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23:01:23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 · 기록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중세 음악 노트르담 악파 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 비트리 · 마쇼
기타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 부르고뉴 악파 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스페인 빅토리아
영국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프랑스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이탈리아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중부 유럽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영국 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 전고전(로코코)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초기 고전파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 전기 낭만​주의 초기 낭만파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오페라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후기 낭만​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폴란드
낭만주의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미국
후기 낭만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국민​악파 러시아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중부 유럽 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흐리스토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모니우슈코 파일:폴란드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 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음악
인상주의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신고전주의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제2 빈 악파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 음악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영국 근현대 음악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헝가리 근현대 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폴란드 현대 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 음악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한국 현대 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23729>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연방조약 · 러시아 헌정 위기
지리 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 하위 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볼가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북서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 하위 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노보시비르스크( 하위 지역)) · 우랄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 하위 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호 · 한카호 · 돈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산맥 · 스타노보이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산 · 시베리아 (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반도 · 타이미르반도 · 캄차카반도 (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섬 · 콜라반도 · 축치반도 · 크림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오세티야 · 체르노젬 · 쿠즈바스 · 돈바스
문화 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 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 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 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 국가두마)
경제 경제 전반 (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 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 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 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 철도 환경 ·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 러시아계 한국인 · 러시아계 프랑스인 · 러시아계 독일인 · 러시아계 영국인 ·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계 폴란드인 · 러시아계 스페인인 · 러시아계 미국인 · 러시아계 캐나다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카자흐스탄인 · 러시아계 중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 러시아계 일본인 · 러시아계 호주인
음식 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 러시아 연방군 (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 편제) · 해군 (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PKM)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프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 러시아 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FSB
기타 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마천루/러시아 · 불곰국 }}}}}}}}}

<colbgcolor=#000034><colcolor=#EFD88F>
드미트리 드미트리예비치 쇼스타코비치
Дмитрий Дмитриевич Шостакович
Dmitri Dmitriyevich Shostakovich
파일:Композитор_Дмитрий_Дмитриевич_Шостакович.jpg
[ 컬러 버전 프로필 펼치기 접기 ]
파일: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컬러).jpg
출생 1906년 9월 25일[1]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現 러시아 북서 연방관구 상트페테르부르크)
사망 1975년 8월 9일 (향년 68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現 러시아 모스크바)
정당
[[소련 공산당|]]
직업 작곡가
학력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자녀 아들: 막심 쇼스타코비치
손자: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주니어
종교 무종교 ( 무신론)

1. 개요2. 생애
2.1. 가족 및 사생활
3. 창작 성향4. 평가
4.1. '증언'4.2. 대한민국에서
5. 주요 작품들
5.1. 교향곡5.2. 관현악5.3. 협주곡5.4. 실내악5.5. 피아노5.6. 성악곡 및 합창곡5.7. 오페라5.8. 오페레타5.9. 발레5.10. 극음악 및 영화음악5.11. 편곡
6. 수상 경력/주요 직위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소련 작곡가 피아니스트. 프로코피예프와 함께 현대 소련을 대표하는 작곡가이며 20세기 음악사에서도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0대 시절부터 조숙한 음악성을 확립하여, 음악인생 내내 특유의 번득이는 신랄함과 풍자성이 돋보이는 작품을 작곡하였다.

20세기에 태어난 음악가임에도 불구하고 서방과 전혀 다른 음악환경을 가진 공산주의 국가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조성의 해체와 아방가르드가 대세였던 서유럽의 음악사조와는 상당히 다른 음악세계를 구축하였다. 쇼스타코비치는 평소 암시적으로 돌려 말하였으며 자신의 작품에 대한 명확한 해석을 꺼렸고, 그의 행적 역시 우유부단, 자기모순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그런 사료에 기반한 평가들도 서로 모순적이며 극명히 갈리는 작곡가이다.

따라서 쇼스타코비치를 공산주의자이자 정권 친화적인 음악을 창작한 어용 성향의 작곡가라는 기존 해석, 소련 체제의 비판자였다는 해석, 절충적으로 레닌이나 러시아 혁명 등 초기 혁명가들에 대한 경외심을 계속 유지했지만 스탈린 등 이후 집권자들에겐 비판적이었다는 해석들 중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가 그가 창작한 작품의 이해에 영향이 크다. [2]

이런 논란과 별도로 그의 음악은 다른 현대작곡가들의 음악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중들이 친숙하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그의 많은 작품들이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연주되고 음반으로 발매되고 있다. 그가 작곡한 15곡의 교향곡은 현재까지 교향곡 분야 최후의 '대작'(=마스터피스(masterpiece))으로 평가받는다.[3]

2. 생애

파일:12670373_795.jpg
8살의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1906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폴란드계 이민자 3세로 태어났다.[4] 여덟 살 때부터 어머니에게서 피아노 연주법을 배우기 시작했고, 이내 피아니스트가 되어도 좋겠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능숙해졌다. 10대 때부터는 작곡도 시도했는데, 제대로 완성한 것은 드물지만 1905년의 혁명이나 기타 역사적인 사건들에서 소재를 취하는 등 음악과 사회 사이의 관계에 대해 고민한 흔적이 엿보인다. 이미 이 때부터 본인의 음악적 재능을 인지하고 꽤 야심을 품었던 듯하다.

레닌이 주도한 공산주의 혁명 직후인 1919년에 고향인 페트로그라드(개명된 지명) 음악원에 피아노와 작곡 전공으로 입학했고, 각각 레오니트 니콜라예프와 막시밀리안 슈테인베르크를 사사했다. 재학 중 여러 편의 피아노곡과 실내악을 써서 직접 초연할 정도로 뛰어난 소양을 보였으며, 원장인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도 그를 각별히 챙겨주었다고 한다.
13살(1919)경에 작곡된 스케르초 F#단조 op.1[5]
그러나 혁명기에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면서 상당히 곤궁한 어린 시절을 보내야 했으며[6] 이는 유복한 유년기를 보냈던 스트라빈스키 프로코피예프 같은 선배 세대 작곡가들과 다른 점이었다. 글라주노프가 물심양면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았더라면 음악원 생활을 이어나가지 못했을 것이다.[7] 어린 쇼스타코비치는 영화에 맞춰 피아노를 연주하는 극장 아르바이트 등으로 가족을 부양하였고, 그 와중에 틈틈이 자신의 졸업작품이 될 교향곡을 작곡하였다.

교향곡 제 1번은 1925년에 완성되었고, 이는 러시아 역사상 두 번째로 10대 작곡가가 쓴 교향곡이라는 점에서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8] 작품성에 있어서도 완성도와 독창성이 상당히 뛰어나서 페트로그라드에서 초연된 뒤 몇 년 사이에 서방 국가들에서도 널리 연주될 정도였고, 프로코피예프 베르크 등 당대의 작곡가들도 주목했다고 한다. 쇼스타코비치는 이 첫 성공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작곡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파일:Dmitrij_Dmitrijevič_Šostakovič_(Дми́трий_Дми́триевич_Шостако́вич).jpg
1927년에 촬영된 21세의 쇼스타코비치.
하지만 피아니스트의 꿈도 버리지 않았는데, 1927년에 제1회 쇼팽 콩쿠르에 참가했으나 명예상을 타는 데에 그쳤다.[9] 쇼스타코비치는 전문 피아니스트로서의 길에는 흥미를 접었지만 피아노 연주는 계속했으며, 주로 자작곡 연주에 매진해 녹음도 여럿 남겼다.[10]

1920년대 후반에는 꽤 전위적이고 진보적인 작곡가로 평가받았고[11], 러시아 혁명 레닌을 찬양하는 교향곡 제 2번과, 마찬가지로 러시아 혁명을 찬양하며 메이데이를 기념하는 단악장의 합창 붙은 교향곡 두 곡(2번과 3번)이나 니콜라이 고골의 풍자 소설을 각색한 오페라 '코' 등을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보수적인 음악인들 사이에서는 형식주의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는데, 이것이 훗날 큰 재앙의 시발점이 되었다.

1934년에는 두 번째 오페라인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그의 음악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놓게 된다. 오페라는 초연 당시에는 상당한 성공을 거두며 해외에도 연주되었으나, 어느 날 소련 최고의 권위를 지닌 신문인 소련 공산당 당간지 프라우다에 '음악이 아니라 혼돈'이라는 당의 비판 기사가 올라왔다. 비판이 아니라 협박에 가깝게까지 들리는 이 비평은 작성자가 표시되지 않았는데, 이 경우 공산당의 공식적인 의견으로 받아들여졌다. 특히 오페라를 관람하던 스탈린이 공연 도중 자리를 박차고 나온 사건 이후 나온 기사였기에, 스탈린이 직접 썼거나 적어도 깊게 개입한 것이 아니냐는 소리가 있었다.

며칠 후에는 그의 발레 '맑은 시내'에 대한 혹독한 비판문이 게재되었고, 이로써 쇼스타코비치가 어찌됐든 높으신 분들에게 찍혔다는 것이 확실시되었다.[12] 당시는 스탈린 대숙청이 벌어지던 시기로, 일반인은 물론 유력 정치인에서 저명한 문화계 인사까지 가리지 않고 별다른 이유없이 잡혀가 죽임을 당하던 시절이었다. 당장 쇼스타코비치 자신의 친지들이나 후원자들[13]이 비밀경찰에게 잡혀가고 있었고, 주위의 사람들이 쇼스타코비치와 접촉하는 것을 꺼리게 되었다. 패닉에 빠진 쇼스타코비치는 결국 자신이 쓴 파격적인 구성의 교향곡 제4번의 초연을 포기한다.

쇼스타코비치는 어떻게든 자신이 변화하였다는 음악적 응답을 내세울 필요가 있었고, 사활을 걸고 교향곡 제 5번을 작곡한다. 이는 작곡가 본인의 고난을 표현하는 듯하면서도 사회주의 혁명의 승리를 암시하는 팡파르로 귀결되는 베토벤적인 구성의 대작이었으며, 쇼스타코비치의 처지에 동정적이었던 사람들은 물론 당국자들까지 만족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결과물이었다. 므라빈스키의 지휘로 이루어진 초연은 갈채가 40분 이상 이어진 대성공이었으며, 당국은 쇼스타코비치가 비판 끝에 '어느 정도 변화하였음'을 받아들이고 더 이상 압박하지 않게 되었다.

교향곡 제5번은 쇼스타코비치의 작풍은 물론 인격의 중대한 분기점이기도 했다. 그 이전의 젊은 쇼스타코비치는 몸은 병약할지언정 당돌하게 반대파에게 입장표명을 하고 신랄한 유머를 즐기는 등 '할 말은 하는' 성격이었지만, 한 번 죽음의 위기를 넘기고 나자 그는 절대 타인에게 자신의 속내를 드러내지 않는 수수께끼의 인물이 되었고, 동시에 가장으로서의 책임을 무겁게 의식하는 신중한 사람이 되었다. 어찌 되었건 그는 이렇게 첫 정치적 위기에서 목숨을 부지하였고, 모교인 레닌그라드 음악원의 작곡 교수로도 임용되었다. 이후에는 현악 4중주 등의 전통적인 실내악에도 손을 대기 시작한다.
파일:external/markdoran.files.wordpress.com/shostroof.jpg
레닌그라드 공방전 당시 방공감시원과 의용소방대로 복무하던 당시의 사진.[14]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는 러시아 본토에 전쟁의 영향이 거의 미치지 않았으나, 1941년에 독일이 소련을 침공하면서 쇼스타코비치가 거주하던 레닌그라드도 위험해지기 시작했다. 레닌그라드 공방전 초기에는 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었는데, 위의 소방헬멧을 쓰고 있던 사진이 그때다. 소련군으로 징집되는 대신 방공감시원과 의용소방대로 활동할 적이다. 이때 교향곡 제7번을 작곡하였지만, 결국 10월에 포위망이 잠시 뚫릴 때 쿠이비셰프[15]로 피신했고, 거기서 교향곡 제7번을 초연했다. 레닌그라드 공방전 당시 포위된 도시의 시민들이 겪은 지옥 같은 고난을 생각해보면 천만다행한 일이었다.[16] 아무튼 이 곡은 당국에 의해 '레닌그라드'라는 제목이 붙었고, 소련 뿐 아니라 미국과 영국 등 연합국에서도 수없이 방송되어 승리를 기원하는 음악의 상징이 되었다.

전황이 호전되자 1943년에 다시 거주지를 모스크바로 옮겼고, 모스크바 음악원의 작곡 교수로 재직하면서 7번보다는 좀 더 비극적이고 거친 교향곡 제8번을 비롯해 전쟁의 경험을 다룬 작품들을 계속 창작했다. 그러나 1945년에 소련이 승전한 뒤 발표한 교향곡 제 9번은 베토벤의 같은 번호 작품을 기대한 이들의 입맛에 전혀 맞지 않았고, 이내 스탈린의 심복이자 소련 문화계의 거두였던 안드레이 즈다노프의 비판(일명 "즈다노프쉬나")에서 비판 첫머리에 오름으로써 두 번째 정치적 위기를 맞는다.[17]

이 때는 쇼스타코비치만이 아니라 그의 선후배와 동료들인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아람 하차투리안, 니콜라이 먀스콥스키, 비사리온 셰발린, 가브릴 포포프 같은 작곡가들까지 연루되어 공개적으로 비판을 받았고[18], 쇼스타코비치는 음악원 교수직도 내놓고 전쟁을 소재로 한 선전 영화의 음악을 붙이거나 '숲의 노래' 같은 정권 영합형 작품의 작곡에 주력하면서 후폭풍을 피해야 했다. 그러나 발표를 미루면서 몰래 실내악이나 교향곡 등도 창작하고 있었고, 1953년에 스탈린이 죽은 직후 교향곡 제10번을 발표하면서 ' 9번 교향곡의 저주'를 깼다. 혹자는 "저승사자가 쇼스타코비치를 잡아가야 하는데 스탈린을 잡느라 못 잡아갔다"고도 한다.[19][20]

프로코피예프가 공교롭게도 스탈린과 같은 날에 사망하였기 때문에, 1953년 이후로 쇼스타코비치는 사실상 소련 음악계를 대표하는 인물로 그 위상이 확고하게 굳어졌다. 스탈린이 사망하고 오래지 않아서 이미 문화적으로 '해빙' 움직임이 있었기 때문에, 쇼스타코비치에 대한 연주금지와 비판은 점점 해제되었고, 이 때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었다. 쇼스타코비치는 프랑스나 미국 등 서방 세계에 연주 여행을 다니고, 음반을 취입하기도 했다.

그러나 1960년에 소련 공산당에 입당하면서 논란이 일어났는데, 입당이 자의였는지 아니면 타의에 의한 강제 입당이었는지는 아직도 불명확한 상태다.[21] 입당 전후에 쓴 교향곡 두 곡(11번과 12번)도 1905년과 1917년의 혁명에 대한 부제를 붙였기에, '결국 쇼스타코비치는 소련 정권의 어용 작곡가가 되었다'는 비판이 서구에서도 일기 시작했다.

하지만 현악 4중주 제8번 같이 분명한 공포와 고통을 표현한 내면적인 작품도 만들었고, 소련 내에서는 공공연한 만행이었지만 공식 언급이 금기시되었던 반유대주의를 비판하는 교향곡 제13번 '바비 야르'를 작곡하는 등 반골 정신을 드러내기도 했다.[22] 이렇게 논쟁적인 창작 활동을 계속하는 와중에 쇼스타코비치는 점차 쇠약해졌고, 특히 오른손에 마비 증상이 오면서 피아노 연주와 악보 작성 등이 어려워질 정도로 건강이 악화되었다. 거기에 1966년에는 심장마비를 겪으며 생명의 위기를 넘겼다.

건강상태가 나빠짐에 따라 그의 작품도 점점 더 어두워지고 염세적인 분위기를 풍기게 되었는데, 말기의 교향곡인 14번은 죽음을 주제로 쓰여진 시를 가사로 하고 청년 시절에 도입했던 서구의 현대음악 기법을 응용하는 등 체제 도전적인 면모를 극한까지 끌어올린 작품으로 논란을 빚었다. 1970년대에는 폐렴에 심근경색까지 발병했고, 결국 1975년 모스크바의 병원에서 비올라 소나타를 마지막으로 완성하고 4일 뒤 세상을 떠났다.[23] 많은 인사들의 추모 속에 유해는 노보데비치 수도원 묘지에 안장되었다.
파일:Shostakovich-coffin-002-.jpg
쇼스타코비치의 장례식. 아람 하차투리안이 고인의 손에 입맞추고 있다.

2.1. 가족 및 사생활

쇼스타코비치는 일생동안 세 번 결혼했는데, 1932년에 맞이한 첫 아내 니나 바르자르는 1935년에 잠시 이혼까지 갈 뻔할 정도로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24] 하지만 니나의 임신을 안 이후 정신차리고 부부관계를 가다듬어 좋은 관계를 회복했고, 1936년과 1938년에 각각 딸 갈리나와 아들 막심이 태어나 대숙청이라는 험난한 시기에 위로가 되었다. 막심은 이후 모스크바 음악원과 레닌그라드 음악원에서 피아노와 지휘를 전공했고, 지금도 현역 지휘자로 활동하고 있다.
파일:Shostakovich-Nina-Varzar.jpg
쇼스타코비치와 첫 번째 부인 니나 바르자르, 그리고 비평가 이반 솔레르틴스키.[25]
니나는 1954년에 방사능 노출로 갑작스럽게 사망하였고, 쇼스타코비치는 굉장한 슬픔에 빠졌지만 이내 제자인 갈리나 우스트볼스카야[26]에게 청혼하였다. 자식들에게도 우스트볼스카야와의 재혼에 대해서 의견을 묻기도 한 모양이나, 우스트볼스카야는 스승의 제의를 거절하였다. 2년 후 쇼스타코비치는 콤소몰의 운동가였던 마르가리타 카이노바와 1956년에 두 번째로 결혼했는데,[27] 성격 차이와 쇼스타코비치의 자녀들과의 트러블 등으로 인해 겨우 3년 만에 이혼했다. 1962년에 이리나 수핀스카야와 마지막으로 결혼했고, 이 결혼은 성공적이었다. 음악출판사에서 일하던 이리나는 나이가 자식뻘만큼 차이가 났지만,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편집과 초연 준비 등 음악적인 면에서도 도움을 주었고, 쇼스타코비치 사후에도 생전의 반려자로서 중요한 증언들을 남겼다.

지인들로는 화가 보리스 쿠스토디에프, 음악학자 이반 솔레르틴스키, 작가 미하일 조셴코, 극작가 브세볼로드 메이에르홀드, 소련군 원수 미하일 투하쳅스키, 지휘자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첼리스트 겸 지휘자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등이 중요하게 언급된다. 그러나 메이에르홀드와 투하쳅스키는 대숙청 기간 동안 목숨을 잃었고[28], 조셴코도 특유의 풍자적인 시 때문에 스탈린에게 찍혀 작품 활동을 금지당해 불행한 말년을 보냈다. 주변인들의 이러한 불행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활동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 중에서도 가장 죽이 잘 맞았던 벗은 이반 솔레르틴스키였는데[29], 그는 제2차 세계대전 중에 급사하였고 쇼스타코비치는 그를 추모하여 피아노 3중주 제 2번을 작곡하였다. 솔레르틴스키의 유대 혈통을 의식해서인지, 쇼스타코비치는 이 작품에 유대의 선율을 인용하였다. 실제로 쇼스타코비치의 반유대주의에 대한 반대 성향은 그의 일생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유대 민족시에서"(1948) 등 유대인 선율에 대한 의식적인 인용 등으로 나타난다. 다만 말년의 교향곡 제13번 등에서의 유대인 학살 폭로는 당국이 보기에도 오버스럽게 여겨졌고, 결국 쇼스타코비치의 운신의 폭을 좁히게 되기도 한다.
파일:external/lesleychamberlain.files.wordpress.com/shostakovich_at_football_match_300_thumb.jpg
축구를 관람하는 쇼스타코비치와 그의 지인들. 우측 아래가 쇼스타코비치다.
열혈 축구 팬으로서 축구 심판 자격도 가지고 있었다고 하며,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팬이었다고 한다. # 구단측에서 그의 탄생 110주년을 기념한 행사를 열기도 하였으니 확실하다고 봐도 될 것이다. # 인간적으로는 전형적인 '러시아인' 그 자체였다고 하는데, 음식도 뻴메니(러시아식 만두)나 블린늬(러시아식 팬케이크)같이 소박한 것을 즐겨먹었고, 좋아하던 술도 보드카였다. 우리 식으로 치면 대작곡가라는 사람이 자장면이나 부침개 같은 소박한 음식을 즐겨먹었던 것. [30]

하지만 술과 담배를 평생동안 즐긴 탓에, 이것이 건강 악화의 원인이 되었다는 지적도 있다. 그리고 시간 감각이 정확하다 못해 앞질러나가는 스타일이었고, 주변인들이 이를 맞춰주느라 진땀을 뺐다는 일화도 있었다.[31]

쇼스타코비치는 지극히 예의바르고 겸손하면서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으려 노력하는 성격이었고, 자신의 힘이 닿는 한 곤경에 처한 사람들을 도와주려 하는 섬세한 면모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자신이 공격당할 '꺼리'를 주지 않기 위해서였는지, 사소한 대화를 할 때에도 뭔가 확실히 하지 않고 알송달송하게 에둘러 암시적으로 말하는 습관이 있었다고 한다. 이는 소련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기본적인 처세술이었지만, 어떤 지인은 '아니오'라고 말할 능력이 없는 사람이라고 혹평하기도 했다. 자신이 음악계에서 주도적인 위치에 올랐던 중년 이후에는 젊은 작곡가들이나 예술인들이 부당하게 당이나 정부로부터 공격받을 때 구명을 위해 힘쓰기도 했지만,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이나 안드레이 사하로프의 경우 오히려 종교적인 입장이나 과거 행적을 이유로 변호는커녕 비판 대열에 함께하는 등 다소 모순된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32]

3. 창작 성향

생애 내내 공산주의 국가였던 소련에서 활동한 작곡가였기 때문에 당대 서방음악의 주류였던 무조음악이나 아방가르드 성향과는 다소 거리를 두고 있다.[33] 젊은 시절에는 나름 급진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이후에도 종종 아방가르드의 수법을 도입하거나 무조/음렬의 경향을 보이기도 했지만, 대체로 그의 음악은 조성의 기반 위에 있으며 대위법도 즐겨 사용하였다.

또한 선배 작곡가들의 영향도 많이 받았는데, 베토벤에게는 소재를 긴축시켜 경제적으로 사용하는 작곡법이나 '투쟁과 승리'의 도식을, 무소륵스키에게서는 러시아 민속음악의 요소를 예술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말러에게서는 다채로운 관현악법과 삶에 대한 진지한 고찰을, 스트라빈스키로부터는 음의 중첩과 불협화음을 통해 역동적인 음향을 구현하는 법 등을 배운 것으로 여겨진다.[34] 15년 선배인 프로코피예프의 영향도 많이 받았는데, 개인적으로 사이는 친밀하지 않았지만 그의 능력만큼은 높이 인정하였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그가 선배들의 음악을 평면적으로 답습한 보수 성향의 작곡가라는 것은 결코 아니다. 만약 그랬다면 결코 20세기를 대표하는 대작곡가의 반열에 오르지 못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그의 음악은 조성에 기초하고 있기는 하지만 특유의 화성체계와 잦은 조바꿈 때문에 조성이 상당히 모호하게 느껴진다. 또한 주제를 강하게 비틀고 왜곡에 가깝게 과장하는 수법, 소음에 가까운 불협화음의 도입, 대위법이나 선법의 변칙적인 응용 등등의 특유의 작법을 통해 이전의 음악과는 확실하게 구별되는 쇼스타코비치만의 음악을 만들어내고 있다.

또한 어느 시기 할 것 없이 쇼스타코비치 음악에서는 공통적으로 톡 쏘는 듯한 신랄함과 예상을 깨는 아이러니함이 느껴지는데, 강약이나 속도의 극명한 대비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선율이나 리듬을 과감하게 병치시키는 등의 파격적인 수법을 통해 돌발성과 긴장감을 강화시키고 있는 덕분이다. 이와 같은 신랄함과 아이러니는 서방 세계의 악습이나 구태를 풍자하는 '선전용 작품' 뿐 아니라 교향곡이나 실내악 같은 절대음악 계통 작품들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다. 이것을 작품 끝까지 유지시키느냐, 아니면 진지하게 분위기를 바꾸느냐, 또 에너지를 실어가며 폭력적인 방향으로 변형시키느냐에 따라 음악의 분위기가 크게 바뀐다.

한편으로는 군악대의 행진곡이나 서커스 음악 등에서 나타나는 통속적인 요소가 삽입되어 약간 '깨는' 느낌도 주는데, 혁명의 혼란기에 소년 시절을 보낸 작곡가로서 군악에 대한 인상이 꽤 깊었던 모양이다. 또 서커스 음악풍 요소도 작품에 밝은 색채 혹은 긴장감을 더하는데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데, 발레 같은 무용음악에서 이런 식의 작곡 스타일이 잘 드러난다. 한편으로 유태인에 대한 반감이 유럽을 휩쓸 때에도 과감하게 유태인들의 민속 음악을 자기 작품에 도입했으며 작품 활동이 비교적 자유로왔던 초기와 후기에 주로 국한되지만 미국에서 건너온 블루스/ 재즈의 어법도 작품에 도입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다른 현대 작곡가의 음악에 비해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이 대중들에게 좀더 친숙하고 인기가 높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지만 어떤 음악 어떤 사조를 도입하건 날 것 그대로가 아니라 본인의 스타일에 맞게 상당히 해체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행진곡/서커스 음악이건 서구의 '이국적인' 작곡 기법이건 르네상스 시기의 코랄이건 일단 쇼스타코비치의 손에 들어가면 특유의 신랄함이나 아이러니가 더해져서 성격이 일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스탈린 말년에 가면서 작품에 나타나기 시작하는 네 개의 음도 쇼스타코비치 애호가들의 눈길을 끄는 요소인데, 레-미b-도-시로 이루어진 이 음들은 자신을 상징하는 이니셜이기 때문이다.[35] 교향곡 제10번을 시작으로 하여, 바이올린 협주곡이나 첼로 협주곡, 현악 4중주 제8번 등 내면적인 작품들에서 종종 눈에 띈다.

그는 현대 작곡가 중에서는 상당한 다작을 한 편에 속한다. 방대한 작품 수 만큼이나 그의 음악에 대한 논란도 많은데, 그가 세상을 떠난지 반세기 가량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런 논란은 지속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다.

4. 평가

20세기를 대표하는 스타급 작곡가였다. 20세기 전반기 동안 대중적 인지도 측면에서는 시벨리우스와 투톱을 이룰 정도였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때 그의 명성이 국제적으로 높아졌는데, 그의 교향곡 제7번은 수백만 명의 미국인이 라디오로 들었다고 한다. 그런 만큼 쇤베르크, 힌데미트, 버르토크 등 구미에서 활동하던 작곡가들의 질투를 한 몸으로 받았고, 소련에서도 그 압도적인 인기 때문에 견제를 받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서구와의 교류와 정보가 제한된 소련에서 활동하던 작곡가였으므로 신비주의적인 아우라가 형성된 측면도 있다.

오늘날 클래식 작곡이 대중의 시선으로부터 완전히 유리되었고, 새로운 기법의 발달 역시 80년대 이후 지지부진하게 고여버린 상황 속에서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은 일각에서 최후의 클래식이라 불릴 정도로 평가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대중적 인기와 별개로 '현대음악의 동향으로부터 동떨어지고 보수적인 어법에서 나아가지 못한 그의 음악을 높이 평가할 수 있느냐'고 냉소적으로 바라보던 학계의 시각도 줄고 있는 상황이며[36], 일반인들에게도 상당히 어필하는 파란만장한 인생 스토리 때문에 새로이 입문하는 젊은층도 많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현대 작곡가들이 개성적이고 기발한 어법에도 불구하고 죽고 나면 빨리 잊혀져버리는 것과 정반대인 특이한 케이스.

그러나 너무 이른 나이에 권력에 의해 진보적인 작풍이 꺾여버렸으므로, 음악적 혁신을 중시하는 음악사적 관점에서의 평가는 여전히 미묘하다. 기본적으로 그가 뛰어난 재능과 음악성을 지닌 작곡가라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37] 비록 소싯적의 파격과 실험정신을 계속 이어가지는 못했지만 그의 작법은 기본적으로 낭만주의 성향의 답보와는 거리가 멀다.

하지만 그가 활동했던 시기에 국가가 개인의 사상의 자유를 허용하지 않고 예술활동에 각종 간섭을 했다는 것이 문제인데, 그의 음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이런 시대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그 한계를 충분히 뛰어넘는 음악성을 보여줬다고 주장한다. 반대로 그의 음악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들은 그 시대의 정치에 엮여서 제대로 자신의 재능을 드러내지 못했다고 주장하며, 심지어는 단순히 시대의 희생자가 아니라 적극적으로 정권 친화적인 음악을 창작한 어용 성향의 작곡가였다고 주장하기도 한다.[38]

한편으로는 쇼스타코비치를 '관제 작곡가'나 '체제 비판자' 같은 정치적인 문제와 얽기보다는 음악 자체만 놓고 평가해 보자는 '순음악' 계열의 움직임도 있다.[39] 이런 움직임은 서방이나 일부 망명 음악가들 사이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볼코프의 '증언'이 진서로 취급받던 1970~80년대에는 쇼스타코비치 음악에서 '선전성'을 걷어내고 냉정한 시각을 견지하는 해석이 나타났다는 점도 나름대로 가치가 있다.

즉, '음악과 정치'의 연계를 주장하느냐, 아니면 그것을 부정하느냐에 따라서 평가가 극명하게 달라지는 작곡가이다. 공산 체제의 어용 음악가에서부터 '내부 반항자'라는 양 극단 사이에서 그에 대한 평가는 정말 천차만별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여기에 작품에 나타나는 특유의 수수께끼같은 요소나 생전의 각종 행적들이 논쟁을 더 격화시키고 있다.

4.1. '증언'

솔로몬 볼코프(Solomon Volkov)라는 음악학자가 쇼스타코비치 사후 그와 나눈 대담을 정리했다면서 서방에 '증언'이라는 책을 출간했는데, 이 책이 그에 대한 논쟁을 한층 격화시켰다. '증언'만 보면 쇼스타코비치의 사고방식은 거의 반체제 인사에 가깝다는 느낌을 주는데, 거기에 쇼스타코비치를 공격한 인사들에 대한 냉소나 소련 체제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이 더해져 상당한 화제가 되었다.

하지만 이 책은 쇼스타코비치의 사적인 대화록 등을 자신의 입맛에 맞춰 편집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다. 이런 비판에 볼코프가 제대로 대응을 하지 않은 것도 신빙성을 의심하게 만들었다. 쇼스타코비치의 미망인인 이리나는 '볼코프가 쇼스타코비치를 만난 것은 몇 번 되지 않았다'라면서 책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했고, 데이비드 패닝 같은 음악학자들은 쇼스타코비치가 남긴 여러 글과 '증언'의 내용을 대조하면서 볼코프의 작업을 비판하는 논문을 내놓았다. 반면 쇼스타코비치와 친한 사이였던 플로라 리트비노바는 쇼스타코비치가 "젊은 레닌그라드 출신의 음악학자와 자주 만나면서 내가 나와 내 작품에 대해 기억하는 모든 것을 이야기한다. 그는 그것을 받아 적고 그 다음 내가 그것을 검토한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고 한다.(볼코프는 레닌그라드 출신임.) 쇼스타코비치의 아들 막심도 아버지가 볼코프와 만나 함께 작업하였으며 자신은 '증언'과 볼코프를 지지한다고 소련 붕괴 이후 인정했다. 실제로 책을 보면 쇼스타코비치는 책의 내용에 의해 자신에게 불이익이 갈 까봐 자신의 사후에 내용을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는 내용이 있으며 실제로 출판은 쇼스타코비치의 사후에 이루어진다.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증언'의 내용에 비판적이라고 알려졌던 쇼스타코비치의 지인들은 직접 비판을 가한 적은 없고, 사망 이후 자식들이 그렇게 증언했을 뿐이다.

실제로 '증언'의 진위 여부는 의심이 가는 구석이 있기는 하나, 특히 소련 붕괴 이후 쇼스타코비치의 지인들은 그 내용이 대체로 진실임을 인정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첼리스트인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지휘자인 키릴 콘드라신, 바이올리니스트 기돈 크레머, 피아니스트인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와 에밀 길렐스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아들인 막심 쇼스타코비치(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로 활동중)와 딸 갈리나가 이전까지는 볼코프에 대해 비판적인 자세를 보이다가 소련이 붕괴하고 나자 입장을 바꿔 지지하고 있는 것을 보면 그 내용을 무시할 수 없음은 확실하다.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대체로 쇼스타코비치의 견해와 일치한다고 인정되고 있으며 특히 위서 운운하는 것은 모함에 가깝다. 게다가 '증언'이 위서임을 주장하는 쪽은, 쇼스타코비치를 어떻게든 투철한 공산주의자의 이미지로서 남기고자 했던 붕괴 이전의 소련이었다.

1999년에는 솔로몬 볼코프 자신이 '증언'에 대한 의문에 답을 하기 위해 뉴욕 Mannes College에서 기자 회견까지 열었지만 그를 비판하던 사람들은 아무도 나타나지 않았다. 자세한 내용은 http://www.siue.edu/~aho/musov/man/mannes1.html 참조. 실제로 볼코프를 비롯한 지지자들에 의해 '증언'에 대한 비판은 반박되었으나, 쇼스타코비치를 잘 알던 지인들은 대부분 사망한데다 볼코프 본인은 원본 러시아어 원고를 극히 일부의 사람들에게만 보여주고 공개할 생각을 하질 않으니 논란이 더 이상 진행되기 힘들어 보인다. 심지어는 쇼스타코비치 본인이 자신의 사후 이러한 이미지를 갖기를 원해서 자신이 이야기를 꾸며냈다고 말하는 사람[40]까지 나올 지경이니 갈 데까지 간 셈이다.

'증언'에 대한 대표적인 비판으로 첫 번째는, '증언'에 등장하는 일부 문장은 이전에 쇼스타코비치의 이름으로 출판되었던 것과 일치하며 따라서 '증언'은 이것들은 짜깁기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두 번째로는 핀란드어 번역자인 Seppo Heikinheimo가 무단 유출한 러시아어본에는 쇼스타코비치의 서명이 빠져 있다는 것이다.(하지만 무단 공개된 러시아어판은 원본이 아닌 편집본이고 원본은 공개된 적이 없다.)

물론 '증언'이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에 대한 이전까지의 해석이 크게 바뀌는 데 큰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지만, 그 내용의 진위 여부가 음악을 어떤 식으로 해석하느냐에 결정적인 요소가 될 만한 일은 아니다. '증언'에 대한 논란에 대해서는 http://en.wikipedia.org/wiki/Testimony_(book) 참조.

소련 붕괴 후인 1990년대 후반부터는 절충적인 의견을 내놓는 이들이 많은데, 쇼스타코비치는 레닌 등 초기 혁명가들에 대한 경외심을 계속 유지했지만 스탈린이나 후속 집권자들의 독선과 폭력에는 거부감을 느끼고 작품에 우회적인 비판과 풍자를 더했다는 식이다. 네 곡의 혁명 소재 교향곡(2, 3, 11, 12번)은 1905년부터 1917년의 사회주의 혁명 때까지를 그린 표제음악 스타일이고, 사회주의 지식인으로서 쇼스타코비치의 모습을 드러낸 곡이라는 점까지 부인할 수는 없다.

4.2. 대한민국에서

한국 역시 냉전을 직접 겪은 나라였기 때문에 쇼스타코비치 역시 다른 동구권 작곡가들과 함께 작품 전체가 금지곡으로 지정되었다는 얘기가 전해진다. 당연히 음반 수입도 막혀서 해외에서 몰래 들여오는 LP를 숨어서 듣는 정도가 고작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실제로 콕 집어서 금지되어 있었다는 게 사실인지는 의문이다. 1970년대 후반에 뉴욕 필하모닉을 이끌고 내한한 레너드 번스타인이 교향곡 5번을 연주하여 이슈가 되기도 했다. 그리고 1982년 2월 12일에는 쇼스타코비치의 아들인 막심 쇼스타코비치와 손자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가 내한해서 서울시립교향악단과 쇼스타코비치의 피아노 협주곡 2번, 그리고 교향곡 5번을 연주했다.[41] 다만 쇼스타코비치 부자는 공연 전해인 1981년 서독을 통해 미국으로 망명했던 상태로, 내한 당시의 신문기사를 보면 ‘소련에 염증을 느끼고 탈출한 사람’이라고 자주 묘사하는 것으로 보아 어느 정도 반공 선전을 위해 허가해준 것일 수도 있다.

1980년대 문화 예술 규제가 풀리고 소련도 붕괴하면서 쇼스타코비치의 음악도 자연스럽게 해금되어 국내 공연이 시작되었다.[42] 현재에는 스트라빈스키 프로코피예프 등과 함께 현대음악 작곡가 중에 가장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다. 다만 연주회에서 그의 음악이 레퍼토리로 올라오는 빈도는 아직 높지 않은 편이며 현재까지도 국내에서 초연되지 않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이 꽤 많다.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중 교향시 ' 카를 마르크스로부터 우리들의 날까지'처럼 쇼스타코비치의 공산주의 성향이 드러나는 작품을 비롯해서 소련 공산당을 찬양하는 체제 선전용 작품들과 러시아 혁명 레닌을 찬양하는 교향곡 제2번(쇼스타코비치) 러시아 혁명을 찬양하며 메이데이를 기념하는 교향곡 제3번(쇼스타코비치), 볼셰비키 혁명을 다루는 표제음악인 교향곡 제12번(쇼스타코비치)등은 2024년 현재까지도 초연에 대한 기약이 없는 상황이다.

이념과 별도로 한국에서 쇼스타코비치는 클래식 최후의 거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같은 시대의 다른 현대음악가들도 외국에서는 유명하지만 난해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인지도는 낮다. 물론 현대음악 자체는 계속 작곡되고 있으나,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한 작곡가는 쇼스타코비치가 마지막일 가능성이 높다.[43] 이미 번역되어 나온 솔로몬 볼코프의 '증언'에 이어 엘리자베스 윌슨의 'Shostakovich: A Life Remembered'[44]도 2023년에 번역되었으며, 그 외에 해외의 많은 쇼스타코비치 관련 서적이 국내에 번역되면서 계속 새로이 입문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작곡가이다.

5. 주요 작품들

5.1. 교향곡

교향곡 5번 d단조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
1번 f단조 2번 B장조
'10월 혁명에 바침'
3번 E♭장조
'5월 1일'
4번 c단조 5번 d단조
6번 b단조 7번 C장조
'레닌그라드'
8번 c단조 9번 E♭장조 10번 e단조
11번 g단조
'1905년'
12번 d단조
'1917년'
13번 b♭단조
'바비 야르'
14번 15번 A장조

5.2. 관현악

축전 서곡 A장조
  • 오리지널곡
    • Op.1 스케르초 F샤프 단조 (1919)
    • Op.3 주제와 변주곡 (1921~22)
    • Op.7 스케르초 E플랫 장조 (1923~24)
    • Op.23 드뢰셀의 오페라 '콜롬버스'를 위한 2개의 소품 (1929)
    • 서곡 '녹색회사' (1931)
    • Op.42 소관현악을 위한 5개의 단편 (1935)
    • 근엄행진곡 (1942)
    • 오케스트라를 위한 3개의 소품 (1947~48)
    • Op.96 축전 서곡 A장조 (1947)
    • Op.111b 노볼로시스크 시(市)의 음악 시계의 음악 (1960)
    • Op.115 러시아와 기르기스 민요 서곡 (1963)
    • Op.130 슬픔과 승리의 전주곡 (1967)
    • Op.131 교향시 '10월 혁명' (1967)[45]
    • Op.139 소비에트 민경(民警) 행진곡 (1970)
  • 합창을 포함한 곡
    • 교향시 ' 카를 마르크스로부터 우리들의 날까지' (1932)
    • 8개의 영국 • 미국 민요 (1944)
    • Op.74 칸타타 ‘조국의 노래’ (1947)
    • Op.79a 유대민족시 (1948)
    • Op.81 오라토리오 ‘숲의 노래’ (1949)
    • Op.90 칸타타 '나의 조국에 태양은 빛나고' (1952)
    • Op.119 서사시 '스테반 라진의 처형' (1964)
  • 모음곡
    • Op.15a 모음곡 '코' (1927~28) - 오페라 '코' 에서 발췌한 곡들이다.
    • Op.22a 모음곡 '황금시대' (1929~30) - 발레 '황금시대' 에서 발췌한 곡들이다.
    • Op.27a 모음곡 '볼트' (1931) - 발레 '볼트' 에서 발췌한 곡들이다.
    • Op.30a 모음곡 '황금언덕' (1931) - 영화음악 '황금언덕' 에서 발췌한 곡들이다.
    • Op.32a 모음곡 '햄릿' (1932) - 극음악 '햄릿' 에서 발췌한 곡들이다.
    • 재즈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음곡 제1번 (1934)
    • 재즈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음곡 제2번 (1938)
    • Op.80a 모음곡 ‘에르베 강에서의 만남’ (1948)
    • Op.99a 모음곡 '제1제단 (제1군용열차)' (1956) - 영화음악 '제1제단 (제1군용열차)'에서 발췌한 곡들이다.
    • Op.64a 모음곡 ‘조야’ (1944) - 영화음악 ‘조야’ 에서 발췌한 곡들이다.
    • 바리에테 관현악단을 위한 모음곡 (1956년 이후)
      • 흔히 '재즈 오케스트라를 위한 모음곡 제2번'으로 불리지만, 잘못된 표기다. 진짜 2번 모음곡은 2차대전 중 악보가 행방불명이었다가 1999년에 피아노 악보로 발견되었고, 영국 작곡가 제럴드 맥버니가 관현악 편곡했다.
      • 여러 영화들에 삽입되어 유명한 왈츠 2번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5.3.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2번 F장조
첼로 협주곡 1번 E플랫장조

5.4. 실내악

비올라 소나타 C장조
현악 4중주 8번 c단조
  • 현악 4중주
    • 현악 4중주를 위한 2개의 소품 (1931)[48]
    • Op.49 현악 4중주 1번 C장조 (1938)
    • Op.68 현악 4중주 2번 A장조 (1944)
    • Op.73 현악 4중주 3번 F장조 (1946)
    • Op.83 현악 4중주 4번 D장조 (1949)
    • Op.92 현악 4중주 5번 B플랫장조 (1952)
    • Op.101 현악 4중주 6번 G장조 (1956)
    • Op.108 현악 4중주 7번 f샤프단조 (1960)
    • Op.110 현악 4중주 8번 c단조 (1960)
    • Op.117 현악 4중주 9번 E플랫장조 (1964)
    • Op.118 현악 4중주 10번 A플랫장조 (1964)
    • Op.122 현악 4중주 11번 f단조 (1966)
    • Op.133 현악 4중주 12번 D플랫장조 (1968)
    • Op.138 현악 4중주 13번 b플랫단조 (1970)
    • Op.142 현악 4중주 14번 F샤프장조 (1972~73)
    • Op.144 현악 4중주 15번 e플랫단조 (1974)
  • 기타 실내악곡
    • Op.8 피아노 3중주 1번 (1923)
    • Op.9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소품 (1923-24)
    • Op.11 현악 8중주를 위한 2개의 소품 (1924-25)
    • Op.33 [sic]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즉흥곡 (1931)[49]
    • Op.40 첼로 소나타 d단조 (1934)
    • Op.40a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모데라토 (1934)
    • Op.57 피아노 5중주 G단조 (1940)
    • Op.67 피아노 3중주 2번 E단조 (1944)
    • Op.97c 플루트, 클라리넷, 피아노를 위한 4개의 왈츠 (1955)
    • Op.97d 두대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3개의 소품 (1955)
    • Op.134 바이올린 소나타 G장조 (1968)
    • Op.147 비올라 소나타 C장조 (1975)[50]

5.5. 피아노

  • Op.2 8개의 전주곡 (1919~20) - 8개중 3개는 소실되어 5개만 현존한다
  • 미뉴에트, 프렐류드와 인터메쪼 (1919~20)
  • '무르질카' (1920)
  • 5개의 전주곡 (1920~21)
  • Op.5 3개의 환상적 춤곡 (1922)[51]
  • Op.6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F샤프 단조 (1922)
  • Op.12 피아노 소나타 1번 (1926)
  • Op.13 격언집 (1927)
  • Op.34 24개의 전주곡 (1932~33)
  • Op.61 피아노 소나타 2번 b단조 (1942)
  • Op.69 어린이들의 노트 (1944~45)
  •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즐거운 행진곡' (1949)
  • Op.87 24개의 전주곡과 푸가 (1950~51):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평균율 클라비어 곡집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아 24개의 장/단조에 대해 작곡되었다.
  • 인형의 춤 (1951)
  • Op.94 2대의 피아노를 위한 작은 협주곡 a단조 (1953)
  • Op.104a 글린카의 주제에 의한 11변주곡

5.6. 성악곡 및 합창곡

  • Op.4 클루이로프의 2개의 우화 (1921~22)[52]
  • Op.21 일본 시에 의한 6개의 로망스 (1928~32)
  • Op.46 푸시킨에 의한 6개의 로망스 (1936~37)
  • 7개의 핀란드 민요 (1939)
  • Op.62 영국 시에 의한 6개의 로망스 (1942)[53]
  • 애국적 노래 (1943)
  • 붉은군대에 대한 노래 (1943)
  • Op.79 유대민족시 (1948)
  • Op.80b 3개의 노래 (1956)
  • Op.84 레르몬토프의 시에 의한 2개의 로망스 (1950)
  • Op.86 도르마토프스키의 시에 의한 4개의 노래 (1951)
  • Op.88 10개의 시곡 (1951)[54]
  • 10개의 러시아 민요 (1951)
  • Op.91 푸시킨의 시에 의한 4개의 모놀로그 (1952)
  •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그리스 노래 (1952~53)
  • 성악과 피아노를 위한 그리스 노래 '펜도잘리스' (1954)
  • 독창자와 합창단을 위한 '10월의 새벽' (1954)
  • Op.98 도르마토프스키의 시에 의한 5개의 로망스 (1954)
  • Op.100 스페인의 노래 (1956)
  • Op.104 2개의 러시아 민요 (1957)[55]
  • Op.109 초르누이의 시에 의한 5개의 풍자 (1960)
  • Op.121 잡지 크로크딜의 시에 의한 5개의 로망스 (1965)
  • Op.123 나의 작품 전집 서문과 그에 관한 사색 (1966)
  • Op.124 다비덴코의 2개의 합창곡 (1962) - 관현악화 하였다.
  • Op.127 블로크의 시에 의한 7개의 로망스 (1967)
  • Op.128 푸시킨의 시에 의한 로망스 '봄이여, 봄이여' (1967)
  • Op.136 남성합창을 위한 8개의 발라드 '충성' (1970)
  • Op.140 영국 시에 의한 6개의 로망스 (1971) -영국 시에 의한 6개의 로망스 Op.62 를 관현악화 하였다.
  • Op.143 마리나 츠베타에프의 시에 의한 6개의 로망스 (1973)[56]
  • Op.145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의 시 모음곡 (1974)[57]
  • Op.146 레하트킨 대위의 4개의 시 (1974)[58]

5.7. 오페라

생전에 완성되어 상연까지 된 오페라는 초기에 작곡된 '코'와 '므첸스크의 멕베스 부인' 두 작품 뿐이며, 나머지는 모두 미완성 작품이거나 개작이다.
  • 집시들 (1919~20) - 14세에 씌어진 습작 오페라로 현재는 일부분이 파기되었다.
  • Op.15 코 (1927~28, 1930년 초연) - 쇼스타코비치의 첫 오페라로 니콜라이 고골의 동명의 소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 큰 번개 (1932) - 미완성 작품이다.
  • 오랑고 (1932) - 미완성 작품이다.
  • Op.29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 (1930~32, 1934년 초연) - 현재는 20세기 러시아 오페라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초연 당시 이 작품의 외설적이고 파격적인 내용이 스탈린의 심기를 건드렸다는 이유로 쇼스타코비치는 심각한 고초를 겪어야 했다. 이로 인해 쇼스타코비치는 이후 파격과 실험 대신 좀더 무난한 음악성향을 추구하게 된다. 자세한 것은 생애 항목 참조.
  • 카츄사 마슬로바 (1940~41) - 미완성 스케치만 남아있다.
  • 도박사들 (1941~42) - 이 오페라 역시 고골의 동명의 희곡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1막은 완성되었으나 오페라의 풍자적인 내용이 당시 소련 당국의 심기를 건드릴 것을 우려해서 작곡을 중단하면서 결국 미완성 작품으로 남았다.[59] 작곡가 사후 폴란드의 작곡가인 크지스토프 마이어(Krzysztof Meyer)가 쇼스타코비치가 남긴 스케치를 바탕으로 1981년에 2막으로 완성시켰다. 미완성 버전은 1978년에 소련의 지휘자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에 의해 공연이 아닌 콘서트 형태로 초연되었으며 완성 버전은 1983년 독일에서 초연됐다.
  • Op.114 카테리나 이즈마일로바 (1956~63) - 오페라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 의 개정판으로 당시 소련의 살벌한 분위기에서 공연이 가능하도록 원작의 파격성을 많이 누그러뜨린 개작이다. 때문에 현재는 원작이 주로 공연되고 이 개작은 별로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60]

5.8. 오페레타

  • 12개의 의자 (1937-38)[61]
  • Op.105 희가극 '모스크바여, 열매맺은 벚나무여' (1957~58)

5.9. 발레

발레곡 '황금시대' 중 타히티 트롯

* Op.22 황금시대 (1929~30)
* Op.27 볼트 (1930~31)
* Op.39 맑은 시냇물 (1934~35)

5.10. 극음악 및 영화음악

생전에 영화음악 작곡가로도 명성이 높았던 만큼 수많은 영화의 음악을 담당하였다.
  • 극음악
    • Op.19 빈대 (1929)
    • Op.24 사격 (1929)
    • Op.25 처녀지 (1929)
    • Op.28 지배하라, 브리타니아여! (1931)
    • Op.31 죽임 당할 예정 (1931)
    • Op.32 햄릿 (1931~32)
    • Op.37 인간희극 (1933~34)
    • Op.44 경례, 스페인이여! (1936)
    • Op.58a 리어왕 (1940)
    • Op.63 음악 무용극 <조국> 중 모음곡 ‘나의 레닌그라드’ (1942)
    • Op.66 음악 무용극 ‘러시아의 강’ (1944)
    • Op.72 스트베로프, 2개의 노래 (1945)
  • 영화음악
    • Op.18 신 바빌론 (1928)
    • Op.26 한 사람 (1930~31)
    • Op.30 황금 언덕 (1931)
    • Op.33 호응계획 (1932)[62]
    • Op.36 사제와 그의 하인 발드의 이야기 (1933~35)
    • Op.38 사랑과 증오 (1934)
    • Op.41 막심의 청년 시절 (1934~35)
    • Op.41a 소꿉친구 (1934~35)
    • Op.45 막심의 귀환 (1936~37)
    • Op.50 비보르크 지구 (1938)
    • Op.51 친구들 (1938)
    • Op.52 위대한 시민 제1부 (1938)
    • Op.53 총을 쥔 사람 (1938)
    • Op.55 위대한 시민 제2부 (1939)
    • Op.56 어리석은 새끼쥐 (1939)
    • Op.59 코르진키나의 사건 (1940)
    • Op.64 조야 (1944)
    • Op.71 소박한 사람들 (1945)
    • Op.75 젊은 친위대 (1947~48)
    • Op.76 선구자의 길(피골로프) (1947)
    • Op.80 에르베 강에서의 만남 (1948)
    • Op.82 베를린 함락 (1949)
    • Op.85 베린스키 (1950)
    • Op.89 잊을 수 없는 1919년 (1951)
    • Op.95 위대한 강의 노래(단결) (1954)
    • Op.97 쇠파리 (1955)
    • Op.99 제1제단 (제1군용열차) (1956)
    • Op.111 5일 5밤 (1960)
    • Op.105a 벚나무 숲 (1962)[63]
    • Op.116 햄릿 (1963~64)[64]
    • Op.120 생애와 같은 해 (1965)
    • Op.132 소피아 펠로프스카야 (1967)
    • Op.137 리어왕 (1970)[65]

5.11. 편곡

  • 나는 그로토에서 기다렸다 (1921) -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곡을 관현악화 하였다.
  • Op.16 타히티 트롯 (1927) - 'Tea for Two' 를 40분 만에 편곡해낸 곡이다.
  • Op.17 스카를라티의 2개의 소품 (1928) - 스카를라티의 피아노곡 2곡을 관악 앙상블화 하였다.
  • Op.58 보리스 고두노프 (1939~40) - 무소르그스키의 오페라를 관현악화 하였다.
  • 빈기질 (1940) -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왈츠를 관현악화 하였다.
  • 여행열차 폴카 (1940) -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왈츠를 관현악화 하였다.
  • Op.106 오페라 '호반시치나' (1959) - 무소륵스키의 미완성 오페라를 관현악화 하였다.[66]
  • 연가곡 '죽음의 노래와 춤' (1962) - 무소륵스키의 연가곡을 관현악화 하였다.
  • Op.125 첼로 협주곡 a단조 (1963) - 슈만의 첼로 협주곡을 관현악화 하였다.

6. 수상 경력/주요 직위

국내
사회주의노력영웅 (1966)
레닌훈장 (1946, 1956, 1966)
10월 혁명 훈장 (1971)
노력적기훈장 (1940)
인민우호훈장 (1972)
러시아 공훈예술가 (1942)
러시아 인민예술가 (1948)
소련 인민예술가 (1954)
레닌상 (1958)
국가 스탈린상 예술부문 (1941 2회, 1942년, 1946 2회, 1948, 1949 3회, 1950, 1952)
소련 국가상 (1968)
러시아 국가상 (1974 2회)
소련 최고 소비에트 회의 부의장 (1962~75)

국외
동독 예술원 회원 (1955)
옥스퍼드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1958)
국제 시벨리우스상 (1958)
세계 평화 회의 은메달 (1959)
유네스코 국제 음악의회 명예 회원 (1963)
유네스코 국제 음악의회 정회원 (1966)
영국 로열 필하모닉 협회 금메달 (1966)
오스트리아 대공로훈장 은장 (1967)
독일 바이에른 예술 아카데미 회원 (1968)
빈 모차르트 협회 모차르트 기념 메달 (1969)
동독 인민의 우정의 위대한 별 금장 (1972)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 대학교 명예 음악박사 학위 (1972)
덴마크 소닝상 (1973)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 명예 예술학박사 학위 (1973) 외 다수

7. 기타

  • 자본진영과 공산진영이 빗장을 꽁꽁 걸어잠그던 냉전 시대에도,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은 서방에서 대중적인 용도로 여러 차례 인용된 바 있다. 특히 바리에테 관현악단을 위한 모음곡에 나오는 왈츠 2번이 인기를 끌었는데, 신랄함 보다는 슬라브풍의 애수어린 곡조가 춤곡 이듬에 실리는 묘한 느낌 때문인지 영화나 방송, 광고 등지에 삽입되고 있고 스탠리 큐브릭이 마지막으로 감독한 아이즈 와이드 셧에도 삽입된 바 있다. 라스 폰 트리에 님포매니악에서도 주요한 삽입곡으로 나온다.
    한국 영화 번지점프를 하다에서도 왈츠 2번이 작중에서 중요한 소재로 쓰이기도 했다. 또한 드라마 오 나의 귀신님에서 악역인 최성재의 휴대전화 벨소리로도 쓰였다. 그리고 영화 텔 미 썸딩의 ost 로도 쓰였다. 사실상 대중에게 가장 잘 알려진 쇼스타코비치의 멜로디로, 생전의 쇼스타코비치는 미처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 축전 서곡은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의 테마 음악으로 쓰였고, 일본에서는 애니메이션 OST[67]에 5번 교향곡의 4악장을 패러디해 집어넣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그리고 2000년대 중반 크게 인기를 끌었던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에도 7번 교향곡 1악장이 컴퓨터 게임 장면에 삽입되는 덕스러움을 보여준 바 있다. 한국에서는 MBC의 개그 프로그램 중 '미스터 뚱'이라는 판토마임 코너에 발레 '황금시대'의 폴카가 BGM으로 깔린 적이 있다.
  • 소설가 줄리안 반스가 쇼스타코비치의 일생 속 일화를 토대로 한 시대의 소음이라는 소설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전문 음악학자가 아닌 사람이 쓴 책인만큼 쇼스타코비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평이 있다.
  • 북한에서도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이 공연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실제로 2005~06년 사이에 7번 교향곡의 1악장과 4악장이 조선국립교향악단의 연주로 공연되었다는 보도가 집중적으로 나온 바 있다. 그리고 2005년에는 같은 악단이 김호윤의 지휘로 전곡을 녹음한 CD가 북한 유일의 음반사인 '광명음악사'에서 발매되었는데, 외국 클래식 작품 전곡이 들어간 최초의 북한 CD였다고 한다.[68]
  • 스트라빈스키, 프로코피예프, 하차투리안 등 동시대의 러시아 작곡가들이 활발하게 자신의 작품을 지휘하고 녹음을 남겼던 것과 달리, 쇼스타코비치는 당대 최고의 심포니스트였음에도 자신의 작품을 직접 지휘한 경력은 없다.[70] 피아노를 치는 것이 아닌 이상 지휘대에서는 굉장히 긴장하는 성격이었던 듯하다. 그러나 리허설 때에는 세세한 악기의 어떠한 부분이 연주가 잘못되었는지 잡아내는 등, 대단한 청력을 보유했던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그는 므라빈스키라는 희대의 명지휘자를 자신의 파트너로 두고 있었으니, 따로 본인의 작품의 지휘를 위해 스스로 나설 필요가 없었다.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colcolor=#000,#fff> 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크렘린 벽 묘지 · 소련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 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 소련군( 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 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체카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 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소련-일본 전쟁 · 냉전( 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 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일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인테르코스모스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요리
공휴일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반작용 추진 연구 그룹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소유즈-아폴로 테스트 프로젝트 · 인테르코스모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23729>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연방조약 · 러시아 헌정 위기
지리 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 하위 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볼가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북서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 하위 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노보시비르스크( 하위 지역)) · 우랄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 하위 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호 · 한카호 · 돈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산맥 · 스타노보이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산 · 시베리아 (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반도 · 타이미르반도 · 캄차카반도 (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섬 · 콜라반도 · 축치반도 · 크림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오세티야 · 체르노젬 · 쿠즈바스 · 돈바스
문화 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 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 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 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 국가두마)
경제 경제 전반 (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 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 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 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 철도 환경 ·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 러시아계 한국인 · 러시아계 프랑스인 · 러시아계 독일인 · 러시아계 영국인 ·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계 폴란드인 · 러시아계 스페인인 · 러시아계 미국인 · 러시아계 캐나다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카자흐스탄인 · 러시아계 중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 러시아계 일본인 · 러시아계 호주인
음식 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 러시아 연방군 (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 편제) · 해군 (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PKM)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프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 러시아 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FSB
기타 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마천루/러시아 · 불곰국 }}}}}}}}}


[1] 율리우스력으로는 9월 12일. [2] 쇼스타코비치의 대표작인 교향곡 제5번의 결말도 전자의 해석을 적용하면 투쟁 끝의 빛나는 승리의 쟁취가 되고, 후자의 해석을 적용하면 정치적 공포에 굴복하지 않는 강한 인간의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3] 일부에서는 아예 쇼스타코비치를 끝으로 교향곡이라는 장르 자체가 막을 내렸다고 단언하기까지 한다. 물론 이후에도 여러 작곡가들이 교향곡을 내놓고는 있지만, 음악팬들에게 널리 알려지고 연주되는 것은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들이 사실상 마지막이라는 뜻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4] 쇼스타코비치의 할아버지 볼레스와프 쇼스타코비치는 본래 폴란드인이었으나 1863년 폴란드에서 일어난 1월 봉기 이후 시베리아로 이주했다. [5] 13살에 쓴 작품이지만 이미 개성이 어느 정도 드러나고 있으며, 상당히 조숙한 오케스트레이션을 보여준다. 첫 작품번호가 붙은 곡이 '스케르초'라는 점에서 그의 창작 성향을 암시한다는 말도 있다. [6] 그도 그럴 것이, 적백내전 당시의 러시아 국내의 경제적 참상은 심각한 것이었다. [7] 형편이 어려웠던 쇼스타코비치에 대해 학교 측에서 슬그머니 지원을 끊으려 하자, 노발대발하며 이를 직접 무마시켰다고 한다. 루나차르스키나 고리키 등 당시 영향력 있던 인사들에게 편지를 써서 쇼스타코비치에 대한 특별 배급을 부탁하기도 했다. [8] 스승 글라주노프는 16세 때 첫 교향곡을 써서 갈채를 받았다. [9] 1위는 친구인 레프 오보린이 차지했다. 피아니스트로서의 쇼스타코비치에 대한 평가는 '기교는 완벽하나 감정 표현 면에서 다소 단조롭다' 였다고. [10] 쇼스타코비치의 남아있는 피아노 연주들은 박자가 조급하리만큼 빠른 것들이 많고, 다소 강박적인 리듬감을 보여준다. 리흐테르도 그와의 연주에서 애를 먹었다고. [11] 서구의 신 빈 악파에 비길 바는 아니지만, 소련 내에서는 상당히 튀는 성향이었다. [12] '맑은 시내'는 '맥베스 부인'과 달리 단순하고 온건하게 작곡된 작품이었다는 점에서 어찌 보면 더 위협적인 결과였다. 당국은 쇼스타코비치를 결국 파멸시키지는 않았으므로, 결국 '튀는 방식으로 작곡하는 것은 포기하되, 자신의 개성을 저버리고 단순하고 뻔한 작품으로 대충 넘어갈 생각은 하지 마라'가 그들의 숨은 의중이었을 것이다. 당시 막 귀국한 프로코피예프를 '길들일' 때에도 이러한 기준이 적용되었다. [13] 메이예르홀트나 투하쳅스키 등. [14] 사진 오른쪽에 있는 안경 쓴 사람이 쇼스타코비치다. [15] 사마라 [16] 물론 피난도 쉬운 일은 아니었다. 독일군이 유리했던 독소전쟁 초반, 철통같이 포위한 도시에서 탈출할 수 있는 길은 얼어붙은 라도가 호수가 유일했는데 이마저도 독일군의 공격에 많은 희생을 치러야 했다. [17] 사실 즈다노프는 쇼스타코비치 작품부터 비판한 것은 아니었다. 바노 무라델리라는 비교적 무명인 작곡가가 쓴 '위대한 우정'이라는 오페라가 스탈린을 빈정 상하게 했다고 해서 시작되었는데, 이내 소련의 모든 음악계로 파급되었다. 오늘날 무라델리는 사실상 이 원인을 제공했다는 이유만으로 세계에 이름이 알려진 작곡가이며, 중요하지도 않은데 그냥 구실 제공만 담당한 범용한 인물이란 견해가 일반적이다. [18] 중진급 작곡가 중 하나인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는 명단에서 자신을 빼기 위해 약삭빠르게 처신하여 결국 비판은 면했다. [19] 쇼스타코비치 이전에 이미 그의 선배인 먀스콥스키가 27곡이라는 경이적인 숫자로 9번 교향곡의 저주를 깨뜨린 바가 있지만, 그의 교향곡이 오늘날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관계로 그를 신기원을 이룩한 작곡가로 인정하는 사람은 없다. 사실 먀스콥스키 말고도 베토벤 이후에 9곡 넘게 교향곡을 작곡한 작곡가는 꽤 많은데, 이 9라는 숫자는 어디까지나 당대 최고 수준의 작곡가들의 메이저 트랙에 한정된 사안이고 평범한 작곡가들과는 상관 없는 이야기이다. [20] 참고로 메이저 트랙과는 상관없지만 그의 스승인 글라주노프도 하필 교향곡을 9곡만 남겼다. 그나마 9번은 미완성. [21] 쇼스타코비치의 주변인들은 대체로 타의에 의한 강제 입당이었다고 술회하고 있다. 어쨌든 쇼스타코비치의 공산당 입당에 적지 않은 지인들이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고, 특히 정권에 비판적이던 후배 작곡가들 사이에서 입지가 약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22] 이 초연을 므라빈스키가 거절하면서 둘 사이는 완전히 벌어지게 된다. [23] 그의 죽음은 사후 3일 뒤에야 알려졌는데 당시 소련 연방공산당 서기장이었던 레오니드 브레즈네프가 크림반도에서 휴가중이었고, 그의 공식발표에 따라 정말 역사에 길이 기억될 '위대한' 작곡가였는지 단순히 '뛰어난' 작곡가였는지가 결정되었기 때문이다. 브레즈네프는 마침내 휴가에서 돌아와 쇼스타코비치는 "우리 시대의 위대한 작곡가"였다고 전세계에 알렸다. [24] 니나는 과학자였고, 쇼스타코비치의 예술 세계를 온전히 이해하는 반려자는 아니었던 것 같다. 리흐테르는 그녀를 '굉장히 아름답지만 음악에 대해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여인으로 기억했다. [25] 솔레르틴스키 역시 그 시대에 영향력 있는 비평가였지만, 요절한 이후 쇼스타코비치의 친구 정도로밖에 알려져 있지 않다. 쇼스타코비치는 그가 죽고 20년이 지나서도 "아직도 이반이라면 어떻게 평가했을까 생각하며 곡을 쓴다"고 밝혔다. [26] 상당히 참신한 형식과 편성으로 곡을 썼던 여성 작곡가로, 오랫동안 인정받지 못했지만 현대에는 재조명되고 있다. 그 깐깐한 리게티도 그녀의 작품이 매우 훌륭하다고 인정했다고 한다. [27] 아주 즉흥적으로 이루어진 결혼이었으며, 이유도 고작 '니나와 닮아서'였다고 한다. [28] 공교롭게도 둘 다 당시 비판당하던 쇼스타코비치에 대해 적극 변호하던 도중에 숙청당했다. 각 분야에 있어 거물급이었던 두 인물이 목숨을 잃고, 신예 작곡가였던 쇼스타코비치가 살아남은 것은 아이러니한 일. [29] 같이 말러를 재평가하고 스크랴빈을 까는 등 음악적 견해가 일치하였으며, 쇼스타코비치가 위기에 빠질 때에도 보란듯이 쇼스타코비치를 옹호하였다. [30] 쇼스타코비치에게는 보드카 (러시아어로 체크슈카 (Chekushka))에 관한 일화가 많다. 쇼스타코비치의 마지막 제자이자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미국과 이탈리아에서 활동해온 작곡가 야코프 구바노프의 DSCH저널 2023년 1월호 인터뷰에 따르면 그의 교수가 이런 일화를 들려주었다고 한다. 1951년 3월 쇼스타코비치는 24일간 모스크바 근교의 한 오두막집에 머물며 24개의 프렐류드와 푸가를 작곡하며 머물렀는데 하나의 곡을 완성할 때마다 스스로에 대한 보상으로 250ml 보드카병을 마시고 바흐와 바커스를 연관지어 빈 병을 그 제물로 눈 더미 속에 던졌고 나중에 눈이 녹은 뒤 24개의 병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그 중 한 병은 마시지 않은채 발견 되었는데 나중에 이 수수께끼를 푸는 사람에 대한 선물이었다고 한다 #. [31] 이를 가지고 쇼스타코비치 음악에 나타나는 강박성이나, 피아니스트로서 쇼스타코비치의 연주 스타일을 유추하는 음악학자들도 있다. [32] 이는 말년의 회고록인 '증언'에서도 잘 기술되어 있다. [33] 당시 소련을 비롯한 공산권 국가들은 서방 음악에 대한 반감이 매우 심했다는 것을 상기하자. 특히 스탈린 정권 시절에 서방 음악 스타일을 도입하는 행위는 쇼스타코비치나 프로코피예프, 하차투리안, 카발레프스키 같은 소련 작곡가들에게는 자살 행위나 다름없었다. [34] 쇼스타코비치는 지인에게 보낸 편지에서 '스트라빈스키는 작곡가로서는 존경하지만 그의 사상은 경멸한다'고 밝힌 적이 있다. [35] 독일어로 쇼스타코비치의 이름을 쓰면 Dmitri Schostakowitsch인데, 레=D, 미b=S, 도=C, 시=H로 풀이할 수 있다(Dmitri SCHostakowitsch). 노보데비치 묘지의 쇼스타코비치 묘비에도 이 네 음이 새겨져 있다. [36] 물론 여전히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을 싫어하는 현대음악 작곡가는 많다. 다만 본인들에게 돌아가야 할 관심이 지나치게 쇼스타코비치 등 '무난한 음악'에 쏠리는 것에 대한 반발에 가깝다. [37] 다만 쇼스타코비치 생전에는 서구의 음악가들이 그의 음악을 자주 비판했다. 쇼스타코비치가 활동하던 시기의 소련은 철저하게 대중이 이해하기 쉽고 체제에 어울리는 음악을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아방가르드가 대세였던 서구의 음악가들이 보기에는 그의 음악이 낡고 진부하게 보였던 것. 특히 피에르 불레즈는 쇼스타코비치에 대해 "작곡가로 치면 오네게르 급도 못 된다"고 평가하며, 음악은 진부하며 낯 뜨거운 클리셰의 나열에 불과하다고 조소를 퍼붓기도 했다. 하지만 피레르 불레즈는 악명높은 독설가로 자신을 제외한 거의 모든 동시대 음악가들에게 비난을 퍼부어댔기에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으며, 21세기를 넘어선 현재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에 대해 진부하다고 비난하는 음악가나 평론가는 거의 없다. [38] 한 예로, 스탈린의 진노를 산 것 때문에 체제에 도전적인 곡마냥 여겨지는 '므첸스크의 맥베스 부인'도, 사실은 플롯 면에서 당시의 사회 기조에 맞추어 쿨라크를 풍자하는 등 애초에 체제옹호적인 작품으로 설계된 것이 아니냐 하는 의혹도 있다. 쇼스타코비치 본인도 스탈린의 심기를 건드리기는커녕 신예 작곡가로서 눈도장을 찍고 싶었다더라는 말도 있고. [39] 망명 음악가들 사이에도 쇼스타코비치의 음악에 대한 접근은 서로 다르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나 막심 쇼스타코비치는 '체제 비판자'라는 모습을,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는 '순음악 작곡가'로서 쇼스타코비치의 모습을 강조하는 상이한 관점을 확인할 수 있다. [40] 리처드 타루스킨(Richard Taruskin)으로, 스트라빈스키에 대한 방대한 연구로 명성이 높은 음악학자이다. [41] 이 중 피아노 협주곡 2번은 실황영상으로 남아있다. # 다만 3악장 후반부가 유실되었다. [42] 반면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쇼스타코비치의 연주가 금지되었던 적이 없다 보니, 비교적으로 말하자면 다루는 레퍼토리의 폭이나 연주 수준은 아직 한국에서 개선하고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 [43] 2020년대 현재 가장 주목할 만한 현대음악 작곡가로 꼽히는 게오르그 프리드리히 하스 레베카 손더스를 접해본 클래식 관객이 얼마나 될련지 생각해보자. 당장 한국이 낳은 가장 세계적인 현대음악 작곡가라는 진은숙도 사실 국내에선 아는 사람이 많다고 할 수 없다. [44] '쇼스타코비치 - 시대와 음악 사이에서'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45] 교향곡 2번 B장조 '10월 혁명에 바침' Op.14 와는 다른 작품이다. [46] 원제목은 피아노, 트럼펫,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이다. [47] 당시 모스크바 음악원에 재학중이었던 자신의 아들 막심 쇼스타코비치를 위해 작곡한 곡. 그래서인지 피아노에서 토카타나 연습곡 풍의 패시지가 자주 등장하며 3악장에서는 하농 1, 2번의 음형이 자주 들린다. 2악장 안단테는 쇼팽을 연상시키는 낭만성 짙은 감성으로 인기가 높다. [48] 첫 번째 곡은 오페라 '므첸스크의 레이디 맥베스' Op. 29 1막 3장에서 아리아의 편곡이며, 두 번째 곡은 발레 '황금 시대' Op.22 3막 5장에서 폴카의 편곡 버전이다. [49] 2017년에 러시아의 한 비올리스트가 소유하고 있던 악보가 발견되었고 작곡년도를 고려해 Op.33의 공동번호를 부여 받았다. [50] 죽기 며칠 전에 쓴 작품이다. 작곡가 사후에 초연이 이루어졌다. [51] 쇼스타코비치가 가장 처음으로 출판한 작품이지만 이후에 작품번호 5번으로 정정되었다. [52] 작곡가 사후인 1977년에 초연이 이루어졌다. [53] 작곡가에 의해 Op.62a 로 관현악화 되었다. [54] 무반주 합창곡이다. [55] 무반주 합창곡이다. [56] 작곡가에 의해 Op.143a 로 관현악화 되었다. [57] 작곡가에 의해 Op.145a 로 관현악화 되었다. [58] 작곡가 사후에 초연이 이루어 졌다. [59] 스탈린 사후에 지인들에게 오페라를 완성하라는 권유를 받았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결국 완성되지 못했다. [60] 다만 감안해야 할 점은 그나마 스탈린이 죽은 이후였기 때문에 이런 개작을 통한 공연이라도 가능했다는 것이다. 이 개작 공연이 서유럽에 알려지면서 이 작품이 러시아 밖에서도 본격적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61] 미완성 스케치만 남아있다. [62] 이 노래의 곡조에 가사를 새로 붙여 2차대전기 연합군 찬가로 사용했고, TNO OFN 찬가로도 쓰인다 [63] 희가극 '모스크바여, 열매맺은 벚나무여' Op.105 의 영화화 버전이다. [64] 극음악 '햄릿' Op.32 와는 다른 작품이다. [65] 리어왕 Op.58a 와는 다른 작품이다. [66] 영화화를 위한 편곡이다. [67] 모리오카 켄이치로(森岡賢一郎)가 음악을 담당한 '우주로부터의 메시지(宇宙からのメッセージ)'. [68] 정확히는 "외국음악집"중 제1집에 쇼스타코비치 레닌그라드 교향곡 전곡이 들어가 있다. 이 음반은 현재 통일부 북한자료센터에 구비되어 있다. 대출은 불가하니 열람하려면 센터에 찾아가야 한다. 게다가 특수자료로 분류되어있어 소속기관장의 추천서까지 가져가야 비로소 열람할 수 있다. 유튜브에도 올라와 있다. 1악장 2악장 3, 4악장 [69] 이와 더불어 같은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에서 세베루스 스네이프를 닮은 작곡가로는 프레데리크 쇼팽 프란츠 리스트를 꼽기도 한다. [70] 말년에 이벤트성으로 한 번 축전 서곡 첼로 협주곡 1번을 연주해보긴 했지만, 어마어마하게 긴장한지라 보드카를 진탕 마시고 지휘했다고 한다. 글라주노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