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3 04:43:16

모델 1935

M1935A
Pistolet automatique modèle 1935A
파일:French-Mle1935a-Full-B-right.jpg
파일:French-Mle1935a-Full-B-left.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자동권총
원산지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folding 【펼치기 · 접기】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35년~ 1960년대
개발 샤를 가브리엘 페테르
개발년도 1935년
생산 SACM
생산년도 1937년~ 1956년
생산수 84,000정
사용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사용된 전쟁 제2차 세계대전
1차 인도차이나 전쟁
알제리 전쟁
기종
파생형 M1935A
M1935S
M1935S M1
세부사항
탄약 7.65×20mm Longue
급탄 8발들이 박스탄창
작동방식 쇼트 리코일
총열길이 109mm
전장 197mm
중량 730g (A)
790g (S)
탄속 345m/s }}}
1. 개요2. 모델 1935A3. 모델 1935S4. 기타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사격 영상

프랑스의 모델 1935으로 불리는 권총은 1935A와 1935S 두 종류가 있다.

1935A는 프랑스의 샤를 페테르(Charles Petter)가 1935년에 개발하고 SACM(알자스 공업사)에서 생산한 자동권총.

1935S는 프랑스의 국영 조병창인 MAS(생테티엔 조병창)에서 개발 생산한 자동권총이다.

둘은 탄종만 같을 뿐 설계는 완전히 다른 총이다.

2. 모델 1935A

프랑스 군부는 유럽에 흐르는 전운을 느끼고는 다시 있을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새로운 부무장을 뽑기 위한 테스트를 실시하는데 이 테스트에 참가한 회사 중 두 곳이 SACM과 MAS였다. FN 하이파워의 프로토타입 역시 최종 후보였는데 결국 탈락했다.

SACM이 응모한 권총은 1935A, MAS가 응모한 권총은 1935S로 명명된다. 처음 승자는 SACM가 따가게 된다. 하지만 군부는 SACM 사가 권총에 대한 모든 생산을 하는 것은 무리일거라 생각했고 탄약의 생산은 MAS가 담당하도록 하였다.

탄약인 7.65×20mm Longue (또는 .32 French Long) 탄약은 페더슨 장비의 .30-18 오토 탄약을 프랑스식으로 재생산한 탄약으로, MAS-38 기관단총도 사용한 탄약이다. .32 ACP보다는 좀 강한 정도의 위력, 혹은 .380 ACP의 가장 약한 장약 수준에 맞먹는 정도. 그럼에도 탄약 길이는 쓸데없이 좀 길다.

샤를 페테르의 디자인은 존 브라우닝 M1911과 흡사한 부분이 많았는데, 총열과 슬라이드의 결합 록킹 러그의 구조라든가, 쇼트 리코일을 위한 링크 부분이 슬라이드 스탑 축에 끼워지는 등 노골적인 1911의 카피. 사실 채용 공고를 낸 프랑스 군부 자체가 1911을 보고 그 완성도에 놀라서 이거 정도면 되겠다, 하지만 .45 ACP는 너무 강해서 별로니까 7.65mm Longue 탄을 채택한 국산을 만들라고 요구해서 나온 것이다. 때문에 사실 7.65mm Longue 탄은 쇼트 리코일을 쓸 필요가 없는 약한 탄임에도 불구하고, 요구 제원이 1911 카피 급이라서 굳이 쇼트 리코일을 택했다(…).
그래도 바렐 부싱을 제거하고 리코일 스프링 가이드가 슬라이드 끝까지 길게 뻗은 캡티브 막대형 가이드를 채택하며, 시어-메인 스프링-해머의 격발 그룹을 하나의 유닛화 해서 뽑아내기 쉽게 하는 등 나름의 개량을 가했다. 이 격발 그룹 유닛화도 프랑스 군의 요구 제원이었다.

개발 자체는 이름에도 써있는 1935년부터 시작됐지만 프랑스군에는 약 2년간의 시험을 거친 뒤 1937년부터 채용되었다. 이 마저도 채용연도가 1937년이지, 실질적으로 무기가 조달된 시기는 1939년부터였다고 한다.

독일이 프랑스를 점령하기 전까지 약 10,700정의 모델 1935가 생산되어 프랑스군의 손에 쥐어졌고, 이후 프랑스를 점령한 독일군은 모델 1935가 제법 쓸만한 권총이라고 생각하여 생산을 담당한 공장의 문을 닫지 않고 Pistole 625 (f)라는 제식명을 붙힌 뒤 생산을 재개했다.

이 독일 점령하에 생산된 모델 1935는 23,850정에 달했으며, 전쟁이 끝나기 전까지 알게 모르게 독일군의 손에 쥐어져 쓰였다. SACM 사는 전쟁이 끝난 후에도 모델 1950이 개발되기 전까지 다시 생산을 시작했으며 6년이라는 짧은 시간동안 약 50,400정이 만들어져 기나긴 시간동안 프랑스군에게 쓰였다. 전쟁 전부터 전후까지 총 생산량은 8만 정을 좀 넘는다.

스위스의 당시 무기 제조 회사였던 SIG 社에서 M47, M48이라는 이름으로 면허생산을 하고 나중에는 아예 모델 1935A의 구조를 상당부분 참조한 P210을 개발했다. 특히 디자인 언어에서 꽤 비슷한 면을 볼 수 있다. 하지만 1935A는 슬라이드가 프레임 바깥에서 감싸는 평범한 형태.

1935A 자체는 P210 수준의 전설적인 성능을 내진 못하고 그냥 평범한 수준이었지만, 명품 권총의 선조격이라는 것만으로도 나름 총기 역사에 영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디자인도 1935S보다 괜찮고, 그립감도 좋았다. SACM이 처음 만든 총 치곤 꽤나 완성도 높은 물건.

다만 현재 평가하자면 아무래도 낡은 구식 싱글액션 싱글스택 자동권총. 요즘 사격 제식대로 권총을 올려쥐면 해머나 슬라이드가 엄지검지 사잇살을 씹는 해머바이트가 일어나기 쉽다. 슬라이드 후방에 달린 안전장치도 위치와 형상, 작동 각도 탓에 불편 내지는 결함이 있는 물건이다. 안전장치를 걸면 슬라이드 위로 귀처럼 안전장치가 튀어나와 걸리적거린다. 요즘 안전장치처럼 딸깍 하고 걸리는 느낌도 없고, 권총 쥔 자세에서 엄지로 쉽고 빠르게 걸기도 어려워 조작성도 나쁘다. 운 나쁘면 슬라이드 당기다 안전장치가 애매하게 움직여버릴 수도 있다. 그나마 안전 상태에서는 위로 튀어나온 안전 레버가 시야에 잘 들어오기 때문에 안전이 걸렸다는 걸 직관적으로 알기는 쉽다. 매거진 디스커넥터가 있어 탄창이 빠진 상태에서는 격발되지 않는다.
여러모로 문제 있고 결함 구조에 가까운 이 안전장치 문제는, 그게 프랑스 군부의 요구 제원이었기 때문이다. 슬라이드에 달려 있을 것, 안전장치를 건 상태에서도 방아쇠를 당기면 해머는 움직이지만 해머가 공이를 때리지는 못하게 막는 해머 블록식일 것이 요구 조건이었는데, 현대적 안전장치 사용 방식을 거의 역행하는 수준. 매거진 디스커넥터도 군부의 요구 제원인데, 현대 와서는 별로 쓸모 없다는 의견이 주류지만 당시에는 그럭저럭 흔하게 택한 안전 기능이라 단점까지는 아니다.

3. 모델 1935S

1935A를 채택했으나 실제 납품은 꽤 늦어졌고, 전운이 짙어지자 다급해진 군부는 제때에 SACM이 필요량을 전부 다 공급할 수 없을 거라 봐, 1938년 MAS와도 별도로 계약해 1935S도 납품하도록 지시한다. 뿐만아니라 MAS는 민수용으로 팔던 MAB 모델 D와 Unique 17도 전량 군으로 납품을 돌렸다.

1935S 역시 같은 7.65mm Longue 탄을 쓰고, 브라우닝식 링크 사용 쇼트 리코일 구조, 비슷한 위치의 안전장치를 가졌지만, 그 이외엔 공통점이 거의 없다. 1935A는 바렐-슬라이드 결합 로킹 러그가 1911과 같지만 1935S는 탄피배출구를 턱으로 삼아 약실이 로킹 러그 역할을 하는 좀 더 단순하고 개선된 구조를 택했다.

MAS 사는 모델 1935S를 1939년부터 생산했으나, MAS 사는 권총 말고도 만들어야 할 게 많았기에 얼마 후 1940년 프랑스가 독일군 손에 넘어갈 때까지 1935S의 생산량은 약 1400정에 지나지 않았다. MAS 사의 제작자들은 독일군의 손에 자국의 권총이 쥐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공장의 핵심 치공구와 기계들을 숨겼고 결국 독일군은 1935S의 생산은 포기했다는 이 있다.

사실 이 이야기의 신빙성은 믿거나말거나인데다 믿는다 해도 큰 의미는 없는데, 사실 독일 입장에선 노획한 1935A와 1935S 둘 다 써보니 1835A가 확실히 더 낫다고 판단했고, 접수 단계에서의 생산량도 1935A 훨씬 많았으며, 1935A 설비는 고스란히 접수했기에 굳이 기를 쓰고 1935S를 더 찍을 필욘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MAS 공장 자체는 나치 독일과 비시 프랑스 하에서 MAS-38을 생산하는 등 정상적으로 부역했다. 숨길 거면 더 중요한 기관단총 설비나 숨길 것이지, 꼴랑 얼마 만들지도 않은 권총 숨겼다는게 어째 좀…. 게다가 압수한 소량의 MAS제 권총들 자체는 나치 독일/비시 프랑스도 잘만 써먹었고.

1944년, 프랑스가 다시 독일을 밀어내고 자유를 얻어내자, MAS 사는 생산을 재개했다. 그 이후부터 프랑스군은 대부분의 무기 생산을 MAS에게 맡겼고, MAS는 프랑스 내 최대 조병창이 된다. MAS는 전후에 약 6,000정의 모델 1935S를 생산했고 그 외에도 샤텔레로(MAC), SAGEM, 마뉴프랑스 등 다른 회사도 판권을 사들여 많은 양을 생산해 최대 82,773정이 프랑스 내에서 생산되었다.

총 자체는 1935A랑 비교해서 성능이 딱히 떨어지지는 않으나, 마찬가지로 현재 와서 평가하면 평범하게 낡은 구식 구조. 1935A보다도 심하게 해머 바이트가 일어나 엄지검지 사잇살이 씹히기 쉽고, 안전장치 역시 마찬가지로 위치가 슬라이드 뒤쪽에 있어 슬라이드 당기다 걸리기 쉬우며(특히 후기형), 단순한 해머 블록식이고, 매거진 디스커넥터가 있다. 역시 프랑스 군부 탓.
사실 1935S는 초기형과 후기형의 세이프티 작동 각도가 반대다. 전후 MAS 이외의 공장에서도 1935S를 생산하면서 안전장치 구조를 바꾸었는데, 프랑스에서 같이 쓰던 1935A와 같은 작동 방향으로 해서 사용자가 일관적으로 느끼게 하려 한 듯하다. 하지만 현대적인 관점에서는 초기형이 더 나은(현대적으로 익숙한) 형태다보니, 지금 보기엔 일관적으로 결함 있는 구조(…). 안전장치를 걸었을때 1935A가 위로 툭 튀어나온다면 1935S는 뒤로 툭 튀어나온다.

1935S의 설계는 프랑스의 후계 제식 권총인 모델 1950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4. 기타

5.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le 1874, Mle 1886, Mle 1916, Mle M1907/15 M34, MAS-36
반자동소총 Mle 1917, RSC Mle 1918, MAS-40, MAS-44
기관단총 MAS-38, EMP35, M1928
권총 MAS 1873, Mle 1892, 92 Espagnol, M1907, 루비 권총, Mle 1914, MAB Mle D, Mle 1935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1909, CSRG 1915, Mle 1918 B.A.R., Mle 1922, Mle 1926, FM 24/29
중기관총 Mle 1907, Mle 1914, Mle 1930, Mle 1922, Mle 1933, MAC 31, MAC 34
대전차화기 보이스 대전차 소총
박격포 Mle 27/31, Mle 1935
유탄 F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프랑스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Mle 1886, Mle 1934, MAS-36, FR-F1, FR-F2,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리-엔필드
반자동소총 MAS-49, M1 개런드, M1 카빈, G3SG/1
자동소총 FAMAS F1, CETME 모델 B, SG540, M2 카빈, M16A2
기관단총 MAS-38, MAT-49, PM9, M1928A1, M1A1, 스텐 기관단총, MP40, Mini Uzi, MP5A3
산탄총 발트로 PM-5, 레밍턴 M870, Manufrance Rapid
권총 Mle 1892, MAB Mle D, Mle 1935A, Mle 1935S, Mle 1950, PAP F1, PA-MAS G1, 마뉘랭 MR 73, M686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브렌 경기관총, Minimi
중기관총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HB
로켓발사기 M1A1, M9A1, M20, PIAT, LRAC F1, RAC-112 APILAS
미사일발사기 MILAN, Eryx, Mistral
무반동총 M18, M40
화염방사기 M2, LFP 54
박격포 브랑 M27/31, 브랑 M1935, M1, M2
유탄 F1 수류탄
취소선 :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f2023> Mle 1886, Mle 1934, MAS-36,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Kar98k
반자동소총 MAS-49, 게베어 43,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자동소총 StG44, M2 카빈
기관단총 MAS-38, MAT-49, 스텐 기관단총, MP40, 톰슨 M1A1, M/50
권총 Mle 1892, Mle D, Mle 1935, Mle 1950, 브라우닝 하이파워, HSc,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중기관총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무반동포 M18
로켓발사기 PIAT, M9, M20
화염방사기 M2, LFP 54
박격포 브랑 M27/31, 브랑 M1935, M1, M2
유탄 F1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나치 독일군의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Gew71V, Gew88/05V, Gew98, Kar98b, Kar98k, VG1V, VG2V, VG3V, VG4V, VG5V
반자동소총 G41, G43, MP507V
자동소총 FG42, MKb42, MP43, StG44
컴비네이션 건 M30
기관단총 MP18, MP28, M712, MP35, EMP35, MP38, MP40, MP41, EMP44V, MP3008V
권총 M1883, C96, M1907V, P08, M1915, PPK, M1934, 38H, P38, HSc, 국민권총V, 아스트라 400, 아스트라 600/43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G08/15, MG15nAV, MG13, VMG27, MG30, MG35/36
중기관총 MG08, MG15, MG34, MG42, MG81
대전차화기 대전차 소총 M1918V, PzB 38/39, PzB M.SS.41, S-18
대전차 로켓 파우스트패트론 30, 판처파우스트 30/60/100/150, 라케텐판처뷕세 43, 54, 54/1
기타 대전차 권총, H3, H3.5
화염방사기 플라멘베르퍼 35, 플라멘베르퍼 41/42
박격포 8cm 그라나트베르퍼 34/42, 5cm 그라나트베르퍼 36, 12cm 그라나트베프퍼 42, 10cm 네벨베르퍼 35/40
맨패즈 플리거파우스트
유탄 M24, N39, M43, M39, GrB 39, 게베어그라나텐게레트
지뢰 S미네
노획무기 오스트리아 P12(ö), G29/40(ö), Gew95(ö), MP34(ö), MG07/12(ö), 8.14cm GrW33(ö)
헝가리 Gew98/40(u), P37(u)
체코슬로바키아 Gew95(t) Gew24(t), Gew33(t), Gew33/40(t),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ZH-29, ZK-383, P24(t), P27(t), P39(t), MG26(t) ,MG30(t), MG37(t), 8cm GrW36(t), 8.14cm GrW278(t)
폴란드 Gew29(p), Gew298(p), Gew98(p), Gew299(p), Kar493(p), Kar497(p), Wz.38M, R612(p), P35(p), P645(p), MG28(p), MG154/1(p), MG154/2(p), MG30(p), MG249(p), MG238(p), MG257(p), MG248(p), PzB770(p), 4.6cm GrW36(p), 8.14cm GrW31(p)
노르웨이 Gew211(n), Gew213(n), Kar411(n), Kar412(n), Kar413(n), Kar414(n), R610(n), P657(n), MG102(n), MG103(n), MG201(n), MG240(n), MG245/1(n), MG245/2(n)
덴마크 Gew311(d), Kar506(d),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6(d), P644(d), MP741(d), MP746(d), MG158(d), MG159(d), MG258(d), 8.14cm GrW275(d)
벨기에 Gew220(b), Kar420(b),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0(b), P621(b), P622(b), P626(b), P641(b), P640(b), MP740(b), MG125(b), MG126(b), MG127(b), MG220(b), MG221(b), MG222(b), 5cm GrW201(b)
네덜란드 Gew211(h), Gew212(h), Kar411(h), Kar412(h), Kar413(h), Kar414(h), P626(h), P641(h), MG100(h), MG241(h), MG242(h), MG243(h), MG244(h), MG231(h), PzB785(h), 8.14cm GrW278(h), 8.14cm GrW279(h), 8.14cm GrW286(h)
프랑스 Gew361(f), Kar561(f), Gew301(f), Gew303(f), Gew241(f), Gew302(f), Gew304(f), Gew305(f), Kar551(f), Kar552(f), Kar553(f), Gew242(f), Gew310(f), P623(f), P624(f), P625(f), MAB D, P647(f), P642(f), R654(f), R637(f), R634(f), R635(f), MP722(f), MP740(f), MP761(f), MG105(f), MG106(f), MG115(f), MG116(f), MG331(f), MG331(f), MG156(f), MG157(f), MG256(f), MG257(f), MG271(f), 5cm GrW203(f), 6cm GrW225(f), 8.14cm GrW278(f)
영국 Gew248(e), Gew280(e), Gew281(e), Gew281/2(e), Gew283(e), Gew283/2(e), Gew282(e), Gew282/3(e), R646(e), R655(e), MP748(e), MP749(e), MP750(e), MP751(e), MP752(e), MP760(e), MP760/2(e), MP761(e), MG135(e), MG136(e), MG137(e), MG138(e), MG230(e), MG341(e), PzB782(e), PzB789(e), 5cm GrW202(e)
유고슬라비아 Gew223(j), Gew361(j), Gew293(j), Gew291/3(j), Kar492(j), Gew214(j), Kar416(j), Gew252(j), Gew309(j), Gew288(j), Gew295(j), Gew307(j), Gew298(j), Gew290(j), Gew291(j), Gew291/2(j), Kar491(j), Kar491/2(j), Kar491/3(j), Kar491/4(j), Gew308(j), Kar561(j), Gew301(j), Gew292(j), Gew294(j), Gew306(j), Kar505(j), Gew302(j), Gew304(j), Kar502(j), Kar503(j), Gew301(j), P641(j), MP760(j), MG145(j), MG147(j) MG156(j), MG146/1(j), MG148(j), MG246(j), MG200(j), MG247(j), MG248(j), MG256(j), MG257(j), 7.58cm GrW229(j), 8.14cm GrW270(j)
그리스 Gew307(g), Kar561(g), Gew215(g), Kar417(g), Kar417/2(g), Gew301(g), Gew305(g), Gew502(g), Gew306(g), Kar505(g), Gew302(g), Gew285(g), R612(g), R613(g), MG136(g), MG104(g), MG152(g), MG202(g), MG156(g), MG256(g)
소련 Gew252(r), Gew253(r), Gew254(r), Gew256(r), Kar453(r), Kar454(r), Gew255(r), Gew257(r), Gew258(r), Gew259(r), Gew259/2(r), Gew260(r), R612(r), P615(r), MP715(r), MP716(r), MP717(r), MP41(r), MP718(r), MP719(r), MG120(r), MG121(r), MG320(r), MG216(r), MG218(r), MG268(r), PzB783(r), PzB784(r), HG336(r), 3,7cm SpGrW161(r), 5cm GrW200(r), 5cm GrW205(r), 8.2cm GrW274(r), 12cm GrW378(r), 12cm GrW379(r)
미국 Gew249(a), Gew250(a), Gew251(a), Gew455(a), P660(a), R661(a), R662(a), MP760(a), MP760/2(a), MP761(a), MP762(a), MP763(a), MG123(a), MG124(a), MG219(a), MG321(a), MG269(a), PzB788(a), 6cm MW219(a) NbW263(a)
이탈리아 Gew208(i), Gew209(i), Gew210(i), Gew214(i), Gew231(i), Gew240(i), Kar408(i), Kar409(i), Kar410(i), Kar416(i), Kar430(i), Gew306(i), Kar505(i), P670(i), P671(i), R680(i), MP738(i), MP739(i), MG099(i), MG200(i), MG255(i), MG259(i), MG261(i), MG350(i), PzB785(i), PzB770(i), 4.5cm GrW176(i), 8.1cm GrW276(i)
※ 윗첨자V : 국민돌격대가 사용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무기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보병 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