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19:06:52

일본군 위안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군 강제위안부가 아닌 위안부에 관한 사전적 정의에 대한 내용은 위안부 문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전쟁범죄와 그로 인한 피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A급 전범
평화에 대한 죄
사형수
기무라 헤이타로 도이하라 겐지 도조 히데키 마쓰이 이와네 무토 아키라
이타가키 세이시로 히로타 고키
복역수
가야 오키노리 고이소 구니아키 기도 고이치 도고 시게노리 미나미 지로
사토 겐료 스즈키 데이이치 시라토리 도시오 시마다 시게타로 시게미쓰 마모루
아라키 사다오 오시마 히로시 오카 다카즈미 우메즈 요시지로 하시모토 긴고로
하타 슌로쿠 호시노 나오키 히라누마 기이치로
피의자 [1]
히로히토 천황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고노에 후미마로 코다마 요시오 고이즈미 치카히코
구즈 요시히사 기시 노부스케 나가노 오사미 니시오 도시조 다니 마사유키
다다 하야오 다카하시 산키치 데라시마 겐 도쿠토미 소호 마사키 진자부로
마츠오카 요스케 사사카와 료이치 사토미 하지메 쇼리키 마츠타로 스마 야키치로
아모 에이지 아베 겐키 아베 노부유키 아오키 카즈오 아카기 고헤이
안도 기사부로 오카와 슈메이 오타니 게이지로 이사하라 히로이치로 이와무라 미치요
하시다 구니히코 혼다 구마타로 혼조 시게루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B · C급 전범
일반 전쟁범죄, 인도에 반한 죄
피의자 약 5,700여 명 [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범죄 사건
학살 사건 난징 대학살( 100인 참수 경쟁) | 마닐라 대학살 | 밀리환초 학살 | 바탄 학살 | 보르네오 학살 | 중국 북부 학살 | 치치지마 식인 사건 | 파푸아뉴기니 학살 | 팔라완 학살 | 베허호 사건 | 아라시함 포로 학살
생체 실험 731 부대 | 규슈대학 생체해부
전시 강간 일본군 위안부
강제 노역 정신대 | 죽음의 철도 | 하시마
정치적 추종 세력 및 사상
순국7사묘 · 신사본청 · 야스쿠니 신사 · 팔굉일우 · 일본의 우경화( 넷 우익) · 일본의 역사왜곡 · 일본의 피해자 행세 · 일본회의 · 국가신토 ·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 애국 비즈니스
가나다 순 배열
[1] 불기소 피의자, 재판 전 사망자 포함. 공식적으로는 이들은 무죄이다.
[2] 개별 사건의 중복 피고인까지 합계되었으며, 이 밖에 추축국 피점령지 내 부역자, 기소유예자가 포함된 수치이다.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과 관련된 위안부 문제'''
일본군 위안부 한국군 위안부 한국정부의 위안부 양공주


1. 개요2. 피해자3. 문제점
3.1. 위안부 명칭3.2. 피해자 국적
3.2.1. 인식 부족과 원인
3.3. 운영과 관리 및 생활실태
3.3.1. 피해자 증언3.3.2. 피해자 증언의 한계
3.4. 종전 이후 피해자들에 대한 사회적 차별
4. 국제사회의 일본 비판
4.1. 미국 하원 본회의의 위안부 결의안4.2. 각국의 위안부 결의안4.3. 유엔 인권이사회 보고서4.4. 세계 각국 정치인들의 일본군 위안부 관련 발언들
5. 일본의 입장
5.1. 일본 정부의 입장
5.1.1. 1993년 일본의 고노 담화 발표5.1.2.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5.1.3. 일본 검정 교과서
5.2. 가해자와 목격자의 증언5.3. 위안부를 부정하는 일본 내 시선
6. 수요집회와 반응7. 부정파
7.1. 관련 자료에 대한 엇갈린 반응7.2. 일본 부정파의 주장7.3. 일부 서양인들의 위안부 문제 조롱과 강제성 부정7.4. 한국 부정파의 주장7.5. 역사학자들의 공개서명 움직임7.6. 5ch(전 2ch)의 반응
8. 관련 미디어9. 기타
9.1. 위안부 2차소송
10. 관련 사업 및 기록11. 민사 소송
11.1. 제1심 서울중앙지방법원11.2. 제2심 서울고등법원
12. 관련 기사13. 관련 문서 및 인물14. 둘러보기

1. 개요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자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위안부" 애니메이션 - 열여섯 살이었지( 소녀 이야기, 못다한 이야기)

일본군의 조선인 위안부 학살 영상[1][2][3]

연합군에 구출된 '만삭의 위안부' 영상 최초 공개 [풀버전]

파일:일본군 위안부로 끌려온 여성들.jpg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온 여성들
}}}}}}}}} ||
일본군 위안부() 또는 일본군 성노예 제도(日本軍性奴隸制度)는 일본의 전쟁범죄 중 하나[4]로, 일본 제국 정부의 관여 및 묵인 하에 자행된 식민지 및 점령지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전시강간 등의 성범죄 행위를 이른다.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위안부라고 부르지만, 미국 정부 측의 공식 표기는 미국 하원 연방의회의 Resolution 131(2007.7.30.)에 의거하여 "이안푸[5]라고 불리우는 강제 성노예(Ianfu as sexual slave)"라고 되어 있다.[6] 대한민국에서도 비슷한 논지로 자발적 공창 종사자까지 포함하는 '위안부'보다는 '강제위안부'로 써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으나, 현재는 한국 언론에서도 완전히 '위안부'라고 굳어져버린 상황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위안부 명칭' 항목 참조.

일본의 시베리아 개입 당시 일본군은 현지 러시아 여성들을 상대로 무차별적인 강간과 성폭행을 저질렀는데, 그 결과 성병이 장병을 가리지 않고 부대 전체에 퍼져 7개 사단 중 1개 사단에 달하는 병력이 성병에 걸려 전투력이 저하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를 본 일본 정부 일본 군인들의 성병 및 기밀 유출을 방어하고 병사들의 사기를 고양시킬 목적으로 별도의 성행위 장소인 군대 위안소를 만들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을 모집하여 관리했다. 이것이 자기들의 용어로 '위안부'였다. 이 위안부의 모집에 문제가 있었고 빚을 빌미로 인신을 구속하거나 취업 사기가 빈번했다. 일본 본토, 한반도, 대만에서 성매매 알선업자들이 "일자리를 소개시켜 준다.",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며 모집하였는데 막상 도착한 곳은 위안소인 식으로 여성들을 끌어들였고 일본 정부는 이를 사실상 묵인하였다.

이 역사적 과오이자 문제는 현재진행형이며 2024년 9월 7일 기준 위안부 피해자는 8명이 남았다.[7] 제대로 된 사과가 없는 사건[8]으로도 유명하다.

파일:N4nXsmh.jpg
연표 중간에 2011년 사건들이 김대중 정부에 기재된 오류가 있는데 2011년 이명박 정부에 해당된다.

김영삼 정부는 배상은 원치 않지만 진실을 꼭 밝혀야 한다고 했다. 이는 현재까지 한국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기도 하다.

2015년 12월 28일 박근혜 정부 한일 외교장관 간 위안부 문제 합의로 이 문제가 실질적으로 해결되는 단초가 되는 듯했으나 합의 자체의 여러 한계들로 인해 사실상 유명무실해졌다. 이 내용은 밑의 항목으로.

2017년 7월 11일 문재인 정부 8월 14일[9]을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로 공식 지정하였다. #

2021년 1월 8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위안부 피해자 12명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을 내리고 '피고는 원고들에게 각 1억원을 지급하라'고 명령했다. # 위안부 문제 배상에 관한 피해자들의 첫 승소로, 사건 접수 이후 5년만에 나온 판결이다.

하지만 가해국인 일본 최고 법원이 아니라 피해국인 한국 법원에서 내린 판결이기 때문에 일본 정부는 이를 묵인할 뿐이었고, 불과 3개월여 뒤인 2021년 4월21일 서울중앙지법 민사15부(재판장 민성철)는 이 할머니, 고 곽예남 할머니 등이 제기한 소송을 각하하며 일본 정부에 대해 주권면제를 인정했다. 각하는 소송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고 판단해 본안 심리 없이 소송을 종결하는 것이다. 당시 재판부는 “현실적으로 주권면제에 대한 관습법과 대법원 판례의 범위에 따르면 외국 정부에 손해배상 청구하는 것이 허용될 수 없다”고 1월 판단과 상반된 결론을 내렸다.

2023년 11월 23일 항소심에서 결과가 다시 뒤집혔다.

2. 피해자

자세한 내용은 일본군 위안부/피해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문제점

3.1. 위안부 명칭

위안부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세계에 알린 일본인 기자
가장 공식적이라고 할 수 있는 한국의 현행 법률에서는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에서는 '일제하 일본군위안부'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후술하듯 위안부라는 명칭은 '스스로 전쟁 지역에 성매매를 하러 갔다'리는 뉘앙스도 포함하기 때문이다. 일본 언론에서는 이 표현을 사용한다.

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10]에서는 「 일본군 '위안부'」라는 명칭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작은따옴표로 인용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 이는 통상적으로 당시의 표현인 '위안부'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위안부'라는 단어가 실상을 가리기 위한 우회적인 표현이기에 그대로 쓰기에는 부적절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보호·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을 포함한 법조문 등에서는 따옴표를 붙이는 대신 앞에 '일제하'라는 수식어로 붙여서 당시의 표현임을 나타낸다. 흔히 정신대와 혼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정신대(挺身隊)란 '나라를 위해 몸을 바치는 부대'라는 뜻이며 일제에 의해 노동인력으로 징발당한 사람들을 말한다. 정신대에는 남자도 동원되었으며, 정신대로 징집된 여성들 일부가 전쟁 말기에 위안부로 뽑혀가기도 했으나 정신대와 위안부는 엄연히 다르다.

의외로 당시의 공식명칭인 '종군위안부'[11]가 과거에는 일상 대화에서도 쓰일 만큼 일반적이었으나 #[12]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다. 상당수의 여성들이 약취유인에 의해 위안부가 되었는데 '종군'이라는 단어는 그런 실상과는 달리 '스스로의 의지' 로 군대를 따라갔다는 의미로 여겨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 보고서나 논문등에서 표현할 때 당시의 명칭을 쓰는 것은 경우[13]가 아니면 현재는 잘 쓰지 않는 표현이다.[14] 이와는 반대로 일본 정부는 바바 노부유키 일본유신회 중의원이 ‘종군위안부’라는 용어에는 군에 의해 강제 연행됐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질의한 것에 지난 27일 각의(국무회의)에서 “위안부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답변서를 결정했다. # 한자가 원래 여러 가지 의미를 함축적으로 가지므로 자발적으로 따랐든, 강제로 따랐든, 우연히 따랐든 모두 종(從)이라는 한글자로 표현수 있어서, 바라보는 이의 입장에 따라 정반대로 해석하는 일이 자주 벌어진다.

사실을 그대로 드러내는 표현인 ' 성노예'를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으며 실제로 2016년 설립된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재단'에도 이 명칭이 들어가 있다. 과거 미국에 존재했던 성노예를 지칭하는 단어가 바로 섹스 슬레이브(sex slave)이기 때문에 미국 지식인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당사자인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 중 이 단어로 본인들을 지칭하는 것을 너무 더럽고 부끄럽다는 이유로 싫어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제한적으로 쓰인다. 학술적인 면에서는 '성노예'라는 표현을 쓸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피해자 할머니들은 보수적인 성문화 및 노비라는 노예제가 사회적으로 아직 영향을 남긴 옛 환경에서 성장하였기에 '성노예'라는 표현을 부각해서 사용하는 건 2차 가해로 해석되기도 한다.

한편 일본 우익을 비롯한 대부분의 일본 정치인도 성노예라는 표현만은 쓰이지 못하게 막으려고 한다. 성노예라는 표현은 위안부 연행의 강제성과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의미하는 무적의 위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1992년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위안부(comfort woman) 대신 성노예(sex slave)라는 표현을 처음 사용한 일본의 인권운동가 도쓰카 에쓰로(戶塚悅朗) 변호사는 "위안부는 강제가 되지 않으면 안 되고, 본인의 의사와 상반된다. 그리되면 누구라도 노예라 여길 것이다. ‘자신의 의사로 병사를 위안한다’는 위안부라는 말은 웃기는 것이다."라고 말하며 '위안부'라는 용어를 신랄히 비판하였다. 현대 서양 언론과 UN 등 국제기구, 인권단체는 각종 군사충돌 및 인신매매로 성폭행당한 희생자를 성노예라고 부르며 이는 '자의에 반해 인권을 손상당한 피해자', 그 증언은 '그럼에도 굴복하지 않는 용감한 생존자이자 승리자'라는 존중의 의미를 담는데 이슬람 과격 무장조직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가 납치한 소수민족 야디지 여성이자 2018년 노벨평화상 수상자 나디아 무라드도 '성노예 피해자(Former sex slave)'로 자신을 소개했는데 나디아 무라드는 일제강점기 조선보다도 더 보수적인 중동 출신이다. 성노예는 각종 군사충돌 및 인신매매로 현재도 엄연히 존재하며 직시되어야 할 심각한 문제라는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미국 하원의회 및 정부도 제131호 결의안(2007년 7월 30일, 만장일치)을 통해 Sexual slave라는 명칭을 공식화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위안부는 주로 전쟁터에서 장병들을 상대로 성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성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영어로 a comfort woman으로 번역하고 있다. 또 일본군 위안부를 종군 위안부라 하고 있다. 외국에서, 특히 웹사이트를 이용할 시엔 sex slave 보다는 a comfort woman 또는 comfort women으로 검색해야 보다 자세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데 이는 법적 책임을 회피하려는 일본 정부의 지속적인 삽질 노력과 희생자 진영 내부 분열에 기인하는 현상이다. 실제로 일본은 강제징집된 정신대가 일본 본토 근로노동자가 아닌 남방·중국 전선의 위안부로 팔려갔다는 것에 대해 쉬쉬하고, 이마저도 1980년대 말 네덜란드령 동인도(현 인도네시아)에서 징용당한 백인 여성 강제위안부의 존재가 드러나자 일본 사회가 발칵 뒤집혀서 완전히 부정하진 않을 뿐, 그 전까지 일본 정부는 아예 강제위안부의 존재 자체를 철저히 무시했다. 이런 문제 축소 전략의 연장선에서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는 어디까지나 스스로 몸을 팔러 전쟁터로 따라간 군속이다'란 입장이라 일본 정부와 언론은 '강제'란 말은 생략한 채 자발적 성매매자란 뜻도 함의하는 위안부란 단어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 언론 또한 미국 언론처럼 '성노예'라고 쓰진 못하더라도 적어도 '강제위안부'리고는 표기해야 한다고 한국 활동가들은 꾸준히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한국에서 위안부는 일본군 위안부의 준말로 쓰이지만 이는 최근의 일이고 이전에는 주로 전쟁 때 군대에서 남자들을 성적으로 위안하기 위하여 동원된 여자를 지칭하는 말이었다. 6.25 전쟁 직후의 기지촌 여성들을 위안부라 지칭하며 기사에 실었고 일반적인 의미로는 그냥 매춘부였으며 대법원 판결에도 명시되어 있다. 지금은 표준 국어대사전에서 강제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피해 여성들 중에서 '일본군' 위안부가 아닌 일본 기업체의 위안소에서 생활한 여성들도 많았다. 정부에서는 이들도 위안부로 강제 징집 되어 피해를 입은 여성으로 인정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학술 조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위안부란 단어가 일본군 위안부를 지칭하는 말로 굳어지고 세간의 시선이 그쪽으로만 쏠리는 바람에 생겨난 사각지대인 것이다.

명칭을 정확히 하면서도 순화하여 쓰자는 것 중에는 강제징용녀(强制徵用女) 또는 강제성징용녀(强制性徵用女)가 있으나 아직까지 널리 쓰이는 표현은 아니다. 유엔인권위원회에서는 전체 18명 중 1명이 일본군 성노예(Japanese Army Sex Slaves)라고 표현할 것을 제안했으나 따로 채택되지는 않았고 소수의견이다.

그래서 아예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Victims)"라고 하지 말고 "일본군 성폭력 피해자(Japanese Military Sexual Violence Victims)"라고 쓰자는 주장도 나왔다. "위안부"란 말 자체가 군인을 위문하러 갔다는 뜻으로 이것도 잘못된 표현이라는 지적을 하는 것이다.

3.2. 피해자 국적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15], 중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각국, 심지어 네덜란드 여성들까지 위안부로 끌려갔다.

일본군 위안부의 국적은 한국, 중국. 일본 및 그리고 아시아 여러 점령지의 여성들이었다. # 전쟁초기에는 일본에서 창기와 기녀들이 동원되었지만 전선이 넓어지자 이동의 불편이 적은 현지 여성들이 점차로 선호되었는데 중국전선에서는 중국 여성들이, 태국에서는 태국 여성들이 우선적으로 동원되는 식이었다. 이들 현지 여성들로도 필요한 숫자가 모자라게 되면서 일본 전체 점령지역에서 위안부가 동원되었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했을 때 당시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던 대한민국 북한, 대만 등은 물론 이들이 무력으로 쳐들어가 점령한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동티모르, 미얀마, 베트남, 라오스, 필리핀, 캄보디아, 파푸아뉴기니, 심지어 당시 주권국이었던 태국[16], 아시아 국가들을 식민통치하거나 자신들의 영토가 있었던 네덜란드[17], 호주, 프랑스[18], 미국[19], 영국, 뉴질랜드[20], 러시아[21] 출신 등 여러 국가 출신의 여성들이 강제로 일본군에 위안부로 끌려갔다. 그래서 일본군에 잡힌 적국 포로나 점령지 주민 여성들은 강제로 위안부가 되었다. 특히 한국, 대만 등 일본 제국의 일부였던 지역은 일제 당국의 기획 아래 민간업자가 취업사기, 인신매매 등으로 데리고 간 경우가 절대다수다. 전자의 경우(적국 여성), 식민지 당국민 외에 타국 여성들의 위안부 편성은 모집 방법과 운영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시나 명령하달 자료가 부족하여 군 수뇌부에서 직접적으로 지시하고 관리한 것이라기 보다는 병사나 장교등 군 개개인이 개인적인 목적으로 납치 및 운영한 것으로 보인다.

아무튼 한국 출신이 아닌 위안부 피해자들도 일본에게 사과를 요구한다. 위안부 성노예 피해를 당했던 여성/인권 운동가 얀 루프 오헤른이 대표적. 그런데다가 일본군은 일본 현지인이 아닌 모두를 물건으로 봤다. 더욱 웃기는 일은 당시 법률상 일본 영토였던 오키나와도 본토도 무시를 받았다. 더더군다나 징병검사에서 떨어지거나 식민지에서 사는 사람을 도와주는 일본 현지인도 차별받았다. 실제로 저들은 비국민(非國民)이라는 멸칭까지 듣고 정부와 일본 본토인에게 온갖 탄압을 받았다. 이때 일본 제국은 골육상잔도 서슴지 않았다.

참고로 두 중국, 즉 중화민국( 대만)과 중화인민공화국은 둘 다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했다. 이유는 당시 중공의 지도자였던 마오쩌둥"우리가 이겼으니까 됐다!"는 패기를 부린 것이 원인이었고 승전국인 중화민국은 패전국인 일본에게 큰소리 치기엔 자기들 사정이 여의치 않았기 때문..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이 점령지인 인도네시아에서 같은 추축국인 동맹국 독일이나 헝가리[22] 여성들도 성노예로 삼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일본군, 동맹국 독일 여성도 수십명 성노예로" "동맹국 獨 여성들도 성폭행" 일본군 만행 폭로한 네덜란드[23]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다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생존했던 중화권 피해자가 총 418명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

3.2.1. 인식 부족과 원인

일본 제국의 일본군의 위안부 문제에서 가장 큰 목소리를 내온 국가는 바로 한국이다. 그 외에 중국 등이 있다.
  • 독일 >>> 일본에 대한 관심도
성노예 피해자였던 네덜란드에서조차도 주요 이슈는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이였지 극동국제군사재판은 부차적인 이슈였다. 해외에서도 일단 위안부로 인한 성노예에 대해 실태들을 보도는 했었지만, 위안부 문제보다 다른 국가(독일)의 전쟁범죄와 이후 처리에 사람들의 주목도가 더 크게 쏠렸다.
  • 사회의식의 미성숙. 성인권에 대한 인식 부족
네덜란드 등 해외에서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위안부 성노예 피해자들에 대해 피해자에 대해 경멸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얀 루프 오헤른도 미국 때문에 침묵을 강요당했다.

3.3. 운영과 관리 및 생활실태

취업알선 브로커나 취업사기 등을 통하여 의사에 반하여 일본군 위안부가 된 사례가 다수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들의 자유의 제한과 같은 인권 침해 사례, 급여와 연봉, 복리후생 그리고 일본 정부의 관여와 책임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

일각에서는 위안부는 근대 일본의 공창제의 일종일 뿐이라고 주장하지만[24] 위안부는 근대 공창제의 ‘본인의 의사에 따라’ 성매매업에 관한 계약을 맺거나 해지할 수 있다는 주장과 상당히 배치되고 있는 실정이며 외지에서 가혹한 성 상납을 강요받았는지, 일본 정부가 인권유린을 묵인하고 비인륜적인 대우를 했는지 여부가 위안부 문제의 핵심 중 하나다.

증언에 의하면 구타와 가해가 일상적이었고 군도나 칼 등으로 몸을 긋거나 담뱃불로 지지는 고문, 학대가 흔하였다고 한다. 심지어 성고문, 자궁적출, 태아 살해, 강제 문신 등의 행위들도 자행되었다.[25] 매일 수십 명의 남자들을 상대하기에 성병에 걸리거나 임신 후 강제로 중절수술을 받고 건강이 악화되어 죽는 경우도 많았으며 배식량은 막장 일본군의 수준에 맞게 극도로 떨어져서 영양실조도 많았다고 한다.

미군의 위안부 심문보고서는 이와 다른 내용을 기록하는 자료로 잘못 인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심문대상이 포주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자료는 위안부가 겪은 고통을 파악하기 보다는 위안부의 모집경위나 위안소와 일본군간의 관계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고 읽어야 하는 사료이다. 사실 위안부 논쟁 초기부터 일본우익측의 방어논리는 위안소를 군 근처에 자연스럽게 생기는 민간시설로 해석해서 군의 책임을 없애는 것이었고, 법리상으로도 위안소가 이 시설의 운영주체여서 문제가 되는 것인데 군이 위안소운영의 주체라는 점과 인신구속또한 결국 군에 의해 이루어진것을 증명하는 사료들을 보고 일본군의 책임을 묻기 어렵다고 해석하는건 논리 모순이 된다. 이 자료는 버마에서 포로로 잡힌 조선인 위안부 여성을 심문하여 그 내용을 정리한 것인데, 현재 나오고 있는 증언이나 일본측 공문서 외에 제3국이 기록한 중립적인 위안부 심문 자료로서[26][27] 그렇기 때문에 이 문서의 내용을 넷 우익들이 악용하는데 포주의 주장이 중간중간에 섞여 있다는 점을 유의하고 읽어야한다는게 학자들의 지적이다.

미군의 위안부 심문보고서 (일명 49호 보고서). 원본
Early in May of 1942 Japanese agents arrived in Korea for the purpose of enlisting Korean girls for "comfort service" in newly conquered Japanese territories in Southeast Asia. The nature of this "service" was not specified but it was assumed to be work connected with visiting the wounded in hospitals, rolling bandages, and generally making the soldiers happy. The inducement used by these agents was plenty of money, an opportunity to pay off the family debts, easy work, and the prospect of a new life in a new land, Singapore. On the basis of these false representations many girls enlisted for overseas duty and were rewarded with an advance of a few hundred yen.
1942년 5월초, 일본인 업자들은 새로 정복된 동남아시아의 일본 영토로 갈 "위안 서비스"를 위한 한국인 여자들을 모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에 도착하였다. 이 "서비스"의 성격은 분명하게 설명되지 않았으나 병원에서 부상병들을 돌보고, 붕대를 감아주고, 일반적으로 군인들을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일이라 설명되었다. 이 업자들의 권유는 풍성한 돈, 가족의 빚을 청산할 기회, 쉬운 일, 새로운 땅 싱가포르에서 새로운 생활을 하게 된다는 장밋빛 전망 등이었다. 이러한 거짓된 설명 하에 많은 여자들이 해외에서의 일을 위해 모집되었고 선금으로 몇 백엔의 보상을 받았다.
The interrogations show the average Korean "comfort girl" to be about twenty-five years old, uneducated, childish, and selfish
한국인 위안부 여성은 평균적으로 만 25세에 제대로 교육받지 못하였고, 유치하며 이기적이었다.
In Myitkyina the girls were usually quartered in a large two story house (usually a school building) with a separate room for each girl. There each girl lived, slept, and transacted business. In Myitkina their food was prepared by and purchased from the "house master" as they received no regular ration from the Japanese Army.
미치나에 있던 여성들은 보통 큰 2층 가옥(주로 학교 건물이었던)에서 한 방에 한명씩 생활하였고, 그 방에서 생활과 성매매를 병행하였다. 음식은 포주를 통해 구매하였으며, 일본군으로부터 식량 배급을 받지는 않았다.
They lived in near-luxury in Burma in comparison to other places. This was especially true of their second year in Burma. They lived well because their food and material was not heavily rationed and they had plenty of money with which to purchase desired articles. They were able to buy cloth, shoes, cigarettes, and cosmetics to supplement the many gifts given to them by soldiers who had received "comfort bags" from home.
그들은 버마에서 2년 동안 다른곳과 달리 꽤 호화스럽게 지냈다. (병사들과 달리) 음식과 물품을 배급받지는 못했으나, 돈이 많았기에 가지고 싶은 물건들을 구매할 수 있어서 옷, 신발, 담배, 화장품 등을 살 수 있었으며, 집으로부터 "위안 가방"을 배송받은 병사들에게 많은 선물을 받았기 때문이다.
While in Burma they amused themselves by participating in sports events with both officers and men, and attended picnics, entertainments, and social dinners. They had a phonograph and in the towns they were allowed to go shopping.
버마에 있을 동안 그들은 장교들의 운동 경기에 참가하였으며 사교적인 모임으로서 소풍과 각종 오락, 저녁 식사 등에 참가하며 즐거워 했다. 축음기도 가지고 있었고 도시에서 쇼핑을 하는 것도 허락되었다.
The "house master" received fifty to sixty per cent of the girls' gross earnings depending on how much of a debt each girl had incurred when she signed her contract.
"위안부 포주"는 위안부 여성이 처음에 가지고 있는 빚의 액수에 따라 수입의 50~60%를 수수료로 가져갔다.
This meant that in an average month a girl would gross about fifteen hundred yen. She turned over seven hundred and fifty to the "master".
위안부 여성은 1달 평균 1,500엔 정도를 벌어 들이고 이중 750엔을 "포주"에게 상납하였다.
Many "masters" made life very difficult for the girls by charging them high prices for food and other articles.
많은 "포주들"은 식료품과 다른 물품들을 (위안부 여성에게) 높은 가격으로 팔아 위안부 여성들의 삶을 힘들게 했다.

보고서에서는 폭행이 존재했다는 언급이 없고, 위생관리나 건강관리가 철두철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게다가 위안부 평균 연령이 만 25세로 미성년들이 수없이 차출되었다는 주장과도 배치된다고 착각들을 많이하나, 정작 그 보고서는 계산오류로 평균연령이 23.15세가 25세로 잘못 기재되었고, 동원될 당시에는 미성년자가 12명이었기 때문에 미성년자가 차출되었다는 사실을 오히려 뒷받침한다. 건강관리나 위생관리에 대해서는 미군보고서의 기록이 타당하다고 볼 수 있는 이유가 있는데, 위생이나 건강관리를 부실하게 하여 성병감염이나, 폭행으로 인한 부상에 노출되게 방치하면 이를 이용하는 군인의 건강관리와 직결되어 병력손실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게다가 관리부실로 만성적인 영양실조나 폭행 및 고문등으로 상해를 입거나 사망에 이를 경우 보급(?)에 지장이 생긴다. 특히 전쟁 말기에는 무모한 모집방식과 달리 모집한 인원을 전선으로 보내는 것에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28]

하지만 막상 당대 위안부들을 직접 관리하던 일본 군인들의 증언은 당시 처참했던 위안부 구타 폭행의 실상들을 모두 증언하고 있다.
"1941년 관동군사령부의 명령을 받아 군위안소를 설치할 때 중국인 가옥을 약탈하여 군 위안소로 만들고, 조선 여성 30명을 일본군 '위안부'로 강제로 영업시켜, 일본 군부대의 군인, 군속(군고용인) 4,000명의 강간ㆍ구타ㆍ폭행 대상으로 만들어 성병으로 고생하고 빚까지 가중시켰음."

조선 여자들의 자유를 박탈했을 뿐 아니라 성병으로 인해 막대한 고통에 시달리게 했다

“(위안부를) 노예처럼 학대하였으며, 위안소 설립 이래 1942년 10월까지 50회에 걸쳐 성폭행했다”

“원래 위안소에 더하여 방 7칸의 주민을 내쫓고 위안소를 크게 개조했다”

“중국 여자 50명을 납치해 위안소에 감금했다”

“중국인 가옥을 몰수하여 위안소로 만드는 과정에 일본군이 직접적으로 관여했다”
중국에서 헌병으로 주둔했던 한 일본군 전범이 위안부 관련 범죄와 관련해 자필로 진술한 내용 #

이 진술은 중국 기록관인 중앙당안관이 2015, 2017년 출간한 자료집 '중앙당안관 소장 중국 침략 일본전범 자필진술서'에 담겨 있다. 일본군 전범의 진술서 842건을 120권으로 엮은 자료집인데 총 6만3,000쪽에 달할 만큼 분량이 방대하다. 살인, 살인 방조, 체포 감금, 고문, 구타, 강제노동 혹사, 약탈, 방화, 부정부패, 탈세, 위안소 설치와 성폭행 등 범죄가 자세히 기술돼있다. "조선 여성 30명을 강제로 위안부 영업시켜" 일본군 전범 자필 진술

이 밖에도 중국 전선에서 포로로 잡힌 아즈마 이치헤이 일본군 헌병대 하사관은 자백서에서 1941년 8월 무단장 둥닝현에 위안소를 설치했고 조선 여성 30명을 보내 일본부대 군인, 군무원 등 4천여명의 강간, 구타, 폭행 대상이 되게 했다고 고백했으며, 일본군 헤이룽장성 자무쓰 지역의 경무 주임을 맡은 오노 다케츠쿠는 일본군 위안소에서 조선 여성 약 30명을 노예로 삼아 자유를 빼앗고 강간함으로써 공개적으로 일본군들에 협조했다고 자백했다. "조선인 위안부 30명, 일본군 4천명 상대" 中 자료 공개 “조선인 위안부 30명 끌고와… 일본군 4000명이 강간·폭행”

또한 일본군 북지나(北支那)헌병대의 "위안소의 설비증가 등 문제에 대한 보고(1943)"에서는 당대 성병이 만연했던 위안소의 처참한 현실이 드러난다. 해당 보고에서는 대량으로 "위안부"를 "이용"했고 또 "위안부" 생존상태가 열악했기 때문에 그중 적지 않은 "위안부"가 성병에 걸리고 일본군에 전염시켰다. 일본군 북지나 헌병대의 "위안소의 설비증가 등 문제에 대한 보고"에 따르면 "성병으로 인한 독해는 아주 심각하여 전투력을 소모시켰다." 그리하여 "위안소는 반드시 제거설비와 용구를 장착해야 한다." 등의 내용들이 등장한다. 즉, 당대 위안소는 성병으로 일본군의 전투력에 지장을 줄 만큼 성병 만연이 심각했다는 것이다. 中국가당안국, "위안부"- 일본군 성노예 기록 선집 제2집 공개

일제의 괴뢰국인 만주국과 왕징웨이(汪精衛)정권(1940~1945년 난징의 친일괴뢰정부) 등으로부터 입수한 사료들에서는 강제연행에 관한 기록들도 나온다. 만주국 제6헌병단의 1944년 6월 30일자 '고등경찰신문'에는 "미혼여성을 간호사나 위안부로 강제로 끌고 가는 탓에 조선에서 조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내용이 실려있었다. "한국인 위안부 2천명 강제징용" 일본군 문서 폭로(종합)

일본군이 위안부들을 집단 총살한 기록들 또한 남아있다.

패전이 임박한 1944년 9월 당시 일본 작전참모였던 쓰지 마사노부 대좌는 중국 쑹산과 텅충에 주둔한 일본군에게 “지원병력이 도착하는 10월까지 계속 저항하라"라고 지시했다. 역사학자들은 이를 사실상 ‘옥쇄(강제적 집단자결) 지시’라고 해석한다. 쑹산과 텅충에는 조선인 위안부 70~80명이 있었는데 옥쇄를 거부한 조선인 위안부 피해자 대부분을 일본군이 살해한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로 9월14일 미-중 연합 제54군이 저녁 6시55분에 보고한 정보 문서엔 “9월13일 밤 일본군은 (텅충)성 안에 있는 조선인 여성 30명을 총살했다(Night of the 13th the Japs shot 30 Korean girls in the city).”고 기록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학살’ 영상 처음 나왔다

기록만 놓고보면 어떤 곳은 위 미군 보고서에 나온 것처럼 대우해준 곳도 일부 있었지만 정말로 상상을 초월하는 구타 폭행 납치 강간 학살 등등의 흉악 범죄가 만연했던 곳들도 상당수 존재하였다. 일부의 좋은 대우만을 근거로 위안부들이 대부분 좋은 대우만을 받았다고 보기 힘든것이 막상 위안부들을 직접 관리했던 일본군인들의 증언과 일본군 내부의 문서들은 위안부 할머니들이 증언한 처참한 환경과 정확히 일치한다. 실제로 규정상 군'위안부'를 구타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었으나 당대 구타가 만연했던 일본군의 현실상 일본군인들에 의한 폭행은 공공연하게 일어났다. 일부의 좋은 사례들로만 일반화하여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흐리는것은 실제 피해자들의 고통과 경험을 완전히 무시하는 행위로 엄연히 위안부 문제의 본질은 원치 않음에도 위안부로 강제로 착취당한 피해자들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보고서에서는 House Master라는 일종의 포주 혹은 중개업자(이하 중개업자로 지칭)의 존재가 거론되고, 대부분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이 이들 포주로부터 개인 부채 즉 빚이 있었음을 언급하고 있다. 문건에서는 단순히 직업알선, 소개 등의 명목의 수수료가 아니라 개인부채에 따라 비율이 달라지는 원리금의 성격이 있었음을 명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것이 링크의 영어원문의 모집부에도 설명되어 있는데, 중개업자가 선금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의 가족부채를 6개월에서 1년간 대리 지불해주는 것을 대가로 위안부 여성의 매매계약 및 모집이 이루어져 있다고 나와있다. 이후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 구매비용의 개념으로 이후 월급 1,500엔에서 50~60% 가량을 원리금으로 징수하여 이득을 올렸는데 통상적으로 근로기준법에 의거한 대등한 계약관계라기 보다 거액의 선금을 지불하여 인신을 매입하고, 그 부채를 기반으로 원리금을 받는 인신매매의 성격을 보이고있다. 모집요강에 대해서도 나오는데, 주로 병원에서 근무하거나, 붕대를 감거나, 병사들을 행복하게 만들어주는 것에 대한 것은 나오지만 매춘행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것이 없고, 단지 쉬운 일에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것을 전제로 지원했다는 점이 확인되므로, 앞선 항목에서 나온 취업사기와 인신매매와 연대해서 볼 수 있는 증거자료로 확인된다.

당시 급여액 1,500엔의 액수 자체도 육군 대장의 월급계보다 많은 액수였지만 거기서 원리금(원금+이자)이 5~60%인 것으로 보아 개인부채가 엄청나게 높게 책정되고 급여는 위안부에게 지급되지 않고 강제적립되는 게 기본이었다. 역사학자 하야시 히로후미 교수는 "당시 미얀마는 인플레가 살인적이어서 일본 본토 물가의 1,800배에 달했습니다. 통장에 1만엔 있어도 1,800으로 나누면 푼돈이 됩니다."라며 전쟁 중에도 위안부의 거액 예금이 전장에서 의식주를 해결해야 하는 본인들에게 아무 의미가 없었음을 설명했다. 또한 요시미 요시아키 교수는 "위안부 증언으로는 그 돈조차도 위안소 주인에게 급료로 받은 게 아니라 장교 손님들에게 팁으로 받은 걸 통장에 넣은 겁니다. 장교들은 왜 그런 거액을 팁으로 줬느냐면 현지 물가가 너무 엄청나서 그 지폐로는 아무 것도 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죠."라고 설명했다. 즉 위안부 일부가 거액을 인출이나 송금이 거의 불가능한 예금 형태로라도 보유할 수 있었던 이유는 위안부제도가 아니라 일부 일본군 장교들이 생환을 포기하고 자포자기 상태였기 때문이다. 위안부들은 주 생필품을 중개업자들을 통하여 구입하여야 했고, 그 가격이 비싸서 생활이 녹록치 않았는데, 그와 정반대로 생존과 상관 없는 담배나 전축 및 화장품 등의 사치품 구매에는 큰 지장이 없는 등 비정상적인 지출구조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패전이 가까울 때 나타나는 전형적 현상으로서 2차 대전 말기 독일에서는 보석과 빵을 교환했다.

월급의 지급은 군용 우편계좌(군표)로 입금되거나, 현지 발행 화폐였던 남방개발금고권(남발권)으로 지급되었다. 본래 남발권은 엔화와 동일한 가치로 환전이 가능하고, 군표의 잔액을 엔화로 출금하는 것도 자유로웠었지만, 1944년에 이르자 버마지역이 전쟁인플레이션으로 물가가 최고1,800배로 치솟자 일본당국이 인플레이션이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엔화환전을 금지하였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의 월급액 1,500엔은 당시 일본육군 월급 중 가장높은 대장의 것보다 높은 액수였지만, 1944년이 되자 이 액수가 전부 현지화폐로만 출금이 가능하여 실질가치가 형편없었다. 실제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여성인 문옥주씨의 당시 계좌내역에서도 인플레이션시기에 저금액의 수가 급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종합하자면, 고액의 월급을 지급받았지만 고율의 원리금과 고액의 생계비에 허덕여야 했고 그것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저축하였으나, 인플레이션으로 사실상 휴지조각이 되어버려 종전 후 경제적으로 윤택한 삶을 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여성은 거의 없었다.

한국인 여성도 일본군에게 강제연행된 사례는 있는데 이 경우는 한반도가 아니라 중국지역이다.[29] 중국지역이 아닌 한반도에서 일본군에게 강제연행방식으로 끌려간 사례는 증명된 바가 없으나 위안부(comfort womem) 대신 성노예(sex slave)라는 단어를 처음 사용한 일본인 토츠가 에츠로 변호사는 "강제는 자유의지가 아닌 상태니까 속여서 끌고 간 것도 강제입니다"라고 말한다.[30]

그 밖에는 전쟁말기 전 일본제국신민이 대의와 충절을 위해 목숨을 바치여 할 것을 강요하는 옥쇄 정책에 영향을 받아 최일선에 있는 이들이 목숨을 잃기도 하였다. 다만, 호사카 마사야스의 쇼와 육군을 보면 위안부들도 옥쇄를 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조선인 위안부의 경우에는 따로 항복을 시키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버마에서 포로가된 조선인 위안부가 이런 경우.

2차대전 종전 당시 일본계 미군이 조선인 위안부를 노예가 아닌 매춘부로 기재한 보고서를 두고, 전쟁 성폭력 관련 활동단체 WAM 대표 와타나베 미나는 "그 보고서는 그 미군이 자신의 인식의 범위에서 쓴 거니까 위안부를 매춘부라고 기록했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습니다. 지금도 위안부가 뭔지 모르는 사람이 많습니다 "라고 말했는데, 당시 미군이라지만 일본 출신 부모 밑에서 일본어를 쓰며 자란 (심지어 미군 본인들도 일부는 일본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이민 간) 갓 스무살 지난 일본계 미군의 보고서를 위안부 문제의 잣대로 삼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또한 일본 우익이나 혹은 한국의 신우익 및 탈민족주의 성향을 가진 인물들이 저 미얀마 위안부 증언 사례를 들어서 "위안부들은 어디까지나 자발적으로 자원했거나 혹은 부모가 가난 때문에 팔아넘겼고, 일본군이나 일본 정부는 아무런 책임이나 잘못이 없다."라고 수정주의적 견해를 들지만, 그 문제도 다시 한 번 생각해 봐야 한다. 우선 당시 조선인 위안부들은 영어를 할 줄 몰랐고, 일본계 미군들도 조선말을 할 줄 몰라서 위안부들한테 일본어로 물었는데 문제는 위안부들도 일본어를 제대로 하지 못해서 미군들이 생포한 인원들 중에서 일본어와 조선어를 할 줄 아는 일본인이나 친일파 조선인들한테 통역을 시켰는데, 이 자들이 자신들의 잘못을 최소한으로 줄일려고 위안부들의 증언을 일부러 왜곡하거나 날조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2018년 8월 KBS는 위 보고서를 작성한 당시 심문관을 인터뷰했다. 그는 '조선인 위안부가 아닌 일본인 위안소 주인들이 개입한 증언이라 신빙성이 낮다'고 인정했다.(KBS 뉴스 2018. 8. 14.) 아울러 조선인 위안부들이 가난 때문에 스스로 자원하거나 부모가 팔아넘겼다면, 조선보다 인구가 훨씬 많고 따라서 가난한 가정이 넘쳐났던 중국에서는[31] 위안부 자원자들이 조선보다 훨씬 많았을 텐데, 그렇다면 조선인 위안부가 중국인 위안부보다 훨씬 많았던 현실은 설명할 수가 없다.

또 이 미얀마 증언 사례를 통해 일본 정부나 군이 아무 책임이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허점이 있다. 일본군 위안부는 인신매매적 성격이 강했으며 설령 매춘이라 하더라도 취업사기-채무관계를 이용한 종속을 통해서 '자발적 의사에 근거해 그만둘 수 없었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일본 정부/군은 이에 대해 최소한 방관자적 책임일지라도 책임을 완전 회피할 수 없다. 애초 미얀마 증언이든 다른 위안부 여성의 폭행/협박 증언이든 '증언록' 정도이기에 모든 일본군 위안부에 적용할 수 없는 논리이기도 하다.

3.3.1. 피해자 증언


뉴스타파 <슬픈 귀향> 1부


뉴스타파 <슬픈 귀향> 2부
15살이 되던 해에 밤에 잠을 자고 있을 때 일본군이 쳐들어와서 저를 끌고 갔습니다. 그놈들은 제가 군인방에 들어가지 않는다고 끌고 가더니 전기고문도 하고 칼로 찔러서 죽이기도 했습니다. 무엇 때문에 그 놈들이 어린아이들을 끌고가서 군인 방에 들어가지 않는다며 전기고문을 하고 칼로 찔러서 몸을 이렇게 병신으로 만들었겠습니까? 나는 위안부가 아닙니다. 일본이 나를 이렇게 만들어놨습니다.
-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나라가 없었어. 왜놈들 땅이라. 나라가 없는 백성이 되니까 자기들 맘대로 잡아가는거야. 잡아다 일본땅에 끌려갔어. 일본땅에 가서 나고야로 끌려갔는데 거기 가니까 많이 있어요. 여자들이, 처녀들이, 각시들이랑 만주로 데려갔어, 만주로. 상해( 상하이)라는 곳으로 끌려갔어. 상해 데려가서 그 때부터 위안부 생활을 시작했어. 그래서 7년을 했어, 7년을.
- 위안부 피해자 박숙이(2016년 사망)[32]
( 일본군이)내가 말 안 듣는다고 때리고 발길로 차고, 악을 쓰는데도 차고 때리고, 정 말을 안 들으니까 너무 때려서 사람이 쓰러지니까 깔고 앉았어. 칼로 옷을 다 오려내요(잘라내요). 여길 다 오리면(자르면) (옷이) 뚫리면 어떻게 되겠어. 피밖에 더 나겠어. 시뻘건 피가 철철 나오는데 거기다가 대고 강간을 하는거야. (일본군이) 여기(엄지발톱)를 자르느라고 칼로 이렇게 쳤는데 이게 안 떨어졌단 말이야. 지금도 내가 흉터가 없으면 잊어버릴 수 있는데 흉터가 있기 때문에 못 잊어버리지.
-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2022년 사망)
여자라는 것은 생리가 있는데 생리 때도 (일본군은) 가리지 않아요. 그놈들은 생리고 뭐고 없어요. 무슨 짐짝 끌어가듯 끌어가다 자기네 마음대로 쓰고 싶은 것이 있으면 쓰고, 고장이 나서, 말하자면 병이 나든가 하면 버리거나 죽여버려요.
- 위안부 피해자 김학순(1997년 사망)
이제부터 대일본제국에 한 몸 바쳐 몸 주고 성노예 생활에 몸 주고 말 잘 듣겠나? 이 처녀가 차라리 내가 죽는게 낫지, 너희 개 같은 놈들한테 이렇게 맨날 이 단련을 받겠나? 차라리 죽는게 낫지 죽여달라했는데 그러니까 (일본군이) 좋다. 그 다음에 가마니를 하나 끌어다놓고 졸병을 시켜서 모가지 잘라라 모가지 잘라 가마니에 넣고 팔 잘라라. 팔 잘라서 가마니에 넣고 다리 잘라라. 다리 잘라서 다 잘라 담고 뭄뚱이도 그저 몇 토막을 쳐서 가마니에 다 주워 담는 것을 보고 그걸 보고는 그 처녀들이 다 악악 소리치고 그 자리에서 다 죽어 널브러졌습니다. 놀라서. 그 처녀들이 다 기절해서 그걸 보고 죽어 널브러진 처녀들을 모조리 하나하나 잡아끌어 세워놓고 (일본군이) 자, 똑똑히 보아라, 너희도 말 안 들으면 이렇게 다 죽인다. 너희 목숨이 두려우면 대일본제국에 한 몸 바쳐 말 잘 들어라.(하략)
- 북한 출신 위안부 피해자 리경생(2004년 사망)
이 아이들이 말 안 듣는다고 일본군 부대 대대장이 칼을 척 쥐고 나서서 너희들이 왜 말을 안 듣냐? 남자 하룻밤에 백 명 상대할 수 있는 사람 손을 들으라 하니까 우리는 14살이다. 두 손 들었다. 그런데 아까 이름부른 아이들은 손을 안 들더구먼요. 무슨 의견이 있어서 손 안 든거야? 묻는다. 의견이 있다. 우리가 무슨 죄가 있어서 남자 백 명을 상대하냐. 우리의 죄는 나라없는 죄밖에 없다. 나라 없는 벌이냐? 그 사람들이 그 간부들한테 들이댄다. 저X의 계집애들이 점점 말 안 듣는다고 못판을 여기서부터 저기까지 가게만해. 거기서 못 한 300개를 심었어요. 이런 가시 같아요. 아이들 빤쓰만 입히고 발가벗겨서 두 명 다리 동여매서 두 명씩 머리채를 쥐고서는 이렇게 한 바퀴 칭 올려 끈다. 못판에다가. 그게 못판 고문이다. 그러니까 빤쓰가 다 찢기니까 하초에 닿으니까 구멍에 살이 뚫려서... 사람 피는, 짐승 피는 땅에 줄줄 흐르지요? 국숫발같이 (피가) 팍팍 뿜어요. 그렇게 15명 죽여놓고서는 칼로 목을 쳤다. 칼을 목을 쳐서 죽여놓고서는 우리들이 거기서 눈을 뜨고 못 보겠어. 하늘이 노랗고 땅이 새빨갛고. 그래놓고 우리가 우니까 죽였다고 그러냐? 너희 계집애들도 말 안 들으면 이렇게 죽인다. 말 안 듣는 계집애들 죽이는 건 개 죽이는 것보다 아깝지 않다. 그렇게 해놓고서는 (일본군) 졸병 놈들이 (시신들을) 어디다가 묻을까요? 일본군 대대장, 중대장이 말하길 묻기는 뭘 묻어, 땅도 아깝다, 흙도 아깝다, 죄인들은 변소에 처 넣어라. 우리가 우니까 (일본군) 소대장이 저 계집애들이 사람 고기를 못 먹어서 운다는거야. 우리 고기 삶아서 한 번씩 먹이라는거야. 가마솥을 내다 걸고서는 불을 때서 (시신들을) 고기로 함지에다가 푹 놓고서는 우리보고 먹으라 한다. (사람)고기를 먹어라. 왜 안 먹느냐? 그래도 안 먹었다.
- 북한 출신 위안부 피해자 정옥순(1998년 사망)

3.3.2. 피해자 증언의 한계

당시를 살았던 사람들의 기억에 의존해서 역사를 재구성하는 것을 '구술사학'이라고 한다. 이는 1800년대 남북전쟁이후 미국의 역사학자들이 전쟁이전의 노예제도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흑인노예였던 사람들을 인터뷰하면서 만들어진 역사연구의 한 방법론이다. 그러나, 이 구술사학은 증언내용의 진실성을 다 믿을 수는 없다는 비난을 받는다. 구술사학의 문제점을 파헤친 여러 논문이 있는데, 이 논문들에서 피해자가 진실을 말한다고 생각했어도 증언이 사실과 다를 수 있는 이유로 1)오래되어 희미해진 기억, 2)시간이 지나면서 새로 생긴 기억과 혼동, 3)충격적 사건에 의한 기억왜곡 등을 들고 있다. 이후의 사회학연구에서 조사자의 의도대로 증인의 기억이 변화한다는 점이 실험을 통해서 증명되었다. 이 밖에도 증언의 내용에 좌우되는 보상이 있을때 증인이 그 보상을 받기 위해 거짓증언을 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보상을 받기 위해 거짓 증언을 할 수 있다'는 이론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은 보상금을 받기 위해 거짓 날조한 것'이라는 일본의 주장과 연결될 수 있는데, 정작 위안부 피해자들은 보상금보다 '정부 차원에서의 피해 사실 인정·사과 및 일본 사회의 반성, 교과서에 관련 사실 기재'를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위안부 피해자 위안부 문제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기록도 남지 않은 몇 십년 전의 기억에 대해서 정확한 증언을 바라는 것은 사실 불가능한 일이다. 그리고 일부 피해자들은 심각한 정신 트라우마를 겪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어떤 사람이 정말 끔찍하고 잊고 싶어하는 기억을 몇십 년 동안이나 일 단위로 정확하게 기억해서 증언할 수 있겠는가?( PTSD 문서로.) 생존자들을 상대로 버마나 싱가포르를 헷갈린다고 공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심지어는 '이남이 피해자'[33]처럼 심한 정신적 트라우마에 시달리다 자신의 본명과 한국어까지 잊어버린 사례도 있다.[34] 실제로 홀로코스트 추모관의 경우에도 '피해자' 들의 증언을 기반으로 한 사건의 재구성은 명백히 한계를 드러낸 바 있다. 유대인이나 집시들 역시 트라우마가 심해 기억이 없어진 경우는 많다.

3.4. 종전 이후 피해자들에 대한 사회적 차별

내가 너에게 70년의 삶을 설명하는 동안 70년의 삶이 지나갔다. 나는 여기 있는데 너는 어디로 갔는가? - 《그림 속으로 들어간 소녀》 중에서
무엇보다도 나는 위안부(comfort women)라는 말을 강력하게 거부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따뜻하고 부드러운 것을 의미하니까요. 저희는 위안부가 아니라 강간 피해자들(rape victims)입니다. - 네덜란드 출신의 위안부 얀 루프 오헤른(Jan Ruff O'Herne)[35]
그들은 처음에는 사실이 아니라고 잡아뗀다. 모든 증거는 조작되었고 모든 증인은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다 명백한 것이 나오면 다른 이와의 공동 책임을 만들려 하기 시작하며, 급기야 필요악 따위를 역설하거나 나만 나쁜 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나쁘기에 이상할 것이 없다는 식의, 이상한 논리를 내세운다. - 위안부 사실부정파를 비판하는 한 칼럼 中
'내가 죄가 많아서 자식들한테까지' 오빠도 그렇게 됐고 언니도 그렇게 됐고 자식들한테 '다 내 죄다 내 죄다' 그런 말씀을 많이 하셨죠.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딸
너희는 놀림감이 아니니까 당당해라. 당당해라 하면서도 미안했어요. 한편으로는 내가 이것을 괜히 밝혔나. 어머니한테 이 사실을 왜 공개를 하라고 했을까.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아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은 간신히 전쟁이 끝나도록 살아남았으나 일제의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과거 국내에선 오히려 일본군과 놀다온 더러운 여자들이란 오해와 편견의 대상이 되며 억울한 질타를 받기도 하였다. 실제로, 국내로 돌아온 위안부 피해자들은 고향에서 버림받은 후 갈 곳도, 할 수 있는 일도 없었던 끝에 슬프게도 주한미군 위안부가 되는 경우가 종종 존재했다. 그 이외의 피해자들은 그저 가슴에만 묻어둔 채 피해를 증언할 생각은 추호도 하지 못했다. 당시 농촌 사회에 강하게 남아 있던 유교적 편견이 주요 원인이었던 듯. 그러나 편견을 떠나서 이건 피해자를 두번 세번 죽이는 나쁜짓이다. 더욱이 기득권한테는 찍소리도 못하면서 피해자를 괴롭히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다 1990년대부터 위안부 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되자 그동안의 고통을 받아온 위안부 생존자들은 직접 거리로 나와 시위를 하거나 일본의 만행에 대한 증언을 하였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1991년 9월 '정신대 실태조사대책위원회' 를 구성, 일본에 철저한 진상 규명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정부에 신고를 하고 시위를 하면서 신상이 밝혀진 위안부 피해자와 그 가족들은 되레 이웃들에게 차별받았다. 위안부는 창녀라는 인식은 90년대에도 널리 퍼져 있었고 남녀노소 직업 불문하고 심한 멸시를 받았으며 심지어 집값이 떨어질까 이사를 종용받았다. 어린 아이들이 창녀의 자식이라 놀림 받는 상황에서 별다른 도리가 없었다. 문제는 이사를 몇 번이나 해도 신상이 밝혀지면 다시 이웃에게 차별 받는 악순환이 계속된 것. 이에 아예 외국으로 이민을 가버린 사람들도 있다. 사실 성의식 자체가 2000년대 들어서야 엄청나게 변했기 때문에 시대의 한계라고 볼 수도 있다. 90년대까지만 해도 '여성의 정조'같은, 지금 보면 엄청나게 구시대적인 표현이 언론이고 민간이고 아주 보편적으로 쓰였다. 이 문제 또한 과거사 청산 차원에서 큰 반성이 필요하다.

물론, 현재 대한민국 사회와 세계의 보편적 인식은 '일본 제국주의의 최대 피해자들', '시대의 안타까운 희생자' 정도이지, 절대 과거와 같은 오해들이 판치고 있지 않다. 대략 20여 년간 역사바로세우기도 시행되었고, 여성 인권에 대한 인식 개선과 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인식이 젊은층 위주로 많이 변하면서 현재는 옛날의 편견이 많이 사라졌다. 어떻게 보면 중노년층보다 청년층이 이 문제에 대해 더 관심이 많고 피해자들에게 우호적이기도 하다. 공식적인 자리든 비공식적인 자리든 이 문제에 대해 말 한번 잘못 했다간 자신이 쌓아온 거의 모든 명예를 내려놔야 할 수도 있는 수준이다.

여담으로, 일본이 패망한 뒤에 만주에 남아 있던(정확하게 말하면 일본 정부로부터 거의 '버려진' 것이라고 해야 되겠지만) 일본 여성들 가운데 본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학살당하거나, 그들을 만주까지 데리고 온 일본인 '개척단' 간부들에게 내몰려서 구 소련군, 중국군을 대상으로 하는 성접대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들 역시 한국이나 중국의 위안부 피해자들과 마찬가지로 일본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현지에서 풍토병으로 사망하거나, 어찌저찌 일본으로 돌아온 뒤에도 성접대 사실이 알려져 결혼도 못하고 평생 독신으로 살거나 고향 마을을 떠나야만 했던 이들도 있었다. 한국이나 중국의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들이 성노예 과거가 밝혀져 고향에서 당했던 멸시와 차별을 패망 이후의 일본 여성들도 똑같이 겪은 셈이다. #

4. 국제사회의 일본 비판

2013년 기준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전 세계에서 모두 115건이 채택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한다. 기사

4.1. 미국 하원 본회의의 위안부 결의안

일본 정부에게 위안부 존재를 인정하고 이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질 것을 요구하는 위안부 관련 결의안(House Resolution 121) H. Res. 759은 2001년 처음 미국 하원에 소개되었고 2006년에 미 하원 국제관계 위원회에서 통과되었다. 일본계 하원의원인 마이크 혼다[36] 의원의 주도로, 공화당 민주당 통틀어 50명이 넘는 의원의 지지를 받고 있는 이 결의안[37]은 일본 정부의 강한 로비활동에도 끝내는 2007년 하원에서 만장일치로 정식 통과하였다. #

이후 미국 하원에서 일본 정부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사과와 배상을 촉구하는 2007년 미 의회결의안을 미 국무부가 이행하도록 만드는 내용의 법안이 하원을 통과하면서(물론 이 법안은 일종의 보고서 형태이나 미 국무부가 이 문제를 다뤄야 함을 강조하였다.[38]) 일본 입장에선 더 큰 압박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4년 1월 17일 상원 통과를 거쳐, 다음날인 1월 18일 오바마 대통령도 서명해 이 법안은 통과했다.[39] 이 결의안은 일본계 미국인 마이크 혼다 하원의원이 발의하였다.

4.2. 각국의 위안부 결의안

2007년 11월 8일, 네덜란드 하원은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에 대해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였다. 캐나다에서도 같은 해 11월 28일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한 일본정부의 공식적인 사과와 책임을 촉구하는 위안부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였으며, 12월 13일에는 유럽의회가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2008년 3월 11일에는 필리핀 하원이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4.3. 유엔 인권이사회 보고서

위안부의 존재에 대한 일본 일각의 부정, 비판은 유엔 문제로까지 확산되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2008년 10월 30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하여 일본이 위안부 동원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죄, 보상하여 피해자의 존엄성을 회복시켜야 하며, 이를 학생과 대중에게 알리고 부인하지 말 것을 촉구하였다.

또한 유엔 인권이사회는 2017년에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일본 인권상황에 대한 ‘보편적 정례 인권 검토’(UPR) 회의 결과를 토대로 일본에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성의있는 사죄를 하고 희생자에 대해 보상하라'고 요구하는 권고를 내렸다. # ##

4.4. 세계 각국 정치인들의 일본군 위안부 관련 발언들

"위안부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우리가 들어야 하고, 그들은 존중을 받아 마땅하다"

"끔찍하고 매우 지독한 인권침해 문제라고 생각한다. 위안부 피해 여성들이 인권을 침해당한 것은 전쟁 상황임을 감안하더라도 쇼킹한 일이었다"

" 아베 총리와 일본 국민들도 과거에 대해 보다 솔직하게, 그리고 공정하게 이해를 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을 것"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 ##
"일본군 위안부’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 (일본에 의해 동원된) 그들은 ‘강제적인 일본군 성 노예’였다"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장관 #
"일본 정부가 위안부에게 반드시 정식 사과를 하고 배상해야 한다"
마잉주 전 중화민국 총통 #
“참으로 가슴 아픈 현장을 찾았다. 사람들이 이곳에 있는 분들을 ‘위안부’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이다. ‘위안’은 자발적 의사가 담긴 것이다. 이분들은 위안이 아니라 전쟁의 폭력에 참혹하게 희생된 여성들이다”

“전쟁에 의한 참혹한 폭력은 복구될 수 없다. 일본의 전쟁 폭력 희생자들인 할머니들이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되는 것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지원할 것

“할머니들이 당한 개개인들의 희생과 고통은 홀로코스트(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독일이 자행한 유대인 학살)와 다르지 않다. 전쟁에서 희생된 여성에 대해 세계가 알아야 한다. 피해 할머니들은 과거가 아니라 미래의 역사를 쓰는 것”

“할머니들이 살아 생전에 일본이 사과하기를 바란다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만나 일본이 저지른 만행이 이 할머니들께 남긴 상처를 봤다"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독일 총리 # ## #3 #4
" 아베 총리에게 세계 2차 대전 당시 일본군이 저지른 일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다하고 사과할 것을 요구한다"

"일본 정부는 (위안부 문제가)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여성과 아이들의 문제라는 것을 이해했으면 좋겠다 이들에 대한 모든 폭력이 중단돼야 한다"

"미 하원은 오늘 위안부들이 당한 모욕에 대해 일본 정부가 공식적이고, 명백한 사과를 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보내게 될 것" ( 미국 하원에서 '위안부 결의안'이 채택될 당시)
마이크 혼다 전 미국 민주당 하원의원 # ##
"어떤 나라도 과거를 무시할 수는 없다 종군 위안부들이 강압없이 자발적으로 매춘행위를 했다는 일본측의 주장은 강간(rape)이란 단어의 의미를 모르는 강변"

"역사를 왜곡, 부인하고 희생자들을 탓하는 장난을 일삼는 일본 내 일부 인사들의 기도는 구역질나는 일"

"비인도적 행위들은 모두 시인돼야 하며, 세계는 일본 정부의 전면적인 책임을 기다리고 있다"
ㅡ 톰 랜토스 전 미국 하원 외교위원장 #
"종군위안부 결의안 121호를 통해 역사의 어두운 기간을 비추고, 2차대전 당시 일본군에 의해 희생된 위안부 여성들을 위한 작은 정의가 실현될 수 있길 바란다"

"역사적으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혹독한 시련을 견뎌내고 현재까지 생존해 있는 종군위안부 피해여성들과 직접 이야기를 해야 합니다."
ㅡ 에드 로이스 전 미국 공화당 하원의원 #

5. 일본의 입장

위안부 문제는 당시 군의 관여 하에 다수의 여성의 명예와 존엄에 깊은 상처를 입힌 문제로서, 이러한 관점에서 일본 정부는 책임을 통감한다.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1조

일본은 위안부가 전쟁부역자로 분류되어 이들에 대한 보상논의는 한국과 일본간에 정상국교를 위해 실시되었던 한일협정에서 이미 이루어졌다 주장하고 있다.

전쟁부역자와 별개로 위안부는 별도로 논란거리가 되며 문제가 되었다. 전시 성노예는 거의 모든 전장에서 암암리에 운영되고 있었고, 운영되더라도 비공식적으로 운영되거나 국가나 정부가 개입하지 않고 어쩌다 지휘관이 직업여성들을 불러다가 재량껏 운용하는 수준의 것이었으며, 그나마도 쉬쉬하는 정도였으나, 일본군 위안부의 경우 국가와 군이 직접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운영하던 것이었고, 이로인한 피해자가 여러국적에 그 수도 많은데다 일본인으로서도 납득하기 힘든 윤리적인 문제를 많이 지니고 있었다.

그래서 추후에는 위안부 문제를 사죄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꿨다. 물론 이는 도의적 사죄를 의미하는 것일 뿐, 국제법적 배상 및 책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1994년 8월 31일 총리 무라야마 도미이치 무라야마 담화 고노 담화, 1996년 하시모토 류타로 총리의 사과 등 민주당, 사회민주당, 일본공산당 등의 리버럴 정당 혁신정당에선 이 발언과 입장을 같이 한다.

허나 그런 공식적 입장에 모순되는, 주로 자민당 계열 우익 내지 극우 정치인들의 언행 역시 계속 나오고 있다는 것이 문제. 2007년 아베 신조 총리가 '군 위안부의 강제 연행 사실이 없다'라는 발언을 한 데다 2012년과 2013년 하시모토 도루 등의 정치인 또한 그 발언과 맥락을 같이하는 망언을 터뜨리기도 했다. 이러한 우익 정치인들은 조선에서는 일본군이나 관헌에 의한 강제 동원은 없었으며 민간업자에 의해 동원된 거라고 주장한다. 결국엔 정권이 바뀌어서 문제다.

아베 총리는 위의 중국을 침략하고 아시아 각국을 침략한 것에 대해 사죄한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하겠다고 밝혔지만 한국과 이해관계가 직결된 일본군 위안부 관련 고노 담화는 수정하겠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일본의 입장에선 흑역사나 다름없는 데다가 가뜩이나 나라의 이미지가 안 좋은데 더 나빠질 수 있으며, 배상 문제를 걸고 넘어지면 한일기본조약의 수정 등 밑도 끝도 없이 판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총력을 기울여서 이를 막으려고 하고 있다.

2014년 10월 12일 일본외무성 홈페이지에 위안부 강제동원 인정 관련게시글이 삭제되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 측은 '오해를 피하려 정부가 작성하지 않은 위안부 관련 문서를 삭제했다'고 한다. # 그러나 이는 고노 담화 흔들기의 일환이 아니냐는 비판이 있다.

5.1. 일본 정부의 입장

5.1.1. 1993년 일본의 고노 담화 발표

고노 담화 문서 참조.

5.1.2.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해당 문서로.

5.1.3. 일본 검정 교과서

일본 정부는 1993년 고노 담화에서 약속한대로 1994년부터는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에, 1997년부터는 중학교 교과서에 위안부 관련 내용을 포함시켰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어린 학생들에게 왜 과거사를 자학하는 내용을 가르치냐’며 가치관이 아직 성립되지 않은 중학생 교과서에서 위안부 관련 내용을 빼라고 요구했다.

이후 2012년 아베 신조 내각이 재등장하며 초중고교 교과서에서 위안부 관련 내용이 줄어들기 시작했다. 후임 정권인 스가 요시히데 내각 역시 고노 담화에서 사용된 ‘종군 위안부’란 표현 대신 ‘위안부’라는 용어가 적절하다고 결정했는데, 역대 내각이 고노 담화를 계승한다는 방침을 밝혔음에도 종군 위안부 표현을 교과서에서 변경한 것은 이율배반적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이어 출범한 기시다 후미오 내각에서는 2021년 4월 각의(국무회의) 결정을 통해 교과서에서 ‘강제연행’과 ‘종군’이라는 표현을 삭제했다. #

교과서에 실렸다는 것과 주변국 등의 침략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되었는가는 별개의 문제.

새역모 교과서는 위안부의 강제연행 기술을 삭제하고 있는데, 해당 교과서 채택률은 약 4% 내외다.

5.2. 가해자와 목격자의 증언

1970년대에 요시다 세이지라는 사회운동가가 자신이 제주도 등지에서 1000명 이상의 조선인 처녀를 노예사냥해서 위안부로 넘겼다고 고백하고, 이를 아사히 신문이 대서특필하였다. 요시다는 이 내용으로 2권의 책을 저술하고 한국에 방문하여 사과 퍼포먼스도 하여 양심적 일본인으로 칭송받았는데... 10여년 후 이 모든 것이 새빨간 거짓말임이 드러났다. 이 사건으로 아사히 신문은 사장이 대국민 사과를 했고, 독자수도 200만명 가량 줄어들었다고 한다. 일본군이 무고한 한국처녀를 사냥처럼 잡아다가 위안부로 삼았다는 이미지는 이 책에서 처음 나왔고, 이것이 거짓말임이 밝혀진 지금까지도 많은 한국인들이 이런 일이 실제로 있었다고 믿는 계기가 되었다.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이었던 마츠모토 마사요시가 일본군의 위안부에 대해 증언했다. 일본군은 그 당시 위안부 동원 외에도 중국 부녀자들을 잡아와서 집단으로 강간하는 만행을 자주 저질렀으며 그런 짓을 하고도 나중에 지뢰를 밟아 죽은 병사가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직접적인 가해자는 아니지만 일본군인 후나사카 히로시도 자신의 저서 『秘話パラオ戦記―玉砕戦の孤島に大義はなかった』에 타 일본군 출신자가 증언한 팔라우 제도 코로르 섬 위안소의 존재를 서술하기도 했다.[40]
여긴 그야말로 "지옥의 장소"였다. 병사들도 지옥에 있었지만 이건 그 이상의 지옥이 아닌가 하고 화장실에서 나온 조센삐를 보고 생각했다. 자주 종군위안부에 관한 기사가 실리는데 이 일은 체험해 보지 않은 사람이면 절대로 모를 일이다.... 역시 " 지옥"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배상은 해야된다.....라고 언제나 생각한다.
미즈키 시게루의 에세이 만화 종군위안부에서 #

게게게의 키타로로 유명한 만화가 미즈키 시게루 태평양 전쟁 당시 그 당시의 참상을 목격한 것을 만화로 그렸다. #

중국에서는 중일전쟁 이후 중국 내에서의 전범 재판에서 일본군 전범 대부분이 위안부에 대해 자세히 자백했다. #

5.3. 위안부를 부정하는 일본 내 시선

일본의 우익들이나 부정파 사이에서 위안부 문제를 크게 3가지 양상으로 보고 있다.
  • 첫번째는 위안부 문제 자체가 혐일 조직들의 조작이라고 주장. 정확하게 말해서 위안부 자체를 부정하는건 아니나, 위안부가 '강제성을 띄었다'라는 부분을 부정하고 있으며, 위안부 피해자들이 자발적으로 들어간 것이라고 주장한다.[41]
  • 두번째 양상은 논점을 흐리는 것이다. 위안부의 강제성은 인정하되, 전쟁 중이니까 당연한 것이다라는 주장으로 아예 위안부 문제 자체를 '어쩔 수 없는 것' 혹은 '제국 시대 때는 당연한 것'이라고 합리화 하는 경우이다. 덧붙여 '그렇게 치면 한국군도 위안부 있지 않냐?', '그렇게 치면 한국군도 저지른 만행이 많다'[42]라는 물타기도 일삼는다. 또한 위안부 문제를 밝히는 것을 국제 사회 또는 국내에서 정치적 이득을 위해 위안부를 이용하는 것이라는 진영논리적 비난도 보인다.[43]
  • 세번째 양상은 강제성도 인정하고 합리화하지도 않되,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이후로 이미 합의가 끝났기 때문에 이제 거론하지 말라라고 말하는 입장이다. 즉 배상이 이미 완료되었기 때문에 이제 위안부 문제를 거론하지 말라고 주장하는 입장이다.

다만 알아두어야 할 점은, 우익들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위와 같이 반응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모든 일본 국민들이 다 그렇게 생각하는 건 아니다. 일본 국민들 중에서도 위안부는 반성해야하는 역사이며 민간적인 차원에서라도 한국에게 제대로 된 사죄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적지 않게 존재하고 있다.

파일:귀향 일본 관객 반응.png
(영화 ' 귀향'을 본 일부의 일본 사람들의 반응) 출처

일본에서는 나이 지긋한 어르신 세대[44]가 훨씬 더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일본이 반성해야 할 역사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 이유는 젊은세대 입장에서 여성을 물건 취급했다는 것은 경악할 만한 것도 있고 이들이 전쟁 시대를 직접 겪거나 자신들의 부모들의 전쟁 경험담을 많이 들어온 세대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의 어르신 세대는 극단적인 우익성 인터넷 문화에 많이 접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그나마 우익 선동에 많이 당하지 않는 편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우익 논객 중에 어르신 세대가 주를 이루고 있는 등 예외도 많기 때문에 어르신이면 무조건 한국 편을 든다고 단정하는 건 옳지 않다.

일본의 일부 여성인권, 페미니즘 단체에서도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비록 피해자가 한국일지라도, 지금도 전쟁중인 3국에서는 여성을 성처리용 물건취급하는 인권 유린이 빈번한 것도 사실이며 전세계 여성 인권을 위해서라면 한마음 한뜻이 되어야 한다는 신조 때문인지 의외로 일본 내에서 목소리를 내고 있는 단체중 페미니즘 관련 집단도 제법 있는 편이다.

2015년에 마이클 욘이라는 기자가 일본 우익단체로부터 지원과 지령을 받고 위안부 문제의 강제성을 부정하는 일이 있었고 #, 한국의 몇몇 블로거와 디시인사이드 회원들이 마이클 욘의 주장을 통해 위안부 문제를 왜곡하기도 했다. #

2017년 11월 25일 이와 관련해 도쿄에서 300명 가량의 인원들이 촛불을 들고 거리로 나섰다. 日 양심 시민들, “위안부 문제 제대로 해결하라” 촛불 들어

2019년에는 일본군 위안부 증언 등 토대로 지도로 만들었다. #

6. 수요집회와 반응

위안부 피해자들은 일본 정부의 사과를 요구하며[45] 30년 넘게 매주 수요일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정기 집회를 하고 있다. 이 집회는 일본인 변호사에 의해 처음 시작되어 지금까지 이어지는데, 이미 위안부 피해자들이 다들 사망하거나 건강이 나빠져서, 현재는 한일 양국의 위안부 대책 여성단체 회원들이 주도한다. 특히 일본 내 기독교인들이 대거 참가하여 목사, 사제, 수도자 등 기독교 성직자들이 많이 보인다. #

단, 1995년 고베 대지진 때는 잠시 집회를 연기하였으며 도호쿠 대지진 때는 집회시에 애도를 표하기도 했다. 수요집회 참여 방법으로는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서 참가신청을 하고 가거나 참가신청을 하지 않아도 수요일 12시 주한일본대사관 앞으로 오면 언제든지,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실제로 서울 집회에 한국은 물론 중국본토나 대만, 홍콩 등에서 중국인 피해자나 가족들도 대거 참가하기도 한다.

2011년 8월 15일 광복절을 맞아 뉴욕 퀸스의 홀로코스트 센터에서 위안부의 참상을 알리는 전시회가 열린다고 한다.

그렇게 양자협의를 거절하면서도 수요집회가 1,000회를 맞는 2011년 12월 14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평화비를 세우겠다고 발표하자 일본은 우리 정부에 평화비를 세우는 걸 막아달라고 요청했다.

그렇지만 일본에서는 같은 날에 일본의 한 시민단체가 인간사슬로 외무성을 포위하겠다고 한다! 동시에 전세계 곳곳에서 국제연대시위도 열렸다. 또한 홀로코스트의 생존자들이 위안부 피해자들을 뉴욕에 초청, 나치와 일본의 전쟁범죄를 고발하겠다고 한다.

파일:attachment/girlstatue.jpg

수요집회 1,000회가 되는 12월 14일 예정대로 평화비가 세워졌고 그날 집회에는 약 1,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주한일본대사관 앞에 모여 집회를 하였다. 도쿄에서도 인간사슬로 외무성을 1시간 동안 포위했으나 그 앞에서 우익단체들이 맞불시위를 벌여 어수선한 분위기가 연출되었다.

1000회 수요집회를 기념하여 인간띠를 만들었던 전후사정과 당시 상황을 잘 설명한 자료(일본어 해석 필요). WAM(Women's Active Museum)의 모습이 보인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사진이 있는 곳. 참고로 피해자들의 국적은 대한민국, 중국은 물론 말레이시아, 호주 심지어 네덜란드도 있다!

2012년 연말에는 한 청년이 수요집회에 대해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일본을 향해 "응답하라 일본!"이라는 제목의 1인 시위를 하여 잠시 화제가 되었다. 그가 서있는 곳은 일본 외무성 앞인데, 보통 국회 앞이나 수상 관저 등에서 이루어지는 관련 시위를 생각해볼 때 외무성 앞 1인 시위는 기발한 발상이었다는 것이 현지 운동가들의 전언. 관련기사

서구권에서는 그다지 관심이 크지 않은 편이였으나 한국과 중국, 홍콩 등 아시아권에서의 계속된 홍보로 이제 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다만, 전체적으로는 관심이 크지 않은데다,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왜 제3국에 남의 나라 문제를 지속적으로 거론하냐는 인식도 적지 않은 편이다.

2016년 이후에는 상기한 한일외교장관회담 결과에 따라 주한일본대사관 앞 위안부 평화비가 철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지만... 정확히 어떻게 해결한다고 언급하진 않았으므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방안이 채택될 듯 하지만... 피해 당사자 측과 시민단체 측에서는 "광화문 세종대왕 동상만큼 크게 만들지는 못할 망정 무슨 이전은 무슨!!!"이라고 반응하고 있다. 그리고 이게 대한민국 정부 측에서 세운 것도 아니고 시민단체에서 정부 돈 한 푼 안 받고 직접 조성한 것이기 때문에 정부가 '그거 이전하면 어떨까?' 하는 정도로 공문 한 장 보낼 수는 있겠지만 강제로 이전은 못한다. 게다가 일본 언론들이 벌써부터 김칫국 드링킹을 하며 위안부 평화비에 대한 언플이 상당히 심해지고 있는 것이 포착되고 있는 지금 시점에서 이걸 이전시키는 것은 대한민국 정부 입장에서도 엄청난 무리수이다. 일본 정부에서도 '우리는 그런 말을 한 적 없다, 모든 사항은 합의문에 나온 것 이외에 다른 것은 없다. 우리는 그런 이면 합의를 안 했고, 만약 했다면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이 말하지 않았을 리가 없다'라면서 진화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참고로 네덜란드에서도 우리나라 위안부 피해자들의 '수요 집회'같은 모임이 20년 넘게 이어져 오고 있다고 한다. 이 집회는 1994년 한 시민단체 주도로 처음 시작됐으며, 침략의 과거사를 외면하는 일본정부를 규탄하기 위해서 매달 둘째주 화요일이면 일본 대사관 앞에 모여 일본 정부의 사과와 배상을 요구하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일본정부는 아직까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네덜란드서도 20년 간 "日 과거사 사죄하라!"

6.1. 정의기억연대 위안부 피해자 이용 논란

2020년 5월 7일 이용수 할머니가 오히려 단체가 이를 이용해 이득을 챙기고 검증 없는 행위로 불필요한 반일감정만 키우고 있다며 더이상 참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자 여기에 정의연은 "30년간 함께 운동해온 할머니들과 활동가는 가족 같은 사이"라며 '싸우기도 하고 다시 함께 운동하기도 하는 지난한 과정에서 할머니가 서운하셨던 것이나 오해한 부분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후 정의연에 각종 논란이 일어났으며, 이와중에 위안부 피해자는 갈등 유발은 그만하고 해결할 것은 당연히 해야하지만 그와 별개로 이웃인 일본과는 반목만 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을 하였다.

혹자는 윤미향 정의기억연대 위안부 피해자 이용 논란이 터지고부터 노골적으로 친일에 동조하는 이들이 생겨났다고 하는데, 앞에서도 다루었지만 위안부의 이름을 팔아 사리사욕 챙기려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들, 일본의 강제 동원에 의한 조선인 위안부 피해자가 존재하며 일본 정부와 우익 세력이 그러한 사실을 주도적으로 왜곡, 부정하고 있는 것을 두둔하거나 변명할 근거가 되지는 못한다. 어떤 잘못된 명제의 부정이 결코 항상 옳은 명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정의연이라는 위안부 관련 입장을 대표하는 단체의 문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 자체가 부정한 것으로 낙인찍혀야 할 이유가 되지 못한다. 정의연이나 윤미향이라는 인물의 문제가 심각하다고 해서 그것을 가지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전하는 관련 자료의 신빙성이나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의 불법성, 나아가 정부 및 군부 차원의 개입이 존재했으며 그것이 명백하게 식민지 피지배국에 대한 가해이자 전쟁 범죄, 인권 침해라는 사실 자체를 부정하려는 것은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라고 할 수 있다.[46] 오히려 일본군 위안부 동원에 있어 일본 정부와 군부가 조직적으로 개입(관여 내지 묵인)했다는 증거가 더 많다. # # # # '일본 정부와 군부가 일본군 위안부에 개입했다는 증거가 없다'는 주장은 이미 2007년에 한국 정부도 아니고 미국 정부의 의회 조사국이 낸 보고서에서 "일본 정부와 군이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직접 만들었으며, 일본군은 위안부의 동원에서부터 수송과 위안소 운영까지 모든 단계에 개입했다"고 명시함으로서 일본 정부의 억지 주장을 발라 버렸다. # #

자세한건 정의기억연대 위안부 피해자 이용 논란 문서로.

7. 부정파

일본 정부의 공식 인정에도 불구하고 일부 정치인들과 극우 운동가들 사이에서는 끊임없이 위안부의 정부개입 부정론을 주장하는 자들이 나오고 있다.

이들은 절대 다수가 아니며,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도 아니다. 다만 언론의 특성상 이러한 반대하는 입장이 한국에서 더 크게 이슈화가 되고 결과적으로 이들이 주류인 것처럼 보이게 되는 효과를 초래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이로 인해 한국 국민들은 일본 국민보다 감정적으로 쉽게 대응한다. 또 일본의 오프라인/일반인 여론은 아직까진 극우가 다수가 아니라고 말할 수는 있겠지만 인터넷 여론은 극우의 영향력이 만만치 않게 크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현상이기도 하다.

일본어 위키백과가 모든 네티즌이 이용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으로 극우, 혐한적인 내용만 가득한 이유를 생각해보자. 거기다 일본 위키 이용자들 대다수가 이 문제에 대해 인식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한국에서는 오프라인 여론에 대해 파악하기는 힘드니 인터넷 여론을 좀 더 면밀히 볼 수밖에 없는데 '그' 인터넷 여론이 극우들에게 잠식당한 상황이라면? 일본 여론 중 극우 여론이 소수네, 뭐네 해봤자 보이는 것은 극우가 대부분인지라 혐일 여론 형성은 자연스러울 수밖에 없다. 또한 일위백이 일본어를 못하는 외국인에게 배타적이라 일본인 위주의 시선만 작성되고 있다.

거기다 요즘은 일본 내에서도 왜곡된 역사 교육이 전면적으로 퍼지면서 일본 국민들도 한일문제에 대해 감정이 없다고는 절대 말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일본에서의 위안부의 軍개입설 및 책임/배상론에 반대하는 입장은 크게 3가지로서 위안부는 자발적으로 참가했다[47], 정당한 대가를 받았다, 피해배상의 근거가 없다 등으로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자발적 참여의 근거로는 여성들의 서명이 담긴 문서와 일본 여성 참여의 증거 등이 있는데 끌려온 여성들의 대부분은 글도 쓸 줄 모르는 경우가 많은 데다 취업 서류로 알고서 서명했다가 끌려간 경우라는 증언들로 볼 때 날조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자발적으로 참가했다는 말이 사실이더라도 위안부에게 가해진 폭력의 수위는 정상적인 한도를 넘어선 수준이었으므로 이 역시도 여성 인권의 측면에서 다뤄질 필요가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일본은 '위안부가 없다'고는 주장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리고 불법적인 모집이 없었다고도 하지 않는다. 하지만 국가가 주도하여 불법적인 위안부 모집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 일본의 주장이다. 이걸 모르고 일본은 위안부는 없다라 말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그러나 정상적인 루트가 아닌 다른 루트로 동원된 경우에는 서류상으로 남은 기록이 없다. 따라서 일본에서 보상해준 건 정상적인 루트로 동원된 경우 만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보상을 받지 못했다.

대가론의 경우 일단 위안부에 대한 대가가 지급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48] 그러나 그 과정에서 노출된 강제성과 인권유린의 경우는 별개로 논의해야 할 사항이다.

당시 여러 기록이나 증언들을 보자면 위안부의 징집 절차에는 친일조선인이 다수 협력했다는 사실도 존재한다.[49]

특히 일본과 당시 일본의 식민지였던 조선은 매춘이 합법이었고 이 때문에 조선 안에 적지 않은 매춘업자가 존재해서 이들 중 일부가 일본 당국과 손을 잡고 멀쩡한 조선 처녀를 속여 채용하거나 강제 납치, 전선에 보낸 것도 확인되고 있다. 일본 측 역시 이러한 점을 이용해서 당시 종군위안부 조달 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협잡의 책임을 업자들에게 떠넘기고 있다.[50]


즉, 많이 공부하고서 사료의 맥락이 무엇인지를 잘 파악하고 정확한 근거와 자료를 준비해야 일본 보수파 세력의 논리를 뒤엎을 수 있다.

2016년 협상 직후, 디시인사이드 주식 갤러리에서 일본 네티즌 측의 반응을 번역해 올린 글이 있는데, 반응이 하나같이 어이없는 수준이라(...)[51] 일본을 엄청 까고 있다.

7.1. 관련 자료에 대한 엇갈린 반응

한 사료에 관한 해석부터 먼저 소개한다.

2013년 8월 7일에 안병직 교수에 의해 당시 조선인 위안부 관리인의 일기가 공개되었다. 이 일기의 저자는 1942년 부산을 출항한 제4위안단 소속으로서 일기 내용과 제 4위안단에 대한 공식 자료가 일치하는 등 신뢰성이 대단히 높은 자료로 확인되었다.

한국측 보도
일본측 보도

이 자료에 대하여 한국측은 위안소의 운영에 대한 군부의 직접적 개입에 중점을 두며 사실상 일본군이 전면적으로 위안소를 운영했다는 것에 해설하고 있는 반면에 일본 측은 필자가 위안부에게 부탁을 받고 성행위의 대가로 받아 저금한 액수 중 600엔(현재 가치 수천만 원에 해당)을 본국으로 송금하였다고 기술한 내용에 대한 해설과 함께 조직적인 위안부 모집활동은 있었으나 거액을 제시한 업자의 모집행위로 인하여 군이 개입하여 모집할 이유는 없었다는 안병직 교수의 분석에 대하여 보도하고 있다.[52] 참고로 안병직 교수는 위안부의 약취, 유인에 대한 일본인과 한국인 포주의 개입을 주장하고 있으며 군의 조직적 개입보다는 '묵인' 내지 '방관'을 주로 주장하고 있다. 오히려 정부 차원에서 조직적인 할당을 했다고 보는 입장이다.

한국측에서는 이 내용을 한국 측이 기존에 주장하였던 일본군의 위안부 조직적 동원에 대한 증거로서 취급하고 있는 반면에 일본 측에서는 위안부는 거액의 대가를 받은 창녀들이었으며 업자들이 이런 거액을 대가로 여성을 모집하였다는 기존의 주장이 사실로 확인되었다고 보도하고 있다.

7.2. 일본 부정파의 주장

일본 우익은 위안부를 자발적인 매춘부로 간주하며 모집 과정이 업자에게 일임되어 문제가 있었더라도 그것은 업자와 피해당사자 양자간의 문제라고 주장한다.[53]

일본 보수파 학자(전 교수다)인 와타나베 쇼이치(渡部昇一)가 1995년 10월 시마네 현에서 개최된 '종전 50주년 기념심포지엄'에서 말한 내용을 보자.
종군위안부 문제에 일본군이 관여하였다는 말이 있으나 군이 강제적으로 모았다거나 한 일은 없습니다. 일본군은 지나(중국)에 갔을 때 현지의 여성과 문제를 일으키면 곤란하다고 생각해 매춘업자를 데리고 와도 좋다는 허가를 내린 것입니다. 그러니까 종군위안부란 매춘업자가 모은 거에요. 업자가 모집하였다는 사진도 남아있는데 이 업자의 이름을 보면 금방 알 수 있듯이 조선의 위안부를 모은 것은 조선의 매춘알선업자인 것입니다.
<이부끼>, 1995년 12월.[54]

새역모를 창설한 후지오카 노부카쓰(藤岡信勝) 전 도쿄대 교수 및 전 타쿠쇼쿠대 객원교수는 자신이 쓴 책에서 이렇게 주장한다.
위안부가 일본군에 의하여 '강제연행' 된 것처럼 사태를 기술하고 있다. 즉, 본인의 자유의사에 반하여 연행되고 노예적으로 구속되었으며 '성적 서비스'를 강요당한 '섹스 슬레이브(노예)'로 위안부 여성을 기술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심하게 사실을 왜곡하는 것이다. 실제로는 위안부들은 업자들이 데려와 전지에서 일을 한 것으로 그녀들은 '프로스티튜트(매춘부)'라고 불리는 존재였다. 즉, 그녀들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직업'에 종사한 것이다.
<오욕의 근현대사>, 39쪽.[55]

상기 서술하다시피 일본 보수파들은 위안부는 강제 연행된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일>을 한 매춘부라고 주장하고 있다. 문제는 이게 이시하라 신타로나 니시무라 신고와 같이 과격한 발언을 일삼는 진짜 보수파가 주장하는 게 아니라 '학자' 나 '평론가' 들이 진지하게 내세우고 있다는 점과 함께 주장을 뒷받침할 기록과 증거, 연구 면에서 단순히 '틀린 소리다'라고만 말할 수 있는 학술적 근거가 빈약하다고 착각하기 쉬우나 이는 위안부 문제의 연구흐름에 대한 이해도가 빈약해서 생기는 것이다. 위안부문제 초기부터 위안소가 군의시설이냐 전지민간시설이냐가 쟁점이었고, 처음에는 그냥 군 근처에 있는 민간시설이라는 식으로 책임을 피하는 논리가 나타났다. 그러나 설치지시와 운영 그리고 위안부에 대한 각종 인신구속, 모집 방식의 강제성 등 여러가지점들을 보았을때 업자는 모집을 위한 수족의 역할을 했을뿐 책임을 따져보면 범죄주체는 군,국가이며 사실상 공범임이 계속 드러났기 때문에 공창같은 민간간 관계처럼 유추해석을 할 시 위와같은 오류가 발생한다.

또 1980년대 제주도에서 자신이 여성들을 강제 연행했다고 폭로한 요시다 세이지(요시다 유우토)의 증언이 그가 세간의 이목을 끌기 위한 꾸며낸 발언인 것이 들통나면서 요시다 증언에 대한 검증하는 시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내친 김에 일본군 위안부 강제 동원 문제와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일본정부의 책임 자체를 부정하고 있는 상태이다.[56] 당시 강경한 우경화 기조를 보이던 아베 신조 내각은 이를 강하게 밀어붙였는데 유엔에서 강제연행은 없었다고 대놓고 발언하거나 교과서에서 위안부와 일본정부의 연관성을 부정하는 행보를 보였다.

다만 분명한 것은 요시다 세이지라는 개인의 증언이 날조가 있었다고 해서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와 피해 사실 자체가 부정한 것으로 낙인찍혀야 할 이유는 없으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전하는 관련 자료의 신빙성이나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의 불법성, 나아가 정부 및 군부 차원의 개입이 존재했으며 그것이 명백하게 식민지 피지배국에 대한 가해이자 전쟁 범죄, 인권 침해라는 사실 자체를 부정하려는 것은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라고 할 수 있다.[57] 오히려 일본군 위안부 동원에 있어 일본 정부와 군부가 조직적으로 개입(관여 내지 묵인)했다는 증거가 더 많다. # # # # '일본 정부와 군부가 일본군 위안부에 개입했다는 증거가 없다'는 주장은 이미 2007년에 한국 정부도 아니고 미국 정부의 의회 조사국이 낸 보고서에서 "일본 정부와 군이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직접 만들었으며, 일본군은 위안부의 동원에서부터 수송과 위안소 운영까지 모든 단계에 개입했다"고 명시함으로서 일본 정부의 억지 주장을 단칼에 부정하였다. # #

한편 일본 내 부정파들조차도 "스마랑 강간사건"의 존재까진 의외로 부정하지 않는다. 그나마도 이 사건에 대해 강제연행이 발생한 유일한 사건이며 상부의 지시에 의한 조직적 사건이 아닌 일부 군인의 일탈 정도로 꼬리를 자르며 폄하한다.

7.3. 일부 서양인들의 위안부 문제 조롱과 강제성 부정

재일 외국인들과 재한 외국인[58], 특히 친일 성향 와패니즈의 수가 많은 미국, 독일[59], 프랑스, 세르비아, 비셰그라드 그룹 등 서양인들은 위안부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그들이 모이는 인터넷 사이트나 SNS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국의 반응에 대해 빈정거리거나 한국을 비하하는 분위기도 상당한데 이런 사실은 한국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는 상황이다.

주로 "일본은 이미 여러 차례 사과했는데 왜 또 난리냐.", "돈 뜯어내려고 또 시작하네."라는 반응이 주를 이루고 한국도 베트남에서 똑같은 짓을 했다는 물타기가 부수적으로 나온다. 그러나 명심해야 하는건 베트남 전쟁은 무엇보다도 대한민국이 내전 중인 월남을 도와주러 간거지 침공이 아니다.[60] 베트남 전쟁에서 있었던 사건들은 절대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주도된 것이 아니고, 반 인륜적인 범죄가 일부 군사들로 인해 시간에 걸쳐 일어난건 사실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대한민국은 진보냐 보수를 가리지 않고 김대중 정권부터 단순히 돈으로만 해결하고 과거사 문제를 무조건 부인하는 일본 우익정당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공식적인 사과를 하고 보상을 하였다. 게다가 많은 한국인들도 이 문제를 단순하게 여기지 않고 있으며 베트남 전쟁의 민간인 살인은 확실히 사과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특히나 일본에 주재중인 서양인들이 즐겨 찾는 특정 외국어 뉴스 사이트 등지에서는 다른 주제에서는 외국인 입장에서 일본을 중립적, 혹은 비판적으로 보는 댓글들이 많이 달리는데 반해 위안부 문제, 과거사 문제 기사만 나오면 한국을 비하하고 일본을 옹호하는 댓글로 도배된다. 그 가운데 나치에 당했던 동유럽 국가 국민들이 일본의 전쟁범죄는 함구하거나 옹호하는 일이 허다한데 냉전 때의 영향이 크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서 일본의 입장에 동조하는 파키스탄인 와패니즈를 한 학기동안 상대한 미국인 교수의 기고문, 원문

학계에서도 일본의 입장을 옹호하는 서양인들이 있는데, 일본 레이타쿠대학의 미국인 조교수 제이슨 모건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증언은 날조된 것이며 강제납치는 없었고 한국은 양반제도 하에서 어린 소녀를 수세기간 사고 팔던 나라, 위안부는 한국인 포주들이 모집한 것, 진짜 성범죄 피해자들은 소련군에게 당한 일본 여성들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하버드 대학교 교수인 존 마크 램지어 게임이론에 비유하며 일본군 위안부는 성매매를 강제당한 성노예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논문을 작성하여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계 교수에게 비판을 받았다. #

2019년 10월 미국 글렌데일의 소녀상을 훼손한 미국인( 히스패닉)이 체포됐다.

7.4. 한국 부정파의 주장

한국에서 부정파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주장하고 있다.

보수논객 지만원은 '최근 TV에서 보이는 위안부 할머니들이 지나치게 건강하다', '최근 TV에 나오는 위안부 할머니들은 연세가 그렇게까지는 많아보이지도 않고 건강도 매우 좋아보이며 목소리에도 활기가 차있는 분'이라고 주장하면서 매주 수요집회에 나가고 있는 위안부 생존자들이 진짜 위안부가 아닐 가능성을 제기했다.[61]

기사 내용에 따르면 지만원은 "종군위안부 가운데 '진짜 일본군 위안부'를 가려내는 일이 얼머나 어렵겠느냐"면서 "종군위안부들이 대개는 '노인이 돼서 기억은 잘 나지 않지만 당한 건 사실이다'라며 우기는 경우가 많다"라며 위안부를 '일본군 위안부'와 '종군 위안부', '정신대'로 구분한 뒤 '진짜 피해를 본 '일본군 위안부'는 전체 20% 정도이며 어려운 형편에 스스로 성(性)을 판 종군위안부가 80%쯤 된다더라'고 주장했다.

또 자신의 홈페이지에 올린 '위안부 문제를 해부한다(상)'라는 제목의 글에서 "1944년 당시 15세 이상의 여성이었다면 지금은 최소한 78세 이상이 돼야 하고 현재 몸도 건강하지 못하다는 게 진짜 할머니의 증언"이라며 지난해 11월 일본 대법원에서 6하 윈칙에 따라 확실한 '일본군 위안부'였다고 인정받은 할머니는 단 1명으로 이 할머니가 인정하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는 33명인데 이 가운데 시위에 나가는 할머니는 없다고 말했다. 그리고 위안부에 대한 배상 문제를 따지기 전에 위안부들의 부정확한 증언도 지적했다.[62]

이와 관련된 사례로 지만원은 "가짜 위안부가 북한의 사주를 받은 이들의 돈 받고 시위한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그리고 이 발언은 명예훼손죄로 고발당해서 지만원은 실형을 선고받았다.[63]


뉴라이트 안병직(서울대학교)의 위안부 강제연행 부정

안병직 뉴라이트 재단 이사장은 한국이고 일본이고 객관적인 자료는 하나도 없다고 말한 적이 있다.

안병직은 "일제강점기 정신대는 강제동원이 아닌 자발적 매춘이었다"라고 주장하여 파문을 일으킨 바가 있었는데 위안부 생존자가 안병직이 특강을 하는 서울 인창고를 찾아가 교문 앞에서 시위 형식으로 통곡하기도 하였다.

현재 안병직은 일본군이 위안부를 강제동원을 했다는 책을 출판한 것을 보니 생각이 바뀐 듯하다.

또한 이들은 1991년 당시 일본 총리가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피해보상기금을 제의했으며 대부분의 위안부는 그것을 받아들였으나 오직 현재 수요집회를 주도하는 자들만이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몇 십억 엔 가량의 규모였고 일본 총리의 사과문이 들어있었다고 주장했다.

해당 기금은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 기금'으로 1991년이 아닌 1994년에 총리의 고노 담화로 구체화되었고 1995년에 출범하였다. 이는 일본 총무성과 외무성이 관리하고 일본 정부 예산 약 5억 엔과 일본 국민의 모금 5억 엔을 합친 10억 엔 규모의 법인이었고 배상액은 1인당 2백만 엔 정도였다. 하시모토 당시 일본 총리의 사과문이 포함되어 있던 것은 사실이다 실제로 위안부 피해자 61명이 보상기금을 수락했으며 이들이 '정당한 보상과 사과를 받지 못한 위안부'라는 대중의 인식 속에서 잊혀진 것, 그리고 이들의 입장이 현 위안부 문제를 주도하는 단체들에게 '변절자'로 무시당한다는 지적 자체는 사실이다.

물론 일본 정부는 위안부에 대해 한일기본조약으로 배상이 '끝났다'는 입장이었으며 법리적으로도 문제가 있는 사항이 아니다.[64] 다만 국제 NGO인 엠네스티에서는 '일본이 1995년 설립한 아시아 여성기금은 국제적 배상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며 국제적·법적 책임을 교묘하게 피해가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 외에도 여러 국가의 일본군 위안부 출신자들이 이 기금의 수령을 거부한 바 있었고 2007년으로 아시아여성기금은 활동을 종료하고 해체했다. 그러나 반대로 실제 피해자중 61명이 이 기금을 수령한 것, 그리고 일본의 사과를 받아들인 것은 사실이다.[65]

이외에도 일본군 위안부의 주된 비판단체로 나서는 정신대대책협의회[66]의 몇몇 주요 간부가 조총련, 범민련, 조평통 북한의 대남공작기관과 관련된 종북주의자들이 주도하는 단체이며 수장인 윤미향도 저들 단체와 간접적인 연관이 진하다는 주장들도 일부 있다. 그리고 서술방식이 남한보다는 북한 입맛에 맞게(?) 자극적인 서술방식에 호소한다는 주장들도 일부 있다.[67] 이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자체를 완전히 부정하는 극우들 사이에서도 주된 논거로 많이 써먹지만, 정대협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있어서 '종북성향의 단체'라고 보는 시각은 단순 보수성향의 회의론자들 사이에서도 가끔식 보이는 주장이다.[반론]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에서 나온 일본군의 특성이 실제 일본군의 특성과 다르며 헬리콥터 부대의 존재, 지프차 운용, 영어 사용, 크리스마스 풍습, 군복하의에 붙어있는 지퍼, 한국전쟁 광경 거론등을 비롯한 기술적으로도 시대적으로도 10~20년 차이가 나는데다 미군의 특성이며 몇몇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에서 나온 일본군의 특성이 실제 일본군(예를 들면 일본군은 군복 특히 하의에 지퍼를 사용한 것이 아니라 단추를 사용했고 영어는 적성국의 언어로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과 일치하지 않고 오히려 2차세계대전 당시~한국전쟁까지의 미군을 가르키고 있다는 것과 일본의 동남아시아 점령연도에 대한 증언의 고증오류(동남아시아가 일본에 점령된 연도가 1940년대인데 1930년대에 동남아시아로 위안부로 끌려갔다는 증언)를 지적하는 내용의 글이 있다.[69] , 구 일본 육군은 '오토자이로'를 운영했는데, 그런 육군과 더불어 육군의 남방전선 전개를 전담한 육군선박사령부(船舶司令部)가 헬리콥터와 유사한 체계인 오토자이로 '카호'를 관측기 및 대잠 초계기로 중국 및 필리핀 등 남방전선 일대에서 운영했다. 또한 1935년부터 지프와 유사한 95식 4륜 자동차를 운영하였기에 그 당시에는 해당 무기체계의 명칭을 몰랐으나 종전 이후 오토자이로를 헬리콥터로 95식을 지프로 인식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그 외에도 상술했듯 몇몇 위안부 피해자들의 실제와 다르게 과격한 쪽으로 번복되거나 부정확하고 고증에 맞지 않는 증언[70], 한국인 위안부 관련 국내 기록의 부재, 위안부 관련단체와 민족주의자들, 그리고 한국정부의 위안부 문제에 대한 정치적 이용[71], 한국정부가 은폐한 한일기본조약을 인지함, 일본군 위안부 관련 국내단체에 대한 불편한 진실을 인지함, 일본에 대한 위안부 문제제기의 배후에 종북주의자와 북한 정부 및 더 나아가 배후에 친중과 중국공산당의 선동하고 있다는 반북중감정등으로 위안부 문제 부정파가 되는 사례도 있다.[72][73]

더군다나 박근혜 정부의 위안부 합의 이후에 그간 진보 보수 할 것 없이 위안부 문제로 일본을 공격해왔던 관행에서 벗어나 일부 극단적 보수 세력을 중심으로 부정파가 등장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그간 적어도 정치권에서는 진보 보수 할 것없이 모두가 이득인 문제였지만 합의 이후로 조금씩 변화할 여지가 보인다. 이것은 향후 한국의 부정파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박근혜 탄핵 이후 범보수세력에서 위안부 합의를 잘못된 합의로 여기는 경향이 대세가 되고 대선후보도 파기를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다시 예전의 국공합작(?)으로 돌아갈 경향도 있다.

역사 갤러리 및 여기서 파생된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마이너 갤러리에서는 이거 자체가 상당히 민감한 사안이라, 논란을 확산시키지 않기 위해 ㅇㅇㅂ 등의 초성체로 돌려말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2022년 이후부터는 대놓고 매우 극단적인 혐오발언을 동원해 가면서 최대한 악랄하게 비하하고 있다.

7.5. 역사학자들의 공개서명 움직임

최근 주목할만한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는데, 2015년 5월 6일 전세계적으로 저명한 역사학자들이 모여 '일본의 역사가들을 지지하는 공개서한'이라는 성명서를 공개했다. 이 성명서는 일본 아베 신조 총리에게 보내진 이후 국내 연합뉴스 연합뉴스TV를 통해 공개된 것이다. 이 집단성명에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역사학자 187명의 서명이 들어가 있으며,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왜곡하지 말고[74] 사실 그대로 인정해야 한다는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있다. 특이한 점은 이 성명서에 이름을 올린 학자들 중 일부는 일본 근·현대사를 다룬 연구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기록이 있으며, 일본 정부가 수여한 상을 받은 학자들도 다수 포함되어있다는 것. 더불어 단순히 일회성에 그친 일이 아니라 참여하는 학자들이 점점 늘어나고있다.

2주가 지난 19일에 집계된 학자들은 456명으로 2배 이상 늘었다. 추가 성명에 참여한 이들은 일본학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이안 브루마, 독일 일본학연구소(DIJ)의 프란츠 발덴베르그,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의 세바스찬 르셰발리에, 미국 코넬대의 사카이 나오키 등이다. 6일에 발표된 성명서를 미국과 호주의 학자들이 이끌었다면, 이번에 참여한 학자들은 주로 유럽과 일본의 학자들이다. 집단성명에 참여한 학자들의 전공도 역사학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정치학, 인류학, 문학, 종교 등 다양해지고 있으며, 지역별로도 미국과 유럽, 일본, 호주, 남미 등 그야말로 전방위적으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학자들이 집단행동에 나선 것은 역사상 유래없는 일인만큼 일본 정부와 아베 총리에게 상당한 압박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 언론에서 집단성명의 취지를 지나치게 확대해석했다는 일본 언론의 견해가 존재한다. 원문기사[75] 하지만 일본 언론이 지적한 한국 언론의 왜곡 보도 문제는 실제 연합뉴스의 보도 내용과 교차검증시 일본 언론의 '왜곡 주장'에 오히려 오류가 있으며 역으로 일본의 일부 언론이 '일본군, 위안소 관여'의 내용을 제외하고 보도하고 있다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언론에 따르면, 이번 집단성명은 일본 정부 아베 신조 총리를 향한 정치적인 압박, 요구보다는 요청에 가까우며 아베 총리의 美 의회 연설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성명서 어디에도 평소 한국 언론이 자주 사용하는 '비참한 야만 행위', '성노예', '희생'이라는 말이 없으며 집단성명의 의미는 평화나 인권·민주주의의 가치를 추구해 온 일본이 문제의 해결을 주도해야 한다는 게 성명서의 의미라 말하고 있다. 그러나 알렉시스 더든 교수의 연합뉴스 인터뷰에 따르면 "이번 성명은 일본 내에서 위안부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이 일부 정치인들과 여론주도층에 의해 공개적으로 부정되고 있는 데 대한 집단적이고 깊은 우려를 보여주는 게 주된 목적이다."라고 말하고 있으며 "아베 정권에게 과거 고노 담화 때처럼 과거사에 대한 책임을 정면으로 받아들이고 역사 왜곡이나 정치 쟁점화를 하지 말라는 직접적 호소를 보낸 것이다."라고 언급하고 있다.[76] 이번 집단성명은 오해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한국과 중국의 역사학자들을 의도적으로 제외하는 과정이 있었다. 최종 결과물인 집단성명을 어떻게 해석할 지는 각자가 알아서 판단하자.

7.6. 5ch(전 2ch)의 반응

아니나다를까 자기들만의 리그를 펼치는 2ch에서 특히나 혐한여론이 심한 곳(동아시아뉴스+판, 한글게시판, 니다게시판의 '혐한 트로이카'로 대변되는)은 잠자리에 끌여들인 주제에 자기는 피해자라고 주장하는 꽃뱀이라는 사과도 없이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죄를 덮어씌우는 태도를 보이며 피해자를 모독하는 창작물을 양산하고 있다.

8. 관련 미디어

일본 원로 만화가이자 중일혼혈인 이시자카 케이[77]가 1984년에 영점프에 게재한 단편 돌격일번(突擊一番)[78]일본 최초로 위안부에 대해서 다룬 작품이다. 여기서는 조선인은 물론 일본인도 피해자로 다루었으며 반전, 군국주의 비판 뿐만 아니라 전쟁으로 고통 받던 여성들의 내면까지도 세밀하게 표현했다.[79] 이 작품을 연재했던 당시 신인이었던 작가는 엄청난 욕설편지와 협박을 받았다고 한다. 위안부라는 용어 대신 모두 정신대라고 표기하는등, 실제 역사와는 다른 고증오류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는 대부분의 자료가 은폐되어 있었던 당시 환경에서 충분히 조사하지 못한 탓도 있다. 80년대에는 위안부의 실체에 대해서는 역사적 자료가 나오기 전이었고, 대부분 생존자의 간접적인 증언에 의존하고 있었다. 물론 이 점을 감안하고 감상하더라도 충분히 위안부 문제의 핵심을 꿰뚫는 주제와 작품성을 가지고 있다.

1991년에 개봉한 영화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가 처음으로 다룬 영화이지만 흥행과 비평은 참혹했다. 영화상 조센삐는 조선 여자를 낮춰 부르던 일본군들 은어인데 당시에는 정신대라고 불렀기에 정신대로 나온다. 하지만 감독인 지영호는 고금소총 시리즈같은 에로물 전문 감독이었으니...

1995년에 놀랍게도 일본 현지에서 거짓말쟁이 여자, 영자라는 무대가 올라왔었는데, 순수하게 일본인 스태프로 구성된 작품인데, 왜곡 하나 없이 위안부에 대해 정확하게 내용을 그리고 있어서 양심작으로 남게 되었다. 국내에서도 여러 번 상영되기도 했다. 이 무대의 조명감독은 성우인 스즈무라 켄이치의 장인어른이자, 사카모토 마아야의 친아버지인 사카모토 요시미 씨.

파일:external/ph.mediatoday.co.kr/116526_129635_4259.jpg
1995년, 1997년, 1999년에 3편까지 나온 변영주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낮은 목소리>는 실제 피해 여성들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특히 1편은 1995 서울독립영화제 출품 때부터 비평은 좋았지만 세 편 다 전국 관객이 1만 명도 못될 정도로 흥행은 그리 거두지 못했다. 일본에서도 몇몇 소규모 제한 상영관에서 개봉했는데 극우 단체들이 소화기를 뿌리고 온갖 방해공작을 벌였다.

2015년 8월 13일에 개봉된 임선 감독의 영화인 마지막 위안부라는 작품도 있는데 일본군 군부에 끌려온 조선인 여성과 중국인 여성, 이들을 도와주는 일본인 여성까지 세명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그리고 2016년 개봉한 귀향이 위안부 문제와 소재를 다룬 영화에서 처음으로 흥행에 성공하고 관심도를 가지게 되었다.

또 1년 뒤인 2017년에 위안부 관련 영화로 아이 캔 스피크가, 2년 뒤인 2018년 6월 허스토리가 개봉했다.

만화로 위안부 문제 알리는 프랑스인…"피해여성 돕고 싶다"

2018년 10월 일본에서 열릴 예정인 한 위안부 소재 영화의 상영회를 앞두고 일본 극우 인사들이 상영회를 후원하는 지자체에 집단으로 항의를 하며 조직적으로 방해를 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위안부 소재 영화 상영회에 日극우들 '항의 테러' 참고로 해당 위안부 영화는 재일교포 2세 박수남 감독이 연출한 '침묵'이라고 한다.

미즈키 시게루의 만화 에세이 중에서도 위안부를 목격한 일을 증언했다.

가스 이니스[80]의 배틀필드-'빌리에게'(Battlefields: Dear Billy): 주인공이 일본군 위안부 출신의 영국인 여성으로 일본군들의 학살에서 살아남아 군병원에서 낮에는 간호사로 활동하면서 밤에는 병원에 있는 일본군 포로들을 죽이는 주인공을 둘러싼 주변인물의 이야기와 혼란스런 세계정세 사이에서 고통받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특히 전후 연합군이 소련의 영향력 확대를 막기위해 일본을 지원해야 한다는 얘기를 듣고 진심으로 분노하며, 국제관계 속에서 뒷전으로 보내진 피해자들의 고통을 상당히 리얼하게 묘사했다. 리뷰글[81]

2015년 작 영화인 눈길도 있다. 이 영화는 위안부 소녀들을 중심으로 끔찍한 사실까지 가리지 않고 적나라하게 보여주어 당시 시대의 배경이나 피해자들의 고통, 그리고 피해자들의 현실을 배우기 좋은 영화이다.

프랑스의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소설 에서 일본군 위안부, 재일교포에 대한 차별, 일본의 우경화 문제를 같이 엮어서 준 주인공급 에피소드로 다뤘다. 마치 한국인이 쓴 글처럼 자세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쓰여 있다.

9. 기타

  • 일본군 위안부 최초 증언한 고 김학순 피해자 이전에 1975년 10월 일본 오키나와에서 자신의 과거를 밝힌 배봉기 피해자에 대해서 알려지지 않다가 2018년에 들어서서 조명되고 있다. #
  • 일본에서 1991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증언을 처음 보도한 전 아사히신문 기자 우에무라 다카시(植村隆)로. 이 기사로 자신은 물론 딸의 신상까지 털렸다. 게다가 대학교수 임용도 막혔다고 한다. 다행히 현재 가톨릭대학교 초빙교수로 활동중이다. 최근 자신의 경험 바탕으로 책을 냈다. #
  • 2004년에는 네띠앙이 연예인 이승연과 계약을 맺고 위안부 컨셉으로 누드화보를 찍어서 상상 이상의 비난을 받은 적이 있다. 이승연은 위안부 피해자들을 찾아가 무릎을 꿇고 사죄하며 일단락되는 듯 했지만 며칠 후 바로 네띠앙에서 촬영 강행을 선언하며[82] 다시 한 번 비난받았다.
  • 일본에서는 종종 "군대에 여자가 붙는 것은 당연한 속성"이라면서 위안부 문제의 심각성을 덜 속셈으로, 미군의 성범죄/매춘 통계나 한국전쟁 당시 양공주 한국군 위안부, 혹은 베트남 전쟁 당시에 생겨난 한국-남베트남 혼혈인 라이따이한등을 예시로 들며 일본군 위안부와 비교한다. 링크 1, 링크 2. 위안부 문제는 일본만이 저지른 잔악행위가 아니라 전쟁이면 으레 생기는 비극이라는 논리. 당연히 전형적인 피장파장의 오류이다.
  • 2012년 1월 8일 주한 일본 대사관에 화염병을 던진 중국인 류창이 검거되었다. 그는 자신의 외할머니가 일본 때문에 피해를 입은 한국인 위안부였으며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합의를 거부하는 것을 보고 범행을 결심했다고 한다. 또한 그는 자신이 야스쿠니 신사에 불을 질렀다고 주장했다. 한국에서 징역 10개월의 형기를 마치자 일본 정부에서는 야스쿠니 신사에 방화한 죄는 일본에서 처벌받아야 한다며 일본으로 인도해줄 것을 요청했고 중국 정부에서는 그가 일본에서 정치범으로 처벌받을 상황을 우려하여 중국으로 송환해줄 것을 요청했으며 한국 정부는 중국의 요청을 받아들여 그를 중국으로 송환했다.
  • 2012년 5월 5일,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이 서대문구에 개관되었다. 당초엔 서대문구의 독립공원 내에 건립될 예정이었으나 광복회 등 독립 유공자 단체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광복회의 반발 내용을 요약하면 '순국 사실로 애국심을 고취하려는 의도가 주 목적이 되는 독립공원에 일본에게 별 항거 없이 끌려갔다는 내용의 사료를 전시하려는 박물관은 성격적으로 어울리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일리가 전혀 없다고는 할 수 없으나 그럼에도 광복회 등 독립 유공자 단체가 내세운 의견은 당시 엄청난 비판을 받았다. 왜냐하면 피해를 받았다는 사실로 경각심을 일깨우는 것 또한 애국심을 고취하는 한 방편임이 분명하기 때문이었다.
  • 2012년 8월 9일, KBS 드라마 《 각시탈》에서 위안부 문제를 묘사하였다. 관동군의 요청을 받아 간호부 모집으로 속여 조선인을 총독부가 조직적으로 모집했다는 내용이다. 특히 조선총독부가 공식적으로 개입을 했음에도 민간업자를 위장하여 기록을 남기지 않으며 '뒤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우리는 한 적 없다라고 주장하면 된다'라는 내용을 담아 현재의 일본 상황을 비판하였다.
  • 2013년 3월 1일을 앞두고 이런 노래가 나눔의 집에 배달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유튜브 측에서 규정 위반으로 삭제한 상태. 1, 2, 3, 4, 5

    종편 채널 a가 이 사건에 대해서 취재했다. 앵난무류(스크램블)이란 인디 밴드 작품이며 일본 현지에까지 가서 취재했지만 끝내 인터뷰에 응하진 않았다.[83] 그리고 일본 현지에서도 평이 좋지 않다. 동영상에서 인터뷰한 일본 여성이 말한 대로 나라 사이의 문제를 떠나서 노골적인 폭언을 하는 것도 문제지만, 구 일본군의 위안부 제도는 근본적으로 여성의 가치를 심하게 말하자면 오나홀 정도로 떨어뜨리는 비인간적인 제도였기 때문이다. 위안부 제도로 상대적으로 피해를 덜 입었던 서양인들도 싫어하는 이유가 그것이다.
  • 2013년 9월 2일, 2012년도에 당시 집권당이었던 일본 민주당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상당히 전향적인 사과계획이 있었다는 사실이 공개되었다.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 직전까지 갔었다” 주 내용은 주한 일본대사가 일본 정부를 대표해 피해자들에게 사죄하고, 노다 총리 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인도적 지원 조치를 설명하며, 보상금 등 인도적 지원은 100% 일본 정부 자금으로 충당한다는 3가지 방안이었으나 이명박 정부가 이를 거부했다고 한다. 당초 위안부들에게 배상의 목적으로 설립된 아시아여성기금이 일본 정부의 책임 회피를 위한 꼼수라는 비판을 들었기 때문에 일본 정부가 직접 배상을 목표로 추진한 것. 다만 일본 정부"1965년 한일기본조약으로 법적 배상 책임은 종료하였다는 입장은 유지했다. 즉,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가 직접 배상하는 것인 만큼 실질적인 배상으로 받아들였으면 한다"라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위안부 지원단체와 외교통상부는 "법적 책임을 인정한 것이 아니다"라며 반대하였고 일본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이후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으로 인하여 한일관계가 악화되고 자민당이 집권하게 되자 일본의 사과 계획도 물 건너갔다. 이에 대해 진창수 세종연구소 일본센터 소장은 "양쪽에서 좀 더 신중히 검토하였어야 했다, 일본도 자민당이 사과 계획을 세울 리 없고 한국도 그때보다 사과 요구 수준을 높인 만큼 위안부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이 없어졌다"라며 안타깝다는 입장을 보였다. 관련 기사 하지만 저 당시 일본측이 제의한 '사사에안'은 박근혜 정부 시절 합의된 한일 위안부 합의 보다도 세부적인 내용에서 격이 더 낮은 합의안으로 일본 총리도 아닌 주한 일본 대사가 일본 정부를 대표해 피해자들에게 사죄한다는 부분만 봐도 격이 많이 낮은 사죄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84] 그런 점에서 봤을 때 저 당시 이명박 정부가 '사사에안'에 맞춰서 한일간의 위안부 합의를 타결 했다면 현재의 한일 위안부 합의 이상으로 엄청난 비난과 전국민적인 비판을 받았을 것이다.
  • 와패니즈들의 활약 덕분에 유튜브 등의 서양권 사이트에서 토니 마라노의 소녀상 조롱 동영상 등 일본의 의견을 지지하는 동영상이나 자료가 큰 지지를 받고 추천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괴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여러 댓글에도 피해자들한테 성적인 모욕을 내뱉고 이에 반박하는 한국 네티즌들에게 증거가 없다는 등, 일본 네티즌들이 오히려 정확한 증거들 들고 온다는 등 일본 측을 옹호하는 주장들이 판치고 있다.
  • 일본에 일본군 위안부를 외면하는 사람들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일본 내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가장 포괄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곳은 와세다에 위치한 wam(Women's Active Museum on War and Peace, 女たちの戦争と平和資料館, 여성들의 전쟁과 평화 박물관)이 있다. 홈페이지 학예원인 와타나베 미나는 일본 내에서 가장 활발하게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공론화 시키고 일본을 올바른 길로 이끌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평.
  • 2015년 2월 28일과 3월 1일, 2회에 걸쳐 KBS 1TV에서 8.15 광복 70년 특집극 눈길을 방영하였다. 1944년 어느날, 15살 소녀 최종분( 김향기)과 강영애( 김새론)가 만주 지역 위안소로 끌려가 그 곳에서 겪는 처참한 광경을 담고 있다. 직접적인 겁탈하는 장면은 제하고, 그 외에 여러 위안부들이 겪었을 만한 내용들이 극 중에서 전개되어 간다.[86] 거기에 아역배우로는 정평이 난 김새론과 김향기가 열연을 하여 한층 더 극의 완성도를 높였다. 그러한 과거의 소녀들의 모습이 현재의 나이 든 최종분( 김영옥)과 교차되어 살아남은 그녀의 삶과 애환을 보여준다.
  • 2015년 6월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한 고등학교의 어느 동아리는 위안부 피해자 어르신 분들의 뜻을 기리고 응원하고자 하는 의도와 동시에 아베 신조 총리의 진심어린 사과를 요구하는 의미에서 전교 학생들이 다같이 주한 일본 대사관에 자필 엽서를 보내는 과감한 캠페인을 열었다.
  • 2016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 2007년도 우승자인 일본의 모리 리요(森理世)가 심사위원으로 참가했다. 모리는 한국 대표 김제니에게 한 질문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것이었다. 여성인권과 권리증진을 표방하고 있는 국제대회에서 민감한 정치외교 문제를 일부러 끄집어내는 행위는, 떨어뜨리려고 한 질문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 게다가 심사위원이 이해당사국 출신이란 점 때문에, 위압적인 분위기까지 연출되었다고. 이에 대해 모리는 "어떤 인종으로부터 어떤 질문을 받을지 모르는 거니까, 그런 상황에서 얼마나 현명하게 대답할 수 있는가가 심사 포인트"라는 망언을 했다.
  • 2016년부터 대한민국의 프로야구단 SK 와이번스 8월 14일 즈음 개최되는 홈경기에서 일본군 위안부 관련 행사를 진행한다. 이어서 2017년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8월 14일을 위안부 기림일로서 공식 지정한 것을 기념하여 새로운 유니폼을 선보이기도 하였다. 해당 문서로.
  • 일제강점기 당시 한국에서는 딸들을 위안부로 보내지 않기 위해 일찍 시집을 보내거나, 여유가 되는 집에서는 아예 고등여학교를 보냈는데, 시집간 부녀와 학생들은 위안부로 끌고 가지 않았기 때문.
  • 위안부 문제는 과거에는 주로 한국과 일본 간의 문제다. 위안부 문제가 국제사회의 전폭적인 관심과 지지를 얻게 되는 시점은 1990년대 코소보와 르완다 등에서 대규모로 발생한 조직적인 강간을 계기로 국가 또는 분쟁당사자에 의해 자행된 여성에 대한 폭력문제가 논의되기 시작했다. 2000년 유엔 안보리 처음으로 무력분쟁 지역에서의 여성에 대한 성폭력 근절, 분쟁예방 및 해결과정에서의 여성 참여 확대 등을 내용으로 하는 1325호 결의안이 가결되었다. 이 시점을 기점으로 위안부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도가 높아졌다. 거기에 최근 미투 운동의 열풍과 페미니즘의 진전으로 인해 위안부 문제는 이제 단순히 한국과 일본 간의 외교나 과거사 문제가 아니라 여성의 인권, 성폭력이라는 국제적인 문제로 발돋움했다. 최근 존 마크 램지어 교수의 발언에 미국/유럽등 국제적인 비판들이 쇄도하는 이유가 바로 이러한 국제적인 배경에 따른 것이다.

9.1. 위안부 2차소송

  • 위안부 2차 소송 항소심 원고일부승…"청구액 전부 인정" [88]

10. 관련 사업 및 기록

10.1. 평화의 소녀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평화의 소녀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2. 위안부 평화비

국내에서는 2012년 공주 지역 8개 고등학교 학생들이 서명운동과 모금활동을 통해 최초의 민간 추모비를 건립했다. 통영과 거제에도 세울 계획이 있다. 그리고 통영에 건립 계획이 확정되었다.

해외의 경우 2008년 오키나와 미야코지마 섬에 세워진 것을 시초로 2010년 10월에 뉴저지 주 팰리세이즈파크에 미국 최초의 위안부 추모비가 건립되었으며 2012년 6월 21일에는 미국 뉴욕에서 위안부 추모비가 건립되었다. LA에도 건립할 계획이라고 한다.

일본측은 위안부 기념 동상을 철거하기 위해 일본 대표들과 뉴욕일본총영사관에서 팰리세이즈시 정부에 위안부 동상을 철거하면 일본 정부가 그 대가로 도서관 서적 기증, 벚꽃길 조성 청소년 교류 추진 등을 지원하겠다는 제안을 했으나 이는 거절되었으며 시 정부는 위안부 기념상을 지키겠다고 선언했다.

극우성향의 재미 일본인(+친일 미국인)들은 이를 철거하라고 계속 로비 공작을 벌여왔는데 심지어 2012년 6월 9일에 백악관에 청원까지 넣는 일이 발생했다. 해당 청원의 일본인 서명자는 32,000여 명. 이에 대해 한국측에서도 추모비의 존속을 요구하는 청원을 넣었으나 청원이 통과되기 위해서는 25,000명의 서명이 필요했던 상황이었다. 하지만 일본측 청원 서명자의 반에도 못 미치는 14,000명의 서명만을 받고 2012년 7월 14일 00시부로 한국측 청원은 한국인의 무관심 속에 조용히 기각되었다.

다만 일본 우익들은 뉴저지나 뉴욕 주정부도 아닌 백악관에 청원을 넣었다는 일이다. 미국은 연방제 특성상 일본이나 한국과는 전혀 다르게 주 정부와 연방정부가 명목상 동일한 위치에 있으므로 설령 백악관이 갑자기 이 청원을 받아들인다 하더라도 실제적으로 주 정부들에게 철거를 요구할 권리는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게다가 미국의 헌법 특성상 주 정부가 그런 요구를 수용할 일도 없다.

이것은 우익 일본인들이 주동하는 것으로 일본 정부의 입장은 위안부를 완전히 부정하는 것이 아닌 이제까지 일본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많이 노력해왔다는 것을 미국에 인지시키는 것이다. 노다 요시히코 前 총리 역시 이렇게 발언했다. 출처.

여기에 대해서는 진짜 사과라는 의견도 있고 최근까지도 일본 위안부 문제에 대한 미국의 반응 때문이라는 시각도 존재하지만, 일본이 미국의 하원의원장에게까지 로비를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10.3. 2017년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

2016년 6월에 위안부 기록물 2,744건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신청한 상황이다. 2017년 10월 말에 파리에서 등재 여부가 결정된다.

현재 일본은 이에 대응하여 유네스코를 압박, 세계기록유산 새 심사안을 가결시켰고 # IAC 의장에게 심사연기를 요청한 상태이다. ##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워낙 핫한 사안인지라 다른 등재 신청 후보들보다 훨씬 더 많은 정치적, 경제적, 외교적 지원을 받고 있다고 한다. 비공식적인 이야기에 따르면 현재 유네스코에 같이 올라간 다른 3건[89]을 모두 합친 것의 몇 배에 이르는 지원을 받고 있다고.[90] 대신 반대급부로 일본의 공격 또한 가장 심하게 받고 있다.

2017년 10월 27일 일본 NHK에서 유네스코 국제자문위원회(IAC)가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심사를 보류한 것으로 보인다는 기사가 올라왔다. 연합뉴스, 중앙일보 다만 NHK의 추정으로 아직 유네스코의 공식 발표는 없다.

2017년 10월 31일,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등재가 공식적으로 보류되었다.

얼마나 일본이 집요했는지 심사위원들 공짜 여행까지 시켰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 라고 했으나 불법은 아니라고 한다.[91]

11. 민사 소송

11.1. 제1심 서울중앙지방법원

  • 사건번호 :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가합580239

서울중앙지방법원 2021. 4. 21. 선고 2016가합580239 판결 각하 판결이 나왔다

11.2. 제2심 서울고등법원

  • 사건번호 : 서울고등법원 2021나2017165
  • 재판부 : 서울고법 민사33부(재판장 구회근 부장판사·황성미·허익수 고법판사)

서울고등법원 2023. 11. 23. 선고 2021나2017165 판결


원심 판결이 뒤집히고 원고 측이 승소했다 [판결] 위안부 피해자들, 日 상대 손해배상 항소심서 승소… 법원, 1심 '각하' 취소 피고인 일본 측이 항소하지 않아 이 판결이 확정되었다

12. 관련 기사

13. 관련 문서 및 인물

1939년 상해파견군 제14병참병원 외과병동에 근무하던 군의관 아소 테츠오(麻生徹男) 소위가 인근 중국 초등학교에 설치되어 있던 육군오락소를 방문해서 거기에 있던 위안부들을 검진했는데, 그곳에는 북큐슈에서 온 일본인 매춘부 20명과 조선에서 끌려온 젊은 여자들 80여명이 있었다. 그런데 성병 검사를 한 후, 아소 테츠오는 "일본인 여자들은 나이가 많거나 매춘일을 해와서 성병이 있거나 성병으로 의심되었던 반면, 조선인 여자들은 나이가 어리고 성경험이 없어서 성병이 없다."라는 보고서를 냈고, 이 때문에 일본군은 조선인 여자들을 집중적으로 위안부로 끌어들였다는 것이다. 또한 위 링크에 따르면 상하이파견군 참모부장 오카무라 야스지는 자기 입으로 "예전의 전쟁 시대에는 위안부 등은 없었다. 이렇게 말하는 나는 부끄럽지만 위안부 창설자다. 제 6가단 같은 부대는 위안부단을 데리고 다니면서도 강간죄가 끊이지 않는 상태이다."라고 고백하기도 했었다.}}} 일본의 '전쟁 책임 자료센터'에서 <전쟁책임연구>라는 계간지를 간행하고 있는데 거기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부분을 뽑아 놓은 책. 일본 극우들의 레퍼토리인 '종군위안부는 공창이다!' 는 데 대하여 '군이 직영하거나 감독하는 위안소는 일본의 공창제를 구성하는 법규에 의해 통제되지 않는 별도의 조직인데 이게 어딜 봐서 공창이냐' 고 반박하고, 더 나아가 공창에 대해서도 일본 정부의 관여를 은폐, 인신매매 부정(해당 재판사례 제시), 명목상 사창이지만 사실상 공창이나 다름 없었던 것, 그에 대한 피해보상 거부에 대해서도 비판하고 있다. 공창이라 해도 실상 국가가 이를 강요했고, 따라서 배상해야 할 책임이 있으며, 위안부 역시 그것이 일본 극우들이 주장하는 공창이였든 아니든 국가보상의 대상이다고 주장한다.[93]}}}

14.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일관계 관련 문서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역사 칠지도 · 신라-왜 전쟁 ·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 ·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 한국 역사상 일본을 공격한 사례 · 가야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백강 전투 · 원나라의 일본원정 · 왜구 · 대마도 정벌 · 계해약조 · 삼포왜란 · 을묘왜변 · 사량진 왜변 · 임진왜란 · 조선통신사 · 기유약조 · 운요호 사건 · 조일수호조규 · 조일통상장정 · 주한일본공사관 · 임오군란 · 갑신정변 · 동학농민운동 · 갑오사변 · 을미사변 · 톈진 조약 · 제물포 조약 · 한성조약 · 제1차 한일협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니시-로젠 협정 · 영일동맹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러일전쟁 · 포츠머스 조약 ·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 대한제국 군대해산 · 남한 대토벌 작전 · 을사조약 · 한일의정서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정미 7조약 · 간도협약 · 한일병합조약 · 일제강점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 조선총독부 · 3.1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독립군 · 한인애국단 · 한국광복군 · 국가총동원법 · 일본군 위안부 · 8.15 광복
사건사고
미군정 우키시마호 사건
이승만 정부 6.25 전쟁 · 다이호마루 사건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독도대첩 · 재일교포 북송 ·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 · 평화선
박정희 정부 6.3 항쟁
문민정부 시노하라 사건 · 조선총독부 철거
국민의 정부 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
참여정부 갑신왜란
이명박 정부 2010년 삼일절 사이버 전쟁 · 대한항공 A380 독도 시범비행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박근혜 정부 한국의 강제징용공 사진 날조 사건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도미타 나오야 카메라 절도 사건 · 일본 축구부 단체 절도 사건
문재인 정부 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 저공 위협비행 사건 · 제주 국제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 김포공항 일본 공무원 난동 사건 · 한일 무역 분쟁 ·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 홍대거리 일본 여행객 폭행 사건 · 대한민국 해경 일본 측량선 저지 사건 · 2020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이트 독도 및 쿠릴열도 표기 논란 · 주한 일본 공사 한국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 · 2020 도쿄 올림픽 한국 선수단 현수막 논란
윤석열 정부 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 일본안보전략 독도영유권주장 ·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 논란
외교 한일관계 ( 2020년대) · 한일안보협력 · 한일수교 ·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한국-대만-일본 관계 · 한일동맹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일본대사관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전두환 대통령 일본국 공식 방문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6자회담 · 고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 고이즈미 담화 · 간 담화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위한 행동계획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문재인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한국기업 대납안 · 2023년 한일정상회담 ( 3월· 5월)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항공노선 한일 사전입국심사(검토중) · 한일노선( 인천-나가사키 · 인천-시즈오카 · 인천-기타큐슈 · 인천-구마모토) · 한국-도쿄 항공노선( 인천-나리타 · 부산-나리타 · 제주-나리타 · 김포-하네다 · 인천-하네다) · 한국-오사카 항공노선( 인천-간사이 · 김포-간사이 · 부산-간사이 · 제주-간사이) · 한국-후쿠오카 항공노선( 인천-후쿠오카 · 부산-후쿠오카)
기타 한국군 vs 자위대 · 한일전 · 혐한/일본 · 반일/대한민국 · 일본/과거사 청산 문제 ·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 · 독도 · 평화의 소녀상 · 동해/명칭 문제 · 토착왜구 · 친일파 · 친일반민족행위자 · 친일몰이 · 반일씹덕 · 일본의 한류 · 일본을 공격한다 · 일본 극우사관 · 예스 재팬 세대 · 자코타 삼각지대 · 오키나와 리그 }}}}}}}}}



[1] 증거로 제시된 영상이 일본군 남성들의 시체 영상이며 위안부 학살의 증거라는 것은 날조라는 주장이 있으나 정작 실제로는 일본군에 의한 옥쇄로 인한 사망이냐 미중연합군에 의한 사망이냐 정도가 논란거리일 뿐 이 영상이 위안부 학살과 상관이 없다는 식의 주장은 제도권 내에서 아무런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2] 사진과 영상 속 죽음의 원인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조선인 여성 또는 위안부의 시체들인 것은 맞지만 미중연합군의 공격으로 인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연합군에게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다른 지역의 사례를 들어 가면서 위안부를 보호하려 했다는 주장도 있다. 강성현, 탈진실의 시대 역사부정론을 묻는다(푸른역사, 2020), 203p [3] 아사노 교수는 옥쇄가 성벽 내에서 이루어졌고, 성 밖에서는 학살할 여유가 없었다는 점등을 들어 학살로 볼 수 없다고 말한다. .... 그러면서 아사노의 주장을 따라서 문서상 30명 위안부 학살은 미군의 체계적 조사결과가 아닌 버마인의 증언이기 때문에 믿을수 없다고 주장한다. ... 버마인의 증언이기 때문에 일본군에 의한 학살을 부인하는 것은 이우연이 해당 문서 자료를 읽지 않고 아사노의 짧은 글만 따랐기 때문에 생기는 오류다. 강성현, 탈진실의 시대 역사부정론을 묻는다(푸른역사, 2020), 213-214p [4] 가장 공신력 있는 국제기구 중 하나인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UN OHCHR)에서도 이러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며( #) 2017년에도 책임자에 대한 제재 및 처벌을 촉구한 바 있다.( #) 또한 극동군사재판 샌프란시스코 조약의 당사자인 미국도 후술하듯 국가적으로 '강제 성노예'로 규정하고 있다. [5] 위안부의 일본 발음을 그대로 로마자로 옮긴 것. [6] 미 하원의 결의안(resolution)은 강제성은 없으나 이는 결의안의 조치가 조약 등에 즉효적인 법적 구속력이 없다는 것이지, 여기에서처럼 결의안 내의 정의(定意) 등은 미국 정부나 공공기관 등에서 인용할 수 없다는 뜻은 아니다. 이는 성문법 체계 국가인 독일, 스위스, 한국, 일본 등도 마찬가지고 불문법 체계인 미국, 영국 등에서는 아예 법원(法原)이 이후 만들어질 법령의 근거가 된다. 즉 아예 관련법을 만들 때 "그 레졸루션은 심각한 하자가 있으니 이렇게 바꾼다"란 근거를 박아넣지 않는 이상은 기존 레졸루션을 존중하게 된다. [7] 기사 [8] 일본 정부에서는 위안부 문제도 1993년 고노담화와 그에 뒤이은 보상과 2015년 위안부 합의로 해결되었다는 입장이다. [9]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피해자가 기자회견을 통해 최초로 피해 사실을 공식 증언한 날이다. [10] 윤미향이 이사장으로 있었던 정의기억연대의 전신이다. [11] 종군위안부라는 표현을 일본 우익이 만들었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는데 정확하게는 1930년대 후반에 처음 일본에서 위안부를 조달, 전선에 보낼 때부터 쓰던 당시의 공식적인 호칭이다. [12] 이승연 위안부 누드 사건을 다룬 2004년 기사인데 '종군위안부'라는 단어가 20번이나 쓰였다. [13] 이럴땐 흔히 「'종군위안부'」, 「이른바 종군위안부」 등으로 인용부호를 사용하거나 인용하는 표현을 쓴다. [14] 5.18 민주화운동-광주사태와 비슷한 관계다. [15] 이미 일본은 자국의 여성을 성노예로 팔아먹었던 전적이 있다. 가라유키상 항목 참조 [16] 당시 일본의 동맹국으로, 일본이 군사기지를 설치하고 군대를 주둔시켰다. [17] 네덜란드령 동인도 [18] http://naver.me/FPsZVnaT [19]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0424509 [20] #. [21] #. [22] #, #. [23] 다만 이 주장의 반박 증언도 있는데 당시 자바 섬에 파견갔던 독일군 포로의 증언에 따르면 대부분의 독일인들은 독일 기관의 도움을 받으며 편안하게 지냈다고 한다. 하지만 카비앵 학살 당시 일본군이 동맹국인 독일인들을 학살한 사례들을 보면 독일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살던 운 나쁜 독일인들은 일본군의 야만적인 만행들을 피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24] 이 주장도 문제가 되는데 당시 호주제 공창제에도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 일본은 마리아 루스 호 사건으로 유녀를 해방시킨지 반세기도 채 안 되었고 사회에 가부장제가 만연했기에 가장이 딸의 의사에 상관없이 성매매 업소에 팔아버릴수 있었다. 이로 인해 희생당한 대표적 사례가 가라유키상. 즉, 서구권이 이제 막 여성 인권에 대해 눈을 뜰 때 일본은 사실상 여성에 대해 전근대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1931년 국제연맹 동양부녀매매조사단이 일본의 인신매매 실태를 조사하면서 일본에 와 보고 가장 놀란 것 중의 하나가 ‘예기 · 창기 소개업’이 공인되어 있는 일이라고 말할 정도였다. [25] 예컨대 이런 증언도 있다. # [26] 근본적인 성격을 따지자면 이 자료도 사실 증언록이다. 심문기관과 증인의 증언시기만 차이가 날뿐. [27] 국사편찬위원회 김득중 편사연구관에 따르면, 이 자료는 심문 과정에서 의사소통의 문제로 피해자의 입장반영이 다 되어있지 않다고 한다. # 기사 내용을 요약한다면, 미군 내에서 일본군 포로 심문을 맡았던 사람들은 일본인 2세 미국인들인 니세이들이었는데, 정작 조선인 위안부들은 일본말을 잘 할 줄 몰랐기 때문에 일본인 중간 포주(마마상)를 통해서 증언할 수밖에 없었고 이 과정에서 중간 포주들의 입장이 반영되어 내용이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그 당시 조선인(한국인)들은 국어를 주로 사용하긴 해도 대부분 일본어를 할 줄 알았고 위안부 여성들의 연령대를 보았을 때 그들은 일제 강점 치하에 태어나 초등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라는 반론도 있다. 그러나 당시 심문 보고에 참여했던 아쿠네 겐지로 부터 위안부들은 일본어에 능통하지 못했고 한국어와 일본어가 모두 가능한 사람은 업자뿐이라 미군은 업자들에게 의존했고 위안부들은 업자의 긴밀한 통제를 받고 있었다 증언한 바 있다. [28] 무엇보다 태평양 전쟁 말기는 미 해군 잠수함 전단의 활약과 기뢰 살포로 일본은 해상 운송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 당시에는 일본의 대전 중 유조선 대부분이 격침당해 본토에 유류와 식량이 없어서 모랑에서 폭침한 전함 무츠의 연료탱크에서 남은 기름을 퍼올렸으며 기시 노부스케같은 상류층조차 구운 오징어가 진미라고 말할 정도였다. 하물며 그냥 적재하면 끝인 물자도 이러할진데 사람을 운송하는 일이 쉬울 리 만무하다. [29] 김학순 피해자 증언 분명 중국지역에서 끌려간 것으로 증언하고 계시다. [30] 오히려 일본쪽에서 괜히 잘못된 증언을 했다가 우리쪽에게 팀킬한 사례가 존재한다. 요시다 세이지가 그런 인물. [31] 일본이 중국을 침략했던 중일전쟁 당시의 중국은 대규모 기근과 정치적 혼란이 극에 달해서 가난한 인구가 굉장히 많았다. [32] 2016년 12월 6일 저녁 향년 93세를 일기로 경남 남해군의 병원에서 사망하였다. [33] 마산에 살던 '이남이 피해자'는 17세이던 1943년 일본 경찰에 의해 납치되어 성노예로 끌려갔다. 캄보디아 전선에서 일제 패망을 맞았으나 귀국할 방도가 없어 현지인과 결혼하고 캄보디아에서 살면서 킬링필드의 비극을 또 겪었고 한국어도 잊어버려 1997년 처음 한국 언론에 알려졌을 때는 '훈 할머니'라고 불렸다. 한국인임이 밝혀져 1998년 귀국하고 DNA 검사를 통해 아직 살아있던 여동생을 만났으나 한국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캄보디아로 귀국했다가 2001년에 사망했다. 해당 미디어. [34] 심지어 카와베 마사카즈마저 위안부 범죄에 관련되었는 말을 하는 분도 계셨다. 참고로 말하지만 카와베 마사카즈는 죽음의 철도를 기획하고 만들때 공사도중 포로들이 힘들어하자 당황해하면서 공사를 중지했던 사람이다.(그때문에 도쿄 전범 재판에서 만장일치 무죄 판결받았다.) 게다가 내용을 보면 그는 그 부관에게 내가 제일 좋아하는 것은 훈장이며, 다음으로는 메마(버마어로 여자)다.라고 말했다는 내용도 있다. 당연하지만 저 내용은 병사들이 사령관을 조롱하기 위해 만든 내용이지 지 입으로 직접 말했을리가 없다. [35] 당시엔 네덜란드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 자바섬에 태어나 거주하던 네덜란드인으로서 일본군이 자바섬을 점령한 뒤 민간인 포로수용소에서 수용되었다. 허나 일본은 수용소의 여성들과 자바원주민들을 데려다가 위안소를 만들었고 얀도 피해자 중 한 명이다. 그 뒤 당시 자바섬에 상륙했던 영국군인과 결혼해 자식을 낳아 호주에서 살던 중 1992년 한국의 위안부들이 공식적으로 일본에게 사죄를 요구하는 것을 보고 용기를 내어 1992년 12월 9일 도쿄공청회에 나와서 한 말이다. 출처 : '위안부' 리포트 (저자 : 정경아) [36] 일본계 미국인 3세. 제17 지역구 소속. [37] 미국 연방의회 일본군 위안부 사죄(HR121) 결의안 [38]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디비전K로 불리는 세입세출법안에서 미 국무부가 2007년 미 의회의 위안부 결의안 통과를 주목하고 국무장관이 일본의 위안부 문제 해결을 일본에 압박시키는 내용. 게다가 정식 법안에 들어간 내용이다. [39] 이 의결안은 미국 정부 통합 세출법안이랑 연계해서 1월 18일까지 안 서명하면 미국은 다시 부분 셧다운이라 상원 통과 직후 오바마의 법안 서명은 기정사실인 상태였다. [40] 秘話パラオ戦記―玉砕戦の孤島に大義はなかった p. 106 [41] 몇몇 우둔한 넷우익들은 위안부는 없다는 주장을 한다. 이 주장은 위의 49호 보고서나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2025452(바타비아에서의 강제 징용이 있었단 자료를 참고해 반박하면 좋다. 물론 넷우익들은 이 모든 것을 선동이라 부정한다. [42] 한국군도 위안부가 있다. 하지만 일본군 2차 대전 당시에 저지른 것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었고, 애초에 일본인들이 '한국군이 이런 만행을 저질렀다'라면서 일본군을 쉴드쳐봤자, 피해국은 일본이 아닐뿐더러 해결되어야 하는 또 다른 여성인권 문제를 가지고 물타기를 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아무런 의미가 없다. [43] 위안부 문제를 정치적인 의도로 격하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 또한 상기한대로 논리적인 문제가 많은 주장이다. 위안부 문제는 엄연히 인권과 관련되어 꼭 해결이 되어야 하는 성범죄이지, 정치를 우선 순위로 두어선 안된다. [44] 정확히는 일본의 68운동 세대라고 할 수있는 단카이 세대. [45] '일본이 사과를 하지 않았다'는 통상적인 이미지는 대체로 오해다. 일본은 고노 담화 전후로 수 차례 분명한 단어를 선택해 사과하였고 아시아여성기금을 통해서도 사과문을 전달하였다. 그러나 정대협측은 이러한 사과를 끝끝내 몇 차례 거절하였으며(대표적인 예가 정부 차원의 인정과 보상을 요구한 아시아여성기금이다) 연구자들은 (위안부 피해자 본인이 아닌 정대협이) '과연 실현 가능한 방향으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추구하고 있는지' 회의감을 가진다. 이미 한일기본조약에서 배상은 이뤄졌고 사과 역시 고노 담화에서 이뤄졌기 때문이다. 문제는 사과 이후의 일 정부의 공식적 태도는 역사와 사과의 부인이었다는 것이다. [46] 혹자는 일본군이 태평양전쟁을 일으켜서 위안부에 대한 수요를 만들어 민간에서의 사기·약취, 인신매매 등을 조장하고 그래서 어떻든 조선인 여성을 위안소로 흘러가도록 만든 것까지도 역시 넓은 의미의 강제연행이라고 할 수 있다는 이른바 ‘광의(廣義)의 강제연행설’을 "일제 시대에 일본정부, 일본군의 시책을 어떤 식으로든 따랐었던 당시 한 세대 전원을 모조리 강제연행 경험자로 만들어 버릴 것이다"라고 주장하지만, 이는 친일인명사전 발간 당시 한국의 친일반민족행위자에 대한 비판을 친일 자체에 대한 비판인 것마냥 호도하면서 나아가 일본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는 이들의 배후에 북한의 사주를 받은 종북세력이 있다고 확대해석하는 논리나 다를 것이 없다. [47] 다이쇼 말년부터 쇼와 연간에 내지에서는 실지로 아버지가 딸을 팔거나 자신이 먹고 살기 위해서 몸을 파는 경우가 많았다. 성노예 문제도 이러한 사례로 파악하는 이론. [48] 일단 일본인 위안부에게는 지불된 사례가 다수 확인되었다. 그러나 대만인과 조선인에 대해서는 실제 지불된 사례가 사실상 없다. 물론 제대로 지불한 곳은 있긴 있다만 대개 일본군/인물 문서의 정상인 문단에 있는 사람 한정이다. 일본인에게 지불된 것이 확인된 사례도 전쟁 중에 위안부 생활을 중단하고 귀국하면서 그간의 화대를 정산받은 것이었다. 그리고 적어도 지금까지 확인된 위안부 명단상 전시에 화대를 정산받고 귀국할 수 있었던 조선인 및 대만인 위안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중국인은 일부 확인되었다는 일본측 주장이 있으나 확실히 증명된 것은 아니다. 현지에서는 대부분 일본군 군표로 지급되었는데 패전한 군대의 군표가 어떤 가치를 지닐지는... 그마저도 제대로 지급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했고 물론 현금 교환 역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런데 8월 7일 새로 공개된 자료에서 조선인 위안부에게도 대가가 지불되었고 본국에 송금이 되었음을 확인하는 자료가 공개됨으로써 미묘해졌다. [49] 이 점은 해방직후만 해도 위안부 동원에 역할을 한 자들에 대한 분노가 사설로 나타나기도 했으나 그뒤 냉전체제하에서 문제제기가 억눌리고 결국 추궁이 제재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 북한의 경우는 '지주와 자본가와 일제의 주구'를 강조하려고 이 부분을 조사하지만. [50] 하지만 이런 논리는 그런 불법적인 일을 자행한 민간 업자들을 일본군이 방치하고 '구매자'가 되었으며, 그렇게 강제 납치된 인원들의 의사에 반하여 일본 당국이 강제로 성노예 일을 시킨 것에 대한 변명은 되지 못한다. 그 당시 일본 당국이 위안부가 민간업자들에 의해 불법으로 동원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었는지를입증이 어렵다고 볼 수 없는 이유는 위안소의 설치 운영 및 관리가 철저하게 군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위안부가 도착하자마자 하는 일이 군의관에 의한 성병검사였고 위안부와 위안소의 배치도 군에의해 이루어지고, 귀환여부를 군이 결정하고 있으며 업자에 대해서 통제를 할 수 없기는 커녕 업자의 지위는 군속에 가깝기 때문에 매우 강한 통제력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군이 업자의 범죄를 몰라서 어쩔수없다는 논리는 성립하지 않는다. [51] '거짓말도 많이 하면 진짜가 된다'라든가, '우리는 관련 없는데 왜 세금 떼감??'라든가. [52] 그런데 조선일보판의 보도에는 안병직 교수가 말한 조직적 모집행위가 있었다는 내용만 있고 뒤의 군이 개입할 이유가 없다는 부분은 아예 보도하지 않았다. [53] 다만, 정말로 어지간한 인간쓰레기가 아니라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는 일본의 우익 세력들도 위안부 문제에 대해 사죄나 책임, 혹은 역사적 사실 왜곡 쪽으로 트롤링을 하지 저렇게까지 대놓고 성희롱을 하는 경우는 드물다. [54] <우경화하는 神의 나라>(노 다니엘 저, 랜덤하우스, 2006) P234. [55] <우경화하는 神의 나라>(노 다니엘 저, 랜덤하우스, 2006) P235. [56] 국내에서는 작게 이슈화되고 넘어갔지만 일본 현지에서는 굉장히 이슈화된 사건이다. 또한 요시다 세이지(요시다 유우토)의 증언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서 일본 국내는 물론 한반도에서 굉장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는 데 이것이 거짓말로 밝혀지면서 부정파가 대대적인 공세를 펼치는 등 일본군 위안부 관련 문제에서 부정파의 정치적 입김이 커지고 일본 사회에서 그들의 정치적 영향력이 강해지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대표적인 사건이기도 하다. [57]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을 구실로 위안부문제를 통째로 과장된 설로 전복하고 책임을 민간의 일탈로 돌리는 시도는 학술적인 판단이라기 보다는 꼬리를 잘라 과거 일본 정부의 명예에 해가되는 것을 막고싶은 인식에 기반해 있다. 하지만 간접적으로 업자한테 맡겨 재량것 처리하게 했다는 것 부터가 정부 주도로 각종 강제성이 다분한 인신매매를 조장한 행위이며 이러한 일이 노예를 부리는 것으로 간주된다는 것도 국제연맹 동양여성아동매매실지조사단 사건을 통해 일본정부는 알고 있었다. 이것은 일본제국의 형법 226조의 국외인신매매죄를 구성하는데 차이가 없는 일이 었으며 이 때문에 국제사회에선 일본 정부가 성노예인 위안소 제도를 운영했다는 것 자체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보고 있다. [58] 한국에서 근무하는 영미권 출신 일부 원어민 영어 강사들과 한국 체류중인 서양인들이 페이스북에 모여 '다 지나간' 위안부 문제로 반일감정을 선동한다며 한국인들을 조롱하는 댓글을 쓰다가 발각되어 한국인들과 키배를 벌인 일이 있었고 나무위키에도 원문 링크가 등재된 적이 있었으나(현재 원문 삭제됨.) 이상할 정도로 한국 언론에서도 공론화 되지 않았다. [59] 베를린 소녀상 문제를 봤듯이 독일민주공화국 영향이 크다 [60] 실제로 이를 잘못 아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당시 월남(베트남)은 南월남과 北월남으로 남북분단되어 내전 중이었고 한국은 남월을 도와주러 간거다. 참고로 북한은 북월을 도와줬다. 오늘날의 통일월남은 북월 주도로 통일됐기 때문에 한국의 파병은 동맹국의 파병이 아닌 적성국의 파병으로 인식되게 된다. [61] 해석하기에 따라서는 '피해자다움'을 논하는 것으로 들릴 수도 있는 발언이다. [62] 지만원이 이런 이상한 소리를 할수 있는 근거는 아시아 여성기금 관련 문제로 위안부 피해자와 정대협간의 대립이 있기 때문이다. 지만원이 말한 이 33명의 피해자는 일본의 아시아 여성기금을 받음으로서 어느정도 문제해결이 되었다는 입장이었지만 이는 정대협내부 수뇌부의 의견과는 많이 다른 상황이었으며 돈을 받은 피해자에게 창녀라고 하는 등의 폭언을 가했으며 이에 33명의 피해자들은 정대협이 자신들을 위한 조직이 아니라 운동권이 정치세력을 만들기 위한 조직이라고 여기게 되었으며 무궁화 할머니회라는 단체를 만들어 정대협과 대립하게 되었지만, 자신들의 목소리를 듣는 사람을 찾기 어려웠고 이와중 지만원이 그 33명의 피해자의 목소리를 들어주게 되어 뉴라이트라는 낙인과 함께 철저히 이용당하게 되었다. [63] 하단 각주로. [64] 말하자면 '아시아여성기금'이란 그런 상황에서 전후청산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무라야마 정부가 차선책으로 만든 것이었다. 당연히 아시아여성기금은 보상을 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는 우파들에게 비난을 받았다. 일본의 진보, 보수 양쪽의 비판을 받으며 사업을 실시했던 것이다. (중략) 말하자면 자민당 의원의 숫자가 3배나 되는 국회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입법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던 상황에서 '국회'를 제치고 '정부' 중심으로 만들어진 것이 '기금'이었다. 다시 말해 '기금'은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책임을 지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었다. 다만 그 주체가 국회가 아닌 정부였을 뿐이다. -제국의 위안부 中 인용. [65] 박노자 역시도 한국 내에서 위안부 문제가 가지는 민족주의적/(순수한 의미에서의) 반일적 모순들을 공격한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를 간략히 평하며 '어쨌든 제가 박유하씨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하지 못해도 일본의 '국민기금'을 1990년대 후반에 받은 61명의 위안부 할머니들을 비난한 국내 시민 단체나 언론을 인간적으로 이해할 수가 없습니다'라고 평가한 바 있다. [66] 이후 정의기억재단과 통합해 정의기억연대로 재편. [67] 이러한 비판점이 반영된 극우언론 기사의 예시. 단 이 극우언론사는 최순실 게이트 이후 극심한 박근혜 옹립 성향을 보이고 있으니 이점은 걸러서 읽을것. 비슷한 주장을 한 지만원은 기소당해서 2019년 징역 1년과 벌금형을 2심에서 선고받았다. [반론] 반론측에서는, '정대협 종북설'을 주장하는 세력들이 주로 주장하는 근거가 '김삼석-김은주 남매 간첩단 사건'이라고 하는데(윤미향 문서에도 언급되어있다), 남매 간첩단 사건은 훗날 정부에서 시인한 공안조작 의혹 사건중 하나라는 점을 들어서 그들의 종북설을 논파하는 역논거로 쓰고 있다. 관련 기사, 남매 간첩단 사건에 대한 진보언론 참세상의 기사. [69] 단, 해당 블로그가 증언의 한계를 정확히 지적해도 그것이 모든 증언이 믿을 수 없다거나 근거가 없다는 반증이 된다는 건 절대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자. 실제로 여러 증언들 중에서 일관성 있고 반증이 부족한 증언들은 신뢰성이 있어 위안부 실태의 증거들 중 하나로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해당 블로그 자체가 전형적인 일뽕+ 혐한 극우 성향에다가 가짜뉴스 신봉, 자료의 취사선택, 왜곡마저도 자주 보이는 블로그이니 별로 신뢰하기에는 힘들어보이며, 열람시 주의를 요한다. 참고로 해당 블로그의 주인은 역사 갤러리의 거의 사상적 지주급인 사람이다. 심심하면 빨갱이 전라도 타령을 하고 있다..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전후로는 음모론에 더 더욱 심취하여 미국 대선 부정 선거론을 계속 주장하고 있다(...). [70] 하지만 기록도 남지 않은 몇 십년 전의 기억에 대해서 정확한 증언을 바라는 것은 사실 불가능한 일이다. 그리고 일부 피해자들은 심각한 정신 트라우마를 겪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어떤 사람이 정말 끔찍하고 잊고 싶어하는 기억을 몇십 년 동안이나 일 단위로 정확하게 기억해서 증언할 수 있겠는가?( PTSD 문서로.) 생존자들을 상대로 버마나 싱가포르를 헷갈린다고 공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심지어는 '이남이 피해자'[95]처럼 심한 정신적 트라우마에 시달리다 자신의 본명과 한국어까지 잊어버린 사례도 있다.[96] 실제로 홀로코스트 추모관의 경우에도 '피해자' 들의 증언을 기반으로 한 사건의 재구성은 명백히 한계를 드러낸 바 있다. 유대인이나 집시들 역시 트라우마가 심해 기억이 없어진 경우는 많다. [71] 한국내 부정파들의 주장을 요약하면 위안부 관련 단체에서는 법적배상이 아니면 인정할 수 없다는 이유로, 민족주의자들은 반일감정을 이유로, 한국정부는 국면전환용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72]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 북한의 경우 남남갈등과 남한의 정통성 폄하를 목적으로, 중국의 경우 한미일동맹을 분열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내에서 부정파가 꾸준히 나오고 있다. 정작 러시아는 소련 시절부터 할힌골 전투 때문에 위안부, 징용 등 과거사 문제는 일본을 두둔한 게 함정. 그렇다면 북한으로 넘어간 위안부가 한국 쪽 위안부보다 덜 부각되는 이유는 뭔데? [73] 그러나 국내의 위안부 문제제기가 마치 국내 종북세력이나 반서방독재국가의 정치적 음모로 치환하는 것도 문제고 이것이 어느정도 사실이라고 해도 특정세력이 위안부 사건을 이용한다고 해서 그것이 없는 사실이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난징대학살을 다루는 중국정부의 행동을 보면 일본군의 만행에 치를 떠는 제 3자가 보더라도 공산당의 프로파간다적 요소가 많이 들어가 있고 시대의 아픔을 본인들의 정치적모순(일당독재)을 가리는 곳에 쓰고 있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그것이 난징대학살 부정파의 한 근거가 되는 것은 아니다. [74] 정부나 군이 위안부에 개입하지는 않았다느니, 한국과 중국의 위안부 피해자들이 반일감정 및 정치적 목적으로 왜곡선동을 하고 있다느니 그런 발언을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국내외 학계에 일본정구의 주장을 적용할것을 요구하고 교과서를 검열 하기까지 했다. [75] 해당 기사는 한국 언론이 성명서 취지와 내용을 왜곡 보도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76] 알렉시스 더든교수는 지난 2월 6일 미국역사협회에(AHA) 소속된 역사학자 19명의 집단성명에 참여한 적이 있으며 이번 5월 6일 187명의 집단성명에도 참여한 학자이다. 연합뉴스는 더든 교수가 이번 집단성명을 주도한 교수라 표현하고 있는데 일본언론은 더든교수는 이번 집단성명서에 34번째로 서명한 교수로써 집단성명의 내용을 주도한다고 볼 수 없으며 그녀의 인터뷰는 어디까지나 개인적 견해이기 때문에 이번 성명에 담아진 연구자의 총의를 대표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더든 교수는 인터뷰에서 한 발언이 자신의 개인적 생각이라고 발언한 적이 없다. 그녀가 이번 성명을 주도한 것이 아니라고 칠 수는 있어도 그것이 그녀의 성명에 대한 발언이 무조건 개인적인 생각으로 치부될 수 없으며 만약 더든 교수의 생각과 성명의 의미가 빗나간 것이었다면 항의하는 이가 있었을 테지만 그런 것도 없다. 사실상 일본 언론이 주장하는 것도 추측에 불과하다. 애초에 성명 자체가 일본의 역사의식을 지적하고 있는데 일본에 권고를 한 것이라고 해도 이는 명확히 과거 일제가 저지른 만행에 대한 항의의 뜻이 담겨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77] 데즈카 오사무의 어시스턴트로 활동했었다. [78] 도츠게키이치반, 당시 일본군에게 보급된 콘돔의 상표명이었다. [79] 이는 작가가 반전, 사회적 약자, 여성인권 신장등 주장하던 좌파 운동가이자 페미니스트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80] 퍼니셔 맥스와 퍼니셔, 더 보이즈의 작가로 유명하다. [81] 중간중간에 일본군의 여러 전쟁 범죄들도 제법 리얼하게 묘사한다. [82] 물론 "불순한 의도는 절대 없으며 이번에도 비판받는다면 화보자료를 전량 폐기하겠다."라고 실드는 대충 친 상태에서. 그리고 1년 후 네띠앙은 천벌을 받았다. 자세한 것은 네띠앙 문서로. [83] 연락은 닿았지만 100만엔 주면 생각해 보겠다고 조롱할 뿐이었다. [84] 참고로 박근혜 정부 시절 맺어진 한일 위안부 합의에서는 아베가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으로서 일본 정부를 대표해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마음으로부터 사죄와 반성의 마음을 표명함"이라고 사죄했다. [85] 프랑스 영국, 독일과 함께 유럽을 이끌어가는 국가이자 일본과 더불어 G8의 멤버이기도 하다. 당연히 일본의 이런 압력이 불쾌할 수밖에 없다. 참고로 저 부스는 일본 극우지인 WiLL이 후원하기도 했으며 참여 삽화가중에는 소년탐정 김전일의 작화담당으로 알려진 사토 후미야도 있다. [86] 임신을 하지 못하게 약을 먹이고, 썼던 콘돔들을 위안부들이 직접 세척한다. 성병에 걸려 쓸모가 없어졌다고 여겨진 위안부를 즉결총살하고, 급기야 전황이 불리해져 진영 철수 시 조선인 위안부들을 전부 총살시키고 증거를 파기하는 등 적나라할 수 있는 내용들을 영상에 담고 있다. [87] 공식 직함은 ' 미쓰비시 교수'이다. [88] # [89] 조선통신사 기록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조선왕실의 어보와 어책 [90] 원래 세계기록유산은 공공기관이 아닌 시민단체에서 주관하여 등재신청하는 경우가 대부분인지라 정부 쪽의 공식 지원은 해당 기록물 소장 지역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조금씩 지원하는 정도이지만 이 위안부 기록물만은 워낙 특별한 사안이라 정부(문화재청, 외교부 등)와 유네스코 한국지부 등에서 대놓고 엄청나게 밀어주고 있다고 한다. [91] 국제기구의 중심은 미국과 일본이 이끌고 있다. 그래서 제3세계 국가들이 이러한 형태에 불만이 제일 컸다고 한다. 그래서 중국이 세계은행에 대항하기 위해 AIIB을 만든 이유도 바로 이것 때문이다. [92] 그러나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이 1990년대부터 시작되었던 것에 반해, 미투 운동은 2016년에 들어서야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신빙성이 부족하다. 게다가 미투 운동이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에서 무슨 영향을 받았다고 당사자들이 밝힌 것도 아니다. [93] 위안부 문제에 있어서 강제성 논란도 마찬가지로, 이 책에서 모아놓은 재판기록이라던가 관련 조사라던가 하는 자료들을 보면, 일본군은 위안부 조달에 있어서 공급업자들과 계약을 맺고, 그 업자들이 강제적으로, 감언이설로 속여서, 인신매매 등 당시 일본 법체계 하에서 불법적인 행위를 통해 이를 공급하는 것에 대해서 눈감아 주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해서 당연히 일본 정부도 모집 과정에서의 강제성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하지 않냐고 하고 있고. 일본 정부가 주장하는 '좁은 의미의 강제성은 없었다'에 대해서 감언과 강제를 포함해 '의사에 반하는' 일을 한 것을 '강제성'이라고 일본 사법부가 정의한 사실도 밝혀두고 있다. 특히 당시 일본 치안을 관장하는 측에서 일본 본토의 이러한 불법은 최대하 철저하게 단속하지만 식민지 하에서 일어난 이런 불법적 사항에 대해서는 그냥 불처벌 상태로 놔두었다는 것은 업자들로 하여금 '강제로 끌고 오든 사기를 치든 마음대로 해라. 우리는 인원수만 맞추면 된다.'는 신호를 주는 모습이라고 여길 수 있다. 아울러 종군 위안부와 비슷한 제도로 시행된 지원병 제도에 대해서 사실상 강제가 많으니 징집은 좀 유보해 두는 편이 좋겠다는 당시 공문서도 존재했다는 일도 밝혀두고 있다. [94]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들의 망언과 비슷한 사건이 터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7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7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95] 마산에 살던 '이남이 피해자'는 17세이던 1943년 일본 경찰에 의해 납치되어 성노예로 끌려갔다. 캄보디아 전선에서 일제 패망을 맞았으나 귀국할 방도가 없어 현지인과 결혼하고 캄보디아에서 살면서 킬링필드의 비극을 또 겪었고 한국어도 잊어버려 1997년 처음 한국 언론에 알려졌을 때는 '훈 할머니'라고 불렸다. 한국인임이 밝혀져 1998년 귀국하고 DNA 검사를 통해 아직 살아있던 여동생을 만났으나 한국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캄보디아로 귀국했다가 2001년에 사망했다. 해당 미디어. [96] 심지어 카와베 마사카즈마저 위안부 범죄에 관련되었는 말을 하는 분도 계셨다. 참고로 말하지만 카와베 마사카즈는 죽음의 철도를 기획하고 만들때 공사도중 포로들이 힘들어하자 당황해하면서 공사를 중지했던 사람이다.(그때문에 도쿄 전범 재판에서 만장일치 무죄 판결받았다.) 게다가 내용을 보면 그는 그 부관에게 내가 제일 좋아하는 것은 훈장이며, 다음으로는 메마(버마어로 여자)다.라고 말했다는 내용도 있다. 당연하지만 저 내용은 병사들이 사령관을 조롱하기 위해 만든 내용이지 지 입으로 직접 말했을리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