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06:54:39

아일랜드

애란국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일랜드(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ff8832> 상징 국호 · 국기 ·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아일랜드 자유국
정치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의회( 하원 · 상원)
외교 외교 전반 · 아일랜드 여권 · 유럽연합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경제 경제 전반 · 아일랜드 파운드(폐지) · 유로
국방 아일랜드군
사회 Leaving Cert · 대학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세인트 패트릭 데이 · 게일릭 풋볼 ·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아일랜드 크리켓 대표팀 · 아일랜드 영어 · 아일랜드어 · 아일랜드의 포크 음악 · 켈트족의 축제 · 아일랜드 신화 · 아일랜드/관광
치안·사법 평화수호대
지리 아일랜드섬 · 토리섬 · 렌스터 · 얼스터 · 먼스터 · 코노트
기타 아일랜드인 · 아일랜드/인구 · 아일랜드계 미국인 · 아일랜드계 영국인 · 아일랜드계 러시아인 · 아일랜드계 칠레인 · 아일랜드계 캐나다인 · 아일랜드계 아르헨티나인 · 아일랜드계 멕시코인 · 아일랜드계 호주인 · 아일랜드계 독일인 · 아일랜드계 프랑스인
}}}}}}}}} ||
아일랜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파일:825px-Map_of_Northern_Ireland_within_the_United_Kingdom.svg._2.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위치.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위치.svg
웨일스
파일:잉글랜드 위치.svg
잉글랜드
고대 켈트족
히베르니아
, 게일족,
칼레도니아
, 픽트족,
, 브리튼족,
로만 브리튼
, 이후,
귀네드
왕국
더베드
왕국
앵글족 / 색슨족 / 주트족
칠왕국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8b0000; font-size: 0.88em"
데인로 웨식스
중세 알라퍼
왕국
데허이
바르스
잉글랜드 왕국
웨식스 왕조
북해 제국
노르만 왕조
앙주 왕조( 앙주 제국)
플랜태저넷 왕조
아일랜드 영지
스코틀랜드
왕국
웨일스 공국
잉글랜드 왕국
랭커스터 왕조
요크 왕조 (장미 전쟁)
아일랜드 왕국





아일랜드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

현대
아일랜드 공화국
아일랜드 자유국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윈저 왕조
아일랜드
}}}}}}}}}}}} ||

파일:서유럽 아이콘.png 서유럽의 국가 및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파일:웨일스 국기.svg |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맨 섬 파일:영국 원형.png 채널 제도 파일:영국 원형.png 아일랜드
프랑스 모나코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2D84 0%, #003399 20%, #003399 80%, #012D84)"
{{{#!wiki style="color: #ffcc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덴마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루마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몰타|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벨기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불가리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스페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포르투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프랑스어권 국제기관
{{{-2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
{{{#!wiki style="margin: 0 -10px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2em"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가나 가봉 그리스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기니비사우 니제르* 도미니카 연방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레바논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나코 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모리셔스 모리타니 몰도바 바누아투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
베냉 베트남 벨기에 왈롱-브뤼셀 연방 파일:벨기에 원형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르비아 세이셸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스위스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파일:아이티 국기.svg 파일:안도라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아이티 안도라 알바니아 이집트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차드 국기.svg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카메룬 카보베르데 카타르 캄보디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퀘벡 주기.svg 파일:뉴브런즈윅 주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캐나다 퀘벡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뉴브런즈윅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코모로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코소보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키프로스 토고 튀니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참관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감비아 대한민국 도미니카 공화국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리투아니아 멕시코 모잠비크 몬테네그로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루이지애나 주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몰타 루이지애나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르헨티나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파일:온타리오 주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온타리오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조지아 체코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태국 폴란드 헝가리 }}}}}}}}}}}}

파일:OECD 가로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0.45px"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

유럽안보협력기구 (OSCE)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회원국 일람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folding [ 협력국 일람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파일:Banniel_Keltia.svg
켈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민족
<colbgcolor=#b4d0bf,#1d2d26> 도서 켈트족 <colbgcolor=#b4d0bf,#1d2d26> 게일인 아일랜드인 | 하이랜드 스코틀랜드인 | 맨인
브리튼인 웨일스인 | 콘월인 | 브르타뉴인 | 컴브리아인 † | 픽트족 †(논란)
대륙 켈트족 † 갈리아인 | 갈라티아인 | 켈트이베리아인 | 갈라이키아인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하이랜드) |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 파일:맨 섬 기.svg 맨섬 | 파일:attachment/콘월/cornwall-flag.png 콘월 | 파일:브르타뉴 깃발.svg 브르타뉴
언어 및 문화
언어 켈트어파 | 오검 문자
신화 켈트 신화
문화 켈트족의 축제 | 드루이드
사상 범켈트주의( 켈트 연맹) }}}}}}}}}

아일랜드
Éire[1] | Ireland[2]
{{{#!wiki style="margin: -16px -10px"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장.svg
국기 국장 }}}
Éirinn go Brách
아일랜드여 영원하라
[3]
상징
국가 전사의 노래
(Amhrán na bhFiann)
국조 검은머리물떼새 (관습상)
역사
독립 선언 1919년 1월 21일
아일랜드 자유국 성립 1922년 12월 6일
헌법 개정, 영연방 탈퇴 선언 1937년 12월 29일
공화국법 제정 1948년 4월 18일
지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도 | 최대도시 더블린
면적 70,273km²
내수면 비율 2.0%
접경국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4]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구 <colcolor=#000000> 총 인구 5,047,117명(2023년) | 세계 125위
인구밀도 68명/㎢(2018년)
출산율 1.5명(2023년) 출처
출생 인구 61,901명(2018년)
기대 수명 81세(2015년)
공용 언어 아일랜드어(국어, 공용어), 영어(공용어)
종교 국교 없음( 정교분리)
기독교 75.8%
- 가톨릭 68.8%
- 개신교[5] 4.2%
- 정교회 2.1%
-기타 기독교 0.7%
이슬람교 1.6%
힌두교 0.7%
무종교 14.8%
명시되지 않음 7.1%
군대 아일랜드군 }}}}}}}}}
하위 행정구역
31개 카운티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치 체제 단일국가, 공화국, 양원제, 의원내각제
민주주의 지수 9.19점, 완전한 민주주의 (2023년)
(167개국 중 7위)
대통령
(국가원수)
마이클 D. 히긴스 (Michael D.Higgins)
정부
요인
총리
(정부수반)
미할 마틴(Micheál Martin)
부총리 사이먼 해리스(Simon Harris) }}}}}}}}}
경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GDP 전체 $5,161억(2022년 4월)
1인당 $101,509(2022년 4월)[6]
GDP
PPP
전체 3,820억 달러(2018년)
1인당 79,925달러(2018년)
국부 9,630억 달러 / 세계 38위(2020년)
신용 등급 무디스 A2
S&P AA-
Fitch A+
통화 유로(€) }}}}}}}}}
단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법정 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 0(서머타임 적용)
도량형 SI 단위 }}}}}}}}}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 수교 현황 대한민국: 1983년 10월 4일
북한: 2003년 12월 10일
국제연합(UN) 가입 1955년 }}}}}}}}}
ccTLD
.ie
국가 코드
IE, IRL, 372
국제 전화 코드
+353
홈페이지
정부, 국가홍보[7], 관광청
여행 경보
경보없음 전 지역
위치
파일:아일랜드 위치.svg

1. 개요2. 국가 상징
2.1. 국호2.2. 국기2.3. 국장2.4. 국가
2.4.1. 전사의 노래2.4.2. 아일랜드의 부름
3. 역사4. 인구
4.1. 출생 인구4.2. 기대 수명4.3. 출산율
5. 정치6. 군사7. 경찰8. 경제9. 종교
9.1. 가톨릭
9.1.1. 흑역사
9.2. 개신교
9.2.1. 역사
10. 외교11. 행정구역12. 언어13. 교육
13.1. 초/중등 교육13.2. 고등 교육13.3. 납본 제도
14. 문화15. 관광16. 기타17. 인물
17.1. 아일랜드 출신 유명인17.2. 아일랜드 출신 캐릭터
18. 참고 서적

[clearfix]

1. 개요

아일랜드 소개 홈페이지.

영국의 서쪽 아일랜드섬 대부분을 통치하는 서유럽 섬나라이다. 수도 더블린이다.

Ireland 4K - Scenic Relaxation Film With Celtic Music

2. 국가 상징

2.1. 국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국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국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국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국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국가

2.4.1. 전사의 노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mhrán na bhFian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2. 아일랜드의 부름


아일랜드의 부름(Ireland's Call)은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에서 작곡한 곡으로 럭비 세계 대회에서 주로 국가 대신 불리던 곡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럭비를 포함하여 아일랜드 하키, 크리켓, 코프볼 등 여러 스포츠의 세계 리그에서 국가 대신 제창되고 있다. 공식적으로는 영어 가사만 있지만 비공식 아일랜드어 가사도 몇 개 있다.
1절
Come the day and come the hour,
그 날이여 오라 그 시간이여 오라,
Come the power and the glory!
영광이여 오라!
We have come to answer our country's call,
우린 우리 조국의 부름에 대답하게 되었도다,
From the four proud provinces of Ireland
아일랜드의 자랑스러운 4개 지방[8]에서 말이네
후렴
Ireland, Ireland
아일랜드, 아일랜드여,
Together standing tall!
다함께 당당하게 서서!
Shoulder to shoulder,
어깨와 어깨를 맞대며,
We'll answer Ireland's call!
우린 아일랜드의 부름에 대답할 것이네!
2절
From the mighty Glens of Antrim,
장엄한 앤트림의 계곡[9]에서부터,
From the rugged hills of Galway!
골웨이의 강인한 언덕에서부터!
From the walls of Limerick, and Dublin Bay,
리머릭의 요새벽[10]과 더블린 만에서부터,
From the four proud provinces of Ireland!
아일랜드의 자랑스러운 4개 지방에서부터
3절
Hearts of steel and heads unbowing,
강철 심장과 숙이지 않는 머리,
Vowing never to be broken!
맹세는 절대 깨어지지 않을 것이네!
We will fight, until we can fight no more,
우린 더 이상 싸울 수 없을 때까지 싸울 것이네,
From the four proud provinces of Ireland!
아일랜드의 자랑스러운 4개 지방에서 말이네!

3.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파일:825px-Map_of_Northern_Ireland_within_the_United_Kingdom.svg._2.pn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위치.svg
스코틀랜드
파일:웨일스 위치.svg
웨일스
파일:잉글랜드 위치.svg
잉글랜드
고대 켈트족
히베르니아
, 게일족,
칼레도니아
, 픽트족,
, 브리튼족,
로만 브리튼
, 이후,
귀네드
왕국
더베드
왕국
앵글족 / 색슨족 / 주트족
칠왕국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8b0000; font-size: 0.88em"
데인로 웨식스
중세 알라퍼
왕국
데허이
바르스
잉글랜드 왕국
웨식스 왕조
북해 제국
노르만 왕조
앙주 왕조( 앙주 제국)
플랜태저넷 왕조
아일랜드 영지
스코틀랜드
왕국
웨일스 공국
잉글랜드 왕국
랭커스터 왕조
요크 왕조 (장미 전쟁)
아일랜드 왕국





아일랜드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

현대
아일랜드 공화국
아일랜드 자유국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윈저 왕조
아일랜드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럽 대륙 브리튼 섬에서 게르만족으로부터 밀려난 켈트족마지막까지 버틴 지역으로 현재 남아 있는 켈트 신화 중 대다수는 아일랜드 출전이다. 나머지는 웨일스 신화 정도.

4. 인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인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일랜드인의 신체적 특징으로는 북유럽 서유럽 사람들에 비하여 머리색이 어두운 편이지만 눈동자 피부색은 밝은 편이라는 것이다.[11] 일반적으로 북유럽 서유럽의 사람들이 멜라닌 색소가 적은 금발벽안을 지니고 남유럽의 사람들은 주로 어두운 눈동자와 머리색을 지니고 있지만 아일랜드인들의 경우 특이하게 이러한 특징들이 정반대로 나타나는데, 스페인 포르투갈 사람처럼 이베리아반도에 거주하였던 켈트족과 서고트족이 북유럽으로 이주하였을 것이라 추측된다. 그러나 물론 머리색이 북유럽과 서유럽의 백인들에 비해서 어둡다는 것이지 사실 금발을 가진 사람들도 꽤 많은 편이다.[12] 그리고 가장 독특한 것은 적발 유전자를 보유한 사람들이 굉장히 많은 편이라는 것인데, 그로 인하여 현대에서는 희귀한 자연 적발의 머리색을 가진 사람들의 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서양에서는 아일랜드 여성들이 신비로운 미녀가 많다고 이야기한다.[13] 그리고 타 유럽 사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여러 머리색의 비율이 고른 편이다.

아일랜드는 현대에 들어서 인구가 계속 줄어들기 시작해 1960년 정도까지 인구가 감소하는 사태를 맞았지만 이후에는 서유럽의 주변 국가가 인구가 정체했던 것에 비해서 빠르게 성장했고 1990년을 전후해서 잠시 인구가 줄어들었던 것을 제외하면 끊임없이 인구가 계속 증가해 왔다. 최근에는 아일랜드의 인구가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서 엄청난 증가를 보였던 때도 있다.[14]

1950년부터 현재까지의 전체 인구는 다음과 같다.
시기 전체 인구
1950년 2,969,000명
1955년 2,921,000명
1960년 2,834,000명
1965년 2,876,000명
1970년 2,950,000명
1975년 3,177,000명
1980년 3,401,000명
1985년 3,541,000명
1990년 3,506,000명
1995년 3,601,000명
2000년 3,849,000명
2005년 4,213,000명
2010년 4,627,000명
2015년 4,700,000명
2018년 4,804,000명

4.1. 출생 인구

2000년부터 현재까지의 출생 인구는 다음과 같다.
시기 출생 인구
2000년 56,000명
2005년 61,000명
2010년 74,000명
2015년 66,000명

4.2. 기대 수명

1965년부터 현재까지의 기대 수명은 다음과 같다.
시기 기대 수명
1965년 70세
1970년 71세
1975년 71세
1980년 72세
1985년 73세
1990년 74세
1995년 75세
2000년 76세
2005년 78세
2010년 80세
2015년 81세

4.3. 출산율

1965년부터 현재까지의 출산율은 다음과 같다.
시기 출산율
1965년 4.07명
1970년 3.77명
1975년 3.82명
1980년 3.25명
1985년 2.76명
1990년 2.18명
1995년 1.91명
2000년 1.94명
2005년 1.97명
2010년 2.00명
2015년 2.00명
2020년 1.63명

5.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경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평화수호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경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종교

9.1. 가톨릭

종교는 전통적으로 가톨릭이 지배적이었으나 근 30여 년에 걸친 사회적 세속화로 영향력이 크게 약화되었다.[15] 처음 가톨릭이 융성하게 된 이유는 아일랜드의 수호성인 성 파트리치오[16] 주교가 아일랜드의 골칫거리였던 들을 모두 없애버렸다는 전설이 퍼지면서 가톨릭의 인기가 흥했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빙하기 시기 모조리 얼어죽은 후, 해빙기 때 바다로 둘러싸여 뱀이 상륙하지 못하게 되면서 발생한 일이다. 아일랜드는 지금도 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이 덕분에 켈트족들이 토속 신앙을 버리고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였다고 한다.

유럽에서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폴란드 등과 함께 굳건히 가톨릭 비율이 80% 이상인 나라다. 다른 유럽 나라들은 세속화가 진행되었지만 아일랜드는 여전히 80% 이상이 가톨릭을 믿는 곳이다. 아일랜드인들은 가톨릭 신앙을 굳건하게 지켰기 때문에 성공회를 믿는 잉글랜드인, 장로회 신앙의 스코틀랜드계 켈트인들( 청교도)들과의 갈등이 심했다.[17] 하지만 그러한 성공회/ 장로회와의 대립 잉글랜드/ 영국에 핍박받으며 자유를 보장받지 못한 상황에서 가톨릭 신앙에 부여된 민족 정체성과 영국의 종교 차별이 결합되어 나타난 대립이었다. 어쨌든 아일랜드 자유국 시절부터 가톨릭의 안티테제 이미지가 있었던 성공회[18]/장로회는 오랫동안 신자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아일랜드는 2018년까지는 OECD에서 낙태가 가장 어려운 나라였다. 성적으로 보수적인 한국은 고사하고, 그 낙태가 어렵다고 소문난 유럽 국가인 폴란드보다도 더 어려운 상태였다. 이는 가톨릭의 영향이다. 하지만 2018년 5월 26일 낙태죄를 폐지하는 개헌국민투표에서 낙태죄 폐지에 66%가 찬성하였고, 개정 헌법에 따라 관련 법률도 개정할 예정이다. 그리고 사실상 사문화된 신성모독금지를 명시한 헌법 조항도 국민투표로 삭제시킬 예정이다. 그리고 국민투표에서 헌법에 신성모독조항이 삭제되기로 결과가 나오면서 신성모독조항은 헌법개정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

점점 세속적인 국가로 가던 중에 성폭행 재판 과정에서 피해 여성 속옷이 성관계에 동의했다는 '정황 증거'로 제시되고 결국 가해 남성 무죄 판결을 받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과 비난이 커지고 있다. #

아일랜드의 한 사립 고등학교에서 여학생들에게 몸에 딱 달라붙거나 피부가 드러나는 을 금지하는 지침을 마련해 논란이 되고 있다. #

9.1.1. 흑역사

아일랜드는 대부분의 학교 미션스쿨이고 종교에 따라서 가톨릭이나 개신교 학교로 진학한다. 이 가운데 가톨릭을 믿는 서민층의 교육은 아일랜드 신부를 중심으로 조직한 크리스천 브라더스(Christian Brothers)라는 기관에서 세운 학교가 주로 담당한다.[19] 그런데 이 크리스천 브라더스의 신부가 자기가 가르치는 학교의 남학생을 장기간에 걸쳐서 성추행한 사실을 2002년에 폭로했다. 이것 말고도 아일랜드 신부가 저지른 온갖 섹스 스캔들이 사회 이슈로 떠올라 아일랜드 가톨릭의 사회적 신뢰도는 폭락하고 젊은 층은 급속도로 가톨릭에 등을 돌린다. 골 때리는 것은 그 반대로 아일랜드에서 성공회 교인은 증가하고 있다. 가톨릭 신부들의 막장 짓거리에 분노한 신자들이 가톨릭을 버리고 성공회로 간다.

아일랜드에서 신부는 특별한 종교적 권위가 있다는 인식을 대다수의 신자가 가지는데 가톨릭은 교황 이하의 성직자는 자신보다 계급이 높은 성직자(장상)에게 순명해야 한다는 교리가 있으며 만인제사장설을 거부해 일반 신자에 대한 신부의 권위와 신부들끼리 계급에 따른 수직적 위계질서가 강하다. 아일랜드의 경우 1640년대 킬케니 가톨릭 연맹의 봉기를 올리버 크롬웰이 때려 잡고 100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공식적으로 가톨릭 신앙을 금지하면서 가톨릭이 다수 종교이면서도 지하 종교가 되어 버리는 역사를 거쳤다. 이에 비밀리에 열리는 미사를 이끄는 신부를 개인적으로 추종하는 경향이 유독 심해져 신부는 특별한 영적 권위를 가진다는 인식이 사회적으로 당연시되고 있(었)다. 물론 그렇지 않았다면 괜찮은데 이런 역사를 거치면서 제대로 된 성직에 봉사하기에 신학적, 인격적 소양이 한창 모자란 인간들이 신부 노릇을 해 먹으며 그 지역 공동체 내의 유지 노릇을 한다. 그리고 신부가 이를 악용하여 성추행을 저지른다. 그 대상은 남자 어린이, 더블리너스 멤버인 에이먼 캠벨도 자신이 성추행 피해자였음을 공개적으로 밝힌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크리스천 브라더스의 아동 성추행은 장기간에 걸쳐 조직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뤄졌다. 뿐만 아니라 여성도 성적 학대의 피해자가 되어 그 유명한 막달레나 수녀원 사건이 벌어진다.

다만 아일랜드에서 가톨릭의 영향력을 과소평가하면 안 된다. 2019년의 Eurobarometer 통계에서 아일랜드는 무신론자의 비율이 포르투갈보다 낮으며 폴란드와 비슷하다. 젊은 층의[20] 통계로 보더라도 아일랜드에서 스스로를 그리스도인이라고 인지하는 비율은 가톨릭 비율이 압도적인 포르투갈보다 높으며 2016년 기준 아일랜드 공화국의 종교 통계를 보면 아일랜드 성공회는 겨우 2.6%, 장로교는 0.5%의 압도적 소수다. 한국에서 한때는 종주국 중국 이상으로 잘 지켜졌다는 유교에 대한 논쟁과 비슷한 성향이 있어, 비록 유교 탈레반이니 뭐니하여 유교의 이름으로 주장되던 온갖 폐단에 비판적이어도, 자신도 모르게 학력 숭상의 풍조를 따르거나 타국에 비해 보수적인 가족주의나 성역할 등의 관념을 내면화하듯, 아일랜드에서도 이러한 가톨릭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내면화된 엄숙주의가 어느 정도 존재한다.

1922~ 1992년 아일랜드의 미혼모 시설에서 사망한 영아 및 어린이가 9천 명이다. # 혼외자를 부정적으로 보는 가톨릭의 이름을 빌려 정당화되던 인식에 따른 것이다.

9.2. 개신교

아일랜드에 있는 개신교는 아일랜드 성공회가 최대 교단이다. 잉글랜드계 아일랜드인(Anglo-Irish)을 중심으로 이어져 오고 있는데, 19세기까지는 아일랜드의 유일한 국교로서 가톨릭 탄압하였으나, 국교 해제 이후에는 오랫동안 교세가 감소 상태였다. 현재 신자는 인구 대비 2.6% 가량이다.

아일랜드 성공회의 역사적 유명 인사로는 성공회 성직자였던 조너선 스위프트 기네스 맥주로 유명한 기네스 가문과 아일랜드 초대 대통령인 더글러스 하이드가 있다. 그 밖에 소수 교단으로 장로회, 감리회, 침례회 등도 있다. 아일랜드 성공회를 비롯하여 아일랜드에 있는 모든 개신교 교단은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를 같은 총회에서 관할한다.

아일랜드 성공회는 영국에서 비롯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중반까지 초창기 아일랜드 독립운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적지 않은 초창기 아일랜드 독립운동 명사들이 성공회 신자였다. 그렇지만 독립운동의 지지 기반은 어디까지나 아일랜드 인구 대다수를 차지하는 가톨릭 신자들이었고 일선 운동가 대다수 또한 가톨릭이었다. 19세기 말부터 아일랜드 민족 정체성의 상징으로 가톨릭교회를 선택하는 경향이 독립운동 내에 강해지자 성공회 신자의 아일랜드 독립운동 내 입지는 축소되기 시작했고, 20세기 초반부터는 무종교 성향 좌파 세력의 성장으로 성공회 신자의 독립운동 내 입지는 더 축소되었다. 더군다나 아일랜드 성공회 신자 상당수는 여전히 영국 정부와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는 도시 상류층과 중산층이었고 독립 후에는 독립 반대파 신자 중 상당수가 영국으로 이민 가고 나머지 신자 사이에서도 신앙을 포기하는 사람이 나타나면서 북아일랜드를 제외한 아일랜드 전역에서 성공회 교세가 크게 감소했다.[21] 여기에 더해 30년대에는 가톨릭 색채를 띤 민족주의 풍조가 다시 한 번 횡행[22]하면서 정치사회적으로 수세에 몰렸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가톨릭 색채를 띈 민족주의 풍조가 한 풀 꺽이고 가톨릭교회가 아일랜드 내 기득권 세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면서 아일랜드 성공회의 어수선한 상황은 진정 국면에 들어섰지만 후에도 오랫동안 교세 감소 추세를 벗어나지 못했다.

1991년부터 2011년까지 아일랜드 성공회 신자 수는 증가 추세로 돌아섰는데 이는 아일랜드 사회의 변화와 가톨릭교회의 권위 약화가 맞물린 결과이다. 1990년대부터 아일랜드 세속화 추세가 가속화되고 가톨릭교회 추문이 대대적으로 폭로되면서 많은 가톨릭 신자가 교회에서 이탈했고 이 중 일부는 아일랜드 성공회로 개종했다. 하지만 대부분은 무종교인이 되거나 다른 교단 교회에 출석하는 개신교인이 되었고, 가톨릭 신자 이탈이 성공회 신자 증가로 많이 이어진 것은 아니었으며, 2011년 후부터는 아일랜드 성공회도 다시 신자 감소 추세에 들어섰다.[23]

아일랜드 성공회는 고교회파 영향이 짙었고 지금도 고교회파 영향이 남아있다. 하지만 69년 가톨릭 전례개혁을 본받아 전례를 쇄신했기 때문에 바오로 6세 전례와 유사해져서 옛 고교회파 전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지는 않으며, 가톨릭에서 성공회로 이적한 신자 다수가 특별히 옛 성공회 고교회파 전례에 관심있는 것도 아니다.

아일랜드에서 장로교 성공회와 마찬가지로 오랫동안 신자 감소 추세였다가, 1991-2011년에 가톨릭 신자 이탈의 수혜를 입어 신자 증가 추세로 돌아섰지만, 2011년 후부터는 성공회처럼 다시 신자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감리교 역시 성공회처럼 오랫동안 신자 감소 추세였다가 1991-2001년에 신자 증가 추세를 맞았지만 후에 오히려 큰 폭으로 신자 수가 감소했다.

아일랜드 개신교 중 가장 급속히 성장 중인 교파는 독립교회이다. 아일랜드 개신교의 50%가 독립교회인데, 이들은 1982년 아일랜드 성경 학원(Irish Bible Institute)라는 초교파 신학교육 기관에서 신학 과정을 이수한 목사들이 목회하고 있다. 가톨릭교회에서 이탈한 이들 중 무종교인이 되지 않은 다수도 이러한 독립교회로 이적했다.

아일랜드에서 독립교회 외에는 오순절교회 루터교 침례교가 성장했는데, 특히 2002년 3천여 명에 불과했던 오순절 교회 신자는 2011년 1만 4천여 명으로 크게 증가해다. 루터교 또한 2002년 3천여 명에서 2011년 5600여 명, 침례교는 2002년 2200여 명에서 2011년 3500여 명으로 증가했다.[24]

9.2.1. 역사

아일랜드의 성공회의 포교의 역사는 폭력에 의한 강압적 강요로 시작되었다.

헨리 8세는 잉글랜드인과 스코틀랜드 성공회 신도들을 북아일랜드 지역으로 이주시키며 성공회를 장려했다.

18세기 가톨릭 교도들의 정치 참여는 금지했으며, 이후 이는 영국 성공회 교도가 아닌 다른 비국교도 전체로 정치참여 금지를 확산하여 성공회 교도가 아닌 종교 신앙을 가진 자들을 전부 탄압한다. 그러던 와중 아일랜드 성공회 신도들로만 이루어진 국회에서 영국과의 합병에 동의한다. 이에 1800년대 영국은 연합법을 선포한다.[25] 사실상 조국을 영국에다가 판 것.

때문에 영국의 아일랜드에 대한 탄압에서 성공회는 항상 빠지지 않는다. 괜히 아일랜드인들이 수백 년간에 달하는 영국의 지배에도 성공회로의 개종이 적은 게 아니다. 그나마 조상이 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성공회로 개종한 후 영국에 적극적으로 부역하지는 않은 경우라면 동정을 받는 경우도 적지 않지만, 적극적으로 영국에 부역하여 성공회 신자가 된 아일랜드인의 후손들은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에게 철저한 배척의 대상이다. 그나마 최근에 과거의 악감정이 아일랜드 독립 등으로 진정이 됐고, 믿어왔던 가톨릭의 성추문들이 대거 터지면서 늘어난 것이다.

그나마 이 시기 성공회의 선행이 있다면 아일랜드 대기근 시기다. 보통 아일랜드 대기근 당시 성공회는 개종해야 도와줬다는 말이 있지만 현대의 연구에 의하면 대부분 개종 여부 관련없이 도와줬다고 한다. 또한 위에서 설명했듯이 성공회~개신교도인 민족주의 독립운동가들도 존재했다.

10.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행정구역

파일:아일랜드 국장.svg
아일랜드의 행정구역
파일:Leinster.png
렌스터
파일:COA_Dublin_County.png
더블린 주
<colbgcolor=#ffffff,#191919> 파일:COA_Wicklow_County.png
위클로 주
<colbgcolor=#ff883e> 파일:COA_Wexford_County.png
웩스퍼드 주
파일:COA_Carlow_County.png
칼로 주
파일:COA_Laois_County.png
리시 주
파일:COA_Meath_County.png
미스 주
파일:COA_Louth_County.png
라우스 주
파일:COA_Kildare_County.png
킬데어 주
파일:COA_Kilkenny_County.png
킬케니 주
파일:COA_Longford_County.png
롱퍼드 주
파일:COA_WestMeath_County.png
웨스트미스 주
파일:COA_Offaly_County.png
오펄리 주
파일:Munster.png
먼스터
파일:COA_Clare_County.png
클레어 주
파일:COA_Tipperary_County.png
티퍼레리 주
파일:COA_Waterford_County.png
워터퍼드 주
파일:COA_Cork_County.png
코크 주
파일:COA_Kerry_County.png
케리 주
파일:COA_Limerick_County.png
리머릭 주
파일:Ulster.png
얼스터*
파일:COA_Cavan_County.png
캐번 주
파일:COA_Monaghan_County.png
모나한 주
파일:COA_Donegal_County.png
도니골 주
파일:Connacht.png
코노트
파일:COA_galway_County.png
골웨이 주
파일:COA_Roscommon_County.png
로스커먼 주
파일:COA_Leitrim_County.png
리트림 주
파일:COA_Mayo_County.png
메이요 주
파일:COA_Sligo_County.png
슬라이고 주
* 페르마나파일:240px-Ferm_arms.png , 타이론파일:220px-Tyrone_arms.svg.png , 데리파일:Londonderrycoatarms.png , 앤트림파일:200px-Antrim_arms.svg.png , 다운파일:Down_arms.png , 아르마파일:200px-Armagh_arms.svg.png 북아일랜드로 영국이 점유

파일:아일랜드 지도.png
아일랜드는 전통적으로 크게 얼스터(Ulster: 북부),[26] 렌스터(Leinster: 동부, 수도 더블린이 포함된 중심지), 코노트(Connacht: 서부), 먼스터(Munster: 남서부)의 4개 지역으로 나뉘어지고 유의미한 행정 구역으로는 32주(County: 현 아일랜드령 26주, 북아일랜드 6주)로 구분되어 왔다. 아일랜드에서 행정구역을 가리키는 쿠어허(Cuige/Cuaighe)는 '다섯 조각'이라는 뜻으로, 원래는 그 이름처럼, 아르드리의 본성인 타라의 언덕이 위치한 다섯째 지역 미스(Meath: 중부)가 있었다. 옛 미스의 강역은 현재 미스, 웨스트미스 주의 전부와 캐번, 더블린, 킬데어, 롱포드, 라우스, 오펄리 주의 일부이다. 하지만 미스는 그 영토가 나뉘어져 얼스터와 렌스터에 합쳐졌고 현재는 렌스터 내의 '미스 주(County Meath)'로 명맥을 유지하는 상태. 또한 티퍼레리(Tipperary)[27] 주가 1898년 남 티퍼레리 주와 북 티퍼레리 주로 나뉘었고, 더블린 주가 1994년 던 리어리래스다운(Dún Laoghaire-Rathdown), 핑글(Fingal), 사우스더블린(South Dublin)의 3개 주로 나뉘어 29개 주가 되었다. 또한 더블린, 코크(Cork), 리머릭(Limerick), 골웨이(Galway), 워터퍼드(Waterford)의 5개 시가 주와 동급이고 행정구역상으로도 주와 분리되어 독립적인 지방의회를 꾸리는 시로 존재하여 현재 아일랜드의 행정구역은 29주 5시이다.

아일랜드의 5대 도시는 위에 언급된 5개 도시로 인구 순은 다음과 같다.

12. 언어

아일랜드 영어( RTÉ 9시 뉴스) 아일랜드어
We are the one, English speaking country in the Eurozone.
우리는 유로존의 유일한 영어 사용국입니다. - 아일랜드 투자청[30]

국어(national language)이자 공식적인 제1언어는 아일랜드의 고유어인 아일랜드어(An Ghaeilge, 혹은 아일랜드 게일어), 제2언어가 영어(An Béarla, 아일랜드 영어)지만 실질적으로는 영어가 가장 많이 쓰인다.[31] 그래서 아일랜드에선 앵글로색슨이 아닌 켈트계 국가임에도 토플 점수가 면제된다. 또한 아일랜드의 공영방송인 RTÉ에서도 게일어 라디오 방송 하나만 제외하고 나머지 방송이 영어이다.[32] 아일랜드의 민족 정신을 상징하는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같은 작가조차 영어로 글을 썼으며, 영국에 저항하는 노래조차 가사가 특이한 몇 가지를 제외하고 영어로 쓰인다. 아일랜드 여권에서는 아일랜드어, 영어의 방언이라는 주장도 있는 얼스터 스코트어와 더불어 영어로 된 시 세 가지가 쓰였다.

수백 년에 걸쳐 영국의 지배를 받고 아일랜드 대기근으로 기록적인 인구감소를 겪으면서 아일랜드 고유의 언어인 아일랜드어(아일랜드 게일어)를 사용하는 아일랜드인의 숫자는 현저하게 줄었지만, 완전히 소멸되지는 않았다. 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이 세워지면서 자유국 헌법에 아일랜드어를 국어(national language)이자 제1공용어(the first official language), 영어를 제2공용어(a second official language)로 명시하는 등 부흥운동을 본격화하고는 모든 공직에 아일랜드어 능력을 요구하였고, 1937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공화정이 수립된 후에도 이러한 노력은 계속되었다. 독립한 후에도 아일랜드어 복원사업을 계속 벌였으며, 아일랜드어를 학교 교육 과정과 공무원 시험 필수 과목으로 넣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특히 교사 임용이나 교수 임용 등 교육자를 임용하는 시험에서는 아일랜드어 시험에 떨어질 경우 다른 점수가 아무리 높아도 무조건 탈락이다.

그럼에도 400만 아일랜드 인구 중 아일랜드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은 현재 55,000명 정도로 추산한다. 제1언어로 쓰는 인구가 약 2% 가량. 전체 인구의 40%는 아일랜드어를 알지만, 어디까지나 제2언어로서 알 뿐이지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그나마 학교에서 가르치고 각종 국가 시험에서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니까 공부해서 알지 일상생활에서는 쓸 일 자체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세미나에서 아일랜드어 발표를 준비하기 위해 아일랜드어를 공부하고 연습한다.'는 교수가 있을 정도이니 딱 몬티 파이선 라이프 오브 브라이언에 나오는 유명한 라틴어 수업 장면처럼, 막상 배우는 사람들은 일상에선 쓸모없다고 생각하지만 어쨌든 정치, 역사적 의미와 공교육과정에서 강제로 가르치기 때문에 욕하면서 배우며 정규 교육과정 마치자마자 싹 까먹는 과목으로 인식된다.

그래도 아일랜드 서부 지역에는 이른바 겔터흐트 (An Ghaeltacht)라고 불리는, 아일랜드 게일어만 통하는 언어보호지역들이 있다. 아일랜드인 중 모국어가 아일랜드어인 특이한 경우지만, 가수 엔야는 이 지역 출신으로 영어를 가정이 아닌 학교에서 주로 배웠다. 이 지역에서는 교통 표지판 등도 모두 아일랜드 게일어로만 되어 있다. 아예 법안으로 정해서 도로 표지판에 영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정한다. 아일랜드어를 모국어로 구사하는 아일랜드인도 아주 조금씩이나마 늘어나는 추세기는 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영어를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겔터흐트 지역의 아일랜드인들은 거의 모두 완벽하게 영어도 사용가능한 이중언어 사용자들이다.

전국에 걸쳐 영어가 강세긴 하지만 아일랜드 서부의 애런 제도에서는 아일랜드어가 영어보다 우세하다. 하지만 애런 제도의 인구는 겨우 1,200명이고 그나마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게다가 전술했듯 이 곳도 겔터흐트 지역인데 거주민들도 대부분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다. 전체 인구의 대부분이 영어를 모어로 쓰는 판이니 제아무리 고유어를 제1언어로 쓰는 사람이라 해도 영어를 배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아일랜드어가 표준화지 않았다고 알려져 지레 겁먹고 포기하기도 한다. 사실 표준화는 이미 1920년대에 거의 이루어졌다. 지역마다 발음의 차이가 매우 크다고도 하지만 실제로는 북부 얼스터 지방 vs 나머지 지방의 미미한 차이밖에 없다. 아일랜드어의 완벽하게 통일된 기준안이 아일랜드에서조차 마련되지 않았다 운운은 저런 데서 와전된 이야기다. 구사자 수가 워낙 적다보니 외국에서는 이러한 잘못된 지식이 전해지는 경우가 많을뿐더러 수가 적은 것 자체로도 문제가 크다. 다만 방언별 발음의 차이가 크지 않을 뿐이지, 정확한 아일랜드어의 '표준' 발음법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표기법은 통일).

그런 이유로, 켈트 신화나 게일어가 들어간 아일랜드 문학가들의 작품을 번역할 때는 많은 애로사항이 꽃핀다. 예컨대 흔히 '크로우 크루아흐'로 널리 알려진 아일랜드 신화의 신 Crom Cruach는 IPA 표기상으로 [ˈkɾˠʊmˠ ˈkɾˠuəç]로, 굳이 한글로 옮기면 크룸 크루어히가 된다. 그런데 국내에 번역 출간된 『 켈트 신화와 전설』에서는 "크롬 크루아히"와 "크롬 크루아이히"라고 따로따로 표기되었다. 한국예이츠학회에서는 예이츠의 작품에 등장하는 게일어 고유명사 표기를 위해 따로 '게일어 고유명사 한글 표기 통일안'을 만들었지만, 이것은 예이츠의 작품에 나오는 게일어를 표기하기 위한 일종의 '약속'에 불과하다. 게다가 이것도 현지 발음과 비교해 보면 오류가 많다고 한다. 참조 켈트 신화와 전설』의 번역자들은 번역을 하면서 한국에 거주하는 아일랜드인 교수에게 자문을 구했지만 역시 '정확한 표기'라는 걸 단정지을 수 없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아일랜드 대사관에까지 자문을 구했지만, 역시 완벽한 표기를 알아내는 건 불가능했다고 한다. 이는 그 교수가 한국에서 사는 건 다른 많은 외국파 아일랜드 교수들처럼 아일랜드어를 제대로 못하기 때문에 외국까지 나와서 교수 활동을 했을 수 있고, 대사관의 답변 역시 아일랜드어 시험이 의무화되기 전에 이미 나랏녹을 먹던 사람들에 대해서는 아일랜드어 능력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형식적으로만 이루어졌기에, 대사관에 있던 사람들이 다 어설펐을 가능성이 높다.

아일랜드어 표기만 된 겔터흐트 지역을 제외하면 역 이름이라든가 중요한 표지판들은 대부분 영어/아일랜드어를 병기하고 있다. 영어도 물론 공용어이며, 아일랜드 출신으로 저명한 영문 문학가가 훨씬 더 많다. 예컨대 시인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셰이머스 히니, 극작가 오스카 와일드, 던세이니, 조지 버나드 쇼, 사뮈엘 베케트, 피네건의 경야와 율리시스, 더블린 사람들 등을 쓴 제임스 조이스 등이 있다. 사실 영국에게 지배받은 800년 동안 이렇게 고유어를 지켜왔음만으로도 대단하다.

일단 영어가 공용어이기는 하지만, 좀 나이 많으신 분들이 사용하는 아일랜드 영어는 표준적인 영국 영어에 비하면 상당히 특이한 편이다. 그래서 영어 좀 안다고 자부하고 이 나라에 갔다가 좌절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영화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초대 덤블도어, 호그와트 교장 역할을 맡은 배우 리처드 해리스의 영어가 이 아일랜드 억양 영어고, WWE 프로레슬러 셰이머스 핀 밸러, 베키 린치도 마찬가지다. 놀라운 점은 이 특이한 발음 미국인들은 섹시하다고 느낀다는 것. 유튜브 구글을 검색해보면 아일랜드식 발음이 영국 발음보다 섹시하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흔히 영드로 잘못 알려진 드라마 튜더스에 많은 아일랜드 출신 배우들이 나온다. 헨리 8세부터 아일랜드 배우인 조너선 리스 마이어스.

13. 교육

{{{#!wiki style="margin:-0px -10px -0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공통 ]
<colbgcolor=#002664><colcolor=#fff> 교육 전반 의학전문대학원/외국 · 치의학전문대학원/외국 · 법조인 양성제도 · MBA
학교 목록 국외 소재 고등학교 일람 · 국외 소재 대학교 일람 · 해외 국제 학교 · 사립기숙학교
중등교육과정 IGCSE · IAL · IB
유학 관련 정보 유학 · 영미권 유학 · 어학연수( 국가별 정보) · 도피유학 · 유학원 · 국제반 · 유학생 · 홈스테이 · 외국 유학 장학금 · 갭 이어
관련 경시대회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 IMO · IPhO · IChO · IYPT · IOI · IBO · IPO · IAO · iGeO · IOL · IJSO · IESO · IOAA · IHO · IEO) · 영어 토론 ( WSDC · 디베이트코리아 · 모의 법정 · 모의 유엔) · 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 · IGB
대학평가 QS 세계 대학 랭킹 · ARWU · THE 세계 대학 랭킹 · U.S. 뉴스 & 월드 리포트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북아메리카 ]
<colbgcolor=#b31c31><colcolor=#fff> 교육 전반 미국의 교육 · 캐나다의 교육 · 미국 급식
중등교육과정 Precalculus · AP
어학시험 TOEFL ( TOEFL Essentials · TOEFL JUNIOR) · 듀오링고
표준화 시험 SSAT · 칼리지 보드 ( PSAT 8/9 · PSAT 10 · PSAT/NMSQT · SAT · AP · CLEP) · ACT · CLT · 대학원 입학시험 ( GRE · LSAT · MCAT · DAT · GMAT)
검정고시 GED(미국, 캐나다) · HISET(미국) · NYRE(뉴욕) · OSSLT(온타리오) · TASC(미국) · HSED(위스콘신) · CHSPE(캘리포니아) · CAHSEE(캘리포니아) · TAKS(텍사스)
경시대회 미국수학올림피아드 ( AMC 8 · AMC 10 · AMC 12 · AIME · USAMO/USAJMO) · 미국지리올림피아드 · GeoBee · 스펠링 비 · 윌리엄 로웰 퍼트넘 수학경시대회(학부생)
대학입시 미국의 대학입시 · 캐나다의 대학입시 · Common Application
고등교육 북미 소재 대학교 일람 ( 캐나다 틀 · 대학 연구 협회 · 미국 대학 협회 · U15 · 콜로니얼 칼리지 · 예수회 대학 협회 · 주립대학 · 리버럴 아츠 칼리지 · 커뮤니티 칼리지 · 흑인대학 · 로스쿨) · 어퍼머티브 액션( 문제점) · 미국의 대학 서열화 ( 아이비 리그 · Big Three · 카네기 분류) · NCAA · Greek life( 프래터니티 · 소로리티)
MOOC edX(학력인정/원격대학) · 코세라(학력인정/원격대학) · Udemy(학력인정/원격대학) · Khan Academy · 듀오링고(경력인정) · CrashCourse · IXL
관련 단체 미국 의회도서관 · ETS · 한미교육위원단 · The Study Abroad Foundation · Accelerated Christian Education · Alpha Omega Publications · 데카(단체)
논란 및 사건 사고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 앨라배마 대학교 흑인 등록 거부 사건 · 오하이오 켄트 주립대학교 발포 사건
기타 미국의 생활 관련 정보 · College Confidential ·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유럽 ]
<colbgcolor=#c8102e><colcolor=#fff> 교육 전반 영국의 교육 · 아일랜드의 교육 · 영국 급식 · 영국 유학 · 영국 유학 장학금
중등교육과정 파운데이션 · 식스폼
어학시험 IELTS · 케임브리지 영어 시험 · PTE
표준화 시험 GCSE · A-Level · Leaving Cert · UCAT
경시대회 영국물리올림피아드 · GAWC
대학입시 영국의 대학입시 · UCAS · 케임브리지 시험개발원 ( STEP · BMAT · CAT · MLAT · OLAT · MAT · TSA · PAT · ELAT · HAT · Philosophy Test · TMUA · ECAA · ENGAA · NSAA) · 옥스퍼드 대학교/입시 · 케임브리지 대학교/입시
고등교육 영국 소재 대학교 일람( · 러셀 그룹 · 1994 그룹(해체) · 런던 대학교) · 아일랜드 소재 대학교 일람() · 영국의 대학 서열화 ( 옥스브리지 · 골든 트라이앵글) · League Table( CUG · 더 가디언 유니버시티 가이드 · 더 타임스/더 선데이 타임스)
관련 단체 대영도서관 · 영국문화원 · 피어슨
기타 퍼블릭 스쿨 · PPE · 영국/생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오세아니아 ]
<colbgcolor=#012169><colcolor=#fff> 교육 전반 호주의 교육 · 뉴질랜드의 교육 · 뉴질랜드 유학
대학입시 호주의 대학입시 · 뉴질랜드의 대학입시 · 오세아니아 소재 대학교 일람( 호주 틀 · 뉴질랜드 틀) · 호주의 대학 서열화 ( 그룹 오브 에이트) · 뉴질랜드의 대학 서열화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아시아 ]
<colbgcolor=#de2910><colcolor=#fff> 교육 전반 홍콩의 교육 · 싱가포르의 교육
대학입시 홍콩 소재 대학교 일람 · 싱가포르 소재 대학교 일람 · 홍콩중학문빙 · 주니어 칼리지 }}}}}}}}}

13.1. 초/중등 교육

아일랜드의 교육 제도는 초등 과정(Primary Education), 중등 과정(Secondary Education), 고등 과정(Higher Education)으로 나뉘고 6세 ~ 16세에 해당하는 초등 과정과 중등 과정은 의무 교육을 실시한다. 초등과정은 8년이고 국립 초등학교·특수학교·사립 초등학교로 구분된다. 아일랜드 전역에는 초등학교 3300여 곳이 있다. 대부분 아이들은 국립 초등학교에서 수학한다. 중고등 과정은 6년이고 일반 중학교·종합학교(Comprehensive School)·지역학교(Community School)가 있다. 종합학교와 지역학교는 각각 15개와 24개가 있고 일반 중학교와 병행하는 직업학교가 245곳이 있다. 그 외에 지역 기술학교가 8개 도에 있다.

13.2. 고등 교육

파일:아일랜드 국장.svg
아일랜드 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더블린 대학교 소속, ⊙: 아일랜드 국립대학교 소속, 이외 독립 종합대학
골웨이 국립대학교 더블린 공과대학교 더블린 시립대학교 리머릭 대학교 머뉴스 대학교
먼스터 공과대학교 섀넌 공과대학교 아일랜드 왕립외과의학원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유니버시티 칼리지 코크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영미권의 교육 및 유학 · 북아일랜드의 대학 }}}}}}}}}

아일랜드의 대학입시 시험으로는 Leaving Cert가 있다.

아일랜드의 고등교육기관 종합대학(University), 공학원(Institute of Technology), 국립연구원(National Institution), 교육대학(College of Education)으로 나뉜다. 대부분의 대학들은 상당 부분을 국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지만 대학의 자치·자율권을 갖고 운영한다. 종합대학으로는 다음이 있다.
그 외에 신학대학 세인트 패트릭스 칼리지(St. Patrick's College) 등이 있다.

13.3. 납본 제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납본 도서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대영도서관 스코틀랜드 국립도서관 웨일스 국립도서관
옥스퍼드 대학교 보들리언 도서관 케임브리지 대학교 중앙도서관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도서관
아일랜드의 납본 도서관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납본 도서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아일랜드 국립도서관 대영도서관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도서관
리머릭 대학교 도서관 더블린 시립대학교 도서관 머뉴스 대학교 도서관
골웨이 국립대학교 도서관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도서관 유니버시티 칼리지 코크 도서관
옥스퍼드 대학교 보들리언 도서관, 케임브리지 대학교 중앙도서관, 스코틀랜드 국립도서관, 웨일스 국립도서관 납본 요구를 신청할 수 있음
영국의 납본 도서관 }}}}}}}}}

영국과 아일랜드는 각각 6개, 9개의 납본 도서관이 있는데, 그 중 잉글랜드 런던에 있는 대영도서관과 아일랜드 더블린에 있는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도서관은 겹친다. 이는 이 두 나라의 납본 제도가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시절에 도입되었기 때문이다.

14. 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기타

  • 최근 들어 러시아, 이탈리아 등 국가의 항공사들이 자국 등록번호를 받지 않고 아일랜드의 EI- 등록 번호를 애용하고 있다. 아일랜드의 항공기 리스 사업과 맞물려서 일어나는 일 중 하나다. 러시아의 경우 에어버스, 보잉 등 서방 항공기를 러시아에 등록할 때보다 세금이 싸기 때문에 편의적으로 버뮤다와 아일랜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탈리아도 법적인 이유가 있긴 한데 어차피 같은 EU 소속이니까...
  • 뉴질랜드, 아이슬란드처럼 영토 내에 야생 이 전혀 살지 않는 몇 안되는 국가라고 한다. 이에 대해 민간 설화에서는 성 파트리치오가 아일랜드 땅에서 뱀들을 몰아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과학적 분석으로는 빙하기 시절에 뱀들이 도태되어 전멸되었다는 게 정설이다. 다만 뱀을 들여오는걸 금지하여 동물원에도 뱀이 없는 뉴질랜드와 달리 더블린 동물원에는 뱀이 있다고 한다.
  • 선천적인 뇌성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화가로 성공한 일대기를 다룬 영화 나의 왼발로 유명한 크리스티 브라운(Christy Brown, 1932~1981) 역시 아일랜드인으로, 이 영화는 20세기 당시 궁핍하던 아일랜드 하층민들의 이야기를 잘 다루고 있다.

17. 인물

17.1. 아일랜드 출신 유명인

17.2. 아일랜드 출신 캐릭터

국가별 캐릭터 유형
한국인 캐릭터 일본인 캐릭터 미국인 캐릭터 중국인 캐릭터 영국인 캐릭터 독일인 캐릭터 프랑스인 캐릭터 이탈리아인 캐릭터 러시아인 캐릭터 아일랜드인 캐릭터

※ 해당국 작품 인물 제외. 켈트 신화 인물도 제외한다.

18. 참고 서적

한울 아카데미사에서 나온 『아일랜드의 역사』(원서명: The Course of Irish History)가 아일랜드의 통사를 잘 서술하고 있다. 물론 역자가 사학 전공자가 아니라는 아쉬운 점이 있지만 사실 아일랜드 역사에 대해 그나마 제대로 서술된 이 나온 게 이 책과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박지향 교수의『슬픈 아일랜드』[37]뿐이다. 물론 통사기 때문에 상세한 부분에 있어서는 영어 원서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그 외에 『20세기 포토 다큐 세계사』 5권(부제 : 아일랜드의 세기)에서 아일랜드 근현대사와 함께 참고가 될 만한 사진 자료를 많이 살펴볼 수 있고 시공 디스커버리의 『아일랜드 대기근』에서 아일랜드 대기근 당시 상황을 살펴볼 수 있다. 참고로 지금까지 언급한 서적들이 아일랜드사를 아는 데 번역서로는 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아일랜드사가 서양사에서 절대 주류라고는 할 수 없기에 어쩔 수 없는 현실이다.

역사를 주제로 하지 않은 으로는 푸른 길에서 나온『이승호 교수의 아일랜드 여행 지도』가 있다. 건국대학교 지리학과 교수인 이승호 교수가 안식년에 아일랜드에서 1년간 생활하고 쓴 책이다. 교수의 전공을 따라 인문 지리적인 정보가 많다.

좀 가벼운 책으로는 『아일랜드: 켈트인의 역사와 문화를 찾아서』가 있다. 저자는 연세대학교 한일동 교수.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에서 교수를 지냈으며 한국예이츠학회 회장을 맡은 적도 있다. 내용은 교양 수준의 아일랜드 총람 정도.

[1] 아일랜드어 기준으로 [ˈeːɾʲə]. 관용적으로는 철자를 따른 '에이레'로 표기한다. [2] 영국식 영어 용인발음 기준으로는 [ˈaɪələnd\]. 을 뜻하는 영어 단어인 island([ˈaɪlənd\])와는 발음으로 명확히 구분되지만, 한국어권에서는 '아일랜드'라고 표기한다. 어차피 한국에는 ''이라는 단어가 있기 때문. [3] 전통적인 표어 [4]
[[북아일랜드|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와 접경
[5] 주요 교단은 성공회 아일랜드 교회(Church of Ireland)와 아일랜드 장로회( 장로회), 아일랜드 감리회( 감리회) 등. [6] 세계 2위 [7] 외교부가 관리하는 국가홍보 페이지 [8] 얼스터, 먼스터, 렌스터, 코노트 [9] 북아일랜드 앤트림에 있는 9개의 계곡(Glen)을 가리킨다. 뛰어난 자연 경관으로 이름이 높다. [10] 리머릭에 있는 존 왕의 성을 가리킨다. 922년 바이킹에 의해 건설된 으로 현재의 성은 1200년 존 왕의 명으로 건설된 성이다. 1690년 윌리엄 3세의 아일랜드 정복 당시 이 성을 두고 여러 차례 격전이 벌어져 아일랜드인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11] # # [12] 아래 아일랜드 여행 다큐멘터리를 보면 확인할 수 있다. 아일랜드인의 밝은 머리색 비율은 전체 인구에서 38%, 금발은 15%, 적발은 9%. [13] 특히 북유럽의 경우 전통적으로 붉은 머리를 가진 사람들이 좋은 자질을 가졌다고 여겨 왔다. [14] 아일랜드의 역사적인 인구 변화 등의 여러 가지 내용은  아일랜드/인구 참조. [15] 얼마나 가톨릭 신앙이 대단했냐면, 이곳의 공영방송이자 국가 기간 방송인 RTÉ에서 오후 6시에 삼종기도 시간을 알리는 종소리를 1분간 방송한다. 이 때문에 이후에 방송되는 뉴스 시작 시간은 6시 1분이다. [16] 영어로는 Saint Patrick(세인트 패트릭), 아일랜드어로는 Naomh Pádraig(니우 파리그)라고 한다. 원래는 영국에 살던 로마인이었으나, 로마 제국이 영국에서 물러나면서 침략한 켈트족에 의해 잡혀, 아일랜드의 양치기 노예가 되었다. 그러다가 탈출에 성공해서 갈리아(지금의 프랑스)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그리고는 사제가 되어서 다시 바다를 건너 아일랜드로 가서 가톨릭을 전파했는데, 노예로 아일랜드에서 살아온 경험으로 켈트족의 풍속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선교에 성공했다. [17] 한 예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주인공 스칼렛 오하라 아버지인 제럴드 오하라가 1세대 아일랜드계 미국인인데('오하라'라는 성씨 아일랜드인 성씨인 Ó hEára에서 유래), 이웃 매킨토시 일가 스코틀랜드 청교도 출신이라는 이유로 매우 싫어하며 절대 교류하려 들지 않는다. 물론 이 매킨토시 일가는 제럴드에게 미움을 사는 요소 이전에, 기본적으로 사교성이 부족해서 다른 마을 사람들도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는다. [18] 1911년에서 1926년까지 아일랜드 성공회는 무려 34% 이상의 신자 감소율을 보였다. [19] 가톨릭을 믿는 부유층의 교육은 예수회에서 세운 학교가 주로 담당한다. [20] 16-to-29-years-olds. [21] 1911년부터 1926년까지 아일랜드 성공회의 신자 감소율은 무려 34%가 넘었다. 게다가 감소 추세 자체는 1991년까지 계속된다. [22] 가톨릭교회와 정부의 종교유착은 에이먼 데 벌레라 정권 하에서 특별히 긴밀해졌다. 자유국 수립 때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전까지는 우익 민족주의자와 보수 가톨릭 세력을 중심으로 '성 패트릭 대성당을 몰수해서 가톨릭 측에 되돌려주어야 한다'는 움직임이 일어나기도 했다. [23] https://www.irishtimes.com/news/social-affairs/religion-and-beliefs/church-of-ireland-marks-150-years-since-end-of-role-as-state-church-1.3969923 [24] https://en.wikipedia.org/wiki/Protestantism_in_the_Republic_of_Ireland [25] 영국 역사,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그레이트브리튼(저자 탁양현) [26] 얼스터는 9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중에서 6개 주는 영국 북아일랜드에, 3개 주는 독립국 아일랜드에 속한다. 그렇기에 엄밀히 말하면 틀린 개념이지만 얼스터의 대부분이 영국령이라서 흔히 얼스터를 영국령 북아일랜드를 가리키는 대명사로 쓰기도 한다. [27] 노래 티퍼레리까지는 길이 멀구나로 유명한 지역이다. 아일랜드어로는 Tiobraid Árann이라고 쓴다. [28] 더블린을 중심으로 한 베드타운 위성도시들을 포함한 아주 넓게 본 광역 도시권의 인구는 190만 명으로 아일랜드의 전체 인구의 2/5에 달한다고 보기도 한다. [29] 확장해서 본 광역도시권의 인구는 40만 명. [30] 유로존에 영어가 공용어인 또 다른 국가인 몰타가 있으므로 틀린 말일 수도 있지만, 영어 사용국이라는 의미가 ' 국민 모두가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나라'라는 의미라면 틀린 말이라고 할 수는 없다. 몰타는 대부분의 국민이 몰타어를 구사할 수 있고, 모든 국민이 아닌 약 88% 정도만 영어를 구사할 수 있으므로 엄연히 몰타어가 주가 되는 나라다. 반면 아일랜드는 대부분의 국민이 영어가 모어이며 공식적으로 확인된 마지막 아일랜드어 단일 화자인 샨 오헨리(Seán Ó hEinirí, 1915~1998) 이후로는 공식적으로는 모든 국민이 영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 소수의 국민만 아일랜드어를 제대로 구사할 수 있으므로 엄연히 영어가 주가 되는 나라다. [31] 헌법에 의하면 아일랜드어로 법안 작성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영어로 작성된다. 또한 의회에서 말할 때도 대부분 영어를 사용한다. [32] TG4라는 아일랜드어 TV 방송국이 따로 있다. 이 방송국을 운영하는 회사의 소유주는 RTÉ다. 그래서 그런지 RTÉ News라는 채널에서 일부 시간대에 TG4의 프로그램을 볼 수 있다. [33] 영국 드라마 셜록 짐 모리어티 역으로 유명하다. [34] 대표작으로 원스, 비긴 어게인, 싱 스트리트 등이 있다. [35] 미국 출신이지만 혈통은 100% 순수 아일랜드계 가톨릭교도이다. [36] 평행세계의 전작 소녀가배창에서는 프랑스인으로 나온다. [37] 단 이 책은 박지향 교수의 극단적인 뉴라이트 성향이 반영되어 아일랜드의 독립운동을 평가절하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고 읽어야 한다. 정말 안타까운 건 한국에서 그나마 아일랜드 역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게 박지향 교수뿐이라는 것과 박지향 교수 역시 아일랜드사가 아닌 영국사 전공자라는 점이다. 그나마 권위자가 박지향 교수다 보니 국내에 번역된 아일랜드 역사 관련 서적은 모두 박지향 교수의 감수를 받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