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16:51:53

이병기(국문학자)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tablebgcolor=#fff> 파일:대한민국 학술원 휘장.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31f20><tablebgcolor=#231f20>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인문사회과학부 자연과학부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철학, 윤리학, 논리학, 미학, 종교학, 교육학, 심리학
2분과: 어문학
3분과: 사학, 고고학, 민속학, 지리학, 문화인류학
4분과: 법학
5분과: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6분과: 경제학, 경영학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수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대기과학
2분과: 생물학, 지질과학, 스포츠과학, 영양학, 가정학
3분과: 건축공학, 금속공학, 기계공학, 섬유공학, 자원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조선공학, 토목공학, 항공공학
4분과: 의학, 치의학, 약학, 수의학
5분과: 농학, 임학, 축산학, 수산학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정진홍 조동일 차하순 고상룡 임희섭 이현재 안세희 이상만 박중현 이상섭 홍성각
차재호 홍재성 이기석 김남진 강신택 곽수일 노재식 김수진 김상용 문국진 이병일
이돈희 김학주 이기동 정동윤 안병준 정기준 박세희 이정우 노오현 김낙두 김현욱
소광희 이정민 김영한 박병호 김경동 김기영 권숙일 맹원재 윤덕용 김병수 황병국
윤사순 김수용 이성규 김상용 김용구 유장희 기우항 임번장 현병구 이순형 류순호
이한구 조주관 이태진 김효전 진덕규 이학용 김용해 장호완 나정웅 김영중 장동석
박종현 장경렬 한상복 임종률 백완기 이지순 이은 김상구 한송엽 고재승 이홍석
정찬섭 남기심 최병현 권오승 이정복 조장옥 조성호 정진하 최향순 신희섭 김윤수
진동섭 김인환 임돈희 최병조 김홍우 한인구 이호인 조완규 이장무 회장 이영순 박승우
박용운 신동운 신용하 전병헌 김도한 이기화 이병기 이승규 최양도
김호동 김문현 임현진 박성현 안진흥 황규영 이종호 홍성윤
김영식 신명순 김진의 임정빈 유정열 박성회 김수일
고동환 최진호 박종욱 손장열 이명식 고희종
이형목 우경식 고규영 김용균
송진원 한재용
작고 회원
인문사회 분과 자연 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고형곤 권중휘 이병도 최태영 신기석 고승제 안동혁 손치무 이균상 한구동 정문기
안호상 이숭녕 김상기 유진오 이상백 최호진 김동일 강영선 원태상 윤일선 조백현
박종홍 이희승 신석호 고병국 신도성 신태환 이태규 정태현 최경열 이제구 현신규
김두헌 최현배 이선근 이근칠 민병태 유진순 전풍진 박동길 이종일 이종륜 우장춘
김기석 양주동 조의설 윤세창 김성희 조기준 최규남 김호직 이채호 박영진 김호식
김활란 이양하 김재원 이종극 고황경 김순식 권영대 이민재 최방진 이재춘 송재철
김계숙 이병기 류홍렬 김병노 김상협 김효록 최윤식 조복성 윤일중 이진기 이근태
이종우 김윤경 이홍직 이항녕 최문환 육지수 박철재 이병위 민한식 박호풍 박승만
이상은 손우성 홍이섭 박원선 정인흥 김준보 박하욱 김옥준 김기덕 김두종 심종섭
이인기 정인승 고병익 정광현 이만갑 이상구 조광화 최례석 최호영 이세규 지영인
김동화 조윤제 한우근 유기천 윤천주 권오익 이원철 김준민 김재근 김명선 이춘녕
김준섭 김형규 전해종 이한기 박동서 정수영 장기원 김창환 김종석 기용숙 박병희
오천석 차상원 이기백 이희봉 이용희 임원택 성좌경 김삼순 최형섭 한심석 윤상원
류승국 차주환 이광린 문홍주 김대환 박기혁 박정기 홍순우 김문상 우린근 이창구
이희철 여석기 김원용 서돈각 김운태 김옥근 박봉열 김봉균 신영기 나세진 김성원
서명원 조성식 김철준 손주찬 홍승직 오상락 최상업 윤석규 이량 이우주 이은웅
임한영 김동욱 이두현 남흥우 차기벽 정병휴 조순탁 주진순 장석윤 이문호 정후섭
최재희 정병욱 민석홍 황산덕 구영록 김동기 김치영 이대성 윤동석 김용관 강제원
김규영 강두식 이찬 김증한 박광순 이상수 정영호 한만춘 서병설 백운하
유형진 이기문 윤무병 김치선 조순 김정수 김훈수 강명순 이영소 김문협
백낙준 이능우 이우성 박일경 변형윤 최규원 이영록 윤장섭 권이혁 고재군
조요한 동완 황수영 김기두 윤기중 심정섭 김오중 오현위 이장락 최병희
김성태 장덕순 양병우 정영석 박을룡 김준호 최계근 김기홍 박영호
김태길 이가원 민영규 김현태 윤세원 하두봉 이승원 박수선 전세규
윤명로 김현창 김용섭 김정균 김태린 박희인 김재극 장신요 조재영
김종철 김용직 이성무 김홍규 박태원 정창희 우형주 이기영 오봉국
정양은 정명환 황적인 윤갑병 박상대 이택식 김주환
박영식 이경식 심헌섭 윤능민 황종흘 김용일
김충렬 김완진 김철수 이익춘 이만영 김정룡
조명한 장석진 김종원 송희성 조선휘 이호왕
오병남 이형국 고윤석 이리형
정범모 장세헌 이충웅
조대경 김상주
길희성
이성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명예회원
시오노 히로시 빈센트 푸어 노요리 료지 피터 그루스 위르겐 코카
크리스티안 슈타르크 로거 비치 앨런 히거 난 린 허준이 }}}}}}}}}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권덕규 권승욱 김도연 김법린 김선기 김양수 김윤경 김종철 리극로 서민호 서승효
신윤국 안재홍 안호상 윤병호 이강래 이만규 이병기 이석린 이우식 이윤재 이은상
이인 이중화 이희승 장지영 장현식 정열모 정인섭 정인승 정태진 최현배 한징 }}}}}}}}}}}}

파일:건국훈장애국장약장.jpg
건국훈장 애국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파일:건국훈장애국장.jpg
가네코 후미코 강경근 강계선 강관수 강귀손 강근호 강기찬
강길환 강달주 강덕보 강동렬 강두필 강만식 강만형
강명선 강명희 강문진 강문영 강병관 강병근 강병욱
강병일 강봉우 강봉학 강봉환 강사문 강상봉 강상호
강서희 강석대 강석봉 강석진 강석훈 강성리 강수오
강수원 강순성 강순희 강승경 강승덕 강시만 강신경
강양성 강양오 강연상 강영갑 강영삼 강영수 강영승
강영식 강우범 강운학 강원호 강윤국 강이진 강인수
강일봉 강재천 강정하 강제억 강제희 강종근 강준익
강준학 강진구 강진남 강진석 강진선 강진여 강찬중
강창규 강창보 강철규 강춘근 강춘삼 강태동 강태성
강태영 강태일 강택진 강필주 강학서 강한수 강한용
강혜원 강화순 강흥문 강희경 강희옥 견관덕 경권중
경현수 계동화 계석노 계성근 계영기 계용순 고강산
고광채 고광훈 고대선 고덕린 고덕수 고두일 고득수
고병희 고봉준 고사훈 고석진 고성한 고승득 고시복
고앙주 고영신 고예진 고용진 고용환 고웅주 고원직
고윤한 고융건 고응남 고응칠 고익규 고인식 고인재
고정식 고제남 고제신 고진홍 고창희 고채주 고치범
고판홍 고형림 고희순 공덕흡 공사겸 공사일 공석두
공성찬 공심연 공영팔 공예수 공재형 공준서 공창준
곽경렬 곽낙삼 곽낙원 곽무 구찬회 권득수 김광섭
김규식 김도연 김동식 김동진 김백선 김알렉산드라 김윤경
김응삼 김이원 김재헌 김정익 김준연 김준엽 김양수
나경서 나봉산 나사진 나상원 나상필 나선도 나성화
나수범 나순익 나순호 나승렬 나신택 나영관 나용균
나운규 나의집 나장헌 나정련 나정문 나정화 나종헌
나창운 나희규 남경숙 남계병 남광원 남궁욱 남궁현
남규천 남기동 남기영 남도경 남복이 남상규 남석순
남석술 남세극 남승하 남영진 남왈성 남용순 남원수
남위 남정 남지학 남진두 남태영 노간선 노공일
노광엽 노기영 노내화 노덕세 노도원 노동식 노명이
노병한 노병희 노봉돌 노봉우 노봉현 노석정 노석중
노섭 노성삼 노성원 노성환 노식삼 노영재 노영화
노우선 노재철 노진룡 노치흠 노태연 노하순 노한문
노형규 노환 노희태 도대원 도무환 도병철 도복렬
도중삼 독고무 동민수 동증손 동풍신 루이 마랭 마남룡
마만봉 마용필 마정덕 마정삼 마춘걸 마하도 맹군삼
맹기정 맹달선 맹달섭 맹철호 명도석 모신영 모원규
모원봉 모인화 모충이 목자상 문경록 문남규 문덕길
문덕홍 문동길 문명국 문명주 문무술 문봉래 문봉의
문석조 문석준 문석환 문성각 문성초 문승수 문신영
문영박 문영삼 문용기 문응국 문장호 문재교 문종희
문창선 문치룡 문치백 문학도 문학신 문한범 문홍순
문홍의 문화순 민가현 민동식 민백형 민병길 민병숙
민병태 민수현 민영수 민영숙 민영완 민영주 민영학
민용운 민제호 민찬호 민철훈 민충기 민충식 민치도
민치영 민한식 박갑쇠 박건 박건두 박경락 박경석
박경철 박계락 박관준 박광 박광선 박광천 박구진
박권세 박권영 박귀성 박규명 박규상 박규채 박규호
박근이 박금룡 박기국 박기범 박기수 박기양 박기영
박기운 박기원 박기춘 박길양 박내병 박내원 박내준
박노삼 박노영 박달천 박대인 박대일 박대중 박덕삼
박덕언 박덕여 박도집 박도현 박동규 박동원 박동의
박동주 박동진 박동환 박래봉 박래승 박만선 박만옥
박만화 박맹두 박명규 박명서 박명화 박무 박문거
박문도 박문서 박문섭 박문술 박문용 박문호 박문화
박민홍 박반문 박발술 박병강 박병규 박병익 박병하
박병한 박병호 박병훈 박보국 박복인 박봉관 박봉길
박봉래 박사문 박사범 박사손 박상규 박상기 박상도
박상엽 박상진 박상하 박석용 박현숙 방정환 방한민
배치문 배헌 백남훈 백초월 사문성 서광도 서기준
서기환 서단파 서달선 서동성 서두성 서병순 서병철
서병호 서봉화 서삼진 서상경 서상기 서상락 서상렬
서성군 서성실 서성일 서성학 서소용 서여선 서영백
서영연 서영해 서왈보 서용하 서운선 서윤봉 서윤호
서윤화 서인봉 서장관 서장환 서재기 서재승 서재현
서정기 서정만 서종락 서진구 서창무 서태석 서학이
서한종 석근영 석기만 석기호 석대운 석만금 석오석
석창륜 석창문 석환옥 선경화 선규환 선도명 선백중
선우기 선우섭 선우진 선우택범 설성삼 설진창 성경삼
성경호 성낙붕 성낙중 성낙희 성만리 성만석 성선조
성재평 성재한 성정모 성주경 성진갑 성진호 소갑호
소윤명 소진형 소후옥 소휘천 손건주 손계묵 손계조
손덕화 손두원 손명선 손명조 손몽상 손무경 손병선
손복산 손봉선 손성 손성우 손성원 손성한 손수용
손수조 손승관 손양섭 손영학 손용준 손일민 손일봉
손재순 송몽규 송상도 신하균 안경순 안경준 안관순
안광선 안교봉 안구현 안국길 안군명 안내성 안동식
안두식 안명순 안무순 안병기 안병석 안병준 안병찬
안봉생 안봉선 안봉순 안상용 안상의 안선국 안세진
안숙 안순구 안순서 안순원 안영희 안용국 안용석
안용택 안유순 안윤재 안이현 안인택 안일룡 안장길
안정길 안정명 안정옥 안종각 안종구 안종락 안종린
안종식 안종엽 안종운 안종환 안종후 안중석 안진순
안찬재 안창남 안창렬 안창률 안창제 안최언 안치삼
안택환 안필순 안학룡 안항식 안혁중 안홍 안효준
안후덕 양경삼 양계갑 양도명 양도준 양도헌 양동훈
양병칠 양봉규 우기주 유우석 유자명 유진동 유종환
이경채 이남규 이만집 이범진 이병기(1876) 이병기(1891) 이석영
이성구 이영환 이용태 이운강 이육사 이원순 이은상
이재천 이정호 이탁 임규 장경춘 장경탁 장계진
장관청 장광옥 장국호 장군선 장규섭 장규현 장규황
장금송 장기덕 장기석 장기영(1890) 장기영(1903) 장낙수 장남수
장덕기 장덕로 장덕유 장덕익 장도정 장두언 장명언
장명운 장병구 장병준 장복규 장복흥 장본래 장봉규
장봉래 장봉의 장봉주 장봉학 장봉현 장부암 장붕
장빈삼 장사천 장석천 장석함 장선군 장성순 장성원
장성오 장세용 장세전 장세정 장세파 장세현 장수봉
장순영 장승열 장신국 장여좌 장영준 장응규 장의선
장의찬 장의천 장이호 장익부 장익수 장익염 장익준
장인국 장인서 장준하 정광호 정일형 조봉호 조신성
조응삼 조희제 지복영 차경수 차경신 차경현 차금봉
차도순 차도연 차동석 차병곤 차병규 차병률 차병선
차병한 차봉엽 차연욱 차영철 차영필 차왈보 차용목
차운흥 차원몽 차은표 차인범 차일빈 차재문 차정룡
차정섭 차정집 차진규 차진하 차치명 차학구 채경묵
채경옥 채규대 채남섭 채덕만 채덕승 채동집 채동환
채복만 채봉선 채봉준 채수반 채영서 채영찬 채용환
채운걸 채이석 채정옥 채중보 채창헌 채태묵 채한석
천경도 천보락 천성십 천순호 천홍태 최갑룡 최능익
최윤동 최효일 탁성룡 탁영조 탁일청 탁창국 탁한종
패트릭 도슨 편군선 편덕렬 플로이드 윌리엄 톰킨스 하덕근 하돌임 하상태
하승현 하영옥 하운택 하찬린 하한서 한갑복 한경서
한경석 한경천 한경희 한계석 한국언 한국원 한규량
한규순 한금원 한기석 한기악 한기안 한대홍 한덕용
한도원 한동진 한득주 한락산 한면각 한명만 한명순
한문기 한문백 한성수 허석 홍원유 홍원표 황직연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이병기
李秉岐 | Lee-Byungki[1]
파일:전북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 시절의 이병기(2001년 6월의 문화인물 이병기_20010601).jpg
<colcolor=#fff><colbgcolor=#0047a0> 가람(嘉藍, 任堂)[2], 가남(柯南)[3], 용화산인(龍華山人)[4]
본관 연안 이씨[5]
출생 1891년 3월 8일[6]
전라도 여산도호부 천서면 진사리
(현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가람1길 64-8)[7]
사망 1968년 11월 29일 (향년 78세)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 574 진사마을
묘소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 산169[8]
가족 할아버지 이조흥[9]
아버지 이채(李倸), 어머니 윤병(尹炳)
배우자 김수(金洙)
숙부 이신(李信), 이정(李侹)[10]
남동생 이병석(李秉釋)[11]
장녀 이순희(李順熙)[12]
장남 이동희(李東熙)[13]
차녀 이한희(李漢熙)[14]
차남 이경희(李京熙)[15]
삼남 이종희(李宗熙)[16]
학력 전주공립보통학교[17] (졸업)
관립한성사범학교[18] (졸업)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건국포장
공로패(한글반포 516주년 세종문화큰잔치)
문화포장
학술원공로상

1. 개요2. 생애3. 일기

[clearfix]

1. 개요

1920년 1월 3일(토) …… 환형(=이규영)은 나의 정든 벗 가운데 하나다. …(중략)… 그 다음으로는 서로 왔다 갔다 하면서 우리 글 연구도 하고 조선어 발행 계획도 꾀하여 보아, 날과 달이 가고 갈수록 정과 의가 깊어졌다.
1921년 11월 3일(목)한별(= 권덕규)이 조선어사전을 짓자고 말한다. 나도 좋도록 해보자고 하였다.
1921년 11월 26일(토) 권덕규(權悳奎), 임경재(任暻宰) 들과 휘문의숙(徽文義塾)에서 조선어연구회 발기회(發起會)를 열었다.
1942년 10월 22일(목) 오전 6시 함남경찰부(咸南警察部) 형사와 종로서(鐘路署) 형사가 와 수색하여 <조선말본>과 휴지 등을 뽑고, 조반을 재촉하여 먹이고 가자 하여 나섰다.
이병기의 일기에 기록된 내용中
그대 괴로운 숨 지고 이어 가려하나
좁은 가슴 안에 나날히 돋는 시름
회도는 실꾸리 같이 감기기만 하여라
이병기 시조 「시름」中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국문학자, 국어학자, 시인, 교육자. 호는 가람.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문학과 음악이 혼재된 장르였던 고시조와 음악적 자질을 갖고 있지 않은 현대시조의 변별에 획을 그은 대표적인 인물로, 시조의 이론을 정립하여 고시조와 현대시조를 구분 가능하게 한 선구자이다.[19]

오늘날 이병기 하면 시조시인의 자질을 먼저 떠올리지만, 무엇보다 우리말 강의와 수호 운동 등에 적극 참여한 동립유공자이다. 1922년 10월 13일부터 조선어 과목이 폐지된 1938년 3월 31일까지 조선어 선생으로 활동했으며 권덕규, 임경재 등과 함께 조선어연구회를 설립하고 간사로 활동하는 등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활동했는지 일기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작은아버지 이정(李侹)과 첫째 남동생 이병석(李秉釋)도 독립유공자에 서훈되었다.

2. 생애

1891년 3월 5일 전라도 여산도호부 천서면 진사리(현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여산면 가람1길 64-8) ) 수우재(守愚齋)에서 변호사로 근무하던 아버지 이채(李倸, 1868. 4. 17 ~ 1948. 11. 4)[20]와 어머니 윤병(尹炳, 1864. 6. 11 ~ 1933. 9. 17)[21] 사이의 6남 6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22] 1906년 3월 성년식을 치르고[23] 김수(金洙)[24]와 12월 5일 결혼했다.
파일:젊은 시절의 가람 이병기 선생.jpg
젊은 시절의 이병기

1897년~1908년 고향 사숙에서 한문을 수학하다가 1910년 전주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13년 관립한성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사범학교 재학 중이던 1912년 1월 21일부터 조선어강습원 중등과에서 주시경으로부터 조선어문법을 배웠으며, 이를 계기로 한문으로 적던 일기를 순 국문으로 쓰기 시작했다.

졸업 후 1913년 경기도 화성시 남양공립보통학교(현 남양초등학교) 훈도에 발령[25]된 것을 시작으로 1914년 4월~1917년 7월 전주제2공립보통학교(현 전주완산초등학교) 훈도, 1917년 8월~1919년 3월 여산공립보통학교 훈도 등 교사생활을 하였다. 이때부터 국어국문학 및 국사에 관한 문헌을 수집하는 한편, 시조를 중심으로 시가문학을 연구, 창작하였다. 당시 수집한 책들은 1963년 5월 24일 서울대학교에 기증하여 중앙도서관에 '가람문고'가 설치되는 계기가 된다.

과거 이규영과 조선어사전 계획을 꾀하나 1920년 1월 3일 이규영이 사망하고, 이후 1921년 11월 3일 권덕규의 제안으로 조선어사전 편찬을 계획하여, 같은해 11월 26일 휘문의숙에서 김윤경· 최현배· 최두선 등 16명의 유지와 함께 조선어연구회를 창립하고 그 해 12월 3일부터 1930년 1월 5일까지 간사직을 맡아 활동했다. 1922년부터는 동광고등보통학교· 휘문고등보통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이때부터 시조 연구에 주력했다.

1930년 12월 13일 조선어연구회 한글철자법 제정위원이 되었고, 연희전문학교· 보성전문학교의 강사를 겸하면서 조선문학을 강의하다가 1942년 10월 22일 조선어학회 사건에 연루되어 함남경찰서와 종로경찰서 형사에게 연행 구속된 후 홍원 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고, 1943년 9월 18일 기소유예로 함흥형무소에서 출감했다. 출감 이후 강도 높은 감시와 협박으로 1944년 3월 30일 계동 가옥을 매매하고 낙향했다.
파일:조선어학회 회원 등과 함께.jpg
1945년 11월 13일 조선어학회 회원 등과 함께 찍은 사진(앞줄 좌측 두번째 이병기)

8.15 광복 후 1946년부터 서울대학교 교수 및 각 대학 강사로 재직했다. 6.25 전쟁 당시에는 전라북도 전시연합대학 교수를 지내기도 했으며, 이후 1952년 9월 5일부터 전북대학교 제 1대 및 제 2대 문리대학장을 지내다 1956년 8월 13일 정년퇴임하였다. 이후 중앙대와 서울대 대학원 강사로 활동했다.
파일:국립 전북대학교 문리과대학 졸업기념.jpg
1955년 3월 19일 국립전북대학교 문리과대학 졸업기념 사진(앞줄 좌측 여덟번째 이병기)

그러다가 1957년 10월 9일 한글날 기념행사 『우리말큰사전』 출간기념회에 참여하고 집으로 돌아가던 도중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인근에서 뇌일혈로 갑작스럽게 졸도하여 1958년 3월 31일에 모든 강단직을 사임하고 생가가 있는 여산으로 귀향했으며, 이후 10여 년 간 투병생활을 지속하다가 1968년 11월 28일 새벽 3시 향년 78세로 전라북도 익산군 여산면 원수리 자택에서 별세했다.

평생을 시조 혁신을 위해 노력하였다. 한편으로 수필도 많이 남겼다. 그의 시조를 이수인이 가곡하여 노래로 만든 이 있는데 현재까지도 교과서에 실리는 등 인기가 있는 가곡이다.

1969년 11월 19일 가람 이병기 서거 1주년을 기념하여 가람시비 건립이 계획되고[26], 30일 전주시 다가공원에 가람시비가 건립되었다.
1990년 12월 16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 받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으며, 1993년 6월 1일에 국가유공자로 지정되었다.
2017년 10월 14일 가람 이병기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익산시에서 가람 이병기 선생의 생가 옆에 가람문학관[27]을 건립했다.

3. 일기

1909년 4월 13일부터 1966년 6월 18일까지 무려 57년 동안 일기를 썼다. 1917년 3월 31일까지는 한문으로, 이후 1919년 4월 14일부터 순한글로 작성하다가 1926년 5월 1일부터는 국한문 혼용으로 작성했다. 일기의 일부가 1976년 『가람일기』라는 제목으로 신구문화사에서 출판[28]되었으나 절판되었다가, 2019년 일기 전체가 전북대학교 개교 70주년 기념『가람 이병기 전집』에 수록되었다.

[1] 가람문학관 유물 소장품에 따르면, 과거에는 'Yi Byong gi(1950년대)'와 'Lee Pyung Kie(1955)'로 표기했었다. [2] 일기의 기록에 따르면, 순우리말에 따온 것으로 무궁·진실·조화 세 가지 뜻을 붙여 지었다고 한다. 여기에는 1920년 7월 31일 수당(壽堂)이 이병기에게 '임당(任堂)'이라는 호를 지어주었으나, 이미 '가람'이라는 호를 마음에 두었으니 한문으로 표기할 적에는 '任堂'으로 표기하겠다는 대화를 나눈 기록이 같이 적혀있다.(그러나 가람의 낙관에는 '嘉藍'이 새겨져 있다) 이와 같은 까닭으로 과거에 출판된 시조집 등 대부분이 한문이 아닌 순우리말 '가람'으로 표기되어 나왔으며, 현대에 이병기의 호를 소개할 때에도 순 우리말로 표기하는 것이 가장 올바르다. [3] 1944년 4월 3일 서울 계동에서 이병기가 걸은 문지방 현판의 이름이 '매화옥(梅花屋) 가남(柯南)'이며, 그곳에서 거주할 때 쓰던 낙관에는 '매화옥진완(梅花屋珍玩)이라고 새겨져 있다. 이 호는 거의 쓰지 않았다. [4] 자신의 본가가 여산에 있는 수우재라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낙관에 새긴 '용화산인장(龍華山印藏)'이 있다. [5] #. 소부감판사공파(小府監判事公派)-사우당공파(四友堂公派) 25세 병(秉) 항렬. 아버지 이채(李倸, 1868. 4. 17 ~ 1948. 11. 4)는 24세 人변(외자) 항렬. [6] 음력 1월 28일 [7] 해당 주소에 현재까지 그의 생가가 보존되어 있다. # [8] 생가 바로 뒤에 있으며, 위성사진으로도 잘 보인다. [9] 아호 : 동우(東愚) [10] 1884.10.26.~1925.03.24. [11] 1894~1930 [12] 1908.07.10. 출생 [13] 1924.04.14. 출생, 1943년 이후로 학도병에 지원하지 않는 학생은 강제로 휴학시켜 징용하였는데, 일기의 기록에 따르면 이병기의 장남은 1944년 8월 28일 입영통지서 수취 및 같은해 9월 6일 현역병증서가 와 10일 조선군 제12부대 치중병(나남)으로 입영했다. 같은해 9월 25일 히로시마시 서부10부대 제3반에 있다는 편지가 도착하는데, 이 소식을 마지막으로 실종되었다. 가람 일기에는 히로시마로 징병되었던 임경규(林炅圭)에게 1945년 11월 3일에는 이동희가 8월 전에 중국 지방으로 출정했다는 이야기를, 21일에는 히로시마 원자폭탄이 떨어진 날 제10부대(이동희가 있던 곳)에도 사망자가 있었다는 진술을 들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나 이후 소식을 듣거나 찾았다는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다. [14] 1926.04.16. 출생 [15] 1929.08.23. 출생 [16] 1932.04.21. 출생 [17] 1909.04.16.~1910.04.16., 4학년으로 입학했다. [18] 1910.04.16.~1913.03.23. [19] 이와 같은 이유로 '현대시조의 아버지'라고도 불린다. [20] 대한제국·일제강점기 초기에 활동한 여산 지역의 유지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1907년 7월 호남학회의 3차모임에서 회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09년 1월 호남학회 전북지회 여산 임원으로 찬성회에서 학회 후원 및 전북 지방 교육문제에 대한 연설회를 가졌고, 같은 해 2월 전라북도 시찰위원으로 각 학교 시찰 및 의연금 모집 활동을 벌였다. 1919년 3월 10일 이병기의 숙부인 이정(李侹), 중부인 이신(李信), 동생 이병석(李秉釋)과 함께 익산군 여산면에서 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체포되었었다. 1922년 6월 여산금융조합(礪山金融組合) 감사에 선출되어 취임했다. [21] 파평 윤씨, 윤상훈(尹相勳)의 딸이다. [22] 인조 의정부 좌찬성을 지낸 이귀의 11대손이다. [23] 이 관례를 치르기 위해 조부 이조흥이 승운정자(勝雲亭子)를 지었다. [24] 충정남도 논산군 두마면 은동(隱洞)의 광산 김씨 [25] 1913년 4월~1914년 4월 [26] 가람선생시비 건립추진위원회가 개설되었으며, 신석정 시인이 위원회에 참여했다. [27] 현충시설 관리번호 51-1-62, 공립문학관 지정번호 전북-공립21-2019-6 [28] 이 과정에서 일기 원본이 낙서 등으로 상당수 훼손되었고 두 권은 유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