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15 계열의 자동소총에 대한 내용은 부시마스터 XM-15 문서 참고하십시오.
Medium Tank, M4 | |||||
M4 | M4A1, M4 컴포지트 헐 | M4A2 | M4A3 | M4A4 | M4 (105) |
기타 형식 | |||||
운용국 | 미디어 |
|
Medium Tank, M4A3 |
1. 개요2. 형식3. 파생형
3.1. 미국
4. 실전5. 운용국3.1.1. 장갑 증가 파생형3.1.2. 무장 교체 파생형3.1.3. 장비 추가 파생형3.1.4. 장비 교체 파생형
3.2. 유고슬라비아 연방3.1.4.1. POA-CWS-H1-H2 / M4A3R3 Zippo
3.1.5. 비무장 파생형5.1. 아메리카5.2. 유럽5.3. 아시아
6.
미디어7. 둘러보기1. 개요
|
중기형 M4A3 기동 영상 |
|
포드 GAA V8 엔진 |
2. 형식
2.1. 75mm 사양
2.1.1. M4A3 (75)
|
M4A3 (75) |
2.1.2. M4A3 (75) W HVSS
|
M4A3 (75) W HVSS |
2.2. 76mm 사양
2.2.1. M4A3 (76) W
|
M4A3 (76) W |
2.2.2. M4A3 (76) W HVSS '이지 에잇'
|
M4A3 (76) W HVSS |
3. 파생형
3.1. 미국
3.1.1. 장갑 증가 파생형
3.1.1.1. M4A3E2 "점보 셔먼"
|
M4A3E2 "Jumbo Sherman" |
|
미 육군 제3기갑사단 소속 76mm M1A1 대전차포 장착 M4A3E2, 1945년 3월 6일 쾰른[2] |
|
|
점보 셔먼 기동 영상[3] |
이는 셔먼의 설계에 이례적으로 여유가 많았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점보 셔먼이 나오기 전 M4A3 전측면에 무게추를 달아 총 중량 37톤 상태로 500마일을 주행하는 테스트를 했는데 차량에 큰 문제가 없었다. 게다가 무게중심이 잘 잡혀 있다는 것도 중요했는데 동시대의 T-34나 4호 전차는 무게중심이 전방에 쏠린 구조 덕분에 전면 장갑 강화가 힘들었으나 셔먼은 포탑이 차체 중앙에 있어서 무게 중심이 잘 맞은 덕분에 장갑을 증설하고서도 큰 문제가 없었다. 무게가 한참 늘어났음에도 기동성이나 최고속도, 포탑 회전속도 등에서 심각한 저하가 일어나지 않았다.
사실 이런 중장갑형 셔먼은 일종의 임시조치였다. 원래 돌파용 중장갑 전차로는 M26 퍼싱 등의 보다 강력한 장갑과 화력을 가진 전차를 투입할 계획이었으나, 개발이 늦어지면서 어쩔 수 없이 셔먼을 임시개조 형식으로 만들어 투입한 것. 그래서 무리를 해가며 거의 차체의 한계까지 장갑을 장착한 터라 서스펜션도 고장이 잘 나고, 궤도 폭을 넓혔음에도 접지압이 높아져서 습지나 다리를 건너기 힘들어지는 등 아쉬운 부분은 있었으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정도는 아니었고 방호력도 강력한 장갑 덕분에 PaK 40의 사격을 모든 교전 거리에서 아무런 문제 없이 튕겨내고 8,8cm FlaK에도 쉽게 파괴되지 않았다고 한다. 티거의 88/56과 판터의 75/70도 전면에서 상당수 방호 가능했다. 수백 야드 거리에서 88mm 포탄을 방호하고 바로 반격해서 운용인원째 날려버린 사례도 있다. [5]
포탑이 기본적으로 76mm 포를 장착 가능한 T23 포탑의 장갑 강화형이었고 마운트 역시 보통 76mm 포를 장착했던 M62였음에도 75mm 주포를 장착했다. 탄약을 넉넉히 싣고 다닐 수 있고 적당한 장갑관통력과 고폭탄 성능 덕에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75mm M3 포는 1944년 즈음 들어서면서 대전차전용으로는 완전히 꽝인 포였고, 실제로도 장거리 저격시 독일군 전차에 대해서는 전혀 대응을 하지 못하였기에, 나중에는 임시조치로 76mm 포를 얹어 사용하기도 했다.
M4A3E2 강습 전차는 전투에서 큰 활약을 하였고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음.
기존 전차의 전선 투입에 차질을 빚지 않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많은 양을 양산하여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해당 전선(유럽 전선)에 투입할 것을 요청함.
아이젠하워 총사령관, 1944년 1월 3일에 보낸 요청에서.
아이젠하워 총사령관, 1944년 1월 3일에 보낸 요청에서.
어찌보면 화력에만 몰빵했던 셔먼 파이어플라이와 완벽한 대척점에 서있는 물건. 실전에서는 대열의 선두에서 탱커로서 아군 전차대대가 맞을 분량의 PaK 40을 1~2대가 전부 다 맞아주고도 멀쩡히 굴러갈 수 있었고, 이는 점보와는 반대의 테마로 만든 파이어플라이가 티거에게 먼저 발견될 경우 쪽도 못쓰고 격파되던 것과 대비된다. 물론 다른 전차 대신 대전차포의 집중 포화를 받아주는 역할을 맡다보니 격파된 차량도 많았고[6] 하단 장갑은 그대로라서 대전차 지뢰에 격파된 사례도 종종 있었으나, 일반적인 셔먼이라면 진작에 터지고도 남았을 상황을 견뎌낸 덕분에 일선에서의 평가는 그야말로 대호평이었다. 밀덕 사이에서 셔먼이 야라레메카 취급만 받던 시절에도 점보 셔먼만은 뛰어난 방호력 덕분에 예외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아왔다.
심지어 전차하면 기동성이 최우선이라 생각한 조지 S. 패튼 장군조차도 점보 셔먼이 마음에 들어서 보급 요청을 했다. 하지만 생산 수량이 250대 정도에 불과한 귀한 몸이라 얻지 못하게 되자 비슷한 용도로 쓸 수 있도록 슈퍼 퍼싱처럼 현지에서 파괴된 전차에서 뜯어낸 장갑을 용접해 붙이라는 지시를 했을 정도.
|
아르덴 대공세 때 포위망을 뚫고 가장 먼저 바스토뉴에 도착한 미 육군 제4기갑사단의 M4A3E2 점보 셔먼 Cobra King[7] |
3.1.1.2. M4A3 (75) W HVSS (HCR2)
|
M4A3 (75) W HVSS (HCR2) |
3.1.2. 무장 교체 파생형
3.1.2.1. M4A3E4
|
M4A3E4 |
3.1.2.2. M36B1
|
3.1.2.3. M4A3 (105)
|
M4A3 (105) HVSS |
3.1.2.4. M40 GMC
|
3.1.3. 장비 추가 파생형
3.1.3.1. T31
|
T31 Demolition tank |
3.1.3.2. T33
|
T33 |
3.1.3.3. M4A3 (T34)
|
M4A3 (T34) |
3.1.4. 장비 교체 파생형
3.1.4.1. POA-CWS-H1-H2 / M4A3R3 Zippo
|
POA-CWS-H1-H2 / M4A3R3 Zippo |
3.1.5. 비무장 파생형
3.1.5.1. M32A1B3 TRV
|
M32A1B3 Tank Recovery Vehicle |
3.1.5.2. M74 TRV
|
M74 Tank Recovery Vehicle |
3.2. 유고슬라비아 연방
3.2.1. 무장 교체 파생형
3.2.1.1. SO-122
|
SO-122 |
|
유고슬라비아제 ISU-122라고 볼 수 있다.
4. 실전
4.1. 제2차 세계 대전
4.1.1. 독소전쟁
|
소련군 노획 제10 SS기갑사단 "프룬츠베르크" 소속 M4A3 (75) W 513호차, 1945년 4월 15일[9] |
4.1.2. 서부전선
4.1.2.1. 체코슬로바키아 해방
|
체코슬로바키아 해방 당시 플젠에서의 미 육군 소속 M4A3 (75) HVSS |
4.2. 냉전
4.2.1. 6.25 전쟁
|
네이팜 고지를 향해 포격중인 미 육군 제2보병사단 72전차대대 B중대 소속 M4A3E8, 1952년 5월 11일 |
|
한강에서의 M4A3E8 |
|
대한민국 해병대 소속 M4A3E8 |
4.2.1.1. 장진호 전투
|
장진호 전투 당시의 미 육군 소속 M4A3 (76) W HVSS |
4.2.2. 쿠바 혁명
|
산타클라라 전투 당시 쿠바 혁명군에게 노획된 M4A3 (76) W HVSS와 체 게바라 |
4.2.3. 4.19 혁명
|
4.19 혁명 당시 진압용으로 투입된 대한민국 육군 소속 M4A3E8 |
|
4.19 혁명 당시 시위대와 합세한 대한민국 육군 소속 M4A3E8[11] |
군인들이 주춤하는 모습을 본 구두닦이 소년이 전차 포탑 위로 올라가 태극기를 들고 외쳤다.
"대한민국 국군 만세!"[12]
이후 계엄군은 시위대 편으로 완전히 돌아서 현장에 출동할 때마다 시위대의 따뜻한 환영과 환호, 박수를 받았으며 이후 시위대가 시위를 벌이는 곳에는 항상 전차가 호위하듯 따라다니며 시위대와 전차 조종수들이 함께 태극기를 흔들며 이승만 하야 구호를 외쳤다.
4.2.4. 5.16 군사정변
|
5.16 군사정변 당시의 M4A3E8 |
5. 운용국
5.1. 아메리카
5.1.1. 북아메리카
5.1.1.1. 미국
|
베틀필드 베가스 소장 M4A3(75)[13] |
5.1.2. 중앙아메리카
5.1.2.1. 멕시코
|
멕시코 육군 소속 M32 TRV "Chencha", 2016년 3월 |
5.1.2.2. 니카라과
|
니카라과 국가근위대의 M4A3(105) HVSS, 1979년 |
5.1.3. 카리브
5.1.3.1. 쿠바
쿠바 공화국의 대독 선전포고 당시 미군으로부터 몇몇 단차들을 원조받았으며, 쿠바 혁명 이후 원조받았던 M4A3E8과 M3 등 몇몇이 노획되고 훈련용으로 활용됐으나 피델 카스트로 정권이 친소 라인을 탄 이후 T-34-85CZ와 IS-2M, SD-100 등을 원조받은 후 전량 퇴역했다.5.1.4. 남아메리카
5.1.4.1. 브라질
|
브라질 육군 소속 M74 TRV |
5.1.4.2. 베네수엘라
|
베네수엘라 육군 소속 M74 TRV |
5.1.4.3. 우루과이
|
우루과이 육군 소속 M74 TRV |
5.1.4.4. 페루
|
레알 펠리페 박물관 소장 페루 육군 소속 M4A3(75) "EP 150" |
5.1.4.5. 파라과이
M4A3 3대를 2018년까지 굴렸다.5.2. 유럽
5.2.1. 서유럽
5.2.1.1. 영국
영국군 제식명 | 세부사항 |
셔먼 IV | 75mm M3 전차포를 장착하고 있는 M4A3의 영국군 제식명. |
셔먼 IVA | 76mm M1 / M1A1 / M1A2 전차포, VVSS 현가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M4A3 (76) W의 영국군 제식명 |
셔먼 IVAY | 76mm M1 / M1A1 / M1A2 전차포, HVSS 현가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M4A3 (76) W HVSS의 영국군 제식명 |
5.2.1.2. 벨기에
|
바스토뉴 박물관 소장 벨기에 왕립 육군 소속 M74 TRV |
5.2.2. 중부유럽
5.2.2.1. 독일
5.2.2.1.1. 나치 독일
|
1945년 M36 잭슨에게 격파된 독일 국방군 소속 M4A3(76)W VVSS |
|
1945년 벌지 전투 당시 유기된 룩셈부르크 아르덴 호텔 앞의 독일 국방군 소속 M4A3 |
5.2.2.1.2. 독일연방공화국
|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베르게판처 M74 |
5.2.3. 북유럽
5.2.3.1. 덴마크
|
옥스뵐 전차 박물관 소장 M4A3E4 |
5.2.4. 남유럽
5.2.4.1. 이탈리아
|
M74 TRV |
5.2.4.2. 그리스
|
그리스 육군 박물관 소장 M32A1B3 TRV |
5.2.4.3. 포르투갈
|
M4A3E4 |
|
엘바스 군사 박물관 소장 M74 TRV |
5.2.4.4. 유고슬라비아 연방
|
피브카 군사 박물관 소장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소속 M4A3E4 |
5.2.4.5. 슬로베니아
|
군사 역사 공원 소장 M4A3E4 |
5.2.4.6. 세르비아
|
M4A3E4 |
5.2.4.7. 크로아티아
|
페트린냐 군사 기지 소장 M4A3E4 |
5.2.4.8. 북마케도니아
|
Goce Delchev 육군 기지 소장 M4A3E4 |
5.3. 아시아
5.3.1. 동아시아
5.3.1.1. 대한민국
|
용산 전쟁기념관 야외전시 대한민국 국군 소속 M4A3E8[14] |
|
용산 전쟁기념관 실내전시 대한민국 국군 소속 M4A3E8[15] |
초기 한국 육군의 차량은 M8 그레이하운드 정찰 장갑차와 M3 하프트랙 병력수송용 장갑차, 그리고 군마(軍馬)[16]라 전차가 아예 없었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이런 전력은 북한군에게 대판 깨졌고, 노획한 소련제 SU-76M과 1950년 11월에 미군이 준 M36 GMC를 경전차로 간주해 사용했지만 대전차 자주포를 전차처럼 쓸 수 있을 리가 없었다. 다만, M36의 경우 국군 사양인 M36 전차로 쓰긴 했었다.
전쟁 중인 1951년 12월에 대한민국 해병대에게 최초로 공여되었으며, 1952년 중순부터 전선에 투입되었다. 즉, 이게 국군이 최초로 보유한 제대로 된 전차였다. 성능이나 전차병의 숙련도가 우수했기에 북한군의 T-34-85를 상대로도 선전을 펼쳤다.
휴전 후에는 육군에게도 공여되었으며, 1959년부터 M47 패튼이 도입되었고 1960년대에 M48A1이 도입, 그리고 1971년부터 M48A2C가 도입되자 퇴역하였다.
퇴역한 단차들은 전쟁기념관과 육군사관학교, 낙동강승전기념관, 지리산빨치산토벌전시관, 임진각 자유의 다리 공원, 칠곡 호국평화기념관, 육군기계화학교, 이승복기념관, 춘천지구전적기념관 등에 전시 중이다. 국내 잔존 M4A3E8 전차들 목록 링크
5.3.1.2. 중화민국
|
후커우 기갑학교 소장 중화민국 육군 소속 M4A3 초기형 |
위 사진의 전차는 국공내전을 거치고 국부천대를 할 때 격파되거나 노획되지 않고 무사히 하이난 섬에 도착한 3대 중 한대라고 한다.
5.3.1.3. 중국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지원군 노획 미국 육군 소속 M4A3E8 |
5.3.1.4. 일본
5.3.1.4.1. 일본 제국
|
오타니 미치오 소위가 탈취했던 M4A3 (75) W |
#
5.3.1.4.2. 일본
|
쓰치라 전차 박물관 소장 육상자위대 소속 M4A3E8[22] |
1972년에 퇴역했다.
5.3.1.5. 북한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소장 M4A3E8 네임드 차량 "Doxcarlil"[23] |
5.3.2. 동남아시아
5.3.2.1. 필리핀
|
필리핀군 소속 M4A3 |
5.3.3. 서아시아
5.3.3.1. 튀르키예
|
에티메스구트 전차 박물관 소장 M4E9 |
|
에티메스구트 전차 박물관 소장 M74 TRV |
5.3.3.2. 이란
|
Holy Defence Museum 소장 M74 TRV |
5.3.3.3. 이스라엘
|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M-3 셔먼 |
|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M4E8 |
|
바테이 하 오세프 박물관 소장 M32A1B3 TRV |
5.3.4. 남아시아
5.3.4.1. 인도
|
기병 전차 박물관 소장 M4A3E4 |
6. 미디어
자세한 내용은 M4 셔먼/미디어 문서 참고하십시오.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
기네스 세계 기록 |
}}} | |||
Highest rate of tank production
(가장 빠른 탱크 생산 속도) |
||||||
<rowcolor=#fff> 대상 | 기록 | 장소 | 등재 시일 | |||
<rowcolor=#000,#fff> M4 셔먼
|
총 48000량
|
미국
|
||||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노획차량 및 개조품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Pz.Kpfw. 35(t) | 아틸러리 슐레퍼 35(t) | Pz.Kpfw. 38(t) | 판처예거 스코다 SIDt32(t) |
Pz.Kpfw. 32 (j) | 르노 FT |
M35 미틀레레 판처바겐 | Sd.Kfz. 254 | ADMK Mulus |
le.Pz.Kpfw. TK(p) | le.Pz.Kpfw. TKS(p) | Pz.Kpfw. 7TP 731(p) | 아틸러리 슐레퍼 C7P(p) | 아틸러리 슐레퍼 C2P(p) | 르노 FT |
Pz.Sp.Wg. L202(d) | Pz.Sp.Wg. Pansarbil m/39(d) |
아틸러리 슐레퍼 VA 601 (b) | Pz.Sp.Wg. VCL 701(b) | Pz.Kpfw. AMC 738(b) | 판처예거 Sfl. CL 801(b) | 판처예거 VA 802(b) | 르노 FT |
Pz.Sp.Wg. DAF 201(h) | Pz.Sp.Wg.L202(h) | Pz.kpfw. FT 731(h) |
38M 톨디I(u), 42M 톨디II(u), 40/43M 즈리니 II (u), 40M 님로드 (u), 40M 투란I (u), 40M 투란II(u), 39M 차바 (u) |
프로토타입 | T-25, 경 트랙터, 대형 트랙터, Pz.Kpfw. Nb.Fz, 호이슈레케 10, D.W.1/2, 5/4호 전차, VK 시리즈, 기갑 자주포, VK 30.01 / 02, VK 36.01, VK 45.01(P), VK 45.02(P), VK 65.01,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게쉬츠바겐 티거, 로이머 S, Kätzchen 병력수송장갑차, 8,8cm 바펜트레거 | |
페이퍼 플랜 |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 / 10호 전차, E 시리즈, 1인용 경전차 시안 "마우스", 슈투름판처 Bär, 슈투름판터,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마레샬 구축전차 | |
차량 | 독일 국방군/차량, 퀴벨바겐, 슈빔바겐, 슈타이어 1500A, Büssing-NAG T500, Büssing-NAG G31, Büssing-NAG L4500, 오펠 블리츠, 포드 B3000S, V3000S, V3000A, 보르크바르트 B3000, 메르세데스-벤츠 G5, 메르세데스-벤츠 L1500, 메르세데스-벤츠 L3000, 메르세데스-벤츠 LG3000, 메르세데스-벤츠 L4500, 메르세데스-벤츠 L6500, 크루프 프로체, 타트라 T111 | |
모터사이클 | DB / DBK, KS 750, 케텐크라프트라트, R-75 | |
그 외 | 동부용 궤도형 트랙터, 동부용 차륜형 트랙터, 수륙양용 트랙터, 골리아트 지뢰, 보르크바르트 4호, 스프링거 무인자폭차량, VsKfz 617, 쿠겔판처 | |
기타 | 독일 기갑 병기의 역사와 루머 | |
※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전차 및 차량(Beutepanzer)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
※둘러보기 :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냉전기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유고슬라비아 국군 (1945~1951)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1951~1992) Jugoslovenska Narodna Armija / Jугословенска Народна Армиjа |
||||
기타전차 | 경전차 | M3A1 스튜어트, M3A3 스튜어트, PT-76B | |||
중형전차 | 3호 전차C, 4호 전차C, T-34-85M, T-34BM, Vozilo-AX, M4A3E4 | ||||
MBT | 1세대 | T-54A, T-55(A/AI), M47 패튼 | |||
3세대 | T-72M, M-84(A/AB/ABN), M-90/91 | ||||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 M-100, BTR-152, BTR-60, BRDM-2, OT TAB-71, BOV | |||
궤도장갑차 | Sd.Kfz. 251, OT M-5, MT-LB, OT M-60(P/PB), BTR-50, BVP M-80(A/A1) | ||||
차량 | 소형 | 피아트 1101 · 1107, 핀츠가우어 | |||
트럭 |
TAM-110 · 150 · 260 · 4500 · 5000, FAP 2026 · 2832, ZiL-131 · 157, MAZ-537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Kadilak, SO-105, 2S1, NORA B-52 | |||
대전차 자주포 | SO-75C, SO-75 M-3A3M, M-44, SO-76M, SO-76 Helkat, SO-90 "Dżecksons", M36B1, SO-122X | ||||
대공차량 | 자주대공포 | M15 CGMC, ZSU-57-2, M53/59, BOV-3, BOV-30X, SPAT 30/2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1 스트렐라-1,
M-90 Sava, RL-2 프락카M |
||||
다연장로켓 | M-63 플라멘, M-77 오간, M-87 오르칸 | ||||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 윗첨자X: 프로토타입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유고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한국전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한국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의 기갑차량 |
||
전차 | 경전차 | <colbgcolor=#fefefe,#191919> 공신호 전차CN, M5A1CN/? | |
중형전차 | T-34-76X, T-34-85, M4A2 (76) WX | ||
중전차 | IS-2CN | ||
화염방사전차 | OT-34CN | ||
장갑차 | BA-64, BTR-40 | ||
자주포 | SU-76M, LVT(A)-4 (ZiS-2)CN | ||
다연장로켓 | 카츄샤 다연장로켓 | ||
차량 | GAZ-51, GAZ-63, GAZ-64, GAZ-AA, ZiS-5, ZiS-6, ZiS-150 | ||
모터사이클 | M-72 | ||
노획 차량 | M24 채피,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NONE, M26 퍼싱, M19 더스터, M41 고릴라, 센추리온, M36 GMC, 옥스포드 캐리어, 와스프 IIC, M46 패튼, M18 헬캣 | ||
※ 윗첨자?: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사진 등)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증명이 되지 않은 차량 ※ 윗첨자CN: 인민지원군이 사용 ※ 윗첨자X: 소련에게 공여받은 차량이나 소수 만을 운용 ※ 윗첨자NONE 전시 중 전량 유실 |
|||
}}}}}}}}} |
냉전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A5034> 대한민국 국군 (1945~1991)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
|||||
기타전차 | <colbgcolor=#2A5034> 경전차 | M36 전차R/M, M24 채피L/R | ||||
중형전차 | M4A3 (76) W HVSSR, T-34-85C/R | |||||
MBT | 1세대 | M46 패튼R, M47 패튼, M48(A1R/A2C) 패튼, M48(A3K / A5K · K2 · KW) 패튼M | ||||
2세대 | Tiran-6X, T-72M1X, M60X | |||||
3세대 | K-1 | |||||
장갑차 | 차륜형 | M8 LACR, M20 유틸리티 카R, KM900, UR-416X, M706R | ||||
궤도형 |
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113A1R, M577A1R,M548R,
LVT-3CR,
LVTP-7R, KAAV7A1, K200(A1), K277, K533 · 534, K-77, |
|||||
차량 | ||||||
소형 |
K-131,
K-111,
K-100 M38 (A1)R, M606R, J601R, M151R, 윌리스 MBR |
|||||
트럭 |
닛산 180IJA/R,
토요타 BMR,
GAZ-51C/R, GAZ-63C/R
ZIS-150C/R,
K300R, K301R,
K311(
A1),
K511(A1),
K711,
K800,
K409 TEL,
K501 TEL, M37R, M715R, G509/10/116R, J602R, M602R, M35R, M211R, J603R, M809, CCKWR, 민수용트럭, FOX RRV, HEMTT(M977, M984, M985, M1142)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107, M110, K-55( A1), 곡산 170mmX | ||||
자주박격포 | M106R, M125R, K242(A1), K281(A1), K532 | |||||
대전차 자주포 | M56 스콜피온R, SU-76MC/R/NONE | |||||
자주대공무기 | 자주대공포 | M16 MGMCR, ZSU-23-4 쉴카X/R, K263(A1/A3) | ||||
자주대공 미사일 |
없음(?) | |||||
다연장로켓 | K-136 구룡 I/II | |||||
대포병 체계 | AN/TNS-10 | |||||
공병 차량 | 구난차량 | 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 TRVR, K288A1, K1 구난전차, K-912 10톤 구난차량, M88(A1) 구난전차, KAAVR7A1 | ||||
AEV | KM9 ACE, M728 X/R/? | |||||
교량 차량 | K-1 AVLB 교량전차, K-719 부교 운반차 | |||||
기타 | K-313, K-512 | |||||
대테러부대용 차량 | 없음(?)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 사용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문헌에만 등장하는 차량 ※ ※ 윗첨자L: 전량 타국으로 공여된 차량 ※ 윗첨자NONE: 잔존 개체 없음 ※ 윗첨자M: 개조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한국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
현대 크로아티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크로아티아 국군 (1991~현재) Oružane snage Republike Hrvatske |
||
기타전차 | 중형전차 | T-34-85C/R | M4A3E4 셔먼C/R | |
'''[[주력전차| MBT ]]'''
|
'''[[1세대 전차| 1세대 ]]'''
|
T-55AC/R | M47 패튼C/R | |
'''[[3세대 전차| 3세대 ]]'''
|
M-84A4 스나이퍼 |
M-84AC | |
||
'''[[3.5세대 전차| 3.5세대 ]]'''
|
{ 레오파르트 2A8} | ||
'''[[장갑차| 장갑차 ]]'''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파트리아 AMV | BOV | M1224 맥스프로 | RG-33L HAGA | BRDM-2R | OT TAB-71C/R | M-100C/R | |
'''[[궤도 장갑차| 궤도형 ]]'''
|
M2A2 ODS 브래들리 | BVP M-80A | OT M-60(P/SAN)C/R | BTR-50C/R | MT-LBC/R | ||
<colbgcolor=#FFF> 차량 | <colbgcolor=#FFF> 소형 |
[[소형 전술차량| IMV ]]
M-ATV |
이베코 LMV |
험비 |
벤츠 G바겐 |
랜드로버 울프민수용
VW 트랜스포터 |
토요타 랜드 크루저 |
닛산 나바라 |
포드 레인저 |
르노 마스터 |
피아트 두카토
|
|
트럭 |
군용 TAM 110 T7 · 150 T11 | FAP 2026C | 토피도 TK 130 T7 |
MAN TGS Mil · KAT1 · HET |
DAF YA 시리즈 | 이베코-아스트라 HET상용
벤츠 악트로스 ·
아록스 ·
SK |
이베코 트래커 ·
유로카고 |
포드 카고
|
||
'''[[자주포| 자주포 ]]'''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
PzH2000 | SO-122 그보즈디카 | |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
SO-90 잭슨C/R | SO-76 핼캣C/R | ||
다연장로켓 | M-92 불칸 | APR-40 | M-94 플라멘-SR | M-87 오르칸C/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
SPAT BOV-20 · BOV-3 | M53/59 프라가C/R | ZSU-57-2C/R | |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
참고: 틀:현대전/크로아티아 유도무기 | ||
지원차량 | 구난차량 | T-55TZI | M1224 구난차 | |
공병차량 | DOK-ING MV-4 무인 지뢰제거차 | ||
교량차량 | MT-55A | KrAZ-255 가교부설트럭 | T-813 · FAP 2026 PMS 부교운반차 | ||
건설기계 | JCB 4CX 로더 · Fastrac 트랙터 | ||
기타 | PTS-M 수륙양용 운반차 | GSP-55 자주식 페리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둘러보기 :
크로아티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장비
|
}}}}}}}}} |
현대 쿠바 혁명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쿠바 혁명군 (1959~현재) Fuerzas Armadas Revolucionarias |
|||
<colbgcolor=#cf142b> 기타 전차 | M4A3 (76) W HVSSC/R, A34 코멧C/R, T-34-85CZR, IS-2MR | |||
MBT | <colbgcolor=#cf142b> 1세대 | T-54, T-55(A/AM) | ||
2세대 | T-62 1967년형, T-62 1972년형, T-62M | |||
경전차 | M3C/R, PT-76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3 스카웃 카C/R, BTS-4, BTR-60PB/PU-12, BTR-70M, CBAF-100, CBAF-115, CBE-14.5 | ||
궤도장갑차 | BMP-1(P), BTR-50, BMD-1 | |||
차량 | 소형 | 둥펑 EQ-2050, UAZ-469 | ||
트럭 | 우랄-4320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AAPMP-T-100M/R, AAP-T-122M/R, AAMP-T-130M/R,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 ||
자주박격포 | ||||
대공 체계 | 자주대공포 | ZSU-57-2, ZSU-23-4 쉴카, Yatare-23M, BTR-23M, BTR-60-30-2M, Duplex-BTR-37M, Duplex-T-57M | ||
대공미사일 | 2K12 쿠프, 9K33 오사, T-55A (S-75), T-55(S-125) | |||
다연장로켓 | BM-21, BM-21M, BM-24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
[1]
대전 말 등장한 미군의 신형전차인 M26 퍼싱과 같은 계열의 500마력 GAA V8 엔진을 사용한 덕분에 대전 후에도 미군이 직접 운용한 유일한 형식이다.
[2]
현지 개수형이다.
[3]
두번째 영상의 차량은 실제 코브라 킹이 아니며, 코브라 킹의 모습으로 도색했을 뿐이다.
[4]
경사도가 나머지 전면 장갑에 비해 평탄해서 실질 방어력이 일부 낮아졌다. 1943년에는 해치 구간에 1인치 두께의 증가장갑을 용접하는 개조가 이루어진다.
[5]
... 장갑이 증설된 셔먼에 승무원으로 있었던 때의 일이다. 언젠가 88mm 포가 수백 야드 거리에서 사격을 가해 우리 전차를 맞췄는데, 포탄이 전면에서 도탄되었다. 대전차포의 입장에서는 한번도 그런 적이 없어서 깜짝 놀랐을 것이다. 포탄이 맞은 곳 장갑은 빨갛게 달아올라있었다. 30구경 동축기관총을 잡은 승무원이 포탄의 궤적을 포착한 후 예광탄을 쏴 방향을 알렸다. 그 후 우리의 76mm 포가 적의 대전차포를 침묵시켰다. (... I was in another Sherman with heavied-up armor when an 88mm crew a few hundred yards away fired at us. Their round hit but bounced off, which I’m sure surprised the Germans. Inside, the spot where that shot struck glowed red. The guy on the .30-caliber turret coaxial machine gun had seen where the round had come from. He laid a tracer onto the 88 and aimed our 76mm cannon and fired and that was that...)
#
[6]
포탑이 사출된 한 차량은 800m 거리에서 발사된 8,8cm 포탄을 전면 상부 장갑으로 2번, 포방패로 한번 튕겨낸 뒤에 장갑으로 보강할 수 없는 포수 조준경(사진의 9번)을 뚫리고 나서야 격파되었다. 하지만 장갑이 더 강화된
M26 퍼싱도 똑같은 약점인 포수 조준경이 뚫려서 격파된 적이 있었으므로 점보 셔먼만의 설계 결함은 아니다. 일반적인 셔먼이었으면 첫번째 포탄에 꼼짝없이 격파되었을 것이다.
[7]
월드 오브 탱크에도 전차꾸미기 문장에 있다. 워 썬더에도 프리미엄 전차로 구현되었다.
[8]
석영,
자갈, 그리고
아스팔트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다.
[9]
사진의 독일군 M4A3 (75)W 513호차에 미군 차량 번호가 있는 것을 보아 조지 S. 패튼 장군 휘하 미 육군 제4기갑사단 산하 37전차대대의 차량으로 추정된다.
[10]
미군의 사병들은 2차대전이 끝나고 대부분 전역한지라 꽤나 고전했지만 전차 승무원들은 대부분 부사관이었기에 그 기량 그대로 한국전쟁에 투입될 수 있었다.
[11]
발포의사 없음의 뜻으로 전차 주포가 고정되어있다.
[12]
당시 시위에 참가한 이들의 증언과 사료 중에는 이때 눈물을 흘리는 군인들도 있었다는 증언도 있다.
[13]
이오지마 전투에 참전한 차량으로,
자돌폭뢰및
99식 파갑폭뢰를 막기 위한 합판을 측면에 장착하고 자폭 돌격 및 차체 내부로의 수류탄 투척 및
대전차 총검술을 방해하기 위한 철못을 출입용 해치와 전차장용 전망탑 주변에 장착한 개수를 받았다.
[14]
현재모습
[15]
현재 이 단차는 올리브 계열 녹색으로 재도장되었으며 야외에도 한대(상단 사진속 단차)가 전시되어있다.
[16]
기병 지휘관은 기병대대장
장철부였다.
[17]
명판에는 M4A4라고 적혀있는데 이는 오기의 흔적으로, 실제로는 M4A3이라 한다.
[18]
M4A3 (75) W 2대와 M4A2 1대
[19]
지형지물에 가려져있어서 셔먼 행렬은 눈치채지 못했으며 부족한 관통력은 100m 이내에서 사격하여 최대한 관통력을 끌여 올렸다.
[20]
미군측 전사자 목록에 실종자 4명이 있는데 셔먼의 승무원들로 추정된다.
[21]
해당 전투는 미해병대의 승리로 오타니 소위와 일본군은 포로로 붙잡혀 전쟁이 끝날때까지 포로생활을 하였으며 해당 일화는 45년 9월에 본국으로 귀국하고나서야 알려지게 되었다. 그후 오타니 소위가 탈취한 M4A3는 현재 그의 행동을 기리기 위한 기념비로 섬에 남게 되었다.
[22]
옆에 M36B2 잭슨은 연구 목적으로 도입된 차량으로, 이후 61식 전차를 개발할 때 M36B2의 설계를 다수 참고하였다.
[23]
사진속 단차는 현가장치 일부분(보기륜 부분)과 주포 고정대의 일부가 망실되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