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획차량 및 개조품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Pz.Kpfw. 35(t) | 아틸러리 슐레퍼 35(t) | Pz.Kpfw. 38(t) | 판처예거 스코다 SIDt32(t) |
Pz.Kpfw. 32 (j) | 르노 FT |
M35 미틀레레 판처바겐 | Sd.Kfz. 254 | ADMK Mulus |
le.Pz.Kpfw. TK(p) | le.Pz.Kpfw. TKS(p) | Pz.Kpfw. 7TP 731(p) | 아틸러리 슐레퍼 C7P(p) | 아틸러리 슐레퍼 C2P(p) | 르노 FT |
Pz.Sp.Wg. L202(d) | Pz.Sp.Wg. Pansarbil m/39(d) |
아틸러리 슐레퍼 VA 601 (b) | Pz.Sp.Wg. VCL 701(b) | Pz.Kpfw. AMC 738(b) | 판처예거 Sfl. CL 801(b) | 판처예거 VA 802(b) | 르노 FT |
Pz.Sp.Wg. DAF 201(h) | Pz.Sp.Wg.L202(h) | Pz.kpfw. FT 731(h) |
38M 톨디I(u), 42M 톨디II(u), 40/43M 즈리니 II (u), 40M 님로드 (u), 40M 투란I (u), 40M 투란II(u), 39M 차바 (u) |
프로토타입 | T-25, 경 트랙터, 대형 트랙터, Pz.Kpfw. Nb.Fz, 호이슈레케 10, D.W.1/2, 5/4호 전차, VK 시리즈, 기갑 자주포, VK 30.01 / 02, VK 36.01, VK 45.01(P), VK 45.02(P), VK 65.01,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게쉬츠바겐 티거, 로이머 S, Kätzchen 병력수송장갑차, 8,8cm 바펜트레거 | |
페이퍼 플랜 |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 / 10호 전차, E 시리즈, 1인용 경전차 시안 "마우스", 슈투름판처 Bär, 슈투름판터,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마레샬 구축전차 | |
차량 | 독일 국방군/차량, 퀴벨바겐, 슈빔바겐, 슈타이어 1500A, Büssing-NAG T500, Büssing-NAG G31, Büssing-NAG L4500, 오펠 블리츠, 포드 B3000S, V3000S, V3000A, 보르크바르트 B3000, 메르세데스-벤츠 G5, 메르세데스-벤츠 L1500, 메르세데스-벤츠 L3000, 메르세데스-벤츠 LG3000, 메르세데스-벤츠 L4500, 메르세데스-벤츠 L6500, 크루프 프로체, 타트라 T111 | |
모터사이클 | DB / DBK, KS 750, 케텐크라프트라트, R-75 | |
그 외 | 동부용 궤도형 트랙터, 동부용 차륜형 트랙터, 수륙양용 트랙터, 골리아트 지뢰, 보르크바르트 4호, 스프링거 무인자폭차량, VsKfz 617, 쿠겔판처 | |
기타 | 독일 기갑 병기의 역사와 루머 | |
※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전차 및 차량(Beutepanzer)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
※둘러보기 :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1. 개요
Panzer-Selbstfahrlafette전쟁 초기 독일군은 자주포나 대전차 구축전차 등을 통칭하여 모두 '기갑자주포'라고 불렀다. 예를 들어 마르더 시리즈도 '기갑자주포'였고 [1] 정찰전차 1호 기갑자주포 C형도 '기갑자주포'였다.
2. 종류
2.1. Pz.Sfl.I(1호 기갑 자주포)
|
Pz.Sfl.I |
2.1.1. Pz.Sfl.Ia(1호 기갑 자주포 a형)
|
Pz.Sfl.Ia |
어뮤징하비가 독일의 Das werk의 외주를 받아 모형화 했다.
2.1.2. Pz.Sfl.Ib(1호 기갑 자주포 b형)
2호 자주포로 추정된다.2.1.3. Pz.Sfl.Ic(1호 기갑 자주포 c형)
|
Pz.Sfl.Ic |
2.2. Pz.Sfl.II(2호 기갑 자주포)
|
Pz.Sfl.II |
2.3. Pz.Sfl.III(3호 기갑 자주포)
|
Pz.Sfl.III |
2.4. Pz.sfl.IV(4호 기갑 자주포)
2.4.1. Pz.Sfl.IVa(4호 기갑 자주포 a형)
|
Pz.Sfl.IVa "Dicker Max" |
무게 | 25톤 |
전장 | 7.52m (포신 포함) |
전폭 | 2.86m |
높이 | 3.25m |
주무장 | 라인메탈 105 mm Kanone 18 L/52 (26발 적재) |
부무장 | MG13 |
엔진 | 마이바흐 수랭식 12기통 HL120(272마력) |
중량 대비 출력 | 톤당 8.2 마력 |
속도 | 40km/h |
승무원 | 5명 |
독일군용으로 크루프사에서 마지노선의 적 벙커 파괴용으로 개발했다가 마지노선을 우회해서 프랑스를 점령하게 되면서 대전차 자주포로 목적이 바뀐 프로토타입 구축전차들이며 1941년 봄 시제 전차 2대가 완성되었고 양산되지는 못하였지만 시제 전차들은 동부전선에서 실전에 투입되었다.
"디커 막스"라는 별명이 있고 이는 독일어로 뚱보 막스라는 뜻인데, 중량에 비해 마력이 낮은 소형 엔진을 탑재하여 기동성이 굼떠 운용인원들이 붙여준 별명이다.[2] 2대 중 1대는 화재로 인한 유폭으로 손실되었고 나머지 한대는 1941년까지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이후의 행방은 불명. 하지만 두대 모두 별도의 격파 사진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전선에서 소모된 듯 하다
이름때문에 일부 영미권 밀덕과 전쟁 게임 커뮤니티에서 섹드립 소재로 쓰이면서 주목받은 차량이기도 하다.[3]
2.4.2. Pz.Sfl.IVb(4호 기갑 자주포 b형)
|
Pz.Sfl.IVb |
무게 | 18톤 |
전장 | 5.90m (포신 포함) |
전폭 | 2.87m |
높이 | 2.25m |
주무장 | 라인메탈 105 mm leFH 18 L/28 (60발 적재) |
부무장 | ??? |
엔진 | 마이바흐 수랭식 6기통 HL 66P(188마력) |
중량 대비 출력 | 톤당 10.4 마력 |
속도 | 35km/h |
승무원 | 4명 |
이 전차에만 있는 굉장히 특수한 기능으로, 차체에 얹은 상태에서 발사할 수도 있지만 자신의 포탑을 분리해서 콘크리트 포대 등에 놓고 갈 수 있다. 포탑을 분리한 차량은 탄약 운반 차량이나 구난 차량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고 한다. 단 포탑 분리시 호이슈레케 10과 달리 별도의 크레인을 동원하여 포탑을 분리했다. 그러므로 이 차량은 오히려 화포운반차량(독일어로는 Waffenträger)에 더욱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본래 200대를 발주받았으나, Krupp사는 오직 10대의 선행양산형만 생산해서 1942년 마지막 달에 동부 전선에 투입하였다.
비슷하게 생긴 호이슈레케 10 (Heuschrecke 10)와 자주 혼동되는데 이건 1942년의 바펜트레거 계획과 엮이는 아주 다른 차량이다. 개발도 4호 기갑자주포 B형이 1939년부터 더 먼저 이루어졌다.
출처
2.4.3. Pz.Sfl.IVc(4호 기갑 자주포 c형)
|
|
Versuchsflakwagen für 8,8 cm FlaK 41 L/75 « Grille 10 » |
|
VK 30.01(H) VWF에 기반한 차량이 아닌 (Versuchsflakwagen-대공시험차량) |
본디 마지노선 공략용 자주포로서 8.8cm Flak 37를 탑재하기로 설계되었으나 1940년 이후 대전차자주포로 용도변경되어 8.8cm PaK 43을 달려고 하다가 해당 자주포 계획이 취소되면서 차대만 따로 1942년에 8.8cm Flak 41을 탑재한 자주대공포 개발에 쓰이기로 결정되면서 다시 용도변경되었다. 8.8cm Flak 37을 장착한 버전은 26기갑사단 예하 304 자주대공포 대대에 배속되어 야지 운용 테스트겸 실전을 치렀지만 저구경 대공포가 더 유용하다는 판단이 나오면서 8.8cm Flak 41을 장착한 버전은 공장에서 출고후 간단한 테스트 몇가지를 거친후 방치되었다. 총 3대가 제작되었다.
차대는 4호 전차를 기반으로 했지만 현가장치와 보기륜이 Sd.Kfz. 9 장갑차의 궤도에 사용된 오버랩 형식으로 9쌍 달린 것으로 변경된 것 같은 상당한 설계 수정이 있었다.
무게 | 26톤 |
전장 | 7.00m (포신 포함) |
전폭 | 3.00m |
높이 | 2.80m |
주무장 | 라인메탈 88 mm Flak 37 L/56 (60발 적재) |
또는 라인메탈 88 mm Flak 41 L/74 (48발 적재) | |
부무장 | ??? |
엔진 | 마이바흐 수랭식 6기통 HL 90(360마력) |
중량 대비 출력 | 톤당 10.3 마력 |
속도 | 35km/h |
승무원 | 7~8명(전차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 무전수, 정찰수, 신관설정수) |
2.4.4. Pz.Sfl.IVd(4호 기갑 자주포 d형)
|
Pz.Sfl.IVd |
상기된 c형에 80mm급 전면장갑을 얹고 8,8cm L/71 대전차포를 탑재한 설계였으며 목업까지 제작되었으나 1942년 말 5호 전차 판터의 차체를 사용하도록 지침이 변경되면서 파기되었다. 이후 설계는 야크트판터로 계승되었다.
2.5. Pz.sfl.V(5호 기갑 자주포)
|
Pz.sfl.V |
무게 | 36.5톤 |
전장 | 9.70m (포신 포함), 7.00m (포신 제외) |
전폭 | 3.15m |
높이 | 2.75m |
주무장 | 라인메탈 12,8 cm Kanone 40 L/61 대전차포 (15발 적재) |
엔진 | 마이바흐 수랭식 6기통 HL116 S(310마력) |
중량 대비 출력 | 톤당 8.5 마력 |
속도 | 25km/h |
승무원 | 5명(전차장, 포수, 포수, 장전수, 운전수) |
|
VK 30.01(H) 전차 |
6호 전차 티거 개발과정 중의 시제차량 중 하나였던 헨셸사의 VK 30.01(H) 전차의 차체에 라인메탈 사의 61구경장 128mm FlaK 40 대공포[6] 기반의 대전차포 탑재한 중(重)자주포. VK 30.01(H)의 차체로는 128mm 장포신포를 탑재하기엔 역부족이었는지, 실제로는 약간 연장된 차체[7]를 사용하였다고 한다.
5호 기갑 자주포(Pz.Sfl.V)라는 병기국의 정식 명칭보다 고집불통 에밀(Sturer Emil)이라는 별칭으로 더 유명하다. 워낙에 무거운 중포를 얹은 탓인지 잔고장이 잦아서 병사들이 이런 별칭을 붙였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실제로 독일군이 '고집불통 에밀'이라고 불렀는지는 의문이 있다.
장갑으로 전투실을 밀폐한 야크트판터나 야크트티거와는 달리, 나스호른처럼 전투실이 개방된 오픈탑 구조를 띄고 있었다. 상면부의 장갑이 아예 없는 것은 둘째로 치더라도, 차체로써 쓰인 VK 30.01(H) 전차는 중전차를 목표로 개발된 물건이었지만 대전 초기에 개발된 물건이라 대전 중반 이후의 전선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충족하지 못해 퇴짜를 맞았던 물건이었으며, 차체의 방어력 역시 배치 당시 기준으로 그렇게 뛰어난 편은 아니었다. 전면의 최대 장갑이 50mm 정도인데, 이정도로는 1941년 기준에선 충분한 방호력을 거의 제공받을 수 없었다.
|
포신 부각을 최대한 내린 5호 기갑자주포 |
또한 128mm 포는 사실상 2차대전 최고의 대전차 포였던만큼 화력 하나는 타의 추종을 불허했으며, 심지어는 고폭탄으로 1500m거리에서 T-34의 후면을 관통하기도 했다.[8] 다만 오픈탑 구조상 승무원들이 동부전선의 살인적 추위를 직접 견뎌야 했다.
사실 이 자주포의 용도는 신형 포의 성능 실험용이었고, 실제로도 동시기에 요새파괴용으로 개발되었던 디커 막스와 동일 부대[9]에서 운용되었었다. VK 30.01(H)의 차체는 그나마 독일군이 보유했던 전차들 중 가장 크고 무난했기에 선택되었던 것뿐이다. 생산된 2기 모두가 1941년 말부터 동부전선에 보내져서 막스(Max)와 모리츠(Moritz) 두 대가 T-34 45대를 박살내는 등 위엄 쩌는 기록들을 다수 세웠으나,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투입되어 한 대는 파괴되고 나머지 한 대는 노획되었다. 현재는 모리츠로 추정되는 한 대가 애국 공원에 전시 중이다. 관리가 너무 부실한 나머지 내부에는 남은 부품이라곤 토션 바와 약실뿐이다.
3. 미디어
3.1. 게임
3.1.1. 월드 오브 탱크
|
4호 기갑 자주포 b형 |
|
4호 기갑 자주포 c형 |
|
디커 막스 |
|
슈트러 에밀 |
3.1.2. 워 썬더
|
|
1호 기갑자주포 c형 | 디커 막스 |
|
|
VFW | 슈트러 에밀 |
1호 기갑자주포 c형이 독일의 2랭크 프리미엄 경전차로 등장한다. 동랭크 대비 강력한 50mm 포를 장착하였으며 빠른 기동력 또한 갖춰서 꽤나 좋은 전차이다.
디커 막스는 독일 트리의 대전차자주포 라인 3랭크로, VFW가 동일 랭크 프리미엄 대전차자주포로 등장한다.
디커 막스는 3.7이라는 낮은 BR과[10], 만나는 BR의 모든 전차를 어렵잖게 박살낼 수 있는 강력한 포로 악명을 떨치고 있다. 4.7탑부터 5.7탑까지 모두 볼 수 있는 초보학살자 떡장 중전차인 점보 셔먼의 강적. 프리미엄인 VFW는 BR 5.7로 역시 대전차차주포 분류다. 구경장을 늘리고 전용탄종을 쓰는 '대공포로서의' 최종진화형(즉 전차포나 대전차 전용포가 아니다)인 8.8cm FlaK 41을 탁 트인 공간에 실어놨기 때문에 끝장나는 관통력과 죽창급 공격력, 그리고 극한의 장전속도를 모두 갖추고 있다. 방탄판 여닫기(게임 시작 전 선택. 게임 중 변경 불가)도 구현돼 있는데, 내리면 포각이 자유로워지며 장전속도도 매우 빨라진다. 고증과 달리 이동도 가능. 이러면 앙각은 90도에 가깝고 수평각은 전방위이므로 거의 반구형에 가까운 어마어마한 사격각을 지닌다. 물론 지연신관이나 근접신관이 없으므로 진짜 대공전차로 활용하긴 좀 무리지만, 저공에서 저속비행하는 폭격기나 자신을 공격하러 오는 전투기에게 반격하는 용도로는 쓸 수 있다. 스치기만 해도 항공기는 가루가 돼버리므로. 그리고 이런 경장갑차량은 어딜 맞든 원샷킬의 위험에 항상 떨어야 하지만, 어차피 한방이니 방탄판을 내릴 경우 피격면적이 줄어 '무장갑이 장갑'임을 확인해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약점도 있는데, 워썬더에서는 대부분의 차량이 동축기관총이나 대공기관총, 또는 둘 다를 가지고 있으므로 판을 열 경우 주포 한 대 안 맞고 7밀리미터급 기관총 세례만으로도 승무원이 전멸하는 모습을 구경할 수 있게 되기도 한다.
VFW는 워썬더에서 보병용 개인화기 모델을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장비이기도 하다. 박스카를 열면 승무원들이 군장 결속해놓은 것을 볼 수 있는데 Kar98k가 있다.
슈트러 에밀은 독일트리 대전차자주포 라인 3랭크에 배치되어 있다. 포가 큰 만큼 쏠 때 반동이 매우 심하고 장전도 엄청 오래 걸린다는 특징이 있다. 포방패는 더럽게 튼튼하고(티거 1의 포를 막는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부각이 끝내주게 좋다. 재현된 전차는 동부전선 막스이다.
3.1.3. 카트라이더
판저9라는 카트의 모티브가 4호 기갑자주포 B형이다.3.1.4. 강철의 왈츠
특전차항목의 구축전차로 5호 기갑자주포가 등장했다.4. 모형
4.1. 프라모델
트럼페터에서 5호 기갑자주포를 모형화했는데, 1/35 스케일의 가성비가 훌륭하다.5. 둘러보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Panzerselbstfahrlafette I für 7,62cm PaK36(r)
[2]
시제품에서는 4호 전차의 HL120을 이용했으나 이후 HL66P로 교체되었다는 얘기도 있다.
[3]
독일어로는 뚱보 막스를 뜻하는 Dicker Max지만, 영어로는 Dick이
음경을 뜻하는 비속어이기 때문이다. 덤으로 Max는 최대를 뜻하는 맥시멈의 줄임표현인 것도 응용하여 음경이
최대로 커졌다는 것,
크고 아름답다 등의 드립에 활용하기도 한다.
[4]
장갑판이 아니라 방탄판이라고 하는 이유는 10mm 두께라서 소총탄이나 겨우 막을만한 물건이었기 때문이다.
[5]
실제 4호 기갑자주포 c형은 방탄판을 내린상태에서는 기동할 수 없다고 한다.
[6]
야크트티거에 주포로 탑재된
PaK 44 대전차포와는 다른 계열의 포다.
[7]
본래 VK.30.01(H)의 차대에 비해 약 2m가량 연장되었다.
[8]
출처 토머스 옌츠, 힐러리 도일 공저 Panzer Tracts 7-3 Pz.Sfl.V 항목.
[9]
521 전차 엽병대대
[10]
리얼리스틱 3.7, 아케이드 4.0. 리얼이던 아케이드던 도탄 각도만 아니면 그 BR대의 어떠한 차량도 이 포를 방어할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