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11, #a11 20%, #a11 80%, #a11);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단장 | |||
김원봉 | ||||
고문 | ||||
김대지 | 황상규 | |||
단원 | ||||
강세우 | 강인수 | 고인덕 | 곽재기 | |
권정필 | 권준 | 김광추 | 김기득 | |
김방우 | 김병현 | 김상옥 | 김상윤 | |
김성숙 | 김시현 | 김익상 | 김지섭 | |
김철호 | 나석주 | 남정각 | 박문희 | |
박자혜 | 박재혁 | 박차정 | 박희광 | |
배동선 | 배중세 | 배치문 | 서상락 | |
송천흠 | 신악 | 신영삼 | 신채호 | |
신철휴 |
|
유자명 | 윤세주 | |
윤치형 | 이구연 | 이병철 | 이병희 | |
이성우 | 이수택 | 이육사 | 이종암 | |
이태준 | 정이소 | 최수봉 | 황옥불확실 | |
최용덕 | 한봉근 | 한봉인 | 홍가륵 | |
유시태 | 이원대 | 이원기 | 윤병구 | |
유석현 | 정율성불확실 | 문시환 | 이춘암 | |
공약 10조
|
||||
5파괴 | ||||
7가살 | ||||
조선혁명선언 • 황옥 경부 폭탄사건 | }}}}}}}}} |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박희광, 김광추와 함께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의용군 제5중대 3인조 암살단(친일파 토벌대)중 1인이다.2. 생애
1924년 6월 1일에 윤영기의 안내로 중국 무순 방면의 고등계 첩자이며 무순조선인회 악질 친일파 정갑주(鄭甲周)와 그 가족을 현장에서 암살하며 사형 선고문을 붙이는 공을 세운다1924년 6월 7일 봉천성 보민회 회장 최정규 암살을 시도하였으나, 최정규가 숨어 최정규 암살은 실패, 그의 장모 이씨는 현장에서 살해, 처 허균은 총상을 입혔다(처는 총상후 몇 일뒤 사망하였다.)
1924년 6월 7일 김광추, 박희광과 함께 봉천 일본총영사관에 폭탄을 투척하였으나 불발로 실패하였다.
저녁 금정관(金正館)에서 군자금을 삼백원을 받아 나오다 중국관헌에게 김병현, 박희광은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김광추는 달아나 조선인 집에 숨어서 군자금을 모금하다가 몇 일뒤 일본 밀정의 밀고로 일본경찰에 발각되어 총격전 끝에 현장에서 순국하였다.[1]
김병현, 박희광의 체포 현장에서 증거물로 권총 세자루, 실탄 160발, 폭탄 한 개, 사형 선고문 여러장을 압수했으며, 체포된 박희광과 김병현은 중국관헌, 일본영사관으로 인도되었다가 관동청지방법원의 재판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혹독한 고문을 당하면서도 조직과 조직원의 보호를 위해 비밀을 지켜냈다.
1943년까지 뤼순형무소에서 신채호, 이회영, 우덕순, 박희광 등과 함께 수감 생활을 했었다.
[1]
김광추는 총격전을 벌이다 현장에서 순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