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상백(동명이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redirect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이달의 문화인물 (1990-1997)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0년 | |||||
7월 김정희 |
8월 장영실 |
9월 김소월 |
10월 세종대왕 |
11월 김홍도 |
12월 신재효 |
|
1991년 | ||||||
1월 나운규 |
2월 정철 |
3월 한용운 |
4월 김정호 |
5월 방정환 |
6월 정약용 |
|
7월 문익점 |
8월 안익태 |
9월 허준 |
10월 주시경 |
11월 윤선도 |
12월 이해랑 |
|
1992년 | ||||||
1월 이황 |
2월 정선 |
3월 박지원 |
4월 우장춘 |
5월 신사임당 |
6월 류성룡 |
|
7월 일연 |
8월 홍난파 |
9월 고유섭 |
10월 이윤재 |
11월 안창호 |
12월 윤동주 |
|
1993년 | ||||||
1월 이이 |
2월 이인문 |
3월 장보고 |
4월 이천 |
5월 윤극영 |
6월 원효 |
|
7월 지석영 |
8월 안중근 |
9월 박연 |
10월 최현배 |
11월 장지연 |
12월 윤백남 |
|
1994년 | ||||||
1월 우륵 |
2월 황희 |
3월 김유정 |
4월 홍대용 |
5월 강소천 |
6월 이상백 |
|
7월 안견 |
8월 박은식 |
9월 박승희 |
10월 이희승 |
11월 정도전 |
12월 신채호 |
|
1995년 | ||||||
1월 강세황 |
2월 조식 |
3월 월터 정 |
4월 최무선 |
5월 이원수 |
6월 김병로 |
|
7월 이육사 |
8월 김구 |
9월 채동선 |
10월 김윤경 |
11월 이수광 |
12월 곽재우 |
|
1996년 | ||||||
1월 김만중 |
2월 최치원 |
3월 이순지 |
4월 서재필 |
5월 김명국 |
6월 유일한 |
|
7월 도선 |
8월 심훈 |
9월 왕산악 |
10월 정인승 |
11월 전형필 |
12월 이제마 |
|
1997년 | ||||||
1월 송석하 |
2월 성현 |
3월 최윤덕 |
4월 이중환 |
5월 초의 (의순) |
6월 한호 |
|
7월 이세보 |
8월 박제가 |
9월 박진 |
10월 장지영 |
11월 왕인 |
12월 송진우 |
|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 ||||||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 |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60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교육가· 독립운동가 |
1969 이인 법조인· 독립운동가 |
1969 닐 암스트롱 · 마이클 콜린스 · 버즈 올드린 우주비행사 |
||
1969 제헌국회의원 154명 |
1969 조동식 교육인 |
1970 김수환 추기경 |
1970 백낙준 교육인 |
1970 이상백 - |
|
1971 유일한 기업인 |
1976 박일경 교육인 |
1980 권승렬 독립운동가, 법조인 |
1982 권영대 교육인 |
1982 김상만 언론인 |
|
1985 이숙종 교육인 |
1987 이병철 기업인 |
1988 권이혁 교육인, 의사 |
1989 이방자 교육인, 영친왕비 |
1991 강영훈 국무총리 |
|
1991 김병관 언론인 |
1994 김호길 교육인 |
1995 곽윤직 법학자 |
1996 장기려 의사 |
1996 윤덕선 의사, 교육인 |
|
1996 정범모 교육인 |
1998 고흥문 국회의원 |
1998 주영하 교육인 |
2000 이건희 기업인 |
2002 김재준 종교인 |
|
2002 문창모 의학자 |
2002 백낙환 의학자, 교육인 |
2006 김희수 의학자, 교육인 |
2006 이종욱 의사, WHO 사무총장 |
2006 정재헌 법조인 |
|
2007 권영우 교육인 |
2007 장훈 체육인 |
2008 박관용 국회의장 |
2008 진창현 바이올린 제작자 |
2009 김정수 정치인 |
|
2010 이영덕 국무총리 |
2010 조용기 종교인 |
2010 황장엽 북한정치인, 탈북자 |
2011 이태석 종교인, 의사 |
2011 김준엽 독립운동가, 교육인 |
|
2012 헬렌 펄 매킨지(매혜란) 선교사 |
2012 김평우 법조인 |
2012 정몽구 기업인 |
2013 남덕우 국무총리 |
2015 권광중 법조인 |
|
2016 이근 의사 |
2017 박한철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
2017 반기문 외교관, UN사무총장 |
2017 양승태 법조인, 대법원장 |
2018 김종필 국무총리 |
|
2018 노회찬 정치인 |
2018 박재갑 의사 |
2018 이석태 법조인 |
2018 조규광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
2018 한승헌 법조인, 감사원장 |
|
2018 정세균 국회의장 |
2019 윤한덕 의사 |
2019 이국종 의사 |
2020 이이화 사학자 |
2020 전태일 노동운동가 |
|
2020 문희상 국회의장 |
2021 최종태 기업인 |
2022 박병석 국회의장 |
2023 송창근 기업인 |
2023 김박 기업인 |
|
2023 자승 종교인 |
2024 이임성 법조인 |
2024 윤대원 의사, 교육인 |
}}}}}}}}} |
李相佰
1904년 ~ 1966년
[clearfix]
1. 개요
2. 생애
1904년 경상북도 대구군 서상면 동산동(現 대구광역시 중구 서문로2가)에서 태어났다. 맏형은 중국에서 독립운동에 헌신한 이상정(李相定), 둘째 형은 민족 저항시인 이상화(李相和), 바로 밑의 막내동생은 수렵인 이상오(李相旿)[1]다.1915년 대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2] 일본에 유학하여 와세다대학 문학부 사회철학과에서 사회학과 동양학을 연구하였다. 와세다대학 재학 당시 농구 선수로 활동하면서 전일본 선수권대회에서 우승하고 미국 순회 원정경기를 추진하여 성사시켰다. 이 일로 일본 체육계의 주목을 받아 일본체육협회 임원이 되었고, 손기정, 남승룡 등 조선인 선수들의 1936 베를린 올림픽 출전을 관철시켰다.
1939년 베이징으로 떠난 후 일제강점기 말기에는 여운형의 비밀 결사 독립운동 단체인 조선건국동맹에 참여, 활동하였다.[3] 해방 직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에서 치안대 활동을 이끄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45년 11월에는 조선체육회를 재건하고 여운형을 회장으로 추대하였다.
1946년 국내 최초로 개설된 경성대학 문리과대학 사회학과(現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의 첫 교수로 부임하였으며 한국 사회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1947년 한국올림픽위원회를 조직하여 1948 런던 올림픽에 선수단을 출전시켰다.
1964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66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이후 그를 기려서 " 이상백배 한일(韓日) 대학 농구 대회"가 열리고 있다.
1974 테헤란 아시안 게임부터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까지 6개 대회에서 아시안 게임 최우수 선수에게 '이상백배(杯)'를 수여했다. 1998 방콕 아시안 게임부터는 삼성전자가 공식 스폰서로 나서면서 대회 최우수 선수에게 '삼성 MVP 어워드'가 수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