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지😀 |
목록 |
스마일리 및 이모티콘 ❤️ | 사람 및 신체 👋 | 컴포넌트 🦲 | 동물 및 자연🐵 | 음식 및 음료 🍇 | 여행 및 장소 🌍 | 활동 🎉 | 사물 👓 | 상징 ⚠️ | 깃발 🚩 |
문서가 있는 이모지 |
☮ 📅 🔥 🤔 🙃 |
기타 |
이모지 키친( 조합 목록) |
- 일부 구형 기기에서는 이모지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기 또는 OS를 바꾸어 가며 문서를 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1. 개요
絵 文 字 / Emoji일본의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에서 시작된 그림 문자이다. 일반적인 서사 체계에서 사용되는 문자들을 조합해 사용하는 이모티콘과는 달리, 그림 형태의 문자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모지'라는 말의 어원은 일본어 絵文字(えもじ, 絵/繪(그림) + 文字(문자))이고 이것을 한글로 옮기면 '에모지'가 되겠으나, 한국어에서는 emoji의 영어식 발음을 한글로 옮긴 '이모지'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주짓수나 유클리드와 비슷한 경우라고 보면 된다. 언론에서도 '이모지'를 '에모지'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1], 구글에 '에모지'를 검색하면 '이모지'의 검색 결과를 대신 보여 줄 정도이다. emoji의 e나 emo가 emoticon에서 왔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2. 역사
최초의 이모지는 1999년에 NTT 도코모에서 일하던 구리타 시게타카[2]에 의해 만들어졌다.[3] 이후 일본의 여러 통신사별로 서로 다른 자체 이모지를 만들어 사용하였지만 이들 간의 호환성은 전혀 없었다. 나중에는 다른 통신사의 메일 주소로 전송되는 메일을 메일 서버 단에서 필터링해서, 받는 통신사의 이모지 코드에 맞춰 변환 전송하는 방식으로 대응하였다. 도코모 이모지와 소프트뱅크 이모지의 차이를 볼 수 있다.서방 기업 중에서 처음으로 이모지를 도입한 것은 애플이다. 2008년 6월부터 일본에 아이폰 3G를 출시하면서 이모지를 iOS 2.2부터 도입하게 되었다. 이는 일본 문화에서 문자 메시지에 이모티콘을 넣는 것은 필수라는 손정의의 강력한 설득과 요청에 의한 것이었다. 일본측의 요청에 의해서 넣은 것이므로 문자세트 이름이 일본어인 Emoji(絵文字, 그림 문자)가 된 것이다. 그리고 손정의의 요청에 의한 것이었으므로 당연히 소프트뱅크의 자체 이모지 규격이 도입되었다. 원래는 일본의 휴대폰은 통신사별로 이모티콘 세트가 달랐었다. 이 때 만들어진 iOS의 이모지 디자인 코드는 지금까지도 큰 틀의 변화 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구글도 2008년 10월부터 Gmail에 이모지 입출력 기능을 도입하였고[4], 그해 겨울부터 구글을 주축으로 하여 이모지의 유니코드화 프로젝트가 시동되었다. 이후 애플도 이 작업에 참여하였으며[5], 마침내 2010년 10월 발표된 유니코드 6.0부터 이모지가 수록되어 표준화되었다. 유니코드 표준화 이후 2011년, 애플이 iOS 5에 이모지 키보드를 추가하면서 이모지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게 되었다. 애플의 경우 폰트에 애플 로고를 내장한 경우가 있어 유니코드 U+F8FF로서 애플 로고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것은 PUA 영역에 임의 지정한 특수문자로 보는 것이 정확하며, 이모지로 보기는 어렵다. 또, 상표권 때문에 애플의 허가를 받은 폰트만 애플 로고를 포함할 수 있어서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시초가 일본이였기 때문에 이모지 리스트를 보면 일본어나 일본 문화 등이 자주 보인다. 예를 들어 U+1F38C Crossed Flags(🎌)는 이름은 중립적이지만 설명에 Japanese national holiday라고 돼 있고, 따라서 일장기 2개를 쓰는 것이 사실상 표준이다. 그래서 한때 주요 사용자층 중 일본에 대한 안 좋은 인식을 가지고 있는( 반일) 한국인이 많이 포함된 삼성전자는 여론의 질타를 우려해 이를 태극기 2개로 바꾸어 놓았던 적이 있으나[6], 유니코드 표준 관련 문제로 현재는 삼성 역시 일장기를 사용하고 있다.
또 철도 강국 일본답게 자동차나 버스보다 철도 관련 이모지가 매우 많다.
2014년에는 애플과 구글에서 다양성 존중을 위해 이모지의 피부 색을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유니코드 8.0부터 기본 사람 이모지의 색상이 진한 노란색처럼 비현실적인 것으로 변경되었고, 기본 이모지 문자 뒤에 피부 색을 나타내는 메타 문자를 추가하면 그 피부색에 맞는 사람 이모지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노란색으로 표시되는 아기 모양 이모지 👶(U+1F476) 바로 뒤에 갈색 피부색 선택자 🏿(U+1F3FF, 갈색 네모)를 추가하면 흑인 아기(👶🏿)가 표시되는 식이다. 아래의 장점 문단도 참조하라.
2019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이모지는 '😂'이다. 그리고 '❤️'가 2위, '♻️'가 3위를 차지했다. 이와 반대로 제일 안 쓰이는 이모지는 '🕕(U+1F555, Clock Face Six O’Clock)'이다. 전 세계적으로 1분당 평균 0.6개가 쓰인다고 한다. 약 1분 40초에 1개가 쓰이는 것이다.
유니코드에서는 문자의 모양을 표준화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모지 모양을 어떻게 할지는 제조사 마음대로이다. 하지만 제조사마다 이모지 모양이 크게 다르면 커뮤니케이션 및 접근성 관련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하나의 디자인으로 통일되는 추세이다. 앞서 설명했듯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인 이모지인 😂(U+1F602, FACE WITH TEARS OF JOY)를 예로 여러 플랫폼의 이모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
iOS, MacOS, iPadOS | Android | Windows 11 |
|
|
|
One UI | 트위모지 | 페이스북 |
|
|
|
왓츠앱 | 토스 |
|
|
|
|
|
|
|
|
|
|
Microsoft Teams[7] | Animated Noto Emoji |
|
|
|
|
안드로이드 4.4 | 안드로이드 7.0 | 안드로이드 12.0 |
- 구글은 한때 아이콘형 이모지에 원형이 아닌 푸딩 모양을 쓰고 있었다. 공개 초에는 저 푸딩이 표정에 따라 역동적으로 늘어나고 줄어들며 손까지 뻗기도 했지만, 안드로이드 7.0 누가 업데이트 이후 푸딩 모양은 고정된 채 표정만 바뀌고 있다. 이모지의 모양이 타 플랫폼과 너무 달랐던 것이 의사소통에 문제를 일으켰었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8.0에서 전면적으로 바뀌어 현재는 위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그래도 차별성이 도움이 됐는지 Blob emoji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이를 그리워하는 사람이 굉장히 많다. Discord에서 Blob Emoji 서버가 있을 정도이고, 외신 언론에서도 Blob Emoji를 그리워하는 뉴스도 있을 정도이다. 심지어는 최신 이모지들을 Blob Emoji의 그림체로 구현한 팬메이드 프로젝트도 있다. 구글도 미련을 버리진 못했는지 현재는 애니메이션 스티커 The Blobs Live On이나 Gboard에 탑재된 이모지 키친 기능 또는 구글의 Noto Emoji로 재현해 볼 수 있게 되었다. 유튜브 그림 이모티콘 기능으로도 블롭 이모지가 딱 1개 남아 있다. 참고로 EmojiCompat이라는 미지원 이모지를 구글의 디자인으로 출력하는 시스템이 있다. 그리고 현재 디자인은 이곳에서 PNG 또는 SVG 파일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Windows 10부터는 메모장 등의 일부 앱에서 색이 없는 이모지로 나온다. 이는 Windows 7 이전의 윈도우에 윈도우 이모지 폰트를 설치해도 동일하다.
* HTC는 아이콘 이모지만 지원하며, 나중엔 그 외의 이모지는 구글의 이모지를 사용하게 됐는데, 그마저도 현재는 업데이트가 중단되었다.
* LG전자는 LG VELVET 출시와 함께 다시 자체 이모지를 만들었다가 스마트폰 사업을 그만뒀다.[8]
* 모질라 재단의 경우 Firefox OS 개발 중단 이후 업데이트가 중단되었으며, 한때 트위터의 이모지를 썼었다가 현재는 마이크로소프트 이모지로 변경되었다.
* 토스의 경우 국내 앱 개발사 최초로 자체 이모지 폰트인 토스페이스를 만들어 배포하고 있다. 출시 초에는 일본풍 이모지를 한국식으로 바꾸거나, '구식' 이모지를 '현대화'하는 등[9] 유니코드 표준을 준수하지 않은 디자인을 도입해 논란이 되었으나, 이후 빠르게 유니코드 표준에 맞게 변경하여 재배포했다.[10][11]
Twemoji나 joypixels 같은 오픈 소스 이모지 프로젝트도 존재한다.
인터넷 밈 등에서는 트위터와 애플 이모지가 사실상 표준급으로 널리 쓰인다. 특히 트위터의 🤔(U+1F914, THINKING FACE)는 관련 합성 이미지만 전문적으로 올리는 계정이 하나 생길 정도로 정말 많이 쓰이고 있다. 하지만 SNS를 주로 활용하는 소위 인싸들 사이에선 잘 쓰지 않기에 매번 자주 쓰이는 이모지를 조사하면 순위권에 들지 못한다.[12] 상술한 😂이나 🅱 역시 서양권 밈에서 많이 쓰인다. 🅱는 원래는 🅰️🅱️🅾️🆎️세트 중 하나로 혈액형 B형이란 의미지만, 밈으로 쓰일 때는 Ni🅱️🅱️a( Nigga)처럼 글자 하나를 복자 처리하는 데 사용한다. 유니코드에는 A부터 Z까지 다 있지만 이모지로서 인정되는 건 A, B, O, P + AB뿐이다. 블러즈 항목도 참고하면 좋다. 여기서 P의 경우 사각형이 파란색이다. 이외로 밈으로 쓰이는 이모지는 🤯, 😭, 😳, 🥵 등이 있다.
2017년부터 이모지 버전의 번호를 유니코드 버전에 맞추기로 하면서 이모지 6.0이 될 예정이던 문자 셋은 이모지 11.0으로 바뀌어 2018년 6월 5일에 발표되었다.
3. 장점
아스키 아트를 그리지 않는 이상 세세한 감정이나 사물, 동물 등을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는 이모티콘과는 달리 이모지는 문자 하나로 다채로운 표현을 할 수 있다. 또한 이모지로 문장을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는지 알아내는 재미가 쏠쏠하며, 가끔은 외국인과의 언어의 장벽을 극복해 주기도 한다.또한, 대부분의 이모지가 유니코드의 SMP(Supplementary Multilingual Plane, U+1xxxx)에 배당됐는데, 이로 인해 BMP(U+0000 ~ U+FFFF)의 문자만 제대로 지원하던 환경이 많이 줄어들었다. SMP는 웹상에서 쐐기 문자를 쓰거나 악보를 그릴 일이 없는 한 잘 쓰이지 않는 영역이었어야 했으나 이모지의 도래로 꽤 많이 쓰이게 되었다.
이모지가 세상에 알려지고 난 뒤 2014년경부터 일부 이모지에 대한 인종차별 및 성 불평등 문제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에 대응해 각 회사들은 정치적 올바름(PC)을 고려해 기본 백인의 색상이었던 피부색을 아이콘과 같은 노란색(👍)으로 바꾸었다. 안드로이드 누가까지의 삼성 스마트폰에서는 살구색으로 보일 것이다. 이는 삼성이 누가까지 기본 피부색을 그 색깔로 두고 있었기 때문인데, 오레오부터는 다른 회사와 마찬가지로 노란색으로 바꾸었다.
또 각 인간형 이모지들의 양성 버전을 따로 만들었는데(👨🍳👩🍳), 키스, 커플 등 2명이 나오는 이모지는 남x남, 남x여, 여x여(👨❤️💋👨,👩❤️💋👨,👩❤️💋👩)로 3가지가 존재하며 가족 이모지는 부모의 수(1~2명)와 성별[13], 아이의 수(1~2명)와 성별[14]까지 따로 둬 총 25가지가 존재한다(👨👩👦,👨👩👧,👨👩👧👦,👨👩👦👦,👨👩👧👧,👨👨👦,👨👨👧,👨👨👧👦,👨👨👦👦,👨👨👧👧,👩👩👦,👩👩👧,👩👩👧👦,👩👩👦👦,👩👩👧👧,👨👦,👨👦👦,👨👧,👨👧👦,👨👧👧,👩👦,👩👦👦,👩👧,👩👧👦,👩👧👧). 이걸 하나하나 다 코드를 준 건 아니고, 조합형처럼 여러 이모지 사이에 조합 문자(U+200D Zero Width Joiner)를 넣어서 표기한다. 그 때문에 위 이모지들도 플랫폼에 따라 👨/👩와 🍳이 따로 입력되어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이모지의 피부색들도 따로 대응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이쪽도 여러 이모지를 조합하지만, 조합 문자(U+200D Zero Width Joiner) 없이 이모지 문자와 피부색 문자(🏻🏼🏽🏾🏿)만 붙여 사용한다. 따라서 위 이모지들 역시 👍와 피부색 문자가 따로 입력된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
2019년 이후에는 남/녀 구분을 하지 않는 중성 이모지(🧑)를 이용해 인간형 이모지들의 중성 버전(🧑🍳)을 추가했다. 그 덕에 지금은 오히려 이모지가 평등의 아이콘 취급을 받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남녀 이모지와 달리 지원 폭이 넓지 않은 편이었으며, 일부 플랫폼, 특히 Windows에서는 🧑와 🍳이 따로 입력되어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Windows의 경우 Windows 11부터는 제대로 합쳐져서 보인다.
그리고 한국 개신교계에서는 동성애 이모지가 있는 이유로 해당 이모지의 제거를 요구하고 있다.[15] 결국 키스 이미지를 나란히 있는 이미지로 바꾸는 선에서 타협을 본 듯하다.[16] 하지만 이는 무의미한 요구이며, 유니코드의 규정에 따르면, 이모지는 물론 한번 할당한 문자는 절대 제거할 수 없기 때문.
4. 단점
이모지가 처음 등장한 것은 10년이 넘었지만 이것이 전 세계적으로 쓰이게 된 것은 아직 오래 지나지 않았고, 이모지 문자가 유니코드 6.0부터 유니코드에 배당되기 시작했지만 현재 사실상 표준이 Apple의 이모지이기 때문에 구형 Microsoft Windows와 같은 몇몇 시스템에서는 제대로 보기 힘들며, 안드로이드나 Windows 8.1 등의 이모지를 지원하는 다른 OS에서는 애플의 이모지와는 의미는 통하더라도 모양이 다르게 나온다.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 이미지가 완전히 다르게 나와 의미도 잘 통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2020년대 초 현재는 표준 쪽[17] 기준으로 많이 모였다.참고로 2015년 이후로 나온 우분투 등의 리눅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는 완벽하게 지원한다. 그러나 유니코드에서 지정한 표준대로 리눅스에서 표시되는 이모지는 색깔이 따로 입히지 않고 흑백으로 표시된다.
5. 여러가지 데스크톱 환경에서 입력하는 방법
Windows 8부터 이모지를 지원한다. PC 윈도우의 경우 터치 키보드를 통해 입력이 가능하다.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도하면 PC에서도 터치 키보드를 소환할 수 있다. 이러면 작업 표시줄 오른쪽에 터치 키보드를 켜는 단추가 나타난다. 이걸 마우스로 클릭하면 터치 키보드가 화면 위에 나오는데, 사람이 방긋방긋 웃는(☺) 버튼을 클릭하면 이모지 입력 모드로 바뀐다. 이제 열심히 입력하면 된다.- Windows 8.1: 작업 표시줄의 빈 곳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도구 모음 → '터치 키보드' 왼쪽 클릭
- Windows 10: 작업 표시줄의 빈 곳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터치 키보드 단추 보기' 왼쪽 클릭
Windows 10는 2018년 업데이트를 통해 창을 열 수 있는 방법이 하나 더 추가되었다. 텍스트 입력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이모지 & 기호'을 선택해도 되지만, 나무위키의 편집창 같이 자체적인 팝업 메뉴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쓸 수 없다.[18] 그리고 레지스트리를 수정해서 윈도우 키를 다른 키로 바꿔놓았다면 창이 열리지 않는다.
- [윈도우 키] + [마침표 .]/[세미콜론 ;]
macOS는 이 분야의 선도주자 답게 쉽게 입력할 수 있게 설계했다. macOS에서 이모지 메뉴를 여는 단축키가 존재하는데 fn키를 누르거나 control + command + 스페이스 바를 동시에 누르면 된다. 두 경우 모두 fn키를 다시 누르면 메뉴가 닫힌다. 만약 fn키를 눌렀는데 다른 명령이 실행된다면 설정이 기본값인 '이모티콘 및 기호 보기' 에서 다른 것으로 바뀐 것이다. 왼쪽 상단 애플 로고→시스템 환경설정→키보드→'지구본(fn키) 눌러 다음을 실행' 메뉴에서 fn키의 입력 기능을 바꿀 수 있다. Touch Bar가 존재하는 MacBook Pro라인업의 경우에는 글을 작성하게 되면 왼쪽 상단에 활짝 웃는 얼굴 아이콘이 생기는데, 그걸 터치해도 입력할 수 있다.
6. 목록
6.1. 개별 문서로 존재하는 이모지
여기 있는 이모지 외에는 명백하게 그런 의미로 쓰인다는 토론 합의 없이 리다이렉트를 거는 게 금지된다.7. 유니코드와 이모지
유니코드와 이모지는 현재 매우 깊은 관련이 있다. 이는 상술했듯이, 유니코드를 규율하는 유니코드 컨소시엄이 현재 이모지의 인코딩에 관한 거의 모든 것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19] 하지만 유니코드에 관심이 별로 없거나, 혹은 있더라도 이모지와 유니코드는 은근히 깊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이러한 관련성의 예를 들자면, SNS를 이용하다 보면 볼 수 있는 ☂, ☕︎와 같은 특수 문자는 사실 '텍스트 모양' 제어 문자 (U+FE0E), 또는 '이모지 모양' 제어 문자 (U+FE0F) 둘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자의 모양을 표시한 것으로, 이 외에도 다양한 조합을 지원하게 함을 유니코드에서 추천(권장이 아님)하고 있다. #[20]
그러나 이러한 몇몇 규정들은 대부분 또는 모든 폰트가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단순히 잘 모르거나 호환성을 우려해서 그런 듯 하다.
이 외에도 정말 많은 규정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이곳을 참고.
7.1. 이모지가 만들어지는 과정
상당수의 사람들은 Apple 같은 대기업이 새로운 이모지를 만들거나, 아니면 상당히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는 특수한 경우가 아닌 이상 사실이 아니다. 현재로서는, 간단하게 말해서 Apple이 아닌 상술한 유니코드 컨소시엄에 PDF를 제출하고 후보를 차례차례 기다리는 식으로 새 이모지가 만들어지는 것이다.만약 본인도 PDF를 제출하고 싶은 경우엔 이 링크와 다른 많은 문서들을 꼼꼼히 읽도록 하자. 이 링크 또한 참고해도 좋다.
관련 영상[21]
7.2. 추가 정보 및 관련 오해
2015년쯤부터, 유니코드 컨소시엄에 PDF를 제출하여 누구나 새로운 이모지를 만들 수 있게 됐다. 이 PDF엔 상술했듯이, 제안서 양식을 반드시 따라야 한다. 원하면 이모지의 콘셉트에 대한 역사 같은 추가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또한, 이런 활동을 하는 Emojination에 가입해서 여러 멤버들과 같이 제안서를 작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가입할 경우 마찬가지로 링크를 꼼꼼히 읽어보는 걸 추천.
매년 유니코드가 새로운 이모지를 발표하고 있지만, 유니코드 스탠다드가 매우 유명한 단체까지는 아니라서 그런지, 많은 사람들이 Apple이 자체적으로 디자인을 해서 제공을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유니코드 스탠다드가 아닌, 트위터나 유튜브 같은 주요 SNS에 이런 일과 관련이 별로 없는 Apple 같은 곳에 이모지를 추가해달
이 때문에 원하는 이모지를 찾지 못 할 땐 애플을 탓하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위에서 여러 번 서술했듯이 잘못된 생각이다. 애플은 그저 다른 플랫폼과 같이 이 사이트를 보고 디자인을 하는 일을 하지, 새롭게 만들지 않는다.[24] 그래서 애플의 공식 커뮤니티를 잘 둘러보면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요청으로 판을 칠 뻔한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애플이 공식 답변을 주지 않음에도 요청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무래도 애플의 이모지가 표준급으로 많이 쓰여서 이런 현상이 일어난 듯 하다. 그래서일까, 유니코드 사이트에 들어온 제안서들은 이모지 자체의 인기에 비해 매우 적다.
8. 기타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은 25.0 패치에서 이모지(Emoji)를 도입하였다.[25] 명령어는 :로 시작해서 :로 끝나지만, 게임 내에서 사용하는 법을 가르쳐주지 않는다.
- 시계 이모지 중 30분에 해당하는 것은 시침이 실제 시계처럼 15° 움직이지 않고 그냥 정각과 똑같이 위치한다. 예를 들어 12시 30분 🕧의 경우는 시침이 12시랑 1시 사이에 와 있어야 하나 그냥 12시 위치에 있다. 개발자가 몰랐다기보다는 크기가 작아서 단순화 시킨 듯하다. Windows 10의 이모지는 정확히 12시랑 1시 사이 위치에 위치한다.
- 유독 개 이모지에 비해 고양이 이모지가 배 이상 많다. 이는 이모지 시초가 일본에 있고 일본에서의 고양이가 복을 불러온다( 마네키네코)는 속설 덕에 고양이 이모지가 많이 사용된 탓에 고양이가 더 많다.
- 개 🐕🐶🐩🦮🐕🦺
- 고양이 🐈🐱🙀😻😺😾😸😽😼😿😹🐈⬛
- 하트 이모지 중 노란색 하트(💛)에는 재미있는 이야기가 하나 있는데 구글 직원이 이모지 초기 유니코드의 노란색 하트를 보고 '털이 달린 하트' 인 줄 알고 정말로 털이 난 하트를 낸 적이 있다. 이름은 "Hairy Heart". 물론 이후에 노란 하트로 변경되었다.
- 권장 이모지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PUA 마냥 호환성 문제는 물론, 이모지라고 보기에도 애매한 비표준(non-standard 또는 non-RGI(not Recommended in General Interchange, 즉 일반 인터체인지에 추천되지 않음)) 이모지가 많이 존재한다.[26]
- 반대 개념인 RGI도 있는데, 이 또한 반대로 '일반 인터체인지에 추천됨'을 뜻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모지들이 바로 RGI 이모지다. 의외로 정작 이것만 완벽하게 지원하는 경우는 상당히 적다.[27]
- '강도를 묘사한 이모지가 있었으나 어느 순간 갑자기 삭제됐다, 개발 로그(내역)에서 누락됐다'는 증언이 많지만( 관련 영상(한국어), 검색 결과(구글)) 실제로는 애초에 개발된 적조차 없는 만델라 효과의 훌륭한 표본임이 드러났다( 관련 위키 내용). 더 심즈의 ' 경찰과 도둑'에 기반한 착각이라는 설도 실려 있으니 참고가 될 만하다.[28]
- 전자/가전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의 경우 자사의 제품을 그려 놓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Apple은 휴대전화(📱)가 iPhone이며, 삼성전자의 경우 One UI 3.1.1부터 갤럭시 S 시리즈의 전면 펀치홀을 없앤 자사 스마트폰과 유사한 아이콘으로 출력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화면에 타일 UI가 있는 Windows Phone으로 출력된다. 추가로 Apple은 이런 자사 제품을 그리는게 일종의 불문율이 되어서, 헤드폰(🎧)은 원래 삼성전자와 동일한 디자인이였으나, AirPods Max가 출시되며 해당 그림으로 교체했다.
- 🔫의 경우 원래는 진짜 총 모양이었으나 테러나 살해 협박에 자주 쓰이면서 물총이나 광선총 등 장난감 총으로 바뀌었다.
- 2020년 이후로 🙏 이모지의 사용이 폭증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인 듯.
-
2021년 이후
클템의 국노 해설,
울기도문을 비롯해
LoL e스포츠 관련 해설 멘트가 밈화되면서,
아래 인용문과 같이 인터스텔라의 이모지 유머처럼 해설 내용에 이모지를 붙여놓는 텍스트가 밈화되어 쓰이고 있다.
근데 드레이븐🎅이 문제에요 이 와중에 진짜 예 타워🏦 안쪽 그래도 잭키러브🎅가 문제에요 케넨🌩없을때 그래도 이쪽도⏩⏩ 달려들어야되는거아닌가요 재키러브🎅가문제에요 예 스턴걸고 쫓아가자 재키러브🎅가 아아악😱😱 잭키러브🎅🎅가 문제에요 돈도왕창떨어졌고요💵💵💵💵 재키러브 어떡하나요😱😱😱😱 저 재키러브를 또 더블킬 케넨🌩이없어요🙅🙅 재키러브가 퍽퍽🤜🤜 케넨🌩🌩이 없어요 기다려라 근데 이겼어요 좀 그만죽여 나도좀 죽이자😈😈 더샤이 오고있습니다 트리플킬 그리고 밀면되나요 왜이렇게빨리끝내나요 아이지❓❓😰😰😰😢😢😢 이거 16분대 16분되기전에 이건아이지 이건 역대급인데요 와 아니 16분이 안됩니다 와 15분 50초 아이지 야 빨리 끝내자 기록🌟🌟이라도 세우자 끝났습니다 15분 55초 56초 쥐쥐🔥🔥 - 이모지가 처음으로 보급된 일본에서는 젊은 세대 위주로 이모지를 기피하는 경향이 크고 오히려 중장년층의 선호도가 높다. 특히 메신저나 SNS 등에서 이모지를 남발하는 행위는 경박한 아재체나 쿠소리프[29]로 간주되며 경멸받는다.
8.1. 창작물
-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에서는 이모지를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인 이모티: 더 무비를 내놓았다. 그러나 사상 최악의 극장판 애니메이션이라는 평을 들으며 로튼 토마토 0%와 IMDb 역대 최저 점수(1.4)라는 신기록을 세웠다. 반면 흥행에는 성공했다.
- Pegboard Nerds의 악곡 중 하나가 Emoji이다.
- 뜻밖의 Q에서는 적절한 이모지를 늘어놓고 이 이모지들이 의미하는 노래를 맞추는 문제 출제 방식 중 하나로 진행한다.
- 유비트 페스토의 게임 내 화폐인 emo가 이모지에서 유래하였다.
- EMOMOMO는 이모지를 주제로 한 음악이며, 영상 역시 이모지, 특히 트위터 이모지가 주로 사용되었다. 대표하는 이모지는 트위터의 밈을 상징하는 Thinking face이다.
- 니시논 회의는 이모지가 가진 불쾌한 골짜기를 사용한 공포 이벤트이다.
- 😲🙌👾🤖🤸👺🌠🤲👻🖐️🛸😀는 아예 곡 제목과 공식 가사가 이모지인 사례로 트위터에서 만든 이모지 디자인인 Twemoji를 사용하여 가사 및 영상을 제작했다.
[1]
2020년 1월 14일 16시 20분경(한국 시각) 기준 네이버 뉴스 검색 결과(큰따옴표 포함): "이모지" 5189 vs. "에모지" 105, 다음 뉴스 검색 결과(큰따옴표 포함): "이모지" 5140 vs. "에모지" 163
[2]
栗田 穣崇, 2021년 기준
도완고 전무 및
niconico 운영진 대표
[3]
도코모 홈페이지
[4]
#
[5]
#
[6]
심지어 일본 내수용 갤럭시에도 태극기를 적용해 일본에서도 논란이 좀 나왔었다. 물론 태극기를 입력해도 다른 기기에서는 일장기로 보인다.
[7]
Windows 11의 이모지의 애니메이션 버전.
[8]
이전에도
자체 이모지 세트를 쓰다가 안드로이드 7.0 이후 구글 순정 이모지로 갈아탔던 적이 있다.
[9]
예를 들어 👺 이모지를
하회탈 아이콘으로, 🍹 이모지를
소주 아이콘으로, 💾 이모지를
클라우드 스토리지 아이콘으로, 🗣️ 이모지를
마스크를 쓴 두상 아이콘으로 바꾸었다. 특히 이모지를
CLDR Short Name으로 읽어주는
스크린 리더를 사용할 때 작성자가 의도한 것과 완전히 다른 설명을 읽어줄 수 있기에 접근성 면에서도 비판을 받았다.
[10]
그리고 이때 일부 구분이 심하게 어렵던 것도 수정되었다. 예를 들어 🎍와 🎋는 왜색 빼는 과정에서 대나무만 남기면서 시각적으로 구분이 어려워졌고, 📛는 2021년 9월에 나온 이모지 14.0에서 추가된 🪪(U+1FAAA)와 오인될 여지가 상당히 높았다. (이쪽은 이후 토스 페이스 1.3에서 좌우 반전해서 🪪에 사용.) 물론 그냥 구분 어려운, 🌠가 🌟와
매우 비슷하던 것도 이때 수정.
[11]
이후 이러한 이모지를 단순히 없애기는 아깝다는
피드백을 받아 해당 이모지들이 Private Use 영역(U+E000 ~ U+F8FF)에 추가되었다.
[12]
#
[13]
엄마, 아빠, 엄마•엄마, 아빠•아빠, 엄마•아빠
[14]
아들, 딸, 아들•아들, 딸•딸, 아들•딸
[15]
국민일보-갤럭시 S7도 동성애 이모티콘 심었다
[16]
#
[17]
특히 그중에서 세분화하면 애플의 이모지나, 구글의 이모지 쪽. 비교적 최근에 나온 이모지들은
Emojipedia의 샘플 이미지를 매우 비슷하게 가져온다.
[18]
RAW 편집에서는 가능하다.
[19]
이 문서에서 유니코드에 관한 내용이 자주 등장하는 것 또한 이 때문이다.
[20]
이 내용에 관해 추가로 덧붙이자면, 이모지의 유니코드화 과정에서 기존에 있던 특수 문자와 가져오려는 이모지가 겹치는 경우, 이모지 모양을 기본으로 두는 것으로 보인다.
[21]
몇 년 전에 업로드된 영상이기에 현재와 약간 차이가 있다.
[22]
#
[23]
그래서 사태가 일어난 년도에는
Emoji SubCommittee라는 공식 비영리 단체 덕분에 이모지 14.0 대신 원래 계획이 없던 이모지 13.1 업데이트를 하긴 했다.
[24]
그래도 직접적으로 제안서를 제출한 일이 있긴 하나 딱 한 번 뿐이다.
[25]
#
[26]
그래서 지원을 중단한 경우도 좀 있다. 예를 들어
Apple,
삼성전자가 많이 포함하고 있는 편. LG도 이러한 이모지가 많았으나, LG 또한
LG 벨벳에서 지원을
중단했다.
[27]
그나마 인지도가 있는 정도까지만 해도 상술한 joypixels나
openmoji 정도.
[28]
그리고 관련 기사에는 없지만 왜곡된 기억이라는 근거가 하나 더 있다. 해당 이모지의 기반이 된 애플의 이모지들은 전반적으로
기본적인 표정이 비슷하고 (강도 이모지가 있었다며 기억에 기반해 그린) 해당 '이미지'도 기존 얼굴 이모지 위에 덧그린 것이기 때문에, 익숙한 표정부터 보고 있는 게 당연하다고 믿은 것에 가깝다. 인간의 얼굴에서 눈코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기 때문이다.
[29]
불쾌감을 유발하는 글. 악플과는 달리 공격성향이 아닌 불쾌감을 기준으로 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