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0-19 11:41:32

베홀라 권총

Beholla pistole
베홀라 권총
파일:7a0c817f110a9eb4cdd8c20902d82bad.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자동권총
원산지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folding 【펼치기 · 접기】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15년~ 1945년
개발 베커 & 홀란더
개발년도 1915년으로 추정
생산 베커 & 홀란더
슈텐다 공업
아우구스트 멘츠 조병창
생산년도 1915년~ 1918년
생산수 45,000정
단가 41마르크 (베커 & 홀란더)
35마르크 (아우구스트 멘츠)
사용국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나치 독일|]][[틀:국기|]][[틀:국기|]]

[[오스만 제국|]][[틀:국기|]][[틀:국기|]]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왕국
파일:핀란드 왕국 국기.svg 핀란드 왕국
사용된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기종
파생형 베커 & 홀란더 생산형
아우구스트 멘츠 생산형
레온하르트 아른슈타트 생산형
슈텐다 생산형
세부사항
탄약 .32 ACP
급탄 7발들이 박스탄창
8발들이 콜트 포켓 해머리스 탄창
작동방식 싱글 액션
공이 직동식
블로우백
총열길이 75mm
전장 140mm
중량 640g
탄속 276m/s }}}
1. 개요2. 상세3. 특징4. 생산 유형
4.1. 베커 & 홀란더4.2. 아우구스트 멘츠4.3. 레온하르트 아른슈타트4.4. 슈텐다
5. 기타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베홀라 권총은 1차대전 당시 동맹국이 사용했던 권총이다.

베홀라(Beholla)는 제조사 베커 & 홀란더(Becker & Hollander)의 앞 글자를 따서 합성한 명칭이다.

2. 상세

1차대전 당시 독일 제국 루거 P08 마우저 C96를 제식권총으로 채용했지만, 모든 부대에 지급하기에 생산량이 부족했다. 독일 군부는 드라이제 M1907, 마우저 M1910 등 여러 권총을 보조무기로 동원했고, 베홀라도 채용되었다.

베홀라는 안정성과 정확성에 좋은 평가를 받았고, 군부의 승인을 받아 대량생산에 들어갔다. 1915년에서 1918년까지 약 45,000정이 생산되었다.

구조가 단순하고 은닉하기 용이한 동시대의 전형적인 .32 구경 권총이다. 전투용 권총보다 보조 무기로서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주어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고, 무기 수요의 일부를 충족시켰다. 전후에는 민간시장에서 호신용으로 판매되었다.

3. 특징

공이 직동식 싱글 액션 화기로서 단순 블로우백 구조를 가지고 있다. 총열은 6조우선 강선으로 구성되었고, 강선홈은 8.5 ~ 9.6 인치 내외에서 형성되어 있다. 총몸의 도브테일 홈(dovetail groove)을 통해 총열이 결합되며, 약실 아래에 있는 총몸의 확장부를 통과하는 핀으로 고정된다. 슬라이드에는 측면에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슬라이드가 닫힌 상태에서는 총열 고정 핀과 축선이 일치하므로 도구를 사용하여 분해할 수 있다.

파일:Beholla pistol’s operation.gif

4. 생산 유형

베커 & 홀란더의 생산력으로는 군에서 요구하는 수량을 충족시키지 못한 까닭에 동일한 도면을 슈텐다 공업, 아우구스트 멘츠 등에 제공하여 발주를 맡겼다. 각 회사에서 생산된 모델들은 일련번호의 연속성은 유지했지만, 각인은 개별적으로 새겼다.

4.1. 베커 & 홀란더

파일:Identification card for the Becker & Hollander Beholla.png

베커 & 홀란더의 초기 생산품은 「BH」로 디자인한 모노그램을 단단한 고무 그립에 새겨넣어 권총손잡이에 부착하였고, 후기 생산품은 톱니 모양의 나무 그립으로 대체했다. 슬라이더 좌측에는 화기종류, 제식명칭, 구경, 정부 승인이 순서대로 새겨있다.[1] 우측에는 제조사명, 전문 분야, 생산 지역이 각인되어 있다.[2] 이 중 D.R.P.(Deutsches Reich Patent) 각인은 베커 & 홀란더 제조 모델에만 있다.

모델 일련번호 No. 503, No. 774, No. 2012, No. 27463, No. 30003이 현존한다.

4.2. 아우구스트 멘츠

파일:Identification card for the Waffenfabrik August Menz Menta.png

"멘타(Menta)"라는 독자적인 이름으로 생산되었다.

6조우선 강선은 베커 & 홀란더의 규격을 따르지만, 총몸 금형이 동일하지 않고 슬라이더 좌측에 「MENTA "KAL." 7.65」 각인만 확인되며 고무 그립도 디자인이 다르고 모노그램이 없다. 전쟁기간 동안 백 여정만 생산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모델 일련번호 No. 8915이 현존한다.

.25 구경 모델도 생산했다. 기존의 .32 구경과 디자인은 동일하지만 슬라이드 뒤쪽에 새겨진 핑거 그립 홈의 갯수가 7개에서 5개로 감소했고 크기도 축소되었다. 모델 일련번호 No. 4863, No. 5347번이 현존한다.

4.3. 레온하르트 아른슈타트

파일:Identification card for the HM Gering & Co Leonhardt.png

베커 & 홀란더에서 측정한 강선홈 규격을 맞추었지만, 아우구스트 멘츠처럼 총몸 금형과 고무 그립의 디자인이 다르다.

초기 생산품은 고무 그립과 함께 슬라이드 좌측에는 「SELBSTLADE PISTOLE "Leonhardt"」 각인이 있고, 우측에는 「GERING & CO. ARNSTADT」라고 새겨져 있다. 후기 생산품은 모노그램이 없는 나무 그립을 권총 손잡이에 부착했고, 슬라이드 각인도 좌측에만 새겨져 있다.

레온하르트-아른슈타트에서 제조한 유일한 자동권총으로 대전 말기에 생산되었고, 모델 일련번호 No. 24281, No. 37963이 현존한다.

4.4. 슈텐다

파일:Identification card for the Waffenfabrik Stenda Werke Stenda.png

1920년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베홀라 권총에 대한 권리가 슈텐다 공업에 매각되었다.

슬라이더 좌측에는 「SELBSTLADE PISTOLS "BEHOLLA" CAL. 7.65 D.R.P.」 각인이 있고, 우측에는 「STENDA-WERKE, G.m.b.H. WAFFENBAU, SUHL」을 새겼다. 그립은 베커 & 홀란더의 디자인과 동일하다.

슈텐다의 독자적인 모델은 총기분해를 용이하게 해주는 레버를 추가되었고, 해당 모델은 권총 손잡이 그립의 모노그램에 「ST」를 새겨 표시했다. 분해 레버의 특허가 승인된 이후 슬라이더 각인에 'BEHOLLA'가 삭제되었다. 그러나 베커 & 홀란더가 생산한 제품 일련번호의 연속성은 승계했다. 총열 강선은 6조우선을 유지했지만, 슈텐다의 후기 생산품은 총열 강선이 5조우선으로 바뀌었고 강선홈은 18.7 ~ 18.8 인치 내외로 형성되었다.

1920년대 중반 생산이 중단되었고, 정확한 생산수량은 파악되지 않았다.

모델 일련번호 No. 342190, No. 49781, No. 61747, No. 61907 No. 68959 및 일련 번호 미확인 표본 하나가 현존한다.

5. 기타

  • 총기 애호가들은 베홀라가 리틀 톰 권총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리라 추정한다. 리틀 톰이 더블 액션 자동권총으로 해머격발 구조와 .25 및 .32 구경을 채용한 반면, 베홀라는 공이 직동식 싱글 액션 구조이며 .32 구경만을 채택하였고 탄창의 삽입방향도 다르지만, 스포츠 및 사냥용 엽총만을 제조했던 베커 & 홀란더가 기존의 제품군과 이질적인 자동권총을 생산할 수 있었던 데에는 리틀 톰의 외관과 구조 및 자동장전이라는 개념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추정한다.
  • 베커 & 홀란더의 초기 모델에는 D.R.P. 각인이 없다. 베홀라 생산에 다른 회사가 참여한 이후부터 첨부된 것으로 추정한다.
  • 베홀라의 군 납품가는 베커 & 홀란더의 경우 41마르크, 아우구스트 멘츠는 35마르크로 확인된다.
  • 다소 놀랍게도 동종 탄환을 쓰는 콜트 포켓 해머리스의 8발들이 탄창과 호환이 된다. 그러나 베홀라 권총의 7발들이 탄창은 구조적인 특징 탓에 콜트 포켓 해머리스의 권총 손잡이에 호환이 되지 않는다.
  • 2차대전 당시, 철도 경호원들에게 소량의 베홀라 권총이 지급되었다.

6. 둘러보기

제1차 세계 대전기의 동맹국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b8a176,#897147> 제1차 세계 대전
동맹군 보병장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개인화기 <colbgcolor=#b8a176,#897147> 볼트액션 소총 Gew71, 베르단, 그라 M1874, 크로파첵 M1881, M1893, Gew88, 마우저 M1890, 마우저 M1893, Gew98, 마우저 M1903, M1886, M1888, M1890, M1893, M1895, 만리허-쇠나워, 슈타이어 M.14, 모신나강 M1891
후미회전식 / 레버액션 / 리프팅블록 / 폴링블록 / 트랩도어 베른들-홀룹 M1867, 스나이더 Mk.III, 마티니-헨리, 윈체스터 M1866, 크른카 M1867
반자동소총 젤프스트라더 M1906E, 몬드라곤 M1908, 젤프스트라더 M1916
기관단총 / 기관권총 헬리겔 1915E, M1912/P16, MP18, 슈바르츠로제 기관단총E
권총 <colbgcolor=#b8a176,#897147> 리볼버 라이히 M79, M83, 마우저 C78, 라스트&가서 M1898, 나강 M1895, S&W M3
자동권총 보르하르트 C93, 마우저 C96, FN M1900, FN M1903, 드라이제 M1907, 로트-슈타이어 M1907, 루거 P08, 마우저 M1910, 베르크만 M1910, 슈타이어 M1912, 프로머 슈토프, 베홀라 M1915, 마우저 M1914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M1902, 호치키스 M1909, MG15nA, MG08/15, MG14/17, MG08/18, M.17, M.18
중기관총 호치키스 M1900, 스코다 M1909, 슈바르츠로제 M.07/12, MG08, MG14, 가스트 기관총
수류탄 M15, M16, M17, 파이프 수류탄
대전차화기 탕크게베어 M1918, 집속수류탄
화염방사기 벡셀아파라트 M1917
박격포 그라나트베르퍼 16, 미넨베르퍼
※ 윗첨자E: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나치 독일군의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Gew71V, Gew88/05V, Gew98, Kar98b, Kar98k, VG1V, VG2V, VG3V, VG4V, VG5V
반자동소총 G41, G43, MP507V
자동소총 FG42, MKb42, MP43, StG44
컴비네이션 건 M30
기관단총 MP18, MP28, M712, MP35, EMP35, MP38, MP40, MP41, EMP44V, MP3008V
권총 M1883, C96, M1907V, P08, M1915, PPK, M1934, 38H, P38, HSc, 국민권총V, 아스트라 400, 아스트라 600/43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G08/15, MG15nAV, MG13, VMG27, MG30, MG35/36
중기관총 MG08, MG15, MG34, MG42, MG81
대전차화기 대전차 소총 M1918V, PzB 38/39, PzB M.SS.41, S-18
대전차 로켓 파우스트패트론 30, 판처파우스트 30/60/100/150, 라케텐판처뷕세 43, 54, 54/1
기타 대전차 권총, H3, H3.5
화염방사기 플라멘베르퍼 35, 플라멘베르퍼 41/42
박격포 8cm 그라나트베르퍼 34/42, 5cm 그라나트베르퍼 36, 12cm 그라나트베프퍼 42, 10cm 네벨베르퍼 35/40
맨패즈 플리거파우스트
유탄 M24, N39, M43, M39, GrB 39, 게베어그라나텐게레트
지뢰 S미네
노획무기 오스트리아 P12(ö), G29/40(ö), Gew95(ö), MP34(ö), MG07/12(ö), 8.14cm GrW33(ö)
헝가리 Gew98/40(u), P37(u)
체코슬로바키아 Gew95(t) Gew24(t), Gew33(t), Gew33/40(t),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ZH-29, ZK-383, P24(t), P27(t), P39(t), MG26(t) ,MG30(t), MG37(t), 8cm GrW36(t), 8.14cm GrW278(t)
폴란드 Gew29(p), Gew298(p), Gew98(p), Gew299(p), Kar493(p), Kar497(p), Wz.38M, R612(p), P35(p), P645(p), MG28(p), MG154/1(p), MG154/2(p), MG30(p), MG249(p), MG238(p), MG257(p), MG248(p), PzB770(p), 4.6cm GrW36(p), 8.14cm GrW31(p)
노르웨이 Gew211(n), Gew213(n), Kar411(n), Kar412(n), Kar413(n), Kar414(n), R610(n), P657(n), MG102(n), MG103(n), MG201(n), MG240(n), MG245/1(n), MG245/2(n)
덴마크 Gew311(d), Kar506(d),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6(d), P644(d), MP741(d), MP746(d), MG158(d), MG159(d), MG258(d), 8.14cm GrW275(d)
벨기에 Gew220(b), Kar420(b),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0(b), P621(b), P622(b), P626(b), P641(b), P640(b), MP740(b), MG125(b), MG126(b), MG127(b), MG220(b), MG221(b), MG222(b), 5cm GrW201(b)
네덜란드 Gew211(h), Gew212(h), Kar411(h), Kar412(h), Kar413(h), Kar414(h), P626(h), P641(h), MG100(h), MG241(h), MG242(h), MG243(h), MG244(h), MG231(h), PzB785(h), 8.14cm GrW278(h), 8.14cm GrW279(h), 8.14cm GrW286(h)
프랑스 Gew361(f), Kar561(f), Gew301(f), Gew303(f), Gew241(f), Gew302(f), Gew304(f), Gew305(f), Kar551(f), Kar552(f), Kar553(f), Gew242(f), Gew310(f), P623(f), P624(f), P625(f), MAB D, P647(f), P642(f), R654(f), R637(f), R634(f), R635(f), MP722(f), MP740(f), MP761(f), MG105(f), MG106(f), MG115(f), MG116(f), MG331(f), MG331(f), MG156(f), MG157(f), MG256(f), MG257(f), MG271(f), 5cm GrW203(f), 6cm GrW225(f), 8.14cm GrW278(f)
영국 Gew248(e), Gew280(e), Gew281(e), Gew281/2(e), Gew283(e), Gew283/2(e), Gew282(e), Gew282/3(e), R646(e), R655(e), MP748(e), MP749(e), MP750(e), MP751(e), MP752(e), MP760(e), MP760/2(e), MP761(e), MG135(e), MG136(e), MG137(e), MG138(e), MG230(e), MG341(e), PzB782(e), PzB789(e), 5cm GrW202(e)
유고슬라비아 Gew223(j), Gew361(j), Gew293(j), Gew291/3(j), Kar492(j), Gew214(j), Kar416(j), Gew252(j), Gew309(j), Gew288(j), Gew295(j), Gew307(j), Gew298(j), Gew290(j), Gew291(j), Gew291/2(j), Kar491(j), Kar491/2(j), Kar491/3(j), Kar491/4(j), Gew308(j), Kar561(j), Gew301(j), Gew292(j), Gew294(j), Gew306(j), Kar505(j), Gew302(j), Gew304(j), Kar502(j), Kar503(j), Gew301(j), P641(j), MP760(j), MG145(j), MG147(j) MG156(j), MG146/1(j), MG148(j), MG246(j), MG200(j), MG247(j), MG248(j), MG256(j), MG257(j), 7.58cm GrW229(j), 8.14cm GrW270(j)
그리스 Gew307(g), Kar561(g), Gew215(g), Kar417(g), Kar417/2(g), Gew301(g), Gew305(g), Gew502(g), Gew306(g), Kar505(g), Gew302(g), Gew285(g), R612(g), R613(g), MG136(g), MG104(g), MG152(g), MG202(g), MG156(g), MG256(g)
소련 Gew252(r), Gew253(r), Gew254(r), Gew256(r), Kar453(r), Kar454(r), Gew255(r), Gew257(r), Gew258(r), Gew259(r), Gew259/2(r), Gew260(r), R612(r), P615(r), MP715(r), MP716(r), MP717(r), MP41(r), MP718(r), MP719(r), MG120(r), MG121(r), MG320(r), MG216(r), MG218(r), MG268(r), PzB783(r), PzB784(r), HG336(r), 3,7cm SpGrW161(r), 5cm GrW200(r), 5cm GrW205(r), 8.2cm GrW274(r), 12cm GrW378(r), 12cm GrW379(r)
미국 Gew249(a), Gew250(a), Gew251(a), Gew455(a), P660(a), R661(a), R662(a), MP760(a), MP760/2(a), MP761(a), MP762(a), MP763(a), MG123(a), MG124(a), MG219(a), MG321(a), MG269(a), PzB788(a), 6cm MW219(a) NbW263(a)
이탈리아 Gew208(i), Gew209(i), Gew210(i), Gew214(i), Gew231(i), Gew240(i), Kar408(i), Kar409(i), Kar410(i), Kar416(i), Kar430(i), Gew306(i), Kar505(i), P670(i), P671(i), R680(i), MP738(i), MP739(i), MG099(i), MG200(i), MG255(i), MG259(i), MG261(i), MG350(i), PzB785(i), PzB770(i), 4.5cm GrW176(i), 8.1cm GrW276(i)
※ 윗첨자V : 국민돌격대가 사용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무기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의 튀르키예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튀르키예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Gew71/87, Gew88/05, 마우저 M1890, 마우저 M1893, Gew98, Vz.98/22, 마우저 M1903, Vz.24, 모신나강 M1891/30, Kar98k, 베르티에 M1916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기관단총 MP18, 스텐 기관단총
권총 S&W M3, C96, P08, FN M1903, FN M1910/22, 베홀라 M1915, 프로머 슈토프, Vz.27, 발터 PP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G08/15, Vz.26, MG15nA, MG34
중기관총 MG08, M1907/12, 빅커스 기관총, PM M1910, 호치키스 M1914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SELBSTLADE PISTOLS "BEHOLLA" Cal. 7.65 D.R.P. [2] BECKER AND HOLLANDER, WAFFENBAU, SUH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