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11:43:44

이경희(1880)

이경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구광역시 휘장(일제강점기~1996)_White.svg
경상북도 대구부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일제치하 경상북도 대구부윤
초대
다케자키 로쿠지로
제2대
나가노 타이사로
제3대
마쓰이 신스케
제4대
미야다테 데이이치
제5대
가미우치 히코사쿠
제6대
야마자키 마사오
제7대
구와하라 이치로
제8대
이타가키 신지
제9대
다가 히데토시
제10대
가도와키 마코이치
제11대
후루이치 스스무
제12대
스기야마 무이치
제13대
야마모토 미노루
제14대
우에노 히코하치
미군정 조선 경상북도 대구부
군정부윤 민정부윤
초대
존 콘치
제2대
쥬라-듸
제3대
필립스
초대
이경희
제2대
권영세
미군정 조선 경상북도 대구부윤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부윤1
제2대
권영세
제3대
한보용
서리
조용해
초대
허억
경상북도 대구시장·대구직할시장·대구광역시장
<rowcolor=#ffffff> 1 : '49.08.15. 대구부 → 대구시 개칭, 부윤 → 시장 개칭 }}}}}}}}}

파일:건국훈장애국장약장.jpg
건국훈장 애국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파일:건국훈장애국장.jpg
가네코 후미코 강경근 강계선 강관수 강귀손 강근호 강기찬
강길환 강달주 강덕보 강동렬 강두필 강만식 강만형
강명선 강명희 강문진 강문영 강병관 강병근 강병욱
강병일 강봉우 강봉학 강봉환 강사문 강상봉 강상호
강서희 강석대 강석봉 강석진 강석훈 강성리 강수오
강수원 강순성 강순희 강승경 강승덕 강시만 강신경
강양성 강양오 강연상 강영갑 강영삼 강영수 강영승
강영식 강우범 강운학 강원호 강윤국 강이진 강인수
강일봉 강재천 강정하 강제억 강제희 강종근 강준익
강준학 강진구 강진남 강진석 강진선 강진여 강찬중
강창규 강창보 강철규 강춘근 강춘삼 강태동 강태성
강태영 강태일 강택진 강필주 강학서 강한수 강한용
강혜원 강화순 강흥문 강희경 강희옥 견관덕 경권중
경현수 계동화 계석노 계성근 계영기 계용순 고강산
고광채 고광훈 고대선 고덕린 고덕수 고두일 고득수
고병희 고봉준 고사훈 고석진 고성한 고승득 고시복
고앙주 고영신 고예진 고용진 고용환 고웅주 고원직
고윤한 고융건 고응남 고응칠 고익규 고인식 고인재
고정식 고제남 고제신 고진홍 고창희 고채주 고치범
고판홍 고형림 고희순 공덕흡 공사겸 공사일 공석두
공성찬 공심연 공영팔 공예수 공재형 공준서 공창준
곽경렬 곽낙삼 곽낙원 곽무 구찬회 권득수 김광섭
김규식 김도연 김동식 김동진 김백선 김알렉산드라 김윤경
김응삼 김이원 김재헌 김정익 김준연 김준엽 김양수
나경서 나봉산 나사진 나상원 나상필 나선도 나성화
나수범 나순익 나순호 나승렬 나신택 나영관 나용균
나운규 나의집 나장헌 나정련 나정문 나정화 나종헌
나창운 나희규 남경숙 남계병 남광원 남궁욱 남궁현
남규천 남기동 남기영 남도경 남복이 남상규 남석순
남석술 남세극 남승하 남영진 남왈성 남용순 남원수
남위 남정 남지학 남진두 남태영 노간선 노공일
노광엽 노기영 노내화 노덕세 노도원 노동식 노명이
노병한 노병희 노봉돌 노봉우 노봉현 노석정 노석중
노섭 노성삼 노성원 노성환 노식삼 노영재 노영화
노우선 노재철 노진룡 노치흠 노태연 노하순 노한문
노형규 노환 노희태 도대원 도무환 도병철 도복렬
도중삼 독고무 동민수 동증손 동풍신 루이 마랭 마남룡
마만봉 마용필 마정덕 마정삼 마춘걸 마하도 맹군삼
맹기정 맹달선 맹달섭 맹철호 명도석 모신영 모원규
모원봉 모인화 모충이 목자상 문경록 문남규 문덕길
문덕홍 문동길 문명국 문명주 문무술 문봉래 문봉의
문석조 문석준 문석환 문성각 문성초 문승수 문신영
문영박 문영삼 문용기 문응국 문장호 문재교 문종희
문창선 문치룡 문치백 문학도 문학신 문한범 문홍순
문홍의 문화순 민가현 민동식 민백형 민병길 민병숙
민병태 민수현 민영수 민영숙 민영완 민영주 민영학
민용운 민제호 민찬호 민철훈 민충기 민충식 민치도
민치영 민한식 박갑쇠 박건 박건두 박경락 박경석
박경철 박계락 박관준 박광 박광선 박광천 박구진
박권세 박권영 박귀성 박규명 박규상 박규채 박규호
박근이 박금룡 박기국 박기범 박기수 박기양 박기영
박기운 박기원 박기춘 박길양 박내병 박내원 박내준
박노삼 박노영 박달천 박대인 박대일 박대중 박덕삼
박덕언 박덕여 박도집 박도현 박동규 박동원 박동의
박동주 박동진 박동환 박래봉 박래승 박만선 박만옥
박만화 박맹두 박명규 박명서 박명화 박무 박문거
박문도 박문서 박문섭 박문술 박문용 박문호 박문화
박민홍 박반문 박발술 박병강 박병규 박병익 박병하
박병한 박병호 박병훈 박보국 박복인 박봉관 박봉길
박봉래 박사문 박사범 박사손 박상규 박상기 박상도
박상엽 박상진 박상하 박석용 박현숙 방정환 방한민
배치문 배헌 백남훈 백초월 사문성 서광도 서기준
서기환 서단파 서달선 서동성 서두성 서병순 서병철
서병호 서봉화 서삼진 서상경 서상기 서상락 서상렬
서성군 서성실 서성일 서성학 서소용 서여선 서영백
서영연 서영해 서왈보 서용하 서운선 서윤봉 서윤호
서윤화 서인봉 서장관 서장환 서재기 서재승 서재현
서정기 서정만 서종락 서진구 서창무 서태석 서학이
서한종 석근영 석기만 석기호 석대운 석만금 석오석
석창륜 석창문 석환옥 선경화 선규환 선도명 선백중
선우기 선우섭 선우진 선우택범 설성삼 설진창 성경삼
성경호 성낙붕 성낙중 성낙희 성만리 성만석 성선조
성재평 성재한 성정모 성주경 성진갑 성진호 소갑호
소윤명 소진형 소후옥 소휘천 손건주 손계묵 손계조
손덕화 손두원 손명선 손명조 손몽상 손무경 손병선
손복산 손봉선 손성 손성우 손성원 손성한 손수용
손수조 손승관 손양섭 손영학 손용준 손일민 손일봉
손재순 송몽규 송상도 신하균 안경순 안경준 안관순
안광선 안교봉 안구현 안국길 안군명 안내성 안동식
안두식 안명순 안무순 안병기 안병석 안병준 안병찬
안봉생 안봉선 안봉순 안상용 안상의 안선국 안세진
안숙 안순구 안순서 안순원 안영희 안용국 안용석
안용택 안유순 안윤재 안이현 안인택 안일룡 안장길
안정길 안정명 안정옥 안종각 안종구 안종락 안종린
안종식 안종엽 안종운 안종환 안종후 안중석 안진순
안찬재 안창남 안창렬 안창률 안창제 안최언 안치삼
안택환 안필순 안학룡 안항식 안혁중 안홍 안효준
안후덕 양경삼 양계갑 양도명 양도준 양도헌 양동훈
양병칠 양봉규 우기주 유우석 유자명 유진동 유종환
이경채 이남규 이만집 이범진 이병기(1876) 이병기(1891) 이석영
이성구 이영환 이용태 이운강 이육사 이원순 이은상
이재천 이정호 이탁 임규 장경춘 장경탁 장계진
장관청 장광옥 장국호 장군선 장규섭 장규현 장규황
장금송 장기덕 장기석 장기영(1890) 장기영(1903) 장낙수 장남수
장덕기 장덕로 장덕유 장덕익 장도정 장두언 장명언
장명운 장병구 장병준 장복규 장복흥 장본래 장봉규
장봉래 장봉의 장봉주 장봉학 장봉현 장부암 장붕
장빈삼 장사천 장석천 장석함 장선군 장성순 장성원
장성오 장세용 장세전 장세정 장세파 장세현 장수봉
장순영 장승열 장신국 장여좌 장영준 장응규 장의선
장의찬 장의천 장이호 장익부 장익수 장익염 장익준
장인국 장인서 장준하 정광호 정일형 조봉호 조신성
조응삼 조희제 지복영 차경수 차경신 차경현 차금봉
차도순 차도연 차동석 차병곤 차병규 차병률 차병선
차병한 차봉엽 차연욱 차영철 차영필 차왈보 차용목
차운흥 차원몽 차은표 차인범 차일빈 차재문 차정룡
차정섭 차정집 차진규 차진하 차치명 차학구 채경묵
채경옥 채규대 채남섭 채덕만 채덕승 채동집 채동환
채복만 채봉선 채봉준 채수반 채영서 채영찬 채용환
채운걸 채이석 채정옥 채중보 채창헌 채태묵 채한석
천경도 천보락 천성십 천순호 천홍태 최갑룡 최능익
최윤동 최효일 탁성룡 탁영조 탁일청 탁창국 탁한종
패트릭 도슨 편군선 편덕렬 플로이드 윌리엄 톰킨스 하덕근 하돌임 하상태
하승현 하영옥 하운택 하찬린 하한서 한갑복 한경서
한경석 한경천 한경희 한계석 한국언 한국원 한규량
한규순 한금원 한기석 한기악 한기안 한대홍 한덕용
한도원 한동진 한득주 한락산 한면각 한명만 한명순
한문기 한문백 한성수 허석 홍원유 홍원표 황직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1, #a11 20%, #a11 80%, #a11);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단장
김원봉
고문
김대지 황상규
단원
강세우 강인수 고인덕 곽재기
권정필 권준 김광추 김기득
김방우 김병현 김상옥 김상윤
김성숙 김시현 김익상 김지섭
김철호 나석주 남정각 박문희
박자혜 박재혁 박차정 박희광
배동선 배중세 배치문 서상락
송천흠 신악 신영삼 신채호
신철휴 오성륜변절 유자명 윤세주
윤치형 이구연 이병철 이병희
이성우 이수택 이육사 이종암
이태준 정이소 최수봉 황옥불확실
최용덕 한봉근 한봉인 홍가륵
유시태 이원대 이원기 윤병구
유석현 정율성불확실 문시환 이춘암
공약 10조
[ 펼치기 · 접기 ]
① 천하의 정의의 사(事)를 맹렬히 실행하기로 함.
② 조선의 독립과 세계의 평등을 위하여 신명을 희생하기로 함.
③ 충의의 기백과 희생의 정신이 확고한 자라 함.
④ 단의(團義)에 선(先)히 하고 단원의 의(義)에 급히 함.
⑤ 의백(義伯) 1인을 선출하여 단체를 대표함.
⑥ 하시(何時) 하지(何地)에서나 매월 1차씩 사정을 보고함.
⑦ 하시 하지에서나 매 초회(招會)에 필응함.
⑧ 피사(被死)치 아니하여 단의에 진(盡)함.
⑨ 1이 9를 위하여 9가 1을 위하여 헌신함.
⑩ 단의에 배반한 자는 처살(處殺)함이다.
5파괴
[ 펼치기 · 접기 ]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
매일신보사
④ 각 경찰서
⑤ 기타 왜적 중요기관
7가살
[ 펼치기 · 접기 ]
조선총독 이하 고관
② 군부 수뇌
대만총독
④ 매국노
⑤ 친일파 거두
적탐(밀정)
⑦ 반민족적 토호열신(土豪劣紳)
조선혁명선언 황옥 경부 폭탄사건 }}}}}}}}}
초대 경상북도 대구부 민정부윤
이경희
李慶熙|Yi Kyeong-hee
파일:대구부윤 이경희.jpg
<colbgcolor=#1c4791><colcolor=#ffffff> 출생 1880년 6월 11일[1]
경상도 대구도호부 동하면 서변동[2]
(現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3]
사망 1949년 12월 4일[4] (향년 69세)
경상북도 대구시
(現 대구광역시)
묘소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
본관 인천 이씨[5]
군선(君善), 군미(君美)
지오(池吾)
재임기간 초대 경상북도지사 부대리
1945년 12월 23일 ~ 1946년 1월 26일
초대 경상북도 대구부 민정부윤
1946년 1월 25일 ~ 1946년 7월 3일
학력 기호학교 (본과 / 졸업)

1. 개요2. 약력3. 생애
3.1. 초년기3.2. 의열단원 및 신간회원으로서3.3. 광복 이후
4.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교육가이자 정치인. 한말 신민회와 일제치하에서 의열단, 신간회에서 활동하였다. 1980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2. 약력

3. 생애

3.1. 초년기

1880년 6월 11일 경상도 대구도호부 동하면 서변동(現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서 아버지 이병두(李柄斗, 1861 ~ 1911.5.18)[8]와 어머니 경주 최씨(? ~ ?. 11. 11.)[9] 사이에서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05년 기호학교 본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해 경상북도 대구부 협성학교 안동군 협동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 1907년 신민회 창립에 참여하였고[10], 1908년 3월에는 교남교육회에, 1908년 9월에는 달성친목회에 각각 가입하여 애국계몽운동에도 참여하였다. 1909년 8월 21일 첫 부인 대구 서씨(1881 ~ 1909.8.21)[11]와 사별하였다. 1909년 10월 비밀결사 대동청년당 창당에 참여하였다.[12] 1910년 3월 12일 청년학우회에서 지방조직인 한성연회(漢城聯會)가 결성되자 백영은(白永殷)·장도순(張道淳)과 함께 검찰원(檢察員)에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이후 청나라 서간도로 망명하였고, 망명지에서 함경남도 단천군 출신의 조훈(趙勳, 1886.10.29 ~ 1938.1.22)과 동지로 만나, 조훈의 여동생 한양 조씨(1896.12.2 ~ 1979.3.1)[13]와 재혼하였다.

이후 귀국하여 경기도 경성부 간동[14] 97번지에 본적지를 두었다. 1919년 10월 길림군정사 군무국장 최윤동이 군자금 모금을 위해 귀국하자, 이때 이수영(李遂榮)· 이동하(李東廈)· 박중화· 이원혁(李源赫) 등과 여러 차례 만나 조선 내 각지 부호들을 모금 대상으로 삼고 세부 사항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이후 경성부 안국동[15] 10번지로 주소지를 옮겼다.[16] 1921년 3월 13일 열린 조선노동공제회 예비 정기총회에서 경성본회 대표자 61명 중 한 사람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조선노동공제회 의사원(議事員)을 거쳐 1921년 7월 조선노동공제회 소비조합 이사에 선출되었다. 1922년 2월에는 단연동맹회(斷煙同盟會) 결성에 참여하였다.

3.2. 의열단원 및 신간회원으로서

1922년 하반기 의열단에 입단하였다. 1923년 3월 김시현· 유석현 등이 조선총독부· 동양척식주식회사· 조선은행· 경성우편국· 경성전기주식회사· 매일신보사 등 일제 주요 기관 및 주요 간선철도를 폭파하고 사이토 마코토 조선총독, 아리요시 주이치(有吉忠一)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마루야마 쓰루키치(丸山鶴吉) 조선총독부 경무국장 등 일제 고위 관료를 처단하기 위한 계획을 세운 뒤 폭탄과 권총, 탄약, 「조선혁명선언」 및 「조선총독부 관속과 관공리에게」라는 격문 수백 장을 조선 국내에 각각 반입하였다. 1923년 3월 15일 경기도 경성부 계동[17]에서 황옥을 만나 위 물품들 중 「조선혁명선언」 및 「조선총독부 관속과 관공리에게」라는 격문 수백 장을 으로부터 건네받았고, 각 도의 도지사 및 경찰부에 우편으로 발송한 뒤 경성부 곳곳에 살포하였다. 이후 ' 황옥 경부 폭탄사건'이 발발하자 위 일로 인해 곧 일본 제국 경찰에 체포되었고, 1923년 6월 1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다이쇼 8년(1919) 제령 제7호 위반, 폭발물 취체벌칙 위반, 총포화약류 취체령 위반 및 강도 혐의로 경성지방법원의 공판에 회부되었다.[18] 이어 1923년 8월 21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바 다이쇼 8년 제령 제7호 위반 혐의로 징역 1년을 선고받아[19] 공소를 제기했으나, 1923년 8월 25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공소를 취하하여[20] 형이 확정되어 결국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1924년 5월 출옥한 뒤 경성부 종로6정목[21]에서 요양하였다.

1924년 10월 5일 경성부 재동[22] 노동학원에서 개최된 경성노동청년회 창립총회에서 집행위원에 선임되었고, 1927년 5월 27일 경성부 중앙기독교청년회관에서 개최된 근우회 창립총회에 참석하였다. 1927년 신간회에 가입하여 같은 해 5월 10일 경성중앙본부 총무간사 겸 경상북도지회장에 임명되었다. 1927년 6월 말 송두환(宋斗煥)·최윤동 등과 함께 신간회 대구지회 설립을 위해 몇 차례의 예비 모임을 가졌다. 1927년 7월 23일 중외일보사 대구지국에서 신간회 대구지회 설립 준비회가 개최되었는데, 이때 준비위원회 위원장에 선임되었다. 1927년 9월 3일 대구부 달성정[23] 달성공원 조양회관[24]에서 신간회 대구지회 설립대회가 열리자 초대 신간회 대구지회장에 선출되었다. 1927년 10월 16일 신간회 대구지회 발기총회에 준비위원으로 참석하였고, 같은 해 12월 신간회 대구지회장에서 사임하였다.

1928년 8월 3일 권동진· 홍명희· 조병옥· 이관용· 박내홍(朴來弘) 등과 함께 신간회 임시간사회를 개최하여 이옥(李鈺)과 함께 신간회 총무간사에 선임되었다. 이후 신간회 산하 단체인 밀양청년회를 지원하는 활동에도 힘을 쏟았는데, 이 때문에 1928년 11월 11일 경상남도 밀양군에 딸의 병문안을 갔다가 밀양경찰서에 예비 검속되기도 하였다. 1928년 11월 23일 경성부 돈의동[25]에서 개최된 중외일보사 창립총회에 이상협(李相協)· 안희제·이호연(李浩然)·강상순(姜相淳)· 최인환(崔仁煥) 등 27명과 함께 참석하였다. 1929년 초에는 중외일보사 영업국장 김홍관(金弘權)· 황상규와 함께 경상도에서 민족주의자를 모아 민족언론기관을 조직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였고, 같은 해 4월 14일 협동조합운동사(協同組合運動社) 제7회 정기총회에서 중앙집행위원에 선임되었다.[26]

3.3. 광복 이후

8.15 광복 후 1945년 12월 23일부터 1946년 1월 26일까지 초대 경상북도지사 부대리, 1946년 1월 25일부터 1946년 7월 3일까지 초대 경상북도 대구부 민정부윤을 각각 역임했다. 이후 우익 정치인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1946년 9월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경상북도지부 위원장에 취임하기도 하였다. 1949년 7월에는 남선경제신문 사장에 취임했으나, 1949년 12월 4일 경상북도 대구시에서 사망했다. 유해는 대구광역시 북구 동변동에 안장되었다.

198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고, 이어 1990년에는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4. 여담



[1] 인천이씨대동보 권3 530쪽에는 1881년 6월 3일생으로 등재되어 있다. [2] 1923년 8월 21일 수형인명부 [3] 인천 이씨 공도공파-태암공파(苔巖公派) 집성촌이다. 대구역사문화대전 [4] 인천이씨대동보 권3 530쪽에는 1950년 10월 15일에 사망한 것으로 등재되어 있다. [5] 공도공파(恭度公派)-태암공파(苔巖公派) 33세손 ○희(○熙), ○환(○煥) 항렬.( 족보(1) 족보(2) 족보(3)) [6] 중앙고등학교 [7] 경북고등학교 [8] 자는 여공(汝拱) [9] 최성진(崔晟鎭)의 딸이다. [10] 대구역사문화대전 [11] 서상조(徐相祚)의 딸이다. [12] 대구역사문화대전 [13] 조홍세(趙洪世)의 딸이다. [14]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간동 [15]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 [16] 1923년 6월 12일 판결문 [17]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18] 1923년 6월 12일 경성지방법원 판결문 [19] 1923년 8월 21일 경성지방법원 판결문. 이 재판에 김병로· 이인· 강세형· 김용무· 최진(崔鎭)· 후세 다쓰지 변호사로서 변론을 담당하였다. [20] 1923년 8월 25일 형사사건부 [21]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6가 [22]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동 [23]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24] 1984년 대구직할시 동구 효목동 망우공원에 복원되었다. [25]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의동 [26]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27] 장녀 이인원(李仁媛, 1916.5.5 ~ ?)은 정운일의 셋째 아들 연일 정씨 정인택(鄭仁澤, 1912.1.24 ~ 1973.1.11)과 결혼하였다.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