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공 공'에 대한 내용은 功 문서
, 이 신의 이름을 딴 산란분포대의 왜행성 후보 천체에 대한 내용은
공공(소행성체)
문서
, 웹소설 전쟁검신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공공(전생검신)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10101,#49421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청제 | 염제 | 황제 | 소호 | 현제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신제 | 주제 | 제요 | 제순 | ||
기타 삼황 | |||||
천황 · 지황 · 인황 · 여와 · 유소 · 수인 · 공공 · 축융 | |||||
삼황오제 ·
하 ·
상 ·
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한 삼국시대 · 사마진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수 · 당 오대 · 십국 · 송 · 서하 · 요 · 금 · 원 · 명 · 청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 |
[clearfix]
共工
1. 개요
중국 신화에 나오는 물의 신. 전승에 따르면 인간의 몸에 뱀의 하반신을 지닌 남성 신으로, 붉은 머리칼을 지녔다는 언급도 있다.2. 특징
원래 삼황오제 중 현재는 남방 상제로 취급되는 전 천제 염제 신농 열산씨의 자손으로 강성(姜姓)이며, 염제와 황제 헌원씨가 패권 싸움을 할 때 염제의 편에 서서 싸웠다. 신화에서는 9개의 머리와 뱀의 몸을 가진 하인 상류(相繇)를 두었다고 한다.[1]중국 신화에서 공공은 천하의 패권을 노리다가 불의 신인 축융[2]에게 패하였고,[3] 이에 격분하여 하늘을 받치는 기둥인 부주산(不周山)을 향해 박치기를 했다.
사실 이 박치기 전승에는 비하인드가 있는데, 황제가 퇴임한 후 전욱 고양씨가 옥황상제가 되자 독재정치를 해서 이승의 상황이 좋지 못한 몰골이 되자 이에 대해 항의하는 차원에서 반란을 일으켰던 게 이 박치기 사건의 선행사건이다. 그러나 이것이 실패하자[4] 분을 참지못해서 부주산을 자기 머리로 박아버렸다는 말도 있다.
여하튼 공공에게 때아닌 박치기를 당한 부주산은 당연히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하늘은 북서쪽으로,[5] 땅은 남동쪽으로 기울어졌다.
이로 인해 대홍수가 발생하였고 많은 사람이 고통받았다. 주신이며 자애로운 여신인 여와는 큰 거북의 다리를 잘라 무너진 기둥을 대신하고 상황을 완화시켰으나, 기울어진 하늘을 완전히 복구시킬 수는 없었다. 해, 달, 별이 북서쪽을 향해 움직이고 중국의 강이 남동쪽으로 흐르는 것도, 거북의 다리가 짧아져 느림보가 된 것도 이것이 계기라고 중국 신화에선 설명하고 있다.
3. 기타
신들끼리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한 신이긴 하지만 사람들에겐 숭상받긴 했는지, 사람들은 공공을 기려 대황 북쪽 들판과 북방 해외에 공공대(共工臺)라는 것을 세웠다고 한다.[6][7]동지 팥죽 전승과 관련이 있는 신이기도 하다. 공공의 아들 중 하나가 동짓날에 죽어서 역병을 퍼트리는 귀신이 되고 말았는데, 그는 팥을 무서워했다. 그래서 사람들이 동짓날 팥죽을 쑤어다가 이 귀신이 집에 못 들어오게 문 앞에 뿌리거나 했다고 한다.[8]
2020년 2월 5일 소행성체 2007 OR10에 공식적으로 이 신의 이름이 붙었다. 자세한 건 해당 항목으로.
최강 시리즈의 최강 드래곤왕의 두번째 시범 경기에 출전, 청룡을 상대로 승리했다.
4. 관련 문서
동아시아의 상상의 동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반도 | |||||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거치봉발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을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 ||||||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곤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교1 · 교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기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맥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박 · 백악 · 백택 · 봉희 · 붕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비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탐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환1 · 환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후 · 흑풍괴 | ||||||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 ||||||
몽골 | ||||||
모쇼보 · 몽골리안 데쓰웜 · 봉 · 알마스 | ||||||
기타 | ||||||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곤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용 · 용생구자( 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도철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신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 야간 | ||||||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 ||||||
구분 | 북아시아·중앙아시아 | |||||
아메리카 | 유럽 | 동아시아 | ||||
오세아니아 | 동남아·남아시아 | |||||
남극 |
[1]
상류는 생긴 것이 사람 머리 9개 + 거대한 뱀의 몸을 지녔으며 아홉 머리가 각각 한 산의 모든 것을 먹어치울 정도로 컸다고 한다.
[2]
아이러니하게도 축융도 염제 신농 열산씨의 후손이고 공공의 아버지기도 하다. 다만 축융은 황제 헌원씨 편을, 공공은 염제 신농씨 편을 들어서 서로 편이 갈렸다.
[3]
염제와 황제의 싸움에서도 둘이 붙었다고 설명하는 《만화 중국 신화》도 있다.
[4]
물론 전욱에게 부상을 입히는덴 성공해서, 결국 전욱이
제곡 고신씨에게 황제 자리를 물려주게 된다.
[5]
근데 이 때문에 하늘에 묶여있던 별과 달과 해는 해방되는 이득을 봤다. 사실 얘들이 하늘에 묶여있었기 때문에 어떤 곳에선 죙일 낮 뿐이었고, 어떤 곳에선 죙일 밤 뿐인 사태도 발생했다고.
[6]
공공이 북방계 신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 탓일지도 모른다. (공공대가 세워졌다는 방향도 북쪽이다.)
[7]
혹은 이러니저러니 해도 당시 농경시대에서 중요한 물을 담당하는 신이었으니 섬겼을지도 모른다.
[8]
특이하게도 중국 신화의 신들 중에는 분명 신임에도 불구하고 자식들이 요괴가 되는 경우가 의외로 많이 나온다. 당장 공공만 해도 그렇고, 공공과 패권 다툼을 했던 전욱 고양씨의 경우도
이매망량으로 유명한 망량,
사흉 중 하나인
도올 등의 요괴 자식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