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5 14:50:59

쌍곡선 함수

역쌍곡선 함수에서 넘어옴
초등함수
Elementary Func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567843> 대수함수 다항함수 ( 상수 · 1차 · 2차 · 3차 · 4차 · 추론 · 공식 ( 길이 · 넓이 ) · 소수생성) · 유리함수 · 무리함수
초월함수 지수함수( 확률밀도함수 · 허수지수함수 ) · 로그함수 ( 복소로그함수 ) · 삼각함수 · 역삼각함수 · 쌍곡선 함수 · 역쌍곡선 함수 }}}}}}}}}

삼각함수 · 쌍곡선함수
Trigonometric Functions · Hyperbolic Func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080b0> 기본 개념 기하학{ 평면기하학( 삼각형 · 삼각비 · · 쌍곡선)} · 해석학{ 좌표계 · 복소평면 · 함수( 초월함수 · 특수함수)}
삼각함수 사인곡선(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 역함수 · 도함수 · 역도함수 · 관련 함수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 오일러 공식 · 푸리에 해석( 푸리에 변환) · 삼각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프레넬 적분 함수 · 디리클레 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함수 · 볼테라 함수 · 에어리 함수 · 야코비 타원 함수
쌍곡선함수 현수선 · 쌍곡선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1. 개요2. 상세3. 정의
3.1. 기본형3.2. 역수형3.3. 역함수
4. 관련 공식
4.1. 항등식4.2. 덧셈 정리4.3. 배편각 공식4.4. 반편각 공식4.5. 합을 곱으로 고치는 공식4.6. 곱을 합으로 고치는 공식4.7. 도함수
4.7.1. 쌍곡선 함수4.7.2. 역쌍곡선 함수
4.8. 역도함수
4.8.1. 쌍곡선 함수4.8.2. 역쌍곡선 함수4.8.3. 특수 적분
5. 복소수와 쌍곡선 함수
5.1. 복소평면에서의 쌍곡선 함수의 그래프
6. 테일러 급수7. 기타8. 관련 문서

1. 개요

hyperbolic function ・

삼각함수가 원과 연관된다면 쌍곡선 함수는 쌍곡선과 연관된다는 특징이 있다. 삼각함수와 매우 유사한 성질을 띠며, 미분방정식과 함수 이론에서 쓰인다는 점에서도 비슷하다.

2. 상세

삼각함수는 원과 관련있는 함수이다. 즉,
[math(\begin{cases}x=\cos t \\ y=\sin t\end{cases})]
로 매개변수화를 하면
[math(x^2+y^2=\cos^2t+\sin^2t=1)]
이 되므로 [math(xy)]평면 상 중심이 원점인 단위원이 나오게 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math(\begin{cases}x=\cosh t \\ y=\sinh t\end{cases})]
로 매개변수화를 하면
[math(x^2-y^2=\cosh^2t-\sinh^2t=1)]
이 되므로 쌍곡선의 방정식이 나온다. 바로 이 점 때문에 이 함수들을 쌍곡선 함수라 부르는 것이다.

그래프 상에서 쌍곡선 함수가 어떻게 정의되는 지 보고자 한다.

파일:쌍곡선함수_정의_수정_수정.svg

쌍곡선 [math(x^2-y^2=1)]과 그 위의 한 점 [math(\rm P)]에 대하여, 원점과 [math(\rm P)]를 지나는 직선 [math(y=x\tanh a)], [math(x)]축, 쌍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가 [math(a)]가 될 때,[1] 점 [math(\rm P)]의 [math(x)]좌표와 [math(y)]좌표를 각각 [math(\cosh a)], [math(\sinh a)]로 정의한다.

이렇듯, 삼각함수와 유사한 특징이 많은 함수이지만, 결정적으로 쌍곡선 함수는 모든 실수에서 주기를 갖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3. 정의

3.1. 기본형

[math(\begin{aligned}
\sinh x &\equiv \dfrac{e^x-e^{-x}}2 \\
\cosh x &\equiv \dfrac{e^x+e^{-x}}2 \\
\tanh x &\equiv \dfrac{\sinh x}{\cosh x} = \dfrac{e^x-e^{-x}}{e^x+e^{-x}}
\end{aligned})]
[math(\sinh)], [math(\cosh)], [math(\tanh)]의 정식 명칭은 '쌍곡선의(hyperbolic)'라는 단어를 각 삼각함수의 명칭 앞에 붙인 표현, 즉 'hyperbolic sine', 'hyperbolic cosine', 'hyperbolic tangent'이다.[2] 영어권에서는 발음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어 다음과 같은 명칭이 통용되기도 한다.
  • [math(\sinh)]: 샤인(/ʃaɪn/), 신치(/sɪntʃ/)
  • [math(\cosh)]: 코샤인(/koʃaɪn/), 코시(/koʊʃ/)
  • [math(\tanh)]: [ruby(쌘,ruby=θ)](/θæn/), 탠치(/tæntʃ/)

각 함수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파일:나무_sinhx_그래프_수정.png 파일:나무_coshx_그래프_수정.png 파일:나무_tanhx_그래프_수정.png
[math(y=\sinh x)] [math(y=\cosh x)] [math(y=\tanh x)]

위에서 볼 수 있듯, [math(\sinh x)], [math(\tanh x)]는 기함수, [math(\cosh x)]는 우함수임을 알 수 있다. 또한, [math(\cosh x)]는 점 [math((0,\,1))]을 지남을 알 수 있고, [math(\tanh x)]는 점근선으로 [math(y = \pm 1)]을 가짐을 알 수 있다.

[math(\tanh x)]는 [math(operatorname{erf}(x))]와 개형이 비슷하며 이러한 개형을 시그모이드라고 부른다.[비교] 아예 이걸로 논문을 쓰기도 했다!

[math(\cosh x)]는 현수선(catenary)의 방정식이라고도 한다. 실의 양 끝을 팽팽하지 않게 고정시켜 늘어뜨렸을 때의 형태를 현수선이라고 하는데, 이 방정식의 일반항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a\cosh{{\left( \frac xa \right)}}=\frac a2(e^{x/a}+e^{-x/a}) \end{aligned} )]
이다. [math(a=1)]일 때 [math(\cosh x)]가 나온다.

3.2. 역수형

이 함수들은 기본형에 역수를 취한 함수이다.
[math(\begin{aligned}
\coth x &\equiv \dfrac1{\tanh x} \\
\operatorname{sech}x &\equiv \dfrac1{\cosh x} \\
\operatorname{csch}x &\equiv \dfrac1{\sinh x}
\end{aligned} )]
[math(\coth)], [math(\rm sech)], [math(\rm csch)]는 각각 'hyperbolic cotangent', 'hyperbolic secant', 'hyperbolic cosecant'라 읽는다. 기본형의 함수들과 마찬가지로, 영어권에서는 발음의 편의상 다음 명칭이 통용되기도 한다.
  • [math(\coth)]: 코쓰(/koʊθ/)
  • [math(\rm sech)]: 셰크(/ʃɛk/), 세치(/sɛtʃ/)
  • [math(\rm csch)]: 코셰크(/koʊʃɛk/), 코세치(/koʊsɛtʃ/)

[math(\rm sech)]은 따로 ' 오일러 수열 함수'라고 하기도 한다. 또한 정규 분포 그래프와 개형이 비슷하다.

3.3. 역함수

이 함수들은 기본형과 역수형의 역함수들이다. 쌍곡선 [math(x^2-y^2=1)]과 직선 [math(y=x\tanh a)], [math(x)]축으로 둘러싸인 도형[4]의 넓이(area)가 [math(a)]라는 특징으로부터, 이들 역함수에는 접두사 [math(\text{ar-})]을 붙여 쓰는 것이 정식 표기이고, 따라서 이 표기에서 각 함수의 정식 명칭은 'Area Hyperbolic ~'이다. 그런데, 쌍곡선 함수가 삼각함수와 유사하기 때문인지 [math(\text{arc-})]를 붙인 틀린 표현[5]도 자주 볼 수 있다. TI-Nspire 시리즈나 Desmos가 이 틀린 표현을 사용해서, artanh(x) 대신 arctanh(x)라고 입력해야 한다.

한편, 쌍곡선 함수가 지수함수를 이용해서 정의되는 특성상, 복소함수론에서는 역쌍곡선 함수의 정의역이 원래 함수의 지수, 즉 편각(argument)이 되기 때문에 간혹 접두사를 [math(\text{arg-})]로 쓰고 argument로 읽는 학자도 있다.[6]

편의상 정의역은 실수라고 가정했다.
[math(\begin{aligned}
\operatorname{arsinh}x &= \ln{(x+\sqrt{x^2+1})} \\
\operatorname{arcosh}x &= \ln{(x+\sqrt{x^2-1})} &&\qquad (x\ge1) \\
\operatorname{artanh}x &= \dfrac12\ln{\left( \dfrac{1+x}{1-x} \right)} &&\qquad (|x|<1) \\
\operatorname{arcoth}x &= \dfrac12\ln{\left( \dfrac{x+1}{x-1} \right)} &&\qquad (|x|>1) \\
\operatorname{arsech}x &= \ln{\biggl( \dfrac1x+\sqrt{\dfrac1{x^2}-1} \biggr)} &&\qquad (0<x \le 1) \\
\operatorname{arcsch}x &= \ln{\biggl( \dfrac1x+\sqrt{\dfrac1{x^2}+1} \biggr)} &&\qquad (x \ne 0)
\end{aligned} )]

표기와 관련하여, [math(\rm arsinh)], [math(\rm arcosh)], [math(\rm artanh)], [math(\rm arsech)], [math(\rm arcsch)], [math(\rm arcoth)]는 각각 [math(\rm sinh^{-1})], [math(\rm cosh^{-1})], [math(\rm tanh^{-1})], [math(\rm sech^{-1})], [math(\rm csch^{-1})], [math(\rm coth^{-1})]로 나타내기도 하고 실제로도 편의성과 가독성 때문에 많이 사용되나[7], 역삼각함수와 같이 수학계가 권장하는 표현은 아니다.

4. 관련 공식

4.1. 항등식

[math(\begin{aligned}
\cosh x \pm \sinh x&=e^{\pm x} \\ \\
\cosh^2x-\sinh^2x&=1 \\
1-\tanh^2x&=\operatorname{sech}^2x \\
\coth^2x-1&=\operatorname{csch}^2x \\ \\
\sinh(-x) &= -\sinh x \\
\cosh(-x) &= \cosh x \\
\tanh(-x) &= -\tanh x \\
\coth(-x) &= -\coth x \\
\operatorname{sech}(-x) &= \operatorname{sech}x \\
\operatorname{csch}(-x) &= -\operatorname{csch}x
\end{aligned})]

이 외에도 삼각함수를 다룰 때 다뤘던 특수함수의 극한 또한 쌍곡선 함수에서 성립한다.
[math(\begin{aligned}
\displaystyle \lim_{x \to 0} \frac{\sinh x}x&=1 \\
\displaystyle \lim_{x \to 0} \frac{\tanh x}x&=1
\end{aligned})]

4.2. 덧셈 정리

[math(\begin{aligned}
\sinh{(x\pm y)} &= \sinh x\cosh y \pm \cosh x\sinh y \\
\cosh{(x\pm y)} &= \cosh x\cosh y \pm \sinh x\sinh y \\
\tanh{(x\pm y)} &= \dfrac{\tanh x \pm \tanh y}{1\pm\tanh x\tanh y}
\end{aligned})]

이상은 모두 복부호동순이다. 덕분에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형태를 알고 있으면 쌍곡선함수 덧셈정리를 외우는 것은 부호에 일관성이 있으므로 더 쉽다.

4.3. 배편각 공식

[math(\begin{aligned}
\sinh{(2x)} &= 2\sinh x\cosh x \\
\cosh{(2x)} &= \cosh^2x + \sinh^2x \\
&= 2\sinh^2x+1 \\
&= 2\cosh^2x-1 \\
\tanh{(2x)} &= \dfrac{2\tanh x}{1+\tanh^2x}
\end{aligned})]

4.4. 반편각 공식

[math(\begin{aligned}
\sinh^2{\left(\dfrac x2\right)} &= \dfrac{\cosh x-1}2 \\
\cosh^2{\left(\dfrac x2\right)} &= \dfrac{\cosh x+1}2 \\
\tanh^2{\left(\dfrac x2\right)} &= \dfrac{\cosh x-1}{\cosh x+1}
\end{aligned})]

4.5. 합을 곱으로 고치는 공식

[math(\begin{aligned}
\sinh x \pm \sinh y &= 2 \sinh{\left(\dfrac{x \pm y}2\right)} \cosh{\left(\dfrac{x \mp y}2\right)} \\
\cosh x+\cosh y &= 2 \cosh{\left(\dfrac{x+y}2\right)} \cosh{\left(\dfrac{x-y}2\right)} \\
\cosh x-\cosh y &= 2 \sinh{\left(\dfrac{x+y}2\right)} \sinh{\left(\dfrac{x-y}2\right)}
\end{aligned})]

이상은 모두 복부호동순이다.

4.6. 곱을 합으로 고치는 공식

[math(\begin{aligned}
\sinh x\cosh y &= \dfrac12 \{\sinh{(x+y)}+\sinh{(x-y)}\} \\
\cosh x\sinh y &= \dfrac12 \{\sinh{(x+y)}-\sinh{(x-y)}\} \\
\cosh x\cosh y &= \dfrac12 \{\cosh{(x+y)}+\cosh{(x-y)}\} \\
\sinh x\sinh y &= \dfrac12 \{\cosh{(x+y)}-\cosh{(x-y)}\} \\
\end{aligned})]

4.7. 도함수

4.7.1. 쌍곡선 함수

[math(\displaystyle\begin{aligned}
\frac{\rm d}{{\rm d}x}( \sinh x )&= \cosh x \\
\frac{\rm d}{{\rm d}x}( \cosh x )&= \sinh x \\
\frac{\rm d}{{\rm d}x}( \tanh x )&= \operatorname{sech}^2x \\
\frac{\rm d}{{\rm d}x}( \operatorname{sech}x )&= -\operatorname{sech}x\tanh x \\
\frac{\rm d}{{\rm d}x}( \operatorname{csch}x )&= -\operatorname{csch}x\coth x \\
\frac{\rm d}{{\rm d}x}( \coth x )&= -\operatorname{csch}^2x
\end{aligned})]

4.7.2. 역쌍곡선 함수

[math(\displaystyle\begin{aligned}
\frac{\rm d}{{\rm d}x}( \operatorname{arsinh}x) &= \frac1{\sqrt{x^2+1}} \\
\frac{\rm d}{{\rm d}x}( \operatorname{arcosh}x) &= \frac1{\sqrt{x^2-1}} &&\qquad (x>1)\\
\frac{\rm d}{{\rm d}x}( \operatorname{artanh}x) &= \frac1{1-x^2} &&\qquad (|x|<1)\\
\frac{\rm d}{{\rm d}x}( \operatorname{arsech}x) &= -\frac1{x\sqrt{1-x^2}} &&\qquad (0<x<1)\\
\frac{\rm d}{{\rm d}x}( \operatorname{arcsch}x) &= -\frac1{|x|\sqrt{1+x^2}} &&\qquad (x\ne0) \\
\frac{\rm d}{{\rm d}x}( \operatorname{arcoth}x) &= \frac1{1-x^2} &&\qquad (|x|>1)
\end{aligned})]

[math(\operatorname{artanh}x)]와 [math(\operatorname{arcoth}x)]의 도함수는 형태는 같지만 [math(x)]의 범위가 다르다는 것에 주의하자.

4.8. 역도함수

4.8.1. 쌍곡선 함수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 \sinh x {\rm\,d}x &= \cosh x +{\sf const.} \\
\int \cosh x {\rm\,d}x &= \sinh x +{\sf const.} \\
\int \tanh x {\rm\,d}x &= \ln{(\cosh x)} +{\sf const.} \\
\int \operatorname{sech}x {\rm\,d}x &= 2\arctan{(e^x)} +{\sf const.} \\ &= \arctan{(\sinh x)} +{\sf const.} \\ &= \arcsin{(\tanh x)} +{\sf const.} \\ &= 2\arctan{\left \{ \tanh{\left(\frac x2 \right)}\right\}} +{\sf const.} \\ &= \operatorname{gd}x +{\sf const.} \\
\int \operatorname{csch}x {\rm\,d}x &= \ln{\left\{ \tanh{\left(\dfrac x2 \right)} \right\}} +{\sf const.} \\ &= \ln|\coth x-\operatorname{csch}x| +{\sf const.} \\
\int \coth x {\rm\,d}x &= \ln|\sinh x| +{\sf const.}
\end{aligned})]
위 식에서 [math(\operatorname{gd}x)]는 구데르만 함수(Gudermannian function)이고, [math({\sf const.})]는 적분 상수이다.

4.8.2. 역쌍곡선 함수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 \operatorname{arsinh}x {\rm\,d}x &= x\,\operatorname{arsinh}x - \sqrt{x^2+1} +{\sf const.} \\
\int \operatorname{arcosh}x {\rm\,d}x &= x\,\operatorname{arcosh}x - \sqrt{x^2-1} +{\sf const.} &&\qquad (x\ge1) \\
\int \operatorname{artanh}x {\rm\,d}x &= x\,\operatorname{artanh}x + \frac12\ln(1 - x^2) +{\sf const.} &&\qquad (|x|<1) \\
\int \operatorname{arsech}x {\rm\,d}x &= x\,\operatorname{arsech}x + \arcsin x +{\sf const.} &&\qquad (0<x\le1) \\
\int \operatorname{arcsch}x {\rm\,d}x &= x\,\operatorname{arcsch}x + \operatorname{arsinh}x +{\sf const.} &&\qquad (x\ne0) \\
\int \operatorname{arcoth}x {\rm\,d}x &= x\,\operatorname{arcoth}x + \frac12\ln(x^2-1 ) +{\sf const.} &&\qquad (|x|>1)
\end{aligned})]

단, [math({\sf const.})]는 적분 상수이다.

4.8.3. 특수 적분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nt \sinh|x| {\rm\,d}x &= \operatorname{sgn}(x) \,(\cosh x-1) - 1 +{\sf const.} \\
\int \cosh|x| {\rm\,d}x &= \sinh x +{\sf const.} \\
\int \tanh|x| {\rm\,d}x &= \operatorname{sgn}(x) \,(\ln\circ\cosh)(x) +{\sf const.} \\
\int \operatorname{coth}|x| {\rm\,d}x &= \operatorname{sgn}(x) \,(\ln\circ\sinh)(x) +{\sf const.} \\
\int \operatorname{sech}|x| {\rm\,d}x &= 2\,(\arctan\circ\tanh)\biggl(\frac x2\biggr) +{\sf const.} \\
\int \operatorname{csch}|x| {\rm\,d}x &= \operatorname{sgn}(x) \,(\ln\circ\tanh)\biggl(\frac x2\biggr) +{\sf const.} \\
\int \left|\sinh x\right| {\rm\,d}x &= (\operatorname{sgn}\circ\sinh)(x) \cosh x +{\sf const.} \\
\int \left|\cosh x\right| {\rm\,d}x &= (\operatorname{sgn}\circ\cosh)(x) \sinh x +{\sf const.} \\
\int \left|\tanh x\right| {\rm\,d}x &= (\operatorname{sgn}\circ\tanh)(x) \,(\ln\circ\cosh)(x) +{\sf const.} \\
\int \left|\operatorname{coth}x\right| {\rm\,d}x &= (\operatorname{sgn}\circ\operatorname{coth})(x) \,(\ln\circ\sinh)(x) +{\sf const.} \\
\int \left|\operatorname{sech}x\right| {\rm\,d}x &= 2\,(\operatorname{sgn}\circ\operatorname{sech})(x) \,(\arctan\circ\tanh)\biggl(\frac x2\biggr) +{\sf const.} \\
\int \left|\operatorname{csch}x\right| {\rm\,d}x &= (\operatorname{sgn}\circ\operatorname{csch})(x) \,(\ln\circ\tanh)\biggl(\frac x2\biggr) +{\sf const.} \\
\int x\tanh x{\rm\,d}x &= -\frac12 \operatorname{Li}_2(-e^{-2x}) + \frac{x^2}2 + x\ln\!{(e^{-2x}+1)} +{\sf const.} \\
\int x\,\operatorname{coth}x{\rm\,d}x &= -\frac12\operatorname{Li}_2(e^{-2x}) + \frac{x^2}2 + x\ln\!{(-e^{-2x}+1)} +{\sf const.} \\
\int x\,\operatorname{sech}x{\rm\,d}x &= i\operatorname{Li}_2(ie^{-x}) - i\operatorname{Li}_2(-ie^{-x}) + 2x\operatorname{arccot}(e^x) +{\sf const.} \\
\int x\operatorname{csch}x{\rm\,d}x &= \operatorname{Li}_2(\sinh x-\cosh x) - \operatorname{Li}_2(e^{-x}) - 2x\operatorname{arcoth}(e^x)+C \\
\int \frac{\sinh x}x {\rm\,d}x &= \operatorname{Shi}(x) +{\sf const.} \\
\int \frac{\cosh x}x {\rm\,d}x &= \operatorname{Chi}(x) +{\sf const.} \\
\int \sinh{e^x}{\rm\,d}x &= \operatorname{Shi}(e^x) +{\sf const.} \\
\int \cosh{e^x}{\rm\,d}x &= \operatorname{Chi}(e^x) +{\sf const.} \\
\int \sinh(x^{-1}) {\rm\,d}x &= x \sinh(x^{-1}) - \operatorname{Chi}(x^{-1}) +{\sf const.} \\
\int \cosh(x^{-1}) {\rm\,d}x &= x \cosh(x^{-1}) - \operatorname{Shi}(x^{-1}) +{\sf const.} \\
\int \sinh x^2{\rm\,d}x &= \frac{\sqrt{\pi}}4\{\operatorname{erfi}(x) - \operatorname{erf}(x)\} +{\sf const.} \\
\int \cosh x^2 {\rm\,d}x &= \frac{\sqrt{\pi}}4\{\operatorname{erfi}(x) + \operatorname{erf}(x)\} +{\sf const.}
\end{aligned} )]
위 식에서 [math(\operatorname{sgn}(x))]는 부호 함수, [math(\operatorname{Shi}(x))], [math(\operatorname{Chi}(x))]는 각각 쌍곡선 사인 적분, 쌍곡선 코사인 적분, [math(\operatorname{Li}_2(x))]는 폴리로그함수, [math(\operatorname{erf}(x))]는 오차함수, [math(\operatorname{erfi}(x))]는 복소오차함수, [math({\sf const.})]는 적분 상수이다.

5. 복소수와 쌍곡선 함수

이 문단서부터는 이제부터 정의역을 복소수 영역까지 확장할 것이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sin x&=\frac{e^{ix}-e^{-ix}}{2i} \\ \cos x&=\frac{e^{ix}+e^{-ix}}2 \end{aligned} )]
오일러 공식에 의해
[math(\displaystyle e^{ix}=\cos x+i\sin x)]
임을 안다.

위를 이용하면 아래를 얻는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sinh{(ix)}&=i\sin x \\
\cosh{(ix)}&=\cos x \\
\tanh{(ix)}&=i\tan x
\end{aligned} )]
마찬가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i \sin{(ix)}&=\sinh x \\
\cos{(ix)}&=\cosh x \\
-i\tan{(ix)}&=\tanh x
\end{aligned} )]
임을 얻는다. 또한, 복소수 범위에서 쌍곡선 사인, 코사인, 시컨트, 코시컨트 함수는 [math(2\pi i)]의 주기를 갖는다. 쌍곡선 탄젠트, 코탄젠트 함수는 [math(\pi i)]의 주기를 갖는다.

5.1. 복소평면에서의 쌍곡선 함수의 그래프

파일:Complex_Sinh.jpg 파일:Complex_ArcSinh.jpg
[math(\sinh z)] [math(\operatorname{arsinh}z)]
파일:Complex_Cosh.jpg 파일:Complex_ArcCosh.jpg
[math(\cosh z)] [math(\operatorname{arcosh}z)]
파일:Complex_Tanh.jpg 파일:Complex_ArcTanh.jpg
[math(\tanh z)] [math(\operatorname{artanh}z)]
파일:Complex_Coth.jpg 파일:Complex_ArcCoth.jpg
[math(\coth z)] [math(\operatorname{arcoth}z)]
파일:Complex_Sech.jpg 파일:Complex_ArcSech.jpg
[math(\operatorname{sech} z)] [math(\operatorname{arsech}z)]
파일:Complex_Csch.jpg 파일:Complex_ArcCsch.jpg
[math(\operatorname{csch} z)] [math(\operatorname{arcsch}z)]

6. 테일러 급수

아래는 [math(x=0)] 주위에서 전개한 것이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sinh x&=x+\frac{x^3}6+\frac{x^5}{120}+\cdots \\
&=\sum_{k=0}^{\infty} \frac{x^{2k+1}}{(2k+1)!} \\
\cosh x&=1+\frac{x^2}2+\frac{x^4}{24}+\cdots \\
&=\sum_{k=0}^{\infty} \frac{x^{2k}}{(2k)!} \\ \tanh x &= \sum_{n=1}^\infty \frac{ \left( 16^n - 4^n \right) B_{2n}}{(2n)!} x^{2n-1} \\ &= x - \frac13 x^3 + \frac 2{15}x^5 - \frac{17}{315}x^7 + \cdots \\ \operatorname{sech}x &= \sum_{n=0}^\infty \frac{E_{2n}}{(2n)!} x^{2n} \\&= 1 - \frac 12x^2 + \frac5{24}x^4 - \frac{61}{720}x^6 + \cdots \\ \operatorname{csch}x &= \sum_{n=0}^\infty \frac{ \left( 2 - 4^n \right) B_{2n}}{(2n)!} x^{2n-1}\\ &= \frac1x - \frac16x + \frac7{360}x^3 - \frac{31}{15120}x^5 + \cdots \\ \coth x &= \sum_{n=0}^\infty \frac{4^n B_{2n}}{(2n)!} x^{2n-1} \\&= \frac1x + \frac13x - \frac1{45}x^3 + \frac2{945}x^5 - \cdots \end{aligned})]
[math(B_n)]은 베르누이 수열, [math(E_n)]은 오일러 수열이다.

7. 기타

  • 쌍곡선 함수 중 [math(\cosh x)] 곡선을 현수선이라 한다.
    • 물리학적으로 균일한 밀도의 줄이나 선이 이 형태를 띄면 총 퍼텐셜 에너지가 최소화 되기 때문에 두 점 사이에 균일한 밀도의 줄이나 선을 연결하면 현수선 모양을 띄게 된다.
  •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사용되는 기하학에서 쌍곡선 함수의 위상은 평범한 기하학에서 삼각함수의 위상과 비슷하다.
  • 본격적인 용어와 성질 등은 대학 미적분학을 배우면서 습득하게 되나, 고등학교 미적분 문제에서도 간간히 나오는 함수이다. 다만, 용어를 직접적으로 쓰진 못하고, 정의식을 그대로 주어 문제로 낸다.

8. 관련 문서



[1] 위 그림에서는 [math(x\ge0)]인 영역만 색칠되어있지만 [math(x<0)]인 영역도 해당하며, 이 영역 역시 넓이가 [math(\dfrac a2)]이다. [2] hyperbolic을 의미하는 [math(\rm h)]가 뒤쪽에 붙어있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싸인 하이퍼볼릭' 혹은 그냥 '싸인 에이치'라고 하기도 한다. [비교] 파일:namu_compare_erf_tanh_new.png [4] 즉 가로, 세로의 길이가 [math(\cosh a)], [math(\sinh a)]인 직각삼각형의 넓이에서 [math(\displaystyle\int_1^{\cosh a}\sqrt{x^2-1}{\rm\,d}x)]를 뺀 값의 2배 [5] 역삼각함수의 접두사 [math(\text{arc-})]가 붙은 유래를 잘 생각해보면 당연한 건데, 단위원에서 각의 크기(역삼각함수의 값)는 곧 호(arc)의 길이와 같다. 즉, [math(\text{arc-})]라는 접두사는 단위원과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는 용어인 셈이다. [6] 함수 표기가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지만 혼동의 여지를 막는다는 점에서는 매우 효과적인 표기다. 당장 아래 예에서 [math(\rm arcosh)], [math(\rm arcoth)], [math(\rm arcsch)]만 봐도 접두사를 [math(\text{arc-})]로 잘못 읽을 여지가 있으며 특히 [math(\rm h)]가 맨 마지막에 있기 때문에 대충 읽으면 역삼각함수로 오해하기 딱 좋다. [7] 이 표기법이 -1제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약속만 있으면, 필기로 쓸 때에도 sinh에 '-1' 작게 두 획 긋는 게 더 쉽고, ar- 를 붙이는 것보다 가독성도 높아지기 때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