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20:20:30

트럼프주의

트럼피스트에서 넘어옴
미국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이념 보수주의 ( 재정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연관 이념 고보수주의 · 내셔널리즘( 기독교 · 미국) · 신보수주의( 레이건주의) · 입헌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 · 온정적 보수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 우익대중주의( 대안 우파 · 트럼프주의) · 우파 자유지상주의( 고자유지상주의 · 융합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 탈자유주의
연관 개념 가족 가치 · 건국의 아버지들 · 고립주의 · 고전적 자유주의( 자유시장) · 공화주의 · 기독교 우파 · 무기소지권 · 미국 예외주의 · 보수주의 민주당 · 보호무역주의 · 불개입주의 · 시장 자유주의 · 신자유주의 · 유대-기독교 가치 · 제한된 정부 · 주의 권리 · 힘에 의한 평화
역사 공화당 혁명 · 남부전략 · 도금 시대 · 레이건 시대( 레이거노믹스) · 록펠러 공화당 · 매카시즘 · 버번 민주당 · 보수연합 · 솔리드 사우스 · 티 파티
정당 공화당 · 국민공화당 · 근왕파* · 금주당 · 무지당 · 미국 연대당** · 연방당 · 헌법당 · 휘그당
인물 정치인 J. D. 밴스 · 그레그 애벗 · 넬슨 록펠러 · 니키 헤일리 · 도널드 트럼프 · 딕 체니 · 랜드 폴 · 로널드 레이건 · 로버트 A. 태프트 · 론 디샌티스 · 론 폴 · 리처드 닉슨 · 미치 매코널 · 밋 롬니 · 배리 골드워터 · 밥 돌 · 비벡 라마스와미 · 새뮤얼 알리토 · 세라 페일린 · 스트롬 서먼드 · 스티브 배넌 · 알렉산더 해밀턴 · 제럴드 포드 · 조지 H. W. 부시 · 조지 W. 부시 · 조지 케넌 · 조지프 매카시 · 존 매케인 · 존 애덤스 · 캘빈 쿨리지 · 하비 맨스필드 · 헨리 키신저
학자 · 법조인 러셀 커크 · 밀턴 프리드먼 · 어빙 크리스톨 · 윌리엄 F. 버클리 · 클래런스 토머스 · 프랜시스 후쿠야마
활동가 데니스 프레이거 · 루퍼트 머독 · 박연미 · 벤 샤피로 · 스티브 포브스 · 일론 머스크 · 팻 뷰캐넌
단체 공화당 코커스( 공화당 관리 그룹 · 공화당 메인 스트리트 파트너십 · 공화당 연구위원회 · 리버티 코커스 · 수정헌법 제2조 코커스 · 의회헌법코커스 · 티 파티 코커스 · 프리덤 코커스) · 보수정치행동회의 · 존 버치 협회 · 전미총기협회 · 헤리티지 재단
언론 프레거 유 · FOX NEWS · 내셔널 리뷰 · 뉴스맥스 · 뉴욕 포스트 · 워싱턴 타임즈 · 월스트리트 저널 · 포브스
미국 정치 관련 문서 ( 사회주의 · 현대자유주의( ←1934년 이전) · 자유지상주의 · 보수주의( 대안 우파))
* 식민지 시대~ 미국 독립 전쟁 시기에 대영제국에 충성하던 친영 왕당파 세력. 현대 미국 보수주의에는 없다고 봐도 무관하다.
** 중도우파적 사회관(온건 사회보수주의) 한정. 고전적 자유주의/재정보수주의 요소까지 포함된 일반적인 미국의 보수주의 그 자체라기 보다는 미국의 사회보수주의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파일:트럼프 유세.jpg
트럼프주의
Trumpism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81018> 창시자 <colbgcolor=#ffffff,#1f2023> 도널드 트럼프
창시일 2010년대
이념 보수주의 ( 미국)
우익대중주의
고보수주의
미국 내셔널리즘 ( 미국 예외주의)[1]
국민보수주의
반공주의
기독교 우파 ( 개신교, 가톨릭)[2]
스펙트럼 우익 ~ 극우[3]
주요 정치인 J. D. 밴스
조시 홀리
맷 게이츠
비벡 라마스와미
마조리 테일러 그린
연관 주제 티 파티 운동
백신 반대 운동
QAnon
Make America Great Again
미국 쇠퇴론
정당


1. 개요2. 성향
2.1. 고보수주의2.2. 반세계화, 반엘리트주의2.3. 역외균형, 포퓰리즘, 일방주의 대외정책2.4. 미국 쇠퇴론
3. 비판 및 논란
3.1. 제조업, 관세, 경제의 상호작용에 대한 몰이해3.2. 네오파시즘 논란
3.2.1. 네오파시즘으로 보는 견해3.2.2. 네오파시즘이 아니라고 보는 견해
4. 역사5. 캐나다의 트럼프주의6. 대표적인 트럼프주의자들7. 연관 집단들8. 사건사고9. 관련 문서10. 외부 링크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16년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되는 과정과 그 이후 생겨난 정치 현상 및 이념을 의미하는 단어.

'트럼프스러운' 사상과 그 추종 세력 자체는 그 이전부터 있었으나 본격적으로 이를 트럼피즘으로 지칭한 것은 2019년 ~ 2020년경부터다.

트럼프가 2015년부터 대권에 도전하며 본격적으로 그의 정치 커리어를 시작했는데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또 한 번 승리함으로써 트럼프주의는 무려 15년 가까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정치권과 인문학계는 지난 10년 가까이 트럼프주의를 지지하느냐 반대하느냐로 양분됐다고 요약해도 과장이 아니다.[4]

2. 성향

I think Trump may be one of those figures in history who appears from time to time to mark the end of an era and to force it to give up its old pretences.
내가 생각하기에 트럼프는 역사상 한 시대가 종언을 고할 때 등장해 해묵은 가식을 벗겨내는 그런 인물이다.
헨리 키신저 #

기존 언론들이 이야기하는 트럼피즘의 대체적인 성향은 보수주의( 미국)[5], 반공주의, 우익대중주의, 반세계화, 미국 내셔널리즘(아메리카 퍼스트) 이라고 말한다. 과거에는 인종에 관한 이야기 역시 있었으나 2020년대 들어 주요 아젠다가 변경되면서 이와 관련한 이슈는 많이 사라졌다.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을 때는 KKK와 일부 네오나치 조직으로부터 공식적인 지지를 받은 것이 사실이고 트럼프 본인 또한 백인주의를 대놓고 지지한 적은 한 번도 없지만 기존의 상식을 벗어난 반이민 레토릭으로 이들의 니즈에 부합한 캠페인을 펼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백인의 지지만으로는 전국 단위 선거에서 보수 진영이 승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졌고 트럼프측에서도 이를 캐치해 사회문화적으로 보수적이면서 불법체류자 문제에 너무 안일하게 대하는 민주당에 반감을 품은 히스패닉 흑인 등의 유색인종 유권자에 전략적으로 접근했다. 그래서 현재는 인종주의적인 측면이 2015~2016년 때보다는 많이 약해진 것은 맞다.[6][7]

도널드 트럼프에게 투표한 수많은 유권자들이 일괄적으로 동일한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대외정책 노선에 있어서는 보호무역주의를 지향한다.

Make America Great Again이라는 구호에서 유추할 수 있지만 트럼프주의의 근간은 아직도 공화당 지지자들이 절대적으로 지지하는 로널드 레이건 레이거노믹스에서 보수주의, 복음주의를 강조하되 경제적으로는 신자유주의 색채를 줄이고 대안 우파 세력을 받아들인 우익대중주의적 성향이다. 트럼프주의 성향 공화당원들을 MAGA 공화당원(MAGA Republican[s])라고 불린다.

2.1. 고보수주의

트럼피즘을 고보수주의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이라 보는 전문가들도 꽤 있다. 애초에 대안 우파 운동 자체도 새뮤얼 프란시스, 폴 고트프리드와 같은 고보수주의 사상가들로부터 영감을 받은 것이 사실이며 상당수의 미국의 젊은 대안 우파들은 고보수주의의 사상적 아버지라고 불리는 팻 뷰캐넌을 매우 좋아한다. 팻 뷰캐넌 본인 자체도 2016년 공화당 경선 때 수 많은 공화당 후보들 중에서 바로 트럼프를 지지했으며 비록 트럼프를 때때로 비판하기는 했으나[8] 적어도 21세기 미국 대통령들 중에서는 트럼프 행정부를 가장 고평가한다.

신보수주의를 상당히 혐오하는 트럼피스트들은 트럼피즘이야말로 진정한 미국의 정통 보수주의를 계승하는 이념이며 네오콘 소련 트로츠키주의에 영향을 받은 외래사상이라고 비판하기도 한다. 이것에 대한 찬반 여부는 갈릴 수 있겠으나 사실 네오콘들이 영미권의 주류 보수 세력으로 자리잡은 역사는 30년이 겨우 될까말까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미국의 고전 정통 보수주의자들은 실제로 트럼피스트들이 주장하는 것과 비슷하게 먼로 독트린에 기반한 상호 불간섭주의, 보호무역, 이민 억제 정책[9]을 지지해 왔다. 트럼피스트들이 네오콘이 정통성 및 소위 근본이 없다고 비판하는 게 나름 일리가 있는 얘기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도널드 트럼프 이전 그리고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로도 도널드 트럼프에 비판적이었던 신보수주의 세력과는 꾸준히 갈등을 빚고 있다.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를 치르면서 트럼프주의가 미국 보수주의의 이념 중 하나로 다시 자리잡고 있다.

2.2. 반세계화, 반엘리트주의

포퓰리즘 특성상 당연히 기성 엘리트 관료 집단에 대해서는 반엘리트주의적인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와 같은 좌파 정치인 뿐만이 아니라, 조지 워커 부시 네오콘과 같은 우파 세력들도 글로벌리즘[10] 추구하면서 미국을 전쟁의 수렁에 빠뜨리고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금융위기를 불러온 무능한 기득권 엘리트 집단들인데, 책임을 지고 물러나지 않는다면서 강한 반감을 가지고 있다. 월 스트리트 출신이나 싱크탱크 출신들, 국무부 고위 관료 전문가 집단이 잘못된 정책을 저지르고도 책임을 지고 물러나지 않으며, 무능하고 위선적이라고 비판한다.

트럼프주의자들이 자주 말하는 소위 딥스테이트라는 표현을 한국에서는 미스터리 음모론이나 믿는 사람들로 희화화하여 비웃는데, 진짜로 음모론자들도 어느 정도 있겠지만 대개는 음모론의 의미가 아니라 기존의 이른바 철밥통 외교안보 기득권 엘리트 관료집단에 대한 반감을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딥스테이트 이론에 따르면, 미국의 민주당이나 공화당이나 모두 신자유주의 정책을 추진하는 똑같은 엘리트 기득권들이고, 미국 대통령으로 누구를 뽑건 상관없이, 결국 딥스테이트 엘리트 기득권들이 똑같은 정책을 집행하기 때문에 아무것도 바뀌는 게 없다는 것이다.


국방대 김영준 교수는 트럼프주의를 분석하면서 소위 딥스테이트 이론은 기존의 철밥통으로 이루어진 엘리트 기득권 관료 집단들에 대한 반감이라고 설명한다.
트럼프는 이라크에서 리비아에 이르기까지 비싼 대가를 치르고 별로 중요하지도 않고 반드시 할 필요도 없었던 전쟁을 한 데 대해 오바마의 민주당 못지않게 부시의 공화당도 비판했다. 해외 문제에 개입하는 게 딱히 비도덕적이어서 반대하는 게 아니었다. 그렇게 개입해서 싸워줘도 도움을 받은 당사자들은 고마운 줄 모르고 미국인들, 특히 산업근로자 계층에게 손해만 끼치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였다. 정치적으로 보면, 트럼프는 현재의 초당적인 외교정책 기득권층과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리비아에 개입했던 과거 세 차례 행정부에 맞서기로 결심하고 출마했다.
빅터 데이비스 핸슨, 미국은 왜 아웃사이더 트럼프를 선택했는가(The Case for Trump), 96p
처음부터 트럼프는 현실감각을 상실한 공화당의 무능을 딛고 보수 성향의 유권자들을 열광시켰다. 공화당은 전국적인 차원에서 현실적으로 설득력도 없고 그저 싱크탱크 이론이나 만들어내는 당이라는 고정관념이 굳어졌다. 월스트리트, 미국상공회의소, 공화당은 그들이 추진하는 경직된 의제들로는 가까운 장래에 누구에게든 도움이 된다는 논리를 내세워 미국의 절반을 설득하지도 못했고, 경합 지역인 중서부의 부동층 유권자들 400만에서 600만 명을 투표장으로 끌어내 공화당 후보에게 투표하도록 만들지도 못했다.
빅터 데이비스 핸슨, 미국은 왜 아웃사이더 트럼프를 선택했는가(The Case for Trump), 17p

이러한 자유주의적 패권을 추구하는 워싱턴의 외교 안보 엘리트 기득권 집단을 블롭(Blob)이라고도 한다.

The Beltway Foreign-Policy ‘Blob’ Strikes Back
The ‘Blob’ Thrives on the Myth of ‘Retreat’
The Blob and the Hell of Good Intentions
The Blob Lashes Out At Critics of Endless War
The Blob: Still Chasing After Pax Americana
Martin Indyk: An Important Neoliberal Defects From the Blob
Michele Flournoy: Queen of the Blob
Why the Blob Needs an Enemy
The Blob is Addicted to Overseas Interventions
The Washington Blob on Video
The Blob's Perpetual War
The Blob Bleeds

트럼프주의자들의 언어에서 네오콘, 블롭, 딥스테이트, 글로벌리스트 등의 표현은 모두 같은 대상을 지칭한다. 바로 개입주의적 목표를 위해 미국을 끝없는 전쟁에 휘말리게 하는 무능한 외교 안보 기득권 엘리트 관료 집단이다.
그렇다면 지금 미국을 위기로 몰아넣고 있는 세력은 어떤 자들인가? 우리는 이미 그런 세력을 확인했다. 미국 언론을 지배하는 지식인 엘리트들이다. 끊임없이 타락해 온 그들의 저열한 능력 때문에 이 엘리트들은 미국의 존망이 걸린 위기를 갈수록 악화시켜 왔다. 그들이 이런 위기를 초래했다. 하지만 분명히 말하거니와 그들이 유일한 요인은 아니다. 이 엘리트들은 다른 세력들의 반영이자 결과이다. 때문에 이들의 역할에 대해 상술할 필요가 있다.

다른 세력들은 경제에서 군사 그리고 윤리적 세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들은 미국이 당면한 위기의 심각성, 그리고 그와 함께 미국이 경제와 과학에서 경쟁력의 우위를 대부분 상실하여 역할이 엄청나게 약화된 신흥 세계의 모습을 규정한다. 또한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예산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미국의 실질적인 군사력은 줄어들고 있다.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도덕적, 문화적 쇠퇴는 자기증식적 재앙이다. 이 모든 세력의 상호작용이 미국의 운명을 좌우한다.
안드레이 마르티아노프, 모든 제국은 몰락한다 - 미국의 붕괴, 13p

[트럼프 시대] 대선 승리 요인은 '반감·소외감·반엘리트주의'
오바마, 180도 입장변경..`슈퍼팩' 모금 지지
"오바마, 월가 욕하며 돈 챙기는 '위선자'"
오바마는 왜 월스트리트를 단죄하지 않는가
Obama’s ‘friendship’ with Wall Street
The Untouchables: How the Obama administration protected Wall Street from prosecutions
Obama Was Always in Wall Street’s Corner
오바마는 금융 위기 동안 노동 계급을 약탈한 월스트리트 악당들을 단속하겠다며 큰 지지를 얻었지만, 집권 이후 오바마는 그의 은행 기부자들만 구제하였고, 월스트리트 경영진에게 면죄부를 주었으며, 집을 잃어버린 수백만의 노동 계급 유권자는 거의 돕지 않았다.

그 배신감은 트럼프의 첫 대선 도전에서 노동 계급의 지지로 이어졌고, 우익 포퓰리즘이 다시 부상하였다.
How Harris Lost the Working Class
a fertile field for [a] demagogue like Trump . . . He is what neoliberalism produces.

트럼프와 같은 선동가에게 유리한 환경이다... 그는 신자유주의의 결과다.
조셉 스티글리츠, Economist Joseph Stiglitz: ‘Trump is what neoliberalism produces’
Here’s why the Western working class vote for people like Trump

트럼프주의자들은 기존 엘리트와 자신들의 대결을 이른바 신자유주의 글로벌리즘 엘리트와 미국의 민족주의 애국자들의 대결 구도로 표현하기도 한다.

Patriots vs globalists replaces the left-right divide
Are You with the Globalists or Patriots?
The Ethics of Globalism, Nationalism, and Patriotism
Globalists, Nationalists and Patriots
The Globalist


마이클 샌델 하버드 대학 교수는 신자유주의 세계화 정책으로 극소수의 엘리트 지배 계층에게만 부가 집중되었고, 노동자 계층에게는 실직과 임금 동결이라는 고통만 안겨줬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트럼프주의는 신자유주의에 대하여 수십 년 동안 쌓인 원한과 분노의 결과라고 말한다.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 "경제 권력은 민주주의 통제 대상"
How Kamala Harris Can Win 한글 번역본 카멀라 해리스가 대선에서 승리하는 법 (마이클 샌델 칼럼)
근본적인 이유는 해안 지역 엘리트 계층에 대한 분노라는 사실을 파악한 관측자가 거의 없었다. 중도 성향의 유권자는 세계화가 바람직한지 여부에 대해 의심을 품기 시작했다. 그들은 문화적으로 좌경화되는 민주당에 저항했다. 대부분은 정체성 정치에 집착하는 민주당이 거부감을 일으키는 새로운 종류의 인종차별주의를 밀어붙인다고 여겼다.
빅터 데이비스 핸슨, 미국은 왜 아웃사이더 트럼프를 선택했는가(The Case for Trump), 49p
세 번째 이유는 소셜 미디어의 본거지이고 세율이 높고 큰 정부를 선호하고, 리버럴한 사회 정책, 작은 가족 규모, 고급 문화, 고소득이 특징인 이른바 민주당 텃밭의 문화적 영향력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민주당 지지 세력은 대학, 재단, 연예계, 언론매체를 장악하고 있다. 전 세계로부터 수조 달러가 해안 지역에 본부를 둔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이들의 시가총액을 합하면 3조 달러는 족히 넘는다), 그리고 이들에서 파생된 첨단기술 기업들과 최신 유행하는 문화 현상에 수십 조 달러가 쏟아져 들어갔다.

명문 대학교들(아이비리그,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MIT, 버클리)은 해안 지역에 있다. 이런 대학교들은 세계화된 상업과 무역 여건에서 앞서나가는 데 필요한 기술을 연마시켜준다. 팔로알토에 있는 유니버시티 에비뉴의 한 식당에서 저녁을 먹을 때, 음식과 분위기와 사람들의 말투와 옷차림을 보고 있으면 다른 별에 온 느낌이 든다. 거기서 자동차로 3시간이면 닿는 캘리포니아 프레스노 남쪽에 있는 내 집에서 외식을 할 때의 느낌과 천양지차다.

할리우드, 월스트리트, 혹은 네브래스카에 있는 스탠퍼드나 켄터키는 아주 독특한 곳이다. 인구가 4천만 명인 캘리포니아주는 대략 15만 명의 납세자로부터 세수의 절반 정도를 거둬들인다. 새크라멘토에 있는 주정부는 첨단기술과 세계화된 세계를 십분 활용할 역량을 지닌 캘리포니아의 독특함 덕분에 최고 부유층이 부자가 됐다고 생각하든가, 수백억 달러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이들은 캘리포니아주 최고 세율 구간인 133퍼센트도 너끈히 감당할 여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트럼프는 처음부터 자신이 다듬고 있던 포퓰리즘 개념을 이용해 진보 성향의 최고 부유층에 맞설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그들이 지지하는 정책이 낳는 부작용은 대부분 그들보다 훨씬 삶의 여유가 없는 계층이 감당하는 결과를 낳는 그들의 위선적인 행태를 고려한다면 말이다. 다시 말해서, 인구의 극소수에 불과한 이들의 영향력은 만연한 대중문화와 세계화된 경제 구조 때문에 실제보다 과장되었다는 사실을 간파했다.

미국이 서로 정반대인 두 개의 문화로 나뉜 네 번째 이유는 창출된 부가 점점 고르지 않게 분배되는 현상 때문이다. 공화당 텃밭의 중산층은 적어도 1970년 이후로 실질임금에서 볼 때 소득이 정체되어왔고, 경제적 보상이 향상된 근로자 생산성을 따라잡지 못했다. 한편 민주당 텃밭의 엘리트 계층은 그 어느 때보다도 부유해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를 대놓고 떠벌였다. 이 사실은 진보주의자들이 보기에도 모순이었다. 예컨대, 1980년 워싱턴 DC의 1인당 소득은 다른 지역 미국인들 평균보다 겨우 29퍼센트 높았다. 그런데 2013년 무렵 워싱턴 DC의 평균 소득은 미국의 나머지 지역 평균보다 68퍼센트 높았다.

캘리포니아주의 샌프란시스코만 지역에서 1인당 평균소득은 미국 나머지 지역보다 50퍼센트 높았는데 이제는 88퍼센트 더 높아졌다. 이렇게 소득이 증가한 가장 큰 이유는 흔히 말하는 상위 1퍼센트의 소득이 천문학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캘리포니아의 해안 지역에 위치한 주택의 1제곱피트 단위면적당 가격은 여기서 자동차로 3시간 거리에 있는 프레스노에서 베이커스필드에 이르기까지 캘리포니아 내륙 지역에 있는 동일한 단위면적당 가격의 10배를 호가한다. 세계 투자와 금융의 중심지인 뉴욕시의 1인당 평균소득은 1980년에 미국 평균 1인당 소득보다 80퍼센트 높았다. 그로부터 33년 후, 소득 차이는 무려 172퍼센트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다시 말하지만 그 이유는 복잡한 설명이 필요 없다. 금융과 법률 서비스, 은행, 보험회사, 자산운용사, 기술기업, 대학교들은 독특한 서비스와 상품으로 전 세계에서 74억의 고객을 확보했다. 이론상으로는 그렇다. 이와 정반대 처지에 놓인 이들이 미국 내륙 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이다. 이들이 만들고 팔고 키운 상품들은 이제 해외에서 훨씬 쉽고 싸게 복제되고 대체되고 추월당했다.

세계화로 인해 일자리와 상거래가 비용이 저렴한 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로 빠져나가면서 미국 내륙 지방은 초토화되었다.
...
세계가 점점 서로 연결되면서 미국에서 육체노동 일자리와 공장 제조업은 점점 사라지기 시작했다. 그런 일자리와 공장은 임금이 싸고 규제가 거의 없는 나라들로 옮겨갔다. 그 결과 내륙 지역에는 경제성장이 정체되었고 엘리트 계층은 내륙 지역 거주자들에 대해 시대에 뒤처지고 과거에 고집스럽게 매달리더니 당해도 싸다는 듯, 아니면 적어도 게을러서 사전에 그런 사태를 방지하려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는 듯, 내륙 지역에 대해 "내 그럴 줄 알았지"라는 식으로 도덕적으로 단죄하는 태도를 보였다. 한때 강도 높은 육체노동을 숭고하게 여겼던 태도는 이제 아무 생각 없이 단조롭고 고된 일에 어리석게 매달리는 행태로 변질되었다.

자신만만하고 세련된 해안 지역 부유층은 마치 예정된 운명이 실현되었다는 듯, 아니면 적어도 그들이 당연히 받아야 할 보상을 받았다는 듯이 인식되었다. 태도가 문제였다. 이른바 승자들은 "패자"를 향해 이념적 훈계를 쏟아놓으며 잘잘못을 따졌다. 트럼프는 "잊힌 이들"을 위한 정책을 펴겠다고 함으로써, 미트 롬니처럼 인정머리 없는 기업가로 비춰지거나 금수저 물고 태어난 젭 부시처럼 비춰질 염려가 없었다. 민주당은 트럼프를 인종차별주의자, 성차별주의자, 미국에서 태어난 사람만 국민으로 취급하는 출생지주의자, 동성애 혐오자 등 온갖 낙인을 찍었지만 인정머리 없다고 매도하기는 힘들었다. 2016년 선거에서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들이 그를 지지하지 않았고 가장 빈곤한 지역이 그를 지지했으며, 힐러리 클린턴이 부유층으로부터 수억 달러 더 많은 선거자금을 받았다는 사실로 미루어볼 때 말이다.

민주당 텃밭 거주자들은 마치 내륙 지역에 약물 중독이 만연하고 이동주택에 살면서 떠돌이 생활을 하는 이들 때문에 상점과 넓은 농장과 타이어 공장이 다 떠나갔다는 투로 내륙 지역 거주자들을 깔보았다. 세계화로 일자리가 빠져나가면서 실직해 절망에 빠졌기 때문에 그들의 병세가 더 깊어졌는데 말이다. 시가총액과 수익성이 중요한 이들의 관점에서 보면 전통적인 광업, 농업, 에너지와 철도 회사는 첨단기술, 금융, 서비스, 정보 관련 거대기업들에게 영향력을 빼앗기는 게 당연했다.
빅터 데이비스 핸슨, 미국은 왜 아웃사이더 트럼프를 선택했는가(The Case for Trump), 54~57p
한때 중산층이었던 몰락하는 백인 계층은 진보주의적 부유층의 문화적 취향이 없었다. 그리고 그들은 빈곤층이 얻는 공감을 이미 오래전에 박탈당했다. 아니, 이보다 더 심각했을지도 모른다. 백인 엘리트 계층은 끼리끼리 어울리고, 전문직 학위를 소지하고, 부를 쌓고, 유산을 물려받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그들 자신이 누리는 진정한 백인 특권에 대한 면죄부를 발행하는 수단으로써 허물어져가는 중산층의 "백인 특권"에 대한 역겨움을 표했다. 트럼프가 건드린 이 분노는 이미 오래 전부터 축적되어 왔다.
...
엘리트 계층 진보주의자들이 얼마나 세상물정을 모르고 잘난 척하는지 가늠해보려면 2016년 대선 후 진보주의자들이 얼마나 침울해했는지 들여다보면 된다. 2017년, 바로 직전에 일어난 대선 참패에서 뼈아픈 교훈을 얻기는커녕 그들은 여전히 망상 속에 살고 있었다. 부유하고 공감 능력이 뛰어나다고 자부하는 백인 엘리트 계층과 그들이 하대하는 열등한 내륙 지역 백인 간의 간극은 트럼프가 대통령에 취임하기 직전에 캘리포니아 북부 지역의 기업가 멜린다 바이얼리가 한 말에 집약되어 있다. 그녀는 프랑스 혁명이 일어나고, 나폴레옹이 황제에 등극했다가 폐위된 후 복귀한 부르봉 왕가에 대해 일갈한 프랑스 외교관 샤를 모리스 드 탈레랑 페리고르의 현대판임을 입증했다. 깨달은 바도 없고 예전 버릇 그대로였다.

실리콘밸리 기업 타임셰어(Time-share)의 최고마케팅책임자 바이얼리가 페이스북에 올린 악명 높은 글은 클린턴 지지자들의 정신 상태를 들여다보게 해준다. 그녀는 이 글에서 클린턴의 패배로 분기탱천한 해안 지역의 엘리트 계층이 자기들과 다른 사람들을 증오하는 이유를 잘 드러낸다.
미국 중산층이 알아야 할 게 한 가지 있는데, 제대로 교육받은 사람이라면 아무도 멍청한 사람들이 사는 거지 같은 소굴에서 살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히 폭력적이고 인종차별적이고 여성을 혐오하는 인간들 하고는 말이다. ⋯기업이 본사나 공장, 개발본부를 둘 지역을 선정할 때는 해당 지역이 기업에게 제공할 뭔가가 있는지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기간시설도 없고 달랑 술집 몇 군데에다가 학교도 엉망인 곳에는 갈 이유가 없다.
바이얼리는 트럼프가 부상한 이유가 인종차별주의와 여성혐오 정서 때문이라는 전형적인 진보주의적 해석을 했다. 미국이 지금까지 겪은 병리 현상은 대부분 세계화의 승자들이 희생양 삼은 패자들의 경제적 불만과 피로감이 누적되었기 때문인데 말이다. 바이얼리는 세상물정 모르고 현실과 유리되어 사는 진보주의자의 오만함도 드러냈다. 먼로파크와 팔로알토의 기간시설 -특히 도로- 은 수준 이하다. 실리콘밸리에서는 사립학교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점점 다양한 학생들이 입학하지만 수준이 떨어지는 공립학교에 자녀들을 보내지 않으려는, 첨단기술 부문에 종사하는 엘리트 계층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 말이다.

레드우드시티와 팔로알토 동부의 우범지대는 애플, 페이스북, 구글 본사에서 자전거로 가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다. 근처에는 도로를 따라서 밤새 SUV와 캠핑용 차량이 빈틈없이 빽빽이 들어차 있다. 아파트 임대료를 감당할 여력이 없는 허드렛일하는 노동자들이 사실상 집으로 삼고 있는 차량들이다. 장담컨대, 1인당 술집의 수는 미시간 시골 작은 마을보다 팔로알토가 더 높다. 그리고 인디애나폴리스, 콜럼버스, 피츠버그의 시골 마을보다 샌프란시스코 거리에 더 많은 마약 주삿바늘과 배설물과 쥐와 간염 병균이 득실거린다.
빅터 데이비스 핸슨, 미국은 왜 아웃사이더 트럼프를 선택했는가(The Case for Trump), 64~65p
신자유주의를 정당화하는 전략의 근본적 당위성은 글로벌 금융 위기로 인해 산산조각이 나고 말았다. 이러한 종말론적인 도전에 직면하여 시스템은 위기의 원인에 대해 점점 더 엄격하고 편집증적인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트럼프의 기행이 대중을 설득시킬 정당성과 실질적 대안을 잃어버린 채 권력에서 쇠퇴하는 신자유주의 질서의 자연스러운 산물이라고 주장하는 바이다.
The Threat to “Our Democracy” and the Neoliberal Crisis of Legitimacy, 신자유주의 체제 아래 민주주의와 정치신학: 포스트트럼프 체제를 중심으로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네 번째 제도적 주기와 여섯 번째 경제적, 사회적 주기로 가는 시대의 막이 올랐다. 현재의 제도적 모델은 점점 제 구실을 하지 못하게 되었고, 그 핵심은 연방정부와 현 주기의 관계를 재규정하는 데 있다. 경제적, 사회적 위기로 과거에 미국 사회를 지탱해 온 기둥이 허물어져 왔다. 바로 산업근로자 계층이다. 제도적 주기와 사회경제적 주기가 거의 동시에 위기에 도달했던 시대가 과거에 한 번도 없었기 때문에 2020년대는 대단히 불안정한 시대가 되리라고 예상한다. 2020년대로 이어지는 몇 년이 그런 식으로 시작되었다. 2016년 대선에서 두 후보는 분명히 각각 서로 갈등관계에 있는 사회계층을 대표했다. 그리고 선거 결과는 거의 막상막하였고, 힐러리 클린턴은 일반유권자 투표에서 이기고 트럼프는 선거인단 투표에서 이겼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선거 결과는 앞으로 얼마나 갈등이 팽배한 시대가 닥칠지 예고했다.
조지 프리드먼, 다가오는 폭풍과 새로운 미국의 세기(The Storm Before the Calm), 210p

2.3. 역외균형, 포퓰리즘, 일방주의 대외정책

트럼프주의 대외정책은 전반적으로 서반구에서 미국의 패권을 공고히 하고 여타 지역에서는 미국의 ‘우월적’(dominant) 지위를 유지하는 이른바 역외균형 전략(offshore balancing), 미국 국내의 보수주의 지지자들의 요구에 호응하는 포퓰리즘(populism), 통상부문에서 미국의 비대칭적 권력관계를 최대한 활용하는 양자주의 협상과 일방주의적 보복, 실적지향적 접근을 취하는 일방주의(unilateralism)적 양상을 보인다. 여기서 핵심은 역외균형 전략이다. 탈냉전 이후 미국이 걸머져왔던 ‘헤게모니의 부담’을 덜어내기 위한 전략인데, 헤게모니를 포기하겠다는 것은 물론 아니다. 다만 돈을 덜 쓰고, 역할을 아웃소싱하되 여전히 패권을 유지하겠다는 복안이다.
1. 국가안보전략 전망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국가안보전략은 선택적 관여(selective engagement) 전략이 될 것이다. 선택적 관여 전략은 전략적으로 가장 중요한 아시아, 유럽, 중동 지역에서 관여를 유지하면서 미국의 주도권과 지역 안정을 유지하는 국제주의적 전략이다. 고립주의에 대한 우려와 달리, 미국의 국가안보전략의 기본적인 방향은 크게 변화하지 않을 것이다.

트럼프 당선자의 전략적 성향은 대체로 역외균형(offshore balancing) 전략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1기 행정부 기간 정책 논의 과정에서 그는 심각한 위협이 존재하지 않는 유럽에서 철수하고, 중동 지역에서 미국의 관여 수준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면서, 최대의 위협인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아시아에 대한 관여를 강화해야 한다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후 트럼프 진영은 나토에서의 철수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선거 기간 트럼프 진영은 유럽에 대한 관여를 유지할 것을 분명히 했다. 트럼프 후보도 유럽이 공정하게 행동하는 한 “백 퍼센트” 나토에 남아있을 것이라고 공언했다. 이제 트럼프 진영의 미국 우선주의자들도 유럽을 포함한 관여 전략에 동의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무부 장관 내정자인 마르코 루비오(Marco Rubio)와 국가안보보좌관 내정자인 마이클 왈츠(Michael Waltz) 등 전통주의자들의 영향력은 국제주의적 관여를 유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중략)

트럼프 2기 행정부 하에서도 미국은 지도적 역할을 지속할 것이다. 하지만 미국의 지도력은 일방주의적이고 이기적인 성격을 강하게 띨 것이다. 트럼프 당선자는 국제정치를 거래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미국 우선주의자들도 과거 행정부들이 국제질서와 동맹 유지를 위해 과도한 양보를 해왔고 다자주의 제도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주권과 국가 이익이 침해되는 것을 용인했다고 비판해 왔다. 트럼프 2기 행정부는 국제적 공공재의 제공보다 자국의 이익을 우선하는 경향을 강하게 보일 것이다.
최우선,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전략과 중국 정책 전망", November 18, 2024, 외교안보연구소 #

일부 지지자들이 불개입주의와 평화주의 성향을 보인다고는 하지만 이는 말 그대로 일부의 지지에 불과할 뿐 트럼프주의 대외정책의 주요한 본질이 되지는 못한다. 1기 트럼프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추진한 미국과 쿠바 간의 화해 정책을 대부분 뒤집고 # 베네수엘라의 반 마두로 쿠데타를 후원하며 # # 이라크에서 이란의 핵심 군사 지도자인 가셈 솔레이마니를 표적 암살했다. 오히려 트럼프는 불개입주의적 수사를 유지하면서도 이란과 쿠바, 베네수엘라의 반미정권에 적대적이고 이스라엘에 우호적인 자국의 보수주의자들의 지지를 이끌어내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입하는 포퓰리즘적인 모습을 보였다.
The analysis finds that resurgent Jacksonian populism promoted by the Tea Party shapes President Trump’s approach to foreign policy. Fundamentally anti-elitist, Trump’s populism opposes migration, multilateralism, and is deeply sceptical of the United States’ capacity to support a liberal global order that he perceives as detrimental to the economic interest of the American people. In addition, the analysis finds inconsistencies between his campaign discourse of non-intervention in military conflicts abroad and his foreign policy action.

분석 결과, 티파티가 새로이 조장하는 잭슨주의적 포퓰리즘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외교정책 접근 방식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본적으로 반엘리트주의적인 트럼프의 포퓰리즘은 이주민에 적대적이고 다자주의를 불신하며, 미국 국민의 경제적 이익에 해롭다고 생각하는 자유주의적 세계 질서를 지원할 수 있는 미국의 능력에 대해 깊이 회의적이다. 또한 분석 결과, 해외의 군사적 갈등에 대한 불개입이라는 트럼프의 선거 담론은 실제 외교 정책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Corina Lacatus, "Populism and President Trump’s approach to foreign policy: An analysis of tweets and rally speeches", Politics, 2021, Vol. 41(1) 31–47 #

심지어 단순히 러시아에 우호적이고 중국 견제에만 주력한다는 일각의 피상적인 인식과는 달리, NATO의 서유럽 가맹국들과 방위비 분담 문제로 갈등을 빚으면서도 전임 행정부의 유럽 안보재확인 계획(ERI-European Reassurance Initiative)을 유지하였으며,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도 군사 장비를 제공했다.
Many countries have provided Ukraine with material and technical support and assisted in training military and medical personnel. In this effort, the United States has played a special role. It has provided military specialists, billions in financial aid, and non-lethal armament such a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radars. In early March, the U.S. extended its commitment to Ukraine a step further, approving the sale of the Javelin anti-tank missile system. On April 30, the first of these U.S.-made missiles arrived in the country. As a result, these changes have had significant political effects. For the Ukraine, the opportunity to purchase the Javelin is a sign that the army reform is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The military effect is more limited in view of the small number of anti-tank missile systems (210 missiles and 37 launchers) that Ukraine has at present. Nevertheless, at least the Ukrainian military has the opportunity to seize new type of weapons.

수많은 국가들이 우크라이나에 물질적 및 기술적 지원을 수행했고, 군사훈련 및 의료인력을 지원했다. 미국은 이 노력에서 특별한 역할을 수행한다. 미국은 군사전문가, 수십억 달러의 재정원조, 통신장비 및 레이더와 같은 비살상무기를 지원했다. 3월 초 미국은 재블린 대전차미사일체계 판매를 승인하여 우크라이나 개입을 진척시켰다. 4월 30일 첫번째 재블린 미사일이 우크라이나에 도착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변화들은 상당한 정치적 효과를 일으켰다. 우크라이나에게 재블린을 구입할 기회는 육군 개혁이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신호였다. 현재 우크라이나가 보유한 대전차미사일체계의 적은 숫자(미사일 210발, 발사대 37기)를 고려하면 그 군사적 효과는 보다 제한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소한 우크라이나군은 새로운 무기를 획득할 기회를 가졌다.
Denys Kiryukhin, "The Ukrainian Military: From Degradation to Renewal", Foreign Policy Research Institute, August 17, 2018 #

2.4. 미국 쇠퇴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 쇠퇴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비판 및 논란

트럼프를 조금이라도 객관적으로 비판하면 민주당원뿐만 아니라 공화당원한테도 좌파몰이를 한다.[11] 게다가 미국 흑인을 좌파적이고 잠재적 범죄자라고 간주하고 일부 아시아계 미국인 등을 모범적 소수라고 간주하기도 한다. 그러나 당연히 타 인종들에게 주류인 백인들을 따르면 착한 소수인종, 아니면 나쁜 인종이라는 프레임을 강요하는 것이므로 아시아계 입장에서도 모범적 소수라고 부르는 것이 달가울 리가 없다. 결국 인종차별론자가 주장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공산당도 싫어해서 2020년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미국에서 유행하자 트럼피스트들은 트럼프의 무능한 대처를 무시한 채 코로나는 중국 정부가 조작한 생물 무기라고 간주하고 중국 때문에 트럼프와 미국이 곤란해졌다고 음모론적인 반응을 보였다.[12] 트럼프는 중국의 권위주의와 인권 탄압 및 환경 문제에 분노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미국 내셔널리즘 대 중국 내셔널리즘이라는 관점에서 대결하는 것뿐이다. 물론 그의 지지자 중 일부는 진짜로 인권 문제에 대해 관심이 있어서 지지하는 경우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가 젊은 시절에 이들이 싫어하는 자유주의 엘리트[13], 여피였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트럼프가 가장 도덕적이고 정의롭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기독교 우파인 트럼피스트들은 트럼프가 미국 민주당이나 다른 미국 공화당원들보다 더 성경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다.[14]

이런 지지자들의 면모 때문에 인민사원에 몸담았던 한 흑인 여성은 트럼프의 레토릭이 인민사원 교주 짐 존스와 매우 유사하다고 증언한 바 있다. #

자기 집단의 실수나 잘못을 절대로 인정하지 않고 오히려 원인이 타 집단에게 있다고 여기는 후안무치함도 특징으로, 오히려 잘못을 인정하거나 사과를 하면 지지율이 떨어지는 기현상도 보인다.[15]

2020년 대선 전후해 트럼프 지지자들은 민주당 유세 차량에 테러를 가하고 조 바이든이 선거인단을 확보해 사실상 당선이 확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좌파의 음모라고 하면서 트럼프가 승리한 것이라고 믿었다. 2020년 11월 14일에도 워싱턴 D.C.에서 거리 시위를 하며 트럼프가 당선된 거라고 우겼다. #

정치인들 대부분이 그래왔고, 과거부터 존재하긴 했으나 2010년대 후반부터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한 극단주의 지지자들의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로 유명한 정치철학자 마이클 샌델 차이나는 클라스에서 주장한 바에 따르면 트럼프주의자들이 트럼프를 지지하는 건 공약이나 선동도 있겠지만 진짜는 존중이라고 하였다. 즉, 이들이 자신을 위한 공약이 아니라 자기를 존중해주는 것 같은 정치인에게 끌리고 이게 트럼프라는 것이다. 단순히 반지성주의나 트럼프 화법에 끌린 것이 아니라, 이들은 소외되고 무시당하는 자신의 의견을 금수저임에도 그대로 받아주는 것같은 트럼프를 믿고 의지한 것이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트럼프의 신격화로 이루어지고 결국 자신이 한 행동에 정당성을 확보한다고 한다.[16]

그러나 샌델이 표현한 '존중'이라는 표현이 실제로 그들에게는 일방적인 '권위'라는 것이다. 민주주의에서 존중이라는 단어는 앞에 반드시 상호가 들어간다. 그러나 이들이 말하는 존중의 근간은 주로 백인, 남성, 가장, 기독교 같은 처음부터 주어졌으며, 그 자체가 권위주의로만 유지될 수밖에 없는 가치가 대부분이다. 이런 식이라 이들의 존중이란 상호따위 없이 자신과 조금이라도 다른 조건을 가진 외부자들이 나의 권위를 인정하고 복종하라일 뿐이고 그것이 상호주의가 기본인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본인들이 존중받지 못하고 있다고 일방적으로 주장하고 트럼프 같은 스트롱맨을 앞세워 그 존중을 되찾아줄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즉, 이유가 무엇이건간에, 본인들에 대한 존중을 다른 집단에 대한 피해의식 표현, 권위행사, 혐오와 차별로 찾는 발상 자체가 정당화될 성질의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즉, 트럼프라는 존재가 없어져도 이러한 가치를 지지하는 '지지층'은 그대로 남아 있으며, 그러면 새로운 트럼프가 나와 또 다른 트럼피즘이 진행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다만 트럼프주의자들의 대다수가 저학력, 저소득층이라는 식의 주장은 사실과 거리가 있는데 실제로 미국의 선거 예측 사이트 파이브서티에이트를 운영하는 통계학자 네이트 실버의 분석에 따르면, 2016년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도 트럼프에게 투표한 유권자들[17]의 중위소득은 72000달러로, 미국 전체의 중위소득인 56000달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건주의적 공화당원들이 중심인 존 케이식 지지자들의 중위소득인 91000달러보다는 낮지만, 당시 티 파티적 성향을 띠고 었던 테드 크루즈의 지지자들의 중위소득인 73000달러와는 비슷하고, 힐러리 클린턴 지지자들과 버니 샌더스 지지자들의 중위소득인 61000달러보다 현저하게 높다. 실버는 트럼프 지지자들이 미국 경제의 현황에 대해 불만스러운 것은 맞지만, 이 불만이 자신들의 개인적인 경제 상태와는 무관한 문제라고 보고 있다. # 실제로 고학력, 고소득 트럼프 지지자들의 상당수는 레이건 시대부터 이어진 반노조 등 친기업 정책, 재정보수주의, 부자감세의 혜택을 받는 자들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3.1. 제조업, 관세, 경제의 상호작용에 대한 몰이해

단순히 해외 물품에 관세를 물리고 미국에 해외기업을 유치한다고 미국의 제조업이 되살아나고 제조업 부흥으로 경제가 성장하지는 않는다. 미 제조업의 전반적인 쇠퇴 또는 정체는 미국의 경제발전에 따른 경제구조의 고도화로 인한 고용구조의 변화와 구식 제조업의 퇴출로 인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과 상무부 산하 경제분석국(BEA)의 자료를 종합하면 미국의 총고용과 GDP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940년대부터 끝없이 감소하고 있다. 게다가 그래프의 추이를 보면 반등이나 낙폭 없이 천천히, 꾸준히 감소하는 모양새이다.[18]

트럼프주의자들은 단순히 관세를 낮춰서 외국 기업의 가격 경쟁력이 세졌으니 우리 일자리가 사라졌다고만 이해하고 거기서 조금도 넘어가지 않는다. 아마 외국이 아니라 국내에서 물건을 생산하면 고용도 증가하고 무역적자도 덜 보니까 이득이라고 생각하는걸로 보이는데 대공황이 왜 초래되었고 더욱 장기화되었는지에 대해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1929년 10월에 일어난 월가 대폭락의 악영향을 대공황으로 키운 것은 1930년 스무트 홀리 관세법이었다. 평균 관세율이 1929년 40.1%에서 1932년 59.1%까지 오르자 프랑스와 영국이 반발하면서 보복관세 및 새로운 무역 파트너를 지정했고, 독일도 허가 시스템을 통한 자국 무역을 보호했다. 그 결과 세계적으로 무역량이 급감하고 대공황을 악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히게 된다.

일어난지 근 1세기가 되어가는 대공황이 타산지석 삼기에 너무 옛날 이야기라면 불과 50여년전 지척인 라틴아메리카가 추진했다가 국가경제를 초토화시킨 수입대체산업화도 타산지석 삼을 만한데[19], 하여간 미국이라고 보고싶은 것만 보고 편하게 생각하려는 사람이 적은건 아닌 것이다.

3.2. 네오파시즘 논란

이전부터 많은 진보적 사회운동가들과 반대파들에 의해 경멸적 의미에서 파시즘이라고 지칭되어 왔으나, 주류 전문가들은 전간기의 파시즘과 유사성이 부분적으로 존재할지언정 2021년 이전까지 트럼프주의가 엄밀한 의미의 '파시즘'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다.[20]

그러나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이라는 전대미문의 사건으로 인해 친위 쿠데타(self-coup) 논쟁이 불거지면서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네오파시즘으로 볼 수 있다/없다는 견해가 나뉘었다.

3.2.1. 네오파시즘으로 보는 견해

피어 파올로 파솔리니(Pier Paolo Pasolini)나 코넬 웨스트 등은 트럼프주의를 새로운 파시즘(New fascism)이라고 지칭하였다. 밑에서 언급할 로버트 팩스턴은 미국의 '새로운 파시즘'이 유대인 대신 흑인, 무슬림을 공격한다고 표현했다.[21][22]

파시즘 전문가인 로버트 팩스턴조차 현재의 트럼프주의를 파시즘으로 보고 있다. 그도 2017년까지 트럼프주의가 파시즘이라는 사실을 거부했다. 당시의 트럼프주의는 혁명적 요소가 부족하고 미국의 민주적 시스템을 거부하지 않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 이후에 이 견해는 완전히 뒤집혔는데, 팩스턴은 트럼프주의가 파시즘이라는 것을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파시즘으로 봐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규정했다.[23]

팩스턴은 프란시스코 프랑코 체제와 전전~전시 쇼와 시대 일본 제국조차도 혁명적이거나 대중주의적 요소가 부족해 파시즘이 아니라고 결론지었는데도 트럼프주의를 파시즘으로 규정한 것을 보면, 단순히 얼마나 극우적이고 전체주의적인가보다는 급진성과 대중운동적 폭력성에 따른 분석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파시즘의 핵심 요소를 기존 보수와 차별화되어 급진성을 지니고 폭력을 동반하는 우익 내셔널리즘적 포퓰리즘이라는 관점에서는 트럼프주의를 일종의 파시즘적 현상으로 볼 수 있다. 프랑코주의 천황제 파시즘이 당연시 트럼프주의보다 훨씬 더 전체주의적이고 잔인했으나, 전자는 혁명적 열정보다는 보수주의적 요소가 더 강해 포퓰리즘 성격이 거의 없고 엘리트주의적이였으며, 기존 보수주의와 차별화되어 급진적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친기득권적이고 반동적이며 기존 보수주의가 극단화되었다. 반면 트럼프주의는 이전의 정치 기득권 엘리트들에게 반대하고 대중동원적 성격이 매우 강하며, 여러 방면에서 이전의 미국 보수주의와 상당히 차별화되기 때문에 파시즘의 구성 요소를 일정 부분 충족시킨다.[24][25]

3.2.2. 네오파시즘이 아니라고 보는 견해

파시즘 전문가인 로저 그리핀(Roger Griffin)은 트럼프는 단순 포퓰리스트이며 그가 헌법을 파괴하면서 파시즘의 핵심적 요소인 기존체제에 반대되는 신질서를 구축할 의도가 없다며 파시스트가 아니라 주장한다. 그리핀에 따르면, 파시즘은 단순히 강력한 지도자나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것만으로 정의되지 않고, 기존 사회, 정치, 경제 체제를 전복하고 새로운 신질서를 수립하려는 혁명적 이상주의와 집단적 비전을 포함하는 복합적 이데올로기라고 한다.

이런 관점에서 그리핀은 트럼프의 정치 성향을 전통적인 파시즘과는 구분한다. 트럼프는 지지층을 결집하고, 포퓰리즘적 메시지로 기존의 사회를 비판하며 반체제적 태도를 보이긴 하지만, 헌법을 파괴하고 국가 체제를 전복하려는 혁명적 계획이나 신생적 민족주의 비전을 드러내지는 않는다. 트럼프의 정치 스타일은 선동적이며 감정에 호소하는 방식이지만, 그리핀은 이를 단순히 대중의 불만을 이용하는 포퓰리즘 전략으로 본다. 트럼프가 헌법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거나 기존 권력 구조와 갈등을 겪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철저히 체제 내에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한다.

파시즘은 근본적으로 파괴적인 방식으로 '새로운 국가'와 '새로운 인간'을 창출하려는 비전을 지니며, 그 핵심에는 철저히 혁명적이고 변혁적인 목표가 포함된다. 반면, 트럼프의 정치적 목표는 미국 사회와 시스템을 전복하는 데 있지 않고, 특정 집단을 위한 보호주의적 조치를 강화하는 데 집중된다. 또한, 파시즘은 집단적 운명이나 민족적 재생을 목표로 하지만, 트럼프는 경제 성장과 미국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그리핀은 트럼피즘이 파시즘과 겹치는 요소가 있더라도, 트럼프에게는 파시즘의 핵심적 요소인 기존 체제를 전복하고 신질서를 구축하려는 의도가 결여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그는 트럼프를 파시스트라기보다는 기존 정치 질서를 이용해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대중주의적 정치인으로 보며, 트럼피즘은 파시즘의 연장선이 아닌 현대적 대중주의 정치 전략의 일환으로 평가한다.

4. 역사

트럼피즘은 2016년에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라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버락 오바마가 당선된 반동으로 표면화된 것이다. 오바마는 대침체로 인한 경제적 위기 상황에서 대마불사의 경제적 논리에 따라 월 스트리트와 대기업이 폭망하지 않도록 오히려 이들에게 엄청난 규모의 공적자금, 즉 막대한 세금을 지원한 반면, 블루칼라 일자리를 없애고 러스트 벨트를 몰락시키고 불평등을 확대하는 세계화 신자유주의 노선에 별다른 변화를 주지 않았다. 이런 오바마 정권의 행보에 2008년 대선 당시 오바마를 지지했던 러스트 벨트의 블루칼라 백인들이 배신감을 느낀 것이 트럼피즘의 시작이었다는 의견이 있다.[26][27]

당시 네오콘을 위시로 한 신보수주의 단체와 티 파티같은 고보수주의 단체조차 이러한 낌새를 눈치채지 못한 채 오바마 정권을 단지 기독교, 신자유주의의 관점으로만 비판하고 있었으며, 당시 민주당은 반대파의 언행이 뻔하디 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무시로 일관했다. 2010년대 초에 생긴 대안 우파는 네오콘, 티 파티의 이런 행태는 말 그대로 구태의연하다고 생각하여 그들과 연대하지 않았고 도널드 트럼프가 2016년 대선에서 등장하기 전까지는 아직 오프라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자 미국 정계의 아웃사이더였던 도널드 트럼프가 2016년 대통령 후보로 낙점되었다. 도널드 트럼프는 대안 우파 성향에 맞는 언행들을 표출했고 이에 따라 트럼프 지지자들이 네오콘, 티 파티 지지자들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한 것이 트럼피즘이 정계에 진출한 계기이다. 도널드 트럼프는 2020년 대선에서 낙선했지만 트럼프가 겉으로 내세우는 언행으로 트럼피즘은 현재까지도 지속중이며 2024년에도 당선 여부를 떠나 트럼피스트가 대선에 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 있다.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으로 인하여 큰 위기를 맞을 것 같았으나 사이비 종교의 내적 논리는 어떤 일이 벌어져도 무너지지 않는 것처럼 트럼프를 비판했던 리즈 체니가 축출당하는 등 트럼피즘은 여전히 위세를 떨치고 있으며 사실상 공화당을 장악하는 데 성공한 상황이다.

그러나 2022년 미국 중간선거에서 패배하고 말았다. 중간선거를 통해 미국인들의 다수 의견은 극단적인 행보를 보이는 공화당을 결코 옹호할 수 없다는 점이 증명되었으며 무엇보다도 바이든 정부와 민주당이 일으킨 각종 문제와 사태로[28] 인해 공화당이 완승하는 일명 레드 웨이브가 기대되었지만 정작 상원은 민주당이 다수당이 되었다. 중간선거 특성상 민주당이 참패해야 정상이지만 그냥 선전한 것도 아니고 상원에선 완승[29]할 정도로 바이든의 지지율이 매우 낮았는데도 민심이 크게 바뀌었다는 걸 보여주었다. 하원은 공화당이 다수당이 됐으나 민주당과는 고작 9석밖에 차이가 안나고 이마저도 반트럼프, 온건, 중도파 공화당원들이 당내 트럼프를 추종하는 극우주의자들에 대해 반발하고 있고 오히려 민주당에 협력하겠다는 발언까지 할 정도로 공화당 내 분열이 심각해져, 결국 트럼피스트인 케빈 매카시가 더 극렬한 트럼피스트들에게 발목을 잡혀 공식해임안이 통과되어 직무정지가 되면서 하원의장까지 확보하지 못하는 참사까지 일어나기도 했다.[30] 그래서 괜히 공화당 내부에서도 하원까지 참패로 여기는게 아니다. 결국 트럼프에게 엄청난 타격을 입혔으며 특히 트럼프가 밀었던 후보들이 잇따라 패해서 트럼프 책임론까지 등장하였다.

가장 큰 원인은 트럼프주의가 트럼프 개인의 명성에 지나치게 기댄다는 점이다. 이번 선거에서 트럼프는 2016년 대선과 달리 로저 스톤과 스티브 배넌 등 핵심 참모들을 잃었고, 본인도 사법리스크로 묶여 있어 대선 때만큼 부지런하게 작은 커뮤니티를 돌며 합법 및 불법을 줄타는 선거운동 전략을 거의 사용하지 못했다. 거기에 트위터를 포함해 많은 SNS에서 접근금지당해 일거수 일투족을 일부러 퍼뜨리는 어그로 확산효과도 과거보다 떨어졌다. 심지어 중간선거의 선거 유세 아젠다 자체도 자기 위주로 잡느라 2020년 대선 부정, 이민반대, 낙태반대 등을 끄집어내는 바람에 공격이 분산되어 물가와 민생에 민감한 중도층의 민심을 잃었고 결정적으로 그가 지명한 3명의 보수 대법관이 주도한 로 대 웨이드 판결 무효화가 젊은 여성 유권자들에게 직격탄이 되어 이들이 민주당으로 집결했다.[31] 그 때문에 선거전략부터 잘못 잡은 데다 트럼프가 간택한 후보들의 이력과 스캔들이 사태를 악화시켜 실제 유권자들 사이에 트럼프의 존재감이 크게 약화되었다.

트럼프주의가 트럼프에 의하여 만들어진 게 아니라 미국 사회의 기저에 원래부터 있었지만 억눌려졌던 불만들을 트럼프가 캐치하고 끌어낸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즉, 트럼프라는 특이한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미국인들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다고 파악하는 것이다.

국방대 김영준 교수 워싱턴 현장서 바라본 트럼피즘도 참조할 만하다.

조병제 전 국립외교원장은 <트럼프의 귀환>을 저술하였다. 트럼프는 '일탈' 아니라 '현상'…올해 대선서 패해도 4년 후 또 나올 것


영상 썸네일에는 안 나오는데, 영상 31초부터 국방대 김영준 교수는 한국인들은 미국을 전혀 모른다면서 미국인들의 절반이 왜 트럼프를 지지하는지, 트럼프주의를 설명한다.

2024년 대통령 선거에서 트럼프가 당선되고 트럼프가 장악한 공화당이 상원과 하원을 전부 접수해 버리는 레드 스웝을 달성하면서 트럼프주의는 완벽하게 부활했다.

5. 캐나다의 트럼프주의

캐나다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이념 가부장적 보수주의( 레드 토리) · 내셔널리즘( 성직자 · 캐나다) · 대중주의( 트럼프주의) · 사회보수주의 · 재정보수주의( 블루 토리)
연관 개념 경제적 자유주의 · 군주주의 · 보호무역주의 · 왕당파 · 연방제 · 작은 정부 · 캐나다 가치
현존 정당 연방 캐나다 보수당 · 캐나다 인민당
지역 BC 연합 · 서스캐처원당 · 연합보수당 · 온타리오 진보보수당 · 유콘당 · 퀘벡미래연합
인물 로버트 보든 · 브라이언 멀로니 · 스티븐 하퍼 · 조던 피터슨 · 존 디펜베이커 · 존 맥도널드 경 · 콘래드 블랙
그 외 영국의 보수주의( 대영제국)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미국의 바로 이웃나라이기 때문에[32] 미국의 정치나 문화에 영향을 자주 받는 캐나다에도 트럼프주의 세력이 있다. 2020년 10월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보수당에서 친트럼프주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 다만 캐나다 보수당이 공화당보다 훨씬 온건한 정당이라 미국 수준으로 급진적이지는 않다.

캔디스 버건 부대표가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이 일어난 직후 MAGA 모자를 쓴 사진이 공개되어 큰 논란이 일었다. #

프라우드 보이즈는 주로 미국의 단체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미국뿐 아니라 캐나다의 남성들도 가담하고 있다.

원외 정당이긴 하지만 캐나다 보수당 강경파가 탈당해 창당한 캐나다 인민당도 있다. 다만 이쪽은 트럼프주의뿐 아니라 조던 피터슨 사상에도 영향을 상당 부분 받았다.

6. 대표적인 트럼프주의자들

일명 트럼피스트(Trumpist). 인물은 도널드 트럼프와 트럼프 가문을 최상단에 적고 나머지는 가나다순으로 정렬한다.

7. 연관 집단들

대안 우파 집단들과 깊은 연관이 있지만 완전히 똑같은 것은 아니다.

8. 사건사고

9. 관련 문서

10. 외부 링크

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81018><tablebgcolor=#e81018> 파일:도널드 트럼프 투명.svg 도널드 트럼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81018> 일생 생애 ( 2015년 · 2016년 · 1차 퇴임 이후)
가족 할아버지 프레더릭 트럼프 · 아버지 프레드 트럼프 · 아내 멜라니아 트럼프 · 아들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 딸 이방카 트럼프 · 아들 에릭 트럼프 · 딸 티파니 트럼프 · 아들 배런 트럼프 · 손녀 카이 트럼프 · 전 배우자 이바나 트럼프 · 전 배우자 말라 메이플스
사업 트럼프 기업 ( 트럼프 타워 · 트럼프 월드 타워) · TMTG ( 트루스 소셜)
선거 2016년 공화당 대통령 후보 경선 ·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발언 Make America Great Again · You're Fired · 어록 · 대한민국 국회 연설
사건 · 사고 비판 및 논란 · 러시아 게이트 ·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폭동 · 첫번째 암살 미수 사건 · 알링턴 사건 · 두번째 암살 미수 사건
관련 소송 트럼프 대 앤더슨 · 트럼프 대 미합중국
관련 매체 공포: 백악관의 트럼프 · 그 일이 일어난 방: 백악관 회고록 · 화씨 11/9: 트럼프의 시대 · 어프렌티스(영화)
기타 여담 · 대한민국에서의 호감도 · 마라라고 리조트 · 대깨트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어프렌티스 · 나 홀로 집에 2) · 트럼프그렛 · 프로젝트 2025 · MAGA 공산주의 · 샤이 트럼프 · 프라우드 보이즈 · 트럼프를 위한 게이들 · 미국 우선 정책 연구소
트럼프 행정부
평가 평가
성향 트럼프주의 · 고보수주의 · 미국 내셔널리즘 · 미국 예외주의 · 딥스테이트 · QAnon
정책 정치 · 대 특정 계층 행보 · 행정명령 · 외교 · 코로나19 · 아르테미스 계획
타임라인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2021년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사상 의 분파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온건 · 개혁적 보수주의
녹색 보수주의 일국 보수주의 실용적 보수주의 온건 보수주의 진보적 보수주의
현대적 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보수자유주의 재정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신보수주의
고전적 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 전통적 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문화적 보수주의 고보수주의
가족주의
강경 보수주의
초보수주의 교권주의 토착민주의 반동주의 국민보수주의(일부)
인종 보수주의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종교적 보수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기독교 우파 이슬람 민주주의 이슬람주의 불교 민주주의
유대 보수주의 종교 시오니즘 가톨릭 보수주의 힌두트바 보수주의 신학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융합주의 고자유지상주의
지역별 보수주의
보나파르트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오를레앙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법통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드골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보수혁명 파일:독일 국기.svg
일국 보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대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트럼프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푸틴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유라시아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보수민주주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원칙주의 파일:이란 국기.svg 알폰소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카를로스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프랑코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메넴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정통 페론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밀레이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위정척사사상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일민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따뜻한 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개혁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중도실용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후지모리주의 파일:페루 국기.svg 피노체트주의 파일:칠레 국기.svg
보우소나루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 베를루스코니주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신보수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장제스주의 파일:대만 국기.svg 국민우파 파일:호주 국기.svg
나라별 현황
대만의 보수주의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독일의 보수주의 러시아의 보수주의 미국의 보수주의
영국의 보수주의 인도의 보수주의 중국의 보수주의 일본의 보수주의 호주의 보수주의
홍콩의 보수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한반도의 보수주의
연관 이념
보수주의 페미니즘 성소수자 보수주의 흑인 보수주의 교권 파시즘 유사 파시즘
우익대중주의 군주주의 ( 왕당파) 삼민주의 사회자유 보수주의 민족주의**
제국주의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보수적 사회주의 탈자유주의
연관 개념
전통 법과 질서 권위 가족 충성
위계 자연법 정통성 도덕 사회 질서
기타
우익 정치 아시아적 가치 보수좌파 탈파시즘 백색 테러
반공주의 반사회주의 안티페미니즘(일부) 반자본주의(일부) 반자유주의(일부)
부르주아 정당 친생명 귀족 이익 영국 연합주의 사회진화론
블루 타이드 엘리트주의 백래시 힘에 의한 평화 시니스트리슴
폴크스게마인샤프트 폴크헴메트 종교적 우파 대안 우파 정체성 정치
반혁명 군사 케인스주의
관련 단체
국제민주연합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무슬림 형제단 콘라트 아데나워 재단 에라스뮈스 재단
황국협회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 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국민주의는 근대(modern)에 탄생한 이념이다. 따라서 21세기 기준 서구 선진국에서 국민보수주의가 강경 우익인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근대적/현대적(modern) 보수주의이며, 고전적(classical) 보수주의에 속하지 않는다.
상징 | 역사 | 인물
}}}}}}}}} ||

파일:흰색 깃발.svg
내셔널리즘 사상의 분파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분파
에스닉 내셔널리즘 문화 내셔널리즘 온건 내셔널리즘 시민 내셔널리즘 진보적 내셔널리즘
좌익 내셔널리즘 혁명적 내셔널리즘 국민보수주의 국민자유주의 국민공산주의
경제적 내셔널리즘 자원 내셔널리즘 종교 내셔널리즘 퀴어 내셔널리즘 호모내셔널리즘
페모내셔널리즘 뉴 내셔널리즘 민족 볼셰비즘 사이버 내셔널리즘 울트라내셔널리즘
다원적 내셔널리즘 낭만적 내셔널리즘 네오내셔널리즘 영토 내셔널리즘 희생자의식 민족주의
민족 아나키즘 국가 내셔널리즘 애국주의
정체성별 내셔널리즘*
대한민국 내셔널리즘 독일 내셔널리즘 러시아 내셔널리즘 미국 내셔널리즘 베트남 내셔널리즘
아랍 내셔널리즘 이탈리아 내셔널리즘 일본 내셔널리즘 중국 내셔널리즘 중화민국 내셔널리즘
타이완 내셔널리즘 팔레스타인 내셔널리즘 프랑스 내셔널리즘 한국 내셔널리즘 홍콩 내셔널리즘
지역별 내셔널리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단군민족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삼균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일민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중민족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주의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토 민족주의 파일:북한 국기.svg 주체사상 파일:북한 국기.svg 조선민족제일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예외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트럼프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힌두트바 파일:중국 국기.svg 한족 민족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만주 민족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대한족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지방 민족주의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공화주의 파일:독일 국기.svg 푈키셔 내셔널리즘 파일:브라질 국기.svg 보우소나루주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시오니즘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판차실라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페론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푸틴주의 파일:소련 국기.svg 소비에트 애국주의
범국민주의
범게르만주의 범슬라브주의 범튀르크주의 범아시아주의 범아랍주의
스칸디나비아주의 대소말리아주의 베르베르주의 범투란주의 범이슬람주의
범아프리카주의
인종국민주의
흑인 민족주의 백인 민족주의 한민족주의
분리주의 · 독립운동
류큐 독립운동 만몽 독립운동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타이완 독립운동 티베트 독립운동
한국 독립운동
관련 이념
트랜스내셔널리즘 포스트내셔널리즘 안티내셔널리즘 국가주의 정체성 정치
자민족중심주의 실지회복주의 팽창주의 패권주의 파시즘
쇼비니즘 선민사상 순수혈통주의 고립주의 우익대중주의
복지 쇼비니즘 반세계화 힘에 의한 평화
관련 개념 및 용어
민족 ( 폴크) 국민 국민국가 ( 민족국가) 국유화 에스니시티
네이션 내셔널 아이덴티티 민족신화 애국 ( 애국심) 국뽕
네이션 빌딩 단일민족국가 국가이익 민족해방 민족주의 테러
부흥운동 언어순화 운동 독립운동 통일
* 보통 민족(ethnic)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내셔널리즘인 에스닉 내셔널리즘의 사례가 많지만 미국 내셔널리즘, 프랑스 내셔널리즘, 싱가포르 내셔널리즘, 대한민국 내셔널리즘, 중화민국 내셔널리즘 같은 국적자/시민권자(citizen)를 중심으로 한 시민 내셔널리즘의 사례도 있다.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

파일:대중주의.png
포퓰리즘(대중주의) 사상의 분파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분파
우익대중주의 좌익대중주의 테크노 포퓰리즘 사법 포퓰리즘 형벌 포퓰리즘
파시즘 흑인대중주의
개별
파일:미국 국기.svg 제퍼슨 민주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잭슨 민주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트럼프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대안 우파 파일:중국 국기.svg 마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힌두트바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페론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키르치네르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밀레이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 룰라주의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차베스주의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인민주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를루스코니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보나파르트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드골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코빈주의 파일:이집트 국기.svg 나세르주의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카다피주의 파일:페루 국기.svg 후지모리주의
관련 이념
네오내셔널리즘 사회주의 권위주의(일부) 직접민주주의 고전적 급진주의
지공주의 고보수주의 제3의 위치 고립주의 반지성주의
농본주의 토착민주의 탈정치 복지 쇼비니즘
관련 주제
내셔널리즘 · 민중 · 백래시 · 유럽회의주의( 브렉시트) · 인민( 인민주권 · 폴크) · 정치 혐오 · 티 파티 · 핑크 타이드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 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

파일:파스케스(가로).svg
파시즘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념 국가주의( 국가자본주의일부) · 군국주의 · 권위주의( 전체주의) · 내셔널리즘( 국수주의 · 민족주의) · 대중주의 · 미래주의일부 · 반공주의 · 반자유주의 · 반자본주의일부 · 반제국주의일부 · 반민주주의 · 영웅주의 · 제3의 위치 · 제국주의일부 · 협동조합주의
요소 개인숭배( 지도자원리) · 경제적 개입주의( 군사 케인스주의 · 지도주의) · 계급협조 · 남성성 · 민족다원주의일부 · 반(反)인텔리 · 우생학( 사회진화론) · 쇼비니즘 · 우익사회주의 · 음모주의 · 일당독재 · 재생적 국수주의 · 전쟁* · 팽창주의일부( 실지회복주의) · 프로파간다 · 혁명( 보수혁명 · 혁명적 내셔널리즘)
분파 교권 파시즘 · 국민생디칼리슴 · 군단주의 · 나치즘( 네오나치즘) · 네오파시즘 · 대안 우파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파시즘( 유라시아주의) · 렉시즘 · 메탁사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즘 · 오스트리아 파시즘 · 원류 파시즘 · 이탈리아 파시즘 · 일민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장제스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트럼프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좌익 파시즘( 슈트라서주의 · 민족 볼셰비즘) · 천황제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 팔랑헤주의( 프랑코주의파일:모호 아이콘.svg ) · 프랑스 파시즘 · 민족 아나키즘 · 에코파시즘 · 유사 파시즘파일:모호 아이콘.svg
정당/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국가 파시스트당( 공화 파시스트당 · 민주 파시스트당 · 이탈리아 사회운동) · 독일노동전선 · 국민급진기지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철위대 · 라푸아 운동 · 슬로바키아 인민당 · 산마리노 파시스트당 · 영국 파시스트당 · 우스타샤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 국민대중행동파일:모호 아이콘.svg · 스웨덴 국가사회주의노동자당 · 그리스 민족사회당 · 노르웨이 국민연합 · 대정익찬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동방회 · 러시아 파시스트당 · 렉스당 · 미국 은색군단 · 사쿠라회파일:모호 아이콘.svg ·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 불의 십자단 · 브라질 통합주의 행동 · 시리아 사회민족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오제바브란트바흐 · 유고슬라비아 국민운동 · 육군전우협회 · 조국전선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캐나다 파시스트 연합 · 팔랑헤,( 통합 팔랑헤파일:모호 아이콘.svg ), · 페르콩크루스츠 · 프랑키스트 운동 · 프랑스 인민당 · 화살십자당 · 국민조합주의자 ·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 · 그레이 울프 · 독일 사회주의국가당 · 민족 볼셰비키당· 소련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러시아 자유민주당파일:모호 아이콘.svg ), · 조국당 · 조선민족청년단파일:모호 아이콘.svg · 황금새벽당 · 국민공동통치연합 · 혁신관료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르헨티나 파시스트당 · 네덜란드 국가연대주의 연합
국제 조직 추축국 · 1934년 몽트뢰 파시스트 회의
군사 조직 추축군 · 친위대 · 돌격대 · 히틀러유겐트 · 아인자츠그루펜 · 검은 셔츠단 · 오스트리아 친위대 · 보국단· 우스타샤 민병대 · 미국 은색군단 · 마카필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발리 콤페타르파일:모호 아이콘.svg · 반볼셰비키 프랑스 의용군단 · 강철늑대 · 황도파 · 남의사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조우 연대파일:모호 아이콘.svg · 레히
인물 아돌프 히틀러 · 에리히 루덴도르프 · 베니토 무솔리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오스왈드 모슬리 ·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 · 호세 안토니오 프리모 데 리베라 · 아우구스티나스 볼데마라스 · 비드쿤 크비슬링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엥겔베르트 돌푸스 · 쿠르트 슈슈니크 · 안톤 뮈세르트 · 레옹 드그렐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카를 하우스호퍼 · 카를 슈미트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율리우스 에볼라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오스발트 슈펭글러 · 에른스트 윙어 · 기타 잇키 · 오카와 슈메이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호상파일:모호 아이콘.svg · 이범석파일:모호 아이콘.svg · 아브라함 슈테른 · 장제스파일:모호 아이콘.svg · 다이리파일:모호 아이콘.svg · 호리아 시마 · 미시마 유키오파일:모호 아이콘.svg · 줄리아노 고치 · 마르셀 뷔카르 · 자크 도리오 · 프랑수아 드 라 로크파일:모호 아이콘.svg · 콘스탄틴 로자예프스키 · 플리누 사우가두 · 이오인 오더피 · 조반니 젠틸레 · 알렉산드르 두긴파일:모호 아이콘.svg · 윌리엄 루터 피어스 · 윌리엄 더들리 펠리 · 찰스 코글린 · 아나스타시 본샤츠키· 도미니코 레치시 · 마커스 가비
국가 나치 독일 · 파시스트 이탈리아** · 스페인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로아티아 독립국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국민군단국가 · 노르웨이 국민 정부 · 오스트리아 연방국 ·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산마리노 공화국 · 일본 제국파일:모호 아이콘.svg · 국민군단연합 불가리아
기타 크립토 파시즘 · 탈파시즘 · 파스케스 · 파시스트 페미니즘 · 백색 테러 · 멸칭으로써의 파시즘( 적색 파시즘)
* 모든 파시스트들이 전쟁을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탈리아 파시즘이나 나치즘 등 전간기의 주요 파시스트들은 '전쟁'을 이데올로기적인 수단으로 여겼다. }}}}}}}}}


[1] 소위 '미국 우선주의'라고 의역되는 "America First"라는 구호로 대표된다. 트럼프가 대놓고 백인 민족주의를 천명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백인 민족주의적 성격이 있다는 평가도 있다. 보호무역주의와 같은 경제적 내셔널리즘의 요소도 있다. [2] 트럼프주의자들의 대다수는 딱히 종교적인 이들은 아니나 수장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개신교( 초교파) 신자이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부통령 제이디 밴스 가톨릭 신자이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국무장관 마르코 루비오 역시 가톨릭 신자이다. 엄연한 방향성 자체가 기독교 우파인 것이다. [3] 대안 우파도 포함되지만 트럼프주의자들 중에 대안 우파만 있는 것은 아니며 기독교 우파, 고보수주의자, 티 파티를 지지하던 교외 지역 고소득층 등 다양하다. [4] 중도층 중에서는 트럼프의 개인적 면모를 좋아하지는 않아도 트럼프의 정책 방향성을 지지하는 경우가 꽤 많기 때문에 트럼프를 지지하느냐 반대하느냐라는 구분보다는 트럼프주의에 대한 찬반 여부가 더 정확한 분류다. 실제로 트럼프가 출마한 3번의 미국 대선(2016, 2020, 2024)의 출구조사에 의하면 트럼프는 민주당 대선 후보와 트럼프 모두 다 비호감이라 생각한 소수의 유권자들의 표심을 3번 모두 더블스코어에 근접할 정도의 차이로 얻었다. https://www.politico.com/live-updates/2024/11/05/2024-election-results-live-coverage-updates-analysis/double-haters-trump-00187750 [5] 특히 고보수주의와 겹치는 부분이 많다고 여겨진다. [6] KKK의 수장이었던 데이비드 듀크 대안 우파 및 각종 네오나치 조직에 몸을 담았던 리처드 스펜서도 2016년에는 열렬히 트럼프를 지지했지만 현재는 둘 다 트럼프를 혐오하며 지지하지 않는다. 후자는 아예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때는 조 바이든,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때는 카말라 해리스를 지지했을 정도다. [7] 득표율 변화만 보더라도 트럼프는 2016년 대선 때는 57%의 백인, 8%의 흑인, 28%의 히스패닉이라는 득표율을 기록했지만 2024년 대선 때의 인종별 득표율은 56%의 백인, 16%의 흑인, 43%의 히스패닉이었다. [8] 팻 뷰캐넌은 트럼프가 사회문화적으로 충분히 보수적이지 못하고 고립주의적이지 못하다는 이유로 그를 꼬집는다. 물론 팻 뷰캐넌이 굉장한 강경파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9] 미국이 지금이야 다인종 국가가 됐지만 1965년 하트-셀러법이 통과되기전까지는 유럽 전체도 아닌 WASP와 같은 게르만계 유럽인을 중심으로만 매우 한정되게 이민을 받아왔다. [10] 보통 엘리트 보수 정치인들은 신자유주의를 지지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움직임이 글로벌리즘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11] 트럼프 당선 이전에 대안 우파 강경파는 신우파인 조지 부시가 유대인 꼭두각시라고 인터넷에 음모론을 펼치곤 했다. [12] 다만 이 부분에 있어서는 자유주의 좌익 세력들의 막가파식 트럼프탓 및 음모론자 프레임 씌우기 공세도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는 것이 정작 바이든이 취임한 이후 미국의 에너지부에서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우한 연구소에서 유출됐다는 주장에 근거가 있다는 발표를 냈고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우한 연구소에 대한 미국의 투자를 일시적으로 중단했다. 선거 때는 무조건 트럼프를 실각시켜야 한다는 목표 하나로 트럼프와 트럼프주의자들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증해볼 생각조차도 하지 않은 채 무조건 거짓말쟁이로 몰아가는 주류 언론과 자유주의 좌익 세력들의 이중성도 분명히 비판받을 점이다. 헌터 바이든 노트북도 러시아에서 만들어낸 가짜 뉴스라며 공격했지만 정작 이것도 트럼프와 트럼프주의자들의 주장이 옳았다는 것만 선거 이후에 입증됐다. [13] 다만 트럼프가 자유주의적이었던 것은 주로 사회문화적 측면으로, 보호무역 자국우선주의에 대한 소신은 이미 1980년대부터 견지하고 있었다. [14] 물론 모든 기독교 우파들이 트럼피스트는 아니다. 존 파이퍼 같이 트럼프가 기독교의 가치에 모순되는 행동을 보인다고 지적하는 기독교 우파 인사들도 있다. [15] 트럼프를 대선 후보가 아니라 신앙의 대상이기에 자신에 믿음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 극단주의자를 이용하는 자들에 최고 딜레마다. [16] 논리로는 상대편을 설득하거나 상대 할 수 없기에 신성불가침으로 만들어 자기를 보호하고 외부공격을 차단한다는 것이다. [17] 본선 후보 트럼프가 아닌 공화당 경선에서부터 지지한 것인만 큼 단순한 보수주의자가 아닌 트럼프주의자에 근접하다고 할 수 있다. [18] 미국 제조업이 총고용(total employment)이 차지하는 비중: 1943년 38%, 2014년 9%. # 미국 제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 1947년 25%, 2015년 12%. # [19] 산업화에 대한 집착과 높은 관세 등 트럼프주의 무역정책이 판박이다. [20] 사실 우파 계열 사상이 파시즘이라고 공격받는 것은 유럽과 미국에서는 흔한 일로, 1940년대 이후, 몇몇 국가에서는 이르면 1930년대에도 파시즘과 비슷한 구석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무차별적으로 사용된, 사용자들 본인들조차 정말로 파시즘이라고 믿지는 않는 원색적인 비난에 가깝다. 좌파 계열이 공산주의적이든 말든 허구한 날 빨갱이 소리를 듣는 것과 마찬가지 맥락이다. 트럼프를 진지하게 파시스트라고 주장한 사람이 없지는 않았겠으나 대부분은 트럼프의 우익대중주의적인 면과 내셔널리즘적인 면을 종합해 파시스트에 빗대어 비난한 것이지 이걸 곧이곧대로 학술적이고 사전에서 정의하는 파시스트로 지칭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21] While a new fascism would necessarily diabolize some enemy, both internal and external, the enemy would not necessarily be Jews. An authentically popular American fascism would be pious, antiblack, and, since September 11, 2001, anti-Islamic. [22] Summary — Anatomy of Fascism EconSystems Thinking Medium. (August 30, 2020.) [23] Paxton, Robert O. (January 11, 2021). "I've Hesitated to Call Donald Trump a Fascist. Until Now". Newsweek. [24] 파시즘의 창시자인 베니토 무솔리니가 본래 이탈리아 보수주의자가 아니였고 되려 사회주의자였다. 트럼프도 한때는 민주당원이였고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트럼프가 당선된 시점 이전 그의 급진적인 주장들은 공화당에서 결코 주류적,전통적인 입장이 아니였다. [25]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민족 아나키즘 반권위주의적, 반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이지만 극우 파시즘으로 보는 학자들이 꽤 있다. 이러한 관점은 파시즘의 권위주의적 요소보다는 혁명적 내셔널리즘, 급진적이고 포퓰리즘적인 요소에 더 방점을 두는 것으로 보인다. [26] 오바마는 이미 상원의원이 되기 전부터 씨티그룹의 사외이사를 하는 등 월 스트리트 금융자본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던 사람이다. 오바마가 2008년 대선 과정에서 모은 역사상 최고액수의 천문학적인 정치자금이 어디에서 나왔겠는가? 대학생과 일반 소시민들의 소액기부 참여인원은 역대 최다 규모로 폭발적이었지만, 액수로 보면 오바마 선거자금의 극히 일부에 불과했다. [27] 오바마는 집권 초기에 노후 인프라 개선을 위한 건설경기부양, 전면적인 복지확대, 노동권 강화 등 루즈벨트의 뉴딜 정책으로의 회귀를 외치는 민주당내 진보그룹의 주장을 우리는 그럴 만한 돈이 없다면서 딱 잘라 거절하고 신자유주의 정책을 유지하면서 선별적 복지를 약간 확대하는 수준의 중도노선을 계속 고수하였다. [28] 특히 경제 문제가 매우 심각했음에도 불구하고 바이든 정부는 이렇다할 방안을 내놓고 있질 못해서 지지율이 크게 떨어졌다. [29] 그냥의 선거라면 민주당의 신승이 맞으나, 여당이 약하기로 유명한 미국 중간선거에서 다수당의 지위를 차지했다는 것은 매우 큰 승리이다. [30] 매카시는 2020년에 계획됐던 친위 쿠데타 시도가 바이든의 탓이라고 주장할 정도의 극렬한 트럼피스트인데 더 극렬한 쪽의 입장에서 '이미 2020년 선거에 이긴 현 대통령인 트럼프를 대통령으로 부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케빈 매카시를 보고 민주주의의 기반인 선거를 무시한 비이성적인 인물이라 도저히 못 뽑아주겠다며 반대 쪽으로 선회한 것이다. [31] 2020년 하원의원 선거 CNN 출구조사 기준 백인 18-29세에서 민주당 45% vs 공화당 54%로 공화당이 우위였으나 2년 후 민주당 58% vs 공화당 40%로 확 뒤집혀버렸다. 로 대 웨이드 판결 번복이 젊은 백인 여성층 위주로 엄청난 표 이탈을 초래했다는 걸 증명한다. [32] 단, 멕시코도 국경을 맞대고 있지만 트럼프가 워낙 때린 나라라서 트럼프주의 찬동자는 캐나다보다 적다. [33] 트럼프의 조카딸로 트럼프를 반대하고 바이든을 지지했던 메리 트럼프를 제외하면 대부분. [34] 털시 개버드도 공화당 소속의 힌두교 신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