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代 數 函 數
초등함수 Elementary Function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대수함수 | 다항함수 ( 상수 · 1차 · 2차 · 3차 · 4차 · 추론 · 공식 ( 길이 · 넓이 ) · 소수생성) · 유리함수 · 무리함수 |
초월함수 | 지수함수( 확률밀도함수 · 허수지수함수 ) · 로그함수 ( 복소로그함수 ) · 삼각함수 · 역삼각함수 · 쌍곡선 함수 · 역쌍곡선 함수 | }}}}}}}}} |
다항식의 근으로 표현할 수 있는 함수이다. 다항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가 대수함수에 속한다.
2. 對 數 函 數
이건 대수(代數)가 아니라 대수(對數)이다. 그리고 대수(代數)함수와 다르게 초월함수로 밖에 표현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