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함수 ·
쌍곡선함수 Trigonometric Functions · Hyperbolic Function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080b0> 기본 개념 | 기하학{ 평면기하학( 삼각형 · 삼각비 · 원 · 쌍곡선)} · 해석학{ 좌표계 · 복소평면 · 함수( 초월함수 · 특수함수)} |
삼각함수 | 사인곡선(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 역함수 · 도함수 · 역도함수 · 관련 함수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 오일러 공식 · 푸리에 해석( 푸리에 변환) · 삼각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프레넬 적분 함수 · 디리클레 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함수 · 볼테라 함수 · 에어리 함수 · 야코비 타원 함수 | |
쌍곡선함수 | 현수선 · 쌍곡선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 |
1. 개요
Mittag-Lefflers sats / Mittag-Leffler 定 理 / Mittag-Leffler's theorem복소해석학에서 주어진 극점을 가지고 유리형 함수의 존재를 설명하는 정리이다. 이 정리는 부분 분수들의 합으로써 유리형 함수를 표현하는 데에 사용한다. 또한 주어진 영점을 가지고 전해석함수의 존재를 설명하는[1]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와 비슷하기도 하다. 스웨덴의 수학자 예스타 미타그레플레르가 정립했다.
2. 특징
[math(D)]를 [math(\mathbb C)]의 열린 집합으로 두고, [math(E\subset D)]를 닫힌 이산 부분집합이라고 하자. [math(E)]의 각 원소 [math(a)]에서, [math(p_\text{a}(z))]를 [math(\frac{1}{z-a})]의 다항식이라고 한다면, [math(D)]의 유리형 함수 [math(f)]가 [math(a\in E)]에서 존재할 때, 함수 [math(f(z)-p_\text{a}(z))]는 [math(a)]에서만 소거될 수 있다.눈여겨봐야 할 것은 [math(a)]에서의 [math(f)]의 주요부분이 [math(p_\text{a}(z))]라는 것이다. 추가로 확인할 것은, [math(E)]가 유한할 때, [math(\displaystyle f(z) = \sum_{a\in E}p_\text{a}(z))]로 정의되지만, [math(E)]가 무한할때는 [math(E)]에서 유한 부분 집합 [math(F)]로 구성된 유한합인 [math(\displaystyle S_\text F(z)= \sum_{a\in E}p_\text{a}(z))]로 정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ath(S_\text F(z))]의 수렴이 여전히 불가능할 때, [math(S_\text F(z))]의 주요부분의 변형없이 적절히 선택된 D값과 무관한 극점들을 가진 유리형 함수들을 소거해야 한다.
3. 예시
모든 양수에서 간단한 극점을 가진 유리함수를 얻는다고 하자. 상세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math(p_\text k = \dfrac {1}{z-k})]을 정의하자,이때 미타그레플레르 정리에 따라, [math(z=k)]에서 주요 부분 [math(p_\text{k}(z))]를 가진 유리함수 [math(f)]가 존재한다. 이말을 더 정확하게 수학식으로 쓰면 다음과 같이 된다.
[math(\displaystyle f(z) = \dfrac {1}{z} + \sum_{k=1}^{\infty} \dfrac {1}{k(z-k)})] |
4. 유리함수의 극점 전개
4.1. 삼각함수
삼각함수 ·
쌍곡선함수 Trigonometric Functions · Hyperbolic Function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080b0> 기본 개념 | 기하학{ 평면기하학( 삼각형 · 삼각비 · 원 · 쌍곡선)} · 해석학{ 좌표계 · 복소평면 · 함수( 초월함수 · 특수함수)} |
삼각함수 | 사인곡선(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 역함수 · 도함수 · 역도함수 · 관련 함수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 오일러 공식 · 푸리에 해석( 푸리에 변환) · 삼각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프레넬 적분 함수 · 디리클레 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함수 · 볼테라 함수 · 에어리 함수 · 야코비 타원 함수 | |
쌍곡선함수 | 현수선 · 쌍곡선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 |
삼각함수를 미타그레플레르 정리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colbgcolor=#efefef,#555555> [math(\boldsymbol{\tan(z)})] | [math(\displaystyle \sum_{n=0}^{\infty} \dfrac {8z}{(2n+1)^2{\pi}^2-4z^2})] |
[math(\boldsymbol{\csc(z)})]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sum_{n\in\mathbb Z} \dfrac {(-1)^n}{z-n{\pi}} = \dfrac {1}{z} + 2z \sum_{n=1}^{\infty} (-1)^n \dfrac {1}{z^2-(n{\pi})^2} \end{aligned})] |
[math(\boldsymbol{\sec(z)})]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sum_{n\in\mathbb Z} \dfrac {(-1)^{n-1}}{z-(n+ \dfrac {1}{2})} = \sum_{n=0}^{\infty} \dfrac {(-1)^n(2n+1){\pi}}{(n+ \dfrac {1}{2})^2{\pi}^2-z^2} \end{aligned})] |
[math(\boldsymbol{\cot(z)})]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sum_{n\in\mathbb Z} \dfrac {1}{z-n{\pi}} = \dfrac {1}{z} + 2z \sum_{k=1}^{\infty} \dfrac {1}{z^2 -(k{\pi})^2} \end{aligned})] |
4.2. 쌍곡선 함수
쌍곡선 함수를 삼각함수로 나타낸 정의식에서 유도할 수 있다.<colbgcolor=#efefef,#555555> [math(\tanh(z))] | [math(\displaystyle i\sum_{n=0}^{\infty} \dfrac {8iz}{(2n+1)^2{\pi}^2+4z^2})] |
[math(\operatorname{csch}(z))]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 \sum_{n\in\mathbb Z} \dfrac {(-1)^n}{iz-n{\pi}} = -i \left(-\dfrac{i}{z} + 2iz \sum_{n=1}^{\infty} (-1)^n \dfrac {1}{-z^2-(n{\pi})^2}\right) \end{aligned})] |
[math(\operatorname{sech}(z))]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sum_{n\in\mathbb Z} \dfrac {(-1)^{n-1}}{iz-(n+ \dfrac {1}{2})} = \sum_{n=0}^{\infty} \dfrac {(-1)^n(2n+1){\pi}}{(n+ \dfrac {1}{2})^2{\pi}^2+z^2} \end{aligned})] |
[math(\operatorname{coth}(z))]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 \sum_{n\in\mathbb Z} \dfrac {1}{iz-n{\pi}} = -i \left( -\dfrac{i}{z} + 2iz \sum_{k=1}^{\infty} \dfrac {1}{-z^2 -(k{\pi})^2}\right) \end {aligned})] |
4.3. 바이어슈트라스 무한곱과의 관계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특정한 전해석 함수를 수렴 조건과 영점을 가진 무한곱으로 표현함에 의의를 두고 있다. 마찬가지로, 미타그레플레르 정리를 활용하여 전해석함수의 바이어슈트라스꼴 무한곱을 만들수 있다.미타그레플레르 정리에 로그 미분을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dfrac{f'(z)}{f(z)} = \dfrac{f'(0)}{f(0)} +\sum_{k=1}^\infty \dfrac z{k(z-k)})]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_0^z \dfrac{f'(z)}{f(z)} \,{\rm d}z &= \ln f(z) -\ln f(0) = z\dfrac{f'(0)}{f(0)} +\sum_{k=1}^\infty \left[ \ln(z - k) -\ln(-k) +\dfrac z{k} \right] \end{aligned})]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z) = f(0) e^{z\frac{f'(0)}{f(0)}} \prod_{k=1}^\infty \biggl( 1 -\dfrac zk \biggr) e^{\frac zk} \end{aligned} )] |
5. 참고 문헌
- G. B. Arfken et al., Mathematical Method for Physicists : A Comprehensive Guide
[1]
혹은 전해석함수를 영점을 가진 무한곱으로 표현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