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북한 |
미국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마카오 |
티베트 |
몽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중국 |
이란 |
|||
유럽 | |||||
러시아 |
독일 |
영국 |
|||
프랑스 |
이탈리아 |
|
|
대한민국 | 스위스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과 스위스의 관계. 스위스는 1963년 2월 11일에 대한민국과 수교를 맺었다.[1]6.25 전쟁 당시 스위스는 대한민국에 USD 313,954 규모(1950년대 가치 기준)[2]의 재정, 물자를 지원해 준 인연이 있다.
양국은 매우 협력적인 편이고[3] 한국에서도 스위스로 관광하러 오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스위스가 프랑코포니 회원국이자 독일어 사용국이기 때문에 독일어나 프랑스어 어학연수를 받기 위해 스위스로 유학하러 오는 경우도 많이 있다.
2. 역사적 관계
2.1. 2010년대
2019년 5월 17일에 한국 외교부는 스위스와 이중과세회피협약 개정의정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2019년 8월 7일에 스위스 경찰은 마터호른에서 한국인 등반객 1명이 하산도중에 추락해 사망했다고 밝혔다. #
아모레퍼시픽은 스위스 원료업체 지보단과 공동연구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현대자동차는 스위스 수소 에너지기업과 손 잡고 1600대의 수소전기 대형트럭을 공급하는 것은 물론 수소 생산을 위한 공장 설립에도 힘을 보탰다. #
서울시는 2019년 9월 28일 ~ 10월 5일까지 취리히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행사를 개최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스위스와 프랑스와 의약품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
2.2. 2020년대
주스위스 한국대사관은 2020년 2월 4일에 한국-스위스 양국 간 우호 증진에 힘써온 공로자 두 명에게 표창장을 수여했다. #2020년 6월 26일에 스위스의 시모네타 좀마루가 대통령은 남북대화를 지원할 뜻이 있다고 밝혔다. #
한국 정부는 스위스와 지소미아를 체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스위스 산악박물관이 한국의 산을 주제로 한 영상 전시를 계획한다고 밝혔다. #
3. 교통 교류
양국을 잇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한국내 항공사들이 스위스를 이어주는 항공노선을 통해 왕래하고 있다. 그리고 양국 관광객들은 항공노선을 통해 자주 관광하러 가고 있다. 양국은 무비자협정을 체결했기 때문에 자유롭게 상대국들을 무비자로 입국가능하다.2022년 1월 17일 ~ 18일에 국토교통부는 스위스측과 항공 회담을 열고 2024년부터 운항 횟수를 양 국가별 주 3회에서 주 6회로 확대하는 합의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
4. 대사관
스위스는 베른에 주 스위스 대한민국 대사관을, 대한민국은 서울에 주한 스위스 대사관을 두고 있다.5. 여담
비정상회담에 스위스 대표인 알렉스 맞추켈리가 참여한 적이 있다.[4]한국 혈액관리본부는 스위스를 vCJD 감염 위험 지역으로 지정해 스위스에 5년 이상 체류한 한국인의 헌혈을 금지하고 있다.[5]
6. 관련 문서
[1]
외교부 스위스 국가/지역 정보에서 참조.
[2]
수십 개의 물자 지원국 중 매우 상위권인 규모이다.
[3]
그래서인지
2006 FIFA 월드컵 독일에서의 스위스전 편파판정 논란 때도 대한민국과 스위스 양국이 크게 충돌하지 않았다.
[4]
알렉스 맞추켈리는 한국계 혼혈 스위스인으로, 이탈리아어권인 루가노 출신이다.
[5]
다만,
박주호는 스위스에서 체류했으나 독일 체류 경력이 문제시되어 헌혈을 하지 못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