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911 Automatic Pistol, Caliber .45, M1911 |
|||
|
|||
초기형 / M1911 | |||
|
|||
개량형 / M1911A1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자동권총 | ||
원산지 |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11년~현재 | ||
개발 | 존 브라우닝 | ||
개발년도 |
1911년 1924년(M1911A1) |
||
생산 | 콜트 매뉴팩쳐링 | ||
생산년도 | 1911년~현재 | ||
생산수 | 2,700,000정 이상 | ||
사용국 |
그 외 다수 |
||
사용된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기타 1차 대전 이후 미군이 참전한 모든 전쟁 |
||
기종 | |||
원형 | M1907 | ||
파생형 |
M1911A1 M1911A2 MEU 피스톨 M45A1 콜트 커맨더 그 외 다수 |
||
제원(M1911A1 기준) | |||
탄약 | .45 ACP | ||
급탄 | 7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 쇼트 리코일, 브라우닝식 캠락 방식 | ||
총열길이 | 127mm | ||
전장 | 210mm | ||
중량 | 1.1kg(탄창 미포함) | ||
탄속 | 253m/s | ||
유효사거리 | 50m | }}} |
[clearfix]
1. 개요
|
|
Ahoy의 리뷰 영상 | hickok45의 리뷰 영상 |
|
|
작동 방식 영상 | 야전 분해 영상 |
콜트 M1911 혹은 콜트 1911(Colt M1911)은 미국의 콜트사에서 만든 자동권총이다. 총기 설계의 천재인 존 브라우닝이 직접 설계하였다. 미군이 이 총을 제식 채용한 연도가 1911년이라서 1911이라는 번호가 붙었다.[1]
FN M1900이 자동권총에 최초로 슬라이드를 도입했다면 1911은 현대 권총의 구조를 완전정립했다고 봐도 무방한 권총이다.
대단히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으며 2011년 드디어 제식 채용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덕분에 총기에 문외한인 사람이라도 한번쯤 들어봤을 만한 유명한 권총이다.
콜트 M1911에 관한 얘깃거리
2. 명칭
베레타 92와 마찬가지로 미군에 납품된 USGI 사양이 아니면 M자가 들어가지 않고 그냥 1911로 불러주는 게 맞다. 물론 베레타와는 달리 이 총은 애초부터 군납용이었던 물건이라 기본적으로는 M1911로 알려졌다. 외국에서도 그냥 M1911로 부르는 사례도 많기는 하지만, 현재는 그 인지도 덕택에 .45나 45구경이라 하면 대부분은 1911로 치니 이쪽으로 불러도 알아들을 사람은 다 알아듣는다. 미국에서는 사실 군납용이라 그냥 거번먼트라고만 해도 통한다. 이제 군에서 퇴역되고 저작권이 풀린 시점에서는 1911의 플랫폼을 사용한 민수용으로 주로 나오기 때문에 1911이라고 불러주어도 좋다. .45 ACP 탄을 사용해서 콜트 싱글 액션 아미의 뒤를 이어 콜트 .45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국내 한정으로는 최근 10년 사이 인터넷 등을 통해 젊은 밀덕 사이에서 1911 이라는 정식 명칭으로 알려져 부르기 시작했지만, 그 이상 연령대의 중 장년들은 그냥 45구경 권총 혹은 콜트 .45 권총이라고 호칭한다. 과거 군에서 권총 사격을 교육할 때에도(예를 들어 장교 신임장교 지휘참모과정 같은 곳) 45구경 권총이라고 호칭했지 1911이란 호칭은 거의 쓰이지 않았다. 무기 전시회를 여는 경우에도 그냥 45구경 권총 혹은 콜트라고 적어놓고 전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2]
3. 역사
3.1. 개발
19세기가 되면서 총기 개발 기술에 많은 혁신이 있었다. 19세기 후반에 등장한 리볼버는 연발 화기의 개념을 바꿔놓기 충분했다. 하지만 리볼버식 구조는 재장전이 불편했고, 가스샘이 심하여 사용상에 주의점이 많아 불편했다. 뒤이어 등장한 맥심 기관총은 새로운 연발화기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 주었고, 많은 총기 기술자들이 신형 연발화기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총기 기술자들은 간편하게 연발로 사격할 수 있는 권총을 원했고, 소총에 적용되기 시작한 내장식 탄창을 이용하여 기관총 같은 구조의 리볼버보다 보다 편한 화기를 만들 생각을 하게 되었다. 유럽에서는 엔블록식 클립을 사용하고 내장식 탄창을 사용한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최초의 자동권총인 살바토르-도르무스가 1891년에 개발되었고, 마우저는 1896년 내장식 탄창에 스트리퍼 클립을 사용하는 그 유명한 마우저 C96을 만들었으며 마찬가지로 독일의 보르하르트가 3년 전에 최초로 분리형 탄창을 이용한 자동권총인 보르하르트 C93을 제작하였다. 반면에 바다 건너 미국에서는 무기 개발의 천재였던 존 브라우닝이 미국 최초의 탄창교체식 자동권총인 콜트 M1900을 제작한다. 그는 동 시기에 FN M1900도 제작했지만, 이것은 작동방식이 쇼트 리코일식이 아니라 단순 블로우백 방식이라 콜트 M1911과는 별로 연관이 없는 물건이었다.
|
콜트 M1900. 총열이 길고 멋들어진 외관 덕에 강해보이는 모습이지만, 막상 총알은 약한 .38 ACP를 사용한다. |
존 브라우닝은 역사적인 M1900을 제작하였으나, 당시 기술적 한계 때문에 M1900은 그리 훌륭한 물건이라 하기는 힘들었다. 총열은 지나치게 길었고, 구조적으로 자잘한 부품이 많이 들어가 내구성 또한 그리 좋지 않았다. 또한 이 총은 당시 미국 제식탄이었던 .38 롱 콜트를 개량한 .38 ACP를 사용했다. 그러나 자동권총은 확실히 리볼버보다 간편하고 안전했기에 브라우닝의 M1900은 미군에 좋은 인상을 심어주기에 충분했다. 미군은 신형 자동권총 선정을 위해 여러 자동권총을 구입하였는데 1898년에 제작된 루거 P08과 같이 테스트 되었다.
존 브라우닝은 이 총이 미군에 채택되기를 바랐으나,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았다. 미군의 필리핀 침공 당시 미군의 제식 권총이었던, 콜트 M1892의 .38 롱 콜트탄이 마약을 하고 달려드는 모로족 전사들을 근거리에서 제압하지 못하고 되려 접근을 허용한 미군 병사들이 찔려죽는 사건이 발생했던 것이다. 미군은 이 .38구경의 대인저지력 부족을 문제 삼기 시작했으며, .38 ACP도 .38 롱 콜트와 사실상 유사한 탄이었기 때문에 당연히 미군의 눈 밖에 나게 되었다. 이는 루거에서도 마찬가지였으며, 미군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45 구경의 콜트 M1873 리볼버를 잠깐 사용하였다. .45구경은 그 무식한 탄자 중량으로 적에 충분한 충격을 주었으므로, 이 구경은 당연히 차기 제식권총 구경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1894년 차기 제식권총탄 선정을 위한 Thompson-LaGarde test를 실시한 미군은 다양한 권총탄과 그를 사용하는 권총을 테스트하게 된다. 이 결과로 인하여 미국의 톰슨 대령[3]은 .45구경의 자동권총이 차기 제식권총으로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냈다. 따라서 그 동안 .38구경이나 7mm 수준의 탄을 사용한 권총들은 제식권총 사업에서 싸그리 불발되었다. 따라서 존 브라우닝과 콜트 사는 이 새로운 기준을 충족하기 위하여 1905년 당시 있었던 세미림드 탄인 .45 콜트탄을 바탕으로 자동권총용 림리스탄인 .45 ACP를 제작하고 이를 사용하는 콜트 M1905를 제작하여 다시 한번 45구경으로 개조한 루거 P08과 함께 심사에 응모했다.
결과는 아래에 나와있다시피 콜트 사의 M1905이 채택됐다. 당시 루거 P08이 목표탄수 6000발을 다 소모하기도 전에 탄알이 배출구에 걸리는 일명 '잼(Jam) 현상'이 빈번했지만 M1905은 일체의 오작동 없이 무려 흙먼지가 날리는 환경에서도 6000발을 전부 소모한 괴물같은 성능을 보여줬다고 한다. 사실 그럴 수 밖에 없는게 루거 P08은 토글 액션 시스템이 외부에 드러나 있어 환경적인 요인이 영향을 크게 받는 반면 M1905는 폐쇄 기구 자체가 내부에 감춰져 있어서 환경적인 요인을 크게 받지 않았다. 행여 외부 오염이 되더라도 슬라이드 자체 무게와 리코일 스프링의 힘으로 커버가 됐기 때문에 P08은 애초에 상대가 되질 않았다.
종류 | 명칭 | 회사 | 채택 여부 |
|
모델 1907 |
|
채택 |
|
뉴 서비스 |
|
불합격 |
|
모델 1905 |
|
불합격 |
|
모델 1907 |
|
불합격 |
|
더블액션 리볼버 |
|
불합격 |
|
모델 1907 |
|
불합격 |
|
1907 |
|
불합격 |
|
마르스 1903 |
|
불합격 |
|
포스버리 |
|
불합격 |
|
|
Forgotten Weapons의 M1907(좌) / M1909 & M1910(우) 리뷰 영상 |
심사를 마친 미군은 여전히 탄걸림이 많은 루거보다 이 신형 권총에 매우 만족했다. 우수한 화력과 안정된 성능은 군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매우 적합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아무런 안전장치도 없다는 점이 탐탁치 않았다. 이에 존 브라우닝은 그립 세이프티를 장착한 M1907을 선보였고 새비지사의 M1907과 최종경합을 벌이며 구조를 점점 발전시켰다. 마침내 1910년 존 브라우닝은 1900년식 디자인을 완전히 일신하여, 두 개에서 하나의 고리만으로도 작동되는 쇼트리코일 구조로 개선하는 데 성공했고, 말이 많았던 그립 각도와 슬라이드 스톱 겸용의 슬라이드 분리핀, 힐타입이 아닌 버튼식의 탄창멈치를 장착한 M1910 모델을 제작하여 그해 말 테스트에서 이틀간 6,000발을 사격하는 동안 한 번도 고장나지 않은 신뢰성을 보여주면서 새비지를 완전히 떨어뜨리고[4] 바로 다음해인 1911년 3월 29일 M1911으로 채택된다.
3.2. 제1차 세계 대전
|
|
앨빈 C. 요크 |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M1911 |
제1차 세계 대전에 늦게나마 참여한 미군은 이 훌륭한 권총덕을 톡톡히 봤다. M1911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작동성을 보장했고, 안전한데다 단 한발로도 적을 확실히 제압하는 위력을 자랑했다. 특히 유명한 일화로 앨빈 C. 요크의 일화가 있다. 상등병 계급의 저격수였던 당시 요크는 자신을 포함한 17명의 병사들과 함께 적진 후방에 침투하여 샤텔셰에리 북쪽 223고지에 위치한 독일군의 기관총 진지를 제압하라는 명령을 수행하는 중이었는데, 순조롭게 적 진지를 제압한 순간 다른 언덕에 위치한 진지에서의 갑작스런 기관총 사격에 분대장을 비롯해 6명의 병사들이 사살되었고, 상관인 부사관 한명을 포함한 3명이 부상당했다. 남은 생존자는 요크를 비롯해 7명의 이등병들 뿐이었고 지휘를 맡게 된 요크는 남은 7명에게 독일군 포로들의 감시를 맡긴 후 홀로 기관총 진지를 제압하기 위해 자리를 잡았다. 요크는 자신의 M1917 엔필드로 기관총 진지의 독일군과 교전을 벌이며 독일군 32명을 사살했다. 요크의 엔필드 총알이 다 떨어질 무렵 6명의 독일군이 총검 돌격을 해왔고 요크는 그 자리에서 M1911를 꺼내들어서 독일군들이 다가오기 전에 전원 사살했다.[5][6] 그 와중에 요크를 제압하기 위해 몰래 요크의 뒤로 온 독일군 장교는 권총을 꺼내들어 요크를 쐈지만 모두 빗나갔다. 자신의 권총의 총알마저 다 떨어지자 결국 자신의 부대가 입은 피해를 고려해서 독일군 장교는 영어로 항복을 제안했고 요크는 이를 받아들였다. 그리하여 앨빈은 단신으로 132명의 독일군을 사로잡았고, 요크의 공으로 미 제328보병연대는 목표였던 프랑스 샤텔셰에리의 북쪽에 위치한 철도를 점령할 수 있었다. 223고지에서의 전설적인 활약으로 요크는 명예 훈장을 비롯해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군 장병 중 총사령관인 존 조지프 퍼싱을 제외하면 가장 많은 훈장을 받게 되었다.[7]
(1차대전 것을 포함해 2차대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때의 일화를 소개해주는 영상)
이 외에도 무수한 일화들을 남기며 1차대전 내내 활약하게 된다. 이를 지켜본 영국은 이 권총에 어느정도 관심을 보였다. 당시 자동권총이 없던 영국군은 웨블리-포스베리 같은 물건이나 사용하게 되었는데, 대전 말 1911에 관심을 보여 .455 웨블리탄을 사용하는 1911을 1917년 제작하여 테스트를 해 보기도 했다. 비록 돈이 없어서 불발되었지만, 어느 정도 눈독을 들이긴 했고 미군 버전 .45 ACP 1911과 존 브라우닝의 민수용 해머리스 모델은 대전 중 연합국에서 제법 많이 사용되었다.
3.3. 제2차 세계 대전
|
|
hickok45의 M1911 VS M1911A1 비교 영상 | 교본 영상 |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그 사이 미군은 1924년 1911을 그립 재질을 목재에서 베이클라이트제로 교체, 그립 세이프티 겸 비버 테일의 길이연장, 방아쇠 안쪽을 좀더 잡기 쉽게 오목하게 파내고 길이도 줄여서 당기기 편하게 했으며, 그립감의 향상을 위해 해머 하우징을 직선에서 물방울 모양으로 변경한 A1을 만든다. 그리고 2차대전이 터지자, 미군은 이 총을 많이 만들기 시작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M1911의 수량을 맞추려다가 생산도 제대로 안되고 그나마도 부품끼리 호환성이 없어서 유지보수에도 애를 먹었다. 이때문에 1941년 미 육군부가 유럽과 아시아에서 전운이 감도는 것을 보고 군용 수요가 폭증할 경우를 대비하여 무기 생산 과정의 단일화를 추진하면서 기존 생산업체인 콜트 외에 다른 회사들에도 대규모로 발주한다. 대상으로 선정된 회사 중 하나인 싱어(Singer)는 원래 재봉틀 회사였으나 1925년에 미리 육군성과 1911을 생산하는 계획을 상의한 바 있었으며, 주 생산품이 총이 아니었기 때문에 나중에도 한결 여유로울 것으로 판단한 육군성이 싱어를 선정한 것이다. 그 외에 7개 회사가 더 있었으나, 계약조건을 달성한 곳은 싱어 뿐이었다. 이때 생산된 싱어제 M1911A1은 총 500정으로 미국의 총기 마니아들한테는 그야말로 레어 중의 초특급 레어템이 되어서 부르는 게 값인 물건이다. 그리고 일본군의 진주만 공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미 육군성의 이 실험은 성공을 거두어, 주생산자인 콜트의 62만정, 레밍턴 USC에서 92만정, 이사카[8]에서 55,000정 등, 무지막지한 양이 생산되어 미 육군에 납품된 양만 250만정이라는 기록을 세운다. 물론 이 계약은 1945년 9월에 끝났지만, 250만정이나 되는 무지막지한 양이 만들어졌던 탓에 우방국에 뿌려주고도 1985년까지 권총이 필요한 보직에 돌리고도 남을만큼 권총 걱정을 하지 않았다. 여기에 규격화에 성공한 덕도 톡톡히 봤는데, 바로 서로 다른 회사가 제조한 M1911A1 부품을 섞어서 수리해도 잘 작동되었던 것이다.[9]
제2차 세계대전 초반까지는 원래 장교들만 지급받았지만, 전쟁이 길어지면서 공수부대 대원이나 전장에서 주로 기관총, 박격포를 다루는 화기 중,소대의 병사들, 기초 전투제대인 보병 중대/소대의 부사관들부터 어깨에 부상을 입어서 소총같은 무기를 쓰기 힘든 병사들에게도 많이 지급되었다. 권총 주제에 1kg이 조금 넘는 '덩치'를 자랑하지만 45구경탄의 위력으로 일선에서는 ' 손 대포(Hand Cannon)'라고 불리면서 사랑을 받았다고 한다.
종이장갑으로 유명한 일본군의 전투기 제로센과 대결한 사례가 있다. Owen Baggett은 1943년 3월 31일에 B-24의 승무원으로서 임무를 수행하던 중 일본군 제로센의 공격으로 기체에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제로센들은 비상탈출하는 승무원들을 공격해서 두 명을 죽였고, 오웬 바게트는 M1911 권총을 뽑아들어 제로센에게 발포했다. 제로센은 멈추더니 아래로 떨어졌고, 바게트는 무사히 지상에 내렸지만 일본군의 포로가 되고 말았다. 일본인들은 그에게 할복을 권했지만 바게트는 거부했고, 전후에 무사히 돌아왔다. 관련기사 이 사건에 대해 일본 측에서는 그날 그 지역에 출격한 전투기는 제로센이 아니라 64전대의 Ki-43 하야부사였으며, 64전대의 기록에 따르면 인명손실은 없었다고 한다.
|
Forgotten Weapons의 Kongsberg M1914 리뷰 영상 |
재미있는 것은 2차 세계대전 동안 미군의 적군인 독일군도 이 총을 꽤 썼다는 점이다. 노르웨이를 침공하여 점령한 후, M1911의 노르웨이 라이선스 버전인 콩스베르크(Kongsberg) M1914를 입수하거나, 독일군 각인을 찍고 생산하여 Pistole 657(n)이란 제식명을 붙이고 점령군과 무장친위대가 주로 사용했다.[10]
3.4. 대전 이후
2차 대전 이후에는 높은 신뢰성과 위력으로 많은 군인에게 사랑받았다. M1911은 많은 법집행기관과 군에서 사랑받았고, 특히 미국 내 모든 기관에서 사용되는 기염을 토하며, 현대화를 위해 A2 개량이 논의되기도 하였다. 민간용이나 법 집행기관용으로 이리저리 개량되어 FBI, SWAT 전용 모델이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전후 일본에서도 자위대에서는 11.4mm 권총(11.4mm拳銃 じゅういちてんよんミリけんじゅう)이라는 이름으로 제식 채용하여(콜트 사 순정이 아닌 레밍턴, 싱어 사의 대량생산품) 1982년에 미네베아 9mm 권총으로 교체될 때까지 써먹었고, 일본 경찰은 1954년 경찰법 개정 전까지 국가 지방 경찰이나 지자체 소속 경찰 두 경찰 조직이 있던 시절에 지자체 경찰에 주로 지급했다. 덕분에 통합 이후 각 지방 현경 쪽이 주로 썼는데, 무게도 반동도 그렇고 노후화 문제로 터진 사고 때문에 기피 대상이었다고. 그래도 1990년대까지는 기동대처럼 늘 들고 다니는 게 아닌 필요할 때만 들고 다니는 부서에서 여전히 잘만 썼다. 이 외의 사용 부서는 황궁 경찰과 시큐리티 폴리스이다.[11]한국군도 6.25 전쟁을 기점으로 사용했다. 미군의 엄청난 원조물자와 함께 한국군을 무장시켰고 부산 철공소에서 직접 제조를 시도한 적도 있었다. 한국군에 공여된 물자들은 전후에도 남아 군인 및 경찰용으로 무기고에 배치되어 있었다. 지금은 한계 수명에 다해 명중률은 형편없고, 작동성도 의심스러운 물건들이긴 하지만, K5 권총이 널리 보급된 2000년대 초반에도 US GOVERNMENT PROPERTY가 위엄있게 각인된 총기가 육군 현역 장교 무장으로 무기고에 들어있었다. 일선에선 "45구경 권총"으로 불리며 보통 포병장교, 전차 승무원들이 사용한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은 어떻게 할 수 없어, 복열 탄창을 가진 권총이 대세가 되면서 탄창용량이 7발에 불과한 콜트 M1911 계열의 권총들은 설 자리를 잃어갔고, 9 mm 구경이 NATO의 표준 탄약으로 선정되면서 결국 1979년 미군의 차기 권총 도입사업 JSSAP에서 떨어지며 유수한 역사를 뒤로하고 이탈리아의 베레타 사의 베레타 92에게 자리를 내어주게 된다. 물론 이에 반발한 미 해병대 중 원정부대(Marine Expeditionary Unit)덕분에 해병특수사령부(MARSOC) 예하 특수작전부대(Marine Raiders 또는 MSOR) 및 해병정찰대(Force Recon)를 위한 MEU 피스톨로서 수명을 연장하였다 하지만, 미 해병대 사령부도 새로운 시대의 파도를 상대로 계속 고집만을 피울 수는 없었는지, 2016년 들어서 M45A1을 포기하고 Glock 19 Gen 3로 갈아타고 기존의 M45A1을 버리기로 천명했다. 이 이후 2020년대에도 간혹 M45 시리즈를 쓰는 미 해병대원들도 있지만, 그런 인원들 상당수가 미합중국 해병수색대나 미 해병 헌병대테러팀 등의 소속이어서, 기존에도 이미 M45 시리즈를 쓰던 곳이라서 손에 익은 M45 계열을 우선시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
M1911 파생형을 허리춤에 찬 델타포스 출신 오스틴 S. 밀러 대장의 모습 |
그러던 2010년 미 해병대의 차기 권총사업에서 M45A1 CQBP으로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무려 30년만에 군용총기로 모습을 드러낸 물건이다. 물론 이전에도 해병대는 MEU를 사용하기 했지만 일부 기관에서만 사용했고 제식권총은 M9이었는데 이번에는 완전히 뒤집힌 것이다. 일선 부대에서의 반발도 있었지만, 2013년에 납품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잘 사용하고 있는 것이 목격되었다.
영화 아메리칸 스나이퍼로 유명한 크리스 카일도 부무장으로 개인적으로 구입한 스프링필드 TRP 커스텀 모델을 애용하다 현지에서 파손됐다고 한다. 스프링필드사는 이를 기념해 한정 모델을 제작하기도 했다.
3.5. 21세기에서의 한계
100년이 지나도록 사랑받는 스테디셀러이지만, 21세기에는 어쩔 수 없이 구식총으로서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1.1kg에 달하는 무게에 7+1발의 적은 장탄수, 해머가 뾰족해서 걸리기 쉬운 구조, 가늠자-가늠쇠가 지나치게 작아 조준이 어려운 점이 단점으로 꼽힌다. 그래서 1911 시리즈의 개량형 모델들을 보면 해머와 조준기구를 중점적으로 개량한 경우가 많다.권총 설계에서 가장 우선시하는 요소는 휴대성이다. 권총은 주무장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호신용 무장이거나 보조 무장이기 때문이다. 호신용 무장은 언제 어디서든 가지고 있을 수 있어야 하고, 보조 무장은 주무기를 소실했을 때 마지막으로 의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권총은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은 쪽이 압도적으로 선호된다. 또한, 급하게 근접한 적에게 난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빨리 뽑아 쏠 수 있도록 안전장치도 최소화해야 한다. 장탄수도 넉넉해야 한다. 이는 어차피 권총의 크기로는 화력이나 명중률을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차라리 난사로 화력이나 명중률을 보충할 수 있도록 장탄수라도 많은 것이 낫다. 현대의 군경용 권총들은 대부분 이러한 휴대성, 편의성, 장탄수의 조건들을 기준으로 채택된다.
하지만 M1911은 상기의 기준들을 거의 전부 충족시키지 못한다. 우선, M1911는 크고 무거운 금속제 몸체를 지녀 휴대성이 낮다. M1911이 처음 만들어졌을 당시에는 이는 큰 문제가 아니었다. 당대의 기술적 한계 때문에 어쩔 수 없었고, 동세대의 다른 권총들도 상황이 비슷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플라스틱과 폴리머를 비롯한 신소재 덕분에 현대의 권총들은 크게 경량화되었다. 이에 비해 M1911의 휴대성은 비할 바가 아니다.[12] 게다가 무게만 무거운 것이 아니라 형상도 매우 인체공학적이지 않고, 커다란 크기의 해머가 옷이나 홀스터에 걸리기 쉬워서 사용자 편의성도 나쁘다.
장탄수 또한 부족하다. 장탄수는 7+1발로 리볼버 수준인데, 문제는 초소형 권총도 아니고 덩치가 큰 대형 권총임에도 장탄수가 저 모양인것. 거기다 설상가상으로 사용하는 탄환이 문제가 많은 .45 ACP이다. 세간에는 .45 ACP가 저지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있으나 전혀 그렇지 않다. 항목 참고.
또한 신뢰성 역시 최신 권총이 훨씬 뛰어나다. 이 역시 오래 살아남았다는 점 때문에 마치 AK처럼 많이 과장된 경우인데 실제 미국쪽 민간 슈터들의 의견으로는 1911이 쓸만한 신뢰성을 가졌기는 하나 오래된 설계이니만큼 글록 같은 최신 권총에 비해서는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것이 중평이다. 애초에 오랜 시간이 지난 만큼 요구된 스펙부터 달라졌다. 간단한 예로 1911은 1910년 미군 채택 당시 6000발 사격 테스트를 무사 통과했지만 2010년대의 미군 차기 권총인 MHS에서는 12500발 테스트를 했고 여기 응모했던 베레타 M9A3은 메이커에서 자체적으로 19000발 테스트를 했다. #
이런 이유로 인해 20세기 중반을 넘어서며 세계적으로 군수 및 민수 시장에서 다른 권총들에게 밀려난 지 오래다. 그나마 최대주주 중 하나던 미 육군에서조차 베레타 92에 이어 21세기 초에는 M17과 M18을 채택하였고, 특수전에서도 동시기에 글록으로 거의 통일하였다. 현대의 M1911은 M45A1을 사용하는 미 해병대 포스 리컨 및 극소수의 부대, 일부 애호가나 장거리 권총 슈터들 정도만 사용하며 그나마도 서서히 밀려나고 있다.
3.6. 미국 민수시장
그러나 미국 민수시장에서의 인기는 여전하다. 일단 미국 민수시장에서는 M1911을 미국의 상징처럼 취급하며 좋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러시아가 AK-47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것과 마찬가지이다.[13]. 반면 유럽 등의 해외시장에선 민수용으로도 인기가 별로 없다. 생각을 해보면 그 나라 사람들이 크고 무겁고 오래된 미국 권총을 굳이 애호해야할 이유가 없으니 그럴만도 하지만...실용성 면에서도 어느 정도 참작이 된다. SKS의 화려한 부활처럼 민수시장에서는 '실용성'에 대한 기준이 군과 다르기 때문이다. 민간 슈터들은 굳이 15발씩 신속 사격을 할 상황이 적고, 빡세게 안전장치가 어떻느니 싱글액션이니 더블액션이니 따질 상황도 적고, 사격 대회 등지에선 투박한 점들보다 섬세한 점들이 더 부각되며, 손잡이가 얇아 잡기도 편한 등 1911 소지자들이 굳이 다른 총으로 바꿀 필요성을 느끼기에는 힘들다.[14]
때문에 유명 총기 제조사들 중에서 1911 자체모델을 생산하지 않는 경우는 없다. 세계 민간총기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권총인데다 브라우닝의 설계에 대한 특허권이 1986년에 종료되면서 어느 총기업체 할것 없이 너도나도 1911클론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본사인 콜트에서 나온 민수용 파생형들은 말할 것도 없고 콜트의 최대 경쟁사 스미스 & 웨슨은 물론, 신규 총기업체나 중소업체에서 최소 한번은 클론을 만들면서 시장에 나와있는 제품수도 폭증했고, 심지어 SIG사나 FN사도 복제 시장에 숟가락을 걸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없어서 못 팔만큼 인기가 많은 업계의 효자 상품이다. 거기에 커스텀 파츠만 만들어 파는 딜러들의 부품까지 포함하면 바리에이션의 수는 상상도 못할 정도이다.[15] 해외의 라이선스 모델도 많은데 당연히 중국의 노린코사에서도 생산 중(물론 불법 복제)이다.[16] 중국은 이미 1920년대 후반 염석산 군벌이 콜트를 복제 생산한 이력이 있다. 말도 한방에 죽이는 위력으로 마적들에게서 매우 인기가 높았고 이때 생산된 염석산 군벌제 콜트는 현재 레어 아이템 취급을 받는다. 심지어 노린코의 다른 싸구려 복제품들보다 유일하게 노린코 내에서 품질도 우수하다고 한다. 이렇게 많은 회사가 만들어 부품의 수급도 원활한지라 나름 1911을 선택하는 소비자들도 꽤 있다.
위 항목들에서 1911 첫 도입 당시 경쟁한 다른 총기들을 보자. M1911과 동시대에 탄생한 총기들은 선진국에선 한참 전에 도태되었다. 하지만 M1911은 대세라고는 보기 어렵지만 아직까진 현역이다. 해머리스, 자동 안전장치, 대용량 탄창, 폴리머 프레임 등등 온갖 훌륭한 권총 설계들이 넘쳐나는 시대에도 1911 시리즈는 가늠쇠-가늠자의 대형화와 탄종 개량[17]글로우포인트 적용, 링 해머로 교환, 슬라이드 경량화, 피카티니 레일 적용, 복열탄창 적용등 계속해서 개량점을 적용하여 신제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4. 특징
4.1. 호환성
당시 총기회사들을 생각해보면 1911은 약간 다른 노선을 탔다. 서로가 자신의 총이 가장 우수하다고 자랑하고 있을 무렵, 제2차 세계 대전이 터지고, 1911이 빠르게 보급되면서 그만큼 불량, 고장품들도 대거 생겨나기 시작했는데, 미군은 이걸 어찌 해결할까 싶다 아예 모든 총기회사가 같은 설계도를 보고 같은 부품을 뽑아내도록 지시했다.덕분에 어느 회사에서도 완전히 똑같은 물건이 나오자 콜트의 1911에 이사카의 부품을 섞어도, 스미스 앤 웨슨의 부품을 섞어도 총 자체는 멀쩡하게 발사되었다. 덕분에 M1911A1의 경우 이 부품 저 부품 다 섞인 짬뽕총이 많으며, 상태가 괜찮은데 값이 저렴한 M1911A1들은 다 이렇게 수리된 총들이라고 한다. 짬뽕이지만 정작 총 자체는 문제없이 잘 발사되니 얼마나 믿음직한가.
4.2. 탄약
원조 M1911 시리즈의 기본 총알 구경은 .45 ACP탄으로 장탄수는 7발이 기본이고 약실까지 합치면 총 8발이다. 장탄수 부족은 M1911에 늘 있어온 불만인데, 그래서 파라-오드넌스의 12발짜리 더블컬럼 탄창이 들어가는 그립이 두꺼운 M1911 커스텀 모델 같은 것도 생겨났으나 파라 오드넌스 제품은 그립이 너무 뚱뚱해서 M1911의 예술적인 그립감을 저하시킨다 하여 싫어하는 사람이 많다. 따라서 요즘은 그냥 탄창을 약간 연장해서 장탄수를 늘리는 편이다.[18]요즘은 .45 ACP가 시대에 뒤떨어진 탄종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탓에 여러 커스텀 모델을 개발하면서 9mm부터 .357 매그넘( 쿠난), .40 S&W, 10mm AUTO등 다양한 구경의 모델이 많이 나오는 편이다. M1911이 기본적으로 상당히 튼튼하고 큰 설계다보니 다른 탄을 사용하는 설계로 바꾸기에 용이한 편이다.
스텀 루거 사에서 민수용 탄창 장탄수 10발 제한을 주장했을때 대용량 탄창을 지닌 9mm 권총들은 크게 피해를 입었다. 15발, 17발 짜리 탄창을 하루아침에 10발로 줄여야 했다. 민수 시장에서는 어차피 장탄수가 줄을 것이라면 조금이라도 더 강한 탄을 쓰자 라는 이유로 .40 S&W가 크게 각광받기 시작했고 .45 ACP 역시 인기가 확 올라갔다. 특히 콜트 사는 옳다구나 하고 보란듯이 기본 탄창을 약간 길게 연장한 8발짜리로 바꾸어서 이 빅 웨이브를 탈 정도였다. 요새도 기본 탄창이 8발짜리를 주는 경우가 많다. 8발짜리는 그립 밑으로 약간 돌출되기는 하지만 7발짜리에 비해 크게 거슬리는 정도는 아니다. 애프터마켓 제품 중에는 10발들이도 있고, 심지어는 마피아들이 기관권총화시킨 커스텀 사제 모델에서는 탄창 2개를 용접해붙여서 길게 연장한 것도 있었다.
이런 연장형 탄창들의 문제점은 탄창을 삽입할때 밑바닥을 강하게 쳐올리면 탄창 입구가 찌그러질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기본형 탄창 같으면 탄창 밑바닥이 돌출된 부위가 그립 아랫쪽과 맞닿으면서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올라가는 것을 막아주는데 10발짜리 연장탄창 같은 것처럼 탄창 밑바닥을 길게 늘어트려 과도 삽입을 방지하는 부위가 없는 탄창은 필요 이상으로 탄창 입구가 충격을 받고 작동 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블칼럼 탄창은 탄창입구 부근의 각진 부위가 프레임과 닿아서 저지해주기 때문에 어느정도 세게 쳐도 이런 문제가 없는데 이는 싱글칼럼 탄창이 공유하는 단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4.3. 내부 구조
-
격발 방식
싱글 액션 방식으로, 초탄 발사를 위해서는 슬라이드를 당겨 장전을 하거나 해머를 젖혀서 발사준비를 해야한다.
하지만 이 권총이 역사를 바꾼 이유는 이 권총은 일명 "브라우닝식 쇼트 리코일 방식"을 처음으로 사용한 권총이라는 점이다. [19]
0:16초부터 1911의 모습이 나오는데, 손으로 슬라이드를 당기자 총열이 같이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덕분에 총알을 발사할때 총열과 슬라이드가 같이 움직이며 약실 폐쇄를 유지할 수 있어 큰 사거리 향상이 가능했다.[20] 또한 루거 P08은 맥심 기관총의 커다란 토글액션을 권총에 밀어넣느라 부품수도 많고, 캠처럼 노출된 중요한 부품이 많아 작동불량이 많이 나는 구조였으나, 브라우닝식 쇼트 리코일 방식은 토글액션같이 복잡한 시스템 없이도 총열이 위로 살짝 위로 올라가는 것으로 결과적으로는 P08의 토글액션과 같은 효과를 내면서도, 부품수를 효과적으로 줄이면서 큰 신뢰성을 지닐 수 있었다.
이 작동방식은 현재 거의 모든 자동권총의 기반이되는 작동방식이 되었으며, 브라우닝 하이파워, SIG P226, 글록 17은 아예 이 작동방식을 거의 그대로 응용하였고, 베레타 M9,우리나라의 K5 권총또한 총열이 올라가지 않을 뿐[21] 기초는 이 작동방식을 따라가고 있다.
-
안전장치
안전장치는 싱글 액션식 총기의 대다수가 그러하듯 해머가 젖혀진 채로 안전 장치를 거는 콕앤록이다. 추가로 손잡이 후방에 그립 세이프티가 있어 이 부위를 눌러야 방아쇠가 당겨진다. 손이 큰 사수의 경우 섬 세이프티 조작 시 잘 눌리지 않는 경우가 있어 아예 테이프로 묶어 그립 세이프티가 기능하지 않게끔 처리하는 경우가 있다.
-
재질
금속제 프레임을 채택해 권총치고는 무거운 편에 속해서 "적과 근접해 있을 때는 쏠 때와 던질 때 비슷한 살상력을 가지고 있다." 라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4.4. 시리즈 70과 시리즈 80의 차이
배럴부싱과 해머의 차이 등 크고 작은 변화가 있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파이어링 핀 블로커(FPB)가 추가된 것이다. FPB는 현대 자동권총에는 거의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방아쇠를 당기지 않으면 설령 충격으로 인해 해머가 전진하여 공이를 때리는 일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잡아주어 격발이 되지 않게끔 하는 안전장치이다.상기했다시피 요즘 나오는 권총들에는 매우 일반적인 안전장치지만 이것이 1911특유의 깔끔한 트리거 조작감에 미묘한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싫어하는 사람들도 매우 많았다. 때문에 시리즈 70 방식의 1911도 여전히 생산되고 있으며 수많은 1911 제조사들도 시리즈 70 방식을 제조하는 회사와 시리즈 80 방식을 제조하는 회사로 나뉘어 있다. 여러 총기메이커의 1911 제품 안내를 보면 70 방식인지 80 방식인지를 명확히 구분해서 안내하고 있다.
5. 콜트 社 제품
5.1. 기본형
-
콜트 가번먼트 마크 4 시리즈 70 (Colt Government Mk. IV Series 70)
니켈 도금버전
1970년부터 1983년까지 생산된 명품 권총. 시리즈 70 모델은 오리지널 콜트 생산 M1911계열 중 최상의 표면마감[22]을 가졌다. 이전의 군용 모델의 일반 1911A1과 비교 불허한 고정밀 총열과 시리즈 70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콜렛 부싱(Collet Bushing)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명중률이 높은 편이다.
-
콜트 가번먼트 마크 4 시리즈 80 (Colt Government Mk. IV Series 80)
#
시리즈 70의 단점들을 없애고, 여러 개량을 해 1983년에 출시한 시리즈 70의 업그레이드 버전. 1983년부터 지금까지 생산해 오고 있다.
-
콜트 골드 컵 내셔널 매치(Gold Cup National Match) 시리즈
사격용으로 만들어진 커스텀 모델. 1935년 코머셜 모델 때부터 '네셔널 매치'란 명칭을 달고 나오는 고정밀 1911A1이 존재하였으며, 미 육군 및 공군에서 사격대회용으로 군용 1911A1에 정밀 슬라이드와 매치그레이드 바렐, 상하좌우 조절 가늠자가 추가되며, 그립 전면에 체커링을 추가로 작업한 '밀리터리 네셔널 매치'라는 한정 모델도 존재한다. 난반사 방지 서레이션이 들어간, 슬라이드 상부를 평평하게 절삭한 골드컵 네셔널 매치 모델은 Pre-70(1950'-60') 코머셜 모델부터 등장이 시작되었으며, 이 때부터 조절식 가늠자와 트리거 풀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아쇠가 특징으로 자리잡기 시작한다.
1980-90년대까지 비앙키 컵이나 IPSC 경기에 사용되는 레이스건의 상당수가 시리즈 70을 베이스로 할 정도의 완성도를 가지고 있다. 시리즈 70 골드컵 네셔널 매치는 당연히 기본형보다 더 최고급 사양으로 제작된 것으로 현재도 콜트 팬들 상당수가 Series'70을 콜트 중 최고의 제품으로 꼽는데 이견이 없다. 혹여나 시리즈 70 실총을 한번 분해 한 경험이 있다면, 다른 콜트와는 분해 자체에서 오는 느낌이 크게 다르다고 느낄 정도로 모든 부속이 기본형조차 타이트하며, 특히 콜렛 부싱으로 인해 분해 방법이 일반 콜트와는 조금 다른 방법으로 하는 편이 수월하다. 정확히는 토카레프 TT-33을 분해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분해 위치까지 슬라이드를 당겨, 슬라이드 멈치를 뽑고, 리코일스프링이 튀어나가지 않도록 앞에서 조심스럽게 왼손으로 감싸는 방식으로 분해하는 것이 좋으며, 부싱부터 빼려고 시도하면어지간한 힘으로는 부싱이 분해 위치까지 돌아가지도 않을 뿐더러 뽑는건 손가락의 힘만으로는 거의 불가능할 수준으로 타이트하다. 골드 컵 내셔널 매치는 시리즈 80 모델까지 존재하였으며, 시리즈 80 모델 골드컵 네셔널 매치는 방아쇠압을 위해 AFPB는 생략되어 있다.
-
콜트 컴페티션 피스톨
콜트 사의 사격용 커스텀 모델.
-
콜트 레일 건
CQBP의 베이스가 된 모델로 원래 XSE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지만 레일 모델만 남고 이름도 콜트 레일 건으로 바뀌었다.
-
M45A1 CQBP(Close Quarter Battle Pistol)
2013년부터 MEU 피스톨을 대체할 모델로서[23] 선정되었다. 콜트 사로서는 30년만에 군용 권총 복귀이며, 1911계열로는 100년을 넘어 제식으로 복귀라는 의미가 있는 총이다. 겉은 오히려 A1이 아니라 레일이 파인 오리지널 1911에 가깝고, 안쪽은 그냥 질 좋은 부품을 쓴 1911 그 자체.
-
콜트 컴뱃 유닛 레일 건
콜트 사의 최신 1911 모델. M45A1의 검정색 버전에 가까운 외형이다.
5.2. 단축형
-
콜트 컴뱃 커맨더
기본형 총신 5.03인치를 4.25인치로 줄인 모델.
-
콜트 라이트웨이트 커맨더
현재 발매되고 있는 커맨더 모델. 하부 프레임이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 재질이다.
-
콜트 오피서's ACP(Officer's ACP)
총신을 3.5인치로 더더욱 줄인 모델.
- 콜트 뉴 에이전트
-
콜트 M1991A1
1991~2001년까지 제작, 판매된 권총으로 Mk.IV 시리즈 80을 기반으로 1911A1처럼 파카라이징 처리를 해 군용같은 분위기를 살렸다.
-
콜트 디펜더
3인치 총열 모델. 디펜더, 즉 "지키는 자" 라는 이름답게 호신용이며, 총열이 짧고 컴팩트해 은닉용으로도 좋다.
-
콜트 M1911 .455 웨블리 "영국형 모델British service models"
-
M1911A2
실총 사진이 전무한 관계로 웨스턴 암즈 사의 M1911A2 SOCOM 가스건 사진을 첨부함 |
또한 필리핀의 암스코(Armscor)[26]사의 록 아일랜드 아모리(Rock Island Armory) M1911 계열 중에 동명의 M1911A2가 있으나 상술된 내용과는 연관성이 없다.
5.3. 구경 변경
- 콜트 델타 엘리트
|
|
초기형 | 후기형 |
5.4. 한정판
-
100주년 기념 M1911
2011년에 탄생 100주년을 맞아서 콜트사가 내놓은 한정판. 검은 도장에 상아 그립을 장착하였고, 금으로 새뮤얼 콜트의 영정을 새겨놨다. M1911A1이 아니라 오리지널 M1911인 것이 특징.
6. 다른 제조사
-
VIS Wz.35
폴란드군이 사용한 9mm 버전 M1911...이라곤 하지만 M1911의 작동방식을 가지고 있을 뿐 자세히 보면 내부 구조가 많이 달라서 완전한 카피라고 하기에는 어폐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
Star Model B
스페인의 Star Bonifacio Echeverria, S.A.에서 제작한 1911 기반 카피 권총으로 구경이 9mm로 바뀌고 몇몇 구조가 단순화 되거나 달라진것을 제외하면 M1911과 구조가 동일하다. 연장 총열과 16발 들이 확장 탄창및 홀스터겸 개머리판이 탈 부착이 가능한 Model A와 좀 더 구조가 변경된 Model 1920이 존재한다.
-
P14-45
캐나다의 파라-오드넌스 사에서 개발된 더블 스택 탄창을 사용하는 M1911. 덕분에 장탄수가 늘어났지만 그만큼 그립도 두꺼워졌다. .40 S&W, .38 Super, 9×19mm 파라벨럼 등의 다른 탄종을 쓰는 판도 있다.
-
LAR 그리즐리
문서 참조.
-
뉴 남부 M57 (新中央工業 ニューナンブM57)
일본의 신중앙공업(흡수 합병하여 현 미네비아)에서 개발하여 사용탄을 바꾸고 그립 세이프티 기능을 제거한 것인데, M1911A1를 사용하고 있었던 자위대의 요청에 따라 개량, 채용을 노리고 있었으나 권총의 본 사용국이었던 미군이 아직도 사용 중에 있었던 데다 보급 및 정치적으로 여러 문제들로 인해 중단되었다. 이후 새로운 제식 권총 채용 계획이 등장하자 1970년대 후반에 대대적으로 M57A1로 개량하지만, 자위대가 SIG P220을 채용하면서 이 권총은 무산되고 미네비아는 P220을 '9mm 권총(9mm拳銃)'이라는 이름으로 면허 생산하게 되었다.
-
MEU 피스톨
미 해병대의 MCB 퀀티코에서 커스텀된 모델로, MARSOC의 해병원정대(MEU)와 수색대가 사용하는 M1911A1의 커스텀 모델. 방아쇠와 공이치기, HD 슬라이드로 M1911A1과 구별할 수 있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
SW1911
스미스 & 웨슨 에서 생산하는 1911 라인업.
-
임벨 1911
브라질의 임벨 사가 면허생산한 M1911.
-
Kimber TLE II
Kimber America 사의 커스텀 중하나로 LAPD의 SWAT부서에서 LAPD SWAT Custom이란 이름으로 채용해 유명한 총. 영화 S.W.A.T.시리즈로 유명해졌다. 이 권총을 기반으로 제작된 권총 중에는 MARSOC에서 채택한, MEU 피스톨과 비슷한 외관의 ICQB 피스톨 등이 있다. 위의 사진은 실총이 아닌 MGC의 에어소프트건이다.
-
데토닉스 마크 1
기본적인 45구경 M1911 중에서 가장 소형인 모델.
-
스프링필드 오퍼레이터
스프링필드 아모리에서 제조하는 M1911으로서, 로디드, 레인지 오피서, TRP등 다양한 제품군이 있고 이 중에서 프레임 하부에 레일을 추가한 것이 오퍼레이터로 호칭된다. 스프링필드 1911 시리즈 참조. 영화 아메리칸 스나이퍼에서 등장하며, 실제로도 크리스 카일은 이 권총을 P226 대신 사용했고 팔루자에서 대신 수류탄을 맞고 부서진 뒤 45구경 P220으로 바꿨다
-
SIG/SAUER
SIG/SAUER 사에서 만든 모델. .45 ACP를 사용하는 모델 외에도 10mm AUTO 버전이 존재하며, 양쪽 모델 전부 8발들이 탄창을 사용한다. 이외에도 .357 SIG를 사용하는 버전도 존재한다.
-
AF2011-A1
더블 배럴 버전 1911. 단순한 쌍열권총이 아니라 방아쇠와 탄창, 공이치기등의 거의 모든 부품이 2개씩 혹은 2배의 폭으로 만들어져 있다. 권총 두 정을 용접해 붙여놓은 셈이나 마찬가지.
-
빅 뱅 피스톨 셋(Big Bang Pistol Set)
운석을 깎아 만든 M1911.
-
부산진 조병창 1911
부산진 조병창에서 카피를 시도했던 극소수만 생산된 M1911 권총. 후술.
-
도널드 트럼프 에디션
-
STI Combat master
타란 택티컬과 STI 인터내셔널에서 만든 M1911의 9mm 버전.
-
(가칭)Lebman M1911 머신 피스톨
Lebman 사가 개조한 25발 탄창을 단 자동연사 개조판.
SMG 비스무리하게 개조됐다.
심지어 29발, 40발짜리 전용 드럼탄창도 있다. |
-
AWS 1911
필리핀의 Elisco Tool Company에서 제작한[27]전자동 M1911이다. 베레타 93R과 비슷하게 경호원들을 위한 기관권총으로서 제작되었으며 .38 Super, 9mm 파라벨럼, .45 ACP를 호환하는 모델이 있다. 반동 억제를 위한 컴펜세이터와 수직손잡이가 특징.
-
GSG 1911
독일의 총기 제조사 German Sports Guns 사에서 내놓은 .22LR 버전 M1911 피스톨. 앞의 사용 구경 설명에서 처럼 사실 이 모델은 STI 컴뱃 마스터 같은 M1911의 구경 변경 버전이기도 하다. 원래 이 German Sports Guns 사(줄여서 GSG 사)가 기존에 나와있는 총기를 .22LR탄으로 컨버전한 모델들을 전문으로 판매하는 회사다 보니, 이런 M1911의 .22LR 버전도 나오게 된 것이다. GSG 사의 총기 라인업을 보면 죄다 GSG ~~~이라는 이름으로 판매 중이고, 그 중에는 GSG AK-47, GSG StG44, GSG MP40 같은 물건도 있다(...).강력한 탄들을 사용하는 자동화기들이 앙증맞게 .22LR로 컨버전되어서 나오다니... MP40도 적어도 9mm 파라벨럼 탄 썼다.[28]
성능은 꽤나 준수한 편이라고 하는데, 사용탄인 .22LR 자체가 원래 꽤나 작은 탄이어서 위력이 약한 대신 반동과 소음이 작은데다가 M1911 역시 소음기 장착 시 굉장히 준수한 소음권총으로의 설계라는 평가를 받은지라[29] 소음기와 결합할 시, 꽤나 준수한 소음억제능력을 갖췄다고 평가받는다.( #)
재미있게도 GSG 사는 GSG922라고, 또 다른 .22LR 사용 1911 피스톨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는데, 해당 모델은 9mm 버전 1911을 .22LR로 컨버전한 건지, GSG 1911에 비해서는 줄어든 총열길이 같은 몇몇 디자인적 차이점 말고는 거의 다를 바 없다.[30]
7. 대한민국과 M1911
|
|
Forgotten Weapons의 부산진 조병창 M1911 리뷰.[31] |
전쟁기념관의 부산진 조병창 M1911 소개 영상. 슬라이드에 '광복식'이란 음각이 적힌 1911도 있었기에 '광복식 권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6.25 전쟁 당시 한국에서도 복제 시도[32]가 있었는데, 부산 철강공업소에서 극소수의 복제생산품을 만든 이후 대량양산에 들어가지 못하고[33] 제조가 중단된 바 있다. 마감이 조잡하고 거칠어, 실제로 양산까지 밀어붙였다 하더라도 원본 1911에는 훨씬 못 미치는 품질이었을 것이다.[34] 사실 당시엔 미군이 2차대전 때 쓰던 총기들을 대량으로 가져와서 한국군에게 대줬고, 전쟁 끝난지 얼마 되지 않아 그 공여받은 총기 상태도 양호했다. 때문에 공업 기술이 미약했던 한국에서 되도 않는 복제품, 도는 수리용 부품을 대량 생산할 이유가 없었다. 총이 남아 도는 판이라 수리 부품이 필요하면 몇 자루 분해해 쓰면 되니까. 그래도 소량 생산된 분량이 있어서 외국인에게 수집된 사례가 있다. 바로 위의 이미지가 그 사례.
2016년 5월, 사격훈련중인 국군재정관리단 간부들 ( 출처)
한국전쟁 발발 시점에서 국군은 미국으로부터 넘겨받은 1911A1 4,603정을 보유하고 있었다. 육군이 4,142정, 해군이 418정, 공군이 43정을 보유했다. 전쟁 기간 중에도 유실분이나 부족분은 미국으로부터 보충받았다. 1953년 정전협정 시점에서 육군은 1911A1을 6,604정 보유했다.[35]
한국전쟁 이후로도 한국군 내에도 상당량의 재고가 있었으며, K5로의 대체보급으로 현재는 대대 편제 중 2정이라도 남아 있으면 많은 수준이다.[36] 물론 한국에서 생산된 물건은 없으며, 총기에 US Government Property라고 떡하니 새겨진 미군 공여품. 그런데 미군에서 호평받은 것과는 달리, 워낙 오래되었기 때문에 노후화도 심각하고 쏴 볼일도 별로 없으며,[37] 애정과 사랑으로 관리된 것도 아니라서 상태가 매우 안 좋다고 한다… 그런 이유로 대우정밀의 K5 권총으로 대부분 교체되었다. K5보다 무겁기 때문에 전방 부대의 경우 신임 ~소위들에게 지급되기도 하고 전방부대 중 병원 등의 전투근무지원부대의 장교들에게 지급되거나[38] 후방의 지휘관들에게 지급되는 경우가 많다. 포병장교의 경우 거의 M1911A1을 쓴다. 그래도 전투병과라 상태가 좋은 것들이 사용되는지 본인들은 "묵직해서 반동제어가 쉬운 건지 왠지 모르게 잘맞는다"고 한다.
개인화기로 대부분 권총을 사용하는 기갑 부대에서 엄청난 숫자의 1911을 사용하는 게 가끔씩 목격된다. 현용으로 사용하는 부대는 중대 당 30정씩 쓰는 경우도 있다. K5로 대체되어도, 기갑 부대에서는 예비군용 치장 화기로 아득바득 권총을 긁어모으기 때문에 1911의 보유고가 상당하다. 콜트, 레밍턴, 국립조병창 등 온갖 곳에서 생산한 1911을 볼 수 있다. 워낙 노후화된 총기들이 많아서 사격 시에 총빨이 상당히 작용하며 잘 맞는 총을 돌려서 쓰는 경우가 자주 목격된다.
가끔 자주포 병과중 조종수 임무를 수행하는 병사들이 1911을 사용하기도 한다. K-9 자주포 조종수석의 경우 K-2 수납공간이 존재하지만 비좁기 때문에 임무상의 편의로 M1911A1을 지급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또한 예비군 지휘관들의 주요 무장이기도 하다. 지휘통제실 근무를 해봤으면 총기보관함에 일년내내 쓸쓸히 버려져있는(?) M1911A1을 본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여간 당직사관은 통제실 근무를 할 때, 영내 순찰을 할 때에 무장을 하고 있어야 하는데, 사병들처럼 무거운 K-2를 쓰는 건 불편해 다들 통제실 간이 무기고에 넣어 둔 M1911A1을 썼다.[39] 즉 지휘통제실용 권총은 공용이고, 예비군 지휘관의 개인 무장은 사병과 같은 K-2 소총이다(가끔 K-1일 경우도 있다).
공군에서는 조종사는 2인치 S&W M10 리볼버(일명 칼38)가 주로 지급되어서인지[40] 콜트 M1911A1(일명 칼45)는 지상부서 장교용으로 주로 쓰여오다 장교-준사관 순으로 서서히 일선에서 물러나 K5에 자리를 내주고 지금은 주로 예비용이나 또는 동원예비군 장교용으로 주로 쓰이고 있다.
해군의 경우는 UDT/SEAL 등에 K5가 먼저 지급되고 있어 경계헌병 등 육상전투 및 지원부대에서는 여전히 M1911A1이 주력이다. 사관후보생들도 권총훈련에는 M1911A1을 사용한다. 단, 현재 참수리급 고속정과 DDH 구축함에서는 여전히 장교들의 주력 소병기이다. 한국전 전부터 미군에게서 공여받은 물건들인 만큼 각인도 콜트제 각인, 레밍턴제 각인 등 다양한 M1911A1을 보유하고 있다.
해병대는 소총과 마찬가지로 전투부대와 전방부대 위주로 신품이 지급되고 있어서 K5 권총도 전방 전투부대부터 지급되고 2010년 기준으로 후방 기갑병도 전부 K5로 대체되었다.
어쨌든 장교나 부사관, 특기병이 권총을 지급받는 경우에는 사격 훈련을 받아야 하므로 매년 교육용 탄환(교탄)이 할당되는데, 대부분의 부대에서는 총이 낡았다는 이유, 권총 사격장이 없다는 이유로 잘 안 쏜다. 사용중으로 분류되는 총이 있다면 그에 맞게 탄약 생산도 계속되고 군에서는 적정 재고를 확보해 두고 있는데, 실제로는 K5가 있으면 그걸 쓰지 낡은 걸 쏘지 않으니 .45 ACP의 재고 탄약도 상당히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기본 분해 조립은 K5보다는 번거롭지만 완전분해조립은 K5보다 훨씬 쉽다. 이는 K5가 복동식(더블액션)과 속사식(패스트 액션) 발사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콜트 M1911A1을 완전분해해서 나오는 스프링 부품은 달랑 두개 뿐이다. 또한 보급되는 탄약도 윈체스터사의 .45 ACP 탄약을 구매하여 보급하는 중이다. 시리즈 70에다 1911에 심지어는 '월드45'라는 국산 복제품이 목격됐다는 카더라통신도 있다.
물론 한국 경찰에서도 한 때 M1911을 사용했으며 1990년대부터 S&W M10에게 밀려나 무기고에 잠들어 있다. 1988년 지강헌 등 집단탈옥 사건때 지강헌이 쓴 M1911 권총도 탈주당시 탈취한 것으로 볼 때 교도관용 무장으로도 사용되었던 듯.
2014년 말부터 특전사에서 K5 권총의 개량형인 LH9와 함께 M1911을 재도입해 사용했었다.[41] 특전사 모든 장병들에게 부무장 지급을 하기 시작했는데, 정식으로 쓰일 LH9의 도입에 시간이 걸리는 만큼 그 기간 동안 장병들이 부무장 사격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콜트 M1911A1을 지급한 것이다. 물론 이 M1911A1들은 낡은 것이 아닌 관리가 잘 되어있던 것이나, 아예 생산 후 한 번도 쓰이지 않고 밀봉 포장된 것도 있어서 사실상 새 것을 쓰는 것과 마찬가지. 개중에는 위에 나와있는 '재생품' M1911A1까지 있었다. 확장성이 부족하다는 점만 제외하고는 21세기의 권총들보다 성능과 신뢰성, 정비성 면에서 그리 뒤쳐지지 않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하지만 호환성은 어떻게 하기 힘들었는지 서드 파티[42]의 튜닝 장비를 장착하거나 가늠자를 도트사이트로 변경하는 등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국군이나 대한민국 경찰 외의 이야기로는 한국전쟁이나 베트남 전쟁 참전 용사가 전쟁 때 입수하거나 사용한 미국제 M1911을 빼돌려서 숨겨두는 사례도 있었다.(마치 일본의 남부 권총과 비슷한 사례로) 전자는 2007년에 참전용사 본인이 불법무기 자진신고 기간 때 신고한 것이 서울시 종로구의 경찰박물관 불법무기 전시실에 친절한 설명과 함께 2007년 6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전시되어 있었으며 ( 링크 1 링크 2), 후자는 도둑에게 도둑맞아서 경찰에 신고한 것이 기사로 나온 경우(그 권총은 우체통에서 권총이니 경찰서에 연락해달라는 편지와 함께 발견됐다). 2014년 2월에는 한강에서 낚시하다 이 권총을 건져올린 낚시꾼이 매스컴을 탔다. 기사
2017년 4월 20일에 일어난 경산 총기 강도 사건 때 범인이 사용했던 권총이다. 입수 경로는 2003년에 범인이 병원에서 일하던 당시 지인의 시골 집을 정리하러 동료들과 갔는데, 동료들이 집 정리를 하는 동안 집 오른쪽에 있는 창고의 3층 선반 아래에서 노끈에 묶인 채 천가방에 들어있었다고 한다. 나중에 조사결과 집 주인이었던 지인의 아버지가 무려 6.25 전쟁 때 쓴 것으로 밝혀졌으며, 지인도 경찰 조사에서 58년 전까지도 부친이 들고 다녔던 것을 보았다고 한다.
|
|
당시의 한국인들 체형에는 .45 ACP탄의 위력이 너무 강했던지, 아니면 당시 아시아인들 체형에는 안 맞는 인체공학적 디자인이었나본지 한국전쟁 당시 어린 나이에 카투사에 입대했던 사람은 이 물건을 '쏠 때마다 손목이 나갈 것 같이 아팠다'고 증언한 사례도 있다. 국군 통역장교로 한국전쟁에 참전한 리영희 선생은 회고록에서 M1911의 크기 때문에 인민군에게서 노획한 TT 권총을 선호하던 장교들이 있었다 증언하기도 했다. 구경을 영어로 읽은 포티 파이브라고 부르기도 한다.[43]
한때 페이스북에서 네티즌들이 자신들의 조부모님들 젊었을 적 사진을 자랑하는 게시글에서 한 네티즌이 '저희 증조할머니는 권총 듦' 이라며 M1911을 들고 있는 할머니의 사진을 올려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출처 아마 할머니의 남편이 군인이나 경찰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8.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남성스러운 권총이란 이미지가 있으며, 현대나 근미래를 배경으로 한 창작물에서는 대부분 마초적인 남성이 들고다닌다. 여 성이 들고 다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바리에이션이다. 오리지널 M1911A1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는 남자 캐릭터가 많다.미제 물건이라는 특성상, 미국과 관련된 애국적인 이미지가 붙는 경우가 많다. 이는 실제 미국 내 민수용 총기 시장에서도 통하는 마케팅.
미 육군이 등장하는 2차 대전이 배경인 매체에는 거의 등장한다. 이외에도 6.25 전쟁 및 그 이후 시점에서 한국, 북한, 미군이 등장하면 종종 등장한다. 1차 세계대전에서부터 현대까지 개량되어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만큼, 웬만한 FPS나 영화에서는 거의 다 등장한다고 보는 게 편하다.
8.1. 게임
|
|
-
그라운드 브랜치
최신 병기들이 즐비한 게임에 M1911A1이 나온다. 굳이 나온다면 M45A1이 나와야 정상이겠으나 뭐 어차피 둘 다 45구경 7발 탄창을 쓰니... 다만 다른 게임들과 달리 소음기 장착이 가능하고 45구경탄이라 그런지 대미지도 등장 권총 중에서도 상당한 편. -
데드 트리거
데미지, 사거리, 장탄수는 최하급에 속하지만 초반 한정으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자랑한다. 헤드샷을 자주 노리는 유저에게 유용하게 쓰인다.
-
데이 오브 인퍼미
M1911과 M1911A1을 섞은 버전이 등장한다. 발당 데미지가 높으나 장탄수가 적고 반동이 크다.
-
듀크 뉴켐 포에버
듀크 뉴켐이 다른 시리즈의 글록 혹은 금장 데저트 이글이 아닌, 금장 M1911을 들고다닌다. 그리고 그냥 색깔이 검은색인 M1911도 등장한다. 돼지경찰도 사용하는데 듀크처럼 하나만 쓰는게 아니고 쌍권총으로 사용한다. 사실 이전에도 듀크 뉴켐 3D 닌텐도 64 이식판에서 글록 대신 M1911을 쓰고 있었지만.
- 레드 오케스트라/라이징 스톰 시리즈
-
라이징 스톰
태평양 전쟁을 배경으로 한 확장팩 개념이니만큼 당연히 미군 진영의 권총으로 등장한다. 각 서버에 따라서는 일반 소총병에게도 지급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45구경인 만큼 레드 오케스트라 2와 라이징 스톰에 나오는 권총 중에 가장 화력도 좋아서 사거리 내에서라면 몸통 샷으로 한방에 보낼수 있다. 스프링필드 M1903 같은 볼트 액션으로 무장했을 시 총알이 떨어지는 등 급한 상황이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44] 기계식 조준기도 꽤나 편한지라 일본군 진영의 남부 14년식 권총보다 다루기 편하고 손맛도 좋다. 다만 미군 진영은 특성상 반자동/자동 화기가 대부분이다보니 주로 사용되는 일도 없고 병과의 레벨이 올라갈수록 보조무기로 M1 카빈이나 M12 트렌치건 같은 준수한 화력의 물건을 지급해주기 때문에 그다지 쓸 일이 없다는게 살짝 안습. -
라이징 스톰 2: 베트남
전작에 이어 M1911A1이 등장한다. 45구경 권총답게 적을 1발에 보내버리는 게 가능하지만 반동이 권총들 중 가장 세다.
-
레인보우 식스 시즈
M45 MEU(SOC)가 FBI SWAT 소속 대원들의 부무장으로, SIG/SAUER 사의 커스텀 1911인 1911 TACOPS가 GSUTR 소속 오퍼레이터 매버릭과 긴급대응부대 소속 오퍼레이터 쏜의 부무장으로 등장한다.
-
레프트 4 데드
기본 권총으로 등장. 하지만 속편인 2에서는 P220과 글록으로 교체된다. 게임 플레이를 좀 더 쉽게 만들기 위함인지, 장탄수가 15발이다. (아킴보는 30발) 9mm 버전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
마피아 시리즈
개근 출석한 화기. 권총 중에서는 그나마 쓸만한 녀석으로 마피아 2에서는 탄창을 늘린 버전(23발짜리)도 같이 등장한다. 개조된 버전은 10번째 미션 "Room Service"에서 처음으로 볼 수 있고, 이 미션 이후 쥬세페의 도구상점에서 구입 가능.
- 메달 오브 아너 시리즈
- 메달 오브 아너(1999)
- 메달 오브 아너: 얼라이드 어썰트
- 메달 오브 아너: 퍼시픽 어썰트
- 메달 오브 아너: 에어본
- 메달 오브 아너(2010)
-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
멀티 플레이에서 Vickers Tactical 1911이 데몰리션의 전용 무장으로 등장한다. 이 빅커스 택티컬 1911은 전직 델타포스의 병기 부사관이었던 래리 빅커스의 엄격한 기준에 맞춰서 대폭 개조된 버전이라고 한다.
- 메탈기어 시리즈
-
메탈기어 솔리드 3
네이키드 스네이크의 주력 무장으로 등장한다. 스네이크 이터 작전에서 처음부터 가지고 시작하지만 초기 장비는 더 보스와 싸울 때 분해당해 잃어버리고 나중에 EVA에게서 건스미스가 커스터마이즈한 M1911A1을 새로 받는다.[45] 소음기를 달 수 있고 CQC가 가능하기 때문에 거의 끝까지 주력 무기로 쓰이지만 장탄수 7발이 발목을 잡는 경우가 종종 있다. -
메탈기어 솔리드 4
스프링필드사 오퍼레이터 사양을 오타콘이 마취총과 같이 메탈기어 Mk-2에 실어서 솔리드 스네이크 에게 보급해 준다.오타콘 왈 나노머신 ID 등록 이전 총기라서 구하는제 좀 힘들었다고. 입수 시점부터 소음기가 달려있어서 초반 무소음 살상용으로 사용가능하다.단, 소음기는 소모형이라서 많이 쓰면 내구도가 떨어져 소음효과가 없어진다. 이 외에는 PMC들의 부무장으로 M1911 클론그래닛 사양이 나온다. 물론 전작에 등장한 M1911 역시 "1911 Custom"이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이쪽은 숨겨진 무기.
-
메트로 엑소더스
DLC 샘의 이야기에서 서방제.45구경 무기로 나온다.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바이오하자드 4
좀 엉뚱하게도 핸드건이 아니라 매그넘 카테고리의 '킬러7'이라는 이름으로 출연한다(사실 총알이 45구경인것을 보아하니 말만 매그넘이지 .45 ACP 탄환으로 보인다). 물경 73000페세타(상점에서 기본으로 살 수 있는 무기 중에서 가장 비싸다!)라는 정신나간 가격에 한정 개조 불가라서 결국 거저 얻을 수도 있는 기본 매그넘인 브로큰 버터플라이에게 밀린다. 딱 한가지 좋은 점은 그만큼 업그레이드 비용이 덜 든다는 건데… 어지간한 애정이 아니면 들고 다니기도 힘들 듯하다. 재장전 시간이 약간 빠르기는 하다. 어디까지나 약간이지만. 거의 취미용에 가깝다. 용병 모드에선 알버트 웨스커의 기본 무기다. 명칭의 유래는 캡콤의 동명의 게임에서 따온 것. -
바이오하자드 아웃브레이크
등장인물 케빈 라이먼의 전용 장비이기도 하다. '45 오토'란 이름으로 등장하며, 핸드건처럼 보이지만 위력은 3배나 높다. 더군다가 케빈의 스킬인 '정밀 사격'은 위력을 2배나 높여줘서, 결과적으로는 핸드건 6배의 파괴력을 가지는 무시무시한 무기다. 거기에 탄창과 탄환은 전용을 써야 해서 말이 핸드건이지 매그넘 취급을 받는 독특한 녀석. -
바이오하자드 7
데모 플레이 "Begining hour" 에서 초기형 모델 M1911에서 모티브를 얻은 가상의 45구경으로 보이는 권총인 M19 핸드건이 등장한다.진엔딩 및 감염엔딩 공략 중 1층의 피칠갑이 된 화장실의 피가 고여있는 변기에서 입수 가능하며, 얻기 위해서는 회전축이 필요하여 지하실로 가야 하는데, 빠져나오려 할 시 잭 베이커가 지하실 문을 막는 동시에 작중 등장하는 B.O.W.인 몰데드가 등장하는 이벤트가 나오니 입수 후 지하실을 자세히 둘러보면 시체 한구가 매달려 있으니 몰데드를 유인 후 이것으로 차서 쓰러뜨리고 지하실을 탈출하여 변기에서 얻거나, 지하실 안쪽에서 다락방 키를 입수하지 못하고 빠져나와 화장실서 입수 후 몰디드와 다시 마주쳤을 시 다리가 약점이므로 쏘아 쓰러뜨린 후 해당 키를 입수 가능하다. 트레일러에서도 글록 17과 함께 등장하며, 데모에서도 모티브가 된 실총과 마찬가지로 "손 대포"에 걸맞는 화끈한 화력을 자랑한다. 본편에서는 프롤로그격인 게스트 하우스의 다락방에서 입수할 수 있으며 이걸로 전기톱을 든 미아를 쓰러뜨려야 한다. 총탄이 다 떨어지면 도끼로라도 싸워야하니 주의. 베이커 가로 이동하면 사라지며 이후에 부서진 권총을 입수한 뒤에 수리키트로 수리하면 다시 입수할 수 있다.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1942
모든 연합군 진영의 부무장으로 등장한다. 추축군 진영의 발터 P38과 성능이 똑같다. -
배틀필드 베트남
미군과 남베트남군의 부무장으로 등장. -
배틀필드 1943
미군의 부무장으로 등장. 일본군의 14년식 권총과 성능은 동일하다. -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
한정판을 구매하면 바로 언락이 가능하고 일반판을 구매하면 레벨 4가 되면 지급한다. 말그대로 손대포로, 3~4발이면 사망한다. 연사력도 빠르고 원거리에서도 잘맞아서 베타, 발매 초기에는 이 무기로만 플레이 하는 유저들이 많았다. 하지만 패치 된 이후 연사력이 너프가 행해져서 아무래도 예전 만큼은 못하지만 그래도 강력하다. 뱀발로, 싱글액션인데도 불구하고 해머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발사하며, 첫발을 쐈는데도 해머가 뒤로 제껴지지 않는다.[46] -
배틀필드 3
M1911A1이 나오던 전작과는 달리 MEU(SOC)으로 등장하며, 스프링필드 아머리제 슬라이드가 달린 전기형 모델이다. EA 건클럽[47]에 등록하기만 하면 기본형/소음기 장착형/전술조명 장착형의 3종이 바로 지급된다. 장탄수는 8(+1)이며, 등록하기만 하면 소음기와 전술 라이트도 같이 주고, 성능도 좋기 때문에 초반에 이렇다할 권총이 없는 유저들에겐 매우 좋은 무기다. 콜트팬이라면 더더욱 좋은 기회이기도 하고. 여담으로 소음기와 라이트가 같이 달린 모델은 오직 DICE 사의 직원에게만 지급되었으나 '종반전' 업데이트 이후 해당 도전과제를 완료하면 해금되도록 변경되었다. -
배틀필드 4
권총 점수 34,000점 필요. 모델링은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에도 등장한 Vickers Tactical 1911이다. 전작보다 재장전 시간이 짧아진 편. 장탄 수는 7+1발로 전작보다 한 발이 줄어들었다. 전작의 확장 탄창이 아니라 100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순정 M1911 탄창을 사용하기 때문. 추가로 3배율 스코프를 낄수있다. 사용탄약이 .45ACP인지라 최대데미지가 36.6으로 덕분에 방어 특화에 상관없이 지근거리에서 몸샷 3방으로 적을 확실하게 제압할 수 있게 되었다. -
배틀필드 하드라인
경찰 진영 서포터 병과 전용 무기. 현금 13,200 달러로 언락할수있다. 이름은 M1911A1이지만 모델링은 전작인 배틀필드 4와 마찬기지로 Vickers Tactical 1911이다. -
배틀필드 1
초기형 모델인 M1911과 A1이 섞인 모습으로 등장한다. A1처럼 방아쇠울 뒤쪽이 약간 파여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립 세이프티의 꼬리 부분과 메인스프링 하우징이 모두 A1의 형태를 띠고 있는데 메인스프링 하우징의 체커링이 없다. 비교 영상 -
배틀필드 V
2차대전 배경이니 어김없이 등장. 전작과 성능이 거의 같다. -
배틀필드 2042/포털
1942, BC2, 3편에서의 M1911이 재등장했다.
-
블랙스쿼드
M45A1 CQBP가 M45 CQBP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성능은 보조무장중 상위를 차지할정도며 근거리 데미지도 좋은편이고 장탄수도 약실포함 11발로 넉넉해서 반동이 강하고 탄창에 탄약이 적게 장전되는 데저트 이글이나 라이노 대신 M45를 보조무장으로 세팅하는 유저들도 자주보인다. 대신 단점으론 상부에 광학장비가 없어서 데저트 이글처럼 기계식 조준기를 이용해 조준해야하며 글록 17이나 HNK45C과 달리 소음기를 장착할 수 없다. 쉽게말해 탄약구경이 작아져 반동이 줄어들고 장탄수가 많아진 데저트 이글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
소녀전선
2성급 권총으로 등장한다. 자세한 건 M1911(소녀전선) 참조.
- 스토커 시리즈에서 개근한 총기. 1911이 등장한 게임답지 않게 성능이 부실하다. 특히 장탄수가 적고 45구경 계열에선 이보다 성능이 더 뛰어난 USP와 P220이 있어서인지, 브라우닝 하이파워와 같이 콩라인 권총. 45구경 권총 중에선 최약체.
-
스페셜 포스
콜트 .45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탄도 적고 탄씹힘도 자주 발생하는 등, 베레타보다 잘난 점이 하나도 없어 외면받는다. 2편에서는 인피니티 커스텀으로 등장하는데 전작과는 달리 15로 베레타와 탄창용량이 동일하고 데미지도 강력해서 많이 사랑받는 권총이 되었다.
-
씽씽(플래시 게임)
FN Five-seveN이 기본 권총이었던 Thing-Thing Arena 2를 제외하면 시리즈에 개근한 권총이다. 2를 제외하면 항상 기본 무기이다. 2에서는 하드모드의 제우스를 처치하면 사용 가능하고, Pro/Classic에서는 'Spectre 9mm'이라는 명칭으로 등장한다. 기본 무기다 보니 2를 제외한 게임에서는 화력이 시원치 않은 편이지만, 2에서는 하드모드에서 개방되는 만큼 일반 권총 탄을 사용하는 권총류 중 헤드샷 두세 방만에 적을 보내버리는 최강의 권총이다.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
'SS레어 - [커맨드 오브 스테이지] 야마토 아키'에서 야마토 아키의 방에 에어소프트건 모델이 보관된 모습으로 등장한다.
-
오퍼레이션7
스프링필드 조병창에서 제작한 M1911 개량버전인 SF1911도 등장한다.
-
와치독 2
3D프린터에서 밀리터리 무기에서 구입할 수 있다.
-
워페이스
M1911A1에 DP 소염기를 단 모델로 등장한다. 몸, 팔, 다리에 전부 똑같이 높은 데미지를 줄수 있어 인기는 어느정도 있는편.
-
이터널시티
Mk 4버전으로 등장한다. 22구경 스포츠탄을 쓴다.
-
인서전시
반군의 1포인트 권총으로 등장한다. 안보군의 M45와 성능이 같다. 장탄수는 적지만 대인저지력이 강력하다. -
인서전시: 샌드스톰
전작에 이어 반군의 권총으로 등장. 전작과 동일하게 적은 장탄수와 높은 대인저지력을 가지고 있고 안보군의 M45와 성능이 같다. 오리지널 1911이 좋다면 써볼만 하다.
-
재기드 얼라이언스 2
M1911A1이 등장하는데 취급은 그리 좋지 않다. 바닐라에서는 현대적 권총인 글록이나 베레타 등에 비교하자면 장탄수가 절반인 데 비해 명중율과 데미지가 아주 조금 높을 뿐 별로 나은 구석이 없어 쓰기 애매하다. 총덕후들이 없는 총 있는 총 다 추가해 박은 1.13 모드에서도 USP 등 썩어나게 나오는 다른 현대적 권총들에 비해 장탄수가 적을 뿐 별다른 장점이 없다. 장탄수가 늘어난 하이캡 모델도 있지만 45구경탄을 쓴다는 걸 반영해 9mm나 다른 탄종의 권총보다 사거리가 짧아서 역시 애매하다. 바리에이션으로 10mm탄을 쓰는 콜트 델타 엘리트도 나오지만 역시 나오는 시점 대비 딱히 좋은 성능은 아니다.
-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M1911A1이 등장. 연사형 권총에 비해서 잔탄과 연사력이 매우 후달리고, 한방 권총에 비해서 데미지가 매우 후달리며, 명중률도 좋지 않고 반동도 엄청난 권총으로 나와버렸다. 심지어 9mm 탄환을 쓰는 루거보다 데미지가 안좋을 정도면 정말 말다했을 지경. -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2
계급전 보상 무기로 등장. 계급전 장성 계급을 달성한 유저들만 시즌 종료 후 보상으로 소지하고 있다. 이 총을 타미가 개조한 AS-2011-A0이란 것도 있는데 위 더블배럴형 커스터마이징인 AF2011과 비슷하지만, 실상은 그냥 콜트 좌수자-우수자용을 테이프로 둘둘 감아 붙여놓은 것이다. 진짜 AF2011은 라이선스 벤더에 출시. 성능은 데저트 이글과는 동일하지만 2발을 꼭 다 맞혀야 한다.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시리즈
타냐가 사용한다. 광년이 웃음 소리와 함께 타냐의 상징과도 같은 총.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백년의 시간을 아우르는 최장수 총기인 만큼, 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서도 마찬가지로 2차대전, 현대전, 미래전을 가리지 않고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최초 등장. - 콜 오브 듀티 2
-
콜 오브 듀티 3
독일군의 P38에 대항하는 연합군 측 권총으로 등장. -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캠페인, 멀티에서 전부 사용 가능. 본작 캠페인의 마지막을 멋지게 장식하는 키 카드이다. -
콜 오브 듀티: 월드 앳 워
미군 권총으로 등장.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소프가 가지고 다녔다가 프라이스에게 돌려주는 것으로 등장한다. 캠페인, 멀티 양 쪽에서 사용해볼 순 없으며 박물관 모드에서만 체험해볼 수 있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타이틀 화면에 메이슨이 두 자루를 들고 폼나게 앉아있다. 각각 '머스탱', '샐리'라는 이름과 킬카운트가 새겨져 있다. 게임에서 이 총을 밀어주는 흔적이 보이는데, 실제로 멀티플레이에서 아킴보로 들기에 가장 좋은 권총이며[48], 나치 좀비에서 기본 권총으로 주지만 업그레이드시 타이틀에서 가져온 '머스탱&샐리'라는 쌍권총 스킨의 유탄발사기로 바꿔준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프라이스가 소지하는 것만 볼 수 있으며, 실제 사용은 불가능하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캠페인 한정으로 사용 가능. -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
멀티플레이에서 업데이트로 등장하였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3
마찬가지로 멀티플레이에서 업데이트로 등장하였다. -
콜 오브 듀티: WWII
9년만에 나온 2차대전 작품이니만큼 연합군 권총으로 귀환하였다. 나치 좀비에서는 업그레이드하면 블랙옵스 시리즈의 좀비처럼 쌍권총 유탄발사기가 된다. -
콜 오브 듀티: 모바일
MW11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며 기본으로 지급되는 권총. 기본적인 성능은 그저 그렇지만 총기 개조로 연사력을 높여 SMG처럼 쓸 수 있다. 잘 활용하면 보조무기의 역할을 톡톡히 하기 때문에 고수들 중에서도 MW11을 쓰는 유저들을 종종 볼 수 있다.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드디어 모던 워페어 시리즈에서도 실사용 가능한 권총으로 오랜만에 복귀하였다. 오리지널 M1911A1이 기본형이며, 설계도인 Javelina로 현대화 개량형인 M45A1 CQBP도 같이 등장하였다. 아쉽게도 X16이나 M19 등에 장탄수 면에서 밀려 그다지 성능은 좋지 않다.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냉전 배경이니 당연히 이번 작에서도 개근. 장탄수는 전작보다 1발 늘어난 8발로, 게임에 존재하는 유일한 단발 자동 권총이라 그런지 소련군과 베트콩까지 M1911을 들고 다닌다. -
콜 오브 듀티: 뱅가드
2차 대전 게임에 다시 한 번 개근. 콜드 워와 마찬가지로 기본 8발이며, 개조를 통해 연사가 가능하게 만들 수도 있다.
-
툼 레이더: 애니버서리
라라 크로프트의 주력 권총으로 등장한다. 생긴 건 아무리 봐도 콜트 계열인데 희한하게도 잘 보면 .357 Magnum이라고 각인이 되어 있다.
-
파 크라이 시리즈
-
파 크라이 2
스페인의 복제버전인 Star.45가 등장. 권총으로서 위력은 좋은 편이다. -
파 크라이 3
주인공이 60달러를 받은 걸로 구입, 처음 사용하는 총. 확장성이 없다는 고증에 걸맞게 아무 부착물을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금방 버려진다.
(Swartz모드 제외) -
파 크라이 4
전작과는 다르게 정공법으로 언락할 시 후반에서나 언락되어 전작보다 더욱 쓸모가 없어졌다. -
파 크라이 5
본작의 배경이 미국이니만큼 다양한 바리에이션과 개조를 지원한다. 다만 언제나 그렇 듯 성능은 그렇게 뛰어나지 못하다. - 파 크라이 뉴 던
- 파 크라이 6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퀵 실버 라는 이름으로 등장. 시리즈 마다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콜트 M1911 형태를 기반으로 하고있다.
-
파병온라인
국군측 기본 권총으로 등장하였는데 어째서인지 크롬 도금된 모델(...)이 등장했다. 전쟁터에서 이렇게 번쩍거리는 모델을 들고 다니는건 자살행위에 가까울텐데 제작진이 그냥 간지때문에 한건지는... 성능은 기본 권총답게 모나지 않은 수준.
-
페이데이: 더 하이스트,
페이데이 2
크로스킬(Crosskill)이라는 이름으로 등장. 1편은 그럭저럭 좋지만 2편에서는 오버킬 난이도에 테이저와 클로커에게 머리 2방을 쏴주면 죽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불도저마자도 5발에 죽는다… 그리고 고증오류로 10발이나 들어가고 단축형은 17발이나 들어간다.
-
폴아웃: 뉴 베가스
.45 자동 권총과 유니크 버전인 어둠 속에서 반짝이는 빛이 등장. 문 참고. 기본 .45 자동 권총은 원본 1911을, 어둠에서 반짝이는 빛은 단축형 모델인 콜트 뉴 에이전트를 모델로 하고 있다. 조슈아 그레이엄은 이것을 400년 전의 동포가 설계한 것이라 일컫는다.
-
하프라이프: 알릭스
하프라이프 2의 권총과는 달리 M1911 계열의 권총을 모델로 했는데, 업그레이드를 마친 뒤의 모습을 보면 2편에서 알릭스가 사용하던 알릭스 건과 많이 유사해진다. 디자인, 점사 사격, M1911 계열 직선 그립 등의 유사함을 보인다. 슬라이드 왼쪽에는 'Le Clarion', 오른쪽에는 'AUTOMATIQUE CALIBRE 11mm 43 CIVIL PROTECTION ANNEX 19-19191'라고 각인되어있다. 왼쪽에는 상표명으로 보이고 오른쪽에는 나중에 새겨넣은 것으로 보이는 각인을 제외하면 프랑스어인데 프랑스제로 추정된다. 장탄수는 10발인데 그립이 일반적인 1911보다 두껍고 탄창의 형태로 봐선 복열 탄창 모델로 보인다.
-
히어로즈 앤 제너럴스
미군의 두번째 권총으로 등장. 풀 개조시 대미지 40에 연사력 350 정도, 정확도도 제법 높은 준수한 권총이 된다. 다만 탄속이 무척 느리고 커다란 총몸에 비해 조준점이 너무 작아서 근거리에서 빗맞는 일이 잦다. 애매하게 4방이 나오니 3방컷을 보고 싶다면 탄환, 스프링 업그레이드로 확실히 개조 해 놓자.
-
히트맨 시리즈
주인공 에이전트 47의 상징과도 같은 총인 실버볼러(Silverballer)는 이 M1911의 복제판 AMT 하드볼러의 커스텀 모델이다. 이름 그대로 은색 도색이 빛나는 물건인데, 어째 매번 모양새가 조금씩 다르다. 1편은 실버볼러란 설정이 없이 그냥 하드볼러란 이름이였고 이 땐 은색의 몸체에 검은색 그립이 달린 물건으로 나왔다. 2편부터 실버볼러란 이름이 붙었는데 생김새는 1편 하드볼러와 동일하고 대신 이 쪽은 그립에 백합 문양이 새겨져 있다. 3편부터 백합 문양은 슬라이드에 새겨져있고 나무 그립에 검은 가죽을 얹은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49] 4편 히트맨: 블러드 머니에서는 정 반대의 색상인 검은 도장에 상아 그립, 방아쇠 교체 옵션이 붙은 커스텀 M1911도 나왔는데, 마크 파르체찌 3세, 알렉산더 릴랜드 케인 등 프랜차이즈 일원들이 들고 나온다. 수집은 세이브 파일 에디터 이외에는 불가.
-
America's Army Proving Grounds
MEU 피스톨이 M1911A1이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총소리가 묵직하면서도 호쾌하고 미군 측의 다른 권총인 베레타 M9A1의 기본 데미지가 38인데 M1911A1의 기본 데미지는 무려 52 라서 이론상으론 2발로 적을 사살할 수 있다. 다만 M1911 권총 특유의 단점인 낮은 장탄수가 흠이다. 15+1인 M9A1과는 달리 M1911A1은 약실까지 포함해봐도 최대 8발(7+1)이라서 장탄수는 M9A1보다 뒤쳐진다.
-
ARMA 2
미군의 권총으로 등장하며 유효사거리가 실총과 비슷해서 근접전이 아니면 쓸일이 거의 없다. 정조준시 가늠자와 가늠쇠 모델링이 이상하게 되어서 좀 불편하다.
-
AVA
작중의 유일한 유로 캡슐 권총이지만, 성능이 영…. 단 데미지는 강력하고 박자만 맞춰준다면 제대로 들어간다. 베레타처럼 광클 속사하면 씹히고, 한 탄창으로 풀피인 적을 몸샷으로만 잡을 수가 없어서 문제다. 그래도 때깔도 좋고 레일도 충실하게 파여있는 등 디테일도 좋기 때문에, 비주류를 사랑하는 이들에게 호평을 얻고 있는 중. 하지만 스미스 앤 웨슨의 카피판 모델(SW1911)이고, 1인칭 모션도 P226의 그것을 우려먹은 모션이라, 콜트 매니아라면 실망할 수도 있을 것이다.[51]
-
Critical OPS
SIG사에서 카피한 M1911 TACOPS가 나온다. 소음기가 장착되어서 발사해도 레이더에 포착되지 않아서 괜찮은 총으로 인식되고 있다.
-
Dirty Bomb
MEU 피스톨이 Caulden이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자동권총 중 높은 데미지와 준수한 연사속도, 빠른 재장전 속도를 가지고 있지만 반동이 꽤 있고 장탄수가 적어 선호도가 다른 권총들에 밀린다.
-
Escape from Tarkov
0.1257 패치 이후에 PPSh-41과 함께 추가되었다. 2레벨 피스키퍼부터 판매중이며, 평가는 데미지만 좋은 마카로프 권총 정도 되는듯하다.
- Grand Theft Auto 시리즈
-
Grand Theft Auto III
게임 특성상 모델명이 명확히 등장하지 않고 그냥 9미리 권총이라고 적혀있지만 모델링 상 콜트 M1911이다. -
Grand Theft Auto V
파라-오드넌스 사의 더블칼럼 탄창 장착 버전이 헤비 피스톨이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다만 외형은 콜트에 글록 40처럼 도트사이트를 얹은 모습. 데미지도 나쁘지 않고 쓸만한 수준.
-
L.A. Noire
미 해병대 장교 출신 형사인 주인공 콜 펠프스가 사용하는 권총. 동료들은 거의 다 리볼버를 사용하기에 동료들은 펠프스가 M1911을 사용하는걸 보면서 상당히 특이해한다.
-
Phantom Forces
M1911과 M1911계열 많은 바레이션이 존재한다.
-
Pixel Gun 3D
처음으로 주는 권총이다. 이름은 픽셀 건. 게임의 이름과 무기의 이름이 같다
커뮤니티 시즌 때 픽셀 건에 풀 파츠를 달아놓은[52] 슈퍼 픽셀 건이 등장했다
여담으로 기본무기 중 유일하게 스킨이 존재한다 그것도 신화급으로
-
PUBG: BATTLEGROUNDS
P1911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초반 권총전 개싸움에서 P92와 라이벌 격인 권총이다. .45 ACP 탄을 사용하므로 기본 피해량이 강력해 P92보다 확정 사살에 필요한 탄환 수가 1개 더 적다. 거기에다가 타 권총과 다르게 속사능력이 어마무시해서, 단발광클을 시전하면 탄씹힘 없이 클릭하는대로 다 나가 총 피해량이 상당하다. 연사력이 느려 탄씹힘이 심각한 P92와는 대조되는 또 하나의 장점. 하지만 15~20발씩이나 장전되는 P92와 다르게 대용량 탄창이 없으면 7발 밖에 장전(대용량 탄창 적용시 12발)되지 않아 전투지속력이 떨어진다. 탄약이 호환되는 총기는 UMP45, Tommy Gun이다.권총 중에서는 유일하게 소음기를 끼고도 가늠자로 적을 조준할 수 있다. 그러나 권총은 정조준이 불편해 견착사격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크게 부각되는 장점은 아니다. 여담으로 측면에 세월호 침몰 사건을 기리는 문구가 적혀있다.
-
SCP: Secret Laboratory
저위험군 격리구역에서 랜덤으로 드롭된다. 그 외에 같은 지역 내에 있는 무기고에서도 확정적으로 획득 가능. 초반에 무기를 거의 소지하지 못하는 과학자와 D계급 특성상 이거 하나만 있어도 든든해진다. 당연히 상대 진영을 초반부터 배제할 수 있지만, 협력이 중요한 초반에는 권장하진 않는다. 적절한 판단 하에 사용할 것. 다만 현재 총기업데이트이후 com-15 권총으로 대체되었고, 추가적으로 USP라는 고화력권총이 생겼다.
-
Surviv.io
특정 이벤트에서만 나오는 총으로 등장한다.[53] 45구경 탄을 사용하는 유일한 반자동권총이다. 탄퍼짐이 조금 심하고, 1탄창 안에도 맨몸인 상대를 못 보낼 정도의 최악의 데미지를 갖고 있다! 장탄수는 고작 7발밖에 안 되고, 장전 속도도 쓸데없이 길다. 최악의 권총 트리오의 일원인 M9과 OT-38보다도 안 좋은 정말로 안 좋은 권총이다. 유일한 장점은 격발음이 매우 작다는게 끝. Model 94나 피스메이커가 이거에 비해선 훨씬 좋다. 요약하자면 그냥 줍지 말자.
-
SWAT4
기본으로 소지하는 권총으로 나온다. 데미지도 나쁘지 않고 조준감도 나쁘진 않지만 한 탄창 용량이 8발이기 때문에 재장전을 틈만나면 해줘야 하는 단점이 있다.
-
Tower Defense Simulator
정찰병이 최종 단계에 M1911 두정을 각각 양손에 들고 사격한다.[54]
- War Simulator에서는 처음에 주는 총이다.
8.2. 영화 및 드라마
-
가면라이더 제로원
진이 통제력을 잃은 트릴로바이트 마기어를 파괴할 때 사용하였다. 실제로 존재하는 모델은 아니고, GM 7.5/XSE 쇼트 모델을 기반으로 타니오 코바라는 오리지널 모델건 제작업체로부터 만든 허구적인 모델이다. 제작은 같은 모델건 커스터마이징 제작업체인 프리덤 아트가 담당하였다. 멸망신뢰넷의 어드레스가 슬라이드 부분에 각인으로서 새겨져 있다. #
-
갓 블레스 아메리카
프랭크가 자살하려고 사용한다. 결국 자신에게 새 삶을 얻게 해준 10대 여주인공인 록시에게 콜트 한 정을 주고 같이 쏜다.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르웰린 모스가 영화 초반부에 자신을 추격하는 멕시코 갱단의 개를 쏴 죽일 때 사용함. 물에 빠졌다가 걸어나온 르웰린 모스가 총이 젖었을 때 응급 처치로 장전된 탄을 버리고 탄창을 털어 말린 후 약실을 입김으로 말리는 등 실제로 통용되는 처치를 보여준다. 코엔 형제의 디테일이 보이는 부분.
-
더 록
험멜 장군이 사용했다.
-
데드풀&
데드풀 2
1에서 인간 시절의 데드풀(웨이드 윌슨)이 위에서 언급된 파생작 중 P14-45를 겁주는 용도로 쓰는 장면이 나온다. 물론 딱히 쏠 필요가 없었을 뿐이었다. # 2에선 웨이드의 친구 위즐이 AF2011-A1 모델을 사용한다. #
-
라스트 맨 스탠딩 (Last Man Standing)[55]
주인공이 쓰는 권총이다. 장탄수가 적기 때문에, 책상 가득 권총과 총탄을 늘어 놓고 결전을 준비하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물론 이 영화도 할리우드 영화 아니랄까봐 주인공의 총은 무한탄창인지라 실제로 탄창을 갈아끼우는 장면은 극히 드물다. 적을 다 쓸어버리고나서 한번 갈까말까 하는정도...
-
라이언 일병 구하기
.45 ACP 7발로 밀러 대위가 6호 전차 티거를 무력화시켰다. 물론 정확히는 P-51 머스탱 전투기가 날려버린 것이긴 하지만…그리고 호바스 중사와 다니엘 잭슨도 이 권총을 소지하고 있다.[56] #
- 람보 1(람보가 죽는 다른 엔딩), 2, 4편에 A1 모델이 등장했다. 그런데 여기에 쓰인 프롭건이 사실은 MK.70 프롭건을 어떻게든 거버먼트로 보이게 하려고 갖은 수를 쓴 물건이라나 뭐라나… 이 때 실베스터 스탤론의 의견이 들어갔다고 한다.
-
미스터 & 미세스 스미스
후반부에서 존 스미스가 제인 스미스와의 집안 총격전 권총으로 사용한다. 상세한 모델은 M1911A1 XSE에 소음기 어댑터가 있는 커스텀버전.
-
빈센조
조영운 사장이 빈센조를 위협할 때 M1911A1을 사용했고,총알을 넣지 않았다.17화부터 빈센조 까사노가 민수용 모델인 1911 SERIES 70을 사용한다. 빈센조의 것인 시리즈 70은 마루이 가스건을 소품으로 사용한 듯. 소음기도 부착해서 사용한다.
-
소년은 울지 않는다
조폭은 물론 조폭 똘마니인 소년들까지 들고 나온다. 배경이 한국전쟁 이후라 미군들 권총이 흘러 나온 것인 듯. 소년들 중 한명은 아예 자기 형님인 조폭을 이걸로 사살.
-
쉬리(영화)
OP 전술대원이 방패를 들고 사용한다.
-
슈퍼내추럴
딘 윈체스터가 사용한다.
-
아웃레이지
오오토모 구미 두목인 오오토모( 기타노 다케시)를 비롯한 휘하의 몇몇 조직원들이 "야쿠자는 토카레프" 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M1911을 들고 다닌다. 조직이 괴멸되는 막장 상황에 이르러선 자기가 쓰던 걸 부하에게 넘겨주고 도망치라 했지만 그 부하는 결국 받은 M1911을 써볼 기회를 갖지 못했다. 그러고 보니 기타노 감독은 다른 작품인 브라더와 배틀로얄 1편에서도 M1911을 들고 나왔다.[57] 일본에서는 영화 개봉 기념으로 "아웃레이지 1911(アウトレイジ 1911)" 이라는 한정판 에어건도 나왔다…
-
아저씨
실질적으로 등장하지는 않지만 작중 대사를 통해 언급된다. 차태식이 전화로 총을 구해줄 것을 요구하며 하는 대사 중 "콜트나 토카레프 말고..."에서 콜트가 콜트사의 M1911을, 토카레프가 소련제 토카레프 TT-33자동권총을 의미한다.
-
와루보로
범생이였다가 일진 테크를 탄 주인공이 다른 중학교의 대빵과 맞짱을 뜰때 야쿠자인 삼촌에게 받은 M1911A1을 친구에게 위협용으로 들려 줘서 1:1 상황을 만들어 놓고 대빵과 맞짱을 떠서 쓰러뜨린다. 중후반에 가선 다급해지니까 삼촌한테 전화해서 총알 구걸했다가 욕만 먹고 퇴짜를 맞는다.
-
와일드 번치[58]
주인공 일행이 사용한다. 서부 영화에서 쓰는 권총으론 콜트 싱글 액션 아미 같은 싱글 액션 리볼버식 권총이 연상되지만, 영화의 배경이 된 시대엔 이미 루거 P08를 위시한 초창기의 자동권총이 쓰이고 있었다. 같은 감독, 스티브 매퀸 주연으로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진 겟어웨이(개봉시 이름 게터웨이)에서 주인공이 쓰는 권총이기도 하다. 영화 포스터가 아예 이 권총.
-
이오지마에서 온 편지
쿠리바야시 타다미치 중장이 과거 미국에서 유학생활 하면서 선물받은 권총으로 나온다. 흰색 그립의 모델이며 영화 마지막 장면에서 쿠리바야시 중장이 이걸로 자살한다. 그리고 그걸 미군이 득템하고... #
-
익스펜더블 시리즈
바니 로스가 Kimber Gold Combat II 2정을 사용한다.
-
자유인 이회영
홍정화( 이아이 분)가 항상 휴대하고 다닌다. 친일파 특무경찰이 홍정화를 체포하려 마주쳤을 때 소지한 총기가 M1911인 것을 알아본다.[60] 마지막 화에서는 아킴보 액션까지 보여준다.
- 존 윅 시리즈
-
존 윅: 리로드
존 윅이 중후반 뉴욕 현대미술관에 칩입하기 전에 바우어리 킹에게 킴버 워리어 1911 한 정과 7발이 들은 탄창 하나를 받는다. 이 총으로 존 윅은 3초만에 7명을 사살하는 위엄을 보여준다. -
존 윅 3: 파라벨룸
존 윅이 후반부에 Taran Tactical Innovations에서 만든 9mm 버전인 STI Combat master 2011을 사용한다.
-
좀비랜드
마지막 유원지 장면에서 탤러해시가 황금 M1911 두 자루[61]로 자신 주위에 몰려든 좀비들을 모조리 척살한다. -
좀비랜드: 더블 탭
탤러해시가 리틀 락에게 크리스마스 선물로 준다. 이후 이 총으로 리틀 락이 탤러해시의 목숨을 구한다.
- 터미네이터 시리즈
-
터미네이터
T-800이 사람들을 암살할 때 사용한 권총이 복제 모델 중 하나인 AMT 하드볼러 롱슬라이드(AMT Hardballer Longslide)에 초기형 레이저 사이트를 단 것이다. 사라 코너를 죽이려고 할 때도 썼으나 이후로는 카일 리스와 싸우느라 더 큼직한 무기로 무장해서 등장이 없다. 사족으로 당시 기술력으로 저 레이저 사이트에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하는 데 무리가 있어서 슈워제네거의 옷소매를 통해 전선을 연결해 전력을 공급했다. # 이 총은 터미네이터: 사라 코너 연대기 시즌 2-5에서도 등장한다. 여기서는 T-888이 사용한다. # -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T-800과 사라 코너가 커스텀 1911을 사용한다. T-800이 쓰는 총은 9mm이다. #
-
팔콘과 윈터 솔져
작중에서 존 워커가 STI Perfect 10라는 파생형으로 무장한다.
-
펄프 픽션
줄스 윈필드( 새뮤얼 L. 잭슨 분)가 스타 모델 B를 쓰고 빈센트 베가( 존 트라볼타 분)가 오토-오드넌스 M1911A1을 쓴다. 마지막 장면에서 바지가랑이에 총을 숨기는 게 압권.
8.3. 만화 및 애니메이션
-
명탐정 코난
적과흑의 크래쉬 순직편에서 조직에 복귀한 키르가 조직에서 아카이 슈이치(이상윤)를 제거하라는 명령을 받고 라이하 고개에서(더빙판에서 한가령) 소음기를 부착한 1911으로 마중온 아카이 슈이치를 헤드샷시켜 제거한다.[스포일러] # -
명탐정 코난 10기 극장판
탐정들의 진혼가
거버넌트 모델이 강도단이 쓰는 권총으로 나온다. 이후 강도용품과 같이 가방에 넣어진 상태로 폐허가 된 호텔 안의 기계실에 위치한 사물함에 버려져 있었으나, 초반부에서 조사를 위해 호텔로 들어온 코난과 모리 코고로(유명한) 탐정이 자신들이 발견한 기계실에 위치한 사물함에 있던 가방을 열어 발견한다. 전직형사인 모리탐정이 이 권총을 보고 거버넌트 권총이라고 말하는 장면도 있다. # -
명탐정 코난 18기 극장판
이차원의 저격수
잭 월츠의 부하이며 미 육군 병장이었던 빌 머피가 티모시 헌터를 쐈을 때 사용했으며, FBI 수사관인 안드레 캐멀 요원이 쓰는 권총으로 나온다. 기종은 M1911A1. #
-
비탄의 아리아
칸자키 홈즈 아리아가 쌍권총으로 쓴다. 콜트 거버넌트에 커스텀 그립 등의 개조를 거친 모델이다. 그런데 총의 크기가 사용자랑 맞질 않는지, 몇몇 장면에선 총을 쥐는 것조차 힘들어보인다. 이게 사실이라면 다른 총을 고르는 것이 더 나을텐데, 굳이 그 총을 고집하는 것으로 보아 해당 인물이나 작가가 콜트 매니아인 것일지도 모르겠다. 그게 아니면 칸자키가 콜트 매니아거나.[64] 웨스턴암즈에서 한때 한정판으로 출시한 적이 있다. GBB 모델이며 단발 사격 이외에 풀오토 사격도 지원.
-
소드 아트 온라인 2기
엔도가 시노를 위협하는 데 사용한다.
- 어떤 과학의 초전자포 S에서 안티스킬 요미카와 아이호가 사용한다.
-
이제 곧 죽습니다
죽음이 가지고 있는 권총으로 등장한다.
-
하슬라(웹툰)
마지막 화에서 이하나로 위장한 곽도진이 오건을 죽일때 쓰는 권총으로 등장한다.
-
주문은 토끼입니까?
테데자 리제가 소장중인 모델건으로 등장한다.
-
프리크리
아마라오 관리관이 사용한다.
-
Phantom ~Requiem for the Phantom~
리지 갈란드가 AMT 하드볼러를 사용한다.[65]
8.4. 그 외
- 샤이닝 니키 : 설야의 독수리라는 패션 아이템으로 나온다 타입은 시크 타입.
-
배틀필드: 더 러시안
러시아 측의 주인공 일행이 미국인인 척 위장하고 목표물을 빼돌릴려고 하는데 사용된다. 솔로몬에겐 워낙 오래된 고물이라 제대로 작동이나 되겠냐는 비아냥을 듣고, 디마에겐 현지에서 조달한 탄은 품질이 조악해서 탄두도 무겁고 화약량도 적어서 작동불량이 일어날지도 모른다고 독백으로 까인다. 결국엔 조악하게 만든 현지조달한 탄 때문에 웬만하면 작동불량이 안 일어날 손질까지 깔끔히 한 M1911이 첫발을 쏘자마자 잼이 걸려버려 디마를 황천길로 보낼뻔했다.
-
Warhammer 40,000
서기 기준으로 3만 8천여년 이후인 Warhammer 40,000에서도 수만년의 세월동안 원본이나 설계도가 남았었는지 소멸하지 않은채로 등장한다. 인류제국의 무기인 스텁건(오토건의 권총 버전)의 패턴 중 하나로 나오며 보급 사정이 좋지 않은 아그리 월드나 식민지에서 자주 쓰인다고 한다.[67]
9. 에어소프트건
-
에어코킹건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에어코킹건으로는 과거에 일본 제품의 금형을 유용한 것들이 다양한 회사에서 출시[68][69]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가장 최근에 제작된 토이스타와 아카데미과학, 두 곳에서만 생산되고 있다. 사실 발매되기 이전에도 오리지널 1911모델을 발매했던 회사들이 일본에 비하면 손에 꼽는다. 거의 국내에서 콜트 라는 타이틀로 출시된 제품들은 콜트의 커스텀 제품들 위주였다. 지금은 커스텀 제품들도 모두 단종되고 이글상사와 원일상사, 아카데미 3곳에서 나오는 것이 전부다.
게다가 2000년대 시점에서 단종상태인지라 토이스타에서 발매되기 이전까지는 어렵게 구해야 했다.
토이스타에서는 M1911A1과 컴뱃커맨더 두 모델을 판매중인데 국내 판매 모델 중 가장 뛰어난 디테일을 자랑한다. 탄피배출구 열리는 것부터 해서 실총분해 기능, 코킹을 해야 작동되는 안전장치 까지 세세히 배려한 부분이 많다. 덤으로 메탈총열파츠가 있으면 별매로 소음기를 장착할 수도 있다. 다만 프로포션을 보면 완벽한 완성도는 아니라는 지적도 있다. 첫째는 몸체의 두께가 두껍다. 원금형이 새로 설계한 것이 아닌 오래전 일본에서 설계된 것에 마루이의 작동기능을 넣은 것이기 때문에 생긴 문제다. 이후 메탈버전으로 슬림킷을 출시했다. 하지만 마감이 떨어져서 작동성이 안좋은 문제가 있다.
두번째로는 약실 커버 가장자리 부분이 각이져 있다. 세번째로는 탄피배출구 크기가 더 크게 되어있다.
이와 같은 문제 때문에 아직도 구하기 어려운 마루이 에어코킹 모델을 찾는 유저들도 있는 편이다.
아카데미과학에서는 M1911A1과 Mk.IV 시리즈 70 모델을 베이스로 레일 마운트 베이스가 추가된 제품을 판매중이다. 하지만 아카데미과학의 경우 토이스타 제품에 비해 가장 늦게 출시되었으나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 생략시킨 부분[70]이 많아 90년대보다 수준이 퇴보 되어 유저들의 혹평을 받았다. 90년대 당시에 발매된 완성형 커맨더는 두께를 제외한 실루엣이 제법 뛰어나서 1911을 원하던 유저들이 '꿩 대신 닭'으로 구매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일본 회사의 제품은 현재 생산되고 있는건 마루이 제품이 유일하다. 특이하게도 구 금형과 신 금형을 동시에 발매한다. 구 금형은 탄창이 젓가락에 해머가 몰드인 구성으로 10세 이상용 버전으로 출시된다. 과거에 18세 이상용도 있었지만 구 금형 버전은 2016년부터 10세 이상용으로만 출시되고 있다. 이게 뜬금없게도 한국에 수입 되었는데 완성도가 영 아닌지라 올드건에 관심이 있는 소수의 수집가를 제외하면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왜 이런걸 수입했는지 이해가 안간다." 선택 미스라는 평이 주를 이룬다. 아무래도 칼라파트만 손대면 손댈 것이 없기에 10세 이상용을 택한듯 보인다.
신 금형 버전은 2002년도에 18세 이상용으로 출시 되었으며 하부프레임이 모나카식인 것을 제외하면 두께와 그립감, 실루엣도 훌륭한 편이여서 아직도 마루이 18세 이상용의 제품을 찾는 유저들이 한국 국내에 있다. 다만 한국 국내에선 오래 전에 소량만 수입되고 다시 수입이 이뤄지지 않아서 상당히 구하기 어려운게 문제다.
과거 일본에서 생산했던 회사로는 LS, 마루코시, 마루젠 등이 있다.
LS 제품은 슬라이드를 앞으로 밀어서 장전하는 특이한 방식으로 45 버전과 커맨더 버전이 존재했었다. 커맨더 버전을 아카데미과학이 카피해서 당시 회사가 엄청난 인기를 누리게 되었으며 한국의 1970년~ 80년대 초반생 유저들에게 추억의 물건으로 회자될 정도다. 잘 부러지기로 유명했던 악명의 A-17번 부품은 나중에 금속제로 나오기도 했었다. 세미나 과학도 이를 카피 했었는데 아카데미 만큼 인지도를 얻지 못했으며 존재를 아는 유저들도 적다.
-
GBB
가스 블로우백 모델로는 나열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회사에서 만들고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은 역시 도쿄마루이와 WE-Tech, KJ Works, KSC와 지금은 구하기 힘든 웨스턴암즈의 제품들이다.
이외에도 실총 M1911을 제작하고 있는 SIG에서도 자사 제품군인 Spartan과 커스텀 버전 We the people 2가지 종류의 풀메탈 가스건을 판매하고 있다. 다만 국내에 정발하지 않았으며, 해외직구로도 입수가 상당히 힘들다.
마루이 제품은 외관이 다소 실물과 동떨어져있긴 하지만 납득할 만한 퀄리티와 원활한 작동성으로 시장의 주류가 되었고 수많은 기타 회사들 제품의 베이스가 되었다. 반면 웨스턴 암즈 제품은 외관이나 작동 방식에 있어 마루이와는 차원을 달리하는 리얼함을 자랑했지만 작동성, 특히 탄창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어 시장의 주류가 되는 데에는 실패했다.
PAC나 이노카츠, RA-tech등의 해외 메이커나 국내 트리거 해피같은 회사에서는 풀스틸 컨버전 킷을 발매하고 있기도 하다. 밀리터리 모델은 스틸킷을 제작하는 곳이라면 모두 한번씩 만들었을 정도이고 특이사항으로 PAC에서는 M45A1킷을 발매하기도 했다. RA-tech에서는 스프링필드 아모리의 TRP .45를 완제품으로 출시했다. 강철 단조 공법으로 제조된 것이 특징이며, 내부 어셈블리는 WE 버전2 1911 실린더를 채용하고 있다.
실총 제조사인 SIG에서 제작한 높은 퀄리티의 풀메탈 제품도 있으나, 입수가 상당히 힘들고 국내 법규에 맞지 않게 칼라파트가 기본으로 제거되어 있어 국내에 들여오기 힘들다.
대다수의 가스 블로우백 1911모델이 가지는 공통적인 문제점은 바로 실총과 마찬가지로 탄창 용량이 부족한 점이다. .45구경 싱글칼럼인 1911의 탄창이 워낙 얇은 탓에 가스를 완충해도 다른 권총에 비하면 사격횟수나 연사성능 면에서 약점을 가지는 것이다. 때문에 서바이벌 게임용으로는 추천되지 않는 편이며 이 때문에 복열탄창 1911 계열을 베이스로 탄창이 대형화된 서바이벌 게임용 오리지널 핸드건인 하이카파(Hi-Capacity)가 개발되는 계기가 된다. 그러나 아이러니 하게도 가장 다양한 회사에서 제조하며 가장 다양한 파생형이 발매되어 있는 것 또한 1911이다. 에어소프트건 용 메탈 킷을 발매하는 회사라면 M1911A1용 킷을 만들어보지 않은 회사가 없을 정도이다.
10. 둘러보기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1903, M1917, M70 | |||
반자동소총 |
M1 Garand,
M1 Carbine,
M1941,
M3 Carbine,
|
|||||
자동소총 | M1918A2, M2 Carbine | |||||
기관단총 |
M1928A1, M1, M1A1,
|
|||||
산탄총 | M97, M12, M520. M620, M37, M10, M31, M11, M720 | |||||
권총 | 자동권총 |
M1903,
|
||||
리볼버 | S&W M&P, M1917, M1927 | |||||
단발식 권총 | FP45 | |||||
조명탄 권총 | M2, AN-M8, Mk.III, M5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7/18, M1917A1, M1919A4, M1919A6, M1941, M2 | ||||
대전차화기 | Boys Mk I, M1, M9, M18, M20 | |||||
화염방사기 | M1, M1A1, M2 | |||||
박격포 | M1, M2 | |||||
폭발물 | 수류탄 | Mk.2, Mk.3, No.75 | ||||
총류탄 | M1, M2, M7, M8 | |||||
화학탄 | M18, M7A3, M14, M25 | |||||
지뢰 | 대인지뢰 | M2, M3 | ||||
대전차지뢰 | M1, M5 | |||||
폭약 | M1, M1, M1A1, M2A3, M37, M039 | |||||
도검 | 단검 및 총검 | M1905, M1, M1917, M3 | ||||
예도 | M1902* | |||||
※ ※ * : 몇몇 자료에서는 M1907이라고 표기함.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긴급 분노 작전 당시의 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긴급 분노 작전 미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40, M40A1, M500 | |||
M21 SWS, G3SG/1 | |||||
M16A1, M16A2 | |||||
기관단총 | M3A1, MAC-10, HK54A1 | ||||
권총 |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M60, Mk.23, M2HB, M134 | |||
유탄발사기 | M203 | ||||
대전차화기 | M72, M47, M67 | ||||
박격포 | M224, M29 | ||||
수류탄 | M67 | ||||
냉병기 | 총검 | M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 III, No. 4 Mk I, Ross Mk III, M1917 Enfield | ||
반자동소총 | M1 Carbine | ||||
레버액션 소총 | Winchester M1894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II, Mk.III, Mk.V, M50 Reising | ||||
산탄총 | M1897, M37 | ||||
권총 | Webley Mk.VI, Browning Hi-Power, M1911A1, S&W Victory Model, S&W Triple Lock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Lewis Mk.III Mk.IV, Bren Mk.III Mk.IV, Browning M1918, M1941 Johnson | ||
중기관총 | Vickers Mk.I, Browning M1917, Browning M1919, Mk.II | ||||
대전차화기 | Boys Mk.I, Mk.II, PIAT, M9 | ||||
화염방사기 | Flamethrower, Portable, No.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SBML 3 Inch Mortar | ||||
유탄 | Mills No.36M,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인도 제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b22222>
제2차 세계 대전 인도 제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b22222> 볼트액션 소총 | SMLE No. 1 Mk III, No. 4 Mk I, No. 5 Mk I, Pattern 14 | ||
기관단총 | M1928A1, M1, Sten Mk.II, Mk.III | |||
권총 | Webley Mk.IV, M1910, M1911A1, Pistol No.2 Mk.I | |||
지원화기 | 기관총 | Lewis Mk.II, Mk.III, Vickers Mk.I, Vickers-Berthier Mk.III, Bren Mk.I, Mk.II | ||
유탄 | Mills No. 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노르웨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차 세계대전 노르웨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894, m/96, Kar98k, vz. 24, SMLE | ||
반자동소총 | Ag m/42 | |||
권총 | M1911, M1914, M/1893, P07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14, M/22, Louis Mk.I, M1918 | ||
중기관총 | M1914, M1917, M/2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겨울전쟁 및
2차 세계대전 소련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891/30, M1938, М1944 | |||
레버액션 소총 | M1895 | |||||
반자동소총 |
SVT-38, SVT-40,
|
|||||
자동소총 |
표도로프 자동소총,
AVS-36,
AVT-40,
|
|||||
기관단총 | PPD-34, PPD-38, PPD-40, PPK-41, PPSh-41, PPS-42, PPS-43, 톰슨 기관단총L, M50 레이징L | |||||
권총 | M1895, M1921, TK, TT-30, TT-33, M1911L | |||||
지원화기 | 기관총 |
|
||||
대전차화기 |
PTRD-41,
PTRS-41,
VPGS-41,
RPG-43,
|
|||||
화염방사기 | ROKS-2, ROKS-3 | |||||
박격포 | 37mm 야삽 박격포, 50mm RM-38/40, 82-BM/PM-36/37/41/43 | |||||
유탄 | F-1, RG-14/30, RGD-33, RG-42 | |||||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으로 지원받음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알바니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d30404>
제2차 세계 대전 알바니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d30404> 볼트액션 소총 | M1891, M1903, Kar98k, SMLE, P14, M91/30 | ||
기관단총 | MAB 18, MAB 38, MP18, MP35, MP38, MP40, Lanchester Mk.I, Sten Mk.II, M1928A1, PPSh-41, PPS-43 | |||
권총 | M1910, M1934, C96, P38, M1910, P-35, M1895, Mk.IV, M1911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DP-28, M30, Bren Mk.I | ||
중기관총 | MG M.07/12, M37, MG34, SG-43, Vickers Mk.I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리투아니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리투아니아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6A44> 개인화기 | <colbgcolor=#006A44> 볼트액션 소총 | Gew88, Gew98, M1891/30, FN M24L, P14 | ||
기관단총 | MP18, MP34 | |||
권총 | 나강 M1895, 마우저 C96, 루거 P08, M1911, 루비 M1914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C1272D>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G08/15, Vz.26 | |
중기관총 | MG08, PM M1910, MG3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브라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009c3b>
2차 세계대전 브라질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009c3b> 볼트액션 소총 | M1908, M1903, Vz.24, Vz.33, FN M24 | |||
반자동소총 | M1 카빈 | ||||
기관단총 | MP18, 톰슨 기관단총, M50, M3 | ||||
산탄총 | M1897, Auto-5, M37 | ||||
권총 | P08, M1911, M1917,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09c3b>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1909, M1918 | ||
중기관총 | MG08, M1914, M1917, M1919, M2 | ||||
대전차화기 | M1, M18 |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 | ||||
유탄 |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멕시코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2차 세계대전 멕시코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마우저 M1895, Gew98, Vz.24 | ||
레버액션 소총 | 윈체스터 M1895 | |||
반자동소총 | 몬드라곤 M1908 | |||
기관단총 | EMP35, M1A1, M3 | |||
권총 | M1911, 오브레곤 권총, S&W M&P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C-1934 | ||
중기관총 | 빅커스 기관총, M1914, M1919A4 | |||
대전차화기 | M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CD116> 현대의 콜롬비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FCD116>
소총 |
<colbgcolor=#FCD116> 돌격소총 | 갈릴, 갈릴 ACE, TAR21, M16A2, M4A1 | ||
지정사수소총 | 갈라츠, M110 | ||||
저격소총 | M24, M82, M95, MSR | ||||
기관단총 | UZI, MP5 | ||||
권총 | M1911A1, M9, 제리코 941, 코르도바 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네게브, M249, K3 경기관총, M60, FN MAG, M134, M2H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MGL Mk.1, Mk.19 | ||||
대전차화기 | M72, APILAS, AT4, 스파이크-MR/LR/ER, BGM-71, RPG-22 | ||||
박격포 | M4, M30, MO-120 RT | ||||
맨패즈 | FIM-92, 미스트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태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태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45식 소총, 66식 소총, 99식 소총,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카빈 | ||||
기관단총 | MP18, 100식 기관단총 | ||||
권총 | 남부 권총, M1911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66식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92식 중기관총, M1917 브라우닝, 빅커스 기관총 | ||||
대전차화기 | 97식 자동포 | ||||
박격포 | 10식 척탄통 | ||||
유탄 |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97식 파쇄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만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88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38식 기병총, 44식 기병총, 모식 소총, 13식 소총 | |||
기관단총 | MP18, EMP35 | ||||
권총 | C96, M900, M1900, M1910, P08, 26년식 권총, 94식 권총, 남부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Vz.26,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 |||
유탄 | 10식 척탄통 | ||||
냉병기 | 군도 | 일본 군도( 구군도/ 신군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이집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이집트 왕국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7a3d> 개인화기 | <colbgcolor=#007a3d> 볼트액션 소총 | 게베어 1888, 만리허 M1895, 리-엔필드, P14 | ||
기관단총 | MP18, 스텐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마우저 C96, 라스트&가서 M1898, M1903 포켓 해머리스, M19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07a3d>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맥심 기관총, 슈바르츠로제 기관총, MG0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냉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캐나다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12169>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4 Mk.I, C3, C3A1 | ||
반자동소총 | C1, C1A1 | ||||
자동소총 | C7, C7A1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 II, C1 SMG | ||||
권총 | Webley Mk IV, Colt "New Service", FN M1910, M1911A1, S&W Victory Model, Inglis Hi-Power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AR, Bren, C2A1 SAW, C9 LMG | ||
다목적기관총 | C5 GPMG, C6 GPMG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M2 HMG | ||||
로켓발사기 | PIAT, M9, M20, M72 | ||||
미사일발사기 | Blowpipe, Javelin | ||||
무반동총 | M40A2, M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inch mortar, C3, Ordnance ML 3-inch mortar, M19 | ||||
폭발물 | 수류탄 | No.36M, V40, M61, C13 | |||
화학탄 | M7A3 | ||||
폭약 | Bangalore torpedo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냉전기의 호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호주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SMLE No.1 MkIII*, SMLE No.4 Mk.I, L81A1 | |||
반자동소총 | L1A1 SLR, M21 SWS | |||||
자동소총 |
M14,
M16A1,
CAR-15,
|
|||||
기관단총 | Owen Mk.I, L2A1 SMG, F1, M1928A1 | |||||
권총 | Webley Mk IV, Webley Mk VI, S&W Victory Model, L9A1,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2, L4A4, L2A1 LMG, F89 | |||
다목적기관총 | MAG58, M60, MG3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Browning L3A1, M2HB-QC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로켓발사기 | PIAT, M20, L72A9 | |||||
미사일발사기 | FIM-43, Milan | |||||
무반동총 | L14A1 | |||||
화염방사기 | M2A2 | |||||
박격포 | SBML 2-inch mortar, L9A1, ML 3 Inch Mortar, L16A1 | |||||
폭발물 | 수류탄 | Mills No. 36M, M26 | ||||
화학탄 | M7A2, M18, M25A2 | |||||
지뢰 | M18A1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냉전기의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뉴질랜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SMLE No.4 Mk.I, L81A1 | ||
반자동소총 | L1A1 SLR | ||||
자동소총 | M16A1, IW Steyr | ||||
산탄총 | L32A1, L74A1 | ||||
기관단총 | Sten Mk.II, L2A1 SMG, Lanchester Mk I*, M1928A1, MP5 | ||||
권총 | Webley Mk VI, S&W Victory Model, L9A1,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2, L4A3, L2A1 LMG, C9 | ||
다목적기관총 | L7A2, L43A1, M60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Browning L3A1, L3A4, M2HB-QC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로켓발사기 | PIAT, M20, L72A1 | ||||
무반동총 | M40, L14A1 | ||||
박격포 | SBML 2-inch mortar, L9A1, ML 3 Inch Mortar, L16A1, L16A2 | ||||
폭발물 | 수류탄 | Mills No. 36M, M67 | |||
지뢰 | M18A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냉전기의 로디지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로디지아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F4B32>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4 Mk.I | |||
반자동소총 | L1A1, Mini-14, SKSC, SVDC | |||||
자동소총 | FN FAL, R1A1, G3A3, M16A1, AK-47C, AKMC | |||||
기관단총 | Sten Mk II, Austen Mk I, Vz.25, Sanna 77, R-76, Owen Mk.I, L2A1, UZI | |||||
산탄총 | L32A1, M37 | |||||
권총 | Enfield No.2 Mk I, Browning Hi-Power, Mamba, Star M1920, Walther PPC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III, DP-28C, RPDC, RPKC | |||
다목적기관총 | M1919, MAG-58, PKMC | |||||
중기관총 | M2, DShKC, KPVC | |||||
대전차화기 | M20, M72, M40, ENERGA, MILAN, RPG-2C, RPG-7C, B-11C | |||||
맨패즈 | SA-7C | |||||
박격포 | L16 | |||||
유탄 | M26, M963 | |||||
지뢰 | M18A1 | |||||
※ 윗첨자C: 노획무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냉전기의 독일 연방군(서독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독일 연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Kar98k, SSG 69, Gewehr M1903, Gewehr Lee-Enfield | |||
반자동소총 |
G3SG/1,
|
|||||
자동소총 |
StG44,
G1,
|
|||||
기관단총 | MP40, MP1, MP2, MP3, MP4, MP5, KP/-31, M1A1, DUX-53, DUX-59 | |||||
산탄총 | HK512, M870 | |||||
권총 |
PPK,
P1,
P2,
P3,
P4,
P5,
P6,
P7,
P9,
P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8,
MG1 ,MG2,
MG3,
HK21,
|
||||
유탄발사기 | HK69, HK79 | |||||
대전차화기 | PzF44 Lanze, MBB Armbrust, MILAN, M20, M72 LAW, BGM-71 TOW, Leuchtbüchse 84mm | |||||
맨패즈 | Fliegerfaust 1 ,,Redeye‘‘, Fliegerfaust 2 | |||||
유탄 | DM21, DM41, DM51 | |||||
지뢰 | PARM 1 | |||||
냉병기 | 총검 | KCB-77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냉전기의 오스트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오스트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Kar98k, SSG 69, 스프링필드 M1903, 리-엔필드, G44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StG58, StG77 | |||||
기관단총 | MP40, MPi-69, MPi-81, AUG Para, M3 기관단총, PPSh-41 | |||||
산탄총 | 레밍턴 M870 | |||||
권총 | P38, P80,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 | |||
다목적 기관총 | MG42, MG74, MG-A4 | |||||
중기관총 | üsMG M2 | |||||
박격포 | M2 | |||||
대전차화기 | PAR 66/79, RBS 56, M40 무반동포 | |||||
박격포 | M6C-210, mGrW82, sGrW86 | |||||
냉병기 | 총검 | KCB-7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냉전기의 그리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그리스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4C98>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만리허-쇠나우어 M1903,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FN FAL, G3A3, M16A1 | ||||
기관단총 | 스텐 Mk.II, M1928A1, M1A1, M3A1, MP5 | ||||
권총 | M1911A1, P7M8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ren Mk.III, M1918A2, FN FALO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G3, FN MAG, M60 | ||||
중기관총 | 빅커스 기관총, M2HB | ||||
유탄발사기 | M79, HK69, M203 | ||||
대전차화기 | M20, M72, M40 | ||||
박격포 | M1, E44 | ||||
유탄 | Mk.2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북아일랜드 분쟁기 아일랜드 공화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북아일랜드 분쟁(1969~1997)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4 Mk.I, No.5 Mk.I, M77, M300 | |||
반자동소총 | M1 Garand, M1 Carbine, L1A1, G43, Mle 1949, Mini-14, AR-15C, AR-180C, SKS | |||||
자동소총 | M14, M16A1, XM177, FAL, G3, FNC, AK-47, AKM, Vz.58, PM.md.63, Type 56 | |||||
기관단총 | Mk.II, Mk.V, L2A1, M1928A1, M1A1, M42, M3, M3A1, MAC-10, M2, MP40, m/45, M12, Vz.23, UZI, MP5 | |||||
산탄총 | SPAS-12 | |||||
권총 | Webley Mk.IV, Mk.VI, Hi-Power L9A1, M1911A1, P08 | |||||
지원화기 | 기관총 | Lewis Mk.IV, Bren Mk.II, L4, Besa Mk.III, L7A1, MG3, FALO, M1919A4, M60, M2, DShK | ||||
유탄발사기 | M79 | |||||
대전차소총 | Boys Mk.II, S-18/1000 | |||||
로켓발사기 | M20, RPG-7 | |||||
무반동포 | M/42, M40 | |||||
미사일발사기 | FIM-92, 9K32 | |||||
박격포 | M-37 | |||||
화염방사기 | M2, LPO-50 | |||||
유탄 | F1, Mk.2, RGD-5 | |||||
※ 윗첨자C: 민수용 반자동화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FFF |
※둘러보기 :
|
}}}}}} }}}}}} |
냉전기의 대한민국 군경의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대한민국 군경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M1903,
M1917,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1918A2,
M2 카빈,
M14EOD,
M16A1,
K2,
|
|||||
기관단총 | 톰슨 M1928A1, M1A1, M3, M3A1, K1, K1A | |||||
권총 | 자동권총 | M1911A1, K5 | ||||
리볼버 | M1917,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M10 M&PP, M19P, M36P | |||||
산탄총 | 새비지 67/77TG, S&W 모델 916TG, FABARM SDASS(초기형)TG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7A1, M1919A4, M1919A6, M60, M2, K6, M134C | ||||
유탄발사기 | M7, M8, M79, M203, K201 | |||||
대전차화기 |
M9, M20, M20A1K,
M18,
M20,
M67,
M40,
M72 LAW,
|
|||||
화염방사기 | M2, KM202A1 | |||||
박격포 | M1, M2, M29, KM29A1, KM181, KM187, M2, KM30 | |||||
견인포 | M101A1, M101A2, M114, KH178, KH179 | |||||
맨패즈 | 재블린 지대공미사일 | |||||
유탄 | MK2, MK3A2, M67, K75, K400 | |||||
냉병기 | 총검 | KM7, KCB-77 | ||||
특수전화기 | 소총 | 저격소총 | SSG 69, PSG1P | |||
자동소총 | CAR-15, XM177 | |||||
기관단총 | UZI, MAC-10, MP5A3, MP5SD3 | |||||
권총 | PPK, 베레타 92SB, 92F, P7M13P | |||||
산탄총 | M1897, M1912, 윈체스터 1200, 레밍턴 870 | |||||
※TG: 경찰이 시위 진압을 위한 최루탄 발사용으로 사용 P: 군 이외의 경찰이나 대통령경호실 등이 사용 ※ EOD: 폭발물처리용 소총으로 운용(공군)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당시의 영연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말레이시아 비상사태 영연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1 Mk.III, No.4 Mk.I, No.5 Mk. I, De Lisle Carbine, M1903A3 | |||
반자동소총 | M1 Carbine, M1A1, L1A1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II, Mk.V, L2A1, Owen Mk.I, M50, M55, M3, M3A1, M/50 | ||||
산탄총 | L32A1 | ||||
권총 | Webley Mk.IV, S&W M&P, Browning Hi-Power, M1903,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Lewis Gun, Bren Gun, Vickers Mk.I, Browning M1917A1 | |||
대전차화기 | Boys Mk.II | ||||
유탄 | Mills No.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반영 민족해방전쟁기의 말라야 공산당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반영 민족해방전쟁 말레이시아 해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f2023> 리-엔필드, M.95,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Gew88, Gew98, Kar98k, M1903A3 | ||
반자동소총 | M1, M1A1 | ||||
자동소총 | AK-47 | ||||
기관단총 | 100식 기관단총, 스텐 Mk.II, Mk.V, 스털링 기관단총, M50, M55, M1928A1, M1A1, PPSh-41 | ||||
산탄총 | Auto-5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TT-33, C96, P08,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 |||
척탄통 |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 ||||
유탄 | 밀즈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한국전쟁기의 대한민국 국군의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한국전쟁 시기 대한민국 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1918A2, M2 카빈 | |||||
기관단총 | M3 기관단총, M1A1 톰슨 | |||||
권총 | M1911A1, M1917, M10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7A1, M1919A4/A6, M2 중기관총 | ||||
대전차화기 | M9, M20 로켓발사기, 57mm 무반동총, 75mm 무반동총 |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 | |||||
박격포 | 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 |||||
유탄 | Mk.2 수류탄, MK3A2 수류탄, M7 총류탄발사기 | |||||
냉병기 | 군도 | 신군도, 30년식 총검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한국전쟁기의 영연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한국전쟁 시기 영연방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No.1 Mk.III*, No.4 Mk.I, No.4 Mk.I(T), No.5 Mk. I, Pattern 14, De Lisle Carbine | |||
반자동소총 | M1 Garand, M1 Carbine, M3 Carbine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II, Mk.V, L2A1, Owen Mk.I | ||||
권총 | Webley Mk.IV, Browning Hi-Power,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Lewis Gun, Bren Gun | ||
중기관총 | Vickers Mk.I, Besa, Browning M1919A4, Browning M2HB | ||||
대전차화기 | PIAT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Ordnance ML 3 Inch | ||||
유탄 | Mills No.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베트남전기의 호주 · 뉴질랜드 연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베트남 전쟁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연합군단(ANZAC)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 1 Mk. III* (HT), L81A1 | |||
반자동소총 | L1A1 SLR, M21 SWS | |||||
자동소총 | M14, M16A1, CAR-15, XM177 | |||||
기관단총 | Owen Mk.I, L2A1 SMG, F1 | |||||
권총 | L9A1,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L2A1 LMG, M60 | ||||
유탄발사기 | M79, XM148, M203 | |||||
대전차화기 | M20, M72 | |||||
화염방사기 | M2A7-7 | |||||
박격포 | L16 | |||||
폭발물 | 수류탄 | M26 | ||||
화학탄 | M7A2, M18, M25A2 | |||||
지뢰 | M18A1 | |||||
냉병기 | 총검 | M7 총검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f2023> Mle 1886, Mle 1934, MAS-36,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Kar98k | ||
반자동소총 | MAS-49, 게베어 43,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 ||||
자동소총 | StG44, M2 카빈 | ||||
기관단총 | MAS-38, MAT-49, 스텐 기관단총, MP40, 톰슨 M1A1, M/50 | ||||
권총 | Mle 1892, Mle 1935, Mle 1950, 브라우닝 하이파워, HSc,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 ||||
박격포 | 브랑 M27/31, 브랑 M1935 | ||||
유탄 | F1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373a3c>
베트남 전쟁 베트남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 소총 |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AS-36,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XM177, AK-47C, AKMC, 56식 (K-56)C | |||||||
기관단총 | M45, UZI,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 |||||||
권총 |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M10 | |||||||
산탄총 |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 |||||||
지원화기 | 기관총 |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2 | ||||||
유탄발사기 | M7, M8, M79, M203 | |||||||
대전차화기 |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XM26, RPG-7 (B-41)C, M72 LAW | |||||||
화염방사기 | M9A1-7, XM202 | |||||||
박격포 | M2, 브랑 M27/31, M1, M29 | |||||||
폭발물 | 수류탄 | OF-37, DF-37, M26, Mk.2 | ||||||
지뢰 | M14, M15, M16, M18/M18A1 클레이모어 | |||||||
냉병기 | 총검 | M1905, M1, M6, M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 윗첨자C : 북베트남군이나 베트콩으로부터 노획 | ||||
※둘러보기 :
|
}}}}}}}}} |
캄보디아 내전기의 크메르 공화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캄보디아 내전 크메르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AS-36, M1903,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L1A1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A1, XM177, G3 | ||||
기관단총 | MAT-49, M1A1, M3A1 | ||||
산탄총 | M37 | ||||
권총 | M1911A1, M10, M1917, Mk.22, L9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FM 24/29, M1918A2, 브렌 경기관총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1919A6, M60 | ||||
중기관총 | M1917A1, M2H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대전차로켓 | M72, M202 | ||||
무반동총 | M20, M40, M67 | ||||
박격포 | 브랑 M27/31, M19, M29, M2, M30 | ||||
유탄 | 수류탄 | Mk.2, M61, M67 | |||
연막탄 | M18, M34 | ||||
지뢰 | M18A1, M16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말비나스 전쟁 당시의 아르헨티나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373a3c>
말비나스 전쟁 아르헨티나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 반자동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SAFN | ||
자동소총 | FAL, M16A1, BM-59E | |||
기관단총 | PAM-1, PAM-2, FMK-3, ML-63, L34A1, UZI | |||
권총 | M1911A1, Mod.1927,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FAP, MAG, M2HB | ||
미사일발사기 | 블로우파이프 지대공미사일, 9K32 | |||
박격포 | 60mm 박격포, 81mm 박격포, 120mm 박격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228b22> 현대의 브라질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228b22> 소총 | <colbgcolor=#228b22> 돌격소총 | M964 FAL, MD-97, IA2 | ||
저격소총 | M40, M85, M24 SWS, AGLC | ||||
기관단총 | M972 | ||||
산탄총 | 모스버그 M590, 펌프 CBC 칼리버, 레밍턴 모델 870 | ||||
권총 | M973/GC, M975 | ||||
지원화기 | 기관총 | M971 MAG, FN 미니미, MG3, M2HB "브라우닝", M134 미니건 | |||
유탄발사기 | M79, M203, MGL Mk.1 | ||||
대전차화기 | M40, 칼 구스타프 M3, AT4, ALAC, MILAN, ERYX, MSS-1.2 | ||||
박격포 | M949 AGR, 브란트 LR 60mm 박격포, M936 AGR, L16 81mm 박격포, M30 107mm 박격포, M2 RAIADO 120mm 박격포 | ||||
맨패즈 | 미스트랄, 9K38/338 이글라(-S), RBS 70 | ||||
유탄 | M26 수류탄, F1, Mk.2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M964 FAL Para, M16A2, CAR-15, M16A2 코만도, M4A1, G36C, HK416, TAR21 | ||
저격소총 | M24 SWS, PSG-1, 바렛 M82, SIG SSG 3000, 레밍턴 MSR, PGM 338/울티마 라시오 | ||||
기관단총 | MP5, UMP, SMT-9 | ||||
산탄총 | SPAS-15, 베넬리 M4 | ||||
권총 | 글록 19, USP | ||||
대전차화기 | AT4 CS | ||||
박격포 | 코만도 60mm 박격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인도네시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ff0000> 돌격소총 | SS1, SS2, SAR-21, AK-47, 56식 자동소총, Vz.58, AK-101, BM59, M16A1, M16A2, M16A4, M4A1, K2, 갈릴, G36C, FAMAS F1, AUG, SS552, G3, HK416 | ||
지정사수소총 | 갈라츠, MSG90, HK417 | ||||
저격소총 | M24, SPR-1, SPR-2, SPR-3, SSG 69, M93, PGM 헤카테 II, NTW-20, L96A1, AW, AWM, M82A1 | ||||
특수소총 | APS | ||||
기관단총 | PM1, PM1A1, PM2, K7, 마이크로 우지, Vz.61, P90, MP9, MP5, MP5SD, MP7A1, CZ 스콜피온 EVO 3 | ||||
산탄총 | M3T, SPAS-12 | ||||
권총 | P1, P2, G2, HS2000, Mk.23, M1911A1, P226, 92SB, 92F, Five-seven, G17, G19, K5, PPK | ||||
지원화기 | <colbgcolor=#ffffff,#191919> 기관총 | 울티맥스 100, SM2, K3, SPM2, M60, M134D, SMB-QCB, DShKM, M2HB | |||
유탄발사기 | SPG3, AG36, M79, M203, SPG1, M32 | ||||
대전차화기 | RPG-7, M2CG, C90-CR (M3), M80 Zolja, NLAW, AT4, FGM-148, AT-13, PF-89, PF-98 | ||||
박격포 | W87, 81 KRH 71 Y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그리스군 보병장비 | ||||
<colbgcolor=#ffffff,#191919> 개인화기 |
<colbgcolor=#ffffff,#191919> 돌격소총 | G3A3, G3A4, M16A1, M16A2, M16A4, M4, M4A1 | |||
지정사수소총 | G3A3ZF | ||||
기관단총 | MP5 | ||||
권총 | M1911A1, USP9, CZ75 | ||||
지원화기 |
기관총 | HK11, MG3, FN MAG, FN 미니미, M2 브라우닝 | |||
유탄발사기 | H&K GMG, Mk.19, M79, M203 | ||||
대전차화기 | M40 무반동포, LRAC F1, RPG-18, M72A2 LAW, 칼 구스타프 M2, AT4, BGM-71 | ||||
박격포 | M6C-210, E44-E, M1, E56-E | ||||
특수전 화기 |
돌격소총 | G36, AK-74, SCAR-L | |||
지정사수소총 | M14, M110 SASS | ||||
저격소총 | 케페우스, AW, M82A1M, M95, SSG 69 | ||||
기관단총 | UZI, MP5SD, MP7, P90 | ||||
산탄총 | 베넬리 M4 | ||||
권총 | 글록 17 | ||||
기관총 | M60E4 | ||||
치장/ 의장/ 예비용 화기 | M1 개런드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373a3c><colbgcolor=#fdb913> 현대의 리투아니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colbgcolor=#fdb913> 소총 | <colcolor=#373a3c><colbgcolor=#fdb913> 돌격소총 | AK4, G36C, G36KA4, G36KV1, HK416A5, wz.1996A, M16A2 | |||
지정사수소총 | PSG1, MSG90A1, Mk.14 EBR, SCAR-H PR | |||||
저격소총 | TRG-22, SSG 69, FR-F2, 헤카테 II, M82A1 | |||||
산탄총 | 베넬리 M4 | |||||
기관단총 | MP5SD3, UMP45, Mini Uzi | |||||
권총 | M1911A1, 브라우닝 하이파워, USP9, G17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3, FN MAG, FN 미니미, M2HB | ||||
유탄발사기 | AG36, GMG, 팔라트 | |||||
대전차화기 | RPG-7, AT4, 칼 구스타프 M2, 칼 구스타프 M3, FGM-148 | |||||
맨패즈 | RBS 70, 그롬, FIM-92 | |||||
수류탄 | SWSG, RGD-5, M18 | |||||
박격포 | M6, LM-60, M60, M19, M/41D, M1982, M38/43, 2B11 | |||||
치장/ 의장/ 예비용 화기 | M1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808080,#7f7f7f> 현대의 독일 연방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808080,#7f7f7f> 소총 | <colbgcolor=#808080,#7f7f7f> 돌격소총 | G3, G8, G36, G37, G38, G95, MCX | |||
지정사수소총 | G3SG/1, G28 | |||||
저격소총 | G22, G24, G25, G82, G29 | |||||
기관단총 | MP2, MP3, MP4, MP5, UMP, MP7A1 | |||||
산탄총 | M870, FP6 | |||||
권총 | P52, P1, P4, P5, P6, P7, P8, P9, P10, P11, P12, P21, P30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3, MG4, MG5, HK23, MG50 | ||||
유탄발사기 | AG40-1, AG40-2, HK79, GMW 40mm | |||||
대전차화기 | PzF-3, Leuchtbüchse 84 mm, RGW90, MILAN, EUROSPIKE | |||||
박격포 | Soltam K6 | |||||
맨패즈 | Fliegerfaust 2 | |||||
유탄 | DM41, DM51 | |||||
지뢰 | PARM 2 | |||||
냉병기 | 총검 | KCB-77 | ||||
의장용 화기 | Kar98k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현대의 대만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white,#191919> 57식 소총, T65, T65K2, T86, T91, T68, M16A2, M4A1, Mk.18, G36C | ||
저격소총 | M24 SWS/T93K1, M82A1, M107A1, DSR-1, PSG1, SSG 2000, T108 | ||||
기관단총 | T77 기관단총, UZI, MP5A5/SWA5, FN P90, MPX | ||||
산탄총 | SPAS-12, 베넬리 M4 | ||||
권총 | T51K1, T75K1, G17, G19, G26, USP | ||||
지원화기 | 기관총 | 57식 기관총, T74 다목적 기관총, T75 분대 기관총, T90 중기관총, GAU-19 중기관총 | |||
유탄발사기 | T85 유탄발사기, T91 40mm 자동유탄기관총, MGL Mk-1, MGL-140 | ||||
대전차화기 | 1식 66mm 대전차 로켓, APILAS, FGM-148 재블린, 홍준, BGM-71 TOW-2A/B, M136 | ||||
박격포 | T63 120mm 박격포, T75 60mm 박격포, T75 81mm 박격포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필리핀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0909d9> 돌격소총 | M653, M16A1, MID-16, M16A2, M16A4, M4A1, R4A3, Mk.18, AUG, AKM, HK416, SCAR, M-311-1, CQ-A5 | |||
저격소총 | 해병대 저격소총, M40A3, M40A5, M21, M24, SR-25, PSG1, CS/LR4, M93, Tac-50, M14, M82 | |||||
기관단총 | M3 기관단총, MP5, UZI | |||||
산탄총 | M870 | |||||
권총 | M1911, TAC Ultra FS HC, G17, G21, 베레타 92 | |||||
<colbgcolor=#ff0000> 지원화기 | <colbgcolor=#ff0000> 기관총 | M1919A1, Minimi, K3, M60, M134, M2HB, M2A1, Arsenal MG | ||||
유탄발사기 | M320, M203, M79, STK 40 AGL | |||||
대전차화기 | M72 LAW, M67 무반동포, M40 무반동포, 69식 화전통/RPG-7V2, PSRL-1, AT4 | |||||
치장/ 의장/ 예비용 화기 | M1 개런드, M1 카빈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현대의 이란군 보병장비 | ||||
<colbgcolor=white,#191919> 개인화기 | <colbgcolor=white,#191919> 소총 | <colbgcolor=white,#191919> 돌격소총 | KL-7.62, AKM, 56식 자동소총, 사야드 5'56, KH-2002, 줄피카르, G3A6, HK53, AK-103, 파지르 224 | ||
저격소총 | 나흐지르, 타헤르, 사야드, 아라시, 샤헤르 | ||||
기관단총 | UZI, MPT-9, Z84 | ||||
권총 | M1911A1, 브라우닝 하이파워, PC-9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K, MGA3, PKM-T80, 아흐가르, MGD, 무하람 | |||
유탄발사기 | 나시르 | ||||
로켓발사기 | RPG-7, 69식 화전통, 사에게, RPG-29 | ||||
미사일발사기 | 라아드, 9K111, 9M113, 9K115-2, 데흘라비, 사에게 1/2, 투판 | ||||
무반동총 | SPG-9, M40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1]
의외지만 총덕중에 이 사실을 잘 모르는 총덕들도 많다. 그래서 1911을 그냥 예명으로만 알고있다가 제식이 된 년도가 1911년임을 알고 경악하는 사례도 많다고...
[2]
서울시 경찰박물관 전시품
[3]
톰슨 기관단총을 개발했다.
[4]
콜트 사의 총은 아무런 오작동 없이 통과했으나 새비지 사의 총은 총 37번의 오작동이 있었다. 그렇다고 새비지의 모델이 나빴다는 건 아니다. 오작동과 불량률은 매우 낮았으나 한번도 고장과 오작동이 안나온 콜트 사의 모델을 만나 운이 나빴던 것.
[5]
현대 들어오기 전까지도 권총사격 교리는 그렇게 발달이 잘 안되어서 한손 사격이 기본이었고 두손으로 잡고 쏘는 법 같은 건 안가르쳤고 그렇게 잡고 쏴볼 생각도 안했다. 2차 대전을 넘어 한국전 당시까지 권총=한손사격이 당연시되었다는것. 추가로 M1911의 탄창 용량은 7발, 약실 포함 8발이다. 이 말은 요크는 돌진해오는 적들을 한 손으로 든 권총으로 죄다 원샷 원킬해댔다는 거다.
[6]
더 무서운 점은 이 때 요크는 앞사람부터 쏴서 제압하면 나머지가 돌격을 멈추고 대응사격을 할 것을 염두해서 가장 뒤에 있는 적부터 차례로 사살했다. 저런 급박한 상황에서 그런 냉철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게 신기할 따름.
[7]
미군은 이 사람의 이름을 딴
M247 서전트 요크(M247 Sergeant York)
자주대공포를 도입하려 했으나 무산되었다. 문서 참조.
[8]
M37
산탄총으로 유명한 그 회사 맞다. 처음에는
M1 카빈 부품생산이 우선시되어 55,000→35,000으로 줄었다가 M1 카빈 생산설비가 거의 다 갖춰지자 다시 55,000정으로 늘어났다.
[9]
순정 부품을 원하는 총기 마니아들에겐 반갑지 않은 일이라서, 미국에서 상태는 좋은데 비교적 값싼 M1911A1은 모두 이런 식으로 수리된 권총들이라고 한다.
[10]
브라우닝 하이파워 역시
프랑스 침공 후 벨기에를 점령하고 나서 비슷한 과정을 거쳐 독일군에게 꽤 많이 사용됐다. 이런 역사 때문에 매체 등에서 묘사되는 독일군의 손에 어느 권총이 들려있건 고증오류가 아니라는 말이 있다. 당장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쓰인 유명한 권총 대다수를 주워다/생산해서 썼다. 일본제는 빼고
[11]
아사마 산장 사건에서 기동대 역시 M1911을 사용했다. 같은 사건을 다룬 영화 돌입하라 아사마 산장에선 인트로에서 기동대 분대장이
적군파 멤버들 숨은 곳 수색하기 전 실탄 장전하다 탄창을 떨어뜨리는 개그를 보여 준다.
[12]
예시를 하나 들자면, M1911의 무게는 1kg가 넘어가지만, 현대 폴리머 권총의 시작이자 베스트셀러인 글록은 700~800g에 불과하다.
[13]
이는 심지어 SF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데이비드 웨버의
아너 해링턴 시리즈에서는 30세기의 미래에 주인공이 M1911을 골동품 총기로서 휴대하고 다닌다.
[14]
1911은 심지어 방아쇠 느낌마저 좋은 편에 속한다.
[15]
커스텀 파츠만 모아서 제대로 한 자루 만들 수 있다는 말도 허풍이 아니다.
[16]
아이러니하게도 미국 수출로 꽤 성공했는데, 이쪽은 복고풍 스타일로 제작되어 민간인 슈터들에게 인기가 많으며 수천, 수만달러를 부어 경매에서 사야 하는 콜트제 진품과 꽤 비슷하게 생겼다.
[17]
위에서 서술했듯 구하기 쉬운 9mm 등이 주이다.
[18]
1911을 검색하면 자주 보이는 두꺼운 탄창범퍼가 바로 10발들이 탄창의 탄창범퍼이다.
[19]
쇼트 리코일을 처음 사용한 것은 아니다. 쇼트 리코일을 이용한 자동권총이라면 1911이전에 캠을 이용한 방식을 보여준
루거 P08권총과 슬라이드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더 오래된
마우저 C96이 있기 때문.
[20]
기존에 사용하던 단순
블로우백 방식의 권총은 가스압으로 탄자를 밀어낼 뿐만 아니라 탄피 또한 슬라이드를 밀어 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사거리가 작아질 수 밖에 없었다.
[21]
당연하게도 총열이 위아래로 요동치면 명중률이 떨어질 수 밖에 없기때문. 그래서 총열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대신 총열은 앞뒤로만 움직이고 다른 여러가지 방식으로 약실폐쇄를 만들었다.
[22]
로열 블루잉 피니쉬라고 하며
콜트 파이슨에서도 적용되어 그 명성을 떨쳤다.
[23]
스프링필드 아모리와 콜트가 경쟁했으며, 30년 넘게 군용 권총과는 인연이 없던 콜트보다는 스프링필드가 유력했으나... 콜트의 XSE가 승리했다.
[24]
물론 .45구경 M1911도 사용했다.
[25]
2005년에
미합중국 육군의 FHS(Future Handgun System, 미래형 권총) 사업과 합쳐져 JCP(합동 전투용 권총, Joint Combat Pistol)로 변경되었다.
[26]
필리핀의 방위사업체로, 필리핀군에 AR-15와 M1911 등을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납품한다.
필리핀군과 협약을 맺어 예비군 사령부 예하에 친선 대대를 설립한 회사중 하나이기도 하다.
[27]
이 회사는 자국군을 위해
M16 소총을 라이센스 생산하기도 했다.
[28]
아카데미과학에서 세미전동건으로 예전에 발매한
GSG522 또한 이 회사의 제품으로, 무려
MP5를 .22LR탄으로 컨버전한 물건이다(...). 다만 원본 GSG522의 경우, 현재는 단종되었는지 GSG 사 홈페이지에 미등록되어 있다.
[29]
물론 .45 ACP 탄 자체가 워낙 조용한 물건인 탓에 M1911이 고평가 받은 감도 있다. 물론 .22LR 탄 역시 토끼같은 물건은 한 방에 보내는 데다가 머리같은 급소가 보호되지 않는 암살 같은 상황에서 꽤나 쓸만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30]
참고로 GSG 사는 실총 말고도
공기총(
#)이나
에어소프트건(
#),
다트건(
#) 같은 물건들도 판매함으로 관심 있는 위키러들은 한번 들어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
[31]
태극기 대신 걸린
인공기는 이안의 실수였다고 한다.
[32]
정확히 말하면 국가 기록원의 "군수공장의 창설" 문서에 의하면 6·25전쟁의 발발로 부산을 제외한 모든 생산시설이 적의 수중에 들어가 파괴됨에 따라 부산의 시설만을 이용하여 수류탄의 생산과 노획병기의 정비 등에 주력하였다. 그러던 중 전세 역전으로 9·28수복이 이루어지자, 이 군수관련 기구들은 일시 서울로 이동하였으나 전세가 악화되어 다시 철수하게 되자, 제2조병창은 제주도로, 본부와 과학기술연구소는 부산으로 각각 이동하여 병기를 생산하였다. 1951년에 접어들면서 일본으로부터 수류탄 자재, 뇌관 도입선을 수입하여 타격식의 수류탄을 다량으로 생산하기 시작하였고 이와 더불어 99식 소총탄환과 대한식 소총 그리고 대인 지뢰와 30kg 폭탄도 제조하기 시작했다는 기록도 있다. 즉 이 시기에 M1911을 복제한 것으로 보인다.
출처
[33]
척 봐도 제작 가공이 어려운 총열은 물론이고, 슬라이드, 리시버, 고정핀까지도 제대로 (경제성 있는) 대량양산을 하려면 상당히 높은 가공기술을 요구한다.
[34]
플래툰(잡지) 2018년 7월호 기사에 따르면 부산에서 제작한 1911은 1911 부품 자체 생산 후 신뢰성 확인을 위해 소량 조립해 본 것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고, 수작업으로 만들어 조잡하긴 하지만 실물을 관찰해보면 품질 자체는 그렇게 나쁘지 않았다고 한다. 원본 자체가 엄청난 신뢰성을 지닌 물건이라 그런 듯.
[35]
박동찬, 6.25 전쟁 주요무기 I: 유엔군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36]
현역으로 쓰이는 수량 기준. 한국군은 2차 대전 때 쓰던 낡은 총들도 발사가 되고 그에 맞는 탄약이 있다면 창고에 처박아 두더라도 안 버린다.
[37]
특히 겨울에 사격하면 분명히 조준했음에도 불구하고 30~40%의 정확도를 보이는 장교가 적었다고 한다. 나머지 장교들은 그 이하의 정확도를 보여줬다고 한다. 물론 비전투병과였기는 하지만… 원래 명중률이 높은 총은 아니다.
[38]
특히 병원의 군의관에게는 100% M1911A1이 지급된다. 그래서 군 병원 총기고를 개방하면 장교용의 M1911과 부사관, 사병용의 M16A1 수량이 거의 1:1을 이루는 재미있는 광경을 볼 수 있다.
[39]
부대 사정에 따라 다르지만, 간이 무기고엔 휴일, 야간 근무중에 넣어 두는 것이고, 평시에는 제대로 된 무기고에 둔다. 당직사관이 근무 들어갈 때 무기고에서 수령해 차고 가는 것. 근무 끝날 때 무기고에 반납한다.
[40]
M10 리볼버를 쓰는 이유는 휴대성 때문으로 보인다.
[41]
그러나 LH9의 도입은 예산 문제로 취소되고 전량 일반 K5로 대체되었다.
[42]
총기를 제작한 회사가 아닌 다른 회사. 이 회사에서 만드는 부품은 흔히 호환 부품 정도로 불린다.
[43]
실제로 편하게 부를 땐 구경 이름으로 총을 부르는 게 흔한 일이다.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은 그냥 핍티 캘, 수많은 리볼버 권총들은 .38, .357이나 .44 붙이는 것도 생략하고 그냥 매그넘, 마그남이라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44]
다만 보통은 스프링필드보다는
M1 개런드를 들고 다니기에 1911의 신세를 질 일은 많지 않다.
[45]
이 때 스네이크가 피우던 담배를 급하게 꺼가면서 총의 구석구석을 살피며 마치 예술작품을 품평하는 것처럼 총을 극찬하는 개그씬을 볼 수 있다. 모르는 사람이 보면 '저 아저씨 왜 저러나' 싶을 정도… EVA는 이 총을 서방의 어느 무기 창고에서 입수했다고 하자 스네이크는 이런 걸 대체 어떻게 입수했냐고 끈질기게 묻지만, EVA는 '스네이크가 할 수 없는 방법'으로 입수했다고만 말하고 더는 말하지 않는다. 아마도 미인계를 써서 구한 모양⋯
[46]
싱글 액션 리볼버와 싱글 액션 자동권총의 차이점이기도 하다. 쏘기전에 해머를 제껴야하며, 제끼지 않으면 백날 방아쇠 당겨봐야 발사가 안된다는 것은 둘다 같지만, 리볼버의 경우 사람이 손으로 직접 제껴야한다. 반면, 자동권총의 경우는 사람의 손이 하던 것을 권총의 슬라이드가 대신 해주기 때문에 초탄 사격 후 별도로 해머를 제낄 필요가 없는 것이다.
[47]
'배틀필드 베테랑'이었다가 이름을 바꾸었다. 이름만 바뀌었지 기존과 똑같으니 당황하지 말 것.
[48]
물론 파이슨이 데미지가 가장 좋지만, 1911 아킴보는 반동, 데미지, 탄창수 등 종합적으로 우수하다.
[49]
해당 그립은 실존하는 제품으로 팩마이어(Pachmayr) 사의 아메리칸 레전드 그립이다.
[50]
에피소드 1 파리 "Showstopper" 마스터리 레벨 10 달성시.
[51]
물론 이 카피판도 성능이 매우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
[52]
소음기와 개머리판, 레드 도트 사이트
[53]
감자, 메테오, 사바나에만 나온다.
[54]
예전엔 은장이였다가 지금은 흑색으로 바뀌었다.
[55]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요짐보를 리메이크한
브루스 윌리스 주연 영화.
[56]
잭슨의 경우
오마하 해변에서만 썼지만 호바스 중사의 경우 라멜에서
카빈의 탄이 떨어지자 독일군을 향해 쏘긴 한다. 라멜에서 호바스 중사는 카빈 탄 다떨어졌는데, 갑자기 골목에서 독일군 병사랑 조우하니까, 일단 자기 철모 집어던지고, M1911을 쏴서 그 병사를 사살한다.
[57]
사실 배틀로얄 1편에선 물총이었지만…
[58]
샘 페킨파 감독의 서부 영화.
[59]
월남전
이아드랑 전투(Battle of Ia Drang)를 소재로 한 영화.
[60]
참고로 그 특무경찰이 소지한 권총은
루거 P08. 일제가 전시에
나치당과 추축동맹이 되는 것을 감안하면 의미심장한 극장치. 물론 루거나 M1911이나 2차대전 이전의 물건이고, 유럽이 아닌 다른 나라에도 카피 등의 형태로 많이들 뿌려졌지만 말이다.
[61]
사실 왼손에는
SIG P226을 들었다가 마지막에 M1911로 바뀐다.
[62]
M1917을 사용.
[스포일러]
사실은
아카이 슈이치는 죽지 않았다. 코난 또는 아카이와 모종의 거래를 한 키르가 진짜같은 연극을 한 셈이다. 피는 옷속 또는 모자에 숨겨둔 장치에서 나온 물감인 거고, 아카이를 향해 쏜 총의 총알은 사실은 공포탄이였다. 이후 아카이는 키르의 차를 타고 도망친 다음
다른 사람으로 변장해서 정체를 숨기면서 살아왔다. 이 사실은 주홍색 시리즈에서 밝혀진다.
[64]
이 점때문에 비탄의 아리아의 안티팬들은 이 점을 까기도 한다. 확실히 자신의 생명을 다루는 도구를 그저 멋으로만 평가한다면 그것은 무척 잘못되었다.
[65]
원작인
팬텀 오브 인페르노에서도 사용한다. 해당 총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한다.
[66]
이 총은 복수의 대상자인
반노 클레멘테에게 받았다. 당연히 준 당사자가 복수의 상대이기 때문에 이 총으로 죽임을 당했다.
[67]
본 내용은 로그 트레이더 시절의 구판에서만 언급된 내용으로 폐기된 설정일 가능성이 높다.
[68]
그 중 현대과학에서 출시되었던 콜트 스텐다드 에어건 모델의 경우 터미네이터 2에서 T-800이 빼앗고 사라 코너가 사용하던 모델과 매우 유사하다. 헤머가 재껴지고 나름 큰 사이즈의 탄창이 장점이나 탄피배출구 위치에 오류가 있다.
[69]
아카데미에서 민수형인 MK.4를 발매 했었는데 각인만 빼면 실루엣이 현대과학보다 뛰어났다.
[70]
해머 몰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