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5 mm Howitzer Motor Carriage M7 |
1. 개요
|
M7B2 기동 및 발포 영상 |
|
|
M7B1 기동 및 발포 영상 |
'프리스트( 사제)'라는 별명은 이 차량을 그 당시 많이 쓰던 영국군이 붙인 별명인데 M7의 기관총 자리가 마치 신부의 단상 같다 해서 붙인 별명이다. 미군이 개발했지만, 자주포 개발에 실패하고 그나마 제작한 비숍 같은 경우엔 속도가 너무 느려서 못 써먹게 되자 미국의 지상병기를 구입한 영국군이 많이 썼다.
2. 제원
M7 프리스트 | |
전장 | 20ft (6.02m) |
무게 | 50,640 lb (22.97톤) |
엔진 | Continental R-975 C1(M7), 포드 GAA 엔진(M7B 계열) |
속도 | 24/15 mph (39/24km) (포장/노면) |
작전반경 | 120mi (193km) |
주무장 | M1/M2 105mm 곡사포 |
부무장 | .50 BMG M2HB |
장갑 | 51mm |
승무원 | 7명 |
생산대수 | 약 5000대 |
발사속도 | 분당 8발 |
최대사거리 | 10,412 m |
포각 | 좌 15도 우 30도 상 35도 하 5도 |
3.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초기 단계에서 독일 국방군이 보여줬던 전격전을 보고 미군 관계자들은 종래의 견인포로는 대응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기갑 작전을 지원하기에 충분한 화력을 갖춘 자주포 차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아 자주포 개발을 요구했다. 이에 1942년, M3 하프트랙에 75mm M1897A4 야포를 장착하여 사용하였으나 화력지원에 한계가 생겼고[1], M3 하프트랙에 105mm 곡사포를 장착한 T19 HMC도 있었지만 하프트랙 기반 자주포 운용에서 얻은 교훈을 통해 신형 자주포는 장갑을 갖추고 오로지 무한궤도로만 움직여야 하다고 결론이 나왔다.그렇게 T32라는 설계 기반으로 당시 널리고 널린 M3 리 전차의 차대를 사용한 플랫폼에 105mm 견인곡사포를 설치해서 만들기로 결정되었다. 시제차는 전투실 상단이 개방된 형태에 M2A1 105mm 곡사포를 장착했으며 시험 후에 부무장 기관총이 추가되었다. T32는 1942년 2월에 M7로 채택되었고 그 해 4월에 생산이 시작되었다. 당시 영국군이 1942년 말까지 2,500대, 1943년 말까지 3,000대를 추가로 인도할 것을 요청하여 영국에도 공여되었지만 주문한 만큼 전부 조달되지는 않았다.
M3 리를 대체한 후속 전차 M4 셔먼이 등장함에 따라 M7 자주포도 M4 셔먼 기반으로 차대를 교체하고 생산을 계속하기로 결정되었다[2].
M7은 이후 M24 채피 경전차를 기반으로 만든 M37 HMC로 대체되었다.
4. 형식
4.1. M7
|
105 mm Howitzer Motor Carriage M7 |
생산이 시작된지 약 한 달 만인 1942년 5월부터는 전투실의 왼쪽 벽에 7발, 오른쪽 벽에 5발을 추가 배치함으로써 탄약 적재량이 57발에서 69발로 12발 늘었다. 또한 생산되는 동안 M3 리의 후속으로 M4 셔먼이 등장하자 셔먼과의 호환성을 늘리기 위해 M4 셔먼용 3피스 하우징, 단일 피스 캐스팅 및 서스펜션 부품이 적용되는 변화가 생겼다.
영국군이 운용한 일부 M7은 적재 가능한 탄약 24발을 줄이는 대신 통신용 라디오 세트를 탑재했다.
4.2. M7B1
|
105 mm Howitzer Motor Carriage M7B1 |
4.3. M7B2
|
105 mm Howitzer Motor Carriage M7B2 |
5. 파생형
5.1. Defrocked Priest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APC( 보병수송장갑차)로 쓰이기 위해 곡사포를 제거한 버전. 72대의 M7이 해당 버전으로 개량되었다. 원래 M7 자주포의 이름이 프리스트(성직자)인 것을 의식한건지 이 버전의 이름은 성직이 박탈된 성직자다.5.2. 프리스트 기반 캥거루 APC
영국과 영연방 국가들이 쓰기 위해 캐나다에서 개발된 프리스트 기반의 APC. 105mm 주포를 떼고 나중에는 M2 브라우닝 중기관총까지 뗀 다음 더 가벼운 기관총을 장착하고 그 대신 강철을 덧대어 장갑을 강화했다. 승무원 2명과 보병 20명이 한번에 탈 수 있었다. 참고로 캥거루라는 이름은 당시 캐나다에서 개수된 모든 APC들에게 붙는 이름이었다.5.3. 25파운더 T51 HMC
1942년에 제작된 25파운더 곡사포 장착 버전.6. 실전
6.1. 제2차 세계 대전
6.1.1. 북아프리카 전역
6.1.1.1. 엘 알라메인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에 최초로 투입되었고 낮은 가격과 105mm 포의 신뢰성 덕분에 그 후에도 많이 쓰였다. 특히 보병과 전차병들에게는 항공 지원보다 더 가까이 있던 좋은 친구였다.6.1.1.2. 횃불 작전
6.1.1.3. 튀니지 전투
|
튀니지 전투 당시의 영국 육군 11th (HAC) Regiment Royal Horse Artillery 소속 프리스트 |
6.1.2. 서부전선
6.1.2.1. 오버로드 작전
|
카랑탕 Rue Holgate 시내를 질주하는 미 육군 제2기갑사단 산하 14th Armored Field Artillery Battalion소속 M7B1, 1944년 6월 18일 |
6.1.3. 태평양 전쟁
미군과 영국군이 투입했다.1944년 초부터 남서태평양 전역에서 미국 제6군이 뉴기니 전투에서 운용하였다. 그리고 제8군과 제6군이 함께 필리핀 전역에서 사용했다.
6.1.3.1. 버마 전역
|
버마 전역 당시의 영국 육군 소속 프리스트, 1945년 2월 28일 |
버마 전역에서, 특히 메이크틸라 전투와 랑군 진격(1945)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6.2. 냉전
6.2.1. 6.25 전쟁
|
6.25 전쟁 당시의 미 육군 소속 M7B1 "헬 바운드" |
높은 산과 언덕이 많은 한반도의 지형 때문에 프리스트의 기본 앙각으로는 산을 넘어야 하는 고각 간접 사격이 어렵다는게 발견되어 주포의 최대 올림각을 65도까지 늘리는 M7B2 개량이 등장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미군이 운용한 프리스트들은 대부분 이탈리아나 서독같은 NATO 회원국들에 수출되었다.
6.2.2. 중동전쟁
이스라엘군 소속으로 투입되었다.6.2.2.1. 6일 전쟁
6.2.2.2. 소모전
6.2.2.3. 욤키푸르 전쟁
7. 운용국
7.1. 아메리카
7.1.1. 북아메리카
7.1.1.1. 미국
|
미 육군 병기 박물관 소장 M7B1 |
7.1.1.2. 캐나다
2차 대전 당시 사용했다.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캐나다 제3사단이 투입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서 25파운더 견인포로 대체되었다.7.2. 유럽
7.2.1. 서유럽
7.2.1.1. 영국
미국에서 공여받은 물량을 왕립 포병대가 비숍 자주포와 같이 운용했다.북아프리카 전역에 영국 제8군 소속으로 M7 90대가 투입되었다. 탄약 규격이 영국군의 기존 야포들과 달라서 보급 관련 문제점이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아프리카에서 전투가 종료될때까지 잘 사용했다.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제3사단과 제50보병사단 포병 연대 소속으로 서부 전선에 투입했다.
자주포에 종교 관련된 네이밍을 쓰던 영국군이 프리스트라는 이름을 붙였다.
7.2.2. 남유럽
7.2.2.1. 이탈리아
|
로마 기계화 박물관 소장 M7B1 |
7.2.3. 중부유럽
7.2.3.1. 독일
|
바이에른 + 기술 박물관 소장 독일 연방군 소속 M7B2 |
7.2.3.2. 오스트리아
|
빈 군사사 박물관 소장 오스트리아 연방군 소속 M7B2 |
7.2.3.3. 스위스
|
툰 전차 박물관 소장 M7[3] |
7.3. 아시아
7.3.1. 동아시아
7.3.1.1. 중화민국
|
후커우 기갑 학교 소장 M7B1 |
7.3.2. 남아시아
7.3.2.1. 인도 제국
|
인도 제국 육군 제255인도전차여단 소속 프리스트 |
7.3.3. 서아시아
7.3.3.1. 이스라엘
이스라엘군은 프리스트를 1960~70년대까지 운용하여 6일 전쟁, 소모전, 욤키푸르 전쟁에 투입했다.8. 미디어
|
M7 프리스트가 등장한 미디어 일람 |
8.1. 게임
8.1.1.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8.1.1.1.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영국군 진영에 전시대여 차량으로 등장한다. 로열 캐나디언 아틸러리 서포트 테크트리에서 왼쪽의 리인포스먼트 라인 최종 테크에서 불러올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이 곳에서.8.1.1.2.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미군 기본 지휘관인 보병중대 콜인 유닛으로 등장한다. 현재 여기저기 나사가 빠진 미군이 팀전에서 꺼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카드 취급을 받을 정도로 성능이 좋은 편이다.8.1.2. 월드 오브 탱크
|
M7 프리스트 |
기존엔 4티어였으나 3티어로 내려왔고, 전 티어인 T57 자주포와 함께 떡장 자주포다. M3 리/M4 셔먼 특유의 101.6mm 방호력을 가지는 변속기 장갑 덕분에 티타임 잡고 내밀면 진짜 포를 튕기긴 튕기고, 멀리고 신부를 향해 포를 쐈는데 하단부에 들어가면 역시 도탄을 낼 수 있다.
연사가 빠르지만 스플래시가 쥐똥만한 105mm라서, 정말 드럽게 잘 안맞는 날엔 궤도만 줄창 끊어먹는다.
8.1.3. 워게임: 레드 드래곤
레드포 유고슬라비아군의 저가형 자주포로 나온다.8.1.4. 스틸 디비전 시리즈
워게임 시리즈 개발사의 2차대전 배경 게임인 스틸 디비전 시리즈에선 2차대전기인 만큼 대량으로 등장한다. 미군, 자유 프랑스군, 남아공군, 캐나다군, 자유 폴란드군 사단에서 등장한다.155mm 중포들에 비해 장거리 대포병 능력은 떨어지지만 저렴하면서 포격후 이동 컨트롤이 편하고 가성비 좋은 포병이다.
8.1.5. 강철의 왈츠
M7B2가 3성 자주포로 등장했다. 이름은 이노 잠페리니로 별칭은 수녀님.8.1.6. 메탈슬러그 시리즈
모덴군의 2호 전차 B형 멜티 허니가 이 전차를 모티브로 했다.8.2. 만화
8.2.1. 기동전사 건담 THE ORIGIN
모의전투에서 비슷한 박격포를 달아놓은 지온군 사양 모델이 나온다.8.2.2. 월드 오브 탱크 역사웹툰
미군이 등장하면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한국전, 2차대전 가리지 않고)9. 모형
9.1. 프라모델
아카데미 과학에서 나온 프리스트 모형이 있다.http://mmzone.co.kr/album/showcase.php?dbname=gallerymain&id=29840
1/35 모델로 M3 LEE의 차대 부품 일부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일부 구조물을 아트나이프 등으로 날려야(!) 하는 물건. 출시된 지 꽤 지난 제품이니 어쩔 수 없다.
10.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의 기갑차량 |
||||
장갑차 | <colbgcolor=#fefefe,#393b42>모리스-커머셜 LRC, 다임러 장갑차, 험버 Mk. IV 장갑차, 폭스 장갑차 | ||||
정찰차량, 기타 차량 | 링스 정찰장갑차, 모리스-커머셜 LRC, M3 스카웃 카, M6 스태그하운드, 험버 Mk. I 정찰차, 오터 LRC 경정찰차량, 쉐보레 CMP FAT 전장전개형 포병 트랙터, C15TA 장갑 트럭, 브렌건 캐리어 | ||||
전차 | 경전차 | M2A4, M3 스튜어트, 경전차 Mk.VI, M24 채피 | |||
중(中)형전차 | M3 리/그랜트, 셔먼 I, 셔먼 III, 셔먼 IV, 셔먼 V, 셔먼 VC | ||||
중전차 | Mk.VI | ||||
순항전차 | 센토어 IV, 그리즐리 I, 램 Mk.I, 램 Mk.II | ||||
보병전차 | 처칠 Mk.I, 처칠 Oke, 마틸다 II, 밸런타인 Mk.VII, Mk.VIIA | ||||
화염방사전차 | Ram Badger flame tank | ||||
자주포 | 비숍, 섹스턴, M7 프리스트 | ||||
대전차 자주포 | M10 GMC, M10 아킬레스, 아처 | ||||
자주대공포 | Crusader III, AA Mk.I, Mk.II/III, 스킹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냉전기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유고슬라비아 국군 (1945~1951)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1951~1992) Jugoslovenska Narodna Armija / Jугословенска Народна Армиjа |
||||
기타전차 | 경전차 | M3A1 스튜어트, M3A3 스튜어트, PT-76B | |||
중형전차 | 3호 전차C, 4호 전차C, T-34-85M, T-34BM, Vozilo-AX, M4A3E4 | ||||
MBT | 1세대 | T-54A, T-55(A/AI), M47 패튼 | |||
3세대 | T-72M, M-84(A/AB/ABN), M-90/91 | ||||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 M-100, BTR-152, BTR-60, BRDM-2, OT TAB-71, BOV | |||
궤도장갑차 | Sd.Kfz. 251, OT M-5, MT-LB, OT M-60(P/PB), BTR-50, BVP M-80(A/A1) | ||||
차량 | 소형 | 피아트 1101 · 1107, 핀츠가우어 | |||
트럭 |
TAM-110 · 150 · 260 · 4500 · 5000, FAP 2026 · 2832, ZiL-131 · 157, MAZ-537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Kadilak, SO-105, 2S1, NORA B-52 | |||
대전차 자주포 | SO-75C, SO-75 M-3A3M, M-44, SO-76M, SO-76 Helkat, SO-90 "Dżecksons", M36B1, SO-122X | ||||
대공차량 | 자주대공포 | M15 CGMC, ZSU-57-2, M53/59, BOV-3, BOV-30X, SPAT 30/2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1 스트렐라-1,
M-90 Sava, RL-2 프락카M |
||||
다연장로켓 | M-63 플라멘, M-77 오간, M-87 오르칸 | ||||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 윗첨자X: 프로토타입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유고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현대 노르웨이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
||
<colbgcolor=#BA0C2F> 기타전차 |
<colbgcolor=#BA0C2F> '''[[경전차| 경전차 ]]'''
|
스트리스보인 M24R | 1호 전차G/R | |
중형전차 | 스트리스보인 KW-IIIG/R | ||
'''[[주력 전차| MBT ]]'''
|
'''[[1세대 전차| 1세대 ]]'''
|
M48(A1/A5) 패튼R | |
'''[[2세대 전차| 2세대 ]]'''
|
레오파르트 1(A1NO/A5NO · NO2)R | ||
'''[[3세대 전차| 3세대 ]]'''
|
레오파르트 2A4NO | ||
3.5세대 | { 레오파르트 2A8NO} | ||
'''[[장갑차| 장갑차 ]]'''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XA-180 · 185 MLU · 186NO | XA-203N | ATF 딩고 | 푹스 1A8 NBC | M8 LACR | |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 ACSV G5} | { K-10} | CV9030(N/NF1) | Bv 206S | M113(F1 ~ F4) | NM-209 | NM-199 | 로케트판세르예거 NM-142(F1) | NM-135R | M3 하프트랙R | ||
차량 |
''' 초소형 '''
|
이륜차 야마하 450 WRATV 봄바디어 링스 시리즈 |
폴라리스 MRZR-4 · 빅보스
|
|
소형 |
IMV
이베코 LMV | 수파캇 HMT |
겔란데바겐 |
랜드로버 울프민수용
토요타 랜드 크루저 |
닛산 테라노 II
|
||
트럭 |
군용
RMMV HX 시리즈 | 알비스 택티카 |
M35R | M621R상용
MAN TGS |
스카니아 P93 · P113 · P143
|
||
'''[[자주포| 자주포 ]]'''
|
''' 자주곡사포 '''
|
K-9 VIDAR | M109(G/A3GN · GNM) | 셀브레베트 105mm FH M7R | |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
{ CV90 멀티 BK} | NM-204 | NM-125R | ||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
NM-116 판세르예거R | 스토름카논 KW-IIIG/R | ||
다연장로켓 | M270 MLRSR | ||
대공 차량 |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
참고: 틀:현대전/노르웨이 유도무기 | |
무인 차량 |
'''[[UGV| UGV ]]'''
|
미션 마스터 XT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NM217 베르게판세르 2 | 위센트 2 ARV | NM-130 베르게판세르R | |
공병차량 | CV90RWS STING, 위센트 2 AEV | ||
교량차량 | AVLB 레구안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G: 나치 독일 항복 이후 독일군이 남기고 간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둘러보기 :
노르웨이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현대 벨기에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000> |
벨기에군 (1945~현재) Belgisch leger Armée belge |
||
기타전차 | <colbgcolor=#000000> 경전차 |
M3 스튜어트R,
M22 로커스트R,
M24 채피R,
M41 워커 불독R,
FV101 스콜피온R, |
||
중형전차 | 셔먼 파이어플라이R, M4A1E8R, M4A3 (105)R, M26 퍼싱R | |||
MBT | 1세대 | M46 패튼R, M47 패튼R | ||
2세대 | 레오파르트 1(A1/A5) BE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R, {
VBMR 그리폰}, {
EBRC 재규어},
판두르 I,
피라냐 IIIC, FN 4RMR,
M6 스태그하운드R,
M3A1 스카웃 카R, |
||
궤도장갑차 |
AMX-13 mod.56(VTT/PC/Cargo)R,
CVR(T)R, M113A1-BR, AIFV-B-(.50/C25)R, M75 APCR, M3 하프트랙R, |
|||
차량 | 소형 | { L-ATV}, ATF 딩고 2 MPPV, 장켈 폭스, 이베코 LMV, 폭스바겐 일티스, 랜드로버 디펜더R | ||
트럭 |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 ·
우니모크 1.9T · 1350L ,
이베코 M250 · ALC 8X4, 스카니아 T144, 그라운드 호그, M-게이터, 르노 케락스, 볼보 N10R, 마지루스-도이츠 주피터R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7 프리스트R, M41 HMCR, M108R, M109(A2/A4 BE)R, M55 SPHR, { CAESAR NG} | ||
자주박격포 | AMX-13 mod.56 MorR, M113A1-B MorR, { 그리폰 MEPAC}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게파트R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BPz 2R | ||
전투공병차량 | PiPz 2 닥스R | |||
기타 | 카노넨야크트판처R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둘러보기 :
벨기에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현대 파키스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파키스탄군(1947~현재) پاکستان مسلح افواج |
||||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전차 | M4A1E6, M4A4R, M4A4 (76)R, T-34-85CZ, 58식 전차 | ||||
MBT | <colbgcolor=#ffffff,#191919> 1세대 | M47 패튼, T-55, M48A5R, 59식 전차, 알-자라르 | |||
2세대 | 69-IIMP식 전차, 85-IIAP식 전차 | ||||
3세대 | T-80UD, 알-칼리드(I/II) | ||||
3.5세대 | VT-4, 하이더 | ||||
경전차 | M24 채피, 63식 전차, AMX-13C/R, M3A3 스튜어트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OT-64, BRDM-2, UR-416, 알-파트 IFV, WZ-551, 오토카르 코브라, 오토카 아크리프, 맥스프로, FV701 페렛R, BTR-70, BTR-80 | |||
궤도장갑차 | M113(A1~A3), 탈하 APC, 사아드 APC, 63식 장갑차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7 프리스트R, M109(A2/A5), M110A2, SH-15 | |||
대전차 자주포 | M36B2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ZSU-23-4 쉴카, M19 더스터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FM-90 | ||||
다연장로켓 | 알자르, KRL 122, BM-27, A-100E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파키스탄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이탈리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198019>
이탈리아군 (1946~현재) Forze Armate Italiane |
||||
기타전차 | L6/40R, 까로 레체로 M24R, 까로 레체로 M3A3R, 까로 레체로 M5R, 까로 레체로 M5A1R, 까로 메디오 M4A1R, 까로 메디오 M4A1 76/52R, M4 티포 IC 콤포지토R, 까로 메디오 M4A4R, 까로 메디오 셔먼 VCR, 까로 메디오 M4 하이브리드R, 까로 아르마토 M26A1R | ||||
MBT | <colbgcolor=#198019> 1세대 | M47 패튼R | |||
2세대 | M60A1R, 레오파르트 1(A2/A5)R, OF-40E | ||||
3세대 | C1 아리에테 | ||||
3.5세대 | { 아리에테 AMV}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8 그레이하운드R, 피아트 CM6614/6616R, VBR NBC, 아우토블린도 푸마, B1 첸타우로, VBM 프레치아, VTMM Orso MRAP, {VBA} | |||
궤도장갑차 | VCC80 다르도, AAV-7A1, M113 VCCI | ||||
차량 | 소형 | VM-90, AR-90, VTLM 린체 | |||
트럭 | 이베코 ACM 80/90 4X4 · ACL 90 4X4 · ACTL 6x6 · HD6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M7B1 HMCR,
섹스턴R,
M44R,
|
|||
자주박격포 | M106A1, VBM 프레치아 포르타 모르타이오 | ||||
대전차 자주포 | 세모벤테 da 76/50 M10R, 세모벤테 콘트로카리 M18 da 76/52R, 세모벤테 da 90/50 M36R, 세모벤테 da 90/50 M36B2R, 세모벤테 da 90/50 M36B1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M113 SIDAM-25*,
|
|||
다연장로켓 | M270 MLRS, { M142 HIMARS}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M74 TRVR, M32B1 TRVR, BPz 2 | |||
전투공병차량 | PiPz 2 닥스 | ||||
교량차량 | 밸런타인 가교전차R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 M113 위에 4연장 25mm 기관포탑을 단 자주대공포. {}: 예정 및 계획중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현대 오스트리아 연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오스트리아 연방군 (1955~현재) Österreichisches Bundesheer |
||
<colbgcolor=#FFF,#191919> 기타전차 | <colbgcolor=#FFF,#191919> 경전차 | AufklPz M-24R | AufklPz M-41R | |
중형전차 | mKPz T-34/85R | mKPz 채리어티어R | ||
구축전차 | JaPz 야구어 1R | JaPz AMX-13R | JaPz K (A2)R | ||
MBT | 1세대 | mKPz M-47(D)R | |
2세대 | mKPz M-60A1R | mKPz M-60A3(Ö)R | ||
3세대/3.5세대 | KPz 레오파르트 2A4 | { KPz 레오파르트 2A4 NV}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 MTPz 판두르 EVO} | MTPz 판두르 I | 딩고 2 (PatSi/MatE) | TM-170 | PzSpW M8R | |
궤도장갑차 | SPz 울란 | Bv 206 | BvS 10 Mk.IIB AUT | SPz 4K 4FA-(G1/G2)R | M3 하프트랙R | ||
차량 | 오토바이 | KTM 250 LS-E 밀리터리 | BMW K 75 RT | 가와사키 VERSYS KLE 650 | |
소형 | GMF 후사르 | 다임러-푸흐 G 4×4 | VW 투아렉 · 트랜스포터 T6 · 크래프터 | 핀츠가우어 | 미쓰비시 트라이톤 | 윌리스 M38R | ||
트럭 | 벤츠 유니목 U4000-ÖBH | 슈타이어 9S18 · 12M18 · 12S22 · 19S27 · 91 M | ÖAF SLKW · 19/281 · 26/604 | MAN TGM · Multi B | M35R | M39R | CCKWR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PzHB M109A5Ö | lPzH M7(B2)R | |
자주박격포 | { MTPz SGrW}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Flak/Z/Sfl M42R | { MTPz FlA}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핀츠가우어 미스트랄 | 4K 4FA LWT 미스트랄R | ||
공병차량 | 구난차량 | BgePz M88A1 | 슈타이어 19S275 구난트럭 | MAN HX2 바이슨 구난차량 | BgePz M578R | |
AEV | BgePz 4KH7FA-SB | MV-4 CEV | 하이드레마 910 MCV-2AMCS | ||
기타 |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둘러보기 :
오스트리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현대 아르헨티나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373a3c><colbgcolor=#75aadb> 아르헨티나군 Fuerzas Armadas argentinas |
|||
기타전차 | 빅커스 카든-로이드 M1934R, DL43 나우엘R, M4 셔먼R, 셔먼 IC 하이브리드R, 셔먼 VR, 셔먼 VCR, 셔먼 레포텐시아도R | |||
경전차 | AMX-13, SK 105(A1R/A2), 파타곤, TAM (VC/C2) | |||
장갑차 | <colcolor=#373a3c><colbgcolor=#75aadb> 차륜장갑차 | WZ-551, ZBL-08, AML-90, RG-12, LARC-V, UR-416 | ||
궤도장갑차 | M5 하프트랙R, M9 하프트랙R, AMX-VCI, M113, VCTP, M548A1, M577A1 | |||
차량 | 오토바이 | 야마하 TT, 이스즈 DRR, 혼다 XR · 600RR | ||
소형 |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 ·
스프린터,
피아트 두카토,
험비, 핀츠가우어, 포드 레인저 · F-시리즈, 폭스바겐 아마록, CUCV, M151, VLEGA Gaucho, 아그라엘 마루아, MRZR-D |
|||
트럭 |
포드 카고,
이베코 스트라리스 ·
트래커 · 카발리노 ·
유로카고, 피아트 697/619, 폭스바겐 컨스텔레이션, M35, M54, M939, 벤츠 우니모크 · 1041A, 인터네셔널 페이스타, 기아 베스타, FMTV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AMX Mk F3, VCA 155* | ||
다연장로켓 | SLAM Pampero, CITEDEF CP-30, VCLC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
※둘러보기 :
아르헨티나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처음부터 대전차 자주포로 만들어진 물건이였다. 하지만 막상 써보니 화력 지원에 더 적합하였다
[2]
사실 M4 셔먼부터가 M3 리의 차대를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3]
일련번호 1427. 1942년 11월
ALCO에서 생산된 차량이다.
[4]
물론 자주포의 한계로 인해 4탑의 학살자 똥포 헤처보단 덜 무섭다... M7은 운 좋으면 방사피해로 데미지 대부분을 씹을 수 있지만 헤처의 105밀 똥포는 관통하는 순간 3티어는 한방에 차고로 보내버린다. 3티어에 있는 중전이라곤 그로서트랙터나 b1 같은 놈들뿐인데 그로서는 유명한 물장이고, b1은 헤처에게 뺑뺑이 당하는 순간 죽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