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6 16:31:44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rowcolor=#fff> ' 기하학· 위상수학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평면기하학에 대한 내용은 틀:평면기하학 참고.
기본 대상
공리 유클리드 기하학 · 비유클리드 기하학
도형 기본 도형 평면 · 부피 · 꼬인 위치 · 각기둥 · 각뿔 · 원기둥 · 원뿔 · ( 공 모양) · 전개도 · 겨냥도 · 다면체 ( 정다면체) · 정사영 · 대칭( 선대칭 · 점대칭)
곡면 타원면 · 타원포물면 · 쌍곡포물면 · 원환면
프랙털 도형 시에르핀스키 삼각형 · 시에르핀스키 사각형( 멩거 스펀지) · 망델브로 집합 · 코흐 곡선 · 드래곤 커브
기타 다포체 · 초구 · 준구 · 일각형 · 이각형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대수기하학 대수다양체 · · 스킴 · 에탈 코호몰로지 · 모티브 · 타원곡선
미분기하학 미분다양체 · 측지선 · 곡률( 스칼라 곡률 · 리만-크리스토펠 곡률 텐서 · 리치 텐서) · 열률 · 텐서 · 쌍곡 공간( 쌍곡삼각형 · 푸앵카레 원반) · 타원 공간( 구면삼각형) · 아핀접속
위상수학 위상 공간 유계 · 옹골 집합 · 다양체 · 택시 거리 공간 · 연결 공간 ·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위상도형 사영평면 · 뫼비우스의 띠 · 클라인의 병 · 매듭( /목록)
주요 성질·정리 분리공리 · 우리손 거리화정리( 우리손 보조정리) · 베르 범주 정리
대수적 위상수학 호모토피 · 사슬 복합체 · 호몰로지 이론( 호몰로지 · 코호몰로지) · 사상류 군 · 닐센-서스턴 분류
기타 차원 · 좌표계 · 거리함수 · 그물 ·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건너기 문제 · 사이클로이드
정리·추측
실베스터-갈라이 정리 · 해안선 역설 · 바나흐-타르스키 역설 · 라이데마이스터 변환 · 오일러 지표 · 푸앵카레 정리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호지 추측미해결 · 버츠와 스위너톤-다이어 추측미해결
분야
논증기하학 · 대수기하학 · 미분기하학 · 해석 기하학 · 매듭이론 · 프랙털 이론 · 정보기하학 · 위상 데이터분석 }}}}}}}}}

삼각함수 · 쌍곡선함수
Trigonometric Functions · Hyperbolic Func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080b0> 기본 개념 기하학{ 평면기하학( 삼각형 · 삼각비 · · 쌍곡선)} · 해석학{ 좌표계 · 복소평면 · 함수( 초월함수 · 특수함수)}
삼각함수 사인곡선(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 역함수 · 도함수 · 역도함수 · 관련 함수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 오일러 공식 · 푸리에 해석( 푸리에 변환) · 삼각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프레넬 적분 함수 · 디리클레 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함수 · 볼테라 함수 · 에어리 함수 · 야코비 타원 함수
쌍곡선함수 현수선 · 쌍곡선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1. 개요2. 정의3. 개형4. 성질5. 의의

1. 개요

topologist's sine curve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이란 2차원 공간 [math(\mathbb R^2)] 위에 정의된 특수한 집합으로, 연결 공간이지만 경로 연결 공간이 아닌 대표적인 예시이다.


베이스 드럼 소리 파형이 이것과 비슷하게 생겼다.

2. 정의

함수 [math(f: \mathbb R - \left\{ 0 \right\} \to \mathbb R)]를

[math(f(x) = \sin \dfrac 1x)]

라고 정의하자. 이 때 [math(f)]의 그래프 [math(T \subset \mathbb R^2)]은 다음과 같다.

[math(T = \left\{ (x, f(x)) \in \mathbb R^2 | x \in (0, 1] \right\} = \left\{ \left( x, \sin \dfrac 1x \right) \in \mathbb R^2 \ \bigg| \ x \in (0, 1] \right\})]

여기서 [math(T \subset \mathbb R^2)]의 폐포

[math(\overline T = \left\{ \left( x, \sin \dfrac 1x \right) \bigg| \ x \in (0, 1] \right\} \bigcup \left\{ (0, y) \ | \ y \in [-1, 1] \right\} \subset \mathbb R^2)]

을 위상수학자의 사인 곡선이라고 부른다.

3. 개형

파일:topologist's sine curve.png
위상수학자의 사인 곡선의 개형. Wolfram Alpha
[math(\displaystyle \begin{cases} \begin{aligned}
\sin \theta = 0 & \Leftrightarrow \theta = n \pi, & \textsf{for some }n \in \mathbb Z \\ \sin \theta = 1 & \Leftrightarrow \theta = \left(2n + \dfrac 12 \right) \pi, & \textsf{for some }n \in \mathbb Z \\ \sin \theta = -1 & \Leftrightarrow \theta = \left(2n + \dfrac 32 \right) \pi, & \textsf{for some }n \in \mathbb Z
\end{aligned} \end{cases} )]
이므로, [math(\overline T)]는 [math(\left( \dfrac 1{n \pi}, 0 \right))], [math(\left( \dfrac 1{\left(2n + 1/2 \right) \pi}, 1 \right))], [math(\left( \dfrac 1{\left(2n + 3/2 \right) \pi}, -1 \right))]([math(n \in \mathbb N)])와 같은 점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math(n)]이 [math(1)] 증가할 때마다, 사인 곡선 한 주기를 지나게 되므로 우리의 [math(\overline T)]는 [math(0)]으로 다가갈수록 주기가 짧아진다. 또 임의의 실수 [math(\gamma \in [-1, 1])]에 대하여 [math(\sin \phi = \gamma )]인 [math(\phi \in [0, 2 \pi])]가 존재하므로, 다음과 같은 [math(T)]의 부분집합을 생각할 수 있다.

[math(T_\gamma = \left\{ \left( \dfrac 1{2n \pi + \phi}, \gamma \right) \bigg| \ n \in \mathbb N \right\})]

[math(\lim \limits_{n \to \infty} \dfrac 1{2n \pi + \phi} = 0)]이므로, [math(T_\gamma )]의 폐포는 [math(\overline {T_\gamma } = T_\gamma \ \cup \ \left\{ (0, \gamma ) \right\})]이다. 따라서 [math(\lim \limits_{x \to 0+} f(x))]는 존재하지 않는다.

4. 성질

[보조정리 1]
[math(\overline T)]는 연결 공간이다.
[ 증명 ]
우선, [math(T)]가 경로 연결 공간임을 보이자. [math(T)] 위의 임의의 두 점이 [math(\left( x, \sin \dfrac 1x \right))], [math(\left( y, \sin \dfrac 1y \right))]일 때, 경로 [math(f: I = [0, 1] \to T)]를

[math(f(t) := \left( x + t(y - x), \sin \dfrac 1{x + t(y - x)} \right))]

로 놓으면 [math(f)]가 두 점 사이의 경로를 준다.
이제 곡선 [math(T)]가 경로 연결 공간이므로, [math(T)]는 자연스럽게 연결 공간이 된다.[1] 연결 공간의 폐포도 연결 공간이므로, [math(\overline T)]는 연결 공간이다.
[보조정리 2]
[math(\overline T)]는 경로 연결 공간이 아니다.
[ 증명 ]
결론을 부정하여 [math(\overline T)]가 경로 연결 공간이라고 하자. 그러면, [math(\overline T)]의 점 [math(f(0) = (0, 1))]과 [math(f(1) = (1, \sin 1))]을 잇는 경로 [math(f: I = [0, 1] \to \overline T)]가 존재한다. 경로 [math(f)]는 2차원 공간 [math(\mathbb R^2)]를 공역으로 갖는 연속함수이므로, [math(x)]축 및 [math(y)]축에 해당하는 성분함수 [math(f_1: I = [0, 1] \to \mathbb R)]와 [math(f_2: I = [0, 1] \to \mathbb R)]도 연속함수이다.

이제 [math(\overline T)]의 닫힌 부분집합 [math(\left\{ 0 \right\} \times I \subset \overline T)]를 생각하면, 역상 [math(f^{-1}(\left\{ 0 \right\} \times I))]도 [math(I)]의 닫힌 부분집합 이어야 한다. 한편 실수의 유계이면서 닫힌 부분집합은 최댓값을 가지므로, [math(\alpha = \sup f^{-1}(\left\{ 0 \right\} \times I))]라 놓을 때 [math(f(\alpha ) = (0, \beta ) \in \left\{ 0 \right\} \times I)]이다.

다음으로 [math(\gamma \in I - \left\{ \beta \right\})]인 [math(\gamma)]를 고르고, [math(\sin \phi = \gamma )]인 [math(\phi \in [0, 2 \pi])]를 택하자. [math(\alpha < 1)]이므로, [math(\alpha < \alpha' < 1)]인 [math(\alpha')]를 아무거나 고르자. [math(\alpha' > \alpha)]이므로 [math(f_1(\alpha') > 0)]이다. 따라서 중간값 정리에 의해 [math(f_1([\alpha, \alpha']))]은 [math(\left[ 0, f_1(\alpha') \right])]의 모든 값을 가지며, 이 중에는 특별히 [math(\dfrac 1{2n \pi + \phi})]와 같은 수들이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math(f([\alpha, \alpha']))]는 무수히 많은 [math(\left( \dfrac 1{2n \pi + \phi}, \gamma \right))]를 가진다. 이 집합의 극한점은 [math((0, \gamma))]인데, 구간 [math([\alpha, \alpha'])]가 닫힌 집합이므로 [math((0, \gamma) \in f([\alpha, \alpha']))]이다. 그런데 [math([\alpha, \alpha'])]의 점 중에서 [math(\alpha)]를 제외한 점들은 전부 [math(x)]좌표가 양수이므로 [math((0, \gamma))]가 될 수 있는 것은 [math(\alpha)] 뿐이다. 그러나, [math(f(\alpha ) = (0, \beta ) \neq (0, \gamma))] 이므로 모순을 얻는다.

종합하면 귀류법의 가정이 잘못되었으며, [math(\overline T)]는 경로 연결 공간이 아니라는 결론을 얻는다.

5. 의의

이 집합의 존재로 인해, 연결 공간 경로 연결 공간은 같은 개념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추가로 모든 경로 연결 공간이 국소 경로 연결(locally path connected)[2]이지는 않다는 것을 보일 때에도 이 곡선이 사용된다. 다만 약간 변형된 버전이 사용된다. 위 곡선에서 오른쪽의 사인곡선을 적당한 중간에서 자른 다음, 자른 지점으로부터 빙 돌아 반대쪽 수직 선분 위의 아무 점을 잇는 곡선을 하나 그리자. 이 추가로 빙 돈 경로 덕분에 이제 전체 곡선은 경로 연결 공간이 되었지만, 국소 경로 연결은 아니다.[3]


[1] 이는 단위 구간 [math(I = [0, 1])]이 연결 공간이므로 성립한다. [2] 임의의 점 [math(p)]와 [math(p)]의 임의의 열린 근방(open neighborhood)에 대하여 그 근방에 포함되는 경로 연결인 [math(p)]의 열린 근방이 존재하면, 그리고 그럴 때에만 해당 공간을 국소 경로 연결이라고 부른다. 동치인 조건으로는 그 공간의 모든 경로 연결 성분이 열린 집합인 것이다. [3] 사인곡선의 적당한 부분을 지워서 (심지어 점 하나만 지워서) 얻은 열린 집합은 원래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과 별반 다를 게 없는, 따라서 경로 연결이 아닌 열린 집합이게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