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19:42:56

상수

1. 常數
1.1. 수학 관련 정보1.2. 물리학 관련 정보1.3. 프로그래밍 분야에서1.4. 기타
2. 上手3. 上水4. 上壽
4.1. 상수를 맞은 인물
5. 인명
5.1. 동명이인5.2. 실존 인물5.3. 가상 인물

1. 常數

constant number[1], invariable number

변하지 않는 수, 항상 성립하는 수라는 뜻이다. 반대말은 변수이다.

기호로는 일반적으로 constant에서 유래한 소문자 [math(c)]로 쓴다. 물리학에선 광속[2]과 표기가 일치하기 때문에 혼돈에 주의.[3]

물리학, 수학 등 분야에서 식 앞에 곱해지는 상수를 특별히 계수(係數, coefficient)라 한다. ( [math(rm e.g.)] 탄성 계수 [math(k)])

1.1. 수학 관련 정보

[[대수학|대수학
Algebr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이론
기본 대상 연산 · 항등식( 가비의 이 · 곱셈 공식( 통분 · 약분) · 인수분해) · 부등식( 절대부등식) · 방정식( /풀이 · ( 무연근 · 허근 · 비에트의 정리( 근과 계수의 관계) · 제곱근( 이중근호 · 개방법) · 환원 불능) · 부정 · 불능) · 비례식 · 다항식 · 산술( 시계 산술)
수 체계 자연수( 소수) · 정수( 음수) · 유리수 · 실수( 무리수( 대수적 무리수 · 초월수) · 초실수) · 복소수( 허수) · 사원수 · 팔원수 · 대수적 수 · 벡터 공간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적 구조
군(group) 대칭군 · 기본군 · 자유군 · 리 군 · 괴물군 · 점군 · 순환군 · 군의 작용 · 동형 정리 · 실로우 정리
환(ring) 아이디얼
체(field) 갈루아 이론 · 분해체
대수 가환대수 · 리 대수 · 불 대수( 크로네커 델타)
마그마· 반군· 모노이드 자유 모노이드 · 가환 모노이드
선형대수학 벡터 · 행렬 · 텐서( 텐서곱) · 벡터 공간( 선형사상) · 가군(module) · 내적 공간( 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
정리·추측
대수학의 기본정리 · 나머지 정리 · 유클리드 호제법 · 부분분수분해 · PID 위의 유한생성 가군의 기본정리 ·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미해결
관련 하위 분야
범주론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토포스 이론 · 타입 이론
대수 위상수학 연속변형성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대수학( 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mapping class group · 닐센-서스턴 분류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대수적 정수론 타원곡선 ·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리근 정리 · 모듈러성 정리
가환대수학 스펙트럼 정리
표현론 실베스터 행렬
기타 및 관련 문서
수학 관련 정보 · 추상화 · 1학년의 꿈 · 노름 · 혼합계산 · 분배법칙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교재 }}}}}}}}}

해석학· 미적분학
Analysis · Calculu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26455A>실수와 복소수 실수( 실직선 · 아르키메데스 성질) · 복소수( 복소평면 · 극형식 · 편각) · 근방 · 유계 · 콤팩트성 · 완비성
함수 함수 · 조각적 정의 · 항등함수 · 역함수 · 멱함수 · 다변수함수( 동차함수 · 음함수) · 다가 함수 · 함수의 그래프 · 좌표계 · 닮은꼴 함수 · 극값 · 볼록/오목 · 증감표
초등함수( 대수함수 · 초월함수 · 로그함수 · 지수함수 · 삼각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 변분법 · 오일러 방정식) · 병리적 함수
극한·연속 함수의 극한 · 수열의 극한 · 연속함수 · ε-δ 논법 · 수렴( 균등수렴) · 발산 · 부정형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특이점 · 0.999…=1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부동점 정리 · 스털링 근사 · 선형근사( 어림)
수열· 급수 수열( 규칙과 대응) · 급수( 멱급수 · 테일러 급수( /목록)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 라마누잔합) · 망원급수( 부분분수분해)) · 그물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월리스 곱
단조 수렴 정리 · 슈톨츠-체사로 정리 · 축소구간정리 · 급수의 수렴 판정 · 리만 재배열 정리 · 바젤 문제 · 파울하버의 공식 · 오일러-매클로린 공식 · 콜라츠 추측미해결
미분 미분 · 도함수( 이계도함수 · 도함수 일람)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임계점( 변곡점 · 안장점) · 매끄러움
평균값 정리( 롤의 정리) · 테일러 정리 · 역함수 정리 · 다르부 정리 · 로피탈 정리
립시츠 규칙 · 뉴턴-랩슨 방법 · 유율법 · 경사하강법
적분 적분 · 정적분( /예제) · 스틸체스 적분 · 부정적분( 부정적분 일람) · 부분적분( 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치환적분 · 이상적분( 코시 주요값)
미적분의 기본정리 · 적분의 평균값 정리
리시 방법 · 2학년의 꿈
다변수· 벡터 미적분 편도함수 · 미분형식 · · 중적분( 선적분 · 면적분 · 야코비안) · 야코비 공식
라그랑주 승수법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선적분의 기본정리 · 스토크스 정리( 발산 정리 · 그린 정리 변분법
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 /풀이) · 라플라스 변환
측도론 측도 · 가측함수 · 곱측도 · 르베그 적분 · 절대 연속 측도 · 라돈-니코딤 도함수
칸토어 집합 · 비탈리 집합
복소해석 코시-리만 방정식 · 로랑 급수( 주부) · 유수 · 해석적 연속 · 오일러 공식( 오일러 등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리우빌의 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함수해석 공간 위상 벡터 공간 · 국소 볼록 공간 · 거리공간 · 프레셰 공간 · 노름공간 · 바나흐 공간 · 내적공간 · 힐베르트 공간 · Lp 공간
작용소 수반 작용소 · 에르미트 작용소 · 정규 작용소 · 유니터리 작용소 · 컴팩트 작용소
대수 C*-대수 · 폰 노이만 대수
정리 한-바나흐 정리 · 스펙트럼 정리 · 베르 범주 정리
이론 디랙 델타 함수( 분포이론)
조화해석 푸리에 해석( 푸리에 변환 · 아다마르 변환)
관련 분야 해석 기하학 · 미분 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 1의 거듭제곱근 · 가우스 정수 · 아이젠슈타인 정수 · 소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확률론( 확률 변수 · 중심극한정리) · 수치해석학 · 카오스 이론 · 분수계 미적분학 · 수리물리학( 양-밀스 질량 간극 가설미해결 · 나비에 스토크스 방정식의 해 존재 및 매끄러움미해결) · 수리경제학( 경제수학) · 공업수학
기타 퍼지 논리 · 합성곱
}}}}}}}}} ||


수학 상수
Mathematical Constant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math(^\ast)] 초월수임이 증명됨.
[math(0)]
(덧셈의 항등원)
[math(1)]
(곱셈의 항등원)
[math(sqrt{2})]
(최초로 증명된 무리수)
[math(495)], [math(6174)]
( 카프리카 상수)
[math(0)], [math(1)], [math(3435)], [math(438579088)]
( 뮌하우젠 수)
[math(pi)]
(원주율)
[math(^\ast)]
[math(tau)]
(새 원주율)
[math(^\ast)]
[math(e)]
(자연로그의 밑)
[math(^\ast)]
[math(varphi)]
(황금수)
[math(i)]
(허수단위)
[math(G)]
(카탈랑 상수)
[math(zeta(3))]
(아페리 상수)
[math({rm Si}(pi))]
(윌브레이엄-기브스 상수)
[math(gamma)]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math(gamma_n)]
(스틸체스 상수)
[math(Omega)]
(오메가 상수)
[math(^\ast)]
[math(2^{sqrt{2}})]
(겔폰트-슈나이더 상수)
[math(^\ast)]
[math(C_n,)]
(챔퍼나운 상수)
[math(^\ast)]
[math(A,)]
(글레이셔-킨켈린 상수)
[math(A_k,)]
(벤더스키-아담칙 상수)
[math(-e, {rm Ei}(-1))]
(곰페르츠 상수)
[math(mu)]
(라마누잔-졸트너 상수)
[math(B_{2})], [math(B_{4})]
(브룬 상수)
[math(rho)]
(플라스틱 상수)
[math(delta)], [math(alpha)]
(파이겐바움 상수)
}}}}}}}}} ||
초등함수
Elementary Func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67843> 대수함수 다항함수 ( 상수 · 1차 · 2차 · 3차 · 4차 · 추론 · 공식 ( 길이 · 넓이 ) · 소수생성) · 유리함수 · 무리함수
초월함수 지수함수( 확률밀도함수 · 허수지수함수 ) · 로그함수 ( 복소로그함수 ) · 삼각함수 · 역삼각함수 · 쌍곡선 함수 · 역쌍곡선 함수 }}}}}}}}}


이외에도 상수로 정의되는 함수도 있는데 ' 상수함수'라고 부른다.

관련 문서: 미지수

1.2. 물리학 관련 정보

물리 상수 문서로.

1.3.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변수와 구별지어 처음 값을 넣은 후에 변경이 불가능한 변수(immutable variable혹은 constant variable)을 말한다.

1.4. 기타

허블 상수는 사실 상수가 아니지만(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상수로 간주하는 상황이며 측정 방법과 해석의 정밀도 등의 문제로 매년 발표되는 값에 적지 않은 변동이 있는 상황이다.

일본어로는 [ruby(定, ruby=てい)][ruby(数, ruby=すう)]로 쓰는데[4], 분모가 1인 진짜 정수는 [ruby(整, ruby=せい)][ruby(数, ruby=すう)]라고 쓴다. 한국어로는 둘 다 정수로 읽지만, 한자가 다르고 일본어로는 발음도 다르다.

스포츠 분야와 리그 오브 레전드 등에서는, 기복 없고 꾸준히 잘 하며 팀의 승리에 보탬이 되는 선수를 상수라고 부른다. 아래의 고단수 의미가 조금 섞인 것은 덤.

2. 上手

남보다 뛰어난 수나 솜씨. 또는 그런 수나 솜씨를 가진 사람. 반댓말은 하수.

흔히 바둑에서 주로 사용된다. 상대보다 더 뛰어난 실력을 가진 사람을 상수라고 하며, 상수의 경우 백돌을 잡고 경기에 임한다.

2.1. 일본어 형용동사 上手

[ruby(上,ruby=じょう)][ruby(手,ruby=ず)], 한국어의 "잘하다."와 뜻이 같다.

반의어는 위 문단과 마찬가지로 [ruby(下,ruby=へ)][ruby(手,ruby=た)]를 쓴다.

3. 上水

  • 음료수나 사용수 따위로 쓰기 위하여 수도관을 통하여 보내는 맑은 물.
  • 상수도의 줄임말
  • 윗물
  • 상수동, 상수역 - 한자는 같다.

4. 上壽

개인 기념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세
첫돌
59세
이순
耳順
60세
환갑
還甲
61세
진갑
進甲
66세
미수
美壽
70세
고희
古稀
77세
희수
喜壽
80세
산수
傘壽
88세
미수
米壽
90세
졸수
卒壽
99세
백수
白壽
100세
#s-4
上壽
생일 결혼기념일 백일잔치 기일 }}}}}}}}}

100세를 뜻하는 단어. 흔히 100세는 백수()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상수라고 한다.[5] 사람의  수명을 상/중/하로 나누었을 때 상에 해당된다는 뜻이다.[6]

2024년 기준 1925년생이다. 하지만 이는 세는나이 기준이며, 공식적으로 이들의 경우 99세가 되는 시점에 해당되기 때문에 백수에 오히려 준하는 실정이고, 공식 기준에 해당되는 만 나이로는 1924년생이 상수이다. 2023년 6월 28일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었지만, 상수는 오랜 관습이라는 점을 들어 만 나이 적용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7] 남성보다 여성의 평균 수명이 약간이나마 긴 편이기 때문에 남성보다는 여성이 상수를 맞이하게 될 확률이 약간 더 높으며[8], 만약 누군가가 상수를 맞이했다면 그 사람은 평균 수명을 아득히 뛰어넘은 장수인이다. 2022년 기준으로 상수를 맞은 사람은 1% 미만이고 그마저도 대부분이 여성일 것이다. 2022년 기준으로 이 나이를 넘긴 생존자들은 세는나이로만 봐도 약 1만 2천 명이며, 만 나이 기준으로는 고작 8,400명 정도 된다.[9] 이들이 살았을 때는 평균 수명이 아직 50대 후반~60대여서 이들만 해도 환갑을 성대하게 거행한 실정이며, 칠순이면 이미 평균을 넘어 오래 살았다는 취급을 받기도 했으며, 이들이 90세( 구순)까지는 당시 생존자 중 약 10% 가량만 살았다. 그래도 현재는 많이 늘었지만, 불과 십수년 전인 2010년 당시만 해도 겨우 0.1~0.2%만 생존했다. 하지만 향후에는 현재보다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 중이다.[10] 100세 이상 초고령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 참조.

이들은 평균 가 작았던 시절에 태어났고 또 나이가 들면 키가 줄어들기 때문에 이 연령대의 노인들은 평균 키가 남자는 163.42cm, 여자는 148.62cm라 이 연령대의 노인들 중 키가 140cm대인 사람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고, 남자 키가 170cm를 넘었거나 여자 키가 155cm를 넘으면 장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식욕 및 소화흡수 기능의 저하로 키뿐만 아니라 체중도 대거 줄어들어 대부분 저체중이 되며, 심지어는 체중이 여자 33kg 미만, 남자 43kg 미만으로 줄어들기도 한다.

남성은 물론, 여성도 상수를 맞이한 경우는 대부분 담배를 아예 입에도 대지 않고 건강관리를 매우 철저하게 한 사람들이다. 그래서 와상생활을 하는 경우는 많지 않고 나이에 비해 굉장히 정정한 편이다. 때문에 7~80대와 비교하면 정정한 비율이 오히려 역전되는 형태를 보인다. 이러한 이유는 생존한 사람 자체가 적기도 하고, 7~80대는 일반적인 기대수명에 다다른 사람들 중 사망에 이르는 질병이 발병하거나 치매 등 노인성 질환이 찾아와 투병 중이거나 와상생활을 하는 비율이 꽤 되기 때문이다. 반면 100세라는 나이까지 도달했으면 장수 유전자를 가졌다고 볼 정도로 건강하다는 증거이며 어지간한 노인성 질환은 잘 발병하지 않는다. 때문에 이 나이까지 도달한 사람들은 대부분 어느날 갑자기 침대에서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하는, 그러니까 자연사로 생을 마감한다.

대부분의 놀이공원에서 65세 이상의 노인은 아트란티스, 자이로드롭, 자이로스윙 등 속력이 빠른 놀이기구 탑승을 제한하기 때문에 이 연령대의 노인들은 놀이공원에서 탈 수 있는 놀이기구가 상당히 제한적이다. 다만 100세를 넘으면 아무리 건강상태가 좋고 정정하더라도 활발한 활동은 할 수 없으므로 놀이공원에 가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60과 100이 모두 4의 배수이므로 자신의 상수가 되는 요일은 자신이 환갑이 되는 요일과 같다. 다만, 2100년 등 100의 배수이면서 400의 배수가 아닌 해에 상수를 맞이하는 경우는 예외적으로 자신이 태어난 요일에서 하나 앞이 상수가 된다.

대부분의 병원에서 이 나이대의 사람에게는 암 검진을 권장하지 않는데, 이는 80대 후반 이상인 사람의 암검진을 불효검진이라고 할 정도로 받아야 할 근거가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대부분 암 검진 자체가 암 발병에 대한 확답이 아니며, '의심이 가는 경우'를 선별하고 세부적인 검사는 조직검사를 진행한다. 헌데 나이가 있으면 조직검사를 하는 것도 위험도가 높고 심지어 암 검진을 위해 프로포폴을 투여하여 수면마취를 하는 것조차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설령 검진을 통해 암을 조기에 발견해도, 대부분의 항암 치료나 수술을 받기에는 너무 나이가 많다. 사실 암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수술 자체를 잘 하려고 하지 않는다. 나이가 많으면 수술 후 회복 과정조차 험난하기 때문.

조선시대에 이 나이까지 살았다면 조정에서 양로연 때 1년치 쌀과 고기 등을 공수했고, 현재 이 연령 수준까지 생존하게 되면 일부는 대통령이 직접 청려장이라는 지팡이를 공수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4.1. 상수를 맞은 인물


여기 기재된 사람들 말고도 100세를 넘긴 사람은 생각보다 많은 편이다. 자세한 것은 장수/목록 참조.

5. 인명

5.1. 동명이인

5.2. 실존 인물


5.3. 가상 인물



[1] 보통 constant라고 한다. [2] 그 유명한 [math(E=mc^2)]의 [math(c)]이다. [3] 공교롭게도 광속또한 일정한 상수이다. 다만 기호의 유래는 '빠름'이라는 뜻의 라틴어 celeritas라는 차이가 있다. [4] 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일본에서도 [ruby(常, ruby=じょう)][ruby(数, ruby=すう)]라고 썼었다. 사실 한자 표기만 바뀌었다고 보는 게 거의 타당한 게 定는 음독으로 てい뿐만 아니라 じょう라고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헌데 대부분의 경우 定는 음독으로 てい라고 읽는 관계로 오늘날 사전에는 ていすう가 표준 발음으로 정착되었다. 나이가 좀 지긋한 교수들 중에서도 定数를 ていすう라고 읽지 않고 じょうすう라고 읽는 사람도 있다. [5] 단, 99세는 百에서 一을 뺐다고 白壽(백수)라 한다. [6] 그래서 60세는 하수, 80세는 중수라고 칭하기도 한다. [7] 다만, 가족끼리 바꿔서 정하는 것은 무방하다. [8] 때문에 상수를 맞은 할머니가 아들을 먼저 떠나보내는 경우도 있다. 사실 이 나이쯤 되면 장남이 거의 대부분 70대~80대 초반이라 누가 먼저 사망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으로 간주될 수 있다. [9] 2023년 기준 정확히 100살인 사람은 세는 나이(1924년생, 만 99세)로는 4,000명(약 0.8%), 만 나이(1923년) 공식 기준상으로 3,200명(약 0.6%) 정도 된다. 성별로는 남성보다 여성이 3배 더 많은 편이다. [10] 증가하지 않고 현재의 상황을 계속해서 유지한다는 전제 하에도 2022년생은 3.4%(남자 1.4%, 여자 5.5%)의 확률로 만 100세를 맞이할 것이라고 한다. 비공식 및 비법정단위인 세는나이로는 더 높을 듯 하다. [11] 말년에 영화 한 편( 빈센트와 나(1990)), 다큐멘터리 한 편( 잔 칼망과 함께하는 120년 간의 역사(1995))에 출연한 것이 전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