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상상의 동물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한반도 | |||||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거치봉발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을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 ||||||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곤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교1 · 교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기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맥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박 · 백악 · 백택 · 봉희 · 붕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비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탐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환1 · 환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후 · 흑풍괴 | ||||||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 ||||||
몽골 | ||||||
모쇼보 · 몽골리안 데쓰웜 · 봉 · 알마스 | ||||||
기타 | ||||||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곤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용 · 용생구자( 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도철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신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 야간 | ||||||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 ||||||
구분 | 북아시아·중앙아시아 | |||||
아메리카 | 유럽 | 동아시아 | ||||
오세아니아 | 동남아·남아시아 | |||||
남극 |
三頭九尾
1. 개요
한국의 요괴. 제주도의 민간 전승에 등장하는 요괴이다.2. 설명
이름처럼 머리 셋에 꼬리가 아홉이며약점은 무쇳덩이, 달걀, 동쪽으로 뻗은 버드나무[2] 가지라고 한다. 무쇠는 불에 넣어도 타지 않고 변하지 않아서 자신의 조화가 듣지 않는데다 가슴을 맞으면 먹먹해지고, 달걀은 땅의 일을 물어도 난 눈도 코도 입도 귀도 없어서 모른다고 잡아 떼는데다 얼굴에 맞아 범벅이 되면 앞이 보이지 않고, 버드나무 가지는 뻣뻣해서 그걸로 한 번 맞으면 사지가 저려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이라고. 금돼지나 불가사리 등 대부분의 요괴나 괴물이 약점을 한 개 정도만 가지고 있는것에 비해 이 놈은 무려 세 개. 게다가 그 중 하나는 쉽게 구할 수 있는 달걀이라니...[3]
삼두구미는 위에 써있듯, 현대에 알려진 다른 요괴들에 비해 어수룩해 보이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신화를 다루는 "본풀이"에 속한 점에서 보이듯 이 삼두구미를 금돼지와 불가사리 같이 그저 퇴치 당하기만 하는 괴물로 보기엔 석연찮은 점이 있다. 신화 스토리 상에서 분명 퇴치당한 노일제대귀일의 딸이 지금까지도 측신(厠神)으로 좌정해 전통 화장실 문화에 막대한 영향을 끼쳐왔듯 이 삼두구미는 현재에도 제주의 " 이장(移葬)"풍습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 삼두구미는 제주의 본풀이 중에서도 "특수 본풀이"에 소개되고 있다. "열두 본풀이"가 현재까지 전통 무속의례에서 불리는 신화이자 행사 대본이라면 특수 본풀이는 설화만 남고 더이상 본무대에 거의 오르지 못하는 뒷전 신세의 신화다. 이것도 열두본풀이 처럼 12가지나 된다.
아래는 설화를 정리한 내용이다.
1. 딸만 셋인 가난한 나무꾼에게서 한 노인이 돈을 주고 큰딸을 새신부로 삼아 깊은 산 땅속 고대광실(高臺廣室) 높은집으로 데려간다. 그런데 자신과 살려면 사람고기를 먹어야 한담서 노인은 큰딸에게 자기 다리를 한 짝 떼어 준다.
2. 노인이 외출한 사이 큰딸은 다리를 지붕 위로 던져놓고 돌아온 노인에게 먹었다 말하지만 노인의 부름에 다리가 "예!"하고 대답해 들켜버린다. 화가 난 노인은 머리 셋, 꼬리 아홉인 괴물의 본색을 드러내 큰딸을 죽이고 다시 나무꾼의 둘째딸을 데려온다.
3. 노인은 둘째딸에게 다리를 먹으면 언니를 보게 해준다 하고 외출하는데 둘째는 마루를 뜯어 그 밑에 다리를 숨기고 먹은체 한다.
하지만 돌아온 노인의 부름에 다리가 대답해 역시 죽게 된다. 마지막으로 노인은 막내딸을 데려온다.
4. 막내는 먼저 언니들을 보여줘야 다리를 먹겠다고 버티다 결국 순종하는 척 하며 노인에게 좋아하는 것을 묻는다. 노인은 이에 대답한다. "나는 이 다리를 먹는 사람이 제일 좋다." 그러자 막내는 싫어하는 것도 묻는다. "날달걀과 무쇠덩이, 동쪽으로 벋은 버드나무 가지를 싫어한다." 이렇게 대답한 노인은 자신이 아흐레 동안 외출한 사이 다리를 다 먹으라 말하고 나간다.
5. 막내는 다리를 살이 다 녹을 때 까지 펄펄 삶고 졸여 남은 뼈가 손바닥 만해지자 그걸 전대에 묶어 허리에 두른다. 그리고 무쇠, 달걀, 버드나무 가지를 구해 숨겨둔다. 열흘째에 돌아온 노인이 "다리야!"부르니 막내의 배에서 대답이 들려 만족해 한다.
6. 막내는 그런 노인에게 이름과 세 물건을 싫어하는 이유를 묻고 노인은 대답해준다. " 난 삼두구미라 하는 땅귀신이다. 달걀은 땅의 일을 물어보면 자신은 눈,코,귀,입이 없어 모른다며 고개를 젓는데다 얼굴에 맞으면 범벅이 되어 앞을 못보게 되니 싫다. 무쇠는 불에도 안타고 변하지 않아 내 조화가 안통하는데 가슴에 맞으면 먹먹해지니 싫어한다. 그리고 동쪽으로 난 버드나무 가지는 뻣뻣해서 그것에 맞으면 사지가 칭칭 저려 운신을 못하게 된다."
7. 이 대답을 들은 막내는 이나 잡아 주겠다며 뒤로 접근해 숨겨뒀던 세 물건을 노인 앞에 꺼내 놓았고 이걸 본 노인은 괴물의 본색을 드래낸체 두려워 벌벌 떤다. 이런 삼두구미를 막내딸이 버드나무 가지로 후려치니 그 땅귀신은 동쪽을 향해 달아나려 한다.
8. 그걸 본 막내딸이 잽싸게 날달걀로 얼굴을 맞춰 눈을 가리고 무쇳덩이를 던져 가슴을 맞추자 삼두구미는 축 늘어져 쓰러진다. 막내는 괴물의 겨드랑이에 천평지평(天平地平)을 쓴 달걀을 껴두고 언니들을 불러 대답이 들린 방문을 여니 그곳엔 백골들이 놓여 있었다.
9. 유골들을 추려 집에 돌아온 막내를 맞아준 나무꾼은 슬피 울곤 장례를 위해 칠성판을 마련하고 버드나무 가지를 구해 산을 오르니 거기엔 다시 살아나려는 삼두구미가 있었다. 땅귀신은 나무꾼의 버드나무 가지에 맞아 죽고 방아에 가루로 빻아져 바람에 날려진다.
10. 이 이후로 묘를 이장할 때, 시신을 백보 바깥에 가져다 놓고 옷을 갈아입히고, 처음의 묘터에 달걀 세 개와 무쇠덩어리 세 개를 묻고 흙을 덮은 후, 버드나무 가지를 꽂아서 삼두구미 땅귀신을 방지하게 되었다.
2. 노인이 외출한 사이 큰딸은 다리를 지붕 위로 던져놓고 돌아온 노인에게 먹었다 말하지만 노인의 부름에 다리가 "예!"하고 대답해 들켜버린다. 화가 난 노인은 머리 셋, 꼬리 아홉인 괴물의 본색을 드러내 큰딸을 죽이고 다시 나무꾼의 둘째딸을 데려온다.
3. 노인은 둘째딸에게 다리를 먹으면 언니를 보게 해준다 하고 외출하는데 둘째는 마루를 뜯어 그 밑에 다리를 숨기고 먹은체 한다.
하지만 돌아온 노인의 부름에 다리가 대답해 역시 죽게 된다. 마지막으로 노인은 막내딸을 데려온다.
4. 막내는 먼저 언니들을 보여줘야 다리를 먹겠다고 버티다 결국 순종하는 척 하며 노인에게 좋아하는 것을 묻는다. 노인은 이에 대답한다. "나는 이 다리를 먹는 사람이 제일 좋다." 그러자 막내는 싫어하는 것도 묻는다. "날달걀과 무쇠덩이, 동쪽으로 벋은 버드나무 가지를 싫어한다." 이렇게 대답한 노인은 자신이 아흐레 동안 외출한 사이 다리를 다 먹으라 말하고 나간다.
5. 막내는 다리를 살이 다 녹을 때 까지 펄펄 삶고 졸여 남은 뼈가 손바닥 만해지자 그걸 전대에 묶어 허리에 두른다. 그리고 무쇠, 달걀, 버드나무 가지를 구해 숨겨둔다. 열흘째에 돌아온 노인이 "다리야!"부르니 막내의 배에서 대답이 들려 만족해 한다.
6. 막내는 그런 노인에게 이름과 세 물건을 싫어하는 이유를 묻고 노인은 대답해준다. " 난 삼두구미라 하는 땅귀신이다. 달걀은 땅의 일을 물어보면 자신은 눈,코,귀,입이 없어 모른다며 고개를 젓는데다 얼굴에 맞으면 범벅이 되어 앞을 못보게 되니 싫다. 무쇠는 불에도 안타고 변하지 않아 내 조화가 안통하는데 가슴에 맞으면 먹먹해지니 싫어한다. 그리고 동쪽으로 난 버드나무 가지는 뻣뻣해서 그것에 맞으면 사지가 칭칭 저려 운신을 못하게 된다."
7. 이 대답을 들은 막내는 이나 잡아 주겠다며 뒤로 접근해 숨겨뒀던 세 물건을 노인 앞에 꺼내 놓았고 이걸 본 노인은 괴물의 본색을 드래낸체 두려워 벌벌 떤다. 이런 삼두구미를 막내딸이 버드나무 가지로 후려치니 그 땅귀신은 동쪽을 향해 달아나려 한다.
8. 그걸 본 막내딸이 잽싸게 날달걀로 얼굴을 맞춰 눈을 가리고 무쇳덩이를 던져 가슴을 맞추자 삼두구미는 축 늘어져 쓰러진다. 막내는 괴물의 겨드랑이에 천평지평(天平地平)을 쓴 달걀을 껴두고 언니들을 불러 대답이 들린 방문을 여니 그곳엔 백골들이 놓여 있었다.
9. 유골들을 추려 집에 돌아온 막내를 맞아준 나무꾼은 슬피 울곤 장례를 위해 칠성판을 마련하고 버드나무 가지를 구해 산을 오르니 거기엔 다시 살아나려는 삼두구미가 있었다. 땅귀신은 나무꾼의 버드나무 가지에 맞아 죽고 방아에 가루로 빻아져 바람에 날려진다.
10. 이 이후로 묘를 이장할 때, 시신을 백보 바깥에 가져다 놓고 옷을 갈아입히고, 처음의 묘터에 달걀 세 개와 무쇠덩어리 세 개를 묻고 흙을 덮은 후, 버드나무 가지를 꽂아서 삼두구미 땅귀신을 방지하게 되었다.
이 글은 약간 축약한 내용으로
귀신은 막내손녀도 데려와 다리를 먹으라 시키고 사흘 동안 외출한다. 막내는 부모를 부르며 울었고 이때 백발노인이 다리를 가루로 빻아 수건에 감고 배에 두르라 알려줘 그대로 한다. 돌아온 와라진이 다리를 부르자 막내의 배에서 뱃속에 있어 나갈수가 없단 대답이 들린다. 만족한 와라진은 막내손녀와 같이 살며 집안에 있는 사람 살리는 물병과 죽이는 물병을 알려준다. 그리고 싫은 게 뭐냔 질문에 "버드나무"라 답해준다.
다시 와라진이 외출을 하고 이때 막내는 버드나무 가지를 구해와 집 근처에 숨겨둔다. 그날 밤 와라진이 돌아와 잠들었을 때 손녀는 버드나무 가지를 가져와 귀신의 배 위를 쳐서 숨통을 끊는다. 그리고 사람 살리는 물을 뿌려 죽었던 사람들을 살려낸다. 집에 돌아온 손녀는 할아버지와 함께 와라진에게 받은 돈으로 잘 살게 된다.
이후로도 막내는 버드나무를 많이 심어 그 가지를 꺾어다 집안 곳곳에 꽂아두었다. 그러다 어느날 버드나무 약독이 다 한 와라진이 살아나 막내손녀를 찾아온다. 그러나 막내는 와라진이 자기 방에 들어올 때 밀어 넘어뜨리곤 그 위에 미리 준비해둔 버드나무 가지를 한아름 쌓아둔다.
다음날 땅 속에서 살아났던 사람들이 그 집에 찾아와 잔치를 열고 복수를 위해 귀신을 빻아 가루를 낸 뒤 떡으로 만들어 새들에게 던져줬다. 그렇게 새들에게 먹힌 와라진은 훗날 새로 환생한다.
다시 와라진이 외출을 하고 이때 막내는 버드나무 가지를 구해와 집 근처에 숨겨둔다. 그날 밤 와라진이 돌아와 잠들었을 때 손녀는 버드나무 가지를 가져와 귀신의 배 위를 쳐서 숨통을 끊는다. 그리고 사람 살리는 물을 뿌려 죽었던 사람들을 살려낸다. 집에 돌아온 손녀는 할아버지와 함께 와라진에게 받은 돈으로 잘 살게 된다.
이후로도 막내는 버드나무를 많이 심어 그 가지를 꺾어다 집안 곳곳에 꽂아두었다. 그러다 어느날 버드나무 약독이 다 한 와라진이 살아나 막내손녀를 찾아온다. 그러나 막내는 와라진이 자기 방에 들어올 때 밀어 넘어뜨리곤 그 위에 미리 준비해둔 버드나무 가지를 한아름 쌓아둔다.
다음날 땅 속에서 살아났던 사람들이 그 집에 찾아와 잔치를 열고 복수를 위해 귀신을 빻아 가루를 낸 뒤 떡으로 만들어 새들에게 던져줬다. 그렇게 새들에게 먹힌 와라진은 훗날 새로 환생한다.
제주에서는 이장(移葬)을 "철리한다"라 표현하며 설화속에 나온 삼두구미의 퇴치법은 바로 이 철리할 때의 의례와 일치한다. 우선 이장에 앞서 토신제(土神祭)를 행할 때 삼두구미로 하여금 "‘옥황(하늘)'에 올라가십사" 하는 내용의 축문을 고한다. 그렇게 땅귀신이 하늘로 간 사이 사람들은 유골을 100보 밖으로 옮기고 빈 자리엔 무쇠 세 조각과 날달걀 세 개를 넣은 후 흙을 덮고 버드나무 가지를 꽂는다. 수습된 유골은 성복제(成服祭)를 지낸 후 새로운 묘소로 옮기게 된다. 이후 하늘로 올라갔던 삼두구미는 텅 빈 묘소에 돌아와 유골을 찾게 되는데 거기 있는 달걀은 눈,코,입,귀가 없어서, 무쇠는 먹먹해서 모른다 하고 버드나무는 뻣뻣하게 모른다고 대답한다. 결국 철리를 한 유골과 그 가족, 후손들을 못 찾게 된 삼두구미는 누구에게도 동티(動土)[4]를 내릴 수 없게 된다.
제주에서는 장례를 지낼 때 관 위에 "동심절"이라는 한지로 만든 인형을 놓는데 한국민속대백과사전에서는 이는 시체 먹는 괴물, 삼두구미로 부터 시신을 지키기 위함으로 추측한다. 반대로 문화콘텐츠닷컴에서는 삼두구미를 시체를 관장하며 무덤을 지키는 토신(土神)으로 보고 있다. 전통적으로 혼(魂)은 하늘로 가고, 백(魄)은 땅으로 들어가니 땅속에 살며 시체와 연결점을 갖는 삼두구미는 백을 인도하는 신격으로 보인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이 "무덤"과 "죽음","시체"와 관련해 구미호 항목에 여우에 관련된 민간의 부정적인 속설이 몇 나와있다.
“북쪽에서 여우가 울면 그 동네에 초상이 난다”
“앞산에서 여우가 울면 부음(訃音)이 들어오고, 뒷산에서 여우가 울면 사람이 죽는다.”
"손(액운, 악귀) 있는 날 시체를 매장하면 그 시체는 여우가 된다"
북쪽은 공동 묘지가 있는 북망산을 상징하며, 음(陰)과 암(暗)을 가리킨다.
그리고 여우는 무덤을 파서 송장을 먹는다고 하며, 더군다나 북쪽의 여우는 죽음을 뜻한다.
그래서 여우의 울음은 죽음을 알리는 소리로, 저승사자의 출현으로 인식하였다.||
많은 문화권에서 까마귀를 죽음의 상징으로 여겼는데 한국에선 이 여우 역시 죽음을 상징하는 동물 중 하나였다.
꼬리 아홉을 지녔기에 구미호가 떠오르는 요괴이지만 설화상에선 여우가 변한 게 아니라 원래부터 땅속에 살던 귀신이나 요괴비슷한 것으로 표현된다. 더구나 반전으로 구전 어디에도 이 괴물이 여우의 외형을 했다는 내용은 없다!!! 이름의 뜻과 스토리에서 모두 머리 셋, 꼬리 아홉의 귀신 혹은 괴물로만 표현될 뿐이다. 아무래도 삼두구미가 여우요괴일 것이란 인식은 꼬리 아홉을 의미하는 구미九尾에서 나온듯 하다. 어쩌면 사람 모습에 머리 셋, 꼬리가 아홉인 반인반수의 형태일지도 모를 일이다.사실 별 상관 없지만. 구미호 외에 꼬리 아홉을 지닌 환상종으로 중국 전설속 곤륜산에 산다는
육오(陸吾)라는 신이 있다. 사람 얼굴에 호랑이의 몸과 아홉 꼬리를 지닌 이 신은 곤륜에 있는 도시를 수호한다고 한다.
“앞산에서 여우가 울면 부음(訃音)이 들어오고, 뒷산에서 여우가 울면 사람이 죽는다.”
"손(액운, 악귀) 있는 날 시체를 매장하면 그 시체는 여우가 된다"
북쪽은 공동 묘지가 있는 북망산을 상징하며, 음(陰)과 암(暗)을 가리킨다.
그리고 여우는 무덤을 파서 송장을 먹는다고 하며, 더군다나 북쪽의 여우는 죽음을 뜻한다.
그래서 여우의 울음은 죽음을 알리는 소리로, 저승사자의 출현으로 인식하였다.||
많은 문화권에서 까마귀를 죽음의 상징으로 여겼는데 한국에선 이 여우 역시 죽음을 상징하는 동물 중 하나였다.
꼬리 아홉을 지녔기에 구미호가 떠오르는 요괴이지만 설화상에선 여우가 변한 게 아니라 원래부터 땅속에 살던 귀신이나 요괴비슷한 것으로 표현된다. 더구나 반전으로 구전 어디에도 이 괴물이 여우의 외형을 했다는 내용은 없다!!! 이름의 뜻과 스토리에서 모두 머리 셋, 꼬리 아홉의 귀신 혹은 괴물로만 표현될 뿐이다. 아무래도 삼두구미가 여우요괴일 것이란 인식은 꼬리 아홉을 의미하는 구미九尾에서 나온듯 하다. 어쩌면 사람 모습에 머리 셋, 꼬리가 아홉인 반인반수의 형태일지도 모를 일이다.
그리고 직접적 연관은 없어도 시체와 무덤이란 공통요소를 가진 요호 설화가 둘 있다.
공동묘지 여우 할멈 : 뒷산 공동묘지에 살며 시체를 파먹는 여우 요괴로 노파로 변신한다. 설화 내에서 계속 연관이 암시되는 아이들 돌림병과 성적인 희롱을 즐긴단 점에서 서구할미와도 연관성이 보여지는 요호이다. 또한 아이들 죽음을 상징하는 아총(兒塚)은 구미호에 소개된 몇 설화에서 여우가 훼손하고 그 시체를 파먹는단 소재로 등장한다.
동래 화지산 산터 : 풍수지리, 무덤과 관련된, 어찌보면 삼두구미에 가장 근접할 요괴로 그 모습은 고양이와 여우를 섞어논 듯한 모호한 형체로 묘사된다. 이 요괴들은 시체는 먹지는 않지만 무덤터에 집착하며 거기 묻힌 정씨 아버지의 시신을 "도둑이 들었다"며 자꾸 들어내 버리다 "삼족구"에게 내쫒기며 사라진다.
삼두구미가 여우의 형상인지는 불확실 하지만 여우라는 동물이 그 자체로 무덤가에 살며 시체를 파먹는단 속신은 전국에 퍼져있는 게 사실이다.
다만, 삼두구미의 외형 이외의 묘사를 추측할 수 있는 내용이 하나 있는데, 열두 본풀이중 하나인 " 초공 본풀이"의 여러 버전 중 하나에 머리 셋, 꼬리 아홉인 괴수가 "산두껍이"라는 이름으로 까메오 출연을 한다. 여우가 아니라 두꺼비, 혹은 그와 비슷한 짐승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외형에 대한 단서이다.
삼형제가 이 말을 듣고 짐짓 연주문과 종각을 부수니, 상시관이
깜짝 놀라서 삼만 관속에 엄명하여 즉시 삼도령을 체포하게 하였다.
삼도령이 즉시 도망하여 철천원분을 품고 집으로 돌아올 때, 한 길에 당도하니,
머리가 셋이고 꼬리 아홉 있는 삼두껍이 같은 짐승이 입을 꽉 벌려 물어 먹을 듯하여서
큰형이 노해 구타하려하니 산두껍이 짐승 말이
"너희들이 과거를 원치 말고 신줄, 연줄, 자부연줄, 신걸미를 메면 과거보다 나으리라."
삼도령이 이 말을 듣고 크게 웃으니 산두껍이 기뻐하여 갔다.
깜짝 놀라서 삼만 관속에 엄명하여 즉시 삼도령을 체포하게 하였다.
삼도령이 즉시 도망하여 철천원분을 품고 집으로 돌아올 때, 한 길에 당도하니,
머리가 셋이고 꼬리 아홉 있는 삼두껍이 같은 짐승이 입을 꽉 벌려 물어 먹을 듯하여서
큰형이 노해 구타하려하니 산두껍이 짐승 말이
"너희들이 과거를 원치 말고 신줄, 연줄, 자부연줄, 신걸미를 메면 과거보다 나으리라."
삼도령이 이 말을 듣고 크게 웃으니 산두껍이 기뻐하여 갔다.
3. 매체
4. 여담
[1]
한국 설화에서 여우는 무덤을 훼손하고 시체에 해를 입히는
해수나 요괴로 나타날 때가 많다.
[2]
버드나무는 동양에서 귀신을 쫒는 나무로 알려져 있다.
[3]
다만 대량 축산업이 발달하지 않았던 과거의 달걀은 그 값이 같은 무게의 쇠고기와 맞먹을 정도로 귀한 음식이었다.
[4]
한자음은 "동토"지만 동티로 불리운다. 건드려서는 안 될 땅을 파거나 그런 나무를 베어서 그것을 맡은 지신(地神)이 노하여 받는 재앙. 지금도 시골에선 도로 공사로 뭘 잘못 건드리거나 하면 동티가 난다는 얘기가 가끔 나온다. 누구네 집 아들이 병이 난다거나, 사고가 나서 여러사람이 다친다거나. 그 유명한 투탕카멘의 저주도 한국식으론 "동티"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