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시아적 가치를 제창한 리콴유 전 싱가포르 총리 |
[clearfix]
1. 개요
Asian Values | 亞洲價值아시아적 가치란,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공통되는 사회, 문화, 역사적 요소들, 특히 사회 통합과 경제 발전을 위한 공통성과 집단주의의 가치를 정의하려는 정치적 이데올로기로, 자유주의 등 모든 인간의 보편적 권리에 대한 서구적 이상과는 대조를 이루는 사상이다.
쉽게 말해 서구적 이상은 아시아에 맞지 않으며, 아시아 국가들이 추구해야 할 사회적 가치가 따로 존재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1990년대 싱가포르의 건국자이자 초대 총리 리콴유(1923~2015), 말레이시아의 최장기 집권 총리 마하티르 빈 모하맛(1925~) 등과 여타 아시아 정치인들에 의해 지지 받았다.
2. 담론
아시아적 가치 담론이 설명하는 내용은 다음과 깉다.- 아시아 문화는 이기적인 인간상을 배격하고 상부상조하고 이타적인 인간상을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중시하여 왔다. 그러므로 공동체 구성원 전체를 위해 봉사하고 헌신하는 자세로 이타적이고 상부상조하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 국가 공동체 또한 가족 공동체의 연장선으로 생각해야 하며, 가정에서 아버지가 아버지답고 자식이 자식답게 행동해야 하듯 국가에서 지도자도 지도자답게 국민들도 국민답게 행동해야 한다.(군군신신부부자자)
- 아시아의 문화는 쾌락주의, 무절제, 방종을 배격하고 자기 수양, 소박함, 절제를 중시하여 왔다. 그러므로 쾌락주의적이고 무절제한 문화는 엄금하여 국민들을 그러한 방종으로부터 보호하고 소박하고 절제하는 문화를 배양해야 한다.
3. 비판
1990년대 후반 아시아 일대의 외환위기로 인해 아시아적 가치의 효용에 대해 의문을 갖는 견해가 있어 왔다. 근본적으로 수구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데 '남녀유별' 등 성 역할 구분, 성소수자 차별, 체벌을 비롯해 자녀에 대해 과도하게 엄격한 태도[1] 등이 인권 침해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아시아적 가치의 국가 중 그나마 성공한 국가가 싱가포르가 있는데 사실 이런 국가도 한계가 명확하다. 싱가포르는 아시아적 가치라는 엄청난 교육열, 서열주의, 보수주의, 통제주의, 권위주의, 엄벌주의를 통해 인적 자원, 즉 사람들을 혹사시켜 독재체제 하에서 선진국이 되는 데는 성공했다.
하지만 지속적인 민주주의 체제 하에서 성장한 친서방 자유주의 주요국가들과 비교해 봤을 때 싱가포르인들의 높은 아이큐나 교육열, 학업성취도, 1인당 GDP에서 싱가포르가 이들보다 우위에 있다고 해도 결국 국가 단위의 학문적인 성취에서는 이들과 비교조차 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단적으로 싱가포르인 노벨상 수상자는 아직까지 한 명도 없다. 물론 이는 이 국가들의 인구가 싱가포르보다 훨씬 많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부적절한 것은 맞지만 역으로 말하면 아시아적 가치 체제를 표방한 싱가포르의 높은 1인당 GDP도 결국 싱가포르의 인구가 민주주의 선진국보다 훨씬 적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할 수도 있다.
요컨대 싱가포르가 아시아적 가치에 의한 권위주의 독재 체제를 지금까지 계속 유지하면서도 1인당 GDP가 높은 선진국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싱가포르가 작은 도시국가라는 특수한 사례였기에 가능했다고 볼 수도 있다. 싱가포르의 인구가 선진국들과 비슷한 수준이었더라도 지금과 같은 높은 1인당 GDP를 유지할 수 있었을지는 결코 알 수 없다. 인구 500만을 1인당 평균 3만불로 만드는 것과 인구 1억을 1인당 평균 3만불로 만드는 것은 차원이 다른 문제이다. 나아가 단순히 경제적 수치를 넘어서 학문적 성취, 핵심기술, 첨단산업, 브랜드, 문화적 역량 등의 총체적 국가경쟁력을 선진국 수준으로 성장시키는 것은 또 다른 차원의 과제이다. 개발독재를 겪었던 한국, 대만은 개발독재가 나라를 후진국에서 중진국으로 성장시키는 것까진 성공했지만 중진국을 넘어 종합적인 선진국에 진입한 것은 한국, 대만 양국 모두 민주화 이후에야 달성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2]
서구 제국주의에 맞서 아시아적 전통을 지키고자 생겨난 것이라는 주장은 결과적으로 일종의 피해자 논리에 불과하며 아시아적 가치가 필연적으로 귀결되는 독재의 폐해를 의도적으로 무시하는 논리적 오류이다. 이런 아시아적 전통이라는 것이 지켜져야 하는 이유도 제시하지 않는다.
4. 아시아적 가치에 반대한 인물
- \ [[틀:깃발| 프랜시스 후쿠야마 - 일본계 미국인으로 하버드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스탠퍼드 대학 교수이자 철학자, 정치경제학자이다. 후쿠야마는 《역사의 종언》에서 서구식 민주주의만이 가장 발전된 문명의 형태이자 문명의 궁극적인 최종진화 형태이고 그 이상으로 더 발전된 사회체제는 없으며 그러므로 문명과 문화의 발전은 종료되었다고 선언하고 어떤 체제가 서구식 민주주의 이상으로 발전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발전이 아니라 퇴보를 미화한 것에 불과하다면서 후쿠야마는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아시아적 가치'의 후진성과 전근대성을 비판하였다. 다만 《역사의 종언》은 후쿠야마 본인도 폐기한 논문이라는걸 알아야 한다.[3]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 김대중 - 박정희의 소위 한국식 민주주의에 입각한 10월 유신을 비판했으며 민주화 이후에는 싱가포르의 리콴유와의 논쟁으로도 유명하다. 단, 김대중은 아시아적 가치와 자유민주주의는 양립할 수 있는 가치이며 아시아 민주주의의 걸림돌은 문화적 유산이 아닌 권위주의 지도자들의 저항 때문이라는 견해를 나타내기도 했다.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 후스 - 대만의 정치인, 학자. 당대 중화민국-대만 정계와 보수 학자들의 주된 논지인 서양의 "기술문명"과는 대비되는 동양의 "정신문명"과 중화문명 · 중화민족의 우월함을 철저히 부정하고 아시아적 가치를 주장하는 장제스 · 장징궈 부자와 국민당 고위층을 성역 없이 비판하였다. ]][[틀:깃발| ]][[틀:깃발| ]]
5. 아시아적 가치를 표방한 인물
- \ [[틀:깃발| 박정희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 장제스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 마하티르 빈 모하맛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 수카르노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 훈 센 ]][[틀:깃발| ]][[틀:깃발| ]]
6. 같이 보기
- 공동체주의
- 교도민주주의
- 가부장적 보수주의
- 독재 - 이들이 말하는 아시아적 가치는 독재를 뜻하지 않으나 정작 아시아적 가치를 실행했다고 말하는 정치가들은 독재자가 됐단 점에서 독재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성을 가진다.
- 권위주의,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 가족주의
- 신대통령제
- 전통적 보수주의
- 아시아주의 - 다만 일제가 내세운 아시아주의와는 결이 다르다.
- 옥시덴탈리즘
- 비자유민주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보수민주주의 (튀르키예)
- 신권위주의 (중화인민공화국)
- 유교
7. 둘러보기
대한민국 보수 진영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 |||||
한동훈 | 허은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정치인 | 대통령 | 이승만 · 박정희 · 최규하 · 전두환 · 노태우 · 김영삼 · 이명박 · 박근혜 · 윤석열 | |
부통령 | 이시영 · 함태영 | |||||
대통령 후보 | 김구 · 허정 · 김종필 · 이회창 · 이인제 · 홍준표 · 안철수 · 유승민 | |||||
국무총리 | 이범석 · 장택상 · 백두진 · 정일권 · 허정 · 김종필 · 최규하 · 신현확 · 박충훈 · 남덕우 · 김상협 · 노신영 · 이현재 · 강영훈 · 정원식 · 황인성 · 이회창 · 이수성 · 고건 · 한승수 · 김황식 · 정홍원 · 황교안 · 한덕수 · 틀:역대 대한민국 내각수반 | |||||
국무위원 | 1공 · 허정 · 3공 · 4공 · 최규하 · 5공 · 노태우 · 문민 · 이명박 · 박근혜 · 윤석열 | |||||
소속 정치인 | 부통령 · 국무총리 · 국회의원 · 광역자치단체장 · 기초자치단체장 · 지방의회의원 | |||||
기타 |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감사원장 · 교육감 | |||||
계파 | 친윤 · 친홍 · 친안 · 친유 · 한동훈계 · 오세훈계 · 이준석계 · 역사 | |||||
집권 정부 | 이승만 · 박정희 · 최규하 · 전두환 · 노태우 · 문민 · 이명박 · 박근혜 · 윤석열 | |||||
역사 | 1공-4공 · 5공-문민 · 국민 · 참여 · 이명박 · 박근혜-현재 | |||||
현존 원외정당 | 공화당 · 국민통합연대 · 내일로미래로 · 대한국민당 · 한국국민당 | |||||
정당연대 | 국제민주연합 · 선진과 창조의 모임 · 민주통합의원모임 | |||||
다른 진영 관련 문서 ( 진보 · 민주당계) |
일본 보수주의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주요 이념 | 내셔널리즘 · 보수주의 | ||
연관 이념 | 가부장적 보수주의( 새로운 자본주의)자민당 · 국가주의 · 국민보수주의 · 민족주의 · 반동주의일부 · 불교 민주주의공명당 · 사회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일부 · 자유지상주의유신회 · 초보수주의일부 | |||
과거 이념 | 야마토 민족주의* · 자유보수주의 · 쇼와 국가주의( 대동아공영권 · 팔굉일우) | |||
연관 개념 | 국가자본주의( 수정자본주의) · 군주주의 · 아시아적 가치 · 울트라내셔널리즘( 우익사관)일부 | |||
주요 정당 | 전전 일본 | 국민동맹 · 대정익찬회 · 동방회 · 입헌정우회 | ||
전후 일본 | 일본의 마음 · 일본민주당(1947년) · 일본 유신회(2012년) · 일본민주당(1954년) · 자유당(1950년) | |||
현존하는 정당 | 공명당 · 일본보수당 · 일본 유신회 · 일본제일당 · 자유민주당( 지지 기반 · 파벌) · 참정당 | |||
정치인 | 고노에 후미마로 · 고이케 유리코 · 기시 노부스케 · 기시다 후미오 · 나카소네 야스히로 · 도조 유코 · 도조 히데키 · 스가 요시히데 · 스기타 미오 · 아베 신조 · 요시다 시게루 · 이나다 도모미 · 하토야마 이치로 · 히라누마 기이치로 | |||
인텔리 | 고 젠카 · 나카가와 쇼이치 · 미노베 다쓰키치 · 미시마 유키오 · 오카와 슈메이 · 햐쿠타 나오키 | |||
언론 | 니혼게이자이 신문 · 사쿠라 TV · 산케이 신문 · 요미우리 신문 | |||
단체 | 과거 | 겐요샤 · 다테노카이 | ||
현재 |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 일본경제단체연합회 · 일본회의 · 재일 특권을 허용하지 않는 시민 모임 | |||
그 외 | 55년 체제 · 국민 · 국체 · 넷 우익 · 만세일계 · 반미보수 · 신우익( 민족파 · 청년민족파) · 보수본류와 보수방류 · 신토( 신사본청 · 국가신토) · 아베노믹스 · 야마토 나데시코 · 야마토다마시 · 역코스 · 우익단체 · 대일본제국 · 일본의 보수정당 · 우경화 · 일본인론 · 재무장 · 폴크(Volk) → 민족(民族) | |||
* 21세기 현대 기준 일본에서 Ethnic nationalism이 아닌 단순 Nationalism을 지칭할 때에는 '민족주의'(民族主義)라는 용어보다는 '내셔널리즘'(ナショナリズム)이라는 용어가 선호된다. 일본에서 '민족주의'는 전적으로 Ethnic nationalism을 의미하는데, 이는 과거 천황제 파시즘과 결합해
야마토 민족의 우월성을 내세웠던 극우 민족주의를 연상시키는 데다가, (야마토 민족이 아닌)
류큐인이나
아이누인같은 전통적 일본 내 소수민족까지 배제하기 때문에 현재의 주류 보수우익에서 거리를 두는 편이다. 보수주의/분파 |
}}}}}}}}} |
[1]
tiger parenting라고 한다.
[2]
싱가포르는 전세계 어느 누구도 국제사회에서 정치적 의미의 일원으로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오로지 세계 경제의 순환 기능에만 충실한 일종의 출장소, 톨게이트, 정류장 역할을 하는 특수한 목적을 위해 존재하는 도시국가라는 점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싱가포르는 철저하게 지정학적 위치로만 먹고 사는 도시국가로, 중계무역 거점 및 해외자금 유치, 은닉에 특화되어 있다.
[3]
《역사의 종언》의 서방 주도의 세계 질서와 평화는
21세기가 시작되자마자
9.11 테러로 반박되었고, 이후
신냉전이 시작되며 서구식 민주주의과 그걸 기반으로 하는 서양 문명의 문제점 또한 수면 위로 드러났다. 후쿠야마 본인도 자신이 끝났다고 선언했던 마르크스적 의미의 역사도 전형적인 마르크스적 자본주의 위기라고 할 수 있는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건재함을 보여주면서 이후 자신의 이론을 사실상 철회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