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0:26:19

대만/영유권 주장 지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만
파일:백일문.svg 대만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직할시
파일:타이베이시 휘장.svg
타이베이시
파일:신베이시 휘장.svg
신베이시
파일:가오슝시 휘장.svg
가오슝시
파일:타이중시 휘장.svg
타이중시
파일:타이난시 휘장.svg
타이난시
파일:타오위안시 휘장.svg
타오위안시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타이완성 및 하위행정구역
파일:타이완성 휘장.svg
타이완성
파일:신주시 휘장.svg
신주시
파일:자이시 휘장.svg
자이시
파일:지룽시 휘장.svg
지룽시
파일:난터우현 휘장.svg
난터우현
파일:먀오리현 휘장.svg
먀오리현
파일:신주현 휘장.svg
신주현
파일:윈린현 휘장.svg
윈린현
파일:이란현 휘장.svg
이란현
파일:자이현 휘장.svg
자이현
파일:장화현 휘장.svg
장화현
파일:타이둥현 휘장.svg
타이둥현
파일:펑후현 휘장.svg
펑후현
파일:핑둥현 휘장.svg
핑둥현
파일:화롄현 휘장.svg
화롄현
푸젠성 및 하위행정구역
파일:푸젠성(대만) 휘장.svg
푸젠성
파일:롄장현 휘장.svg
롄장현
파일:진먼현 휘장.svg
진먼현
현재 대만이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행정구역만 기재
기타 명목상 영토에 대해서는 대만/영유권 주장 지역 문서 참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정치·행정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 조직) · 사법원 · 헌법( 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 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 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국가원수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국가원수( 명단) · 총통( 명단)
기타 정치인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 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 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 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감정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사법 · 치안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군사 전반 국방부( 역정서) · 대만군( 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 역사 전반( 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 초한쟁패기) · ( 전한 · · 후한) · 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 북송 · 남송) · · · 서하 · · ( 남명 · · · 동녕국) · ( 태평천국) · 일치시기 · 만주국 · 중화민국( 임시정부 · 북양정부 · 국민정부 · 호법정부 · 우한정부 · 임시정부(괴뢰)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국부천대 · 대만)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 연성공
사서 흠정이십사사( 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계축전쟁 · 호국전쟁) · 선후대차관 사건 · 중화민국 국회 해산 · 홍헌제제 · 부원지쟁 · 장훈복벽 · 제1차 호법운동 · 호법전쟁 · 5.4 운동 · 하남독군 교체 파동 · 안직전쟁 · 제2차 호법운동 · 영풍함 사건 · 외몽골 출병 · 직봉전쟁( 1차 · 2차) · 국민혁명( 1차 · 2차) · 탕산회의 · 동북역치 · 편견회의 · 호남 사건 · 반장전쟁( 제1차 장계전쟁 · 제1차 장풍전쟁 · 중동로 사건 · 봉소전쟁 · 제2차 장계전쟁 · 제2차 장풍전쟁 · 장당전쟁 · 중원대전) · 초공작전 · 중국-티베트 전쟁 · 신강 침공 · 중일전쟁( 만주사변 · 열하사변 · 시안 사건 · 국공합작) · 국공내전 · 국부천대 · 제1차 대만 해협 위기 · 제2차 대만 해협 위기 · 국광 작전 · 대만 계엄령 · 2.28 사건 · 중화문명부흥운동 · 중리 사건 · 메이리다오 사건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대만 여권운동가 피살 사건 · 천수이볜 암살 미수 사건 · 해바라기 운동 ·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8.15 대만 블랙 아웃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 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 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 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 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 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 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 영화( 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 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요리 요리 전반( 대만 요리)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 종류) · 미국식( 종류) · 일본식( 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 · 대만 술( 백주 · 황주 · 맥주 · 금문고량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 · 경극( 변검) · 잡극( 포대희)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 · 마작( 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 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 중국사대기서) · 토루 · 사합원 · 패방 · 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현대문화 만화( 팬시 프론티어) · 민국기년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 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 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 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 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 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 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 중화민국 국어) · 관화 · 민어( 대만어) · 객가어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대만 제어 · 백화문 · 한자( 정체자 · 방언자 · 중문대사전) · 주음부호 · 병음( 우정식 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국어라마자 · 통용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대라병음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객가어병음방안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중어중문학과 · 제2외국어(교과)/중국어 · TOCFL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 · 국립고궁박물원 · 국부기념관 · 대만의 성 · 중정기념당 · 충렬사 · 원산대반점 · 예류 · 진과스 · 핑시선 · 우라이 · 타이베이 101 · 가오슝 85 타워 · 지우펀 · 샹산 · 펑후 · 진먼
전시장 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 · 난강전람관 · 가오슝전람관
}}} ||

1. 개요2. 영유권 주장
2.1. 몽골과 투바 관련 2012년 헌법 해석2.2. 대만 독립론자 측 의견
3. 역사4. 체계 및 목록5. 중화인민공화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지역6. 관련 자료

[clearfix]

1. 개요

중화민국 대만이 주장하는 미수복 지역(영유권을 주장하나 실질적인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행정구역)을 다루는 문서이다. 대부분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실효 지배 중이며, 그 밖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지만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과 영유권도 주장하지 않는 지역이 포함되어 있다.

2. 영유권 주장

파일:중화민국 행정구역도 (미수복지역 포함).svg
파일:1280px-ROC_vs_PRC.svg.png
중화민국 행정구역도 중화인민공화국 행정구역과 대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41px-Republic_of_China_%28orthographic_projection%2C_historical%29.svg.png 파일:Republic_of_China_(orthographic_projection)_excluding_Outer_Mongolia.svg
헌법상 강역, 외관이 추해당( 베고니아) 잎과 비슷하게 생겨서 '추해당(秋海棠)'이라고도 부른다.
남중국해 파라셀 군도 스프래틀리 군도, 박롱비 섬과 같은 분쟁 지역은 암초들이 워낙 작다 보니 위 지도에 표시되지 않았다.
2012년 헌법 해석을 따른 명목상 강역[1]
파일:external/i1083.photobucket.com/DSC_0205.jpg
파일:external/3.bp.blogspot.com/DSC_1048.jpg
냉전 시절의 대만에서 나온 세계 지도.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하지 않으니 당연히 중국 대륙이 중화민국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수도 역시 베이징 타이베이도 아닌 난징으로 되어 있다. 거기에다 베이징을 베이핑(北平)으로 적었으며 몽골도 중화민국 영토로 표시. 정확히는 그냥 옛 청나라의 영토 전체가 그대로 중화민국의 영토로 되어 있다. 원본 가오슝의 어느 학교에 있는 세계 지도. 2012년 헌법 해석 변경을 따라 몽골을 중화민국 땅이 아닌 독립국으로 표시해 두었다. 원본 그러나 위에서 설명했듯이 러시아가 투바 공화국을 지배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지 않고 그냥 몽골의 영토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취급하고 있다.
파일:중화민국 해군육전대 휘장.svg 파일:1280px-Flying-camel_Emblem.svg.png
대만 해군육전대( 해병대) 휘장 대만 연합후근사령부 휘장
1987년 TTV 방송 시작 화면. 화면을 보면 지구와 세계 지도가 나온 다음 국화( 매화) 그림 안에 대만이 주장하는 모든 영토(실효 지배 영토와 미수복 영토)가 나온다. 미수복 영토는 주황색, 실효 지배 지역은 녹색으로 표시. 다만 이 경우는 TTV가 타이완성 지역 방송이라 대만이 초록색으로 나오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TTV는 처음 개국할 때 주인이 타이완성 정부이기도 했고. 하지만 이 지역이 사실상 전국이 되었고 게다가 중국국민당 민주진보당의 합의로 성 정부 기능이 축소된 이후에는 대만 정부(행정원) 산하가 되었다. TTV라는 이름과 달리 타이완성뿐만 아니라 대륙과 가까운 푸젠성도 시청 가능하다.

이 영토를 전부 다 회복할 가망도 특별한 일이 없이는 어려워보이고, 게다가 지금의 중국 땅만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1912년 기준 명목상 청나라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한다. 이런 주장을 하는 이유는 명목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을 '불법 정권'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다른 나라들과 합의해서 정한 국경을 인정하지 않는 상징적 의미가 강하다. 사실 현재 대다수의 대만인들에게 위 중화민국 강역은 선언적 의미 이상을 벗어나지 않는다. 대만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타이완 독립운동 지지자들을 비롯한 범록연맹에서는 저 강역을 완강히 부정한다.

장제스 국민당 정부 시절에 대륙 수복을 꿈꾸며 타이베이 가오슝 시내 도로명을 대륙의 미수복지구 지명들로 도배해 놓았다. 타이베이에서는 영문 표기가 한어병음으로 되어 있지만 가오슝에서는 대륙지구에 있는 지명인데도 통용병음으로 되어 있다.

각 국가 내 대만이 주장하는 미수복 영토 부분은 대만/외교 문서도 참고.

2.1. 몽골과 투바 관련 2012년 헌법 해석

현재 대만은 자기네 미수복지구가 얼마나 되는지 정확히 모른다. 예를 들어 대만은 몽골의 전신인 몽골 인민공화국 독립을 대륙시기 국민정부 중 헌법을 정식 반포하기 이전(1947년)에 승인했다가(1946년) 국부천대 이후인 1953년에 독립 인정 공포를 번복하고 다시 해당 지역을 명목상 자국 영토인 몽골 지방으로 공포해 버렸다가 2012년에 1946년의 몽골 인민 공화국 독립을 승인했다고 해석을 고쳐서 몽골이 독립국임을 인정하며 오락가락했다.

그런데 대만이 자국에서 떨어져 나간 것으로 간주하는 몽골 지방 영역에 그 전까지 계속 자기 영토로 주장했던 러시아 투바 공화국 지역도 포함되기에, 대만 관점에서는 몽골과 러시아의 의사와 무관하게 투바 일대가 몽골 영토인마냥 취급하는 경우도 있다. 과거 몽골 지방과 실제 독립국 몽골 사이 강역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잘 모르던 탓에, 그냥 지도 제작자가 중화민국 명목상 영토에서 몽골 지방을 빼버리고 몽골국으로 처리하기 때문이다.

몽골과 투바를 제외해도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 미얀마, 인도, 파키스탄을 비롯한 다른 국가 영토와 조금씩 겹치는 부분이 있어 현 중화인민공화국 영토와 약간 차이가 있다. 하지만 대륙 수복은 가능성이 극히 낮기는 해도 같은 민족끼리 통일이라는 명분이라도 있지만 현시점에서 대만이 미얀마, 인도, 파키스탄 등 다른 국가들이 갖고 있는 영토를 되찾아오는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래서 다른 관점으로는 현실적으로 미수복지구와 중화인민공화국 영토를 그냥 동일시한다.

2.2. 대만 독립론자 측 의견

대만 독립론이 이미 많은 대만인들에게 익숙한 중화민국 존재 자체를 부정하여 민심과 괴리가 있기 때문에 대안으로 나온 것으로 '중화민국 (분리) 독립'[2], 줄여서 화독(華獨) 또는 국독(國獨)이라는 논법이 있다. 화독 논법을 따르면 중화민국 영토는 현재 자유지구(타이완, 펑후, 진먼, 마쭈, 남중국해 내 실효 지배 영토인 프라타스 군도 타이핑다오(太平島)만 해당되고 위 강역은 부정된다. "중화민국이 본래의 중국이 맞으나 면적 비중이 너무 큰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나라가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영국)에서 미국이 독립한 것과 같이 독립해서 떨어져 나갔음"이라는 논법을 쓰는 소위 대륙 독립론, 줄여서 육독(陸獨)의 관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대만 독립론자들 중 일부 강경파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로 대만의 주권이 결정되지 않았고 중화민국의 대만 지배는 무효라는 관점을 취하는데, 이들은 "중화민국이 현재 존재한다면 진마(진먼·마쭈)지구만을 영토로 가지고 있음"이라는 주장을 펴기도 한다.

3. 역사

1913년 1월 8일에 《劃一現行各省地方行政官廳組織令》(획일 현행 각 성 지방행정관청 조직령)、《劃一現行各道地方行政官廳組織令》(획일 현행 각 도 지방행정관청 조직령)、《劃一現行各縣行政官廳組織令》(획일 현행 각 현 행정관청 조직령), 이하 '획일령(劃一令」)'을 공포하고, 동년 5월에 성관제, 도관제, 현관제를 제정하고 1914년 1월에 시행하여 , , 청(廳)을 철폐하고 를 종전 로 맞춰 분할했다. 1914년 1월 30일에 《改定各省重複縣名及存廢理由清單》(각 중복 현명 개정 및 존폐 이유 청단, 위키문헌)를 비준하며 유명하지 않거나 나중에 생긴 일부 현 이름을 소속한 부 이름이나 옛이름으로 바꿨고, 동년 8월 28일에 도(道) 93개로 증설했다. 다만 직례성 베이징 순천부(北京順天府)는 그대로 존속하다 10월 4일에 경조지방(京兆地方)-장관: 경조윤(京兆尹)-으로 개편되어 직례성에서 분리되었다. 1914년에 변경지방에 촨볜(川邊)특별행정구, 러허(熱河)특별행정구, 차하르특별행정구, 쑤이위안(綏遠)특별행정구 4개 특별행정구 칭하이지방(青海地方), 시짱지방, 몽골지방 3개 지방, 알타이지구([ruby(阿, ruby=ㄚˋ)][ruby(爾, ruby=ㄦˇ)][ruby(泰, ruby=ㄊㄞˋ)]地區), 일리지구([ruby(伊, ruby=ㄧ)][ruby(犁, ruby=ㄌㄧ)]地區), 타르바가타이지구([ruby(塔, ruby=ㄊㄚˇ)][ruby(爾, ruby=ㄦˇ)][ruby(巴, ruby=ㄅㄚ)][ruby(哈, ruby=ㄏㄚˇ)][ruby(臺, ruby=ㄊㄞˊ)]地區)를 설치했다.

1914년( 민국 3년) 2월 5일에 발행한 중화민국 (북양)정부 공보 제628호
개칭 전 개칭 후 비고
봉천성(奉天省) 안동현(安東縣) 강소성 안동현(安東縣)보다 늦은 1876년( 청나라 광서 2년)에 같은 이름으로 설치되었으나 1906년( 청나라 광서 32년)에 (조약으로) 개항되며 유명해져 개칭되지 않고 유지되었다.
1934년에 일부가 안동시(安東市)로 분리되었고, 1965년에 안동시가 현 단동시(丹東市)로, 안동현이 동구현(東溝縣)으로 개칭되었으며, 1993년에 동구현이 현급시인 동항시(東港市)로 승격되었다.
강소성 안동현(安東縣) 강소성 연수현(漣水縣) 585년( 수 문제 개황 5년)에 현 북쪽에 있는 연수(漣水)를 따 바꾼 연수현(漣水縣)으로 되돌렸다.


1914년 2월 이후에도 다음과 같이 현 이름이 바뀌었다.
개편 일자 개편 전 개편 후 비고
(사유 등)
1914년 2월 산동성 蘭山縣 산동성 임기현(臨沂縣) 감숙성 난산도(蘭山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5월 봉천성(奉天省) 승덕현(承德縣) 봉천성(奉天省) 심양현(瀋陽縣) 직례성(直隸省) 승덕현(承德縣)과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봉천성(奉天省) 장수현(長壽縣) 봉천성(奉天省) 동빈현(同賓縣) 사천성 장수현(長壽縣)과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하남성 영녕현(永寧縣) 하남성 낙녕현(洛寧縣) 사천성 영녕도(永寧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직례성(直隸省) 안숙현(安肅縣) 직례성(直隸省) 서수현(徐水縣) 감숙성 안숙도(安肅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강서성 여릉현(廬陵縣) 강서성 길안현(吉安縣) 같은 여릉도(廬陵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산서성 악양현(岳陽縣) 산서성 안택현(安澤縣) 호남성 악양현(岳陽縣)과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강서성 건창현(建昌縣) 강서성 영수현(永修縣) 사천성 건창도(建昌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직례성(直隸省) 보정현(保定縣) 직례성(直隸省) 신진현(新鎮縣) 같은 보정도(保定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광서성(廣西省) 남녕현(南寧縣) 광서성(廣西省) 옹녕현(邕寧縣) 같은 남녕도(南寧道)와 이름이 겹침
1914년 6월 운남성 보이현(普洱縣) 운남성 영위현(寧洱縣) 같은 같은 보이도(普洱道)와 이름이 겹침
1916년 4월 사천성 회유현(懷柔縣) 사천성 첨화현(瞻化縣) 경조지방(京兆地方) 회유현(懷柔縣)과 이름이 겹침
1919년 10월 감숙성 금현(金縣) 감숙성 유중현(榆中縣) 봉천성(奉天省) 금현(金縣)과 이름이 겹침
1928년 10월 하북성 당산현(唐山縣) 하북성 요산현(堯山縣) 같은 난현(灤縣) 당산진(唐山鎮)과 이름이 겹침
1929년 4월 감숙성 영강현(永康縣) 감숙성 강현(康縣) 절강성 영강현(永康縣)과 이름이 겹침
1929년 9월 합강성(合江省) 수원현(綏遠縣) 합강성(合江省) 무원현(撫遠縣) 수원성(綏遠省)과 이름이 겹침
1929년 9월 기린성 기린현(吉林縣) 기린성 영길현(永吉縣) 기린성과 이름이 겹침
1929년 11월 운남성 광서현(廣西縣) 운남성 노서현(瀘西縣) 광서성(廣西省)과 이름이 겹침
1929년 11월 운남성 운남현(雲南縣) 운남성 상운현(祥雲縣) 이름과 겹침
1930년 10월 귀주성 귀양현(貴陽縣) 귀주성 귀축현(貴築縣) 귀양시(貴陽市)와 이름이 겹침
1942년 3월 영하성(寧夏省) 영하현(寧夏縣) 영하성(寧夏省) 하란현(賀蘭縣) 이름과 겹침
1945년 1월 운남성 곤명현(昆明縣) 운남성 곡창현(谷昌縣) 곤명시(昆明市)와 이름이 겹침

1916년에 현 일리 카자흐 자치주인 3개 지구가 신강성(新疆省)에 편입되었고, 각각 알타이지구에서 알산도(阿山道, 1949년 제6행정독찰구)로, 일리지구에서 일리도(伊犁道, 1949년 제3행정독찰구)로, 타르바가타이지구에서 타성도(塔城道, 1949년 제5행정독찰구)로 개편되었다.

1925년 7월 1일에 성정부 조직법(省政府組織法) #을 제정했다.

1927년에 난징특별시를 설치했다.

1928년에 난징으로 천도했다.

1928년 6월에 직례성(直隸省, 약칭: 直)과 경조지방 대부분 지역을 허베이성([ruby(河, ruby=ㄏㄜˊ)][ruby(北, ruby=ㄅㄟˇ)]省)으로 통합하고, 경조지방 중심 시내만을 베이핑([ruby(北, ruby=ㄅㄟˇ)][ruby(平, ruby=ㄆㄧㄥˊ)])시로 개편했다. 차하르특별행정구가 차하르성으로, 러허특별행정구가 러허성으로 개편되었다.

1928년 12월에 베이핑시가 행정원 직할시가 되어 허베이성에서 분리되었다.

1929년 5월 14일에 현조직법(縣組織法) #을 제정하고 동년 6월 5일에 공포했다.

1929년 5월에 현조직법을 제정 #했다. 이때에 현(정부를)을 면적, 업무량, 세대수, 인구수, 생산력을 따라 1등현, 2드현, 3등현으로 재분류했다. 이전까지 '1등현, 2등현, 3등현 ...' 또는 '갑등현, 을등현, 병등현 ...' 등으로 분류했다.

1929년에 쑤이위안특별행정구가 쑤이위안성으로 개편되고, 닝샤성([ruby(寧, ruby=ㄋㄧㄥˊ)][ruby(夏, ruby=ㄒㄧㄚˋ)]省)이 설치되어 남몽골 / 내몽고 지역의 행정구역이 새북4성으로 완전히 정비되었다. 칭하이지방이 칭하이성으로 개편되고 시닝현을 비롯한 7개 현이 간쑤성에서 칭하이성으로 이관되었다. 봉천성(奉天省)이 랴오닝성([ruby(遼, ruby=ㄌㄧㄠˊ)][ruby(寧, ruby=ㄋㄧㄥˊ)]省)으로 개칭되었다.

1930년에 시조직법을 제정했다.

1931년 10월 3일에 몽골 맹, 부, 기 조직법(蒙古盟部旗組織法) #을 제정하고 동년 10월 12일에 공포하여 맹, 트바부, 기가 법인이 되었다.

1939년에 촨볜특별행정구가 시캉성으로 개편되었다.

1943년 4월 30일에 시조직법 #을 개정하고 동년 5월 19일에 공포했다. 이때부터 성회인 원할시가 생겼으며, 성할시로 승격할 수 있는 인구 기준이 10만명씩 낮아져, 20만명 이상인 시가지 지역 또는 10만명 이상인 내 거점(시가지)으로 바뀌었다.

1945년에 중일전쟁에서 승전하고 재조사한 뒤에 1드현, 2등현, 3등현, 4등현, 5등현, 6등현 6단계로 세분, 재조정했다. 일본에서 반환받은 대만을 통치하기 위해 타이완성을 설치하고 타이완성의 최고 행정기관으로 타이완성 행정장관공서(臺灣省行政長官公署)를 설치하였으며, 동시에 대만의 행정구역 체계를 중국 본토식으로 개편하였다.

1946년에 동북부 ( 만주) 지역의 행정구역을 동북9성으로 정비하였다.

1947년 5월 16일에 타이완성 행정장관공서를 폐지하고 타이완성 정부를 정식으로 설치하였다.

1947년 6월 27일에 시조직법 #을 개정하고 동년 7월 24일에 공포했다.

1949년에 하이난 특별행정구를 분리, 설치했다.

1950년에 천대 이후에도 일부지역을 실효지배하던 광둥성, 광시성, 윈난성이 함락되고 공산화되면서 성정부를 해산했다.

1991년에 11자리 행정구역 코드 체계를 도입하며 코드를 배정하였다.

2005년 행정원 연감에 본토 행정구역을 마지막으로 기재하였으며 2006년부터 행정원 연감에 본토 행정구역을 다루지 않고 대만지구만을 기재하고 있다.

4. 체계 및 목록

행정구역 체계는 다음과 같다.
등급 유형
성급
(1급)
성, 특별행정구, 지방, 원할시
도급구급
(2급)
도, (행정독찰구,) 기교, 맹, 특별기, 목장
현급
(3급)
현, 성할시, 설치국, 관리국, 종, 계잡, 기
향급
(4급)
향, 진, 현할시, 구, 소목
촌급
(5급)
촌, 리, 알사
촌급 이하

기교(基巧), 종(宗), 계잡(溪帀)은 티베트인 행정구역이고 맹(盟), 기(旗), 소목(蘇木), 알사(爾薩)는 몽골인 행정구역이다. 기교와 맹은 행정독찰구(行政督察區)-감찰을 위해 설치한 성정부 출장소인 행정독찰전원공서(行政督察專員公署) 관할구역-와, 종(宗), 계잡(溪帀)과 기(旗)는 성할시(省轄市)-계잡, 기-, 현(縣)-종, 기-과 동격이다. 단 기교와 맹은 행정독찰구보다 1914년에 폐지된 부(府)에 더 가깝다. 특별기(特別旗)는 맹에 속하지 않는 기이며, 맹과 특별기 및 목장은 성 및 지방에 속하나 실제 행정은 행정원이 직할함으로 되어 있다.

성급 행정구역 행정부 소재지를 다음과 같이 부른다.
  • 성: 성회(省會)
  • 특별행정구: 장관공서 소재지(長官公署駐地; 장관공서 주지)
  • 지방: 수부(首府)
  • 원할시: 정부 소재지(政府駐地; 정부 주지)

현급 행정구역 중 설치국(設治局)은 현 일부를 분리해 임시로 설치하는 통치 기구이며, 관리국(管理局)은 명승지나 지리적 환경이 특수한 지역에 특별히 설치한 행정 구역이다.

국부천대 이전 성할시 승격 기준은 인구 20만명 이상 또는 인구 10만명 이상이인 지역 거점도시였으며, 직할시 승격 기준은 인구 100만명 이상이었다. 이때 성할시 승격은 현 전체가 승격되는 것이 아니라, 성할시 승격 기준을 만족하는 진 1개만 분리하거나 진과 향을 통합해 현에서 분리, 승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 때문에 한 성 안에 성할시와 이름이 같은 현이 존재하는 경우가 잦다. 현대 중국에서 일부 지급시 아래에 그 지급시와 이름이 같은 현이 존재하는 것이 현 일부를 분리, 승격시켜 성할시를 설치하도록 한 제도의 잔재다. 이 체계가 지급시 제도를 도입할 때까지 남아있다가, 지급시 제도가 도입되면서 성할시 승격으로 분리되었던 기존의 현이 지급시에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현대 중국에서 지역 구분용으로 종종 사용하는 6대지리구(地理區)처럼 전국을 크개 6개 지역으로 구분했지만, 베이징 기준 방위로 정한 6대지리구와 그 명칭과 형태가 전혀 다르다. 중화민국 시기 6대구(六大區)의 형태는 명나라 이래 전통 중국의 영역인 한지(漢地)와 변경지역을 나누어서 변경지역을 방위 및 지리에 따라 동북(東北), 새북(塞北), 서부(西部) 세 지역으로 나누고, 한지를 위도로 화북(華北), 화중(華中), 화남(華南) 세 지역으로 나눈 형태로 편성되어 있다.
파일:중화민국 지역.png
  • 동북지구: 랴오닝성, 안둥성, 랴오베이성, 지린성, 쑹장성, 넌장성, 헤이룽장성, 힝간성, 다롄시, 하르빈시, 선양시 9성-이른바 동북9성(東北九省)- 3시, 지금 중화인민공화국 동북 3성 내몽골자치구 동4맹 등으로 당시 만주는 일본 등이 지배 거점을 마련하기 위해 많이 투자했기 때문에 공업이 발달한 지역이었다.
  • 새북(塞北)지구: 요새(要塞: 만리장성) 북쪽인 닝샤성, 쑤이위안성, 차하르성, 러허성 및 몽골지방 4성-이른바 새북4성- 1지방
  • 서부(西部)지구: 시캄성, 칭하이성, 신장성, 티베트지방 3성 1지방
  • 화북지구: 허베이성, 산둥성, 허난성, 산서성, 섬서성, 간쑤성, 베이핑시, 칭다오시, 톈진시, 시안시 6성- 이른바 화북6성- 4시
  • 화중지구: 장쑤성, 저장성, 안후이성, 장시성 후베이성, 후난성, 쓰촨성, 난징시, 상하이시, 충칭시, 한커우시 7성- 이른바 화중7성- 4시
  • 화남지구: 푸젠성, 다이완성, 광둥성, 광시성, 윈난성, 구이저우성, 하이난특별행정구, 광저우시 6성-이른바 화남6성- 1특구 1시

대만 행정구역 코드 체계와 같다. 성급 행정구역에 두 자리 행정구역 코드가, 현급 이하 행정구역에 3자리씩으로 조합된 11자리 행정구역 코드가 지정되어 있다. 35개 성에 01(장쑤성)~35(신장성) 코드가 할당되어 있으며 이 중 실효지배하는 2개 성인 푸젠성과 타이완성에 할당된 코드는 각각 09, 10이다. 36은 하이난특별행정구, 37, 38은 각각 시짱지방과 몽골지방에 할당되어 있다. 본토에 있는 12개 직할시에 51(난징시)~62(선양시)가 할당되어 있으며, 타이베이와 가오슝에 각각 63, 64가 할당되었다. 2010년 이후에 승격한 신베이, 타이중, 타이난, 타오위안에 이 순서대로 각각 65, 66, 67, 68을 할당받았다. 맹·부, 특별기, 목장은 성급 코드 다음에 2부터 숫자가 하나씩 올라가는 방식이며 기(旗) 부분부터 현과 같은 방식이다. 다만 코드 책에 하이픈(-)이 붙고 바로 다음에 숫자가 오는 방식으로 등록되어 있다. 직할시는 현급을 건너뛰고 향급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직할시 산하 향급, 촌급행정구는 현급행정구 코드가 000으로 적힌다.

4.1.

코드 명칭 약칭 성회 지구 비고
01 장쑤([ruby(江, ruby=ㄐㄧㄤ)][ruby(蘇, ruby=ㄙㄨ)]) [ruby(蘇, ruby=ㄙㄨ)] 전장([ruby(鎮, ruby=ㄓㄣˋ)][ruby(江, ruby=ㄐㄧㄤ)])현 화중 당시 수도권
1949년에 성쓰현([ruby(嵊, ruby=ㄕㄥˋ)][ruby(泗, ruby=ㄙˋ)]縣)으로 이전(피난)
02 저장([ruby(浙, ruby=ㄓㄜˋ)][ruby(江, ruby=ㄐㄧㄤ)]) [ruby(浙, ruby=ㄓㄜˋ)] 항저우([ruby(杭, ruby=ㄏㄤˊ)][ruby(州, ruby=ㄓㄡ)])시 화중 1949년에 주산군도인 딩하이현([ruby(定, ruby=ㄉㄧㄥˋ)][ruby(海, ruby=ㄏㄞˇ)]縣)으로 이전(피난), 1950년에 철수했다 다천 군도인 원링현([ruby(溫, ruby=ㄨㄣ)][ruby(嶺, ruby=ㄌㄧㄥˇ)]縣)으로 복귀. 1955년 제1차 대만 해협 위기로 인해 철수, 성정부 폐지.
03 안후이([ruby(安, ruby=ㄢ)][ruby(徽, ruby=ㄏㄨㄟ)]) [ruby(皖, ruby=ㄨㄢˇ)] 허페이([ruby(合, ruby=ㄏㄜˊ)][ruby(肥, ruby=ㄈㄟˊ)])현 화중
04 장시([ruby(江, ruby=ㄐㄧㄤ)][ruby(西, ruby=ㄒㄧ)]) 난창([ruby(南, ruby=ㄋㄢˊ)][ruby(昌, ruby=ㄔㄤ)])시 화중
05 후베이([ruby(湖, ruby=ㄏㄨˊ)][ruby(北, ruby=ㄅㄟˇ)]) 우창([ruby(武, ruby=ㄨˇ)][ruby(昌, ruby=ㄔㄤ)])시 화중
06 후난([ruby(湖, ruby=ㄏㄨˊ)][ruby(南, ruby=ㄋㄢˊ)]) 창사([ruby(長, ruby=ㄔㄤˊ)][ruby(沙, ruby=ㄕㄚ)])시 화중
07 쓰촨([ruby(四, ruby=ㄙˋ)][ruby(川, ruby=ㄔㄨㄢ)]) [ruby(川, ruby=ㄔㄨㄢ)]、[ruby(蜀, ruby=ㄕㄨˇ)] 청두([ruby(成, ruby=ㄔㄥˊ)][ruby(都, ruby=ㄉㄨ)])시 화중 1949년에 시캉성 시창현([ruby(西, ruby=ㄒㄧ)][ruby(昌, ruby=ㄔㄤ)]縣)으로 이전(피난), 이후 시캉성 일부를 편입
08 시캉([ruby(西, ruby=ㄒㄧ)][ruby(康, ruby=ㄎㄤ)]) [ruby(康, ruby=ㄎㄤ)] 캄딩([ruby(康, ruby=ㄎㄤ)][ruby(定, ruby=ㄉㄧㄥˋ)])현 서부 康은 티베트어 캄( 티베트 문자: ག, 와일리식 로마자 전자법: Khams)을 음차. 1914년 ~ 1918년 이후 티베트가 점령해 실효지배하지 못한 중·서부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일부가 되었고, 나머지는 쓰촨성 (주로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일부가 됨.
09 푸젠([ruby(福, ruby=ㄈㄨˊ)][ruby(建, ruby=ㄐㄧㄢˋ)]) [ruby(閩, ruby=ㄇㄧㄣˇ)] 푸저우([ruby(福, ruby=ㄈㄨˊ)][ruby(州, ruby=ㄓㄡ)])시 화남 현재 일부 도서지구인 진마디취(진먼, 마쭈)만 실효지배
10 타이완([ruby(臺, ruby=ㄊㄞˊ)][ruby(灣, ruby=ㄨㄢ)]) [ruby(臺, ruby=ㄊㄞˊ)] 타이베이([ruby(臺, ruby=ㄊㄞˊ)][ruby(北, ruby=ㄅㄟˇ)])시 → 난터우([ruby(南, ruby=ㄋㄢˊ)][ruby(投, ruby=ㄊㄡˊ)])현 화남 1945년 설치, 이란현 부속 댜오위타이 열도를 제외한 전지역 실효지배. 국부천대(1949년) 당시 9시 8현 1관리국으로 구성, 1950년에 5시 16현 1관리국으로 개편함. 성정부는 1956년에 난터우현으로 이전.
11 광둥(廣東) 광저우(廣州)시 화남
12 광시(廣西) 구이린(桂林)시 화남 1958년에 광시 동족 자치구로 개편, 1965년에 민족명칭을 동족에서 좡족으로 개정하며 광시 좡족자치구로 개칭
13 윈난(雲南) 쿤밍(昆明)시 화남
14 구이저우(貴州) 구이양(貴陽)시 화남
15 허베이(河北) 칭위안(清苑)현 화북
16 산둥(山東) 지난(濟南)시 화북
17 허난(河南) 카이펑(開封)현 화북 1954년에 정저우시로 성정부 이전.
18 산시(山西) 타이위안(太原)시 화북
19 산시(陝西) 시안(西安)시 화북
20 간쑤(甘肅) 란저우(蘭州)시 화북
21 닝샤([ruby(寧, ruby=ㄋㄧㄥˊ)][ruby(夏, ruby=ㄒㄧㄚˋ)]) 인촨(銀川)시 새북 현재 대부분은 내몽골 자치구에 편입, 성회인 인촨시를 비롯한 남부 일부(주로 간쑤성에서 편입한 지역)는 후이족 자치구로 개편.
22 칭하이(青海) 시닝(西寧)시 서부
23 쑤이위안(綏遠) 구이쑤이(歸綏)시 새북
24 차하르(察哈爾) 장위안(張垣)시 새북 성 이름은 몽골어 음차
25 러허(熱河) 청더(承德)현 새북
26 랴오닝(遼寧) 선양(瀋陽)시 동북
27 안둥(安東) 퉁화(通化)시 동북
28 랴오베이(遼北) 랴오위안(遼源)현 동북
29 지린([ruby(吉, ruby=ㄐㄧˊ)][ruby(林, ruby=ㄌㄧㄣˊ)]) [ruby(吉, ruby=ㄐㄧˊ)] 지린([ruby(吉, ruby=ㄐㄧˊ)][ruby(林, ruby=ㄌㄧㄣˊ)])시 동북 성 및 성회 이름은 만주어 음차
30 쑹장([ruby(松, ruby=ㄙㄨㄥ)][ruby(江, ruby=ㄐㄧㄤ)]) [ruby(松, ruby=ㄙㄨㄥ)] 무단장( [ruby(牡, ruby=ㄇㄨˇ)][ruby(丹, ruby=ㄉㄢ)][ruby(江, ruby=ㄐㄧㄤ)])시 동북 성 이름은 송화강에서 유래, 성회 이름은 '굽을'을 뜻하는 만주어 무단을 음차하고 모란 전설을 덧붙여서 유래
31 허장([ruby(合, ruby=)][ruby(江, ruby=)]) 자무쓰(佳木斯)시 동북 성회 이름은 만주어 음차
32 헤이룽장([ruby(黑, ruby=ㄏㄟˇ)][ruby(龍, ruby=ㄌㄨㄥˊ)][ruby(江, ruby=ㄐㄧㄤ)]) [ruby(黑, ruby=ㄏㄟˇ)] 베이안([ruby(北, ruby=ㄅㄟˇ)][ruby(安, ruby=ㄢ)])시 동북
33 넌장(嫩江) 치치하르(齊齊哈爾)시 동북
34 힝간([ruby(興, ruby=ㄒㄧㄥ)][ruby(安, ruby=ㄢ)]) [ruby(興, ruby=ㄒㄧㄥ)] 하일라르([ruby(海, ruby=ㄏㄞˇ)][ruby(拉, ruby=ㄌㄚ)][ruby(爾, ruby=ㄦˇ)])시 동북 성 및 성회 이름은 몽골어 음차, 관할 구역은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훌룬부이르시와 거의 일치함.
35 신장([ruby(新, ruby=ㄒㄧㄣ)][ruby(疆, ruby=ㄐㄧㄤ)]) [ruby(新, ruby=ㄒㄧㄣ)] 디화([ruby(迪, ruby=ㄉㄧˊ)][ruby(化, ruby=ㄏㄨㄚ)])시 서부

수도의 외곽인 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뻗어나가는 순서로 정렬되었다.

국공내전 이후 성회 변천은 영문 위키피디아 # 중국어 위키백과를 참조했다.

4.1.1. 장쑤성(江蘇省)

행정구역 (9구 2시 62현 1설치국)
성정부 직할 쉬저우시(徐州市), 롄윈시(連雲市)
제1구 丹陽、江寧、전장현(鎮江縣)、句容、金壇、溧水、高淳、溧陽、宜興縣
제2구 吳縣、無錫、武進、江陰、常熟、太倉、吳江、崑山縣
제3구 松江、南匯, 上海、青浦、金山、川沙、奉賢、寶山、崇明、嘉定縣, 嵊泗設治局
제4구 南通縣 南通、如皋、海門、啟東、靖江5縣 5
제5구 江都縣 江都、高郵、泰縣、泰興、揚中、儀徵、江浦、六合8縣 8
제6구 鹽城縣 鹽城、東台、興化、阜寧4縣 4
제7구 淮陰縣 淮陰、淮安、漣水、泗陽、寶應、宿遷6縣 6
제8구 東海縣 東海、灌雲、沭陽、贛榆4縣 4
제9구 銅山、豐縣、沛縣、蕭縣、碭山、邳縣、睢寧縣
전장현(鎭江縣) 단양현(丹陽縣) 장닝현(江寧縣) 쥐룽현(句容縣) 진탄현(金壇縣) 리수이현(溧水縣) 가오춘현(高淳縣) 리양현(溧陽縣) 이싱현(宜興縣) 우현(吳縣) 우시현(無錫縣) 우진현(武進縣) 장인현(江陰縣) 창수현(常熟縣) 타이창현(太倉縣) 우장현(吳江縣) 쿤산현(崑山縣) 쑹장현(松江縣) 난후이현(南匯縣) 상하이현(上海縣) 칭푸현(青浦縣) 진산현(金山縣) 촨사현(川沙縣) 펑셴현(奉賢縣) 바오산현(寶山縣) 충밍현(崇明縣) 자딩현(嘉定縣) 성쓰현(嵊泗縣) 난퉁현(南通縣) 루가오현(如皋縣) 하이먼현(海門縣) 치둥현(啟東縣) 정장현(靖江縣) 장두현(江都縣) 가오위현(高郵縣) 타이현(泰縣) 타이싱현(泰興縣) 양중현(揚中縣) 이쩡현(儀徵縣) 장푸현(江浦縣) 류허현(六合縣) 엔청현(鹽城縣) 둥타이현(東台縣) 싱화현(興化縣) 푸닝현(阜寧縣) 화이인현(淮陰縣) 화이안현(淮安縣) 롄수이현(漣水縣) 쓰양현(泗陽縣) 바오잉현(寶應縣) 쑤첸현(宿遷縣) 둥하이현(東海縣) 관윈현(灌雲縣) 수양현(沭陽縣) 간위현(贛榆縣) 둥산현(銅山縣) 펑현(豐縣) 페이현(沛縣) 쑤현(蕭縣) 탕산현(碭山縣) 피현(邳縣) 쑤이닝현(睢寧縣)
코드 명칭 비고
01001 鎮江縣 01022 崇明縣
01002 江寧縣 01023 啟東縣
01003 句容縣 01024 海門縣
01004 溧水縣 01025 吳縣
01005 高淳縣 01026 常熟縣
01006 江浦縣 01027 崑山縣
01007 六合縣 01028 吳江縣
01008 丹陽縣 01029 武進縣
01009 金壇縣 01030 無錫縣
01010 溧陽縣 01031 宜興縣
01011 揚中縣 01032 江陰縣
01012 上海縣 01033 靖江縣
01013 松江縣 01034 南通縣
01014 南匯縣 01035 如皋縣
01015 青浦縣 01036 泰興縣
01016 奉賢縣 01037 淮陰縣
01017 金山縣 01038 淮安縣
01018 川沙縣 01039 泗陽縣
01019 太倉縣 01040 漣水縣
01020 嘉定縣 01041 阜寧縣
01021 寶山縣
01042 鹽城縣
01043 江都縣
01044 儀徵縣
01045 東台縣
01046 興化縣
01047 泰縣
01048 高郵縣
01049 寶應縣
01050 徐州市
01051 銅山縣
01052 豐縣
01053 沛縣
01054 蕭縣
01055 碭山縣
01056 邳縣
01057 宿遷縣
01058 睢寧縣
01059 東海縣
01060 連雲市
01061 灌雲縣
01062 沭陽縣
01063 贛榆縣

4.1.2. 저장성(浙江省)

- 성회: 항저우시
행정구역 (구 1시 79현)
성정부 직할 항저우시(杭州市)
제1구
항현(杭縣) 하이닝현(海寧縣) 쑤산현(蕭山縣) 우싱현(吳興縣) 창싱현(長興縣) 위첸현(於潛縣) 위항현(餘杭縣) 린안현(臨安縣) 창화현(昌化縣) 안지현(安吉縣) 샤오펑현(孝豐縣) 더칭현(德淸縣) 우캉현(武康縣) 자싱현(嘉興縣) 자셴현(嘉善縣) 평후현(平湖縣) 하이옌현(海鹽縣) 충더현(崇德縣) 둥샹현(桐鄕縣) 위야오현(餘姚縣) 사오싱현(紹興縣) 주지현(諸曁縣) 인현(鄞縣) 딩하이현(定海縣) 전하이현(鎮海縣) 성현(嵊縣) 펑화현(奉化縣) 츠시현(慈谿縣) 샹산현(象山縣) 상위현(上虞縣) 신창현(新昌縣) 진화현(金華縣) 취현(衢縣) 둥양현(東陽縣) 란시현(蘭溪縣) 융캉현(永康縣) 장산현(江山縣) 이우현(義烏縣) 푸장현(浦江縣) 룽유현(龍游縣) 탕시현(湯溪縣) 무의현(武義縣) 반안현(磐安縣) 순안현(淳安縣) 상산현(常山縣) 수안현(遂安縣) 개화현(開化縣) 수창현(壽昌縣) 건덕현(建德縣) 퉁루현(桐廬縣) 펀수이현(分水縣) 신덩현(新登縣) 푸양현(富陽縣) 뤄칭현(樂清縣) 황옌현(黃巖縣) 닝하이현(寧海縣) 원링현(溫嶺縣) 센쥐현(仙居縣) 싼먼현(三門縣) 톈타이현(天台縣) 융자현(永嘉縣) 핑양현(平陽縣) 루이안현(瑞安縣) 린하이현(臨海縣) 위환현(玉環縣) 리수이현(麗水縣) 칭뎬현(靑田縣) 룽취안현(龍泉縣) 진윈현(縉雲縣) 징닝현(景寧縣) 칭위안현(慶元縣) 쑹양현(松陽縣) 윈허현(雲和縣) 쉬안평현(宣平縣) 쑤아창현(遂昌縣) 원청현(文成縣) 타이순현(泰順縣)
코드 명칭
02001 杭洲市 02022 鄞縣
02002 杭縣 02023 慈谿縣
02003 海寧縣 02024 奉化縣
02004 富陽縣 02025 鎮海縣
02005 餘杭縣 02026 象山縣
02006 臨安縣 02027 三門縣
02007 於潛縣 02028 定海縣
02008 新登縣 02029 紹興縣
02009 昌化縣 02030 蕭山縣
02010 嘉興縣 02031 諸暨縣
02011 嘉善縣 02032 餘姚縣
02012 海鹽縣 02033 上虞縣
02013 崇德縣 02034 嵊縣
02014 平湖縣 02035 新昌縣
02015 桐鄕縣 02036 臨海縣
02016 吳興縣 02037 黃巖縣
02017 長興縣 02038 天台縣
02018 德清縣 02039 仙居縣
02019 武康縣 02040 磐安縣
02020 安吉縣 02041 寧海縣
02021 孝豐縣 02042 溫嶺縣
02043 衢縣 02064 青田縣
02044 龍游縣 02065 縉雲縣
02045 江山縣 02066 松陽縣
02046 常山縣 02067 遂昌縣
02047 開化縣 02068 龍泉縣
02048 金華縣 02069 慶元縣
02049 蘭谿縣 02070 雲和縣
02050 東陽縣 02071 宜平縣
02051 義烏縣 02072 景寧縣
02052 永康縣 02073 瑞安縣
02053 武義縣 02074 樂清縣
02054 浦江縣 02075 平陽縣
02055 湯溪縣 02076 泰順縣
02056 建德縣 02077 文成縣
02057 淳安縣 02078 玉環縣
02058 桐廬縣
02059 遂安縣
02060 壽昌縣
02061 分水縣
02062 永嘉縣
02063 麗水縣

중국 인민해방군에게 대륙이 함락된 이후 저장성 정부는 항저우에서 저우산군도([ruby(舟, ruby=ㄓㄡ)][ruby(山, ruby=ㄕㄢ)]群島)인 딩하이현으로 이전하였으나 1950년 4월에 하이난섬이 함락된 여파로 1950년 5월에 국민정부가 저우산군도를 포기하면서 폐지되었다가 1951년 9월 저장성 남동부 연안인 다천군도(大陳群島) 원링현(溫嶺縣)으로 거점으로 다시 저장성 정부를 재건하였다. 1953년에 저장성 정부는 타이완성으로 이전했고, 실효지배하고 있던 지역에 1954년 원링현, 린하이현(臨海縣), 핑양현(平陽縣), 위환현(玉環縣), 위산관리국(漁山管理局), 주위관리국(竹嶼管理局)의 4현 2관리국을 설치하였다. 이 때 면적은 17㎢, 인구 17,000명 가량을 실효지배하고 있었다. 1955년 제1차 중국군의 대대적 공세( 제1차 대만 해협 위기)로 1월 21일에 다천군도를 방어하던 중요 요충지인 이장산다오(一江山島)가 함락되고, 사실상 대세가 기울어지자[3] 2월에 미 제7함대의 호위 아래 군인과 주민을 철수하는 작전이 개시되고, 2월 11일에 장징궈 청천백일만지홍기를 내리면서 저장성 정부 폐지를 선언했다. 철수한 주민들은 주로 이란현으로 이주했다.

4.1.3. 안후이성(安徽省)

- 성회: 허페이시
행정구역 (구 1시 63현)
성정부 직할
제1구
벙부시(蚌埠市)
화이닝현(懷寧縣) 타이후현(太湖縣) 퉁청현(桐城縣) 첸산현(潛山縣) 웨시현(岳西縣) 쑤쑹현(宿松縣) 왕장현(望江縣) 루안현(六安縣) 리황현(立煌縣) 훠산현(霍山縣) 수청현(舒城縣) 훠추현(霍邱縣) 푸양현(阜陽縣) 린취안현(臨泉縣) 타이허현(太和縣) 보현(亳縣) 워양현(渦陽縣) 잉상현(潁上縣) 쑤현(宿縣) 멍청현(蒙城縣) 링비현(靈璧縣) 우허현(五河縣) 쓰현(泗縣) 자산현(嘉山縣) 펑양현(鳳陽縣) 추현(滁縣) 라이안현(來安縣) 톈창현(天長縣) 쉬이현(盱眙縣) 우후현(蕪湖縣) 판창현(繁昌縣) 랑시현(郎溪縣) 쉬안청현(宣城縣) 징현(涇縣) 광더현(廣德縣) 당투현(當塗縣) 난링현(南陵縣) 쉬닝현(休寧縣) 서현(歙縣) 치먼현(祁門縣) 이현(黟縣) 지시현(績溪縣) 징더현(旌德縣) 닝궈현(寧國縣) 우위안현(婺源縣) 퉁링현(銅陵縣) 구이츠현(貴池縣) 즈더현(至德縣) 타이핑현(太平縣) 둥류현(東流縣) 스다이현(石埭縣) 칭양현(青陽縣) 차오현(巢縣) 취안자오현(全椒縣) 허현(和縣) 셴산현(含山縣) 우웨이현(無為縣) 루장현(廬江縣) 서우현(壽縣) 허페이현(合肥縣) 딩위안현(定遠縣) 화이위안현(懷遠縣) 펑타이현(鳳臺縣)
03001 合肥縣 03022 歙縣
03002 懷寧縣 03023 黟縣
03003 桐城縣 03024 休寧縣
03004 宿松縣 03025 祁門縣
03005 太湖縣 03026 績溪縣
03006 潛山縣 03027 宜城縣
03007 岳西縣 03028 南凌縣
03008 望江縣 03029 涇縣
03009 舒城縣 03030 太平縣
03010 廬江縣 03031 旌德縣
03011 巢縣 03032 寧國縣
03012 無為縣 03033 貴池縣
03013 和縣 03034 銅陵縣
03014 含山縣 03035 石埭縣
03015 六安縣 03036 東流縣
03016 霍山縣 03037 至德縣
03017 蕪湖縣 03038 青陽縣
03018 繁昌縣 03039 鳳陽縣
03019 當塗縣 03040 蚌埠市
03020 廣德縣 03041 定遠縣
03021 郎溪縣 03042 鳳台縣
03043 懷遠縣 03064 婺源縣
03044 靈璧縣
03045 壽縣
03046 宿縣
03047 阜陽縣
03048 臨泉縣
03049 潁上縣
03050 太和縣
03051 霍邱縣
03052 蒙城縣
03053 渦陽縣
03054 亳縣
03055 泗縣
03056 五河縣
03057 盱眙縣
03058 立煌縣
03059 嘉山縣
03060 天長縣
03061 滁縣
03062 全椒縣
03063 來安縣

4.1.4. 장시성(江西省)

- 성회: 난창시
행정구역 (구 1시 81현)
성정부 직할 난창시(南昌市)
제1구
안위안현(安遠縣) 안이현(安義縣) 안푸현(安福縣) 융슈현(永修縣) 융신현(永新縣) 융펑현(永豐縣) 옌산현(鉛山縣) 헝펑현(横峰縣) 후이창현(會昌縣) 위두현(雩都縣) 거양현(戈陽縣) 간현(贛縣) 주장현(九江縣) 이춘현(宜春縣) 구이시현(貴渓縣) 이황현(宜黃縣) 지안현(吉安縣) 지융현(吉永縣) 이펑현(宜豐縣) 샤장현(峡江縣) 위산현(玉山縣) 진시현(金渓縣) 첸난현(虔南縣) 가오안현(高安縣) 싱궈현(興國縣) 광창현(廣昌縣) 광펑현(廣豐縣) 즈시현(資渓縣) 슈수이현(修水縣) 상가오현(上高縣) 상라오현(上饒縣) 상나오현(上獶縣) 쉰우현(尋鄔縣) 신간현(新淦縣) 신젠현(新建縣) 진셴현(進賢縣) 신펑현(信豐縣) 칭장현(清江縣) 싱쯔현(星子縣) 스청현(石城縣) 루이진현(瑞金縣) 루이창현(瑞昌縣) 충런현(崇仁縣) 쑤이촨현(遂川縣) 충이현(崇義縣) 징안현(靖安縣) 후커우현(湖口縣) 다위현(大庾縣) 타이허현(泰和縣) 딩난현(定南縣) 둥샹현(東鄕縣) 퉁구현(銅鼓縣) 더안현(徳安縣) 더싱현(徳興縣) 두창현(都昌縣) 난캉현(南康縣) 난청현(南城縣) 난창현(南昌縣) 난펑현(南豐縣) 닝강현(寧岡縣) 닝두현(寧都縣) 펀이현(分宜縣) 핑샹현(萍鄕縣) 펑청현(豐城縣) 펑쩌현(彭澤縣) 포양현(鄱陽縣) 만안현(萬安縣) 만자이현(萬載縣) 위장현(餘江縣) 위간(餘干縣) 푸량현(浮梁縣) 펑신현(奉新縣) 만녠현(萬年縣) 우닝현(武寧縣) 러안현(樂安縣) 러핑현(樂平縣) 룽난현(龍南縣) 뤼촨현(黎川縣) 롄화현(蓮花縣)
04001 南昌市 04022 鉛山縣
04002 南昌縣 04023 廣豐縣
04003 新建縣 04024 橫峰縣
04004 豐城縣 04025 吉安縣
04005 進賢縣 04026 宜春縣
04006 南城縣 04027 泰和縣
04007 黎川縣 04028 吉水縣
04008 南豐縣 04029 永豐縣
04009 廣昌縣 04030 安福縣
04010 資溪縣 04031 遂川縣
04011 臨川縣 04032 萬安縣
04012 金谿縣 04033 永新縣
04013 崇仁縣 04034 寧岡縣
04014 宜黃縣 04035 蓮花縣
04015 樂安縣 04036 清江縣
04016 東鄕縣 04037 新淦縣
04017 餘江縣 04038 新喻縣
04018 上饒縣 04039 峽江縣
04019 玉山縣 04040 分宜縣
04020 戈陽縣 04041 萍鄕縣
04021 貴溪縣 04042 萬載縣
04043 高安縣 04064 德安縣
04044 上高縣 04065 瑞昌縣
04045 宜豐縣 04066 湖口縣
04046 贛縣 04067 彭澤縣
04047 雩都縣 04068 星子縣
04048 信豐縣 04069 都昌縣
04049 興國縣 04070 永修縣
04050 會昌縣 04071 安義縣
04051 安遠縣 04072 鄱陽縣
04052 尋鄔縣 04073 餘干縣
04053 龍南縣 04074 樂平縣
04054 定南縣 04075 浮梁縣
04055 虔南縣 04076 德興縣
04056 大庾縣 04077 萬年縣
04057 南康縣 04078 奉新縣
04058 上猶縣 04079 靖安縣
04059 崇義縣 04080 武寧縣
04060 寧都縣 04081 修水縣
04061 瑞金縣 04082 銅鼓縣
04062 石城縣
04063 九江縣

4.1.5. 후베이성(湖北省)

- 성회: 한커우시(원할시)
행정구역 (구 1시 70현)
제1구
안루현(安陸縣) 윈현(鄖縣) 윈시현(鄖西縣) 윈멍현(雲夢縣) 잉산현(英山縣) 이안현(遠安縣) 잉산현(應山縣) 잉청현(應城縣) 언스현(恩施縣) 자위현(嘉魚縣) 아청현(鄂城縣) 한촨현(漢川縣) 한양현(漢陽縣) 셴닝현(咸寧縣) 셴펑현(咸豐縣) 허펑현(鶴峰縣) 간리현(監利縣) 시수이현(浠水縣) 징산현(京山縣) 짜오양현(棗陽縣) 치춘현(蘄春縣) 징먼현(荊門縣) 젠스현(建始縣) 궁안현(公安縣) 황안현(黃安縣) 광화현(光化縣) 샤오간현(孝感縣) 황강현(黃岡縣) 광지현(廣濟縣) 황피현(黃陂縣) 황메이현(黃梅縣) 장링현(江陵縣) 구청현(谷城縣) 우펑현(五峰縣) 즈장현(枝江縣) 쯔구이현(秭歸縣) 쑹츠현(松磁縣) 쯔중현(自忠縣) 중샹현(鍾祥縣) 샹양현(襄陽縣) 쑤이현(随縣) 충양현(崇陽縣) 스서우현(石首縣) 쉬안언현(宣恩縣) 첸장현(潛江縣) 이창현(宜昌縣) 이두현(宣都縣) 다예현(大冶縣) 주시현(竹溪縣) 주산현(竹山縣) 창양현(長陽縣) 퉁산현(通山縣) 퉁청현(通城縣) 톈먼현(天門縣) 탕양현(當陽縣) 난장현(南漳縣) 바둥현(巴東縣) 우창현(武昌縣) 몐양현(沔陽縣) 팡현(房縣) 푸치현(蒲圻縣) 바오캉현(保康縣) 양신현(陽新縣) 리산현(禮山縣) 마청현(麻城縣) 라이펑현(來鳳縣) 러산현(樂山縣) 뤄톈현(羅田縣) 리촨현(利川縣)
코드 명칭 비고
05001 武昌市 05022 浠水縣
05002 武昌縣 05023 麻城縣
05003 漢陽縣 05024 羅田縣
05004 鄂城縣 05025 英山縣
05005 嘉魚縣 05026 廣濟縣
05006 蒲圻縣 05027 安陸縣
05007 咸寧縣 05028 隨縣
05008 崇陽縣 05029 雲夢縣
05009 通山縣 05030 應山縣
05010 通城縣 05031 應城縣
05011 大冶縣 05032 襄陽縣
05012 陽新縣 05033 鍾祥縣
05013 漢川縣 05034 京山縣
05014 黃陂縣 05035 潛江縣
05015 孝感縣 05036 天門縣
05016 禮山縣 05037 荊門縣
05017 沔陽縣 05038 當陽縣
05018 黃岡縣 05039 遠安縣
05019 黃安縣 05040 自忠縣
05020 黃梅縣 05041 南漳縣
05021 蘄春縣 05042 棗陽縣
05043 穀城縣 05064 秭歸縣
05044 光化縣 05065 恩施縣
05045 均縣 05066 宣恩縣
05046 鄖縣 05067 建始縣
05047 房縣 05068 利川縣
05048 竹谿縣 05069 來鳳縣
05049 竹山縣 05070 咸豐縣
05050 保康縣 05071 鶴峰縣
05051 鄖西縣
05052 宜昌縣
05053 江陵縣
05054 公安縣
05055 石首縣
05056 監利縣
05057 松滋縣
05058 枝江縣
05059 宜都縣
05060 長陽縣
05061 興山縣
05062 巴東縣
05063 五峰縣

4.1.6. 후난성(湖南省)

- 성회: 창사시
  • 2시 77현
창사시(長沙市) 헝양시(衡陽市)
창사현(長沙縣) 샹인현(湘陰縣) 류양현(瀏陽縣) 리링현(醴陵縣) 샹탄현(湘潭縣) 웨양현(岳陽縣) 핑장현(平江縣) 린샹현(臨湘縣) 후이퉁현(會同縣) 즈장현(芷江縣) 쑤이닝현(綏寧縣) 첸양현(黔陽縣) 황현(晃縣) 징현(靖縣) 퉁다오현(通道縣) 화이화현(懷化縣) 레이양현(耒陽縣) 헝양현(衡陽縣) 창닝현(常寧縣) 헝산현(衡山縣) 유현(攸縣) 차링현(茶陵縣) 안런현(安仁縣) 링현(酃縣) 천현(郴縣) 구이둥현(桂東縣) 루청현(汝城縣) 융싱현(永興縣) 쯔싱현(資興縣) 이장현(宜章縣) 구이양양현(桂陽縣) 자허현(嘉禾縣) 린우현(臨武縣) 란산현(藍山縣) 창더현(常德縣) 화룽현(華容縣) 난현(南縣) 안샹현(安鄕縣) 리현(澧縣) 린리현(臨澧縣) 스먼현(石門縣) 츠리현(慈利縣) 타오위안현(桃源縣) 한서우현(漢壽縣) 위안장현(沅江縣) 위안링현(沅陵縣) 루시현(瀘溪縣) 쉬푸현(漵浦縣) 천시현(辰溪縣) 첸청현(乾城縣) 펑황현(鳳凰縣) 융쑤이현(永綏縣) 마양현(麻陽縣) 사오양현(邵陽縣) 신화현(新化縣) 우강현(武岡縣) 신닝현(新寧縣) 청부현(城步縣) 샹샹현(湘鄕縣) 안화현(安化縣) 룽후이현(隆回縣) 링링현(零陵縣) 치양현(祁陽縣) 신뎬현(新田縣) 닝위안현(寧遠縣) 장화현(江華縣) 다오현(道縣) 둥안현(東安縣) 융밍현(永明縣) 융순현(永順縣) 룽산현(龍山縣) 바오징현(保靖縣) 구장현(古丈縣) 다융현(大庸縣) 쌍즈현(桑植縣)
코드 명칭 비고
06001 長沙市 06022 臨湘縣
06002 長沙縣 06023 華容縣
06003 湘陰縣 06024 漢壽縣
06004 瀏陽縣 06025 沅江縣
06005 醴陵縣 06026 澧縣
06006 湘潭縣 06027 安鄕縣
06007 寧鄕縣 06028 臨澧縣
06008 益陽縣 06029 南縣
06009 湘鄕縣 06030 衡陽市
06010 攸縣 06031 衡陽縣
06011 安化縣 06032 衡山縣
06012 茶陵縣 06033 安仁縣
06013 邵陽縣 06034 耒陽縣
06014 隆回縣 06035 常寧縣
06015 新化縣 06036 酃縣
06016 武岡縣 06037 零陵縣
06017 新寧縣 06038 祁陽縣
06018 城步縣 06039 東安縣
06019 常德縣 06040 道縣
06020 岳陽縣 06041 寧遠縣
06021 平江縣 06042 永明縣
06043 江華縣 06064 保靖縣
06044 新田縣 06065 龍山縣
06045 郴縣 06066 桑植縣
06046 永興縣 06067 古丈縣
06047 資興縣 06068 靖縣
06048 宜章縣 06069 綏寧縣
06049 汝城縣 06070 會同縣
06050 桂東縣 06071 通道縣
06051 桂陽縣 06072 乾城縣
06052 臨武縣 06073 永綏縣
06053 藍山縣 06074 晃縣
06054 嘉禾縣 06075 桃源縣
06055 芷江縣 06076 石門縣
06056 鳳凰縣 06077 慈利縣
06057 沅陵縣 06078 大庸縣
06058 瀘溪縣 06079 懷化縣
06059 辰谿縣
06060 漵浦縣
06061 黔陽縣
06062 麻陽縣
06063 永順縣

4.1.7. 쓰촨성(四川省)

- 성회: 청두시
행정구역 (구 2시 141현 3설치국)
"청두시(成都市)" 쯔궁시(自貢市)
안현(安縣) 안웨현(安岳縣) 웨이위안현(威遠縣) 윈양현(雲陽縣) 룽현(榮縣) 융촨현(永川縣) 룽창현(榮昌縣) 룽산현(營山縣) 옌팅현(鹽亭縣) 왕창현(旺蒼縣) 원장현(溫江縣) 야안현(雅安縣) 카이현(開縣) 카이장현(開江縣) 웨츠현(岳池縣) 어볜현(峨邊縣) 어메이현(峨眉縣) 화양현(華陽縣) 관현(灌縣) 젠양현(簡陽縣) 치장현(綦江縣) 쥐현(渠縣) 자강현(夾江縣) 이룽현(儀隴縣) 진탕현(金堂縣) 윈롄현(筠連縣) 칭푸현(慶符縣) 젠위현(犍爲縣) 젠거현(劍閣縣) 가오현(高縣) 궁현(珙縣) 광안현(廣安縣) 장안현(江安縣) 훙야현(洪雅縣) 충라이현(邛崍縣) 광한현(廣漢縣) 장유현(江油縣) 광위안현(廣元縣) 허장현(合江縣) 장진현(江津縣) 허촨현(合川縣) 상먼현(興文縣) 장베이현(江北縣) 구린현(古藺縣) 구쑹현(古宋縣) 첸장현(黔江縣) 싼타이현(三臺縣) 즈중현(資中縣) 쯔퉁현(梓潼縣) 스팡현(什邡縣) 서훙현(射洪縣) 사오화현(昭化縣) 슈산현(秀山縣) 마오궁현(懋功縣) 청커우현(城口縣) 쑹판현(松潘縣) 쯔양현(資陽縣) 쉬융현(叙永縣) 런서우현(仁壽縣) 신진현(新津縣) 신두현(新都縣) 신판현(新繁縣) 충칭현(崇慶縣) 쑤이닝현(遂寧縣) 충닝현(崇寧縣) 징화현(靖化縣) 시충현(西充縣) 칭선현(靑神縣) 칭촨현(靑川縣) 청두현(成都縣) 스주현(石砫縣) 쉬안한현(宣漢縣) 이빈현(宜賓縣) 창시현(蒼溪縣) 솽류현(雙流縣) 다쭈현(大足縣) 다주현(大竹縣) 다이현(大邑縣) 다현(達縣) 단링현(丹陵縣) 중현(忠縣) 중장현(中江縣) 창서우현(長壽縣) 창닝현(長寧縣) 퉁장현(通江縣) 뎬장현(墊江縣) 퉁난현(潼南縣) 더양현(徳陽縣) 퉁량현(銅梁縣) 네이장현(內江縣) 난시현(南溪縣) 난장현(南江縣) 난충현(南充縣) 난촨현(南川縣) 난부현(南部縣) 나시현(納溪縣) 바현(巴縣) 푸링현(涪陵縣) 바중현(巴中縣) 피현(郫縣) 미산현(眉山縣) 핑산현(屏山縣) 우시현(巫渓縣) 우산현(巫山縣) 푸순현(富順縣) 우성현(武勝縣) 우링현(武隆縣) 원촨현(汶川縣) 빙옌현(幷硏縣) 핑창현(平昌縣) 핑우현(平武縣) 비위현(璧玉縣) 펑현(彭縣) 펑안현(蓬安縣) 펑산현(彭山縣) 펑수이현(彭水縣) 펑제현(奉節縣) 펑시현(蓬溪縣) 펑두현(酆都縣) 장밍현(彰明縣) 베이촨현(北川縣) 푸장현(蒲江縣) 마볜현(馬邊縣) 완현(萬縣) 완위안현(萬源縣) 밍산현(名山縣) 몐주현(綿竹縣) 몐양현(綿陽縣) 마오현(茂縣) 무아이현(沐愛縣) 무촨현(沐川縣) 유양현(酉陽縣) 레이보현(雷波縣) 러산현(樂山縣) 러즈현(樂至縣) 뤄장현(羅江縣) 리현(理縣) 룽창현(隆昌縣) 량산현(梁山縣) 랑중현(閬中縣) 린수이현(隣水縣) 루현(瀘縣)
설치국 싱중설치국(興中設治局) 눙샹설치국(農祥設治局) 베이베이관리국(北碚管理局) 마이쌍설치국(麥桑設治局)
코드 명칭 비고
07001 成都市 07022 羅江縣
07002 成都縣 07023 彰明縣
07003 華陽縣 07024 茂縣
07004 簡陽縣 07025 汶川縣
07005 廣漢縣 07026 綿陽縣
07006 崇慶縣 07027 德陽縣
07007 什邡縣 07028 巴縣
07008 雙流縣 07029 江津縣
07009 新都縣 07030 合川縣
07010 江油縣 07031 江北縣
07011 北川縣 07032 武勝縣
07012 溫江縣 07033 奉節縣
07013 新繁縣 07034 懋功縣
07014 金堂縣 07035 靖化縣
07015 灌縣 07036 松潘縣
07016 郫縣 07037 理縣
07017 彭縣 07038 安縣
07018 崇寧縣 07039 綿竹縣
07019 新津縣 07040 長籌縣
07020 平武縣 07041 永川縣
07021 梓潼縣 07042 榮昌縣
07043 綦江縣 07064 大竹縣
07044 南川縣 07065 宣漢縣
07045 巫山縣 07066 萬源縣
07046 雲陽縣 07067 城口縣
07047 萬縣 07068 彭水縣
07048 開縣 07069 酆都縣
07049 巫溪縣 07070 樂山縣
07050 墊江縣 07071 洪雅縣
07051 梁山縣 07072 峨邊縣
07052 酉陽縣 07073 夾江縣
07053 石砫縣 07074 犍為縣
07054 秀山縣 07075 榮縣
07055 黔江縣 07076 威遠縣
07056 銅梁縣 07077 眉山縣
07057 大足縣 07078 丹稜縣
07058 璧山縣 07079 忠縣
07059 涪陵縣 07080 名山縣
07060 武隆縣 07081 峨眉縣
07061 達縣 07082 青神縣
07062 開江縣 07083 邛崍縣
07063 渠縣 07084 大邑縣
07085 蒲江縣 07106 屏山縣
07086 瀘縣 07107 馬邊縣
07087 宜賓縣 07108 合江縣
07088 慶符縣 07109 納谿縣
07089 富順縣 07110 江安縣
07090 自貢市 07111 資中縣
07091 南溪縣 07112 閬中縣
07092 筠連縣 07113 南充縣
07093 珙縣 07114 通江縣
07094 資陽縣 07115 南江縣
07095 井研縣 07116 巴山縣
07096 內江縣 07117 劍閣縣
07097 敘永縣 07118 蓬安縣
07098 雷波縣 07119 廣安縣
07099 古宋縣 07120 三台縣
07100 古藺縣 07121 射洪縣
07101 彭山縣 07122 鹽亭縣
07102 高縣 07123 仁壽縣
07103 長寧縣 07124 西充縣
07104 興文縣 07125 營山縣
07105 隆昌縣 07126 儀隴縣
07127 鄰水縣
07128 岳池縣
07129 蒼溪縣
07130 南部縣
07131 廣元縣
07132 旺蒼縣
07133 昭化縣
07134 中江縣
07135 遂寧縣
07136 潼南縣
07137 安岳縣
07138 蓬溪縣
07139 樂至縣
07140 青川縣
07141 沐川縣
07142 興中設治局
07143 麥桑設治局
07144 沐愛設治局
07145 平昌設治局
07146 農祥設治局
07147 北碚設治局

4.1.8. 시캉성(西康省)

- 성회: 캉딩현
행정구역 (5구 48현 4설치국) 비고
제1구 캉딩현(康定縣) 주룽현(九龍縣) 야장현(雅江縣) 단바현(丹巴縣) 젠닝현(乾寧縣) 진탕설치국(金湯設治局) 오늘날 쓰촨성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동부 지방
제2구 루딩현(瀘定縣) 야안현(雅安縣) 루산현(蘆山縣) 톈취안현(天全縣) 잉징현(滎經縣) 한위안현(漢源縣) 바오싱현(寶興縣) 오늘날의 쓰촨성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극동부인 루딩현 + 야안시
제3구 시창현(西昌縣) 더창현(德昌縣) 옌위안현(鹽源縣) 링난현(寧南縣) 몐닝현(冕寧縣) 사오줴현(昭覺縣) 후이리현(會理縣) 옌볜현(鹽邊縣) 웨시현(越嶲縣) 닝둥설치국(寧東設治局) 푸거설치국(普格設治局) 루닝설치국(瀘寧設治局) 오늘날의 쓰촨성 량산 이족 자치주 + 판즈화시
제4구 바안현(巴安縣) 이둔현(義敦縣) 라화현(理化縣) 다오청현(稻城縣) 딩샹현(定鄕縣) 더잉현(得榮縣) 젠화현(瞻化縣) 간쯔현(甘孜縣) 루훠현(鑪霍縣) 다오푸현(道孚縣) 더거현(德格縣) 스쥐현(石渠縣) 덩커현(鄧柯縣) 바이위현(白玉縣) 오늘날의 쓰촨성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중부~서부지방 + 티베트 자치구 극동부 지방
제5구 닝징현(寧靜縣) 차야현(察雅縣) 옌징현(鹽井縣) 창두현(昌都縣) 우청현(武成縣) 퉁푸현(同普縣) 궁현(貢縣) 차위현(察隅縣) 커마이현(科麥縣) 언다현(恩達縣) 자리현(嘉黎縣) 숴두현(碩督縣) 타이사오현(太昭縣) 오늘날의 티베트 자치구 동부

※ 취소줄이 그어진 행정구역을 1914년 ~ 1918년 이후 티베트가 점령한 지역으로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일부가 되었고, 나머지는 쓰촨성 일부가 되었다.

08 西康省
代 碼 代 碼
├┬┤ 省縣(市)名稱 ├┬┤ 省縣(市)名稱 ||
縣(市) 縣(市)
08 西康省
08001 康定縣 08022 同普縣
08002 巴安縣 08023 貢縣
08003 義敦縣 08024 察隅縣
08004 九龍縣 08025 科麥縣
08005 瀘定縣 08026 恩達縣
08006 雅江縣 08027 石渠縣
08007 道孚縣 08028 雅安縣
08008 理化縣 08029 蘆山縣
08009 瞻化縣 08030 西昌縣
08010 寧靜縣 08031 德昌縣
08011 察雅縣 08032 鹽源縣
08012 稻城縣 08033 天全縣
08013 鹽井縣 08034 寧南縣
08014 甘孜縣 08035 嘉黎縣
08015 鑪霍縣 08036 碩督縣
08016 丹巴縣 08037 太昭縣
08017 定鄕縣 08038 鄧柯縣
08018 昌都縣 08039 白玉縣
08019 得榮縣 08040 滎經縣
08020 武成縣 08041 漢源縣
08021 德格縣 08042 冕寧縣
08043 昭覺縣
08044 會理縣
08045 乾寧縣
08046 鹽邊縣
08047 越嶲縣
08048 寶興縣
08049 寧東設治局
08050 金湯設治局
08051 普格設治局
08052 瀘寧設治局

4.1.9. 푸젠성(福建省)

- 성회: 푸저우시, 진먼현(임시)
7구 2시 67현(중 2현 실효통치)
성정부 직할 푸저우시(福州市) 샤먼시(廈門市) 린썬현(林森縣) 민칭현(閩清縣) 닝타이현(永泰縣) 창러현(長樂縣)[4] 푸칭현(福清縣) 렌장현(連江縣)[5] 핑탄현(平潭縣) 뤄위안현(羅源縣)[6]
제 1구 푸안현(福安縣) 샤푸현(霞浦縣) 푸딩현(福鼎縣) 저룽현(柘榮縣) 닝더현(寧德縣) 서우닝현(壽寧縣) 저우닝현(周寧縣)
제 2구 난핑현(南平縣) 우시현(尤溪縣) 사현(沙縣) 순창현(順昌縣) 장러현(將樂縣) 젠닝현(建寧縣) 타이닝현(泰寧縣) 구톈현(古田縣) 핑난현(屏南縣)
제3구 젠양현(建陽縣) 젠어우현(建甌縣) 푸청현(浦城縣) 사오우현(邵武縣) 충안현(崇安縣) 쑹시현(松溪縣) 정허현(政和縣) 수이지현(水吉縣) 광쩌현(光澤縣)
제 4구 진장현(晉江縣) 푸톈현(莆田縣)[7] 셴유현(仙游縣) 난안현(南安縣) 퉁안현(同安縣) 잉춘현(永春縣) 후이안현(惠安縣) 안시현(安溪縣) 진먼현(金門縣)[8]
제 5구 룽시현(龍溪縣) 윈샤오현(雲霄縣) 장푸현(漳浦縣) 자오안현(詔安縣) 하이청현(海澄縣) 창타이현(長泰縣) 둥산현(東山縣) 난징현(南靖縣) 핑허현(平和縣) 화안현(華安縣)
제 6구 융안현(永安縣) 다톈현(大田縣) 더화현(德化縣) 싼위안현(三元縣) 닝화현(寧化縣) 칭루이현(淸流縣) 닝양현(寧洋縣) 밍시현(明溪縣)
제 7구 룽옌현(龍岩縣) 융딩현(永定縣) 창딩현(長汀縣) 상항현(上杭縣) 우핑현(武平縣) 장핑현(漳平縣) 롄청현(連城縣)
코드 명칭 비고
09001 福州市 09022 仙游縣
09002 林森縣 09023 晉江縣
09003 古田縣 09024 南安縣
09004 屏南縣 09025 惠安縣
09005 閩清縣 09026 安溪縣
09006 長樂縣 09027 同安縣
09007 連江縣 09028 永春縣
09008 羅源縣 09029 德化縣
09009 永泰縣 09030 大田縣
09010 福清縣 09031 龍巖縣
09011 霞浦縣 09032 長汀縣
09012 福鼎縣 09033 寧化縣
09013 柘榮縣 09034 上杭縣
09014 寧德縣 09035 武平縣
09015 壽寧縣 09036 清流縣
09016 周寧縣 09037 連城縣
09017 福安縣 09038 明溪縣
09018 平潭縣 09039 永定縣
09019 廈門市 09040 雲霄縣
09020 金門縣 09041 龍溪縣
09021 莆田縣 09042 華安縣
09043 漳浦縣 09064 泰寧縣
09044 南靖縣 09065 建寧縣
09045 長泰縣 09066 建陽縣
09046 平和縣 09067 三元縣
09047 詔安縣 09068 水吉縣
09048 東山縣 09069 光澤縣
09049 海澄縣
09050 漳平縣
09051 寧洋縣
09052 南平縣
09053 將樂縣
09054 沙縣
09055 尤溪縣
09056 順昌縣
09057 永安縣
09058 建甌縣
09059 崇安縣
09060 浦城縣
09061 政和縣
09062 松溪縣
09063 邵武縣

4.1.10. 타이완성(臺灣省)

- 성회: 타이베이시(1967년에 직할시 승격) → 난터우현 난터우시 중싱신촌(南投縣南投市重興新村, 1956년에 이전)
※ 이란현 부속 센카쿠 열도를 제외한 전지역을 실효통치한다. 아래 표는 1949년 당시 행정구역이라 이제 타이완 성에 속하지 않는 6개 직할시를 포함한다.
행정구역 (9시 8현 1국) 비고
지룽시([ruby(基, ruby=ㄐㄧ)][ruby(隆, ruby=ㄌㄨㄥˊ)]市), 타이베이시([ruby(臺, ruby=ㄊㄞˊ)][ruby(北, ruby=ㄅㄟˇ)]市), 신주시([ruby(新, ruby=ㄒㄧㄣ)][ruby(竹, ruby=ㄓㄨˊ)]市), 타이중시([ruby(臺, ruby=ㄊㄞˊ)][ruby(中, ruby=ㄓㄨㄥ)]市), 창화시(彰化市), 자이시(嘉義市), 타이난시(臺𨀡南市), 가오슝시(高雄市), 핑둥시(屏東市) 일거시대의 주할시(州轄市) 대부분을 성할시로 개편[9]
이란시(宜蘭市), 화롄시(花蓮市)는 각각 타이베이현(臺北縣)과 화롄현(花蓮縣) 소속이 됨
타이베이현(臺北縣), 신주현(新竹縣), 타이중현(臺中縣), 타이난현(臺南縣), 가오슝현(高雄縣), 화롄현(花蓮縣), 타이둥현(臺東縣), 펑후현(澎湖縣) 주, 청 → 현
타이둥청(臺東廳), 화롄항청(花蓮港廳), 펑후청(澎湖廳) → 타이둥현(臺東縣), 화롄현(花蓮縣), 펑후현(澎湖縣)
관리국 초산관리국(草山管理局) 1949년에 타이베이현에서 분리, 1950년에 양밍산관리국(陽明山管理局)으로 개칭

※ 1945년 반환 당시 타이완성에 대만일치시기 행정구역에 기반한 9시 8현의 행정구역을 설치하였고, 국부천대 이후 1950년에 대규모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5시 16현 1관리국으로 개편되었다. 구체적인 개편 사항과 1950년 이후의 하위 행정구역 변화는 대만/행정구역 문서 참조.
1991년 행정구역
코드 명칭 비고
10001 臺北縣 2010년에 원할시 신베이시(新北市, 약칭: 北)로 승격
10002 宜蘭縣 센카쿠 열도를 일본이 실효지배
10003 桃園縣 2014년에 원할시 타오위안시로 승격
10004 新竹縣
10005 苗栗縣
10006 臺中縣 2010년에 성할시 타이중시에 편입되며 원할시 타이중시로 승격
10007 彰化縣
10008 南投縣 1956년 이후 성회
10009 雲林縣
10010 嘉義縣
10011 臺南縣 2010년에 성할시 타이난시에 편입되며 원할시 타이난시로 승격
10012 高雄縣 2010년에 원할시 가오슝시에 편입
10013 屏東縣
10014 臺東縣
10015 花蓮縣
10016 澎湖縣
10017 基隆市
10018 新竹市
10019 臺中市 2010년에 원할시 승격
10020 嘉義市
10021 臺南市 2010년에 원할시 승격

4.1.11. 광둥성(廣東省)

- 성회: 광저우시(원할시)
행정구역 (15구 2시 82현)
제 1구 판위현(番禹縣) 난하이현(南海縣) 순더현(順德縣) 충화현(従化縣) 쩡청현(增城縣) 화현(花縣)
제 2구 중산현(中山縣) 둥관현(東莞縣) 바오안현(寶安縣)[10] 후이양현(惠陽縣) 보뤄현(博羅縣)
제 3구 칭위안현(淸遠縣) 포강현(佛岡縣) 닝더현(英德縣) 웡위안현(翁源縣) 신펑현(新豐縣)
제 4구 취장현(曲江縣) 난슝현(南雄縣) 스싱현(始興縣) 러창현(樂昌縣) 런화현(仁化縣) 루위안현(乳源縣)
제 5구 롄현(連縣) 양산현(陽山縣) 롄산현(連山縣) 롄난현(連南縣)
제 6구 룽먼현(龍門縣) 쯔진현(紫金縣) 룽촨현(龍川縣) 허위안현(河源縣) 허핑현(和平縣) 롄핑현(連平縣)
제 7구 하이펑현(海豐縣) 루펑현(陸豐縣) 차오양현(潮陽縣) 후이라이현(惠來縣) 푸닝현(普寧縣) 난산현(南山縣)
제 8구 셴터우시(汕頭市) 청하이현(澄海縣) 차오안현(潮安縣) 펑순현(豐順縣) 제양현(掲陽縣) 라오핑현(饒平縣) 난아오현(南澳縣)
제 9구 다포현(大埔縣) 메이현(梅縣) 우화현(五華縣) 싱닝현(興寧縣) 핑위안현(平遠縣) 자오링현(蕉嶺縣)
제 10구 타이산현(台山縣) 신후이현(新會縣) 츠시현(赤溪縣) 카이핑현(開平縣) 언핑현(恩平縣) 양장현(陽江縣) 양춘현(陽春縣)
제 11구 싼수이현(三水縣) 가오야오현(高要縣) 쓰후이현(四會縣) 신싱현(新興縣) 가오밍현(高明縣) 광닝현(廣寧縣) 허산현(鶴山縣)
제 12구 더칭현(徳慶縣) 펑촨현(封川縣) 카이젠현(開建縣) 뤄딩현(羅定縣) 윈푸현(雲浮縣) 위난현(鬱南縣)
제 13구 마오밍현(茂名縣) 뎬바이현(電白縣) 신이현(信宜縣) 화현(化縣) 우촨현(吳川縣) 하이마오현(海茂縣)
제 14구 잔장시(湛江市) 롄장현(廉江縣) 하이캉현(海康縣) 쑤이시현(遂溪縣) 쉬원현(徐聞縣)
제 15구 친현(欽縣) 팡청현(防城縣) 허푸현(合浦縣) 링산현(靈山縣)
코드 명칭 비고
11001 番禺縣 11022 開平縣
11002 中山縣 11023 鶴山縣
11003 南海縣 11024 德慶縣
11004 順德縣 11025 封川縣
11005 東莞縣 11026 開建縣
11006 從化縣 11027 恩平縣
11007 龍門縣 11028 羅定縣
11008 台山縣 11029 雲浮縣
11009 增城縣 11030 鬱南縣
11010 新會縣 11031 曲江縣
11011 三水縣 11032 南雄縣
11012 清遠縣 11033 始興縣
11013 寶安縣 11034 樂昌縣
11014 花縣 11035 仁化縣
11015 佛岡縣 11036 乳源縣
11016 赤溪縣 11037 英德縣
11017 高要縣 11038 翁源縣
11018 四會縣 11039 連縣
11019 新興縣 11040 陽山縣
11020 高明縣 11041 連山縣
11021 廣寧縣 11042 汕頭市
11043 澄海縣 11064 五華縣
11044 惠陽縣 11065 興寧縣
11045 博羅縣 11066 平遠縣
11046 新豐縣 11067 蕉嶺縣
11047 紫金縣 11068 茂名縣
11048 海豐縣 11069 電白縣
11049 陸豐縣 11070 信宜縣
11050 龍川縣 11071 化縣
11051 河源縣 11072 吳川縣
11052 和平縣 11073 湛江市
11053 連平縣 11074 廉江縣
11054 潮安縣 11075 海康縣
11055 豐順縣 11076 遂溪縣
11056 潮陽縣 11077 徐聞縣
11057 揭陽縣 11078 陽江縣
11058 饒平縣 11079 陽春縣
11059 惠來縣 11080 欽縣
11060 大埔縣 11081 防城縣
11061 普寧縣 11082 合浦縣
11062 南澳縣 11083 靈山縣
11063 梅縣 11084 連南縣

4.1.12. 광시성(廣西省)

- 성회: 구이린시
행정구역 (구 4시 99현) 비고
구이린시(桂林市) 난닝시(南寧市) 우저우시(梧州市) 류저우시(柳州市)
위현(郁林縣) 융푸현(永福縣) 헝현(橫縣) 허현(賀縣) 후이지현(懷集縣) 허츠현(河池縣) 궈더현(果德縣) 관양현(灌陽縣) 구이현(貴縣) 이산현(宜山縣) 신청현(忻城縣) 궁청현(恭城縣) 이닝현(義寧縣) 징더현(敬德縣) 구이핑현(桂平縣) 싱안현(興安縣) 싱예현(興業縣) 샹두현(向都縣) 쭤현(左縣) 싼장현(三江縣) 쓰언현(思恩縣) 즈위안현(資源縣) 슈런현(修仁縣) 샹현(象縣) 상진현(上金縣) 중산현(鍾山縣) 신두현(信都縣) 사오핑현(昭平縣) 상린현(上林縣) 상강현(上網縣) 쓰러현(思樂縣) 쑤이루현(綏淥縣) 충셴현(崇善縣) 징시현(靖西縣) 첸장현(遷江縣) 시룽현(西隆縣) 시린현(西林縣) 취안현(全縣) 쉬안베이현(宣北縣) 창우현(蒼梧縣) 중두현(中渡縣) 전제현(鎭結縣) 전핑현(鎭平縣) 톈허현(天河縣) 톈어현(天峨縣) 톈시현(田西縣) 톈둥현(田東縣) 텐바오현(天保縣) 톈양현(田陽縣) 둥란현(東蘭縣) 두안현(都安縣) 텅현(藤縣) 퉁정현(同正縣) 나마현(那馬縣) 난단현(南丹縣) 닝밍현(寧明縣) 보바이현(博白縣) 바이서우현(百壽縣) 빈룽현(賓容縣) 바이써현(百色縣) 핑샹현(凭祥縣) 푸난현(扶南縣) 푸촨현(富川縣) 우이현(武宜縣) 우밍현(武鳴縣) 핑즈현(平治縣) 핑난현(平南縣) 핑러현(平樂縣) 펑산현(鳳山縣) 베이류현(北流縣) 완강현(萬岡縣) 완청현(萬承縣) 밍장현(明江縣) 멍산현(蒙山縣) 룽현(融縣) 융닝현(邕寧縣) 룽현(容縣) 양숴현(陽朔縣) 양리현(養利縣) 라이빈현(來賓縣) 라이핑현(雷平縣) 러예현(樂業縣) 뤄청현(羅城縣) 뤄룽현(雒容縣) 루촨현(陸川縣) 류장현(柳江縣) 류장현(榴江縣) 룽성현(龍勝縣) 룽안현(隆安縣) 룽산현(隆山縣) 룽진현(龍津縣) 룽밍현(龍茗縣) 링윈현(凌雲縣) 링시현(嶺溪縣) 링촨현(靈川縣) 리푸현(荔浦縣)

1947년 2월에 아래와 같이 행정구역 조정 및 치소 이전이 결정되었으나 국공내전의 영향으로 무야되었다.
  • 핑샹(憑祥; 빙상)현과 밍장(明江; 명강)현, 닝밍(寧明; 영명)현을 합병하고 상(祥)자와 명(明)자를 합성한 샹밍(祥明; 상명)현을, 두었다.
  • 푸난(扶南; 부남)현 대부분과 쑤이루(綏淥; 수록)현을 합병하고 합병한 2현의 첫글자를 합성한 푸수이(扶綏; 부수)현을 두었다.
  • 중두(中渡; 중도)현과 류장(榴江; 유강)현, 뤄룽(雒容; 낙용)현을 합병하고, 통합 현내 주요 하천인 뤄칭장(洛清江; 낙청강)에서 딴 뤄장(洛江; 낙강)현을 두었다.
  • 완성(萬承; 만승)현과 양리(養利)현을 합병하고 통합한 2현에서 한 글자씩 딴 완리(萬利)현을 두었다.
• 전제(鎮結; 전결)현과 샹두(向都; 향도)현을 합병하고 통합한 2현에서 한 글자씩 딴 전두(鎮都; 진도)현을 두었다.
  • 쭤(左; 좌)현과 쑹셴(崇善; 숭선)현을 합병하고 현내 주요 하천인 쭤장(左江; 좌강)의 다른 이름인 리장(麗江; 여강)에서 딴 리빈(麗濱; 여빈)현을 두었다.
  • 이베이(宜北; 의북)현과 스언(思恩; 사은)현을 합병하고 현내 주요 하천인 다·샤오환장(大、小環江; 대·소환강)에서 딴 환장(環江)현을 두었다.
  • 이닝(義寧;의녕)현에 룽성(龍勝; 용승)현을 합병했다.
• 龍津、上金2縣合併置
龍縣
,縣名取龍津縣首字命名。
• 永福、臨桂2縣合併置
福臨縣
,縣名取2縣各一字組成。
• 웅닝(邕寧)현과 푸난(扶南; 부남)현 2현을 합병하고 一部分併入同正縣並改名
邕西縣
,縣名取邕寧之西之義。
  • 뤄청(羅城; 나성)현 치소를 황진(黃金; 황금, 현 羅城仫佬族自治縣 북부인 황진전(黃金鎮; 황금진))으로 옴겼다.
  • 敬; 경덕)현 치소를縣遷治 동릉(東凌; 동릉, 현 德保縣 서북부, 동렁(東凌; 동릉)향)으로 옮겼다.
• 融縣遷治長安(今融安縣 소재지인 창안전(長安鎮; 장안진))。

1947년 2월에 일부 현을 통폐합해 환장현(環江縣), 이닝현(義寧縣), 샹밍현(祥明縣), 전두현(鎭都縣), 푸린현(福臨縣), 푸쑤이현(扶綏縣), 완리현(萬利縣), 융시현(邕西縣), 뤄장현(洛江縣), 룽현(龍縣), 리빈현(麗濱縣)을 설치함
코드 명칭 비고
12001 桂林市 12022 蒙山縣
12002 臨桂縣 12023 中渡縣
12003 興安縣 12024 柳江縣
12004 陽朔縣 12025 雒容縣
12005 百壽縣 12026 融縣
12006 永福縣 12027 羅城縣
12007 榴江縣 12028 柳城縣
12008 義寧縣 12029 三江縣
12009 全縣 12030 來賓縣
12010 靈川縣 12031 象縣
12011 資源縣 12032 興業縣
12012 灌陽縣 12033 陸川縣
12013 龍勝縣 12034 博白縣
12014 平樂縣 12035 鬱林縣
12015 恭城縣 12036 武宣縣
12016 富川縣 12037 貴縣
12017 賀縣 12038 平南縣
12018 荔浦縣 12039 桂平縣
12019 修仁縣 12040 信都縣
12020 昭平縣 12041 懷集縣
12021 鍾山縣 12042 岑溪縣
12043 容縣 12064 遷江縣
12044 藤縣 12065 南丹縣
12445 蒼悟縣 12466 忻城縣
12046 上思縣 12067 百色縣
12047 那馬縣 12068 田東縣
12048 上林縣 12069 敬德縣
12049 賓陽縣 12070 凌雲縣
12050 果德縣 12071 西林縣
12051 隆山縣 12072 西隆縣
12052 都安縣 12073 東蘭縣
12053 武鳴縣 12074 天保縣
12054 橫縣 12075 向陽縣
12055 永淳縣 12076 向都縣
12056 隆安縣 12077 鳳山縣
12057 綏淥縣 12078 平治縣
12058 扶南縣 12079 龍津縣
12059 邕寧縣 12080 憑祥縣
12060 宜山縣 12081 崇善縣
12061 天河縣 12082 養利縣
12062 思恩縣 12083 龍茗縣
12063 河池縣 12084 萬承縣
12085 左縣
12086 同正縣
12487 鎮結縣
12088 寧明縣
12089 思樂縣
12090 明江縣
12091 靖西縣
12092 鎮邊縣
12093 雷平縣
12094 上金縣
12095 田西縣
12096 樂業縣
12097 萬岡縣
12098 天峨縣
12099 北流縣
12100 宜北縣

4.1.13. 윈난성(雲南省)

- 성회: 쿤밍시
  • 1시 113현 15설치국
쿤밍시(昆明市)
안닝현(安寧縣) 웨이신현(威信縣) 웨이시현(維西縣) 이먼현(易門縣) 이량현(彜良縣) 윈현(雲縣) 윈룽현(雲龍縣) 융성현(永勝縣) 융런현(永仁縣) 융핑현(永平縣) 융셴현(永善縣) 옌진현(鹽津縣) 옌펑현(鹽豐縣) 카이위안현(開遠縣) 후이쩌현(會澤縣) 허칭현(鶴慶縣) 어산현(峨山縣) 허시현(河西縣) 화닝현(華寧縣) 화핑현(華坪縣) 추베이현(丘北縣) 취시현(曲溪縣) 위시현(玉溪縣) 취징현(曲靖縣) 이량현(宜良縣) 진핑현(金平縣) 젠수이현(建水縣) 첸촨현(劍川縣) 옌산현(硯山縣) 징둥현(景東縣) 징구현(景谷縣) 위안장현(元江縣) 위안모현(元謀縣) 차오자현(巧家縣) 장청현(江城縣) 장촨현(江川縣) 광퉁현(廣通縣) 광난현(廣南縣) 거쥐현(個舊縣) 쿤밍현(昆明縣) 쿤양현(昆陽縣) 얼위안현(洱源縣) 스쭝현(師宗縣) 쓰마오현(思茅縣) 처리현(車里縣) 순닝현(順寧縣) 샹윈현(祥雲縣) 사오퉁현(昭通縣) 창닝현(昌寧縣) 쉰뎬현(尋甸縣) 진닝현(晋寧縣) 신핑현(新平縣) 쑤이장현(綏江縣) 쑹밍현(嵩明縣) 시처우현(西疇縣) 스핑현(石屏縣) 쉬안웨이현(宣威縣) 젠이현(沾益縣) 솽바이현(雙柏縣) 솽장현(雙江縣) 추슝현(楚雄縣) 다관현(大關縣) 다야오현(大姚縣) 다리현(大理縣) 중뎬현(中甸縣) 청장현(澄江縣) 전웨현(鎭越縣) 전위안현(鎭遠縣) 전캉현(鎭康縣) 전난현(鎭南縣) 전슝현(鎭雄縣) 퉁하이현(通海縣) 청궁현(呈貢縣) 덩촨현(鄧川縣) 난차오현(南嶠縣) 닝얼현(寧洱縣) 마관현(馬關縣) 마룽현(馬龍縣) 핑볜현(屏邊縣) 빈촨현(賓川縣) 포하이현(佛海縣) 페이충현(沸衝縣) 우딩현(武定縣) 푸닝현(富寧縣) 푸민현(富民縣) 원산현(文山縣) 핑이현(平彝縣) 펑이현(鳳儀縣) 바오산현(保山縣) 무장현(墨江縣) 모우딩현(牟定縣) 미두현(彌渡縣) 미러현(彌勒縣) 몐닝현(緬寧縣) 멍화현(蒙化縣) 멍자현(蒙自縣) 양비현(漾濞縣) 야오안현(姚安縣) 뤄핑현(羅平縣) 란핑현(蘭坪縣) 리장현(麗江縣) 루량현(陸良縣) 룽링현(龍陵縣) 셴창현(澖滄縣) 루취안현(綠勸縣) 루순현(六順縣) 뤼펑현(綠豐縣) 루시현(瀘西縣) 루시현(潞西縣) 루뎬현(魯甸縣) 루난현(路南縣)
설치국 잉장설치국(盈江設治局) 궁산설치국(貢山設治局) 겅마설치국(耿馬設治局) 루이리설치국(瑞麗設治局) 창위안설치국(滄源設治局) 더친설치국(徳欽設治局) 닝장설치국(寧江設治局) 닝랑설치국(寧蒗設治局) 푸궁설치국(福貢設治局) 비장설치국(碧江設治局) 룽우설치국(龍武設治局) 량허설치국(梁河設治局) 롄산설치국(蓮山設治局) 루수이설치국(瀘水設治局) 룽촨설치국(隴川設治局)
코드 명칭 비고
13001 昆明市 13022 羅平縣
13002 穀昌縣 13023 尋甸縣
13003 富民縣 13024 巧家縣
13004 宜良縣 13025 會澤縣
13005 呈貢縣 13026 昭通縣
13006 羅次縣 13027 永善縣
13007 祿豐縣 13028 綏江縣
13008 易門縣 13029 魯甸縣
13009 嵩明縣 13030 大關縣
13010 晉寧縣 13031 鹽津縣
13011 安寧縣 13032 澂江縣
13012 昆陽縣 13033 玉溪縣
13013 武定縣 13034 路南縣
13014 元謀縣 13035 江川縣
13015 祿勸縣 13036 鎮雄縣
13016 曲靖縣 13037 威信縣
13017 平彝縣 13038 彝良縣
13018 宣威縣 13039 楚雄縣
13019 霑益縣 13040 廣通縣
13020 馬龍縣 13041 雙柏縣
13021 陸良縣 13042 牟定縣
13043 鹽興縣 13064 寧洱縣
13044 蒙自縣 13065 墨江縣
13045 建水縣 13066 雙江縣
13046 曲溪縣 13067 騰衝縣
13047 通海縣 13068 保山縣
13048 河西縣 13069 永平縣
13049 峨山縣 13070 鎮康縣
13050 石屏縣 13071 龍陵縣
13051 開遠縣 13072 大理縣
13052 華寧縣 13073 祥雲縣
13053 箇舊縣 13074 洱源縣
13054 文山縣 13075 鳳儀縣
13055 馬關縣 13076 鄧川縣
13056 西疇縣 13077 賓川縣
13057 廣南縣 13078 雲龍縣
13058 富寧縣 13079 彌渡縣
13059 瀘西縣 13080 麗江縣
13060 彌勒縣 13081 蘭坪縣
13061 師宗縣 13082 鶴慶縣
13062 邱北縣 13083 劍川縣
13063 思茅縣 13084 維西縣
13085 中甸縣 13106 景東縣
13086 蒙化縣 13107 景谷縣
13087 漾濞縣 13108 元江縣
13088 永勝縣 13109 新平縣
13089 華坪縣 13110 瀾滄縣
13090 姚安縣 13111 鎮沅縣
13091 鹽豐縣 13112 永仁縣
13092 鎮南縣 13113 緬寧縣
13093 大姚縣 13114 瀘水設治局
13094 佛海縣 13115 隴川設治局
13095 順寧縣 13116 瑞麗設治局
13096 昌寧縣 13117 貢山設治局
13097 雲縣 13118 龍武設治局
13098 車里縣 13119 梁河設治局
13099 南嶠縣 13120 寧蒗設治局
13100 硯山縣 13121 滄源設治局
13101 鎮越縣 13122 蓮山設治局
13102 六順縣 13123 盈山設治局
13103 江城縣 13124 潞西設治局
13104 金平縣 13125 碧江設治局
13105 屏邊縣 13126 福貢設治局
13127 德欽設治局
13128 寧江設治局
13129 耿馬設治局

4.1.14. 구이저우성(貴州省)

- 성회: 구이양시
  • 1시 79현
구이양시(貴陽市)
안순현(安順縣) 안룽현(安龍縣) 웨이닝현(威寧縣) 인장현(印江縣) 옌허현(沿河縣) 웡안현(甕安縣) 허장현(赫章縣) 관링현(關嶺縣) 카이양현(開陽縣) 구이주현(貴築縣) 위핑현(玉屏縣) 진사현(金沙縣) 진핑현(錦屏縣) 후이수이현(惠水縣) 젠허현(劍河縣) 첸시현(黔西縣) 싱이현(興義縣) 장커우현(江口縣) 싱런현(興仁縣) 황핑현(黃平縣) 처샹현(冊享縣) 싼쑤이현(三穂縣) 싼두현(三都縣) 츠윈현(紫雲縣) 스빙현(施秉縣) 쓰난현(思南縣) 충장현(従江縣) 시수이현(鰼水縣) 슈원현(修文縣) 쭌이현(遵義縣) 즈진현(織金縣) 쑹타오현(松桃縣) 런화이현(仁懐縣) 수이청현(水城縣) 쑤이양현(綏陽縣) 정안현(正安縣) 칭룽현(晴隆縣) 츠수이현(赤水縣) 스첸현(石阡縣) 시펑현(息烽縣) 타이장현(台江縣) 다딩현(大定縣) 단자이현(丹寨縣) 창순현(長順縣) 전위안현(鎭遠縣) 전닝현(鎭寧縣) 전펑현(貞豐縣) 톈주현(天柱縣) 퉁런현(銅仁縣) 다오전현(道眞縣) 더장현(德江縣) 퉁쯔현(桐梓縣) 두산현(獨山縣) 두윈현(都勻縣) 나융현(納雍縣) 판현(盤縣) 비제현(畢節縣) 메이탄현(湄潭縣) 푸안현(普安縣) 푸딩현(普定縣) 핑웨현(平越縣) 핑탕현(平塘縣) 핑바현(平壩縣) 펑강현(鳳岡縣) 왕모현(望謨縣) 마장현(麻江縣) 우촨현(婺川縣) 룽장현(榕江縣) 위칭현(餘慶縣) 뤄뎬현(羅甸縣) 룽리현(龍里縣) 레이산현(雷山縣) 리핑현(黎平縣) 링궁현(嶺鞏縣) 리현(茘縣) 랑다이현(郎岱縣) 루산현(爐山縣)
코드 명칭 비고
14001 貴陽市 14022 獨山縣
14002 貴筑縣 14023 三都縣
14003 息烽縣 14024 丹寨縣
14004 修文縣 14025 鑪山縣
14005 龍里縣 14026 荔波縣
14006 貴定縣 14027 麻江縣
14007 開陽縣 14028 三穗縣
14008 惠水縣 14029 天柱縣
14009 平塘縣 14030 施秉縣
14010 餘慶縣 14031 黃平縣
14011 遵義縣 14032 台江縣
14012 羅甸縣 14033 鎮遠縣
14013 平越縣 14034 黎平縣
14014 甕安縣 14035 錦屏縣
14015 湄潭縣 14036 岑鞏縣
14016 正安縣 14037 榕江縣
14017 都勻縣 14038 從江縣
14018 綏陽縣 14039 劍河縣
14019 桐梓縣 14040 沿河縣
14020 仁懷縣 14041 江口縣
14021 鰼水縣 14042 印江縣
14043 婺川縣 14064 盤縣
14044 玉屏縣 14065 大定縣
14045 銅仁縣 14066 關嶺縣
14046 石阡縣 14067 黔西縣
14047 德江縣 14068 水城縣
14048 畢節縣 14069 冊亭縣
14049 安順縣 14070 納雍縣
14050 普定縣 14071 威寧縣
14051 思南縣 14072 道真縣
14052 鎮寧縣 14073 望謨縣
14053 鳳岡縣 14074 松桃縣
14054 平壩縣 14075 赤水縣
14055 紫雲縣 14076 郎岱縣
14056 貞豐縣 14077 安龍縣
14057 清鎮縣 14078 長順縣
14058 興仁縣 14079 赫章縣
14059 興義縣 14080 雷山設治局
14060 金沙縣
14061 晴隆縣
14062 織安縣
14063 普安縣

4.1.15. 허베이성(河北省)

- 성회: 베이핑시(원할시)
행정구역 (12구 2시 132현 2설치국) 비고
성정부 직할 스먼시(石門市) 탕산시(唐山市)각각 오늘날 스자좡시(石家莊市) 및 탕산시(唐山市)
제1구 린위현(臨楡縣) 撫寧、창리현(昌黎縣) 라오팅현(樂亭縣)[독음] 灤縣、遷安、루룽현(盧龍縣) 두산설치국(都山設治局)
제2구 寧河、天津、武清、바오디현(寶坻縣) 靜海、青縣、大城、안츠현(安次縣)
제3구 滄縣、南皮、옌산현(鹽山縣) 東光、吳橋、慶雲、寧津 신하이설치국(新海設治局)
제4구 豐潤、玉田、遵化、興隆、薊縣、平谷、密雲 浭陽縣
제5구 通縣、大興、완핑현(宛平縣) 良鄕、房山、懷柔、順義、昌平、三河、香河
제6구 涿縣、固安、永清、霸縣、新城、定興、易縣、淶水、淶源、新鎮
제7구 河間、獻縣、交河、阜城、景縣、肅寧、文安、任邱
제8구 칭위안현(清苑縣)[12] 徐水、完縣, 완청현(滿城縣) 望都、슝현(雄縣) 룽청현(容城縣) 安新、高陽、리현(蠡縣)
제9구 定縣、新樂、唐縣、曲陽、行唐、阜平、無極、안궈현(安國縣) 博野9縣
제10구 深縣、饒陽、안핑현(安平縣) 束鹿、武邑、武强、衡水、晉縣、深澤
제11구 正定、獲鹿、藁城、欒城、高邑、趙縣、柏鄕、靈壽、平山、元氏、井陘、贊皇
제12구 지난구(冀南區)南宮、冀縣、棗强、清河、故城、新河、威縣、廣宗、寧晉、鉅鹿、平鄕縣
제13구 지난구(冀南區)邢臺、任縣、南和、沙河、雞澤、隆平、堯山、臨城、內丘縣
제14구 지난구(冀南區)大名縣大名、廣平、南樂、清豐、東明、長垣、濮陽縣
제15구 지난구(冀南區)磁縣、永年、邯鄲、曲周、成安、肥鄕縣
위현(威縣) 융칭현(永淸縣) 화이러우현(懐柔縣) 허젠현(河間縣) 훠루현(獲鹿縣) 완현(完縣) 한단현(邯鄲縣) 지현(冀縣) 야오산현(堯山縣) 취저우현(曲周縣) 위톈현(玉田縣) 쥐루현(巨鹿縣) 지현(薊縣) 징현(景縣) 칭윈현(慶雲縣) 지쩌현(鶏澤縣) 셴현(獻縣) 위안스현(元氏縣) 구안현(固安縣) 가오청현(藁城縣) 자오허현(交河縣) 샹허현(香河縣) 광쭝현(廣宗縣) 광핑현(廣平縣) 가오이현(高邑縣) 가오양현(高陽縣) 겅양현(浭陽縣) 싱룽현(興隆縣) 구청현(故城縣) 우차오현(吳橋縣) 사허현(沙河縣) 싼허현(三河縣) 짠황현(賛皇縣) 츠현(磁縣) 쑤닝현(肅寧縣) 쭌화현(遵化縣) 순이현(順義縣) 창핑현(昌平縣) 쉬수이현(徐水縣) 진현(晋縣) 선현(深縣) 신허현(新河縣) 싱타이현(邢臺縣) 선쩌현(深澤縣) 신전현(新鎭縣) 헝수이현(衡水縣) 야오양현(饒陽縣) 신청현(新城縣) 신러현(新樂縣) 칭현(靑縣) 청안현(成安縣) 청허현(淸河縣) 징싱현(井陘縣) 칭펑현(淸豐縣) 짜오창현(棗强縣) 징하이현(靜海縣) 첸안현(遷安縣) 수루현(束鹿縣) 다싱현(大興縣) 다청현(大城縣) 다밍현(大名縣) 줘현(涿縣) 자오현(趙縣) 창위안현(長垣縣) 퉁현(通縣) 딩현(定縣) 딩싱현(定興縣) 톈진현(天津縣) 탕현(唐縣) 둥광현(東光縣) 둥밍현(東明縣) 네이추현(內丘縣) 난궁현(南宮縣) 난피현(南皮縣) 난러현(南樂縣) 난화현(南和縣) 런현(任縣) 런추현(任丘縣) 닝허현(寧河縣) 닝진현(寧津縣) 닝진현(寧晋縣) 바현(覇縣) 바이샹현(柏鄕縣) 보예현(博野縣) 페이샹현(肥鄕縣) 우창현(武强縣) 푸청현(阜城縣) 우칭현(武淸縣) 푸닝현(撫寧縣) 푸핑현(阜平縣) 원안현(文安縣) 우이현(武邑縣) 핑샹현(平鄕縣) 핑구현(平谷縣) 핑산현(平山縣) 팡산현(房山縣) 왕두현(望都縣) 펑룬현(豐潤縣) 푸양현(濮陽縣) 미윈현(密雲縣) 우지현(無極縣) 라이위안현(淶源縣) 라이수이현(淶水縣) 롼닝현(灤寧縣) 룽핑현(隆平縣) 량샹현(良鄕縣) 룬현(淪縣) 린청현(臨城縣) 링서우현(靈壽縣) 취양현(曲陽縣)
코드 명칭 비고
15001 清苑縣 15022 河間縣
15002 大興縣 15023 平谷縣
15003 宛平縣 15024 天津縣
15004 良鄕縣 15025 青縣
15005 固安縣 15026 滄縣
15006 永清縣 15027 鹽山縣
15007 安次縣 15028 慶雲縣
15008 香河縣 15029 南皮縣
15009 三河縣 15030 吳橋縣
15010 懷柔縣 15031 故城縣
15011 房山縣 15032 東光縣
15012 霸縣 15033 盧龍縣
15013 涿縣 15034 獻縣
15014 通縣 15035 肅寧縣
15015 薊縣 15036 任邱縣
15016 昌平縣 15037 阜城縣
15017 武清縣 15038 交河縣
15018 寶坁縣 15039 寧津縣
15019 順義縣 15040 景縣
15020 密雲縣 15041 臨榆縣
15021 靜海縣 15042 遵化縣
15043 興隆縣 15064 安國縣
15044 豐遷縣 15065 安新縣
15045 遷安縣 15066 束鹿縣
15046 撫寧縣 15067 高陽縣
15047 昌黎縣 15068 望都縣
15048 灤縣 15069 容城縣
15049 唐山市 15070 定縣
15050 樂亭縣 15071 阜平縣
15051 徐水縣 15072 欒城縣
15052 滿城縣 15073 行唐縣
15053 定興縣 15074 靈壽縣
15054 新城縣 15075 平山縣
15055 唐縣 15076 元氏縣
15056 博野縣 15077 贊皇縣
15057 玉田縣 15078 晉縣
15058 文安縣 15079 正定縣
15359 大城縣 15380 石門市
15060 新鎮縣 15081 獲鹿縣
15061 寧河縣 15082 井陘縣
15062 蠡縣 15083 城縣
15063 雄縣 15084 新樂縣
15085 易縣 15106 平鄕縣
15086 無極縣 15107 廣宗縣
15087 淶水縣 15108 鉅鹿縣
15088 淶源縣 15109 堯山縣
15089 完縣 15110 內邱縣
15090 曲陽縣 15111 任縣
15091 深澤縣 15112 磁縣
15092 武强縣 15113 曲周縣
15093 饒陽縣 15114 肥鄕縣
15094 安平縣 15115 雞澤縣
15095 大名縣 15116 廣平縣
15096 南樂縣 15117 邯鄲縣
15097 清豐縣 15118 成安縣
15098 東明縣 15119 威縣
15099 濮陽縣 15120 清河縣
15100 長垣縣 15121 隆平縣
15101 永年縣 15122 高邑縣
15102 深縣 15123 冀縣
15103 邢台縣 15124 衡水縣
15104 沙河縣 15125 南宮縣
15105 南和縣 15126 新河縣
15127 棗强縣
15128 武邑縣
15129 趙縣
15130 柏鄕縣
15131 臨城縣
15132 寧晉縣
15133 都山設治局
15134 新海設治局

4.1.16. 산둥성(山東省)

- 성회: 지난시
행정구역 (17구 3시 107현 1정치국 1개간구)
성정부 직할 지난시(濟南市) 옌타이시(煙臺市) 웨이하이웨이시(威海衛市) 린관추정치국(臨冠丘政治局) 리광잔디간구(利廣沾棣墾區)
제1구 滋陽縣、曲阜縣、鄒縣、滕縣、泗水縣、嶧縣、魚台縣
제2구 濟寧縣、嘉祥縣、汶上縣、東平縣、巨野縣、鄆城縣、壽張縣
제3구 郯城縣、臨沂縣、沂水縣、日照縣、費縣、莒縣
제4구 長清縣、齊河縣、平原縣、禹城縣、高唐縣、丘縣、館陶縣、臨清縣、武城縣、德縣、恩縣、清平縣、夏津縣
제5구 노릉현(樂陵縣)、德平縣、霑化縣、陵縣、臨邑縣、商河縣、陽信縣、無棣縣、利津縣、惠民縣、濱縣
제6구 東阿縣、平陰縣、茌平縣、陽穀縣、冠縣、朝城縣、莘縣、博平縣、堂邑縣、聊城縣
제7구 福山縣、海陽縣、牟平縣、榮成縣、文登縣
제8구 濰縣、昌樂縣、安丘縣、益都縣、臨朐縣、昌邑縣等6縣為
제9구 歷城縣、章丘縣、淄川縣、博山縣、齊東縣、長山縣、濟陽縣、青城縣、鄒平縣、高苑縣等10縣為
제10구 金鄕縣、曹縣、單縣、城武縣等4縣為
제11구 即墨縣、萊陽縣、黃縣、蓬萊縣、招遠縣、棲霞縣等6縣為
제12구 壽光縣、臨淄縣、廣饒縣、博興縣、蒲台縣等5縣為
제15구 泰安縣、萊蕪縣、新泰縣、寧陽縣、肥城縣、蒙陰縣
제16구 菏澤縣、濮縣、定陶縣、觀城縣、范縣
제17구 膠縣、高密縣、平度縣、諸城縣、掖縣
츠양현(滋陽縣) 취푸현(曲阜縣) 쩌우현(鄒縣) 텅현(滕縣) 쓰수이현(泗水縣) 이현(嶧縣) 위타이현(魚臺縣) 지닝현(濟寧縣) 자샹현(嘉祥縣) 원상현(汶上縣) 둥핑현(東平縣) 쥐예현(巨野縣) 윈청현(鄆城縣) 서우창현(壽張縣) 탄청현(郯城縣) 린이현(臨沂縣) 이수이현(沂水縣) 르자오현(日照縣) 페이현(費縣) 쥐현(莒縣) 창칭현(長清縣) 지허현(齊河縣) 핑위안현(平原縣) 위청현(禹城縣) 가오탕현(高唐縣) 추현(丘縣) 관타오현(館陶縣) 린칭현(臨清縣) 우청현(武城縣) 더현(德縣) 언현(恩縣) 칭핑현(清平縣) 샤진현(夏津縣) 라오링현(樂陵縣)[독음] 더핑현(德平縣) 잔화현(霑化縣) 링현(陵縣) 린이현(臨邑縣) 상허현(商河縣) 양신현(陽信縣) 우디현(無棣縣) 리진현(利津縣) 후이민현(惠民縣) 빈현(濱縣) 둥허현(東阿縣) 핑인현(平陰縣) 츠핑현(茌平縣) 양구현(陽谷縣) 관현(冠縣) 차오청현(朝城縣) 신현(莘縣) 보핑현(博平縣) 탕이현(堂邑縣) 랴오청현(聊城縣) 푸산현(福山縣) 하이양현(海陽縣) 무핑현(牟平縣) 룽청현(榮成縣) 원덩현(文登縣) 웨이현(濰縣) 창러현(昌樂縣) 안추현(安丘縣) 이두현(益都縣) 린취현(臨朐縣) 창이현(昌邑縣) 리청현(歷城縣) 장추현(章丘縣) 쯔촨현(淄川縣) 보산현(博山縣) 지둥현(齊東縣) 창산현(長山縣) 지양현(濟陽縣) 칭청현(青城縣) 쩌우핑현(鄒平縣) 가오위안현(高苑縣) 진샹현(金鄕縣) 차오현(曹縣) 단현(單縣) 청우현(城武縣) 지모현(即墨縣) 라이양현(萊陽縣) 황현(黃縣) 펑라이현(蓬萊縣) 자오위안현(招遠縣) 러우샤현(棲霞縣) 서우광현(壽光縣) 린쯔현(臨淄縣) 광라오현(廣饒縣) 보싱현(博興縣) 푸타이현(蒲臺縣) 타이안현(泰安縣) 라이우현(萊蕪縣) 신타이현(新泰縣) 닝양현(寧陽縣) 페이청현(肥城縣) 멍인현(蒙陰縣) 허쩌현(菏澤縣) 푸현(濮縣) 딩타오현(定陶縣) 관청현(觀城縣) 판현(范縣) 야오현(膠縣) 가오미현(高密縣) 핑두현(平度縣) 주청현(諸城縣) 예현(掖縣)
코드 명칭 비고
16 山東省
16001 濟南市 16021 濟寧縣
16002 歷城縣 16023 樂陵縣
16003 章邱縣 16024 霑化縣
16004 鄒平縣 16025 蒲台縣
16005 淄平縣 16026 商河縣
16006 長山縣 16027 青城縣
16007 桓台縣 16028 博興縣
16008 齊河縣 16029 高苑縣
16009 齊東縣 16030 嶧縣
16010 濱縣 16031 金鄕縣
16011 利津縣 16032 嘉祥縣
16012 濟陽縣 16033 魚台縣
16013 長清縣 16034 滋陽縣
16014 泰安縣 16035 曲阜縣
16015 新泰縣 16036 寧陽縣
16016 萊蕪縣 16037 鄒縣
16017 肥城縣 16038 滕縣
16018 惠民縣 16039 泗水縣
16019 陽信縣 16040 汶上縣
16020 無棣縣 16041 沂水縣
16021 博山縣 16042 菏澤縣
16043 曹縣 16064 邱縣
16044 單縣 16065 德縣
16045 臨沂縣 16066 德平縣
16046 郯城縣 16067 館陶縣
16047 費縣 16068 高唐縣
16048 蒙陰縣 16069 恩縣
16049 莒縣 16070 禹城縣
16050 堂邑縣 16071 東平縣
16051 博平縣 16072 東阿縣
16052 荏平縣 16073 平陰縣
16053 清平縣 16074 陽穀縣
16054 莘縣 16075 壽張縣
16055 冠縣 16076 濮縣
16056 城武縣 16077 朝城縣
16057 定陶縣 16078 平原縣
16058 鉅野縣 16079 陵縣
16059 鄲城縣 16080 臨邑縣
16060 聊城縣 16081 范縣
16061 臨清縣 16082 福山縣
16062 武城縣 16083 煙台市
16063 夏津縣 16084 蓬萊縣
16085 黃縣 16106 昌樂縣
16086 棲霞縣 16107 臨胊縣
16087 招遠縣 16108 安邱縣
16088 萊陽縣 16109 諸城縣
16089 牟平縣 16110 日照縣
16090 威海衛市
16091 觀城縣
16092 榮成縣
16093 海陽縣
16094 掖縣
16095 平度縣
16096 濰縣
16097 昌邑縣
16098 膠縣
16099 高密縣
16100 即墨縣
16101 文登縣
16102 益都縣
16103 臨淄縣
16104 廣饒縣
16105 壽光縣


4.1.17. 허난성(河南省)

- 성회: 카이펑시
행정구역 (12구 1시 111현)
제1구 카이펑시(開封市), 카이펑현(開封縣, 웨이스현(尉氏縣), 웨이촨현(洧川縣),
제2구
안양현(安陽縣) 리촨현(伊川縣) 쓰수이현(汜水縣) 리양현(伊陽縣) 위현(禹縣) 융청현(永城縣) 옌청현(郾城縣) 옌진현(延津縣) 옌링현(鄢陵縣) 훠자현(獲嘉縣) 췌핑현(確平縣) 화현(滑縣) 샤이현(夏邑縣) 치현(淇縣) 치현(杞縣) 후이현(輝縣) 쑤이현(睢縣) 지현(汲縣) 쑹현(嵩縣) 산현(陝縣) 자현(郟縣) 궁현(鞏縣) 쉬창현(許昌縣) 룽양현(滎陽縣) 징푸현(經扶縣) 위안우현(原武縣) 광산현(光山縣) 황촨현(潢川縣) 구스현(固始縣) 샤오청현(考城縣) 샹청현(項城縣) 광우현(廣武縣) 위청현(虞城縣) 지위안현(濟源縣) 슈우현(修武縣) 쥔현(浚縣) 서현(涉縣) 상추현(商丘縣) 원샹현(閿鄕縣) 상차이현(上蔡縣) 샹청현(襄城縣) 상청현(商城縣) 상수이현(商水縣) 루난현(汝南縣) 신안현(新安縣) 신샹현(新鄕縣) 신차이현(新蔡縣) 신예현(新野縣) 신양현(信陽縣) 친양현(沁陽縣) 신정현(新鄭縣) 쑤이핑현(遂平縣) 시화현(西華縣) 시핑현(西平縣) 저촨현(浙川縣) 정양현(正陽縣) 쉬안양현(宣陽縣) 시현(息縣) 타이캉현(太康縣) 저청현(柘城縣) 천류현(陳留縣) 중무현(中牟縣) 창거현(長葛縣) 선추현(沈丘縣) 전핑현(鎮平縣) 퉁쉬현(通許縣) 정현(鄭縣) 언스현(偃師縣) 덩현(鄧縣) 탕인현(湯陰縣) 탕허현(唐河縣) 퉁바이현(桐柏縣) 덩펑현(登封縣) 네이샹현(內鄕縣) 난양현(南陽縣) 난사오현(南召縣) 보아이현(博愛縣) 비양현(泌陽縣) 우안현(武安縣) 펑추현(封丘縣) 푸거우현(扶溝縣) 우양현(舞陽縣) 우즈현(武陟縣) 몐츠현(澠池縣) 팡청현(方城縣) 바오펑현(寶豐縣) 네이황현(內黃縣) 닝링현(寧陵縣) 미현(密縣) 민취안현(民權縣) 멍진현(孟津縣) 예현(葉縣) 뤄닝현(洛寧縣) 뤄산현(羅山縣) 란펑현(蘭封縣) 린잉현(臨潁縣) 린현(林縣) 린장현(臨漳縣) 린루현(臨汝縣) 링바오현(靈寶縣) 루이현(鹿邑縣) 루산현(魯山縣) 루스현(廬氏縣) 화이양현(淮陽縣)
코드 명칭 비고
17001 開封縣 17022 柘城縣
17002 陳留縣 17023 淮陽縣
17003 杞縣 17024 商水縣
17004 通許縣 17025 西華縣
17005 尉氏縣 17026 項城縣
17006 洧川縣 17027 沈邱縣
17007 鄢陵縣 17028 太康縣
17008 中牟縣 17029 扶溝縣
17009 蘭封縣 17030 許昌縣
17010 禹縣 17031 臨穎縣
17011 密縣 17032 襄城縣
17012 新鄭縣 17033 郾城縣
17013 商邱縣 17034 長葛縣
17014 寧陵縣 17035 鄭縣
17015 鹿邑縣 17036 滎陽縣
17016 夏邑縣 17037 廣武縣
17017 永城縣 17038 汜水縣
17018 虞城縣 17039 汲縣
17019 睢縣 17040 武陡縣
17020 民權縣 17041 安陽縣
17021 考城縣 17042 湯陰縣
17043 臨漳縣 17064 洛陽縣
17044 林縣 17065 陝縣
17045 內黃縣 17066 偃師縣
17046 武安縣 17067 鞏縣
17047 涉縣 17068 孟津縣
17048 新鄕縣 17079 宜陽縣
17049 獲嘉縣 17070 登封縣
17050 淇縣 17071 洛寧縣
17051 輝縣 17072 新安縣
17052 延津縣 17073 澠池縣
17053 濬縣 17074 嵩縣
17054 滑縣 17075 靈寶縣
17055 封邱縣 17076 閿鄕縣
17056 沁陽縣 17077 盧氏縣
17057 博愛縣 17078 臨汝縣
17058 濟源縣 17079 魯山縣
17059 原武縣 17080 郟縣
17060 修武縣 17081 寶豐縣
17061 孟縣 17082 伊陽縣
17062 溫縣 17083 伊川縣
17064 陽武縣 17084 信陽縣
17085 南陽縣 17106 光山縣
17086 南召縣 17107 經扶縣
17087 鎮平縣 17108 固始縣
17088 唐河縣 17109 息縣
17089 泌陽縣 17110 商城縣
17090 桐柏縣 17111 淅川縣
17091 鄧縣
17092 內鄕縣
17093 新野縣
17094 方城縣
17095 舞陽縣
17096 葉縣
17097 汝南縣
17098 正陽縣
17099 上蔡縣
17100 新蔡縣
17101 西平縣
17102 遂平縣
17103 確山縣
17104 羅山縣
17105 潢川縣

4.1.18. 산시성(山西省)

- 성회: 타이위안시
행정구역 (14구 1시 105현)
성정부 직할 "태원시(太原市)", 陽曲、榆次、徐溝、清源、晉源縣
제1구 靈石, 祁縣, 太谷, 平遙, 交城, 文水, 介休7縣 제2구 專署駐平定縣,轄平定、盂縣、壽陽、昔陽,和順, 遼縣, 榆社7縣 제3구 專署駐忻縣,轄忻縣、崞縣、代縣、繁峙、五臺、定襄, 靜樂7縣
제4구 專署駐汾陽縣,轄汾陽、中陽、離石、臨縣、興縣、嵐縣、方山、孝義8縣
제5구 專署駐曲沃縣,轄曲沃、晉城、陵川、壺關、高平、沁水、陽城、翼城8縣
제6구 專署駐隰縣,轄隰縣、大寧、永和、石樓、蒲縣、汾西6縣
제7구 專署駐解縣,轄解縣、虞鄕、臨晉、永濟、芮城、平陸6縣
제8구 專署駐寧武縣,轄寧武、神池、河曲、保德、岢嵐、五寨、朔縣7縣
제9구 專署駐鄕寧縣,轄鄕寧、吉縣、河津、稷山、新絳、汾城6縣
제10구 專署駐大同縣,轄大同、懷仁、陽高、天鎮、渾源、廣靈、靈丘7縣
제11구 專署駐右玉縣,轄右玉、山陰、應縣、左雲、平魯、偏關6縣
제12구 專署駐臨汾縣,轄臨汾、洪洞、趙城、安澤、浮山、霍縣、襄陵7縣
제13구 專署駐長治縣,轄長治、潞城、襄垣、武鄕、沁縣、屯留、長子、黎城、沁源、平順10縣
제14구 專署駐安邑縣,轄安邑、夏縣、垣曲、聞喜、萬泉、猗氏、絳縣、榮河8縣
양취현(陽曲縣) 진위안현(晉源縣) 위츠현(榆次縣) 쉬거우현(徐溝縣) 칭위안현(清源縣) 타이구현(太谷縣) 치현(祁縣) 자오청현(交城縣) 원수이현(文水縣) 핑야오현(平遙縣) 가이슈현(介休縣) 링스현(靈石縣) 위서현(榆社縣) 랴오현(遼縣) 허순현(和順縣) 핑딩현(平定縣) 시양현(昔陽縣) 위현(盂縣) 서우양현(壽陽縣) 다이현(代縣) 딩샹현(定襄縣) 징러현(靜樂縣) 우타이현(五臺縣) 궈현(崞縣) 판즈현(繁峙縣) 신현(忻縣) 란현(嵐縣) 싱현(興縣) 중양현(中陽縣) 리스현(離石縣) 펀양현(汾陽縣) 샤오이현(孝義縣) 린현(臨縣) 팡산현(方山縣) 후관현(壺關縣) 진청현(晉城縣) 가오핑현(高平縣) 양청현(陽城縣) 링촨현(陵川縣) 친수이현(沁水縣) 치위현(曲沃縣) 지청현(翼城縣) 스러우현(石樓縣) 펀시현(汾西縣) 시현(隰縣) 다닝현(大寧縣) 푸현(蒲縣) 융허현(永和縣) 융지현(永濟縣) 린진현(臨晉縣) 위샹현(虞鄕縣) 쉐현(解縣) 루이청현(芮城縣) 핑루현(平陸縣) 커란현(岢嵐縣) 숴현(朔縣) 잉우현(寧武縣) 선츠현(神池縣) 바오더현(保德縣) 우자이현(五寨縣) 허취현(河曲縣) 샹닝현(鄕寧縣) 펀청현(汾城縣) 지현(吉縣) 신장현(新絳縣) 지산현(稷山縣) 허진현(河津縣) 화이런현(懷仁縣) 양가오현(陽高縣) 다퉁현(大同縣) 톈전현(天鎮縣) 광링현(廣靈縣) 링추현(靈邱縣) 훈위안현(渾源縣) 산인현(山陰縣) 유위현(右玉縣) 쭤윈현(左雲縣) 핑루현(平魯縣) 잉현(應縣) 폔관현(偏關縣) 린펀현(臨汾縣) 훙둥현(洪洞縣) 푸산현(浮山縣) 안쩌현(安澤縣) 샹링현(襄陵縣) 훠현(霍縣) 자오청현(趙城縣) 창츠현(長治縣) 창쯔현(長子縣) 툰류현(屯留縣) 샹위안현(襄垣縣) 루청현(潞城縣) 핑순현(平順縣) 친현(沁縣) 친위안현(沁源縣) 우샹현(武鄕縣) 안이현(安邑縣) 룽허현(榮河縣) 완취안현(萬泉縣) 이현(猗氏縣) 위안취현(垣曲縣) 원시현(聞喜縣) 장현(絳縣) 샤현(夏縣)
코드 명칭 비고
18001 太原市 18022 壼關縣
18002 陽曲縣 18023 黎城縣
18003 晉源縣 18024 方山縣
18004 榆次縣 18025 長治縣
18005 太谷縣 18026 長子縣
18006 祁縣 18027 屯留縣
18007 交城縣 18028 襄垣縣
18008 文水縣 18029 潞城縣
18009 嵐縣 18030 平順縣
18010 興縣 18031 榆社縣
18011 中陽縣 18032 沁縣
18012 離石縣 18033 沁源縣
18013 徐溝縣 18034 武鄕縣
18014 清源縣 18035 晉城縣
18015 岢嵐縣 18036 高平縣
18016 汾陽縣 18037 陽城縣
18017 孝義縣 18038 陵川縣
18018 平遙縣 18039 沁水縣
18019 介休縣 18040 遼縣
18020 石樓縣 18041 和順縣
18021 臨縣 18042 代縣
18043 懷仁縣 18064 五臺縣
18044 山陰縣 18065 崞縣
18045 陽高縣 18066 繁峙縣
18046 平定縣 18067 保德縣
18047 昔陽縣 18068 偏關縣
18048 盂縣 18069 五寨縣
18049 壽陽縣 18070 忻縣
18050 大同縣 18071 河曲縣
18051 右玉縣 18072 安邑縣
18052 左雲縣 18073 臨汾縣
18053 平魯縣 18074 洪洞縣
18054 朔縣 18075 浮山縣
18055 寧武縣 18076 鄕寧縣
18056 神池縣 18077 安澤縣
18057 天鎮縣 18078 曲沃縣
18058 廣靈縣 18079 翼城縣
18059 靈邱縣 18080 汾城縣
18060 渾源縣 18081 襄陵縣
18061 應縣 18082 吉縣
18062 定襄縣 18083 永濟縣
18063 靜樂縣 18084 臨晉縣
18085 虞鄕縣 18106 永和縣
18086 榮河縣
18087 萬泉縣
18088 猗氏縣
18089 解縣
18090 芮城縣
18091 新絳縣
18092 垣曲縣
18093 聞喜縣
18094 絳縣
18095 稷山縣
18096 夏縣
18097 平陵縣
18098 河津縣
18099 霍縣
18100 汾西縣
18101 靈石縣
18102 趙城縣
18103 隰縣
18104 大寧縣
18105 蒲縣

4.1.19. 산시성(陝西省)

- 성회: 시안시(西安市, 원할시)
행정구역 (11구 92현 1설치국)
제1구 榆林、神木、府谷、葭縣、橫山、定邊、靖邊、延安、延長、保安、甘泉、鄜縣、安塞、延川、綏德、米脂、清澗、吳堡、安定
제2구 臨潼、藍田、渭南、華縣、華陰、潼關
제3구 轄富平、三原、高陵、涇陽、耀縣、銅川、宜君、黃陵、淳化9縣
제4구 轄商縣、雒南、商南、山陽、柞水、鎮安6縣。民國37年(1948年)9月增領龍駒寨設治局
제5구 轄安康、漢陰、洵陽、白河、平利、紫陽、石泉、鎮坪、嵐皋、寧陝10縣
제6구 轄南鄭、城固、西鄕、洋縣、沔縣、褒城、寧强、略陽、鳳縣、鎮巴、佛坪、留壩12縣
제7구 轄乾縣、醴泉、永壽、邠縣、栒邑、長武6縣
제8구 轄韓城、朝邑、郃陽、平民、大荔5縣
|| 제9구 ||轄寶雞、汧陽、郿縣、麟遊、扶風、岐山、隴縣、鳳翔8縣 ||
제10구 轄武功、興平、咸陽、長安、盩厔、鄠縣6縣
제11구 轄蒲城、澄城、白水、宜川、洛川5縣和黃
龍設治局
안캉현(安康縣) 안싸이현(安塞縣) 안딩현(安定縣) 웨이난현(渭南縣) 옌창현(延長縣) 옌촨현(延川縣) 융서우현(永壽縣) 옌안현(延安縣) 헝산현(横山縣) 화현(華縣) 자현(葭縣) 화인현(華陰縣) 후현(鄠縣) 젠현(乾縣) 한청현(韓城縣) 간취안현(甘泉縣) 한양현(漢陽縣) 셴양현(咸陽縣) 산현(岐山縣) 치유현(麒游縣) 징양현(涇陽縣) 첸양현(汧陽縣) 저우즈현(盩厔縣) 싱핑현(興平縣) 허양현(郃陽縣) 가오링현(高陵縣) 황링현(黃陵縣) 우부현(吳堡縣) 자수이현(柞水縣) 싼위안현(三原縣) 산양현(山陽縣) 춘화현(淳化縣) 쉰양현(栒陽縣) 쉰양현(洵陽縣) 상현(商縣) 청구현(城固縣) 상난현(商南縣) 츠양현(紫陽縣) 선무현(神木縣) 쑤이더현(綏徳縣) 징볜현(靖邊縣) 칭젠현(清澗縣) 시샹현(西鄕縣) 이췬현(宜君縣) 이촨현(宜川縣) 스취안현(石泉縣) 다리현(大荔縣) 창안현(長安縣) 청청현(澄城縣) 차오이현(朝邑縣) 전안현(鎭安縣) 전이현(鎭巴縣) 전핑현(鎭平縣) 딩볜현(定邊縣) 퉁촨현(銅川縣) 난정현(南鄭縣) 닝산현(寧陝縣) 닝창현(寧强縣) 바이허현(白河縣) 바이수이현(白水縣) 우궁현(武功縣) 푸핑현(富平縣) 포핑현(佛坪縣) 푸황현(芙鳳縣) 푸양현(府陽縣) 펀현(邠縣) 미즈현(米脂縣) 핑민현(平民縣) 핑리현(平利縣) 몐현(沔縣) 바오안현(保安縣) 펑현(鳳縣) 바오지현(寶鶏縣) 바오청현(褒城縣) 펑샹현(鳳翔縣) 리취안현(醴泉縣) 푸청현(蒲城縣) 메이현(郿縣) 위린현(楡林縣) 양현(洋縣) 야오현(耀縣) 뤄촨현(洛川縣) 뤄난현(雒南縣) 란톈현(藍田縣) 란가오현(嵐皋縣) 뤠양현(略陽縣) 류바현(留壩縣) 린퉁현(臨潼縣) 룽현(隴縣) 푸현(鄜縣)
설치국 황룽설치국(黃龍設治局)
코드 명칭 비고
19001 長安縣 18022 華陰縣
19002 咸陽縣 18023 平民縣
19003 興平縣 18024 潼關縣
19004 臨潼縣 18025 華縣
19005 高陵縣 18026 商縣
19006 鄠縣 18027 蒲城縣
19007 藍田縣 18028 雒南縣
19008 涇陽縣 18029 柞水縣
19009 三原縣 18030 鳳翔縣
19010 盩屋縣 18031 岐山縣
19011 渭南縣 18032 寶雞縣
19012 富平縣 18033 栒邑縣
19013 醴泉縣 18034 郿縣
19014 銅川縣 18035 麟遊縣
19015 耀縣 18036 汧陽縣
19016 大荔縣 18037 隴縣
19017 朝邑縣 18038 邠縣
19018 郃陽縣 18039 南鄭縣
19019 澄城縣 18040 淳化縣
19020 白水縣 18041 長武縣
19021 韓城縣 18042 乾縣
18043 武功縣 19064 石泉縣
18044 永壽縣 19065 寧陝縣
18045 沔縣 19066 山陽縣
18046 褒城縣 19067 鎮安縣
18047 城固縣 19068 商南縣
18048 洋縣 19069 鳳縣
18049 西鄕縣 19070 榆林縣
18050 寧强縣 19071 神木縣
18051 嵐皋縣 19072 府谷縣
18052 略陽縣 19073 橫山縣
18053 佛坪縣 19074 葭縣
18054 鎮巴縣 19075 延安縣
18055 漢陰縣 19076 安塞縣
18056 留壩縣 19077 甘泉縣
18057 扶風縣 19078 保安縣
18058 安康縣 19079 安定縣
18059 平利縣 19080 延長縣
18060 鎮坪縣 19081 延川縣
18061 洵陽縣 19082 定邊縣
18062 白河縣 19083 靖邊縣
18063 紫陽縣 19084 綏德縣
19085 米脂縣
19086 清澗縣
19087 吳堡縣
19088 鄜縣
19089 洛川縣
19090 黃陵縣
19091 宜君縣
19092 宜川縣
19093 黃龍設治局

4.1.20. 간쑤성(甘肅省)

- 성회: 란저우시(蘭州市)
행정구역 (9구 1시 69현 2설치국)
성정부 직할 란저우시(蘭州市), 皋蘭縣,景泰縣,靖遠縣,會寧縣,永登縣
제1구
제2구
제3구
제4구
제5구
제6구
제7구
제8구
제9구
가오란현(皋蘭縣) 징타이현(景泰縣) 징위안현(靖遠縣) 후이닝현(會寧縣) 융덩현(永登縣) 룽시현(隴西縣) 장현(漳縣) 린탄현(臨潭縣) 샤허현(夏河縣) 민현(岷縣) 핑량현(平凉縣) 화팅현(華亭縣) 징닝현(靜寧縣) 룽더현(隆德縣) 장랑현(莊浪縣) 충신현(崇信縣) 하이위안현(海原縣) 화핑현(化平縣) 시지현(西吉縣) 칭양현(慶陽縣) 닝현(寧縣) 정닝현(正寧縣) 허수이현(合水縣) 환현(環縣) 징촨현(涇川縣) 전위안현(鎮原縣) 링타이현(靈臺縣) 구위안현(固原縣) 톈수이현(天水縣) 간구현(甘谷縣) 타이안현(秦安縣) 칭수이현(清水縣) 후이현(徽縣) 량탕현(兩當縣) 리현(禮縣) 퉁웨이현(通渭縣) 우산현(武山縣) 시화현(西和縣) 린샤현(臨夏縣) 닝딩현(寧定縣) 융징현(永靖縣) 허정현(和政縣) 우웨이현(武威縣) 융창현(永昌縣) 민친현(民勤縣) 구랑현(古浪縣) 장예현(張掖縣) 민러현(民樂縣) 산단현(山丹縣) 린쩌현(臨澤縣) 주취안현(酒泉縣) 진타현(金塔縣) 딩신현(鼎新縣) 가오타이현(高臺縣) 안시현(安西縣) 둔황현(敦煌縣) 위먼현(玉門縣) 우두현(武都縣) 시구현(西固縣) 캉현(康縣) 원현(文縣) 청현(成縣) 린타오현(臨洮縣) 타오사현(洮沙縣) 위중현(榆中縣) 웨이위안현(渭源縣) 딩시현(定西縣) 캉러현(康樂縣) 후이촨현(會川縣)
설치국 줘니설치국(卓尼設治局) 쑤베이설치국(肅北設治局)
코드 명칭 비고
20001 蘭州市 20022 清水縣
20002 皋蘭縣 20023 徽縣
20003 景泰縣 20024 兩當縣
20004 臨洮縣 20025 禮縣
20005 臨夏縣 20026 通渭縣
20006 洮沙縣 20027 武山縣
20007 寧定縣 20028 甘谷縣
20008 永靖縣 20029 西和縣
20009 和政縣 20030 武都縣
20010 靖遠縣 20031 西固縣
20011 榆中縣 20032 康縣
20012 渭源縣 20033 文縣
20013 定西縣 20034 成縣
20014 隴西縣 20035 平涼縣
20015 漳縣 20036 華亭縣
20016 臨潭縣 20037 華亭縣
20017 夏河縣 20038 靜寧縣
20018 會寧縣 20039 莊浪縣
20019 岷縣 20040 慶陽縣
20020 天水縣 20041 寧縣
20021 秦安縣 20042 正寧縣
20043 合水縣 20064 鼎新縣
20044 環縣 20065 安西縣
20045 涇川縣 20066 敦煌縣
20046 崇信縣 20067 玉門縣
20047 鎮原縣 20068 康樂縣
20048 靈台縣 20069 西吉縣
20049 固原縣 20070 會川縣
20050 海原縣 20071 肅化設治局
20051 化平縣 20072 卓尼設治局
20052 武威縣
20053 永昌縣
20054 民勤縣
20055 古浪縣
20056 永登縣
20057 張掖縣
20058 民樂縣
20059 山丹縣
20060 臨澤縣
20061 酒泉縣
20062 金塔縣
20063 高台縣

4.1.21. 닝샤성(寧夏省)

- 성회: 인촨시(銀川市)
행정구역 (2구 1시 13현 2기 2설치국)
성정부 직할 인촨시(銀川市) 알샤호슈트 특별기(阿拉善霍碩特特別旗) 에젠투르푸트 특별기(額濟納舊土爾扈特特別旗) 츠후설치국(紫湖設治局) 쥐옌설치국(居延設治局)
인난구(銀南區) 닝숴현(寧朔縣) 링우현(靈武縣) 엔츠현(鹽池縣) 중웨이현(中衛縣) 중닝현(中寧縣) 진지현(金積縣) 퉁신현(同心縣) 융닝현(永寧縣) 샹산설치국(香山設治局)
인베이구(銀北區) 허란현(賀蘭縣)핑뤄현(平羅縣) 덩커우현(磴口縣) 타오러현(陶樂縣) 후이눙현(惠農縣)

※ 1945년에 제1구, 제2구, 제3구를 설치했고, 동년에 인난구, 인베이구로 개편했다.
21001 銀川市
21002 賀蘭縣
21003 寧朔縣
21004 靈武縣
21005 鹽池縣
21006 平羅縣
21007 磴口縣
21008 中衛縣
21009 中寧縣
21010 金積縣
21011 同心縣
21012 陶樂縣
21013 永寧縣
21014 惠農縣
21015 紫湖設治局
21016 居延設治局
21200 阿拉善霍碩特特別旗
21300 額濟納舊土爾扈特特別旗

4.1.22. 칭하이성(靑海省)

- 성회: 시닝시(西寧市)
행정구역 (1구 2맹 1시 19현 2설치국 29기) 비고
성정부 직할 시닝시(西寧市) 황중현(湟中縣) 후주현(互助縣) 다퉁현(大通縣) 웨이위안현(亹源縣) 러두현(樂都縣) 민허현(民和縣) 쉰화현(循化縣) 궁허현(共和縣) 퉁런현(同仁縣) 구이더현(貴德縣) 화룽현(化隆縣) 황위안현(湟源縣) 구란현(都蘭縣) 퉁더현(同德縣) 하이옌현(海晏縣) 싱하이현(興海縣) 치롄설치국(祁連設治局) 싱촨설치국(星川設治局)
제1구 위수현(玉樹縣) 청둬현(稱多縣) 낭첸현(囊謙縣)
칭하이좌익맹(青海左翼盟) 호슈트 서전기(霍碩特西前旗) 호슈트 북좌익기(霍碩特北左翼旗) 호슈트 서후기(霍碩特西後旗) 호슈트 북전기(霍碩特北前旗) 호슈트 남우익후기(霍碩特南右翼後旗) 호슈트 남좌익후기(霍碩特南左翼後旗) 호슈트 북좌익말기(霍碩特北左翼末旗) 호슈트 남좌익중기(霍碩特南左翼中旗) 호슈트 서우익중기(霍碩特西右翼中旗) 호슈트 남좌익말기(霍碩特南左翼末旗) 호슈트 북우익말기(霍碩特北右翼末旗) 투르푸트 서기(土爾扈特西旗) 투르푸트 남후기(土爾扈特南後旗)
칭하이우익맹(青海右翼盟) 호슈트 전좌익수기(霍碩特前左翼首旗) 호슈트 북우익기(霍碩特北右翼旗) 호슈트 전수기(霍碩特前首旗) 호슈트 동상기(霍碩特東上旗) 호슈트 우익중기(霍碩特南右翼中旗) 호슈트 서우익전기(霍碩特西右翼前旗) 호슈트 서우익후기(霍碩特西右翼後旗) 호슈트 남우익말기(霍碩特南右翼末旗) 호슈트 서좌익후기(霍碩特西左翼後旗) 자르트 남우익수기(綽爾特南右翼首旗) 자를로스 북중기(綽爾羅斯北中旗) 후이트 남기(輝特南旗) 카르카 남우익기(喀爾喀南右翼旗) 투르푸트 남중기(土爾扈特南中旗) 투르푸트 남전기(土爾扈特南前旗) 차한노몬한기(察罕諾門汗旗)
22001 西寧市 22201 霍碩特西前旗
22002 湟中縣 22202 霍碩特北左翼旗
22003 互助縣 22203 霍碩特西後旗
22004 大通縣 22204 霍碩特北前旗
22005 亹源縣 22205 霍碩特南右翼後
22006 樂都縣 22206 霍碩特南左翼後
22007 民和縣 22207 霍碩特北左翼末
22008 循化縣 22208 霍碩特南左翼中
22009 共和縣 22209 霍碩特西右翼中
22010 同仁縣 22210 霍碩特南左翼末
22011 貴德縣 22211 霍碩特北右翼末
22012 化隆縣 22212 土爾扈特西旗
22013 湟源縣 22213 土爾扈特南後旗
22014 玉樹縣 22300 青海右翼盟
22015 稱多縣 22301 霍碩特前左翼首
22016 都蘭縣 22302 霍碩特北右翼旗
22017 囊謙縣 22303 霍碩特前首旗
22018 同德縣 22304 霍碩特東上旗
22019 海晏縣 22305 霍碩特南右翼中
22020 興海縣 22306 霍碩特西右翼前
22021 祁連設治局 22307 霍碩特西右翼後
22300 青海右翼盟
22308 霍碩特南右翼末旗
22309 霍碩特西左翼後旗
22310 綽爾羅斯南右翼首
22311 綽爾羅斯北中旗
22312 輝特南旗
22313 喀爾喀南右翼旗
22314 土爾扈特南中旗
22315 土爾扈特南前旗
22316 察汗諾門汗旗

4.1.23. 쑤이위안성(綏遠省)

- 성회: 구이쑤이시(歸綏市). 구이화성(歸化城, 북원이 한족 포로들을 정착시켜 세운 구시가지)과 쑤이위안성(綏遠城, 청나라가 세운 신시가지)을 통합하며 머릿글자를 따서 지은 지명으로 오늘날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시.
행정구역 (4구 3맹 2시 20현 18기 1설치국)
성정부 직할 구이쑤이시(歸綏市) 구이쑤이현(歸綏縣)
제1구 바오터우시(包頭市) 우촨현(武川縣) 바오터우현(包頭縣) 구양현(固陽縣) 사라치현(薩拉齊縣)
제2구 지닝현(集寧縣) 펑전현(豐鎭縣) 량청현(涼城縣) 싱허현(興和縣) 타오린현(陶林縣)
제3구 칭수이허현(淸水河縣) 타크타현(托克托縣) 화린커르현(和林格爾縣)
제4구 산바시(陝壩市) 린허현(臨河縣) 안베이현(安北縣) 미창현(米倉縣) 낭산현(狼山縣) 안강현(晏江縣)
차하르맹(察哈爾盟) 차하르 우익정황기(察哈爾右翼正黃旗) 차하르 우익정홍기(察哈爾右翼正紅旗) 차하르 우익양홍기(察哈爾右翼鑲紅旗) 차하르 우익양람기(察哈爾右翼鑲藍旗)
울란차브맹(烏蘭察布盟) 도르베드기(四子部落旗; 사자부락기, [의역]) 카르카 우익기(喀爾喀右翼旗) 무밍간기(茂明安旗) 우라트 전기(烏拉特前旗) 우라트 중기(烏拉特中旗) 우라트 후기(烏拉特後旗)
이흐주맹(伊克昭盟) 오르도스 좌익전기(鄂爾多斯左翼前旗) 오르도스 좌익중기(鄂爾多斯左翼中旗) 오르도스 좌익후기(鄂爾多斯左翼後旗) 오르도스 우익전기(鄂爾多斯右翼前旗) 오르도스 우익중기(鄂爾多斯右翼中旗) 오르도스 우익후기(鄂爾多斯右翼後旗) 오르도스 우익전말기(鄂爾多斯右翼前末旗)
특별기 투메드 특별기(土默特特別旗)
설치국 워예설치국(沃野設治局)
코드 명칭 비고
23001 歸綏縣 23022 陝壩市
23002 包頭市
23003 包頭縣 23200 察哈爾盟
23004 五原縣 23201 察哈爾右翼正黃
23005 臨河縣 23202 察哈爾右翼正紅
23006 武川縣 23203 察哈爾右翼鑲紅
23007 固陽縣 23204 察哈爾右翼鑲藍
23008 東勝縣 23300 烏蘭察布盟
23009 豐鎮縣 23301 四子部落旗
23010 涼城縣 23302 喀爾喀右翼旗
23011 興和縣 23303 茂明安旗
23012 集寧縣 23304 烏拉特前旗
23013 陶林縣 23305 烏拉特中旗
23014 安北縣 23306 烏拉特後旗
23015 米倉縣 23400 伊克昭盟
23016 狼山縣 23401 鄂爾多斯左翼前
23017 晏江縣 23402 鄂爾多斯左翼中
23018 薩拉齊縣 23403 鄂爾多斯左翼後
23019 清水河縣 23404 鄂爾多斯右翼前
23020 托克托縣 23405 鄂爾多斯右翼中
23021 和林格爾縣 23406 鄂爾多斯右翼後
23407 鄂爾多斯右翼前
末旗
23-4 士默特特別旗

4.1.24. 차하르성(察哈爾省)

- 성회: 장위안시(張垣市), 오늘날 장자커우시(張家口市).
행정구역 (4구 2맹 1시 20현 18기 1목장)
성정부 직할 장위안시(張垣市) 완취현(萬全縣) 쉬안화현(宣化縣) 화이라이현(懷來縣) 화이안현(懷安縣) 장베이현(張北縣)
제1구 고위안현(沽源縣) 둬룬현(多倫縣)
제2구 바오창현(寶昌縣) 바오캉현(康保縣) 신밍현(新明縣) 상이현(尙義縣) 상두현(商都縣)
제3구 츠청현(赤城縣) 룽관현(龍關縣) 옌칭현(延慶縣) 충리현(崇禮縣)
제4구 양위안현(陽原縣) 웨이현(蔚縣) 쭤루현(涿鹿縣)
시린골맹(錫林郭勒盟) 바룬우짐친 좌익기(烏珠穆沁左翼旗) 바룬우짐친 우익기(烏珠穆沁右翼旗) 호지트 좌익기(浩濟特左翼旗) 호지트 우익기(浩濟特右翼旗) 아브가 좌익기(阿巴噶左翼旗) 아브가 우익기(阿巴噶右翼旗) 아바하나르 좌익기(阿巴哈那爾左翼旗) 아바하나르 우익기(阿巴哈那爾右翼旗) 수니드 좌익기(蘇尼特左翼旗) 수니드 우익기(蘇尼特右翼旗)
차하르맹(察哈爾盟) 샨두기(商都旗) 밍간기(明安旗) 타이브스 좌익기(太僕寺左翼旗) 타이브스 우익기(太僕寺右翼旗) 차하르 좌익정람기(察哈爾左翼正藍旗) 차하르 좌익양백기(察哈爾左翼鑲白旗) 차하르 좌익정백기(察哈爾左翼正白旗) 차하르 좌익양황기(察哈爾左翼鑲黃旗)
목장 다리강가 목장(達里岡厓牧場; 몽골 실효지배)
24001 張家口市 24201 烏珠穆沁左翼旗
24002 萬全縣 24202 烏珠穆沁右翼旗
24003 宣化縣 24203 浩濟特左翼旗
24004 赤城縣 24204 浩濟特右翼旗
24005 龍關縣 24205 阿巴噶左翼旗
24006 懷來縣 24206 阿巴噶右翼旗
24007 陽原縣 24207 阿巴哈那爾左翼
24008 懷安縣 24208 阿巴哈那爾右翼
24009 蔚縣 24209 蘇尼特左翼旗
24010 延慶縣 24210 蘇尼特右翼旗
24011 涿鹿縣 24300 察哈爾盟
24012 張北縣 24301 商都旗
24013 商都縣 24302 明安旗
24014 康保縣 24303 太僕寺左翼旗
24015 沽源縣 24304 太僕寺右翼旗
24016 多倫縣 24305 察哈爾左翼正藍
24017 寶昌縣 24306 察哈爾左翼鑲白
24018 新明縣 24307 察哈爾左翼正白
24019 崇禮縣 24308 察哈爾左翼鑲黃
24020 尚義縣 244 達里岡牧場

4.1.25. 러허성(熱河省)

- 성회: 청더시(承德市)
행정구역 (2맹 20현 20기)
성정부 직할 청더현(承德縣) 롼핑현(灤平縣) 핑취안현(平泉縣) 룽화현(隆化縣) 펑닝현(豐寧縣) 링위안현(凌源縣) 차오양현(朝陽縣) 푸신현(阜新縣) 젠핑현(建平縣) 쑤이둥현(綏東縣) 츠펑현(赤峰縣) 카이루현(開魯縣) 린시현(林西縣) 웨이창현(圍場縣) 징펑현(經棚縣) 린둥현(林東縣) 닝청현(寧城縣) 링난현(凌南縣) 텐산현(天山縣) 루베이현(魯北縣)
주우드맹(昭烏達盟) 바린 좌익기(巴林左翼旗) 바린 우익기(巴林右翼旗) 나이만기(奈曼旗) 아오한 좌익기(敖汗左翼旗) 아오한 우익기(敖汗右翼旗) 아오한 남기(敖汗南旗) 옹뉴드 좌익기(翁牛特左翼旗) 옹뉴드 우익기(翁牛特右翼旗) 아르호르친기(阿魯科爾沁旗) 카르카 좌익기(喀爾喀左翼旗) 자루트 좌익기(札魯特左翼旗) 자루트 우익기(札魯特右翼旗) 헤시그텐기(克什克騰旗)
조수투맹(卓索圖盟) 하르친 좌익기(喀喇沁左翼旗) 하르친 중기(喀喇沁中旗) 하르친 우익기(喀喇沁右翼旗) 투메드 좌익기(土默特左翼旗) 투메드 중기(土默特中旗) 투메드 우익기(土默特右翼旗) 탕구트 카르카기(唐古特喀爾喀旗) 시라투후룬기(錫埒圖庫倫旗)
25 熱河省 25200 昭烏達盟
25001 承德縣 25201 巴林左翼旗
25002 灤平縣 25202 巴林右翼旗
25003 平泉縣 25203 奈曼旗
25004 隆化縣 25204 敖汗左翼旗
25005 豐寧縣 25205 敖汗右翼旗
25006 淩源縣 25206 敖汗南旗
25007 朝陽縣 25207 翁牛特左翼旗
25008 阜新縣 25208 翁牛特右翼旗
25009 建平縣 25209 阿魯科爾沁旗
25010 綏東縣 25210 喀爾喀左翼旗
25011 赤峰縣 25211 扎魯特左翼旗
25012 開魯縣 25212 扎魯特右翼旗
25013 林西縣 25213 克什克騰旗
25014 圍場縣 25300 卓索圖盟
25015 經棚縣 25301 喀喇沁左翼旗
25016 林東縣 25302 喀喇沁中旗
25017 寧城縣 25303 喀喇沁右翼旗
25018 凌南縣 25304 士默特左翼旗
25019 天山縣 25305 士默特中旗
25020 魯北縣 25306 士默特右翼旗
25300 卓索圖盟
25307 唐古特喀爾喀旗
25308 錫埒圖庫倫旗

4.1.26. 랴오닝성(遼寧省)

- 성회: 선양시(원할시)
행정구역 (4시 22현)
진저우시(錦州市) 잉커우시(營口市) 안산시(鞍山市) 뤼순시(旅順市)
선양현(瀋陽縣) 진현(錦縣) 진현(金縣) 푸현(復縣) 가이핑현(蓋平縣) 하이청현(海城縣) 랴오양현(遼陽縣) 번시현(本溪縣) 푸순현(撫順縣) 신민현(新民縣) 랴오중현(遼中縣) 타이안현(台安縣) 헤이산현(黑山縣) 베이전현(北鎭縣) 판산현(盤山縣) 이현(義縣) 진시현(錦西縣) 싱청현(興城縣) 쑤이중현(綏中縣) 좡허현(莊河縣) 슈옌현(岫巖縣) 톄링현(鐵嶺縣)
26001 瀋陽縣 26022 興城縣
26002 錦州市 26023 綏中縣
26003 營口市 26024 莊河縣
26004 鞍山市 26025 岫巖縣
26005 旅順市 26026 鐵嶺縣
26006 錦縣
26007 金縣
26008 復縣
26009 蓋平縣
26010 海城縣
26011 遼陽縣
26012 本溪縣
26013 撫順縣
26014 新民縣
26015 遼中縣
26016 台安縣
26017 黑山縣
26018 北鎮縣
26019 盤山縣
26020 義縣
26021 錦西縣

4.1.27. 안둥성(安東省)

- 성회: 퉁화시(通化)
행정구역 (2시 18현)
퉁화시(通化市) 안둥시(安東市)
퉁화현(通化縣) 안둥현(安東縣) 펑청현(鳳城縣) 콴뎬현(寬甸縣) 환런현(桓仁縣) 지안현(輯安縣) 린장현(臨江縣) 창바이현(長白縣; 일부지역 북한 실효지배) 푸쑹현(撫松縣) 멍장현(濛江縣) 후이난현(輝南縣) 진촨현(金川縣) 류허현(柳河縣) 하이룽현(海龍縣) 둥펑현(東豐縣) 칭위안현(淸原縣) 신빈현(新賓縣)-일명 싱징(興京)- 구산현(孤山縣)
27001 通化市
27002 安東市
27003 通化縣
27004 安東縣
27005 鳳城縣
27006 寬甸縣
27007 桓仁縣
27008 輯安縣
27009 臨江縣
27010 長白縣
27011 撫松縣
27012 濛江縣
27013 輝南縣
27014 金川縣
27015 柳河縣
27016 海龍縣
27017 東豐縣
27018 清原縣
27019 新賓縣
27020 孤山縣

4.1.28. 랴오베이성(遼北省)

- 성회: 랴오위안시(遼源市)
행정구역 (1맹 1시 18현 6기)
성정부 직할 쓰핑시(四平市) 랴오위안현(遼源縣) 베이펑현(北豐縣) 사펑현(西豐縣) 카이위안현(開原縣) 장우현(彰武縣) 파쿠현(法庫縣) 캉핑현(康平縣) 창투현(昌圖縣) 리수현(梨樹縣) 퉁랴오현(通遼縣) 카이퉁현(開通縣) 잔위현(瞻榆縣) 안광현(安廣縣) 타오난현(洮南縣) 투취안현(突泉縣) 타오안현(洮安縣) 전둥현(鎭東縣) 창링현(長嶺縣)
지림맹(哲里木盟) 호르친 좌익전기(科爾沁左翼前旗) 호르친 좌익중기(科爾沁左翼中旗) 호르친 좌익후기(科爾沁左翼後旗) 호르친 우익전기(科爾沁右翼前旗) 호르친 우익중기(科爾沁右翼中旗) 호르친 우익후기(科爾沁右翼後旗)

28 遼北省
代 碼 代 碼
├┬┤省縣(市)名稱 ├┬┤省縣(市)名稱 ||
縣(市) 縣(市)
28 遼北省 28200 哲里木盟
28001 遼源縣 28201 科爾沁左翼前旗
28002 四平市 28202 科爾沁左翼中旗
28003 北豐縣 28203 科爾沁左翼後旗
28004 西豐縣 28204 科爾沁右翼前旗
28005 開原縣 28205 科爾沁右翼中旗
28006 彰武縣 28206 科爾沁右翼後旗
28007 法庫縣
28008 康平縣
28009 昌圖縣
28010 梨樹縣
28011 通遼縣
28012 開通縣
28013 瞻榆縣
28014 安廣縣
28015 洮南縣
28016 突泉縣
28017 洮安縣
28018 鎮東縣
28019 長嶺縣

4.1.29. 지린성(吉林省)

- 성회: 지린시(吉林市)
행정구역 (1맹 2시 18현 1기)
성정부 직할 지린시(吉林市) 창춘시(長春市) 융지현(永吉縣) 창춘현(長春縣) 둔화현(敦化縣) 자오허현(蛟河縣) 화뎬현(樺甸縣) 판스현(磐石縣) 솽양현(雙陽縣) 이퉁현(伊通縣) 화이더현(懷德縣) 눙안현(農安縣) 주타이현(九台縣) 푸위현(扶餘縣) 더후이현(德惠縣) 쉬란현(舒蘭縣) 위수현(榆樹縣) 우창현(五常縣) 솽청현(雙城縣) 젠안현(乾安縣)
지림맹(哲里木盟) 전고를로스기(前郭爾羅斯旗)
29 吉林省 29200 哲里木盟
29001 吉林市 29201 郭爾羅斯前旗
29002 長春市
29003 永吉縣
29004 長春縣
29005 敦化縣
29006 蛟河縣
29007 樺甸縣
29008 磐石縣
29009 雙陽縣
29010 伊通縣
29011 懷德縣
29012 農安縣
29013 九台縣
29014 扶餘縣
29015 德惠縣
29016 舒蘭縣
29017 榆樹縣
29018 五常縣
29019 雙城縣
29020 乾安縣

4.1.30. 쑹장성(松江省)

- 성회: 무단장시(牡丹江市)
행정구역 (2시 15현)
무단장시(牡丹江市) 옌지시(延吉市)
닝안현(寧安縣) 옌지현(延吉縣) 안투현(安圖縣, 일부지역 북한 실효지배) 허룽현(和龍縣) 왕칭현(汪清縣) 훈춘현(琿春縣) 동녕현(東寧縣) 무링현(穆稜縣) 웨이허현(葦河縣) 옌서우현(延壽縣) 주허현(珠河縣) 빈현(賓縣) 아청현(阿城縣) 팡정현(方正縣) 쑤이펀현(綏芬縣)
30001 牡丹江市
30002 延吉市
30003 寧安縣
30004 延吉縣
30005 安圖縣
30006 和龍縣
30007 汪清縣
30008 琿春縣
30009 東寧縣
30010 穆稜縣
30011 葦河縣
30012 延壽縣
30013 珠河縣
30014 賓縣
30015 阿城縣
30016 方正縣
30017 綏芬縣

4.1.31. 허장성(合江省)

- 성회: 자무쓰시(佳木斯市)
행정구역 (1시 17현)
자무쓰시(佳木斯市)
화촨현(樺川縣) 이란현(依蘭縣) 보리현(勃利縣) 미산현(密山縣) 후린현(虎林縣) 바오칭현(寶淸縣) 라오허현(饒河縣) 푸위안현(撫遠縣) 퉁장현(同江縣) 푸진현(富錦縣) 쑤이빈현(綏濱縣) 뤄베이현(蘿北縣) 탕위안현(湯原縣) 퉁허현(通河縣) 펑산현(鳳山縣) 허리현(鶴立縣) 린커우현(林口縣)
30001 佳木斯市
30002 樺川縣
30003 依蘭縣
30004 勃利縣
30005 密山縣
30006 虎林縣
30007 寶清縣
30008 饒河縣
30009 撫遠縣
30010 同江縣
30011 富錦縣
30012 綏濱縣
30013 蘿北縣
30014 湯原縣
30015 通河縣
30016 鳳山縣
30017 鶴立縣
30018 林口縣

4.1.32. 헤이룽장성(黑龍江省)

- 성회: 베이안시
행정구역 (1시 25현 1기)
베이안시(北安市)
아이훈현(璦琿縣) 모허현(漠河縣) 어우푸현(鷗浦縣) 후마현(呼瑪縣) 쑨허현(遜河縣) 치커현(奇克縣) 우윈현(烏雲縣) 포산현(佛山縣) 넌청현(嫩城縣) 룽전현(龍鎭縣) 쑨우현(孫吳縣) 커산현(克山縣) 퉁베이현(通北縣) 하이룬현(海倫縣) 쑤이렁현(綏楞縣) 칭청현(慶城縣) 쑤이화현(綏化縣) 왕쿠이현(望奎縣) 밍수이현(明水縣) 바이취안현(拜泉縣) 이안현(依安縣) 너허현(訥河縣) 더두현(德都縣) 커둥현(克東縣) 톄리현(鐵驪縣)
특별기(特別旗) 이크밍간 특별기(伊克明安特別旗)
코드 명칭 비고
32001 北安市 32022 依安縣
32002 璦琿縣 32023 訥河縣
32003 漠河縣 32024 德都縣
32004 鷗浦縣 32025 克東縣
32005 呼瑪縣 32026 鐵驪縣
32006 遜河縣
32007 奇克縣 322 伊克明安特別旗
32008 鳥雲縣
32009 佛山縣
32010 嫩城縣
32011 龍鎮縣
32012 孫吳縣
32013 克山縣
32014 通北縣
32015 海倫縣
32016 綏楞縣
32017 慶城縣
32018 綏化縣
32019 望奎縣
32020 明水縣
32021 拜泉縣

4.1.33. 넌장성(嫩江省)

- 성회: 치치하르시(齊齊哈爾市)
행정구역 (1맹 1시 18현 2기)
성정부 직할 치치하르시(齊齊哈爾市) 룽장현(龍江縣) 징싱현(景星縣) 타이라이현(泰來縣) 린뎬현(林甸縣) 안다현(安達縣) 칭강현(靑岡縣) 란시현(蘭西縣) 자오둥현(肇東縣) 자오저우현(肇州縣) 다라이현(大賚縣) 후란현(呼蘭縣) 바옌현(巴彦縣) 무란현(木蘭縣) 간난현(甘南縣) 푸위현(富裕縣) 둥싱현(東興縣) 타이캉현(泰康縣) 자오위안현(肇源縣)
지림맹(哲里木盟) 후고를로스기(後郭爾羅斯旗) 투르푸트기(杜爾伯特旗) 자라이드기(札賚特旗)
33 嫩江省 33200 哲里木盟
33001 齊齊哈爾市 33201 郭爾羅斯後旗
33002 龍江縣 33202 杜爾伯特旗
33003 景星縣 33203 札賚特旗
33004 泰來縣
33005 林甸縣
33006 安達縣
33007 青岡縣
33008 蘭西縣
33009 肇東縣
33010 肇州縣
33011 大賚縣
33012 呼蘭縣
33013 巴彥縣
33014 木蘭縣
33015 甘南縣
33016 富裕縣
33017 東興縣
33018 泰康縣
33019 肇源縣

4.1.34. 싱안성(興安省)

- 성회: 하일라르시(海拉爾市)
행정구역 (2맹 1시 7현 11기) 성정부 직할 하일라르시(海拉爾市) 후룬현(呼倫縣) 치젠현(奇乾縣) 스웨이현(室韋縣) 루빈현(臚濱縣) 야루현(雅魯縣) 부시현(布西縣) 숴룬현(索倫縣)
부트하맹(布特哈盟) 바얀기(巴彦旗) 모린다바기(莫力達瓦旗) 아룬기(阿榮旗) 부트하기(布特哈旗) 시자가르기(喜札嘎爾旗)
후룬부이르맹(呼倫貝盟) 쉬네바르가 좌익기(新巴爾虎左翼旗) 쉬네바르가 우익기(新巴爾虎右翼旗) 슈친바르가기(陳巴爾虎旗) 에르군 좌익기(額爾古納左翼旗) 에르군 우익기(額爾古納右翼旗) 솔론기(索倫旗)
34 興安省 342 布特哈部
34001 海拉爾市 34201 巴彥旗
34002 呼倫縣 34202 莫力達瓦旗
34003 奇乾縣 34203 阿榮旗
34004 室韋縣 34204 布特哈旗
34005 臚濱縣 34205 喜札嘎爾旗
34006 雅魯縣 343 呼倫貝爾部
34007 布西縣 34301 新巴爾虎左旗
34008 索倫縣 34302 新巴爾虎右旗
34303 陳巴爾虎旗
34304 額爾古納左旗
34305 額爾古納右旗
34306 索倫旗

4.1.35. 신장성(新疆省)

- 성회: 디화시(迪化市), 오늘날 신강 위구르 자치구 우루무치
행정구역 (10구 3맹 1시 78현 23기 2설치국)
제1구 "디화시(迪化市)" 디화현(迪化縣) 치타이현(奇臺縣) 쑤이라이현(綏來縣; 창지현(昌吉縣) 셰셴현(鄯善縣) 투르판현(吐魯番縣) 징화현(景化縣) 젠더현(乾德縣) 푸창현(阜康縣) 푸위안현(孚遠縣) 토크순현(托克遜縣) 모리현(木壘河縣) 우허설치국(烏河設治局)
제2구 이닝현(伊寧縣) 쑤이딩현(綏定縣) 징허현(精河縣) 훠청현(霍城縣) 보르타라현(博樂縣) 궁류현(鞏留縣) 사오쑤현(昭蘇縣) 닝시현(寧西縣) 테카스현(特克斯縣) 궁허현(鞏哈縣) 원취안현(溫泉縣) 신위안현(新源縣)
제3구 수푸현(疏附縣) 수러현(疏勒縣) 페이자와트현(伽師縣) 옝기사르현(英吉沙縣) 바추현(巴楚縣) 푸리현(蒲犁縣) 우허현(烏恰縣) 요푸르가현(岳普湖縣) 아투스현(阿圖什縣)
제4구 원수현(溫宿縣) 쿠차르현(庫車縣) 바이청현(拜城縣) 사야르현(沙雅縣) 우츠투르판현(烏什縣) 칼핀현(柯坪縣) 아와트현(阿瓦提縣현) 신허현(新和縣) 아크치현(阿合奇縣)
제5구 초차크현(塔城縣) 도르빌진현(額敏縣) 우수현(烏蘇縣) 사완현(沙灣縣) 허펑현(和豐縣) 위민현(裕民縣)
제6구 청화현(承化縣) 푸원현(富蘊縣) 부르친현(布爾津縣) 카바현(哈巴河縣) 제미나이현(吉木乃縣) 칭허현(靑河縣) 푸하이현(福海縣)
제7구 호탄현(和闐縣) 위톈현(于闐縣) 무위현(墨玉縣) 로프현(洛浦縣현) 치라현(策勒縣) 피산현(皮山縣) 민펑현(民豐縣)
제8구 옌치현(焉耆縣) 위리현(尉犁縣) 룬타이현(輪臺縣) 체르첸현(且末縣) 쿠르라현(庫爾勒縣) 차르크리크현(婼羌縣) 셰징현(和靖縣) 호슈트현(和碩縣)
제9구 쿠물현(哈密縣) 바르쾰현(鎭西縣) 아라투루크현(伊吾縣) 예트코도크설치국(七角井設治局)
제10구 야르칸드현(莎車縣) 예청현(葉城縣) 포스캄현(澤普縣) 마키트현(麥蓋提縣)
바투시트키르투맹(巴圖塞特奇勒圖盟) 중로 호슈트 좌기(中路霍碩特左旗) 중로 호슈트 중기(中路霍碩特中旗) 중로 호슈트 우기(中路霍碩特右旗)
우난스주크투맹(烏訥恩素珠克圖盟) 동로 구 투르푸트 좌기(東路舊土爾扈特左旗) 동로 구 투르푸트 우기(東路舊土爾扈特右旗) 남로 구 투르투프 칸기(南路舊土爾扈特汗旗) 남로 구 투르푸트 좌기(南路舊土爾扈特左旗) 남로 구 투르푸트 중기(南路舊土爾扈特中旗) 남로 구 투르푸트 우기(南路舊土爾扈特右旗) 서로 구 투르푸트기(西路舊土爾扈特旗) 북로 구 투르투프기(北路舊土爾扈特旗) 북로 구 투르푸트 좌기(北路舊土爾扈特左旗) 북로 구 투르푸트 우기(北路舊土爾扈特右旗)
친시투키르투맹(青塞特奇勒圖盟) 신 투르푸트 좌기(新土爾扈特左旗) 신 투르푸트 우기(新土爾扈特右旗) 신 호스트기(新霍碩特旗) 울란하이 좌익기(烏梁海左翼旗) 울란하이 좌익좌기(烏梁海左翼左旗) 울란하이 좌익우기(烏梁海左翼右旗) 울란하이 좌익후기(烏梁海左翼後旗) 울란하이 우익기(烏梁海右翼旗) 울란하이 우익좌기(烏梁海右翼左旗) 울란하이 우익우기(烏梁海右翼右旗)
35001 迪化市 35022 鞏哈縣
35002 迪化縣 35023 溫泉縣
35003 奇台縣 35024 昭蘇縣
35004 綏來縣 35025 新源設治局
35005 昌吉縣 35026 疏附縣
35006 鄯善縣 35027 疏勒縣
35007 吐魯番縣 35028 伽師縣
35008 景化縣 35029 英吉沙縣
35009 乾德縣 35030 巴楚縣
35010 阜康縣 35031 蒲犁縣
35011 孚遠縣 35032 烏恰縣
35012 托克遜縣 35033 岳普湖縣
35013 木壘河縣 35034 阿圖什縣
35014 伊寧縣 35035 阿克蘇縣
35015 綏定縣 35036 溫宿縣
35016 精河縣 35037 庫車縣
35017 霍城縣 35038 拜城縣
35018 博樂縣 35039 沙雅縣
35019 鞏留縣 35040 烏什縣
35020 寧西縣 35041 柯坪縣
35021 特克斯縣 35042 阿瓦提縣
35043 新和縣 35064 策勒縣
35044 阿合奇縣 35065 皮山縣
35045 塔城縣 35066 民豐設治局
35046 額敏縣 35067 焉耆縣
35047 烏蘇縣 35068 尉犁縣
35048 沙灣縣 35069 輪台縣
35049 和豐縣 35070 且末縣
35050 裕民縣 35071 庫爾勒縣
35051 承化縣 35072 婼羌縣
35052 富蘊縣 35073 和靖縣
35053 布爾津縣 35074 和碩縣
35054 哈巴河縣 35075 哈密縣
35055 吉木乃縣 35076 鎮西縣
35056 青河縣 35077 伊吾縣
35057 福海縣 35078 七角井設治局
35058 烏河設治局 35079 莎車縣
35059 布爾根設治局 35080 葉城縣
35060 和闐縣 35081 澤普縣
35061 于闐縣 35082 麥蓋提縣
35062 墨玉縣
35063 洛浦縣
35200 巴圖塞特奇勒圖盟
35201 中路霍碩特左旗 35407 烏梁海左翼後旗
35202 中路霍碩特中旗 35408 烏梁海右翼旗
3520
3
中路霍碩特右旗 35409 烏梁海右翼左旗
35300 烏納恩素珠克圖盟 35410 烏梁海右翼右旗
35301 東路舊土爾扈特左
35302 東路舊土爾扈特右
35303 南路舊土爾扈特汗
35304 南路舊土爾扈特左
35305 南路舊土爾扈特中
35306 南路舊土爾扈特右
35307 西路舊土爾扈特旗
35308 北路舊土爾扈特旗
35309 北路舊土爾扈特左
35310 北路舊土爾扈特右
35400 青塞特奇勒圖盟
35401 新土爾扈特左旗
35402 新土爾扈特右旗
35403 新霍碩特旗
35404 烏梁海左翼旗
35405 烏梁海左翼左旗
35406 烏梁海左翼右旗

4.2. 특별행정구

코드 명칭 약칭 장관공서 소재지 비고
36 하이난특별행정구([ruby(海, ruby=)][ruby(南, ruby=)]特別行政區) 하이커우시([ruby(海, ruby=ㄏㄞˇ)][ruby(口, ruby=ㄎㄡˇ)]市)

4.2.1. 하이난특별행정구

행정구역 (1시 16현)
코드 명칭 비고
36001 하이커우시([ruby(海, ruby=ㄏㄞˇ)][ruby(口, ruby=ㄎㄡˇ)]市)
36002 충산현(瓊山縣)
36003 청마이현(澄邁縣)
36004 딩안현(定安縣)
36005 원창현(文昌縣)
36006 충둥현(瓊東縣)
36007 러후이현(樂會縣)
36008 완닝현(萬寧縣)
36009 링수이현(陵水縣)
36010 야현(崖縣)
36011 린가오현(臨高縣)
36012 탄현(儋縣)
36013 창장현(昌江縣)
36014 간언현(感恩縣)
36015 러둥현(樂東縣)
36016 바오팅현(保亭縣)
36017 바이사현(白沙縣)

1947년에 영유권을 선포한 둥사군도( 프라타스 군도), 시사군도( 파라셀 군도), 난사군도( 스프래틀리 군도), 중사군도( 메이클즈필드 군도)는 해군 직할지구로 지정되어 현급 행정구역을 두지 않았다. 국부천대 이후인 1956년에 이 지역을 관할하는 현급 행정구역인 난하이군도관리국([ruby(南, ruby=ㄋㄢˊ)][ruby(海, ruby=ㄏㄞˇ)]群島管理局)을 설치하는 방안이 제안된 적이 있다.[15]

현재 여기에 속했던 일부 무인도(중화민국군이 주둔중)만이 중화민국 실제 영토이며, 그 때문에 특별행정구 장관공서(정부)를 폐지하였다. 그리고 1979년 이 섬들을 모두 가오슝시 치진구([ruby(旗, ruby=ㄑㄧ)][ruby(津, ruby=ㄐㄧㄣ)]區)에 편입시켰다. 따라서 현재 여기 속한 실제 영토는 없다.

4.3. 지방

코드 지방 약칭 수부
(중심지)
지구 비고
37 티베트(西藏) 라싸(拉薩) 서부 대부분 중화인민공화국 실효 지배, 일부 지역 인도, 부탄, 네팔 실효 지배
인도는 중화인민공화국 실효 지배 중인 일부 지역(아크사이친)에 대한 영유권도 주장
38 몽골(蒙古) 쿠룬(庫倫) 새북 고비사막이북만 해당, 수부는 오늘날 울란바토르
대부분 몽골 실효 지배, 일부( 투바 공화국은)는 러시아 실효 지배
2012년 헌법 해석 변경으로 몽골 독립 인정

'지방'은 대륙 통치 시절에도 명목상으로만 존재한 행정구역이다. 청나라 멸망 후 몽골 러시아 세력권, 티베트 영국 세력권이 되어 사실상 독립 국가로 존재했기 때문이다. 티베트는 1950년에 중국 인민해방군이 침공하여 다시 중국의 일부가 되었지만 몽골은 완전한 주권 국가로 독립했다.

몽골 지방( 북몽골)은 대부분 몽골국 영토에 속하며, 2012년에 중화민국은 몽골 독립을 승인하여 몽골 땅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사실상 철회했다. 다만 중화민국 헌법과 그 수정 조항에 따라서 영토 변경을 한 것은 아니며, 헌법 해석을 변경해 '몽골은 고유의 영역이 아니다'라고 한 것일 뿐이다. 몽골은 청나라 중기에 정복되어 청나라 영토가 되었다가 신해혁명 이후 중국이 혼란에 빠졌을 때 소련이 지원해 주어 공산주의 국가로 독립할 수 있었는데, 중화민국은 소련이 압박함으로 인해 몽골(당시 몽골인민공화국) 독립을 승인했지만,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선언일(10월 1일)과 중화민국이 타이베이 천도(12월 7일) 사이에 소련이 중화민국과 단교하고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몽골 독립 승인을 번복했다. 이 때문에 '고유 강역이 아니다'라는 해석이 어느 정도 타당성은 있는 셈이다.

그러나 중화민국에서 나오는 세계지도와 다른 나라에서 나오는 세계지도를 비교하면 바로 알아차릴 수 있는, 명목상 행정구역인 '몽골 지방'과 실제 몽골국 영토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가령 몽골국 영토가 아니지만 몽골 지방에 속하는 땅, 또는 몽골국 영토지만 몽골 지방에 속하지 않는 땅은 중화민국의 명목상 영토인가? 이러니 '명목상 행정구역인 몽골지방'이 폐지되었다기보다 몽골지방이 존재와 몽골국 독립 인정 사이에서 생기는 모순을 그냥 파헤치지 않고 덮어두는 것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중화인민공화국 국가성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즉 몽골지방은 명목상으로는 없어지지 않음이 타당하다.

투바 공화국에 대한 영유권에 관한 입장 역시, 이 지역이 러시아에 속해 있다고 인정하는 추가 해석을 내리는 것이 쉽지 않고, 그런 해석을 내려도 얻을 수 있는 별다른 실익이 없기 때문에 이 지역이 어디에 속하는지 명확한 주장을 하지 않고 그냥 '자국에서 떨어져나간 몽골'에 포함된다는 정도로 판단한 채 덮어두는 것에 가깝다.

이 문제는 중화민국의 정통성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대륙 수복을 하지 않는 한 해결되기는 어렵다.

또한 오늘날 인도가 실효지배하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인도 중화인민공화국 간 영유권 분쟁 지역 역시 명목상 서강성([ruby(西, ruby=ㄒㄧ)][ruby(康, ruby=ㄎㄢ)]省)과 티베트 지방에 속하는 중화민국 영토로 간주한다. 인도가 영유권을 주장하나 중화인민공화국이 실효지배하는 아커사이친 역시 마찬가지다. 다만 중화인민공화국이 오늘날 인도가 실효지배하는 지역만 영유권을 주장하는 것과 달리, 중화민국은 오늘날 부탄령인 지역도 명목상 강역에 포함시키고 있다.

4.3.1. 티베트 지방

찌캽( 티베트 문자: སྤྱི་ཁྱབ་ / 로마자: Spyi khyab IPA: /tɕi.cʰap/)와 쫑( 티베트 문자: རྫོང / 로마자: Rdzong / IPA: /tsoŋ/), 을를 각각 기교(基巧)와 종(宗), 계잡(溪帀)으로 음역함이다. 찌캽을 총관부(總管府)로, 을를 장원(園)으로 의역할 때도 있다. 로마자 표기는 와일리 티베트어 로마자 표기법을 따랐으며 한글표기는 경주 동국대 티벳어 표기 #를 따라 현대 짱( 티베트 문자: / 로마자: ang, 중부) 지역 발음을 기준으로 적었다.
등재순번 행정구역
(7기교, 95종 계잡)
기교 ( 중국어) 종, 계잡 ( 중국어)
치캽 9( 티베트어) 쫑, ( 티베트어)
朵麥基巧,又稱朵麥噶廈,一譯朵麥總管、昌都總管,轄朵麥地區(今昌都地區)。
卓木基巧,一譯亞東總管,轄卓木地區(今亞東地區)。
江孜基巧,一譯江孜總管,轄江孜地區。
洛卡基巧,一譯山南總管,轄山南地區。
霍爾基巧,一譯霍爾總管,轄今那曲一帶,後改名絳曲基巧。
日喀則基巧,轄今日喀則一帶,後改名藏區基巧。
塔工基巧,一譯塔工總管,轄山南地區。1954年置。
堆噶本,轄今阿里地區。
코드 종, 계잡 쫑, p 비고
37001 라싸종(拉ㄌㄚ薩ㄙㄚˋ宗; 랍살종) (Lha sa Rdzong /asatsong/, 라싸쫑) 현 라싸 시내
37002 시카쩨종([ruby(日, ruby=ㄖˋ)][ruby(喀, ruby=ㄎㄚ)][ruby(則, ruby=ㄗㄜˊ)]宗; 일객즉종) 시카쩨쫑(གཞིས་ཀ་རྩེ།, Gzhis ka rtse Rdzong) 르카쩌시 시내
37003 자다크종(噶大克宗) 37004 장쯔종(江卡宗) 37005 (堆噶爾本宗) 37006 (哈拉烏蘇宗) 37007 (錯拉宗) 37008 (帕克哩宗)
37009(定結宗
37010(聶拉木宗
37011(濟嚨宗
37012(官覺宗
37013(補仁宗
37014(博窩宗
37015(工布碩卡宗
37016(絨轄爾宗
37017(達巴喀爾宗
37018(乃東宗
37019(瓊結宗
37020(貢噶爾宗
37021(崙孜宗
37022(桑昂曲宗
37023(工布則岡宗
37024(江孜宗
37025(昔孜宗
37026(協噶爾宗
37027(納倉宗
37028(洛隆宗
37029(角木宗
37030(打孜宗
37031(桑葉宗
37032(巴浪宗
37033(仁本宗
37034(仁孜宗
37035(朗嶺宗
37036(宗喀宗
37037(撒喀宗
37038(作崗宗
37039(達爾宗
37040(江達宗
37041(古浪宗
37042(沃卡宗
37043(冷竹宗宗
37044(曲水宗
37045(突宗宗
37046(僧宗宗
37047(雜仁宗
37048(茹宗
37049(鎖莊子宗
37050(奪宗
37051(結登宗
37052(直谷宗
37053(碩般多宗
37054(拉里宗
37055(朗宗
37056(沃隆宗
37057(墨竹宮宗
37058(卡爾孜宗
37059(文札卡宗
37060(轄魯宗
37061(策堆得宗
37062(達爾瑪宗
37063(聶毋宗
37064(拉噶孜宗
37065(嶺宗
37066(納布宗
37067(嶺喀爾宗
37068(錯朗宗
37069(羊八井宗
37070(麻爾江宗
37071(雅爾堆宗
37072(金東宗
37073(拉宗
37074(撒拉宗
37075(浪蕩宗
37076(頗章宗
37077(札溪宗
37078(色宗
37079(堆沖宗
37080(汪墊宗
37081(甲錯宗
37082(拉康宗
37083(瓊科爾結宗
37084(蔡里宗
37085(曲隆宗
37086(札稱宗
37087(折布嶺宗
37088(札什宗
37089(洛美宗
37090(嘉爾布宗
37091(朗茹宗
37092(哩烏宗
37093(降宗
37094(業塘宗)
37095 (工布塘宗)
\[없음\]
계잡)

4.3.2. 몽골 지방

팔기군 제도에서 유래한 행정구역 체계
행정구역
(6맹 125기)
코드 맹 부기부 비고
38200
38001
克魯倫巴爾和屯盟 車臣汗部 東路車臣汗旗 车臣汗(현 몽골 肯特盟溫都爾汗) 38202
\[없음\]
동로좌익좌기(東路左翼左旗) 현 몽골 東方盟巴彥烏拉蘇木東南 38203
\[없음\]
동로좌익우기(東路左翼右旗) 현 몽골 肯特盟巴特瑙諾夫蘇木西北
東路左翼前旗 현 몽골 東方盟哈拉哈高勒蘇木東
東路左翼後旗 현 몽골 蘇赫巴托盟達里甘噶蘇木
東路左翼中旗 현 몽골 肯特盟巴特瑙諾夫蘇木东
東路左翼后末旗 현 몽골 東方盟馬塔德蘇木东
東路中左旗 현 몽골 蘇赫巴托盟圖門丘格特蘇木
東路中右旗 현 몽골 東方盟哈拉哈高勒蘇木
東路中前旗 克魯倫(현 몽골 東方盟喬巴山市)
東路中后旗 현 몽골 肯特盟額門鄂代拉蓋爾蘇木西
東路中末旗 현 몽골 肯特盟加爾施爾蘇木 일대
東路中左前旗 현 몽골 東方盟喬巴山市西
東路中右後旗 현 몽골 中央盟蒙根莫里特蘇木東北
東路中末右旗 현 몽골 東戈壁盟德勒格雷赫蘇木 일대
東路中末次旗 현 몽골 肯特盟賓代爾蘇木
東路右翼前旗 현 몽골 肯特盟額門鄂代拉蓋爾蘇木東
東路右翼後旗 현 몽골 蘇赫巴托盟達里甘嘎蘇木 일대
東路右翼左旗 현 몽골 肯特盟溫都爾汗西南
東路右翼中旗 현 몽골 中戈壁盟巴彥扎爾嘎朗蘇木北
東路右翼中前旗 현 몽골 肯特盟溫都爾汗西南
東路右翼中左旗 현 몽골 肯特盟喬巴山市東
東路右翼中右旗 현 몽골 肯特盟達爾汗蘇木東南
38300
38002
汗阿林盟 謝圖汗部 後路土謝圖汗旗 현 몽골 前杭愛盟布爾德蘇木 일대
後路左翼前旗 현 몽골 布爾干盟黑希格溫都爾蘇木西
後路左翼後旗 현 몽골 中戈壁盟德勒格爾杭愛蘇木西南
後路左翼中旗 현 몽골 東戈壁盟賽汗都蘭蘇木南
後路左翼末旗 현 몽골 東戈壁盟曼達赫蘇木 일대
後路左翼中左旗 현 몽골 中戈壁盟鄂勒吉特蘇木南
後路左翼右末旗 현 몽골 中戈壁盟古爾班賽汗蘇木南
後路左翼左中末旗 현 몽골 前杭愛盟巴彥溫都爾蘇木東北
後路中旗 庫倫(현 몽골 烏蘭巴托市)
後路中次旗 현 몽골 東戈壁盟呼布斯高勒蘇木南
後路中左旗 현 몽골 布爾干盟達辛其楞蘇木南
後路中右旗 현 몽골 中央盟達辛其楞蘇木
後路中右末旗 현 몽골 中央盟額爾德尼桑特蘇木
後路中左翼末旗 현 몽골 色楞格盟巴彥錯格特蘇木西南
後路右翼左旗 현 몽골 布爾干盟布爾干市
後路右翼右旗 현 몽골 前杭愛盟巴彥溫都爾蘇木西南
後路右翼後旗 현 몽골 布爾干盟達辛其楞蘇木東南
後路右翼左後旗 현 몽골 鄂爾渾盟額爾登特市
後路右翼左末旗 현 몽골 色楞格盟鄂爾渾蘇木東
後路右翼右末旗 현 몽골 中央盟巴特蘇木貝爾蘇木
後路右翼右末次旗 현 몽골 布爾干盟色楞格蘇木東北
38400
38003
齊齊爾里克盟 三音諾顏部 中部三音諾顏旗 현 몽골 前杭愛盟海爾汗杜蘭蘇木
中部左翼左旗 현 몽골 巴彥洪戈爾盟古爾萬布拉格蘇木西北
中部左翼右旗 현 몽골 南戈壁盟諾莫岡蘇木西南
中部左翼中旗 현 몽골 布爾幹盟巴彥阿格特蘇木 일대
中部左翼左末旗 현 몽골 後杭愛盟巴騰蓋拉蘇木東南
中部右翼末旗 현 몽골 巴彥洪戈爾盟博木博果爾蘇木 일대
中部中左旗 현 몽골 後杭愛盟塔里亞特蘇木
中部中右旗 현 몽골 巴彥洪戈爾盟沃勒吉特蘇木南
中部中前旗 현 몽골 前杭愛盟阿爾拜赫雷市東
中部中後旗 현 몽골 扎布汗盟察干海爾汗蘇木 일대
中部中左翼末旗 현 몽골 後杭愛盟楚魯特蘇木西北
中部中右翼末旗 현 몽골 後杭愛盟成和爾蘇木東
中部中末旗 현 몽골 庫蘇古爾盟塔里亞蘭蘇木南
中部中后末旗 현 몽골 後杭愛盟溫都爾烏蘭蘇木 일대
中部右翼前旗 현 몽골 布爾干盟賽汗蘇木西北
中部右翼後旗 현 몽골 後杭愛盟熱爾嘎蘭特蘇木 일대
中部右末旗 현 몽골 扎布汗盟伊德爾蘇木南
中部右翼中左旗 현 몽골 前杭愛盟納林台勒蘇木東南
中部右翼中右旗 현 몽골 後杭愛盟布拉幹蘇木 일대
中部右翼中末旗 현 몽골 巴彥洪戈爾盟巴查干蘇木 일대
中部右翼左末旗 현 몽골 前杭愛盟巴特沃吉勒蘇木南
中部右翼右後旗 현 몽골 巴彥洪戈爾盟巴彥布拉格蘇木西
中部額魯特旗 현 몽골 前杭愛盟哈爾赫林蘇木 일대
中部額魯特前旗 현 몽골 後杭愛盟巴特曾格勒蘇木東
38004 札克畢拉色欽畢都爾諾爾盟 扎薩克圖汗部 西部扎薩克圖汗旗及左翼後左旗 현 몽골 戈壁阿爾泰盟阿爾泰市
西部左翼左旗 현 몽골 扎布汗盟桑特馬爾嘎茨蘇木
西部左翼右旗 현 몽골 科布多盟多爾貢蘇木
西部左翼前旗 현 몽골 烏布蘇盟溫都杭愛蘇木南
西部左翼后旗 현 몽골 科布多盟多爾貢蘇木
西部左翼中旗及右翼後旗 현 몽골 戈壁阿爾泰盟巴彥烏拉蘇木南
西部左翼後末旗 현 몽골 烏布蘇盟溫都杭愛蘇木南
西部中左翼左旗 현 몽골 庫蘇古爾盟車車爾勒格蘇木
西部中左翼右旗 현 몽골 庫蘇古爾盟西奈伊代爾蘇木北
西部中左翼末旗 현 몽골 庫蘇古爾盟木倫市
西部中右翼左旗 현 몽골 科布多盟車車格蘇木南
西部中右翼末旗 현 몽골 戈壁阿爾泰盟通黑勒蘇木
西部中右翼末次旗 현 몽골 扎布汗盟桑特馬爾嘎茲蘇木
西部右翼右旗 현 몽골 戈壁阿爾泰盟錢德曼尼蘇木
西部右翼前旗 현 몽골 戈壁阿爾泰盟鄂爾德訥蘇木
西部右翼右末旗 현 몽골 庫蘇古爾盟托木爾布拉格蘇木西
西部右翼後末旗 현 몽골 戈壁阿爾泰盟阿爾泰市西南
西部輝特旗 현 몽골 戈壁阿爾泰盟熱爾嘎蘭蘇木
38600
38005
三音濟雅圖左翼盟 科布多地區 杜爾伯特汗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布蘇湖南
杜爾伯特中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布蘇湖南
杜爾伯特中左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布蘇湖南
杜爾伯特中前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布蘇湖南
杜爾伯特中後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布蘇湖南
杜爾伯特中上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布蘇湖南
杜爾伯特中下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布蘇湖南
杜爾伯特中前左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布蘇湖南
杜爾伯特中前右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布蘇湖南
杜爾伯特中後左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布蘇湖南
杜爾伯特中後右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布蘇湖南
輝特下後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蘭固木
38006 三音濟雅圖右翼盟 科布多地區 杜爾伯特前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蘭固木
杜爾伯特前右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蘭固木
杜爾伯特中右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蘭固木
輝特下前旗 현 몽골 烏布蘇盟烏布蘇湖南
札哈沁旗 현 몽골 科布多盟莫斯特蘇木
明阿特旗 현 몽골 科布多盟緬嘎德蘇木
額魯特旗 현 몽골 科布多盟額爾德訥布仁蘇木 일대
38007 唐努烏梁海 唐努烏梁海 托錦旗 현 러시아연방 트바공화국 卡赫姆區
薩拉吉克旗 현 러시아연방 트바공화국 坦德區 일대
庫布蘇庫諾爾旗 현 몽골 庫蘇古爾盟昌德曼溫都爾蘇木
唐努旗 현 러시아연방 트바공화국 捷斯赫姆区 일대
奇木奇克旗 현 러시아연방 트바공화국 准-赫姆奇克区東南
達爾哈達沙畢旗 현 몽골 庫蘇古爾盟察干烏爾蘇木
烏布爾蘇門旗 현 몽골 庫蘇古爾盟塔里亞蘭蘇木 일대
達諾伊翁旗 현 몽골 庫蘇古爾盟塔里亞蘭蘇木 일대
司哈夫喀拉內屋旗 현 몽골 庫蘇古爾盟塔里亞蘭蘇木 일대
扎薩克圖汗部烏梁海一佐領 현 러시아연방 트바공화국 卡赫姆區 일대
扎薩克圖汗部烏梁海一佐領 현 러시아연방 트바공화국 切季霍爾區南岸
扎薩克圖汗部烏梁海一佐領 현 러시아연방 트바공화국 准-赫姆奇克区 일대
扎薩克圖汗部烏梁海一佐領 현 몽골 庫蘇古爾盟林沁勒呼木貝蘇木北岸
扎薩克圖汗部烏梁海一佐領 현 몽골 庫蘇古爾盟察幹烏拉蘇木 일대
烏梁海二佐領 현 몽골 庫蘇古爾盟察幹烏拉蘇木西北
哲布尊丹巴呼圖克圖屬烏梁海三佐領 현 몽골 庫蘇古爾盟烏蘭烏拉蘇木
烏梁海三佐領 현 러시아연방 트바공화국 准-赫姆奇克区
烏梁海四佐領 현 러시아연방 트바공화국 蘇特霍爾區
烏梁海四佐領 현 러시아연방 트바공화국 卡赫姆區
三音諾顏部烏梁海十三佐領 현 러시아연방 트바공화국 蘇特霍爾區

4.4. 직할시

중화민국이 국부천대를 할 당시에 중국 대륙에 12개 직할시(광역시 격)가 있었다. 당시에 원할시(院轄市)라고 했다. 원할시의 원은 중화민국 정부(행정원)를 뜻한다. 정부가 관할하는 시니까, 성과 동급인 것이다. 1983년 이전 중국 대륙(1949년부터 1983년까지 몇 차례 법을 개정해 성급시, 지급시, 현급시로 바꿔 이제 안 쓴다.)이나 대만에서 성할시, 현할시 같은 용어가 쓰이(거나 쓰였)는데, 성할시는 성이 관할하는 시니까 현과 동급이고 현할시는 현이 관할하는 시니까 진, 향 등과 동급인 것이다. 그러다가 1994년에 중화민국에서 원할시라는 명칭을 직할시로 개정하였다. 이때 이후로 직할시 목록은 실효지배 중인 곳만 나타내게 됐다. 즉 타이베이와 가오슝은 원할시였지만 신베이, 타이중, 타이난, 타오위안은 아니다.

원할시는 북양정부 시절인 1920년부터 지정한, 현재 성할시/현급시에 해당하는 특별시(特別市) 가운데 일부를 직접 관리한 데에서 기원한다. 국민당이 북벌에 성공한 뒤인 1930년에 원할시와 성할시로 구분했다. 상하이특별시에 당시 일본 대도시( 교토부 교토시, 오사카부 오사카시, 도쿄부 도쿄시)의 구(區)제를 참고해 를 설치하고 이후 다른 원할시와 성할시도 구를 설치했다.

다음은 당시 원할시 목록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치하에서 직할시인 곳은 진하게 표시된 4곳이다.
코드 명칭 약칭 지방 비고
51 난징([ruby(南, ruby=ㄋㄢˊ)][ruby(京, ruby=ㄐㄧㄥ)]; 난징) 화중 국민정부 시기 중화민국 수도, 1927년 장쑤성에서 분리, 신설.
[ruby(京, ruby=ㄐㄧㄥ)]은 수도를 뜻하기 때문에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베이징을 약칭
52 상하이시([ruby(上, ruby=ㄕㄤˋ)][ruby(海, ruby=ㄏㄞˇ)]) 화중 1927년에 송호상부([ruby(淞, ruby=ㄙㄨㄥ)][ruby(滬, ruby=ㄏㄨˋ)]商埠)를 직할시로 개편. 송호상부는 베이양정부 시절 군벌 쑨촨팡(孫傳芳)이 장쑤성 상하이현([ruby(上, ruby=ㄕㄤˋ)][ruby(海, ruby=ㄏㄞˇ)]縣, 도시구역인 개항장 포함)과 바오산현([ruby([ruby(寶, ruby=ㄅㄠˇ)][ruby(山, ruby=ㄕㄢ)]縣) 우쑹전([ruby(吳, ruby=ㄨˊ)][ruby(淞, ruby=ㄙㄨㄥ)][ruby(鎮, ruby=ㄓㄣˋ)]) 부근을 묶어 신설한 행정구역으로 중앙 정부가 승인하지 않은, 쑨촨팡이 자의적으로 설정한 행정구역이었기에 그 지위는 논쟁할 여지가 있다.
53 베이핑([ruby(北, ruby=ㄅㄟˇ)][ruby(平, ruby=ㄆㄧㄥˊ)]) [ruby(平, ruby=ㄆㄧㄥˊ)] 화북 오늘날 베이징([ruby(北, ruby=ㄅㄟˇ)][ruby(京, ruby=ㄐㄧㄥ)]). 1928년 경조지방(京兆地方)에서 개편되어 직할시가 되었고, 이 때 '북쪽에 평정을 되찾았다'고 해서 '베이핑'으로 개칭했다. 명의 베이징으로 천도하기 이전에도 '북평(베이핑)'이란 지명이 쓰인 적이 있다. 1930년에 폐지되어 허베이성 소속이 되였으나 동년 다시 분리해 직할시가 되었다. 사족으로 베이핑 시절 천안문에 마오쩌둥이 아닌 장제스 초상이 걸려있었다. #
54 칭다오시([ruby(靑, ruby=ㄑㄧㄥ)][ruby(島, ruby=ㄉㄠˇ)]) [ruby(膠, ruby=ㄐㄧㄠ)] 화북 1929년에 산둥성에서 분리되어 직할시가 되었다.
55 톈진시([ruby(天, ruby=ㄊㄧㄢ)][ruby(津, ruby=ㄐㄧㄣ)]) [ruby(津, ruby=ㄐㄧㄣ)] 화북 1928년에 허베이성에서 분리해 직할시로 삼았다. 1930년에 폐지하고 허베이성으로 환원시켰으나 1935년에 복구되었다.
56 충칭시충칭([ruby(重, ruby=ㄓㄨㄥˋ)][ruby(慶, ruby=ㄑㄧㄥˋ)]) [ruby(渝, ruby=ㄩˊ)] 화중 1927년에 쓰촨성에서 분리되어 직할시가 되었다.
57 다롄시([ruby(大, ruby=ㄉㄚˋ)][ruby(連, ruby=ㄌㄧㄢˊ)]) [ruby(連, ruby=ㄌㄧㄢˊ)] 동북 1947년에 랴오닝성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국민정부 수립 이전인 1905년부터 관동주라는 이름으로 일본 조차지였으며 중일전쟁이 일본 패전으로 끝났음에도 관동주는 국민정부에게 반환되지 않고 소련 조차지로 넘어갔다. 소련이 정부천대 이후인 1950년에 중화인민공화국에게 다롄을 반환했으로 국민정부가 실질적으로 다롄을 지배한 적이 없다.
58 하르빈시([ruby(哈, ruby=ㄏㄚˇ)][ruby(爾, ruby=ㄦˇ)][ruby(濱, ruby=ㄅㄧㄣ)]) [ruby(哈, ruby=ㄏㄚˇ)] 동북 1947년에 헤이룽장성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그러나 이 당시 하얼빈은 이미 중국공산당이 장악한 상태였으므로 국민정부는 하얼빈시(원할시)를 지배한 적이 없다.
59 한커우([ruby(漢, ruby=ㄏㄢˋ)][ruby(口, ruby=ㄎㄡˇ)]) [ruby(漢, ruby=ㄏㄢˋ)] 화중 오늘날 우한. 한커우(漢口), 우창(武昌), 한양(漢陽) 세 도시를 1927년에 '우한(武漢)'이라는 이름으로 통합하고 후베이성에서 분리해 직할시로 삼았다. 1929년에 한커우로 명칭을 환원했고 1931년에 폐지해 후베이성 소속이 되었으나 1947년에 다시 분리해 직할시로 삼았다. 1949년에 홍군이 한커우 입성 직후 한커우시, 우창시, 한양현 도시부를 통합해 우한시를 신설했다.
60 광저우시(廣州) 화남 1930년에 광둥성에서 분리되어 직할시가 되었으나나 동년에 폐지, 환원되었으며 1947년에 다시 분리되어 직할시가 되었다.
61 시안(西安) 화북 1947년에 산시성에서 분리되어 직할시가 되었다. 1933년에 '시징(西京)'이라는 이름으로 분리, 신설할 계획이 있었다.
62 선양(瀋陽) 동북 1947년에 랴오닝성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국부천대 후에 타이완성에서 분리된 타이베이시(1967), 가오슝시(1979), 신베이시(2010), 타이중시(2010), 타이난시(2010), 타오위안시(2014) 6개 직할시가 추가되었다.

4.4.1. 난징시

시할구 구역 비고
제1구, 청베이둥구([ruby(城, ruby=ㄔㄥˊ)][ruby(北, ruby=ㄅㄟˇ)][ruby(東, ruby=ㄉㄨㄥ)]區) 중산로([ruby(中, ruby=ㄓㄨㄥ)][ruby(山, ruby=ㄕㄢ)]路) 이동, 중산문(中山門) 이서, 주화산(九華山) 이남, 중산동로(中山東路) 이북 국민정부 소재지 시할구
제2구, 청둥구(城東區) 중산남로(中山南路) 이동, 연성(沿城) 이서, 중산동로(中山東路) 이남, 광화문(光華門)·통제문(通濟門) 이북
제3구, 먼둥구(門東區) 광화로(光華路)·중푸로(鍾阜路) 이동, 둥예로(東冶路) 이서, 칭시(青溪) 이남, 창러로(長樂路) 이북 난징시정부 소재지
제4구, 먼시구(門西區) 난중푸로(南鍾阜路) 이서, 창러로(長樂路)·친화이허(秦淮河)·수서문(水西門) 이남, 위화타이(雨花臺) 이북 연성(沿城) 서부
제5구, 청시구(城西區) 중정로(中正路)·중산로(中山路) 이서, 초장문(草場門)·한서문(漢西門)·막수호(莫愁湖) 이동, 친화이허(秦淮河、) 청저우로(昇州路) 이북, 한커우로(漢口路) 이남
제6구, 청베이시구(城北西區) 정회문(定淮門) 연성(沿城) 이동, 계명사(雞鳴寺)·쉬안우문(玄武門) 연성(沿城) 이서, 화평문(和平門)·종부문(鍾阜門)·강문(江門) 이남, 한커우로(漢口路) 이북
제7구, 샤관구(下關區) 하관(下關) 이동, 호성하(護城河)·회룡암(回龍庵)·수장교(水關橋) 이서, 화기마두(和記碼頭) 이남, 싼차허(三汊河) 이북
제8구,푸커우구(浦口區) 양자강심(揚子江心) 이서, 주푸저우(九袱洲) 톄루허(鐵路河) 이동, 하이관펀카(海關分卡) 이남, 영생주(永生洲) 이북 1933년에 장쑤성(江蘇省) 장푸현(江浦縣) 푸커우우상부(浦口商埠)를 편입하여 설치. 위 8개 시할구는 1933년에 설치
제9구, 옌쯔지구(燕子磯區) 현 난징시 쉬안우구(玄武區) 효릉위가도(孝陵衛街道), 쉬안우호가도(玄武湖街道) 선허먼사구(仙鶴門社區) 1934년 9월에 장쑤성(江蘇省) 장닝현(江寧縣) 옌쯔지진(燕子磯鎮)을 편입해 설치
제10구, 샤오링구(孝ㄒㄧㄠˋ陵ㄌㄧㄥˊ區) 1934년 9월에 장쑤성(江蘇省) 장닝현(江寧縣) 샤오링웨이진(孝陵衛鎮)을 편입해 설치
제11구, 언더먼구([ruby(安, ruby=ㄢ)][ruby(德, ruby=ㄉㄜˊ)][ruby(門, ruby=ㄇㄣˊ)]區) 샤오링구(孝陵區) 동, 서 거리가 너무 멀어 1945년 항일전에서 이긴 뒤에 샤오링구(孝陵區) 서부를 안더먼구(安德門區)로 분리
제12구, 상신허구(上新河區) 1934년 9월에 장쑤성(江蘇省) 장닝현(江寧縣) 상신허진(上新河鎮)을 편입해 제11구로 설치. 1945년 항일전에서 이긴 뒤에 제11구에서 제12구로 개칭, 조정
제13구, 탕산구(湯山區) 1945년 12월에 장쑤성(江蘇省) 장닝현(江寧縣) 탕수아진(湯水鎮)·치린향(麒麟鄕)·둥류향(東流鄕)·구취안향(古泉鄕)을 편입해 설치, 1948년 3월에 구사무소(區公所, 구공소) 개청
제14구, 바과저우구(八卦洲區)? 장강 안 다바과저우·샤오바과저우(大八卦洲、小八卦洲), 현 난징시 치샤구(棲霞區) 바과저우가도(八卦洲街道) 1949년 1월 22일 시정의회 결정을 근거로 설치, 홍군 입성 직후인 동년 6월에 폐지
제15구, 장신저우구(江心洲區)? 장강 안 장신저우(江心洲), 현 난징시 젠예구(建鄴區) 장신저우가도(江心洲街道)

4.4.2. 상하이시

시할구 비고
황푸구([ruby(黃, ruby=ㄏㄨㄤˊ)][ruby(浦, ruby=ㄆㄨˇ)]區)
현 상하이시 황푸구 일부
라오자구([ruby(老, ruby=ㄌㄠˊ)][閘,ruby=jia)]區)
이먀오구([ruby(邑, ruby=ㄧˋ)][ruby(廟, ruby=ㄇㄧㄠˋ)]區)
펑라이구(蓬ㄆㄥˊ萊ㄌㄞˊ區)
쑹산구(嵩山區)
현 상하이시 황푸구(黃浦區) 숭산(嵩山)
1947년 1월에 숫자 이름을 지역 이름으로 고쳐 타이산구(泰山區)로 했으나 얼마 있다 쑹산구(嵩山區)로 개명했다.
루자완구(盧家灣區)
현 상하이시 황푸구(黃浦區) 라오자완(盧家灣)
창수구(常熟區)
현 상하이시 쉬후이구(徐匯區) 창수(常熟)
쉬자후이구(徐家匯區)
현 상하이시 쉬후이구徐匯區, 창수 지역 제외)
파차오구(法曹區)
현 상하이시 장닝구(長寧區)
1948년 9월에 파차오구(法曹區)로 개명했다.
징안구(靜安區)
신청구(新成區)
장닝구(江寧區)
푸퉈구(普陀區)
자베이구(閘北區)
현 상하이시 징안구 북안
베이잔구(北站區)
현 상하이시 징안구 중부
훙커우구([ruby(虹, ruby=ㄏㄨㄥˊ)][ruby(口, ruby=ㄎㄡˇ)]區; 훙커우구)
현 상하이시 훙커우구(虹口區) 일부
베이쓰촨루구(北四川路區)
티란차오구(提籃橋區)
위린구(榆林區)
양수푸구(楊樹浦區)
상하이시정부 소재지
신시가구(新市街區)
장완구(江灣區)
현 장완진(江灣鎮)
우쑹구(吳淞區)
현 우쑹진(吳淞鎮)
다창구(大場區)
현 상하이시 바오산구(寶山區) 다창진(大場鎮)
신징구(新涇區)
룽화구(龍華區) 현 룽화진(龍華鎮)
양쓰구(楊思區) 현 양쓰진(楊思鎮)
양징구(洋涇區)
가오차오구(高橋區)
현 가오차오진(高橋鎮)
전루구([ruby(真, ruby=ㄓㄣ)][ruby(如, ruby=ㄖㄨˊ)]區)

1947년 1월 숫자 지명을 지역명으로 개칭했다.

4.4.3. 베이핑시

시할구 비고
제1구
제2구
제3구
제4구
제5구
제6구
제7구
제8구
제9구
제10구
제11구
제12구
제13구
제14구
제15구
제16구
제17구
제18구
제19구
제20구

4.4.4. 칭다오시

시할구 면적 구역 비고
스난구(市南區) 약 7㎢ 황해 이북, 태평산(太平山) 이서, 신호산(信號山) · 관상산(觀象山) 이남, 동서 km, 남북 km 칭다오시정부 소재지
스베이구(市北區) 약 4.5㎢ 삐뚜러진 삼각형과 비슷하며, 저수산(貯水山) 기슭을 동남쪽 꼭짓점으로 해하고, 동쪽으로 태동(台東) · 지대(四滄工廠地帶)와 접하고 북쪽으로 마두(碼頭)와 대항 정거장(大港車站)과 접함
타이시구(台西區) 약 3㎢ 시내 서편인 교제철로(膠濟鐵路) 이서에 위치한, 서부 및 서남부가 반도(半島)인 현 산동성 청도시 시남구(市南區) 태서가도(台西街道)
타이둥구(台東區) 약 6.5㎢ 略成不等邊之長方形, 태평산(太平山) · 청도산(青島山) 이북, 北接四方、滄口, 현 산동성 청도시 시북구(市北區) 태동가도(台東街道)
쓰창구(四滄區) 今山東省青島市四方區阜新路街道 民國十八年(1929年)9月以北部郊區置四滄區,民國二十一年(1932年)改稱第五區,民國二十四年(1935年)5月,青島市重劃市鄕區域,第五區被分設為四方區及滄口區;同年9月1日二區合併,仍名四滄區。民國三十五年(1946年)以保甲區劃分,仍名四滄區。面積約51平方公里,南北長而東西狹,西濱膠州灣,東部以老虎山與第七區分界。
푸산구(浮山區) 今山東省青島市嶗山區浮山 民國二十一年(1932年)析第七區東南部置,以序數區名,稱第六區。民國二十四年(1935年)5月,青島市重劃市鄕區域,改稱浮山區。民國三十五年(1946年)以保甲區劃分,仍名浮山區。面積約76平方公里,東西較長,南臨黃海,東、北、中三部為峻嶺,以北李村南山與第七區分界。
리춘구(李村區) 今山東省青島市李滄區李村街道 民國十八年(1929年)9月以東部郊區置李村區,民國二十一年(1932年)改以序數區名,稱第七區。民國二十四年(1935年)5月,青島市重劃市鄕區域,改稱李村區。民國三十五年(1946年)以保甲區劃分,仍名李村區。面積約84平方公里,北以石門山與第八、第九兩區分界。
라오둥구(嶗東區) 今山東省青島市嶗山區北宅街道 民國二十一年(1932年)析第七區東北部置,以序數區名,稱第九區。民國二十四年(1935年)5月,青島市重劃市鄕區域,改稱嶗東區。民國三十五年(1946年)以保甲區劃分,仍名嶗東區。面積約70平方公里,全區皆崇山峻嶺。
라오시구(嶗西區) 今山東省青島市嶗山區中韓街道 民國二十一年(1932年)析第七區南部置,以序數區名,稱第十區。民國二十四年(1935年)5月,青島市重劃市鄕區域,改稱嶗西區。民國三十五年(1946年)以保甲區劃分,仍名嶗西區。面積約89平方公里,東北部為嶗山主峰,南濱黃海。
샤좡구(夏莊區) 今山東省青島市城陽區夏莊街道 民國二十一年(1932年)析第五區東北部置,以序數區名,稱第八區。民國二十四年(1935年)5月,青島市重劃市鄕區域,改稱夏莊區。民國三十五年(1946年)以保甲區劃分,仍名夏莊區。面積約50平方公里,東界多山,北鄰白沙河與即墨縣為界,西濱膠州灣,大部地勢平坦。
쉐자다오구(薛家島區) 今山東省青島市黃島區薛家島街道 民國十八年(1929年)9月以膠州灣西岸置海西區。民國二十一年(1932年)以序數區名,稱第十一區。民國二十四年(1935年)5月,青島市重劃市鄕區域,第十一區被分設為薛家島區、水靈山區、黃島區、竹岔島區及紅石崖區。民國三十五年(1946年)以保甲區劃分,仍名薛家島區。面積約66平方公里,位於膠州灣西岸薛家島,與膠縣毗連,距市內約11公里。
인다오구(陰島區) 今山東省青島市城陽區紅島街道 民國二十一年(1932年)析第七區北部置,以序數區名,稱第十二區。民國二十四年(1935年)5月,青島市重劃市鄕區域,第十二區被分設為陰島區及塔埠頭區。民國三十五年(1946年)以保甲區劃分,仍名陰島區。面積42平方公里,位於膠州灣北岸,北與即墨、膠縣毗連,南隔膠州灣與市內相對,距市內約14公里。

도시부는 숫자로, 교외 향촌부는 지역이름으로 구별했다가 1946년에 전부 지역 이름을 붙여 통일했다.

4.4.5. 톈진시

시할구 비고

4.4.6. 충칭시

시할구 비고
제1구
제2구
제3구
제4구
제5구
제6구
제7구
제8구
제9구
제10구
제11구
제12구
제13구
제14구
제15구
제16구
제17구
제18구

4.4.7. 다롄시

시할구 비고

행정구역

4.4.8. 하르빈시

시할구 비고

4.4.9. 한커우시

시할구 비고
우성구(武聖區)
바오셴구(寶善區)
한정구(漢正區)
신안구(新安區)
싼민구(三民區)
중산구(中山區) 과거 프랑스 조계
다즈구(大智區)
한징구(漢景區) 과거 독일 조계
허핑구(和平區) 과거 일본 조계
윈차오구(雲樵區)
융칭구(永清區)
장궁구(張公區) 이상 시내구
푸싱구(復興區) 교외
중정구(中正區)

4.4.10. 광저우시

시할구 비고
펑위안구(逢源區)
황사구(黃沙區)
시찬구(西禪區)
창서우구(長壽區)
사몐구(沙面區)
전탕구(陳塘區)
타이핑구(太平區)
후이푸구(惠福區)
징하이구(靖海區)
샤오베이구(小北區)
더이구(德宣區)
시산구(西山區)
둥티구(東堤區)
한민구(漢民區)
첸젠구(前鑑區)
다둥구(大東區)
둥산구(東山區)
훙더구(洪德區)
멍성구(蒙聖區)
하이좡구(海幢區) 이상 도시지역
주장구(珠江區) 수상구(水上區), 강변 및 안 섬
난안구(南岸區)
사허구(沙河區)
팡춘구(芳村區)
스파이구(石牌區)
신저우구(新洲區)
리자오구(瀝滘區)
싼위안리구(三元里區) 이칭: 싼위안구(三元區)

28구

4.4.11. 시안시

시할구 비고

4.4.12. 선양시

시할구 비고

城內區
和平區 大和區
톄시구(鐵西區)
大東區
훈허구(渾河区)
永信区
于洪区
황구구(皇姑区)
北陵区
瀋河區
東陵区
敷島区
朝日区
北関区
東関区
大西区
小西区

만주국 펑톈시(奉天市) 시절 행정구역에서 기반한 22개구

5. 중화인민공화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지역

중화민국은 청나라를 계승함을 주장하고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을 포함한 13개국이 지배하는 영토 전부 또는 일부를 청나라 때 영토 또는 청나라가 영유권을 주장하던 영토라 하여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이 중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지역들은 대부분 지역이 현재 시점에서는 중국계 민족이 거주하지 않는 지역이지만 중국과 그 분쟁국에 걸쳐 거주하는 양국 모두에서 소수민족인 민족이 거주하며 그 민족에는 독립된 모국이 없는 경우도 있다.

과거에 중화민국에서 대륙 지구라고 할 때에 미수복 지구 전체를 의미했으나 현재는 양안 관계에 대한 행정원 조례를 따라 '중국 공산당 통치 지구'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는 현실적으로 낮은 확률이나마 대만이 대륙을 수복하는 것은 그럴 수 있다고 쳐도 몽골, 러시아, 미얀마, 인도, 파키스탄 등 주권국가의 영토를 다시 가져오기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이다.
  • 북한 대한민국과 분쟁
    천지를 비롯한 백두산 자락에 중화민국 명목상 영토와 대한민국 명목상 영토( 이북5도)가 겹치는 부분이 있다. 물론 이 겹치는 부분을 실제로 통치하는 나라는 둘 다 아니며, 북한과 중국이 나눠 갖고 있다.[16] 물론 중화민국은 북한이 실효 지배하는 문제의 지역을 실효 지배한 적이 없다. 중화민국은 간도 협약 이전에 청나라가 주장하던 원안인, 동쪽에서 서쪽으로 홍단수(, 두만강 최상류쪽 지류)와 삼지연(), 허항령() #1 #2, 이명수()를 잇는 선을 국경으로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바다나 강에 있는 도서 지역 영토 분쟁을 제외하고는 중화민국의 영토 분쟁 가운데 가장 좁은 분쟁 지역이기 때문에 잘 언급되지 않지만, 인구를 기준으로 보면 삼지연시의 대부분과 대홍단군 대홍단읍을 포함한 북부 지역이 포함되기 때문에 거주 인구가 3~4만명에 이른다. 강동육십사둔과 탕누우량하이( 투바) 지역을 제외한 러시아 사이 영토분쟁보다 면적이 넓은 규모이다.
    이 부분을 한 나라가 전부 차지하지 않고 두 나라가 나눠 갖고 있는 현 상황 때문에, 대한민국과 중화민국의 극우들은 북한( 김일성)과 중국( 저우언라이)을 씹을 거리를 하나 더 얻었다. 서로 '북한이 중국에 바쳤다 / 팔아먹었다', '중국이 북한에 바쳤다'는 식으로 아쉬워하고 있다. 실제는 북한에 더 유리한 협정이라는 것이 중론이다. 하지만 영토 문제로 대한민국과 대한민국과 중화민국 관계가 어떻게 되지는 않았다. 두 나라 사이의 여러 문제가 있긴 하지만 이걸로 싸우지는 않는다. 어차피 서로 상대편이 실제로 가진 땅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나마 한국은 남북통일 및 이후 영토 문제에 대해 아직도 꽤 관심이 있는 편이지만 대만은 헌법에 있기 때문에 명목상 영유권을 주장할 뿐 이미 대륙을 수복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보기 때문에 이 문제에 거의 관심이 없다.
  • 일본과 분쟁
    중국과 마찬가지로 댜오위타이 열도( 센카쿠 열도)를 일본 제국이 청나라와 맺은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강탈한 영토로 간주하므로, 대만도 중국처럼 댜오위타이 열도 문제로 일본과 분쟁을 겪고 있다. 그러나 대만과 일본 둘다 서로보다 중국을 견제하는 게 더 중요하고 시급한 문제인데다, 대만은 일본에게 저자세로 나갈 수 밖에 없는 입장이라서, 중국만큼 적극적으로 영유권 주장을 하진 않는다.
  • 인도와 분쟁
    상기한 바와 같이 중화민국은 인도가 실효지배하나 중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아루나찰프라데시를 명목상 중화민국의 영토로 간주한다.
  • 베트남과 분쟁
    스프래틀리 군도이외에도 박롱비 섬(白龍尾/Bạch Long Vĩ) 분쟁이 있다. 박롱비 섬은 중국과 베트남이 영유권 분쟁을 벌이던 통킹 만의 섬인데 2004년에 중국이 베트남의 영유권을 인정했으나 중화민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 러시아와 분쟁
    몽골(지방)에서 소련으로 편입된 탕누우량하이( 투바) 지역과 볼쇼이우수리스키 섬 동반부, 아바가이투 섬, 강동육십사둔 같은 분쟁 지역이 있다. 볼쇼이우수리스키 섬 동반부, 아바가이투 섬은 일부 지역을 중국이 돌려받고 나머지 일부의 영유권을 포기했으나 중화민국은 계속 영유권을 주장한다. 특이하게도 볼쇼이우수리스키 섬의 경우 중화민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의 최동단인데, 중국의 최동단은 볼쇼이우수리스키섬이 아니다. 강동육십사둔의 경우 1858년 아이훈 조약으로 아무르강 이북 지역이 러시아에게 할양된 가운데 만주족이 거주한다는 이유로 아무르 강 이북 지역 중 유일하게 청나라 관할에 둔 지역인데 1900년 의화단 운동 당시 러시아군이 중국인들을 모두 추방하고 이 지역을 점령했다.
  • 미얀마와 분쟁
    청나라가 미얀마(당시 영국령 인도 제국 일부)에 조차했던 난칸(남칸)과 장신포(江心坡)를 중국이 미얀마 땅으로 인정했으나 중화민국은 인정하지 않는다.

6. 관련 자료

2004년(민국 93년) 이전 중화민국 연감
중국 행정구역 및 지명 포털
중화민국 성(시)현(시)코드


[1] 짙은 초록색이 실제 지배 중인 중화민국 자유지구( 타이완섬, 펑후, 진먼, 롄장). 탕누우량하이 지역(투바)도 지도에 포함되어 있지만 몽골 지방을 포기한 만큼 탕누우량하이 지역도 사실상 포기했다. 다만 강동육십사둔 지역은 대만 정부가 계속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2] 물론 중화민국 정통론도 당연히 중화민국이 독립국이라는 걸 전제로 한다. 하지만 중화권에서 '독립'이라는 단어는 기존의 중국(중화민국이든 중화인민공화국이든)이 독립국임을 강조하는 용법이 아니라 대만 독립처럼 중국의 강역에서 일부 지역을 분리 독립시키자는 입장을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중화민국 독립'이란 용어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 용어라서, "정통 중국인 중화민국이 독립국이다"라는 입장이 아니라 "중화민국이라는 이름을 쓰는 대만이 중국에서 벗어난 독립국이다"라는 의견을 지칭한다. [3] 당시 대만은 대만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미국의 개입을 희망했으나, 미국은 상호방위조약은 오직 타이완섬과 펑후제도 방어시에만 적용되고 중국 대륙 연안의 도서 방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혀 개입하지 않았다. 다만 이후 주둔군과 주민의 철수작전은 지원했다. [4] 일부만 실효지배(롄장으로 이관) [5] 일부만 실효지배. [6] 일부만 실효지배(롄장으로 이관) [7] 일부만 실효지배(진먼으로 이관) [8] 일부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을 실효지배. [9] 때문에 다른 성들이 대개 한두 개, 최대 4개(광시성)의 성할시를 가진 것과 달리, 타이완성은 면적이 작음에도 독보적으로 많은 9개의 성할시를 갖고 있었다. 1950년에 행정구역 개편을 하면서 5개로 줄였다. [10]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선전시 일대 [독음] >㈢ ㄌㄠˋ 名
>地名用字。如大陸地區河北省有亭、山東省有陵。
>--------
>⑶ ㄌㄠˋ 〈명〉
>지명용 한자다. 대륙지구 하북성에 있는 [ruby(樂,ruby=ㄌㄠˋ)][ruby(亭,ruby=ㄊㄧㄥˊ)](노정)과 산동성에 있는 [ruby(樂,ruby=ㄌㄠˋ)][ruby(陵,ruby=ㄌㄧㄥˊ)](노릉)
대만( 중화민국) 교육부 중편 국어사전(자전) 2021년 수정판 사이트 # 樂(ㄌㄠˋ) 항목
[12] 오늘날의 바오딩시(保定市) [독음] [의역] 도르베드는 몽골어로 '넷'이라는 뜻으로 청나라 건국에 일조한 공로로 이 지역 일대를 영지로 배정받은 칭기즈 칸 동생인 카사르 후손 4형제를 가리킨다. [15] 남해군도관리국 설치 구상안에는 남중국해 도서 전체를 포괄하는 행정구역안이 포함되어 있었지만, 만약 실제로 설치되었다면 실효지배하는 프라티스 군도 및 타이핑다오(太平島) 정도만을 실질적으로 관할했을 것이다. 구상에만 그친 행정구역이지만 그 성격이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의 싼사시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16] 면적으로 따지면 명목상 중화민국 영토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실제 영토가 명목상 대한민국 영토( 이북5도)며 중화인민공화국 실제 영토가 더 넓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