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획차량 및 개조품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Pz.Kpfw. 35(t) | 아틸러리 슐레퍼 35(t) | Pz.Kpfw. 38(t) | 판처예거 스코다 SIDt32(t) |
Pz.Kpfw. 32 (j) | 르노 FT |
M35 미틀레레 판처바겐 | Sd.Kfz. 254 | ADMK Mulus |
le.Pz.Kpfw. TK(p) | le.Pz.Kpfw. TKS(p) | Pz.Kpfw. 7TP 731(p) | 아틸러리 슐레퍼 C7P(p) | 아틸러리 슐레퍼 C2P(p) | 르노 FT |
Pz.Sp.Wg. L202(d) | Pz.Sp.Wg. Pansarbil m/39(d) |
아틸러리 슐레퍼 VA 601 (b) | Pz.Sp.Wg. VCL 701(b) | Pz.Kpfw. AMC 738(b) | 판처예거 Sfl. CL 801(b) | 판처예거 VA 802(b) | 르노 FT |
Pz.Sp.Wg. DAF 201(h) | Pz.Sp.Wg.L202(h) | Pz.kpfw. FT 731(h) |
38M 톨디I(u), 42M 톨디II(u), 40/43M 즈리니 II (u), 40M 님로드 (u), 40M 투란I (u), 40M 투란II(u), 39M 차바 (u) |
프로토타입 | T-25, 경 트랙터, 대형 트랙터, Pz.Kpfw. Nb.Fz, 호이슈레케 10, D.W.1/2, 5/4호 전차, VK 시리즈, 기갑 자주포, VK 30.01 / 02, VK 36.01, VK 45.01(P), VK 45.02(P), VK 65.01,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게쉬츠바겐 티거, 로이머 S, Kätzchen 병력수송장갑차, 8,8cm 바펜트레거 | |
페이퍼 플랜 |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 / 10호 전차, E 시리즈, 1인용 경전차 시안 "마우스", 슈투름판처 Bär, 슈투름판터,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마레샬 구축전차 | |
차량 | 독일 국방군/차량, 퀴벨바겐, 슈빔바겐, 슈타이어 1500A, Büssing-NAG T500, Büssing-NAG G31, Büssing-NAG L4500, 오펠 블리츠, 포드 B3000S, V3000S, V3000A, 보르크바르트 B3000, 메르세데스-벤츠 G5, 메르세데스-벤츠 L1500, 메르세데스-벤츠 L3000, 메르세데스-벤츠 LG3000, 메르세데스-벤츠 L4500, 메르세데스-벤츠 L6500, 크루프 프로체, 타트라 T111 | |
모터사이클 | DB / DBK, KS 750, 케텐크라프트라트, R-75 | |
그 외 | 동부용 궤도형 트랙터, 동부용 차륜형 트랙터, 수륙양용 트랙터, 골리아트 지뢰, 보르크바르트 4호, 스프링거 무인자폭차량, VsKfz 617, 쿠겔판처 | |
기타 | 독일 기갑 병기의 역사와 루머 | |
※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전차 및 차량(Beutepanzer)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
※둘러보기 :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Sturmgeschütz III (Sd.Kfz. 142) |
1. 개요2. 제원3. 특징4. 개발사5. 형식6. 파생형7. 평가8. 실전
8.1.
제2차 세계 대전
9. 운용국10.
미디어11. 모형8.1.1.
프랑스 침공8.1.2.
북아프리카 전역
8.2.
냉전8.1.2.1. 토브룩 전투
8.1.3.
독소전쟁8.1.3.1.
바르바로사 작전8.1.3.2.
청색 작전8.1.3.3.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8.1.3.4.
쿠르스크 전투8.1.3.5.
바르샤바 봉기8.1.3.6.
힌터포메른 전략 공세8.1.3.7.
베를린 공방전
8.1.4.
서부전선8.1.5.
이탈리아 전선8.1.6.
계속전쟁11.1. 프라모델
12. 참고문헌13. 둘러보기[clearfix]
1. 개요
|
|
3호 돌격포 G형 기동 영상 |
2. 제원
Sturmgeschütz III (Sd.Kfz. 142) <3호 돌격포(G형 기준 제원)> |
|
전체길이 | 6.77m |
차체길이 | 5.59m |
전체너비 | 2.95m |
전체높이 | 2.16m |
전비중량 | 23.9t |
탑승인원 | 4명 |
엔진 | 마이바흐-HL120TRM A형 수랭식 60도 V형 12기통 가솔린엔진 |
엔진출력 // 회전수 | 300Ps // 3000rpm |
배기량 | 11.87L |
연료적재량 | 310L |
연료소비량 | 200L / 100Km (도로) |
최고속력 | 40km/h(도로), 24km/h(야지) |
항속거리 | 155km(도로), 95km(야지) |
중량당 마력 | 11.1Ps/t |
변속기 | 싱크론 ZF.SSG77 (전진6단 후진1단) |
조향장치 // 구동륜 위치 | 클러치 브레이크 // 전방 |
선회반경 | 5.85m |
현가장치 | 토션 바 |
무한궤도 폭 // 매수 | 40cm // 좌,우 각 99매 |
접지길이 // 접지압력 | 2.86m // 1.04Kg/㎠ |
초호능력 | 230cm |
초월능력 | 60cm |
등판능력 | 30도 |
잠수도하능력 | 80cm |
주포조준장치 | SF1.ZF1 |
무장 | 7,5cm StuK 40 48구경장 돌격포×1 (54발) |
7.92mm 기관총 MG34×1 (600발) | |
9mm 기관단총 MP40×1 (전차병 휴대용) | |
장갑 | 차체 전면 50+30mm / 곡면+직면 |
차체 측면 상부 30mm / 90도 | |
차체 하부 30mm / 90도 | |
차체 후면 30mm / 77도 ~ 80도 | |
차체 상면 최대 50mm | |
차체 바닥 16~30mm / 0도 |
3. 특징
|
3호 돌격포 F/8형 내부 구조도 |
초창기에는 보병지원용 단포신 7,5cm KwK 37 전차포를 개조한 7,5cm StuK 40 L/24 곡사포를 사용했으나, 동부전선에서 소련군의 강력한 기갑차량에 맞서기 위해 4호 전차 후기형과 동일한 화력을 지닌 7,5cm 48구경장 StuK40 대전차돌격포로 무장을 변경해 후기형에 가면 대보병전은 물론 대전차전도 곧잘 해내는 만능 전투차량이 되었다. 도합 11,000여량 생산되어 당시 독일과 동맹을 맺은 국가들에 공여되었으며, 전후에는 일선에서는 물러났으나 여전히 의장용 등으로 사용하고 있는 국가들도 있다.
4. 개발사
|
3호 돌격포 프로토타입[1] |
문제는 이렇게 되고나니, 보병을 직접 지원할 무기가 박격포나 보병포라고 불리는 소형 야포밖에 남지 않게 된 것인데, 이렇게 되면 보병은 벙커나 토치카를 제압하기가 매우 힘들어진다. 그래서 독일이 내놓은 것이 바로 돌격포였다.
3호 돌격포는 그 이름대로, 3호 전차의 선회 포탑을 떼고 고정식 전투실을 설치한 다음 4호 전차에 장착된 7,5cm KwK 37 전차포를 개조한 7,5cm StuK 40 L/24를 장비했다. 선회포탑이 없기에 전차보다 전투력은 떨어지지만, 원래 목적이 적 전차와 교전하는 게 아니라 보병지원용이었고 낮은 높이 덕분에 피탄 확률이 줄어들 것이라는 기대 때문에 큰 문제는 되지 않았다.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초반 기술로는 대구경의 주포가 탑재되는 전차포탑을 개발하기 어려웠기에 이런 문제점은 어느 정도는 감수해야 할 형편이었다.
차체는 다임러-벤츠, 포는 크루프가 맡아서 1935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하여 1937년에 연철로 제작한 시제품 5량, 1940년 1월과 6월에 3호 전차 F형의 차체로 제작된 A형과 B형이 첫 선을 보였다. 그러나 이때가 폴란드 침공 시점이었기에 프랑스 침공에서야 실전에 투입되었으나, 숫자가 너무 적어서 두드러진 활약을 보이지 못했고, 유고슬라비아 침공이나 그리스 침공에서는 발칸 반도의 지형 특성상 돌격포가 활약할 일은 없었다. 그래도 실전투입은 된 만큼 여러차례 개량을 받았다.
5. 형식
5.1. 초기형 (A ~ E형)
|
StuG III Ausf. A |
|
3호 돌격포 D형 기동 영상 |
형식 명칭 | 생산 기간 | 변경 사항 |
Ausf. A | 1940년 1월 ~ 5월 | 다임러-벤츠 사에서 생산되었으며, 프랑스 전역에서 최초로 사용된 3호 돌격포이다. 50mm의 정면 장갑을 지니고 있었으며, 도합 36문이 생산되었다. |
Ausf. B | 1940년 6월 ~ 1941년 5월 | 알케트 사에서 생산되었으며, 3호 전차 H형의 차대를 이용하였다. 이에 각 로드휠에 존재하는 2개의 타이어의 지름이 넓어졌으며, 10단 변속기를 6단 변속기로 변경했다. 이 밖에도 리턴 롤러의 배치를 전면으로 변경하여 궤도가 이탈할 가능성을 줄였다. 도합 300문이 생산되었다. |
Ausf. C | 1941년 4월 | 포수 전방 관측창이 포탄 피격확률이 높았기에 이를 제거했으며, 대신 상판에 구멍을 낸 후, 포수 관측창 대신 잠망경을 장착하였다. 도합 50문이 생산되었다. |
Ausf. D | 1941년 5월 ~ 9월 | 전체적인 부분은 C형과 동일하며, 그 대신 차체 무전기를 설치하였으며, 주포 잠금 장치를 추가했다. 도합 150문이 생산되었다. |
Ausf. E | 1941년 9월 ~ 1942년 2월 | 측면 상판에 무전 장비를 위한 직육면체의 상자가 증설되었으며, 이 덕분에 주포 탄약 및 기관총 탄띠 상자를 6개 더 실을 수 있었다. 이 밖에는 MG34 1정이 차체 우측면 후방에 탑재되었으며, 단차장에게 SF14Z 잠망경이 기본 지급되었다. 도합 284문이 생산되었다. |
그러나 독소전쟁 중, 소련이 내놓은 T-34-76과 KV-1에게는 기존의 7,5cm StuK 37 곡사포로는 대응하기 힘들다는 판단 하에, 중기형 (F형) 부터 본격적인 개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5.2. 중기형 (F ~ F/8형)
|
StuG III Ausf. F/8 (Sd.Kfz 142/1) |
|
3호 돌격포 F/8형 기동 영상 |
F형과 F/8형을 구분하는 포인트는 차체 전면의 하단에 달리는 견인용 고리 2개다.
형식 명칭 | 생산 기간 | 변경 사항 |
Ausf. F | 1942년 3월 ~ 9월 | 이전과 달리 단포신이 아닌, 장포신 43구경장 75mm 전차포를 사용한 사양이며, 도합 366문이 생산되었다. |
Ausf. F/8 | 1942년 9월 ~ 12월 | 3호 전차의 8번째 사양인 L형의 차대를 이용했기에 F/8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었으며, F형이 사용한 43구경장 75mm 전차포 대신 48구경장 75mm StuK40 대전차돌격포를 장비하였다. 도합 250문이 생산되었다. |
이 문제를 해결하려던 독일은, 상대적으로 차체가 낮은 3호 돌격포는 소련군 전차와 정면충돌하더라도 적 전차의 포격을 피할 확률이 높아서 예상보다 손실이 적었다는 점을 발견한다.
여기에 더해서 당장 강력한 전차포를 탑재할 신형전차의 개발은 아직 완료되지 않은 상태였다.[3] 따라서 고정식 전투실 덕분에 상대적으로 원본보다 강력한 주포를 장비할 수 있는 3호 돌격포에 장포신 대전차포를 싣자는 제안이 나왔으며, 이에 따라서 7,5cm StuK40 43 구경장 돌격포를 탑재하는 F형이 등장한다(보병 지원능력을 완전히 잃지는 않았다). 그 다음에 7,5cm StuK40 48구경장 돌격포를 탑재하여 대전차전 능력을 강화한 F/8형이 등장한다. 3호 돌격포 F/8형은 KV-1, T-34에게 장거리에서도 유효타를 입힐 수 있어서 좋은 평을 받았지만, 기본이 3호 전차이다보니 4호 전차에 비하면 여러가지로 구식이었기에 한번 더 개량을 진행하니 그것이 G형이 된다.
보병 입장에서는 원래대로라면 보병을 지켜줘야 할 돌격포가 자신들을 팽개치고 떠나버린 판이지만, 당장 엄청난 수로 밀고 오는 소련 전차들을 막을 기갑차량이 부족한 판국에 3호 돌격포가 보병을 지원할 여유는 사라진지 오래였다.
5.3. 후기형 (G형)
|
StuG III Ausf. G (MIAG) |
|
StuG III Ausf. G (Alkett) |
형식 명칭 | 생산 기간 | 변경 사항 |
Ausf. G (MIAG) | 1942년 12월 ~ 1945년 4월 | 단차장용 큐폴라를 새로 채용하였으며, 정면 장갑을 80mm로 늘렸다. 추가로 3연장 연막탄 발사기 2개, 그리고 탄약수 해치에 MG42 거치용 포방패를 증설하며 보병들을 상대로 싸울 수 있도록 하였다. |
Ausf. G (Alkett) | 1943년 10월 ~ 1945년 4월 | 1943년 10월에 개발된 "돼지머리" 주조형 포방패를 채용하여, 기존의 각진 사다리꼴 포방패와 달리 포방패에 피격당할 확률을 줄였다. |
독일 군부에서는 1943년부터 대전차소총 및 중기관총에 대한 측면 방호력 향상을 위해 생산되는 모든 차량에 쉬르첸(사이드스커트)의 부착을 의무화하였으나 그 효과는 미미했고 오히려 차만 무겁게 만들어서 기동성이 하락한다는 결과가 나오자 1944년 말에 쉬르첸 의무화를 폐지하였다.
알케트 사 생산 차량의 특징인 '돼지머리' 주조형 포방패는 기존의 사다리꼴형 포방패와 달리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피격당할 확률을 낮춰주었는데, 알케트 사에서는 오직 자사에서 생산된 3호 돌격포에만 장착하였다.
이 밖에도 1944년 10월부터 3호 돌격포에 공축기관총을 장착하기 시작했으나 때가 때인지라 있으나 마나한 수준이었고, 그마저도 1944년 10월 생산분 이전 차량에는 장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기에 대다수의 차량이 기관총 없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6. 파생형
6.1. 나치 독일
6.1.1. 무장 교체 파생형
6.1.1.1. 42호 돌격곡사포
|
Sturmhaubitze 42 (Sd.Kfz. 142/2) |
원래 보병을 지원하려고 만든 돌격포가 보병을 버리게 되자 제작된 차량으로, 3호 돌격포의 차체에 10,5cm leFH 18 곡사포를 장비했다. 이 포는 야포( 곡사포)라서 대전차전 능력이 사실상 없기 때문에 억지로 전차와 교전하기 위해 투입될 일이 없었으며, 고폭탄 화력은 더 강화되었으므로 보병들에게 환영받는 등 전선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에 독일군은 공장에 입고된 돌격포도 틈나는 대로 돌격곡사포로 개수하는 등 수량 확보를 위해 애썼다. 전쟁 중 약 1,200량이 생산되었다.
6.1.1.2. 33B 돌격보병포
|
SturmInfanteriegeschütz 33B |
그러나 25도의 부각과 3도의 앙각에다 좌우로는 3도 밖에 포를 움직이지 못하는 단점이 혼재하였다.
1941년 7월 E형 차체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을 주문하였고 1942년 1월에 처음으로 개조되었으며 정확한 개발사는 알려져 있지 않은데 알케트 사에서 3호 돌격포를 개조해서 24문이 완성되었다.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투입된 이후 거의 다 격파되었으며 이후 여러 부대를 거친 후 1944년 단 5문만 남았다.
종전 이후, 나머지 4문은 행방이 묘연해졌으며, 소련군에게 노획된 단 1문이 현재 애국 공원에 전시되어 있다.
6.1.1.3. 3호 돌격포 화염방사형
|
StuG III (Flamm) |
그러나 실전에는 사용된 일이 없었으며 제1 전차병 학교에 배치되었다가 얼마 후에 일반 3호 돌격포로 다시 개조했다.
6.1.1.4. 하이브리드 3호 돌격포
|
Hybrid StuG III[4] |
6.1.2. 장비 추가 파생형
6.1.2.1. M7 위장 3호 돌격포 G형
|
Ersatz M7 StuG III Ausf. G |
6.1.2.2. MG 151/20 auf StuG III Ausf. G
|
MG 151/20 auf StuG III Ausf. G |
그러나 마운트의 위치가 엔진룸 바로 상단인데다, 급박한 상황에서 운용 인원 중 1명이 나와서 기관포를 조종해야 하기에 병력 손실 문제도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전투 중에 부적합하다는 판정이 내려지며 부무장으로 대신 동축기관총을 장착하는 방식으로 선회하였다.
6.2. 소련
6.2.1. 무장 교체 파생형
6.2.1.1. SG-122
|
СГ-122 |
현재는 전량 파괴되어 잔존한 단차가 없고, 우랄 영광 군사 박물관에 레플리카 1문이 남아있다.
6.3. 체코슬로바키아
6.3.1. 장비 추가 파생형
6.3.1.1. SD 75/40N
|
SD 75/40N |
6.4. 스페인국
6.4.1. 무장 교체 파생형
6.4.1.1. StuG III Ausf. G (G2)
|
StuG III Ausf. G (G2) |
6.5. 시리아
6.5.1. 장비 추가 파생형
6.5.1.1. SD 75/40N (브레다-SAFAT)
|
SD 75/40N (Breda-SAFAT)[5] |
제3차 중동전쟁 당시 시리아군 소속으로 다수가 투입되었으며, 현재는 이스라엘의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에서 1문을 소장하고 있다.
7. 평가
원본인 3호 전차는 장포신 7.5㎝ 전차포를 탑재할 수 없어서 점차 일선에서 물러났지만, 3호 돌격포는 장포신 48구경장 7.5㎝ StuK40 전차포 덕분에 연합군의 중형전차와 호각으로 싸울 수 있었고, 경우에 따라선 4호 전차보다 더 나은 실적을 기록했다. 많은 경우 6호 전차 티거 못지 않거나 그 이상의 교환비를 자랑해서 가격 대 성능비에선 독일 장갑차량 중 돋보이는 효율을 자랑했다. 5호 전차 판터가 약 6천대, 4호 전차가 약 8,500대 정도가 생산되는 동안 무려 1만대가 넘는 수가 만들어졌으며, 그 수에 걸맞게 3호 돌격포는 약 2만대의 연합군 기갑차량을 격파해 가장 많은 연합군의 전투 차량을 파괴한 차량으로 기록되어 있다.발터 오베르로스캄프 중위는 40여대의 전차를 격파하였으며 휴고 프리모지크 중위는 68대, 독일 질서경찰 경관(Wachtmeister) 프리츠 랑(이 사람은 스파이더, 메트로폴리스 등의 걸작을 남긴 프리츠 랑과는 다른 사람이다.)은 113대, SS 히틀러 유겐트 소속 한스 잔드록 소령은 123대, 그리고 미하엘 비트만도 티거에 탑승하기 전 이 차량으로 6량을 격파하는 등 상당한 활약을 하였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보병지원용 돌격포였기 때문에 차체 상부구조가 매우 복잡하면서도 방어력은 낮았으며, 경사장갑을 제대로 채택하지 못했기 때문에 정면이라도 적의 동급 대전차포를 맞으면 박살날 수 있었다.
다만 기동성만 따진다면, 초기형의 16톤 가량의 기본 차체에 기동부 개선없이 10톤의 장갑과 포를 단순히 얹어놓은 후기형 4호 전차와는 달리 처음부터 새로 설계되어 토션바를 장착한 19톤짜리 3호 전차 E형의 차체에 고작 4톤 가량의 중량증가만 이루어진 3호 돌격포가 4호 전차나 너무 무거운 판터나 티거, 티거 2보다는 월등히 신뢰성과 기동성이 뛰어났다. 좌우회전을 자주 해야한다는 돌격포라는 핸디캡이 있음에도 그러했다.
8. 실전
8.1. 제2차 세계 대전
8.1.1. 프랑스 침공
|
프랑스 침공 당시의 독일 국방군 소속 3호 돌격포 A형 |
8.1.2. 북아프리카 전역
8.1.2.1. 토브룩 전투
|
토브룩 전투 당시의 독일 국방군 아프리카 군단 소속 3호 돌격포 D형 |
8.1.3. 독소전쟁
8.1.3.1. 바르바로사 작전
|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의 독일 국방군 소속 3호 돌격포 B형 |
그러나 기계적 문제로 인해 다수의 개체가 낙오되기도 하였으며, 이렇게 낙오된 개체를 소련 측에서 노획하기도 하였다.
바르바로사 작전 중, 3호 돌격포의 특기할 사항으로는 우마니 전투를 꼽을 수 있다.
당시 초보 단차장이었던 미하엘 비트만이 3호 돌격포 A형에 탑승하고 있었는데, 전투 와중, 그는 침착하게 지휘하면서 T-26 6량을 단숨에 격파하며 이름을 떨치기 시작하였다.
8.1.3.1.1. 발트 작전
|
발트 작전 당시 라트비아에서의 독일 국방군 소속 3호 돌격포 B형 소대 |
8.1.3.1.2. 스몰렌스크 전투
|
스몰렌스크 전투 당시의 독일 국방군 소속 3호 돌격포 |
8.1.3.1.3. 모스크바 공방전
|
모스크바 공방전 당시의 독일 국방군 소속 3호 돌격포 |
8.1.3.1.4. 북캅카스 전선
남부집단군 소속으로 다수의 3호 돌격포가 투입되어 소련군의 T-34-76과 KV-1을 상대로 전투를 치렀다.8.1.3.2. 청색 작전
|
청색 작전 당시의 독일 국방군 제210돌격포대대 소속 3호 돌격포 F/8형[6] |
8.1.3.3.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당시 제1SS기갑사단 LSSAH 소속 3호 돌격포 |
8.1.3.4. 쿠르스크 전투
|
쿠르스크 전투 당시의 무장친위대 소속 3호 돌격포 G형 |
8.1.3.5. 바르샤바 봉기
|
바르샤바 봉기 당시의 진압 목적으로 투입된 독일 국방군 소속 3호 돌격포 G형 |
8.1.3.6. 힌터포메른 전략 공세
|
힌터포메른 공세 당시 폴란드 동부군 제4보병사단에게 노획된 독일 국방군 소속 3호 돌격포 G형 |
8.1.3.7. 베를린 공방전
|
베를린 공방전 당시의 독일 국방군 소속 3호 돌격포 G형 |
8.1.4. 서부전선
8.1.4.1. 오버로드 작전
|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시 격파된 독일 국방군 소속 3호 돌격포 G형 |
8.1.4.2. 마켓 가든 작전
|
마켓 가든 작전 당시의 독일 국방군 소속 3호 돌격포 G형 |
8.1.4.3. 벌지 전투
|
벌지 전투 당시의 미 육군 제104보병사단 노획 독일 국방군 소속 3호 돌격포 G형[7] |
8.1.5. 이탈리아 전선
|
이탈리아 전선 당시의 독일 국방군 제103전차대대 소속 3호 돌격포 G형 |
8.1.6. 계속전쟁
|
계속전쟁 당시 카르얄라 지협에서의 핀란드 방위군 소속 수트르미 부대 |
8.1.6.1. 티엔하라 전투
|
티엔하라 전투 당시의 핀란드 방위군 소속 수트루미 "Ps.531-5" |
8.1.6.2. 탈리-이한탈라 전투
|
탈리-이한탈라 전투 당시 라펜란타 시로 이동 중인 독일 국방군 산하 제303돌격포여단 소속 3호 돌격포 F/8형 |
이밖에도 독일 국방군 제303돌격포여단 또한 핀란드군을 지원하기 위해 동원되었으며, 결국 소련군의 공세를 해당 지역에서 좌절시킴으로서 계속전쟁을 소련과의 평화 협정으로 종전할 수 있게 되었다.
8.2. 냉전
8.2.1. 6일 전쟁
|
6일 전쟁 당시 골란 고원 헤르몬 산 근처에 유기된 시리아 육군 소속 SD 75/40N |
현재도 골란 고원에 방문하면 3차 중동전쟁 당시 격파되거나 유기된 시리아군의 T-40/75나 3호 돌격포의 잔해들을 볼 수 있다.
9. 운용국
9.1. 유럽
9.1.1. 중부유럽
9.1.1.1. 나치 독일
|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독일 국방군 소속 3호 돌격포 G형 |
9.1.1.2. 헝가리
|
헝가리 왕립 육군 소속 3호 돌격포 G형 |
이에 돌격포가 절실히 필요했던 헝가리 왕국은 자국산 돌격포 개발을 시작해 1943년, 헝가리 최초의 자국산 돌격포인 43M 즈리니가 개발되었지만, 즈리니는 대전차전 용도로 사용하기 부적합하였기에 헝가리 왕국군 측에서는 공여받았던 3호 돌격포를 애지중지하며 사용했다고 한다.
9.1.1.3. 체코슬로바키아
|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박물관 소장 SD 75/40N |
이 밖에도 1950년대 시리아에게 T-34-85CZ를 판매하는 와중에 SD 75/40N 40여문도 같이 겸사겸사 판매하였던 기록이 남아있다.
9.1.1.4. 스위스
|
툰 전차 박물관 소장 스위스 육군 소속 3호 돌격포 G형 |
9.1.1.5. 폴란드
|
팀 Sdkfz 복원 폴란드 인민군 육군 소속 3호 돌격포 G형 "321호차" |
9.1.2. 북유럽
9.1.2.1. 노르웨이
|
노르웨이 군사 박물관 소장 노르웨이 육군 소속 스토름카논 KW-III |
9.1.2.2. 핀란드
|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핀란드 방위군 소속 수트루미 "Ps531.4" |
|
파롤라 전차 박물관 소장 핀란드 방위군 소속 수트루미 "Ps531.18" 기동 영상 |
원래 핀란드군은 돌격포로 BT-42를 운용하였으나, 해당 차량은 노획 차체와 자체 개발 포탑을 합친 형태였기에 대량 생산이 쉽지 않아 대체재가 필요했던지라 도입을 결정하게 되었으며, 해당 수트루미들은 계속전쟁 당시 소련군을 상대로 상당히 분전하였다.
그러나, 계속전쟁이 핀란드와 소련의 협약으로 종전을 했으며, 이에 독일이 대금 요청을 하자 핀란드는 독일을 적국으로 규정, 이후 대금을 갚지 않겠다고 선언해버리고 결국 라플란드 전쟁이 발발하였고,[9] 이 시기 수트루미가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그 대신 T-26으로 이루어진 분견대가 투입되었다.
전후에도 상당수가 예비역으로 운용되던 핀란드의 수트루미들은 1960년대에 1선에서 물러났으며, 현재는 파롤라 전차 박물관 등 핀란드 내에서 구동 가능한 단차들이 행사용으로 운용되고 있는 중이다.
9.1.2.3. 스웨덴
|
아르세날렌 전차 박물관 소장 스웨덴 육군 소속 3호 돌격포 D형 |
9.1.2.4. 에스토니아
|
에스토니아 전쟁 박물관 소장 에스토니아 육군 소속 3호 돌격포 G형 "Ps. 531-22"[10] |
9.1.3. 남유럽
9.1.3.1. 스페인국
|
엘 골로소 군사 박물관 소장 스페인 왕립 육군 소속 3호 돌격포 G형 |
퇴역 후 몇몇 스페인군 3호 돌격포 G형은 시리아에 판매되었다.
9.1.3.2. 이탈리아 왕국
|
카스틸리온 피오렌티노 야외 전시 이탈리아 왕립 육군 소속 3호 돌격포 G형 |
현재는 카스틸리온 피오렌티노 시와 이탈리아 군사 박물관 창고에 2문이 있으며, 해당 단차들은 독일군으로부터 노획하였다.
9.1.3.3. 루마니아
|
루마니아 왕립 육군 제1루마니아기갑사단 산하 제2전투전차연대 소속 TAs-3[11] |
9.1.3.4. 불가리아
|
소피아 국립 군사 역사 박물관 소장 불가리아 육군 소속 마이바흐 T-III G형 "929번차" |
9.1.3.5.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칼레메그단 요새 박물관 소장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소속 3호 돌격포 F/8형 |
9.1.4. 동유럽
9.1.4.1. 소련
|
애국 공원 소장 소련 육군 소속 SU-75 |
냉전 시기까지 적성군 훈련용, 후방부대 지원용 등등 여러 용도로 편제되어 사용되었으며, 현재 러시아나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등지에 꽤 많은 수의 3호 돌격포가 전시 중에 있다.
9.1.5. 서유럽
9.1.5.1. 영국
|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3호 돌격포 G형 |
9.1.5.2. 프랑스
|
소뮤아 전차 박물관 소장 프랑스 육군 소속 42호 돌격곡사포 G형 & 3호 돌격포 G형 |
9.2. 아메리카
9.2.1. 미국
|
미국 문화유산 박물관 소장 미 육군 노획 3호 돌격포 G형 "101호차" |
9.2.2. 캐나다 자치령
|
오타와 전쟁 박물관 소장 캐나다 육군 노획 3호 돌격포 G형 잔해 |
9.3. 아시아
9.3.1. 시리아
|
야드 라 시론 박물관 소장 시리아 육군 소속 SD 75/40N (브레다-SAFAT) |
3차 중동전쟁 이후에도 4차 중동전쟁 전후 시기까지 예비역으로 편제되어 있었다.
9.3.2. 이스라엘
|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이스라엘 육군 소속 SD 75/40N (브레다-SAFAT) |
10. 미디어
자세한 내용은 3호 돌격포/미디어 문서 참고하십시오.11. 모형
11.1. 프라모델
12. 참고문헌
- 위키피디아 영문판 슈투름게쉬츠 III 문서
- 위키피디아 러시아어판 StuG III 문서
- 3호 돌격포 및 42호 돌격곡사포 잔존 개체 목록
- Tanks Encyclopedia 3호 대공전차 관련 문서
- 스페인 자체 개발 로켓 런처 및 3호 돌격포 기반 발사 플랫폼
- 골란 고원의 판처들
- 3호 돌격포 각 형식 세부사항
13.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핀란드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겨울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 핀란드 방위군(Suomen Puolustusvoimat)의 기갑차량 |
||||
전차 | 경전차 | <colbgcolor=#fff,#393b42> 르노 FT 코이라스/나라스 | Mk. E (Psv.K/18)F | MK. E (Psv.K/36)F | T-26EF | BT-5S | BT-7S | T-26A/B/C 비꾸S | KhT-130/45S/F | KhT-133/45S/F | T-60S | T-70 세미데샤트카S | T-37S | T-38S | |||
중(重)전차 | T-28(A) 포스티바우누/포스티유나S | T-34B 솟까S | T-34/85 핏케풋끼넨 솟까S | Pz.Kpfw IV Ausf.J 넬로넨/라비스틴 | KV-1A/B 클리미S | ||||
화염방사전차 | KhT-130S | KhT-133S | ||||
장갑차 | L-182 | BAB AS | BAB B FAI-M/ BA-20(A)S | BAF AS | BAF BS | BAF CS | BT-43S/F | Pula-ajan panssariautoF | Sisu 장갑차F/P | ||||
돌격포 | Stug III Ausf.G 수트루미 | BT-42 크리스티S/F | JSU-152S | ||||
자주대공포 | ItPsv 41 | ||||
화포견인차 | T-20 콤소몰레츠S | T-26VS/F | ||||
구난차량 | ISU-152VS/F | BA-10NS/F | ||||
훈련용 차량 | 카든 로이드 Mk.VI | 카든 로이드 M1933 | T-38-KVS/F | T-38-34S/F | KhT-26S | T-26TS | T-26KS/F | D-8S | ||||
※ 윗첨자S:
소련군에게서 노획 ※ 윗첨자F: 자체 개발 및 개조 차량 ※ 윗첨자P: 경찰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헝가리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헝가리 왕국군의 기갑차량 |
||||
전차 | 경전차 | <colbgcolor=#fefefe,#191919> 35M 안살도, 37M 안살도, TKS, C2P, 르노 UE, 1호 전차, 38M 톨디, 42M 톨디 II, 42M 톨디 IIA, 43M 톨디 III, T-38, 호치키스 H35, 호치키스 H39, V-3, V-4 | |||
중형전차 | 40M 투란, 3호 전차,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 소뮤아 S35 | ||||
중전차 | 44M 타스, 6호 전차 티거 | ||||
노획전차 | T-27, T-34-76, T-34-85, T-28, T-70, T-26S, BT-7, BA-6, T-20 콤소몰레츠, M3 스튜어트, M3 리 | ||||
장갑차 | 39/40M 처버, AB41 | ||||
자주포 | AHD, 마르더 II, 톨디 판셀바다즈 | ||||
돌격포 | 43M 즈리니 II, 44M 즈리니 I, 3호 돌격포 | ||||
구축전차 | 헤처 | ||||
차량 | 38M 보톤드, 오펠 블리츠, Kfz 70, 37M | ||||
자주대공포 | 40M 님로드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헝가리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의 루마니아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루마니아 왕국군의 기갑차량 |
||||
<colbgcolor=#ce1126> 장갑차 | Sd.Kfz. 222, OA. vz. 27, OA. vz. 30, SPW ușor, SPW mijlociu, Şeniletă Malaxa tipul, T-20, AB40/41, BA-10, BA-3-2, CKD Praga TN SPE 34/TN SPE 37 | ||||
전차 |
<colbgcolor=#ce1126> 경전차 | 르노 FT, 르노 R35, T-60, T-26BC, T-26SC, R-1, R-2, R-2a, R-2c, T-37A, T-38, BT-7C, 톨디 경전차C, 7TP | |||
중형전차 | T-3, T-4, T-5, C.L.T 34C, T-34-85, R-3, V-8-H, M3 중형C | ||||
중전차 | KV-1C, 6호 전차 티거C, IS-2C | ||||
대전차자주포/구축전차 | TACAM T-60C/M, TACAM R-2M, TACAM T-38M, R35 대전차자주포M, 마레샬 구축전차C/M, 헤처C | ||||
돌격포 | TAs T-3, 43M 즈리니C | ||||
차량 | Sd.Kfz. 8, Sd.Kfz. 11 | ||||
※ 윗첨자C: 노획차량 ※ 윗첨자M 자국생산 및 개조형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루마니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의 불가리아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2e8b57,#74d09d>
제2차 세계 대전 불가리아군의 기갑차량 |
|||||
장갑차 | <colbgcolor=#fefefe,#393b42> Sdkfz221, Хорх M.222 и M.223, Sd.Kfz. 232, Sd.Kfz. 250, Sd.Kfz. 251G/S, AB 41S, Sd.Kfz. 260/261S | |||||
전차 | <colcolor=#2e8b57,#74d09d> 탱켓 | "Ансалдо-Фиат"/"Ансалдо" | ||||
경전차 | Рено, 호치키스 H35, Викерс, , T-11 Шкода, Прага, 1호 전차 | |||||
중(中)형전차 | 소뮤아 S35, Майбах T-IV GG, Майбах T-IV HS/G, 5호 전차 판터S, T-34-85S, ВенгерS, T-34-85S | |||||
구축전차 | 헤처S, 4호 구축전차S, 4호 구축전차 70구경장S | |||||
돌격포 | Майбах T-III, StuH 42, stormovo orvdie Maybach T-IVS, | |||||
자주포 | 세모벤테 L40 47/32S, 훔멜 자주포S, 베스페S | |||||
자주대공포 | 40M 님로드S | |||||
차량 | 퀴벨바겐, R-75, 오펠 블리츠 | |||||
노획차량 | SU-76M, T-34-76, M.2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윗첨자S: 소련군으로부터 구입한/공여받은 차량 윗첨자G: 나치 독일으로부터 구입한/공여받은 차량
※둘러보기 :
불가리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스페인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스페인군의 기갑장비 |
||||
전차 | 경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
1호 전차 B형,
CV.33, CV.35,
BT-5,
CCI 티포 1937,
트루비아 A4,
|
|||
중형전차 |
T-26B, |
||||
중전차 |
|
||||
돌격포 | 3호 돌격포 G형 | ||||
자주포 |
|
||||
장갑차 | 이스파노 수이사 MC-36, AAC-1937, 메르치에르 II, 빌바오 모델로 1932, 페롤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페인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냉전기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유고슬라비아 국군 (1945~1951)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1951~1992) Jugoslovenska Narodna Armija / Jугословенска Народна Армиjа |
||||
기타전차 | 경전차 | M3A1 스튜어트, M3A3 스튜어트, PT-76B | |||
중형전차 | 3호 전차C, 4호 전차C, T-34-85M, T-34BM, Vozilo-AX, M4A3E4 | ||||
MBT | 1세대 | T-54A, T-55(A/AI), M47 패튼 | |||
3세대 | T-72M, M-84(A/AB/ABN), M-90/91 | ||||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 M-100, BTR-152, BTR-60, BRDM-2, OT TAB-71, BOV | |||
궤도장갑차 | Sd.Kfz. 251, OT M-5, MT-LB, OT M-60(P/PB), BTR-50, BVP M-80(A/A1) | ||||
차량 | 소형 | 피아트 1101 · 1107, 핀츠가우어 | |||
트럭 |
TAM-110 · 150 · 260 · 4500 · 5000, FAP 2026 · 2832, ZiL-131 · 157, MAZ-537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Kadilak, SO-105, 2S1, NORA B-52 | |||
대전차 자주포 | SO-75C, SO-75 M-3A3M, M-44, SO-76M, SO-76 Helkat, SO-90 "Dżecksons", M36B1, SO-122X | ||||
대공차량 | 자주대공포 | M15 CGMC, ZSU-57-2, M53/59, BOV-3, BOV-30X, SPAT 30/2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1 스트렐라-1,
M-90 Sava, RL-2 프락카M |
||||
다연장로켓 | M-63 플라멘, M-77 오간, M-87 오르칸 | ||||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 윗첨자X: 프로토타입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유고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11457e>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1954~1990)의 기갑차량 |
||||
기타 전차 |
T-36,
LT-38/37,
T-40/75,
IS-2,
|
||||
MBT | <colcolor=#373a3c><colbgcolor=#11457e> 1세대 |
T-54(A/AM/AR Reika),
T-55(A/AM1 · M1B/AM2 Dyna-1 · M2B/AMB) |
|||
2세대 |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OT-64 SKOT (A/C), OT-65, BRDM-2 | |||
궤도장갑차 | OT-810, BPzV, OT-62(A/B/Vydra), BVP-1 · OT-90, BVP-2 | ||||
차량 | 소형 | 스코다 1101 VO, UAZ-469 | |||
트럭 | 타트라 148 · T-813 · T-815, 스코다 6L · RSO · 706, 프라가 V3S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ST-II, ShKH vz.77 Dana, 2S1 Karafiát, 2S7 Pivonka | |||
자주박격포 | 2S4 튤판 | ||||
대전차 자주포 | ST-I, ST-III, SD 75/40N, SD-100, TSD-152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Vz.53/59 PLDvK, STROP-(1/2)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PLRK S-1M2, PLRK S-10M, 9K33(M2/M3) 오사 | ||||
다연장로켓 | BM-24, RM vz. 70 | ||||
※ 이텔릭체: 외산차량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체코슬로바키아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장비 | }}}}}}}}} |
현대 루마니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루마니아군 (1991~현재)
Forțele Armate Române |
||
<colbgcolor=#002B7F><colcolor=#FFF> 기타전차 | <colbgcolor=#002B7F><colcolor=#FFF> 중형전차 | T-34-85CZR | |
'''[[주력 전차| MBT ]]'''
|
'''[[1세대 전차| 1세대 ]]'''
|
T-55(AR/AM/AM2) | TR-580R | |
'''[[2세대 전차| 2세대 ]]'''
|
TR-85 → TR-85(M1/M1A) 비조눌 | T-72MS | ||
'''[[3세대 전차| 3세대 ]]'''
|
|
||
3.5세대 | M1A2 SEP v3 | ||
'''[[장갑차| 장갑차 ]]'''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피라냐 V · IIIC |
쿠거 | 허리케인 |
M1224 맥스프로 | |
|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차기 IFV사업} | { K-10} | { AAV-7A1} | MLI-84(M) 즈데룰 | MLVM-(M) | BTR-50(PK/PU)R | ||
차량 |
''' 초소형 '''
|
[[ATV| ATV ]]
폴라리스 MRZR · DAGOR · 레인저 · 스포츠맨 | 아르고 오로라 950 | 아크틱 캣 프라울러 XT | TGB LT EPS · 블레이드 1000
|
|
소형 |
[[소형 전술차량| IMV ]] {
L-ATV} | {
코브라 II} |
M-ATV |
URO VAMTAC S3 |
험비 | 파나르 PVP | 드라콘 |
장켈 폭스 |
GAZ-69R민수용
다치아 더스터 |
벤츠 스프린터 |
LSSV 타호 |
지프 랭글러 | ARO 드래곤R · 24 시리즈R
|
||
트럭 |
군용 DAC 665T/G · 443T · 887R · 11.154 · 12.135R · 15.240 · 16.230 · 31.310R |
로만 16.310 · 22.310 · 26.360 · 26.410 · 22.290 |
이베코 M170 · M250 · M320 · M1250 · SM88 |
FMTV상용
MAN TGS |
이베코 트래커
|
||
'''[[자주포| 자주포 ]]'''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
{
K-9A1} |
2S1 그보즈디카S |
모델 89S | |
|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
피라냐 V 스피어 | TAB-79AR | MLVM-AR | TAB-71ARR | ||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
SU-100R | SU-76MR | ||
다연장로켓 | M142 HIMARS | LAROM | APR-40 | APRA-40 | APR-21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
게파트 A1 | ZSU-57-2R | |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
참고: 틀:현대전/루마니아 유도무기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 M88A2 허큘리스} | BPz 2 | TER-85 | MLI-84M TEHEVAC | AMT 125 크레인 트럭 | AMT 950 크레인 트럭 | |
공병차량 | { M1150 ABV} | DMT-85M1 | ||
교량차량 | { M1110 JAB} | BLG-67 | ||
건설기계 | S-1500 LS 불도저 | AG-180 그레이더 | SŁ-34 로더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 |
현대 덴마크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a40000>
덴마크 방위군 (1945~현재) Forsvaret |
||||
기타전차 | M4A3E4R, 3호 전차 N형R, mKPz T-34/85MP/R | ||||
MBT | <colbgcolor=#a40000> 1세대 | 센추리온 Mk.(3, 5/2)DKR | |||
2세대 | 레오파르트 1(A3/A5)-DKR | ||||
3세대 | 레오파르트 2A5-DKR | ||||
3.5세대 | 레오파르트 2A7-DK | ||||
경전차 | M24 채피R, M41 DK-1M/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6 모세가이스R, 피라냐 III(C/H)/V, XA-185L, ISS 쿠거 6×6L | |||
궤도장갑차 | M3A1 하프트랙R, M5 하프트랙R, IKK CV9035-DK, PMV M113(A1/G3) · PMNK M/92 M113A2M, 아르마딜로*, Sd.Kfz. 251/1 D형R | ||||
차량 | 오토바이 | BMW F650GS · R850RT, 가와사키 KLR650, KTM 450 EXC | |||
소형 |
M151R,
디펜더R,
Spejdervogn M/95 (이글 I/IV), 겔란데바겐 G240 U/270 · 280 CDI/300 EOD, 험비L, 수파캇 HMT400 |
||||
트럭 |
Magirus Deutz 주피터R,
벤츠
유니목 404 · 416 · L1550, RMMV HX77 · SX45 · 8.135 · 13.192 · 18.225 · 27.314 · 26.372 · 25.322 · 27.314 · 40.400 · 35.460 · 41.372 · 41.480 모바크 DURO-III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SKH M109(G/A3-DK)R,
|
|||
자주박격포 | M106A1R, M125A1R, 카돔 10 | ||||
대전차 자주포 | Panserjæger M10 "Achilles"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GMC M45,
|
|||
다연장로켓 | M270A1 MLRSR, PULS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L: 리스한 차량 ※ 윗첨자P: 기증받은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테스트용으로 운용 중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덴마크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스웨덴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
스웨덴군 (1945~현재) Försvarsmakten |
|||||
기타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
Strv m/41R |
Strv m/42R |
Strv 74(H/V)R |
셔먼 VX/R |
셔먼 VCX/R |
셔먼 IBX/R |
셔먼 IIIX/R |
처칠 Mk.IIIX/R |
코멧X/R |
1호 전차X/R |
5호 지휘전차 A형X/R |
티거IIX/R |
|
|||||
MBT | 1세대 | Strv 81R | Strv 101(R)R | Strv 102(R)R | ||||
2세대 |
Strv 103(A/B/C)R |
Strv 103DP |
Strv 104R |
Strv 105P |
T-72X |
|
|||||
3세대 |
Strv 121(A/B)S |
Strv 122(A/B) | |
|||||
3.5세대 | Strv 122(C/D) | { Strv 123(A/B)} | |||||
경전차 |
Pvstrv AMXX/R |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C/R | U-SH | Tgb m/42R | Patgb 180S · 202 · 203S | Patgb 360 | Tgb 16 | 피라냐 IIIC | { Patgb 300} | ||||
궤도장갑차 | M113X/R | Strf 90(B/C) | Pbv 302R | Bv 308/309 | Bv 206 | BvS 10 | Bv 202R | Pbv 301R | Pbv 401· 4020 | Pbv 501R | Pvrbv 551R | |||||
차량 | 소형 | Ptgb 5 | Tgb 11 · 13 · 21 | CUCV | 볼보 TP 21R · L3304R | 샌드캣 | ||||
트럭 | 볼보 FMX · TL31R | 스카니아 4시리즈 · SBA111R | Pltgb 903R | Tgb m/1941R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Bkan 1(A/C)R | 아처 | ||||
자주박격포 | Grkpbv 90 묠니르 | |||||
돌격포 | Sav m/43R | Spj fm/43(43, 43-44)P | Stug III Ausf.(D/G)X | |||||
자주보병포 | Ikv 72R | Ikv 73R | Ikv 102R | Ikv 103R | Ikv 91S/R | |||||
대전차 자주포 | Pvkv m/43R | Pvkv IIP | Pvkv IIIP | Pvkv IVP | Pz.Jg 38(t)X | 마르더 IIX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Lvkv m/42P | Lvkv fm/43R | VEAK 40P | Lvkv 9040 | ||||
단거리 대공 미사일 | Tgb 21 | Lvrbv 701R | Lvrpbv 4016R | EldE 98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Bgbv 120 | ||||
전투공병차량 | ingbv 120 | |||||
교량차량 | M3 | BroBv 120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X: 테스트용으로만 도입(외제) ※ 윗첨자P: 프로토타입(자체 개발) ※ ※ 윗첨자C: 노획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노르웨이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
||
<colbgcolor=#BA0C2F> 기타전차 |
<colbgcolor=#BA0C2F> '''[[경전차| 경전차 ]]'''
|
스트리스보인 M24R | 1호 전차G/R | |
중형전차 | 스트리스보인 KW-IIIG/R | ||
'''[[주력 전차| MBT ]]'''
|
'''[[1세대 전차| 1세대 ]]'''
|
M48(A1/A5) 패튼R | |
'''[[2세대 전차| 2세대 ]]'''
|
레오파르트 1(A1NO/A5NO · NO2)R | ||
'''[[3세대 전차| 3세대 ]]'''
|
레오파르트 2A4NO | ||
3.5세대 | { 레오파르트 2A8NO} | ||
'''[[장갑차| 장갑차 ]]'''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XA-180 · 185 MLU · 186NO | XA-203N | ATF 딩고 | 푹스 1A8 NBC | M8 LACR | |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 ACSV G5} | { K-10} | CV9030(N/NF1) | Bv 206S | M113(F1 ~ F4) | NM-209 | NM-199 | 로케트판세르예거 NM-142(F1) | NM-135R | M3 하프트랙R | ||
차량 |
''' 초소형 '''
|
이륜차 야마하 450 WRATV 봄바디어 링스 시리즈 |
폴라리스 MRZR-4 · 빅보스
|
|
소형 |
IMV
이베코 LMV | 수파캇 HMT |
겔란데바겐 |
랜드로버 울프민수용
토요타 랜드 크루저 |
닛산 테라노 II
|
||
트럭 |
군용
RMMV HX 시리즈 | 알비스 택티카 |
M35R | M621R상용
MAN TGS |
스카니아 P93 · P113 · P143
|
||
'''[[자주포| 자주포 ]]'''
|
''' 자주곡사포 '''
|
K-9 VIDAR | M109(G/A3GN · GNM) | 셀브레베트 105mm FH M7R | |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
{ CV90 멀티 BK} | NM-204 | NM-125R | ||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
NM-116 판세르예거R | 스토름카논 KW-IIIG/R | ||
다연장로켓 | M270 MLRSR | ||
대공 차량 |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
참고: 틀:현대전/노르웨이 유도무기 | |
무인 차량 |
'''[[UGV| UGV ]]'''
|
미션 마스터 XT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NM217 베르게판세르 2 | 위센트 2 ARV | NM-130 베르게판세르R | |
공병차량 | CV90RWS STING, 위센트 2 AEV | ||
교량차량 | AVLB 레구안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G: 나치 독일 항복 이후 독일군이 남기고 간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둘러보기 :
노르웨이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현대 스페인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373a3c>
스페인군 (15세기 ~ 현재) Las Fuerzas Armadas Españolas |
||||
기타 전차 | <colbgcolor=#fefefe,#393b42> 3호 돌격포 G형R, 4호 전차 H형R, T-26R, 1호 전차R, CV-33R, M8 그레이하운드R, M20 유틸리티 카R, Carros de combate M-24 ChaffeeR, M41 워커불독R | ||||
MBT | <colcolor=#373a3c> 1세대 | M47(E · E1 · 2)R, M48A5ER | |||
2세대 | M60(A1/A3 TTS)R, AMX-30ER | ||||
3세대 |
|
||||
3.5세대 | 레오파르트 2E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BMR-M1, VEC-M1, 첸타우로, RG-31 Mk.5E, TM-170, UR-416, 드래곤 | |||
궤도장갑차 | AAV-7A1, Bv 206S, ASCOD 피사로, M113A1 | ||||
차량 | 소형 | M151R, URO VAMTAC, 이베코 LMV, { KGM 렉스턴 스포츠} | |||
트럭 | 이베코 유로카고 · M250W.37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Obús autopropulsado M-37R, M108R, M109A5, M110A2R | |||
자주박격포 |
BMR-PM-81, BMR-PM-120, |
||||
대전차 자주포 | M56 스콜피온R | ||||
대공 차량 | 단거리 대공미사일 | AMX-30 롤랑, URO VAMTAC 미스트랄, NASAMS | |||
다연장로켓 | 테루엘-3R, { SILAM}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BPz 3 뷔펠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페인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시리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시리아군 (1946~2024)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 |
||||
기타전차 | 셔먼 IIUK/S, M-50C/R, T-34/55CZ/M, 4호 전차FR/E/S, T-40/75CZ/S, 르노 R35FR/R | ||||
MBT | 1세대 | T-55(MV/AM/AMV) | |||
2세대 | T-62(M/K), T-72(A/AV/M1 마흐미아) | ||||
3세대 | T-72(B/BM/B3) | ||||
3.5세대 | T-90(A/K) | ||||
경전차 |
PT-76B,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파나르 178BFR, OT-64, BRDM-2, BTR-60PB/PU-12, BTR-152, BTR-40 | |||
궤도장갑차 | 셔먼 II APCUK/M, BMP-1, BMP-2, BTR-50, OT-62 | ||||
차량 | 소형 | UAZ-469 | |||
트럭 | 우랄-4320ㆍ375D, ZiL-131ㆍ135 · 157, KamAZ-43114, GAZ-66ㆍ3308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품멜FR, T-34-122 (D-30)M, 2S1, 2S3 아카치야 | |||
자주박격포 | 2S4 튤판, 2S9 | ||||
대전차 자주포 | SU-75CZ/E/S, 4호 구축전차CZ/S, SU-100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ZSU-57-2, ZSU-23-4, 판치르-S1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1, 9K35, 9K33 오사 | ||||
다연장로켓 |
BM-14, BM-24,
BM-21 그라드, BM-27 우라간,
BM-30 스메르치,
TOS-1 부라티노, 63식 다연장로켓, 카이바, 파자르-3, 파자르-5, Ra'ad, 팔라크-2 |
||||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FR: 프랑스군 철수 이후 남겨진 차량을 수습/프랑스로부터 구매 ※ 윗첨자UK: 영국군 철수 이후 남겨진 차량을 수습 ※ 윗첨자CZ: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구매 ※ 윗첨자E: 스페인국으로부터 구매 ※ 취소선: 도입 무효화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시리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핀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
||
<colbgcolor=#FFF,#191919><colcolor=#002F6C> 기타전차 |
<colbgcolor=#FFF,#191919><colcolor=#002F6C> '''[[경전차| 경전차 ]]'''
|
PT-76BR | T-50 "삐꾸 소트카" C/R | T-38C/R | T-26 "비꾸"C/R | T-26ER | |
순항전차 | 코멧 Mk.I 모델 BR | ||
중형전차 | 4호전차 J형 "넬로넨/라비스틴"R | T-34-85 "핏카풋키넨 소트카"C/R | T-34-76 "소트카"C/R | T-28 "포스티바우누/포스티유나"C/R | ||
'''[[주력 전차| MBT ]]'''
|
'''[[1세대 전차| 1세대 ]]'''
|
T-55 → T-55MR | T-54-3R | |
'''[[2세대 전차| 2세대 ]]'''
|
T-72M1R | ||
'''[[3세대 전차| 3세대 ]]'''
|
레오파르트 2A4 | ||
3.5세대 | 레오파르트 2A6 | ||
'''[[장갑차| 장갑차 ]]'''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XA-180 · XA-185 · XA-203 OWS "파시" | XA-300 | XA-360 AMV | 시수 GTP | RG-32M | BTR-60(PA/PB/PUM)R | |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CV9030 FIN | BMP-2 → BMP-2MD FIN | MT-LB | MT-LBu | Bv 308 | Bv 206(S/D6N) | Bv 202R | NA-120GTR | BMP-1(TJ/TJJ)R | BTR-50(PK/PU/PUM/YVI)R | ATS-59R | GT-MSR | AT-SR | M2 하프트랙R | ||
차량 |
''' 초소형 '''
|
이륜차 야마하 WR250R | 링스 GLX 5900ATV 폴라리스 스포츠맨
|
|
소형 |
[[소형 전술차량| IMV ]]
랜드로버 디펜더 110 |
벤츠 G300 · G270 CDI |
UAZ-469R ·
UAZ-452R |
GAZ-69R민수용
벤츠 스프린터 |
VW 트랜스포터 |
토요타 하이럭스
|
||
트럭 |
군용 시수 A2045 · E15TP · E13TP · E11T · SA-130 · SA-150 · SA-240 · KB-45R · A-45R |
벤츠 제트로스 ·
유니목 |
DAF YA-4442 · MMLS |
KrAZ-255R | MAZ-537GR |
ZiL-131R · ZiL-157R |
GAZ-66R상용 시수 SK-250 · SK-181 |
스카니아 4시리즈 ·
PRT-레인지 |
벤츠 악트로스 ·
아테고 | 포드 템즈R
|
||
'''[[자주포| 자주포 ]]'''
|
''' 자주곡사포 '''
|
155 PsH 17 K-9FIN "모우카리" | 122 PsH 74 | BT-42R | |
'''[[자주평사포| 자주평사포 ]]'''
|
152 TelaK 91R | ||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
KrhPsajon XA-361 AMOS | NA-122 | ||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
채리어티어 Mk.VII 모델 BR | 3호 돌격포 G형 "수트루미"R | ||
다연장로켓 | 298 RsRakH 06 | 122 RakH 89 M1 | 122 RakH 76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
ItPsv 레오파르트2 마크스맨 | ItPsv 90 마크스맨R | ItPsv SU-57-2R | |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
참고: 틀:현대전/핀란드 유도무기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BPz 2 | 사우루스 FLC 3 견인차 | |
공병차량 | PiPz 2 닥스 | 시수 RA-140 DS 지뢰제거차 | ||
교량차량 | 레오파르트 2L | 시수 E-15TP-L 레구안 가교부설트럭 | BLG-60M2 | MTU-20R | ||
건설기계 | PS 940 백호로더 | 발멧 702R트랙터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3호 B형의 차체로 만들어서 보기륜이 4호 전차처럼 8쌍이다.
[2]
1940년 당시의 기계화 비율은 10%남짓에 불과했다. 그나마도 대부분은 훈련용으로 제작된 1호, 2호가 태반이었다.
[3]
물론 독일군도 70~75mm의 관통력을 지니는 단포신 주포용
대전차고폭탄(Gr.38 HL/B)을 개발해놓은 상태였고 해당 탄종으로 1941~42년 사이에 KV-1과 T-34 수십대를 격파한 전과가 있기는 하다.(Doyle, H., Jentz, T., Sarson, P., StuG III Assault Gun 1940-1942, 1996, p.44-45) 하지만 1942년에 T-34 전차가 2만대가 넘게 생산되었기 때문에 이 정도 전과는 바닷물에서 한 숟갈 떠내는 정도에 불과했다.
[4]
해당 단차는 C형의 차체에 G형의 알케트제 포방패와 주포를 장비하고 있다.
[5]
해당 단차는 이스라엘 방위군이 노획한 것으로, 기관총을 전체 탈거하였다.
[6]
1942년 8월
노보로시스크에서 촬영된 사진으로, 돌격포 옆에서
기사십자 철십자장을 착용한
하사가 노획한
SVT-40을 들고 걷고 있다.
[7]
1945년 1월 ~ 2월 경에 촬영된 사진으로, 해당 단차에는 상부와 측면에 추가장갑으로 콘크리트가 발라져 있는데,
치메리트 시멘트와는 달리 일반 건설용 시멘트이다. 이러한 개수는 핀란드군이 운용한 3호 돌격포에서도 찾을 수 있다.
[8]
독일어 원문인 슈투름게쉬쯔에서 "슈투름"을 핀란드 억양으로 읽어서 생긴 별칭으로,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돌격이" 정도의 어감이다.
[9]
이때 동맹이었던 국가가 배신+ 적국의 편을 들어 과거의 동맹인 자신들을 공격한 것에 분노한 독일군은 민간인 학살을 저지르는 등 보복행위를 벌였다.
[10]
1943년 8월 MIAG에서 생산된 차량이다.
[11]
1945년 4월 모라비아에서 촬영된 사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