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만·타이완의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대만(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
[[대만|{{{#fff 대만 관련 문서 臺灣}}}]]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상징 | 국기 · 국가 · 국기가 | |
정치·행정 | 정치 전반 · 국민대회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 조직) · 사법원 · 헌법(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 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 명단 · 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성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
국가원수 |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
국가원수 · 총통 | |||
기타 정치인 | 돤치루이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왕징웨이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여우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라이칭더 · 천젠런 | ||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
외교 |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 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 · 재외공관 | ||
사법 · 치안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 ||
군사 전반 | 국방부( 역정서) · 대만군( 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 역사 전반( 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 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 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 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 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 철로관리국( 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 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카통 · 이지카드 민족 한족 · 본성인( 객가) · 대만 원주민( 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 영화( 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 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 [ 기타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화교 ||<(>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일본인 · 재한 화교 · 중국계 캐나다인 · 중국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
||||||||||||||||||||||||||||||||||||||||||||||||||||||||||||||||||||||||||||||||||||||||||||||||||||||||||||||||||||||||||||||||||||||||||||||||||||||||||||||||||||||||||||||||||||||||||||||||||||||||||||||||||||||||||||||||||||||||||||||||||||||||||||||||||||||||||||||||||||||||||||||||||||||||||||||||||||||||||||||||||||||||||||||||||||||||||||||||||||||||||||||||||||||||||||||||||||||||||||||||||||||||||||||||||||||||||||||||||||
|
{{{#fff 대만[1] 중화민국 中華民國 | Republic of China (Taiwan) }}} |
|
|
||||
국기 | 국장 | ||||
상징 | |||||
국가 | <colbgcolor=#fff,#1f2023> 중화민국 국가 | ||||
국화 | 매화 | ||||
역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tablewidth=|100%><bgcolor=#fff,#1f2023> |
•
신해혁명
1911년
10월 10일 • 건국 선언 1912년 1월 1일 • 타이완 섬 편입 1945년 10월 25일 • 중화민국 헌법 제정 1946년 12월 25일 • 정부 수립 1948년 5월 20일 • 대만 계엄령 발령 1949년 5월 20일 • 국부천대 1949년 12월 7일 • 총통직선제 개헌 1994년 7월 28일 |
}}}}}}}}} | |||
지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수도 |
<colbgcolor=#fff,#1f2023>명목상:
난징(南京) 사실상: 타이베이시(臺北市)[2] |
|||
최대 도시 | 신베이시(新北市)[3] | ||||
면적 |
명목상 9,633,127 km² 실효 지배[4] 36,197 km² | 세계 136위 |
||||
내수면 비율 | 2.8% | }}}}}}}}} | |||
인문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인구 | 총 인구 | <colbgcolor=#fff,#1f2023>23,580,712명(2022년)[5] | 세계 57위 | ||
민족 구성 |
한족 94.5% 대만 신주민 3.1%[6] 대만 원주민 2.4% |
||||
인구밀도 | 657명/km² | ||||
출산율 | CIA 자료 1.08명(2022년)[7] 언론사 자료 0.90명(2022년)[8] | ||||
언어 | 공용어 | 중국어(사실상)[9] | |||
인정 언어 | 객가어, 대만 제어 | ||||
지역 언어 | 마조어( 민동어), 대만어( 민남어) | ||||
공용 문자 | 한자( 정체자), 로마자 | ||||
종교 |
국교 없음(
정교분리) 불교(34.0%), 도교(33.0%), 기독교(5.0%) 일관도(3.9%), 천제교(2.2%), 왕호덕(1.1%), 이슬람(1.0%), 재리교(0.8%), 헌원교회(0.7%), 기타(1%) 무종교(17.7%) |
||||
군대 | 대만군 |
하위 행정구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급·2급 | (2성) 6직할시 3성할시 13현 (실효 지배 영토 기준) | |||
3급 | 170개 구, 198개 현할시/진/향 (실효 지배 영토 기준) | }}}}}}}}} | |||
정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정치 체제 | <colbgcolor=#fff,#1f2023> 단일국가, 이원집정부제, 공화국, 단원제, 대륙법계 | |||
민주주의지수 |
8.99점, 완전한 민주주의 (2021년) (167개국 중 8위, 아시아 1위) |
||||
총통 (국가원수) (정부수반) [A] [11] |
차이잉원 | ||||
정부 요인 |
부총통 [12] |
라이칭더 | |||
행정원장 (정부수반) [A] [14] |
쑤전창 | ||||
부행정원장 [15] |
신준지 | ||||
입법원장 [16] |
유시쿤 | ||||
입법원 부원장 [17] |
차이치창 | ||||
여당 |
|
경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목 GDP |
전체 GDP | <colbgcolor=#fff,#1f2023> $8,412억(2022년 4월) / 세계 21위 | ||
1인당 GDP | $36,501(2022년 4월) / 세계 28위 | ||||
GDP (PPP) |
전체 GDP | $1조 4,434억(2021년 10월) | |||
1인당 GDP | $61,371(2021년 10월) | ||||
국부 | $4조 6,900억 / 세계 14위(2020년) | ||||
무역
|
수출 | $14,898,398 | |||
수입 | $18,072,988 | ||||
외환보유액 | $456,721,000,000 | ||||
신용 등급 |
무디스 Aa3 S&P AA- Fitch A+ |
||||
화폐 | 공식 화폐 | 신 타이완 달러(NT$, 新臺幣) | |||
ISO 4217 | TWD |
단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법정연호 | <colbgcolor=#fff,#1f2023> 중화민국(中華民國)[18] | ||
시간대 | (UTC +8) | |||
도량형 | SI 단위 |
외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유엔 가입 | <colbgcolor=#fff,#1f2023>1945년 가입, 1971년 탈퇴[19] | ||
수교국 | 14개국 ( 외교 문서 참고) | |||
대한 수교 현황 |
대한민국[미승인] 1949년 1월 4일 수교 1992년 8월 24일 단교 및 승인 취소 북한[미승인] 미수교 |
|||
무비자 입국 |
|
주한 대표부 및 사무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주한국대만대표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49 광화문 빌딩 6층 |
||
주한국대만대표부 부산판사처 |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70 동원산업빌딩 9층 |
ccTLD | ||
.tw, .台灣, .台湾 | ||
국가 코드 | ||
158, TW, TWN | ||
국제 전화 코드 | ||
+886 | ||
여행경보 | ||
여행유의 | 전 지역[코로나19] |
위치[24] |
|
[clearfix]
1. 개요
중화민국(中華民國)[25] 또는 대만(臺灣)[26]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타이완 섬과 푸젠성 진마 지구를 통치하는 공화국이다.[27]현존하는 아시아의 가장 오래된 공화국[28]으로, 1912년 건국을 선포한 이후 100년이 넘는 장수 공화국이 되었다. 대만의 헌법상 영토는 중국 대륙을 포함하나, 국공내전에서 중국공산당에게 패배하여 중국국민당이 대만으로 정부를 옮긴(이를 ' 국부천대'라고 한다.) 이후 실효 지배 영토는 대만 섬과 그 부속 도서를 포함한 36,197 ㎢에 국한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중화민국 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공산당이 반란으로 세운 불법 단체[29]로 간주하여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대만의 국체를 인정하지 않는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은 건국 이후부터 ' 하나의 중국' 원칙에 입각, 대만을 자국의 일개 지방으로 간주하여 이를 부정하는 나라와는 국교를 맺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하였고, 20세기 후반 냉전이 해소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적 입지가 상향됨에 따라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가 중화민국(대만)과 단교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으로 인정한 상태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대만은 중국의 세력 확장을 견제하려는 제1세계 국가들에 있어 지정학적으로 특별한 외교상의 대우를 받으며, 대만 관계법[30] 및 대만 동맹 보호법[31]과 같은 미국과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는 한편, 중국에 의해 일부 권리 행사를 방해받고 있음에도[32] 여타 미승인국가들과는 달리 사실상의 주권국가로 인정되고 있다.
2. 국가 상징
2.1. 국호
대만 헌법의 조문에 따라 자국의 국호를 중화민국(中華民國)이라 칭하고 있으며, 대만 정부에서 사용한 그간의 공식 약칭은 중국(中國)이다. 그러나 대만에서 자국의 국체를 '중국'으로 일컫는 용례는 국공내전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본토를 빼앗기고 대만이 UN에서의 대표권을 상실하게 된 이래, 대만에서 조금씩 '대만'적 정체성이 강조됨에 따라 점점 줄어들게 되어 양안통일주의자에 의해 그것이 사용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이제는 찾아보기 어렵다. 굳이 중국적 정체성을 강조하고 싶은 경우에는 그냥 '중화민국'으로 쓰며, 자국을 '중국'으로 일컫는 것은 이제 대만에서 그 사용례를 찾아보기 어렵고, 근래에 들어 대만에서도 '중국'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나마 남아있는 '중국'의 용례도 중국국민당이나 중국 청년당같은 정당명으로나 간간히 보이는 수준이다. 다만 국제적으로 대만의 '중국(China)' 국호를 인정받는 조약이 딱 하나 있는데, 바로 도로교통에 관한 제네바 협약.[33] 이 조약에서는 되려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이라는 국호를 사용하지 못하는 연유로 조약에 서명을 하지 않고 있어, 대륙 중국에서는 국제운전면허증을 발급받을 수 없다.또한, 영문 약칭으로는 ROC과 TW[34]를 둘 다 거의 비슷한 비중으로 사용한다. 현재, 대만은 수교국과의 관계에서는 자국을 중화민국이라고 일컫고, 미수교국과의 관계에서는 통칭인 대만(Taiwan)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우선 중국 공산당 정부에서 대만이 중국이라는 표현을 못 쓰도록 다각적으로 압박을 하기 때문에 절충형태로 '대만(Taiwan)'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대만의 중국적 정체성을 강조할 때, 같은 China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뉘앙스가 약간 다른 단어인 중화(中華)[35] 약칭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민국(民國)[36]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 민주진보당내 일부 세력과 일각의 대만 독립주의자들은 대만의 중화적 정체성을 달가워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의 중화민국을 '대만' 혹은 '대만 공화국'으로 재편해야 한다며 '중화민국' 국호 사용을 거부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대만 정부에서는 변함없이 '중화민국' 국호를 자국의 정식 국호로 유지하고 있다.
표준 중국어 표기법 | ||
정체자( 주음부호 가로 쓰기) | 中華民國(ㄓㄨㄥ ㄏㄨㄚˊ ㄇㄧㄣˊ ㄍㄨㄛˊ)(중화민궈)[#] | 臺灣/台灣(ㄊㄞˊ ㄨㄢ)(타이완) |
간체자( 한어병음) | 中华民国(Zhōnghuá Mínguó)(중화민궈) | 台湾(Táiwān)(타이완) |
웨이드식 | Chung¹-hua² Min²-kuo² | Tʻai²-wan¹ |
주음부호 제2식 | jūng huá mín guó | tái wān |
통용병음 | Jhong-huá Mín-guó | Tái-wan |
우정식 | Chunghwa Minkwo | Taiwan |
예일식 | jūng hwá mín gwó | tái wān |
팔라디 | чжун хуа минь го | тай вань |
중국 제어 | ||
대만어 | Tiong-hôa Bîn-kok (뚕화빈꼭) | Tâi-oân (따이완) |
민남어 | ||
민동어 | Dṳ̆ng-huà Mìng-guók (뒹와밍워) | Dài-uăng (다이왕) |
민북어 | de̤̿ng-uǎ měng-gŏ (덩와멍고) | dǒ-ṳíng (도윙) |
보선어 | doeng¹ hua² ming² gorh⁶ (동화밍궉) | dai² uang² (다이왕) |
객가어 | Chûng-fà Mìn-koet (중파민궷) | Thòi-vân (토이반) |
월어 | zung1 waa4 man4 gwok3 (중와만궉) | toi4 waan1 (토이완) |
진어 | zung1 hua1 ming1 gueh6 (중화밍궤) | tai1 van1(타이반) |
오어 | tson hho (T1) min koq (T3)(촌호민콕) | de ue (T3)(더웨) |
감어 | zung1 fa4 min4 guet6 (중파민궷) | tai2 uan1(타이완) |
상어 | zhong1 fa2 min2 gue6 (중파민궤) | dai2 uan1(다이완) |
대만, 중국 외 한자 문화권 | ||
한국어 | 중화민국(中華民國) |
대만(臺灣) / 타이완 포르모사[38] |
일본어 | [ruby(中華,ruby=ちゅうか)][ruby(民国,ruby=みんこく)] (추카민코쿠) |
[ruby(台湾,ruby=たいわん)] (타이완) フォルモサ (훠루모사) |
베트남어 | Trung Hoa Dân Quốc (쭝호아전꾸옥) | Đài Loan (다이로안) |
기타 | ||
스페인어 | República de China (레푸블리카 데 치나) |
Taiwán (타이완) Formosa (포르모사) |
포르투갈어 | República da China (헤푸블리카 다 시나) |
Taiwan (타이왕) Formosa (포르모자) |
영어 | Republic of China (리퍼블릭 오브 차이나) | Taiwan (타이완), Formosa (포모우서) |
힌디어 | चीनी गणराज्य (치니 가나라즈) | ताइवान (타이반) |
타밀어 | சீனக் குடியரசு (치낙 쿠티야라스) | தாய்வான் (타이반) |
러시아어 | Китай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키타이스카야 레스푸블리카) | Тайвань (타이반) |
태국어 | สาธารณรัฐจีน(사타르나라트 친) | ไต้หวัน (타이완) |
아랍어 | جمهورية الصين (줌후리야트 알신) | تايوان (타이완) |
에스페란토 | Respubliko Ĉinio (레스푸블리코 치니오) | Tajvano (타이바노) |
2.1.1. 중화민국
'중국(中國)'이라는 단어는 시경에서 맨 처음 등장했다. 이때 '중국'이라는 말은 주나라의 수도를 일컫는 말로 쓰였다. '중원(中原)', '중화(中華)'라고도 했다. 어느 쪽이든 '중심 지역', '가운데 지역'이라는 의미인데, 주변에 비해 발달된 문명을 가졌던 자신들을 동이, 서융, 남만, 북적 등 주변 ' 오랑캐'와 구분하기 위해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중국 대륙에서는 왕조 이름이 국명처럼 쓰였고 '중국'이라는 명칭은 나라 이름보다는 지역 이름에 가까웠고, '중원'의 동의어였던 것에서 의미가 넓어져 한족 정통 왕조의 지배 영역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였다.
'중국'을 국명으로 최초로 내세운 민족은 뜻 밖에 한족이 아닌 만주족들이었는데, 만주족인 청나라가 네르친스크 조약 당시 스스로를 만주어로 " ᡩᡠᠯᡳᠮᠪᠠᡳ ᡤᡠᡵᡠᠨ(dulimbai gurun, 가운데에 있는 나라)"으로 칭한 것이 처음이다. 아편전쟁 이후 체결된 난징 조약에서는 만주어가 아닌 한문으로도 스스로를 '중국(中國)'으로 일컬었다.
'중국'이라는 명칭이 국명으로 쓰이지는 않았지만 아편전쟁 이후 근대화의 물결이 중국을 덮치면서 중국인들도 민족주의에 눈뜨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중국인들은 왕조와 관계없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국명이 필요함을 느꼈다.
결국 신해혁명으로 만주족의 청나라를 무너뜨린 중국인들은 스스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국(中國)', '중화(中華)'와 'republic'의 한문 번역어인 '민국(民國)'[39]을 조합한 중국 대륙 사상 최초의 공화국인 ' 중화민국(中華民國)'을 세웠고, 약칭으로 '중국(中國)'이라 했다.
중화민국은 국공내전 패전 이후 영토가 타이완 섬과 일부 푸젠 성에 국한되면서 중국 공산당이 점령한 중국 대륙에는 새로이 '중화인민공화국'이 세워졌지만 타이완 섬과 일부 푸젠 성으로 영토가 줄어든 중화민국은 아직 '중화민국' 국호를 유지하고 있다.
2.1.2. 대만
일반적으로 이 나라의 국호는 주요 영토인 타이완 섬의 명칭을 따라 그대로 '타이완(臺灣/台灣)', 혹은 이를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대만'이 통용된다.대만의 한자 표기는 원칙적으로 '臺灣'이지만, 한자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臺를 빨리 쓸 때 발음이 같은(한국어에서는 비슷한) 台로 쓰는 경우가 많아 '台灣'도 관습적으로 통용된다. 중국의 간체자나 일본의 신자체는 아예 공식적으로 臺를 폐지하고 台에 병합했다. 홍콩, 마카오에서도 역시 台를 정자로 보고, 臺는 이체자로 취급하여 지양한다. 다만 지명 등지에서는 가끔 臺로 쓴다. 참고로 臺灣, 台灣, 台湾 모두 한국 한자음으로 읽을 때는 '대만'으로 읽어야 한다. 台의 원래 한국 한자음은 '태'(별 이름에 사용)와 '이'('기쁘다'라는 뜻이며 이때는 怡와 동자)만 있으나 臺를 대신하는 글자로 썼을 때는 당연히 臺의 음을 따라 '대'라고 읽어야 한다.
참고로 대만의 '만'자는 사실 만이 아니라 '완'으로 읽어야 맞다. 즉 엄밀히 따져서 '대만'이 아닌 '대완'인 것. 이는 무지에 의한 와음 때문인데, 蠻(만)에서 무리하게 유추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蠻이야 '만'으로 읽는 게 맞지만, 이 한자에서 '虫(훼)'가 빠진 '䜌'은 '란(←롼)'으로 읽어야 맞는다.[40] 그런데 이게 잘 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彎, 巒과 같이 䜌(란←롼)이 들어간 한자를 䜌(란←롼)이 아니라 蠻(만)을 따라 '만'으로 읽는 것으로 착각하였다. 이후 글자에 彎이 들어간 灣 역시 '만'으로 읽게 되었고, 나중에는 반절이 오관절烏關切(ㆆㅗ+ㄱᅟᅪᆫ)인 모든 한자들이 '만'이 되었다. 그래서 많은 옥편들이 灣의 원음은 '완'이라고 달아놓는다.[41]
중국어 병음으로는 Táiwān, 일본어 음독으로는 タイワン(Taiwan)이어서 본래 '대완'으로 읽는 것이 옳음을 알 수 있다.
타이완이라는 말은 유래가 불분명하다. 지금의 타이난 일대에 살던 대만 원주민 타이부안(Taivoan)족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는 주장도 있고, 지금의 가오슝 일대에서 원주민들에 의해 쓰였던 대만 제어 중 하나인 시라야어로 외지인이란 뜻의 '타요완'에서 따왔다는 말도 있다. 확실한 것은 臺灣은 원주민 언어의 음차다.
2.1.3. 국호 논쟁
원칙적으로 중화민국은 타이완 섬 이외 푸젠성 일부와 스프래틀리 군도 일부( 타이핑다오)[42]도 영토로 삼고 있고 중국 대륙 전체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는 타이완 섬은 중화민국의 일개 지방이고 ' 타이완성'도 일개 행정 구역인 성(省)에 불과하다.하나의 중국은 중화민국이나 중화인민공화국 모두 주장하는 논리였다. 국부천대 이후 자유 진영 안에서는 중화민국이 '중국'으로 인정되었던 적도 있고, 한국에서도 이를 반영해 타이완의 중화민국을 일컬어 중국, 혹은 '자유중국'이라고 부른 적이 있다. 당시엔 중국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이 아니라 '중공'이라 하여 ' 중국 공산당'의 약칭을 썼는데, 국가가 아니라 일개 당, 집단 취급한 셈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대부분이 국력이 강한 중화인민공화국을 선택하고 중화민국과는 수교를 끊은 상태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한국이나 해외에서 이 나라를 언급할 때는 통칭인 '타이완', '대만'을 쓰지 굳이 '중화민국'이나 '중국'이라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러한 현실 속에 대내적으로 '중화민국' 국호를 유지하는 것도 큰 정치적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이는 국가 정체성에 대한 문제로서, 중화민국이 아직 명분으로는 전 중국을 대표하는 정통 중국을 자처하여 대만은 공식적으로 중화민국의 한 지방에 불과하지만, 현실은 그곳이 본토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대만이 중국의 역사에 두드러지게 등장하게 된 것이 고작 400여 년밖에 되지 않고 근대사를 일본 식민지로 지낸 데다 1949년 분단 이래 '중화민국 본토'가 되어버린 때부터 대륙과는 정치적으로 별개 체제를 유지하고 상대방에 대한 불신과 반감도 여전히 진행 중이기에, 현재 대만인들 중 자신들을 굳이 중국인으로 의식하는 사람들은 적은 편이다. '중화민국'을 외래 정권으로 인식하고 1945년 중화민국에 편입된 것조차 민의에 반하는 일방적인 조치였다고 주장하는 대만인들도 존재하고, 이는 국가 정체성을 둘러싼 정쟁을 야기하고 있다.
대만에서 중화민국의 국가 정체성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자국을 중국의 정통 국가로서의 중화민국이 아닌, 명분으로도 대만을 위주로 하는 '대만국(臺灣國)' 혹은 '대만 공화국(臺灣共和國, Republic of Taiwan)'으로서의 국가를 갖기를 원한다. 대만이 실질적으로 독립국인데도 대만 독립운동이 주장되는 이유는 '중화 인민 공화국과의 동질성으로부터의 독립'뿐만 아니라 '(대륙 정부였던) 중화민국으로부터의 독립'이라는 의미도 내포된 것이다.
중립성을 지키는 위키백과 중에서도 대부분의 언어판은 중화민국을 영어 위키백과의 경우 Taiwan을 표제어로 하고 있다. 반면 중화인민공화국은 China라고 한다. 다만 대륙 시절의 중화민국을 언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Republic of China 등으로 두 표기를 번갈아 쓴다. 아직 한자 문화권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을 그대로 쓰지만, 예외적으로 베트남어판에서는 대륙을 Trung Quốc, 타이완을 Đài Loan으로 표제어를 정했다. 영어 위키 백과에도 원래는 "Republic of China"(중화민국)와 "People's Republic of China"(중화인민공화국)가 정식 항목명이었으나 현재처럼 바뀐 것이다. 2013년까지만 해도 영문 위키백과 항목명은 ROC와 PRC였다. 참고로 한국어 위키백과의 경우에는 여전히 '중화민국'을 표기하고 있다.[43] 다만 이는 정식 명칭을 중시하는 한국어 위키백과 특성이고, 1912년부터 1949년까지의 중화민국 대륙 통치 시기는 따로 문서가 있다. 독일어 위키백과에서는 대륙은 Volksrepublik China(중화인민공화국)를 표제어로 하고 있으며 중화민국은 시대에 따라 Republik China(1912-1949), Republik China(Taiwan)으로 구분해 두고 있다. 그냥 China는 문화적인 내용만 다룬다.
중화민국을 국가 승인하지 않는 중화인민공화국은 중화민국 정부에 대해 공식적으로 칭할 때 '대만 당국'(台湾当局)이라는 표현을 쓰며, 그 외에도 여러 칭호가 있지만 '중화민국', '대만' 등 한 나라로 인정하는 듯한 칭호나 대만 독립과 관련될 수 있는 용어는 절대로 쓰지 않는다. 또한 공식적으로 대만 그 자체를 이를 때에는 중국 타이완성(中国台湾省), 중국 타이완(中国台湾) 등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부임을 강조하는 용어를 사용한다. 물론 중화인민공화국의 민간에서는 이런저런 수식어를 다 떼고 '대만'으로 칭하는 사례가 많지만, 이는 단순히 편의를 위한 것으로 대부분의 경우 대만을 국가로 칭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그런 식의 언급은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UN에서는 1971년 중화인민공화국의 UN 가입 이후 이 나라 혹은 지역을 ' 중국의 성 타이완'[44]로 칭하고 있다.한편 ISO 3166-1: 158, TW, TWN. ISO 3166 규격에서도 UN의 예를 따라 '중국의 성 타이완'(Taiwan, Province of China)'이라는 이름을 쓴다.[45]
'중국 = 중화민국'으로 해석할 경우 타이완 성 소속이 아닌 푸젠성 소속인 진먼(진먼 현)과 마쭈( 롄장 현), 그리고 직할시들은 원칙적으로 TW를 쓰면 안 되겠지만 실질적으로는 여기도 158, TW, TWN로 쓰고 있다. '중국 = 중화인민공화국'으로 해석할 경우에도 문제가 있다. 푸젠성 소속인 진먼·마쭈와 현재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 중인 남중국해의 여러 영토들이 중화 인민 공화국의 행정 구역상 광둥성이나 하이난성 소속으로 돼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화민국이 실질 지배 중인 영토들은 전부 158, TW, TWN으로 쓰고 있는 상황이다.
대만이 인터넷에서 쓰는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ccTLD)은 '.tw', '.台灣', '.台湾'다. 대만에서는 간화자가 정식 문자가 아니지만 그래도 .台湾을 할당받아 놓았다. 정작 정체자인 .臺灣은 없다 물론 중화민국이 정통 중국임을 주장하고 있지만 '.中國'과 '.中国'은 중국의 도메인으로 돼 있다. 중화민국이 대신 '.中華'와 '.中华'를 선점하려고 할 수도 있겠지만 그러면 중화인민공화국이 ICANN에 압력을 넣어서 등록을 무산시킬 것이다. 中華民國나 .中华民国는 더더욱 등록이 안 될 것이다. 한편 중화인민공화국에 코드를 빼앗기기 전에는 CN/CHN을 썼다.
현재 스포츠에서는 중화 타이베이(Chinese Taipei)의 약칭으로서 올림픽 마크를 반드시 부착해야 하는 TPE를 게양하는 경우가 많다. IOC, FIFA, APEC, IMF, WHO, 세계은행 등 몇몇 국제기구에도 이 이름으로 가입해 있으며, WTO의 경우 '타이완, 펑후, 진먼, 마쭈 개별관세구역'(Separate Customs Territory of Taiwan, Penghu, Kinmen, and Matsu)이라는 장황한 이름으로 들어가 있다. 이런 국제 기구들은 주권 국가가 아니더라도 가입할 수 있으므로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라도 가입해 있는 것인데,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이런 칭호들도 마음에 안 들어하여 AIIB 등 자국의 영향력이 강한 국제 기구에서는 중화 타이베이를 '중국 타이베이'[46]같이 중화인민공화국 영토임을 확실히 명기한 이름으로 고치려 하기도 하지만 국제 기구에서 그러한 시도가 성공한 적은 한 번도 없다.
중화인민공화국이 관심 없는 몇몇 국제 기구나 유명하지 않은 국제 기구에는 그냥 '중화민국'이나 '대만' 이름으로 들어가있기도 하다. 국제 정당 연합인 국제민주연합은 중국 국민당을 '중화민국'의 정당으로서 가입을 받았고, 자유주의 인터내셔널은 민주진보당을 '대만'의 정당으로서 가입을 받았다. 이들 정당 연합은 성향상 중국 공산당 및 그 구색정당들이 활동할 여지가 전혀 없는 조직이므로, 만약 어떤 이유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의 정당이 가입한다면 달라질 수도 있다.
중화권에서 벗어나 포르모사(Formosa/福爾摩沙)라는 국호를 사용하자는 것을 주장하는 반중, 혐중, 대만 민족주의 성향을 지닌 대만인들도 있다. 이 말의 유래는 이 섬을 처음 발견한 포르투갈인들이 포어로 '아름다운 섬(Ilha Formosa/일랴 포르모자)'이라는 이름을 붙인 데에서 유래하며 이걸 번역해 아름다운 섬이라는 뜻의 메이리다오(美麗島, 미려도)라는 이름도 간혹 쓴다.[47] 한동안 영어권에서도 타이완(Taiwan)보다 포모사(Formosa)를 더 많이 썼다.[48]
중화민국을 대륙 시대와 구분하거나 중화인민공화국과 혼동을 방지하기 위한 표기로 中華民國(臺灣)이라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영어로는 Republic of China (Taiwan)이 된다. 대만 정부기관에서도 공식적으로 사용할 때가 있다.[49] 2008년 마잉주 정부에서는 중화민국(대만) 표기를 폐지하였지만 영어로는 중화인민공화국과 헷갈리기 쉬운 탓에 어쩔 수 없이 Taiwan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그 후 2016년 민주진보당의 차이잉원 정부가 들어서면서 괄호를 없앤 중화민국 대만(中華民國臺灣)을 사용하고 있지만 공식 국명으로 채택된 것은 아니다.
2.2. 국기
청천백일만지홍기 | |
|
|
중국어 | 青天白日滿地紅旗 |
2.3. 국장
중화민국국휘 | |
|
|
중국어 | 中華民國國徽 |
중화민국의 국장은 국휘(國徽)라 부르며 청천백일만지홍기에도 있는 청천백일(靑天白日)을 사용한다.
대만의 양대 정당 중 하나인 중국 국민당을 상징하는 청천백일기 및 휘장과는 도안이 약간 다르다. 중국 국민당 당휘는 흰 태양의 햇살 문양의 크기에 정확히 맞춰 원형으로 잘라낸 형태라면, 중화민국의 국장은 햇살에서 바깥 쪽으로 여유를 두어 원형으로 잘라낸 형태며 연원은 당휘와 같다.
매화문 | |
|
|
중국어 | 梅花意象 |
이외에 대만군과 정부 상징으로서 국장 다음으로 자주 쓰이는 매화 문장이 있다. 매화의 다섯 갈래 꽃잎은 오권분립을 상징하며, 총통부 및 행정각부(원)의 상징에 들어간다. 이외에 매화문이 응용된 문양이 육해공군의 부대마크, 지방행정기구의 기와 휘장, 관무서(關務署; 관세청) 휘장, 국도(國道) 표지, 중화 타이베이 기와 휘장 등에 포함되어 있다.
2.4. 국가
2.5. 연호
민국기년은 1912년을 원년으로 삼는 영구 연호이다.
3.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 -0.4px" |
|||||||||
<colbgcolor=#fff,#1f2023> 선진시대 |
황하 문명 하(夏) |
||||||||
상(商) | |||||||||
주(周) | 서주(西周) | ||||||||
동주(東周) | 춘추전국시대 | 춘추시대 | |||||||
전국시대 | |||||||||
진한시대 |
진(秦) 장초(張楚) |
||||||||
후초(後楚) 서초(西楚) | 십팔제후왕 |
|||||||||
한(漢) | 전한(前漢) | ||||||||
신(新) | |||||||||
현한(玄漢) 후한(後漢) |
|||||||||
위진남북조시대 |
삼국시대 위(魏) | 촉(蜀) | 오(吳) |
||||||||
진(晉) | 서진(西晉) | ||||||||
동진(東晉) 환초(桓楚) |
오호십육국시대 | ||||||||
남북조시대 | 육조시대 | 송(宋) | 북위(北魏) | ||||||
제(齊) | |||||||||
양(梁) 후한(後漢) 후량(後梁) |
서위(西魏) | 동위(東魏) | |||||||
진(陳) | 북주(北周) | 북제(北齊) | |||||||
수당시대 | 수(隋) | ||||||||
당(唐) 무주(武周) | 호연(胡燕) |
|||||||||
오대십국시대 | 오대 | 후량(後梁) | 십국 | 탕구트 | 요(遼) | ||||
후당(後唐) | |||||||||
후진(後晉) | |||||||||
후한(後漢) | |||||||||
후주(後周) | |||||||||
송원시대 | 송(宋) | 북송(北宋) | 서하(西夏) | ||||||
남송(南宋) | 서요(西遼) | 금(金) | |||||||
원(元) | |||||||||
명청시대 |
북원(北元) 명(明) 순(順) | 서(西) | 남명(南明) | 후금(後金) |
||||||||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
|||||||||
근대 |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 |
청나라 소조정 임시정부(臨時政府) |
|||||||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
|||||||||
국민정부(國民政府) 우한정부(武漢政府) 일치시기 |
소비에트 지구 중화소비에트공화국 |
만주국 (滿州國) |
|||||||
현대 | 중화민국(中華民國) |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
}}}}}}}}}}}} |
타이완의 역사 臺灣史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선사시대 | 타이완 섬 원주민 | |||||
전근대 | 다두 왕국 | <colbgcolor=#b22222> 네덜란드 | 누에바에스파냐 | ||||
네덜란드 | |||||||
정씨 왕국 | |||||||
청나라 | |||||||
근대 | 타이완 민주국 | ||||||
일본령 대만 | |||||||
현대 | <colbgcolor=#000080> 중화민국 국민정부 | ||||||
중화민국 | }}}}}}}}} |
|
타이베이의 중정기념당. |
한편 타이완 섬은 근세 이후에야 역사에 본격적으로 나타난 지방이었다. 본래는 폴리네시아인의 원류가 되는 원주민이 살고 있었으며, 16세기 대항해시대를 계기로 스페인, 네덜란드, 포르투갈, 영국 등 해양제국의 영향을 받았다. 대만인의 주류인 한족은 청나라 통치 당시인 약 400여 년 전부터 타이완 섬에 진출했으며, 청일전쟁 이후 50년간 일본의 식민지 지배를 받았으며 그 이후 중화민국 영토가 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4. 인문환경
4.1. 인구
2022년 11월 현재 인구는 23,233,593명이다. CIA의 World Factbook을 바탕으로 한 2016년의 출산율은 1.12명으로, 도시 국가를 제외한 전세계 최저 출산율이었다.인구밀도 순위가 도시 국가를 제외하고 세계 2위일 만큼 매우 높다. 1위는 방글라데시인데 방글라데시는 국토 대부분이 평야 지대인 반면, 대만은 한국 이상으로[50] 국토 대부분이 험준한 산지이기 때문에 가용 면적 대비 인구밀도가 전세계 최고다.
인구의 2%는 한족이 타이완에 진출하기 전부터 살고 있었던 다양한 대만 원주민들이며, 나머지 98%는 한족이다. 이들 중 중국 푸젠 성에서 이주한 사람 70%와 객가(客家)인 14%를 묶어 본성인(本省人)이라고 하며, 나머지 14%는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1945년 이후 중국 대륙에서 대만으로 이주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외성인(外省人)이라고 한다.
이렇게 복잡한 사정 때문에 ' 대만 원주민 = 대만인', ' 외성인 = 한족', ' 본성인 = 대만인 = 대만 원주민'으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외성인과 본성인은 한족이며, 대만 원주민은 한족이 아니다.[51] ' 대만 원주민(臺灣原住民, Taiwanese Aborigines)'은 한족인 본성인과 구별되며, 이들은 본래 대만 섬에서 기원한 민족으로 한족이 아니다.
타이베이와 신베이 등 북부 지역은 외성인 비율이 높고, 가오슝과 타이난 등 남부 지역은 본성인 비율이 높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비율의 차이일 뿐, 대만 어느 동네에 가나 인구 과반 이상은 본성인이다. 하카인은 신주시, 먀오리 등 중북부 지방에서 주류를 이루며 대만 원주민은 동부 지역에서 높은 인구밀도를 보인다.
중화인민공화국에 사는 소수민족은 대부분 대만에도 살고 있다. 그러나 대만 원주민 외의 소수민족은 사실상 한족으로 잡힌다. 그리고 명나라나 청나라 시절에 대만으로 온 사람의 후손이면 본성인,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만으로 건너온 사람의 후손이면 외성인으로 간주한다.
대부분의 인구가 평야 지대인 대만 서부에 몰려 있어 상당히 편중된 인구분포와 높은 인구밀도를 보인다.
동부는 해발 3,000m급 산이 수두룩하여 평야가 좁아 교통이 불편하기에 거주 인구가 150만 명이 채 안 된다.[52][53] 그래서 도서부를 제외한 2,000만 명 이상의 사람이 모두 대만 서부에 몰려 있다.
대만에도 외국인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미국인, 일본인, 몽골인, 그 외에도 베트남인, 인도네시아인, 태국인들도 대만에 거주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처럼 전 세계에서 드물게 일반적인 외국인을 상대로 한 귀화 제도가 없는 나라이다. 영주권만 발급한다. 물론 대만인과 결혼해서 대만에 거주하는 경우는 예외다.
대만도 한국, 일본, 홍콩과 함께 심각한 저출산 국가이다. 2010년에 0.895명이 된 적 있다. 2020년은 0.99명이었다가 그 이듬해(2021년)에는 0.92명을 기록했다. 1990년대까지는 출산율이 1.6~1.7명대를 유지했으나, 2000년대부터 세계 최저 수준으로 추락했다. 1950년대에 7명대로 세계 최고 수준이었던 걸 생각하면 상전벽해. 2020년에는 전후 사상 처음으로 인구가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과학단지가 있는 신주시가 출산율이 높고, 자이현이 노인 인구가 많다. #
4.2. 언어
|
|
2010년 기준 '평상시 집안에서 쓰는 언어'를 표시한 지도. 색이 진할수록 해당 언어를 특정 지역에서 쓰는 비율이 다른 언어에 비해 많다는 의미이다. | |
표준중국어 | |
민남어( 대만어) | |
객가어 | |
대만 제어 |
표준중국어가 공용어 역할을 하고 있으며 중화민국 국어(中華民國國語)라고 불린다. 기본 문자는 전통 한자인 정체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 교육과정에서 가르치는 한자와 대체로 같으나 형태가 다른 표준자형이 일부 존재한다. 중국 대륙과 문자는 다르지만 입말은 보통화와 거의 동일한데, 실은 보통화가 중화민국 국어를 일부 수정한 규범이기 때문이다. 남북한과 다르게 양안 사이에선 드라마, 영화, 음악 등 대중 문화가 상당히 공유되고 있다. 중화민국이 대만으로 옮겨간 이후 대륙에서 쓰는 말과 차이가 어느 정도 생겼는데, 자세한 내용은 표준중국어/대만 항목을 참고하자. 발음 기호의 경우 중국 대륙에서는 한어병음을 사용하지만 대만에선 국어를 학교에서 배울 때 주음부호(이른바 '보포모포')를 사용한다.[54]
표준중국어를 국어라고 부르지만 정작 대만에서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국부천대 이후에서야 국민당이 펼친 강력한 국어 보급 정책으로 인해 표준중국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대만의 기존 한족 주민들은 비관화권 지역인 푸젠성 출신이었고, 대륙에서 건너온 상당수의 외성인들도 관화가 아닌 다른 중국어 방언을 구사했었다. 오늘날 대만인 절대다수가 표준중국어를 구사할 줄 알고, 화자 비율로 치면 중국 대륙의 보통화 화자 비율보다 높다.
이념 대립이 심했던 냉전기 시절에는 한국에서 대만식 중국어를 가르쳤지만[55] 현재는 수요로 인해 99.99% 중국 대륙식 표준중국어를 교육하고 있다. 일단 한국 시장에선 대만식 중국어 교재나 사전을 구하기가 힘들다.[56] 굳이 노력하자면, 대륙식 중국어를 배운 후 대만 드라마나 책을 보며 특징들을 알아서 공부하거나 대만에서 출판하는 한국어판 교재를 구입해서 배우는 것이다. 한국인이 듣기에 대만식 중국어가 발음이 깔끔하고 얼화 현상도 없어서 대륙식 중국어보다 알아듣기 쉽다는 평이 있는 반면, 권설음(zh, ch, sh)의 발음이 부정확해서 어색하다는 평이 공존한다. 당장 중화권 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데, 대만식 억양이 대륙보다 억세지 않고 예쁘게 들린다는 이들도 많고 오히려 남방 중국어와 비슷하게 발음이 불확실해서 무슨 말인지 못 알아먹겠다는 의견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중국어의 특성상 지역 차이가 원래 크고, 특히 대만은 민남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독특한 사투리가 생긴 것이다. 해당 사투리를 대만의 표준어와 구분하기 위해 대만 국어라고 부른다. 발음이 깔끔한 표준 국어를 들어보고 싶다면 뢰천(雷倩) 전 입법원 의원의 억양을 참고. 전형적인 대만 국어는 여기 참고.
민남어(閩南語, Bân-lâm-gí/-gú)는 중국 민어의 한 갈래지만 표준중국어 및 다른 중국 방언과는 의사소통이 불가능하다. 대만 사람 대다수의 모어이므로 대만어(台語, Tâi-gí/-gú)라고 흔히 불린다. 다른 민남어 방언들과는 유사해서 중국 대륙의 민남어 화자들과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다만 일본 통치의 영향으로 상당히 많은 일본어 어휘를 흡수한 것이 특징이다. 대만 지명에도 일본어의 흔적이 많은데, 대표적으로 끼라이(奇萊) → 가렌(花蓮: 화롄), 따까우(打狗) → 다카오(高雄: 가오슝)이 있다. 대만어는 대체로 구어로만 사용하는데, 백화문 전통이 약하고 글말은 표준중국어로만 쓰기 때문이다. 대만어를 표기해야 할 때는 한자 대신 로마자 표기법인 백화자(白話字, Pe̍h-ōe-jī)를 사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대만어 참고.
과거 국민당 독재 시절에는 학교에서 대만어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등 탄압을 받았지만[57] 민주화 이래 언어 사용이 다시 자유로워졌고 현재는 학교에서 현지 언어 교과목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대만어 이외의 민 방언으로는 진먼 현에서 쓰이는 샤먼어(廈門語)와 롄장 현에서 쓰이는 민둥어(閩東語) 계열의 마쭈어(馬祖話)가 있다. 샤먼어는 일제 지배의 영향을 받지 않았기에 일본어 영향이 매우 적다.
객가어도 중국어 방언 중 하나이다. 대만어와 마찬가지로 표준중국어와 의사소통이 안 되는 건 물론 대만어와도 불가능하다. 대략 인구의 10%가 객가어를 모어로 가지고 있다. 대만어라고 부르지 않는 것에서 짐작할 수 있듯 한족 본성인임에도 불구하고 대만어 화자들에게 밀려 살아야 했다. 지금도 객가인 절반 가량이 표준중국어와 더불어 대만어도 할 줄 안다고 한다.
대만 원주민들도 민족마다 고유 언어를 가지고 있는데, 이 언어들을 대만 제어라고 총칭한다. 대만 제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한다. 다만 한족 사회가 주류이기에 절대다수가 표준중국어를 구사한다.
대체로 표준중국어는 북부/동부, 대만어는 서부/남부에서 우세하단 인식이 있는데, 실은 둘다 전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타이베이시를 포함한 수도권에도 대만어 화자들이 매우 많은 반면, 남부의 가오슝시와 중부의 타이중시에서도 표준중국어가 흔히 들린다. 결론은 지역보단 생활 영역에 따라 언어 사용이 나누어진다고 볼 수 있다. 공적 활동이나 직장에선 표준중국어를 쓰고 일상 생활에선 편한대로 각자 방언이나 표준중국어를 사용하는 양상이다. 모어로 치면 대만어 화자 수가 압도적으로 높지만, 젊은 세대일수록 오히려 표준중국어에 더 능숙하다.
대만어에 남게 된 일본어 어휘가 대만의 표준중국어로도 어느 정도 유입했다.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과 같다.
- 아저씨, 아줌마를 '오지상'(歐吉桑), '오바상'(歐吧桑)이라고 부른다. 대만 드라마에서 종종 들을 수 있다.
- 운전사를 '운짱'(運將)이라고 부른다. 예전 한국에서도 쓰였던 단어다.
- 도시락을 일본어 '벤토'(弁当, 정체자로 辨當)의 발음만 고친 '볜당'(便當)이라고 부른다.
- 으뜸, 제일이라는 뜻으로 '이치방'(一番)의 발음을 빌려 '이지방'(一級棒)이란 단어를 만들어 쓴다.
- 욕설로는 머리에 콘크리트만 들어찼다는 뜻으로 '아타마 콩구리'가 널리 쓰이고, 젊은 사람들도 알아들을 정도다.
이렇게 다양한 언어를 쓰는 나라라서 타이완 철로관리국 열차에서는 ' 표준 중국어 - 대만어 - 객가어' 순으로 방송을 하고, 시간상 아예 영어 안내방송조차 하지 않는다. 심지어 새마을호급에 해당하는 쯔창하오나 타로코호까지도 영어가 안 나오니, 관광지가 아닌 곳[58]으로 열차를 타고 갈 경우 방송을 주의해서 들어야 한다.
대만도 다른 나라들처럼 가장 중요한 외국어는 영어이다. 일본이나 중화인민공화국 등이 비교적 영국식 영어와 미국식 영어의 영향을 고루 받은 반면 대만은 한국처럼 미국을 통해 영어를 수용한 역사 때문에 미국식 영어가 대세이며, 한때 미어(美語, 미국어/미국말)이라고 칭하기도 했다.
일본어 역시 역사적인 이유로 주요 외국어이다. 대만일치시기 시절 교육을 통해 적잖은 대만의 지식인들이 일본어를 쓸 줄 알았고, 일본과의 교류도 많다보니 일본어 표기도 볼 수 있다. 또 이란 현의 일부 마을에 한해 이란크레올이라는 일본어 크레올이 쓰인다.
한국어 역시 문화적 영향력 덕에 배우려는 사람이 꽤 있다. 2010년대에 들어 한류가 인기를 끌면서 '오빠', '언니'도 음차된 형태로 쓰이고 있다.
대만에선 언어도 정치적 도구가 되는 경우가 있다. 차이잉원 정부는 법이 명시한 공용어가 없는 걸 틈타 모든 현지 언어에 국가 언어(國家語言) 지위를 부여했다. 우선 2017년 5월 원주민족언어발전법(原住民族語言發展法)을 제정하어 원주민 언어 교육을 증진하고 원주민 비중이 높은 지자체에 한해 국어와 함께 원주민 언어들을 공용어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2018년에는 객가기본법(客家基本法)을 제정해 객가어에 원주민 언어와 동등한 방안을 마련했다. # 몇 개월 후 국가언어발전법(國家語言發展法)으로 대만어를 포함한 모든 언어를 간접적으로 '국어'의 위치로 격상시켰다. 대만어가 국어의 위치를 갖게 되는 것에 가장 부정적인 소수 언어권 화자들의 호감을 형성한 이후 통과시킨 편법이라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국어'가 가리키는 대상이 모호해졌고, 중화민국 국어, 즉 중국어뿐만 아니라 대만어도 국어라는 정치적 태도를 함축하고 있다. 이런 성향의 사람들은 중화민국 국어를 화어(華語)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물론 이런 법률들은 상징적인 측면이 강하고, 실질적으로 중화민국 국어가 가장 주요한 공용어인 현실은 변하지 않고 있다.
탈중국화라는 정치적인 목적은 외국어 정책에서도 보이는데, 민주진보당 정권을 중심으로 베트남어, 마인어, 태국어 학습을 강화하려는 조짐이 있고, # 2019년부터 베트남어 등 7개 동남아 언어들을 아예 정규 교과 과정에 편입할 예정이다. # 더 나아가 아세안 학생 6만 명을 유치하기 위해 장학금과 여러가지 혜택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
2019년 라이칭더 대만 행정원장의 주도로 영어를 제2 공용어로 만들 법안이 통과했다는 내용이 한국 뉴스에도 보도됐는데, 시행은 안 되었다. # 다만 2030년을 목표로 대만을 표준중국어-영어 이중언어 사회로 만들겠다는 정책은 유지하고 있다.[59] 과연 결과는 어떨지 주시해 볼 만하다.
대만에서 중국의 권위주의에 대항해 대만어를 사용할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
대만 정부가 고산족들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고산족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고산족들의 언어 수업을 실시하기로 했지만, 표준중국어를 외래어(!)로 표기해 논란이 일어났다. #
4.3. 교통
5. 지리
5.1. 자연재해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있어 지진이 자주 일어난다. 태풍도 자주 내습하는 편이다.6.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직할시 | ||||||
타이베이시 |
가오슝시 |
신베이시 |
|||||
타이중시 |
타이난시 |
타오위안시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타이완성 및 하위행정구역 | |||
타이완성 |
|||||||
신주시 |
자이시 |
지룽시 |
난터우현 |
||||
먀오리현 |
신주현 |
윈린현 |
이란현 |
||||
자이현 |
장화현 |
타이둥현 |
펑후현 |
||||
핑둥현 |
화롄현 |
||||||
푸젠성 및 하위행정구역 | |||||||
푸젠성 |
|||||||
롄장현 |
진먼현 |
||||||
현재 대만이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행정구역만 기재 기타 명목상 영토에 대해서는 대만/영유권 주장 지역 문서 참조 |
}}}}}}}}} |
대륙뿐만 아니라 대만도 행정구역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다. 행정구역 단위는 대체로 대륙과 같은 이름이지만, 구성은 매우 다르다.
6.1. 지역 구분
위의 6직할시 3성할시 13현이 너무 많은 관계로, 대만에서는 몇몇 시 / 현을 묶어서 지역 구분을 하는 경우가 있다. 단순하게는 대만을 가로지는 중앙 산맥을 경계로 서부와 동부로 나누기도 하고, 다시 서부를 3분해서 북대만·중대만·남대만·동대만으로 나누는 경우도 있다. 실제 청나라 때에는 대만성을 대북부(臺北府)· 대만부(臺灣府)· 대남부(臺南府)· 대동직례주(臺東直隸州)로 구분하고 그 밑에 현을 두었다.이와 별개로 좀 더 작게(?) 지역을 구분하는 방법도 있으며, 여론조사 등 여러 군데에서 이 지역 구분을 쓰고 있다. 이 구분은 일제 시대 후기(1920년 - 1945년)의 행정 구역과 유사한 방식으로, 1990년대에 타이완 성을 실제 이 구분에 따라 6개 성으로 나누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실현되지는 않았다.
지역 | 한자 | 해당 지역 |
베이베이지 | 北北基 | 타이베이시, 신베이시, 지룽시 |
타오주먀오 | 桃竹苗 | 타오위안시, 신주시, 신주현, 먀오리현 |
중장터우 | 中彰投 | 타이중시, 장화현, 난터우현 |
윈자난 | 雲嘉南 | 윈린현, 자이시, 자이현, 타이난시 |
가오핑펑 | 高屏澎 | 가오슝시, 핑둥현, 펑후현 |
이화둥 | 宜花東 | 이란현, 화롄현, 타이둥현 |
진마 | 金馬 | 진먼현, 롄장현 |
다만 실제 이 구분이 공식적으로 딱 정해진 것은 아니라서, 몇몇 현은 때때로 다르게 구분되기도 한다. 가령 위의 구분과 다르게 이란 현을 타이베이 쪽에 붙여서 화둥(花東), 베이지이(北基宜)처럼 쓰기도 하며, 아니면 펑후 제도를 진마 지구와 붙여서 펑진마(澎金馬), 가오핑(高屏)과 같이 쓰기도 한다.
7. 정치
7.1. 사법
대륙법계 국가 중에서는 엄벌주의적인 경향이 강해 사형을 굉장히 자주 선고하고 집행한다.[60], 2015년에도 무려 6명이 처형됐는데 이 가운데 4명이 단 1명만을 살해한 살인자였고, 보통 사형 존치국에서 국민 법 감정상 사형을 꼭 시킬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범죄자들도 여럿 포함되었다.비교하자면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우 유기 징역수는 20년 징역, 무기수도 보통 비슷한 선에서 풀어준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어지간한 중범죄자는 다 처형하고 나머지를 선처하는 구조라서 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보통 사형 집행 유예 이후 무기 징역을 받은 무기수도 25년 의무 복역하면 어지간해서는 풀어주는 식으로 가급적 선처하는[61] 중화인민공화국과 달리 대만은 징역의 상한선도 없어서 바이샤오옌 사건 당시에는 사형 + 59년 징역이 부과된 적도 있다. 대륙법계 국가 중 가장 유기 징역의 양형이 세다는 한국이 가중할 경우에는 50년이다.
이렇게 대만에서 엄벌주의가 형성된 것은 중국 공산당에서 파견하는 간첩이나 중화인민공화국에 호응하는 반동 분자를 엄벌하기 위한 목적도 있고 무엇보다 대만의 폭력조직인 삼합회들이 일으키는 폭력 사건들이 하나같이 흉악한 게 큰 원인이다. 특히 대만의 치안은 도시국가, 속령을 포함해 세계 7위로 좋은 편인데도 조폭들이 장난이 아니라서 삼합회 관련 폭력 사건이 한번 터지면 사람이 꼭 한둘은 죽는다. 특히 조폭들이 자동소총은 물론 기관총과 수류탄으로 무장하고 경찰과 총격전을 벌인적이 있다. # 문제는 그렇다고 이들을 뿌리 뽑아버릴 수도 없는게 대만의 조폭 삼합회는 한국의 조직폭력배와 일본의 야쿠자들보다도 훨씬 더 지역 사회에 뿌리 깊게 스며들어 있고 대만은 정치권부터가 이들과의 정경 유착이 심하다는 것이다. # 특히 조폭 두목들이 선거에 관여해 표몰이를 좌지우지할 정도인데 이런 자들은 지역마다 토호처럼 몇 대에 걸쳐 조직을 운영하고 있을 정도다.[62] 대만에서 직함은 촌장인데 이상하게 떡대들을 좀 데리고 다닌다 싶으면 100% 토호 조폭. 그리고 토호 조폭의 우두머리는 특이하게 부하들로부터 두목님이나 형님 같은 계급구조적 경칭으로 불리우기 보다는 "XX 아저씨"나 "삼촌" 같은 호칭으로 불리운다. 토호 조폭은 같은 지역 사람들로 조직을 꾸리기 때문에 두목과 조직원들끼리 친척관계이거나 한 동네 사람이라서 이런 호칭을 쓰고, 가입과 탈퇴까지 자유롭기 때문에[63] 뭔가 훈훈해보이지만 타지의 폭력조직이 이권 개입을 시작하면 이 사람들도 피 보는 일에 주저가 없다.
법계는 한국 및 일본처럼 유럽식 대륙법계이며 특히 일본법을 그대로 들여온 것이 많다. 그 이유는 중화민국 건국 당시부터 일본법을 그대로 번역해서 도입해서이다. 물론 근간은 일본처럼 독일/ 프랑스 등 유럽식 대륙법에 기본을 두고 있다.
2019년 5월 17일부로 특별법안을 통해 아시아 최초로 동성 결혼이 가능한 국가가 되었다. 2017년 사법원[64]에서 동성혼을 불허한 민법에 대해 위헌 판결을 내리고 2년 내에 민법 개정을 요구하는 판결을 내렸다. 한 때 2018년 11월 진행된 대만 국민투표에서 '동성 결혼을 현행대로 금지해야 한다'가 70% 득표율을 기록하며 민법 개정은 무산되었지만, 그 대신 사실혼 관계의 동거임을 입증하는 서류를 각 지방 관청에 비치해서 작성한 이후, 법원에 "동성결혼 특별법에 따른 구제조치를 신청"하고 그것을 법원이 허가하는 방식으로 동성결혼의 제도화가 시행되었다. 동성결혼을 사실상 합법화한 국가치고는 동성결혼 찬성율이 매우 낮은 편이다. 동성애에 대해 부정적인 경향이 있고, 동성결혼을 법제화하지 않은 한국조차도 2017년 12월 한국갤럽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약 41%가 동성결혼에 찬성한다고 응답하였다.
8. 외교
중국의 압력으로 인해 현재 대만의 외교는 상당히 처참한 상황이다. 대부분의 나라들과는 미수교 상태이며, 대표부라는 방법을 통해 비공식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나라는 많으나 이들 중 대부분은 외교 공관이되 대사관보다 격이 낮거나 (예: 한국) 명목상 민간 단체의 형식을 취하기에 (예: 미국, 일본) 이를 이용해 외교적으로 무언가를 추구하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UN에도 가입되어 있지 않다.
중화민국의 국체를 인정하지 않는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건국 이후부터 하나의 중국 원칙에 입각, 타이완을 자국의 일개 지방으로 간주하여 이를 부정하는 나라와 수교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중화민국은 한때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5개 주요 연합국 중 하나로, 유엔의 창립 회원국이자 프랑스, 소련, 영국, 미국과 더불어 유일한 아시아 국가 대표로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5대 상임이사국의 위치에 서서 세계 근현대사의 한 획을 그었다. 중화민국의 국가적 지위는 국공내전에서 패배하여 국부천대하고 나서도 한동안 지속되었으나, 냉전이 조금씩 해소되기 시작하자 거대한 인구와 군사력을 자랑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그늘에 가려 정치적 타격을 받는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결국 1971년 UN 결의로 상임이사국의 지위를 박탈당하면서 중화민국의 정통성은 사실상 부정되었다. 이 결정 이후 미국, 일본 등 서방 국가들은 중화민국과 단교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하기 시작하였으며, 대한민국 역시 1992년 이전까지는 이 나라만을 정식 '중국'으로 승인하고 수교했지만, 1992년 이후부터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수교를 위해 단교하고 정식 국가로도 승인하지 않고 있다.[65]
9. 경제
10. 문화
10.1. 교육
10.1.1. 초·중등 교육
|
프로그래머 탕펑(唐鳳).[66] |
대륙 시기에는 군사 교육과 중국 국민당 이념 교육을 중학교부터 대학까지 의무적으로 실시하기도 했다. 1935년 기준 병역법에 따르면 중학교 이상의 학력이 있으면 병역이 면제되기 때문이다. 교육을 충실히 하려 노력하기도 했으나 당시 예산이 부족해 결실을 보지 못했다.
제160조 6세에서 12세까지의 취학 연령의 아동은 모두 기본교육을 받아야 하며 학비를 면제한다. 빈곤한 경우 정부가 서적을 공급한다.
第160條 六歲至十二歲之學齡兒童,一律受基本教育,免納學費。其貧苦者,由政府供給書籍。已逾學齡未受基本教育之國民,一律受補習教育,免納學費,其書籍亦由政府供給。
해설: 이미 취학연령이 초과했는데, 기본교육을 받지 아니한 국민은 모두 보습교육을 받아야 하며, 학비를 면제하고 정부가 서적을 공급한다.
第160條 六歲至十二歲之學齡兒童,一律受基本教育,免納學費。其貧苦者,由政府供給書籍。已逾學齡未受基本教育之國民,一律受補習教育,免納學費,其書籍亦由政府供給。
해설: 이미 취학연령이 초과했는데, 기본교육을 받지 아니한 국민은 모두 보습교육을 받아야 하며, 학비를 면제하고 정부가 서적을 공급한다.
제161조 각급 정부는 광범위한 장학금을 설치하여 학업이 우수하나 진학할 능력이 없는 학생을 보조하여야 한다.
第161條 各級政府應廣設獎學金名額,以扶助學行俱優無力升學之學生。
第161條 各級政府應廣設獎學金名額,以扶助學行俱優無力升學之學生。
제162조 전국의 공립과 사립 교육문화기관은 법률에 따라 국가의 감독을 수용하여야 한다.
第162條 全國公私立之教育文化機關,依法律受國家之監督。
第162條 全國公私立之教育文化機關,依法律受國家之監督。
제163조 국가는 각 지역의 교육의 균형적 발전과 사회교육의 추진을 중시하며 일반 국민의 문화수준을 제고하고 변두리 및 빈곤지역의 교육문화경비를 국가가 보조한다. 중요한 교육문화사업은 중앙이 실시하거나 보조한다.
第163條 國家應注重各地區教育之均衡發展,並推行社會教育,以提高一般國民之文化水準,邊遠及貧瘠地區之教育文化經費,由國庫補助之。其重要之教育文化事業,得由中央辦理或補助之。
第163條 國家應注重各地區教育之均衡發展,並推行社會教育,以提高一般國民之文化水準,邊遠及貧瘠地區之教育文化經費,由國庫補助之。其重要之教育文化事業,得由中央辦理或補助之。
제164조 교육, 과학, 문화 경비는 중앙은 총 예산의 15%, 성은 총 예산의 25%, 시와 현은 총 예산의 35%보다 적어서는 아니 된다. 법에 따라 설치한 교육문화기금 및 산업은 마땅히 보장되어야 한다.
第164條 教育、科學、文化之經費,在中央不得少於其預算總額百分之十五,在省不得少於其預算總額百分之二十五,在市縣不得少於其預算總額百分之三十五。其依法設置之教育文化基金及產業,應予以保障。
第164條 教育、科學、文化之經費,在中央不得少於其預算總額百分之十五,在省不得少於其預算總額百分之二十五,在市縣不得少於其預算總額百分之三十五。其依法設置之教育文化基金及產業,應予以保障。
이에 1947년부터 헌법으로 국가 예산의 15%, 지방 정부 예산의 35%를 교육에 투자하도록 명시하였고 1964년부터 중학교를 의무 교육으로 지정했다.[67] 2015년부터는 고등학교도 무상 의무화를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중화인민공화국, 대한민국, 일본, 싱가포르, 홍콩[68]과 더불어 교육열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나라에 속한다. 당장 고등학교 입시가 존재해 중학생들이 각종 명문 고등학교[69]를 목표로 공부하는 중. 대만의 교육열은 심지어 청소년 수면 시간이 가장 짧은 대한민국보다도 훨씬 높다. 대체로 교육열은 중국 대륙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이 나라에는 야자도 있다.
대만에서는 부모들이 자신의 자녀가 좋은 교육을 받는 것을 삶의 중요한 목표로 여긴다. 자녀가 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는 노력과 끈기가 있어야 된다고 믿는다. 이러한 믿음은 교사한테도 전달되어서 학생들을 아주 열심히 공부시킨다. 많은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들한테 기대하는 것들이 많으며 학교에서 최고의 성적을 얻기 위해 열심히 공부시킨다. 부모들이 자녀들의 대학 진학을 위해 무리하게 대출을 받는 경우도 많다.
25세에서 64세의 대만인 약 64%가 대학교 졸업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만은 지나친 암기위주 교육과 학생들의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로 비난을 받아왔다. 부모들이 직업교육, 사고력, 창의력 공부보다 암기위주의 공부만 열심히 시켜서 돈 잘버는 화이트 칼라 직종에 취업하는 것을 목표로 하다보니 자녀들의 학업 스트레스가 어마어마한 편이다. 매년 수많은 학생들이 대학을 졸업하고 기업에 입사지원하지만 기업에서 뽑는 인원이 적다. 그래서 많은 대만 청년들은 그들이 다닌 대학교 수준과 경력, 기대치에 못 미치는 직업으로 취업하게 된다. 많은 대학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취업 시장과 기술 동향에 적응을 못한다고 비난받고, 정부도 이렇게 매년 대졸자들은 넘쳐나는데 이들이 원하는 일자리가 적다 보니 일자리 정책에 문제가 많다고 비난받는다.
초등학교[70]와 중학교[71]는 향진시구 레벨의 기초자치단체에서, 고등학교는 직할시 또는 대만 성립 학교였으나[72], 1998년 타이완 성 기능 동결 사업으로 인해 성립 고등학교는 전부 국립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다가 2010년부터 직할시들이 늘어나면서 과거 타이완 성 소속이라 국립이 된 고등학교를 직할 시립학교로 격하시키는 사업이 진행중으로, 타이완 성에서 독립하는 직할시가 늘어감에 따라 국립 고등학교는 계속 줄어들 예정이다.
고등학교[73]에서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통계적 추정, 미적분을 아예 안 배우고, 1차함수를 고등학교에 가서야 배운다.[74] 대신에 여기는 대학에서 문과도 의무적으로 한국의 수학-1, 미적분과 통계 기본, 선형대수에 대한 내용을 배우도록 되어 있다. 학부 1학년 과정으로 문과에서 한국의 수학 1, 이산수학, 미적분, 선형대수를 의무적으로 수강해야 하고, 2학년이 되면 기하와 벡터를 의무적으로 수강해야 졸업할 수 있다. 이걸 면제받으려면 대만의 수학 올림피아드에서 국가부분에 응시, 각 대학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입상하면 된다. 문과가. 심지어 예체능 계열도 대만에서는 얄짤없이 수학 교육을 이수해야 졸업된다. 대신에 이 나라는 대학에서 영어 수업이 극히 적다.
대만 고등학생들의 주된 목표는 대학 입학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이다. 중학생들도 고등학교 입학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대학 입시하고 비교하면 양반이다. 대만의 고등학생들은 학교에 입학하고 나서 본인이 문과로 갈지 이과로 갈지 선택해야 한다. 문과생들은 자신들이 아무리 원해도 이과반에서 배우는 과학을 배울 수 없고 이과생들도 마찬가지로 문과생들이 받는 사회학이나 역사 등을 배울 수 없다.
대만도 사교육이 발달해있다. 대만의 사교육시장은 한국하고 비슷하게 거대한 편이고 돈도 많이 번다. 학원에서 주로 가르치는 과목은 영어, 수학, 그리고 물리이며 특히, 중고등학생들이 많이 다닌다. 학원들이 워낙 많다보니 학원끼리의 경쟁도 존재한다. 소형 학원은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교제나 학교 교과서 위주로 가르치지만 체인점을 가지고 있는 대형 학원들은 자신들이 직접 교재를 만들어서 족보처럼 쓴다. 대만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학원은 영어학원이고 원어민 강사도 많이 고용하는 편이다.
대만 학생들이 대학에 지원하는 방법은 총 2가지이다. 국가에서 치르는 대학 입학시험을 보거나 추천 받아서 입학하거나. 추천받아서 입학하려는 학생은 일단 국가 학력고사를 보고 자신이 가고자 하는 학부를 선택해야 한다. 국가 학력고사는 대학입학시험하고 다르다. 학력고사의 결과에 따라 지원할 수 있는 학부가 정해져있다. 만약 본인이 추천 입학에 실패했거나 아예 국가 학력고사를 보지 않았다면 대학입학시험에 응시해서 대학에 지원해야 한다. 보통 많은 학생들이 대학입학시험에 응시하고 4년제 대학에 진학한다.
그리고 한국, 일본 등과 달리 새 학년은 8월 말에 시작된다. 이는 홍콩, 싱가포르, 영국 등과 비슷하다.
10.1.2. 고등 교육
대만의 대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096><colcolor=#fff> 국립대학 |
기륭시(基隆市):
국립대만해양대학 타우위엔시(桃園市): 국립중앙대학 타이베이시(台北市): 국립타이완대학 · 국립정치대학 · 타이베이시립대학 신베이시(新北市): 국립타이베이대학 신주시(新竹市): 국립양명교통대학[합병] · 국립칭화대학 먀오리현(苗栗縣): 국립연합대학 이란현(宜蘭縣): 국립이란대학 타이중시(台中市): 국립중흥대학 난터우현(南投縣): 국립지난국제대학 화련현(花蓮縣): 국립동화대학 가의시(嘉義市): 국립자이대학 가의현(嘉義縣): 국립중정대학 타이난시(台南市): 국립성공대학 · 국립타이난대학 가오슝시(高雄市): 국립가오슝대학 · 국립중산대학 타이둥현(臺東縣): 국립타이둥대학 핑둥현(屏東縣): 국립핑둥대학 진먼현(金門縣): 국립진먼대학 |
국립교육대학 | 국립타이완사범대학 · 국립가오슝사범대학 · 국립장화사범대학 · 국립타이베이교육대학 · 국립타이중교육대학 · 국립신주교육대학 | |
국립예술대학 | 국립타이완예술대학 · 국립타이베이예술대학 · 국립타이난예술대학 | |
국립체육대학 | 국립체육대학 · 국립타이완체육운동대학 | |
국립원격대학 | 국립공중대학 · 가오슝공중대학 | |
사립대학 | 중국문화대학 · 원지대학 · 담강대학 · 푸런대학 · 중원대학 · 중국의학대학 · 창겅대학 · 의수대학 · 동오대학 등 | |
군경원교 | 대만 군관학교 | |
아시아 소재 대학교 일람 · 대만 관련 문서 |
}}}
[합병]
2021년 2월 1일 국립양명대학과 국립교통대학이 합병 }}}}}}
|
중국의 가오카오처럼 대학 입학고사를 7월에 본다.
나라 규모에 비해 국립대가 어마어마하게 많다. 이에 대학 서열화가 볼장 다 볼 정도로 진행되었다. 특히 대만은 국립대 선호도가 높으며, 랭킹 1위부터 5위까지 상위권 대학의 위치는 모조리 국립대가 점유하고 있다.[75] 다만 한국과는 달리 이른바 台清交成政[76] 또는 五大가 모든 분야에서 탑 5위에 드는 것은 아니다. 국립정치대학의 경우 이공계열 학부가 없으며 국립양명교통대학과 국립칭화대학은 법학계열 학과가 없다. 그래서 법학계열의 경우 국립대만대학, 국립정치대학 다음으로는 국립타이베이대학(台北大學), 동오대학(東吳大學)이 꼽히고 있다(台政北東). 대체로 국립>사립인건 사실이지만 분야에 따라서 절대적이지는 않은 셈.
대체적으로는 위의 대청교성정(台清交成政) 5대학 아래에 4개의 중대(中大), 즉 국립중앙대학(國立中央大學), 국립중흥대학(國立中興大學), 국립중산대학(國立中山大學), 국립중정대학(國立中正大學) 4개교가 있다고 평가받는 편이다.여기에 국립대만과기대학(國立臺灣科技大學), 국립타이베이과기대학(國立臺北科技大學)을 더해 5대4중양과(五大四中兩科)라고 부르기도 한다. 물론 11개교 모두 국립대이다.
대학 입시에서 한국과 같은 극심한 수도권 대학 선호 현상은 없다. 다만 한국과 마찬가지로 전국 단위 대입 점수에 맞춰서 합격 가능한 대학이 있는 곳으로 진학하기 때문에 출신 지역에서 대학까지 졸업하는 경우는 적다.
중국 대륙처럼 대학생들은 거의 기숙사에서 생활하며 자취가 거의 없다. 그러나 타이베이의 경우 자취를 하는 대학생도 많은데 천정부지로 치솟은 월세와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불법 건물 개조가 행해지는 등 골머리를 썩고 있다. 대만은 기숙사 생활이 의무는 아니고 형편 상 기숙사에 사는 것에 가깝다.[77]
대학 안에서는 출신 지역에 따른 지연으로 몰려다니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학생회 같은 것도 지역별로 따로 차릴 정도다. 다만 한국 대학과는 달리 음주, 유흥 문화를 찾아보기가 어렵다. 학생 모임이 있더라도 그냥 식사하고 차 마시고 끝이다. 당연히 소개팅이나 미팅 같은 문화도 없다. 특히 대만은 개인주의가 강한 나라라서 같은 학교 내에서도, 같은 출신지 인원조차 잘 모른다.
최근 들어서는 중국 대륙 명문대 진학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늘어나는 편이기도 하다. 베이징대와 칭화대를 대만대보다 더 선호하는 학생이 꽤 된다. 대만대보다 북경대나 청화대가 세계적으로 더 알아주는 것이기에 어쩌면 당연한 일. 중국 대륙 학교도 명문대는 학력을 인정하면서 벌어지는 일이다.
대만의 대학 정원은 인구 대비로 했을 때 한국보다 훨씬 많다. 총 대학 정원 수가 한국의 3/4 규모이다. 그런데 인구는 한국의 47%. 당연히 대학이 남아돈다. 그런데 대만은 한국보다 대학 진학률이 훨씬 낮다. 50%를 간신히 넘는 수준이다. 결론적으로 돈만 주면 가는 대학이 발에 채이게 많다. 그래서 대만이 저출산 문제가 본격화되었을 때가 한국과 비슷함에도 한국보다 빠르게 정원 미달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중이고, 한국보다도 더 대학 구조조정(강제 폐교) 요구가 높다. 하지만 재대복교한 학교라든가 각 지방마다 난립한 국립대들 때문에 대학 구조 조정은 지지부진하다. 이때문에 대만에서는 지방 국립대들이 한국에서 인식하는 소위 지잡대 소리를 듣는다.
일본과 비슷하게 국립대 중 최상위 - 상위권 국립대 - 상위권 사립대 - 중상위권 국립대 - 나머지 이런 식으로 입결이 짜여 있으며, 국립타이완대학은 대만에서 제1의 대학으로 넘사벽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중화민국 총통 중에서 민선 총통 4명[78]은 전부 이곳 출신이다.
사실 원래라면 국립대가 이렇게 많아지는 건 아니었지만, 원래 타이완 성의 성립 학교들이 1998년 타이완 성 기능 동결 조치로 인해 전부 국립대로 전환되고[79] 고등학교와 달리 대학은 직할 시립으로 전환되지 않았기 때문에[80] 국립대가 어마어마하게 많아졌다. 이 때문에 대학 구조 조정 요구가 빗발침에도 불구하고 국립대 폐교 조치는 감감 무소식이다.
대만의 상위권 대학들은 일본 제국 시절부터 쌓인 학자와 중국 대륙에서 넘어온 학자들이 결합해서 아시아 지역에서 평가가 나쁜 편은 아니다. 다만 높다고도 보기 어려운데 대만에서 가장 좋은 대학이라고 할 수 있는 국립대만대학도 QS 랭킹 기준 69위(2020), THE 랭킹 기준 120위(2020), ARWU 랭킹 기준 151-200위(2019)로 그닥 높지 않다. 한국에서 비교 대상을 찾자면 연세대나 고려대 정도가 맞수. 그나마 이것도 5~6년 전에 비해서 몇 계단 오른 순위이다.[81] 상대적으로 고평가 받는 QS 랭킹 기준으로도 100위 안에 드는 대학은 국립대만대학(69위)뿐이고 200위로 넓혀도 국립칭화대학(173위)만 더해진다. 아시아 대학랭킹 상위권을 싹쓸어가는 싱가포르, 홍콩, 중화인민공화국, 일본, 대한민국은 물론, 말레이시아[82], 인도[83]와 비교해도 그닥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다.[84] 연구 성과만을 수치로 변환하여 발표하는 네이처 인덱스에서는 국립대만대학이 195위로 대만 대학 중 1위로 한국의 포항공대(165위)와 고려대(210위) 사이로 평가했다.
3군 간부를 키우기 위한 사관학교는 군관학교라 부르며, 육해공군 모두 가오슝에 위치해 있다.
세계 최고령 석사학위 취득자가 대만 출신의 남성인데, 그는 난화대학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10.2. 관광
10.3. 스포츠
10.4. 군사
[1]
대한민국은
1992년
8월 24일,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 수교로 중화민국의 승인을 취소 및 단교하였고 이후 중화인민공확국을 중국 내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면서 기존의 중화민국을 '대만' 또는 '타이완' 이라고 통칭하고 있다.
[2]
명목상 대륙 시절 수도였던
난징을 수도로 보기도 하지만 현재 대만에서는 공식적으로 수도가 어딘지에 대한 명시적 언급을 하지 않지만 정부에서 출판하는 지도 등을 보면 수도를 난징으로 표기하고 있기도 하나 정부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타이베이로 표기하고 있다.
[3]
타이베이를 최대 도시로 보는 것은 관습상 또는 정서상 과거에 신베이시가 타이베이현의 주변부였던 것에 따른다. 타이베이시는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한다면 중화민국의 최대 도시는 아니다. 그래서 위키백과에서는 인구를 기준으로 하여 중화민국의 최대 도시를 신베이로 본다.
[4]
중국 대륙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 중이다.
[5]
https://eng.stat.gov.tw/point.asp?index=9
[6]
1990년대 이후 동남아 일대에서 이주한 사람들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 시기 중국 대륙에서 이주한 사람들도 포함한다.
[7]
출처
[8]
출처
[9]
공용어로 지정한다는 법은 없으나 표준중국어를
국어(國語, 궈위)라 칭하고 교육하며 공적 언어 생활에 사용한다.
[A]
대만은 이원집정부제 국가로 정부수반이 대통령과 총리이다.
[11]
대통령에 해당
[12]
부통령에 해당
[A]
[14]
총리에 해당
[15]
부총리에 해당
[16]
국회의장에 해당
[17]
국회부의장에 해당
[18]
서기 - 1911
[19]
중화민국 정부가 아닌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를 중국(China)을 대표하는 정부로 인정하는 유엔 결의에 반발하여 탈퇴.
[미승인]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른 미승인
[미승인]
[코로나19]
2022년 10월 13일부로 관광 목적을 포함한 외국인의 입국 제한이 모두 해제되고 자발적 코로나 검사 체제로 전환되고 나서 11월 29일에 외교부는 여행유의로 하향했다.
[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경보
[24]
진녹색은
실효 지배중인
타이완 섬과
푸젠성 일부 등 부속도서를 나타내며, 녹색은
명목상 영토이다.
[25]
주음부호 표기는 'ㄓㄨㄥㄏㄨㄚˊㄇㄧㄣˊㄍㄨㄛˊ'이다.
[26]
약자를 사용하여 '台灣'이라고도 표기한다.
주음부호 표기는 'ㄊㄞˊㄨㄢ'이다.
[27]
대만 헌법상으로는
중국 대륙 및
몽골,
투바 및
카자흐스탄 발하시 호수 동쪽과
파미르 고원,
아루나찰프라데시,
센카쿠 열도 역시 대만의 명목상의 영토이나 현실적으로 대만의 지배 하에 있지 않다. 몽골의 경우 헌법 해석의 변경으로 인해 실질적으로는 포기하였으나 아직까지 대만 정부가 발행하는 지도에는 몽골이 중화민국령(대만령)으로 표기되어 출판되고 있다.
[28]
현존하지 않는 나라로까지 따지면 건국년도가 더 오래된 공화국은 있다.
에조 공화국,
필리핀 제1공화국,
대만 민주국,
난방공화국 등이 있다.
[29]
국제법상 외교승인(外交承認, diplomatic recognition)에는 '국가승인(國家承認, recognition of state)'과 '정부승인(政府承認, recognition of government)'이 있다. 선행하는 국가가 없는 분열, 분리독립 및 신생국 건국의 경우 해당 집단을 하나의 국가로 인정하는 것이 '국가승인'이며, 기존 국체에 대한 대표권 가진 정부를 인정하는 것이 '정부승인'이다. 중국이 말하는 '하나의 중국'은 "'중국'이라는 국체 안에서 스스로가 정통 중화민국을 계승한 유일한 합법 정부"라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대만'은 괴뢰"라는 의미이며, 대만의 경우에는 그 반대이다. 결국,
1971년 이후 대만의 UN 탈퇴와 외국의 단교 사태는 대륙의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를 합법 정부라 승인한 것이다. 단, 일각에서는 대만의 국체와 중국의 국체를 별개로 보아 정부승인이 아닌 국가승인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30]
Taiwan Relations Act (Public Law 96-8,93 Stat. 14), January 1, 1979.
[31]
Taiwan Allies International Protection and Enhancement Initiative(TAIPEI) (Public Law 116–135,134 Stat. 278) March 26, 2020.
[32]
올림픽에서의 Chinese Taipei 명칭 사용 및 국기 게양 제한, 각종 국제기구에의 가입 제한 등
[33]
국제적인 도로교통 활성화를 위한 조약으로,
국제운전면허증과 관련된 조약이다.
[34]
ROC는 Republic of China, 즉 중화민국이라는 뜻이며, TW는 Taiwan, 즉 대만이라는 뜻이다. 최근들어 대만 정부를 포함, 대만 내에서는 이 둘을 합쳐서 Republic of China (Taiwan)이라는 표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상당히 늘었다.
[35]
주음부호 표기는 ㄓㄨㄥ ㄏㄨㄚˊ'이다. 중국과 중화의 차이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중국은
국가에 중점을 둔 단어라면 중화는
민족과
문화에 중점을 둔 단어다.
[36]
주음부호 표기는 ㄇㄧㄣˊㄍㄨㄛˊ'이다.
[#]
실제 발음은 '쭝화민구어'에 가깝다.
[38]
2021년 기준 거의 안 씀
[39]
현대에는 '공화국'으로 번역되며 '민국'은 사어화 되었다.
[40]
예를 들어 '단란(團欒)하다.' 등 표현에 이 글자가 들어간다.
[41]
자세한 내용은
灣 문서와
속음 문서 참조.
[42]
대만은 스프래틀리 군도 전체를
가오슝시 치진 구로 넣어놨는데 중화인민공화국에선
하이난성으로 간주하고 있다. 한때는 중화민국에도 작은 섬으로 된 하이난 특별행정구가 있었는데 하이난 본토를 어차피 중화민국이 가지고 있지 않으니 결국 폐지해버렸다.
[43]
따라서 대만의 국토도 미수복 영토를 모두 포함한 지도를 올려놓고 있다.
[44]
Taiwan, Province of China,
영어 기준
[45]
2007년에 대만 정부에서
ISO에 이름을 대만(Taiwan)으로 바꿔달라 요청했는데, ISO가 거절하자
스위스 연방 대법원(ISO의 본부가 스위스
제네바에 있으므로)에 제소한 바 있다. 스위스 연방 대법원은 ISO의 명명은
통치행위에 해당한다며 제소를 기각했다.
[46]
中國台北. 영어로 번역하면 Taipei, China
[47]
대만의 유명한
자전거 제조사
메리다가 바로 이 이름이다.
[48]
놀라운 우연으로, 대만의
대척점에는
아르헨티나의 포르모사(Formosa) 주가 있다.
[49]
2020년 현재 중화민국 정부가 여러 곳에서 중국어와 병기하는 영어 표기에서 Taiwan 없이 Republic of China만 단독으로 표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외교부 연감에서는 세계의 국가 목록을 중국어와 영어로 병기했는데 중화민국은 병기한 영어로 Republic of China로 나타냈고 Taiwan은 병기하지 않았다.
[50]
정확하게 말하면 남한만 따졌을 때이다. 북한까지 합치면 한반도 전체는 숨통이 좀 트이는 편이다.
[51]
본성인의 기준을 넓게 잡으면
대만 원주민도 포함되기에 명확한 구분을 위해선 '
한족계
본성인'이라 해야 한다.
[52]
강원도 산악 지대와 비슷하거나 더한 조건이다.
[53]
한반도에서 최고로 높은 산인
백두산 높이가 2744m다.
[54]
컴퓨터나 문자로 중국어를 입력할 때도 주음부호를 사용하는데, 입력 시간이 짧은 것을 포함해 한어병음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55]
상술했듯이 대륙과 대만 간의 규범 표준은 별 차이가 없다.
[56]
반대로
일본에는 대만식 중국어 수업이나 교재들이 상당수 있다. 만약 일본어 수준이 어느 정도 되는 사람이라면 일본에서 교재를 구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일본에서는 대만
화어(台湾華語, 대만식 중국어)라고 부르며 대륙식 중국어와 별개로 '기타 외국어' 항목에 분류하고 있다. 마이너한 외국어로 여기지만 한국과 비하면 상당한 기반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참고로 영어로 된 중국어 교재 상당수는 간체자와 정체자를 둘다 포함하고 있어서 대만식 표준중국어를 습득할 수 있다.
[57]
당시 학교에서 대만어를 쓰면 매를 때렸을 정도였고, 처벌로 '나는 (하찮은) 방언을 사용했습니다'라는 표시판을 메고 다녀야 했단다. 국민당 정부가 대만의 표준중국어화를 얼마나 강압적으로 추진했는지 알 수 있다.
[58]
특히
고속철도가 없는 화롄 등 대만 동부지역
[59]
대만은 현재에도 이미 사실상
표준중국어-
대만어 이중언어 사회이기 때문에 영어가 추가되면 사실상 삼중언어가 된다.
[60]
사형 방식은 총살형인데,
중국 국민당이
중국 대륙에 있었던 시절부터 이어져 오던 처형 방식이었다. 2020년 7월부터는 교수형으로 전환했다.
#
[61]
이는 교도소가 포화되는것을 막기 위한것도 있다.
[62]
대만 조폭들중 가장 크고 유명한 조직들이 죽련방(竹聯幇), 사해방(四海幇), 천도맹(天道盟)이 있는데 이중에서 죽련방이 조직원을 1만 명이나 거느리고 있어 대만에서 가장 큰 조직이다.
[63]
그 대신 완전히 조직생활을 청산하는 건 불가능하다. 본인은 탈퇴해도 친척집이나 본가가 여전히 조직의 구역 안에 있는데다가 경조사가 생기면 친인척 관계인 조직원들의 얼굴을 안 볼 수가 없어서 인간관계가 계속 이어진다. 그래서 탈퇴하고 몇년 뒤에 불쑥 두목한테 전화가 와서 "요즘 뭐하냐 삼촌이 부탁이 있는데 물건 하나만 잠깐 맡아주라" 식으로 범죄청탁을 하기 때문에 완전히 손씻는 게 불가능하다. 결국 조직에서 떠나도 여전히 써먹을 구석이 있다는 게 탈퇴가 자유로운 이유다.
[64]
한국의
헌재와 같은 역할을 하나 여기는 사법원이 최고 법원(대법원) 위에 있다.
[65]
하지만
주한국대만대표부와
주 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를 두어 대만과의 교류를 이어 나가는 등 실질적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과 다른 국가로 인정하고 있다.
[66]
트랜스젠더이자 대만의 최연소
디지털 장관인데, 중학교를 중퇴하고 홈스쿨링을 했다.
[67]
한국의 중등 교육 의무화는 1982년이다. 그것도 도서, 벽지 지방에서 시작돼 2004년에 완성시킨 것이다.
[68]
홍콩과
싱가포르의 경우는
영국의 교육 제도를 받아들이고, 대만보다 대학 수가 훨씬 적어서 영미권으로의 해외
유학이 활성화되어 있는 편이다.
[69]
그 중에서도
타이베이의
남고인 젠궈고,
여고인 타이베이 제1여고, 공학인 대만 사대부중 등이 명문 학교로 꼽힌다.
[70]
소학(小學).
[71]
국민중학(國民中學).
[72]
예외가 존재했는데 중학교 부설 고등학교 또는 고등학교 부설 중학교가 있어서 그렇다.
[73]
고급중학(高級中學).
[74]
사실 미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가
미적분을 고등학교 과정에서 배우지 않는다. 미국은
AP 수강자만 조금 배운다. 한국 수학교육이 더 뛰어난 것이 맞다.
[75]
국립대만대학,
국립성공대학,
국립칭화대학(
베이징에 있는
칭화대학과는 뿌리가 같은 대학이다. 나라가 갈라지면서 학교도 갈라진 것이다),
국립양명교통대학(역시
상하이에 있는
상하이교통대학과 뿌리가 같으며 갈라진 경위 또한 국립칭화대학과 같다),
국립정치대학이 그 탑 5다.
[76]
일반적으로 대만에서 탑 5로 불리는 대학들의 약칭이다.
[77]
한국은 기숙사 수용율이 매우 낮은 데다 성적과 거리 순으로 잘라서, 대부분 학교 근처에 방을 얻어서 자취하는 학생들이 많은 것과 대조된다.
[78]
리덩후이,
천수이볜,
마잉주,
차이잉원
[79]
이 때 고등학교도 타이완 성립 학교는 전부 국립으로 바뀐다. 이후 직할시가 된 곳은 직할시립으로 전환된다.
[80]
한국으로 치면
서울시립대학교에 해당하는 국립타이베이대학의 타이베이 시립화 사업이 2000년부터 추진되고 있음에도 지지부진하다. 타이베이 시청에서 재정 부담이 크다고 안 받고 버티고 있기 때문. 게다가 이미 타이베이시립대학도 있는 판이다. 그래서 아예 사립학교로 전환을 추진중이다.
[81]
참고로 한국 최고 대학인
서울대학교는 QS 랭킹 37위, THE 랭킹 64위, ARWU 랭킹 101-150위
[82]
70위, 159위, 160위, 165위
[83]
152위, 182위, 184위
[84]
한국의 경우
서울대 37위,
카이스트 41위,
고려대 74위,
연세대 79위,
포항공대 81위,
성균관대 97위,
한양대 156위로 100위 안 6개 대학, 200위 안 7개 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