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함수 Special Function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적분 | 오차함수(error function) · 베타 함수( 불완전 베타 함수) · 감마 함수( 불완전 감마 함수 · 로그 감마 함수) · 타원 적분 · 야코비 타원 함수 · 지수 적분 함수 · 로그 적분 함수 · 삼각 적분 함수 · 쌍곡선 적분 함수 · 프레넬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미분방정식 | 르장드르 함수* · 구면 조화 함수 · 베셀 함수 · 에르미트 함수 · 라게르 함수 · 에어리 함수 | |
역함수 | 브링 근호 · 람베르트 [math(W)] 함수 · 역삼각함수 | |
급수 | 제타 함수 · 세타 함수 · 초기하함수 · 폴리로그함수 · 바이어슈트라스 타원 함수 | |
정수론 | 소수 계량 함수 · 소인수 계량 함수 · 뫼비우스 함수 · 최대공약수 · 최소공배수 · 약수 함수 · 오일러 파이 함수 · 폰 망골트 함수 · 체비쇼프 함수 · 바쁜 비버 함수 | |
기타 |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 · 부호 함수 · 테트레이션( 무한 지수 탑 함수) · 집합 판별 함수 · 바닥함수 / 천장함수 · 허수지수함수 · 혹 함수 | |
* 특수함수가 아니라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항함수이지만, 편의상 이곳에 기술했다. | }}}}}}}}}}}} |
삼각함수 ·
쌍곡선함수 Trigonometric Functions · Hyperbolic Function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기본 개념 | 삼각형 · 삼각비 · 원 · 쌍곡선 |
삼각함수 | 사인곡선( 위상수학자의 사인곡선) · 역함수 · 도함수 · 역도함수 · 관련 함수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 오일러 공식 · 푸리에 해석( 푸리에 변환) · 삼각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프레넬 적분 함수 · 디리클레 함수 · 볼테라 함수 · 에어리 함수 · 야코비 타원 함수 | |
쌍곡선함수 | 현수선 · 쌍곡선 적분 함수 · 구데르만 함수 | }}}}}}}}} |
[math(\displaystyle \frac{{\rm d}^2y}{{\rm d}x^2}-xy=0 )]
위 미분방정식의 해 [math(y)]는 두 선형독립의 해 [math(\mathrm{Ai}(x))], [math(\mathrm{Bi}(x))]의 선형 결합으로 쓸 수 있는데, 이때 두 선형독립의 해를 에어리 함수(Airy function)라 하며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ath(\exp{x} = e^{x})]이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athrm{Ai}(x) &= \frac1{\pi} \int_0^{\infty} \cos \biggl( \frac{t^3}3 +tx \biggr) {\rm d}t \\
\mathrm{Bi}(x) &= \frac1{\pi} \int_0^{\infty} \biggl( \exp \biggl( -\frac{t^3}{3} +tx \biggr) + \sin \biggl( \frac{t^3}3 +tx \biggr) \!\biggr) {\rm d}t \end{aligned} )]
다음은 에어리 함수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에어리 함수는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
- [math(\mathbf{Ai}\boldsymbol{(x)})]
- 이 함수의 경우 0이 아닌 함숫값[1]이 대부분 [math(x<0)] 영역에 쏠려 있다는 특징이 있다.
- [math(\displaystyle \lim_{x \to \infty} \mathrm{Ai}(x)=0)]이다.
- [math(\displaystyle \lim_{x \to -\infty} \mathrm{Ai}(x)=0)]이다.
- [math(y)]절편은 [math(\displaystyle \frac1{2\sqrt[6]3\pi} \,\Gamma\biggl(\frac13\biggr))]이다.[A]
- [math(\mathbf{Bi}\boldsymbol{(x)})]
- [math(\displaystyle \lim_{x \to \infty} \mathrm{Bi}(x)=\infty)]이다.
- [math(\displaystyle \lim_{x \to -\infty} \mathrm{Bi}(x)=0)]이다.
- [math(y)]절편은 [math(\displaystyle \frac{\sqrt[3]3}{2\pi} \,\Gamma\biggl(\frac13\biggr))]이다.[A]
- 두 함수 모두 [math(x<0)] 영역에서는 진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 함수는 양자역학에서 WKB 근사법을 다룰 때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