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량형 斤
척관법에서 사용하는 무게의 단위이다. 기원은 한(漢)나라 때 1근을 약 233g로 정한 데서 유래하는데, 곡식 중 가장 오래 전부터 사람들이 먹어왔으며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는 기장의 무게를 기준으로 삼았다. 곡물의 낱알은 동일 개체 내에서는 편차가 크지 않은 편이라 당시에는 나름 합리적인 기준이기도 했다. 또한 자연물을 기준으로 한 단위였기 때문에, 도량형을 반포하는 정권이 천명을 부여받았음을 상징하기에도 좋았다.‘1약(龠)에 채워지는 기장 1,200톨의 무게를 12수(銖)로 하고, 24수를 1량(兩), 16냥을 1근(斤), 30근을 1균(鈞), 4균을 1석(石)으로 한다’
『한서』 율력지
당(唐) 때에는 이것의 약 3배를 1근으로 삼았다. 이렇게 갑자기 무게가 뻥튀기된 이유는 풍흉이나 기후 변화, 농사 방식, 품종개량[1] 등에 따라 기장 낱알의 전체적인 크기나 무게 역시 중구난방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송(宋) 이후에 1근이 약 600g으로 정착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한 근은 고기나 한약재를 잴 때는
미터법으로 600g,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잴 때는 375g다. 조선 시대에는 한 근이 약 640g이었으나
대한제국 시기에 단위를
SI 단위로 통일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한 근을 600g으로 정했던 것이 지금까지 이어졌다.『한서』 율력지
중국에서는 미터법과 양립시키기 위해 1근을 500g, 1공근(公斤)을 1kg으로 맞춰서 사용하고 있다. 정확히는 중국어 도량형 표기에서 公과 市라는 접두어를 이해해야 한다. 公은 국제 단위계를 의미한다. 중국 전통 단위인 근(약 596그램)과 비슷한 값의 국제 단위(킬로그램)를 나타내기 위해 公斤을 사용한다. 市는 국민정부 시기에 도입된 접두어로, 중국 전통 단위를 국제 단위계와 변환이 편리하도록 변형시킨 단위에 쓰인다. 그래서 斤은 약 1/2 킬로그램인 것이고, 市斤은 정확히 1/2 킬로그램이다. 중국 대륙에서는 市를 생략하고 흔히 쓰이고 대만에서는 (일본의 영향으로) 근을 전통값에 좀 더 가까운 600 그램으로 사용 중이다. 그래서 斤의 값은 대륙과 대만이 다르다.
2. 수학 根
방정식에서 미지수의 참값을 가리킨다. 해라고도 한다.
복소수 범위 내에서 실수인 근[2]을 실근, 그렇지 않은 근을 허근이라고 한다.
3. 중국의 성씨 靳
중국의 성씨. 표준중국어로는 Jin(진)이다.유명인으로는 중화민국 국무총리를 지낸 근운붕( 진윈펑), 중국의 배우 근동(진둥),중국의 아이돌 근양양( 진양양) 등이 있다.
4. 하나라의 13대 국왕 근(廑)
하 국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1대 우왕 |
임시 익왕 |
제2대 계왕 |
제3대 태강 |
제4대 중강 |
제5대 상왕 |
비정통 후예 |
비정통 한착 |
제6대 소강 |
제7대 저왕 |
|
제8대 괴왕 |
제9대 망왕 |
제10대 설왕 |
제11대 불강 |
제12대 경왕 |
|
제13대 근왕 |
제14대 공갑 |
제15대 고왕 |
제16대 발왕 |
제17대 걸왕 |
|
삼황오제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수 · 당 오대 · 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하(夏) 제13대 국왕
근왕 廑王 |
||
왕호 | 근왕(廑王) | |
성 | 사(姒) | |
씨 | 하후(夏后), 하(夏) | |
휘 | 근(廑) | |
아버지 | 경왕(扃王) 사경(姒扃) | |
생몰 기간 | 음력 |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
재위 기간 | 기원전 ?년 ~ 기원전 ?년 (20년) |
중국 고대 국가로 알려진 하나라의 제13대 왕. 하나라의 제12대 국왕 경왕의 아들이다. 이름은 사근(姒廑).
《 사기》에는 아버지 경이 죽자 왕위에 올랐고, 그가 죽은 뒤엔 사촌 공갑이 근의 왕위를 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제왕세기》에서의 재위기간은 20년. 근의 사촌 동생 공갑이 왕위를 이은 이유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 죽서기년》에는 근왕이 재위하고 있을 때 하늘에 10개의 태양이 떠오르는 현상이 일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북송의 유서(劉恕)가 쓴 《통감전기》에는 그 일이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는데, 하늘에 10개의 태양이 떠오른 해에 죽었으며, 아들이 없었으므로 사촌 공갑이 왕위를 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5. 루리웹을 이르는 표현
근 / ㄹ
루리웹의 야민정음식 표기인 근근웹[3]의 '근' 자만 따서 만든 가성비 댓글이다. 더 줄여서 'ㄹ'이라고도 적는 경우도 빈번하지만 읽을때는 '리을'이 아니라 '근'으로 읽는 것이 국룰이다. 동의어로 근첩이 있다.
2022년 3월경부터는 야코 드립의 연장선으로 그냥 특정 명사의 앞글자만 지우고 '근'을 붙여서 부정적인 뉘앙스를 표현하는 밈으로 쓰이고 있다. 어원은 트위치에서 고름 출신 시청자들이 특정스트리머(조강현,김정수)의 방에서 뭔 근토체스여~같이 사용하던 것이 다른 스트리머들의 방에 전파되었고, 이후 결정적으로 스트리머 랄로의 "뭔 근든링이여~" 를 기점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다.
드립이 널리 퍼지다 보니 침착맨 방송의 채팅창에도 도배가 되었는데 처음엔 특정 사이트를 비하하는 표현을 쓰지 말라던 침착맨도 "뭔 근담이여~" 스스로 쓰고 웃는 영상이 클립으로 많이 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