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6 17:10:53

대인


1. 大人
1.1. 성인(成人)의 다른 말1.2. 몸이 큰 사람1.3. 마음이 넓은 사람1.4. 호칭
1.4.1.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1.4.2. 아버지를 높여 부르는 말
2. 代人3. 代印4. 5.

1. 大人

1.1. 성인(成人)의 다른 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성인 문서
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어른'의 한자어. 반대말로는 ' 어린이'의 한자어인 ' 소인(小人)'이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법적으로 어른으로 인정되는 만 19세 이상의 사람'이라는 뜻의 '성인(成人)'과 같은 말로 통한다. 그러나 날이 갈수록 '대인'보다는 '성인'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성인'과 같은 의미로 '대인'이라고 쓰여 있는 곳은 어른과 어린이 요금을 따로 받는 목욕탕이나 놀이동산 같은 곳 외에 얼마 없다. 청소년 요금을 따로 책정해 두지 않은 곳은 청소년도 대인으로 쳐서 대인 요금을 받으며, 이 경우에는 대개 초등학생부터 소인 요금 대상에서 제외되어 대인 요금을 받는다.

일본에서는 '성인'보다는 '대인'이라고 많이 쓴다. 일본어 훈독하면 '오토나(おとな)', 음독하면 '다이진(だいじん)'이 되는데 대개 '오토나'라고 하면 '몸과 마음이 성숙한 사람'이라는 뜻의 '어른'을 말하는 것이고, '다이진'이라고 하면 법적으로 어른으로 인정되는 '성인'을 말하는 것이다.

1.2. 몸이 큰 사람

' 거인(巨人)'과 같은 말이다.

1.2.1. 한국 요괴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거치봉발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 황요 · 황포괴 · 해태 · · 흑풍괴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몽골
모쇼보 · 몽골리안 데쓰웜 · · 알마스
기타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 용생구자( 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도철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조선 말엽에 나온 야담집인 청구야담에 의하면 제주도에 살았던 어느 노인이 젊은 시절에 20명의 동료들과 함께 배를 타고 바다에 나갔다가 파도와 바람에 휩쓸려 배가 이리저리 떠돌다가 어느 섬에 도착했는데, 그 섬의 언덕에 어느 높은 집이 지어져 있었고 그 집의 문이 열리더니 커다란 거인 한 명이 걸어나왔다고 한다. 그 거인은 키가 무려 20길(60미터)나 되었고, 허리의 둘레는 열 명의 사람들이 끌어안아야 할 만큼 굵었으며, 얼굴은 먹물처럼 새까맣고, 두 눈동자는 등잔불처럼 빨갛게 타올랐고, 머리카락과 수염은 붉은 실처럼 생겼다. 게다가 목소리는 마치 당나귀의 울음소리와 같아서 무슨 말을 하는 것인지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했다. 이 거인은 노인의 동료들을 잡아먹고 행패를 부려 노인은 간신히 살아서 도망쳤는데, 청구야담에서는 그 거인을 가리켜 대인이라고 불렀다.[출처] 링크

하지만 이 이야기는 너무나도 오디세이아에 나오는 폴리페모스 이야기와 비슷하여 원래 조선에 전해지는 이야기가 아니라 조선 말기에 오디세이아 이야기가 조선으로 전해져 현지화된 것으로 보는 게 정설이다.

1.3. 마음이 넓은 사람

대인은 호랑이처럼 변하고(大人虎變), 군자는 표범처럼 변하고(君子豹變), 소인은 얼굴만 바꾼다(小人革面).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말과 행실이 바르고 점잖으며 덕이 높은 사람'이라 정의하였으나 대개 '마음이 넓고 그릇이 큰 사람'이라는 뜻으로 통용된다. 유의어로는 ' 호인(好人)', ' 군자(君子)'가 있으며 군자라는 말과 합쳐서 '대인군자(大人君子)'라고도 한다. 대인보다 격이 높은 사람은 ' 성인(聖人)'이라고 하며 반대말로는 ' 소인(小人)', ' 소인배(小人輩)'가 있다.

한국에서 '대인'이라고 하면 대개 이 뜻으로 통한다. ' 대인배(大人輩)'라고도 하는데 무리 배() 자는 '소인배', '불량배'처럼 행실이 천한 무리를 나타내는 말에 쓰이는 한자로서 부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으니 따지자면 틀린 표현이다. 지금에 와서는 '대인배'라는 말이 '대인'보다도 많이 쓰이고 반대말로 '소인배'라는 단어도 있기 때문에 연원이 오래된 단어처럼 느껴지지만 '대인배'라는 말은 의외로 최근에 생겨난 단어로서 만화가 김성모 1998년부터 2000년까지 연재하던 『 럭키짱』이라는 만화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소인배'는 등재되어 있으나, '대인배'는 등재되어 있지 않다.

엄재경 해설위원은 스타크래프트판에서 이 말이 자주 쓰이는 것을 보고 이 점을 바로잡기 위해 대인배 김준영을 언급할 때 자주 이 말을 언급했으나 지금은 대인배라는 단어 자체가 워낙 널리 퍼져 큰 효과는 없는 모양이다. 그래도 다음 스타리그 결승전 때 김준영의 들이 가져온 치어풀에는 대부분 대인배 대신 대인을 표기해 놓았다.

1.4. 호칭

1.4.1.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2인칭 대명사로, 상대방을 일러 '마음이 넓고 그릇이 큰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르는 호칭이다. 이때 상대방에 비해 본인의 격을 낮추어 ' 소인(小人)'이라 지칭한다. 한국어에서 이와 비슷하게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로는 ' 나리', ' 어르신', '(公)' 등이 있다.

중국어로는 '다렌(dàren)'이라 읽는다. 주로 스승뻘의 어른이나 존경받는 사람을 높여 대인이라고 한다.[예] 중국 사극 같은 곳에서는 주로 고위직의 관리을 일러 '대인'이라고 불러 한국어의 ' 대감(大監)'과 같은 뜻으로 사용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사용한다.

한국에서도 대인이라는 말이 쓰이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현대에 와서는 무협지에서나 볼 수 있을 정도로 잘 쓰이지 않는 말이다. 한국 사극에서도 '대인'은 중국의 고유한 호칭으로 사용되는 것이 불문율이다.

1.4.2. 아버지를 높여 부르는 말

자기 아버지를 남에게 높여 부르거나 남의 아버지를 높여 부르는 3인칭 대명사이다. 다만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부르는 경우는 드물고 예에도 어긋나므로 주로 남의 아버지를 높여 부르는 3인칭 대명사로 쓰인다. 남의 아버지를 높여 부르는 말로는 '대인' 이외에도 '춘부장(春府丈/椿府丈)' 등이 있다.

돌아가신 아버지를 지칭할 경우에는 '선대인(先大人)'이라고 하는데 이 또한 돌아가신 남의 아버지를 높여 부르는 말로서, 돌아가신 나의 아버지를 남에게 말할 때에는 '선친(先親)'이라고 한다.

2. 代人

남을 대신하거나 남을 대신하여 일을 맡은 사람을 이르는 것으로, 전자의 의미와 같은 말로는 '대리(代理)', '대임(代任)' 등이 있으며, 후자의 의미와 같은 말로는 '대리인(代理人)', '대원(代員)' 등이 있다.

3. 代印

남을 대신하여 도장을 찍는 것.

4.

사람을 기다림. 또 무엇을 기다리는 사람.

5.

다른 사람을 상대함. ' 대인 관계', ' 대인지뢰'등이 있다.
[출처] 주해 청구야담 1~3 / 최웅 역 / 국학자료원 [예] 包大人(포 대인/어르신/나리): 포청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