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06 00:19:02

시리아계 브라질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002776 39.9%, transparent 40.1%), linear-gradient(45deg, #009C3B 20%, #ffdf00 20%, #ffdf00 80%, #ffdf00 80%, #009C3B 8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2776>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브라질 식민지 · 브라질 독립 전쟁 · 브라질 제국
정치 정치 전반 · 브라질 헌법 · 브라질 대통령 · 브라질 부통령 · 브라질 국가의회( 브라질 연방상원 · 브라질 대의원)
선거 브라질 대통령 선거 · 브라질 국가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브라질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BRICS · G4 · G20 · TIAR
사회 파벨라 · ENEM
경제 경제 전반 · 브라질 헤알
국방 브라질군 · 브라질 육군 · 브라질 해군 · 브라질 공군
치안·사법 브라질 경찰
교통 LATAM 브라질 항공 · 골 항공 · 철도 환경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요리 · 카샤사 · 리우 카니발 · 삼바 · 보사노바 · 브라질 축구 연맹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 상파울루 그랑프리 · 브라질 영화 · 브라질 포르투갈어
인물 펠레 · 아일톤 세나 · 룰라 다 실바 · 자이르 보우소나루 · 호나우지뉴 · 히바우두 · 호나우두 · 호마리우 · 네이마르 주니오르 · 지쿠 · 카카 · 소크라치스 · 카푸 · 베베투 · 호베르투 카를루스 · 둥가
지리 아마존강 · 행정구역
민족 브라질인( 브라질 백인/파르도/ 브라질 흑인) · 포르투갈계 브라질인 · 브라질계 미국인 · 독일계 브라질인 · 이탈리아계 브라질인 · 스페인계 브라질인 · 프랑스계 브라질인 · 네덜란드계 브라질인 · 미국계 브라질인· 아르메니아계 브라질인 · 레바논계 브라질인 · 시리아계 브라질인 · 폴란드계 브라질인 · 리투아니아계 브라질인 ·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 · 그리스계 브라질인 · 한국계 브라질인 · 일본계 브라질인 · 중국계 브라질인 · 크로아티아계 브라질인 · 튀르키예계 브라질인 · 브라질 유대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헝가리계 브라질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ce1126><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메소포타미아 문명 · 미탄니 · 아람 · 신바빌로니아 · 셀레우코스 제국 · 팔미라 제국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아이유브 왕조 · 시리아 아랍 왕국 · 시리아-레바논 · 아랍 연합 공화국 · 시리아 아랍 공화국 · 시리아 민주화 운동 · 시리아 내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바트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자격정지
경제 경제 전반 · 시리아 파운드
국방 자유 시리아군 · 시리아 아랍군 · 시리아 공화국 수비대
문화 문화 전반 · 메소포타미아 신화 · 메소포타미아 음악 · 쐐기 문자 · 만다야교 · 아람어 · 시리아 정교회 · 시리아 가톨릭 · 요리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방언
인물 제노비아 · 이븐 타이미야 · 이븐 카시르 · 라시드 리다 · 미셸 아플라크 · 하페즈 알 아사드 · 바샤르 알 아사드 · 수헤일 알 하산 · 마헤르 알아사드
지리 유프라테스강 · 골란 고원 · 로자바 · 레반트
민족 시리아인( 아르메니아계) · 시리아계 브라질인 · 시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시리아계 멕시코인 · 쿠르드족 · 아시리아인
}}}}}}}}} ||
파일:시리아계 브라질인.jpg

* 영어 : Syrian Brazilians
* 아랍어 : البرازيلي السوري
* 포르투갈어 : Sírio-brasileiros
1. 개요2. 역사3. 같이 보기

1. 개요

시리아 브라질인 브라질에 이주, 정착한 시리아계 아랍인 이민자 후손을 의미한다. 시리아는 지중해 레반트 지역으로서 이 지역 사람들은 아랍어를 쓰는 지중해 인종 즉 백인 아랍인이다. 그래서 외모에서 보통의 이베리아인( 포르투갈인, 스페인인)들과 별 차이는 없다.

2. 역사

1차대전 종전 이전까지 시리아가 오스만 제국 영토였던 이유로 브라질 현지에서는 오스만 제국 여권을 들고 온 이들을 튀르키예인이라는 의미로 투르코(Turco)라고 부르곤 했다. 그러나 시리아에서 브라질로 이민한 사람들은 대개 아랍계 기독교인 소수자들이었고 튀르키예인 무슬림이 브라질로 이민한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유사 사례로 러시아 제국에서 브라질로 이주한 사람들 중 러시아인 정교회 신자는 극소수이고 이민자 대부분이 폴란드인, 리투아니아인 가톨릭교도 혹은 유대인이었던 경우, 혹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브라질로 이주한 사람들 중 오스트리아인은 극히 소수고 대부분 우크라이나 갈리치아 출신이었던 경우를 들 수 있다.

1860년대 다마스쿠스에서 무슬림 지방관들이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라 하여 교황수위권을 믿는 기독교인들을 학살하는 사태가 발발하는데, 여기에 위기의식을 느낀 다마스쿠스 일대 기독교도 상당수가 프랑스 선박을 이용해 브라질로 이민한 것을 시리아계 브라질인의 시초로 볼 수 있다. 물론 당시 브라질로 이민했었던 시리아인들 중에서는 기독교인만 있던 것은 아니고 일부 알라위파나 시아파 혹은 순니파 무슬림, 드루즈교 신도들도 적지 않았으나, 당시에는 아직 남미에 국제전화 등이 보편화되기 이전 시절로 거의 대부분 현지 가톨릭 신도들과 완전히 동화되었다.[1] 오늘날 브라질 내의 무슬림들 중 19세기 말~20세기 초반 이주한 아랍인들의 후손인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전체 또는 부분적인 시리아 혈통의 브라질 인구는 브라질 정부에 의해 약 300만 또는 400만 명으로 추산되나, 통계치에서 신빙성이 의심을 받고 있다. 현재 브라질 백인 중 0.9% 정도만 자신의 조상 중 중동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이며, 브라질 백인 대다수는 이탈리아-포르투갈-스페인-독일 네 나라 출신들이다. 다만, 중동계 조상이 있는 백인 대부분은 레바논과 시리아 혈통에 속한다.

한 편 아랍인 무슬림과 기독교도 전반을 아우르는 시리아인(Syrians)이라는 개념은 미셸 아플라크에 의해 20세기 중반 정립된 개념이고,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 오스만 제국의 아랍인 신민들이 브라질로 이주할 당시에 시리아인(Syriacs)라 하면 아람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을 의미했다. 시리아 일대의 거주민들이 브라질로 대량 이민할 당시는 아직 시리아인 민족 개념이 완전히 확립되기 이전이라 정확한 추산이 더 어려운 것도 있다. 다만 시리아계 브라질인 인구 추정이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 상파울루 교구에서는 브라질 내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신도수를 436,000여 명으로 추정하고 있는데, 브라질 내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신도들 대다수가 시리아 출신이고, 해당 교회 신도들이 시리아계 정체성을 가진 점을 고려하면 해당 통계와 시리아계 브라질인 인구 규모가 상당부분 겹친다고도 볼 수 있다.

3. 같이 보기



[1] 특히 알라위파와 드루즈의 경우 교리가 경전 대신 구전 전승으로만 이어지기 때문에, 멀리 해외로 이만 온 상황에서 구전 전승으로 교리를 전수받는 것도 어려웠기 때문에 사멸 속도가 더 빨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