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해태(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동아시아의 상상의 동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반도 | |||||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거치봉발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을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 ||||||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곤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교1 · 교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기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맥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박 · 백악 · 백택 · 봉희 · 붕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비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탐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환1 · 환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후 · 흑풍괴 | ||||||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 ||||||
몽골 | ||||||
모쇼보 · 몽골리안 데쓰웜 · 봉 · 알마스 | ||||||
기타 | ||||||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곤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용 · 용생구자( 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도철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신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 ||||||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 ||||||
구분 | 북아시아·중앙아시아 | |||||
아메리카 | 유럽 | 동아시아 | ||||
오세아니아 | 동남아·남아시아 | |||||
남극 |
1. 개요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는 동아시아의 상상의 동물이다.2. 명칭
해치라고도 한다. 한자로는 獬 廌 또는 獬 豸라고 쓰고 독음은 해치 또는 해태, 두 가지로 읽는다. 혹 海駝(해타)라는 표기도 쓰이는데 이는 해태라는 발음에 끼워맞춘 군두목 표기(한자부회)이다.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원말은 해치이고 해태는 와음(訛音, 잘못 전해진 음)이라고 하고 있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는 해타(海駝)에 주격 조사 '이'가 결합하여 굳은 말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모두 사실이 아니다. 海駝(해타)라는 표기는 중국과 일본에서는 쓰이지 않으며, 한자의 의미과 무관하게 한국어 발음 '해태'에 끼워 맞춘 표기이므로 본말전도된 오류이다.
廌·豸는 원래부터 "치"와 "태"의 복수 한자음을 갖고 있다. 광운에 수록된 음운을 보면 이렇다.
한자 | 한국 한자음 | 반절(反切) | 중고음[1] | 표준중국어 | 일본 한자음 |
廌·豸 | 치 | 池爾切 | ȡʱie̯, ɖˠiᴇ | zhì | チ |
태 | 宅買切 | ȡʱai, ɖˠɛ | zhài | タイ |
간단히 정리하자면 당초 ‘해치’의 ‘치(豸)’에서 ‘ㅊ’은 구개음화되기 전 원래 ‘ㅌ’ 발음이었고, ‘ㅣ’ 역시 당초 ‘ㅐ’와 유사한 발음이다. 아마도 같은 발음에서 분화되어 나온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현재까지 ‘豸’의 독음 표기로는 가장 이른 시기의 기록이 이미 일실된 당 손면(孫愐)의 『당운(唐韻)』일문(佚文)에 보이는데, ‘宅買切(택매절)’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반절(反切)표기법에 따라 앞글자의 자음과 뒷글자의 모음을 합쳐보면 발음은 ‘태’가 된다. ‘豸’의 讀音 문제에 대해서는 김언종, “해태”고 , 『韓國漢文學硏究』, 42,2008, 464-466쪽 참고.
廌 : 解廌, 獸也. 似山牛, 一角. 古者決訟, 令觸不直. 象形, 从豸省. 凡廌之屬皆从廌. 宅買切
廌는 해태라는 짐승이다. 소를 닮았고 뿔이 하나다. 옛적에 송사를 판결할 때 (해태로 하여금) 정직하지 않은 쪽을 들이받게 하였다. 상형자이다. 豸의 생략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릇 廌부에 속하는 것은 다 廌로 이루어져 있다. 반절음은 태이다. (설문해자 권10 廌부)
廌는 해태라는 짐승이다. 소를 닮았고 뿔이 하나다. 옛적에 송사를 판결할 때 (해태로 하여금) 정직하지 않은 쪽을 들이받게 하였다. 상형자이다. 豸의 생략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릇 廌부에 속하는 것은 다 廌로 이루어져 있다. 반절음은 태이다. (설문해자 권10 廌부)
중국에서는 xièzhì, 일본에서는 カイチ로 읽고 있어서 池爾切(치)에 해당되는 독음이 표준이지만, 한국에서는 宅買切에 해당되는 '해태 쪽이 우세하다.
3. 특징
|
북위 때에 만들어진 해태 토우 |
<승아>에서 이르길 해치는 불짐승으로서 멀구슬나무 잎사귀를 먹고 청결한 것을 좋아한다.
《乘雅》曰。獬豸火獸也。食楝葉。其喜潔也。蛟龍木蟲也。畏楝葉。激其怒也。
(한국고전번역원/오주연문장전산고/萬物篇/鳥獸類/獸/獅狻麑辨證說 【附獬豸】)
그래서 해태의 초기 이미지는 상단의 토우처럼 앞으로 길게 뻗은 외뿔로 형상화 되었다.《乘雅》曰。獬豸火獸也。食楝葉。其喜潔也。蛟龍木蟲也。畏楝葉。激其怒也。
(한국고전번역원/오주연문장전산고/萬物篇/鳥獸類/獸/獅狻麑辨證說 【附獬豸】)
법(法)이라는 단어가 중국의 해치에서 나왔다. 중국 한의 양부가 지은 『이물지』에서 최초로 그 묘사를 찾을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동북 지방의 황량한 땅에 어떤 짐승이 사는데 이름을 '해치'라 한다. 뿔이 하나이고 성품이 충직하다. 사람들이 싸우는 것을 보면 바르지 못한 자를 들이받고, 사람들이 서로 따지는 것을 들으면 옳지 못한 자를 문다." 하였다. 법(법률이 아닌 일반적 법도)을 의미하는 한자인 법은 원래 '해태가 물처럼 고요하게 판단해서 틀린 상대를 받아버린다는 의미'인 고자(古字) 灋였다. 하지만 너무 복잡해서인지 해태 치廌가 빠진 글자가 통용되었으니 지금의 법法자이다.
|
명나라 시기 해태 흉배 |
일본은 코마이누를 참조.
4. 한국
광화문 앞에 놓인 해태[2] | 사법연수원의 해치 |
해태의 모티브는 중국 진나라(晉) 당시 월지국에서 조공한 사자이다. 특히 기린과 유사하다는 얘기를 토대로 묘사된 해태는 '양'의 형태를 따서 뿔이 두개로 묘사된다. 일례로 중국에서 '해치관'에 대한 논쟁을 하는데, '해태는 뿔이 하나인 일각수(一角獸)인데 해치관의 형태는 뿔이 두 개이므로 이는 잘못이다'라는 언급이 나온다. 물론 이는 의복에 국한된 논쟁이나 중국에서조차 이전까지 해태는 뿔이 두 개 돋은 '양(羊)'으로 인식되는 등 형상을 두고 다양한 묘사가 있어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은 한국에 그대로 넘어와서 한국의 해태는 일각수로 묘사되기도, 신양(神羊)이니까 말린 뿔 2개가 달린 짐승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야말로 뒤죽박죽이라고 할 수 있겠다. 중국에서조차 해태의 형상을 두고 일각수냐 이각수냐 논쟁이 있었다. (정성권, 해치상(獬豸像)의 변천에 관한 연구 - 광화문 앞 해치상의 탄생과 조성배경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51, 2013) 181-189쪽 참고.)
신양으로 인식한 바는 조선 후기 황성신문 기사로도 남아있다. (1899년 2월 25일 《皇城新聞》 爾雅續箋四則), (1929년 《별건곤》 23호, 민병한의 경성 팔대문과 오대궁문의 유래)
통도사 탱화에 묘사된 해태 | |
광화문 앞 해태상의 뿔 표현 | 고려시대 제작된 해태모양 연적 |
정조 때에 편찬된 동국세시기는 당시의 세시풍속을 전하는데, 정월이면 대문에 용이나 호랑이를, 부엌문에는 해태를, 광문에는 개를, 안채와 사랑채 사이의 중문에는 닭을 그려 붙인다라고 전한다. 민간에서는 해태를 중국에서 건너와서 정의구현의 상징으로 사용된 해태와는 전혀 다르게 인식하였던 것이다. 특히 화재를 막고 물을 다루는 영수라는 인식은 19세기 전까지는 볼 수 없다가 나중에 발생하였다.
민속에서는 해치라고도 하며, '해님이 파견한 벼슬아치'라고도 불렀다. 물론 이는 민간어원에 더 가까운 것으로 한자어 해치를 한글로 풀어서 새로 해석한 것일 뿐이다.
한국에서는 법의 상징이라는 본래 위치보다 화기를 억누르는 친숙한 영수로서 더 유명하다. 나쁜 놈들 잡아서 혼내 주는 정의의 사도 이미지가 더 널리 퍼진 것만 봐도 한국의 해태가 얼마나 민중과 가깝고도 익살스러운 영수로 변형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4.1. 특징
법이라는 단어를 탄생시킨 동물답게, 그 상징성 때문에 국회, 경찰청, 대법원, 대검찰청은 물론이고 일산 사법연수원에도 해태의 상이 세워져 있다. 서울대학교 근대법학교육백주년 기념관 앞에 있는 '정의의 종'에도 새겨져 있는데, 여기 해태는 학교 교수의 주장으로 뿔이 있다. 덕분에 이 조각상은 원판인 일각수 석상과 더욱 닮았다. 한국에서, 이러한 해태 문양은 관리의 단령에서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법을 관장하는 사헌부의 수장 대사헌은 관복에 해태가 수놓인 흉배를 달았다.조경(생몰년 1541-1609)의 무덤에서 출토된 해태 흉배 |
전교하기를, "대궐 문에 해태(獬豸)를 세워 한계를 정하니, 이것이 곧 상위(象魏)이다. 조정 신하들은 그 안에서는 말을 탈 수가 없는데, 이것은 노마(路馬)에 공경을 표하는 뜻에서이다. 조금 전에 출궁할 때 보니, 종승인(從陞人)이 그 안에서 말을 타던데 이것이 어찌 사체(事體)와 도리(道理)에 맞겠는가? 전후에 걸쳐 신칙한 하교가 얼마나 엄중했는데도 한갓 형식이 되어버렸으니 이와 같이 하고서 어떻게 기강이 서겠는가? 지금부터는 사헌부에서 규찰하여 계문(啓聞)하라." 하였다.
敎曰: 闕門立獬豸爲限, 卽象魏也. 朝臣不得騎馬於其內, 此爲式路馬之意. 俄於出宮時 見之, 則從陞人之乘馬於其內, 是豈事體道理乎? 前後飭敎, 何等截嚴, 而徒歸文具, 如此而何以立紀綱乎? 從今以後, 憲府糾察啓聞.
고종실록 7권, 고종 7년 10월 7일 기해 2번째기사
원래는 사헌부의 상징으로 광화문에서 50 m 정도 떨어진 육조거리에 있던 것을 옮겼다. 그리고 해태상 자체는
흥선대원군이 집권해서
경복궁을 중창할 때 새로 만든 것이다. 이때 경복궁 재건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했기 때문에 경복궁의 화재 얘기가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에도 해태상은
조선총독부 건물 앞으로 이동했다가, 결국 한국전쟁 이후에 광화문을 재건하면서 해태상도 현 위치로 옮겼다.敎曰: 闕門立獬豸爲限, 卽象魏也. 朝臣不得騎馬於其內, 此爲式路馬之意. 俄於出宮時 見之, 則從陞人之乘馬於其內, 是豈事體道理乎? 前後飭敎, 何等截嚴, 而徒歸文具, 如此而何以立紀綱乎? 從今以後, 憲府糾察啓聞.
고종실록 7권, 고종 7년 10월 7일 기해 2번째기사
즉 본래는 사헌부 앞을 지키면서, 지나다니는 관리로 하여금 정의에 어긋나는 행동을 저지르지 않도록 경계하는 역할이었다. 사헌부의 장관인 대사헌의 흉배에도 해태가 새겨져 있었다. 그러다가 흥선대원군이 이동 명령을 내려 한국 사람들에게는 더욱 친숙한 동물이 된 것이다. 근정전의 돌난간에도 있는데, 여기 해태는 새끼를 데리고 있다.
대한민국 국회의사당에 있는 해태상 아래에는 포도주가 묻혀져 있다고 한다. 원래 국회 해태상은 1975년 의사당 준공 무렵 해태제과에서 기증받은 것이다. '해태30년사'에는 '국회 해태상은 국회의사당 준공을 기념하여 당사가 3천만 원을 들여 조각, 국회사무처에 기증한 것이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때 해태주조에서 생산하던 노블와인이라는 상표의 백포도주를 해태상 아래 각각 36병씩 72병을 묻었다고 전한다. 정확하진 않지만 국회 100주년이나 남북통일 시 나누어마실 것이라고 한다.
국회의사당의 해태상에는 또 다른 에피소드가 있다. 준공 당시 국회사무총장으로 재직했던 선우종원 변호사의 회고록에 따르면, 해태상 건립은 고증 자문위원이었던 소설가 월탄 박종화가 제의해서 사작되었다고 한다. 박종화는 유명한 소설 여인천하를 집필한 작가이다. 도지원, 전인화, 강수연 주연의 사극으로 유명세를 탔으며, 제1공화국의 부패상을 빗댄 해석으로 유명하다. 또한 KBS 대하드라마 용의 눈물의 원작소설인 '세종대왕'의 작가이기도 하다.
월탄 박종화가 "의사당을 화재에서 예방하려면 해태상을 세워야 합니다. 조선시대 경복궁이 큰 화재로 전소된 뒤 복원공사 때 해태상을 세워 이후 화재를 예방한 바 있습니다" 라며 건의했다고 한다. 하지만 문제는 예산이었다. 고민 끝에 해태상이 해태제과의 상징이기도 해 박병규 사장에게 건립 협조를 구했더니 박사장이 흔쾌히 기증에 응했다고 한다. 조각은 당시 서울대 이순석 교수가 맡았다. 관련 기사.
눈이 나쁜 사람을 '해태 눈깔'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부정을 방지한답시고 궁 앞에 앉아있어도 탐관오리가 들끓는 현실을 비꼬는 의미에서 붙였다는 설이 있다.
오세훈이 처음 서울특별시장으로 재임하던 시절에 만든 왕범이가 흑역사가 되면서 2009년에 새로 만들어진 서울특별시 대표 캐릭터 해치도 해태에가 모티브가 된 캐릭터다.
한남대교 남북단에도 다리 입구에 해태 석상이 각 1쌍씩 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 마스코트인 건이와 강이의 모델이기도 하다.
해태와 관련된 것으로 야심작 정열맨의 해태파도 유명하다.
한때 디자인 서울 관련해서 무분별한 디자인 산업에 반대한 대학생들이 '해치맨'이라는 캠패인을 벌인 적이 있었다. 해치가면을 쓰고, 팻말을 들고다니거나, 홍보물을 패러디하는 스티커를 붙이는 등의 모습을 UCC로 찍어 올리곤 했다. 이에 대해 공공시설을 파괴한다고 소환장도 온적이 있는듯 하다.
해태가 티베탄 마스티프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환상종이라는 의견이 있는데 #, 우리나라에 오수견이라는 마스티프종이 한때 있었음을 생각하면 신빙성이 없진 않다. 이렇듯 한국의 해태는 민중적인 이미지로 전승되었다.
5. 캐릭터
- 서울특별시 - 해치(서울특별시)
- 국민건강보험공단 - 건이 & 강이
- 대한민국 소방 - (구) 파이어스
- 대전 솔로몬 로파크 - 해돌이 & 해순이
- 경복궁의 메롱해치 - 경복궁 내부에 있는 염제교를 장식한 해치 조각상 중 하나가 혀를 내밀고 있는 익살스러운 모습인 게 알려지면서 김유신이라는 이름의 작가가 이를 모티브로 만든 캐릭터를 그려 유명해졌다. 애니메이션화가 예정되어 있으며, 안예은이 OST 작업을 했다.
- 괴수 - 파티카
- 갓 오브 하이스쿨 - 한대위의 차력
- 던전앤파이터 - 해태 크리쳐
-
동방 프로젝트(
동방천공장) -
코마노 아운
정확히는 해태의 파생형인 코마이누지만, 해태의 성질도 가진다. - 레전드히어로 삼국전 - 레전드히어로 마초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기렌
한국인에게는 해태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지만 중국이 모티브인 판다리아의 안개 특성상 진짜 해태보다는 돌사자가 모티브일 가능성이 높다. 중국에도 해태는 있지만, 설명되어 있듯 중국 해태는 기린과 같이 뿔이 있다. -
아키에이지 - 한우레, 붉은 번개, 푸른 번개
전자는 하리하라 대륙 하슬라 지역에 위치한 네임드 몬스터고, 후자는 2014년 설날 한정판매 탈 것. 둘 다 딱 보면 해태다. -
오성전대 다이레인저 -
천환성 다이고, 성사자
기전수의 모티브가 동아시아의 상상의 동물인데, 그렇게 되면 모티브는 사자이면서 동시에 코마이누/해태가 된다. - 디지몬 테이머즈 - 시사몬, 챠츠라몬
- 마블 코믹스의 한국계 캐릭터. 해치.
- 스톤에이지 - 해태, 해치, 도철
- 드래곤빌리지 - 해태드래곤
-
요괴워치-코마상, 코마지로
원래 이 둘의 모티브는 코마이누, 국내 더빙판 일부에선 이 코마이누를 해태라고 번역하였다. 근데, 그 둘의 생김새가 어떤 사진으로 비교하느냐에 따라 비슷하다. -
원신 -
연비(원신)
여기도 감우와 마찬가지로 해태와 인간의 혼혈이며, 실제 해태가 법과 관련된 영물이라 그런지 법률 자문가라는 설정이다. 그리고 한국한정이지만 해태가 불을 막는다는 인식이지만 해당 캐릭터는 불의 원소를 지녔다. - 도사 가온 - 해치
- 신비아파트 고스트볼Z: 어둠의 퇴마사 - 해치
- 메이플스토리 - 감시자 칼로스
- 아바타 아앙의 전설(프랜차이즈) - 사자거북
- 쿠키런: 킹덤 - 구름해태맛 쿠키
- 베테랑2 - 해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