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in-Nagant Винтовка Мосина 모신나강 |
|||
<nopad> | |||
모신나강 M1891[1]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볼트액션 소총 | ||
원산지 |
[[러시아 제국|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891년~현재 | ||
개발 |
세르게이 이바노비치 모신 에밀 나강, 레옹 나강 |
||
개발년도 | 1889년 | ||
생산 |
툴라 조병창 이즈마쉬 샤텔레로 조병창 레밍턴 암즈 웨스팅하우스 오르시스 등 |
||
생산년도 | 1891년~ 1998년 (러시아) | ||
생산수 | 37,000,000정 이상 | ||
사용국 |
[[러시아 제국| ]][[틀:국기| ]][[틀:국기| ]] → [[소련| ]][[틀:국기| ]][[틀:국기| ]]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독일 제국| ]][[틀:국기| ]][[틀:국기| ]] → [[나치 독일| ]][[틀:국기| ]][[틀:국기| ]][2] → [[동독| ]][[틀:국기| ]][[틀:국기| ]] [[미국| ]][[틀:국기| ]][[틀:국기| ]][3][4] [[베트남| ]][[틀:국기| ]][[틀:국기| ]] [[북한| ]][[틀:국기| ]][[틀:국기| ]] [[시리아| ]][[틀:국기| ]][[틀:국기| ]][5] [[우크라이나| ]][[틀:국기| ]][[틀:국기|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등 |
||
사용된 전쟁 |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러일전쟁 제1차 세계 대전 - 러시아 내전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스페인 내전 중일전쟁 겨울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국공내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6.25 전쟁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체첸 사태 시리아 내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
||
기종 | |||
파생형 |
기병총, M1907, M1891/30, M1938, M1944, M1891/59, OTs-48, OTs-48K 등 |
||
제원 | |||
탄약 | 7.62×54mmR | ||
급탄 | 5발 내부탄창 | ||
작동방식 | 볼트액션 | ||
총열길이 |
M1891: 800mm M1891/30: 730mm M1938/M1944: 510mm OTs-48K: 730mm ORSIS Mosin: 730mm |
||
전장[6] |
M1891: 1,306mm/1,738mm M1891/30: 1,232mm/1,666mm M1938: 1,020mm M1944: 1,020mm OTs-48: 1,000mm OTs-48K: 850mm ORSIS Mosin: 1,264mm/982mm |
||
중량 |
M1891: 4.05kg M1891/30: 4kg M1938: 3.4kg M1944: 4.1kg OTs-48K: 5.5kg[7] ORSIS Mosin: 5.8kg[8] |
||
탄속 | 800~865m/s | ||
유효사거리 |
548.64m(M1891/30) 800m(OTs-48) 1000m(ORSIS Mosin) |
||
최대사거리 | 1828.8m | }}}}}}}}} |
[clearfix]
1. 개요
러시아 제국이 1891년 채택한 제식 볼트액션 소총. 제식 명칭은 'Русская 3-линейная (7,62-мм) винтовка образца 1891 года'[9] 7.62mm 소총 모델 1891년형이라는 뜻이다. Русская 3-линейная는 '러시아의 3줄'이란 뜻인데 이는 제정 러시아 시절 쓰던 러시아의 단위계로, 3줄이 대략 7.62mm이다. 때문에 종종 3-Lined Rifle로도 종종 불린다.러시아 육군 대위 세르게이 이바노비치 모신(Сергей Иванович Мосин)이 총을, 벨기에의 총기 설계자 에밀, 레옹 나강 형제가 탄창을 설계하였기 때문에 보통 서구권에서는 모신나강이라고 부른다. 다만 러시아에서는 러시아인도 아닌 탄창 설계자 이름을 굳이 포함시킬 이유가 없다며 대부분 모신 소총(Винтовка Мосина, 빈톱카 모시나)이라고만 부른다. 러시아어 위키피디아도 모신 소총으로 등재되어 있다.
M91/30 |
한동안 밀리터리 매니아들에게 우크라이나의 장작으로 불렸다. 오래 전에 파르티잔들이 독일군들의 눈을 피해 어딘가에 묻었었는데, 수십 년이 지난 2000년대 우크라이나의 밭에서 파낸 모신나강이 실제로 작동되었다고 한다.[10] 지금도 우크라이나 농기구와 뒤섞여있거나 땅에 묻혀 새로운 주인을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이 총을 쓴 대표적인 인물들로 전설적인 저격수들인 시모 해위해[11]와 바실리 자이체프가 있다.
2. 역사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크른카, 베르단과 같은 단발식 소총의 한계[12]를 느낀 러시아 제국은 새로운 제식소총의 설계를 공모했다. 이 공모전에서 벨기에 출신 제롬 미셸 에밀 나강(Gérome Michel Émile Nagant), 앙리 레옹 나강(Henri Léon Nagant) 형제가 내놓은 총이 테스트 결과 가장 뛰어났다.[13] 그러나 남의 나라 사람들이 만든 총을 쓰려니 속이 뒤집힌 러시아인들은 탄창만 나강 형제의 설계를 사용했다. 당연히 개발한 소총의 탄창을 그대로 가져다 쓰자 나강 형제는 모신에게 소송을 걸었고, 결국 소송에서 이겨 소총에 자신들의 이름을 붙였고, 자신들이 개발한 권총을 채용하는 것으로 끝났다.
세르게이 이바노비치 모신 (Сергей Иванович Мосин) |
총은 당시 러시아군의 무기 제조 담당 공업인 툴라 조병창의 책임자 세르게이 모신이 내놓은 설계안을 사용해 지금의 모신나강(Mosin+Nagant)이 되었다. 초기형인 M1891은 채용 당시로는 획기적인 볼트액션 장전식에 탄젠트식 조준기를 사용하여 시선을 끌었다.
그러나 총신이 긴 데다가 러시아식 스파이크 총검까지 달면 무려 173cm를 넘길 정도로 과도하게 길었다.[14] 이 때문에 실전에서의 사용이 불편했고 조준기 조정이 힘들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당시 러시아 공업력의 한계로 1차 대전 초기까지 외국 업체들에게 외주를 맡겨 생산해야 했는데, 설계도에 당시 보편적으로 쓰이던 인치도 미터도 아닌 '아르신(арши́н)'[15]이라는 러시아식 도량형을 사용하여 외주를 받은 외국인들은 비명을 질렀다.[16] 또한 사용탄인 7.62×54mmR의 불량률이 상당히 높아서 전체적 평가가 썩 높지 못했다.
실제로 러일전쟁당시 러시아 제국군을 지휘하였던 알렉세이 쿠로팟킨에 따르면 모신나강의 명중률은 일본군의 30년식 소총보다 떨어졌고 이는 러시아가 일본군보다 우월한 포병 전력을 가지고도 러시아가 패배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17]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도 러시아군의 주력 소총으로 쓰였고, 동부전선에서 독일 제국군 육군이 대거 노획해 제식 병기의 하나로 써먹기도 했다. 단, 탄약과 부품 등을 노획에 의존해야 했기에, 소모가 적은 독일 제국 해군 및 육군 후방 부대 위주로 지급되었다.
1차대전 후 소련군의 소요가 대거 제기되자 1930년에는 'M91 Dragoon'을 베이스로 미터법을 적용한 조준기를 채용한 M1891/30이라는 개량형이 등장했다. 여기에서 길이를 101.6cm까지 더 줄인 M1938 카빈도 나왔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4년에는 총열길이를 51.7cm까지 줄인 M1944도 출시되었고, 이후 1959년에 M1938을 기초로 한 M1891/59가 등장해 서방의 침략에 대비하여 위성국에 공여된 것이 모신나강 계열의 마지막 소총이다.
2차 대전 직전, 기계화에 박차를 가하던 소련군은 모신나강에 한계를 느끼고 후속 소총의 개발을 서두른다. 그러나 의욕작인 자동소총 시모노프 AVS-36[18]은 망했고 SVT-1938/40[19]으로 모신나강을 완전히 대체하려는 계획도 독소전의 개전에 따라 2차 대전 중에도 계속 모신나강을 주력 소총으로 쓸 수 밖에 없었다.
모신나강을 들고 있는 소련의 전설적인 저격수 바실리 자이체프 |
저격수들 또한 모신나강을 저격 소총으로서 애용했다.
대한민국의 현대사와 묘한 인연을 가지고 있다. 항일 독립군 시절에는 애용되었던 무기지만 반대로 6.25 전쟁이나 베트남 전쟁 당시엔 공산군이 사용했던 적성무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계룡대 1층의 전시관에서 " 항일 독립군 소총"이라는 이름으로 전시된 잘 관리된 모신나강을 볼 수 있다. 한편 용산의 전쟁기념관에선 반쯤 부서진 모습으로 북한군의 소총이나 베트콩군으로부터 노획된 총기로서 전시되어 있다.
한국 전쟁 당시에는 북한군 무기로 사용되었다. 6.25때 벌어진 고지전에서 북한은 다수의 저격병을 운용했는데, 많은 수의 한국군 일선 지휘관들이 북한군 저격수에 의해 희생되었다고 한다. 우리말로는 따꿍총, A식 보총(아식 보총)라고 불렀다. 따꿍총이란 이름에는 총을 쏘았을 때 따꿍소리가 나서 그렇게 불렸으며, A식 보총은 '아라사(러시아)식 보병총'의 약자.
가운데 서 있는 국군 병사가 모신나강을 노획하여 메고 있다. |
민병대나 대한민국 국군에서 노획해서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참전용사들은 '반동이 심해서 쏘았을 때 나가떨어졌다.'고 회고한다. 의외로 장진호 전투 당시 미군도 노획해서 사용했다고 하며, 강추위에도 고장이 없어 호평을 받았다고 한다.
위의 사진에 등장하는 부대는 항일무장투쟁시기
조선인민혁명군의 복장을 재현한 |
6.25 전쟁 당시 북한의
근위사단을 재현한 채로 행진중인 북한 병사들. 앞서 설명했듯이 6.25 전쟁때 북한군의 주력 소총이었다. |
현재도 2013년 드라구노프 또는 타부크 저격소총으로 추정되는 저격소총 도입 전까지 특수부대와 일반부대를 막론하고 저격장비로 운용되고있다.
2차 대전 후 등장한 SKS와 AK-47에게 제식 소총의 자리를 넘겨 주며 소련군에서 빠르게 퇴역했다. 준군사조직에 전략 예비물자로 돌려지고 난 나머지 엄청난 재고는 중국을 비롯한 동맹국에 사탕 뿌리듯 넘겨졌고 생산 시설도 거의 대부분 중국에 매각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련군의 교리에 볼트액션 소총은 무용지물이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한동안 저격총의 자리는 유지했지만 드라구노프 등장으로 사실상 소련군에서는 완전히 퇴역했다.
이후엔 준군사조직도 AK류로 무장할 지경에 이르자 그나마 남았던 재고는 소련에서도 민수용으로 팔리기 시작했다. 다 팔고 하나 남았던 생산 라인에서 1998년까지 민간 사용 목적으로 소량이나마 계속 생산되었다. 그러니까 무려 100년 이상 계속 생산되었던 셈이다.
체첸 전쟁에서 러시아군이 사용하는 모습. 참고로 왼쪽의 병사가 들고있는 총은 SVD의 불펍식인 SVU. |
2.1. 실전
사용 기간이 길고 사용했던 국가도 많았던 만큼 러일전쟁, 러시아 내전, 겨울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체첸 전쟁, 돈바스 전쟁,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20세기 이후 주요 전쟁에 꾸준히 모습을 드러냈다. 러시아 아래에서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우던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이 조국이 독립했다는 소식에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무기들을 판매하여 독립군들이 사용하면서 독립군의 상당수도 모신나강으로 무장하고 항일 투쟁을 계속 했을 정도.해당 사진의 모신나강은 후술할 아크엔젤 스톡을 장착하고 있다. |
2020년에도 특수부대인 스페츠나츠에서 사용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리아 내전에서도 ORSIS사에서 현대화한 모신나강이 여전히 사용되는 걸 볼 수 있었다. 이유는 구조가 간단하고, 100년이 넘게 만들어져 저렴한데다 부품도 적으며, 야전정비가 매우 쉽기 때문. 거기에 프리플로팅 배럴에 피카티니 레일로 기타 서드파티 부품 장착이 가능해 장거리 조준이 가능하고 매치탄까지 쓸 경우 1MOA 이상까지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판 자체가 싸기 때문에 옵션질을 해도 부담이 안 간다는 이야기다.
각종 구소련제 재래식 무기가 쓰였던 시리아 내전에서도 현역으로 뛰었으며 일부는 시리아 정규군의 손까지 흘러들어갔다. 다만 시리아군의 장비사정이 열악했던 2010년대 초중반 기준이며, 장비사정이 좋아진 현재는 시리아 반군들을 제외하면 거의 쓰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도 여전히 현역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참호전 양상이다 보니 AK-74 계열과 비교해 튼튼하고 사거리도 길어 장거리 교전에 잘 활용되고 있다. 러시아군은 3선급 후방 예비대나 도네츠크 인민 민병대, 루간스크 인민 민병대에도 지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일선에서 분대 지정사수 개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장비가 부족하던 초기 우크라이나군 역시 마찬가지. 러시아군 홍보영상에도 당당히 한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 2023년 바흐무트 전선에서는 1891/30 모신나강이 노획되기도 했다! #
3. 상세
만들어진지 [age(1891-01-01)]년이나 넘긴 희대의 바퀴벌레급 총기 중 하나. 하기야 모신나강뿐만 아니라 Kar98k,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카르카노도 그런 식으로 생산되기도 한다.공식적으로는 M1891/30만 3천 7백만정이 만들어졌고 라이센스나 복제 생산을 합친다면 그 수는 짐작할 수도 없다. 러시아 자료에조차 안 나오며, 볼트액션 소총 중 세계에서 가장 많이 만들어졌으리라
해당 소총의 작동 구조를 설명하는 3D 애니메이션 동영상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자면 탄창은 당대 볼트액션 소총 대다수가 그러했듯 5발 들이 내부 탄창이며, 단열 탄창을 쓰기 때문에 탄창이 총몸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단순함의 모신나강이지만 의외로 탄창은 생각보다 단순하지 않은데, 림드탄약을 위한 기구가 들어있다. 림드탄약은 탄창의 탄약이 잘못된 순서로 림이 맞물려 있으면 차탄이 탄창에 있는 탄약의 림에 걸려 장전에 차질이 생길 수 있지만, 모신나강의 탄창은 차탄만 탄창에서 조금 올라와 림에 걸리지 않는 상태로 대기하도록 되어 있다.[22]
폐쇄 돌기는 게베어 1898이나 르벨 M1886과 유사한 형태로, 노리쇠의 머리 부분에 두 개의 폐쇄돌기가 있고 노리쇠 중간의 장전손잡이 부분에도 길쭉한 폐쇄돌기가 하나 있어 노리쇠 머리와 중간에 모두 폐쇄돌기가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장전손잡이는 르벨이나 카르카노처럼 노리쇠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볼트가 여러 조각으로 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23] 모신나강 자체는 꽤나 튼튼하다지만 타 볼트액션 총기의 액션에 비해 그다지 이점이라 할만한 게 없어서[24], 후세에 남긴 영향력은 매우 적다. 그에 반해 마우저 액션은 현대에도 대세를 차지하고 있고, 리-엔필드 액션도 전간기 프랑스군의 MAS-36 소총이나 일부 민수 제품에서 채용한 사례가 어느 정도 있는 것을 보면[25] 굳이 따라할 만한 구조적 매력이 없는 것은 확실한 듯.[26]
장전손잡이가 방아쇠로부터 멀어서 매 발마다 조준과 견착을 풀고 볼트 조작을 하기 쉽고[27], 하술할 코스몰린이 아니더라도 원래 볼트가 접촉 면적이 많아서 그런지 뻑뻑해서 스무스하게 볼트 조작이 안 되는 편이며, 5발짜리 클립도 다른 볼트액션들은 대개 탄 밀어넣고 클립을 꽂은 채로 볼트를 전진시키면 저절로 튕겨내며 장전이 되는데 반해, 모신나강은 클립을 반드시 뽑아줘야 볼트를 전진시킬 수 있다.[28][29] 이러한 특징들 때문에 볼트액션끼리 비교해도 연사속도는 다소 떨어지는 편.
모신나강의 개머리판을 자세히 보면, 한 덩이의 목재로 통째로 만든 것이 아니라 두 조각의 목재를 접착하여 완성한 흔적이 보인다. 위 사진에서는 이격이 조금 벌어져있는 세번째 총에서 볼 수 있다. 이는 원자재를 절약하기 위한 공정으로, 개머리판을 통짜 목재로 만들 경우 목재가 많이 낭비되기 때문이다. 앞쪽의 얇은 부분을 깎아내면서 생기는 조각을 버리지 않고 접착하여 전체 개머리판을 완성한 것이다.[30] 38식 소총 99식 소총. 각 사진들을 개머리판 부분을 자세히 보면 개머리판의 목재 부분이 나뭇결도 다르며 아예 나뉘어진 걸 알 수 있는데 이건 개머리판의 아래부분을 다른 목재를 써서 만들었기 때문이다. 아래부분을 붙일 때에는 접착재 뿐만 아니라 멜빵고리 나사와 개머리판의 어깨받이 부분의 나사로 추가 고정을 하기 때문에 당시 일본군에서 사용시의 내구도는 문제가 딱히 없었지만 오랬동안 관리가 잘 안되거나 하면 접착부위가 저렇게 접합선이 두드러지고 떨어져 나가 버린다고 한다.]
모신나강이 워낙 널리고 널린지라 엄청 비싸지는 않다. 다만 북미에서 2010년대 초반에는 100달러 내외일 정도로 저렴했으나 민간에서 군용 소총 수입이 막히면서[31] 2017년 초반 91/30 기준으로 250달러 내외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물론 M44 카빈이나 육각형 리시버를 가진 초기형같이 물량이 적으면서 수요가 많은 형식은 이보다 더 비싸다. 그래도 여전히 이 가격대에 강력한 탄환을 쏘면서도 명중률이 준수한 소총을 사기는 매우 어렵기에 인기가 매우 높다.
물론 싼 만큼 단점도 있는데, 코스몰린이라는 보존유에 아주 쩔어서 오기 때문에 이를 벗겨내기가 굉장히 오래 걸리면서도 고되다. 그렇다고 귀찮다고 제대로 안 벗기면 사격시 노리쇠에 남아있던 코스몰린이 액화하면서 장전이 안되므로 확실하게 제거해야 한다. 고로 유튜브에 보면 모신나강에서 코스몰린을 제거하는 동영상이 수두룩하게 올라와 있다. 또한 반동이 다소 강하고 방아쇠압이 높아서 불편하긴 하지만, 전술했듯이 총 자체가 워낙 싸고 체격이 준수하면 그렇게 문제되는 단점은 아니니 모신나강 매니아들이 상당히 많다. 더군다나 싼 가격 덕에 여러정을 사서 마개조를 하는 경우도 은근 많다. 미국에 한창 수입되던 2010년대 초반에는 상자 째로 팔기까지 했었다.(...)
제정 러시아 시절인 1차 대전때부터 총류탄이 있었다. 하기사 총류탄은 1차 대전으로 흥했으니 당연하지만 2차 대전때도 총류탄이 사용되었는데, 이에 대한 정보는 모신나강의 명성에 비해 의외로 찾아보기가 어렵다. 여기서 모신나강의 총류탄 사진을 볼 수 있다.
공식으로만 242명을 저격한 소련의 바실리 자이체프와 54명을 저격한 로자 샤니아, 그리고 저격수의 전설인 핀란드의 시모 해위해가 모신나강을 사용하였다.
특유의 스파이크와 길이 때문에 모신나강을 쓰다 탄이 다 떨어지면 투창을 하면 된다는 개드립이 있지만, 투창으로 쓰기엔 무게중심이 엉망이라 잘 안 날아간다.[32] 뒤의 개머리판 때문에 투창에 최적화된 생김새도 아니다.
전열 사격 영상. 잘 보면 사수 1명은 모신나강이 아닌 SVT-40을 들고 있다.[33] |
4. 종류
4.1. 보병용(기본 소총)
-
M1891
hickok45의 리뷰 영상
가장 처음으로 나온 모신나강으로 1930년대 이전에 주로 사용된 모신나강이다. 러일전쟁, 제1차 세계 대전, 러시아 내전 등 러시아가 참전한 20세기 초의 분쟁에서 사용되었다. 1922년에 이 모델은 생산이 멈췄지만 (1922년부터 M1891/30 이 채택되고 양산 되기 시작된 1931~1932년까지 신품생산은 밑의 M91 Dragoon 버전만 생산했다고 한다.) 워낙 생산해 놓은 물량이 많아서인지 재생산은 되지 않다가 이후 1891/30으로 교체되었다. 이후로는 소련에서 완전히 퇴역된 걸로 보이지만, 소련이 아닌 다른 국가들에서는 그 이후까지도 쓰였다.[34]
-
M1891/30
hickok45의 리뷰 영상
소련에서 기존의 M1891을 교체하기 위해 1930년에 'M91 드라군'을 개량해서 채택한 모신나강으로, "모신나강"하면 떠오르는 가장 대표적인 파생형이다. 기본형인 보병용 M91의 길이가 1310mm로 휴대하기 불편한 점을 개선해 70mm 짧은 1240mm(124cm) 정도이며, 리시버 링의 형태가 각진 핵사 형태에서 매끈한 원통형으로 바뀌었고, 거리 조준기가 미터법 가늠자(2000m까지 거리 조절 가능)로 바뀌었으며, 우리가 잘아는 동그란 모양의 가늠쇠울도 이때 적용되었다. 1936년 이전에 생산된 모델의 경우 리시버가 각진 형태이지만, 이후 생산된 모델은 리시버가 둥근 형상으로 바뀌었다. 1930년(대량양산은 1931년부터 라고한다)부터 1973년까지 생산되었다.
4.2. 카빈형
-
M91 Dragoon
제정 러시아 시기 모신나강 M91의 드라군 버전이다. 1893년부터 1932년까지 이젭스크 조병창에서, 1923년부터 1932년까지 툴라 조병창에서 생산되었다. 주로 용기병이나 카자크 기병 등을 대상으로 제작되었다. 드라군 모델과 거의 동일한 모델로 'M91 cossock'가 있는데, '코삭'은 '드라군'과 동일한 외형을 가졌지만 별도의 제식코드(드라군은 'D', '코삭'은 'KA3(KAZ)')가 각인되었던 모델이다. '드라군'과 '코삭'은 기존 M91에서 70mm 정도로 줄어들었고, 무게는 0.2kg 정도가 줄어들었다. 조금 더 본격적인 기병총으로 M1907이라는 모델이 별도로 존재한다. 러시아는 제1차 세계대전에서 '드라군' 530,898정과 '코삭' 200,622정을 투입했다고 한다. 상당한 수량이 생산/사용된 것인데, 당시 기록사진을 보면 기병이나 카자크는 물론이고 포병, 맥심기관총팀, 심지어 보병이 사용하는 모습도 자주 목격된다. '드라군'은 혁명 이후 소련 시절에도 계속 생산이 되었는데, 1930년에 m1891/30이 통합표준이 되면서 1932년도을 끝으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M91/30은 '드라군'을 기본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가늠쇠/가늠자와 리시버 링 형태를 제외하면 세부치수까지 동일하다. 그렇다보니 1930년 이후, 기존 '드라군' 재고를 M91/30으로 개조해서 보급했는데, 이런 개체들을 'ex-dragoon' 즉 'M91/30으로 개수된 드라군'이라고 부른다. '코삭' 역시 1930년 이후 생산분은 M91/30으로 개수되었다.
-
M1907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기병을 위해 생산된 카빈 버전. M91 드라군보다 길이가 더 짧다. 기본형 M1891 보다 289mm 짧고 0.95kg 가벼워서 기병, 공병, 신호수 및 포병들에게 애용되었다.전면부 구조상 착검은 되지 않았으며, 1907년부터 시작해 1917년까지 소량 생산되었다.
-
M1938
1938년부터 1945년까지 이젭스크 조병창에서 M91/30을 베이스로 생산한 카빈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때 비전투 병과 및 후방부대를 위해 만들어진 카빈이다. 길이는 200mm 정도가 줄어들었으며, 무게도 0.6kg(탄 없이 3.4kg) 정도 줄어들었다. 위의 M1907처럼 총검이 장착되지 않는다. 총열이 짧아 기존 M91/30보다 과열이 되기 쉽다. 이후 1944년에 접이식 총검이 달린 M44 카빈으로 교체되었고, 많은 수량들이 M44식으로 개조돠었다.
-
M1944
1943년부터 시범적으로 5만정이 생산되고, 이후 44년에 정식적으로 생산되기 시작하여 1948년까지 생산된 카빈. 위의 M38카빈처럼 이젭스크 조병창에서 생산되었고, 구조도 M38과 구조가 동일하며 차이점은 총몸 옆에 붙어있는 접이식 찌르기용 총검인데, 이 총검으로 인해 무게가 M38보다 약간 늘어났다. 소련의 여러 위성국들에게 보급된 카빈 형은 대부분 이 버전으로 실제로 중국이 생산한 53식 기병총도 이 M44의 복제품이고, 베트남전의 모신나강들도 대부분 이 사양이다.
-
M1891/59
본가인 소련(러시아)에서 1959년부터 1960년까지 생산된 마지막 모신나강 파생형으로, 창고에서 보관되어있던 M1891이나 M1891/30을 잘라서 만들었다. 이 카빈소총은 사냥용으로 소련 민수용과 해외 민간수출용 목적으로만 만들어졌다. 이 역시 M38과 구조가 같지만 가늠자가 소총형 M1891의 것을 그대로 사용했다. 다만 9~20까지의 숫자는 그라인더로 갈아내서 800m까지만 조절가능하도록 만들어졌다. 단가를 줄이기 위해서인지 M44에 달려있던 접이식 총검이 사라졌고 총검 장착대도 없다. 약 3만정 정도가 개조되었으며,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에서도 면허 생산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4.3. 저격용
-
M1891/30 PEM
1935년에 개발된 저격 스코프 장착형. 조절 불가능한 4배율을 갖고 있다. 1930년대 들어 저격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개량한 버전이다. PE 스코프 형식이 최초로 개발된 버전으로 비상시 기계식 조준기를 사용할 수 있는[35] PEM / PU 스코프로 교체되었다.
저격용 모신과 기존 보병용과의 차이점은 스코프를 장착하기 위해 총몸 옆에 스크루 등 마운트가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마운트 아래 나무총몸이 약간 잘라지게 가공 되었다. 볼트 노리쇠가 스코프의 위치와 간섭되니 노리쇠의 모양이 달라졌다.[36][37] 스트리퍼 클립 장전은 스코프를 떼야만 장전이 가능하므로 1발씩 넣어야 한다.[38]
-
M1891/30 PU
Forgotten Weapons의 리뷰 및 사격 영상
PU 조준경 장착형. PU 조준경은 1940년에 개발되었으며 고정식 3.5배율로, 근접전 시 조준경 아래 기계식 조준기를 통해 사격을 할 수 있다. PU 스코프가 가장 흔한 모델이 되었다.
-
M38 저격용
모신나강 M38 기병총을 저격용으로 개조한 소총이다. 노리쇠쪽 나무 총몸 쪽을 가공하고, 총몸에 볼트 홈을 만들고 노리쇠 꺾는 개조 혹은 저격용 노리쇠로 교체하면 M44든 어떤 모신 카빈총이든 저격용으로 쓸 수 있다. 군에서 제식으로 쓴 적은 없는것 같으며, 미국 민간 슈터나 사냥용쪽에서 사용한다. #
-
OTs-48(ОЦ-48)
구소련 붕괴후 러시아에서 처음 만들어진 파생형으로 모신나강 재고품들을 2000년대에 개조해 PSO-1, PKS-07 등 좀더 고배율의 조준경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이드 마운트가 설치되었다. 민수용으로 만들어진 모델이다.
-
OTs-48K(ОЦ-48К)
OTs-48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만든 불펍형 모신나강 OTs-48K(ОЦ-48К), 길이는 줄었지만 총열은 그대로다.
4.4. 권총형
위 사진의 물건은 전문적인 공작 기구를 사용해서 단축한 뒤 제대로 가늠쇠도 달아놓고 그립도 만들어둔 정교한 물건인데, 실제로 만들어진 대부분의 오브레즈는 아래 사진과 같은 톱으로 대충 썬 투박한 것들이었다. 당연히 제대로 조준도 불가능하고 반동만 강한데 일반적인 권총과 달리 볼트액션식이라 사용하기 불편한 물건이었다.
진짜 권총을 쓰지 않고 이런 엉성한 물건을 만들어 쓴 이유는, 기본적으로 권총이 소총보다 훨씬 구하기 어렵기 때문이었다. 모신나강 같은 볼트액션 소총은 대부분의 병사에게 보급되는 것이기에 1, 2차 대전 같은 대규모 전쟁에서 수만개씩 분실되어 전사자가 가진 총을 슬쩍 노획하는 것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었다. 반면 권총은 장교나 특수병과의 병사 등 소수에게만 지급되는 것이기에 볼트액션 소총에 비해 훨씬 구하기 어려웠다. 반군, 빨치산, 범죄자 등이 은닉하고 휴대하기 좋은 총이 필요한데 진짜 권총을 구할 수는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소총을 톱으로 간단히 개조해서 쓴 것이다.
모신나강으로만 만든 것은 아니고 Kar98k, 38식 소총 같은 다른 볼트액션 소총으로 만든 물건도 종종 발견된다. # 모신나강으로 만든 것이 가장 많은 이유는 당연히 생산량이 그만큼 압도적이기 때문. 심지어 PPSh-41 같은 기관단총을 이용해서 만든 물건도 있다.
4.5. 현대화형
ORSIS 社[41]에서 현대화한 모신나강[42] |
또한 우크라이나에서도 모신나강을 개조하고 싶어 하는 건 마찬가지라서 새로운 컨버젼 키트인 크룩크(갈까마귀)를 출시하였다.
.500 S&W 탄을 쓰도록 개조하는 경우도 있다.[44] |
4.6. 타국에서
볼트액션 총 중에서도 싸고 내구성도 좋아 중소국들에게서는 인기를 끌어 유고슬라비아, 폴란드, 핀란드에서는 제식 소총으로 수입되거나 라이센스 생산되었다. 특히 폴란드와 핀란드제는 오리지널보다 우수한 품질을 보였다.4.6.1. 폴란드
7.92x57mm 마우저 탄으로 사용 탄종을 변경하고 여러 개량을 가한 카빈형인 Kbk wz.91/98/23을 게베어 1898 계열 소총들과 함께 운용했다.4.6.2. 체코슬로바키아
Forgotten Weapons의 Vz.54 리뷰 및 사격 영상 |
4.6.3. 핀란드
M24 |
width=100% |
M27 |
width=100% |
M28 |
M28/30 |
M39 |
Forgotten Weapons의 M91/24, M27, M28 ,M28/30, M39 리뷰 영상 |
M39는 크기는 카빈 사이즈( Kar98k급)라 휘두르기 편하고, 총열이 정밀해서 잘 맞고[45], 전후 생산분의 경우 상당수가 프리플로팅 배럴 상태다. 이 상태를 만들기 위해 액션과 프레임 사이에 얇은 구리판을 몇 장 끼워서 총기 각각마다 액션이 높이와 접촉 정도를 조절하는 등의 상당한 공이 들어가 있다.
프레임과 스톡을 두툼하게 만들어서 내구도도 좋으며 디자인도 예쁜 궁극의 모신 나강으로 손꼽힌다. 보통의 모신나강은 총목(오른손으로 잡는 부분)이 직선형이라 몹시 빈약하고 뭔가 없어보이는 디자인인데, M39는 권총손잡이형으로 약간 도드라진, 일반적 엽총 디자인을 하고 있다.[46] 왼손이 잡을 전방 스톡 역시 두꺼워서 잡는 질감이 좋다. 성능에 직결되는 부분은 아니지만 모신나강의 싸구려틱함에서 부족함을 느끼던 밀서플 총매니아들에게 환영받는다.
-
7.62 TKIV 85
또한 TKIV 85라는 재활용 버전이 비교적 최근까지도 존재한 징글징글한 생명력을 보여주는 총이기도 하다. 유럽식 재활용[47]의 전형적인 예시를 보여주는 경우.
-
M28/76
width=100%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경기용 파생형.
4.6.4. 중국
-
53식 보기총
중국은 중화민국 시절 중화민국 해군에서 모신나강 M1891과 M1891/30을 구매해 사용한 것 이외에는 모신나강과 별다른 관계가 없었다.[48] 그나마 국민혁명군이 예외였다. 북벌 전쟁 도중에 황푸군관학교 졸업생들과 펑위샹의 국민군이 소련으로부터 원조받은 모신나강 소총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1937년 8월 중소 불가침 조약 체결 이후에는 1941년 6월까지 5만정이 추가로 중국에 제공되었다. 이후 중화민국이 중국 대륙에서 쫓겨나고 공산주의 국가인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섰음에도 중국군의 제식 소총은 아리사카 소총과 24식 소총이였다.
하지만 6.25 전쟁 중반부터 소련제 M44 카빈이 도입되며 제식화되었고, 이후 중국이 여러 소련제 무기들을 카피하면서 M44 카빈을 복제한 것이 바로 이 53식 보기총이다. 이후 56식 보총으로 교체되면서 2선으로 물러나고, 이후 베트남 등 여러 국가들에게 공여되거나, 민수용으로 풀리게 되었고, 일부는 전 세계의 반군들에게 여러 모신나강들과 함께 쓰이고 있다.
의장대에서는 아직도 사용되고 있다.
4.6.5. 독립군
러시아 제국은 1차 대전에서 포로가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소속의 체코인들 가운데 반오스트리아 성향의 체코인들을 전향시켜 체코슬로바키아 군단으로 편성하여 추축국과의 전쟁에 다시 투입할 요량이었다. 하지만,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제국이 붕괴되자 이들은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되었고 이들은 러시아군 무기로 무장했고 개인 소총은 모신나강이었다. 이들은 동쪽으로 가는 길이 막혔기 때문에 시베리아 철도를 타고 블라디보스토크까지 가면서 이들을 제지하는 여러 세력들과 교전을 벌였고 결국 1919년 블라디보스톡에 다다른 이들은 이제는 필요 없어진 무장을 당시 만주지역에 있던 북로군정서에 팔고 고국으로 돌아갔다.독립군은 체코군단에게 구입한 무기로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를 치르고 일본군에게 타격을 주었다.
4.6.6. 북한
북한의 첫 제식화기이며 30식 혹은 아식 보총[49]으로 알려졌다.
이후 58식 보총이 도입됨에 따라 제식 소총에서 퇴역하고 50식 보총이란 이름으로 저격 보직에 재배치되었다. 그후 78식 저격보총 등의 신규 저격총이 배치되어감에 따라 퇴역하여 준군사 조직이나 열병식용만 식별되고 있다.
4.6.7. 일본
width=100% |
https://igun.cz/MosinID/MosinRareJapanese1905.htm
4.6.8. 독일
4.6.9. 미국
Forgotten Weapons의 미국제 모신나강 리뷰 영상 |
이로 인해 레밍턴 암즈와 웨스팅하우스 컴퍼니는 돈은 돈대로 들여 만들었지만 정작 팔지 못해서 도산 위기에 몰리지만 미국의 구제금융 덕분에 미 육군에 약 28만 정, 러시아 내전 당시 백군에 약 8만 정, 그리고 미국 민수시장에 소량의 생산품을 팔 수 있게 되었다. 상당한 품질을 자랑하던 2차 대전 당시 렌드리스 생산분과는 대조적으로, 평가가 그다지 좋지는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1차 대전 당시 만들어진 모신나강은 회사마다 부품 규격이 달라 정비가 어려웠고, 신뢰성이 떨어졌기에 이후 미국 의회도 이를 지적하며 점차 납품량이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쌓인 잉여 모신나강들은 러시아 내전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러시아 내전에 파견된 미 육군 제339연대, 그리고 흐르고 흘러서 한국의 독립군에게까지 일부 흘러들어갔다. #
4.7. 기타
러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니콜라이 2세가 병정놀이를 좋아하던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로마노프 황태자를 위해 50%로 축소시킨 모신나강을 장난감으로[50] 선물했었다고 한다. 이 모신나강은 드물게도 1정만 만들어진 엄청난 귀중품이라서 상당히 비싼 몸값을 자랑한다고.RM-38 등의 50mm 박격포 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RMN-50이란 변형도 존재했다. 7.62×54mmR 공포탄을 사용하여 박격포탄을 격발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상세한 기록은 거의 전무하다.
1912년, 니콜라이 홀로도프스키 러시아군 중장과 툴라 조병창의 모신나강 개량 프로젝트로 제작된 소위 '콜로도프스키 모신나강'들도 존재한다. 기존 모신나강의 단점으로 지적된 여러 부분들을 개량하고, 프리플로팅 배럴같은 신기술을 도입하는 한편으론 더 양질의 부품들을 사용하여 성능적으로 더 우월한 모신나강을 사용하자는 개념이었으나, 제정 러시아의 저열한 공업력과 알루미늄을 비롯한 원자재 수급 문제, 보수적인 군부 인사들의 거부 등으로 인해 지지부진하게 생산되다가 결국 1916년 제1차 세계 대전을 맞이하며 급하게 모신나강들을 뽑아내야할 상황이 닥치자 결국 중단된다.
5. 대중매체
5.1. 게임
모신나강 | Obrez |
- 고스트 리콘 시리즈
- 고스트 리콘: 퓨처 솔져 - 러시아측 저격 소총으로, ULC로 얻을 수 있다. 100년 전의 물건에 RIS를 달고 몸체를 나무가 아닌 폴리머 등으로 대체해버린 마개조를 거쳐서 등장.
- 고스트 리콘 와일드랜드 - 외형은 위 문단에서 언급한 프로맥에서 아크 엔젤 스톡을 사용한 현대적인 외형에 'M1891'이라는 이름으로 등장.
- 다크스트 오브 데이즈: 나강 7이란 이름으로 등장했는데 이름의 모티브는 M1907로 추정된다.
- 레드 오케스트라/라이징 스톰 시리즈
- 레드 오케스트라 - M1891/30, M38 카빈, M44 카빈이 소련군 전용 무장으로 등장한다.
- 레드 오케스트라 2 - 소련군 저격수, 소총병의 주무장으로 나온다. PU 스코프를 단 저격수의 모신나강보다 보병용이 움직이는 적을 맞추기 더 쉽다. 그리고 이 게임 특성상 상체 명중 시 소총탄은 한발, 많아야 두발이면 죽기 때문에 장탄수가 신경쓰이지 않는 편. 참고로 권총탄은 심장이나 영 좋지 않은 곳 등 주요 부위가 아닐 시 세발은 박아야 한다.
- 라이징 스톰 2: 베트남 -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의 게릴라와 저격수 병과의 주무장으로 등장. 게릴라는 보병용 1891/30을 사용하고 저격병은 PU 스코프가 달린 저격용 1891/30을 사용한다.
- 메탈기어 시리즈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서 Mk.22 다음으로 가장 상징적인 마취총.
- 메탈기어 솔리드 3 - 뜬금없이 개머리판이 싹둑 잘리고 사제 개머리판과 권총 손잡이를 달고 마취총으로 개조되어 디 엔드가 들고 등장. 디 엔드를 스태미나 킬 하면 얻을 수 있다. Mk.22와 마찬가지로 비살상 무기로, 스코프를 이용한 조준이 가능하고 조준경은 줌인도 가능하기 때문에 꽤 멀리서도 저격이 가능하다. 스토리 중반에 에바와 접선한 곳에서 그로즈니그라드에서 왔다 갔다 하는 적병들을 저격할 수 있을 정도. 소음기를 달 수 없어 바로 적들의 이목을 끌게 되고 적들의 시야에서 벗어난 위치에서도 몇 번 연속으로 사용하면 얼럿이 되기 때문에 함부로 사용하기 어려운 것이 난점이지만 보스전에서는 Mk.22에 비해 스태미나를 꽤 크게 깎아내기 때문에 더 퓨리의 뒤통수에 헤드샷을 날려주거나 샤고호드에 올라탄 예브게니 보리소비치 볼긴을 스태미나 킬 하는 데에는 유용하게 쓸 수 있다.
- 메탈기어 솔리드 4 - 마취탄을 쓰는 모신나강을 드레빈에게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다. 소리가 좀 크고 연속 발사가 힘들지만 B&B 부대의 스태미너 킬을 노릴때 유용하다.
- 메탈기어 솔리드 피스 워커 - Mk.22와 함께 단 둘밖에 없는 마취총으로 활약한다. 소리가 꽤 큰 편이라 적들의 이목을 끌기 딱 좋고 길이가 워낙 길쭉한 놈이라 위장률도 많이 떨어지는 편이라 생각보다 써먹기는 어려운 편. 발 앞에 스모크 그레네이드를 던져서 시야를 차단하고 NVG를 끼고 전부 저격으로 보내버린다거나 하는 등의 응용도 가능은 하다. 대신 랭크 5까지 개조가 완료되면 소음기를 붙일 수 있는데 여기까지 오면 이때부터는 그야말로 무적의 마취총이 된다. 이걸 이용하면 대형 병기의 부대장을 끌어낸 다음에 저격해서 스태미나 킬 하는데 아주 유용하다. 다만 랭크 5 연구에 요구되는 레벨이 기술 91, 의료/첩보 93으로 정신 나가 있어서 막판에 볼장 다 보고 S랭크 수집할 때나 써먹을 정도. 메탈기어 솔리드 시리즈엔 어째 실탄을 쏘는 멀쩡한 모신나강은 안 나올 모양.
- 메탈기어 솔리드 V 더 팬텀 페인 - 이것에서 모티브를 딴 Renov-Ickx Sniper Rifle(레노프 - 이크스 저격총)이 등장. 전작들에선 항상 마취총이었지만 이번작부턴 실탄 버전부터 먼저 개발한다. 하지만 당연히 시리즈 전통의 마취탄 버전도 존재한다. 비슷한 콘셉트의 M2000에 비교하면 아무리 개발해도 소음기가 달리지 않고 성능이 미묘하게 낮지만(단, 연사력이나 자동 조준 보정은 이게 더 좋다.) 대신 코스트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커스터마이즈가 해금되면 M2000의 부품을 사용해서 성능 격차를 줄일 수 있고 M2000의 소음기를 달 수도 있다.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베트남 - M1891/30이 베트콩 세력의 저격총으로 등장한다. 모델링이 반대로 되어있다. 성능은 미군의 M40 저격소총과 동일하다.
- 배틀필드 1 - DLC In the Name of the Tsar 에서 M1891 모델이 정찰병의 새로운 총기로 등장한다. 특이한 점은 Ovrez Pistol 이란 보조무기도 추가되는데, 이건 모신나강을 소드오프해 만든 권총 이다. 게임 내에서 유일하게 소총탄을 사용하는 보조무기이며, 데미지도 가장 높은게 특징. 그리고 배틀필드 V 예약구매자에게는 카빈인 M38을 준다.
- 배틀필드 V - 박격포 개조형인 RMN-50이 정찰병의 병과 장비로 등장한다.
- 소녀전선 시리즈
- 소녀전선 - 4성급 라이플로 등장하는데, 성능은 웬만한 3성보다도 천대받는 총...이지만 전용장비인 해위해 기억 칩을 착용하면 4성 값은 하는, 개장까지 마치면 자신만의 특장점을 갖고 3종 전용 장비 파밍을 하면 더 강해지는 5성 라이플로 키울 수 있다. 참고로 '해위해'는 이 총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한 전설적인 저격수의 이름을 딴 것이며, 그의 별명이었던 하얀 사신이 해당 장비의 설명문구에서 언급된다. 그리고 전작인 빵집소녀에서 제퓨티가 들고 다니는 총이기도 하다. 여담으로,2차창작에서는 가끔 할머니 취급을 한다. 겉모습만 2030 여성이고 말투나 생각이 전부 할머니... 사람들도 할머니 취급한다.
- 소녀전선2: 망명 - 전작에 이어 정예 전술인형으로 등장 하였으며 각인된 총기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는 몇 안되는 인형이다. 전용무기의 외형이 아크엔젤 스톡을 적용한 모습을 기반으로 디자인 되어있다.
- 역붕괴: 베이커리 작전 - 구 빵집소녀때와 마찬가지로 주인공 제퓨티의 주무기로 등장.
- 언턴드 - 스코필드(schofield)라는 이름을 달고 나오는데, 아이템 설명창에 프랑스제라고 되어있었다가 업데이트 되어 러시아제로 바뀌었다.
- 오퍼레이션7 - 유료 뽑기 아이템으로 등장했다. 특이하게도 양산형 M1891/30 모델이다. 당연히 별도의 개조파츠가 없으며, 장전 손잡이도 일반형 모델의 그것이다. 대미지야 기존에 있던 7.62 x 54탄을 쓰니 87%라는 높은 대미지를 가지고는 있지만, 5발 클립이라는 점, 별도의 광학 조준기가 없다는 점, 볼트액션이라는 점 등 때문에 반응이 썩 좋지는 않다. 뽑기로 나오는 2차 대전 소련군 복장과 세트로 장비하면 정말 멋지다. 가끔 가다 이걸로 상대방 돌격수는 물론, 유탄수에 심지어는 상대방 저격병까지 요단강 관광 보내는 괴물들이 유튜브에 출현한다. 국내 서버에서는 이런 괴물들까진 없고, 대부분 재미로 한두 게임 뛰는 정도라, 볼일은 거의 없다. 다만 인타 복도에서 유탄 포화를 뚫고 일격 일탈 전술을 펼치며 야금야금 갉아먹는 모신나강을 볼 때면 상대방 입장에선 그저 힘이 쭉 빠질 뿐이다. 오퍼레이션 7은 무기 교체 속도가 느려서 스왑핑이 의미가 없다지만, 막상 한 발 쏘고 다른 무기로 교체하면 리챔버링이 알아서 되어있음을 기억하자. 즉, 한 발 쏘고 바로 잉그램 들고서 탄막을 펼치면 모신나강으로 초탄을 놓쳤더라도 앵간한 유저들 다 쌈 싸 먹을 수 있다. 다만 수류탄이나 유탄에 피격된 상태라면 그저 요단강 익스프레스 확정.
- 인리스티드 - 모스크바 공방전 캠페인에선 M1891/30부터 M1938까지 종류별로 징하게 우려먹는다. 심지어 50mm 박격포탄을 쏘는 희소한 바리에이션 RMN-50까지 등장. 상대하는 독일군의 주력소총이 Kar98k 바리에이션이라 양 진영간 성능차이는 별로 없다.
- 인서전시 - 반군이 쓰는 저격소총이다. 스코프와 양각대 등을 부착할 수 있다. 서바이벌 모드에서 초기 웨폰 포인트로 달 수 있는 유일한 주무기. 물론 서버마다 다른 경우도 있다.
- 재기드 얼라이언스 2 - 안 나오는 총이 없는 1.13 모드에서 당연히 등장한다. 볼트액션이라 연사가 느리니 일반적인 사용은 불가능하고, 그래도 대미지가 높고 사거리가 기므로 게임 극초반에 스코프 달고 저격총 비슷하게 쓸 수는 있다. 문제는 초반에는 탄약도 총도 적이 잘 드롭하지 않으니 2차 대전 소총을 인터넷으로 사서 쓰는 촌극이 되기 십상.
- 카르마(FPS) - 저격병과 무기로 등장하며, M1891/30 스나이퍼 모델에 PU스코프를 장비한다. PC방용으로 위장 붕대를 감은 모신나강이 있다. 스코프 조준선까지 잘 구현해냈지만, 배율이 매우 낮은데 이는 카르마 2 내의 모든 저격소총에 해당된다. 1단 조준임에도 배율이 굉장히 낮을뿐더러, 리엔필드를 제외하곤 다들 조준 속도도 빠르다. 스펙상으론 Kar-98K와 차이가 없지만, 실질적으론 모신나강이 사거리가 더 길고 대미지도 더 높아서, 대부분의 저격 유저들이 모신나강을 선호했다. 그리고 Kar-98K는 기본 무기다. 텍스쳐 퀄리티부터 확연하게 차이 나서, 개발진이 러빠 아니냐는 소리까지 나왔을 정도. 카르마 리턴즈로 넘어오면서 밸런스 조절이 되었다. 이때 정말로 Kar-98K와 성능이 같아지고 큰 차이는 없게 되었다. 다만 여전히 모신나강 쪽이 돌격형 저격에 더 적합하다는 듯하다. 현재는 스코프를 제거한 M1891/30도 나왔는데, 스코프가 없다는 이유로 정확도와 사거리를 대폭 깎아내렸다. 나름대로 재현을 한 것인데, 정작 월드 앳 워와 마찬가지로 M1891/30 저격형 모델이다. 그런데, 스코프 달린 M1891/30과 모션 차이가 아예 안 난다! 꺼내는 모션부터 시작해서, 리챔 버링 모션, 심지어는 재장전 모션까지 한 발 한 발 삽탄 하는 형식으로, 저격형 모델과 완전 똑같다! 결국엔 기존의 M1891/30 저격 모델에서 딸랑 스코프만 떼 버리고 선 스펙을 무자비하게 칼질한 셈. 게다가 첫 등장 땐 대미지가 50밖에 되질 않아 외면당했는데, 100으로 상향된 후에도 외면당하고 있다. 정확도와 한 방 사거리가 너무 심하게 낮다 보니 대미지 100이 큰 의미가 없게 되었고, 차라리 그럴 바엔 저격 모델 쓰는 것이 더 나으니...
-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 스코프를 장착하고 저격소총으로 출품되었다. 걸어다니면서 사격해도 좋은 명중률이 특징이며 초보자가 사용하여도 좋다. 샷건처럼 장전도중 대응 및 사격이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 하지만 명중률과 파괴력이 약간 부족하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2 - 성능은 스프링필드와 똑같다.(...) 다만 좀 더 간지나는 것이 장점.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 당시 제식 소총이었던만큼 소련 팩션에서 일반병인 징집병부터 화기반 분대원들까지 보병 유닛들 상당수가 모신나강으로 무장하고 있다. 성능은 적당히 평균적인 수준. 연사력이나 데미지는 딸리나 명중률은 나쁘지 않다. 예외로 고급 호출 유닛인 근위소총병의 모신나강은 상당히 우수한 성능을 자랑한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 M1891/30 모델이 소련군의 제식 소총으로 등장한다. 일반형은 죄다 저격용 마냥 볼트 핸들이 껶여 있고, 저격용은 스코프가 달려있는데도 불구하고 클립째로 밀어넣는다. 다른 저격총들은 다 한 발씩 장전하는데 대체 왜...
- 콜 오브 듀티 2 - M1891/30이 소련군의 소총으로 등장. 1편의 재현 오류에서 벗어나 일반형 모델링도 제대로 돼있고 저격용도 한발씩 집어넣는다. 저격용은 다른 저격총들과 다르게 천으로 말려 있는데 이는 에너미 앳 더 게이트의 오마쥬.
- 콜 오브 듀티: 월드 앳 워 - 특이하게 M1891/30이 아닌 카빈형인 M38이 등장한다. 게다가 스코프가 없는 일반형도 볼트 핸들이 꺾인 채로 나온다. 분명 아리사카의 직선형 볼트 모션도 존재할텐데 대체 왜 그랬는지 불명.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 1945년 파트에서 등장하는데, 전작에서는 조준경 낀 상태에서 한 발 한 발 장전했는데, 이번에는 클립으로 장전한다.
- 콜 오브 듀티: WWII -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M1891이 3선 모신나강이라는 이름으로 등장. 제작진들이 모션에 신경썼는지 이제는 스코프가 있어도 클립을 우겨넣는 등의 짓은 하지 않는다. 여담으로 스코프의 레티클이 매우 특이하다.
- 콜 오브 듀티: 뱅가드 - 쓰리 라인 라이플이라는 무기로 등장. 그 중 캠페인에서는 스코프가 달린 레퀴엠이 폴리나 페트로바의 전용 무장(버릴 수도 없다.)으로 등장한다.
-
탄넨베르크(게임) -
제1차 세계 대전 배경이다 보니, 위
배틀필드 1처럼 M1891 원형이 등장한다. 성능은 매우 훌륭하며,
게베어 1898과
38식 소총에 비하면 묵직한 맛은 덜하지만 노리쇠 재장전이
매우 찰지고빠른 편. 카빈형과 드라군형도 등장하나 단축형이라는 걸 강조하려고 했는지, 조준시 가늠쇠가 너무 흔들려서 원형보다는 인기가 덜하다.
- 톰 클랜시의 더 디비전, 톰 클랜시의 디비전 2 - 클래식 M44(M1944)와 사냥용 M44( OTs-48), 커스텀 M44(아크엔젤 사 스톡 버전) 세 종류로 등장하며, 1에서는 저격소총, 2에서는 지정사수소총으로 분류된다. 공격력은 게임 내 소총 중 탑이지만 클립식+볼트액션이라는 점 때문에 연사와 재장전이 매우 느리다.[51] 디비전 2에서는 네임드 무기로 ' 하얀 사신'도 등장한다. 외형은 클래식 M44와 같다.
- 페이데이 2- Nagant Rifle이라는 저격소총으로 나온다. 특이한 점은 개조품 중 총검이 있다는 것이다.
- 히어로즈 앤 제너럴스 - 소련군의 볼트액션 소총으로 등장했다. 기본 지급인 SVT-40으로 플레이하다 보면 가장 처음으로 언락 할 수 있는 총이기도 하다. 주로 보병과 수색대가 사용하며, 풀 개조 시에는 모든 보병을 한 방에 잡는다. 보병의 것보다 우월한 장비를 사용하는 수색대의 총기는 헤비셋 은장 유저까지 골로 보내버릴 수 있다.
- AVA - 스나이퍼 용 캐쉬 캡슐 무기로 등장했다. 굉장한 정확도나 빠른 스왑 속도, 높은 데미지 등으로 인해 캡슐 무기 중에서 굉장한 인기를 얻었으며 현대 무기보다 우월하다. 스코프는 겉으로 보면 실제의 3.5 배율 PU 스코프인 것 같지만, 정작 조준해보면 1.5배율 1단 스코프이다! 게다가 조준 속도도 굉장히 빠르다. 즉, 현대무기 쌈싸먹는 스펙[52] X (높은 정확도 + 빠른 스왑 속도 + 빠른 조준 속도 + 강한 한방데미지 + 낮은 배율) =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캡슐무기이나 출시 초반엔 엄청난 스왑속도와 한방과 조준 속도로 밸런스 논란이 일어 그야말로 폭풍하향 당했다. 그럼에도 쓸만한 수준. 단점이라고 하자면 한발 한발 장전한다는 점이 있다.
- DayZ - Mosin M91/30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총기는 민간 지역에서, 탄약은 민간/군사 지역에서 찾을 수 있다. 영점 조절은 1km까지 가능. 톱으로 잘라서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는데, 총의 내구도가 심각하게 나빠진다.
- Day R Survival - 모신 소총이란 총기로 등장한다. 다만 총알이 귀해서 더 흔한 5.45x39mm 탄을 사용하는 AK-74를 자주 사용하게 된다.
- Escape from Tarkov - 극초반부터 구입가능한 저격소총으로 등장한다. 총열과 총몸을 교체하거나 상인들과의 물물교환을 통해 Sniper, Infantry, Ovrez버전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이후 아크 엔젤 스톡같은 물건도 등장. 고인물 뚠뚠이들도 두려워하는 뉴비들의 죽창. 7N1 탄약 사용시 4클래스 방탄복까지는 가슴한방, 그 외 상위 탄종 사용시 6클래스까지 무리없이 관통가능하다. 기본 스톡을 사용하면서 차탄 장전시 약실에 있는 탄약이 빠져나가 빠진 탄약만큼 장전을 더하니 장전 시 유의해야한다.
- Phantom Forces - 91 랭크에 해금되는 저격소총으로 등장한다. 다른 저격소총에 비해 높지 않은 데미지를 가지고 있지만, 빠른 발사 속도로 승부를 보는 무기이다. 보조무기에 권총형도 존재한다.
- PUBG: BATTLEGROUNDS - 처음 출시부터 등장할 계획이였지만 일정에 맞추기 위해 에셋을 써야 했는데 모신나강의 에셋이 없는 바람에 비슷한 Kar98k를 넣었다. 그러다 시즌 7 한랭전선에서 모신나강이 추가되며 성능, 사용 탄약, 그리고 사용 가능한 부착물 모두 기존의 Kar98k와 같지만, 모신나강만의 고유한 외관과 사운드를 가지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모신 나강(PUBG: BATTLEGROUNDS) 참고.
-
Surviv.io
여기에도 이게 등장한다. 7탄을 사용하는 SR이다. 다른 SR 치고는 흔하면서도 높은 피해량과 사거리, 탄속을 자랑한다. 발사 간격은 조금 긴 편. 주로 보급에서 많이 나온다. 맵에 단 하나뿐인 잎이 진한 나무에서도 무조건 나온다. 당연히 필드 드랍도 되지만 확률이 낮다. 필드 드랍으로는 주로 대저택의 고급 상자 또는 해적 상자, 다리 상자에서 자주 보인다. 장전 방식은 조금 특이한데, 모든 탄이 떨어진 상태[53]에서는 2초 정도 동안 5발의 탄을 한 번에 장전하고, 탄이 아직 남아 있다면 단발로 빠르게 장전한다. 그러나 다른 단발 장전 무기보다는 조~금 느리다. 무엇보다. 이 총의 생명은 퀵스위치이다.[54] 퀵스위치를 못하면 이걸 쓰는 이유가 없다. 서밥의 많은 고인물들은 이를 SPAS-12와 같이 사용한다. 주로 모신을 더 먼저 쏘는 편. 다만, SV-98과 비교한다면 이게 더 안 좋다. SV는 애초에 이것의 상위 호환으로 제작된 괴수지만.
- Tower Defense Simulator - 무법자의 스킨중 하나인 도당 무법자 스킨을 끼면 0~2레벨까지 들고나오는 총이다. 실제로 이 스킨의 컨셉이 파르티잔이라고 한다.
- Westbound 3000원짜리 소총으로 등장, 데미지는 버팔로 소총 다음으로 높은정도로, 준수한 편이다.
- Frontline: Karelia 40 - 44 핀란드, 소련 소총수, 공병, 분대장 초보 무기, 신호병등 병과의 기본 무기로 등장한다.
5.2. 영화
2차 대전 소련군, 1차 대전 러시아군이 등장하는 영화에서는 100% 등장하고, 전간기와 냉전기 배경 영화에도 자주 등장한다. 6.25 전쟁 배경 영화에서도 당연히 등장하지만 옛날에 만들어진 반공영화에서는 북한군 전원이 PPSh-41을 들고 나오는 경우도 있다.-
고지전
북한군 저격수 "2초" 차태경( 김옥빈 분)이 PE 스코프가 달린 저격수용 모신나강을 사용한다.[55]
-
댄저 클로즈: 롱탄 대전투
롱탄의 고무 농장에 있는 인부들의 숙소로 쓰는 오두막 다락에서 매복하고 있는 베트콩 저격수가 벽[56]에 총구를 빼꼼 내놓고 ANZAC군을 저격한다.
- 1998년에 제작된 러시아 영화 러브오브시베리아 (원제 시베리아의 이발사)의 임관식 장면에서 사용한다. 허나 이는 재현 오류인데 영화의 배경이 되는 1885년은 모신나강이 개발되기 전이다.[57]
- 봉오동 전투 - 독립군이 사용한다. 특히 저격수로 나온 류준열이 사용한 것은 스코프를 달 수 있도록 개조된 버전이지만, 볼트를 젖힐 때 손잡이가 90도로 서는 것으로 보아 저격수용으로 개조된 버전은 아니다.
-
에너미 앳 더 게이트
총 3종류가 등장한다. 처음에는 2인 1조로 실탄 클립과 함께 분배하는 소총으로 M91/30과 M38이, 조금 지나서는 바실리 자이체프가 귀신처럼 원샷 원킬로 죽이는 장면에선 M91/30 PU 사양이 나온다. 이 영화의 소련군 저격수들은 모두 모신나강을 사용한다. 원래 유명한 편 이긴 했지만 모신나강이 지금처럼 세계구급으로 출세(?) 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영화이다. 또한 거적떼기를 칭칭 둘러서 위장하는 모습도 이후에 나오는 많은 대중매체에서의 저격용 모신나강에 계속해서 오마쥬 되고 있다.
- 영웅 - 조도선이 저격 담당이라서 잘 애용하고 있다. PU 망원 조준경을 장착하고, 세탁소에 있는 헌옷 조각으로 위장하고 있다. 그리고 하얼빈역에서 사열하고 있는 러시아 제국군도 보병형을 쓰고 있다.
- 웨이 백 - 시베리아 수용소에서의 탈출을 그린 영화다. 경비병들이 소지하는데 총검까지 붙어서 마치 창에다 개머리판을 단 듯 굉장히 길어 보인다.
-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다수의 마적 부하들이 들고 다닌다.
- 차우 - 극중 슬러그탄을 사용하는 샷건으로도 300kg이 넘는 괴물 멧돼지를 잡는게 불가능해지자 베테랑 포수 천태만이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소련제 모신나강이라며 스코프가 장착된 모신나강을 꺼내 보이자 핀란드 유학파 포수 백만배는 핀란드제라며 딴지를 건다. 사실 둘 다 맞는 말이다. 앞서 서술했듯 러시아에서 개발됐지만 핀란드에서도 상당량을 우수한 품질로 생산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작 멧돼지와 조우해서 사격하는 장면 직전까지 들고 다니는 총은 모신나강이 아니라 중국제 에어소프트건 Kar98이다. 제작 여건상 문제가 있었던 듯. 멧돼지에게 발사했는데 가죽을 뚫지 못하고 도탄되어 옆에 있던 나무를 쓰러트린다.
- 강철비 - 호위총국장 박광동을 암살하기 위해서 엄철우가 브라밋 소음기와 PU 조준경을 장착한채 사용한다. 그러나 암살 현장에서 박광동이 안 나오는 바람에 실사격은 없고, 이후 쿠데타측 북한군과의 총격전에서도 제대로 사용되지 못 한다.
5.3. 드라마
- 미스터 션샤인 - 12화에서 고애신(김태리 분)이 유진 초이(이병헌 분)한테 해드리오 전당포를 통해 입수한 모신나강을 받아 작중 내내 사용한다. 전당포에서 구할 때 구체적으로 모신나강을 구해달라고 부탁하고 애신에게 선물할 때는 '러시아제 볼트액션 총'이라고 말한다.
5.4. 소설
- 리리아와 트레이즈 - 3~4권에서 트레이즈 베인과 엘버가 모신나강을 사용해 저격 배틀을 벌인다.
- 월야환담 시리즈 - 등장인물인 루스킨이 3부 광월야에서 모신나강을 베이스로 개조한 모신나강 루스킨 커스텀을 사용하지만 주변 사람들은 이 때 교체한 기존의 부품만으로도 모신나강 한 자루를 만들 수 있다고 이를 모신나강이라고 인정하지 않는다고 한다.
- 조선, 혁명의 시대 - 역사의 변화로 생존하게된 대한제국의 친러시아 정책때문에 제식소총으로 채용되고 동양인 체형에 맞도록 소형화한 광무소총, 또는 모총이나온다. 러시아에서도 모신나강 크기가 너무 크다는 의견 때문에 모총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
- 조선에는 쿠데타가 필요해요 - 레밍턴 롤링블럭과 게베어 1871을 대체하는 대한제국군의 제식소총으로 등장한다. 러시아의 한자식 표기 중 하나인 아라사에서 따와 아식 보총이라 불린다. 극동전쟁 이후에는 여러 요소가 고려되어[58] 1910년부터 짧고 가벼운 개량형이 M91/10이란 제식명을 받고 개발되었으며 1915년 시점에 이미 북부 지역 부대들은 교체를 마쳤다. 이후 강습소총이 개발되며 곧장 제식소총 자리를 넘겨주지만 단발속사가 가능한 베테랑들에게는 강습소총보다도 더 선호받고 있다.
5.5. 만화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모신나강에서 이름을 딴 레이디 나강이란 캐릭터가 존재한다. 이름에 맞게 뛰어난 저격수다.
- 천공 침범 - 스나이퍼가면이 사용한다.
- 늑대처럼 홀로 - 작중 러시아 사냥꾼 조합원들과 갱단원들이 사용한다.
6. 에어소프트건
-
PPS, 킹암즈
M91/30 보병형 및 저격형 모델로 제작되어 나오며, 에어코킹모델과 가스건모델 2가지로 나뉘나 공통적으로 탄창이 내장탄창식으로 되어 있다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덕텍에 게임에서 써먹기엔 매우 힘들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내부 구조는 같다.
-
Wingun
M44 카빈을 모델로 하고 있고, 내부도 독자 구조에 탄창이 편리하게 따로 분리되는 구조로 돼 있다. 작동에는 CO2 캡슐을 사용한다.
-
Trench Airsoft
2020년 설립된 회사인 "트렌치 에어소프트" 에서 Wingun에서 나온 M44 기반으로 M1891/30을 제작하여 판매하고있다. 주문 제작 상품이며 실물 우드스톡을 장착하여 판매하고 그외 M1891/30에 필요한 부품은 3D프린터로 출력 제작해서 판매한다. 옵션으로 100달러를 추가하면 상태좋은 우드스톡으로 제작해준다고 한다. 오리지널 대검도 100달러에 판매중이며 150달러를 추가하여 초기형 HEX 리시버로 바꿔준다고한다. M1891/30 이외에도 M1891/24 또는 핀란드 M39도 판매하고있다.
-
토이스타
볼트액션식 모신나강을 수입 판매 중인데 실제 나무 스톡이 장착되어 있다. 제조사는 판매 사이트에 나와있는 대로라면 S&T,
정가가 약 78만원으로 꽤 높고 이전에 킹암즈의 모델과 달리 끈으로 장전하는 해괴한 방식이 아닌 스프링식 탄창을 쓰는 나름 편의적인 설계로 탄창 또한 별도로 판매 중이다. #
6.1. 너프건
중국에서 수정탄 모신나강을 개발중이라고 한다. 기존에 발매했던 탄피배출식 Kar98k의 유닛을 재탕하여 탄피배출이 가능한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9월 탄피식 모신나강이 나왔으나, 중국에서 대대적으로 수정탄총을 규제하기 시작해서 그런지 수정탄식이 아닌 스폰지탄을 쓰는 너프건식으로 나왔으며, 탄피는 기존 Kar98k와 반만 호환으로, 모신나강에는 기존 Kar98k의 탄피를 삽탄및 발사 하는 것은 가능하나 총열이 너프건용으로 나와서 크리스탈 총알이 안나가고[59], Kar98k에는 아에 형태가 달라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성능은 그냥 너프탄이 총구에서 나가기는 하네 수준으로 매우 약하고 사거리도 별로 안길다. 웃기게도 설계상 실제 스트리퍼 클립가이드 위치에 홈 자체가 없거니와 덤으로 삽탄 위치가 실총과 달라서 홈을 파더라도 뭔짓을 해도 클립 사용이 아에 불가능하다. 노리쇠는 90도로 꺾인 저격형이 기본이고 안꺾인 보병형 노리쇠는 별매이며, 노리쇠 분해법은 실총과 동일하게 방아쇠를 누른체 노리쇠를 당겨 빼는 방식이다. 그 외 옵션으로 무려 모신나강 특유의 꼬챙이 총검과 M44 카빈용 접이식 장착형 총검 2가지가 존재한다.7. 둘러보기
러일전쟁기의 러시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0032A0>
러일전쟁 러시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0032A0> 볼트액션 소총 | 모신나강 M1891 | |||
레버액션 소총 | 윈체스터 M1895 | ||||
단발 소총 | 크른카 M1867, 베르단 II | ||||
권총 | S&W M3, 나강 M1895 | ||||
지원화기 | 기관총 | 마드센 M1902, 맥심 기관총 | |||
화포 | 4.2인치 M1877 야포, 76mm M1900 야포, 76mm M1902 야포, 87mm M1877 경야포, 120mm M1901 곡사포 | ||||
냉병기 | 샤쉬카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적백내전기의 적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DB261D>
적백내전 적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DB261D> 소총 | <colbgcolor=#DB261D> 볼트액션 소총 | 모신나강 M1891,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Gew88, Gew98 | ||
레버액션 소총 | 윈체스터 M1895 | ||||
단발 소총 | 크른카 M1867, 베르단 II | ||||
자동소총 | 표도로프 자동소총 | ||||
기관단총 | MP18 | ||||
권총 | S&W M3, 나강 M1895, 마우저 M192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마드센 M1902, MG08/15 | ||
중기관총 | PM M1910, 브라우닝 M1895/14, MG08 | ||||
유탄 | RG-1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적백내전기의 백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
적백내전 백 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FFFFFF> 소총 | <colbgcolor=#FFFFFF> 볼트액션 소총 | 모신나강 M1891,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Gew88, Gew98, 르벨 M1886, 베르티에 Mle 1907/15, 만리허 M.88-90, 만리허 M.95, 베테를리 M1870/87 | |||
레버액션 소총 | 윈체스터 M1895 | |||||
단발 소총 | 크른카 M1867, 베르단 II | |||||
반자동소총 | 윈체스터 M1907 | |||||
권총 | S&W M3, 나강 M1895, FN M1900, 마우저 M192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마드센 M1902, MG08/15, 쇼샤, 루이스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PM M1910, 브라우닝 M1895/14, MG08, 슈바르츠로제 M07/12 | |||||
유탄 | RG-14 | |||||
냉병기 | 샤쉬카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스페인 내전기의 공화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스페인 내전 스페인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마우저 M1893, 베테를리 M1870/87, 그라 M1874, 크로파첵 M1886, 르벨 M1886, 베르티에 M1907/15, 만리허 M1886, 만리허 M1888, Gew88, M1891/30, Vz.24, Wz.29, 로스 Mk.III, 리-엔필드, M1917 엔필드, 30년식 소총, 35년식 소총, 38식 소총 | ||
레버액션 소총 | M92 "엘 티그레", 윈체스터 M1895 | ||||
기관단총 | MP28, EMP35, 라보라 M1938, KP/-31, PPD-38 | ||||
권총 | 베르크만 M1903, 베르크만 M1908, 아스트라 400, 아스트라 900, C96, M1895, 캄포 히로 | ||||
기관총 | M1895, PM M1910/30, 호치키스 M1914, 호치키스 M1922, 쇼샤, 루이스 경기관총, KE7, Wz.30, M1918 브라우닝, 맥심-토카레프, DP-28, DT-2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페인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겨울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891/30, M1938, М1944 | |||
레버액션 소총 | M1895 | |||||
반자동소총 |
SVT-38, SVT-40,
|
|||||
자동소총 |
표도로프 자동소총,
AVS-36,
AVT-40,
|
|||||
기관단총 |
PPD-34, PPD-38, PPD-40,
PPK-41,
PPSh-41,
|
|||||
권총 | M1895, M1921, TK, TT-30, TT-33, M1911L | |||||
지원화기 | 기관총 |
PM M1910/30,
맥심-토카레프,
DP-28, DPM,
DT, DTM,
ShKAS,
DShK,
DS-39,
|
||||
대전차화기 |
RPG-40,
PTRD-41,
PTRS-41,
VPGS-41,
RPG-43,
|
|||||
화염방사기 | ROKS-2, ROKS-3 | |||||
박격포 | 37mm VM-37, 50mm RM-38/40, 82-BM/PM-36/37/41/43 | |||||
유탄 | F-1, RG-14/30, RGD-33, RG-42 | |||||
지뢰 | PMD-6M, PMD-7, PMD-57, POMZ-1 | |||||
냉병기 | M1927, M1942 | |||||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으로 지원받음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벨기에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1b2631>
제2차 세계 대전 벨기에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1b2631> 볼트액션 소총 | 마우저 M1889/36, M24, M35, 리-엔필드, M91/30 | |||
기관단총 | MP28 | ||||
권총 | M1895, M1900, M1903, M1910, M1922, 루비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1b2631> 경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MG08/15, M1918 브라우닝, M1915/27, FN M1930 | ||
중기관총 | M1895/14, M1914, MG08, 빅커스 기관총, M1917 브라우닝 | ||||
대전차화기 | PIAT | ||||
박격포 | 오드넌스 2인치 박격포,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벨기에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핀란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겨울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ff,#393b42> M/91, M/27, M/39, M/94, M/96, Kar98k, M/38 | ||
반자동소총 | M/38, M/40 | ||||
자동소총 | 표도로프 자동소총, AVT-40, AVS-36 | ||||
기관단총 | KP/-31, M/20, MP28, M/41, M/42, M/43, M/44 | ||||
권총 | M/03, M/1910, M/19, M/35, M/15, M/34, L-35, M/23, 아스트라 400, M/39, M/96, P08, M/1895, TT-33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26, M/21, M/15, M/20, DP-28 | |||
중기관총 | M/09-21, M/32-33, MG08, M/14, 빅커스 Mk.I, ShKAS, DS-39 | ||||
대전차화기 | kiv M/37, L-39, kiv M/38, kiv M/18-S,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 | ||||
화염방사기 | M/40, M/41-R | ||||
유탄 | M24, 몰로토프 칵테일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le 1886/93, Mle 1907/15, Kb wz.98, Kb wz.98a, Kbk wz.29, Kbk wz.91, Kbk wz.98, 리-엔필드W | |||
반자동소총 | Kbsp wz.38M, SVT-40E | |||||
기관단총 | Pm wz.39, MP18W, 스텐 기관단총W, 톰슨 기관단총W, PPSh-41E, PPS-43E | |||||
권총 | Wz.30, Wz.32, Wz.35 Vis, TT-33E, 루비,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Rkm wz.28, 루이스 경기관총W, 브렌 경기관총W, DP-28E | ||||
중기관총 | Ckm wz.25, Ckm wz.30, Ckm wz.32, wz.1910E | |||||
대전차화기 | Kb ppanc wz.35, PIATW | |||||
박격포 | Granatnik wz.36,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
유탄 | wz.33 | |||||
※윗첨자W:
자유 폴란드군/폴란드 서부군 ※ 윗첨자E: 폴란드 인민군/폴란드 동부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 국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국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le 1886/93, Mle 1907/15, Kb wz.98, Kb wz.98a, Kbk wz.29, Vz.24, Kar98k, Kbk wz.91, Kbk wz.98 | ||
자동소총 | StG44 | ||||
기관단총 | MP28, 스텐 기관단총, 브위스카비차, 베호비에츠, 톰슨 기관단총, M42, 호로즈마노프, PPSh-41, PPS-43, MP40 | ||||
권총 | Wz.30, Wz.32, Wz.35 Vis, M1911A1, TT-33, C96, P08, 마우저 HSc, P38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Rkm wz.28, 브렌 경기관총, DP-28 | |||
중기관총 | MG08/15, Ckm wz.30, MG34, MG42 | ||||
대전차화기 | PIAT, 판처파우스트 | ||||
화염방사기 | K형 화염방사기 | ||||
박격포 | 50mm RM-38/40 | ||||
유탄 | wz.33, 시도로프카, M24, N39, M43, M3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불가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불가리아 왕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895, Kar98k, M91/30A | |
기관단총 | ZK-383, MP34, MP40, PPSh-41A, PPS-43A | ||
권총 | P08, 발터 PP, Vz.38, TT 권총A | ||
지원화기 | 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G 07/12, MG08, Vz.26, MG30, MG15, MG34, MG42, Vz.53, PM M1910A, DP-28A, DShKA | |
대전차화기 | 졸로투른 S-18, 라케텐판처뷕세, 판처파우스트 | ||
박격포 | 8 cm 그라나트베르퍼 34, 브랑 Mle 27/31 | ||
유탄 | M1917, M34, N39, 시스베허, F1 수류탄A, RG-42A | ||
※ 윗첨자A : 1944년 이후부터 사용 |
||<tablebordercolor=#fff,#333><tablewidth=100%><bgcolor=#fff,#333> ※둘러보기 :
불가리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알바니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d30404>
제2차 세계 대전 알바니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d30404> 볼트액션 소총 | M1891, M1903, Kar98k, SMLE, P14, M91/30 | ||
기관단총 | MAB 18, MAB 38, MP18, MP35, MP38, MP40, Lanchester Mk.I, Sten Mk.II, M1928A1, PPSh-41, PPS-43 | |||
권총 | M1889, M1910, M1934, C96, P38, M1910, P-35, M1895, Mk.IV, M1911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DP-28, M30, Bren Mk.I | ||
중기관총 | MG M.07/12, M37, MG34, SG-43, Vickers Mk.I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알바니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리투아니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리투아니아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6A44> 개인화기 | <colbgcolor=#006A44> 볼트액션 소총 | Gew88, Gew98, M1891/30, FN M24L, P14 | ||
기관단총 | MP18, MP34 | |||
권총 | 나강 M1895, 마우저 C96, 루거 P08, M1911, 루비 M1914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C1272D>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G08/15, Vz.26 | |
중기관총 | MG08, PM M1910, MG3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발트3국의 운용무기체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라트비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라트비아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77353D> 개인화기 | <colbgcolor=#77353D> 볼트액션 소총 | Vz.24, 로스 소총, 리-엔필드, M1891/30 | |||
기관단총 | M23 | ||||
권총 | 나강 M1895, 루거 P08 | ||||
지원화기 | 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발트3국의 운용무기체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에스토니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에스토니아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72ce> 개인화기 | <colbgcolor=#0072ce> 볼트액션 소총 | Vz.24, M1891/30 | ||
기관단총 | M23, KP/-31 | |||
권총 | 나강 M1895,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PM M1910 | |||
대전차화기 | 졸로투른 S-1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발트3국의 운용무기체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에티오피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에티오피아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FCDD09> 개인화기 | <colbgcolor=#FCDD09> 볼트액션 소총 | 카르카노, 리-엔필드, 모신나강 | ||
기관단총 | MAB 38, 스텐 기관단총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M1895, M1910, M1934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DA121A> 경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Vz.26, 브레다 M30,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빅커스 기관총, PM M1910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에티오피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몽골 인민 공화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DA2032>
제2차 세계 대전 몽골 인민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DA2032> 볼트액션 소총 | M91/30 | |||
기관단총 | PPSh-41, PPS-43 | ||||
권총 | M1895, TT-33 | ||||
지원화기 | 기관총 | DP-28, PM M1910, SG-43, DShK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몽골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의 튀르키예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튀르키예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Gew71/87, Gew88/05, 마우저 M1890, 마우저 M1893, Gew98, Vz.98/22, 마우저 M1903, Vz.24, 모신나강 M1891/30, Kar98k, 베르티에 M1916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기관단총 | MP18, 스텐 기관단총 | |||
권총 | S&W M3, C96, P08, FN M1903, FN M1910/22, 베홀라 M1915, 프로머 슈토프, Vz.27, 발터 PP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G08/15, Vz.26, MG15nA, MG34 | |
중기관총 | MG08, M1907/12, 빅커스 기관총, PM M1910, 호치키스 M191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체트니크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체트니크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M71, M78/80, M24, M.95, 카르카노, 리-엔필드, 모신나강 | ||
기관단총 | ZK-383, MAB 38, MP34, MP38, MP40, MP41, 톰슨 기관단총, 스텐 기관단총, PPD-38, PPD-40, PPSh-41 | |||
권총 | M1910/22, C96, P08,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Vz.26, M30, MG30, MG15,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FM 24/29, MG34, M.07/12, ZB-53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 | |||
유탄 | F-1, M24, M43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세르비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러시아 해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ff,#393b42> 모신나강, Gew98, Kar98k | ||
반자동소총 | SVT-40, Gew43 | ||||
자동소총 | StG44 | ||||
기관단총 | PPSh-41, MP28, MP38, MP40 | ||||
권총 | M1895, TT-33, C96, P08,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0/30, DP-28, Vz.26, MG34, MG42 | |||
대전차화기 | 판처파우스트 | ||||
박격포 | 8cm GrW 34/42, 12cm GrW 42 | ||||
유탄 | RGD-33, M24, 시스베허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 해방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2차 세계대전기의 한국독립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
2차 세계대전 독 립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 Gew71, 그라 소총, 13년식 소총, 베르단, Kar98k, Gew88, 88식 소총, Gew98, Vz.24, 24식 보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 |||
권총 | C78, M1879, Mle 1873, Mle 1892, 웨블리 리볼버, M1895, 26년식 권총, C96, 14년식 권총, 94식 권총, M1911, P08, TT-33,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맥심 기관총, M1895/14, 루이스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 ||
유탄 |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97식 파쇄 수류탄, 밀즈 수류탄, F1,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한국광복군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동독 국가인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
국가인민군 (1956~1990) National Volksarmee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Kar98k, Kar38, Kar44 | ||
반자동소총 | G43, SWT-40, Karabiner S, SWD | ||||
자동소총 | MPi-44, MPi-K/KM/KMS-72, MPi-AK-74N, MPi-AKS-74(N/NK) | ||||
기관단총 | MPi 41, Vz.61 | ||||
권총 | M1895, TT-33, PM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DPM, RP-46, RPD, RPK, RPK-74, PK | ||
중기관총 | MG34, DTM, SG-43, DSchKM, NSW, KPW | ||||
유탄발사기 | AGS-17 | ||||
대전차화기 | RPG-2, RPG-7, RPG-18, SPG-9, B-10, B-11, 9K11, 9M111, 9M113 | ||||
박격포 | 82-PM-41, 2B11 | ||||
맨패즈 | 9K32, 9K34, 9K310, 9K38 | ||||
수류탄 | F-1, RGD-5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Vz.24, SSG 82 | ||
자동소총 | StG-943, HK33 | ||||
기관단총 | PM-63, MP5SD3, MP5KA1 | ||||
권총 | P08, P1001, P38, PS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독일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냉전기의 폴란드 인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폴란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Wz.44, Wz.48 | |||
반자동소총 | SWT-40, SKS, SWD | |||||
자동소총 | Kbk AK, Kbk AKM, Kbk Wz.60, Kbk Wz.88, Skbk Wz.89 | |||||
기관단총 | Wz.41, Wz.43, Wz.43/52, PM-63, PM-84 | |||||
권총 | Wz.30, Wz.32, TT-33, PM, P-64, P-83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DPM, RP-46, RPD, RPK | |||
다목적기관총 | PK, PKM, MG3 | |||||
중기관총 | SG-43, DShK, KPW, NSW | |||||
유탄발사기 | Wz.74, AGS-17 | |||||
로켓발사기 | RGPpanc-2, RPG-7, RPG-76 | |||||
미사일발사기 | 9M14, 9M111, 9M113 | |||||
맨패즈 | 9K32, 9K34, 그롬 | |||||
무반동총 | SPG-9, RPG-75 | |||||
박격포 | Wz.38/43, 2B11 | |||||
폭발물 | 수류탄 | F-1, RG-42, RPG-43, RGO-8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헝가리 인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헝가리 인민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31M, 35M, 43M, M44, M48, M44/56 | ||
반자동소총 | SKS, SVD | ||||
자동소총 | AK-55, AK-63, AMD-65 | ||||
기관단총 | 43M, M48, 53M, SHE-61 | ||||
권총 | 37M, Walam 48M, RK-59, 토카레프 48M, PA-63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DP-28, DPM, DTM, RPD, RPK, PK, PKS, PKT | ||
중기관총 | 7/31M, PM M1910/30, DShK, KGK, SGM NSV, KPVT | ||||
로켓발사기 | RPG-2, RPG-7 | ||||
미사일발사기 | 9K11, 9K111 | ||||
박격포 | 82-BM-37, 2B9, 120-PM-43 | ||||
유탄 | F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헝가리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군(ČSA)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ff,#393b42> Vz.24, Vz.33, Kar98k, Vz.91/38, Vz.54 | |||
반자동소총 | Vz.52, Vz.52/57, SVD | |||||
자동소총 |
|
|||||
기관단총 |
ZK-383,
|
|||||
권총 | Vz.27, Vz.38, Vz.52, Vz.82 | |||||
지원화기 | 기관총 | Vz.26, Vz.30, Vz.37, Vz.52, Vz.59, PKM, DShK, KPV | ||||
유탄발사기 | AGS-17 | |||||
로켓발사기 | T21, RPG-2, RPG-7, RPG-7V | |||||
미사일발사기 | 9K14, 9K111, 9M113, 9K32, 9K310 | |||||
무반동총 | RPG-75 | |||||
박격포 | Vz.36, PM-43 | |||||
유탄 | F1 | |||||
지뢰 | PP Mi-SK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체코·슬로바키아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냉전기의 루마니아 인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002b7f> |
냉전기 루마니아 인민군 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002b7f> 소총 | <colbgcolor=#002b7f> 볼트액션 소총 | Vz.24, Kar98k, M93, M38, M44 | |||
반자동소총 | Md.56, PSL | |||||
자동소총 | AK-47, PM Md.63, PM Md.65, PA Md.86 | |||||
기관단총 | MP28, M1941, PM Md.52 | |||||
권총 | Md.33, Md.74 | |||||
지원화기 | 기관총 | Vz.26, DP-28, M1910/30, MG34, Vz.37, DȘK, RPD, KPV, PM Md.64, PM Md.66, PM Md.86 | ||||
유탄발사기 | GP-25, Md.85 | |||||
대전차화기 | RPG-40, RPG-43, AG-2, AG-7, SPG-9, 9K11 말륫카, 9K111 파곳, 9M113 콘쿠르스 | |||||
맨패즈 | CA-94 | |||||
박격포 | M1988, M1977, M1982 | |||||
화염방사기 | LPO-50 | |||||
수류탄 | F-1, RG-42, RKG-3, GMM | |||||
냉병기 | 6Kh3, 6Kh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루마니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핀란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핀란드 국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91, M/27, M/39, M/38, 7.62 TKIV 85 | |||
반자동소총 | M/40, 7.62 Tkiv Dragunov | |||||
자동소총 |
7.62 RK 54, 7.62 RK 54 TP,
7.62 Rk 56/Rk 56 TP,
7.62 Rk 62M,
7.62 Rk 72 TP,
|
|||||
기관단총 |
KP/-31,
|
|||||
권총 | L-35, TT-33, M/35, M/34, P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26, DP-28, 7.62 KK DPM, 7.62 KK DTM, 7.62 KK 54, 7.62 KvKK 62, 7.62 Kk PKM, 7.62 Kk PKT | |||
중기관총 | M/09-21, M/32-33, SGM, DShKM | |||||
대전차소총 | L-39 | |||||
유탄발사기 | 30 KRKK | |||||
로켓발사기 | 100 pshp/F1, 142 pshp/F2, 88 rakh/B 54, 55 S 55, 66 KES 75, 66 KES 88 | |||||
미사일발사기 | ItO 78M, PstOhj 82, PstOhj 82M, PstOhj 83, ItO 86/86M, RO-63 | |||||
박격포 | 81 KRH 56, 81 KRH 64, 81 KRH 71 Y, 120 KRH 40 | |||||
유탄 | F1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1951~1992) Jugoslovenska Narodna Armija'''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24, M48, M1944 | |||
반자동소총 | M59, M66, M76 | |||||
자동소총 | M44, M64(A, B), M70(A, A1, AB2, AB3, B, B1), M80(A, A1), M90(A, NP), M85, M92* | |||||
기관단총 | M1, M49, M56, MAC-11, M84, M97 | |||||
권총 | M57/70, M88, CZ99 | |||||
지원화기 | 기관총 | M53, M72, M77, M84, DShKM, M87, M2 브라우닝 | ||||
유탄발사기 | PBG 40mm M70* | |||||
대전차화기 | M57(A1, A2), M60, M-79 오사, M80 Zolja, RPG-7, PORS 3M6, 9K11AI, 9K11M, PORS 9K111 | |||||
박격포 | M57 60mm 박격포, M69 82mm 박격포, M74, M75 | |||||
맨패즈 | 9K32, 9K34 스트렐라-(2, 3), 9K38 이글라 | |||||
지뢰 | PMR-1, PMR-2A | |||||
*: 도입 연도 불분명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유고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냉전기의 오스트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오스트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Kar98k, SSG 69, M1903, Gewehr Lee-enfield, G44 | |||
반자동소총 | Gewehr M1, Karabiner M1 | |||||
자동소총 | StG58, StG77 | |||||
기관단총 | MP40, MPi-69, MPi-81, AUG Para, M3A1, PPSh-41 | |||||
산탄총 | M870 | |||||
권총 | P38, P80,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 |||
다목적 기관총 | MG42, MG74, MG-A4 | |||||
중기관총 | üsMG M2 | |||||
박격포 | M2 | |||||
대전차화기 | PAR 66/79, RBS 56, M40 | |||||
박격포 | M6C-210, mGrW82, sGrW86 | |||||
냉병기 | 총검 | KCB-7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오스트리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이라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이라크군 의 보병장비 |
||||
<colbgcolor=white,#191919> 개인화기 | <colbgcolor=white,#191919> 소총 | <colbgcolor=white,#191919> 볼트액션 소총 | 리-엔필드, Vz.24, Kar98k,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SKS, FN-49, Vz.52, 바그다드, 알 카데시, 타부크 저격소총 | ||||
자동소총 | AK-47, AKM, 56식 자동소총, Vz.58, MPi-KM-72, AK-63, PM md. 63, PM md. 65, M70, M70B, M80, AKS-74U | ||||
기관단총 | M56, Vz.61, PM-63 RAK | ||||
권총 | 브라우닝 하이파워, 타리크, PA-63, 마카로프 PM, CZ75, CZ82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RPD, RPK, 자스타바 M72 | ||
다목적기관총 | PK, 67식 기관총, 자스타바 M84 | ||||
중기관총 | SGM, DShK, 54식 중기관총, NSV, KPV | ||||
유탄발사기 | GP-25, AGS-17 | ||||
로켓발사기 | RPG-7, 69식 화전통, M-79 오사, M80 Zolja, RPG-18, RPG-22, RPG-29, APILAS | ||||
미사일발사기 | 9K11 말륫카, 9K111 파곳, HOT ATGM, 밀란 대전차 미사일, SS.11 | ||||
무반동총 | SPG-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반영 민족해방전쟁기의 말라야 공산당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반영 민족해방전쟁 말레이시아 해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f2023> 리-엔필드, M.95,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Gew88, Gew98, Kar98k, M1903A3 | ||
반자동소총 | M1, M1A1 | ||||
자동소총 | AK-47 | ||||
기관단총 | 100식 기관단총, 스텐 Mk.II, Mk.V, 스털링 기관단총, M50, M55, M1928A1, M1A1, PPSh-41 | ||||
산탄총 | Auto-5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TT-33, C96, P08,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 |||
척탄통 |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 ||||
유탄 | 밀즈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헝가리 혁명 당시의 소련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1956년 헝가리 혁명 소련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1891/30, M1944 | ||
반자동소총 | SKS | ||||
자동소총 | AK-47 | ||||
기관단총 | PPSh-41 | ||||
권총 | M1920, TT-33, PM | ||||
지원화기 | 기관총 | DPM, DTM, RPD, PM M1910/30, SG-43 | |||
유탄 | F1, RGD-33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소련·러시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헝가리 혁명 당시의 헝가리 혁명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1956년 헝가리 혁명 헝가리 혁명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43M, Kar98k, 48M, 44/56M, M1891/30, M1944 | ||
반자동소총 | SzKSz | ||||
자동소총 | AK-55 | ||||
기관단총 | 43M, 48M, 53M | ||||
권총 | 37M, WALAM 48M, C96, 토카레프 48M, TT-33 | ||||
지원화기 | 기관총 | 슈바르츠로제 기관총, DP-28. DPM, RPD, M1910/30, SG-43 | |||
유탄 | 몰로토프 칵테일, F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헝가리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당시의 해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해방전쟁 아프리카 해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1874, M12, FN M24/30, Kar98k, 리-엔필드, P14, MAS-36, M/52, 53식 기병총 | ||
반자동소총 | SKS, 56식 반자동소총, Vz.52 | ||||
자동소총 | AK-47, AKM, 56식 자동소총, Vz.58, PM.md.63, MPi-KM, MPi-KMS-72 | ||||
기관단총 | M1928A1, MP34, MP39, MAB 38, MP40, PPSh-41, PPS-43, 스텐 기관단총, Z-45, 스털링 기관단총, Vz.25, MAT-49, 비뉴롱 기관단총 | ||||
권총 | TT-33, 54식 권총, PM, APS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FM 24/29, 브레다 M30, 브렌 경기관총, DPM, RP-46, 53식 경기관총, RPD, 56식 경기관총, Vz.52 | ||
다목적기관총 | MG34, MG42, Vz.59, PK | ||||
중기관총 | SG-43, 53식 중기관총, ZB-53, DShK, 54식 중기관총 | ||||
대전차화기 | RPG-2, P-27, 56식 화전통, RPG-7, 69식 화전통 | ||||
무반동총 | 52식 무반동총, B-10 | ||||
맨패즈 | 9K32 | ||||
박격포 | 31식 박격포, 63식 박격포,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 ||||
폭발물 | 수류탄 | F-1, 1식 수류탄, RGD-5 | |||
지뢰 | POMZ-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히론 전투 당시의 쿠바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히론 전투 쿠바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CE1126> 개인화기 | <colbgcolor=#CE1126> 소총 | <colbgcolor=#CE1126>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1896, M1903,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Vz.57 | ||||
자동소총 | FAL, AK-47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PPS-43, Vz.23, Vz.25 | ||||
권총 | 아스트라 600,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DP-28, RP-46, 브렌 경기관총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1919A6, Vz.26, MAG-58 | ||||
중기관총 | M1917A1, ZB-53, DShK | ||||
대전차화기 | M1 | ||||
유탄 | F1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쿠바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캄보디아 내전기의 크메르 루주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캄보디아 내전 크메르 루주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AS-36, M1891/30, 53식 보기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 ||
반자동소총 | SKS, 56식 반자동소총 | ||||
자동소총 | AK-47, AKS-47, AKM, AKMS, 56식 자동소총, 63식 자동소총, 58식 보총, Vz.58 | ||||
기관단총 | MAT-49, K-50M, PPSh-41, PPS-43, Vz.23 | ||||
권총 | TT-33, 54식 권총, PM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DPM, 53식 경기관총, RPD, 56식 기관총, RPK | ||
다목적기관총 | RP-46, PK, PKM | ||||
중기관총 | 53/57식 중기관총, DShK, 54식 중기관총, KPV | ||||
대전차로켓 | RPG-2, 56식 화전통, RPG-7, 69식 화전통 | ||||
무반동총 | 56식 무반동포, B-10, 65식 무반동포, B-11,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
박격포 | PM-41, 53식 박격포, 55식 박격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무자헤딘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무자헤딘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 / 폴링 블록 |
마티니-헨리, 리-엔필드, 모신나강, 르벨 M1886, 한양 88식 | ||
반자동소총 | SKS, M1 개런드, L1A1 SLR | ||||
자동소총 | AK-47, AKM, AKMS, 56식, 63식, AK-74, AKS-74, AKS-74U, AKMSU, G3A2, G3A4, M16A1, CQ 5.56 | ||||
머스킷 | 제자일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PPSh-41, MP5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TT-33, 54식 권총, PM, 스테츠킨 APS | ||||
지원화기 | 기관총 | Vz.26, DP-28, MG34, RPD, DShK, 54식 기관총, SG-43, KPV, PKM, 67식 기관총 | |||
대전차화기 | RPG-2, RPG-7, 69식 화전통, RPG-18, RPG-22, B-10, 65식, AT4, 56식, 밀란, BGM-71 | ||||
맨패즈 | 블로우파이프, FIM-43, FIM-92, 9K310-M,9K38, HY-5, Sakr | ||||
박격포 | 63식 박격포, 82-PM-37, M193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국가별 운용무기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소련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소련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891/30 | |||
SKS, SVD | |||||
AKM, AKMS, AK-74, AKS-74, AKS-74U, AKMSU, VSS | |||||
권총 | TT-33, PM, APS, PSS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D, RPK-74, PKM | |||
SGM, DShKM, NSV, KPV, GShG-7.62 | |||||
유탄발사기 | GP-25, GP-30, SSK-1 티쉬나, AGS-17 | ||||
화염방사기 | LPO-50 | ||||
대전차화기 | RKG-3, RPG-7, RPG-16, RPG-18, RPG-22, SPG-9, RPO-A, 9K11, 9K111, 9K111-1 | ||||
박격포 | 2B9 바실료크, 2B14 포드노스, 2S12 사니, 2B16 노나-K, 240mm M240 박격포 | ||||
견인포 | D-30, M-30, D-20, 2A36 기아친트-B | ||||
맨패즈 | 9K310-M,9K38, 9K34 | ||||
대공포 | ZU-23, ZPU-4 | ||||
폭발물 | 수류탄 | F-1, RGD-5 | |||
지뢰 | PFM-1, MON-50, PMN-1 / PMN-2, POMZ-2M | ||||
냉병기 | 총검 | 6Kh2, 6Kh3, 6Kh4, 6Kh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라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이란-이라크 전쟁 이라크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Vz.24, Vz.33, Kar98k,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SKS, FN-49, Vz.52, 바그다드, 알 카데시, 타부크 저격소총 | ||||
자동소총 | G3, AK-47, AKM, PM md. 63, M70, 56식 자동소총 | ||||
기관단총 | MP40, PPSh-41, M56, Vz.61, PM-63 | ||||
권총 | 브라우닝 하이파워, TT-33, PM, 타리크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3, DP-28, SGM, RPD, RPK, PK, 67식 기관총, M72, DShK, 54식 중기관총, NSV | |||
대전차화기 | M20, BGM-71, B-10, B-11, RPG-7, 69식 화전통, RPG-16, RKG-3, SPG-9, 9K111, 9M14, 밀란 | ||||
맨패즈 | FIM-92, 9K32, 9K38 | ||||
화염방사기 | LPO-50 | ||||
대공포 | KS-19, ZU-23, ZPU-4 | ||||
유탄 | F1 수류탄, RGD-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라크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그레나다 침공 당시 그레나다 인민혁명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ce1126>
미국의 그레나다 침공 그레나다 인민혁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007a5e>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리-엔필드, M44 | ||
폴링블록 소총 | 마티니-헨리 | ||||
반자동소총 | Vz.52 | ||||
자동소총 | AK-47, AKS-47, AKM, 58식, M16A1 | ||||
기관단총 | M3, 스텐, PPS-43, Vz.23, UZI | ||||
권총 | P08, TT-33, PM, CZ52 | ||||
지원화기 | 기관총 | 브렌, Vz.52, PKM, SGM, DShK, KPV | |||
대전차화기 | 56식 화전통, 56식 무반동포, RPG-7, SPG-9 | ||||
박격포 | PM-37 | ||||
<colbgcolor=#ce1126> 대공포 | ZU-23-2 | ||||
수류탄 | F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white,#191919> AK-47, AKM, 56식, M70, AK-74, wz.96, M16A2, M16A4, M4, C7 | |||
저격소총 | SVD, PSL, SR-25, M24 | |||||
기관단총 | PM-63, MP5 | |||||
권총 | TT-33, 마카로프 PM, 베레타 M9, 스테츠킨 APS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RPD, RPK, PK, PKM, M249, M240, FN MAG | |||
중기관총 | DShK, SG-43, KPV, M2HB, M134 | |||||
대전차화기 | RPG-7, 9K115-2, M47, NLAW | |||||
의장용 화기 | 모신나강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아프가니스탄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아프가니스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이슬람 토후국군 보병장비(1994 ~ 현재)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white,#191919> AK-47, AKM, 56식, M70, AK-74, wz.96, M16A2, M16A4, M4, C7 | |||
저격소총 | SVD, PSL, SR-25, M24 | |||||
기관단총 | PM-63, MP5 | |||||
권총 | TT-33, 마카로프 PM, 베레타 M9, 스테츠킨 APS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RPD, RPK, PK, PKM, M249, M240, FN MAG | |||
중기관총 | DShK, SG-43, KPV, M2HB, M134 | |||||
대전차화기 | RPG-7, 9K115-2, M47, NLAW | |||||
의장용 화기 | 모신나강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아프가니스탄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모신나강, MAS-36, M40A3, KSVK 12.7 | ||
반자동소총 | SKS, SVD, PSL, Mk.14 EBR | ||||
자동소총 | StG44, AK-47, AKM, AKMS, 56식 자동소총, MPi-KM, PM.md.65, AK-63, AMD-65, M70, Vz.58, AK-74, AKS-74U, AK-74M, AK-103, G3, FAL, CQ 5.56, K2C, G36, AUG, M16A2, M4A1 | ||||
기관단총 | PPSh-41, UZI, MP5, P90 | ||||
산탄총 | M3 | ||||
권총 | TT-33, PM, PB, CZ75, 브라우닝 하이파워, G17, G19, 베레타 92, HS2000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RPD, RPK, FN 미니미, M249 | ||
다목적기관총 | MG3, PKM, 80식 기관총, M60 | ||||
중기관총 | DShK, NSV, M2HB | ||||
유탄발사기 | AGS-17, MGL-140, Mk.19 | ||||
로켓발사기 | RPG-7, RPG-22, RPG-29, M-79 오사 | ||||
미사일발사기 | 9K38, 9K32, 화승총, 메티스-M, 9M133, HJ-8, TOW, MILAN, FIM-92 | ||||
무반동총 | AT4, SPG-9 | ||||
유탄 | F1, RGD-5, RPG-43, M6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ISIL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후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후티 (1994~현재) حوثيون |
|||||
<colbgcolor=#fff> 개인화기 | <colbgcolor=#fff> 권총 | TT-33, PM, 카라칼 권총C, PPK, 웨블리 리볼버 | ||||
기관단총 | PPSh-41, Vz.23 | |||||
소총 |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 Kar98k, 모신나강,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SKS | |||||
자동소총 | AR-10C, M4A1, MPi-KM, F2000C, SG556C, SCARC, G3, G36C, AK-47, AKM, AK-74, 56식 자동소총, AKS-74U, AK-74M, AK-103C | |||||
저격소총 | M107C, LRT-3C, SVD, SVU, HS.50, M76 | |||||
지원화기 | 기관총 | PKM, MG3C, 73식 대대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DP-28, FN 미니미C, DShK, M1919 브라우닝, FN MAGC | ||||
유탄 발사기 | GL-1C | |||||
대전차화기 | 대전차 로켓 | RPG-7, M20 | ||||
대전차 미사일 | Metis-M, 현궁C, 9M133 | |||||
무반동포 | SPG-9 | |||||
대공포 | ZU-23, ZPU-4, KS-19 | |||||
※ 윗첨자C: 노획 장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후티 반군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신의 저항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신의 저항군 (1987~현재) Lord's Resistance Army |
|||||
<colbgcolor=#fff>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모신나강, MAS-36 | |||
반자동 소총 | SKS | |||||
돌격소총 | Vektor R4, AKM, M16A1, AK-47, 56식 자동소총, AK-105, M70, FN FAL, MPi-K/KM/KMS-72 | |||||
지원화기 | 기관총 | PKM, FN MAG | ||||
유탄 발사기 | M203 | |||||
대전차화기 | RPG-7 | |||||
※ 윗첨자C: 노획 장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신의 저항군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둘러보기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자동소총 | H&K G3, AK-103, AKM, 56식 자동소총, FN FNC, AUG, M16A1, M16A2, CAR-15, FN CAL, AKS-74U, F2000 | |
저격소총 | 모신나강, PSL, M1A | |||
지원화기 | 기관총 | DShK, PKM | ||
<colbgcolor=#009E60> 대전차화기 | RPG-7 | |||
맨패즈 | 이글라 지대공미사일 | |||
※둘러보기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둘러보기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반자동소총 | M1 카빈 | |
자동소총 | 56식 자동소총, CAR-15, Vz.58, 자스타바 M70, AMD-65, M4A1, TAR-21, H&K G3, M14 | |||
저격소총 | 모신나강, PSL, M1A | |||
기관단총 | PM-63, 칼 구스타프 m/45, PPSh-41 | |||
권총 | M1911A1, 글록, 베레타 M1951 | |||
지원화기 | 기관총 | DShK, PKM, RPD, FN MAG | ||
<colbgcolor=#FF0000> 대전차화기 | RPG-7 | |||
맨패즈 | 이글라 지대공미사일 | |||
※둘러보기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툴라 조병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5F0000> 툴라 조병창의 제품 라인업 | ||
권총 | <colbgcolor=#5F0000> 리볼버 | M1895 · TOZ-81 | |
자동권총 | TK 권총 · TT 권총 · MTs-3 | ||
기타 | TKB-506 · SPP-1 · MSP 그로자 · NRS-2 | ||
산탄총 | KS-23 · TP-82 · TOZ-106 | ||
기관단총 | 코로빈 기관단총 | ||
소총 | 단발 / 볼트액션 | 크른카 M1867 · 베르단 II · 모신나강 | |
반자동 | SVT-40 · SKS | ||
자동 | AVT-40 · AS-44 · AK-45 · TKB 시리즈 · APS · AKS-74U · AS Val ( VSS 빈토레즈 · SR-3) | ||
기관총 | PM M1910 ( 맥심-토카레프) · DShK · DS-39 |
칼라시니코프 콘체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fff,#000> 칼라시니코프 콘체른(구 이즈마쉬)의 제품 라인업 | ||
권총 | <colbgcolor=#fff,#000> 리볼버 | M1895 · MP-412 REX | |
자동권총 | TT 권총 · 마카로프 권총 · 마골린 권총 · PSM · MP-443 · MP-446 · PL-15 | ||
기관단총 | 게파트 기관단총 · PP-91 · PP-19 · PP-19-01 | ||
산탄총 | IZh-43 · Saiga-12 · MP-94 · MP-133 | ||
소총 | AK-47 | AKM · AK-74 ( AK-74M) · Saiga · AK-101 · AK-102 · AK-103 · AK-104 · AK-105 · AK-107 ( SR-1) · AK-108 · AK-109 · AK-200 · AK-201 · AK-202 · AK-203 · AK-204 · AK-205 · AK-9 · AK-12 ( AK-15 · AK-19) · AKV-521 | |
기타 | 베르단 II · 모신나강 · AVS-36 · SVD · AN-94 · SV-98 · ASh-12.7 · AM-17 · AMB-17 · 코르슌 소총 | ||
기관총 | PU-21 · RPK-16 · RPL-20 | ||
유탄발사기 | GP-34 · GP-46 · GPR-20 | ||
관련 인물: 미하일 칼라시니코프 |
우헤르스키브로트 체코 조병창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ffffff,#1f2023> 우헤르스키브로트 체코 조병창의 제품 라인업 | ||
자동권총 | CZ52 · CZ75 · CZ82 · CZ100 · P-10C | ||
기관단총 | Vz.23 · Vz.61 · 스콜피온 EVO 3 | ||
소총 | <colbgcolor=#ffffff,#1f2023> 볼트액션 / 반자동 | Vz.52 · Vz.54 | |
자동 | Vz.58 · CZ2000 · CZ-805 브렌 · 브렌 2 |
레밍턴 암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074b23> 레밍턴 암즈의 제품 라인업 | ||
권총 | <colbgcolor=#074b23> 리볼버 | M1858 · M1875 · M1888 · M1890 | |
자동권총 | M51 · R51 · RP | ||
기타 | M95 · XP-100 | ||
산탄총 | 펌프액션 | M10 · M17 · M870 ( M870 전투산탄총 · M870 MCS) | |
반자동 / 자동 | M11 · M11-48 · M58 · M1100 ( M7188) · R12 | ||
소총 | 단발 | 롤링블럭 | |
볼트액션 | 레밍턴-킨 · 레밍턴-리 · M1917 엔필드 · #미국 · M721 · M700 ( M40 · M24 SWS · M2010 ESR) · PSR | ||
펌프액션 | M760 · M7600 · M7615P | ||
반자동 | M8 · 페더슨 장비 · 나일론 66 · RSASS | ||
자동 | ACR · R4 · R5 RGP | ||
탄환 | .223 Remington · 6.8×43mm Remington SPC | ||
관련 인물: 엘리팔렛 레밍턴 |
[1]
위 사진은 영국 육군 군사 박물관 소장품이다.
[2]
전쟁 중 여러 정
노획 후 운용됐다. 물론 공식 사용국은 아니다.
[3]
소련처럼 같은 연합군이었기에 사실 노획 가능성도, 기회도, 이유도 없었지만 러시아 제국 시절 차르의
하청을 받아서 제작했다가 재고가 남거나 생산 라인을 이용해 민간에 팔았던 모신나강들이
민병대나 뱅가드에 흘러들어갔다.
[4]
독소전쟁 당시 렌드리스를 하면서 생산했던 분량 중 일부 남은 것이 또 사용되었다. 물론 대부분은 용광로행이었지만...
[5]
#
[6]
총검 부착 또는 개머리판 접을 시
[7]
조준경 포함.
[8]
조준경 포함.
[9]
루쓰까야 3(뜨료흐)- 리녜이나야 (7,62-mm) 빈또브카 아브라즈짜 1891(띄씌차 바씸쏫 지비노스따 뼤르바바) 고다
[10]
볼트액션 방식의 총기류들이 가진 공통된 장점이다. 구조가 워낙 단순해서 고장나려 해도 고장날 부품(부품 수)이 턱없이 적다. 더군다나 이 소총은
부품 수가 동시대 소총 중에서도 굉장히 적은 편으로 발사를 위한 정말 기본적인 장치로만 구성돼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단순하다.
[11]
시모 해위해는 핀란드 개량형인 M28을 사용했고, 소련군의 것을 노획해서 쓰기도 했다.
[12]
당시 오스만 제국은
레버액션인
윈체스터 M1866을 사용하고 있었다.
[13]
나강 형제가 설계해서 출품한 것으로 알려진 총기 사진
[14]
다만 사진처럼 사수의 키를 넘길 정도로 긴 소총은 당시에 타국에도 종종 있었다. 프랑스의
르벨 M1886 역시 스파이크식 총검을 착검하면 사수의 키를 넘기는 경우가 많았으며 캐나다의 스트레이트 풀 볼트액션 소총인
로스 Mk.III 소총도 안 그래도 길다란 전장에 총검까지 부착하면 사수의 키를 넘겼다.
[15]
영어로는 arshin, '야드'에 해당하는 러시아식 도량형. 1아르신 = 28인치 = 71.12cm
#
[16]
그나마 다행이었던 점은, 러시아 단위계의 길이 단위는
야드파운드법을 참고하여 표준화한 것이라 야드파운드법과 어느 정도 호환된다는 것이었다. 1아르신은 정확히 28인치에 대응한다. 여담으로 오늘날 지구상 독자 규격으로 유명한
미얀마 단위계도 야드파운드법과 어느 정도 호환된다(1taung = 18인치).
[17]
전사자의 대부분이 포탄과 그 파편에 의한 것이었던 1차대전과 달리 러일전쟁 당시 전사자의 과반수 이상은 총상에 의한 것이었다. 물론 이점은 총의 문제보다는 러시아 제국군의(소련군이라고 큰 차이는 없겠지만) 열악한 국내 사정으로 인해 생긴 전쟁 준비 부족과 그에 따른 사격훈련 부족으로 인한 문제일 가능성도 있다.
[18]
AVS는 7.62x54mm 탄이 자동화기에 걸맞지 않은 탄종인데다가 소련답지 않게 내부 구조가 심각하게 복잡했다. 게다가 당시 병사들의 관리소홀까지 있었으니, 실패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더 이상했다. 또한, 격발시 사수가 제어를 못하거나 부상까지 입는 상황이 발생했기에, 결국 후방으로 돌려지고 전후에는
세계 최고의 살인병기의 등장으로 완전히 묻혀버렸다.
[19]
그나마 SVT 쪽은 사정이 많이 나았다. 여전히 병사들의 관리소홀 때문에 내구성을 두고 징징대곤 했지만, 무리하게 자동사격에 조정간 등을 넣으려다 실패한 AVS-36보다는 훨씬 나았다. 특히
바르바로사 작전 직전에는 전 소련군의 1/3 수준까지 보급이 완료되었다고 하는데, 바르바로사 작전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무참히 발려버린 소련군이 총을 다 잃어버렸다고 한다. 이 대부분이 독일군에 넘어가고, 소련 무기만 보면 침을 줄줄 흘리는 독일군은 제식명(Gewehr 252)까지 붙여가며 신나게 썼다고 한다.
[20]
참고로 2위는 독일의
Gew98 시리즈. 모신나강의 본가인 러시아는 생산을 중지했으나 핀란드는 유지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현재
핀란드군의 제식 저격총
7.62 TKIV 85도 모신나강의 직계 후손.
[21]
사용 탄환은 다르지만, 일단 구경 자체는 7.62mm로 같았다.
[22]
이게 없어서 클립에 탄을 끼울 때나 탄을 탄창에 장전할 때 림이 포개지는 순서를 신경을 써야 하는 총기가 리-엔필드이다. 이 쪽은 2차 대전 후에야 림드탄인 .303 브리티시 대신, 림리스탄인 7.62mm NATO탄으로 탄종 교체를 하는 식으로 해당 문제가 해결되었다. 비슷하게 림드탄인 8mm 르벨을 쓰던 프랑스의 경우, M1886 르벨은 1발씩 장전하는 관형 탄창이고 베르티에 소총은 탄 보급부터 장전까지 클립에 탄이 물려서 다니는 엔블록 클립 방식이라 해당 문제는 없었다.
[23]
분해 조립 자체는 별로 안 복잡하다. 마우저와 비교하면
#, 오히려 분해조립이 쉬운 측면도 있다.
#
[24]
볼트가 여러 조각으로 되어 있어, 한 덩어리로 노리쇠를 깎는 마우저식에 비해 각개의 조각을 기계 가공하는 공수가 줄어들어 양산에 편리하다. 하지만 약실 압력을 버티는 내구도 측면에선 불리한 게 맞아 .300 매그넘 이상의 강한 탄을 쓰는 총기에선 이런 노리쇠가 잘 쓰이지 않는다.
[25]
리-엔필드 액션의 정의인, 폐쇄 돌기가 노리쇠 머리가 아닌 노리쇠 몸통에 달려 노리쇠 왕복 거리를 줄인 것을 따라한 경우는 많지 않다. 하지만 노리쇠를 90° 돌려야 약실이 개방되는 원조 마우저식과 달리, 노리쇠를 60°만 돌려도 개방되는 구조는 AI AW, SAKO TRG 등 내로라 할 저격 소총/수렵용 소총에서 참조한 바 있다. 마우저 방식을 기반으로 리-엔필드 방식의 조작성을 참조하여 개선한 것이다.
[26]
폐쇄 돌기가 노리쇠 머리에 있다는 측면에선 모신나강도 마우저 방식과 같아 노리쇠 후퇴 거리가 길어지는 문제를 공유한다. 헌데 앞서 말했듯 노리쇠가 여러 조각으로 되어 있어 양산에는 유리할망정 내구도에서 불리하다. 성능 면에선 리-엔필드 방식과 마우저 방식의 단점만 공유하니 따라한 사례가 거의 없을 수밖에 없다. 여담으로 이런 노리쇠 방식의 원조는 사실 M1891 모신나강이 아니라 프랑스의 M1886 르벨 소총이다. 프랑스는 이런 노리쇠 구조를 르벨 소총 이후에 개발된 베르티에 소총에서도 활용했으나, 전간기 7.5mm로의 탄종 교체와 함께 개발된 MAS-36에선 동맹국 영국의 리-엔필드 액션을 채택하였다.
[27]
물론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극복 가능한 부분이기도 하다. 국공내전~6.25 전쟁 전후로 북한군이나 중공군에서 복무한 경험자들 증언에 따르면, 조준을 풀지 않고 노리쇠를 조작하는 요령을 강조해서 훈련시켰다고 한다.
[28]
스트리퍼 클립이지만 마우저식 스트리퍼 클립보다 접촉면이 더 넓은 것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클립 가이드에 경사로 가공이 안 되있어서다. 마우저 계열은 클립 가이드에 살짝 경사가 있어서 노리쇠를 전진시키면 노리쇠 머리에 빈 클립이 밀려나면서 저절로 튕겨나온다. 리-엔필드도 이 가공이 되어 있어서 클립 외형은 모신 나강과 비슷하지만 클립을 튕겨낼 수 있다. 하지만 모신 나강은 이 가공이 안 되어서 손으로 뽑아주어야 한다.
[29]
하지만 유튜브 등을 보면 클립 자동 배출기능이 있는 총도 장전 후 손으로 클립을 직접 제거하는 경우도 많다. 전투 중이 아닌 상황에서는 손으로 직접 제거하는 걸 선호하는 듯하다.
[30]
이런 방법으로 개머리판을 만든 총 중에서는
아리사카 소총들이 가장 유명하다. [[https://www.libertytreecollectors.com/productcart/pc/viewPrd.asp?idproduct=6084&idcategory=0]|30년식 소총]
[31]
그래도 들리는 바로는 군용이 아닌 다른 용도로 표기해서 여전히 약간이나마 들여온다고 한다.
[32]
무게 때문만은 아닌 것이 로마군의 제식 투창인
필룸은 5kg에 육박하는 모델도 있을 정도였고, 그 당시엔 그것보다 무거운 투창도 흔했다. 하지만 필룸은 무게추가 파지하는 부분 바로 앞에 있어 무게중심이 손과 가깝지만, 사진에선 파지하는 부위보다 훨씬 뒤에 무게중심이 실리다보니 잘 날려보낼 수가 없다.
[33]
재장전 지시가 떨어져도 할게 없기 때문에 그냥 멍때리고 있는 게 포인트. 덤으로 볼트액션과 반자동 소총의 반동차이를 알 수 있다. SVT-40사수는 반동을 거의 느끼지 못하는 반면, 모신나강 사수들은 매 사격마다 총구가 들리는 걸 볼 수 있다.
[34]
핀란드, 불가리아 등.
[35]
PE 스코프도 비상시 기계식 조준기를 쓸 수 있었긴 하나 사실상 스코프 마운트에 작은 홈으로 보는거나 마찬가지 였기에 조준이 힘들었다. 후에 PU 스코프 처럼 기계식 조준기를 쓰기 쉽게 마운트를 변경한 1937년에 개량된 PEM 모델로 교체 된다.
[36]
대부분의 저격 소총, 그리고 민수용 소총이 이런 형태로 만들어진다. 볼트액션이 그냥 주력 소총으로 사용되던 시절에는 대부분 빠른 재장전의 편의를 위해 직선형으로 툭 튀어나온 핸들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저격수가 스코프를 떼버리고 아닌 척 항복해도 볼트 노리쇠를 보고 저격수라고 알아차리는 경우가 많다.
[37]
다만 스프링필드 M1903나 리-엔필드, Kar98k처럼 병과(보병, 기병, 저격병) 구분 없이 기본적으로 꺾여진 볼트 노리쇠를 사용하여 구분되는 소총이 아닌 경우에는 구분하기가 어렵다.
[38]
탄창 덮개를 열어서 탄약을 밀어넣는 게 아닌 이상 스트리퍼 클립 장전은 할 수 없다.
YouTube 영상
[39]
프로 맥사의 아크엔젤 시리즈는 M1A용을 포함해서 그 원안이라 할 수 있는 JAE의 보급형의 개념으로 시장에 등장했다. 당연히 원가절감이 있어서 원판에서 볼 수 있는 그런 편의성은 과감히 생략되었다.
[40]
애초에 프로맥 아크엔젤 시리즈는 "저가 시장"을 노리고 있다. 이와 동일한 디자인 콘셉트... 이라기보다는 아크엔젤이 베껴온 원안 디자인은 700 시리즈 라이플과 M14 스톡을 제작하는 회사인 JAE사의 제품인데, 달리 말하면 아크엔젤 자체가 그 보급형이나 매한가지로, 실제로 M1A와 700용 스톡도 생산 중에 있으므로, 그 과정에서 니치마켓을 노려 만든 것이라고 볼 수 있을 듯.
[41]
오르시스 T-5000 나 M4 등 각종 총기를 만드는 러시아 회사.
[42]
프리플로팅 배럴, 각종 경량 합금, 조절 가능한 칙 패드와 완충패드,
피카티니 레일
RIS 등 각종 최신 기술이 들어가 요즘 저격총 뺨치는 성능을 자랑한다. 오르시스에선 대놓고
SV-98과 비교하면서
비슷한 성능을 내지만 훨씬 값이 싸다면서 광고하고 있다.
[43]
이쪽은 오히려
WA2000에 가깝다.
[44]
7.62x54mmR 탄과 림 지름이 거의 같아서 가능한 일이다.
[45]
역사적 기록을 살펴보면 팩토리 상태로 1.3 MOA 이하까지 보인다. 웬만한 요즘 사냥총보다 낫다.
[46]
다만 극초기 M39 생산분의 경우 러시아제와 비슷한 총목을 하고 있는 것도 있다.
[47]
다른 예로 노르웨이의 NM149F1과 같은 총기가 있다. 마우저 액션을 재활용하는 방식으로 적당히 싼 가격의 총기를 만들어 내는 방식. 단지 이 경우 탄종이 7.62 NATO탄으로 리챔버링 된 경우.
[48]
7.92mm 마우저탄을 쓰는 소총이 이미 주력인 상황에서 탄약 호환이 안 되는 총을 굳이 대량 도입할 이유는 없었을 것이다. 물론 청나라 멸망 이후 중앙 정부의 통제가 약하고 군벌 등이 많던 시대라 만주, 몽골 등 러시아/소련과 인접한 지역에선 모신나강 역시 상당히 많이 쓰였다.
[49]
러시아의 한자발음인 아라사의 아다.
[50]
장난감이라곤 하나... 사실 실탄을 발사하는 총이다. 7.62×54mmR 탄을 반으로 만든 3.81×27mm 탄약을 사용한다고.
[51]
다만, 커스텀 M44는 클립이 아닌 탄창식이라서 장전이 약간 빠르다. 현대화 개수 버전이라 장착 가능한 부착물도 더 많은 편이다.
[52]
SV-98이 이거보다 한방율이 낮다.
[53]
총을 주웠을 때.
[54]
퀵스위치란 샷건이나 저격총 같은 발사 간격이 긴 단발류 무기를 쏜 직후에 무기를 바꿔 들어서 탄피를 빼낼 때 생기는 이속 감소를 없애는, 서밥에서 필수적으로 배워야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저격총 격발-무기 교체-무기 교체를 빠르게 하면 저격총을 들었을 때 탄피를 빼낸다. 다만, 저격총을 한번에 2개씩 들고 격발-교체-격발을 시전한다면, 저격총 2자루를 빠르게 이속 감소 없이 쏘는 고급진 트릭을 쓸 수 있다!
[55]
잘 보면 잘 알려진 M91/30 PU가 아닌 PE 스코프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56]
야자잎으로 엮어 있다.
[57]
제대로 재현을 한다면 그 전에 쓰던 단발식 흑색화약 소총인
베르단 소총이 등장해야 한다. 소련이 붕괴하고 러시아 연방이 세워진 지 얼마 안 된 시점에서 제작된 영화라
제대로 재현하지 못하고 비교적 흔한 모신나강을 쓴 것으로 보인다.
[58]
한국군 체형에는 너무 길고, 무겁다는 단점과 소총수의 실제 교전거리는 길어도 200미터 내외라는 극동전쟁에서 얻어진 전훈, 산이 많은 한반도 지형, 기동전을 선호하는 한국군 교리등이 고려됐다.
[59]
정확히는 나가기는 한다 수준이다. 총구 크기 때문에 수정탄이 멀리 가도 2m도 못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