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21:11:03

SU-100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556b2f>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 육·해군 ·NKVD 기갑차량
전차
MS-1, V-26S, T-26A (1931년형, 1932년형), T-26B (1933년형, 1935년형, 1936년형), T-26S (1937년형, 1939년형), T-27, T-37, T-38, T-40, BT-2, BT-5, BT-7, BT-7M, T-50, T-60, T-70, T-80, T-46X, NI 전차

T-24, T-28, T-34-76 (1940년형, 1941년형, 1942년형, 1943년형), T-34E, T-34-57X, T-34-85 (D-5T) (1943년형, 1944년형), T-34-85 (S-53), T-34-85 (ZiS-S-53) (1944년형, 1945년형, 1946년형), T-44

T-35, KV-1, KV-85, KV-2, KV-220X, IS-1, IS-2, IS-3

KV-T, T-34-T, SU-85T, ISU-T

TU-26, TT-26, TT-BT-5, TT-BT-7
장갑차 D-8/12, BA-3, BA-6, BA-10, BA-11, BA-20, BA-27, BAL/BAL-M, FAI/FAI-M, BA-64, 이조르스크 장갑차
자주포 BT-7A, ZiS-30, SU-122, SU-76, SU-76M, SU-152, SU-85, SU-85M, ISU-152, ISU-122, ISU-122S, SU-100, SU-26X, SU-100YX, SU-14X
자주대공포 T-60-Z, T-90, ZUT-37, ZSU-37C, GAZ-AAA (4M), GAZ-AAA (DShK), GAZ-AA (72-K), GAZ-MM-V (72-K), ZiS-11/12(94-KM), ZiS-43
다연장로켓 BM-13, 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 T-20, GAZ-64, GAZ-AA, GAZ-AAA, GAZ-MM, GAZ-MM-V, UAZ-AA, GAZ-M1, GAZ-03-30, ZiS-5, ZiS-6, YAS-6, GAZ-51C, GAZ-63C, 코민테른 포병용 트랙터, 보로실로베츠 중 포병 트랙터, AT-P, GAZ-67
모터사이클 M-72
렌드리스 및 개조 차량 M3/M5 경형, M3 중형, M4A2 (75) «엠차», M4A2 (76)W «엠차», M4A2E8 «엠차», T26E3S, SU-M10X, MK-III «바랴-타냐», MK-IIIM, MK-III (F-95)X, 처칠 전차 (Mk.II, Mk.III, Mk.IV) , MK-II 마틸다, MK-II (ZiS-5), СУ-57, 스카웃 장갑차,, 브렌건 캐리어, MK-VII 테트라크X, CCKW, 윌리스 MB, DUKW, 포드 GPA, M24 채피S, M4A4S, 스튜드베이커 US6, T70 GMCX,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X,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 ЗСУ M15A1 CGMC, ЗСУ M17 MGMC, M29 위즐X, LVTX, A27M 크롬웰S
노획 및 개조차량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TKS, 7TPS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LT-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Т-38 프라하, Т-I, 지휘전차 КI, Т-II, Т-III, StuG SU-75, SU-76I, SG-122, Т-IV, Т-V 판터, Т-VI 티거 1X, Т-VI 티거 2S, 마우스S, 베스페 SU-105, 훔멜 SU-150, 나스호른 SU-88, 페르디난트S, 야크트티거S, M4 748(a)S, 35-R 731(f), 35-R 731(f) 20mm ShVAK 기관포 장착형, T-35 751(r), T-34 747(r), M4 748(a), 소뮤아 S35, 호치키스 H3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Т-2597 치하, 47mm 신호토 치하, Т-2595 하고, 3식 경전차 케루S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35M 안살도, 40/43M 즈리니IIX, 38M 톨디 IX, 42M 톨디 IIAX, 41M 투란 IIX, 40M 님로드X, M3 중형, T-28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르노 R35, R-1, 마레샬 구축전차S, TACAM T-60S 파일:핀란드 국기.svg BT-42S, ISU-152, 코이라스, Mk. E (Psv.K/36)S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L6/40S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르노 FTX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헤처
프로토타입 S-51, KV-3, KV-13, A-20, A-32, A-34, A-40, A-43, A-44, T-22 그로테, T-29, T-43, T-100, T-111, T-150, SMK, IT-45, IT-76, SU-122-44, T-54C, IS-4C, IS-6, KSP-76, ZiS-41, T-34-57 1943년형
페이퍼 플랜 KV-4, KV-5, 소련의 기갑병기 설계안 중 일부, LTP, MT-25, LTG, LTTB, 오비옉트 212, ST-1
그 외 보로실로프 전차, 스탈린 전차, 소련군/차량, KhTz-16 트랙터 전차
※ 윗첨자S: 노획 혹은 공여받거나 구매했으나,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하거나 운용하지 않음
※ 윗첨자C: 프로토타입 상태로 종전 후 양산 됨
※ 윗첨자X: 실전에 참여했거나 노획 혹은 공여받았으나 100대 미만의 극소량만 운용
}}}}}}}}}

파일:T-34-76.svg T-34 전차 시리즈 파일:T-34-85.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556b2f><colcolor=white> 中형전차 <colbgcolor=#556b2f><colcolor=white> T-34-57 1941년형, 1943년형
T-34-76 1940년형, 1941년형, 1942년형, 1943년형
T-34-85 1943년형, 1944년형, 1945년형, 1946년형
파생형 자주포 SU-122, SU-85, SU-100, T-34-122
자주대공포 Flakpanzer T-34 747(r), 방공 T-34
구난전차 T-34-T, VT-34
공병전차 피오니어판처 T-34
화염방사전차 OT-34, OT-34-85
지뢰제거전차 PT-34
개수형 현대화 T-34-85M (1944), T-34-85M, T-34-85CZ, T-34-85M1/M2
개수형 T-34B, T-34-100
프로토타입 A-20, A-32, A-34, A-43, T-43
}}}}}}}}} ||
파일:SU-100_-_TankBiathlon2013-07.jpg
Самоходная Установка 100мм

1. 개요2. 제원3. 상세4. 개발사5. 파생형
5.1. 소련
5.1.1. 무장 교체 파생형
5.1.1.1. SU-122P
5.1.2. 비무장 개조 파생형
5.1.2.1. SU-100T
5.2. 체코슬로바키아
5.2.1. 현대화 개수형
5.2.1.1. SD-100
5.3. 폴란드
5.3.1. 비무장 개조 파생형
5.3.1.1. CW-34
5.4. 중국
5.4.1. 현대화 개수형
5.4.1.1. SU-100 개량형
6. 평가
6.1. 장점6.2. 단점6.3. 총평
7. 실전8. 운용국9. 미디어10. 모형11. 참고 문헌12. 둘러보기

1. 개요

체코 육군 소속 SU-100 기동 영상
"SU-100"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소련군이 운용한 SU-85 자주포를 기반으로 100mm D-10S 전차포를 장착하고 SU-85에는 없던 몇몇 개량사항을 적용한 자주포[1]로서 주로 대전차전에 투입되었다.

등장 시기가 매우 늦긴 했지만, 몇몇 국가에만 공여되어 실전에서 큰 활약을 하기 힘들었던 IS-3와 다르게 생산성이 뛰어나고 파괴력이 높은데다, 가격이 저렴했기에 수많은 국가에 공여되었으며, 몇몇 나라들은 현재까지 운용 중에 있다. 이 때문에 일선 운용 중 자주포 중 가장 오래된 차량이기도 하다.

2. 제원

<colbgcolor=#556B2F> СУ-100
제원
개발국가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개발기관 우랄트란스마쉬
개발자 레프 이즈라일레비치 고를리츠키
개발연도 1943년 ~ 1944년
생산기관 우랄트란스마쉬, 옴스크트란스마쉬
생산연도 소련: 1944년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1951년 ~ 1956년
생산 댓수 SU-100: 3,241문
SD-100: 770문
도합 4,011문
운용 연도 1944년 ~ 현재[2]
운용 국가 소련 포함 도합 24개국 사용
전장 6.75m / 9.45m (차체 / 포신 포함 시)
전폭 3m
전고 2.25m
전비 중량 31.6t
탑승 인원 4명 (단차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
엔진 하르코프 모델 V-2-34 12기통 4행정 수랭식 디젤 엔진 개량형
최고 출력 520hp
출력비 16.4hp/t
최고 속도 55km/h / 25km/h (평지 주행 시 / 야지 주행 시)
항속 거리 250km / 220km (내장 연료 탱크 적재 시 평지 / 야지),
310km / 140km (외장 연료 탱크 추가 적재 시 평지 / 야지)
주무장 54구경장 100mm D-10S 전차포 1문 (33발)
부무장 없음

3. 상세

파일:SU-100_Cutaway.png
SU-100 내부 구조도
SU-100은 제2차 세계 대전 후반 등장하며 비록 등장 시기는 늦었지만 바그라티온 작전부터 독소전쟁의 최종장인 베를린 전투 프라하 전투까지 굵직굵직한 전장에 투입되어, 잔존 독일군을 상대로 지속적으로 압박해가며 소련이 전쟁에서 승리하는데에 큰 기여를 하였다.

성능에 관하여, SU-100의 D-10S 주포는 2차대전 당시 BR-412 APHE 철갑탄 기준으로 독일 국방군의 티거 2 주포였던 KwK43의 철갑탄과 동등한 관통력을 보여줘 대부분의 독일 전차를 장거리에서도 간단하게 상대할 수 있었다.

종전 이후 빠르게 퇴역한 Kwk43에 비해 구경도 더 크면서 포신도 더 짧고 무게는 절반도 안되었기 때문에 대전 이후 냉전기에도 개량과 새로운 탄을 개발하며 현역으로 사용된 명품 포였다.

SU-100은 소련군이 2차대전 때 사용한 기갑병기 중 실질적으로 가장 나중에 등장하는 병기인 만큼 이전 병기들과 달리 세부 스팩들도 훨씬 뛰어나서 전차장과 포수의 시야 확보에 신경을 많이 쓰는 등 소련군 기갑병기치고는 상당히 선진적인 부분이 많았는데, 대표적으로 SU-100의 MK-IV 직사 조준기는 소련 내에서 가장 뛰어난 것이었으며 ISU-152에 장비된 장거리 포격용 조준경은 없었으나 이 직사조준경으로도 4km 거리에서 고폭탄 포격이 가능했고 소련군 자주포가 다 그렇듯 그렇게 쓰기도 했다.[3]

일반적으로 독일의 구축전차와 비슷한 역할을 맡아 공격해 들어오는 적 전차를 막아내고 역습을 하는 역할로 사용되었으나 때로는 공세용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시가전에 투입되어 돌격포처럼 사용되기도 했다.

그러나 애초에 돌격포 용도로 개발된 자주포는 아니라서 이런 목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돌격포처럼 피해가 컸는데, 일단 PaK 40을 중거리에서도 버틸수 있을 정도로 정면이 강화되긴 했지만 시가전은 그렇게 먼 거리에서 쏠 일도 별로 없으며 작정하고 구축한 대전차진지가 있으면 T-34-85나 SU-85에 비해 강화된 정면장갑이라고 해도 어찌 할 수가 없었다. 거기에다가 보조무장인 기관총도 없다는 점 때문에 보병의 대전차 공격에 상대적으로 취약했다.[4]

보통 간과하는 사실이지만 SU-100은 그다지 주행성능이 좋지는 못했는데, 이는 애초 SU-122 때부터 내려오는 문제점이었지만, 거기에 정면장갑을 강화하고 크고 긴 100mm포를 달면서 극대화된 것인데, 4호 구축전차에서 생기는 문제는 전부 동일하게 가지고 있다고 봐도 된다.

그렇지만 생산성이 상당히 우수했는데 44년 8월부터 양산이 시작되었으며 45년 초반에 이미 수백대가 쌓였고 전후 위성국등에 대량 공여가 될 정도로 대량생산이 용이했다.

특히 무게중심이 나빠진 것이 두드러지는데, 이런 원인으로 전방구통계의 마모가 상당했기에 소련도 종전 후, SU-101 같은 후방전투실을 가지고 있는 신형자주포 계획을 진행하려 했으나 무산되었다.

4. 개발사

파일:SU-100_UralMash.jpg
우랄트란스마쉬 공장에서 생산 중인 SU-100
소련이 1943년 여름부터 양산하기 시작한 SU-85 자주포는 85mm D-5S 주포를 장착하였다. 이 자주포는 대전차전을 주목적으로 하여 개발된 소련의 첫 자주포로서 그 개발 목적은 대다수의 독일 전차를 장거리에서 효과적으로 상대하면서, 거리를 좁힌다면 중전차의 전면까지 관통 가능한 높은 대전차 성능을 가지는 것이었다.

85mm 주포를 장착한 SU-85는 개발 당시에는 이 목적에 충분한 성능을 가졌다고 판단되었으나 곧이어 독일이 5호 전차 판터 같은 더 두꺼운 장갑을 가진 중장갑 전차들을 배치하기 시작하자 배치 첫달부터 화력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SU-85는 화력뿐 아니라 다른 부분에서도 사소한 문제점들이 있었는데 대전차전에 있어 T-34와 동일한 45mm 장갑은 충분하지 못했으며[5] 장거리 전투에 효과적인 시야확보 시스템도 필요했다. 이리하여 SU-85는 양산과 거의 동시에 개량계획이 짜여지게 된다.

43년 8월 29일, 85mm보다 더 효과적인 대전차용 주포를 찾으라는 명령을 내린 소련군 앞에 우랄마쉬가 가장 먼저 제안한 주포는 122mm D-25로서 SU-85에 122mm를 올려서 대전차용으로 사용하자는 의견이었다. 그러나 SU-85에 122mm 주포를 장착하자 기존 SU-85에 비해 무게가 2.5톤이나 증가했고 발사속도가 심하게 느려지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여기에 연구가 지속되면서 122mm 주포나 152mm D-15 주포를 T-34 전차를 기반으로 한 중형 자주포 플랫폼에 장착하는 안은 중형 자주포들의 기동성을 심하게 떨어트리고 차체에 큰 무리를 주는 문제점이 생긴다는 것도 발견하게 되었다. 소련군은 이런 문제점으로 인해 이런 거대한 주포를 중전차와 중자주포에게만 장착하기로 결정하게 되지만 화력덕후 기질에서 오는 호기심을 버리지 못하여 중형 플랫폼을 강화시켜 저런 거포를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SU-D-15와 SU-D-25 같은 자주포도 별도로 연구하게 된다.

하여간 이렇게 122mm와 152mm가 탈락하자 그 뒤에 테스트된 것은 85mm 장포신포로 이 포는 매우 높은 포구초속을 가졌다. 이 주포는 대단한 관통력을 보여줬지만 포신 자체가 문제가 있었고 세부적인 시스템과 조화가 맞지 않는데다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한 대량의 전차들을 통해 테스트해본 바 고속으로 관통력을 얻는 저구경포는 경사장갑에 상당히 취약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이 85mm 주포는 탈락하게 된다.

이리하여 85mm와 122mm를 테스트해본 우랄마쉬는 그 중간인 100mm~107mm급 주포가 가장 이상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이 사이즈의 주포를 물색하게 된다.

과거 KV 전차 시리즈에 장착하려고 했던 한 때의 유망주 107mm 계열 주포는 M60 주포가 나왔던 41년 이후 연구가 완전히 중단되었으므로 소련은 43년 11월, 결국 새 자주포에 해군의 100mm B-34 함포[6]를 개량한 주포를 장착하기로 결정한다.

그리하여 44년 1월 15일 T-34를 바탕으로 한 100mm 자주포의 디자인이 끝나고 1월 25일부터 2월 20일까지 새 주포를 장착한 프로토타입이 공장내 테스트를 받았다. 그리고 2월 25일 프로토타입이 안정성 검사를 끝냈다.

그러나 이런 테스트를 통해 100mm 주포 역시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원래 B-34 함포 기반의 전차포는 IS-100 중전차를 위한 것이었고 기존의 SU-85를 기반으로 한 자주포에 장착하기에는 이 역시 크기가 너무 컸다. 이 포를 제대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차체 넓이를 늘릴 필요가 있었고 결국 토션바를 뜯어 고쳐야 했지만 그러면 개량에 시간이 많이 걸리며 생산성이 나빠지고 손이 많이 가니까 우랄마쉬는 그냥 이대로 빨리 출시하려고 했다. 이 문제는 다행히도 B-34를 적절하게 줄인 D-10S이 등장하여 해결되게 된다.

이렇게 하여 SU-100은 기존 SU-85에서 100mm D-10S 주포를 장착하고 보다 강화된 75mm 장갑을 가지게 되었으며 고성능의 MK-IV 조준기와 추가적인 전차장용 큐폴라가 장착되어 완성되었으나 곧바로 양산되지 못하였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고 하니 100mm B-34 주포는 정작 44년 후반기까지 고폭탄외에는 재고 포탄이 없었다. 이 말은 즉 대전차전을 위해 만든 자주포가 철갑탄이 없어서 대전차전을 못한다는 말이다.

이 문제로 SU-100이 양산되지 못하고 있는 동안 같은 주포를 사용하는 SU-100-2 자주포가 제안되었는데 4월 30일 소련은 이 SU-100-2 역시 프로토타입을 만들라고 지시를 내렸고 SU-100-2의 첫 프로토타입이 5월 8일 완성된다. 이리하여 SU-100과 SU-100-2가 경쟁하게 되었다.

6월 24일부터 28일까지 있었던 테스트에서 SU-100은 250km를 이동하며 923발을 사격했으며 1500m의 거리에서 판터와 티거를 파괴할 수 있었고 2000m 거리에서 페르디난트의 측면을 관통할 수 있었다.

7월 1일 SU-100-2도 같은 테스트를 통과했지만 결과는 SU-100의 우위였다. 그리하여 7월 3일 SU-100이 정식으로 소련군에 제식으로 편입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U-100의 양산은 여전히 순조롭지 않았는데 SU-100의 개량점은 유지하면서 주포를 D-10S 대신 85mm D-5S-85를 사용하는 SU-85의 현대화 개량형인 SU-85M이 제안되었기 때문이다.

100mm D-10S용 BR-412 APHE-T 철갑고폭탄이 11월에야 완전히 양산되기 시작했는데 그 사이에 소련군은 여전히 대전차전용 자주포를 양산해야 했고 그래서 SU-100 대신 315대가 양산된 SU-85M은 SU-100와 개량점을 공유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소한 부분에서 차이가 나서 결국 SU-100을 양산할때는 새로 생산라인을 갈아엎어야 했고 이 때문에 대전 초 독일군마냥 SU-100 양산에 차질을 주게 되었다.

이런 복잡한 문제가 겹치며 SU-100은 44년 8월부터 양산이 시작되었고 9월부터 출고되기 시작했는데 100mm용 철갑탄이 제대로 보급되는 11월 이전에는 SU-85M와 함께 생산되게 되었다.

5. 파생형

5.1. 소련

5.1.1. 무장 교체 파생형

5.1.1.1. SU-122P
파일:SU-122P.jpg
СУ-122П
"SU-122P"는 SU-100을 기반으로 하여 122mm D-25S 포로 무장을 교체한 파생형이다.

그러나, 122mm 포가의 크기가 너무 큰데다, 전투 효용성도 떨어졌기에 시제 차량을 끝으로 프로젝트가 중지되었다.

5.1.2. 비무장 개조 파생형

5.1.2.1. SU-100T
파일:SU-100T_Thumbnail.jpg
СУ-100Т
"SU-100T" SU-85M 및 SU-100의 차체를 이용하여 무장을 탈거하고 구난장비를 장착한 구난전차 파생형으로, 전후 다수가 비무장화되어 구난전차로 변환된 SU-85와 달리 SU-100T의 경우 SU-100의 화력과 수명 덕분에 일선급 자주포로 유용되어 SU-85T보다 희귀한 편에 속한다.

이 역시 다수가 민간에 불하되어 항만 하역 등의 직종에서 사용되고 있다.

5.2. 체코슬로바키아

5.2.1. 현대화 개수형

5.2.1.1. SD-100
파일:korean_SD-100.jpg
SD-100[7]
소련 육군 소속 SD-100 "127번차" 기동 시연 영상
"SD-100"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SU-100의 라이센스를 획득한 뒤, 여러 개량점을 적용한 파생형으로, 일명 "SU-100M"이라고도 불리운다.

SU-100 생산을 위한 라이센스 구매에 대한 최종 결정은 1951년에 이루어졌으며, 생산을 맡은 업체는 T-34-85를 생산하기도 했던 ČKD 소코로보가 담당했고, 차체는 슬로바키아 마르틴에 있는 ZJVS 공장에서 생산하기로 결정된 이후, 슬로바키아의 두빙카나드바홈에 소재한 스코다 사 소유 SMZ 기관차 공장에서는 라이선스 버전의 D-10S를 생산했다.

체코슬로바키아제 SU-100의 제식명은 "SD-100"으로 선정되었으며, 당시에는 T-34-85CZ의 생산이 더 중요했기 때문에 첫 번째 SD-100은 1953년에야 제작되었고, 생산도 느린 편이었는데, 1953 ~ 1954년 사이에 프라하에서 129문 만이 제작되었다.

이후 전차 공장은 1954년 마틴으로 이전되었는데, 최종 조립 및 엔진 생산은 체코에서 이루어졌지만 차체와 무장 생산은 슬로바키아에서 이루어졌다.

체코슬로바키아 SD-100 자주포에는 여러 가지 특징이 있는데, 특히, 스베르들롭스크에 소재한 공장과 옴스크트란스마쉬 형식 두개가 체코슬로바키아 SU-100에 영향을 주었기에 이 두 공장의 특징이 혼합되어 있으며, 자체적인 개수안으로는 자주포 우측면에 신형 라디오가 생겨났으며, 광학장비의 성능 향상, 라이트 커버 등의 특징이 존재했다.

이후 1956년까지 770문이 생산되었으며, 이 차량들은 세계 각지로 공여되었으며, 본국인 소련에서도 해당 파생형을 사용하기도 했다.

추가로, 중동 북아프리카에서 사용된 SD-100들은 사용국들의 환경에 맞게 세심한 개조가 추가로 행해졌는데, 기존의 사이클론 에어필터를 교체하고, 변속기의 기어비를 조정하였다.

5.3. 폴란드

5.3.1. 비무장 개조 파생형

5.3.1.1. CW-34
파일:White_Eagle_Museum_CW-34.jpg
CW-34
"CW-34"는 폴란드에서 SU-100을 개조해내어 만들어낸 구난전차다.

5.4. 중국

5.4.1. 현대화 개수형

5.4.1.1. SU-100 개량형
파일:PLASU-100.jpg
SU-100 改
"SU-100 개량형"은 SU-100을 구매한 중국군 측에서 배기 매니폴드를 전면적으로 수정한 파생형이다.

1960년대, 중소결렬로 인해 중국에서 그 동안 사용 중이던 T-34-85나, SU-100의 운용에 문제가 생겼는데, 이는 바로 차량 수리를 위한 예비 부품의 공급이 끊겼다는 것이었다.

특히, 공기 필터와 배기 시스템은 1960년대 중반까지 교체가 시급했는데 만약 시기가 늦을 경우엔 전투실이 배기 가스로 가득 차 승무원이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위험한 경험을 할 수 있는데다, 도하시에 배기구를 통해 엔진에 물이 유입되어 전차 자체의 작동 불능도 야기할 수 있었다.

이를 연구하던 중국 인민해방군 난징군구는 조잡하지만 효과적인 해결책을 찾았는데, 원래 있었던 머플러와 배기 매니폴드 라인을 제거하고 용접하여 막아버린 뒤, 냉각 그릴에서 확장된 엔진 데크 상단의 새 시스템으로 교체하였으며, 추가로 냉각수 공급 장비 세트를 설치했다.

이 배기 장치 업그레이드는 난징군구에서 사용된 차량만 적용되어 잔존개체가 매우 드문데, 현재는 베이징 전차 박물관에 2문이 남아 있다.

6. 평가

6.1. 장점

  • 고화력 주포
    100mm D-10S 전차포는 종전 이후 T-54, T-55에도 주무장으로 장착되었을 정도로 굉장히 강력한 포였는데, BR-412D탄 기준으로 1000m에서 202mm의 수직 장갑을 꿰뚫을 수 있을 정도로 매우 강력했다.
덕분에 독소전쟁 시기 독일 최강의 전력이었던 티거 2와 1km 밖에서 전투를 치룰 수 있는 몇 안되는 차량이기도 하였다.
  • 고성능 조준경
    기존의 소련 전차들의 문제점 중 대표적으로 지적되었던 조준경의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K-IV 직사 조준경을 장착하여 이전의 자주포들보다 훨씬 나은 명중률을 보장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단차장 및 운용 인원들의 관측창을 대폭 개선하여 더 나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었다.
  • 튼튼한 정면 장갑
    SU-100의 정면은 75mm 50° 경사장갑으로 이루어져 있어 실질적인 방호력은 125mm의 수직장갑과 동등한 수준이었으며, 이는 6호 전차 티거와도 동일한 수준의 장갑이었다.
  • 빠른 기동성
    기본이 T-34-85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된 자주포였기에 기동성이 매우 좋았으며, 덕분에 악지나 험지에서도 무리없이 기동할 수 있었다.
  • 높은 생산성
    기동성 부문과 마찬가지로 T-34-85를 베이스로 하여 제작된 자주포였기에 기존의 T-34-85 생산 공정을 크게 개수하지 않는 선에서 생산이 가능했기에 생산성이 높았다.
  • 정비 호환성
    T-34-85를 베이스로 하였기에, 다수의 부품들이 T-34-85와 호환되어 야전에서의 정비성이 간편하였으며, T-54, T-55 등장 이후로는 무장, 보기륜, 구동계통까지 모두 호환되었기에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는 원인이 되었다.

6.2. 단점

  • 장포신 주포
    장포신 주포로 인해 언덕이 많은 길이나, 시가지를 지나갈 때 포신이 너무 길어 땅에 긁히거나, 혹은 찌그러지는 일이 다수 있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SU-100을 지급받은 단차장들은 기존의 SU-85를 운용할 때 보다 더 세심하게 기동해야만 했다.
  • 대보병 수단 미비
    부무장이 차체 내부 승무원들의 개인화기인 PPSh-41기관단총밖에 없어 대보병 수단이 미비하였기 때문에 보조 전력 없이 단독으로 기동하는데에 무리가 있었다.
  • 좁은 좌우각
    좌우각이 장부 상으로는 8°였지만, 포수가 포와 같이 이동하는 구조가 아니라 포 따로, 포수 따로 움직이는 구조로 되어 있어 좌측으로 포를 꺾을 시에 단차장을 압박하는 문제점이 있어 장부와는 다르게 이보다 적은 수치에 머물러 움직이는 적을 타격하기에 힘들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 부족한 측후면 장갑
    견고한 정면 장갑과 달리 측후면 장갑이 45mm 정도밖에 되질 않아 37mm 포에도 관통당할 수 있었다.

6.3. 총평

SU-100이 처음 실전 투입될 당시, 소련 군부에서는 이를 지급받은 단차장들에게 한 가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U-100의 실전에 대한 붉은 군대의 주요 포병국의 자체 추진 포병국의 보고서에 기여하려면, 다음에 대한 피드백으로 답장하십시오:

1. 전투에서 SU-100을 사용할 때
2. SU-85에 비해 SU-100의 설계 변경 효과 (장갑, 러닝 기어, 전투실 등)
3. SU-85와 SU-100의 비교적 기동성과 장애물을 넘을 수 있는 능력
4. 승무원들의 편의성
5. 실제 발사 속도
6. 상하좌우 주포 조절 시
7. 탄약고 배치
8. 조준경의 신뢰성 및 사용 편의성.
9. 다양한 무기에 대한 장갑의 저항력과 장갑의 품질
10. 단차장, 포수, 조종수의 전투 시 행동 관찰
11. SU-100 사용 중 발생하는 주요 결함 및 문제 목록
12. SU-100의 전투 또는 사용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제안

보고서에서 SU-85나, T-34 전차와 비교했을 때 SU-100의 상대적인 효과에 대한 결론을 제시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소련 군부에서 실시한 SU-100에 대한 설문조사

해당 설문조사에서 단차장들은 SU-100의 단점으로 3번과 6번을 주요 단점으로 꼽았다.

그리고 단차장들 모두 이구동성으로 SU-100의 대전차화력은 끝내주지만, 단독으로 운용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평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보병수단의 추가를 원하였지만 결국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SU-100은, 어느 정도의 단점이 혼재하였지만 독소전쟁 말기 소련이 지닌 대전차병기 중 가장 강력했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으며, 이는 봄의 새싹 작전 당시 독일 중전차대대를 상대로 전과를 올린 것으로 증명이 되었다.

또한, SU-100은 상술한 장점 덕에 생산하기 편리하여 다수가 생산되어 세계 곳곳으로 판매되었으며, 이 단차들은 T-54나, T-55가 도입될 때 까지 공백을 매꿔줄 수 있었다.

그리고, T-54/55 등장 이후로도 사장되기는 커녕 해당 전차들과 대다수의 부품이 호환되므로 현재까지도 이용되는 질긴 생명력을 확보하게 되었으며, 따라서 총평으로는 급하게 제작되어 투입된 자주포지만, 적시적소에 투입되어 대활약한 소련 구국의 영웅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7. 실전

7.1. 대전기

7.1.1. 제2차 세계 대전

7.1.1.1. 독소전쟁
파일:SU-100_Spam.jpg
대조국전쟁 승전 열병식 참가 소련 육군 소속 SU-100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SU-100 운용 영상
SU-100이 최초로 실전을 치룬 전장이었으며, 이 시기 시험적으로 투입된 SU-100의 실전 결과 100mm 포의 전투 능률이 매우 좋았기에 소련 군부에서는 화력이 부족해진 SU-85를 곧바로 SU-100으로 대체하여 생산하도록 하였으며, 향후 T-34-85와 함께 80여년 동안 전세계에서 사용될 수 있게 된 비결도 독소전 최후반부에 적재적소에 투입되어 활약하여 밑바탕을 다졌기 때문이었다.
7.1.1.1.1. 바그라티온 작전
파일:UzbekistanSu-100.jpg
벨라루스 전선의 소련 제3근위전차군단 소속 SU-100 네임드 차량 "소비에트 우즈베키스탄 설립 20주년" 823번차[8]
우여곡절 끝에 드디어 양산된 SU-100은 44년 9월부터 전장에 배치되기 시작했는데 SU-100으로 무장한 첫번째 연대는 높은 신뢰도와 기동성으로 신형 자주포에 대하여 호평하였다. 그러나 정작 BR-412 철갑탄이 도착하는 11월까지는 철갑탄이 없어 훈련용으로만 사용되게 되었는데, SU-100은 45년 1월이 되어서야 부다페스트에서 첫 실전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벨라루스 등지와 헝가리, 오스트리아 에서 소련군이 공세를 취할때 SU-100은 종종 끝에서 적의 종심을 뚫는 돌격병기로 사용되곤 했는데 이는 빠른 재보급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베를린 전투를 대비하기 위해 45년 3월 말부터 SU-100 자주포들은 전차군에 소속되기 시작했는데 제1근위전차군은 27대의 SU-100을 배속받았고 4월 14일에는 독일 제11 기갑군단과의 전투를 위해 14대의 SU-100이 추가로 배치되었으며, 제2근위전차군은 3월 말에 31대의 SU-100을 받았고 4월 초에 15대를 더 받았다.

제4근위전차군은 28대의 SU-100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중 10대는 제6기계화군단의 것이었고 18대는 제10전차군단 소속 휘하의 제416근위자주포단 소속이었다.
7.1.1.1.2. 봄의 새싹 작전
파일:Broken_SU-100_Hungary.jpg
봄의 새싹 작전 당시 헝가리에서 격파된 소련 육군 제1우크라이나전선군 소속 SU-100
SU-100이 가장 많이 동원된 작전은 45년 3월의 봄의 새싹 작전으로, 독일 제6 SS기갑군에 대한 역습용으로 사용되었다.

45년 3월 11일에서 12일부터는 전차부대의 손실이 너무 커지자 SU-100이 잠시 전차 역할을 대신 맡기도 하였으며, 3월 15일부터 22일까지 제1우크라이나전선군은 21대의 SU-100중 15대를 손실했는데, 이 손실은 대부분 독일군 포격에 격파된 것이고 3대는 늪에 빠진 것을 건져내지 못해서 유기된 것이었다.
파일:03-9c0327fc55b6dd2255e3f35886defd15.jpg
소련 육군 제1952자주포연대 소속 SU-100에 의해 격파된 독일 국방군 제501중전차대대 소속 티거 2 "331호차"
봄의 새싹 작전 당시의 SU-100의 대표적인 활약상으로는, 바라톤 호수 근처에서 제1952자주포연대 소속 SU-100 단차장이었던 바실리예프 대위가 제501중전차대대 소속의 티거 2를 상대로 측면에 2발을 가격해 격파(사진)한 기록이 존재한다.
7.1.1.1.3. 동지 작전
파일:pomern_Su-100.jpg
동지 작전 당시 힌터포메른의 소련 육군 제11근위전차군단 산하 제1454자주포연대 소속 SU-100 자주포 소대
소련의 포메른 공세에서 다수의 단차들이 동원되어 전투를 치뤘으며, 이 시기 독일 국방군은 국민돌격대를 급하게 조직해 동지 작전이라는 명칭으로 방어를 시도했지만 결국 소련군에 의해 포메른이 점령되었다.
7.1.1.1.4. 오스트리아 전선
파일:12-su-100.jpg
빈 공세 당시의 소련 육군 제18전차군단 산하 자주포대대 소속 SU-100
오스트리아 전선 당시 다수의 단차들이 동원되었으며, 잔존 독일군을 격퇴하는데에 공을 세웠다.
7.1.1.1.5. 베를린 공방전
파일:Soviet_SU-100_at_Berlin,_1945.jpg
베를린 공방전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SU-100
베를린 공세가 시작되자 기존의 소극적인 역습임무가 아닌 적극적인 공세임무에 투입된 SU-100들은 큰 손실을 입게 되었는데 4월 17일에는 제 1 근위전차군이 2대의 SU-100을 손실했고 4월 19일에는 7대의 SU-100을 손실했다. 제2 근위전차군은 4월 16일부터 21일까지 5대의 SU-100을 잃었고 제 4근위전차군은 4월 16일부터 22일까지 18대의 SU-100을 손실한다.

베를린 시가전에 돌입하기 직전 제1 근위전차군에게 남은 전투준비 완료된 SU-100은 모두 17대가 되었다.

시가전에서 자주포들은 소규모로 분리되어 전차 및 보병들과 합동 운영하게 되어 있었기에 소규모로 재편성되었다. 예를들어 제9 전차군단 내 95 전차 여단은 7대의 T-34-85와 5대의 SU-100으로 구성되었으며 제7 보병 군단에 배속되어 보병의 지원을 받았다.

4월 28일에는 33대의 SU-100을 가진 제1818, 1415, 1049 자주포연대와 제95 전차여단이 제 3충격군으로 베를린 진공을 맡았다. 4월 23일부터 5월 2일까지 제 2근위전차군은 7대의 SU-100을 잃었고 제 3 근위전차군은 4대, 제4 근위전차군은 3대의 SU-100을 잃었다. 이 손실은 대부분 적병에 의한 것이었다.

베를린 공방전에도 참전한 SU-100들은 독기가 오를대로 오른 티거 2와 판터들을 격파하면서 연합군의 승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등장 시기는 매우 늦었지만, 2차 대전 당시 소련군이 지닌 전투차량 중 제일 대전차 능력이 뛰어났기에 적재적소에서 대활약을 하였다.
7.1.1.1.6. 프라하 공세
파일:6th_Guards_Tank_Corps_SU-100_in_Prague,_May_1945.jpg
프라하 공세 당시의 소련 육군 제6근위전차군단 소속 SU-100 자주포 소대
프라하 공세 당시에 역시 다수가 투입되었으며, 잔존 러시아 해방군 ROA 및 독일군 부대들을 격퇴, 프라하를 해방하는 활약을 하였다.

7.2. 냉전기

파일:sd100s04-b3d11b08dfaf9b3fa9adad6de3cc49e3.jpg
훈련 중인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소속 SD-100
SU-100은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도 충분히 적재적소에서 활약하였지만, 본격적으로 역사에 이름을 남기게 된 것은 1945년 종전 이후 소련과 미국, 두 초강대국의 국제 질서의 확립 이후부터였다.

특히, 소련은 이전부터 높은 공업력을 지니고 있던 체코슬로바키아에 SU-100을 위탁 생산하며 상술한 체코제 개량형인 "SD-100"을 다수 생산 후, 세계 각지에 T-34-85CZ와 함께 판매하여 각국에 전달하였다.

이 중에는 제3세계 국가들은 물론, 제2세계의 최전방인 동독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T-54 T-55가 등장하여 배치될 때까지 최전선에서 서방 국가들을 압박하는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으며, 이는 수에즈 위기 당시 영/프 연합군이 이집트군의 SD-100을 상대로 고전했다는 점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7.2.1. 중동전쟁

파일:Israeli_Su-100_parade.jpg
수에즈 위기 승전 열병식 등장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SD-100
중동전쟁 시기 아랍 국가들은 소련과 우방국으로 지내면서 T-34-85, T-55, IS-3, 그리고 SD-100을 공여받아 무장하였다.

SD-100은 T-55와 더불어 6일 전쟁까지의 아랍 연합이 지니고 있는 기갑 장비 중 최강의 화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9] 이스라엘 방위군에게도 큰 위협으로 작용했던 자주포였다.

대한민국 국군 T-34-85 쇼크처럼 이스라엘군은 SU-100 쇼크를 겪어봤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이스라엘군의 특징인 구식 전차들의 극단적인 무장의 성능 향상을 추구하게 되는데에 영향을 주었기에, 이스라엘 국방사에서 중요한 차량으로 평가된다.

수에즈 위기, 6일 전쟁 등에서 이스라엘 방위군도 이를 노획하여 단기간 운용한 기록이 존재한다.
7.2.1.1. 수에즈 위기
파일:89thantitankbt4tharmdivsuezarcher.jpg
수에즈 위기 당시의 이집트 육군 4기갑사단 산하 제89대전차대대 소속 SD-100
1956년에 발발한 "수에즈 위기"에서 SU-100은 최초로 해외에서의 실전을 겪게 된다.

나세르 대통령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 선언으로 발발한 전쟁에서 영국과 프랑스는 개별적으로 이스라엘 작전을 지원한 다음, 이스라엘의 침공 하에서 이집트에게 휴전을 요구함으로써 운하를 "보호"하려는 계획을 꾸몄으며, 이를 구실로 삼아 참전할 생각이었다.

그렇게 이스라엘이 제안한 작전은 시나이 반도의 북, 남, 중앙 방향을 교차할 수 있는 지역인 "아부아게일라"'[10] 마을을 목표로 삼는 것으로, 곧 바로 이스라엘군의 전차사단은 아부아게일라로 진격하게 된다.

아부아게일라를 점령하려는 이유는 이러했다. 중앙 포장도로는 포장이 잘 되어 있었기에 전차가 이동하기 매우 편리했으며, 또한 이 곳을 점령 후 통제하면 남북으로 가는 길을 막아버릴 수 있었기에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장소였다.

추가로 중앙의 포장도로는 1956년에 운하를 가로지르는 유일한 다리였던 이스마일리아 맞은편 운하에서 길이 끝나므로, 이 곳이 먹히면 그대로 수에즈 운하까지 단번에 뚫릴 것이 뻔했다.

이런 상황이었기에 이집트 군대는 아부아게일라의 중요성을 깨닫고 그곳에 절반의 사단을 주둔시켰으며, 이 사단 내에는 소량의 SU-100들과 Mk.I 아처가 배치되어 있었고, 보병들을 지원하는 역할에 배치되었다.

아부아게일라에서의 이집트 SU-100은 매우 큰 활약을 해냈는데, 이때까지의 이스라엘군의 주력 전차는 75mm M4A4와 76mm M-1 셔먼이었기 때문이었다. 이집트군 소속의 SU-100은 적절한 전술에 따라 T-34를 지원했으며 최소 1대의 셔먼과 M3 하프트랙을 완전 파괴하는 쾌거를 이뤘다.

SU-100을 발견한 이스라엘군이 셔먼으로 공격을 해도 75mm 50도 경사장갑[11]으로 셔먼의 75mm 포와 76mm 포를 모조리 도탄내는 엄청난 성능을 보여줬으며, 역으로 이스라엘군의 셔먼을 무자비하게 격파했다. 그렇지만 지원요청을 받고 도착한 이스라엘 공군 P-51 머스탱의 불벼락과, 프랑스 공군의 공습으로 결국 패퇴하게 된다.

한편 아부아게일라에서 이렇게 분전하고 있는 와중에, 시나이 반도의 남쪽은 전쟁 전부터 방비가 허술했었다.

시나이 반도 남단에 있는 "샤름 엘 셰이크"에는 T-34-85로 이루어진 전차중대와 SU-100 소대를 포함하는 대대가 있었는데, 이때 4대의 SU-100이 이스라엘군 9보병연대와 202공수여단에 의해 그곳에서 엄청난 양의 개인 화기 탄약과 함께 그대로 노획되었다.

샤름 엘 셰이크는 이스라엘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고 매우 고립되어 있었다. 그래서 당시 이스라엘 참전용사의 말에 따르면,이스라엘로 돌아갈 수 있는 군용 차량들의 제한된 용량을 고려하면 탄약이 더 가치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기에 그들은 SU-100들을 불도저로 홍해에서 밀어버려 수장시켜 버렸다고 한다.

이스라엘은 수에즈 운하에서 약 16km 정도 떨어진 곳에서 진격을 멈추고 있다고 발표했지만 일부 전방 부대는 4.5km나 가까이 가다가 마침내 진격을 멈췄다. 사실 이 시점에서 이미 이집트는 시나이를 막는다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해서 철수하였기에, 이스라엘군이 마음만 먹는다면 계속 진군할 수도 있었다고 한다.
파일:elgamil.jpg
엘 가밀 비행장에 유기된 SD-100을 노획한 영국군 제6전차연대 소속 병사들
이집트의 SU-100은 얼마 안 가 영불 연합군과 전투를 치루게 되었다. 1956년 10월 31일, 이스라엘군이 시나이 반도를 점령했다는 전보가 울리자 프-영 공군은 즉시 이집트를 폭격하기 시작했다. 이집트는 곧바로 수에즈 운하 내부의 선박을 침몰시켜 해군의 진입을 막았지만, 프-영 공군이 노리던 것은 해국이 아니라 이집트군의 공군 기지였기 때문에 결국 200대나 되는 전투기를 망실하고 말았다.

11월 5일, 이른 아침. 영국 공군 소속의 공수부대는 수에즈 운하 북쪽 입구에 있는 항구 근처의 "엘 가밀" 비행장에 상륙했다. 당시 엘 가밀 비행장은 3대의 SU-100과 보병들에 의해 보호되고 있었는데, 이집트군은 재빨리 예비로 존재하던 제53자주포중대소속 SU-100들을 추가로 파견하여 비행장을 지키기로 하였다.

이 SU-100들은 영국군에게 매우 뚫기 힘든 장애물로 평가되었으며, 이 중 한대는 영국 공수부대원이 사용하는 M40 무반동포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다른 차량들은 공습으로 인해 파괴되거나 탄약의 부족으로 결국 버려졌다. 비록 영국군이 엘 가밀 비행장을 차지하긴 했지만, SU-100 과의 전투는 아파트와 같은 민간 건축물 사이에 숨어있었던데다, 잘 훈련된 승무원들의 활약으로 절대로 쉬운 일이 아니었다.

영국 공수부대가 운하 서쪽 제방에 있는 포트 사이드에 공격을 가한 직후, 프랑스 공수부대는 수에즈 운하 동쪽 제방 맞은편의 작은 마을인 포트 푸아드에 상륙하기 시작했다. 이 곳에서 프랑스군은 동쪽에서 접근하는 이집트의 SU-100과 마주쳤다. 이들은 원래 시나이 반도의 방어를 위해 배치된 차량들이었으나, 시나이 반도 방어 계획이 수포로 돌아간 이후 재배치된 것이었다.

결국 다급하게 지원을 요청하는 프랑스 공수부대에 의하여 항공모함에 있던 2기의 F4U 콜세어가 출격하여 SU-100을 파괴했다.

제2차 중동전쟁은 1956년 11월 7일에 끝났다. 이 사건은 미국과 소련을 포함한 전 세계가 엄청난 비난을 해댔으며, 휴전 당시 영불 연합군은 운하의 북쪽 입구를 장악했고 이스라엘은 시나이 반도의 대부분을 장악했다. 이후 이스라엘이 1957년 3월 철수를 완료하는 동안 프랑스군과 영국군은 크리스마스 전에 떠나버렸다. 전쟁의 결과는 결국 얻은 게 없는 것으로 끝나게 되었으며, 수에즈 운하는 여전히 이집트령으로 남아 있었고, 운하 서쪽의 이집트 군대는 거의 그대로 남아 있었다.

이집트군은 100대의 SU-100으로 전쟁을 치뤘으며 총 24량이 파괴되었고 11량이 온전한 상태로 노획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노획된 SD-100 중 한 량은 영국군이 노획하여 잠시간 사용하다 NATO의 분석을 끝마친 후 보빙턴 전차 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어찌되었던 최초의 목적인 "수에즈 운하를 방어한다"라는 목표를 이뤄내게 되었으며, 이집트군은 이때 당시 SU-100의 고화력에 감탄하여 이후 Mk.I 아처를 SU-100으로 완전히 대체하게 된다.
7.2.1.2. 6일 전쟁
파일:su100andt34egyptsixday.jpg
6일 전쟁 당시 시나이 반도에서 격파된 이집트 육군 소속 SD-100 & T-34-85CZ
6일 전쟁 당시에도 다수가 참전하였다. 이는 수에즈 위기 당시에 사용되었던 자주포인 Mk.I 아처가 너무 많이 손실되어, 결국 바르샤바 동맹에게 지원을 부탁해서 받은게 SU-100이었기 때문이다.

수에즈 위기 때와 같이 1967년에 재차 일어났던 아부아게일라 전투 당시에 이스라엘 전차를 격파하는 쾌거를 보여주기도 하였다.[12]

그러나 이스라엘군은 새롭게 배치한 숏 전차로 반격하였으며, 이로 인해 22대의 SU-100이 격파되고, 같은 수의 T-34-85가 격파되었으며, 이집트군은 말 그대로 개발살나는 바람에 패주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스라엘군은 SU-100을 곱게 보내줄 생각따윈 없었으며, P-51 머스탱 스핏파이어로 그야말로 불벼락을 내려줬다.

이집트와 이스라엘군 사이의 전투 2일 사이 중 이집트군이 손실한 SU-100은 총합 54대이며,[13] 이는 이집트군이 소유하던 SU-100 재고 중 무려 51%였으며, 1967년 당시 세계에 존재하던 모든 SU-100중 4%에 달하는 엄청난 손실이었다. 이는 소련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잃은 것보다 약 4배 더 많은 SU-100을 손실한 셈이다.[14]

한편 수에즈 위기에 참전한 시리아도 이 때 다수의 SU-100을 투입시켰는데, 결과적으로 엄청난 실수를 한 셈이 되었다. 1967년 6월 5일 이집트에 대한 이스라엘의 초기 공격 이후, 다마스쿠스에 있는 시리아 정부는 소련 대사관에 의해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의 전쟁이 발발했다는 소식을 받았다. 이와 동시에, 시리아 장군들은 이집트 군대가 말 그대로 복날 개처럼 두들겨 맞고 있는 동안, 영광스러운 이집트의 승리에 대한 선전의 흐름을 방송하고 있는 것을 듣고 카이로를 감시하고 있었다.

시리아 군부는 이집트군의 가짜뉴스를 철석같이 믿고서는 이스라엘의 갈릴리 지역을 침공하기로 신속하게 결정했다. 시리아는 이미 골란 고원에 약 250대의 전차와 SU-100들을 보유하고 있었고 국경을 넘어 이스라엘령의 농지를 포격하기 위해 몇 년 동안 사용하고 있었다.

6월 6일 이른 아침, SU-100으로 이루어진 부대는 국경을 넘으라는 명령을 하달받았다. 물론 침공은 실패로 끝났다. 일부 부대는 사전 명령을 받지 못하거나, 아예 이를 무시했으며. 계획되었던 침투 작전은 탱크가 잘못된 지점에서 요르단 강을 건너려고 하다가 침수되는 바람에 실패해버렸다. 시리아군이 이스라엘에 가장 깊게 침투한 거리는 겨우 2km 내외에 불과했으며 그나마도 타 부대에서는 그보다도 못한 경우가 태반이었다.

1967년 6월 8일 모든 시리아군은 이스라엘에서 철수했다. 시리아 정부는 휴전을 발표했지만 그러나 5시간 후 갑자기 발표를 번복해버렸다. 시리아군과의 마찰을 이미 예견하고 있었던 이스라엘은 시나이 지역에서 이스라엘로 전차들을 이동시키고 있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웨스트 뱅크는 아직 이스라엘에게 점령되지 않았으며, 이 부대는 텔아비브 하이파를 통해 주거용 고속도로를 따라 거대한 강을 따라 이동했다.

6월 9일 아침, 이스라엘군은 국경을 넘어 골란 고원으로 진격했으며 공격의 주요 목표는 시리아가 가장 예상하지 못했던 곳, 레바논과의 국경을 따라 있는 골란 고원의 북부 지역이었다. 이곳을 점령 후 이스라엘군은 사주경계 후 후방에서 시리아 진지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6월 10일 오전 8시 45분에 시리아군은 갑자기 이스라엘이 다마스쿠스-베이루트 고속도로의 교차로이자 다마스쿠스 이전의 마지막 주요 도시인 "쿠네이트라"를 점령했다고 발표했다. 시리아 정부는 이 발표를 통해 이스라엘의 국제적 인식을 악화시키고, 나아가 소련의 주의를 끌어 소련군이 전쟁에 개입하기를 바랬으나, 결국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의도한 것과 달리 정말 어처구니 없게도, 이 과장된 발표를 들은 골란 고원에 있던 시리아군은 이스라엘군이 포위할 것을 두려워하며 일제히 동쪽으로 후퇴하기 시작했다. 골란 고원 전투에서 살아남은 SU-100 중 일부 차량들은 전차병들이 다마스쿠스로 이동하는 트럭이나 군용 지프에 탑승하면서 버려졌다. 이후 "만수라" 마을에 진주한 이스라엘군은 여기서 손상을 입지 않고 버려진 SU-100 한 대를 발견 후 노획했다.

시리아군의 SU-100 손실은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이스라엘이 온전하게 노획한 4량을 포함하여 20대가 손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시리아군이 소유하고 있던 SU-100 재고 중 4분의 1이나 되었으며, 이 20대는 나중에 바르샤바 동맹이 시리아에 다시 공여해주면서 채워지게 되었다.

결국 시나이 반도를 방어해 수에즈 운하를 보호한다는 목표에는 실패했으며, 이스라엘군의 승리로 전쟁은 막을 내렸다.
7.2.1.3. 욤 키푸르 전쟁
파일:13334158.jpg
욤 키푸르 전쟁 당시 격파된 이집트 육군 소속 SD-100
1973년 10월 6일 오후 2시에 시작된 이집트군이 주도한 공격의 첫 번째 단계인 "바드르 작전"은 일사천리로 진행되었으며,[15] 작전이 시작된 지 30분 만에 이집트군은 동부 제방에 있었고 해질녘 무렵에는 대전차 미사일로 무장한 탱크와 보병 팀을 포함하여 동부 제방의 5개 작은 교두보에 32,000명의 이집트군이 주둔하고 있었다.

10월 7일에 상륙작전이 전개되며 소수의 SU-100을 포함한 2차 공세가 이어졌다. 이어진 10월 9일, 이스라엘의 반격은 실패했고 10월 10일 아침에 이집트는 이스라엘 군대에 대한 아랍연맹의 첫 번째 승리를 이뤘다.

이 시점에서 이집트는 목표를 달성했지만 시리아 군대가 골란 고원에서 밀리고 있었기 때문에 더 동쪽으로 진격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집트군은 방공 시스템의 범위를 벗어났고 이스라엘의 공습의 대상이 되었다. 이스라엘의 탱크는 1967년 이후 다시 개선되었으며, 당시 중동에서 가장 진보된 탱크인 숏 칼 달렛과 M60 패튼이 혼성편제 되어 있었다. 이 두 탱크는 T-54/55는 물론이요, SU-100이나 T-34-85와 같은 2차 대전 차량들에게는 말 그대로 "재앙"에 가까운 물건이었다.

결국 이집트의 무모한 두 번째 공격은 큰 손실로 실패했고 이스라엘의 반격인 "가젤 작전"에 의해 전선이 밀리게 되었다. 10월 15일까지 시나이의 북쪽에서 이스라엘은 수에즈 운하에서 수 km 이내에 있었고 결국 중앙에 도달했으며 그날 밤 시나이의 남쪽 구역에서 이스라엘군이 직접 다리를 만들어 보병들과 공병들을 배치했다. 이후 10월 16일 웨스트 뱅크 방향으로 이스라엘 탱크가 운하를 건너기 시작했다.

이것은 이집트군을 엄청난 곤경에 빠뜨렸다. 제 3군 전체가 여전히 시나이 지역에 포위되어 있었지만, 이제 운하를 가로질러 동쪽으로 향하는 이집트 보급로는 완전히 사라졌으며, 이스라엘군은 서쪽에 전차사단을 배치하였다. 그 시점에서 여전히 살아남은 제3군의 SU-100은 연료가 고갈되거나 승무원이 운하를 향해 서쪽으로 향하는 트럭에 승차를 시도하면서 다수의 차량들이 버려졌다. 기록에 따르면 이집트 SU-100에 의해 파괴된 이스라엘 전차는 단 한대도 없었다고 한다.

이후 1973년 10월 28일 휴전을 선언하게 되면서 예비로 남겨진 소수의 SU-100은 전후 훈련에 잠시 사용되었다가 퇴역 후 치장물자로 돌려졌다.
파일:su100yomkippur.jpg
골란 고원에서 격파된 시리아 육군 소속 SD-100 "2106번차"
한편 시리아군의 상황은 이집트군보다 더 처참했는데, 1973년 10월 6일, 이집트가 시나이에서 이스라엘을 공격하고 있을 때, 5개의 시리아군 사단 전체가 골란 고원으로 이동했다.

이 때까지만 해도 시리아군의 전차는 이스라엘군의 전차보다 무려 4배나 더 많았으며, 이스라엘군은 10월 9일 시점에 겨우 6대의 전차만 소유하고 있는 상황이라 시리아군은 자신만만해 하면서 이번에야 말로 골란 고원을 탈환할 수 있을거라 생각하였다.

골란 고원의 공세에서 SU-100은 고산지대의 전투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리 큰 활약은 하지 못했으며, 약 하룻동안 소강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그러다 10월 10일 이스라엘 지원군이 도착했는데, 여기에는 바로 얼마 전 이집트군 소속의 SU-100을 유린했던 숏 전차가 포함되어 있었다.[16]

10월 12일 이스라엘군은 골란 고원에서 시리아군을 완전히 묵사발로 만들어버렸고 6일 전쟁 직후의 국경까지 몰아붙여 계속해서 시리아를 압박하고 있었으며, 소련은 시리아의 절망적인 손실을 대체하기 위해 유럽에서 T-62와 ​​T-54/55를 바리바리 싸서 다마스쿠스로 대규모 공수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제 시리아군에서도 예비장비로 돌려진 SU-100은 새롭게 편성된 주력전차 중대 당 한 대씩 할당되어 보조 역할을 수행했다.[17] 상황이 더욱 악화되자 일부 SU-100들은 전차병들이 보충되는 순간마다 바로바로 투입되었다.

욤 키푸르 전쟁 당시 시리아군 소속 SU-100에 의해 파괴된 이스라엘 탱크의 수량은 알 수 없다. 하지만 이스라엘군에 의해 파괴된 SU-100들은 매우 많았으며, 골란 고원 공방전 당시 일부 지점이 "눈물의 계곡"으로 알려지게 되는데 영향을 끼쳤다. 특히 이스라엘군은 고원 동쪽의 낮은 구릉에서 올라오던 시리아군 탱크들을 무자비하게 격파하면서 말 그대로 무덤으로 만들어 버렸다.

골란 고원 공방전 당시 96시간 동안 260대의 시리아군 소속 전차들이[18]가 이곳에서 파괴되었으며, 이 수치에 SU-100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이후 10월 25일 종전 협상이 타결되며 19일간 이어졌던 치열한 전쟁은 끝나게 되었다.

전쟁에서 살아남은 시리아군 소속 SU-100은 겨우 12대 밖에 없었으며, 이후 시리아군 내에서 사용되는 일은 없었다고 한다.

7.2.2. 베트남 전쟁

7.2.2.1.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파일:su-100_1980.jpg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의 베트남 인민 육군 소속 SU-100
베트남 전쟁 당시, 소련과 다른 동유럽 국가에서 다수의 차량을 지원받아 사용하였으나 공여받은 양이 적었기에 일선에서 사용되지 않고 후방에서 자주포 대용으로 쓰였다.

7.2.3. 피그만 침공

파일:castroandsu-100.webp
피그만 침공 당시 SD-100에 탑승한 피델 카스트로와 자주포병들
소수의 차량들이 T-34-85와 함께 투입되었으며, 이 중 한 문에 카스트로가 탑승하여 상륙정 한 척을 격침시킨 전과가 있다고 한다.

7.2.4.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파일:vietnam war Su-100.jpg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당시 포격 준비중인 베트남 인민 육군 소속 SU-100 "F144번차"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남 소속으로 참전했으며, 최전선에 투입되지 않고 후방에서 지원 포격용으로 사용되었다.

7.2.5. 유고슬라비아 내전

파일:1991SU-100serbia.jpg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의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육군 제11군단 소속 M-44[19]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측에서 동부 슬라보니아 공세에 투입하였던 기록이 남아있다.

동부 슬라보니아 공세 이후, 40문이었던 세르비아 크라이나군의 M-44는 격파, 유실등의 이유로 5문만 남았으며, 1995년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이 멸망한 후, 잔존하고 있던 M-44 5문 중 2문은 세르비아로, 나머지 3문은 3대는 니킨치 전차 훈련소로 보내졌다고 한다.

7.3. 현대전

파일:Vietnam_People_Navy_SU-100.jpg
베트남 해군 소속 SD-100 "083번차"
1991년 소련 붕괴 이후에도 러시아 본토에선 1995년까지 예비 물자로 편성되어 있었으며, 이후에도 T-54/55와 대다수의 부품이 호환되는 장점이 있기에 다수의 국가들이 1선에서 운용 중에 있다.

현대에 SU-100이 등장하여 활약한 케이스로는 예멘 내전이 존재한다.

7.3.1. 예멘 내전

파일:SU-100_in_Yemen,_2015.jpg
예멘 내전 당시의 예멘 정부군 소속 SU-100[20]
탄생한지 71년이 지난 예멘 내전 당시에도 헌역으로 T-34-85와 함께 참전했다.

원래 예멘은 SU-100이나, T-34-85와 같은 기갑차량들을 퇴역 후 타이즈 시에 위치한 군용 폐차장에 폐기처분 했는데, 내전 발발 이후 기갑차량의 부족으로 양 측 모두가 복원하여 사용 중에 있다고 한다.

특히 SU-100의 경우 예멘이 헌역으로 T-55를 운용중에 있기 때문에 T-55와 많은 부품이 호환이 된다는 장점이 있어 다수 사용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8. 운용국

8.1. 유럽

8.1.1. 동유럽

8.1.1.1. 소련
파일:Park_Patriot_SU-100_‘221’.jpg
애국 공원 소장 소련 육군 소속 SU-100 "221번차"
1944년 제식 채택 후, T-54/55가 소련군 내에 본격적으로 배치될 즈음인 1970년대 후반에 치장장비로 돌려진 이후 소련 멸망 시기까지 2선급 전력으로 활용되었다.
8.1.1.2. 러시아
파일:Victory_Day_Parade_SU-100_spg.jpg
모스크바 전승 기념일 열병식 참가 러시아 육군 소속 SU-100
소련 멸망 이후로도 1995년까지 예비 장비로 편성되어 있었으나 95년 이후 퇴역수순을 밟았고, 현재는 의장용으로 다수의 단차를 운용 중에 있다.

2015년 승리의 날 행사 때 70주년 기념으로 기갑부대 퍼레이드 앞머리에 T-34와 함께 등장했다.

8.1.2. 서유럽

8.1.2.1. 영국
파일:bovington_SD-100_1.jpg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소속 SD-100
상술했듯 수에즈 위기 당시 이집트 육군 소속 SD-100 여러 문을 노획하였으며, 사진의 차량은 수에즈 위기 당시 사이드 항구에서 노획해 잠시간 사용하다 영국으로 선박 운송된 후 NATO 측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나서 보빙턴 전차 박물관에 기증하였다고 한다.
8.1.2.2. 프랑스
파일:800px-SU-100_Saumur.jpg
소뮤아 기갑 박물관 소장 프랑스 육군 소속 SD-100
수에즈 위기 당시 사이드 항구에서 이집트 육군의 SD-100 1대를 노획하여 잠시 운용하다 이후에는 소뮤아 기갑 박물관에 기증하였다.

8.1.3. 중부유럽

8.1.3.1.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Zruč Air Park_SD-100.jpg
즈루치 항공 공원 소장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소속 SU-100
1950년대 다수의 차량을 소련으로부터 공여받아 사용하다가, 1953년 무렵 소련에게 라이센스를 받아 상술한 "SD-100"을 생산하여 세계 각지에 수출하였다.
8.1.3.1.1. 체코
파일:Czech_SD-100_no.931.jpg
즈디체 군사 박물관 소장 체코 육군 소속 SD-100
슬로바키아와 같이 체코슬로바키아 분열 이후로도 소수의 SD-100을 의장용으로 운용 중에 있다.
8.1.3.1.2. 슬로바키아
파일:Slovakian_SD-100_no.17.jpg
군사사 박물관 소장 슬로바키아 육군 소속 SD-100 "17번차"
체코와 같이 체코슬로바키아 분열 이후로도 소수의 SD-100을 의장용으로 운용 중에 있다.
8.1.3.2. 독일
8.1.3.2.1. 나치 독일
파일:Jagdpanzer_SU_100_r.jpg
단치히에서 격파된 독일 국방군 소속 Jagdpanzer SU-100(r)
봄의 새싹 작전이나, 둥지 작전 당시 국방군, 무장친위대가 극소수의 단차를 노획하였으나 1945년 당시 독일의 전황은 이미 기울고 있었기에 금방 소련군에게 격파되거나 다시 탈환되었다.
8.1.3.2.2. 동독
파일:SelbstfahrlafetteSu-100.jpg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국가인민군 육군 소속 Sfl SU-100
"100mm Selbstfahrlafette SU-100"[21]라는 이름으로 사용했으며, 1952년부터 KVP[22]에 공여되었다. SU-100이 공여된 이유는 나날이 증대되는 서방 세계의 재래식 전력들과, T-34-85가 등장하며 더 이상 사용 가치가 없어진 SU-85를 대체하기 위함이었다.

동독에서 사용된 SU-100은 소련제도 있었으나 대다수가 체코슬로바키아제 생산품이였다.

동독이 소유하던 SU-100의 수량은 적었지만, 1959년 최초의 T-54가 도착할 때까지 서독의 M47 패튼 M48 패튼을 격파 가능할 수 있는 유일한 전력이었기에 T-54가 공여될때까지 서독을 위시로 한 서방세계의 질적으로 월등한 전력 앞에서 동독을 보호하는 소방수 역할을 톡톡히 하였다.

초창기에 26문을 공여한 이후에, 24문을 추가로 공여하여 동독이 소유한 SU-100은 도합 50량 정도였다. 1959년에 T-54가 공여되면서 기존의 SU-100들은 구난차량으로 개조되었으며,[23] 1964년 즈음엔 SU-100의 역할을 T-54/55가 완전히 대체하며 현역에서 퇴역 후, 치장물자로 전환되었다.

현재는 독일 각지의 전차 박물관에서 국가인민군이 운용했던 SU-100을 다수 전시 중에 있다.
8.1.3.3. 폴란드
파일:Poznan_SU-100.jpg
포즈난 군사 박물관 소장 폴란드 육군 소속 SU-100
1950년대 소련으로부터 26문의 SU-100을 공여받아 사용하였다.

8.1.4. 남유럽

8.1.4.1. 불가리아
파일:1423155726_0_ae81f_191d4c06_xxl.jpg
소피아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불가리아 육군 소속 SD-100
1956년 소련으로부터 100여문을 공여받아 냉전 시기 운용하였으며, 이후에는 불가리아-튀르키예 국경에 배치되어 사용되었다.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SU-100의 출처도 불가리아이다.
8.1.4.2. 루마니아
파일:Romanian_SD-100.jpg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루마니아 육군 소속 SD-100
소련으로부터 도합 87문을 공여받았으며, 현재도 23문이 헌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군사 학교에 소장된 SD-100의 경우 의장용 및 훈련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중이다.
8.1.4.3.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파일:Slovenian_Pivka_M-44.jpg
피브카 전차 박물관 소장 유고슬라비아 인민 육군 소속 M-44
1961년 소련의 양국 간 관계 개선 일환으로 SU-100 40문을 구매하였으며, 유고슬라비아 측에서는 "M-44"라는 제식명을 부여 후, 운용하였다.

이는 바르샤바 조약 미가입 유럽 국가 중 유일하게 대규모로 SU-100을 운용한 사례로 남아있다.

해당 M-44들은 고화력의 100mm 주포와, T-55와 높은 정비 호환성 덕분에 유고슬라비아 연방 해체 직전까지 세르비아 방면의 군부대에서 사용되었다.
8.1.4.3.1. 세르비아
파일:servian_M-44_military_base.jpg
베오그라드 부반니 파톡 군기지 소장 세르비아 육군 소속 M-44[24]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 크라이나 세르비아군 편제 하에 제11군단으로 구 유고군 소속의 M-44를 전량 동원하였다가 크라이나 세르비아가 멸망한 후에는 자국 편제로 2문을 가져와 사용하였으며, 이 2문은 종전 이후에도 헌역으로 운용하다 2008년 전량 퇴역하였다.

8.2. 아시아

8.2.1. 동아시아

8.2.1.1. 중국
파일:Chinese_SU-100.jpg
화이싱 군사 공업단지 야외 전시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SU-100
1950년대 초기, 소련은 SU-100을 여러 나라에 공여 및 판매하여 국가 재건을 위한 자금을 모으고 있었는데 이 국가들 중에는 중국도 있었다.

이후 1950년 12월, 다롄에 주둔 중이던 소련군으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다 1953년 한국전쟁 휴전 이듬해 소련 제39군단이 다롄에서 완전 철수하고 나서, 중화인민공화국은 철수하던 소련군에게 SU-100 99문과 기타 기갑차량을 구입했다.

이때 제39군단 산하 제7기갑사단이 이전에 사용하던 전차의 대부분은 인민해방군의 190사단이 사용했는데, 이후 190사단은 제1기계화사단(第1机械化师) 으로 개칭되었고, SU-100 24문을 편제하여 배치하였다.

중국은 이후에도 T-54/55와 동일한 화력을 지닌 SU-100을 지속해서 요청했으며 도합 300대를 공여받아 사용하였고,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치장물자로 전환된 것으로 추측된다.
8.2.1.2. 북한
파일:NorthKorean_SU-100.jpg
조선인민군 육군 소속 SD-100[25]
1965년부터 1968년까지 소련에서 SD-100 100문을 구입해 사용했으며 남아있는 가용가능한 자주포들은 퇴역하거나 소수는 로농적위대(예비군)로 돌려졌다.
8.2.1.3. 몽골
파일:Saynshand, Ömnögovi province_SU-100_Monument.jpg
사인샨드 시 야외 전시 몽골 육군 소속 SU-100 "745번차"
1952년 소련으로부터 도합 10문을 공여받아 냉전 시기 사용하였다.

8.2.2. 동남아시아

8.2.2.1. 베트남
파일:mt223039-20.jpg
열병식 참가 베트남 인민 해군 소속 SD-100
베트남 전쟁 시기, 다수의 SD-100을 공여받아 사용했으며, 현재까지도 100여문이 헌역으로 베트남 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이다.

8.2.3. 중앙아시아

8.2.3.1. 우즈베키스탄
파일:Uzbek_SU-100.jpg
타슈켄트 승리 공원 소장 우즈베키스탄 육군 소속 SD-100
소련 시절 다수의 단차를 T-34-85, ISU-152 등과 함께 공여받아 사용했으며, 현재는 타슈켄트 승리 공원에 1문이 소장 중에 있다.

8.2.4. 서아시아

8.2.4.1. 시리아
파일:kiratshimonasyr6day.jpg
키라트 시모나 공원 야외 전시 시리아 육군 소속 SU-100
다수의 차량을 소련 및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했으나, 6일 전쟁 이후로 전력 증강이 이루어진 이스라엘 방위군과의 격차로 인해 활약하지 못하고 노획되거나, 격파되었다.
8.2.4.2. 예멘
파일:Yemeni_Su-100.jpg
예멘 정부군 소속 SU-100 & T-55A
북예멘과 남예멘 시기, 양 측 모두 SU-100을 구매하였으며, 1990년 통일 이후로도 2002년까지 현역으로 운용되었다.

이후 퇴역하여 다수의 단차들이 타이즈 시의 군용 폐차장에 폐기되었으나, 2015년 예멘 내전이 발발하여 기갑차량의 부족으로 T-55의 부품을 다수 유용하여 복원한 뒤, 재취역하여 운용 중에 있다.
8.2.4.2.1. 후티
파일:Houti_rebel_captured_SD-100.webp
사나 근교의 후티 반군 소속 SU-100[26]
예멘 정부군으로부터 소수의 단차를 노획하거나, 타이즈 시의 군용 폐차장에 있던 단차를 복원하여 운용하고 있다.
8.2.4.3. 이스라엘
파일:SD-100-Yad_la_siron.jpg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SD-100
수에즈 위기, 6일 전쟁, 욤 키푸르 전쟁에서 시리아군과 이집트군으로부터 다수의 단차를 노획해 사용하였다.

8.3. 아메리카

8.3.1. 북아메리카

8.3.1.1. 미국
파일:SD-100_USA.jpg
포트 베닝 미 육군 기갑 & 기병 박물관 소장 SD-100
1956년 11월 제2차 중동전쟁 당시 영국군과 프랑스군이 사이드 항구에서 노획한 4대의 이집트군 SD-100 중 1문을 인수해 애버딘 병기 시험장에서 테스트용으로 사용했다.

8.3.2. 카리브

8.3.2.1. 쿠바
파일:Havana_Museum_of_the_Revolution_SU-100_Model_1969.jpg
아바나 혁명 박물관 소장 쿠바 육군 소속 SD-100[27]
1960년대 소련으로부터 다수의 단차를 공여받았으며, 현재도 100여문을 헌역으로 운용 중에 있다.

8.4. 아프리카

8.4.1. 북아프리카

8.4.1.1. 이집트
파일:October_war_museum_SD-100_Egyptian.jpg
10월 전쟁 박물관 소장 이집트 육군 소속 SD-100
이집트는 SU-100을 운용한 최초의 해외 국가 중 하나였으며 1950년대 초반부터 공여받기 시작했다.

이집트가 지닌 SU-100은 체코제와 소련제가 혼합되어있는 형태였으며, 욤 키푸르 전쟁 이후로 퇴역하였다.

9. 미디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U-100/미디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모형

10.1. 프라모델

10.1.1. 타미야 모형

파일:RUSSIAN TANK DESTROYER SU-100.jpg
RUSSIAN TANK DESTROYER SU-100
1/25 스케일로 1종을 출시했는데, 이 박스에 " 주코프"라는 뜬금없는 명칭이 붙어 있어 일본과 대한민국에서는 '주코프'라는 별명이 붙은 것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심지어 일본식으로 쥬-고후

특히, 초창기의 타미야는 제품들에 멋대로 별명을 붙이기로 악명높아, AMX-30" 나폴레옹", 야크트판터" 롬멜" 등, 개발국의 유명한 인물들의 이름으로 별명을 붙여 출시했는데, 국내 프라모델 회사들이 해당 전차들을 출시하는 과정에서 타미야에서 붙인 그 별명들까지 진짜 이름인 줄 알고 그대로 박스에 인쇄했던 것.

SU-100은 인지도가 낮았기에 국내에서 생산되지는 않았지만, 몇몇 서적 등에서 해당 이름을 그대로 차용하여 사용했는데, "주코프"라는 별칭이 실려있는 서적을 보면, 십중팔구 야크트판터 또한 '롬멜전차'라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는 아무런 근거도 의미도 없는 별명들을 멋대로 지어 붙인 타미야와, 인터넷도, 서적도 부족해 검증하기 힘들었던 시기 아무것도 모르고 이러한 별칭을 붙인 국내 업체들의 코미디이자 애환이 담겨있다고 볼 수 있다.[28]

10.1.2. 드래곤 모델

파일:SOVIET SU-100 TANK DESTROYER.jpg
SOVIET SU-100 TANK DESTROYER
1/35 스케일로 1종을 출시하였다.

10.1.3. 즈베즈다

파일:SOVIET SELF-PROPELLED GUN SU-100.jpg
SOVIET SELF-PROPELLED GUN SU-100
1/100 스케일로 1종을 출시하였다.

10.2. 브릭

10.2.1. 브릭매니아

파일:SU-100 SOVIET SPG IN EGYPTIAN SERVICE.jpg
SU-100 / SOVIET SPG IN EGYPTIAN SERVICE
브릭매니아에서 이집트군 사양 SD-100 1종을 출시하였다.

10.2.2. 코비블럭

파일:CObi_block_SU-100.jpg
SU-100
SU-100 1종을 출시하였다.

11. 참고 문헌

12.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국방군 기갑 장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75px"
<colbgcolor=#484848>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 무장친위대 기갑차량
장갑차 Sd.Kfz. 3 | Sd.Kfz. 4 | Sd.Kfz. 6 | Sd.Kfz. 7 | Sd.Kfz. 8 | Sd.Kfz. 9 | Sd.Kfz. 10 | Sd.Kfz. 11 | Sd.Kfz. 250 | Sd.Kfz. 251 | sWS
Kfz. 13 | Sd.Kfz.221 | Sd.Kfz.222 | Sd.Kfz.223 | Sd.Kfz.231 | Sd.Kfz.232 | Sd.Kfz.233 | Sd.Kfz. 234/1 | Sd.Kfz. 234/2 푸마 | Sd.Kfz. 234/3 슈툼멜 | Sd.Kfz. 234/4 | Sd.Kfz. 247 | Sd.Kfz. 263
전차 Pz.Kpfw. I (Ausf.A/B/C/D/F) | Pz.Kpfw. II (Ausf.a/b/c/A/B/C/D/E/F/G/H/J/L/M)
Pz.Kpfw. III (Ausf.A/B/C/D/E/F/G/H/J/L/M/N) | Pz.Kpfw. IV (Ausf.A/B/C/D/E/F1/F2/G/H/J) | Pz.Kpfw. V 판터 (Ausf.D/A/G/F)
Pz.Kpfw. VI (Ausf.H/H1/E) | Pz.Kpfw. 티거 Ausf.B
구축전차 헤처 | 야크트판처 IV | 야크트판터 | 야크트티거
대전차 자주포 Sd.kfz. 6/3Diana | 판처예거 I | 마르더 I | 마르더 II | 마르더 III | 마르더 III (Ausf.H/M) | 판처예거 나스호른/호르니세 | 판처예거 티거 (P) 페르디난트/엘레판트 | 5cm PaK 38 auf 브루큰리거 IVc
구난전차 베르게판처 III | 베르게판처 IV | 베르게판터 (Ausf.D/A/G) | 베르게티거 | 베르게티거 (P) | 베르게헤처 38
돌격포 StuG III (Ausf.A/B/C/D/E/F/G) | StuG IV | 슈투름판처 IV | 38cm 슈투름뫼르저 | StuH 42 | StuIG 33B
자주포 슈투름판처 I | 슈투름판처 II | 슈투름판처 III | 베스페 | 그릴레 (Ausf.H/K) | 훔멜 | 뫼르저 칼 | 105mm leFH18(Sf) LrS | 150mm sFH13/1(Sf) LrS | Sd.Kfz. 4/1 | 15cm 판처베르퍼 42 auf sWS | Sd.Kfz 251/1-II
자주대공포 Sd.Kfz. 6/2 | Sd.kfz. 7/1 | Sd.kfz. 7/2 | Sd.kfz 10/4 | Sd.Kfz. 10/5 | 플락판처 IV (뫼벨바겐/비르벨빈트/오스트빈트/오스트빈트 II/쿠겔블리츠) | 플락판처 38(t) 게파트 | 플락판처 III (비르벨빈트/오스트빈트) | 플락판처 I
노획차량 및 개조품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체코 국기.svg Pz.Kpfw. 35(t) | 아틸러리 슐레퍼 35(t) | Pz.Kpfw. 38(t) | 판처예거 스코다 SIDt32(t)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Pz.Kpfw. 32 (j) | 르노 FT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35 미틀레레 판처바겐 | Sd.Kfz. 254 | ADMK Mulus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le.Pz.Kpfw. TK(p) | le.Pz.Kpfw. TKS(p) | Pz.Kpfw. 7TP 731(p) | 아틸러리 슐레퍼 C7P(p) | 아틸러리 슐레퍼 C2P(p) | 르노 FT
파일:덴마크 국기.svg Pz.Sp.Wg. L202(d) | Pz.Sp.Wg. Pansarbil m/39(d)
파일:벨기에 국기.svg 아틸러리 슐레퍼 VA 601 (b) | Pz.Sp.Wg. VCL 701(b) | Pz.Kpfw. AMC 738(b) | 판처예거 Sfl. CL 801(b) | 판처예거 VA 802(b) | 르노 FT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Pz.Sp.Wg. DAF 201(h) | Pz.Sp.Wg.L202(h) | Pz.kpfw. FT 731(h)
파일:프랑스 국기.svg Pz.Sp.Wg. Wh 201(f) | Pz.Sp.Wg. Laf 202(f) | Pz.Sp.Wg. 203(f) | Pz.Sp.Wg. P204(f) | 5cm KwK38 L/42 아우프 Pz.Sp.Wg. P204(f) | Pz.Sp.Wg. 178 P204(f) 쉬넨판처 | 라이히터 슈츤판처바겐 U304(f) | 2 cm Flak 38 leSPW U304(f) | 3,7 cm PaK 36 아우프 leSPW U304 (f) | Le.Zgkw. S307(f) | 미틀레러 게판처터 주크카프트바겐 S307/303(f) | 미틀레러 슈츤판처바겐 S307/303(f) | SPW S307/303(f) mit 라이헨베르퍼 | 7.5 cm Pak 40 아우프 m SPW S307/303(f) | 8 cm R-비파흐베르퍼 아우프 m.gep.Zgkw. S307/303(f) | 판처예거 mit 7,5 cm Pak40 아우프 파크슈텔 S307(f) | 15 cm 판처베르버 42 아우프 m.gep Zgkw. S307/303(f) 네벨베르퍼 41 | 로렌 슐레퍼(f) | 판처예거 로렌 슐레퍼 mit 47 mm Pak 181(f) | 베오바흐퉁스바겐 아우프 로렌 슐레퍼 | 판처 I turm 아우프 로렌 슐레퍼(f) | 12.2 cm FK (r) 아우프 게슈츠바겐 로렌 슐레퍼(f) | 19.4 cm 카노네 485 (f) 아우프 젤브스트파라페트 | 19,4 cm 카노네 485/585 (f) | 28 cm 뫼르저 602(f) 아우프 젤브스트파라페트 |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3.7 cm Pak 36(Sf) 아우프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28/32 cm 부르프라멘(Sf) 아우프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무니티온-슐레퍼 아우프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지히훙스파초이크 UE(f) | Pz.Sp.Wg. VM 701(f) | Pz.Sp.Wg. ZT 702(f) | 8cm 슈위허 그라나트베르퍼 34 아우프 Pz.Sp.Wg. AMR35(f) | Pz.kpfw. 17R 730c(f) | Pz.Kpfw.17R 730m(f) | Pz.Kpfw. 18R 730(f) | Pz.Kpfw. 35R 731(f) | Pz.Kpfw 35R 731(f) mit MG34 | Pz.Kpfw. 35R 731(f) mit T-26 Turm | 4.7 cm PaK(t) (Sfl.) 아우프 Fgst.Pz.Kpfw. 35R 731(f) | Pz.Kpfw 40R 736(f) | Pz.Kpfw. D-1 732(f) | Pz.Kpfw. D-2 733(f) | Pz.Kpfw. 35H 734(f) | Pz.Kpfw. 38H 735(f) | 무니티온-슐레퍼 38H 735(f) | 아틸러리-판처-베오바흐퉁 38H 735(f) | 운 그호서 풍크 운트 베페츠바겐 38H 735(f) | 무니티온-슐레퍼 39H 735(f) | 10.5cm leFH18(Sf) 아우프 게슈츠바겐 38H(f) | 부르프라멘 35H (f) | Pz.Kpfw. FCM 737(f) | 7.5 cm Pak 40 아우프 게슈츠바겐 FCM 36(f) | 7.5 cm Pak 40/1 아우프 Lorraine 슐레퍼(f) | Pz.Kpfw. 35-S 739(f) | Pz.Kpfw. B-2 740(f) | 105mm leFH 18/3 아우프 Gw B-1/B-2 740(f) | Pz.Kpfw B-1 Flamm | Pz.Kpfw. 770(f) | Pz.Kpfw. 612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Pz.Sp.Wg. BA 202(r) | Pz.Sp.Wg. BA 203(r) | 게판처트 아틸러리 슐레퍼 630(r) | 3,7 cm PaK 35-36 아우프 게판처터 아틸러리 슐레퍼 630(r) | 슈윔 Pz.Kpfw. T-37 731(r) | 슈윔 Pz.Kpfw. T-38 732(r) | 슈윔 Pz.Kpfw. T-40 733(r) | Pz.Kpfw. T-26A 737(r) | Pz.Kpfw T-26A 737(r) mit 75 mm Pak 97/38(f) | Pz.Kpfw. T-26B 738(r) | Pz.Kpfw. T-26B 738(r) mit 75 mm Pak 97/38(f) | Pz.Kpfw. T-26C 740(r) | 7,5 cm Pak 97/38(f) 아우프 740(r) | 플라멘베르퍼 Pz.Kpfw. T-26S 739(r) | Brücke Pz.Kpfw. T-26 741(r) | T-26T | 플라멘베르퍼 Pz.Kpfw. T-26B 739(r) | Pz.Kpfw.BT 742(r) | Pz.Kpfw. T-60/70 743(r) | 무니티온 슐레퍼 T-70(r) | 플락판처 T-60 743(r) mit 20mm Flak38 | Pz.Kpfw. T-34/85 747(r) | Pz.Kpfw. T-28 746(r) | Pz.Kpfw. T-34/76 Ausf.A 747(r) | Pz.Kpfw. T-34/76 Ausf.B 747(r) | Pz.Kpfw. T-34/76 Ausf.C 747(r) | Pz.Kpfw. T-34/76 Ausf.D 747(r) | 플락판처 T-34 747(r) | 베르게판처 T-34 | Pz.Kpfw. T-28V(T-28B) 748(r) | Pz.Kpfw. T-35A 751(r) | Pz.Kpfw. T-35C 752(r) | Pz.Kpfw. KV-IA 753(r) | Pz.Kpfw. KV-IB 755(r) | Pz.Kpfw. KV-IB 755(r) mit 7.5cm KwK 40 L/43 | Pz.Kpfw. KV-IC 756(r) | 베르게판처 KV-I | (슈투름)Pz.Kpfw. KV-II 754(r) | 야크트판처 SU-76(r) | 야크트판처 SU-76M(r) | 야크트판처 SU-85(r) | 야크트판처 SU-100(r) | 슈투름게쉬츠 SU-122(r) | 슈투름 Pz.Kpfw. SU-152(r) | 슈투름 Pz.Kpfw. ISU-152(r) «도젠외프너» | 야크트판처 SU-76I(r) | Mk.V | Pz.Kpfw. 처칠 | Pz.Kpfw. M3 747(a) | Pz.Kpfw. M4A2 748(a) | Pz.Kpfw. IS-2(r)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Panzerspähwagen Marmon-Herrington(e) gep.M.Trsp.Wg Bedford(e) | "Mammuth" | Pz.Sp.Wg. Mk l 202(e) | Pz.Sp.Wg. Mk.I bis III 202(e) | gep.M.Trsp.Wg Bedford(e) | Gepanzerter Maschinengewehrträger Bren 731(e) | 판처예거 Bren 731(e) | Gep. MG-Träger Br 731(e) mit 3,7cm Pak35/36 | 4.7cm PaK 188(h) auf Sfl. Bren 731(e) | 25mm Pak 112/113 auf Sfl. Bren 731(e) | 2.8cm sPzB.41 auf Sfl. Bren 731(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3(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4(e), 라이히터 Pz.Kpfw Mk.II 735(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6(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7(e) | 크로이처 Pz.Kpfw Mk.I 741(e) | 크로이처 Pz.Kpfw Mk.II 742(e) | 크로이처 Pz.Kpfw Mk.II 743(e) | 크로이처 Pz.Kpfw. Mk IV 744 (e) | Kruizer Pz.Kpfw Mk.V 745(e) | 크로이처 Pz.Kpfw Mk.VI 746(e) | 인판터리 Pz.Kpfw Mk.I 747(e) | 인판터리 Pz.Kpfw. Mk.II 748(e) | 인판터리 Pz.Kpfw. Mk.II 748(e) mit 5cm KwK 38 L/42 Oswald | Pz.Kpfw. Mk.III 749(e) | 인판터리 Pz.Kpfw. Mk.IV(e) Churchill | 셔먼 VC | 판처예거 M10 (e) Achilles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Pz.Sp.Wg. Ford M8/M20 (a), 게판처터 만샤프트트란스포트바겐 M3 401(a), Gep.M.Trsp.Wg. M3 401(a) mit 부르프라멘40, Pz.kpfw. M3 740(a), Pz.Kpfw. M5A1 (a), Pz.Kpfw. M3 747(a), Pz.Kpfw. M4 748(a), BPz 748(a), Pz.Kpfw. M4 748(a), BPz 748(a), 판처예거 M10 (a)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38M 톨디I(u), 42M 톨디II(u), 40/43M 즈리니 II (u), 40M 님로드 (u), 40M 투란I (u), 40M 투란II(u), 39M 차바 (u)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Pz.Sp.Wg. AB41 202(i), Pz.Sp.Wg. AB43 203(i), Pz.Sp.Wg. 란치아 1ZM (i), Pz.Sp.Wg. Lince 202(i), 게판처터 만샤프트트란스포트바겐 S 37 250(i), Pz.Kpfw L3/33(Flamm), Pz.Kpfw CV 35 731(i)/ Pz.Kpfw L3/35 731(i), Pz.Kpfw L3/33(Flamm) / L3/35 (Flamm) 732(i), Pz.kpfw. L6/40 733(i), Pz.kpfw. M11/39 734(i), Pz.kpfw. M13/40 735(i), Pz.kpfw M14/41 736(i), Pz.Kpfw. P40 737(i), Pz.Kpfw. M15/42 738(i), 슈투름게쉬츠 L6 mit 47/32 770(i), 판처베펠츠바겐 M41 771(i), 게판처트 젤브스트파라페트 90/53 831(i), 슈투름게쉬츠 M40 mit 75/18(i), 슈투름게쉬츠 M42 mit 75/18 (i)/Pz.bef.Wg M42 850(i), 슈투름게쉬츠 M42M mit 75/34 852(i), 슈투름게쉬츠 M42L mit 105/25 853(i), 슈투름게쉬츠 M42T mit 75/46 (i), 슈투름게쉬츠 M43 mit 75/34 851(i) , 슈투름게쉬츠 M43 mit 75/46 852(i), 슈투름게쉬츠 M43 mit 105/25 853(i), Gepanzerte 젤브스트파라페트 M43 149/40 854(i) }}}}}}}}}
프로토타입 T-25, 경 트랙터, 대형 트랙터, Pz.Kpfw. Nb.Fz, 호이슈레케 10, D.W.1/2, 5/4호 전차, VK 시리즈, 기갑 자주포, VK 30.01 / 02, VK 36.01, VK 45.01(P), VK 45.02(P), VK 65.01,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게쉬츠바겐 티거, 로이머 S, Kätzchen 병력수송장갑차, 8,8cm 바펜트레거
페이퍼 플랜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 / 10호 전차, E 시리즈, 1인용 경전차 시안 "마우스", 슈투름판처 Bär, 슈투름판터,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마레샬 구축전차
차량 독일 국방군/차량, 퀴벨바겐, 슈빔바겐, Steyr 1500A, Büssing-NAG T500, Büssing-NAG G31, Büssing-NAG L4500, 오펠 블리츠, Ford B3000S, V3000S, V3000A, Borgward B3000, 메르세데스-벤츠 G5, 메르세데스-벤츠 L1500, 메르세데스-벤츠 L3000, 메르세데스-벤츠 LG3000, 메르세데스-벤츠 L4500, 메르세데스-벤츠 L6500, 크루프 프로체, 타트라 T111
모터사이클 DB / DBK, KS 750, 케텐크라프트라트, R-75
그 외 동부용 궤도형 트랙터, 동부용 차륜형 트랙터, 수륙양용 트랙터, 골리아트 지뢰, 보르크바르트 4호, 스프링거 무인자폭차량, VsKfz 617, 쿠겔판처
기타 독일 기갑 병기의 역사와 루머
※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전차 및 차량(Beutepanzer)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체코슬로바키아군 기갑차량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전간기 및 2차 세계대전
체코슬로바키아군(ČSA) 기갑차량
장갑차 <colbgcolor=#ffffff,#d80c13>OA vz. 23, OA vz. 27, OA vz. 30, PA-ll
전차 경전차 KH 전차, Tančík vz. 33, AH-IV, LT vz. 34, LT vz. 35,
T-12 경전차, T-15, T-70O, M5 스튜어트O
순항전차 크롬웰O, A30 챌린저O
중형전차 ST vz. 39, LT vz. 38S, T-21 전차, T-24, T-25, T-34-76O, T-34-85O, Pz.Kpfw. T-34/85 747(r)O, 파이어플라이O, 투란 중형전차O, 밸런타인 IIIO
중전차 IS-2O
자주포 Zb 16051/53/57/63/64, LSD 76/42SO, SU-85O, SU-100O, ISU-152O, 43M 즈리니IIO
※ 윗첨자O: 타국에서 노획 및 지원
※ 윗첨자S: 제식명을 부여받았으나, 정식 채용되지 못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냉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소련식 분류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냉전기
소련군 기갑차량
전차 <colcolor=#fff> 시대별 세대 구분 <colcolor=#fff> 1세대 전차 <colcolor=#fff> 중형전차 <colbgcolor=#fefefe,#393b42> T-2597 «치하»L/R, T-2597 «신호토 치하»L/R, M4A2E8L/R, M4A4L/R, T-34-76R, T-34-85 (D-5T)R, T-34-85MLT, T-44MR, M-50L/R, M-51L/R
중전차 MK-IIL/R, T-VL/R, IS-2M, IS-3M
2세대 전차 중형전차 K-91, T-54, T-55, T-62(A/M), T-64
중전차 IS-4M, IS-7, T-10(M), 오비옉트 257, 오비옉트 277, 오비옉트 278, 오비옉트 279, 오비옉트 752, 오비옉트 777
경(부항)전차 PT-76 «플라분», PT-76B «플라분», PT-85, T-100
미사일 전차 IT-1, 오비옉트 287, 오비옉트 775, 오비옉트 780, 오비옉트 906B
3세대 전차 1세대 주력전차 T-64A
2세대 주력전차 T-72
3세대 주력전차 T-80
MBT 기준 세대 구분 1세대 MBT T-62B, T-64(A/R), T-72A
2세대 MBT T-64B/B1/BV, T-72(B/B1), T-80(B/BV/A/U)
장갑차 장륜장갑차 BRDM-1, BRDM-2, BTR-60, BTR-70, BTR-80
궤도장갑차 BTR-50, MT-LB, GT-T, GT-L, GT-MU, DT-30, BMD-1, BMD-2, BMD-3, BMD-4, BTR-D, BMP-1, BMP-2, BMP-3
차량 소형 UAZ-469, GAZ-64, GAZ-67, GAZ-69, UAZ-452, UAZ-469
트럭 MAZ-7310, ATS-59, GAZ-51, GAZ-63, ZIS-150, ZIL-150, ZIL-164 «자하르», GAZ-66, ZiS-151, ZiS-157, ZiL-131, 우랄-4320, KrAZ-214, KrAZ-255
자주포 자주곡사포 SU-122R, 2A3 콘덴사토르-2P, 2S1 그보즈디카, 2S2 피알카, 2S3 아카치야, 2S5 기아친트-S, 2S7 피온, 2S19 무스타-S
자주박격포 2B1 오카, 2S4 튤판, 2S9 노나-S
자주평사포 SU-M10L/R, SU-76IR, SU-76M, SU-85R, SU-85MR, SU-100, ISU-122, ISU-152, SU-122-54, ASU-57, ASU-85, SU-100P, SU-152 타란, SU-100M, 2S2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ZSU-37-2 예니세이, ZSU-23-4 쉴카, 2S6 퉁구스카
단거리 대공미사일 2K22 퉁구스카, 9K31 스트렐라-1, 9K33 오사, 9K35 스트렐라-10, 9K330 토르
다연장로켓 BM-13, BM-21, BM-24, BM-27, BM-30, TOS-1 부라티노
경전차 T-26R, M24 채피L/R, T-2595 «하고»L/R, MK-IIIL
구난전차 IMR-2, BTS-4, IMR
기타 GRAU 코드명, GABTU 코드명
※ T-64A(오비옉트 434)부터 주력전차로 분류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 L: 렌드리스/전시 노획/노획 차량 인수로 치장장비/연구용으로만 사용했다.
※ 윗첨자 LT: 체급이 경전차로 재편성되었다.
※ 윗첨자 R: 냉전 중 퇴역한 차량.
}}}

}}}}}}


냉전기 동독 국가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colbgcolor=#006633> 국가인민군 (1956~1990)
National Volksarmee
기타전차 <colbgcolor=#006633> 경전차 SchwPz PT-76B, PT-76 Md.2
중형전차 mKPz T-34/76 mod.1941, mKPz T-34/76 mod.1942, mKPz T-34/76 mod.1943, mKPz T-34/85, mKPz T-34/85M
중전차 sKPz IS-II
MBT 1세대 KPz T-54(Z/AZ/AMZ), KPz T-55(A/AM1B · 2B · 2PB)
2세대 KPz T-72(M/M Übergangsversion/M1)
장갑차 차륜장갑차 SK-1, SPW-152K, SPW-40, SPW-40PA, SPW-40P2,
SPW-60PB, SPW-70, PSzH-IVGT
궤도장갑차 SPW-50(P/PK), MT-LB, SPz BMP-1, SPz BMP-2
차량 소형 GAZ-69, UAZ-469, UAZ-452, IFA P2MGT, IFA P3GT, 트라반트 퀴벨GT
트럭 GAZ-51, GAZ-63, FSC 루블린-51, GAZ-66, 로부르 LO 1800 · 2002, ZiL-131GT · 135 · 157 · 167, Ural-375DGT · 4320,
타트라 T-813/815, KrAZ-214 · 255B, IFA H3A · G5 · H6 · W50L/A · L60 · S4000
자주포 자주곡사포 Sfl ISU-152M, Sfl-Hb 2S1, Sfl-Hb 2S3
대전차 자주포 ASU-57, Sfl SU-76M, Sfl SU-85, Sfl SU-100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Fla-Sfl 57-2, Fla-Sfl 23-4(W1/M) Schilka
대공미사일 2K11 크루그, Fla-Kom Strela-10, Fla-Kom Osa
다연장로켓 BM-14, BM-21, BM-24, RM-70
※ 윗첨자GT: 독일민주공화국 국경부대(Grenztruppen der DDR)에서도 같이 사용했던 차량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11457e>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1954~1990) 기갑차량
기타 전차 T-36, LT-38/37, T-40/75, IS-2, T-40
MBT <colcolor=#373a3c><colbgcolor=#11457e> 1세대 T-54(A/AM/AR Reika), TVP,
T-55(A/AM1 · M1B/AM2 Dyna-1 · M2B/AMB)
2세대 T-50/51, T-72(M1/M1CZ · M2CZ)
장갑차 차륜장갑차 OT-64 SKOT (A/C), OT-65, BRDM-2
궤도장갑차 OT-810, BPzV, OT-62(A/B/Vydra), BVP-1 · OT-90, BVP-2
차량 소형 스코다 1101 VO, UAZ-469
트럭 타트라 148 · T-813 · T-815, 스코다 6L · RSO · 706, 프라가 V3S
자주포 자주곡사포 ST-II, ShKH vz.77 Dana, 2S1 Karafiát, 2S7 Pivonka
자주박격포 2S4 튤판
대전차 자주포 ST-I, ST-III, SD 75/40N, SD-100, TSD-152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Vz.53/59 PLDvK, STROP-(1/2)
단거리 대공미사일 PLRK S-1M2, PLRK S-10M, 9K33(M2/M3) 오사
다연장로켓 BM-24, RM vz. 70
이텔릭체: 외산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장비 }}}}}}}}}


냉전기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기갑차량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유고슬라비아 국군 (1945~1951)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1951~1992)
Jugoslovenska Narodna Armija / Jугословенска Народна Армиjа
기타전차 경전차 M3A1 스튜어트, M3A3 스튜어트, PT-76B
중형전차 3호 전차C, 4호 전차C, T-34-85M, T-34BM, Vozilo-AX, M4A3E4
MBT 1세대 T-54A, T-55(A/AI), M47 패튼
3세대 T-72M, M-84(A/AB/ABN), M-90/91
장갑차 차륜형 장갑차 M-100, BTR-152, BTR-60, BRDM-2, OT TAB-71, BOV
궤도장갑차 Sd.Kfz. 251, OT M-5, MT-LB, OT M-60(P/PB), BTR-50, BVP M-80(A/A1)
차량 소형 피아트 1101 · 1107, 핀츠가우어
트럭 TAM-110 · 150 · 260 · 4500 · 5000,
FAP 2026 · 2832, ZiL-131 · 157, MAZ-537
자주포 자주곡사포 Kadilak, SO-105, 2S1, NORA B-52
대전차 자주포 SO-75C, SO-75 M-3A3M, M-44, SO-76M, SO-76 Helkat, SO-90 "Dżecksons", M36B1, SO-122X
대공차량 자주대공포 M15 CGMC, ZSU-57-2, M53/59, BOV-3, BOV-30X, SPAT 30/2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스트렐라-1, M-90 Sava,
RL-2 프락카M
다연장로켓 M-63 플라멘, M-77 오간, M-87 Orkan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X: 프로토타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냉전기의 미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냉전기
미군 기갑차량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 M4A1R, M4R, M4A2R, M4A3R, M4A4R, T-34-85C/R, M26 퍼싱R, M103R,
T42, T95, T57, T110, T54, T69, 크라이슬러 K, TV-8
MBT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R, M48 패튼R, M48A1 패튼R, M48A2 패튼R, M48A3 패튼R, M48A5 패튼R
2세대 M60, M60A1, M60A2, M60A3 TTS
3세대 XM815P · XM1P · IPM1 · M1 에이브람스, M1A1 (HA · HC) 에이브람스, MBT-70
경전차/공수전차 경전차 M24 채피R, M41 워커 불독R, T49, HSTV-L
공수전차 T71, T92, RDF/LT, M551 셰리든
장갑차 차륜형 장갑차 V-100, V-150, LAV-25, XM800W
궤도형 장갑차 LVT(A)-4R, LVT(A)-5R M113(A1 ~ A3), M114(A1 ~ A2)R, M59, M75, M2 브래들리, M3 브래들리, AAV-7A1, LVTP-7, LVTP-5(A1), LVTH-6R, LVT-6, XM800T, COMVATP
차량 소형 M151, 험비, M1009 CUCV
트럭 건 트럭, M602, M35, M37, M39 M715, M809R, M939R, M977 HEMTT
자주포 자주곡사포 M37 자주곡사포R, M41 고릴라R, M44 자주포R, M52 자주곡사포, M53/M55,
M107, M108, M109(A1 ~ A5), M110(A1/A2), SU-76MC/R,
돌격포/돌격전차 M8 HMC "스콧"R, M4 (105)R, M4A3 (105)R, M4 (105) HVSSR, M4A3 (105) HVSSR, M4 (105) 셔먼 도저R, POA-CWS-H5R, M4A3 (105) "포큐파인"R, M45 중형전차R
자주박격포 M125A1, M106A2, LAV-M
대전차 자주포 SU-76MC/R,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42 더스터, M163 VADS, M6 라인베커, T249 비질란테, XM246, Phòng không T-34C
대공미사일 M1097 어벤저, M48 채퍼럴, XM975 롤랜드, MIM-46 마울러
다연장 로켓 M270 MLRS
※ 윗첨자R: 냉전 중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P: 냉전 당시 프로토타입(냉전 이후 운용)
취소선: 도입 자체가 무산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베트남전 시기의 베트남 인민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1차,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라오스 내전, 캄보디아 내전
베트남 인민군 기갑차량
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191919> PT-76, 62식 전차, 63식 전차, M24 채피FR, AMX-13C
중형전차 및 MBT T-34-85, T-54, T-55, 59식 전차
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C
APC BTR-40, BTR-50, BTR-60, BMP-1, 63식 장갑차, M3 하프트랙
자주대공포 BTR-40A, ZSU-57-2, ZSU-23-4 쉴카, Phòng không T-34M, Phòng không SU-76MM
자주포 M8 스콧FR, SU-76M, SU-100
※ 윗첨자FR: 프랑스 극동 원정 군단이 유기하고 간 것을 수습.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현지개조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파일:러시아 국기.svg 현대 러시아 연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러시아 연방군 (1992~현재)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기타전차 <colbgcolor=#ffffff,#191919> 경전차 PT-76(B)R, AMX-10RCC
중형전차 T-34-85MC
중전차 T-10MR
퍼레이드용 차량 T-2597 «Шин-Хо-То Чи-Ха»C/R, T-34 (1941)R, T-34 (1942)R, T-34-85R, T-34-85MR, T-34-85CZR, MK-IIIR, SU-76MR, SU-85R, SU-85AR, SU-100R, ISU-152R, ISU-122R, 윌리스 MBR, BA-64R, BA-6R, TIZ-AM-600R, T-20R, T-26RTR, KhT-26R, T-38R, T-60R, T-28R, T-35R, MS-1R, BM-13R
MBT
서방식 분류
1세대 T-54(AM/M)RC, T-55(AD · AM · AMV)RC
2세대 T-62(M · MV)RC, T-64(A/B · B1 · BV · BMC), T-72(우랄/ARC · M1C · B · BA), T-80(BRC · BV · BVM)
3세대 T-80(U · UDRC · UK · UM2D · BVM) , T-72(B3(M)), T-90(A · S)
3.5세대 T-90M, T-14
장갑차 차륜장갑차 BDRM-2/2RkhbRC, BTR-60RC, BTR-70RC, BTR-82AM/82A/82A1, BTR-90S,
BTR-4C, BPM-97, AMN-590951, { K-16 부메랑 BTR}, { K-17 부메랑 BMP}, Z-STS
궤도장갑차 MT-LB, BMD-2, BMD-3, BMD-4, BMP-1S(M · AMㆍUC), BRM-1(K)/Obr. 2021, BMP-2(M), BMP-3, BMPT, BMO-T, { T-15},
{ 쿠르가네츠-25(BMP · BTR)}, { BMMP}, PTS-2, PTS-3, DT-30, BTR-50RC, YPR-765C, M113C, CV90C, M2A2 브래들리C
차량 소형 UAZ-469, GAZ-2975 티그르, GAZ-2330 티그르, 이베코 LMV, VBL, UAZ-3132, UAZ-3163, 타루스2x2, A-1, TTM-1901-40, K-4386 타이푼-VDV, M1224 MaxxProC, M-ATVC, HMV 하야테, 플라스툰-SN
트럭 GAZ-51, GAZ-63, GAZ-66, GAZ-33097, MAZ-7310, MAZ-6317C/R, 우랄-4320, 우랄-5323, ZiL-131, KamAZ-4326, KamAZ-4350/5350/6350, KamAZ-65225, KamAZ 타이푼, BAZ-6906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A-222 베레크, 2S19 무스타-S, 2S35 칼리챠-SV, 2S43 말바
자주평사포 2S5 기아친트-S, 2S7 피온
자주박격포 2S4 튤판, 2S9 노나-S, 2S23 노나-SVK, 2S31 베나, 2S34 호스타, 2S40 플록스, 2S41 드로크, 2S42 로토스
대전차 자주포 2S25(M)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M4 · M5) 쉴카, 2S6(M1) 퉁구스카, 판치르-S1, 소스나-R , { 2S38 데리바치야-PVO}
단거리 대공미사일 2K22(M1) 퉁구스카, 판치르-S1, 9K331 토르-M1, 9K33(M3 · AKM) 오사, 9K35(M3 · MN) 스트렐라-10
중장거리 지대공미사일 2K11 크루그R, 9K37 부크
다연장로켓 BM-21 그라드, BM-27(M1) 우라간, BM-30 스메르치, 9A52-4 토네이도, TOS-1A 솔른체푝, TOS-2 토소치카, 체부라시카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RC: 재취역 차량
※ 윗첨자D: 전량 손실
취소선: 개발 및 도입 중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현대 유고슬라비아 연방군,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유고슬라비아 연방군 (1992~2003)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군 (2003~2006)
Vojska Jugoslavije / Војска Југославије Vojska Srbije i Crne Gore / Војска Србије и Црне Горе
기타전차 T-34BM
MBT 1세대 T-55A
3세대 M-84
장갑차 차륜장갑차 BRDM-2, BOV
궤도장갑차 BTR-50, BVP M-80A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대전차 자주포 M-44RSK, SO-90 "Dżecksons"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53/59 프라가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스트렐라-1, S-125, 9K35 스트렐라-10
다연장로켓 M-63 플라멘, M-77 오간, M-87 Orkan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RSK: 크라이나 세르비아로부터 이관됨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X: 프로토타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현대 세르비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세르비아군 (2006~현재)
Vojska Srbije / Војска Србије
기타 전차 경전차 { LT-HPLRG-AT}
중형전차 T-34BR, M4A3E4R
MBT 1세대 T-55S
3세대 T-72(M1S/S/B3O/B1MS), M-84(AS/AS1/AS2)
장갑차 차륜장갑차 라자르(1/2/3/3M), BOV-(1/VP/M11), M-20 MRAP, BOV M16, 렌코 베어켓 BTR-60, BRDM-2, AT105 색슨C
궤도장갑차 OT M-60(P/PB), BVP M-80(A/AB1/AB2), MT-LBu, BTR-50(PKS/PU)
차량 <colbgcolor=#0c4076> 소형 험비, 디펜더 110, G바겐 300GD, 핀츠가우어, TAM 75
트럭 난징-이베코 터보 데일리, 벤츠 유니목 1300LO, ZiL-131,
MAZ-537, KrAZ-255, 우랄-375, MAN TGS, 스카니아 113M310O,
TAM 110 T7 · 150 T11 · 260 T22 · 4500S,
FAP 13 · 18 · 1118 · 1921 · 2026 · 2226 · 2632
자주포 자주곡사포 NORA B-52, SORA, 2S1, 알렉산다르, { LT-H}
대전차 자주포 SO-90R, M-44R }}} <colbgcolor=#ffffff,#191919>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53/59 프라가S, SPAT 30/2, BOV-3, 판치르-S1/S1M, PASARS-16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9K35
다연장로켓 M-77 오간, M-87 Orkan, M-97 플라멘-S, LRSVM Morava, M-18 Oganj
UGV 밀로쉬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O: 타국에서 공여받은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 국기.svg 현대 세르비아 크라이나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크라이나 세르비아군 (1991~1995)
Srpska vojska Krajine (SVK) / Српска војска Крајине (СВК)
기타전차 T-34BM
MBT 1세대 T-55
2세대 T-72M1
3세대 M-84
경전차 PT-76
장갑차 차륜장갑차 BRDM-2, BOV
궤도장갑차 BVP M-80, OT M-60
자주포 자주곡사포 SO-122
대전차 자주포 M-44, SO-90 "Dżecksons", SO-76 "Hellkat"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M53/59 프라가
단거리 대공미사일 2K12 쿠프, 9K31 스트렐라-1, 9K52 루나-M
다연장로켓 M-63 플라멘, M-77 오간
장갑열차 크라이나 익스프레스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X: 프로토타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파일:중국 국기.svg 현대 중국 인민해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1c25> 중국 인민해방군 (1948~현재)
中国人民解放军 / 中國人民解放軍
기타 치하IJA/NRA/L/R, M4A2NRA/M/R, M4A3 (76) W HVSSC/R, IS-2L/R, OT-34 1943년형L/R, T-34-85L/M/R, 58식 전차M/R, WZ-111, 122 중형전차, L3/35NRA/R, M46 패튼C/R
MBT <colbgcolor=#ee1c25> 1세대 59식 전차
2세대 69식R · 79식 전차, 80식R · 85식R · 88식 전차, 90식 전차, 96식 · 96A식 전차, T-72 우랄-1, T-72M1
3세대 96B식 전차, 99식 전차
3.5세대 99A식 전차
경전차 아식 구돈반전차NRA/R, M3A3NRA/C/R, M5A1 스튜어트NRA/R, 97식 "공신호" 경전차IJA/NRA/C/M/L/R, QT-95형IJA/NRA/C/L/R, M24 채피C/R, 59-16 경전차, 62식 전차R, 63식 전차, WZ-132, 05식 양서돌격차, 15식 경전차, VT-5E
장갑차 차륜장갑차 56식 장갑차R, 90식 장갑차, 92식 장갑차, 93식 장갑차, 05식 장갑차, 08식 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NRA/R
궤도장갑차 옥스포드 캐리어C/R, 와스프 IICC/R, SU-85 구난전차L/M/R, M113C/R, 63식 장갑차, 77식 수륙양륙장갑차, 86식 보병전투차R, 85식 장갑차, 89식 장갑차,
03식 공수 보병전투차, 04식 · 04A식 보병전투차, 05식 양서장갑차
차량 소형 둥펑 멩시 시리즈, 둥펑 EQ-2050, 노린코 VP11, 노린코 VP22, 노린코 VN21, 노린코 CS/VN11, 노린코 CS/VN14, CS/VP11 ATV, CS/VP6/VP16 ATV, 얀징 YJ2080
트럭 우랄-4320, GAZ-51R, GAZ-63R, 난징 유에진 NJ130R, 난징 유에진 NJ230R, 지에팡 CA10R, 둥펑 EQ240/EQ2081 6x6, 둥펑 EQ2102, FAW MV3 4x4, 샨시 SX2190
자주포 자주곡사포 70식 122mm 자주포R, 83식 152mm 자주포, 88식 155mm 자주포, 89식 122mm 자주포,
05식 155mm 자주포, 07식 122mm 자주포, 08식 차륜형 자주포, 09식 122mm 차륜형 자주포, PCL-171 122mm 차륜형 자주포, PCL-181 155mm 차륜형 자주포
자주박격포 85식 자주박격포, 05식 자주박격포, 08식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 LVT(A)-4 (ZiS-2)NRA/M/R, LVT-4 (ZiS-3)NRA/M/R, SU-76ML/R, SU-85L/R, SU-100L/R, ISU-152R, 89식 자행대전차포, ISU-122L/R, M36 잭슨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88식 자주대공포, 95/04식 자주대공포, 07식 자주대공포, 09식 자주대공포, M19 더스터C/R
단거리 대공미사일 HQ-6, HQ-7, HQ-17, HQ-17A
다연장로켓 BM-13NL/R, WS-1/2, 83식 다연장로켓R, 63식 다연장로켓R, 81/89/90/식 다연장로켓R, 03식 다연장로켓, 11식 다연장로켓, 16식 다연장로켓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NRA: 국공내전 당시 국부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폴란드 국기.svg 현대 폴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 폴란드군 (1989~현재)
Siły Zbrojne Rzeczypospolitej Polskiej
기타전차 셔먼 VCR, T-34-85M1/M2R, IS-2R, IS-3R
MBT <colbgcolor=#fff> 1세대 T-55(A/L/AM1 · M2) MéridaM/R
2세대 T-72A
3세대 T-72(M/M1 · 1D) Jaguar, PT-91(MA/MA1) 트바르데M,
레오파르트 2(A4/A5), M1A1SA
3.5세대 레오파르트 2PL, M1A2 SEP v3, K2GP, { K2PL}
경전차 PT-76BR, PL-01, WPB 안데르스
장갑차 차륜장갑차 쿠부시R, KTO 로소막, BRDM-2, SKOT-(1A/2A · 2AP), BTR-40R
궤도장갑차 TOPASR, BWP-1(C/D), BWP-2(D)R, MT-LB, { BWP 보르숙}, {CBWP 사업 K-9 차대기반}, BWP-2000, WPB 안데르스
차량 소형 { K-151 레그완}, 타르판 혼커 2000 · 스콜피온 · 스콜피온-3, 투막, 온실라, 디펜더, 벤츠 GD 290/250, WD-43, 샌드캣
트럭 벤츠1017A · 유니목 1300L, ZiL-131, ZiL-157,
이베코 스트라리스 · 트래커 · 유로카고 · MP720 시리즈 · M40.12WM,
Star 200 · 244 · 266(M) · 660(M) · 944K ·1466ML · 1444,
Jelcz P/S662D · P662D · P642D · C642D · C662D · P/S862D · P/S842D
타트라 T-815, KrAZ-255, 우랄-375D, 우랄-4320, GAZ-66, FMTV
자주포 자주곡사포 2S7 PiwoniaR, 2S1(M/T) Goździk, wz. 1977 DANA-T, AHS 크라프, AHS 크릴, K-9A1, { K9PL}
자주박격포 TOPAS-2APR, { 로소막-Rak}
대전차 자주포 M10 아킬레스R, ASU-57R, ASU-85MR, SU-100R, ISU-152R, M36B1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MP BiałaM, LSPZRA Sopel, PZA 루아르-(A/NG)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Strzała-1R 9K35 Strzała-10MR, ZRK-SD RombR · 9K33BM3 ŻądłoM, Mała NAREW
다연장로켓 BM-24R, BM-21R, WR-40 랑구스타M, RM-70/85, M142 HIMARS, { 호마르-K}, { 호마르-A}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 { M88A2 허큘리스}
교량차량 { M1110 JAB}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현대 루마니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루마니아군 (1991~현재)
Forțele Armate Române
<colbgcolor=#002B7F><colcolor=#FFF> 기타전차 <colbgcolor=#002B7F><colcolor=#FFF> 중형전차 T-34-85CZR
'''[[주력 전차|
MBT
]]'''
'''[[1세대 전차|
1세대
]]'''
T-55(AR/AM/AM2) | TR-580R
'''[[2세대 전차|
2세대
]]'''
TR-85 → TR-85(M1/M1A) 비조눌 | T-72MS
'''[[3세대 전차|
3세대
]]'''
TR-125
3.5세대 { M1A2 SEP v3}
'''[[장갑차|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피라냐 V · IIIC | 쿠거 | 허리케인 | M1224 맥스프로 | 사우르 1 | TAB B33 짐브루 | TAB-77(M/A) | TAB-71(M/A) | TAB-C · TAB-79A | BRDM-2 | BRDM-1R | BTR-152R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차기 IFV사업} | { AAV-7A1} | MLI-84(M) 즈데룰 | MLVM-(M) | BTR-50(PK/PU)R
차량 '''
초소형
'''
[[ATV|
ATV
]] 폴라리스 MRZR · DAGOR · 레인저 · 스포츠맨 | 아르고 오로라 950 | 아크틱 캣 프라울러 XT | TGB LT EPS · 블레이드 1000
소형 [[소형 전술차량|
IMV
]] { L-ATV} | M-ATV | URO VAMTAC S3 | 험비 | 파나르 PVP | 드라콘 | 장켈 폭스 | GAZ-69R
민수용
다치아 더스터 | 벤츠 스프린터 | LSSV 타호 | 지프 랭글러 | ARO 드래곤R · 24 시리즈R
트럭
군용
DAC 665T/G · 443T · 887R · 11.154 · 12.135R · 15.240 · 16.230 · 31.310R | 로만 16.310 · 22.310 · 26.360 · 26.410 · 22.290 | 이베코 M170 · M250 · M320 · M1250 · SM88 | FMTV
상용
MAN TGS | 이베코 트래커
'''[[자주포|
자주포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차기 자주포 사업} | 2S1 그보즈디카S | 모델 89S | ATROM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피라냐 V 스피어 | TAB-79AR | MLVM-AR | TAB-71ARR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SU-100R | SU-76MR
다연장로켓 M142 HIMARS | LAROM | APR-40 | APRA-40 | APR-21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게파트 A1 | ZSU-57-2R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참고: 틀:현대전/루마니아 유도무기
지원 차량 구난차량 { M88A2 허큘리스} | BPz 2 | TER-85 | MLI-84M TEHEVAC | AMT 125 크레인 트럭 | AMT 950 크레인 트럭
공병차량 { M1150 ABV} | DMT-85M1
교량차량 { M1110 JAB} | BLG-67
건설기계 S-1500 LS 불도저 | AG-180 그레이더 | SŁ-34 로더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취소선: 개발 취소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 영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영국군 (1707~현재)
His Majesty's Armed Forces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393b42> 빅커스 중형 순항전차E, 키메라, 마틸다 II Mk. II, 마틸다 II Mk. IIIR/P, 셔먼 IIAR, 셔먼 IIIAYR, 셔먼 VR, 셔먼 VCR, 셔먼 ICR, 셔먼 IC 하이브리드R, T-34-85C/R, T-34-85CZC/R
MBT <colbgcolor=#000066> 1세대 A41 센추리온R, 59식 전차T/R
2세대 FV4201 치프틴R, 빅커스 MBT Mk.(1, 2 , 3)E
3세대 FV4030/4 챌린저 1R, 빅커스 MBT Mk.(4E, 7), MBT-80
3.5세대 FV4034 챌린저 2, { 챌린저 3}
경전차 키메라, GSR 3301 세터, FV301, FV101 스콜피온R, 채피R
중전차 FV214 컨커러R, FV214SA
장갑차 차륜형 AT105C 색슨R, 험버 피그R, FV701 페렛R, FV721 폭스R, FV601 살라딘R, FV603 사라센R,
훅스 1 NBC, 부시마스터, 쿠거, 마스티프, 릿지백, 울프하운드, { MIV 복서}
궤도형 CVR(T), FV430 불독 / FV432 트로잔, FV510 워리어, FV107 시미터R, FV4333 스토머
{ 에이잭스, 아레스, 아테나, 아틀라스, 아폴로}, BvS-10 바이킹
차량 소형 핀츠가우어, 벡터, 울프, 핑크 팬더R, 폭스하운드,
MXT-MV / 허스키 TSV, 코요테 TSV / 재칼 2, {MRV-P} {MWMIK}, 판터 CLV, MRZR-D
트럭 MAN 지원 차량, 베드포드 TM 6-6/4-4, DROPS, 오시코시 MTVR Mk.31,
오시코시 HET 1070F, 모바크 DURO-II/III, 알비스 스톨워트R
자주포 자주곡사포 L131 AS-90 · AS-90 브레이브하트, SP-70, FV215, M777 LIMAWS(G), FV433 애봇R, M109(A1/A2)R, M110(A2)R, { 아처}, {MFP}
자주박격포 FV432 81mm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 SD-100C/R, FV4101 채리어티어R, M36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V434 팔콘, 마크맨 대공 시스템
단거리 대공미사일 트랙드 레이피어R, 스토머 HVM
다연장로켓 MLRS
무인 차량 UGV 미션 마스터 SP
기타 FV 시리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윗첨자P: 의장용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T: 테스트용 도입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프랑스 국기.svg 현대 프랑스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8080> 프랑스군 (1945~현재)
Forces armées françaises
중전차 6호 전차 티거G/R, ARL-44R, M4A3E2R
구축전차/대전차 자주포 야크트판터G/R, M10 GMCR, M36 GMCR, M36B2R, SD-100C/R
구난전차 M31 TRVR
중형전차 M4A1R, M4A1 (76) WR, M4A1E8R, M4A1 (CN-105-F1)M/R, M4A1 (FL10)M/R, M4A1E9R, M4A4R, M4A4TM/R, M4A4 (SA50)M/R, M4A2 (76) WR, 5호 전차 판터G/R, M26 퍼싱R, 4호 전차 G형G/R, T-34-85P/R, T-34-85CZC/R
경전차 M24 채피R, AMX-13R, AMX-13-M24M/R, 치로R
MBT <colbgcolor=#008080>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R
2세대 AMX-30R
3.5세대 르클레르
장갑차 차륜장갑차 험버 피그R, 코번트리R, 페렛R,
E.B.R. (Mle.51/Mle.54/Mle.63/ETT)R, AML-90R, ERC-90R, VBC-90R, AMX-10 RC/RCR,
VBCI, VAB, EBRC 재규어, VBMR 그리폰
궤도장갑차 Sd.Kfz. 251G/R, 유니버설 캐리어R, T16R, LVT-4R, LVT(A)-4R, M113A1C/R, AMX-VCIR, AMX-VTTR, AMX-10P, VHM, BvS 10
차량 오토바이 폴라리스 스포츠맨 400 ATV, 야마하 XTZ660 Ténéré, 카기바 T4
소형 VBL, PVP, 푸조 P4, 랜드로버 디펜더, 포드 레인저, 포드 에베레스트, 르노 캉구 · 트래픽 III, 아라비스
트럭 포드 V3000G/R, 르노 케락스 · TRM 10000 CLD · GBC 180, VTL G290, CBH 385 막시 CLD,
ACMAT VLRA, 스카니아 R580, 시수 E-테크 480
자주포 자주곡사포 M8 스콧R, M40R, M41 고릴라R, AMX-105 Mk.61R, M4 (105)R, AMX Mk F3R, AU-F1, CAESAR
자주박격포 AML-60R, VTM-120, { 그리폰 MEPAC}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LVT-4 BoforsR, AMX-13 Œil NoirR, VAB VDAA T20
단거리 대공미사일 크로탈 R-440, AMX-30 롤랑, 롤랑 CAROL
다연장로켓 LRU
페이퍼 플랜 및 프로토타입 FCM 12t, 바티뇰-샤티옹 12t, 바티뇰-샤티옹 25t, ELC 프로젝트, ERAC, MARS 15, 로르 RPX 시리즈
로르 VPX 시리즈, 벡스트라, FCM 50t, AMX-50, 소뮤아 SM, AMX M4, 로렌 40t, AMX-32, AMX-40
AMX CDC, 로렌 CA, 포슈, CDC 앙리, AMX-10M ACRA, MARS 15, AMX-13 DCA 40, AMX-30 자벨로, AMX-30 DCA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G: 2차 대전 당시 나치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C: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시리아 국기.svg 현대 시리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시리아군 (1946~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
기타전차 셔먼 IIUK/S, M-50C/R, T-34/55CZ/M, 4호 전차FR/E/S, T-40/75CZ/S, 르노 R35FR/R
MBT 1세대 T-55(MV/AM/AMV)
2세대 T-62(M/K), T-72(A/AV/M1 마흐미아)
3세대 T-72(B/BM/B3)
3.5세대 T-90(A/K)
경전차 PT-76B, 82식 경전차
장갑차 차륜장갑차 파나르 178BFR, OT-64, BRDM-2, BTR-60PB/PU-12, BTR-152, BTR-40
궤도장갑차 셔먼 II APCUK/M, BMP-1, BMP-2, BTR-50, OT-62
차량 소형 UAZ-469
트럭 우랄-4320ㆍ375D, ZiL-131ㆍ135 · 157, KamAZ-43114, GAZ-66ㆍ3308
자주포 자주곡사포 품멜FR, T-34-122 (D-30)M, 2S1, 2S3 아카치야
자주박격포 2S4 튤판, 2S9
대전차 자주포 SU-75CZ/E/S, 4호 구축전차CZ/S, SU-100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ZSU-23-4, 판치르-S1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9K35, 9K33 오사
다연장로켓 BM-14, BM-24, BM-21 그라드, BM-27 우라간, BM-30 스메르치, TOS-1 부라티노,
63식 다연장로켓, 카이바, 파자르-3, 파자르-5, Ra'ad, 팔라크-2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FR: 프랑스군 철수 이후 남겨진 차량을 수습/프랑스로부터 구매
※ 윗첨자UK: 영국군 철수 이후 남겨진 차량을 수습
※ 윗첨자CZ: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구매
※ 윗첨자E: 스페인국으로부터 구매
※ 취소선: 도입 무효화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베트남 국기.svg 현대 베트남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베트남 인민군 (1944~현재)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393b42> T-34-85CZ, T-34-85M, T-34-85M1
MBT 1세대 59식 전차, T-54, T-55(MV/M3), M48A3C/R
2세대 T-62, T-72M1
3세대 T-90(S/SK)
경전차 M24 채피C/R, PT-76, 62식 전차, 63식 전차, M41 워커 불독C/R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C/R, BTR-152, BTR-60, BTR-70, BTR-80, BRDM-1, BRDM-2, V-150C/R
궤도장갑차 M113C, 63식 장갑차, BMP-1, BMP-2, BTR-50(P/PK)
차량 소형 UAZ-469, UAZ-452, M151C, 둥펑 EQ-2050
트럭 ZiL-130 · 157 · 485, KrAZ-214B · 255B, KamAZ-43253, M35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2S3 아카치야, M110C/R, M107C/R
대전차 자주포 SU-76MR, SU-100, ASU-85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Phòng không SU-76MR, Phòng không T-34R, ZSU-57-2, ZSU-23-4 쉴카
다연장로켓 BM-14, BM-21, BM-24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장비 }}}
}}}}}}

파일:북한 국기.svg 현대 조선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조선인민군 (1948~현재)
朝鮮人民軍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 T-34-76 개량형WPRG | OT-34 | T-34-85WPRG | OT-34-85
MBT 1세대 59식 전차 | T-54 | T-55
2세대 T-62 | 천마-(가/나/다/ 92/ 98/ 214) | T-72 우랄X
2.5세대 천마-( 215/ 216) | 선군-915
3세대 M-2020추정
경전차 공신호L/R | PT-76 | 82식 신흥 | 62식 전차 | 63식 전차
장갑차 차륜장갑차 BTR-152 | BTR-60PB | BTR-80A/Y | BRDM-2 | M-1992 WAPC | M-2010 WAPC | M-2020 WAPC
궤도장갑차 BTR-50(P/PK) | 63식 | VTT-323 신흥 | 준마-ㄹ
차량 소형 GAZ 보드닉 | GAZ-69 | UAZ-469/승리-415 | BZ-2020SJ | 갱생-(68/85) | 신형 장갑 4륜구동차
트럭 ZiL-(130/131/135/151/157) | MAZ-7310 | 우랄-4320 | KrAZ-255 | 로만 | 승리-(58(가)/61(나))WPRG | HEMTT 유사 신형 중트럭 | 2022년 등장 ATGM 탑재차량 | 기타 잡다 차량
자주포 자주곡사포 곡산포 | 주체포 | M-1977 | 덕천 | 주체107년식 155mm 자행형곡사포
자주박격포 M-1992 120mm
대전차 자주포 SU-76MWPRG | SU-85WPRG | SU-100WPRG | M-1974 | M-1972 | 신형 기동포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 ZSU-23-4 | M-1985 | M-1992
단거리
대공미사일
화승총 | 번개-3 |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다연장로켓 63식, 75식 여맹호, M1977, M-1977/1985/1993 | BM-11 | BMD-20 | BM-24 | M-1989/1991 | KN-09 | KN-16 | 신형 방사포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WPRG: 준군사조직인 로농적위군 (Worker-Peasant Red Guard)에서 사용하는 차량들
※ 윗첨자R: 퇴역 차량
}}}}}}}}} ||


파일:이집트 국기.svg 현대 이집트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이집트군 (1820~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مصرية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전차 M4(75)R, M4A2R, 셔먼 V 디젤M/R, M4A4(FL-10)M/R, T-34-85CZR, IS-3MR, M.13/40R, M22 로커스트R
MBT <colbgcolor=#ffffff,#191919> 1세대 T-55BS
2세대 마크 III, M60(A1/A3), 람세스 llS/M
3세대 M1A1
장갑차 차륜장갑차 OT-64C, BRDM-2, BTR-60PB, BTR-152K, 르노 셰르파, V-150
BTR-40, SPW-40Chs, BMR-600, Tiger Kader-120, Fhad 240,
RG-32 스카웃, RG-33, 카이만, 카스피르, M1224 MaxxPro
궤도장갑차 M113A2, BMP-1, BTR-50(PK/PKM), OT-62B, BEIFVM, YPR-765 PRI
차량 소형 험비,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 M151, 지프CJ37
트럭 오시코시 HET, M977 HEMTT, M35, M939, M54, 페가소 3046
MAZ-543, ZiL-131 · 135, KrAZ-6322, KrAZ-255, 스카니아 SBA111
우랄-4320 · 375D · 5323, FAP 2228 · 2026 · 1118, GAZ-66
자주포 자주곡사포 셔먼 V (L13S)M/R, 2호 자주포R, T-34-100, T-34-122M/R, M109(A2/A5), SPH 122M, M110A2, { K9A1EGY}
자주박격포 M120M, M106A2, M125A2
대전차 자주포 SU-100R, ISU-152R, Mk.I 아쳐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ZSU-23-4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스트렐라-1, MIM-72, VT-1, 9K331 TOR-M1, 9K332 TOR-M2, AN/TWQ-1 어벤저, { IRIS-T SLS}
다연장로켓 BM-21, BM-24, RM-51, 63식 다연장로켓, VAP-80, M270 MLRS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UK: 영국군 철수 이후 남겨진 차량을 수습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현대 이스라엘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이스라엘 방위군 (1948~현재)
צבא ההגנה לישראל
기타전차 셔먼 VC/R, 셔먼 V 디젤C/M/R, M4A4(FL-10)C/R, M-1 셔먼R, M-1 슈퍼 셔먼R, M4A1 (FL-10)C/R, 셔먼 IIIC/R, 셔먼 III "메이어"UK/R, M-3, M4(75) "타마르"M/R, M4A3R, M-4 셔먼R, 크루프 셔먼M/R, M-50 (알레프, 유드, 베트)M/R, M-51 (알레프, 베트, 기멜, 달렛)M/R, 티란 T-34C/R, 4호 전차(G, H, J)C/R, M.13/40C/R, IS-3MC/R, A27M 크롬웰R
MBT 1세대 숏(Meteor)R, 숏 칼(알레프, 베트, 기멜, 달렛)R, 센추리온 전차C/R, TariqC/R, M47 패튼C/R, 마가크-1/2/3/5M/R, 티란-1C/R, 티란-4(S, Sh)C/M/R, 티란-2C/R, 티란-5(Sh)C/M/R
2세대 마가크-6(A, B, C)/7/갈 바타쉬M/R, 티란-6(6S, 6Sh)C/M/R, 메르카바 Mk.1R/2
3세대 메르카바 Mk.3
3.5세대 메르카바 Mk.4
경전차 르노 R35C/R, M22 로커스트C/R, 호치키스 H39R, 경전차 Mk.VIBC/R, AMX-13-75R, PT-76BC/R/88대대 개량형M/R
장갑차 차륜장갑차 BTR-152AC/R, BTR-40C/R, IAI RBY Mk.1R, IAI RAM Mk.2000R, 에이탄 AFV
궤도장갑차 OT-62 TOPASR, 바델라스 · 젤다, M548 알파M, 나메르, 나그마혼M, 아흐자리트C/M, 자흘람 M3 (알레프, 베트, 기멜, 달렛, He, Waw)R, 브렌건 캐리어C/UK/R, 셔먼 응급 수송 차량M/R
차량 소형 M151R, M325R, 험비, 지브, AIL 스톰, MDT 다비드, 샌드캣, 오토카르 아크렙
트럭 M35, M977 HEMTT, 벤츠 우니모크 437, AIL 아비르, FMTV
자주포 자주곡사포 2호 자주포C/R, M7 프리스트R, 쏠탐 M-68M/R/*, M109A5+ Doher, M110A2R 숄레프, ATMOS 2000E
자주평사포 M107R
자주박격포 마크맛, 스피어E
대전차 자주포 M-50 (M10)M/R, M10 아킬레스R, SD-100C/R, 3호 돌격포 G형C/R, ISU-152C/R, Mk.I 아처C/R, ST-I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호벳, 마흐벳M, ZSU-23-4 쉴카C, ZSU-57-2C/R, T10E2R
단거리 대공미사일 드라콘R
레이저 아이언 빔
다연장로켓 MAR-240M/R, MAR-290M/R, LAR-160, M270 메나테츠, 링스E, 라하브
구난전차 M32 ARVR, M74 ARVR
기타 캐터필러 D9 두비 장갑 불도저, 캐터필러 966 로더,
캐터필러 굴착기, 나메르 CEV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UK: 영국군이 남기고 간 차량을 수습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개조된 셔먼 차체에 Soltam社 의 155mm 곡사포를 올린 자주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후티 상징.svg 현대 후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후티 (1994~현재)
حوثيون
기타전차 T-34-85
MBT <colbgcolor=#ffffff> 1세대 T-55
2세대 T-62, T-72, T-80BV, M60A1
3세대 M1 에이브람스C
장갑차 차륜장갑차 BRDM-2, AML, BTR-60, BTR-80, BTR-152
궤도장갑차 BMP-1, BMP-2, M113C/M, MT-LB
차량 소형 UAZ-469, M-ATVC, 쿠거 MRAPC, M1224 MaxxProC, 험비 (2A28)C/M, 토요타 하이럭스M, 토요타 랜드크루저C/M, 닛산 패트롤M, 포드 F 시리즈M, 랜드로버 디펜더, M151, 테크니컬
트럭 GAZ-66, Ural-4320, KrAZ-6322, KrAZ-255, M939C/M, M35 트럭C/M, 볼보 FH, MAN TGS, 벤츠 악트로스, 현대 메가트럭, ZiL-135, KamAZ 무스탕, MAZ-7310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그보즈디카
대전차 자주포 SU-100C
대공 체계 자주대공포 ZSU-23-4
대공미사일 OTR-21 토치카, S-125
다연장로켓 BM-21, Zezal-2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후티 상징.svg 후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장비 }}}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소련군은 구축전차라는 편제가 없었으며, 2차대전 당시 소련군이 양산하여 사용한 자주포들은 모두 다목적 자주포였고 적 전차를 직접 상대할 수 있는 대전차 능력도 가지고 있었다. 다만 그중에서도 특히 SU-85와 SU-100은 다른 자주포들과는 다르게 직사포를 달았으며 특별히 대전차전에 더 중점을 두고 개발된 것이었다. [2] 본가인 러시아에서는 의장용으로 운용 중에 있으며, 아직 헌역으로 1선에서 운용 중인 국가들도 다수 있다. [3] 애초에 SU-100도 자주포 연대 소속이다. [4] 물론 주변에 보병이 있을 확률이 높겠지만, 명색이 기갑차량인데 보병이 달려올 때 막을 수 있는 것이 주포 하나뿐인 것은 꽤나 불리한 점이다. [5] 3호 돌격포 4호 전차의 공격에도 1000m에서 뻥뻥 뚫리는데 판터나 티거의 경우엔 말할 필요조차 없다. T-34-85의 경우 포탑이 90mm여서 1000m 거리에서라면 어느정도 안전하지만 차체는 그대로여서... [6] 코라급, 리가급 등의 조그마한 초계함들이 주로 사용했으며 키로프급 같은 순양함들도 작은 배들을 처리하기 위한 근접방어용 소형부포로 많이들 달고 다녔다. 소비에츠키 소유즈급 전함도 부포로 채용하려고 했었다. [7] 사진속 SD-100은 전쟁기념관에 전시된 개체이며, 불가리아로부터 도입했다. 표지판을 잘보면 SU-100 자주포(소련)이라고 적혀 있으며, 현재는 실내전시 중에 있다. [8]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노동자들의 기부금으로 생산한 차량으로, 사진에 보이듯이 전투실 측면에 그렇게 써져있다. [9] 더 큰 구경의 IS-3와 ISU-152가 있었지만, 대전차전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다목적의 용도로 제작된 중전차, 중자주포였기에 순수 관통력이 부족했다. 또한, 수량이 워낙 적어 이집트군을 제외하면 다른 국가들은 거의 T-34-85CZ나 SD-100이나 T-55로만 무장한 상태였다. [10] 이스라엘-이집트의 국제 관계속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 중 하나다. 한국으로 치면 파주시의 위치에 준할 정도. [11] 115mm 두께의 수직 장갑과 맞먹는다. [12] 자세한 수량은 알 수 없으나 확실하게 기록으로 남아 있는 건 M50 아이셔먼 한대가 SU-100에 피격당해 완전 격파되었다고 한다. [13] 51대는 파괴, 3대는 전차병들이 겁을 먹고 달아나는 바람에 버려져서 이스라엘군이 노획 후 배치했다. [14] 완전 격파 차량만을 포함. [15] 바드르 작전은 오늘날에도 복합 무기와 전투 공학적 기술의 걸작으로 간주된다. [16] 숏 전차는 영국제 센추리온 전차에 L7 오드넌스 포를 장착하고, 여러 편의장비를 장착한, 센추리온 시리즈 중에서 최고의 성능을 지닌 모델로, 시리아군이 새롭게 공여받은 T-62를 아주 간단하게 격파할 수 있었는데, SU-100과의 비교는 이미 말 할 필요조차 없는 수준이었다. [17] 이는 T-55의 100mm 포와 탄약이 서로 호환되었음으로, 보급에 큰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18] 전체 시리아 전차 재고의 약 4분의 1이나 되는 어마어마한 수량이다. [19] 1991년 내전 발발 직후 촬영된 사진이다. [20] 2015년 촬영된 사진이다. [21] 줄여서 Sfl SU-100으로 지칭되며, 뜻은 100mm 자주포 SU-100이라는 말이다. [22] Kaisernierte Volks Polizei. 병영화 인민경찰을 뜻하며 이후 국가인민군의 전신이 되는 준군사조직이다. [23] 21량이 이렇게 개조되었다고 한다. [24] 해당 단차들은 크라이나 세르비아군이 사용하다, 크라이나 세르비아가 붕괴된 이후 세르비아군으로 편입되었다고 한다. [25] 사진은 북한 영화 속에서 미군 전차 역할로 도색된 차량이다. [26] 2014년 촬영된 사진이다. [27] 해당 차량은 1961년 4월 17일 피그만 침공 당시 피델 카스트로가 휴스턴 호를 공격할 때 탑승한 단차이다. [28] 비슷한 사례로 '파이팅 몬스터'라는 정체불명의 명칭으로 알려진 M103이 있다. 근원을 추적해 보면 역시나 일본에서 멋대로 붙인 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