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30 14:14:00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5bbb 50%, #ffd500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5bbb><colbgcolor=#ffd500> 상징 국호 · 국가( 소련 시절)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의회 · 내무부
선거 대통령 선거 · 최고 라다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우크라이나 여권 · 대외관계 틀
국방 우크라이나군() · 육군 · 해군 · 해군 보병대 · 공군 · 공수군 · 특수작전군 · 국토방위군 · 국방부( 정보국)
역사 역사 전반 · 키예프 루스 · 갈리치아-볼히니아 · 리투아니아 대공국 · 코사크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 러시아 제국 ·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 소련( 우크라이나 SSR · 우크라이나 대기근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1991년 12월 1일 우크라이나 독립 국민투표 · 오렌지 혁명 · 유로마이단 혁명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 돈바스 전쟁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경제 경제 전반 · 우크라이나 흐리우냐 · 우크라이나 카르보바네츠 · 로셴 · GSC Game World · 암스트리트
지리 행정구역 · 갈리치아 · 돈바스 · 부자크 · 붉은 숲 · 아조프해 · 초르노젬 · 카르파티아 산맥 · 크림반도 · 북 크림 운하 · 푸스타 · 흑해 · 남부크 강 ·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드니프로강 · 부크 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프루트 강
사회 우체국· 대학 목록( 키이우 공과대학교 · 키이우 대학교 · 하르키우 대학교) · 언론 목록( 우크린포름 · 유로마이단 프레스 · 키이우 인디펜던트) · 우크라이나 마피아
언어 언어 전반 · 우크라이나어 · 키릴 문자 · 루신어 · 우룸어 · 크림 타타르어 · 카라임어 · 가가우즈어
교통 우크라이나 철도공사 · 키이우 지하철 · 하르키우 지하철 · 드니프로 지하철 ·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 안토노프 항공 · 보리스필 국제공항 · 줄리아니 국제공항 · 호스토멜 공항 · 헤르손 국제공항 · 르비우 국제공항 · 도네츠크 국제공항 · 루한스크 국제공항
문화 공휴일 · 요리( 보르시 · 샤슐릭 · 치킨 키이우 · 크바스) · 축구 국가대표팀( 여자) · 농구 국가대표팀( 여자) · 풋살 국가대표팀 · 프리미어 리그 · 퍼스트 리그 · 우크라이나컵 · 우크라이나 정교회 ·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 반두라 · 오, 난 알아요, 내게 죄가 있다는 것을 · 우리는 위대한 순간에 태어났다 · 종들의 캐럴 · 타라스 셰우첸코 · 1+1 · 국민의 일꾼 · Natus Vincere · 코사크 댄스
민족 우크라이나인 · 루신인 · 헝가리계 · 폴란드계 · 러시아계 · 불가리아계 · 한국계 · 루마니아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튀르키예계 · 이탈리아계 · 리투아니아계
디아스포라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 우크라이나계 미국인 ·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 ·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 ·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 · 우크라이나계 폴란드인 · 우크라이나계 파라과이인 · 우크라이나계 영국인 · 우크라이나계 칠레인
우크라이나 소련의 적통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002776 39.9%, transparent 40.1%), linear-gradient(45deg, #009C3B 20%, #ffdf00 20%, #ffdf00 80%, #ffdf00 80%, #009C3B 8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2776>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브라질 식민지 · 브라질 독립 전쟁 · 브라질 제국
정치 정치 전반 · 브라질 헌법 · 브라질 대통령 · 브라질 부통령 · 브라질 국가의회( 브라질 연방상원 · 브라질 대의원)
선거 브라질 대통령 선거 · 브라질 국가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브라질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BRICS · G4 · G20 · TIAR
사회 파벨라 · ENEM
경제 경제 전반 · 브라질 헤알 · 크루제이로
국방 브라질군 · 브라질 육군 · 브라질 해군 · 브라질 공군
치안·사법 브라질 경찰
교통 LATAM 브라질 항공 · 골 항공 · 철도 환경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페이조아다 · 슈하스쿠 · 카샤사 · 리우 카니발 · 삼바 · 보사노바 · 브라질 축구 연맹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 상파울루 그랑프리 · 브라질 영화 · 브라질 포르투갈어
인물 펠레 · 룰라 다 실바 · 자이르 보우소나루 · 호나우지뉴 · 히바우두 · 호나우두 · 호마리우 · 네이마르 주니오르 · 지쿠 · 카카 · 소크라치스 · 카푸 · 베베투 · 호베르투 카를루스 · 둥가
지리 아마존강 · 행정구역
민족 브라질인( 브라질 백인/파르도/ 브라질 흑인) · 포르투갈계 브라질인 · 브라질계 미국인 · 독일계 브라질인 · 이탈리아계 브라질인 · 스페인계 브라질인 · 프랑스계 브라질인 · 네덜란드계 브라질인 · 미국계 브라질인· 아르메니아계 브라질인 · 레바논계 브라질인 · 시리아계 브라질인 · 폴란드계 브라질인 · 리투아니아계 브라질인 ·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 · 그리스계 브라질인 · 한국계 브라질인 · 일본계 브라질인 · 중국계 브라질인 · 크로아티아계 브라질인 · 튀르키예계 브라질인 · 브라질 유대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헝가리계 브라질인
}}}}}}}}} ||

파일:Cerimonia_de_bencao_dos_alimentos.jpg

1. 개요2. 이민사3. 여담4. 관련 기사5.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60만여 명 정도 되는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들은 브라질 내 다른 민족들과 잘 통혼하지 않고 오늘날에도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을 고수하며 파라나 주 일부 지역에 자신들끼리 모여산다고 한다.

2. 이민사

19세기 초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한 브라질은 포르투갈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비옥하지만 당시에는 아직 인구가 희망했던 지역이었던 남부 팜파스 지역을 개발하기 위해 유럽 각국으로부터 이민을 받았는데 이 과정에서 우크라이나인들의 이민 정착이 이루어졌다. 19세기 후반 당시에 약 2만명의 우크라이나 농민들이 이주해왔지만, 브라질 정부에서 당초에 이주비는 물론이고 의식주비 및 좋은 토지를 나눠주겠다는 약속과 달리 믾은 농민들이 오지대로 내보내졌고, 개간과정에서 많은 우크라이나인 농민들이 풍토병에 시달리면서 적지 않은 수가 사망했으며, 농장주에 고용될 경우에는 노예에 가까운 처참한 대우를 받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였다. 이러한 소식이 우크라이나로 전해지자, 브라질로의 이민은 한 동안 크게 줄어들었다고 하며,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인들의 이민물결은 캐나다와 아르헨티나로 향하게 되었다. 이후로 1910년대에 브라질에서 파라냐와 히우그란지두술간 철도 건설에 착수하면서 1만 5000명의 우크라이나인들이 이민왔고, 이후로는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을 전후해서 정치적 망명객 수천명이 이주해온다.

이들은 주로 우크라이나 서부 갈리치아 지방 출신으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사이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구성국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1]에서 브라질로 이민하였다. 갈리치아 출신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신도들은 이미 브라질로 이민 오기 이전부터 정교회를 믿는 다른 우크라이나인 러시아인이나 로마 가톨릭을 믿는 폴란드인들과 충돌할 때가 많았다. 이는 후에 이들의 브라질 정착 후 폐쇄적인 민족 문화를 유지하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민 온 지 4~5세대가 지났지만, 이들이 사는 시골 지역에서는 우크라이나어의 갈리치아(할리치) 방언이 많이 통용된다고 하며, 이들 방언은 표준 우크라이나어와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인 입장에서는 고풍스럽다는 느낌이 든다고 한다.

브라질은 구소련 구성국과 캐나다, 미국 다음으로 우크라이나인 인구가 많이 거주하는 나라인데, 캐나다나 미국의 경우와 다르게 상술한 것처럼 자신들끼리만 모여서 사는 편이다. 이른바 “콜로니”라고 불리는 우크라이나의 미르[2]와 어느정도 흡사한 농업 공동체를 만들어서, 밀과 쌀, 콩을 재배해 판매하고, 이 외에도 자신들이 우크라이나에서 자주 먹던 호밀과 메밀 등을 경작한다. 이들 상당수는 라틴 아메리카 각지의 재세례파 공동체 못지 않게 출산율이 높고, 또한 배타성이 강해 우크라이나계 외 다른 브라질인들을 걍 다 쵸르니(우크라이나어로 흑인)이라고 불렀다. 다만, 쿠리치바 등 도시 지역에 사는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들은 이탈리아계, 포르투갈계, 스페인계, 독일계, 폴란드계 등 주류 백인들과 교류가 상당한 편이고, 주류 라틴계 브라질 문화에 상당히 동화되었다.

또한 20세기 초반 소련 영토 볼린에서 온 우크라이나계 개신교 신도[3]들이 꽤 있었는데, 이들은 주로 상파울루를 중심으로 정착한대다 배타성이 약했고, 오늘날 기준으로는 우크라이나계 정체성은 상실하고 다른 브라질인들과 완전 동화된 상태이다.

3. 여담

브라질의 이웃 국가 아르헨티나에는 우크라이나계 아르헨티나인들이 30만여 명 정도 거주하는데, 이들은 시기적으로 브라질계보다 이민 역사가 늦고 종교도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만 있던 것이 아닌 정교회 출신도 많았다. 1차대전 이후 독립한 폴란드 제2공화국은 정교회를 믿은 많은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루신인 소수민족 인구가 있었는데, 이들 상당수가 폴란드 제2공화국 내의 차별을 피해 1차대전 이후에도 계속 유럽계 이민을 환영하던 아르헨티나로 이주하였다. 폴란드 제2공화국에서 아르헨티나로 이주한 인구 중 절반이 정교회 신도였다고 한다. 아르헨티나에 정착한 우크라이나인들은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처럼 폐쇄적인 농업 공동체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대다수가 현지 아르헨티나인들과 동화되었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900명의 우크라이나 피난민들이 브라질에 정착했다. #

4. 관련 기사

5. 관련 항목



[1] 이 지역은 당시 이중제국 내에서뿐 아니라 전 유럽에서 가장 낙후되고 가난한 지역으로 손꼽혔다. [2] 전통적인 슬라브 농민 공동체로 제정 러시아 말기 스톨리핀의 부농 육성 개혁과 소련의 콜호스 건설 과정 및 숙청을 통해 현대 동유럽 일대에서는 자취를 감추었다. [3] 원래 우크라이나에서 개신교는 주로 독일계가 믿었으며, 이들은 1920년 소련 시절(...)에 우크라이나계 캐나다인 선교사들이 귀국하여 선교한 경우이다. 물론 소련 국가무신론 정책 및 개신교에 대한 러시아/우크라이나계의 반감까지 겹쳐 심각한 탄압을 당하고, 거의 지하로 숨거나 해외로 도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