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수학|대수학 Algebra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이론 | |||
기본 대상 | 연산 · 항등식( 가비의 이 · 곱셈 공식( 통분 · 약분) · 인수분해) · 부등식( 절대부등식) · 방정식( /풀이 · 근( 무연근 · 허근 · 비에트의 정리( 근과 계수의 관계) · 제곱근( 이중근호 · 개방법) · 환원 불능) · 부정 · 불능) · 비례식 · 다항식 · 산술( 시계 산술) | |||
수 체계 | 자연수( 소수) · 정수( 음수) · 유리수 · 실수( 무리수( 대수적 무리수 · 초월수) · 초실수) · 복소수( 허수) · 사원수 · 팔원수 · 대수적 수 · 벡터 공간 | |||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 ||||
대수적 구조 | ||||
군(group) | 대칭군 · 기본군 · 자유군 · 리 군 · 괴물군 · 점군 · 순환군 · 군의 작용 · 동형 정리 · 실로우 정리 | |||
환(ring) | 아이디얼 | |||
체(field) | 갈루아 이론 · 분해체 | |||
대수 | 가환대수 · 리 대수 · 불 대수( 크로네커 델타) | |||
마그마· 반군· 모노이드 | 자유 모노이드 · 가환 모노이드 | |||
선형대수학 | 벡터 · 행렬 · 텐서( 텐서곱) · 벡터 공간( 선형사상) · 가군(module) · 내적 공간( 그람-슈미트 과정 · 수반 연산자) | |||
정리·추측 | ||||
대수학의 기본정리 · 나머지 정리 · 유클리드 호제법 · 부분분수분해 · PID 위의 유한생성 가군의 기본정리 ·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미해결 | ||||
관련 하위 분야 | ||||
범주론 |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토포스 이론 · 타입 이론 | |||
대수 위상수학 | 연속변형성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대수학( 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mapping class group · 닐센-서스턴 분류 · 호프대수 | |||
대수기하학 | 대수다양체 · 층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 |||
대수적 정수론 | 타원곡선 · 디오판토스 방정식 · 유리근 정리 · 모듈러성 정리 | |||
가환대수학 | 스펙트럼 정리 | |||
표현론 | 실베스터 행렬 | |||
기타 및 관련 문서 | ||||
수학 관련 정보 · 추상화 · 1학년의 꿈 · 노름 · 혼합계산 · 분배법칙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교재 | }}}}}}}}} |
1. 개요
自 由 群 / free group자유군은 주어진 문자(alphabet)들의 집합[1]으로부터 정의되는 가장 자연스러운 군의 구조이다. 이는 조건을 최소한으로 만족하는 군으로, 이름의 자유(free)는 이런 성질에서 기인한다.
2. 자유군의 이해와 구성
비어 있지 않은 집합 [math(S)]에 대하여, [math(S)]의 원소들을 나열한 단어(word)라는 개념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th(S = \{ a, b, c \})]라면, [math(abac)], [math(abb)], [math(cabbca)], [math(aaaaaa)] 등이 모두 단어이며 그 개수는 무수히 많다.[2] 물론 우리는 곱셈군의 구조를 생각할 것이므로, 위 단어들을 각각 [math(abac)], [math(ab^2)], [math(cab^2ca)], [math(a^6)] 등으로 적을 수 있다. 이제 이 단어들의 집합을 군으로 이해하려 한다. 군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연산'이 필요한데, 이 단어들의 모임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연산은 이어 쓰기(juxtaposition)가 될 것이다. 예를 들어[math(abac \cdot cab^2ca = abac^2ab^2ca)]
가 되며, 이어 쓰기가 결합법칙을 만족한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이제 이 단어들의 모임이 온전한 군이 되려면 항등원과 역원을 갖추어야 한다.
우선 항등원의 경우, 연산의 정의를 생각해 볼 때 비어있는 단어(empty word)가 가장 적절해 보인다.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비어있는 단어를 [math(1)]로 표시하고[3] 이 군의 항등원으로 정의한다. 실제로,
[math(abac \cdot 1 = abac \cdot \text{\_} = abac = \text{\_} \cdot abac = 1 \cdot abac)]
등이 성립하므로 항등원으로 놓는 것에 문제가 없다.
이제 마지막으로 역원이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의 이어 쓰기 연산은 단어의 길이가 늘어날 뿐, 줄어들지 않는데 이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 항등원이 비어있는 단어 [math(1)]이므로, 예를 들어 [math(cabbca)]에 어떤 단어를 곱해도 [math(1)]이 되지 않는 것.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집합을 생각한다.
[math(S^{-1} := \left\{ x^{-1} \ \rvert \ x \in S \right\})]
단, 우리가 처음 생각한 집합 [math(S)]가 군이 아니었기 때문에 [math(x^{-1})]와 같은 표현은 그 의미가 명확하지는 않다. 이제 이런 표현들을 단순히 형식적 기호(formal symbol)로 이해하고, 이를 1글자 단어로 포함시킨 후 연산 규칙 [math(x^{-1} \cdot x = 1 = x \cdot x^{-1})]을 부여한다. 그렇다면
[math(\begin{aligned} cabbca \cdot a^{-1}c^{-1}b^{-1}b^{-1}a^{-1}c^{-1} & = cabbc \cdot c^{-1}b^{-1}b^{-1}a^{-1}c^{-1} \\ & = cabb \cdot b^{-1}b^{-1}a^{-1}c^{-1} \\ & = cab \cdot b^{-1}a^{-1}c^{-1} \\ & = ca \cdot a^{-1}c^{-1} \\ & = c \cdot c^{-1} = 1 \end{aligned})]
이므로 [math(a^{-1}c^{-1}b^{-1}b^{-1}a^{-1}c^{-1})]이 [math(cabbca)]의 역원임을 알 수 있다. 또 [math(ab^{-1}a^2c)]같은 단어의 역원이 [math(c^{-1}a^{-2}ba^{-1})]이 되므로 이런 확장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이제 군의 연산, 항등원, 역원 등이 다 깔끔하게 정의되었지만 한 가지 문제가 남았다. 우리가 군의 개념을 완성하기 위해서 역원에 해당하는 형식적인 기호를 도입했고, 여기서 두 기호 사이의 관계가 정의되었다. 최소한의 조건만을 갖춘 군을 만들려 했지만 그 정의 때문에 조건이 아예 없는 군은 불가능했고, 연산 관계 [math(x^{-1} \cdot x = 1 = x \cdot x^{-1})]를 갖추어야만 한다는 것.[4] 그렇기 때문에
[math(abc^{-2}aa^{-1}c^2 = ab)]
와 같이, 그 표현이 다름에도 정의상 같은 단어들이 생긴다. 그래서 축약된 단어(reduced word)라는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 그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축약 규칙 [math(x^{-1} \cdot x = 1 = x \cdot x^{-1})]를 적용하여 단어의 길이를 가장 짧게 만든 것이 축약된 단어이다. 예를 들어, [math(abc^{-2}aa^{-1}c^2)]와 같은 단어의 축약된 단어는 [math(ab)]이다. 이런 축약된 단어는 각 단어마다 유일하게 결정되고, 축약된 단어들끼리의 연산(즉, 이어 쓰기 후 축약하기) 또한 유일하게 정해진다.
최종적으로, 우리는 집합 [math(S)]에 정의된 자유군(free group) [math((\mathcal F_S,\ \cdot \ ))]을 정의했다. 군의 원소들은 형식적 기호 집합 [math(S \cup S^{-1})]의 축약된 단어들의 모임이며, 연산은 이어 쓰기 후 축약하기가 된다. 이는 군으로서 갖춰야 할 최소 조건(결합법칙, 항등원, 역원)만을 가진 군이다. 이에 빗대어 볼 때 이름의 자유(free)는 '연산으로부터 자유롭다(free form relation)'는 의미라고 볼 수 있다.
자유군 [math((\mathcal F_S,\ \cdot \ ))]을 만드는 데에 쓰인 집합 [math(S)]를 생성집합(generating set), [math(S)]의 원소들을 생성원(generator)이라 부른다. 또, [math(\lvert S \rvert = n)]인 경우 [math(\mathcal F_S)] 대신 [math(\mathcal F_n)]의 표현도 사용한다.[5] 단순히 어떤 군 [math(G)]가 군으로서 자유(free as a group)이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math(G)]가 어떤 자유군과 동형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자유군의 부분군은 항상 자유이다[6]' 같은 식으로 쓴다.
3. 엄밀한 정의
위 문단에서는 집합 [math(S)]로부터 자연스럽게 자유군 [math((\mathcal F_S,\ \cdot \ ))]를 얻었다. 하지만 이는 자유군의 이해를 위해 상당히 간략화한 정의로, 실제 자유군의 정의와는 다르다. '축약된 단어', '이어 쓰기 후 축약하기' 등이 직관적으로는 그 의미가 명백하고 유일성도 자명하지만, 엄밀한 수학적 논증을 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이럴 때 보편 성질(Universal property)이 필요하다.
[ 정의 ] [math(S)]로부터 생성된 자유군(free group generated by [math(S)]) [math(S)]가 공집합이 아닐 때, 적당한 군 [math(\mathcal F(S))]와 함수 [math(\imath: S \to \mathcal F(S))]의 짝(pair) [math((\mathcal F(S), \imath))]가 다음 보편 성질을 만족한다고 하자.
이 때, [math(\mathcal F(S))]를[7] [math(S)]로부터 생성된 자유군(free group generated by [math(S)])라고 부른다. |
-
존재성: [math(\mathcal F(S))]를 2번 문단에서 정의한 [math(\mathcal F_S)]로, [math(\imath: S \to \mathcal F_S)]를 포함함수라고 할 때, 어떤 축약된 단어의 함숫값은 거의 당연하게 정해진다. 예를 들어 [math(S = \{x, y, z\})]이고 [math(x^2y^{-1}z \in \mathcal F_S)]라면,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th(\tilde f(x^2y^{-1}z) = \tilde f(x)^2 \tilde f(y)^{-1} \tilde f(z) = f(x)^2 f(y)^{-1} f(z))]}}}
이어야만 한다. 즉 [math((\mathcal F_S, \imath))]는 자유군.[8]
- 유일성: [math((\mathcal F(S), \imath))]와 [math((\mathcal F'(S), \jmath))]가 모두 [math(S)]로부터 생성된 자유군이라면, 아래 가환 다이어그램을 생각한다.
여기서 [math(\tilde{\imath}: \mathcal F'(S) \to \mathcal F(S))]와 [math(\tilde{\jmath}: \mathcal F(S) \to \mathcal F'(S))]는 각각 [math((\mathcal F'(S), \jmath))]와 [math((\mathcal F(S), \imath))]의 보편 성질로부터 얻어지는 유일한 준동형사상이다. 그러므로 두 사상의 합성 [math(\tilde{\imath} \circ \tilde{\jmath}: \mathcal F(S) \to \mathcal F(S))]를 생각할 수 있고, 이는 [math(\mathcal F(S))] 위의 자기준동형사상이다.
한편 [math((\mathcal F(S), \imath))]의 보편 성질로부터 [math(\imath: S \to \mathcal F(S))]는 준동형사상 [math(\mathcal F(S) \to \mathcal F(S))]를 유도하는데, 이는 그 유일성으로부터 [math(\text{id}_{\mathcal F(S)})] 이어야만 한다. 위 사실과 결합하면, [math(\tilde{\imath} \circ \tilde{\jmath} \equiv \text{id}_{\mathcal F(S)})]. 비슷하게 [math(\mathcal F(S))]와 [math(\mathcal F'(S))]의 역할을 바꾸어 생각하면 [math(\tilde{\jmath} \circ \tilde{\imath} \equiv \text{id}_{\mathcal F'(S)})]를 얻으며, 이 두 사실로부터 두 자유군 [math(\mathcal F(S))]와 [math(\mathcal F'(S))]는 동형임을 알 수 있다.
4. 관련 개념들
4.1. 군의 표현(group presentation)
모든 군들은 그 군의 성질을 특징지어주는 몇 개의 등식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소수 [math(p)]에 대하여 원소가 [math(p)]개인 순환군 [math(G)]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때 임의의 [math(x \in G)]에 대하여 [math(x^p = 1)]을 만족하며, 이런 등식을 관계(relation)이라고 한다. 군들은 이런 관계 여러개에 의해 특정지어지는데, 이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자유군에 관계를 정의하여 얻어졌다는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즉, 위에서 언급한 소수 순환군 [math(G)]와 같은 경우에는 생성집합이 [math(\{ x \})]인 자유군 [math(\mathcal F(\{ x \}))]에 관계 [math(x^p = 1)], 같은 말로 단어 [math(x^p = xxx \cdots x)]와 항등원 [math(1)]이 그냥 같은 단어라고 정의하여 얻어졌다고 보는 것이다. 이를[math(G \cong F(\{ x \}) / \langle x^p \rangle = \langle x \ | \ x^p \rangle)]
와 같이 표현하기도 한다. 그런데 과연 모든 군에서 이런 관점을 적용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들 수 있는데, 있다!
[ 정리 ] 모든 군은 어떤 자유군의 준동형상(homomorphic image)이다.
|
아래는 몇몇 군의 표현 예시이다. 더 많은 예시는 Wikipedia 참조.
-
순환군(cyclic group)
[math(\mathbb Z/n\mathbb Z \cong \left\langle x \ | \ x^n \right\rangle)] - [math(\mathbb Z/6\mathbb Z \cong \left\langle x, y \ | \ x^2 = y^3 = 1, yx = xy \right\rangle)][9]
-
두 순환군의 직합(direct sum)
[math(\mathbb Z \oplus \mathbb Z \cong \left\langle x, y \ | \ yx = xy \right\rangle)]
[math(\mathbb Z/m\mathbb Z \oplus \mathbb Z/n\mathbb Z \cong \left\langle x, y \ | \ x^m = y^n = 1, yx = xy \right\rangle)] -
정이면체군(dihedral group)
[math(D_{2n} \cong \left\langle x, y \ | \ x^n, y^2, (xy)^2 \right\rangle)] -
3번째 대칭군(symmetric group)
[math(S_3 \cong D_6 \cong \left\langle x, y \ | \ x^3, y^2, (xy)^2 \right\rangle)] -
사원수군(
해밀턴 군, quaternion group)
[math(Q_8 \cong \left\langle x, y \ | \ x^4 = 1, x^2 = y^2, yx = x^3y \right\rangle)]
4.2. 자유곱(free product)
군 [math(G_\alpha (\alpha \in I))]들의 자유곱(free product)은 [math(\bigcup_{\alpha \in I} G_\alpha)]의 원소들로 만들어진 자유군을 의미한다. 그런데 몇 가지 조심해야 할 점이 있다. 우선, 이 군들은 항등원 [math(1_{G_\alpha})]를 가지고 있는데 이들을 전부 같은 문자로 본다. 또, 2번 문단에서 형식적인 기호로 정의했던 [math(x^{-1})]들은 이 [math(x)]가 군의 원소이므로 그 의미가 확실하게 정의됨에 주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축약된 단어를 만들 때 축약 규칙 [math(x^{-1} \cdot x = 1 = x \cdot x^{-1})]뿐만 아니라 원래 군의 연산 규칙까지 모두 적용하여 축약을 해야 한다. 이렇게 얻어진 자유곱을 [math({\large *}_{\alpha \in I} G_\alpha)]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나[10], 범주론적인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math(\coprod_{\alpha \in I} G_\alpha)]의 표기도 쓰인다.예를 들어, 두 군 [math(G)]와 [math(H)]의 자유곱은 다음과 같은 원소들로만 이루어져 있다.
[math(g_1h_1g_2h_2 \cdots g_nh_n)]
[math(g_1h_1g_2h_2 \cdots h_ng_{n+1})]
[math(h_1g_1h_2g_2 \cdots h_ng_n)]
[math(h_1g_1h_2g_2 \cdots g_nh_{n+1})]
여기서 [math(g_i \in G - \left\{ 1_G \right\})], [math(h_i \in H - \left\{ 1_H \right\})]. 왜냐하면, 같은 군에 속하는 두 문자가 연달아 나타난다면 이는 두 문자의 연산 결과로 대체되기 때문이다. 또한 중간에 [math(1_G, 1_H)]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
한편 자유군 [math(\mathcal F(S))]는 [math(S)]의 원소 갯수인 [math(\lvert S \rvert)]만큼의 덧셈군 [math(\mathbb{Z})]의 자유곱으로 볼 수도 있다. 즉 [math(\mathcal F(S) \cong {\large *}_{1 \leq i \leq \lvert S \rvert} \mathbb{Z})]. 이 관점은 가환군화(abelianization)를 할 때 유용하다.
자유곱의 계산은 보기보다 훨씬 복잡하다. 예를 들어, 단순해 보이는 [math(\mathbb Z/2\mathbb Z * \mathbb Z/2\mathbb Z)]는 유한군조차 아니며, 각 [math(\mathbb Z/2\mathbb Z)]의 생성원 [math(a, b)]에 대하여 [math(abab\cdots a)]과 같은 원소들도 전부 포함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정수군 [math(\mathbb Z)]와도 동형이 아니며, 실제 계산 결과는 기묘하게도 두 군 [math(\mathbb Z)]와 [math(\mathbb Z/2\mathbb Z)]의 준직합(semidirect product) [math(\mathbb{Z} \rtimes \mathbb Z/2\mathbb Z)]가 된다.[11] 원소의 개수가 고작 4개밖에 되지 않는 [math(\mathbb Z/2\mathbb Z \times \mathbb Z/2\mathbb Z)]와도 비교해 보면 그 난해함이 더욱 잘 느껴진다. 유한군의 자유곱도 이정도로 난해한데, 자유군 [math(\mathcal F_2 = \mathbb Z * \mathbb Z)]와 같은 군들은 후술할 위상수학에서의 응용을 생각하지 않으면 성질을 파악하기조차 힘들다.
자유곱 또한 보편 성질로서 정의가 가능하며, 그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정의 ] 군 [math(G_\alpha (\alpha \in I))]들의 자유곱(free product) 군 [math(H)]와 [math(\alpha \in I)]들이 주어져 있다고 하자. 준동형사상 [math(f_\alpha: G_\alpha \to H)]들이 주어져 있을 때, 군 [math({\large *}_{\alpha \in I} G_\alpha)], 포함함수 [math(\imath_\alpha: G_\alpha \to {\large *}_{\alpha \in I} G_\alpha)]가 다음 성질을 만족하면, [math({\large *}_{\alpha \in I} G_\alpha)] 혹은 [math(({\large *}_{\alpha \in I} G_\alpha, \imath_\alpha))]를 군 [math(G_\alpha (\alpha \in I))]들의 자유곱(free product) 이라고 한다.
|
4.3. 자유 가환군(free abelian group)
자유 가환군(free abelian group)은 자유군에 교환법칙만을 조건으로 준 것이다. [math(S = \left\{ x, y, z \right\})]일 때, 위에서 설명한 군의 표현을 떠올려보면[math(\mathcal F(S) / \langle xy = yx, yz = zy, zx = xz \rangle \\ = \langle x, y, z \ | \ xy = yx, yz = zy, zx = xz \rangle)]
가 될 것이다. 이 군은 자유군에 비해 파악하기가 훨씬 간편한데, 예를 들어 [math(x^2zyx^{-1} = x^2zx^{-1}y = x^2x^{-1}zy = xzy = xyz)]와 같은 관계가 성립하므로 모든 원소를 [math(x^ay^bz^c (a, b, c \in \mathbb Z))]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환군의 범주 [math(\mathcal{Ab})]와 [math(\mathbb{Z})]- 가군의 범주 [math(\mathcal{Mod}_{\mathbb Z})]는 동형이므로, [math(S)]에 정의된 자유 가환군 원소들은 (더하기 표현을 남용하여)
[math(x^ay^bz^c \approx ax + by + cz \ \ \ \forall a, b, c \in \mathbb Z)]
와 같이 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집합 [math(S)]위에 주어진 자유 가환군 [math(\mathcal F_{\mathrm{ab}}(S))] 역시 보편 성질로서 정의되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정의 ] [math(S)]로부터 생성된 자유 가환군(free abelian group generated by [math(S)]) [math(S)]가 공집합이 아닐 때, 적당한 가환군 [math(\mathcal F(S))]와 함수 [math(\imath: S \to \mathcal F(S))]의 짝 [math((\mathcal F(S), \imath))]가 다음 보편 성질을 만족한다고 하자.
이 때, [math(\mathcal F(S))]를[13] [math(S)]로부터 생성된 자유 가환군(free abelian group generated by [math(S)])라고 부른다. |
[math(\mathcal F_{\mathrm{ab}}(S) \cong \left\{ \displaystyle\sum_{g \in G} n_gg \ \biggl| \biggr. \ n_g \in \mathbb{Z}, n_g = 0 \textsf{ almost every }g \in G \right\})]
라 볼 수도 있다.[14] 다만 자유 가환군을 이런 식으로 다룰 때는 우변의 [math(\displaystyle\sum_{g \in G} n_gg)]가 실제 합이 아닌, 형식적인 유한 합으로 보아야 함에 주의해야 한다. 이 때 두 원소의 연산은
[math(\displaystyle\sum_{g \in G} m_gg + \sum_{g \in G} n_gg = \sum_{g \in G} (m_g + n_g)g)]
로 주어진다. 물론 거의 모든 [math(m_g)]와 [math(n_g)]가 0이므로, [math(m_g + n_g)]도 거의 모두 0이고 이 연산이 잘 정의됨은 명백하다. [math(S)]가 유한집합이라면, 거의 모두 0인지 여부를 신경 쓸 필요가 없으므로 [math(\mathcal F_{\mathrm{ab}}(S) \cong \mathbb Z^{\lvert S \rvert})]라 봐도 무방하다.[15]
한편, 가환 다이어그램을 적절히 활용하면 다음 사실을 증명할 수 있다. 이는 관계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자유 가환군은 자유군에 교환법칙만을 추가하여 얻어진다는것을 의미한다.
[ 명제 ] 어떤 집합 [math(S)]가 생성하는 자유 가환군 [math(\mathcal F_{\mathrm{ab}}(S))]은 [math(S)]가 생성하는 자유군 [math(\mathcal F(S))]의 가환군화(abelianization)와 같다. 즉, [math(\mathcal F_{\mathrm{ab}}(S) = \mathcal F(S) / [\mathcal F(S), \mathcal F(S) ])] 이다.
|
5. 자유군의 쓰임새
자유군은5.1. 위상수학
대수학에서의 취급과는 다르게, 자유곱은 정말 뜬금없이 위상수학에서 등장한다. 그것도 상당히 중요한 개념인 공간의 기본군(fundamental group)을 계산할 때 필요한 내용. 자이페르트-반 캠펀 정리(Seifert-van Kampen theorem)에 따르면, 기본군이 [math(G, H)]인 두 공간을 한 점에서 이어붙인 공간의 기본군은 자유곱 [math(G * H)]이다.또한 덮개 공간(covering space)을 생각하면, 고리가 2개 연결된 8자 모양을 고리가 5개인 모양으로 잘 덮어서 [math(\mathcal F_2)] 안에 [math(\mathcal F_5)]를 집어넣을 수도 있고, 더욱 나아가 위에서 언급한 Nielsen–Schreier 정리(자유군의 부분군은 항상 자유이다)를 증명할 수도 있다.
[1]
즉, 이 집합은
군일 필요가 없다.
[2]
무한한 길이의 단어는 생각하지 않는다.
[3]
이 때문에 [math(1 \notin S)]를 가정하는 편이 좋다.
[4]
물론, 이 연산 규칙은 군이라면 당연히 가지고 있어야 하는 규칙이다.
[5]
생성집합의 기수가 같은 자유군이 동형이라는 사실은 명백하다.
[6]
놀랍게도 이 명제는 참이다.
[7]
정확히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math((\mathcal F(S), \imath))]를
[8]
이인석, 대수학,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의 10장 2절에 따르면 이는 '눈을 감으면 정말 당연하며,'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면
S. Lang, Algebra, 3rd ed., Addison-Wesley, 1993 의 67페이지를 참조할 것을 권했다.
[9]
[math(yx = xy)]는 [math(x^{-1}y^{-1}xy = 1)]와 같은 말. 한편 이 예시는 군의 표현이 유일하지 않음을 말하고 있다.
[10]
자유곱은 교환, 결합법칙이 성립하므로 이런 표기가 가능하다.
[11]
또 다른 해석으로는 바로 윗 단락에서 소개한 정이면체군 [math(D_{\infty})]이 된다고 한다. [math(a, b)]는 각각 0에 대한 반사, 1/2에 대한 반사에 대응된다.
[12]
군 2개의 자유곱만을 나타냈지만, 임의의 갯수로도 확장 가능하다.
[13]
정확히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math((\mathcal F(S), \imath))]를
[14]
[math(\textsf{almost every} \Leftrightarrow \textsf{all but finitely many})].
[15]
다만 무한집합의 경우에는 [math(\mathcal F_{\mathrm{ab}}(S) \not \cong \mathbb Z^{\lvert S \rvert})].
[16]
이는 핵(kernel)의 보편 성질이기도 하다.
[17]
위의 [math(\mathbb Z/2\mathbb Z * \mathbb Z/2\mathbb Z)]만 보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