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02 22:38:56

SVT-40

SVT
Самозарядная Винтовка Токарева
토카레프 반자동소총
파일:attachment/SVT-40/gf.jpg
프로토타입 / SVT-38
파일:attachment/SVT-40/g.jpg
개량형 / SVT-40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반자동소총
자동소총(AVT-40)
원산지
[[소련|]][[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40년~현재
개발 표도르 바실리예비치 토카레프
개발년도 1938년
생산 툴라 조병창
생산년도 1938년~ 1945년
생산수 150,000정 (SVT-38)
1,600,000정 (SVT-40)
사용국
[[소련|]][[틀:국기|]][[틀:국기|]]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나치 독일|]][[틀:국기|]][[틀:국기|]]



[[북한|]][[틀:국기|]][[틀:국기|]]

[[동독|]][[틀:국기|]][[틀:국기|]]

[[베트남|]][[틀:국기|]][[틀:국기|]]

[[쿠바|]][[틀:국기|]][[틀:국기|]]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사용된 전쟁 겨울전쟁
제2차 세계 대전
베트남 전쟁
돈바스 전쟁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기종
원형 SVT-38
파생형 SKT-40
AVT-40
제원
탄약 7.62×54mmR
급탄 10발 들이 탈착식 박스 탄창, 5발 스트리퍼 클립
작동방식 쇼트 스트로크 가스 피스톤 방식
틸팅 볼트
총열길이 625mm
전장 1,226mm
중량 3.85kg
발사속도 800RPM(AVT-40)
탄속 830~840m/s
유효사거리 500m
최대사거리 1,000m }}}}}}}}}
1. 개요2. 상세3. 파생형4. 관련 기록5. 대중매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hickok45의 리뷰 영상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Самозарядная Винто́вка Токарева(СВТ)
사모자랴드나야 빈토브카 토카례바(토카레프 자동소총)

TT 권총으로 유명한 표도르 바실리예비치 토카레프가 개발한 반자동소총. 급진적인 공업화와 더불어 현대적인 군사 전술에 관심을 많이 가진 이오시프 스탈린의 후원을 받아 개발되었다. 1940년에 채용된 후, 전쟁 중 160만정이 생산되어 미국 M1 카빈 M1 개런드에 이어 많이 생산되고 널리 쓰인 반자동소총의 하나다.[1]

2. 상세

Forgotten Weapons의 SVT-38 리뷰 영상
1930년대 즈음부터 개발되기 시작했는데, 이전부터 개발하고 있었던 반동 이용식 소총은 포기하고 가스 작동식으로 진행하였다. 1935년 개최된 육군의 자동소총 실험에 참여했으나 승자는 시모노프의 AVS-36가 되었다. 그러나 AVS의 문제점이 발견되면서 토카레프와 시모노프는 각자 소총을 개량하면서 토카레프의 것이 채택되어 SVT-38이라는 제식명이 부여되었다.

다만 SVT-38은 너무 길고 복잡하고 어려운 구조여서 겨울전쟁 당시 사용하였던 부대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그리고 쏘다가 탄창이 탈락하는 일도 있어서 150,000여 정을 생산하고 1940년 4월에 생산을 중단했다.

SVT-40은 탄창 문제를 해결하면서 중량을 줄이고 약실에 미세한 홈을 파는 등 개량을 거쳤으며, 꽂을대가 총열 밑쪽에 추가되었다.[2] SVT-40을 생산하는 공장에서는 이미 SVT-38을 생산한 경험이 있었기에, 생산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1940년에 70,000정이 생산되었다.
파일:attachment/SVT-40/a.jpg
3.5배율 PU 스코프를 장착하고 저격용으로 쓰인 SVT-40
당시의 반자동소총 중에서는 명중률도 상위권에 속해서 약 5만정 가량이 조준경을 달고 저격용으로 쓰이기도 했다. 그러나 당시 저격소총의 주력인 볼트액션 소총과 비교하면 명중률이 상당히 떨어지며, 망원조준경과 소총과의 결속에서 고질적인 문제가 있었고, 작동 구조상 방아쇠 압력이 볼트액션에 비해 부드럽지 않고, 사격시 후퇴하는 노리쇠 때문에 조준이 흐트러지는 문제로 저격수 사이에서는 평가가 좋지 않았다. 당장 현실적으로는 400m 이상에서는 저격이 힘들어지는데, 지급 받은 설명서에는 '800m까지 정밀한 저격이 가능합니다.'라고 쓰인 문구를 보고 어처구니 없어하는 저격수가 한둘이 아니었다. 게다가 소련제 무기답지 않게 거친 환경에서 쉽게 고장나서 야전에서도 직접 쏘기 직전까지 방수천 등으로 둘둘 말아 구멍이란 구멍은 싸그리 틀어막고 다니는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그렇게 외면 받지는 않았는데, 소련의 여성 저격수들이 모신나강의 노리쇠 조작[3]을 번거롭게 여겼던 경향이 있어서 모신나강보다 노리쇠 조작이 쉬운 이 총이 애용되었다고 한다.

원래 소련은 SVT-40을 주력 소총으로 쓰려고 생각했고 그래서 모신나강의 생산량도 줄이려 했으나 독소전쟁으로 모신나강의 생산 축소는 이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완성도 있고 간편한 설계 덕분에 공업 시설 이주 후에도 지속적으로 생산되었고, 저격용이 아닌 적과 치고받는 일반 보병에게는 환영받으며 대량생산되었다. 그 결과 1938년에 개발되어 1945년 생산 중단될 때까지 160만 자루가 생산되고 널리 보급되었다. 해군 보병에도 제법 많은 수량이 지급됐다. 미국같이 전군이 반자동을 쓰는 게 아니면 볼트 액션보다는 좀 복잡한 정비나 관리 등의 이유로 어느 정도 정예 부대에 지급되는 편이라 소련도 일반 육군 보병에 비해 훈련 강도가 높고 정예로 여겨지는 수색대나 해군 육전대 같은 부대[4]에 우선 지급했다. 이후 1944년 개발되어 1945년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한 SKS에 점차적으로 50년대부터 대체되었다.

3. 파생형

  • SVT-38
    SVT-40의 시제형. 겨울전쟁과 1941년 독소전쟁 초기때도 사용되었다.
  • SKT-40
    SVT-40의 카빈형인데, 군에 채택되지 않았고 프로토타입으로만 남게 되었다.
  • AVT-40
    기관총 화력 부족을 메꾸기 위해 1942년에 연발사격이 가능하도록 개조한 자동소총. 방아쇠와 조정간 부분만 개조한 정도에 불과했기에 명중률과 총기 수명, 장탄수 문제로 차라리 기관단총을 쓰는게 나아서 좋은 인상을 얻지는 못했다. 독소전쟁 당시 FG42처럼 소련군 공수부대에서 소수 사용되었다.

아래의 두 물건은 해외에서 현지 실정과 상황에 알맞게 개조된 물건들이다.
  • W+F Bern AK44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스위스에서 생산된 SVT-40의 프로토타입 카피품. 외형이 조금 변경이 된 것을 제외하면 원본 SVT-40과 작동 구조는 동일하다. 기존 K31 처럼 탄창을 갈아서 장전을 하는 것이 아닌 스트리퍼 클립으로 장전을 하며, K31의 스트리퍼 클립을 그대로 쓰기에 탄창에는 6발만 장전이 된다. 리뷰에 쓰인 물건은 K31/42 에 쓰인 물건과 동일한 스코프가 달려 있으나 스코프가 안달려 있는 물건도 있으며, 독일제 ZF41 스코프 마운트가 달린 버전도 존재한다.
  • Pavesi 프로토타입 SVT 카피품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이탈리아에서 카피되어 개발이 된 프로토타입 반자동 소총. 특이하게 원본 SVT-40과 스위스제 카피품인 AK44처럼 스트리퍼 클립 가이드가 상부 몸통에 있는 것이 아니라 SKS 처럼 볼트에 달려있으며, 장전바 또한 형태가 변경이 되었다. 탄창도 자체 내부 탄창으로 변경이 되었으며, 탄창이 비었을 경우 자동으로 볼트 스탑이 걸리는 것이 아닌 수동으로 걸어줘야 한다. 외형및 안전장치의 형태, 분해 방식이 좀 변경이 되었지만, 내부 구조는 원본 SVT-40과 동일하다.

4. 관련 기록

겨울전쟁 계속전쟁 당시 핀란드군이 약 15,000여자루를 노획해서 사용한 기록이 있다. 다만 핀란드 소련의 기후 차이가 상당히 심해서[5] 가스 시스템이 심심하면 오작동을 일으키는데다가, 핀란드군과 소련군의 무기 및 탄종 규격이 다른 상태[6]에서 억지로 이 총에 핀란드 탄약을 사용하다 보니 고장이 잦았다고 한다.

한편 독일군도 당시 동맹이었던 핀란드군을 통해 입수하거나 소련과의 전쟁 도중 직접 노획한 SVT-40을 운영해보았는데 핀란드와는 달리 독일 쪽에서는 평가가 제법 좋은 축에 들었다. 그래서 독일군은 이 총을 자주 써먹었고, 이 총을 연구하면서 얻은 노하우로 게베어 43을 만들어 쓰기도 했다.

6.25 전쟁 북한군과 중공군에게 SVT가 쓰였다는 말이 많지만 공식적인 자료는 찾아보기 힘들다. 물론 당시에도 SVT는 SKS같은 최신 무기들은 아니었고, 이전 전쟁인 2차 세계대전에서도 활발히 쓰였으므로 사용했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SVT-40은 1955년 소련군에서 정식으로 퇴역을 했으며, 남은 SVT들은 핀란드나 쿠바, 베트남에 공여되었다.

한편 소련에서 독립한 우크라이나는 SVT-40를 포함한 구식 무기들의 재고를 물려받게 됐고 이는 돈바스 전쟁과 러시아의 침공 당시에도 쓰이게 된다.

5. 대중매체


대부분 소련군이 등장하는 2차 대전을 다룬 영화, 드라마, 게임에서 등장한다.
  • Men of War 시리즈
    • Men of War: Assault Squad 2 독일의 Gewehr 41처럼 육전대, 적위대처럼 등 엘리트 부대원들 중 일부만 들고 있다. 장단점은 Gewhr 41과 동일하게 높은 사속으로 인한 화력과 탄약 소비 속도 증가.

    • Gates of Hell 리얼리즘에 초점을 둔 게임답게 SVT-38, SVT-40, AVT-40이 전부 등장한다.
      • SVT-38, SVT-40은 전작처럼 엘리트 부대원들 중 일부만 들고 나온다. 기능적으로 서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컨퀘스트 경우 초기에만 38형이 나오고 이후에는 40만 나와 오히려 초기형인 38이 더 귀한(?) 현상이 발생한다.
      • AVT-40은 연사가 가능하다. AK-47이나 마찬가지인데, 그만큼 반동은 산으로, 탄약소모도 높아져 계륵을 넘어 버려야할 물건.
  • 로드 투 발러:월드워2 - 소련군 형벌부대와 정찰 저격수가 쓴다. 형벌부대는 화염병과 같이 쓰고 정찰 저격수는 PU스코프를 달고 쓴다.
  • 베트콩
  • Steel Division 2 - 소련군 수색대나 공병대, 해군 보병, 근위대 기병사단 같은 정예부대에서 사용한다. 근위 카자크 사단에서는 AVT-40도 사용한다.
  • 인리스티드 - SVT-38과 SVT-40. 15발 탄창을 장착한 자동사격형 AVT-40. 모스크바 공방전에서 프리미엄 분대로 나오는 자동카빈형 AKT-40이 등장한다.
  • 컴 앤 씨 - 주인공 플료라가 들고다니는 소총이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에서도 소련군 형벌부대와 근위병 계열 유닛들의 주요 무장으로 등장. 일반 징집병들이 들고 다니는 모신나강보다 데미지도 낮고 명중률도 밀리는 편이나 연사속도가 빨라서 모신나강보다 더 뛰어난 교전 능력을 보여준다.
  • Escape from Tarkov 0.13.5 패치부터 반자동 소총(SVT-40)과 자동 소총(AVT-40)으로 함께 등장한다. 강력한 7.62x54mmR탄을 사용하는데 초반 시즌에서 높은 화력과 반동, 사격 안정성이 대체적으로 괜찮다는 평이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colcolor=#000,#fff> 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 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 소련군( 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 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비밀경찰( 체카( 펠릭스 제르진스키)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 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냉전( 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 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일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소련 요리
공휴일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소유즈-아폴로 테스트 프로젝트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겨울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1891/30, M1938, М1944
레버액션 소총 M1895
반자동소총 SVT-38, SVT-40, SKS, M1 카빈L
자동소총 표도로프 자동소총, AVS-36, AVT-40, AS-44, AK-45
기관단총 PPD-34, PPD-38, PPD-40, PPK-41, PPSh-41, PPS-42, PPS-43, 톰슨 기관단총L, M50 레이징L
권총 M1895, M1921, TK, TT-30, TT-33, M1911L
지원화기 기관총 PM M1910/30, 맥심-토카레프, DP-28, DPM, DT, DTM, ShKAS, DShK, DS-39, LAD 기관총, SG-43, RD-44, 브렌 경기관총L
대전차화기 RPG-40, PTRD-41, PTRS-41, VPGS-41, RPG-43, RPG-1, M1 바주카L, PIATL
화염방사기 ROKS-2, ROKS-3
박격포 37mm VM-37, 50mm RM-38/40, 82-BM/PM-36/37/41/43
유탄 F-1, RG-14/30, RGD-33, RG-42
지뢰 PMD-6M, PMD-7, PMD-57, POMZ-1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으로 지원받음
취소선 :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소련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소련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1891/30, М1944
SVT-40, SKS, SVD
AK-47, TKB-408, TKB-517, MBC-2, TKB-579, AKM, AO-27, TKB-011, SA-01, SA-001, TKB-059, TKB-022, AO-46, AK-74, 80.002, AKS-74U, MA, AEK-971, TKB-0146, NA-2, NA-4
기관단총 PPSh-41, PPS-43, PP-71
산탄총 KS-23
권총 M1895, M1920, TT-33, TK, PM
지원화기 기관총 DPM, RP-46, RPD, RPK, RPK-74, PK, PKM
M1910/30, DTM, SGM, DShKM, NSV, KPV, GShG-7.62
유탄발사기 GP-25, GP-30, AGS-17, DP-64
대전차화기 RPG-2, RPG-7, RPO, RPO-A, RPG-16, RPG-18, RPG-22, RPG-26, RPG-27, RPG-29
9K11, 9K111, 9K111-1, 9K115
SPG-9, B-10, B-11
PTRD-41, PTRS-41
RPG-43, RKG-3
화염방사기 ROKS-3, LPO-50
박격포 PM-43, 2B9, 2B14
맨패즈 9K32, 9K34, 9K310, 9K38
폭발물 수류탄 F-1, RGD-33, RG-42, RGD-5, RGO, RGN
지뢰 PMD-6M, PMD-57, POMZ-1, POMZ-2, POMZ-2M, PFM-1, MON-50
특수전 화기 자동소총 AS Val, APS, VSS
기관단총 OTs-02, Vz.61
컴비네이션 건 TP-82
권총 TK, APS, TKB-506, 6P24, PSM, VAG-73, SPP-1, TOZ-81, PSS
유탄발사기 BS-1, GSN-19, RGS-50
냉병기 도검 6Kh2, 6Kh3, 6Kh4, 6Kh5, NRS-2
취소선 :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핀란드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겨울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ff,#393b42> M/91, M/27, M/39, M/94, M/96, Kar98k, M/38
반자동소총 M/38, M/40
자동소총 표도로프 자동소총, AVT-40, AVS-36
기관단총 KP/-31, M/20, MP28, M/41, M/42, M/43, M/44
권총 M/03, M/1910, M/19, M/35, M/15, M/34, L-35, M/23, 아스트라 400, M/39, M/96, P08, M/1895, TT-33
지원화기 경기관총 M/26, M/21, M/15, M/20, DP-28
중기관총 M/09-21, M/32-33, MG08, M/14, 빅커스 Mk.I, ShKAS, DS-39
대전차화기 kiv M/37, L-39, kiv M/38, kiv M/18-S,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
화염방사기 M/40, M/41-R
유탄 M24, 몰로토프 칵테일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le 1886/93, Mle 1907/15, Kb wz.98, Kb wz.98a, Kbk wz.29, Kbk wz.91, Kbk wz.98, 리-엔필드W
반자동소총 Kbsp wz.38M, SVT-40E
기관단총 Pm wz.39, MP18W, 스텐 기관단총W, 톰슨 기관단총W, PPSh-41E, PPS-43E
권총 Wz.30, Wz.32, Wz.35 Vis, TT-33E, 루비, 하이파워
지원화기 경기관총 Rkm wz.28, 루이스 경기관총W, 브렌 경기관총W, DP-28E
중기관총 Ckm wz.25, Ckm wz.30, Ckm wz.32, wz.1910E
대전차화기 Kb ppanc wz.35, PIATW
박격포 Granatnik wz.36,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유탄 wz.33
※윗첨자W: 자유 폴란드군/폴란드 서부군
※ 윗첨자E: 폴란드 인민군/폴란드 동부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스위스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2차 세계 대전
스위스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1893, K11, M1911, K31
반자동 소총 AK44
기관단총 MP18.1, M1920, MP 41/44, MP 43/44, MKMO, MKPS, MP41
권총 M1882/29, P06/29
지원화기 기관총 MG11, Lmg 25, S2-200, M1935
대전차화기 Tb 40, Tb 41
수류탄 HG 43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나치 독일군의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Gew71V, Gew88/05V, Gew98, Kar98b, Kar98k, VG1V, VG2V, VG3V, VG4V, VG5V
반자동소총 G41, G43, MP507V
자동소총 FG42, MKb42, MP43, StG44
컴비네이션 건 M30
기관단총 MP18, MP28, M712, MP35, EMP35, MP38, MP40, MP41, EMP44V, MP3008V
권총 M1883, C96, M1907V, P08, M1915, PPK, M1934, 38H, P38, HSc, 국민권총V, 아스트라 400, 아스트라 600/43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G08/15, MG15nAV, MG13, VMG27, MG30, MG35/36
중기관총 MG08, MG15, MG34, MG42, MG81
대전차화기 대전차 소총 M1918V, PzB 38/39, PzB M.SS.41, S-18
대전차 로켓 파우스트패트론 30, 판처파우스트 30/60/100/150, 라케텐판처뷕세 43, 54, 54/1
기타 대전차 권총, H3, H3.5
화염방사기 플라멘베르퍼 35, 플라멘베르퍼 41/42
박격포 8cm 그라나트베르퍼 34/42, 5cm 그라나트베르퍼 36, 12cm 그라나트베프퍼 42, 10cm 네벨베르퍼 35/40
맨패즈 플리거파우스트
유탄 M24, N39, M43, M39, GrB 39, 게베어그라나텐게레트
지뢰 S미네
노획무기 오스트리아 P12(ö), G29/40(ö), Gew95(ö), MP34(ö), MG07/12(ö), 8.14cm GrW33(ö)
헝가리 Gew98/40(u), P37(u)
체코슬로바키아 Gew95(t) Gew24(t), Gew33(t), Gew33/40(t),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ZH-29, ZK-383, P24(t), P27(t), P39(t), MG26(t) ,MG30(t), MG37(t), 8cm GrW36(t), 8.14cm GrW278(t)
폴란드 Gew29(p), Gew298(p), Gew98(p), Gew299(p), Kar493(p), Kar497(p), Wz.38M, R612(p), P35(p), P645(p), MG28(p), MG154/1(p), MG154/2(p), MG30(p), MG249(p), MG238(p), MG257(p), MG248(p), PzB770(p), 4.6cm GrW36(p), 8.14cm GrW31(p)
노르웨이 Gew211(n), Gew213(n), Kar411(n), Kar412(n), Kar413(n), Kar414(n), R610(n), P657(n), MG102(n), MG103(n), MG201(n), MG240(n), MG245/1(n), MG245/2(n)
덴마크 Gew311(d), Kar506(d),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6(d), P644(d), MP741(d), MP746(d), MG158(d), MG159(d), MG258(d), 8.14cm GrW275(d)
벨기에 Gew220(b), Kar420(b),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0(b), P621(b), P622(b), P626(b), P641(b), P640(b), MP740(b), MG125(b), MG126(b), MG127(b), MG220(b), MG221(b), MG222(b), 5cm GrW201(b)
네덜란드 Gew211(h), Gew212(h), Kar411(h), Kar412(h), Kar413(h), Kar414(h), P626(h), P641(h), MG100(h), MG241(h), MG242(h), MG243(h), MG244(h), MG231(h), PzB785(h), 8.14cm GrW278(h), 8.14cm GrW279(h), 8.14cm GrW286(h)
프랑스 Gew361(f), Kar561(f), Gew301(f), Gew303(f), Gew241(f), Gew302(f), Gew304(f), Gew305(f), Kar551(f), Kar552(f), Kar553(f), Gew242(f), Gew310(f), P623(f), P624(f), P625(f), MAB D, P647(f), P642(f), R654(f), R637(f), R634(f), R635(f), MP722(f), MP740(f), MP761(f), MG105(f), MG106(f), MG115(f), MG116(f), MG331(f), MG331(f), MG156(f), MG157(f), MG256(f), MG257(f), MG271(f), 5cm GrW203(f), 6cm GrW225(f), 8.14cm GrW278(f)
영국 Gew248(e), Gew280(e), Gew281(e), Gew281/2(e), Gew283(e), Gew283/2(e), Gew282(e), Gew282/3(e), R646(e), R655(e), MP748(e), MP749(e), MP750(e), MP751(e), MP752(e), MP760(e), MP760/2(e), MP761(e), MG135(e), MG136(e), MG137(e), MG138(e), MG230(e), MG341(e), PzB782(e), PzB789(e), 5cm GrW202(e)
유고슬라비아 Gew223(j), Gew361(j), Gew293(j), Gew291/3(j), Kar492(j), Gew214(j), Kar416(j), Gew252(j), Gew309(j), Gew288(j), Gew295(j), Gew307(j), Gew298(j), Gew290(j), Gew291(j), Gew291/2(j), Kar491(j), Kar491/2(j), Kar491/3(j), Kar491/4(j), Gew308(j), Kar561(j), Gew301(j), Gew292(j), Gew294(j), Gew306(j), Kar505(j), Gew302(j), Gew304(j), Kar502(j), Kar503(j), Gew301(j), P641(j), MP760(j), MG145(j), MG147(j) MG156(j), MG146/1(j), MG148(j), MG246(j), MG200(j), MG247(j), MG248(j), MG256(j), MG257(j), 7.58cm GrW229(j), 8.14cm GrW270(j)
그리스 Gew307(g), Kar561(g), Gew215(g), Kar417(g), Kar417/2(g), Gew301(g), Gew305(g), Gew502(g), Gew306(g), Kar505(g), Gew302(g), Gew285(g), R612(g), R613(g), MG136(g), MG104(g), MG152(g), MG202(g), MG156(g), MG256(g)
소련 Gew252(r), Gew253(r), Gew254(r), Gew256(r), Kar453(r), Kar454(r), Gew255(r), Gew257(r), Gew258(r), Gew259(r), Gew259/2(r), Gew260(r), R612(r), P615(r), MP715(r), MP716(r), MP717(r), MP41(r), MP718(r), MP719(r), MG120(r), MG121(r), MG320(r), MG216(r), MG218(r), MG268(r), PzB783(r), PzB784(r), HG336(r), 3,7cm SpGrW161(r), 5cm GrW200(r), 5cm GrW205(r), 8.2cm GrW274(r), 12cm GrW378(r), 12cm GrW379(r)
미국 Gew249(a), Gew250(a), Gew251(a), Gew455(a), P660(a), R661(a), R662(a), MP760(a), MP760/2(a), MP761(a), MP762(a), MP763(a), MG123(a), MG124(a), MG219(a), MG321(a), MG269(a), PzB788(a), 6cm MW219(a) NbW263(a)
이탈리아 Gew208(i), Gew209(i), Gew210(i), Gew214(i), Gew231(i), Gew240(i), Kar408(i), Kar409(i), Kar410(i), Kar416(i), Kar430(i), Gew306(i), Kar505(i), P670(i), P671(i), R680(i), MP738(i), MP739(i), MG099(i), MG200(i), MG255(i), MG259(i), MG261(i), MG350(i), PzB785(i), PzB770(i), 4.5cm GrW176(i), 8.1cm GrW276(i)
※ 윗첨자V : 국민돌격대가 사용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무기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냉전기의 동독 국가인민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국가인민군 (1956~1990)
National Volksarmee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Kar98k, Kar38, Kar44
반자동소총 G43, SWT-40, 카라비너 S, SWD
자동소총 MPi-44, MPi-K/KM/KMS-72, MPi-AK-74N, MPi-AKS-74(N/NK)
기관단총 MPi 41, Vz.61
권총 나강 M1895, TT-33, 마카로프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DPM, RP-46, RPD, RPK, RPK-74, PK
중기관총 MG34, DTM, SG-43, DSchKM, NSW, KPW
유탄발사기 AGS-17
대전차화기 RPG-2, RPG-7, RPG-18, SPG-9, B-10, B-11, 9K11, 9M111, 9M113
박격포 82-PM-41, 2B11
맨패즈 9K32, 9K34, 9K310, 9K38
수류탄 F-1, RGD-5
특수전 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Vz.24, SSG 82
자동소총 StG-943, HK33
기관단총 PM-63, MP5SD3, MP5KA1
권총 P08, P1001, P38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냉전기의 폴란드 인민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폴란드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Wz.44, Wz.48
반자동소총 SWT-40, SKS, SWD
자동소총 Kbk AK, Kbk AKM, Kbk Wz.60, Kbk Wz.88, Skbk Wz.89
기관단총 Wz.41, Wz.43, Wz.43/52, PM-63, PM-84
권총 Wz.30, Wz.32, TT-33, PM, P-64, P-83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DPM, RP-46, RPD, RPK
다목적기관총 PK, PKM, MG3
중기관총 SG-43, DShK, KPW, NSW
유탄발사기 Wz.74, AGS-17
로켓발사기 RGPpanc-2, RPG-7, RPG-75, RPG-76
미사일발사기 9M14, 9M111, 9M113
맨패즈 9K32, 9K34, 그롬
무반동총 SPG-9
박격포 Wz.38/43, 2B11
폭발물 수류탄 F-1, RG-42, RPG-43, RGO-88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핀란드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냉전기
핀란드 국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91, M/27, M/39, M/38, 7.62 TKIV 85
반자동소총 M/40, 7.62 Tkiv Dragunov
자동소총 7.62 RK 54, 7.62 RK 54 TP, 7.62 Rk 56/Rk 56 TP, 7.62 Rk 62M, 7.62 Rk 72 TP, M82
기관단총 KP/-31, Jati-matic, M/41, M/43, M/44, 9.00 KP Sten
권총 L-35, TT-33, M/35, M/34, P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6, DP-28, 7.62 KK DPM, 7.62 KK DTM, 7.62 KK 54, 7.62 KvKK 62, 7.62 Kk PKM, 7.62 Kk PKT
중기관총 M/09-21, M/32-33, SGM, DShKM
대전차소총 L-39
유탄발사기 30 KRKK
로켓발사기 100 pshp/F1, 142 pshp/F2, 88 rakh/B 54, 55 S 55, 66 KES 75, 66 KES 88
미사일발사기 ItO 78M, PstOhj 82, PstOhj 82M, PstOhj 83, ItO 86/86M, RO-63
박격포 81 KRH 56, 81 KRH 64, 81 KRH 71 Y, 120 KRH 40
유탄 F1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6.25 전쟁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6.25 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한양 88식C, 24식 보총C, 81식 마병총C, Kar98kC, Vz.24C. 스프링필드 M1903C. M1917 엔필드C
반자동소총 SVT-40, SKS
자동소총 AVS-36C
권총 남부 권총, 나강 M1895, C96, TT-33, 발터 P38, 루거 P08C
기관단총 PPSh-41, 49식 기관단총, 50식 기관단총, PPS-43, 봉천 2형 기관단총C, 36식 기관단총C, M1921C, M1928A1C, M1A1C, MP34C, 스텐 기관단총C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1식 경기관총, 89식 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DP-28, DPM, Vz.26, Vz.30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24식 중기관총, PM M1910, DT, DTM, DShK, SG-43, KPV, MG34C
대전차화기 PTRD-41, PTRS-41, RPG-43, 52식 무반동포C
화염방사기 ROKS-3
박격포 27년식 척탄통C, 82-PM-37, 120-PM-43
유탄 F1 수류탄, RGD-33, RG-42
지뢰 목함지뢰, POMZ-1
※ 윗첨자C: 중공군이 사용
취소선 : 사용 여부에 논란이 있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6e8b3d> 베트남 전쟁
베트남 인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6e8b3d> 소총 <colbgcolor=#6e8b3d> 볼트액션 소총 M1886F, M1902F, MAS-36F, 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Kar98kF, 88식 소총
반자동소총 SKS, SVT-40, SVD, Vz.52, MAS-49F
자동소총 AK-47, 58식 보총, K-56, K-63L, AKM, Vz.58, StG44L, FG42L
기관단총 K-50M, PPSh-41,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M1928A1, M1A1, 마드센 M/50, M56,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권총 K-54, K-59, CZ52, C96, APSL,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B 모델 DF, MAC M1950F, P-64, 67식 권총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호치키스 M1922F, 11년식 경기관총J, 96/99식 경기관총J, DP-28, RP-46, Vz.26/30, FM 24/29F, 브렌 경기관총, RPD, Vz.59, 67식 기관총, RPKL, PK, PKML
중기관총 호치키스 M1914F, 24식 중기관총, DTM, M1910/30, MG34, MG42,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KPV
대전차화기 PIATF, B-40/50, B-41, B-10, B-11, SPG-9, 54식 무반동포, 자돌폭뢰J
화염방사기 LPO-50
박격포 10식 척탄통J, 89식 척탄통J. 50-PM-40,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55식 박격포
유탄 10식 수류탄J, 91식 수류탄J, 97식 수류탄J, 1식 수류탄, RGD-33, RG-42, RPG-43, RGD-5
지뢰 POMZ-1, POMZ-2
※ 윗첨자J/F: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 윗첨자L: 제한적 사용
※ ''기울임체'':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2478ff> 소총 <colbgcolor=#2478ff> 볼트액션 <colbgcolor=#FFFFFF,#191919> 모신나강, PTRD-41
반자동소총 SVT-40, SKS, SUB-2000D, Springfield SaintD, Adams Arms P1D MSR-15, PTRS-41
돌격소총 StG44, AKM, AKMS, AK-63D, 56식 자동소총C, PM md. 63.D, AR-M9D, AK-74*, AKS-74U, Vepr*, AK-74MC, KM-AKC, AK-103C, AK-12C, FNCD, Vz.58D, M70D, M14D, M16A2D/ M16A4D, G3D, FN FALD, M4A1D, G36KD, SCAR(L/H)D, F2000D, Wz.88D, C7(A1/A2/NLD)D, MSBS GrotD, SIG516, H&K HK416D, QBZ-97, DDM4, ARX-200, M5 카빈D, MDRX, ACARD, CETME LD, FAMASD, XCR
저격소총 Fort-301*, Z-008, VPR-308*, Z-10, SVD, SVDMC, M82*, M99, M107A1, ZVI 팔콘D, AW308D, AXD, 레밍턴 M700D, FR-F2D, M98D, SV-98C, T-5000C, OSV-96C, KSVKC, WKW 윌크D, HLR 338D, Snipex T-Rex, Snipex Rhino Hunter, Snipex Alligator, Snipex 모노마흐, Snipex M100, Savage 110, M21 SWSD, M24 SWSD, SIG SSG-3000*, SRS-A1, HTI, TAC-50, C14D, LRT-3D, CADEX CDXD, RPR*, RAR*, SIG100*, R93*, 부시마스터 BA50
기관단총 PPSh-41, PPS-43, 톰슨 기관단총, MP40, 칼 구스타프 m/45, Vz.23, MP5*, Vz.61D, KRISS VectorD, UZID, Z-84 Corto, 루거 MP9*, Fort-230
권총 PM, Makarych*, TT-33,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4, PPK, P08, PSM*, Fort-12*, Fort-14TP, MP-443C, GSh-18C, CZ75D, CZ P-07D, P-10CD, M9D, R7 MakoD, SFP9D, SIG P320, Canik TP9
지원화기 기관총 DP-27, DP-28, SGMT, RPK, RPK-74, 자스타바 M72, PK, PKM, 자스타바 M84D, MG-1MD, PKPC, KordC, KPVC, DShK, DShKM, NSV, PM M1910, RPD, Vz.59D, MG34, M53D, CETME AmeliD, MG3, MG42/59D, Ksp 58D, C6D, M240D, FN 미니미D, C9D, C9A2D, M2(A1)D, AN/M3D, M249D, M249E3D, W85, UKM-2000PD, AAT-52D, PZD 556D, MG5D
유탄발사기 UAG-40*, 댜코노프 총류탄, AGS-17, AGS-30C, RGM-40, RG-6C, GP-25, GP-34C, Fort-600, GM-94C, Mk.19 Mod.3D, M32D, RGP-40D, AG36D, M320(A1)D, M203D, GMGD, FN40GLD, RDS40D, 팔라트D
대전차화기 대전차로켓 RPG-7, RPG-7V, RPG-7D, 69식 화전통, LGL-7D, PSRL-1, PzF 3D, RPG-16, RPG-18, RPG-22, BULSPIKE-AT, DRTG-73D, M80 Zolja, M72A5, NM72F1, M72 ECD, RPG-26, RPG-27, RPG-29, RPG-30C, RPG-32, RPG-76D, SMAWD, M141 BDMD, RGW-90D, APILASD
대전차미사일 Corsar, 스키프, 쉐르쉔, 아뮬렛, 9K115-2, 9M113, 9K111, NLAW, FGM-148, 밀란 대전차미사일D, TOWD, RBS 56D, 아케론 MPD
무반동총 SPG-9 "Spis", AT4D, 칼 구스타프 M4D, C90D, Pvpj 1110D, Alcotán-100D, RPO-A, RPV-16, RPG-75(M)D
박격포 82-BM-37, KBA-118, LMR-2017D, m/68D, M224 LWCMSD, 63식D, MP-60, M60-16, UB-81, UPIK-82, M60CMAD, KBA-48M, M69A, 20N5D, 2B9, 2B14, M252 MERMD, HM-16, HM-19, M84D, 2B16, Vz.82, М120-15, 2S12, 120-PM-43, MP-120, 120 KRH 92D, Mod.63D, MO-120-HBD, M120 BMSD, M240
견인포 122mm 2A18 D-30, 85mm D-44, 85mm D-48, BS-3, 100mm 2A19 MT-12, 152mm M1955 D-20, M-46, 150mm 2A65, 152mm 2A36, M2A1D, M101D, { M114}D, M119D, L119D, M777D, FH70D, TRF1D, Mod.56D
대공포 보포스 40mm 포D, 57mm S-60, KS-19, L/70D, ZU-23, 자스타바 M55D, 자스타바 M75D, 72-K, 오리콘 GDF
맨패즈 9K310, 9K38, PiorunD, 9K32, 9K34, FIM-92, Starstreak HVM, 미스트랄D, LWM 마틀렛D, SungurD, RBS 70D, Anza 2D
자폭 무인기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피닉스 고스트D, UJ-32 Lastivka, 라텔-S
지뢰, 폭약 TM-57, TM-62M, PTM-3, MON, UDSh, AT2D, DM12 PARM-2D, PTKM-1RC, DM-31D, M18A1D, Mini HailstormD, POMZ, PFM-1, HPD-2A2D, M/47D, M/56D, Mi AC AH F1D, FFV-028D, M/52D, PMN, RAAMD, PK-14D, M112D, M/97D, KZ-6, C4D, M1 관형폭약D, UR-83P, Minröjningsorm 1D
수류탄 F1 수류탄, RG-42, RGD-2, RGD-5, RKG-3, M67, OF 37, DM41D, DM51D, DM61D, L109D, Zarya-3, RGR, RG-60TB, Sirpalekäsikranaatti M50D, F1D/N, GHO-1D, Mecar M72D, M50 P3D, M18D, DG-01, L83A2, L84A3
<colbgcolor=#ffe400>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Fort-221, Fort-223, Fort-224*, MCX, ACR, AS Val, ASM ValC, Malyuk, WAC-47, Z-15, Fort-227, Fort-228, Fort-229, CZ 브렌 2D, AUG HBARD, AK-105C, C8D, 헤넬 MK556, CR 308D. DD Mk.18D
저격소총 VSS, TRG-22, TS.M.308, TS.M.338, HS.50, M110 SASS, CheyTac Intervention, Horizon's Lord, 베레타 Victrix Corvus*, 바렛 MRAD, SAN 511*, Mk.14 EBRD, HK417D, VSSKC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스콜피온 EVO 3, P90, PP-91C, MPX, APC9 PRO*, B&T MP9*
산탄총 Saiga-12*, Fort-500, Fort-500T, Fort-500M*, KS-23, 모스버그 500D, 베넬리 M4D, TOZ-87, BTS12*, RS S1, CZ1012
권총 스테츠킨 APS, SPP-1, Fort-17, Fort-20, Fort-21, PB, 글록 17/19/45D, Fort-15, 나강 M1895, CZ82D
기관총 Fort-401
수류탄 RGO, RGN, Mk.14 Mod 0 ASMD, RGT-27S, RGT-27S2
*: 우크라이나 내무부 예하에서 사용
C: 노획 장비
D: 여러 국가들에서 지원물자로 기증
N: F1 수류탄과 이름만 같은 현대적인 호주산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파일:툴라 조병창 로고 화이트.png 툴라 조병창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5F0000> 툴라 조병창 제품 라인업
권총 <colbgcolor=#5F0000> 리볼버 M1895 · TOZ-81
자동권총 TK 권총 · TT 권총 · MTs-3
기타 TKB-506 · SPP-1 · MSP 그로자 · NRS-2
산탄총 KS-23 · TP-82 · TOZ-106
기관단총 코로빈 기관단총
소총 단발 / 볼트액션 크른카 M1867 · 베르단 II · 모신나강
반자동 SVT-40 · SKS
자동 AVT-40 · AS-44 · AK-45 · TKB 시리즈 · APS · AKS-74U · AS Val ( VSS 빈토레즈 · SR-3)
기관총 맥심-토카레프 · DShK · DS-39
}}}}}}}}}}}} ||


[1] 1위 M1 카빈 600만 정, M1 개런드 540만 정으로 SVT-40이 3위다. [2] 약실에 홈을 파면 발사할 때 홈으로 들어온 가스가 윤활 효과를 내 탄피가 쉽게 추출된다. 이러한 방식을 각인 약실이라고 하며, StG45의 작동 방식인 롤러 지연 블로우백으로 인한 탄피 추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인 약실을 적용한 것보다 5년 앞섰다. 이 각인 약실 방식은 StG45를 기반으로 한 H&K G3 뿐만 아니라, 레버 지연 블로우백 방식을 사용하는 FAMAS에도 적용되었다. [3] 그놈의 7.62×54mmR의 디자인 때문에 장전하는 탄 밑의 탄이 올라와서 노리쇠의 전진을 방해하는 걸 방지하는 장치를 가지고 있었으나 가끔 제대로 작동을 안해서 노리쇠가 걸리는 경우도 있고 수동조작인 볼트액션 특성상 긴 시간을 교전(많은 탄환을 쏘며 계속 수동장전)하다보면 힘이 빠져서 연사속도가 대폭 줄어들었다. 여성이면 더하면 더했을테니 당연히 볼트액션을 꺼릴 수밖에 없었다. [4] 함 승조원 등을 차출 편성한 이들이 아닌, 상시 육전 훈련을 받는 상설 보병부대 한정. 즉, 현대의 해병대와 유사한 부대. [5] 나름대로 극한 지방인 소련에서 온 소련군이 핀란드 땅에서 얼어죽을 정도였다! 반면 핀란드에서 살던 사람들인 핀란드인들은 이미 핀란드땅의 겨울의 위험성을 충분히 알고 대비책을 잘 세워두어서 적어도 기후로 인한 피해는 줄일 수 있었다. [6] 겨울전쟁 당시나 지금이나 핀란드군은 7.62×53mmR을 사용한다. 러시아에서 쓰던 7.62×54mmR과 표기상 단 1mm 차이고, 실제 눈으로 보기에는 크기나 길이도 거의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