국에 대한 애착이 더 강하다. 또 과거 미국과 일본이 태평양 전쟁을 치렀던 탓에 그 사이에서 고래 싸움에 끼인 새우마냥 많은 수난을 당한 적이 있다. 때문에 스스로를 일본인이 아닌 미국인으로 인정받기 위해 노력을 많이 한 커뮤니티이다. 심지어 한국계 미국인이나 중국계 미국인과는 달리 일본계는 3세대, 4세대부터는 일본어조차도 못하는 경우가 흔하고 영어 구사율이 약 85%이다. 종교도 기독교 인구가 1% 전후인 일본과는 달리 절반 가까이가 기독교인이다. 이민 1세대의 종교는 대체로 불교신자이거나 무종교인이다.
한편 진주만 공습을 준비할 때 스파이 활동으로 엄청난 공을 세운 요시카와 타케오(吉川猛夫)[3]는 본국에 보내는 무전에서 하와이에 있는 일본계 미국인들을 (일본인 기준에서) 쓰레기라고 불렀고, 전쟁이 시작되면 이들은 바로 미국 편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주장을 보고하기도 하는 등 일본에서의 인식 또한 나빴던 적이 있다.
그리고 전쟁이 실제로 일어나자 일본계 미국인들은 백악관 행정명령 9066호에 반발해 니세이 부대를 조직해서 유럽으로 파병가거나, 태평양 전쟁에서 통역[4]과 암호해독관[5] 그리고 일본이라는 나라를 이해할 때 자문 역할[6]을 맡아서 틀린 보고는 아니었다.
그렇다고 정체성이 아주 없는 것도 아니다. 일본 문화가 과거에도 미국에서 유명했던 편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일본이 1980년대 이후 더이상 미국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못된다는 인식이 미국인들에게 자리잡히자 일본 문화가 생활 속에 더욱 깊고 넓게 자리잡혔고 이에 자신감을 얻고 일본 메이저리거들의 경기를 챙겨보기도 한다.
미국으로 이민간 재일교포나 한국계 일본인들은 한국계 미국인이 되기도 하지만 한국인으로의 정체성이 없는 경우에는 일본계 미국인이라고 한다. 일본 내에서 차별을 피하기 위해 일본어 밖에 못하는 경우. 이는 재일 화교가 다시 미국으로 이민 간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중국인 정체성이 있으면 중국계 미국인이 되고 중국인 정체성이 없으면 일본계 미국인이 된다. 시노타이계, 말레이시아계, 싱가포르계, 베트남계 화교 이민자들도 마찬가지다.
한편, 일본계 미국인으로 여겨지는 인구 가운데 오키나와계( 류큐인)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세기 초에 오키나와는 독초인 소철에서 독을 빼내 식용해야 할 정도로 빈곤이 심각한 지역이었고, 이때문에 많은 수가 타지, 특히 미국 하와이로 이민을 와서 정착했다. 이렇게 건너온 오키나와계 미국인들은 현지에서 본토 일본계와는 다른 독자적인 커뮤니티를 형성하기도 했다.
3. 유명한 일본계 미국인 목록
-
Alex(오니지와 레이몬):
ONE OK ROCK의 멤버였다. 이후 탈퇴.
-
레이첼 콘도: 드라마 쇼군 프로듀서겸 쇼군, 탑건 매버릭 프로듀서 저스틴 마크스의 아내
- Jaiden Animations
- Masato(마사토): 콜드레인의 멤버.
- 고바야시 하루카: 아나운서
- 그랜트 이마하라(이마하라 마사루): 디스커버리 채널의 인기 프로그램인 Mythbusters의 고정 출연자이자, 특수효과 전문가. 2020년 7월 13일, 뇌출혈에 의해 49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
다이스케 츠지: 미국의 뮤지컬 배우, 성우. 플레이스테이션 스튜디오의 게임
고스트 오브 쓰시마의 주인공
사카이 진의 모션 캡처 배우.
- 데스틴 다니엘 크레튼: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숏 텀 12의 감독. 아일랜드계, 슬로바키아계 혼혈이다.
-
대니얼 이노우에(이노우에 켄):
하와이
호놀룰루 태생. 아시아계 미국인 정치인으로 가장 높은 위치까지 올라간 인물로서 하와이 초대 연방 하원의원이자 6년 주기 선거에서 9번 연속으로 당선되어 49년간 연방
상원의원을 지낸
민주당의 거물.
진주만 공습 당시에 의료봉사자였다. 1943년부터 미국은 일본계 미국인의 입대를 거부하지만 이노우에는 하와이 대학 의대를 포기하고 입대 신청을 하고 승인된다. 전원 일본계[7] 2세로 구성된
442보병연대(442nd Regimental Combat Team)에 들어갔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이탈리아 전선에서
소대장으로 참여해
독일군 기관총 진지를 무력화하는 과정에서 팔을 한 쪽 잃었고 2000년 들어서 이 공로를 인정 받아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의회에서는 주로 외교, 상공, 국방 부문에서 활동하면서 워터게이트 사건, 이란-콘트라 사건 등 굵직한 사건을 맡아 정치적 입지를 키웠고 2009년에는 최고 원로 상원의원으로 상원의장 대행인이 되어 미국 대통령 승계서열 3위까지 오르며 미국 의원으로서 역사상 2번째로 최장기 임기 기록을 세웠다. 아래 마이크 혼다 의원과는 달리 미국과 일본 정계를 잇는 가교 노릇을 해왔고, 미국- 이스라엘 외교 관계를 정립하기도 해서 친이스라엘 의원으로도 알려져 있다. 사후 미국은 그를 기려 알레이버크급 DDG-118을 USS 대니얼 이노우에함으로 명명했고, 이스라엘도 애로우 미사일 통제 기지 명칭으로 그의 이름을 따왔다. 또한 호놀룰루 국제공항의 명칭이 그의 이름을 따서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으로 바뀌었으며, 하와이에 설치된 세계 최대 규모의 태양 망원경의 명칭도 DKIST(Daniel K.Inouye Solar Telescope)로 명명되었다. #
- 데본 아오키
- 도리스 마츠이 : 제109-118대 미 연방 하원의원이다. 캘리포니아 제7선거구에서 선출되었다.
- 랜스 이토: O. J. 심슨 사건의 재판을 담당한 前 판사.
- 마리코 타카하시: 1984년생. 모델 겸 배우. 아버지는 미국인이고 어머니는 일본인이며,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태어났다. 8세 때부터 모델로 활동했고, 드라마 어텐션 플리즈에 조연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조치대학 외국어학부를 졸업했다.
- 마이아 시부타니 / 알렉스 시부타니(마이아 하루미 시부타니 / 알렉스 히데오 시부타니) 남매: 피겨 스케이팅 선수.
-
마이크 혼다(혼다 마코토): 1941년생. 미국 연방
캘리포니아 주 하원의원이다. 12년 동안이나 해당 지역의 하원의원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이 사람의 지역구가 바로 실리콘 밸리 지역이라서 그쪽 관련 법안에 굉장히 영향력이 큰 사람이다.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를 인정하며
일본 정부에게 위안부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에 대한 사과와 보상을 요구한 전력도 있다.
-
마이클 K. 나가타 (Michael K. Nagata): 전직 미 육군 3성장군이자 전 미
그린베레,
ISA, 중부 특수전사령부의 엘리트 지휘관이었다. 익살스럽고 침착한 성격과 대단한 실력으로 미 특수부대쪽에서 널리 알려진 전설적인 인물이라고 하나 종사하는 부대 특성상 업계 밖으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아시아계 미국인 출신 군인 중 높은 자리에 오른 인물이다.
- 마이클 리버스: 일본의 성우. 아버지가 미국인. 출생지는 불명.
- 미키 데자키: 영화 주전장의 감독.
-
메이지 히로노(히로노 케이코): 1947년
일본
후쿠시마에서 태어났지만 어머니가
하와이 태생의 일본계 미국인이라 태생 미국 국적자이다. 2013년에
하와이 연방상원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소속 정당은 민주당. 최초의 여성 아시아계 상원의원이다. 그리고 최초의
불교 신자 상원의원이자 일본 태생 상원의원이기도 하다. 대니얼 이노우에는
하와이 태생이다. 남편은 일본계 미국인인 레이턴 킴 오시마(Leighton Kim Oshima)이다.
인터뷰에 따르면 남편인 레이턴은
한국계 미국인이기도 하다. 그러나 레이턴은 일본계 정체성이 더 강한 듯하다.
- 미즈오 펙: 배우. 영화 박물관이 살아있다 시리즈에서 사카자위아를 연기했다.
- 미유키 멜로디 이시하라(혼전 성은 이시카와): 미야비의 부인. 이전에 melody.란 이름으로 활동한 가수였다.
- 미치오 카쿠: 천체물리학자.
- 몬티 옴 - 애니메이터, RWBY의 아버지. 일본계이면서 동시에 베트남-캄보디아-중국계이다.
- 브라이언 티: 미국 배우로, 아버지가 오키나와계, 어머니가 한국계이다.
- 사토 아메리 : PRODUCE 101 JAPAN THE GIRLS의 참가자.
- 센토류: 스모 선수 출신의 종합격투기 선수. 아버지가 주일미군.
- 사무엘 이치에 하야카와
- 아폴로 안톤 오노: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 앨런 무라오카: 배우이자 연출가. Sesame Street의 앨런 역으로 유명하다.
- 에리카 이시이: 미국의 성우.
- 재니스 가와에(가와에 히로미)
- 제이제이: 대한민국의 아이돌 연습생. 일본과 미국의 혼혈이다. 풀 네임은 저스틴 제이 타카기.
- 제임스 이하(이하 요시노부): 아버지가 오키나와계이다.
- 조지 타케이(타케이 호사토)
- 카즈 키부이시: 마법의 스톤 애뮬릿의 작가로 알려진 만화가.
- 코난 그레이: 싱어송라이터
- 쿄코 찬 콕스: 오노 요코의 딸. 션 레논의 이부 누나이기도 하다.
- 크리스티 야마구치: 피겨 스케이팅 선수. 캘리포니아 출신의 일본계 4세. 크리스티가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 두각을 나타내자, 일본 언론은 그녀를 집중 조명하며 일본과 연관지으려고 했다. 그러나 크리스티는 "나는 일본인이 아니라 미국인"이라고 대답했다.
- 트래비스 이시카와(이시카와 타카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소속의 야구 선수이다.
- 팻 모리타(모리타 노리유키): 코미디 배우.
- 프랜시스 후쿠야마(후쿠야마 요시히로): 정치학자. 냉전의 종결되고 소련에 대한 미국의 승리가 확정된 1990년대 초반에 '자유민주주의가 이데올로기 경쟁에서 최종 승리했다'는 요지의 <역사의 종말>이라는 논문으로 학계에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그 후 2015년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자유 민주주의 외에 다른 대안은 여전히 찾기 어렵기 때문에 역사의 종말의 논제는 근본적으로 맞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
- 팻시 밍크: 정치인.
- 헤일리 키요코: 어머니가 일본계 캐나다인 피겨 스케이팅 선수 사라 카와하라.
4. 관련 문서
[1]
같은
아름다울 미를 쓰는
중국어로는 Riyi Meiguoren (日裔美国人)
[2]
미국 인구의 0.56%이다. 재외국민까지 합하면 2,546,982명(2019)이다. 미국에서 중국계, 인도계, 필리핀계, 베트남계 다음으로 다섯 번째로 큰 아시아계 커뮤니티이다. 국외를 통틀어 가장 큰 한인 사회를 구성하고 있다.
[3]
일본 해군의 정보 장교이고 하와이 주재 일본 영사관으로 배치되었을 때는 모리무라 타다시라는 이름으로 침투했다. 일본군이 진주만 습격 훈련과 실제 작전할 때 참고했었던 지도를 이 사람이 제작을 했고,
하와이에 소규모이지만 간첩망을 만들어 태평양 함대의 움직임까지 알아내 보고를 했다. 그리고 그의 스파이 활동은 매우 교묘해서,
FBI가 그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진주만 공습 후 체포했는데도 스파이 활동은 증거가 없어 기소하지 못했다. 1942년 8월 미일 양국의 외교관 교환 때 일본으로 추방됐다.
[4]
단순한 통역을 넘어서 항복 권유와 일본군 포로의 포섭같은 심리전도 수행했다.
[5]
일본군에서는
미국은
일본어에 대해 이해를 못한다고 생각했지만, 미군의 암호해독 프로젝트 책임자인 조셉 로슈포르 대령만 해도 일본어에 능통했고 많은 일본계 미국인 덕분에 매우 빠르게 번역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일본계 미국인들의 출신들도 다양해서 일본군이 가고시마벤으로 암호를 보낸 걸 바로 해독할 정도였다.
[6]
미국 정부에서 의뢰를 받아 쓴
국화와 칼의 저자인 루스 베네딕트는 일본에 가지않고 일본계 미국인들과 일본과 연줄이 있는 미국인들을 인터뷰해서 책을 썼다.
[7]
당시 한국계는 본국이
일본의 식민지라 일본계로 간주되었다.
공식적으로는 사실이 아니지만 비공식적으로 한국계를 일본계로 간주한 경우는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