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飛雷 (炸藥發射筒)
飞雷 (炸药发射筒)
중공군이 국공내전에서 사용한 대포.
2. 기원
지면에 구멍을 파서 화약과 자갈을 채운 뒤 적이 다가오면 폭파하는 포와 지뢰의 혼합 무기라 할 수 있는 푸가스(Fougasse)는 이미 16세기부터 사용되던, 굉장히 오래된 기술이다.그러나 원통에 뭔가를 넣고 발사한다는 발상은 제1차 세계 대전때 나왔다. 전쟁 초기에 극심한 포 부족에 시달리던 열강 군대들은 임시 박격포를 마구 만들어냈는데, 이들 중에는 나무로 된 포신을 가진 포도 있었고, 압축공기를 이용한 공기 포, 스프링으로 포탄을 발사하는 포, 심지어 새총까지도 사용되는 판국이었다.
이때 발상의 전환을 한 사람이 바로 영국 육군 공병 장교인 윌리엄 하워드 리벤스이다. 그는 이미 리벤스 화염방사기라는 영국스러운 물건을 만든 바 있는데, 화염방사기가 너무 크고 무거운 데다 사정거리가 짧다는 것에 아쉬움을 품고 개량형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그것이 바로 리벤스 투사기(Livens Projector)로, 그냥 원통에 소이탄이나 화학탄을 넣어서 발사하는 방식이었다. 여기서 쓰는 원통은 정밀가공을 통해 만들어진 진짜 대포의 포신과 달리 그냥 원통이어서 만들기 쉬웠고, 화염방사기를 들고 가거나 독가스를 살포하는 것보다 사거리가 월등히 길어지므로 대량으로 쓰였다. 너무 저렴한 방식이라 독일군도 이를 따라하기 시작했고, 이 발상은 중국에까지 알려지게 된다.
3. 개발
개발자인 가오원쿠이(高文魁, 고문괴)
1947년 국공내전 당시 물자부족과 생산시설 열악 등의 여러 이유들로 중화기가 부족하던 중공군의 상황을 타파하고자 젊은 육군 공병 군관인 가오원쿠이가 제안, 만들게 되었다.
구조는 매우 간단하다. 드럼통의 평평한 면 중 하나를 뻥 뚫은 뒤 다리를 붙이면 끝. 급한 상황에선 대충 흙을 쌓아서 다리를 대체하기고 했다. 실전에서도 다른 거 없이 뚫린 구멍에 화약뭉치를 넣은 뒤 터트리지만, 경우에 따라 주위 착탄지점에 파편을 뿌려 살상력을 높이기 위해서 자갈, 쇳덩이도 넣기도 했다.
4. 실전
집결호에서 구지디의 9중대가 방어 중인 모습 |
비록 구조는 단순하고 정밀 타격과는 거리가 멀었어도 드럼통은 군대에 널린 물건이고,[1] 중공군도 쪽수가 매우 많았으므로 대량으로 만들어 쏴제끼면 무시못할 효과를 냈다. 대충 성능은 20㎏ 화약뭉치를 150~200m까지 날려보낼 수 있으며 기본 살상반경이 5m 정도. 그냥 화약뭉치만 넣고 쏘는 것이 기본이지만, 때론 자갈이나 짱돌을 넣고 쏘기도 했으며, 화약뭉치와 자갈을 동시에 집어넣고 쏘기도 했다. 그야말로 근거리 대인병기로서 대단한 효과를 내었다. 한마디로 산탄 야포. 맞으면 살이 찢겨지고 뼈가 으스러졌다.
기름통을 썼다고 유통포로도 불리며, 이 무기에
5. 이후
중국군 박물관에도 소장되어 있지만, 이것은 바퀴와 제대로 된 가대가 달린 물건. 전쟁 당시 쓰이던 형태는 맨 위의 모습처럼 그냥 드럼통에 다리만 달린 물건이다.
어디까지나 제대로 된 박격포가 아닌 임시로 만들어 낸 급조무기의 한계는 넘을 수 없었기에 전쟁이 끝난 이후에는 완전히 사라졌다. 그러나 국공내전을 승리로 이끄는 데 기여했으므로 자기 할 일을 다 한 셈이다.
반세기가 더 지나 이것의 직계 후신(?)이 시리아 내전에서 등장하였다. 일명 지옥 대포. 송유관 같은 커다란 쇠파이프로 만드는데, 박격포 모양 추진체에 파편을 채운 가스통을 결합한 일종의 통 폭탄을 넣고 쏜다.
6. 둘러보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7. 관련 문서
[1]
기갑차량이나 수송차량에 쓸 연료나 식수등을 운반해야 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