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efefe,#c0392b>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군의 기갑차량 |
||
전간기 차량 | 피우수트스키 장갑차, 포드 Tf-c, 오스틴-푸틸로프O, 제프리-포플라프코O, 가포드-푸틸로프O, 에르하르트 E-V/4O, 피어리스O, 피아트-이조르스키O, 푸조O, 카든 로이드 Mk.VIO, 르노 FTO, 르노 M26/27O, 르노 NC-27O, 피아트 3000O | ||
전차 | <colbgcolor=#fefefe,#c0392b> 탱켓 | TK-3, TKF, TKS | |
경전차 | 7TP, 빅커스 Mk. EO, 르노 FTO, 르노 R35O, 호치키스 H35O | ||
프로토타입 | TK-1, TK-2, TKW, TKS-B, PZInż.160, 4TP, 10TP, PZInż.130 | ||
장갑차 | 경장갑차 | 푸조 장갑차O, Wz.28, Wz.34 | |
중장갑차 | Wz.29 우르수스 | ||
대전차 자주포 | TKS-D | ||
자주포 | TKD | ||
군용차량 | 모터사이클 | MOJ 130, 소쿠우 200, 소쿠우 600, 소쿠우 1000, 포드코바 98 | |
차량 | CWS T1, PF-508 와지크, PF-518 마주르, PF-508/518, 라플리 V15RO, 르노 AGKO, PF-618 그롬, Wz.34 하프트랙, 라틸 FB6O | ||
군용트럭 | PF-621L, PF-621R, 우르수스 A, 프라가 RVO, 베를리에 CBAO, 쉐보레 157 | ||
견인차 | PZInż.302, C2P, C4P, C7P, 시트로엥-케그레스 B2 10CVO, 시트로엥-케그레스 C6 P14/17/19O | ||
자유 폴란드군 장비 | 르노 FT, 르노 R35, 르노 R40, A13 Mk.III, 마틸다 I, 크롬웰, 크루세이더, 처칠, M3A3 스튜어트, 셔먼 I, 셔먼 IIA, 셔먼 IB, 셔먼 III, 셔먼 V, 셔먼 VC, 셔먼 IC, Mk.I 아처, 유니버설 캐리어, M3 하프트랙, 험버 장갑차, M6 스태그하운드, 모리스-커머셜 LRC, AEC 도체스터 ACV, M10 GMC, 3호 전차G형O, 4호 전차O | ||
폴란드 인민군 장비 | T-34-76O / T-34-85O, T-70O, IS-2O, BA-20O, 윌리스 MBO, BA-64O, M4A2 (76)O, BA-64, SU-57O, SU-76MO, SU-85O, ISU-122O, ISU-152O, 유니버설 캐리어O, M17 MGMCO | ||
폴란드 국내군 장비 | 쿠부시, Sd.Kfz. 251 D형O, BA-20MO, BA-202(r)O, M14/41O, 헤처O, 4호 전차H형O, 5호 전차 판터O, 6호 전차 티거O | ||
※ 윗첨자O: 타국에서 구매, 공여 및 노획 | |||
※둘러보기 :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TKS |
[clearfix]
1. 개요
TKS 레플리카 기동 영상 |
TKS 기동 영상 |
2. 개발사
좌측부터 TK-2, TK-1, 그리고 이들의 원형이 된 카든-로이드 Mk.VI |
문제는 2차 대전 직전의 1930년대인데, 루마니아 왕국보다는 나은 수준이었지만 이미 1920년대에 르노 FT-17 전차의 후속전차 개발에 실패했던 폴란드는 국산 전차의 개발 양산을 수행할 공업력이 없었기 때문에 전차 수입과 국내 라이센스 생산을 위해 피나는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실들이 TKS와 7TP 경전차이다.
3. TK-3
TK-3 |
||||
중량 | 2.43t | |||
전장 | 2.58m | |||
전폭 | 1.78m | |||
전고 | 1.32m | |||
승무원 | 2명 | |||
엔진 | 포드 모델A 4기통 40마력 | |||
노상최고속도 | 46km/h | |||
차내연료/행동반경 | 60ℓ/200km | |||
무장 | 7.92mm Wz.25 1정 | |||
장갑두께 | 4~8mm |
폴란드가 카든-로이드 Mk.VI를 수입한 것은 1929년으로 이 차량에 만족한 폴란드는 바로 국영 PZInż.설계부에서 이 차량의 독자 국산화를 수행해 미국제 엔진을 장착한 TK-1 전차와 개량형 TK-2 전차를 제작했다. 일단 폴란드에서 국산전차를 양산할 수 있다는 사실에 만족한 폴란드 정부는 장갑을 강화한 TK-3 전차를 1931년에 300량 발주해 양산한다. TK-3는 이렇게 해서 폴란드가 최초로 자력으로 양산한 전차가 된다.
1931년에 제식화된 4륜 수송용 트레일러에 적재된 TK-3 경정찰전차 |
4. TKS
TKS |
||||
중량 |
2.57t (후기형 2.65t, 20mm FK-A 기관포 탑재형 2.8t) |
|||
전장 | 2.58m | |||
전폭 | 1.78m | |||
전고 | 1.32m | |||
승무원 | 2명 | |||
엔진 |
폴스키 피아트 122AC 6기통 42마력 폴스키 피아트 122B 42마력(후기형) |
|||
노상최고속도 | 40km/h | |||
차내연료/행동반경 | 70ℓ/180km | |||
무장 |
7.92mm
Wz.25 1정 (20mm 기관포 탑재형은 20mm FK-A 기관포(wz.38) 1문) |
|||
장갑두께 | 3~10mm |
일단 TK-3 전차의 장갑을 강화하는 한편 경사장갑을 도입하는 등 생존성 향상을 꾀하고 개량된 현가장치를 가지며, 7.92mm 기관총을 볼마운트 방식으로 탑재하는 등의 개량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이 차량부터 이탈리아 피아트 사의 라이센스 엔진인 폴스키 피아트가 장착된다. 완성형 TKS 양산 이전에 임시로 TK-3의 엔진을 폴스키 피아트로 교체하고 서스펜션을 TKS 형태로 개량한 모델도 일부 존재하는데 이는 TKF라는 이름으로 따로 분류되었다.
TKW |
C2P |
하지만 이 시기 독일은 3호 전차와 4호 전차의 개발 및 양산을 진행 중이었고, 독일에 합병된 옆나라인 체코슬로바키아도 37mm 주포를 장착한 35(t) 전차와 38(t) 전차들을 개발 완료후 양산상태였기 때문에 적국인 독일의 전력은 비약적으로 급증하고 있던 상태였다. 이런 독일에게 TKS로는 상대가 안된다는 것을 폴란드는 이미 알고 있었지만 다른 방법들이 모두 차단된 상태라서 무장이라도 개량하려고 했다.
참고로 폴란드의 열악한 상황을 살펴보면, 이미 미국 윌 트랙 레이어 사(US Wheel Track Layer Corporation)라고 하는 크리스티가 경영하는 회사에 1931년에 2량의 전차를 발주했지만 같이 주문했던 미국이 추가발주형식으로 낚아채버려 폴란드에는 전차가 제공되지 않았다.
1937년에는 프랑스와 협상을 벌여 소뮤아 S35 전차 2개 대대분 100량을 발주하려고 했지만 프랑스 정부가 제동을 걸어 결국 르노 R35 100량으로 계약이 변경됐고 그나마 독일의 침공 이전에 도입된 것은 1개 대대분이었던 53량(정확히는 R35 50대와 테스트용으로 같이 구입한 H39 3대)에 불과했다. 그리고 이 전차들은 전쟁 발발 후 후방에 있다가 9월 17일 소련군 침공 이후 대부분 루마니아 방면으로 퇴각해서 실제로 전쟁에 끼친 영향은 제로였다.
결국 미국에서 크리스티 전차를 도입하는 것이 좌절되자 대안으로 수입한 것이 비커스 Mk. E로 6톤 경전차인 이 전차를 토대로 국산화한 것이 7TP 전차다.
이런 유형무형의 장애에도 불구하고 1938년에 여러 경로를 통해 입수한 크리스티 방식의 현가장치를 장착해 장륜, 장궤병용 주행이 가능했던 10TP 전차나 장갑강화형 14TP 전차가 1939년에 개발된 것을 생각해볼 때 1931년에 크리스티 전차가 폴란드에 제공되었다면 폴란드가 7TP 대신 13톤에 가까운 10TP나 14톤급의 14TP 전차를 더 일찍 양산해 전력화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어쨌든 앞서 언급했듯이 모든 방법이 막혀버리자 1936년부터 폴란드 육군의 기둥이자 숫자상 주력인 TK 계열 전차들의 획기적인 공격력 향상을 위해 스위스제와 덴마크제 20mm 기관포를 탑재하는 안이 고려되었지만 외국제 병기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결국 독자 개발로 선회해 계획이 추진되었고 1938년에 폴란드 국산 20mm FK-A 기관포의 개발에 성공하는 쾌거를 이룩해 다음해인 1939년 5월부터 TK-3와 TKS에 대한 개수가 실시되었다. 이중 우선적으로 신형 기관포가 장착된 것은 TKS 모델이며, TK-3의 경우 1938년 말엽 1대의 차량에 시험적으로 기관포를 장착해 테스트를 거쳐 재무장이 결정된 뒤 1939년 9월에 16량이 무장을 교체하기로 계획되었으나 전쟁 발발로 무산되었다. 개수시기가 너무 늦어서 개전 직전까지 20mm 기관포를 장비한 TKS는 아무리 많이 잡아도 24대였다고 한다.
폴란드는 국내에서 양산 가능한 이 경정찰전차들의 후속차량들도 개발하고 있었지만 독일의 침공으로 물건너가게 된다.
5. 실전
5.1. 전간기
1937년에 전차부대로 편성된 2개 기병연대를 근간으로 하는 제10기병여단이 편제됐고 1939년 개전 시점에서 폴란드 전차부대는 제10기병여단과 독립 8개 대대에 편성되었지만 문제는 1040여량의 전차 중 693량이 TK계열 경정찰전차였다는 것이다.5.2. 제2차 세계 대전
5.2.1. 폴란드 침공
일단 폴란드 침공이 발발하자 발등에 불이 떨어진 폴란드는 7TP건 TK 계열이건 만들어진 전차 뿐 아니라 트럭이건 뭐건 굴러가는 것은 모두 일선부대에서 운용했다. 하지만 기갑부대의 주축이었던 TK-3와 TKS는 실전에 참가하기에는 너무나도 빈약한 방어력을 가진 것이 엄청난 문제점으로 드러났다.당장 최저수치가 3mm, 최고수치가 10mm인 장갑으로는 아무리 경사장갑을 도입해도 근거리에서 독일 보병의 소총인 Kar98k의 소총용 철갑탄에도 장갑이 관통될 지경이었고, 당연하게도 전차가 소총만 든 알보병에게 학살당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물론 공격력도 빈약해서 기관총 1정으로 상대 가능한 독일의 전차는 1호 전차 정도뿐이었지만, 그나마도 1호 전차는 기관총 2정을 360도 선회가 가능한 포탑에 장비하고 있으므로 화력에서 2배의 우위를 누리면서 선제공격이 가능했다. 물론 2호 전차부터는 원거리에서 쉽게 TKS를 벌집으로 만들어 줄 수 있었다. 따라서 수많은 TK-3와 TKS는 일방적으로 학살당하는 처지에 놓일 수 밖에 없었다.
물론 예외는 있었다. 앞서 언급했던 최대 수량 24대의 20mm 기관포 장비형 TKS의 경우 적은 숫자에도 불구하고 밥값 이상을 하는 실적을 올렸는데, 에드문드 로만 오를릭(Edmund Roman Orlik, 1918.01.26~1982.04.08)[6]이라는 부사관이 조종하는 20mm 포 장착 TKS 탱켓이 35(t) 전차 3대와 4호 전차 1대를 격파한 기록이 남아있다.
하지만 예외로 전황을 뒤집을 수는 없는 법. 폴란드는 전쟁에 패배했으며 독일군에 노획된 폴란드군의 장비는 7TP 전차를 제외하고 모두 2선급 장비로 분류되었는데, TK-3와 TKS도 역시 2선급 장비로 분류된 후 무장을 해제하고 탄약운반차, 견인차, 수송차량 및 훈련용 차량으로 사용되거나 독일제 MG15 또는 MG34로 무장을 교체하여 후방 경비용으로 쓰이다가 하나둘씩 사라졌고, 심지어는 트랙터로 민간에 지급된 차량도 있었다. 또한 육군 이외에 독일 공군도 일부를 비행장 경비용이나 제설작업용으로 활용했다.
독일 국방군 외에 소련군도 폴란드 침공 당시 TKS 차량들을 소규모 노획했으며, 나중에 발트 3국을 강제 합병할 때 에스토니아에 수출되어 운용되고 있던 TKS들도 손에 넣어 주로 기계화부대의 훈련용 차량으로 운용했다. 이들 중 일부는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 때 침략해온 독일 국방군에 맞서 실전 투입되기도 하였다.
6. 운용국
6.1. 유럽
6.1.1. 폴란드 제2공화국
바르샤바 폴란드 군사 박물관 소장 TKS |
이외에 폴란드 포즈난의 브로니 기병기갑병기 박물관에서도 기동 불가능한 1대가 보존되어있다.
6.1.2. 에스토니아
소량의 차량을 폴란드에서 수입하여 운용하였으나, 소련의 강제 합병 당시 압수당했다.6.1.3. 나치 독일
폴란드 침공 당시 노획한 차량을 경비용 및 민간용으로 사용하였다.6.1.4. 소련
폴란드 침공 당시 노획한 차량을 운용하였으며, 러시아의 애국 공원에 기동 불가능한 단차 하나가 보존되어있다.6.1.5. 크로아티아 독립국
나치 독일이 노획한 차량을 공여받아 운용하였다.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 있는 군사 박물관에 보존된 TKS 및 TKF 1대가 크로아티아 독립군 측에서 운용한 차량이다.6.1.6. 헝가리 왕국
폴란드 침공 후 자국으로 넘어온 TKS 차량들을 자국군에 편입해 훈련 및 보조임무 용도로 사용했다.7. 미디어
7.1. 게임
7.1.1. 월드 오브 탱크
TKS |
그리고 20mm 기관포를 장착한 TKS가 폴란드 2티어 프리미엄 전차로 나온다고 한다. 소식
7.2. 만화
7.2.1. 걸즈 앤 판처
걸즈 앤 판처의 TKS |
8. 모형
8.1. 프라모델
8.1.1. IBG 모델
TKS |
8.1.2. 미라주 하비
TKS |
9. 둘러보기
노획차량 및 개조품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Pz.Kpfw. 35(t) | 아틸러리 슐레퍼 35(t) | Pz.Kpfw. 38(t) | 판처예거 스코다 SIDt32(t) |
Pz.Kpfw. 32 (j) | 르노 FT |
M35 미틀레레 판처바겐 | Sd.Kfz. 254 | ADMK Mulus |
le.Pz.Kpfw. TK(p) | le.Pz.Kpfw. TKS(p) | Pz.Kpfw. 7TP 731(p) | 아틸러리 슐레퍼 C7P(p) | 아틸러리 슐레퍼 C2P(p) | 르노 FT |
Pz.Sp.Wg. L202(d) | Pz.Sp.Wg. Pansarbil m/39(d) |
아틸러리 슐레퍼 VA 601 (b) | Pz.Sp.Wg. VCL 701(b) | Pz.Kpfw. AMC 738(b) | 판처예거 Sfl. CL 801(b) | 판처예거 VA 802(b) | 르노 FT |
Pz.Sp.Wg. DAF 201(h) | Pz.Sp.Wg.L202(h) | Pz.kpfw. FT 731(h) |
38M 톨디I(u), 42M 톨디II(u), 40/43M 즈리니 II (u), 40M 님로드 (u), 40M 투란I (u), 40M 투란II(u), 39M 차바 (u) |
프로토타입 | T-25, 경 트랙터, 대형 트랙터, Pz.Kpfw. Nb.Fz, 호이슈레케 10, D.W.1/2, 5/4호 전차, VK 시리즈, 기갑 자주포, VK 30.01 / 02, VK 36.01, VK 45.01(P), VK 45.02(P), VK 65.01,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게쉬츠바겐 티거, 로이머 S, Kätzchen 병력수송장갑차, 8,8cm 바펜트레거 | |
페이퍼 플랜 |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 / 10호 전차, E 시리즈, 1인용 경전차 시안 "마우스", 슈투름판처 Bär, 슈투름판터,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마레샬 구축전차 | |
차량 | 독일 국방군/차량, 퀴벨바겐, 슈빔바겐, 슈타이어 1500A, Büssing-NAG T500, Büssing-NAG G31, Büssing-NAG L4500, 오펠 블리츠, 포드 B3000S, V3000S, V3000A, 보르크바르트 B3000, 메르세데스-벤츠 G5, 메르세데스-벤츠 L1500, 메르세데스-벤츠 L3000, 메르세데스-벤츠 LG3000, 메르세데스-벤츠 L4500, 메르세데스-벤츠 L6500, 크루프 프로체, 타트라 T111 | |
모터사이클 | DB / DBK, KS 750, 케텐크라프트라트, R-75 | |
그 외 | 동부용 궤도형 트랙터, 동부용 차륜형 트랙터, 수륙양용 트랙터, 골리아트 지뢰, 보르크바르트 4호, 스프링거 무인자폭차량, VsKfz 617, 쿠겔판처 | |
기타 | 독일 기갑 병기의 역사와 루머 | |
※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전차 및 차량(Beutepanzer)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
※둘러보기 :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헝가리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헝가리 왕국군의 기갑차량 |
||||
전차 | 경전차 | <colbgcolor=#fefefe,#191919> 35M 안살도, 37M 안살도, TKS, C2P, 르노 UE, 1호 전차, 38M 톨디, 42M 톨디 II, 42M 톨디 IIA, 43M 톨디 III, T-38, 호치키스 H35, 호치키스 H39, V-3, V-4 | |||
중형전차 | 40M 투란, 3호 전차,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 소뮤아 S35 | ||||
중전차 | 44M 타스, 6호 전차 티거 | ||||
노획전차 | T-27, T-34-76, T-34-85, T-28, T-70, T-26S, BT-7, BA-6, T-20 콤소몰레츠, M3 스튜어트, M3 리 | ||||
장갑차 | 39/40M 처버, AB41 | ||||
자주포 | AHD, 마르더 II, 톨디 판셀바다즈 | ||||
돌격포 | 43M 즈리니 II, 44M 즈리니 I, 3호 돌격포 | ||||
구축전차 | 헤처 | ||||
차량 | 38M 보톤드, 오펠 블리츠, Kfz 70, 37M | ||||
자주대공포 | 40M 님로드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헝가리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크로아티아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5b2c6f>
제2차 세계 대전 크로아티아군의 기갑장비 |
||||
전차 | <colbgcolor=#5b2c6f> 탱켓 | TK-3, L3/33, L3/35 | |||
경전차 | 르노 FT, 르노 R35, 호치키스 H39, L6/40, 1호 전차 B형 | ||||
중형전차 | M14/41, 3호 전차 N형, 4호 전차 F1형, 4호 전차 G형, 4호 전차 H형, 38(t) 포탑 장착 M15/42 | ||||
노획 전차 | T-34 1941년형 | ||||
자주포 | 세모벤테 47/40 | ||||
돌격포 | 3호 돌격포 G형 | ||||
장갑차 | AB 41, AB 41 'Ferroviaria', Partizanska Oklopna Vozila, 1호 전차 포탑 장착 로렌 37L, Sd.Kfz. 251, Sd.Kfz. 221 | ||||
기타 차량 | 오펠 블리츠 A, 퀴벨바겐, 쉬빔바겐, BMW R-75, C2P, 윌리스 MB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크로아티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에스토니아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전간기 및
제2차 세계 대전 에스토니아군의 기갑차량 |
||||
<colbgcolor=#fefefe> 전차 | <colbgcolor=#fefefe> 탱켓 | TKS | |||
경전차 | 르노 FT | ||||
중형전차 | Pz.Kpfw. T-34/76 Ausf. C 747(r) | ||||
중전차 | Mk.V composite | ||||
장갑차 | 란츠베르크 L-180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발트3국의 운용무기체계 | 대전기 기갑장비 |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후에 등장하는
브렌건 캐리어의 조상
[2]
탱켓(
폴란드어 tankietka)의 약칭.
[3]
시제차량 1대 제작. 1935년 2월에 마지막 테스트를 거치고 이후 해체되었다. 이 모델에서 사용된 선회포탑은 나중에
PZInż.130
수륙양용전차의 프로토타입 제작에 활용되었다.
[4]
시운전 결과는 만족스러웠으나 양산은 비용 문제로 기각. 만들어진 차량은 TKS-D로 개조되었다
[5]
체코어로 테신, 독일어로 테셴
[6]
이 사람은 전후까지 살아남았다가 교통사고로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