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02:49:30

김나지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상징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color=#ffd400><colbgcolor=#000> 상징 국가( 동독 국가) · 국기 · 국장 · 국호( 도이칠란트 · 게르마니아) · 검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독일 왕국 · 신성 로마 제국 · 프로이센 · 독일 통일 · 독일 제국 · 라이히 · 독일국 · 바이마르 공화국 · 융커 · 나치 독일( 퓌러 · 안슐루스 · 과거사 청산 문제 · 하켄크로이츠 · 나치식 경례 · 전범기업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삼국 동맹 조약( 추축국) · 영국-나치 독일 관계 ·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 나치 독일-폴란드 관계( 독소 폴란드 점령)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소전(대조국전쟁))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서독-동독 관계( 서독 · 독일민주공화국 · 슈타지) · 바더 마인호프 · 독일 재통일
}}}
}}}
}}}
[ 사회 · 경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지리 || 지역 구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하위지역) · 니더작센( 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 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 하위지역) · 바이에른( 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 하위지역) · 브레멘( 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하위지역) · 자를란트( 하위지역) · 작센( 하위지역) · 작센안할트( 하위지역) · 튀링겐( 하위지역) · 함부르크 · 헤센( 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라인란트 · 베스트팔렌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산맥 · 라인강 · 엘베강 · 도나우강 · 모젤강 · 네카어강 · 슈프레강 · 보덴 호||
사회 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 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 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뮌헨 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 뒤셀도르프 공항 · 함부르크 공항
교육 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DAX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유로 (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정치 · 군사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정치 || 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 연립정부· 대연정· 소연정 ||
선거 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 주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 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 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 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KSK · 국가인민군(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군 vs 러시아군
치안·사법 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 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문화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문화 || 문화 전반 · 가톨릭 · 루터교회 · 독일 영화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옥토버페스트 · 독일 민요 · 요들 · 메르헨 · 그림 동화 · 보탄 · 니벨룽의 노래 · 디트리히 전설 · 브로켄의 요괴 · 발푸르기스의 밤 · 디른들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바그네리안 · 크라우트록 · 표현주의 · 바우하우스 · 다리파 · 청기사파 · 슈투름 운트 드랑 · 은물 · ARD( 산하 방송국) · ZDF ||
관광 관광 · 세계유산 · 브란덴부르크 문 · 베를린 TV타워 · 체크포인트 찰리 · 노이슈반슈타인 성 · 엘츠 성
독일어 표준 독일어( 문법 · 발음) · 저지 독일어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 중세 고지 독일어 · ß · 움라우트 · 라틴 문자 · 독일어 위키백과 · Goethe-Zertifikat · TestDaF · 독일어권 · 독어독문학과 · 독일어교사
음식 독일 요리( 지역별 독일 요리) · 지리적 표시제 · 맥주/독일 · 부어스트 · 프레첼 · 자우어크라우트 · 바움쿠헨 · 환타 · 구미 베어
스포츠 독일 축구 연맹 · 축구 대회( 축구 리그)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서브컬처 독일인 캐릭터 · Krautchan( 폴란드볼 · Wojak · Remove Kebab) · 독일초딩 · Fichtl's Lied
[ 기타 ]
}}} ||


1. 개요2. 독일어권에서의 김나지움3. 진학 관련 문제점

[clearfix]

1. 개요

독일을 비롯한 유럽 교육기관 중의 하나로, 김나지움이 존재하는 국가별로 제도가 다르기는 하지만 평균적으로 대한민국 초등학교 6학년 ~ 대학교 1년 과정의 교육기관이라고 볼 수 있다.

독일어 표기는 Gymnasium이다.[1] 고전 그리스어 귐나시온(γυμνάσιον)의 라틴어식 표현 귐나시움(gymnasium)에서 유래했다. 인접한 폴란드어로는 김나지움(Gimnazjum)이라 부른다.

본래의 의미는 " 체육관"이며 영어에서는 오늘날에도 (주로 ' gym'이라 줄여서) 그런 의미로만 쓰이지만 중부유럽 국가에서는 교육기관의 명칭으로도 쓰인다. 옛날에는 체육관 형태의 아고라, 즉 광장 교육의 장으로 활용됐다는 점에서 뜻이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대체적으로 일반계가 많으며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폴란드 등 주로 중부유럽 국가들이 이 학제를 채택하여 운영하고 있다. 학제는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 편이다. 대학에서 곧바로 석사학위를 수여하는 독일이나 폴란드에서는 김나지움의 마지막 과정이 한국의 대학교 교양과정 혹은 의대에나 있는 대학예과라고 볼 수 있는데 아닌 국가들도 있다.

동독에서는 ( 서독의) 김나지움을 " 계급적 불평등을 야기하는 학교 형태"로 정의하고 모조리 공업고등학교(Polytechnische Oberschule)로 통합해 버렸지만 이 경우에도 프랑스의 그랑제콜 진학자들처럼 아비투어를 보려면 EOS라는 별도의 추가 과정을 거쳐야 했다. 물론 독일 재통일 이후에는 소멸하였다.

2. 독일어권에서의 김나지움

독일어권에서는 전통적으로 초등학교(그룬트슐레; Grundschule) 4년제를[2] 이수하고 일반계와 직업계(특성화) 학교로 갈리는데, 대학진학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으로 치면 일반계 고등학교와 같은 곳을 김나지움, 특성화고등학교와 같은 곳인 단순 사무직이나 하위직 공무원 양성을 목표로 하는 레알슐레와 기술적이고 실용적인 직업 획득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마이스터고등학교의 하위호환격인[3] 하우프트슐레로 나뉜다.

독일 학생의 3명 중 1명 정도인 30%가 이 실과계 대신 일반계로 진학하며, 대학 준비 과정을 거쳐 9년을 이수하고 아비투어(대학진학자격)를 취득 후 졸업하면 대학에 진학하게 된다.

역사적 배경에서 보자면 초등학교 4학년 때 김나지움 진학을 결정하는 것도 근대 이전엔 대학에 진학할 만한, 즉 학문을 지속할 수 있는 귀족 집안 자제들은 일찍이 대학 진학을 결정했고, 이외의 평민 집안 자제들은 초등학교 4년 간의 기본 교육 후 일찍이 노동 시장에 내보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요즘 기준으로는 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독일을 비롯한 유럽에서 제도적으로 처음으로 정비된 곳은 고등교육기관들이었고, 그 고등교육기관들의 학생 선발권을 통제하기 위해 독일 정부에서 만든 것이 김나지움이었던 것이다.[4] 그리고 초등교육기관들이 제도에 편입되지 않은 당시의 사정으로는 당연하게도 초등학교 졸업이 김나지움 입학요건이 되는 게 아니었다. 즉 김나지움이 첫 공교육이 되었던 것이다.[5] 시대에는 학교 갈 놈은 에서 좀 배우다가 10여 세 쯤 되면 학교를 보냈던 거고 아니면 그냥 기술을 배우거나 농사를 짓거나 했던 것이다. 의무 초등교육이 생긴 건 그 후의 일이었으니, 이러한 교육제도가 굳어져 지금 기준으로는 다소 이른 4학년 때 진로 및 진학 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김나지움은 원래 라틴어, 그리스어, 때때로는 히브리어를 가르치는 인문학 학교에 가까웠다. 현대 사회에서는 크게 세 종류로 분류된다.

전통적 김나지움은 오랜 역사를 가진 곳이 많으며 라틴어를 필수적으로 가르치고 그 외에도 학문적으로 가치 있는 언어(앞서 언급된 그리스어나 히브리어 등)를 가르친다. 현대적 김나지움은 이제는 거의 사장되는 추세인 라틴어(원하면 배울 수 있는 경우는 많다. 다만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보다는 현대의 외국어를 중점적으로 가르치는, 외국어고등학교에 가까운 곳이다.

수학/ 과학 중점 김나지움은 한국의 과학중점고등학교의 과학중점과정이나 과학고등학교처럼 수학 과학의 비중을 높이 두고 가르친다. 현대에는 체육이나 음악 김나지움도 생겼지만 그 수가 많지는 않은 편이다.

3. 진학 관련 문제점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김나지움의 진학 조건으로, 담임 선생님의 추천서가 있어야 김나지움에 진학할 수 있기 때문에[6] 이로 인해 학부모와의 갈등이 종종 생긴다. 특히 교육열 높은 아시아( 한국, 중국, 일본, 인도 등) 쪽 이민자 가정의 경우 아이는 독일어가 서툴러 교사는 추천서를 써주지 않으려고 하고 부모는 이에 불만을 갖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

또 다른 문제점은 진로 결정 시기가 너무 이르다는 것. 비록 독일 사회가 대학으로 진학할 수 있는 여러 루트를 제공해주고는 있지만 일반계고를 가느냐 특성화고를 가느냐 하는 문제는 아이의 향후 인생에 아주 중대한 문제라고 볼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에선 일반/특성화고로의 진학을 어느 정도 성장한 중학교 2~ 3학년 시기에 결정하지만, 4년제 초등학교가 대부분인 독일은 만 9~10세 가량에 이미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 초등학교 3학년 정도밖에 되지 않은 아이들을 두고 ' 이론에 강하고 대학에 갈 만한 아이'와 '대학 진학보다는 일찍이 취업을 하는 게 더 나은 아이'를 가르는 셈.

이렇게 어린 아이들을 두고 '댁의 자녀 공부를 잘 못하니 괜히 대학 보내지 말고 그냥 실업계를 보내시라'고 말하는 담임 교사의 말에 충격을 받았다는 한국인 이민자 부모들의 글을 독일 교민 커뮤니티에서는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게다가 고졸 대졸 임금격차가 큰 독일 사회에서 김나지움에 진학하지 못하는 문제는 곧 저임금 노동의 굴레에 들어선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볼 수 없다.

교육이나 부의 대물림의 문제가 독일 사회에서도 작지는 않아서 부모의 대학진학 여부가 자녀 세대의 대학 진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상황인지라 김나지움 진학을 일찍이 결정 짓는 것도 지속적으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이뤄진 모든 연구에 의하면 독일과 다른 선진국에서 학교 등 교육 체계를 성공적으로 수료하고 노동 시장에서 성공한 사람과 사회적 지위는 큰 관련이 있으며, 특히 부모의 수입에 크게 좌우되었다. 최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학업성취도 평가(PISA)는 특별히 경제·사회·문화 지위 지표(Index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tatus, ESCS)를 개발했다. 이것은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요소를 고려하여 학생의 출신 가정이 어떤 사회적 지위에 속하는지 파악하려는 것이다. 그 결과는 놀라울 지경이다. 직업학교(Haupstschule)에 다니는 학생 가운데 45퍼센트가 ESCS 하위 범주에 속하고, 인문계 학교(Gymnasium)에 다니는 학생 중 절반은 ESCS 상위 범주에 속한다.
......이렇게 하여 직업학교는 최근 몇 년간 점차 '휴식학교(Restschule)'라는 별명을 얻었다. 궁극적으로 교육받을 능력이 없는, 특별히 취약한 학생들을 모아놓은 곳이라는 말이다. 게다가 육체 노동이나 산업현장의 직업에까지 인문계를 졸업한 사람들이 몰려드는 오늘날, 직업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학생이 견습생 훈련의 자리로 진출하는 일이 도시에서는 특히 어려워졌다.
이렇게 미래가 보이지 않으니 직업학교 학생들 가운데 점점 더 많은 숫자가 학업을 완전히 포기하고 학교를 그만둔다. 전반적으로 오늘날 매 학년 약 8 퍼센트의 학생들이 학교를 떠난다. 그 가운데 가장 많은 수가 직업학교 학생들이다. 그들은 묻는다. 나중에 일자리를 얻는 길이 닫혀 있는데, 졸업장은 따서 무엇하나요? 그러므로 우리 사회에서 교육 체계에서 배척되고 나아가 경제 체제에서 배척된 사람들의 숫자가 점점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라인하르트 마르크스(Reinhard Marx) 추기경. 《자본론》 (Das Kapital). 주원준 번역

물론 독일 내에서도 이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꽤 있어서 최근에는 김나지움과 실업계 학교의 통합 버전인 게잠트슐레와 같은 대안적인 학교들이 나오는 추세이다. 게잠트슐레는 통합교육 과정을 들으며 진로 선택을 몇 년간 유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진학률이 서서히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2006년 7.9%인 게잠트슐레 진학자는 2016년 15.6%까지 늘었다. 게잠트슐레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브레멘에선 70%가 넘는 학생들이 게잠트슐레로 진학한다. 또한 레알슐레나 하웁트슐레에 재학 중, 혹은 졸업 후에라도 성적이 좋다면 김나지움으로 진학할 수 있는 길도 열어 두고 있으며 또는 졸업한 지 시간이 다소 지난 성인들도 일과 병행하며 김나지움 과정을 이수해 아비투어를 쳐서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원격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예전에는 김나지움의 진학률은 10%대였으나 현대 사회로 오면서 고학력을 추구하는 풍조가 점점 강해지고 있고, 2천년대 들어 볼로냐 프로세스를 도입하며 대륙 유럽의 전통 학제인 학석사 통합제(이른바 마기스터/ 디플롬)를 폐기하고 학사 석사를 분리하게 되면서 대학 진학에 대한 부담이 상당히 줄어들었다. 그래서 김나지움 진학률은 2017년 40% 이상으로 크게 늘었다. 하지만 실업계 학생들의 대부분이 진학하는 하우프트슐레의 수준이 점점 더 나빠지고 있는 것도 문제이다.

대한민국도 대졸자 비율이 증가하면서 과거에 비해 명문 공고 상고의 위상이 크게 추락했듯이 독일의 하우프트슐레도 날이 갈수록 '낙오자 학교'라는 오명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특히 사고 쳐서 퇴학 당하는 김나지움 학생들을 하우프트슐레로 보내 버리는데, 이들이 거기서 물을 흐리는 일도 존재한다.

대부분의 에서 아예 하우프트슐레를 레알슐레와 합쳐서 오버슐레/제쿤다슐레로 만들어 버리는 경우가 많다.
[1] 발음은 /ɡʏmˈnaːzi̯ʊm/(귐나지움)이나 관용적으로 김나지움으로 표기한다. [2] 일부 지역은 6년제를 채택하기도 한다. [3] 대한민국의 마이스터고등학교들은 소수의 꼴통학교가 아닌 이상 주로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진학하지만, 독일의 하우프트슐레는 주로 성적이 매우 낮은 학생들이 진학한다. 그렇기 때문에 하우프트슐레는 대한민국 내 하위권 공업고등학교와 비슷한 학교로 봐야 타당할 것이다. [4] 김나지움을 중퇴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독일의 대학을 못 가고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시험을 본 게 이런 이유에서였다. 이 시대의 대학은 중등교육 졸업장이 있어야 입학자격이 있는 것이 아니라 원칙적으로 입학시험만 합격하면 입학이 가능했던 것. 애시당초 초, 중등교육이 제도권에 편입되면서 단계형 학제가 완성된 것이 선진국에서도 100년은 넘었을지 몰라도 150년은 될까말까 한 제도였다. 다만 독일의 경우는 아인슈타인이 학교에 다니던 때 중등교육인 김나지움이 제도에 편입이 되어 있었고 스위스는 아직 그렇지 않았다는 차이가 있었다. [5] 독일에서 초등학교와 김나지움이 단선제로 연계되어 제도에 편입되는 시기는 1920년이었지만 그 전에도 초등교육의 의무무상교육이란 개념이나 제도 자체는 존재했다. 다만 김나지움 입학의 요건이 아니었다는 것... [6] 싱가포르가 중학교 졸업 성적과 교사의 학업 평가를 통해 인문계와 전문계로 나뉘는 이와 흡사한 고교진학 제도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