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 동아시아 |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 ||
동남아시아 |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 |||
남아시아 |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 |||
서아시아 |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 |||
중앙아시아 |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 서유럽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 ||
남유럽 |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슬로베니아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중유럽 |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 |||
북유럽 |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 북아메리카 |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 ||
카리브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중앙아메리카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 |||
남아메리카 |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 북아프리카 |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 ||
남아프리카 |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 |||
서아프리카 |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 |||
동아프리카 |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 |||
중앙아프리카 |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
<colbgcolor=#eee,#000> 오스트랄라시아 | 뉴질랜드 · 호주 | ||
멜라네시아 |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 |||
미크로네시아 |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 |||
폴리네시아 |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003580> 상징 | <colcolor=#000,#fff> 국가 · 국기 |
역사 | 역사 전반 · 핀란드 대공국 · 핀란드 왕국 · 핀란드 내전 · 겨울전쟁 · 계속전쟁 · 라플란드 전쟁 | |
정치 | 정치 전반 · 핀란드 대통령 · 핀란드 총리 · 핀란드 의회 · 정부 · 핀란드/행정구역 | |
외교 | 외교 전반 · 핀란드 여권 · 유럽연합 · 북유럽 협의회 · 북극이사회 · 파시키비-케코넨 독트린 · 핀란드화 | |
경제 |
경제 전반 · |
|
교통 | 철도 환경( 노선) · 헬싱키 노면전차 · 헬싱키 지하철 · 탐페레 노면전차 · 고속도로 · 국도 | |
국방 | 핀란드군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징병제/핀란드 | |
치안·사법 | 핀란드 경찰 | |
교육 | 교육 전반 · 윌리오필라스툿킨토 · 헬싱키 대학교 · 알토 대학교 | |
언어 | 핀란드어 · 스웨덴어 · 사미어 · 카렐리야어 · 발트핀어군 | |
문화 | 요리 ·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핀란드 신화 · 칼레발라 · 핀란디아( 장 시벨리우스) · 자일리톨 · 헤스버거 · 사우나 · 무민 · 산타클로스 · 킬유 · 살미아키 · Ievan Polkka · 요우힉코 · 헤비사우르스 · 나이트위시 · 스트라토바리우스 · 루터교회( 핀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 |
민족 | 핀인 · 핀란드/인구 · 스웨덴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핀란드계 미국인 · 핀란드계 캐나다인 · 카렐인( 핀란드계 러시아인) · 핀란드계 스웨덴인 · 핀란드계 호주인 |
핀란드 방위군 Puolustusvoimat[1]| Försvarsmakten[2] Finnish Defense Forces, FDF |
|||
<colbgcolor=white> 국가 |
<colbgcolor=#fff,#1f2023> [[핀란드| ]][[틀:국기| ]][[틀:국기| ]] |
||
상비군 | 24,000명 | ||
예비군 | 900,000명[3] | ||
병역제도 | 징병제 | ||
방위군 총사령관 | 야네 알페르티 야콜라 대장 | ||
육군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white><colcolor=#003580> 전차 | 200대 | |
장갑차 (APCs/IFVs) |
1,246대 | ||
자주포 | 154문 | ||
다연장로켓 | 113문 | ||
수송 차량 | 2,058대 | }}}}}}}}} | |
해군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white><colcolor=#003580> 해군 전투함 총합 | 178척 | |
주력 수상함 | |||
초계함 | (+4척) | }}}}}}}}} | |
공군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white><colcolor=#003580> 5세대 전투기 | (+64기) | |
4세대 전투기 | 62기 | ||
항공기 총합 | 159기 | }}}}}}}}} | |
링크 | |||
| | | | |
[clearfix]
1. 개요
핀란드의 군대.2. 상세
냉전 당시에는 핀란드의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소련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하여( 핀란드화) 소련제 무기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서방의 다양한 무기들을 도입하여 사용한다. 다만 2023년 4월 4일 핀란드가 정식으로 나토 회원국이 되었으므로 군사편제 또한 서방식으로 완전히 개편될 가능성이 높다.핀란드군은 담당지역을 동부-남부-서부-북부 등 4곳으로 나뉘었고, 각 지역의 군대는 그 지역을 방위할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교리를 채택하고 있었다. 해당 4군데는 다시 지역방위사령부 22곳으로 갈라지는 구조였지만, 2024년 현재 군사지역 편제는 완전히 없어지고 12개의 지역방위구와 여단급 편제만 남아있다. 또한, 대부분의 군대는 전시 상황이 발생하면 상황에 맞춰 평시에 편성된 부대들을 기준으로 점점 규모가 불어나는 구조이지만 핀란드군은 전시 편성까지 미리 계획해두는 희한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춥지만 평화로운 나라라는 인식과 달리 의외로 징병제를 시행하는 나라로, 통합적 방어 독트린을 설정해두는 등 군의 업무권한과 관할범위가 크다.
이 독트린 안에는 일반적인 군사적 방어만이 아니라 더 넓은 의미로 방어라 할 수 있는 재난관리 등도 포함된다. 따라서 군이 타 국가의 재난관리청 임무를 맡아서 한다. 물론 외적이 침략하여 국가위기상황이 되었다면 모든 역량을 다하는 총력전 상태로 전환된다. 덤으로 국민 80%가 국토방위에 뛰고 싶어 하는데 이는 유럽 최고 상위귄이다.
이는 과거 핀인들의 역사적 사례에서 기인한다. 지금의 핀란드인들은 오랜 기간 동안 스웨덴 왕국의 영토로 지배받다가 19세기에는 러시아 제국에 의해 다시 식민지가 되었다. 러시아 제국이 러시아 혁명으로 사라지는 중 독립국가로 발돋움하였지만, 얼마 되지 않아 소련이 1939년 겨울전쟁을 일으키며 침략하였다. 이후 1941년 핀란드도 나치와 함께 계속전쟁으로 소련을 공격하였으나 원초적인 체급의 차이를 도저히 극복할 수 없었다.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는 한동안 핀란드를 신경 쓸 여지가 없었으나 블라디미르 푸틴이 러시아를 안정시키면서 팽창주의적 행보를 걸었고, 핀란드도 러시아를 잠재적 적성국가 취급하며 경계했다.
이렇다보니 영토 대비 적은 인구 수 때문에라도 추가적인 병력확충이 필요했고, 마찬가지로 러시아를 잠재적 적국으로 둔 옆나라 노르웨이, 스웨덴과 비슷한 이유로 징병제를 실시하여 지금까지 이어졌다. 그렇게 핀란드는 전쟁을 대비하는 한편 동시에 냉전 시기 핀란드는 소련의 비위를 맞추고( 핀란드화) 스웨덴과 함께 중립국을 표방하며 NATO에 가입하지 않았다. 이 모든 노력은 러시아를 자극하지 않으려는 목적이었다. 하지만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벌어지자 결국 핀란드는 기존의 중립노선을 포기하고 NATO에 공식 합류하였다. # 이에 러시아는 의도적으로 국경으로 불법난민을 유도하는 등의 하이브리드 위협을 시도 중이며.[4] 국경 인근의 핀란드 거주지역에서는 자체적으로 예비군을 훈련을 진행할 정도로 위기감이 고조되었다. 유튜브 링크
18세부터 병역 대상자가 되지만 학업이나 일, 질병 또는 기타 개인적인 사유로 28세가 될 때까지 군복무를 연기할 수 있다. 그러나 기간 연기로 인한 장기간 대기 사유로는 면제 받을 수는 없다.
의무복무 기간은 일반적인 보병은 6개월, 기술특기병은 9개월~1년, 예비역 부사관 장교 양성과정은 병과 불문 1년이다. 다른 유럽 징병제 국가들과 동일하게 현역이 부담스러운 인원들은 대체복무를 통해 사회복무요원으로 병역을 마무리 지을 수 있게 해두고 있다.[5] 또한 복무 후의 예비군 훈련도 대체복무 교육으로 대신할 수 있다. # 대체복무를 택할 시 의무복무 기간은 1년이며 실제로도 적지 않은 수의 핀란드 청년들이 대체복무를 선택하지만, 군대 다녀와야 남자라는 인식이 강하게 남아있는 편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일반 징병이 3~6개월 더 짧아서 그냥 현역 복무를 선택하곤 한다. 그 외에도 병역특례는 존재하지 않지만 '군사스포츠학교'를 두었고, 운동선수뿐 아니라 e스포츠 선수도 심사를 거쳐서 복무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징병제도 자체는 엄격히 유지 중이라 만약 대체복무까지 거부하면 복무 일을 제외, 가석방 없이 173일 동안 교도소에 수감된다. 징병법 이 때문에 핀란드 내에서도 징역형을 두고 비판이 상당하다.
현역 군인 총 3만 4700명 중에서 병역이행자를 제외한 직업군인은 8900명인데, 이들은 UN 평화유지군으로도 많이 나가 있다.
복무기간이 짧은 편이지만 복무 중의 훈련량은 상당한 편이다. 이들 역량에 대해서는 다른 유럽군대는 물론 미군도 높게 평가 할 정도인데, 의무복무기간 동안 거의 내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훈련을 하기 때문이라고. 아예 병사 한 명이 직무를 두 가지 이상 수행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데[6] 이는 인구가 적어서 병력 동원에 한계가 있다는 점과 유사시 동원된 인력을 더욱 유연하게 활용하기 위함 그리고 언급한 통합방어 독트린의 영향인 듯하다.
때문에 핀란드군은 그 구조 특성상 재난 및 충돌이 발생할 경우 해당 지역의 예비군들이 일차적인 방어선을 구축해줘야만 하는데, 이를 위해 수월하게 하기 위해 의무복무자들 중 일부를 선별해 부사관이나 장교로 양성한다. 이는 예비군들만으로도 빠르게 분대, 소대 단위의 탄탄한 하급 제대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참고로 이 징집형 간부들은 기초군사교육 8주를 마치고 함께 리더십 교육을 7주간 받은 뒤, 다시 12주에 걸쳐 각자 부사관과 위관급 장교 교육과정을 받아 임관하게 된다. 남은 의무 복무기간 동안은 새로운 징집병들과 함께 지내며 선도하고 감독하는 일을 맡게 된다고 한다. 징집형 간부들은 동일 계급의 직업군인과 비교해 해당 계급의 최후임자로 규정되는데, 이는 1년차 의무복무가 끝난 후에도 유지되는 규정이다. 그래서 훗날 훈련이나 실전, 재난 발생으로 예비군 소집이 이루어진다면 이들 간부 예비군들은 직업군인 간부들의 지시를 받아 병사 예비군들을 지휘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 간부 예비군 양성 제도도 위에서 언급 한 자체 예비군 훈련 강화와 함께 통합방 작계 진행을 위한 핀란드의 국방정책 방향성과 무관하지 않다.
전반적으로 핀란드군의 운영 및 병력양성 체계는 군사 훈련부분에 있어서는 독일의 전군 간부화, 의무복무자들 중 일부 선별하여 간부로 양성하는 체계는 싱가포르, 기본적으로 예비군 편성을 상정하고 징집한다는 점에서 스위스와 오스트리아의 민병제(의무 예비군 제도)와 유사한 부분이 많다.
다른 북유럽 국가들 그리고 독일 연방군과 함께 선진 징병제의 예시로 자주 꼽혔던 만큼 실제로도 병역이행자들에게 적절한 복지를 보장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주말외출은 물론이고 평일에도 일과가 끝나면 외출 및 출퇴근이 허가되는 등 내무생활 자체는 꽤 자유로운 분위기이다. 군 부대 음식은 초콜렛으로 유명한 핀란드의 외식업체 파제르(Fazer)社에서 공급하는데, 목요일마다 콩스프를 먹는 핀란드 문화 때문에 목요일에 하는 행군/훈련에는 콩 수프를 실은 트럭이 함께 이동한다고 한다. 핀란드 요리 문서 참조.
다만 이러한 자유도 보장과는 별개로 월급은 적다. 2020년 기준 복무기간 165일까지는 5.15유로, 166~255일까지는 8.6유로, 256~347일까지는 12유로[7]의 일급을 지급하는데 이를 30일로 환산 시 각각 154.5유로, 258유로, 360유로이다. 다시 원화로 환산하면 약 21만 원, 35만 원, 49만 원으로 한국군 병사 월급보다 적다.
2013년에는 징병제 폐지 발의안이 올라가기도 했으나 러시아 팽창주의와 노골적인 위협에 따른 노르웨이, 스웨덴의 징병제 부활을 이유로 기각되었고 오히려 2018년에는 여성징병제를 실시 여부가 논의되었다. #[8] 2024년 4월 1일부터 핀란드 방위군 총사령관으로서 직무를 시작한 야네 알페르티 야콜라 육군대장은 러시아의 핀란드 침공가능성은 낮지만, 기존의 병력유지를 위해 여정 징병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2024년 4월 4일 핀란드 공영방송 Yle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다른 유럽 국가와 마찬가지로 군인노조가 존재하며 2005년 4월에는 임금과 노동조건에 대한 단체 협약권을 얻기 위해 군사작전을 거부하는 일도 있었다.
징병제인 탓에 핀란드에서도 군생활은 한국과 비슷한 이미지다. 이런 게임도 나왔을 정도. 한국 군필자들도 PTSD가 올 만한 상세한 묘사가 일품이다.
3. 수뇌부
방위군대총장 | 국방장관 | 방위군 총사령관 |
|
|
|
Alexander Stubb 알렉산데르 스투브 대통령 |
Antti Häkkänen 안띠 핵캐넨 장관 |
Janne Jaakkola 육군대장 야네 야콜라 |
총참모장 | 육군사령관 | 해군사령관 |
|
|
|
Vesa Virtanen 육군중장 베사 비르타넨 |
Pasi Valimaki 중장 파시 벨리메키 |
Tuomas Tiilikainen 소장 투오마스 띠일리까이넨 |
공군사령관 |
''' 국경경비대사령관 '''
|
— |
|
|
|
Juha-Pekka Keränen 소장 유하-페카 케레넨 |
Pasi Kostamovaara 중장 파시 코스타모바라 |
통수권자를 방위군대총장(Puolustusvoimien ylipäällikkö)이라고 하며, 대통령이 겸직한다. 전시에는 대통령이 방위군대총장직과 통수권을 다른 사람에게 이양할 수 있다.
겨울전쟁 때 통수권을 이양받은 만네르헤임이 겨울전쟁이 끝난 뒤에도 통수권을 반납하지 않았기 때문에, 리스토 뤼티는 역대 핀란드 대통령 중 유일하게 통수권을 가져본 적이 없다(...).
각군 수장이 '참모(총)장'이 아니라 '사령관'을 칭한다. 3군총사령관인 방위군 총사령관이 군부의 수장이며, 총참모장은 방위군 총사령관의 보좌에 머무른다. 여러 가지로 옛날 독일식 직제.
4. 계급
자세한 내용은 핀란드군/계급 문서 참고하십시오.5. 구성
5.1. 육군
자세한 내용은 핀란드 육군 문서 참고하십시오.5.2. 해군
자세한 내용은 핀란드 해군 문서 참고하십시오.5.3. 공군
자세한 내용은 핀란드 공군 문서 참고하십시오.6. 장비
현대 핀란드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0px; word-break: keep-all" |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
|||
<colbgcolor=#FFF><colcolor=#002F6C> 개
인 화 기 |
<colbgcolor=#FFF><colcolor=#002F6C> '''[[소총| 소총 ]]'''
|
<colbgcolor=#FFF><colcolor=#002F6C> '''[[돌격소총| 돌격소총 ]]'''
|
7.62 Rk 95 TP | 7.62 Rk 62 TP | 7.62 Rk 62 76 TP | 7.62 Rk 72 TP | 7.62 Rk 56 TPS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7.62 Kiv 23 | 7.62 Tkiv 드라구노프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8.6 Tkiv M10 | 8.6 Tkiv 2000 | 7.62 Tkiv 23 | 7.62 Tkiv 85 | 12.7 RsTkiv 2000 | 12.7 Tkiv 2000 | |||
기관단총 | 9.00 Kp 2000 | |||
산탄총 | 12 Haul Rem 870 | |||
권총 | 9.00 Pist 2008 | 9.00 Pist 80-91 | 9.00 Pist SIG P225 | 9.00 Pist SIG P226 | |||
지
원 화 기 |
'''[[기관총| 기관총 ]]'''
|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
7.62 Kk MG3 | 7.62 PsvKk MAG | 7.62 Kk 딜런 | 7.62 Kk PKM | 7.62 KvKk 62 | |
'''[[기관총#s-5.1| 중기관총 ]]'''
|
12.7 ItKk 96 | 12.7 RsKk 2005 | |||
유탄발사기 | 40 KrPist 2002 | 40 KrKk 2005 | |||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
'''[[무반동총| 무반동포 ]]'''
|
95 S 58-61 무스티S | ||
로켓 | 66 KeS 12 (Rak/Pst) | 112 RsKeS APILAS | |||
미사일 | 참고: 틀:현대전/핀란드 유도무기 | |||
맨패즈 | ||||
박격포 | 81 Krh 96 | 81 Krh 71 Y | 120 Krh 92 | 81 Krh 13S | 120 Krh 85S | |||
견인포 | 155 K 98 | 155 K 83 | 152 K 89 | 122 H 63 | |||
'''[[특수부대| 특 ]]'''
수 전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5.56 Rk SCAR-L | |
기관단총 | 9.00 Kp 2000 Vaim | |||
권총 | 9.00 Pist 2003 | |||
기관총 | 5.56 Kk 미니미 | |||
대전차화기 | { AT4} | |||
'''[[폭발물| 폭 ]]'''
발 물 |
'''[[수류탄| 수류탄 ]]'''
|
살상탄 | M95 | M43 | |
연막탄 | Savuheite 80-16 | Merkkisavuheite 80-16 | 2 Savurasia 83-16 | |||
섬광탄 | M99 | Paukkuvaloheite 2 | Paukkuvaloheite 7 | |||
백린탄 | M95 | M83 | |||
지뢰 | 대인 | REP 12 | VP 2010 | VP 88 | ||
대차량 | KP 87 | KP 81 | VP 01 | VP 84 | |||
대전차 | MHPM 12 | POM 87 94 | POM 87 | TM 65 77 | |||
※ 윗첨자S: 비축 화기 ※ {중괄호}: 도입 예정 화기 |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 핀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
||
<colbgcolor=#FFF,#191919><colcolor=#002F6C> 기타전차 |
<colbgcolor=#FFF,#191919><colcolor=#002F6C> '''[[경전차| 경전차 ]]'''
|
PT-76BR | T-50 "삐꾸 소트카" C/R | T-38C/R | T-26 "비꾸"C/R | T-26ER | |
순항전차 | 코멧 Mk.I 모델 BR | ||
중형전차 | 4호전차 J형 "넬로넨/라비스틴"R | T-34-85 "핏카풋키넨 소트카"C/R | T-34-76 "소트카"C/R | T-28 "포스티바우누/포스티유나"C/R | ||
'''[[주력 전차| MBT ]]'''
|
'''[[1세대 전차| 1세대 ]]'''
|
T-55 → T-55MR | T-54-3R | |
'''[[2세대 전차| 2세대 ]]'''
|
T-72M1R | ||
'''[[3세대 전차| 3세대 ]]'''
|
레오파르트 2A4 | ||
3.5세대 | 레오파르트 2A6 | ||
'''[[장갑차| 장갑차 ]]'''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XA-180 · XA-185 · XA-203 OWS "파시" | XA-300 | XA-360 AMV | 시수 GTP | RG-32M | BTR-60(PA/PB/PUM)R | |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CV9030 FIN | BMP-2 → BMP-2MD FIN | MT-LB | MT-LBu | Bv 308 | Bv 206(S/D6N) | Bv 202R | NA-120GTR | BMP-1(TJ/TJJ)R | BTR-50(PK/PU/PUM/YVI)R | ATS-59R | GT-MSR | AT-SR | M2 하프트랙R | ||
차량 |
''' 초소형 '''
|
이륜차 야마하 WR250R | 링스 GLX 5900ATV 폴라리스 스포츠맨
|
|
소형 |
[[소형 전술차량| IMV ]]
랜드로버 디펜더 110 |
벤츠 G300 · G270 CDI |
UAZ-469R ·
UAZ-452R |
GAZ-69R민수용
벤츠 스프린터 |
VW 트랜스포터 |
토요타 하이럭스
|
||
트럭 |
군용 시수 A2045 · E15TP · E13TP · E11T · SA-130 · SA-150 · SA-240 · KB-45R · A-45R |
벤츠 제트로스 ·
유니목 |
DAF YA-4442 · MMLS |
KrAZ-255R | MAZ-537GR |
ZiL-131R · ZiL-157R |
GAZ-66R상용 시수 SK-250 · SK-181 |
스카니아 4시리즈 ·
PRT-레인지 |
벤츠 악트로스 ·
아테고 | 포드 템즈R
|
||
'''[[자주포| 자주포 ]]'''
|
''' 자주곡사포 '''
|
155 PsH 17 K-9FIN "모우카리" | 122 PsH 74 | BT-42R | |
'''[[자주평사포| 자주평사포 ]]'''
|
152 TelaK 91R | ||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
KrhPsajon XA-361 AMOS | NA-122 | ||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
채리어티어 Mk.VII 모델 BR | 3호 돌격포 G형 "수트루미"R | ||
다연장로켓 | 298 RsRakH 06 | 122 RakH 89 M1 | 122 RakH 76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자주대공포 ]]'''
|
ItPsv 레오파르트2 마크스맨 | ItPsv 90 마크스맨R | ItPsv SU-57-2R | |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
참고: 틀:현대전/핀란드 유도무기 | ||
지원 차량 | 구난차량 | BPz 2 | 사우루스 FLC 3 견인차 | |
공병차량 | PiPz 2 닥스 | 시수 RA-140 DS 지뢰제거차 | ||
교량차량 | 레오파르트 2L | 시수 E-15TP-L 레구안 가교부설트럭 | BLG-60M2 | MTU-20R | ||
건설기계 | PS 940 백호로더 | 발멧 702R트랙터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현대 핀란드 해군 함정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핀란드 해군 (1945~현재) Merivoivat | Marinen |
||
<colbgcolor=#FFF> [[잠수함|''' 잠수함 ''']]
|
<colbgcolor=#FFF> ''' SSK '''
|
베테히넨급R | 사우코R | |
[[어뢰정|''' 어뢰정 (PT) ''']]
|
타이스토급R | 후르야급R | 유무급R | ||
[[초계정|''' 초계정 ''']]
|
PB | 키이슬라급R | VMV급R | |
PG | 투룬마급 | 우시마급R | ||
[[고속정|''' 고속정 ''']]
|
''' PCF '''
|
R급R | 누올리급R | 바사마 I급R | |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
하미나급 | 라우마급 | 헬싱키급R | 투이마급R | 이스쿠급X/R | ||
[[초계함|''' 초계함 ''']]
|
''' PCE '''
|
투룬마급R | |
''' PCG '''
|
{ 포흐얀마급} | ||
해방함 | 배이내뫼이넨R | ||
[[호위함|''' 호위함 ''']]
|
''' FF '''
|
해민마급R(초대/1964) | 마티 쿠르키급R | |
''' 상륙정 '''
|
''' LCI '''
|
예후급 | 유르모급 | 우이스코급 | G급 | L급 | |
기뢰부설함 (MLS) | 해민마급(2대/1991) | 판시오급 | 포흐얀마급R(1978) | 케이하살라미급R | 루옷신살라미급R | 테플로호트급R | ||
[[소해함|''' 소해함 ''']]
|
''' {{{#!wiki style="margin: -0px -9px" '''
|
카탄파급 | |
''' MSC '''
|
쿠하급(2대/1974) | 키이스키급 | 쿠하급R(초대/1941) | 아흐벤급R | 라우투급R | ||
''' 지원함 '''
|
''' 수송함 (AP) '''
|
우토급 | L100급 | 발라스급 | 하우키급 | 캄펠라급 | 힐라급 | 로히급 | |
지원정 | 하우키파급 (YT) | ||
''' 무인함 '''
|
''' UUV '''
|
시폭스-I ROV | |
훈련함 | 파비안 레데급 | 로키급 | 헤이키급 | ||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X: 시험용 도입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현대 핀란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0px" |
<colbgcolor=#FFF,#191919>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
||
<colcolor=#002F6C> 회전익기 |
<colbgcolor=#FFF,#191919><colcolor=#002F6C> '''[[무장헬기| 경헬기 ]]'''
|
MD 500(D/E)■ | AB 206A 제트레인저■/R | MD 500(C/M)■/R | SE.3130 알루에트-II■/R | Mi-1■/R | |
''' 다목적 헬기 '''
|
NH90 TTH■ | Mi-8(P/PS/T)■/R | Mi-4■/R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발멧 피후리R | Bf 109 GR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뱀파이어 FB.52R | 냇 F.1R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MiG-21F-13R | J 35BS 드라켄R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J 35(FS/XS) 드라켄R | MiG-21bisR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
F-18(C/D) 호넷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 F-35A 라이트닝 II} | ||
폭격기 | Il-28R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리어젯-35A/S | MiG-21bis/TR | 냇 FR.1R | Il-28R "니키타"R | 펨브로크 C.53R | 포커 C.XR | |
전자 | C-295M SIGNT | 포커 F27-100 SIGINTR | ||
'''[[수송기| 수송기 ]]'''
|
''' 경량 '''
|
C-295M | PC-12NG | 포커 F27-400M 트룹십R | |
''' 전술 '''
|
C-47A 스카이트레인R | ||
다목적기 | PA-31-350 치프틴R · PA-31 나바호R | PA-28(R-200/RT-201) 애로우 II · IVR | 세스나 402BR | BN-2A 아일랜더R | DHC-2 비버 Mk.1R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극소형 패럿 아나피■ |
DJI 매빅■클래스 1 - 초소형 ADS 오비터-2B■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ADS-95 레인저■
|
||
''' 지원기 '''
|
''' 연락기 '''
|
비치 D17SR | Fi 156K-1R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G115E 튜터 | L-70 빈카R | L-90TP 레디고R | VL 툴리 (I~III)R | VL 비마R | VL 푸루R | Fw 44 J | |
제트 | 호크 (51/51A/66) | Sk 35CSR | MiG-21(U/UM/US)R | CM.170R 마지스테르R | MiG-15UTIR | 뱀파이어 T.55R | ||
표적예인 | 사브 91D 사피르R | 사브 B 17AR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핀란드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
||
<colbgcolor=#FFF><colcolor=#002F6C> | <colbgcolor=#FFF><colcolor=#002F6C> | 102 RsLPstOhj NLAW | PstOhj 2000(M) | PstOhj 83(MR/MA/MB) | PstOhj 82MR | PstOhj 82R | |
탑재형
|
기갑차량
빅커스 비질런트R
|
||
공대지
|
고정익기
AS.11R
|
||
'''[[지능탄| 유도포탄 ]]'''
|
지대지
|
BONUS 155 (155mm, K-9 FIN) | |
공대지 (ALCM)
|
AGM-158A JASSM | ||
함대함
|
{가브리엘 V} | RBS 15 Mk.(2/3) | P-15UR | ||
지대함
|
RO 06 | MTO 85(M) | MTO 66R | RO 63R | ||
'''[[어뢰| 어뢰 ]]'''
|
경어뢰
|
{Tp 47 SLWT} | Tp 45 | |
보병
ItO 15 |
ItO 05M |
ItO 86(M)R |
ItO 78R차량
ItO 05 (유니목 ASRAD)
|
|||
단거리
|
XA-181 ItO 90M | ||
중거리
|
ItO 12 NASAMS 2 | ItO 96R | ItO 79R | ||
장거리
|
{ 다비즈 슬링} | ||
''' 개함방공 '''
|
{ RIM-162C ESSM 블록 2} | 움콘토-IR Mk.2 | ||
단거리
|
AIM-9(M/X) 사이드와인더 | AIM-9(B/P-2)R | AIM-4(F/G) 팰콘R | R-60R | R-13MR | R-3SR | ||
''' 중장거리 '''
|
AIM-120(B/C-7) AMRAAM | ||
유도폭탄 | AGM-154C JSOW | GBU-(32/38) JDAM | ||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유도무기
|
}}}}}}}}} |
7. 출신 인물
8. 관련 문서
9. 외부 링크
- 영문 위키피디아
- 핀란드군 전반에 대한 정보, 부대약칭 정리표
- 편제 변천사
[1]
핀란드어로 정식 명칭은 '핀란드 방위군' (Suomen puolustusvoimat)이다.
[2]
스웨덴어 명칭이다. 똑같이 '핀란드 방위군' (Finlands försvarsmakten)이다.
[3]
최대 1,100,000여명 가용 가능
[4]
국립외교원 설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위협이란, '대규모의 군사력을 사용하지 않고, 공격 주체의 노출을 최소화하며, 공격의도를 은폐하면서 전략적 목적을 달성하려는 무정형 전략을 의미한다고 한다.
[5]
핀란드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선진국 징병제에서는 단순히 신체등급에 따라 현역, 사회복무요원을 결정하지는 않는다. 신체적 혹은 정신적 사유가 있다면 무조건 면제이고, 현역으로 갈 멀쩡한 인원이 다양한 이유로 군대 가기를 거부하면 그 대신 군대가 아닌 공공기관에서 노동력을 제공하여 대체복무할 수 있도록 선택권을 준다. 오히려 한국이 형평성을 핑계로 대체복무 제도를 장애인 징병으로 악용하는 것이다.
[6]
링크 된 영상의 인물은 한국에서 활동 중인
레오 란타. 종종 그의 방송에서 핀란드 군대 썰을 들을 수 있는데, 비슷한 처지의 한국인들은 공감 갈만한 내용이 나오고는 한다. 성인이 되면
군대로부터 초대장이 오는데 응답 안 하면 경찰이 찾아온다던가, 나름 열심히 했더니 높으신 분들이 불러서
직업군인 할 생각 없느냐고 묻는다던가 등등
#
[7]
#
[8]
노르웨이와 스웨덴은 징병제를 부활시키면서 여성도 병역이행자로 포함시켰다. 다만 노르웨이는 핀란드, 스웨덴보다는 안보에 여유가 있어 징병제가 말뿐이고 사실상 모병제로 군대가 운용되고 있으며, 스웨덴도 여성 징집 비율을 높이겠다고 선언한 것과 달리 여러 이유로 가급적 남성 위주로 징집을 하는 등 아직까진 여성 징집률이 높지는 않다.
[9]
예비군관구(사병),
예비군관구(장교)
[10]
1929년 ~ 2000년까지의 부대 목록,
2000년 이후의 부대 목록
[11]
제27엽병대대
[12]
부대 배치도(해당 문서 11, 20 페이지),
80년대 예비군관구
[13]
특수부대
[14]
해당 문서 255 페이지
[15]
중대급 부대 편제,
군관구 예하 부대 편제,
평시편성 2
[16]
50년대 부대 목록
[17]
해당 문서 259 페이지
[18]
부대 배치도 1,
부대 배치도 2,
역대 부대 목록,
연혁별 부대 목록,
항공관구 편제
[19]
해당 문서 마지막 페이지
[20]
2010년대 편제 2,
2010년대 편제 3
[21]
핀란드군 부대 단위
[22]
전시 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