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09:41:03

러시아어권

언어에 따른 문화권
중국어 스페인어 영어 아랍어
중화권 히스패닉 영미권 아랍
프랑스어 독일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프랑코포니 독일어권 루소폰 러시아어권
페르시아어 스와힐리어 마인어 하우사어
페르시아어권 스와힐리어권 마인어권 하우사어권
※ 나무위키에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문화권만 서술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23729>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연방조약 · 러시아 헌정 위기
지리 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 하위 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볼가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북서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 하위 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노보시비르스크( 하위 지역)) · 우랄 연방관구( 하위 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 하위 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호 · 한카호 · 돈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산맥 · 스타노보이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산 · 시베리아 (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반도 · 타이미르반도 · 캄차카반도 (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섬 · 콜라반도 · 축치반도 · 크림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오세티야 · 체르노젬 · 쿠즈바스 · 돈바스
문화 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 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 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 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 국가두마)
경제 경제 전반 (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 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 안보 조약 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 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 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 철도 환경 ·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 러시아계 한국인 · 러시아계 프랑스인 · 러시아계 독일인 · 러시아계 영국인 ·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계 폴란드인 · 러시아계 스페인인 · 러시아계 미국인 · 러시아계 캐나다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카자흐스탄인 · 러시아계 중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 러시아계 일본인 · 러시아계 호주인
음식 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 러시아 연방군 (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 편제) · 해군 (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PKM)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프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 러시아 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러시아 연방보안국
기타 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마천루/러시아 · 불곰국 }}}}}}}}}


1. 개요2. 특징3. 러시아어가 사용되는 지역 국가
3.1. 러시아어가 공용어인 국가3.2. 러시아어가 널리 쓰이는 국가3.3. 러시아어가 쓰이기도 하는 국가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러시아어권 러시아어 공용어이거나 러시아어가 널리 사용되는 지역을 가리킨다. 러시아어가 공용어인 지역은 러시아를 주로 가리키지만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도 포함돼 있다.

2. 특징

러시아어권에 속한 지역들과 국가들은 대부분 구 소련 국가에 속한다는 점이 공통점이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러시아인의 비중이 높다보니 러시아어의 사용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러시아인의 비중이 높거나 구소련 시절부터 러시아어를 사용하는 비중이 높아서 러시아어의 지위가 높다. 소련 해체 이후, 러시아어가 공용어로 쓰였던 지역들과 국가들이 러시아어 사용을 줄이거나 배제하는 경향도 있어서 갈등이 존재하기도 한다.

3. 러시아어가 사용되는 지역 국가

3.1. 러시아어가 공용어인 국가

3.2. 러시아어가 널리 쓰이는 국가

3.3. 러시아어가 쓰이기도 하는 국가

  • 몽골 - 러시아어가 구소련 시절부터 제1외국어로 지정됐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제1외국어에서 배제됐지만, 2000년대 이후에는 주요 외국어로 지정됐다.
  •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 구소련 시절부터 러시아어가 널리 쓰였기 때문에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들을 중심으로 러시아어 화자가 많이 존재한다.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는 전체 인구의 25% 정도, 즉 4명 중 1명은 러시아어가 제1언어이다. 리투아니아는 좀 더 적은 편. 러시아어 화자는 수도에 모여살기 때문에 탈린, 리가만 여행하고 간다면 체감상으로는 러시아어 유창한 사람은 더 많다. 러시아어는 주요 외국어로 지정돼 있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러시아어를 배제하는 정책을 실시하면서 러시아와 갈등이 존재한다.
  •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독일 - 소련의 위성국 시절부터 제1외국어로 지정됐다가 소련 해체 이후에는 제1외국어에서 선택 과목으로 바뀌었다. 일부 화자가 존재하며 러시아어를 배우는 경우도 존재한다. 폴란드내의 러시아어 화자들중에는 러시아계 폴란드인들도 있지만,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중앙아시아 출신들도 포함돼 있어서 폴란드에서 러시아어 사용 비중이 존재하는 편이다. 독일의 경우에는 구 동독의 영향도 있고 러시아계 독일인들도 있기에 사용 비중이 존재한다.
  • 이스라엘 - 구소련 일대에서 이스라엘로 이주한 러시아계 이스라엘인들의 영향으로 아랍어, 히브리어와 함께 널리 쓰이고 있다.

4. 관련 문서



[1]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미콜라이우주의 주지사 비탈리 킴 지사, 빅토르 유셴코 전 대통령, 페트로 포로셴코 전 대통령, 율리야 티모셴코 전 총리, 비탈리 클리츠코 키이우 주지사도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 둘 다 능숙하게 구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