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古民家, こみんか, 다다미집
일본의 전통가옥을 말한다. 말그대로 오래된 민가라는 뜻이다. 화옥(和屋) 혹은 일옥(日屋)이라고도 하며, 한국에 흔히 부르는 '왜옥', '일본집', ' 다다미집'이 그것이다. 보통 목재로 만든 목조건축물이며, 일본식 기와를 올린 경우도 많았다. 일본 전통 방은 와시츠(和室, わ-しつ)라고 부른다. 광복 이후 일본인들이 떠나고 한반도에 남겨진 고민가는 적산가옥이라고 부른다.
2. 종류
2.1. 갓쇼즈쿠리
合掌造り, がっしょうづくり
재목에 못을 안 쓰고 홈을 파 합각으로 어긋매 끼워 건축한 형태의 집으로, 한국의 초가집과 비슷하다.
일본의 매우 추운 동네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의 가옥구조로, 폭설을 이겨내기 위해 매우 높은 삼각형 지붕이 특징이다.[1] 기후현 시라카와고(白川郷)와 고카야마(五箇山)의 마을의 주택들은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록되었다. 폭설 지역에서 눈의 하중을 견디거나, 각종 지진 등 자연재해에 강했다. 시라카와의 갓쇼즈쿠리는 에도 시대 후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만들어진 것이다. 갓쇼즈쿠리가 모여있는 마을을 '합장촌'이라고도 하는데, 문자 그대로 합장하고 있는 손 모양처럼 생겼다는 의미이다.
2.2. 나가야
자세한 내용은 나가야 문서 참고하십시오.長屋, ながや
일본 전통의 롱하우스 형태를 말한다. 효율적인 난방을 위한 목적도 있으나 일본의 나가야는 항목에서 보듯 효율보다는 좀 더 관습적인 의미가 강하다.
2.3. 후나야
舟屋, ふな‐や
일본식 전통 수상가옥을 말한다.
2.4. 화양절충식 주택
와요우셋츄우, 和洋折衷, わようせっちゅう근대 '화양절충(和洋折衷)' 식 주택은 일본 메이지 유신 이후 건축된 주택들로 서양식과 일본식이 혼합된 건축물이다. 일본, 한반도, 대만 등 식민지에 집중 건축되었고 현재도 일본 본토에서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시절 지어지고 해방 후 일본인이 남겨놓고 간 집을 민간에 불하한 가옥(적산가옥)이 이 형식을 띤다.
- 문화주택 참조
3. 특징
- 다다미 (畳, たたみ)
- 쇼인(書院)
- 이로리 (囲炉裏)
- 고타츠 (炬燵, コタツ)
- 분재 (盆栽)
- 마네키네코 (招き猫, まねきねこ)
- 도코노마 (床の間, とこのま)
- 불단 (仏壇)
- 아마도 (雨戶, あまど) [2]
- 시시오도시(鹿威し, ししおどし)
- 중정 (中庭)
- 카토리부타 (蚊取り豚, かとりぶた)
4. '고민가' 촌락이 등장하는 매체
5. 관련 문서
[1]
비슷한 이유로 만만찮은 다설지역인 스위스의 알프스 산맥 자락에도 이런 집들이 많이 있으며, 17세기에 지어진 교회 중에는 아예 산비탈 쪽이 뱃머리 모양으로 지어진 곳도 있다.
[2]
좁은 툇마루와 집 바깥쪽을 덮는 혹한 폭설에 대비를 위한 목재 구조물
[3]
대형
료칸이 나온다.
[4]
1권에서 베르단디 일행이 눌러살게 되는 일본식 절.