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18:49:31

말라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ce1126><colbgcolor=#000>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역사 역사 전반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말라위 의회당
외교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영연방
경제 경제 전반 · 말라위 콰차
국방 말라위군
교통 말라위 항공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말라위 축구 국가대표팀 · 체와어 · 영어
인물 존 칠렘브웨 · 헤이스팅스 반다 · 라자루스 차퀘라
지리 릴롱궤 · 도와 현 · 데자 현 · 말라위 호
민족 체와족 · 야오족
}}}}}}}}} ||
말라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동아프리카 아이콘.png 동아프리카의 국가 및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지부티 소말릴란드 소말리아
파일:남수단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파일:케냐 국기.svg
남수단 에티오피아 우간다 케냐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말라위 국기.svg
르완다 부룬디 탄자니아 말라위(a)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
모잠비크(a) 마다가스카르(a) 모리셔스 세이셸
파일:코모로 국기.svg 파일:마요트 기.svg 파일:레위니옹 기.svg 파일:하드라마우트 기.png
코모로 마요트 파일:프랑스 원형.png 레위니옹 파일:프랑스 원형.png 소코트라 파일:예멘 원형.png
(a): 남아프리카로 분류하기도 함. }}}}}}}}}

파일:남아프리카 아이콘.png 남아프리카의 국가 및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나미비아 레소토 에스와티니 보츠와나
파일:잠비아 국기.svg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파일:앙골라 국기.svg 파일:세인트헬레나 기.svg 파일:어센션 섬 기.svg 파일:트리스탄다쿠냐 기.svg
잠비아 짐바브웨 앙골라 세인트헬레나 어센션 트리스탄다쿠냐 파일:영국 원형.png }}}}}}}}}

[[영연방|
파일:영연방 기.svg
영연방{{{#!wiki style="margin: -4px 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영연방 왕국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웨일스|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북아일랜드|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파일:바하마 국기.svg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자메이카 바하마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그레나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세인트키츠 네비스 앤티가 바부다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파일:벨리즈 국기.svg 파일:투발루 국기.svg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일:영연방 기.svg
솔로몬 제도 벨리즈 투발루 파푸아뉴기니 영연방 왕국
공화국인 회원국 (X 표시: 영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없음)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인도 파키스탄 스리랑카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케냐 국기.svg
가나 시에라리온 키프로스 탄자니아 케냐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파일:말라위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잠비아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우간다 말라위 몰타 잠비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나우루 국기.svg
싱가포르 가이아나 보츠와나 모리셔스 나우루
파일:피지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피지 방글라데시 감비아 세이셸 키리바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누아투 카메룬 도미니카 연방 몰디브 바베이도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나미비아 X 모잠비크( 포르투갈) X 르완다( 벨기에) X 가봉( 프랑스) X 토고( 프랑스)
별도의 군주가 있는 회원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파일:통가 국기.svg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레소토 에스와티니 통가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탈퇴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아일랜드 짐바브웨
가입 희망국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남수단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수리남 국기.svg
소말릴란드 수단 남수단 부룬디 수리남 }}}}}}}}}
말라위 공화국
Republic of Malawi | Dziko la Malaŵi
파일:말라위 국기.svg 파일:말라위 국장.svg
국기 국장
Unity and Freedom
단결과 자유
<colbgcolor=#339e35> 면적 118,484km2
인구 19,647,681명(2021년) | 세계 61위
수도 릴롱궤
접경국
[[잠비아|]][[틀:국기|]][[틀:국기|]]

[[모잠비크|]][[틀:국기|]][[틀:국기|]]

[[탄자니아|]][[틀:국기|]][[틀:국기|]]
국가 하느님, 말라위를 축복하소서.
(체와어: Mlungu dalitsani Malaŵi)
공용어 영어, 체와어[1]
정부 형태 공화제, 대통령중심제
민주주의 지수 5.85점, 혼합된 체제(2023년)
(167개국 중 76위)
대통령 라자루스 차퀘라
부통령 마이클 우시
여당 말라위 의회당
민족구성 체와족(33%), 야오족(21%) 등
종교 기독교(80%), 이슬람교(13%)
통화 말라위 콰차
UN가입년도 1964년 12월 1일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 1965년 3월 9일
북한 : 1982년 6월 25일
교민 수 145명
여행경보 여행유의: 전 지역
위치
파일:말라위 위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지리5. 행정구역6. 정치7. 경제
7.1. 식량 위기
8. 문화9. 사회10. 외교11. 군사12. 스포츠13. 말라위 출신 인물14. 기타

[clearfix]

1. 개요

동아프리카의 국가로 수도는 릴롱궤(Lilongwe). 최대도시는 블랜타이어(Blantyre)다.[2] 국토면적은 북한보다 약간 작은 118,484km², 인구는 약 21,500,000명 (2022년 말라위 정부 추정). 1인당 명목 GDP는 $523, GDP PPP는 $1,588(이하 2022년 IMF 추정)로 정치사회적으로 안정된 나라 중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이기도 하다. 부존자원이 없고 오로지 농업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산업구조상 자연재해에 취약한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외환위기가 주 원인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말라위 콰차-미 달러의 환율이 시장거래액(소위 암시장)이 정부고시액보다 큰 경우가 많아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영향을 심하게 받는다.

그래도 2020년대 들어서는 식량작물들의 안정적인 생산량[3]과 미 달러 강세와 인플레이션에 따른 통계학적인 수혜 덕(?)으로 1인당 명목GDP는 600달러를 살짝 넘는 수준으로 성장했다. 내전과 그 여파로 어수선한 부룬디, 소말리아, 남수단, 에리트레아, 콩고민주공화국, 아프가니스탄 등 보다는 확실히 높고,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모잠비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등과는 비슷한 경제 수준이다. 심지어 통계를 발표하는 기관에 따라서는 북한의 1인당 명목GDP와 비슷하게 추정되기도 한다.[4]

말라위의 소득 수준은 한국을 기준으로 하면 1:110 이상. 룩셈부르크 같은 초고소득 국가 기준으로 하면 무려 1:500에 가깝다.

국명은 독립후에 불꽃이 타오르는 마음에서 불꽃이라는 뜻의 체와어이다.

2. 상징

2.1. 국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라위/국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역사

말라위는 10세기에 처음으로 반투족들이 정착하기 시작하여 1891년까지는 흑인 원주민이 이 지역을 지배했다. 하지만 헤로도토스가 저술한 《역사》에도 이 지역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된 것으로 보면, 사람이 정착하지만 않았을 뿐 남아프리카 동아프리카로 진출하는 세력들이 이따금씩 드나들던 곳임은 확실해 보인다.

아무튼 영국의 선교사인 데이비드 리빙스톤(David Livingstone)이 당초 나일강 탐험에는 실패했지만 오히려 빅토리아호 이남 지역의 호수와 하천을 탐험하면서 서방에 소개됐고, 1891년에는  영국군에 의해 점령되어 영국의 식민지인 영국령 니아살랜드(Nyasaland)가 설립되었다. 사실 영국의 식민지가 되기 훨씬 이전에 이웃나라인 모잠비크를 식민지로 점유하던 포르투갈이 이 나라와 잠비아를 합병하여 남서-남동 아프리카 양쪽에 위치한 포르투갈령 식민지인 앙골라와 모잠비크를 육로로 연결하기 위해 식민지 영유권을 주장했으나, 이미 쇠퇴할 대로 쇠퇴한 포르투갈이 영국과의 외교전 싸움에서 패배하면서 이 나라는 잠비아, 짐바브웨와 함께 로디지아 니아살랜드 연방(Federation of Rhodesia and Nyasaland)로 묶여 영국령이 됐다. 1915년 1월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틈을 타 침례교 목사였던 존 칠렘브웨가 주축이 되어 영국 총독부에 저항하기도 했지만 이내 진압됐다. 하지만 말라위인들은 이 사건을 계기로 유럽인들에 의해 자행된 식민통치의 실상을 자각하게 된다. 결국 말라위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인 1964년에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게 된다.

1964년부터 30년 동안 군림한 말라위의 초대 대통령 헤이스팅스 반다(Hastings Kamuzu Banda)는 강압적인 통치로 악명이 높았다. 그러나 한편으로 반다는 가난한 농민 태생이라서 그런지 1차 산업에 의존하는 대다수 농민들에게 비료를 무상 제공하여, 가뭄이 아니라면 적어도 사람들이 굶주릴 일은 없었다. 덕분에 독재정치로 국제적으로 비판 받았지만 대다수 말라위 농민들은 반다를 지지했다. 또한 이때 반다는 아프리카에서 드물게 친서방-반공산주의적인 행보를 보여 서방으로부터 많은 원조도 받는 등[5], 남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제1세계권 국가였기도 했다.[6] 그래서 냉전 시대에 제3세계 혹은 반식민주의를 표방하지 않는 나라를 찾기 매우 드물었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서 유일하게 식민모국과 남아공의 아파르트헤이트를 지지한 국가라는 특이한 위치에 있었다. 국제적으로 고립당했던 남아공을 지지한 덕에 좀바에서 릴롱궤로 천도할 때 남아공의 지원을 받기도 했다.

독립 이후 30년 가까이 절대권력을 누린 반다였지만 탈냉전 이후 전 세계적인 민주화의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었다. 1992년 말라위 천주교의 주교가 반다의 정치노선을 비판하는 서한을 시작으로, 말라위 대학교의 챈슬러 캠퍼스(Univ. of Malawi at Chancellor College)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주교를 지지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이윽고 말라위 노동계의 지도자였던 차쿠프와 치하나(Chakufwa Chihana)가 다당제 도입을 묻는 국민투표를 제안하는 시위를 했지만 반다는 치하나의 제안에 대한 대답으로 그를 체포했다. 당시 국제 여론은 장기독재자인 반다에게 호의적이지는 않았고, 결국 1993년 6월 국민투표를 통해 일당제 체제가 종식되고 1994년 총선부터 다당제 선거가 출범하게 된다.[7] 이후 반다와 그가 이끄는 정당인 말라위 의회당(Malawi Congress Party, MCP)이 1994년 선거에서 패배함에 따라 반다는 96세의 나이로 순순히 물러났다. 그리고 3년 뒤인 1997년 99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1994년 총선에서는 바킬리 물루지(Elson Bakili Muluzi)가 이끄는 민주전선연합(United Democratic Front, UDF)가 승리하여 여당으로써 정권을 잡았다. 물루지는 대기업 간부 출신으로 부유층을 위한 노골적인 정책을 추진해 국민들의 원성을 샀다. 그럼에도 자신이 경제인이니 경제를 잘 안다는 엘리트주의 정치를 주창하고, 비료 무상 제공을 포퓰리즘 정책으로 비난하며 전면 폐지, 상당수 농업 필수품들을 독점하여 이득을 취했다. 비료를 공급 받지 못한 농민들은 농사가 되지 않아 생활난에 빠지게 되었다. 1990년대 후반에는 연이은 가뭄으로 사람들이 죽어나가고 온갖 질병이 퍼졌다. 이때 대통령은 "이 나라에 질병은 없는데 악질적인 소문을 내서 민심을 어지럽히는 행위를 처벌하겠다"며, 여론을 통제하는데 급급했다.

결국 민심을 잃고 2004년 선거에서 패하여 10년 만에 권력을 잃고 물러났다. 물루지는 선거에서 패한 것을 무식한 농민들의 오해라고 끝까지 자신의 실책을 인정하지 않았다. 허나 농민 상당수를 식구로 둔 군부 및 여러 고위층은 물리지의 정책을 말라위 역사상 가장 바보라고 혹평했다. 결국 비난 속에 물루지는 말라위에서 추방당했다. 물루지의 후임으로 선출된 빙구 와 무타리카는 물루지와는 선을 긋기 위해 민주진보당(Democratic Progress Party)을 창당하여 자기 세력을 키웠고 물루지 시절 실정을 바로잡는 정책을 실시해 말라위 국민들에게 희망을 갖게 만들었다. 하지만 임기 중이었던 2012년 4월 심근경색으로 사망했고, 이후 부통령이었던 조이스 반다에게 대통령직이 자동승계되어 말라위 최초의 여성 대통령으로서 남은 임기를 수행했다. 이후 2014년 총선에서 빙구와 무타리카의 동생인 피터 무타리카가 대통령이 돼 민주진보당은 계속 여당으로 남았다. 그러나 내륙국에다 1차 산업 외에 이렇다 할 경제적 기반이 전무한 국가 특성상 뾰족한 수가 없어 좀처럼 경제가 극적으로 성장할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2019년 5월 피터 무타리카의 재선이었던 총선거에서 민주진보당의 불법선거 의혹이 제기돼 말라위 고등법원이 총선 결과를 미루는 결정을 내렸고 # 이 와중에 주 말라위 미국대사가 야당인 말라위 의회당 당수이자 대통령 후보였던 라자루스 차퀘라 박사와 면담하던 도중에 경찰이 쏜 최루가스에 피습된 일이 발생되었다. #

2020년 2월 3일 말라위 헌법재판소는 부정 행위를 이유로 2019년 5월에 있었던 대선 결과를 무효화하는 판결을 내렸다. # 그러자 무타리카 대통령은 사법 쿠데타라고 반발하며 이 문제를 대법원으로 끌고 갔다. # 그러나 헌법 규정에 따라 재선거가 치러지게 됐다. 이후 6월 25일 말라위에서 치러진 재선거에서 야당이 승리했고 #, 6월 28일에 라자루스 차퀘라 신임 대통령이 취임했다. #

하지만 2020년 COVID-19 확산 과정에서 차퀘라 정부는 적극적인 대응을 취하지 않았고, 세수 감면 외에는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한 채 그저 대통령으로서 할 수 있던 것은 기도만이 거의 전부일 정도로 무능한 대통령과 정부로 비판을 받고 있다.[8]

2018년 10월 14일에 인도와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마하트마 간디 동상을 건립하려 하자 반대 시위가 일어났다. #[9]

2019년 3월 9일 인도양에서 올라온 사이클론의 영향으로 수해가 발생해 30여 명이 실종되거나 사망했다. #

2022년 2월 18일, 약 30년만에 말라위에서 소아마비 환자가 발생했다. #

2023년 1월 5일, 말라위에서 콜레라가 창궐해 643명이 사망했다. #

4. 지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1px-Malawi_sat.png

아프리카에서 3번째로 큰 호수인 말라위 호[10]가 국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해, '호수의 나라'로 불린다. 말라위 호에서 잡히는 어패류 수출 등이 말라위 경제의 큰 몫을 차지하며, 호수 관개 사업을 통해 농사를 짓고 있다. 하지만 관광으로는 좀 애매한데, 물생활 동호인들에게는 이 호수에 서식하는 시클리드들인 말라위 시클리드로 유명해 탕가니카 호의 시클리드와 견줄 정도라 이를 보기 위한 스노클링이 성행하지만, 호수에 서식하는 주혈흡충 기생충으로 인한 위험도 상존하고 있다. 또한 말라리아도 이쪽에서는 꽤 독해서 정말 강한 약을 먹어야 예방이 된다고 한다.

파일:external/farm6.staticflickr.com/5751633394_a6e5025b83.jpg

영토 내에 있는 물란제(Mulanje) 산은 해발 3,000m로 말라위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11]

영토의 모양이 한반도 모양이라고 해서 화제가 되었는데, 오래 전에 스펀지에 진짜로 나온 적이 있었다. 하지만 선암마을에 비하면 쨉도 안 될 뿐이고, 정작 강원도 함경도에 해당되는 부분은 호수 지역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한반도 모양이라고 막 하기는 어렵다.

상기했듯 말라위 호의 동쪽 일부는 옆나라 모잠비크의 땅인데, 특이하게도 모잠비크령 말라위 호 내에 있는 리코마 섬(Likoma Islands)과 치주물루 섬(Chizumulu Island)은 말라위의 월경지다. 하지만 행정을 뺀 생활 부분은 대부분 모잠비크와의 교류가 절대적이라 모잠비크의 땅이라고 해도 될 정도다. 그래도 교류가 많지는 않지만 말라위까지 가는 배가 가끔 있기는 하다.

5. 행정구역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의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말라위 북부 주 행정구역
치티파 현 카롱가 현 룸피 현 음짐바 현 음주주 현 은카타베이 현 리코마 현

말라위 중부 주 행정구역
카숭구 현 은코타코타 현 은치시 현 도와 현 음친지 현 릴롱궤 현 릴롱궤 살리마 현 데자 현 은체우 현

말라위 남부 주 행정구역
망고치 현 발라카 현 마칭가 현 네노 현 음완자 현
블랜타이어 현 블랜타이어 치콰와 현 좀바 현 좀바
치라줄루 현 팔롬베 현 물란제 현 티올로 현 은산제 현
파일:District map of Malawi.png

말라위는 각각 북부, 중부, 남부, 3개 (州, Region)와 29개 (縣, District)으로 나뉜다. 다만 사실상 모잠비크 땅이나 다름없는 리코마 현을 제외하면 28개가 된다. 이 중 수도인 릴롱궤가 있는 곳은 중부 주 릴롱궤 현(14)이다.

북부의 음주주(Mzuzu)와 중부의 릴롱궤(Lilongwe), 남부의 블랜타이어(Blantyre)와 좀바(Zomba)가 해당 주의 중심지이다. 좀바는 시절인 영국 중앙아프리카 보호령(British Central Africa Protectorate, 1893 ~ 1907)과 니아살랜드 보호령(Nyasaland Protectorate, 1907 ~ 1964), 그리고 말라위 독립 초기인 1974년까지 수도였다.

6. 정치

말라위의 정치 정보
부패인식지수 34점 2023년, 세계 115위
언론자유지수 60.34점 2023년, 세계 82위
민주주의 지수 5.85점 2023년, 세계 76위

7. 경제

남아프리카 경제
[[앙골라/경제|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나미비아#경제|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경제|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잠비아#경제|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보츠와나#경제|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레소토#경제|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말라위#경제|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짐바브웨#경제|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에스와티니#경제|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모잠비크#경제|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마다가스카르#경제|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경제|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말라위는 세계 최빈국 중 하나이며, UN개발계획(UNDP) 기준으로 극도의 저개발 국가다. 2024년 IMF 통계 기준 1인당 GDP는 고작 481$, 순위도 189개국 중 186위.[12][13]

물론 말라위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더 가난한 국가가 없지는 않지만, 이들은 모두 내전의 후유증에 시달리거나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국가들이다. 사실상 북한, 마다가스카르[14]와 함께 내전의 후유증이 없는 국가들 중에서는 가장 못 사는 나라인 셈이다.

인구의 80 ~ 90% 가량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2017년 기준으로 농업이 GDP의 1/3, 수출의 80%를 차지할 정도다. 차, 희귀 어류, 목화, 담배[15] 등이 주요 수출품이며, 자원도 거의 없다시피하다. 그리고 그것도 그나마 성장률이 2% 이상 올라서 그렇게 됐다. 내륙국의 특성상 무역에도 불리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그나마 헤이스팅스 반다 시절에는 1인당 GDP상으로는 최빈국이기는 했어도 굶주리는 이웃 국가들에게 옥수수를 수출까지 했을 정도로 먹고 살기에는 그다지 큰 지장은 없었지만, 반다가 물러나고 민주화된 이후 식량 사정은 오히려 독재정권 시절보다도 더 나빠졌다. 그 1차 산업, 특히 농업이 잦은 가뭄과 흉작, 이에 반대되는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대폭망하기 일쑤라고 한다. 주식은 옥수수지만 기근이 찾아오면 입에 들어오는 건 뭐든지 찾다가 쥐고기까지 먹게 된다고.[16] 아래에도 소개되는 윌리엄 캄쾀바도 농부의 아들이었으며, 그의 자서전에도 기근과 빈곤, 굶주림에 관련된 일화가 여럿 실려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2004 ~ 2005년 극심한 가뭄 이후 현재까지는 말라위를 위협할 정도의 큰 가뭄피해는 없다는 것. 그러나 3년에 한번씩 평년에 비해 작황이 떨어지는 사이클이 반복된다.

1차 산업에 기대는 산업구조상 자연재해에 민감할 수밖에 없으며, 우기에 비가 적절하게 내리지 않는다면 이는 말라위 경제뿐만 아니라 식량안보에도 큰 문제를 가져온다. 문제는, 주식인 옥수수가 정부의 입김에 의해 가격이 좌지우지되는 소위 '정치적인 작물(Political crop)'이라는 문제가 있다.[17] 다만, 옥수수 이외의 작물의 경우 작황이 좋으면 주변국과 비교하여 공급에 우위를 점하는 경우가 있어 종종 대박이 나는 경우도 있는 모양이다.

말라위의 단순하고 취약한 경제·산업구조상 환율에 의한 인플레이션 역시 문제인데, 2010년대 중반 IMF 사무소가 말라위에 들어와 말라위 정부에 정책자문을 해준 덕으로 그나마 인플레이션이 잡히는 듯 싶었다. 그러나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정부고시 미 달러 환율과 시장가격(소위 암시장) 환율의 괴리가 심각해 인플레이션 현상이 급격히 발생되고 있다.

주요 수출 품목은 담뱃잎으로 전 수출의 2/3를 담배가 차지하고 있다. # 심지어 JT 사무소가 들어올 정도. 여전히 담배농사를 짓는 농부들은 짭짤한 수입을 보기는 하나 전 세계적으로 담배 소비량이 줄고 있어 타격을 받고 있다. 그 외의 잘 알려진 특산품으로는 커피가 있다. 케냐산 커피와 비슷한 향과 맛을 보여주나 산미가 조금 덜한 편으로, 비교적 유명한 커피 생산지는 아니지만 품질은 아주 훌륭하다. 좋아하는 사람은 아라비카 커피 중 최상품으로 치기도. 다른 유명 커피 생산국과는 달리 거대 플랜테이션이 아니라 소규모 개인 농장 위주로 생산된다고 한다.

홍차도 생산 중인데 잃어버린 말라위(Lost Malawi)라는 상표가 영국에서 팔리고 있다. 코너 우드먼이 쓴 <나는 세계 일주로 자본주의를 만났다>라는 책에서도 언급된다.

아래 언급되지만, 흉작으로 인한 식량 문제로 국제기구 사무소와 여러 NGO가 진출하여 활동하고 있다. 이 때문인지 NGO를 통해 진행되는 프로젝트로 외화가 유입되는 비중이 말라위 경제에서 생각보다 어느 정도 차지하는데, NGO가 말라위 경제의 하나의 산업군이라는 자조적인 농담이 있기도 하다.

7.1. 식량 위기

1990년대부터 지속적인 식량 위기를 겪고 있다. 인구가 지난 반 세기 동안 4배 가까이 폭증한 반면에 감자와 옥수수의 생산은 빠르게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구 1만명당 2명의 기아 사망자가 발생한 2002년부터 세계식량기구와 유니세프 등이 구호에 나섰지만, 만성적인 물 부족을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2005년에는 국가비상사태가 선포되기도 했다. 또한 식량 위기는 부차적인 사회 문제의 원인이다. 기아 사망으로 인한 고아가 증가하고 있으며, 학업 중퇴율도 25%로 치솟았다.

한편 IMF와 세계은행이 2002년 식량 위기를 불러 일으켰다는 주장도 있다. 당시 세계은행은 1990년대 '워싱턴 컨센서스'의 일환으로 말라위의 농경업무 민영화, 종자 및 비료에 대한 정부보조금 삭감을 제안했고, 예산의 절반 이상을 원조에 의지하던 말라위 정부는 이를 따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2000년대 초 연이어 가뭄이 닥치면서 식량 생산량의 급감하면서 이는 국가재난이 되었다. 이미 정부는 곡물 비축분을 전량 매각하였기에 구호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었으며, 곡물 중개인들은 오히려 곡물 가격을 올렸다. 결국 정부는 세계은행의 정책에 반기를 들어 시장에 개입하여 시장 가격보다 싼 값으로 소농을 지원했다.

세계은행은 즉각 반대했으나 정부는 정책을 밀어붙였고, 이는 2000년대 말 풍작으로 이어지며 성공을 거둔다. 이러한 진통 끝에 세계은행은 개발도상국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인 농업 민영화 정책 강요는 오히려 실제 경제를 해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태도를 바꾸었다.

경제 실패는 자유주의적 시장경제정책과 긴밀히 연결된 민주주의에 대해 말라위 국민이 회의감을 품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18]

8. 문화

동아프리카 문화
파일:남수단 국기.svg 파일:레위니옹 기.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남수단 레위니옹 파일:프랑스 원형.png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파일:마요트 기.svg 파일:말라위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마요트 파일:프랑스 원형.png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부룬디 세이셸 소말리아 소말릴란드
파일:하드라마우트 기.png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소코트라 파일:예멘 원형.png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지부티 케냐 코모로 탄자니아

8.1. 식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라위 요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사회

가난한 국가이지만 경제에 비하면 주변국인 짐바브웨 콩고민주공화국 등에 비해 비교적 정치·사회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다. 대체적으로 부족 간의 반목도 여타 아프리카 국가들에 비해 적은 편으로, 북중부 지역의 릴롱궤와 남부 지역의 블랜타이어 두 도시간의 라이벌 감정이 있긴 하지만, 굳이 비유하자면 한국의 경상도-전라도 또는 경상도 내의 경북-경남이나 일본의 간토-간사이, 이탈리아의 남부 이탈리아-북부 이탈리아, 그리스의 남부 그리스-북부 그리스[19]와 같이 지역갈등 정도 수준에 그칠 정도로 총질이 난무하는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에 비해서는 애들 장난인 수준. 국민성도 호전적인 다른 국가의 국민보다는[20] 온순하다는 평이다.

2019년 당시 피터 무타리카(A. Peter Mutharika)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한 총선에서 부정선거가 발생했는데, 시민들의 시위가 격렬해도 사회 전체가 마비될 정도의 수준은 아니었다. 결국 법정까지 간 부정선거 의혹은 대법원 판결로 선거효력 무효로 이어졌고, 2020년 6월 재투표를 통해 평화적으로 정권교체가 이뤄졌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말라위 국민들도 나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모양.[21]

치안의 경우, 외국인 입장에서는 위험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그럭저럭 나쁘지 않은 수준이다. 그러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절도·강도 사건은 있기에 항시 조심해야 하며, 여느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여성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시각을 가지기에 오해사는 일이 없도록 조심해야 한다.

한때 정부에서 골 때리는 법을 제정하려다가 전 세계급으로 대차게 까였다. 2011년에 공기 오염 법안을 제정하면서 법무부 장관이 공공 장소에서 방귀를 뀌지 말라고 발언한 것. 이 소식을 들은 말라위 국민들은 그야말로 충공깽. 결국 논란이 확산되자 법무부 장관이 발언을 철회하면서 없던 일이 됐다.이 사건이 국제적 헤드라인을 장식한 후 말라위 정부는 언론과 협약을 맺어 정부의 해명없이 말라위의 이미지와 신용을 훼손하는 기사를 쓰지 말도록 했다. 이런 행정부의 언론 탄압은 2011년 말라위 시위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2022~2024년에는 북한에 준하는 수준으로 전력난이 매우 심각했다. 실제로 말라위 24 사이트에 들어가면 틈만 나면 정전 중이라는 뉴스가 뜰 정도. # 링크에 따르면 말라위에서는 하루 보통 6시간에서 8~9시간 전국이 정전되는 경우가 잦다고 하며, 심지어 어느 주말에는 하루 14시간( #), 19시간( #)[22]까지 전국이 정전된 적이 있다. 수력발전에 전력을 의존하는 빈곤국인데 수력발전소가 고장, 자연재해 등으로 망가지면 전력난이 심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2023년 사이클론 프레디로 쉬레 강에 있는 테자니(Tedzani)수력발전소가 붕괴돼 전력 공급에 큰 문제를 겪기도 했다.

10.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라위/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말라위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스포츠

여느 아프리카 국가가 그렇듯 말라위에서도 축구가 매우 인기가 있다. 하지만 FIFA 랭킹은 100위권에서 머물고 있다. 아프리카 축구 연맹과 그 지역연맹인 남부아프리카축구연맹(Council of Southern Africa Football Associations, COSAFA)에 가입돼 있고, 남녀 국가대표팀이 매년 열리는 COSAFA컵에 가끔 준우승에서 4위 사이의 성적을 내긴 하지만 지역 강팀인 남아공, 잠비아, 앙골라 등에 현실적으로 밀린다. 자세한 내용은 말라위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참조.

하지만 이 나라를 유일하게 빛내주는 스포츠가 있으니 농구와 유사한 스포츠인 넷볼에서 초강세를 보인다. 영연방에서 인기있는 여성 스포츠로, 아프리카에서는 세 손가락 안에 드는 실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2007년 뉴질랜드에서 열린 넷볼 월드컵에서 거둔 5위가 해당 대회의 최고성적이다.

13. 말라위 출신 인물

14. 기타

양궁 대표단이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본선 진출을 이루는 쾌거를 달성하여 화제가 되었다. 대표팀의 박영숙 감독 말에 의하면 제3세계 대표팀이 그렇듯 전혀 기대도 안 하고 있다가[23] 본선에 진출하자 나라 전체가 난리가 나서 말라위 정부 관계자가 국가적으로 뭘 해주면 좋겠느냐라고 연락이 올 정도라고 한다.

굿네이버스 12회와 13회의 주인공인 핫산과 라멕이 사는 곳이 말라위다.



말라위 국가.
[1] 냔자어라고도 한다. [2] 2018년 센서스 기준으로는 릴롱궤 인구가 약 1,000,000명, 블랜타이어 인구가 약 800,000명이다. 다만, 릴롱궤가 정치·행정도시라면 블랜타이어가 상업도시이기에 말라위 내 양대 라이벌 도시다. [3] 특히 2020년 동아프리카 지역이 황충 피해로 큰 타격을 입을 때 말라위 내 식량작물의 수출가격이 오르는 반사이익을 누렸다. [4] 2020년 UN 발표 자료에 따르면 말라위가 615달러, 북한이 618달러를 기록했다. [5] 주로 미국, 영국, 캐나다로부터 원조를 받았다. [6] 이웃국가인 모잠비크의 경우 냉전 시기 포르투갈과의 독립전쟁 때문에 모잠비크 해방전선(FRELIMO)이 반식민주의를 지지한 소련 중국의 영향을 받았고, 모잠비크와 같은 처지에 있던 앙골라 역시 공산권이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줬다. 그리고 소수의 백인 기득권에 의해 자행된 아파르트헤이트 학정에 대항한 남아프리카공화국 짐바브웨의 흑인운동가들 역시 공산권의 지원을 받았다. 탄자니아 제3세계 국가로서 제1세계와 제2세계 사이에서 공산권과의 적절한 관계를 유지했다. 오히려 말라위와 비슷한 처지였던 잠비아, 보츠와나는 상기 국가들과 연합하여 이른바 '전선국가 (Frontline States, FLS)'라는 느슨한 연합체를 결성했다. [7] 치하나는 1993년 국민투표 4일 전에 석방됐고, 이후 1994년 총선에서 민주주의연대(Allliance for Democracy, AFORD)의 당수로 활약해 1994년 총선 후 부통령으로 활동한다. [8] 실제로 차퀘라는 신학박사로,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렇기에 한국의 순복음교회에서 말라위 오순절교회 연합회의 회장까지 지냈던 차퀘라를 2022년에 초청하기도 했지만, 구원파계인 기쁜소식선교회에서 같은 해에 대통령궁을 예방하기도 했다. [9]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변호사로 있을 때 인도인이 영국인과 동등한 권익을 얻을 수 있도록 힘썼지만 흑인에 대해서는 무시했다는 비판이 있다. 아프리카에서 간디에 대한 평가는 복합적이며 오히려 간디보다는 인도의 독립에만 치중했고, 식민제국주의 시대 종식 후에는 여타 아프리카를 비롯한 제3세계 국가들과의 연대를 꾀했던 자와할랄 네루와 혹은 그의 딸인 인디라 간디를 높게 평가하는 이들도 존재한다. 다만, 동아프리카 지역 경제계를 장악하고 있는 인도계의 수가 적지 않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간디 동상 건립은 일어날 만한 일이다. [10] 탄자니아 모잠비크에선 니아사(Nyassa탄자니아/Niassa모잠비크)로 부른다. 모잠비크의 니아사 주 역시 면접한 말라위 호/니아사 호에서 이름을 땄다. [11]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산은 킬리만자로(Kilimanjaro)산. 해발 5,895m. [12] 이 통계에 따르면 말라위보다 가난한 나라는 아프가니스탄, 남수단, 부룬디 4개국밖에 없다. [13] 어느 정도로 낮은 거냐면, 6.25 전쟁 휴전 직후인 1954년 대한민국의 1인당 GDP를 2024년 가치로 환산한 것이 527달러다. [14] 다만 이쪽은 2009년 마다가스카르 정치 위기 항목을 봐도 알 수 있듯 정세가 상당히 혼란스럽기에 경제개발을 제대로 하려야 할 수가 없는 나라다. 정세가 안정적인데도 이 정도로 가난한 나라는 북한과 말라위가 전부다. [15] 2012년 수출 수익의 1/3을 담배가 차지했으며, 2000년에는 세계 최대 담배 생산국 10위를 기록할 정도였다. [16] 그런데 극심한 기근에 먹는 쥐고기가 식량난이 덜한 때에는 은근 별식으로 통한다. 외국에 체류 중인 말라위인이 쥐고기가 생각난다면 본국에 배송 요청을 하기도 한다고. [17] 한국으로 치면 과거 정부가 추곡수매를 통해 쌀 가격을 통제했던 원리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만, 한국의 쌀 가격 통제는 식량 확보 및 쌀 산업 보호, 보조금 투입을 통한 농가소득 보전의 성격이 크다. [18] Joshua Kurlantzick, 2013, Democracy In Retreat, Yale University Express;조슈아 컬랜칙, 2015, 어떻게 민주주의는 망가지는가, 노정태 역, 들녘, 101 - 103면. 이상의 식량위기 내용은 이 책을 참고. [19] 바다 건너 이탈리아처럼 그리스 역시 수도 아테네 등이 위치한 남부와 테살로니키 등 북부 지역 간의 지역감정이 존재한다. 자세한 건 지역 갈등/유럽 문서 참조. [20] 호전적인 주변국가로 DR콩고 모잠비크, 짐바브웨 등의 국민들이 손에 꼽힌다. [21] 이 덕분에 이코노미스트 선정 2020년 올해의 국가로 선정되기도 했다. [22] 간단히 말해 이때는 하루에 5시간만 전기가 들어왔다는 뜻이다. [23] 심지어 제대로 된 장비도 없어서 폐지와 계란 케이스로 과녁을 만들어 썼을 정도로 열악했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