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상상의 동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반도 | |||||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거치봉발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을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 ||||||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곤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교1 · 교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기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맥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박 · 백악 · 백택 · 봉희 · 붕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비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탐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환1 · 환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후 · 흑풍괴 | ||||||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 ||||||
몽골 | ||||||
모쇼보 · 몽골리안 데쓰웜 · 봉 · 알마스 | ||||||
기타 | ||||||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곤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용 · 용생구자( 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도철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신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 야간 | ||||||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 ||||||
구분 | 북아시아·중앙아시아 | |||||
아메리카 | 유럽 | 동아시아 | ||||
오세아니아 | 동남아·남아시아 | |||||
남극 |
七大聖
1. 개요
고전소설 《 서유기》에 나오는 요괴들이다.2. 목록
- 평천대성 우마왕 (平天大聖 牛魔王) - 하늘을 평정하는 큰 성인
- 복해대성 교마왕 (覆海大聖 蛟魔王) - 바다를 뒤엎는 큰 성인
- 혼천대성 붕마왕 (混天大聖 鵬魔王) - 하늘을 혼란스럽게 하는 큰 성인
- 이산대성 사타왕 (移山大聖 獅𤝛[⿰犭它]王) - 산을 옮기는 큰 성인
- 통풍대성 미후왕 (通風大聖 獼猴王)- 바람을 꿰뚫는 큰 성인
- 구신대성 우융왕 (驅神大聖 𤟹[⿰犭禺]狨王) - 신선을 쫓아내는 큰 성인
- 제천대성 미후왕 (齊天大聖 美猴王) - 하늘을 다스리는 큰 성인
3. 설명
손오공과 그의 요괴 의형제들. 대성이라고 거창한 이름을 자칭하고 다니지만 그 실체는 손오공이 그렇듯이 요괴의 거두들이다. 물론 대성이라고 해도 아무도 태클을 못 걸 정도로 강력한 마왕들인건 맞다. 대충 그 동네의 칠공주 쯤 된다고 할 수 있다.각각 무슨 동물들이 요괴로 변모했냐면, 우마왕 - 황소, 교마왕 - 상어[2], 붕마왕 - 대붕, 사타왕 - 사자, 미후왕(獼猴王/美猴王)[3] - 원숭이, 우융왕 - 긴꼬리원숭이
4. 기타
원작에서 손오공이 다른 여섯 마왕과 친구가 된 후 어느날 이들을 초대해서 연회를 열 때 소와 말을 잡아서 제사를 지냈다는 언급이 있다. 이 때 같은 소인 우마왕이 어떤 심정이었을지...칠대성 가운데 나중에 한 번 더 나오는 이는 미후왕 손오공을 빼면 맏이 우마왕 뿐이다. 나머지는 어떻게 됐는지 불명.[4][5]《서유기》의 주역인 제천대성 손오공은 말할 것도 없고, 평천대성 우마왕도 어마어마한 위용을 보여준 까닭에 다른 칠대성들도 상당한 대요괴겠지만…… 등장이 없는 관계로 묻혔다. 다만 그 능력을 약간이나마 알 수 있는 대목이 나오는데 칠대성이 처음 나올 때 언급상 손오공은 자기와 맞먹는 대요괴들과 의형제를 맺었고 그 후 오공이 제천대성이라 자칭하자 그들도 손오공을 따라 대성이라고 자칭했다는 언급을 보면 하나 같이 손오공에 맞먹는 괴물 집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원작과 미디어믹스를 가리지 않고 칠대성들 중 오공이 첫째거나 우마왕 바로 밑인 둘째라고 착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실제로는 손오공이 칠대성 가운데 막내다. 물론 막내라고 가장 약하다는 것은 아니다. 오공이 막내인 것은 나이가 가장 어렸기 때문이다.
가짜 손오공이 나오는 《서유기》 제58회에서는, 손오공을 가장한 원숭이 요괴 통비원후가 초천대성(超天大聖)이라고 자칭하기도 한다. 원판보다 한술 더 뜨는 놈이다. 또, 사타령에서 사타왕, 붕마왕이 나오지만 칠대성과는 별개의 등장인물이다.
기본적으로 우마왕과 미후왕(손오공)을 제외한 마왕들은 나오질 않았다. 이들의 실력에 관한 묘사는 대부분 2차 창작 같은 데서 나온 것이므로 주의.
2010년 드라마에는 둘째와 셋째는 여성으로 표현되며 이 둘이 사람이 되는 단약을 가지려고 싸우다 단약이 떨어진 바위에서 손오공이 태어나며 이 둘은 천계가 화과산에 쳐들어 왔을때 토벌당하는데 대붕은 손오공과 보상국에서 마주쳤을때 분신하고 백골요괴로 환생하여 손오공을 방해했지만[6] 영혼은 관세음보살이 거두어갔고, 교마왕은 서량녀국의 여왕이 교마왕과 닮았다고 한다. #
5. 대중문화 속의 칠대성
-
라이트 노벨 《
문제아들이 이세계에서 온다는 모양인데요?》에는 이 칠대성에서 모티브를 따온 커뮤니티 칠대요왕이 나온다.
이 중 우마왕과 교마왕, 붕마왕은 주인공과 여러모로 인연이 있으며, 두 명의 미후왕(통풍대성, 손오공)은 등장만 한 상태이다.
- 게임 《 날아라 슈퍼보드 -환상서유기-》에서 나오는 육마왕은 예전에 손오공도 함께 놀면서 둘째로 된 적이 있었기 때문에 7명이 되어 칠마왕이라고 불리게 됐을지도 몰랐다는 언급이 있는 것을 보면 모티브가 칠대성으로 보인다.
-
웹툰 《
갓 오브 하이스쿨》에서 나오는 오공과 우마왕이 맺은 의형제 9마왕은 암만 봐도 칠대성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다만 완결 때까지
제천대성,
평천대성,
혼천대성까지 밝혀졌다.
9마왕이라며 나머지 두 명은 누군데[8]
- 웹툰 《 이말년 서유기》에도 칠대성이 모두 등장한다. 다만 통풍대성 미후왕은 손오공과 헷갈리지 않기 위함인지 백귀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초반부터 등장해서 저팔계나 이랑진군의 부하들과 싸우는 등 꽤나 활약하지만, 우마왕 외에는 모두 존재감이 없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인지 중간에 나타의 참요검에 당해 우마왕, 사타왕, 손오공만 남고 몰살당한다. 하지만 만화가 막판에 이른 133화에서는 시간을 되돌리는 새태세의 금종으로 전원 부활하면서 해피 엔딩이 된다.
- 게임 《 세븐나이츠》에선 손오 공과 우마왕만 나왔으나, 시즌3에서 '칠대성'이란 카테고리가 생기면서 등장을 예고를 한다. 조금 다른 점이라면 손오공의 신화각성 명칭이 패도대성이다. 그러나 이후 공개된 떡밥에서 북유럽 신화의 거대 괴물인 펜리르가 나오면서 북유럽 신화에서 설정을 가져왔다는 추측들이 있었고 이는 수르트의 등장으로 확정되었다.[9]
- 최유기 극장판에 칠대성중 하나인 붕마왕이 등장한다. 그러나 더빙판에서는 환몽왕으로 번역되었다.
- 괴력 난신에서 대력왕(大力王), 교마왕(蛟魔王), 백붕마왕(白鵬魔王), 사타왕(獅駝王)등 육마왕(六魔王)의 일부라고 한다. 제천대성도 있었는데 순리를 벗어났다고 한다.
- 남궁세가의 제천대성에서도 등장.
6. 관련 문서
[1]
손오공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손오공은 천계 전체를 통틀어서 적수가 거의 없다(비록
이랑진군에게 잡혔지만, 이것도 다른 신들의 적극적인 서포트로 가능했던 거다. 즉, 다른 신들의 도움 없이는 제아무리
이랑진군이라도 제압 못한다). 그런 손오공과 비슷한 힘을 가진 괴물들이라는 점에서 이들도 하나 하나가 이랑진군과 맞먹는 괴물이라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다만 일단 오공과 우마왕이 막상막하인지라 형제 먹는 김에 기분이다 하고 약간 떨어지는 녀석들하고 같이 묶여줬을 수도 있다. 물론 그래도 자신들과 같이 대성의 칭호를 쓰는 걸 허락할 정도면 자기들 말곤 적수가 없는 초강자들이었을 것이다.
[2]
가끔 용이나 뱀으로도 나온다. 교(蛟)라는 한자가 호수 등에 나오는 비 내리게 하는 종류의 동양
용이나
이무기를 뜻하기 때문에 오히려
수룡이나
해룡이 맞는 것일지도 모른다.
[3]
같은 인물에 서로 다른 한자 표기가 2개 붙어있는 게 아니라
이름만 같은 서로 다른 인물이다. 물론 이름이 같다는 것도 한자 문화권 국가 중 한국에서만 해당되는 사항으로, 중국어에서는
보통화 기준으로 각각 míhóu(미허우) / mĕihóu(메이허우)로, 일본어에서는 みこうおう(미코오) / びこうおう(비코오)로 구분이 된다. 후자가 손오공이며, 이말년 서유기에서는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손오공이 아닌 쪽의 미후왕이 '백귀왕'이란 이름으로 각색되어 나왔으나, 원전에서 확인되는 사항은 아니다.
[4]
2010년 신서유기에선 천계가 화과산에 쳐들어올 때 우마왕을 선봉으로 해서 싸웠고 손오공과 함께 천계로 끌려갔다가 손오공이 팔괘로에서 나오면서 빠져나온다. 다만 둘째와 셋째는 죽는다
[5]
허나 셋째는 이후 백골정과 황포괴 역할까지 하고 관세음보살이 데려간다
[6]
손오공은 우마왕 때와 마찬가지로 의형제를 만났다며 반가워했지만, 대붕(백골요괴)은 오랫동안 사람이 되기 위해 수련해왔는데 손오공이 벌인 싸움에 휘말려서 한날 요괴로 전락해버렸다며 증오하고 있었다.
백골정 에피소드가 유독 손오공이 골탕먹는 내용이였다는 걸 재해석한 것.
[7]
제천대성(미후왕)은
천마로 언급되며 등장.
[8]
독자들은
저팔계와
사오정으로 추정 중. 이들도 강한 요괴고, 원전에서 저팔계는 손오공을 도와 우마왕과 맞붙은 적도 있다.
[9]
손오공의 4성은 미후왕, 5성은 제천대성, 6성은 투전승불, 각성은 대원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